KR101822911B1 - 소방설비용 알람밸브 - Google Patents

소방설비용 알람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2911B1
KR101822911B1 KR1020160075504A KR20160075504A KR101822911B1 KR 101822911 B1 KR101822911 B1 KR 101822911B1 KR 1020160075504 A KR1020160075504 A KR 1020160075504A KR 20160075504 A KR20160075504 A KR 20160075504A KR 101822911 B1 KR101822911 B1 KR 101822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seat
hook
disc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2296A (ko
Inventor
박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Priority to KR1020160075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2911B1/ko
Publication of KR20170142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0Pipe-line systems wet, i.e. containing extinguishing material even when not in use
    • A62C35/605Pipe-line systems wet, i.e. containing extinguishing material even when not in use operating and sounding alarm aut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arranged externally of valv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 F16K15/03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fluid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소방설비용 알람밸브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내용은, 시트안착부의 일측과 디스크의 일측을 힌지 결합시키되 디스크의 일측에 외향 돌출되는 돌출핀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시트안착부에는 후크를 형성하여 돌출핀을 후크에 끼워 결합시킴으로서 힌지부를 구성하도록 한다.
이에 따르면, 디스크와 시트안착부 간의 결합이 용이해질 수 있고, 힌지핀을 관통 결합시킬 필요가 없어 결합구조가 매우 간결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스크의 폐쇄작동을 보조하는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해 보다 견고하게 폐쇄상태가 유지될 수 있어 기밀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방설비용 알람밸브{Alarm Valve for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개시되는 내용은 소방설비용 알람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화설비의 유수검지장치 내에 설치되어 유수의 발생 여부를 알려주는 소방설비용 알람밸브에 관한 것이다.
집합용 주택이나 빌딩에는 건물의 각 층마다 다수개의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어 있는데 스프링클러의 작동에 의해 소화수가 흐르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각 스프링클러마다 유수검지장치가 연결되어 있다.
스프링클러 설비는, 배관의 내부에 소정의 압력을 가지는 가압수가 항상 충전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프링 클러 헤드의 감열부가 화재로 인해 개방되면, 배관의 가압수가 방출되면서 유수 검지장치인 알람밸브 조립체가 작동하여 경보가 발생하고, 이와 함께 가압 송수장치가 구동되어 소화수가 스프링클러 헤드를 통해 연속적으로 살수되는 방식이다.
스프링클러 설비는 물이 메인 공급관을 통해 알람밸브 조립체를 거쳐 가지관의 끝단부까지 채워져서 설정 수압을 유지하게 되는데, 알람밸브 조립체는 평상시에 닫혀있는 상태(개폐기능을 하는 클래퍼부가 닫힌 상태)로 있게 된다.
만일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알람스위치에서 이를 감지하여 알려줄 수 있다.
국내 특허출원 10-2009-0041145호에 "알람밸브"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상하로 피벗운동하여 상기 배관을 개폐하는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에 부착된 디스크 시트를 포함하는 것이었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르면 배관을 개폐하는 디스크는 스윙체크밸브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일측에 형성된 힌지핀을 중심으로 디스크가 유체의 흐름량에 따라 열리거나 닫히는 작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스윙체크밸브 형태이므로 급격한 역류 발생시 밸브 닫힘 시간이 비교적 길어지게 되고, 아울러 밸브디스크와 힌지핀을 연결하는 디스크 등에 큰 충격력이 작용하게 되어 파손의 위험성이 높은 단점이 있었다.
개시되는 내용은,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디스크와 디스크가 안착되어 개폐되는 시트안착부의 힌지 결합 구조를 개선하여 힌지핀을 사용하지 않고 디스크와 시트안착부 간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여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제조공정을 월등히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소방설비용 알람밸브에 관련된다.
또한 개시되는 내용은 디스크의 폐쇄작동시 디시크를 누르는 힘을 보강해줌으로써 디스크의 긴밀한 밀폐력이 보다 월등히 강화될 수 있도록 한 소방설비용 알람밸브에 관련된다.
개시되는 실시예의 목적은, 시트안착부의 일측과 디스크의 일측을 힌지 결합시키되 디스크의 일측에 외향 돌출되는 돌출핀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시트안착부에는 후크를 형성하여 돌출핀을 후크에 끼워 결합시킴으로서 힌지부를 구성하도록 하여 결합이 용이해질 수 있고, 힌지핀을 관통 결합시킬 필요가 없어 결합구조가 매우 간결해질 수 있는 소방설비용 알람밸브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안착부과 디스크의 결합 공정이 신속해질 수 있고, 힌지핀의 결합공정이 생략될 수 있어 보다 견고해지고 간결해질 수 있고, 디스크의 폐쇄작동을 보조하는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해 보다 견고하게 폐쇄상태가 유지될 수 있어 기밀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설비용 알람밸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설비용 알람밸브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설비용 알람밸브에서 디스크와 시트안착부의 조립체를 나타낸 것으로, 폐쇄 및 개방작동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설비용 알람밸브에서 디스크와 시트안착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설비용 알람밸브에서 디스크와 시트안착부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설비용 알람밸브의 절개 사시도로서, 폐쇄 및 개방작동을 나타낸 절개 사시도,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설비용 알람밸브의 알람스위치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 절개 단면도.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설비용 알람밸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설비용 알람밸브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설비용 알람밸브에서 디스크와 시트안착부의 조립체를 나타낸 것으로, 폐쇄 및 개방작동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설비용 알람밸브에서 디스크와 시트안착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설비용 알람밸브에서 디스크와 시트안착부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설비용 알람밸브의 절개 사시도로서, 폐쇄 및 개방작동을 나타낸 절개 사시도,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설비용 알람밸브의 알람스위치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 절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설비용 알람밸브는, 입구(22)와 출구(24)가 양측에 대향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입구(22)와 통하며 내측으로 요입 형성된 시트안착부(28)가 내부에 형성되는 바디(2); 바디(2)의 내부 시트안착부(28)에 힌지결합되어 개폐작동하는 디스크(4); 디스크(4)의 개방작동시 일단부(622)가 하강되면 타단부(623)가 상승되도록 형성된 작동부재(62); 작동부재(62)의 타단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바디(2)의 외부 일측에 형성되며, 작동부재(62)의 타단부가 상승시 알람을 발생하는 알람스위치(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디(2)는 원통형상이며 상,하에 각기 출구(24)와 입구(22)가 대향되게 형성된다. 내부에는 출구(24) 및 입구(22)와 통하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바디(2)의 공간에서도 입구(22)에 대응하여 원통형상의 인입관(220)이 형성되고, 인입관(220)의 상단 외주면이 단차지게 환턱(282)이 형성되어 시트안착부(28)가 형성된다.
바디(2)의 외부 일측에는 인입관(220)에 통하도록 1차측 압력계(G1)가 결합되고, 외부 타측에는 출구(24)와 통하도록 2차측 압력계(G2)가 결합된다.
상기 출구(24)에는 플랜지가 결합되고, 인입관(220)에도 플랜지가 결합되거나 또는 플랜지가 없는 형태로도 가능하다. 이렇게 플랜지가 없는 형태는 일명 그루브 타입이라 칭한다.
상기 출구(24) 및 인입관(220)에 구비되는 각각의 플랜지는 배관과 연결하기 위해 수단일뿐이므로 이들 플랜지가 없이, 즉 그루부 타입인 경우는 용접에 의해 배관과 직접 연결도 가능하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바디(2)의 외부 일측에 패널(21)이 장착되고, 패널(21)의 외면에 '┛'자 형상의 브라켓(23)이 켄틸레버 타입으로 부착되며, 수직면(231)의 하단에는 작동부재(62)의 타단이 결합되도록 슬릿(232)이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23)의 수직면(231)의 외면에 알람스위치(6)가 결합된다.
상기 알람스위치(6)는 작동부재(62)의 타단과 접촉되는 스위치레버(63)가 일측에 형성된다.
스위치레버(63)는 작동부재(62)의 타단이 지지되어 상방으로 가압하는 상태에서는 오프(off)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재(62)는 두께가 얇으며 일정한 길이를 갖는 금속편체이며, 일단부(622)는 제1,2디스크(41,45)의 상부에 배치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작동부재(62)의 일단부(622)는 탄성가압부재(65)의 상부에 지지된다.
상기 작동부재(62)의 타단부(623)는 바디(2)의 패널(21)에 형성된 안내부재(213)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결합된다.
여기서 패널(21) 및 안내부재(213)를 관통하여 돌출된 작동부재(62)의 타단부(623)는 패널(21)에 형성된 장공(210)을 관통하는 것이며, 장공(210)은 작동부재(62)의 타단부의 두께보다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작동부재(62)의 타단부가 상하로 회전운동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외측으로 돌출된 작동부재(62)의 타단부(623)에는 복원부재(67)가 결합되며, 상기 복원부재(67)는 알람스위치(6)의 오프상태를 유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복원부재(67)는 작동부재(62)의 타단부(623)를 상시 지지하여 수평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알람스위치(6)의 스위치레버(63)가 하방으로 내려가지 않도록 하여 오프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스위치레버(63)는 알람스위치(6) 내부에 형성된 접점(미도시)과 접촉된 상태이면 오프(off)상태(도 3 참조)이고, 접점과 스위치레버(63)가 이격되면 온(on)상태(도 4 참조)가 되어 알람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복원부재(67)는 브라켓(23)의 수직면이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작동부재(62)의 타단에 연결되는 스프링이며, 스프링의 당기는 힘에 의해 작동부재(62)의 타단이 당겨져서 수평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시트안착부(28)는 원형의 링 형상이며, 디스크(4)의 면적에 대응하는 통공(280)이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원형의 홈(281)이 형성되며, 상기 홈(281)에 오링(283)이 결합되어 디스크(4)의 저면과 밀착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시트안착부(28)는 외주면 일측으로 돌출되게 힌지홀더(3)가 형성된다.
힌지홀더(3)는 하방으로 개구되고 내측에 원형홈(35)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힌지홀더(3)에 대응하여 디스크(4)의 일측에 상기 힌지홀더(3)에 끼움결합되는 힌지핀부재(5)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크(4)의 힌지핀부재(5)가 힌지홀더(3)에 끼움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4)의 힌지핀부재(5)는 상기 디스크(4)의 일측에는 돌출되어 연장부(52)가 형성되고, 연장부(52)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돌출핀(54)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장부(52)는 디스크(4)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디스크(4)를 닫았을때 기준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디스크(4)의 돌출핀(54)이 시트안착부(28)의 후크(34)에 끼움결합되어 회전되면서 개폐작동된다.
한편 힌지홀더(3)는 시트안착부(28)의 외주면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하부에 개구부(35)가 형성되어 내부에 원형의 홈이 형성되는 후크(34)가 복수개 병렬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후크(34)의 개구부(35)의 크기는 상기 디스크(4)의 돌출핀(54)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디스크(4)의 돌출핀(54)이 후크(34)의 개구부(35)에 용이하게 끼움결합될 수 있고,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후크(34)는 시트안착부(28)의 외주면 일측에 부착된 수직부(341)와, 상기 수직부(341)의 상단에 호형으로 구부러져 형성된 만곡부(3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만곡부(342)는 시트안착부(28)의 상단 보다 상부에 배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4)의 연장부(52)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그 상향 경사진 부위의 단부에 돌출핀(5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응되도록 후크(34)의 만곡부(342)를 상부에 배치함으로써 디스크(4)를 닫았을때 들뜨지 않고 오링(283)에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후크(34)의 끝단부에 걸림홈(346)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346)에는 후술될 탄성부재(7)의 일단이 걸어져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힌지홀더(3)의 후크(34)의 양측면에 걸림돌기(343)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343)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은 디스크(4)의 상면에 밀착되는 탄성부재(7)가 더 포함된다.
상기 탄성부재(7)는 철사를 절곡시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에는 디스크(4)의 상면에 접촉되는 지지부(72)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후크(34)의 걸림홈(281)에 걸어지는 걸림부(74)가 형성되며, 중간부위에는 후크(34)의 걸림돌기(343)에 결합되는 고리(76)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바디(2)의 입구(22) 및 출구(24)에는 소화수 배관(미도시)이 연결된다. 소화수 배관과 바디(2)의 입구(22) 및 출구(24)의 연결은 플랜지 결합 또는 용접 결합 등이 가능하다.
한편 외부 원인으로 인해 입구(22)로부터 소화용수가 유입되면(도 2의 하부에 표시된 화살표가 소화용수의 유입방향을 의미함.) 수압에 의해 도 4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4)가 상방으로 회전되어 개방된다.
디스크(4)가 상방으로 회전되면 탄성부재(7)도 동반하여 회전되나 탄성부재(7)의 가압력이 디스크에 작용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렇게 디스크(45)가 개방되면, 연장부(52)가 하방으로 회전되어 작동부재(62)의 일단부(622)가 눌리게 되고, 이에 상반되어 작동부재(62)의 타단부(623), 즉 복원부재(67)와 연결된 타단부(623)가 상방으로 올라가게 된다.
이렇게 작동부재(62)의 타단부(623)가 올라가면 스위치레버(63)와 이격되므로 알람스위치(6)가 온(on) 작동하게 되고 외부에 알람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디스크(45)의 개방에 의해 유입되는 소화용수는 바디(2)의 내부 공간을 통과하여 출구(24)로 배출되고 소화수 배관으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에서 소화용수의 공급이 차단되면, 디스크(4)를 상방으로 미는 힘이 소실되므로 복원부재(67)의 수축하려는 복원력으로 인해 작동부재(62)의 타단부(623)를 끌어 올리게 되고, 이에 상반되게 작동부재(62)의 일단부(622)가 상부로 올라가게 되므로 디스크(4)의 연장부(52)를 상부로 밀게 되어 디스크(4)가 닫히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아울러 탄성부재(7)의 누르는 힘에 의해 디스크(4)가 닫히게 입구(22)를 폐쇄하게 된다.
아울러 작동부재(62)는 거의 수평한 상태가 될 수 있고, 타단부는 스위치레버(63)를 눌러줌으로써 알람스위치(6)는 오프(off)상태가 되고, 최초 대기 상태로 복귀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바디 3 : 힌지홀더
4 : 디스크 5 : 힌지핀부재
6 : 알람스위치 7 : 탄성부재
22 : 입구 24 : 출구
28 : 시트안착부 34 : 후크
35 : 개구부 52 : 연장부
54 : 돌출핀 62 : 작동부재
63 : 스위치레버 67 : 복원부재
72 : 지지부 74 : 걸림부
76 : 고리

Claims (6)

  1. 입구와 출구가 양측에 대향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입구와 통하며 내측으로 요입 형성된 시트안착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 시트안착부에 힌지결합되어 개폐작동하는 디스크;
    상기 디스크의 개방작동시 일단부가 하강되면 타단부가 상승되도록 형성된 작동부재; 및
    상기 작동부재의 타단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바디의 외부 일측에 형성되며, 작동부재의 타단부가 상승시 알람을 발생하는 알람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안착부는,
    상기 시트안착부의 외주면 일측으로 부터 연장 형성되고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내부에 원형홈이 형성되며 연장된 외측으로 걸림홈이 형성된 후크, 및 상기 후크의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힌지홀더;
    상기 디스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힌지홀더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끼움결합되는 힌지핀부재; 및
    철사를 절곡시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디스크의 상면에 접촉되는 지지부와, 상기 후크의 걸림홈에 걸어지는 걸림부와, 상기 후크의 걸림돌기에 결합되는 고리를 포함하여, 상기 걸림돌기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은 디스크의 상면에 밀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설비용 알람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안착부는 디스크의 면적에 대응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단부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오링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오링이 디스크의 저면과 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설비용 알람밸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의 힌지핀부재는
    상기 디스크의 일측에는 돌출되어 연장부가 형성되고, 연장부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돌출핀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디스크의 상면에 대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설비용 알람밸브.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홀더의 상기 후크의 개구부의 크기는 상기 디스크의 돌출핀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되고,
    상기 후크는 시트안착부의 외주면 일측에 부착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 호형으로 구부러져 형성된 만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만곡부는 시트안착부의 상단 보다 상부에 배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설비용 알람밸브.

  5. 삭제
  6. 삭제
KR1020160075504A 2016-06-17 2016-06-17 소방설비용 알람밸브 KR101822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504A KR101822911B1 (ko) 2016-06-17 2016-06-17 소방설비용 알람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504A KR101822911B1 (ko) 2016-06-17 2016-06-17 소방설비용 알람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296A KR20170142296A (ko) 2017-12-28
KR101822911B1 true KR101822911B1 (ko) 2018-01-30

Family

ID=60939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504A KR101822911B1 (ko) 2016-06-17 2016-06-17 소방설비용 알람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29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0665B1 (ko) * 2022-03-30 2023-02-16 권영규 리드스위치형 소방용 알람 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87332B2 (en) * 2019-04-11 2021-11-30 Melvin Plummer Break-away check valv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391B1 (ko) * 2007-10-04 2009-09-03 주식회사 삼진정밀 소방용 개폐밸브
KR101503371B1 (ko) * 2007-04-19 2015-03-18 이턴 코포레이션 일체형 힌지를 구비한 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371B1 (ko) * 2007-04-19 2015-03-18 이턴 코포레이션 일체형 힌지를 구비한 밸브
KR100915391B1 (ko) * 2007-10-04 2009-09-03 주식회사 삼진정밀 소방용 개폐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0665B1 (ko) * 2022-03-30 2023-02-16 권영규 리드스위치형 소방용 알람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296A (ko) 201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98091A1 (en) Flexible dry sprinkler
JP4280065B2 (ja) 防火スプリンクラーシステム用ドライパイプ弁
KR101810214B1 (ko) 알람밸브
KR101822911B1 (ko) 소방설비용 알람밸브
KR101787517B1 (ko) 준비 작동식 밸브
JP2014515287A (ja) 消火用スプリンクラーのためのxブレース弁および可撓性接続部
JP2008099871A (ja) 消火設備用自動警報弁
KR101604551B1 (ko) 소화 설비용 유수 감지 장치
US20160121150A1 (en) Self-sealing sprinkler seal and methods
KR101883877B1 (ko) 유수검지장치가 구비된 소방설비용 알람밸브
JP2005292113A (ja) 流水検知装置
KR200487864Y1 (ko) 배관 구조
KR102285868B1 (ko) 공동주택의 소방 스프링클러 고장 감지 시스템
JP5863514B2 (ja) 圧力調整弁及び流水検知装置
KR102192285B1 (ko) 휴즈 용융형 스프링클러 헤드
KR200431866Y1 (ko) 스프링클러 헤드 마감링
JP4475546B2 (ja) 流水検知装置
KR101773000B1 (ko) 소방설비용 알람밸브
JP2021025600A (ja) 流路切替弁及び消火栓
JP2007252744A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の取付具
KR101542029B1 (ko) 소화 설비용 유수감지장치
JP4471940B2 (ja) 流路遮断弁
KR20140141318A (ko) 스프링클러
JP3217796U (ja) 自動消火器及び簡易スプリンクラー
KR20170047678A (ko)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