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141Y1 - 보조 작동밸브를 갖는 소화설비용 유수검지장치 - Google Patents

보조 작동밸브를 갖는 소화설비용 유수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141Y1
KR200452141Y1 KR2020090004625U KR20090004625U KR200452141Y1 KR 200452141 Y1 KR200452141 Y1 KR 200452141Y1 KR 2020090004625 U KR2020090004625 U KR 2020090004625U KR 20090004625 U KR20090004625 U KR 20090004625U KR 200452141 Y1 KR200452141 Y1 KR 2004521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water
disk
auxiliary operation
check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46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542U (ko
Inventor
김재호
Original Assignee
대명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명기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명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046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141Y1/ko
Publication of KR201000105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5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1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1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ck Valve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의 일단에 설치되어 소화용 물이 통과되는 것을 감지하여 외부로 경보하는 유수 감지 장치에 있어서, 유수검지장치를 구성하는 첵크밸브 중앙에 보조 작동밸브를 설치하여 적은 유량에 제공되는 조건에서는 보조 작동밸브가 동작하고 많은 유량이 제공되는 조건에서는 첵크밸브가 작동하도록 함으로서 다양한 압력상황에서 유수검지 시험이 가능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작동밸브를 갖는 소화설비용 유수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첵크밸브 및, 첵크밸브의 중앙에 삽입설치되는 보조 작동밸브를 갖는 첵크밸브 케이스와; 판스프링을 갖는 스위치 조작용 회동암과; 리드 스위치를 포함하는 리드 스위치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작동밸브는, 첵크밸브 몸체를 중심으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첵크밸브의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 디스크형 원판과, 상기 디스크형 원판이 상승시에 첵크밸브의 하부에 접촉되면서 임시고정되는 상하가 오픈된 파이프 형상의 하부 원형링과, 상기 상부 디스크형 원판의 하부 및 하부 원형링의 상부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파이프 형상이며 측면에 다수개의 물통과용 홀을 갖는 중앙 지지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소화설비, 유수검지장치

Description

보조 작동밸브를 갖는 소화설비용 유수검지장치{A Running Water Detecting Unit of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본 고안은 보조 작동밸브를 갖는 소화설비용 유수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관의 일단에 설치되어 소화용 물이 통과되는 것을 감지하여 외부로 경보하는 유수 감지 장치에 있어서, 유수검지장치를 구성하는 첵크밸브 중앙에 보조 작동밸브를 설치하여 적은 유량에 제공되는 조건에서는 보조 작동밸브가 동작하고, 많은 유량이 제공되는 조건에서는 첵크밸브가 작동하도록 함으로서, 다양한 압력상황에서 유수검지 시험이 가능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작동밸브를 갖는 소화설비용 유수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인 집합 주택용의 스프링클러 설비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합 주택의 각 층의 각 호마다 여러 개의 스프링클러 헤드(1)가 설치되어, 각 호에서 상기 각 헤드(1)가 스프링클러 배관(1')을 통해 유수 검지 장치(3)의 이차측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유수 검지 장치(3)의 일차측에 소화수 배관(2)이 접속되며, 각 배관(2)은 집합 주택의 지층에 배치되어, 그 지층에서 가압 송수 펌프(4), 압력 유지 펌프(5)를 통해 저수조(6)에 접속되고 있다. 또한, 상기 배관(2) 에는 압력 탱크(7) 및 상기 배관(2) 내의 압력 저하를 압력 탱크(7)를 통해 검출할 수 있는 압력 스위치(8)가 접속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서 도면 부호 9는 옥상에 배치된 소화수의 보조 수조이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클러 설비는 경계 동작 중에 있어서 전체 배관 속이 물로 채워져 상기 압력 유지 펌프(5)에 의해 정압(가압 펌프(4)에서 가장 먼 곳에서 0.1 ㎫ 이상)이 인가되고 있고, 어느 집(P)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스프링클러 헤드(1″)의 노즐이 열에 의해 자동적으로 발포하여, 배관(1') 안에 가득 차 있는 소화수가 그 헤드(1″)로부터 방출되며, 이러한 유수압력에 의해, 상기 어느 집(P)에서 상기 유수 검지 장치(3)의 리드 스위치가 온으로 되고 이에 따라 화재 경보 등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헤드(1")의 발포에 기초한 관내 압력의 저하를 압력 스위치(8)가 검지하여 온으로 하고, 이 온에 기초하여 가압 송수 펌프(4)가 기동되어, 배관(2) 내로 저수조(6) 내의 소화수가 가압 송수되며, 이어서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1")로 부터 소화수가 방수되어 소화 활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보다 발전된 유수 검지 장치로서 등록특허 제 10-0747617호에 소형 유수 검자 장치가 제안된바 있으며, 이 발명은 유지 및 보수하기가 편리한 소화 설비용 유수 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유수검지장치는 기본적으로 일정한 압력이 가해지면 개방되는 첵크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첵크밸브 상부에 설치되어 첵크밸브가 동작하면 동시에 휘어지는 스위치 조작용 회동암과, 상기 스위치 조작용 회동암의 움직임에 따라서 접점을 오프시켜 경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리드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유수검지장치는 1분당 80리터이하의 유량에서 검지를 하여 경보신호를 출력을 하여야하나 첵크밸브의 구경이 커지면 첵크밸브의 움직임이 작아 1분당 20리터 이상 80리터 미만의 물이 통과할 경우에 이를 첵크하기 위한 유수검지의 어려움이 있었다.
즉, 1분당 80리터 이하의 유량에서 유수검지 장치의 테스트 작동이 이루어져야 하나, 첵크밸브 구경이 커질수록 첵크밸브의 움직임이 작아 80리터 이상의 유량이 제공되어야만 첵크밸브가 열려서 경보음이 출력되므로 비교적 적은 유량의 상황의 경우 유수검지가 어려웠으며, 비교적 적은 유량인 1분당 20리터 이상 80리터 미만의 물공급하에서 유수검지장치가 작동하는 것을 테스트할때 리드 스위치가 접점될 수 있는 구조가 필요로 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첵크밸브 중앙에 홀을 형성하고, 상기 홀에 보조 작동밸브를 삽입 설치하여 저압(1분당 20리터 이상 80리터 미만)의 유량이 가해지면 상기 보조 작동밸브가 리드 스위치의 접점을 오프시켜 물의 흐름이 감지되고, 고압(1분당 80 리터 이상의 압력)의 유량이 가해지면 첵크밸브가 리드 스위치의 접점을 오프시켜 물의 흐름을 감지함으로서 유수검지장치의 보다 정밀한 테스트가 가능토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시험가동용 물이 관통되는 통로로서 1차측 개구부 및 2차측 개구부를 상하단에 구비하고, 힌지 결합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개폐되는 원통형 구조의 첵크밸브(130) 및, 첵크밸브의 중앙홀에 삽입설치되는 보조 작동밸브(140)를 포함하는 첵크밸브 케이스(100)와; 상기 첵크밸브 케이스(100)의 보조 작동밸브 상부 중앙에 설치되어 첵크밸브의 상승에 따라 이에 연동하여 상부로 휘어지는 판스프링을 갖는 스위치 조작용 회동암(300)과; 상기 스위치 조작용 회동암에 연결되어 판스프링이 휘어짐에 따라 접점을 오프시키는 리드 스위치를 갖는 리드 스위치 케이스(200)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 작동밸브(140)는, 첵크밸브 몸체를 중앙에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첵크밸브의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 디스크형 원판(141)과, 상기 디스크형 원판이 상승시에 첵크밸브의 하부에 접촉되면서 임 시고정되는 상하가 오픈된 파이프 형상의 하부 원형링(142)과, 상기 상부 디스크형 원판의 하부 및 하부 원형링의 상부를 연결하여 수직 지지바 형상이며 다수개의 물통과용 홀을 갖는 중앙 지지체(143)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상부 디스크형 원판과 원형링 및 중앙 지지체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상부 디스크형 원판의 저면에는 수밀용 링이 더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첵크밸브의 내주연에는 파이프형 볼트를 체결하고, 상기 파이프형 볼트 내측에 보조 작동밸브가 위치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첵크밸브 중앙홀에 보조 작동밸브를 삽입 설치하여 비교적 저압에서는 보조 작동밸브가 리드 스위치가 접점을 오프시켜 물의 흐름을 감지하고, 비교적 고압에서는 첵크밸브가 리드 스위치의 접점을 오프시켜 물의 흐름을 감지토록 하여 보다 정밀한 유수검지 장치의 테스트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 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유수검지장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알람밸브 상세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리드 스위치 케이스와 스위치 조작용 회동암의 상세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보조 작동밸브 상세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보조 작동밸브의 동작전 챌밸브와 결합 관계도.
도 7은 본 고안의 보조 작동밸브의 동작후 첵크밸브와 결합 관계도.
도 8은 본 고안의 보조 작동밸브의 동작후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첵크밸브의 동작후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단면도로서,
저수조와 연결되어 저수조의 물이 상부로 이송되는 통로로서 화재가 발생시 저수조에 존재하는 물을 통과시키는 매인배관(10)과; 상기 매인배관(10)의 일단에 설치되며, 일정이상 물의 흐름이 발생하는 경보를 행하는 알람배관(20)과; 알람밸브(20)의 측면에 연장설치되며 매인배관(10)의 상부로 올라가지 못하는 물을 다시 저수조로 보내는 드레인 배관(30)과; 드레인 배관(30)에 일측이 연결되어 저수조와 연결되는 것으로, 드레인 배관(30)를 통해 출력되는 물을 저수조로 돌려보내는 입상 배수관(40)과; 매인배관(10)의 상부에 연결되어 매인배관(10)을 통해 제공되는 물을 스프링클러 헤드(60)까지 이송되도록 연결하는 스프링클러 배관(50)과; 스프링클러 배관(50)에 연장설치되는 관의 끝단에 위치하며 화재가 발생시 물을 비산시 키는 스프링클러 헤드(60)와; 스프링클러 배관(50)의 끝단부로부터 연장설치되며 알람밸브(20) 시험시에 스프링클러 배관(50)을 통과한 물이 흐르도록 하는 바이패스 배관(70)과; 바이패스 배관(70)가 드레인 배관(30) 사이에 설치되어 물의 흐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확인용 배관(80)과; 확인용 배관(80)의 상부에 설치되며 알람밸브(20)를 테스트시에 밸브를 오픈시켜 물이 확인용 배관을 통해 흐르도록 하고, 알람밸브(20) 테스트를 하지 않을 시에는 차단시켜 화재시 스프링클러 배관(50)과 스프링클러 헤드(60)를 통해 흐르도록 유도하는 시험밸브(90)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알람밸브(20)를 발전시켜 비교적 적은 물의 압력으로도 유수검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는바, 이에 따른 주요구성 요소를 살펴보면 첵크밸브 케이스(100)와, 리드 스위치 케이스(200)와, 스위치 조작용 회동암(300)으로 구분할 수 있고, 첵크밸브 케이스(100)는 1차측 개구부(110)와, 2차측 개구부(120)와, 첵크밸브(130)와, 보조 작동밸브(140)와, 힌지축(150)으로 이루어지며, 리드 스위치 케이스(200) 내부에는 리드 스위치(2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스위치 조작용 회동암(300)은 판스프링(310) 및 접점용 패들(320)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첵크밸브 케이스(100)는 시험가동용 물이 관통되는 통로로서 1차측 개구부(110)가 하단에 위치하고 2차측 개구부(120)가 상단에 위치하고 있다. 첵크밸브(130)는 1차측 개구부(110) 상단에 설치되고, 일측 끝단에 힌지축(150)이 결합되어 힌지축(150)을 중심으로 첵크밸브 몸체가 개폐된다.
또한, 상기 첵크밸브(130)의 중앙에는 보조 작동밸브(140)가 삽입설치되어 첵크밸브 몸체를 중심으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구체적으로 첵크밸브(130)의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 디스크형 원판(141)과, 상기 디스크형 원판이 상승시에 첵크밸브의 하부에 접촉되면서 임시고정되는 상하가 오픈된 파이프 형상의 하부 원형링(142)과, 상기 상부 디스크형 원판의 하부 및 하부 원형링의 상부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수직 지지바 형상이며 다수개의 물통과용 홀을 갖는 중앙 지지체(143)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디스크형 원판(141)과 하부 원형링(142) 및 중앙 지지체(143)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금속성 재질로 구성한다. 즉, 금속성 재질로 보조 작동밸브(140)를 구성하기 때문에 적정한 무게를 갖도록하여 인입되는 물이 1분당 20리터 미만의 유량이 제공되면 자체 무게에 따른 중력작용에 의해서 보조 작동밸브(140)가 작동되지 않토록 하고, 1분당 20리터 이상의 유량이 제공되어야만 보조 작동밸브(140)가 작동되도록 한다. 참고로, 유수검지장치 테스트시에 1분당 20리터 미만에서는 경보음이 출력되지 않아야 하는바, 이는 화재시 충분한 물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보조 작동밸브(140)를 설계시에 20리터 미만에서는 유동이 되지 않토록하고, 적어도 1분당 20리터 이상의 물이 공급될때에 경보음을 출력시켜 정상적인 물공급이 이루어짐을 외부로 알리도록한다.
상기 상부 디스크형 원판(141)의 저면에는 수밀용 링(144)이 더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첵크밸브(130)와 상부 디스크형 원판(141) 사이를 밀폐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첵크밸브(130)의 내주연에는 파이프형 볼트(131)를 채결하고, 상기 파이프형 볼트(131) 내측에 보조 작동밸브(140)가 위치토록 한다.
상기 리드 스위치 케이스(200)는 내측에 리드 스위치(210)를 구성하는 제 1 접점 스위치(211) 및 제 2 접점 스위치(212)가 설치되고, 제 1 접점 스위치(211) 및 제 2 접점 스위치(212)의 접점 해제에 따라 경보신호를 출력한다. 미설명부호 213은 리드 스위치 작동을 위한 온오프 스위치이다.
스위치 조작용 회동암(300)은 판스프링(310) 및 접점용 패들(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바, 상기 판스프링(310) 및 접점용 패들(320)은 볼트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접점용 패들(320)은 리드 스위치(210)의 접점단자에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판스프링(310)은 끝단이 보조 작동밸브(14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보조 작동밸브(140) 또는 첵크밸브(130)의 작동에 따라서 판스프링(310)상부로 이동하면서 접점용 패들(320)이 이동하여 리드 스위치(210)의 접점이 오프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본 고안의 테스트 장치를 가동시키기 위해서 시험밸브(20)를 움직여서 바이패스 배관(70)과 드레인 배관(30) 사이가 오픈되도록 한다.
그러면 소화수가 알람밸브(20)와 매인 밸브(10)와, 스프링클러 배관(50)가 바이패스 배관(70) 및 드레인 배관(30)을 거쳐 외부로 물이 출력된다.
이때, 알람밸브(20)를 구성하는 첵크밸브(130)를 관통하면서 물이 이동하는 바, 1분당 20리터 이상 80리터 미만의 유량이 흐르면 첵크밸브(130)의 내측에 설치되는 보조 작동밸브(140)가 상부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에 따라 판스프링(310)도 같은 방향에 눌리기 때문에, 접점용 패들(320)이 작동하여 리드 스위치(210)의 접점이 오프되면서 경보를 출력되고 유수검지장치의 테스트가 완료된다.
즉, 비교적 낮은 저압으로 물이 유동하면 보조 작동밸브(140)를 구성하는 중앙 지지체(143)의 물통과용 홀(143a) 및 하부 원형링(142)의 물통과용 홀(142a)로 물이 인입되면서 상부로 밀어 올리며 이러한 작용에 의해서 상부 디스크형 원판(141)이 밀어 올려져서 일차측에 존재하는 물이 이차측으로 흐르게 되면서 보조 작동밸브(140) 상부에 위치하는 판스프링(310)을 밀어 올리는 것이다.
이때, 보조 작동밸브(140)가 상승하여 하부 원형링(142)이 첵크밸브(130)의 하부에 임시고정된 상태에서는 보조 작동밸브(140)의 하부가 원형링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하부 원형링(142)의 물통과용 홀(142a)을 통하여 물이 이동하면서 중앙 지지체(143)의 물통과용 홀(143a)을 통해 이동하여 이차측으로 물이 계속 흐르게 된다.
따라서, 비교적 저압의 물이 흐르더라도 리드 스위치(210)의 접점이 오프되면서 경보가 출력될 수 있어 유수검지장치의 점검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1분당 80리터 이상으로 물의 압력이 높아지면 첵크밸브(130)가 열리면서 판스프링(310)을 밀어올려 리드 스위치(210)의 접점이 오프되면서 경보 출력이 가능하다.
즉, 1분당 20리터 이상 80리터 미만으로 유량이 제공되면 보조 작동밸브(140)가 밀어 올려지면서 리드 스위치(210)의 접점을 오프시켜 경보를 발생시키고, 80리터 이상으로 유량이 제공되면 첵크밸브(130)가 힌지축(150)을 중심으로 열리면서 리드 스위치(210)의 접점을 오프시켜 경보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결국, 본 고안은 비교적 저압의 경우에도 유수검지장치가 작동하여 물이 정상적으로 흐르는지 테스트할 수 있고, 비교적 고압의 경우에도 유수검자장치가 작동하여 물이 정상적으로 흐르는지 테스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즉,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의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프링클러 설비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유수검지장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알람밸브 상세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리드 스위치 케이스와 스위치 조작용 회동암의 상세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보조 작동밸브 상세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보조 작동밸브의 동작전 챌밸브와 결합 관계도.
도 7은 본 고안의 보조 작동밸브의 동작후 첵크밸브와 결합 관계도.
도 8은 본 고안의 보조 작동밸브의 동작후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첵크밸브의 동작후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매인배관
20: 알람밸브
30: 드레인 배관
40: 입상 배수관
50: 스프링클러 배관
60: 스프링클러 헤드
70: 바이패스 배관
80: 확인용 배관
90: 시험밸브
100: 첵크밸브 케이스
110: 1차측 개구부
120: 2차측 개구부
130: 첵크밸브
131: 파이프형 볼트
140: 보조 작동밸브
141: 상부 디스크형 원판
142: 하부 원형링
143: 중앙 지지체
150: 힌지축
200: 리드 스위치 케이스
210: 리드 스위치
300: 스위치 조작용 회동암
310: 판스프링
320: 접점용 패들

Claims (4)

  1. 시험가동용 물이 관통되는 통로로서 1차측 개구부 및 2차측 개구부를 상하단에 구비하고, 힌지 결합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개폐되는 원통형 구조의 첵크밸브(130) 및, 첵크밸브의 중앙홀에 삽입설치되는 보조 작동밸브(140)를 포함하는 첵크밸브 케이스(100)와;
    상기 첵크밸브 케이스(100)의 보조 작동밸브 상부 중앙에 설치되어 첵크밸브의 상승에 따라 이에 연동하여 상부로 휘어지는 판스프링을 갖는 스위치 조작용 회동암(300)과;
    상기 스위치 조작용 회동암에 연결되어 판스프링이 휘어짐에 따라 접점을 오프시키는 리드 스위치를 갖는 리드 스위치 케이스(200)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 작동밸브(140)는, 첵크밸브 몸체를 중앙에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첵크밸브의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 디스크형 원판(141)과, 상기 디스크형 원판이 상승시에 첵크밸브의 하부에 접촉되면서 임시고정되는 상하가 오픈된 파이프 형상의 하부 원형링(142)과, 상기 상부 디스크형 원판의 하부 및 하부 원형링의 상부를 연결하여 수직 지지바 형상이며 다수개의 물통과용 홀을 갖는 중앙 지지체(14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작동밸브를 갖는 소화설비용 유수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디스크형 원판(141)과 하부 원형링(142) 및 중앙 지지체(143)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작동밸브를 갖는 소화설비용 유수검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디스크형 원판(141)의 저면에는 수밀용 링(144)이 더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작동밸브를 갖는 소화설비용 유수검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첵크밸브(130)의 내주연에는 파이프형 볼트(131)를 체결하고, 상기 파이프형 볼트(131) 내측에 보조 작동밸브(140)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작동밸브를 갖는 소화설비용 유수검지장치.
KR2020090004625U 2009-04-17 2009-04-17 보조 작동밸브를 갖는 소화설비용 유수검지장치 KR2004521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625U KR200452141Y1 (ko) 2009-04-17 2009-04-17 보조 작동밸브를 갖는 소화설비용 유수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625U KR200452141Y1 (ko) 2009-04-17 2009-04-17 보조 작동밸브를 갖는 소화설비용 유수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542U KR20100010542U (ko) 2010-10-27
KR200452141Y1 true KR200452141Y1 (ko) 2011-02-10

Family

ID=44200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4625U KR200452141Y1 (ko) 2009-04-17 2009-04-17 보조 작동밸브를 갖는 소화설비용 유수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1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744B1 (ko) * 2016-09-30 2018-06-07 삼성중공업(주) 엘엔지 재기화 설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3612A (ko) * 2002-01-23 2003-07-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이드 게이트 이중 잠금장치
KR200363612Y1 (ko) * 2004-07-09 2004-10-02 주식회사 삼양발부종합메이커 소화설비용 유수검지장치의 알람밸브
KR20060043149A (ko) * 2004-08-20 2006-05-15 대명기계공업 주식회사 소화 설비용 유수 검지 장치
KR20080001532U (ko) * 2006-11-29 2008-06-03 이원일 알람밸브 작동 시험용 테스트 밸브
KR20090003008U (ko) * 2007-09-21 2009-03-25 신영공업 주식회사 알람밸브의 시트링 실링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3612A (ko) * 2002-01-23 2003-07-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이드 게이트 이중 잠금장치
KR200363612Y1 (ko) * 2004-07-09 2004-10-02 주식회사 삼양발부종합메이커 소화설비용 유수검지장치의 알람밸브
KR20060043149A (ko) * 2004-08-20 2006-05-15 대명기계공업 주식회사 소화 설비용 유수 검지 장치
KR20080001532U (ko) * 2006-11-29 2008-06-03 이원일 알람밸브 작동 시험용 테스트 밸브
KR20090003008U (ko) * 2007-09-21 2009-03-25 신영공업 주식회사 알람밸브의 시트링 실링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744B1 (ko) * 2016-09-30 2018-06-07 삼성중공업(주) 엘엔지 재기화 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542U (ko) 2010-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7617B1 (ko) 소화 설비용 유수 검지 장치
KR102273403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관리 시스템
KR100725801B1 (ko) 소화 설비용 유수 검지 장치
US20110297396A1 (en) Enhanced hydrocarbon well blowout protection
US7441441B2 (en) Automatic leak detection and isolation system for a pipeline
US20160083953A1 (en) Fluid Backflow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CN113203433B (zh) 一种煤矿井下突水预警监测装置及方法
KR102273404B1 (ko) 공동주택의 소방설비 통제 시스템
JPH0521589B2 (ko)
KR200452141Y1 (ko) 보조 작동밸브를 갖는 소화설비용 유수검지장치
KR102181151B1 (ko) 누수 감지 소화전
KR101430433B1 (ko) 볼 플로트 트랩
CN101991924B (zh) 火灾探测与自动灭火系统及其在浮顶储罐密封圈的应用
KR101465739B1 (ko) 밸러스트 탱크 가스 포집 장치
US8209792B1 (en) Dual-ceramic shut-off valve, external to tank
CN110702323A (zh) 一种液体管路常闭式阀门密封性监测装置
KR102262628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무인 소방통합관리 시스템
KR200363612Y1 (ko) 소화설비용 유수검지장치의 알람밸브
JP2009100824A (ja) スプリンクラー装置
CN207484571U (zh) 一种智能消防栓
CN207769022U (zh) 一种自动喷水灭火系统
CN106139494A (zh) 具有火源识别和报警定位功能的灭火装置
FR3101152A1 (fr) Dispositif de detection de presence de liquide, cuvette de retention pour reservoir de liquide dangereux le comprenant, et systeme de detection de presence de liquide
KR20090010276U (ko) 소화설비용 유수감지장치
CN1951521B (zh) 速喷式灭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