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1806A - 고 통기성·저 반발 탄성·연질 폴리우레탄 포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 통기성·저 반발 탄성·연질 폴리우레탄 포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1806A
KR20060041806A KR1020050011176A KR20050011176A KR20060041806A KR 20060041806 A KR20060041806 A KR 20060041806A KR 1020050011176 A KR1020050011176 A KR 1020050011176A KR 20050011176 A KR20050011176 A KR 20050011176A KR 20060041806 A KR20060041806 A KR 20060041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
polyurethane foam
low
foam
cataly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1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야 요시이
도모코 히라야마
히토시 야구치
Original Assignee
닛폰 폴리우레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 폴리우레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 폴리우레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1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1806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1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1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4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separate framed panels without intermediary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 소리, 충격 흡수체, 또는 매트리스, 베개, 쿠션 등에 유용한 뛰어난 점탄성 성능을 갖고, 종래의 연질 폴리우레탄 포옴에 비해, 인체의 압력을 보다 균일하게 분산시켜, 피로감이나 바닥 어긋남 경감에 효과적인 인체 공학적으로 뛰어난 점탄성 연질 폴리우레탄 포옴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은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A), 폴리올(B), 발포제(C), 촉매(D), 정포제(E)를 반응시키는 연질 폴리우레탄 포옴의 제조 방법으로서, 폴리올(B)이 평균 작용기수 2.5 내지 4.5, 수산화기 당량 300 내지 500인 폴리에스터폴리올(b1)과 평균 작용기수 2.5, 수산화기 당량 300 내지 5000인 폴리알킬렌폴리올의 특정 비율의 혼합 폴리올로 이루어지고, 아이소사이아네이트 인덱스를 50 내지 100으로 하는, 고 통기성·저 반발 탄성·연질 폴리우레탄 포옴의 제조 방법에 의해 해결한다.

Description

고 통기성·저 반발 탄성·연질 폴리우레탄 포옴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A SOFT POLYURETHANE FOAM HAVING HIGH AIR PERMEABILITY AND LOW REBOUND RESILIENCE}
본 발명은 저 반발 탄성 및 고 통기성을 갖는 연질 폴리우레탄 포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충격 흡수 재료, 진동 흡수 재료로서의 각종 라미네이트 가공용, 또는 베개, 매트리스, 쿠션, 방석 및 의류용 패드 등에 사용되는 저 반발 탄성의 연질 폴리우레탄 포옴이 알려져 있다. 이들 제품에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포옴은, 우레탄 포옴의 수지 조성, 즉 폴리올 성분 및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의 종류를 적절히 선택하여, 목적하는 반발 탄성률을 갖는 폴리우레탄 포옴을 수득하도록 처방되어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 제안되어 있는 저 반발 탄성의 폴리우레탄 포옴은, 목적하는 저 반발 탄성률을 갖지만, 통기성이 거의 없고, 예컨대 베개, 매트리스, 쿠션 또는 방석 등에 사용하는 경우, 인체로부터의 열, 수증기가 충분히 방산되지 않아, 눅눅해지기 쉬웠다.
또한, 저 반발 탄성 폴리우레탄 포옴은, 온도 감수성이 강하기 때문에 온도가 낮아지면 경화되어 버린다. 예컨대, 베개, 쿠션, 매트리스 등은 환경 온도의 변화에 의해 포옴의 감촉에 변화를 일으켜, 사용감이 크게 변화된다는 문제점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특허 문헌 1에서는 폴리올 성분이 분자량 500 이상의 고분자량 폴리올과 저분자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혼합 폴리올이고, 저 분자량 2가 알코올로서 다이프로필렌글리콜 및/또는 1,3-뷰탄다이올이고, 저 분자량 3가 알코올로서 글리세린 및/또는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을 이용한 예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본 문헌에 기재된 처방에서도, 저온에서의 포옴의 경도가 높아진다는 문제는 충분히 개량되지 않았고, 겨울철 등의 저온시에는 유연한 사용감이 수득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 문헌 1: 특허 공개 제 2004-2591호 공보
본 발명은, 전술한 현 상황을 감안하여, 우수한 저 반발 탄성을 갖는 동시에, 포옴에 고 통기성을 부여하고, 경도의 온도에 대한 의존성이 작고, 또한 고 내구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포옴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지금까지 저 반발 탄성 폴리우레탄 포옴의 수지 성분으로서 배합 처방되는 폴리올 성분과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 중, 폴리올 성분을 특정 분자량의 폴리에스터폴리올과 고 분자량의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의 특정 혼합비의 혼합물로 하고, 이 혼합 폴리올 성분과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을 아이소사이아네이트 인덱스 100 이하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저 반발 탄성, 매우 양호한 통기성, 낮은 경도 온도 의존성, 및 매우 양호한 압축 잔류 변형을 갖는 연질 폴리우레탄 포옴이 수득되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는 데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1) 내지 (5)에 나타낸 바와 같다.
(1)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A), 폴리올(B), 발포제(C), 촉매(D) 및 정포제(E)를 아이소사이아네이트 인덱스 50 내지 100에서 반응시켜 이루어지는 밀도 40 내지 80kg/m3, 경도 8 내지 150N/l00cm2의 고 통기성·저 반발 탄성·연질 폴리우레탄 포옴의 제조 방법으로서, 폴리올(B)이 평균 작용기수 2.5 내지 4.5, 수산화기 당량 300 내지 500의 폴리에스터폴리올(b1)과 평균 작용기수 2.5 내지 4.5, 수산화기 당량 300 내지 5000의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b2)의 혼합 폴리올이고, 또한 그 혼합비, (b1):(b2)가 70 내지 90:30 내지 10(질량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통기성·저 반발 탄성·연질 폴리우레탄 포옴의 제조 방법.
(2)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A), 폴리올(B), 발포제(C), 촉매(D) 및 정포제 (E)를 아이소사이아네이트 인덱스 50 내지 100에서 반응시켜 이루어지는 JIS K6400(1997)에 따라 측정되는 건열 압축 잔류 변형값이 5% 이하이고, 밀도 40 내지 80kg/m3, 경도 8 내지 150N/l00cm2의 고 통기성·저 반발 탄성·연질 폴리우레탄 포옴의 제조 방법으로서, 폴리올(B)이 평균 작용기수 2.5 내지 4.5, 수산화기 당량 300 내지 500의 폴리에스터폴리올(b1)과 평균 작용기수 2.5 내지 4.5, 수산화기 당량 300 내지 5000의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b2)의 혼합 폴리올이며, 또한 그 혼합비 (b1):(b2)가 70 내지 90:30 내지 10(질량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통기성·저 반발 탄성·연질 폴리우레탄 포옴의 제조 방법.
(3)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b2)이, 1분자당 2개 이상의 수산화기를 갖는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에 프로필렌 옥사이드와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시켜 수득되는 평균 작용기수 2.5 내지 4.5, 수산화기 당량 300 내지 5000의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인, 상기 (1) 또는 (2)의 고 통기성·저 반발 탄성·연질 폴리우레탄 포옴의 제조 방법.
(4) 촉매(D)가, 이미다졸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촉매인,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고 통기성·저 반발 탄성·연질 폴리우레탄 포옴의 제조 방법.
(5) 폴리올(B)이, 추가로 폴리옥시알킬렌모노올을 함유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고 통기성·저 반발 탄성·연질 폴리우레탄 포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의해, 충분한 저 반발 탄성과 고 통기성을 갖는 동시에, 경도의 온도에 대한 의존성을 대폭 개량한 연질 폴리우레탄 포옴을 제조할 수 있게 되었 다. 또한, 본 발명의 연질 폴리우레탄 포옴은 종래의 포옴에 없는 매우 양호한 압축 잔류 변형율을 갖는다. 따라서, 환경 온도 변화에 따른 사용감의 변화가 적고, 눅눅해지기 어려우며, 고 내구성의, 충격 흡수 재료, 진동 흡수 재료, 또는 베개, 매트리스, 쿠션, 방석 및 의류용 패드 등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평균 작용기수 2.5 내지 4.5, 수산화기 당량 300 내지 500의 폴리에스터폴리올(b1)과 평균 작용기수 2.5 내지 4.5, 수산화기 당량 300 내지 5000의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b2)을, 그 혼합비(질량비) (b1):(b2)를 70 내지 90:30 내지 10로 사용한 경우, 혼합 폴리올을 폴리올 성분으로 하고, 상기 폴리올 성분과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을 아이소사이아네이트 인덱스 50 내지 100에서 반응시켜 수득되는 것으로 밀도가 40 내지 80kg/m3, 경도 8 내지 150N/100cm2의 포옴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통기성·저 반발 탄성의 연질 폴리우레탄 포옴의 제조 방법이다.
제조 비용의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연질 폴리우레탄 포옴의 밀도는 낮은 편이 바람직하지만, 극단적으로 저밀도화된 포옴은 본 발명이 해결해야 하는 과제인 저 반발 탄성률 및 고 내구성을 만족시킬 수 없다. 또한, 저밀도화에 따른 경도 부족이나, 포옴 제품 표면의 촉감 악화 등의 문제점도 발생한다는 점에서, 40kg/m3를 하회하는 밀도의 설정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비용, 생산 효율 등의 관점에서 밀도의 상한은 80kg/m3이다. 포옴 경도는 상술한 용도로부터 일정한 범위에 있 어야 하고, 25% CLD로 표시되는 경도 8N/100cm2가 하한이며, 동일한 경도 150N/100cm2가 상한이다. 이것보다 부드러운 경우, 응력 완화율이 큰 저 반발성의 포옴은, 포옴 바닥부에 접하는 면의 경도, 형상을 느끼기까지의 가라앉음, 충분한 압력 분산 및 충격 완화 효과를 나타내지 않고, 또한 이것보다 딱딱한 경우에는 유연성이 손상됨으로써, 질감 악화나 충격 흡수 성능이 수득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평균 작용기수 2.5 내지 4.5, 수산화기 당량 300 내지 500의 폴리에스터폴리올(b1)과 평균 작용기수 2.5 내지 4.5, 수산화기 당량 300 내지 5000의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b2)을, 그 혼합비(질량비) (b1):(b2)를 70 내지 90:30 내지 10로 이용하는 혼합 폴리올을 폴리올 성분으로서 이용한다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폴리올의 평균 작용기수란, 폴리올 제조시에 사용되는 원료의 작용기수와 몰수로부터 계산되는 것으로, 폴리에스터폴리올(b1)에서는, 카복실산 성분의 작용기수와 몰수, 알코올 성분의 작용기수와 몰 수로부터 계산되는 것이다. 또한 폴리에스터폴리올의 수산화기 당량은, 수산화기가와 상기 평균 작용기수로부터 계산되는 값이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의 평균 작용기수란, 중합 개시제의 평균 작용기수를 말한다. 다작용 개시제에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시킬 때, 부가 말단이 부반응에 의해 반응 정지하여, 중합 개시제보다 낮은 작용기수의 알코올 발생이 확인되지만, 이 반응 정지 말단 농도를 정확히 측정하는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고, 본 발명에서는,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의 작용기수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의 평균 작용기수를 폴리올의 작용기수로 했다.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의 수산화기 당량은, 수산화기가와 상기 평균 작용기수로부터 계산되는 값이다.
폴리에스터 폴리올(b1)은, 폴리카복실산 성분의 1종 또는 2종 이상과 폴리올 성분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중축합으로부터 수득된다. 폴리카복실산 성분으로서는, 폴리카복실산 이외에 그 유도체인 산무수물, 카복실산에스터의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폴리카프로락톤 등의 환상에스터 개환 중합체류, 락트산 등의 수산화기와 카복실산기를 함께 갖는 화합물 등이 첨가될 수 있다.
폴리카복실산으로서는, 지방족 카복실산과 방향족 카복실산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말론산, 말레인산, 석신산, 아디프산, 타르타르산, 세박산, 옥살산, 프탈산, 테레프탈산, 트라이멜리트산을 들 수 있다.
(b1)의 원료인 폴리올 성분으로서는, 다이올, 트라이올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글리콜, 다이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다이프로필렌글리콜, 트라이에틸렌글리콜, 1,3-뷰탄다이올, 1,4-뷰탄다이올, 테트라메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 데카메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펜타에리트리톨, 솔비톨 등을 들 수 있다. 수득된 폴리에스터폴리올은 상온에서 액상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글리콜 성분으로서 다이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작용성 폴리올 성분으로서는,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을 함유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1)의 평균 작용기수는 2.5 내지 4.5이지만, 점도의 면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이다.
(b1)의 수산화기 당량은 300 내지 500이며, 300미만이나 500을 초과하는 것은 본 발명의 효과인 저 반발성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다. 저 반발성의 면에서 300 내지 400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b2)로서는, 예컨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다이에틸렌글리콜, 트라이에틸렌글리콜, 다이프로필렌글리콜, 트라이메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솔비톨, 자당 등의 다가 알코올을 개시제로 한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비스페놀 A와 같은 다가 페놀류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 인산, 폴리인산(예컨대, 트라이폴리인산 및 테트라폴리인산) 등의 다가하이드록시 화합물, 페놀-아닐린-포름알데하이드 축합 생성물, 에틸렌다이아민, 다이에틸렌트라이아민, 트라이에틸렌테트라민, 메틸렌비스오르쏘클로로아닐린, 4,4'-다이페닐메테인다이아민, 2,4'-다이페닐메테인다이아민, 2,4,-톨릴렌다이아민, 2.6-톨릴렌다이아민 등의 폴리아민류, 트라이에탄올아민, 다이에탄올아민 등의 알칸올아민류에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뷰틸렌옥사이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스타이렌옥사이드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부가시켜 수득되는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을 예시할 수 있다.
폴리올 성분(B)에는, 바이닐 공중합체 함유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이 첨가될 수 있다. 그 예로서는, 상기에 예시한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 중에서, 라디칼의 존 재 하에 아크릴로나이트릴, 스타이렌 등의 바이닐폴리머를 중합시켜 안정 분산시킨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 중의 바이닐 중합체의 함유량은 보통 10 내지 45질량% 정도이다.
본 발명의 (b2)의 평균 작용기수는, 2.5 내지 4.5이며, (b2)의 수산화기 당량은 300 내지 5000이다. 수산화기 당량은, 500 미만에서는 경도가 과도하게 증가하여 촉감이 나빠진다. 충분히 양호한 촉감을 수득하는 경우, 수산화기 당량은 1000 내지 3000가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올 성분(B)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터폴리올(b1)과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b2)의 혼합비(질량비), (b1):(b2)는 70 내지 90 : 30 내지 10이고, (b1)이 90질량%를 초과하면 경도의 온도에 대한 의존성이 현저히 높아지고, 70질량%를 하회하면 일반적인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에서는 발포체의 형상을 유지할 수 없어서, 연질 폴리우레탄 포옴을 수득할 수 없다.
본 발명에는, 폴리올 성분(B)에, 폴리에스터폴리올(b1)과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b2)에 추가로 폴리옥시알킬렌모노올(b3)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3)의 첨가에 의해, 추가로 포옴 통기도를 개량시킬 수 있다. 폴리옥시알킬렌모노올은, 개시제로서 모노알코올,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뷰탄올, 2-에틸헥산올에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시켜 수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부가하는 알킬렌옥사이드로서는,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가 바람직하고, 에틸렌옥사이드가 30 내지 80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산화기 당량(= 분자량)으로서는, 76 내지 1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 량과 첨가 효과의 중첩 부분으로부터 더욱 바람직하게는, 76 내지 500이다. 첨가량은, (b1)+(b2)의 100질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하한치 이하에서는, 통기도 개량 효과가 나타나기 어렵고, 상한치 이상 첨가하면, 포옴 표면의 점착감이 강해져서 제품끼리의 접착, 이물질 부착 등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에는, 폴리올 성분(B)에, 폴리에스터폴리올(b1)과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b2)에 첨가하여, 추가로 평균 작용기수 2.5 내지 4.5, 수산화기 당량 300 미만의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b4)을 첨가할 수도 있다. 목적하는 포옴 경도에 대응하는 양의 (b4)를 첨가함으로써 본 발명의 이점을 유지한 채로, 자유롭게 경도 조정할 수 있다. 첨가량으로서는, (b1)+(b2)의 100질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b4)의 첨가량은 구하는 포옴 경도에 따라 다르지만, 0.5부 이하에서는 경도 상승이 보이지 않고, 10중량부 이상의 첨가에서는, 포옴의 셀이 커져 촉감이 악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폴리우레탄 포옴의 제조에 보통 사용되는 공지된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방향족계, 지환족계, 지방족계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및 그들을 변성하여 수득되는 변성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의 1종 또는 2종 이상이 적절히 선택되어 사용된다.
방향족계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로서는, 2,4-톨릴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2,6-톨릴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2,4-톨릴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와 2,6-톨릴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의 혼합물, 다이페닐메테인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나프탈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트라이페닐메테인트라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크실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폴리메틸렌폴리페닐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지환족계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로서는, 사이클로헥실메테인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사이클로헥산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수첨가 MDI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지방족계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로서는 헥사메틸렌디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 중에서도,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히 방향족계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인 2,4-톨릴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또는 2,6-톨릴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TDI-80, TDI-65)의 결과가 양호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큰 특징은, 특정한 아민 촉매를 사용한다는 점이다. 발포제로서 물을 주체로 하는 연질 포옴의 발포에서는, 수지화와 이산화탄소 발생 밸런스를 취할 필요가 있어서, 이 밸런스가 손상되면 발포 도중에 함몰되거나 셀의 연통성이 불충분하여, 발포 후 수축하는 등, 성형성에 문제가 생긴다. 또한, 아민계 촉매는 적지않게 악취를 풍기기 때문에, 특히 침구 용도 등에서는 악취가 적은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옴 성형성을 개선하는 아민 촉매로서는, 알코올류와 아이소사이아네이트류와의 반응을, 물과 아이소사이아네이트와의 반응에 비해 강하게 활성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많은 촉매를 검토한 결과, 촉매의 일부 또는 전부에 이미다졸계 촉매를 사용함으로써 본원 발명의 과제인 매우 낮은 압축 잔류 변형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미다졸계 촉매가 발포에 사용되는 촉매 전체량에 대하여 차지하는 바람직한 비율은 5% 이상이다. 또한 충분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15% 이상의 첨가가 바람직하다.
이미다졸계 촉매로서는, 알킬이미다졸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1,2-다이메틸이미다졸, 1-에틸-2-메틸이미다졸, 1-뷰틸-2-메틸이미다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을 함유하는 시판제품으로서, 도소 주식회사에서 TOYOCAT DMI, TOYOCAT DM70, TOYOCAT F2, TOYOCAT F10, TOYOCAT F94 등이 판매되고, 에어 프로덕츠사에서는 NC-IM, IMICURE EMI-24 등이 판매되고, 산아프로 주식회사에서는, U-CAT 2026, U-CAT 2030, U-CAT 2034X, U-CAT 2503 등이 판매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촉매로서는, 상기 이미다졸계 이외의 아민계 촉매나 유기 금속 촉매 등의 우레탄 포옴의 발포에 있어서 공지된 것을 병용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촉매로서는, 예컨대, 아민계 촉매로서는, 1,8-다이아자비사이클로(5,4,0)운데센-7, 비스(2-다이메틸아미노에틸)에터, N,N,N',N'-테트라메틸헥사메틸렌다이아민, 트라이에틸렌다이아민, 트라이에틸아민, 트라이프로필아민, 트라이아이소프로필아민, 트라이뷰틸아민, 트라이옥틸아민, N-메틸모폴린, N-에틸모폴린, 다이메틸피페라진, N,N-다이메틸아미노에탄올, N,N-다이메틸아미노에톡시에탄올, N,N,N'-트라이메틸아미노에틸에탄올아민, N,N,N',N'',N''-펜타메틸다이프로필렌트라이아민 등으로 이들 용매 등에 의한 희석품, 이들 촉매 2종 이상의 혼합물, 유기산에 의한 부분 중화물 등을 들 수 있지만, 상기 이유에 의해, 병용하는 촉매로서 보다 바람직한 것은, 1,8-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5,4,0)운데센-7, 트라이에틸렌다이아민, N-에틸몰포린, N-메틸몰포린, 다이메틸피페라진, 다이메틸아미노에탄올아민 또는 이들의 유기산염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 촉매로서는, 옥틸산 주석, 라우릴산 주석, 다이뷰틸주석다이라우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포옴에서는, 이들의 폴리올 성분과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에 추가로, 가소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가소제로서는, 프탈산 다이옥틸에스터(DOP), 프탈산 다이아이소노닐에스터(DINP), 프탈산 뷰틸벤질에스터(BBP), 프탈산 다이아이소데실에스터(DIDP), 프탈산 다이운데실에스터(DUP) 등으로 대표되는 일반적인 프탈산 에스터계 가소제, 아디프산다이옥틸에스터(DOA), 세박산 다이옥틸에스터(DOS), 아젤라인산다이옥틸에스터(DOZ)로 대표되는 일반적인 지방산 에스터계 가소제, 트라이멜리트산 트라이옥틸에스터(TOTM)로 대표되는 트라이멜리트산 에스터계 가소제, 폴리프로필렌아디페이트 등으로 대표되는 폴리에스터계 가소제 등의 고분자계 가소제의 다른 세박산계 가소제, 염소화 파라핀 등의 일반적인 가소제, 트라이크레질포스페이트(TCP), 트라이자일릴포스페이트(TXP), 트리스(아이소프로필페닐)포스페이트, 트라이뷰틸포스페이트, 트라이에틸포스페이트, 트라이페닐포스페이트, 트라이에틸페닐포스페이트 등의 인산에스터계 가소제, 식물유의 에폭시화물,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식물유의 에폭시화물로서는, 에폭시화 대두유 에폭시화 아마인유 등을 들 수 있고, 에폭시 수지로서는, 에폭시화 폴리뷰타다이엔, 에폭시스테아르산 메틸, 에폭시스테아르산 뷰틸, 에폭시스테아르산 에틸 헥실, 트리스(에폭시프로필)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 3-(2-키세녹시)-1,2-에폭시프로페인, 비스페놀A 다이글라이시딜에터, 바이닐다이사이클로헥센다이에폭사이드,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과 에피클로로하이드린의 중축합물 등의 에폭시계 가소제를 들 수 있다. 이들 가소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가소제의 첨가량은, 상기한 폴리올 성분(B) 100질량부에 대하여 2 내지 15질량부, 첨가할 수 있다. 가소제의 첨가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포옴 표면의 점착성이 과도히 높은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포옴에 있어서는, 기타 각종 첨가제, 예컨대, 난연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착색제, 안료, 항균제, 탈취제, 소취제, 방향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난연제로서는, 트라이크레질포스페이트(TCP), 트리스(β-클로로에틸)포스페이트, 트리스(다이클로로프로필)포스페이트, 트리스(다이브로모프로필)포스페이트, 브로모포스페이트 등의 인산에스터; 염소화 파라핀, 4브롬화 에틸렌 등의 할로젠화 탄화수소; 아연보레이트,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 알루미늄, 산화 안티몬, 산화 몰리브덴, 몰리브덴산 아연 등의 무기계 난연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난연제는, 단독 또는 복수종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알킬페놀, 알킬렌비스페놀, 알킬페놀싸이오에터, β,β'-싸이오프로피온산 에스터, 유기 아인산 에스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산화 방지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살리실산에스터, 벤조트라이아졸, 하이드록시벤조페논, 아크릴로나이트릴 치환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자외선 흡수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2,4-다이하이드록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에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옥톡시벤조페논, 5,5'-메틸렌비스(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등의 2-하이드록시벤조페논류;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라이아졸, 2-(2'-하이드록시-3',5'-다이-3급-뷰틸페닐)-5-클로로벤조트라이아졸, 2-(2'-하이드록시-3'-3급-뷰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라이아졸, 2-(2'-하이드록시-5'-3급-옥틸페닐)벤조트라이아졸, 2-(2'-하이드록시-3',5'-다이큐밀페닐)벤조트라이아졸, 2,2'-메틸렌비스(4-3급-옥틸-6-벤조트라이아졸)페놀 등의 2-(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라이아졸류; 페닐사틸레이트, 레조르시놀모노벤조에이트, 2,4-다이-3급-뷰틸페닐-3',5'-다이-3급-뷰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헥사데실-3,5-다이-3급-뷰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등의 벤조에이트류; 2-에톡시-4'-도데실옥사니라이드 등의 옥사니라이드류; 에틸-α-싸이아노-β,β-다이페닐아크릴레이트, 메틸-2-싸이아노-3-메틸-3-(p-메톡시페닐)아크릴레이트 등의 싸이아노아크릴레이트류를 들 수 있다. 이들 자외선 흡수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유기계 안료로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난용성 아조레이크, 가용성 아조레이크, 불용성 아조킬레이트, 축합성 아조킬레이트, 그 밖의 아조킬레이트 등의 아조계 안료, 프탈로시아닌 블루, 프탈로시 아닌 그린 등의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안트라퀴논, 페리논, 페릴렌, 싸이오인디고 등의 스렌계 안료, 안티계 안료, 나이트로계 안료, 이소인돌리논계 안료, 건축염료계 안료, 나이트로소계 안료, 산성 염료계 레이크, 염기성 염료계 레이크, 퀴나크리돈계 안료, 다이옥사딘계 안료, 아이소인돌리논계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무기계 안료로서는, 산화 티탄, 산화철(벵갈라 등), 크롬산(황연(黃鉛) 등), 몰리브덴산, 카드뮴계 황화셀렌화물, 수은계 황화셀렌화물, 페로시안화물, 및 카본블랙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안료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항균제로서는, 은이나 아연, 구리 등의 금속 분말 또는 이들의 금속 분말, 알코올계 항균제, 페놀계 항균제 등의 유기계 항균제, 천연 추출물 또는 천연광석 등의 천연계 항균제, 제4급 암모늄, 이들을 제올라이트나 실리카, 알루미나 등의 담지체에 담지시킨 무기 입자 항균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항균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탈취제로서는, 목탄이나 죽탄, 비장(備長)탄, 백탄, 흑탄, 활성탄 등의 탄소 분말이나, 실리카,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탄소 분말은, 탈취제로서 뿐만 아니라, 습도 조절제나 흡습제, 적외선 방사제로서도 작용한다.
소취제로서는, 예컨대, 동백과 식물, 차조기과 식물, 녹나무과 식물, 포도(逋逃)과 식물, 도라지과 식물, 아욱과 식물 등의 각종 식물로부터 추출하고, 기타 수단에 의해 분리되는 소취 성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특히, 차, 애기동백, 동 백, 비쭈기나무, 후피향나무 등을 감압 하에서 건조 분리하여, 감압 분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천연물로부터의 소취 성분에 상당하는 성분(폴리페놀이나 플라보노이드, 플라바놀, 카테킨 등)을 합성법에 의해 제조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취제를 실리카,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퍼라이트, 세라믹스 등의 담지체에 담지시킨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방향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천연 방향제로서는, 사향, 시벳트(사향고양이향), 카스톨(비버향), 용연향 등의 동물성 방향제; 라벤더 오일, 박하 오일, 레몬 오일, 오렌지 오일, 장미 오일, 백단향 오일, 노송나무 오일 등의 식물성 방향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인구(人口) 방향제로서는, 아세토오이게놀, 아세토아이소오이게놀, 오리바놀, 페란돌린, 지방족 알데하이드, 티몰, 카바크롤, 볼닐메톡시사이클로헥산올, 오이게놀, 신나믹알데하이드, 벤즈알데하이드, 카리오필렌, 쿠마린, 대환상 무스크, 에틸와닐린, 에베린산, 계피산(桂皮酸), 와닐린, 구아욜, 푸르푸랄, 아세토페논, γ-운데카락톤, γ-데카락톤 등의 합성 방향제; 정유(精油)로부터 주로 분류(分溜)에 의해서 성분을 나눈 단리 방향제 ; 천연 방향제 또는/및 인공 방향제를 혼합하여 조제한 조합 방향제 등을 들 수 있다. 인공 방향제의 구체적인 상품으로서는, 카오사 제품: ALDEHYDE C-10, ALD EHYDE C-11, UNDECYL, ALDEHYDE C-111 LEN, ALDEHYDE C-12 LAURYL, ALDEHYDE C-12 MNA, ALDEHYDE C-6, ALDEHYDE C-8, ALDEHYDE C-9, AMBERCORE, AMYL CINNAMICALDEHYDE, FRUITATE, GAMMA DECALACTION, GAMMA NONALACTONE, GAMMA UNDECALACTONE, HEXYL CINNAMIC ASDEHYDE, IONONE 100%, MAGNOL, o-t-BCHA, p-t-BCHA, PEARLIDEB.B., PEARLIDE DEP, PEARLIDE IPM, PEARLIDE PURE, POIRENATE, POL LENAL 2, SAGETONEV, SANDALMYSORE CORE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우레탄 포옴을 제조하는 경우의 발포제로서는, 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기타 탄산가스, 메틸렌클로라이드, HFC-245fa, HFC-365mfc 등과,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정포제로서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오가노실리콘계 계면 활성제가 사용된다. 그와 같은 오가노실리콘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컨대, 일본 유니카사 제품인 L-520, L-532, L-540, L-544, L-3550, L-5740S, L-5740M, L-6202 등; 도오레·다우코닝·실리콘사 제품인 SH-190, SH-192, SH-193, SH-194, SRX-290, SRX-294 A, SRX-298 등; 신월 실리콘사 제품인 F-114, F-121, F-122, F-230, F-258, F-260 B, F-317, F-341, F-601, F-606 골드 슈미트사의 TEGOSTAB B8002, B4900, B8040, B8233, B8229, B8110, B8300, B8317, B8324,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정포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폴리올 성분,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 가소제, 촉매 및 발포제 등이 함유되는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포옴 조성물에 있어서, 각 성분이 배합되는 비율은, 상기 우레탄 포옴 조성물의 발포에 의해,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고 통기성을 갖고, 저 반발 탄성 폴리우레탄 포옴이 수득되는 비율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폴리올 성분(B) 100질량부에 대하여, 촉매가 0.01 내지 5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3질량부, 물이 0.5 내지 5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3.5 질량부, 정포제가 배합되는 경우에는, 0.1 내지 4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2.0질량부, 안료가 배합되는 경우에는, 0.001 내지 2.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5질량부 정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이 배합되는 비율은, 아이소사이아네이트 인덱스가, 5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이다. 여기서 말하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 인덱스란,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의 몰수를 물을 포함한 아이소사이아네이트 반응성 활성 수소기의 합계 몰수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한 값이다. 아이소사이아네이트 인덱스가 지나치게 낮으면, 포옴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고, 압축 잔류 변형이 커지는 경우가 있다. 아이소사이아네이트 인덱스가 지나치게 높으면, 포옴이 딱딱해지는 경향이 있어서, 촉감의 악화, 충격 흡수 성능의 저하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포옴의 제조 방법은, 종래의 연속 기포성 폴리우레탄 포옴의 제조 방법에 따라서 실시할 수 있고, 예컨대, 프레폴리머법, 원숏법, 부분 프레폴리머법 등을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고 통기성, 저 반발 탄성, 저압축 잔류 변형 폴리우레탄 포옴은, 통기도가 50cm3/cm2/s 이상, 반발 탄성율이 20% 이하, 압축 잔류 변형이 5% 이하인 것을 가리킨다.
또한, 압축 잔류 변형(구체적으로는, JIS K6400(1997)에 따라 측정되는 건열 압축 잔류 변형)에 관해서는, 촉감이나 충격 흡수 성능 면에서 보다 바람직한 폴리 우레탄 포옴이 수득된다는 관점에서, 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촉감이나 충격 흡수 성능의 면에서 매우 우수한다는 관점에서, 1.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연질 폴리우레탄 포옴은, 반발 탄성율이 10% 이하, 특히 우수한 처방으로서는 1% 전후의 우수한 저 반발 탄성을 발현하고, 통기성은 적어도 80cm3/cm2/s 이상, 처방에 의해 200cm3/cm2/s 이상의 고 통기성을 갖는다. 또한, 압축 잔류 왜곡이 적고, 특히 양호한 것에서는, 건열·습열 압축 잔류 왜곡 모두 1% 이하의 높은 내구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진동흡수 재료, 각종 라미네이트 가공용, 또는 베개, 매트리스, 쿠션, 방석, 의류용 패드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참고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내지 3, 참고예 1, 비교예 1
하기 표 1 중에 기재된 각 배합 처방에 의해, 폴리우레탄 포옴을 제조했다. 즉, 폴리올 성분과, 물, 촉매 및 발포제를 교반 혼합하고, 거기에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을 첨가하여, 혼합하고, 발포시킴으로써 연질 폴리우레탄 포옴을 제조했다. 아민 촉매로서, 피페라진계 촉매를 사용한 참고예 1에서는 악취가 심하여, 침구 등의 용도로는 피하는 편이 바람직했다.
실시예 4 내지 6, 비교예 2 및 3
폴리에스터폴리올과 폴리에터폴리올의 혼합비를 변화시킨 결과를 표 2 중에 기재의 각 배합 처방에 의해,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폴리우레탄 포옴을 제조했다. 폴리에터폴리올이 40질량부인 비교예 3에서는, 외관상 정상적인 포옴이 수득되지 않았다. 이 표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특정한 혼합비이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 내지 9, 비교예 4 및 5
아이소사이아네이트 인덱스를 변화시킨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이 표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특정 범위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 인덱스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각 실시예, 참고예 및 비교예에 의해 수득된 폴리우레탄 포옴에 대해, 밀도(kg/m3), 경도(25% CLD:N/100cm2), 인장 강도(kPa), 압축 잔류 변형(%), 볼 리바운드(%), 형상 복원 시간, 통기도(cm3/cm2/s), 및 수득된 포옴의 셀의 거칠기, 포옴의 끈적임에 관해서도 평가했다. 이들 결과를 종합해서 표 중에 나타냈다.
Figure 112005007163635-PAT00001
Figure 112005007163635-PAT00002
Figure 112005007163635-PAT00003
사용한 원료를 이하에 나타낸다.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는, 일본 폴리우레탄 공업사 제품「콜로네이트 T-80(2,4-톨릴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와 2,6-톨릴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의 질량비 80:20의 혼합물)」을 사용했다. 폴리올로서는, 이하의 폴리올을 사용했다.
폴리올 1: 아디프산계 폴리에스터폴리올
일본 폴리우레탄 공업사 제품; 닛포란 131
평균 작용기수 3, 수산화기가: 150(수산화기 당량: 374)
폴리올 2: 폴리(옥시프로필렌옥시에틸렌)트라이올
산요 화성 공업사 제품; 산닉스 FA703
글리세린, 수산화기가: 33(수산화기 당량: 1700)
폴리올 3: 아디프산계 폴리에스터폴리올
일본 폴리우레탄 공업사 제품 닛포란 2200
평균 작용기수 3, 수산화기가: 60(수산화기 당량: 933)
폴리올 4: 폴리(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모노올
산요 화성 공업사 제품 50HB55
수산화기가: 234(수산화기 당량: 240)
촉매 1: 이미다졸계가 아닌 아민계 촉매
도소사 제품 HX63
촉매 2: 1,2-다이메틸이미다졸계 촉매
도소사 제품 TOYOCAT DMI
촉매 3: 피페라진계 촉매
골드 슈미트사 제품 EPS
촉매 4: 이미다졸계 촉매
산아프로사 제품 U-2030
정포제: SH190(도오레·다우코닝·실리콘사 제품)
각종 물성의 측정의 측정 방법
(a) 밀도, 압축 잔류 변형, 반발 탄성: JIS K6400(1997)에 따라 측정했다.
(b) 경도: 100mm× 100mm× 50mm의 샘플조각을 샘플 수압(受壓) 면적 이상의 압축자로 압축, 예비 압축을 실시하여, 충분히 높이가 회복된 후 다시 압축하고, 샘플 두께가 샘플 원래 두께의 75%가 되는 점까지 압축했을 때의 응력값을 측정했다.
(c) 인장 강도: JIS K6400(1997)에 따라 1호형 덤벨로 측정했다.
(d) 복원 시간은 이하에 나타낸 순서로 측정했다.
1. 측정 환경: 온도 23± 2℃, 상대 습도 50± 5%
2. 샘플 크기: 세로 100mm× 가로 100mm× 두께 40mm의 포옴의 중심을, 직경 30mm의 가압자로 20mm 가압했다.
3. 이 상태로 10초 동안 유지한다.
4. 가압자를 제거한 순간부터, 원래 모양으로 복원될 때(함몰이 없어질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한다.
(e) 통기도: JIS K6400(1997)의 A법에 따라서 측정했다.
(f) 셀 거칠기의 평가는, 폴리우레탄 포옴의 셀의 크기에 편차가 있는지 여부로 평가했다.
편차가 있는 것에 대해서는, 셀 거칠기가 있는 것으로 했다.
(g) 끈적임에 대해서는 이하의 평가 기준에 따랐다.
○: 끈점임이 전혀 없거나 거의 없고, 가공, 저장에 문제가 없다.
×: 닿으면 접착제가 손가락에 붙는 감촉이 느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고 통기성·저 반발 탄성을 갖는 연질 폴리우레탄 포옴은, 종래 공지된 폴리우레탄 포옴에서는 이룰 수 없었던, 저 반발 탄성, 매우 양호한 통기성, 저경도 온도 의존성, 및 매우 양호한 압축 잔류 변형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폴리우레탄 포옴이 요구되는 분야·용도, 예컨대, 충격 흡수 재료, 진동 흡수 재료로서의 각종 라미네이트 가공용, 또는 베개, 매트리스, 쿠션, 방석, 의류용 패드 등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고, 특히, 병구완용 침구로서 특히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5)

  1.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A), 폴리올(B), 발포제(C), 촉매(D) 및 정포제(E)를 아이소사이아네이트 인덱스 50 내지 100에서 반응시켜 이루어지는, 밀도 40 내지 80kg/m3, 경도 8 내지 150N/100cm2의 고 통기성·저 반발 탄성·연질 폴리우레탄 포옴의 제조 방법으로서,
    폴리올(B)이, 평균 작용기수 2.5 내지 4.5, 수산화기 당량 300 내지 500의 폴리에스터폴리올(b1)과 평균 작용기수 2.5 내지 4.5, 수산화기 당량 300 내지 5000의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b2)의 혼합 폴리올이며, 또한 그 혼합비 (b1):(b2)가 70 내지 90 : 30 내지 10(질량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통기성·저 반발 탄성·연질 폴리우레탄 포옴의 제조 방법.
  2.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A), 폴리올(B), 발포제(C), 촉매(D) 및 정포제(E)를 아이소사이아네이트 인덱스 50 내지 100에서 반응시켜 이루어지는, JIS K6400(1997)에 따라 측정되는 건열 압축 잔류 변형값 5% 이하, 밀도 40 내지 80kg/m3, 경도 8 내지 150N/100 cm2의 고 통기성·저 반발 탄성·연질 폴리우레탄 포옴의 제조 방법으로서,
    폴리올(B)이, 평균 작용기수 2.5 내지 4.5, 수산화기 당량 300 내지 500의 폴리에스터폴리올(b1)과 평균 작용기수 2.5 내지 4.5, 수산화기 당량 300 내지 5000의 폴 리옥시알킬렌폴리올(b2)의 혼합 폴리올이고, 또한 그 혼합비 (b1):(b2)가 70 내지 90 : 30 내지 10(질량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통기성·저 반발 탄성·연질 폴리우레탄 포옴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b2)이, 1분자당 2개 이상의 수산화기를 갖는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에 프로필렌옥사이드와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시켜 수득되는 평균 작용기수 2.5 내지 4.5, 수산화기 당량 300 내지 5000의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통기성·저 반발 탄성·연질 폴리우레탄 포옴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촉매(D)가, 이미다졸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촉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통기성·저 반발 탄성·연질 폴리우레탄 포옴의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올(B)이, 추가로 폴리옥시알킬렌모노올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통기성·저 반발 탄성·연질 폴리우레탄 포옴의 제조 방법.
KR1020050011176A 2004-02-13 2005-02-07 고 통기성·저 반발 탄성·연질 폴리우레탄 포옴의 제조방법 KR200600418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36017A JP4666278B2 (ja) 2004-02-13 2004-02-13 高通気性・低反発弾性の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JP-P-2004-00036017 2004-02-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1806A true KR20060041806A (ko) 2006-05-12

Family

ID=35000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1176A KR20060041806A (ko) 2004-02-13 2005-02-07 고 통기성·저 반발 탄성·연질 폴리우레탄 포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666278B2 (ko)
KR (1) KR20060041806A (ko)
CN (1) CN10046043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6779A (ja) * 2006-03-17 2007-09-27 Inoac Corp 低反発性ポリウレタン発泡体
US20070299153A1 (en) * 2006-06-23 2007-12-27 Hager Stanley L Viscoelastic foams with slower recovery and improved tear
JP2009091435A (ja) * 2007-10-05 2009-04-30 Bridgestone Corp パッド
JP5354923B2 (ja) * 2008-02-14 2013-11-27 アキレス株式会社 電子機器部品用の制振材の製造方法
CN101619165B (zh) * 2008-07-01 2011-04-20 浙江省林业科学研究院 竹炭聚氨酯泡沫复合材料及其生产方法
CN101412798B (zh) * 2008-11-21 2011-08-10 优洁(亚洲)有限公司 软质聚氨酯低回弹泡沫及其制备方法
TWI404739B (zh) * 2009-04-02 2013-08-11 Chung Hsien Tu 軟質聚氨酯低回彈發泡體及其製備方法
JP5561951B2 (ja) * 2009-04-16 2014-07-30 アキレス株式会社 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からなる照明器具用パッキング材
JP2013119620A (ja) * 2011-12-09 2013-06-17 Inoac Corp 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CN102643403A (zh) * 2012-04-27 2012-08-22 中国林业科学研究院亚热带林业研究所 一种自洁净聚氨酯软质泡棉及其制备方法
JP5628359B2 (ja) * 2012-05-30 2014-11-19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製造用ポリオール組成物
CN102977333A (zh) * 2012-12-20 2013-03-20 淮阴师范学院 含纳米银的抗菌慢回弹海绵及用其制备的枕头、床垫
JP5833155B2 (ja) * 2013-02-22 2015-12-16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製造用ポリオール組成物
US20190119431A1 (en) * 2015-06-18 2019-04-25 Dow Global Technologies Llc Viscoelastic Polyurethane Foam with Aqueous Polymer Dispersant
CN106046307A (zh) * 2016-07-14 2016-10-26 安徽亳州喜宝鞋服有限公司 一种用于鞋材的耐黄变的聚氨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6117496A (zh) * 2016-07-14 2016-11-16 安徽亳州喜宝鞋服有限公司 一种用于鞋材的环保型聚氨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6189193A (zh) * 2016-07-14 2016-12-07 安徽亳州喜宝鞋服有限公司 一种用于鞋材的抗压耐磨的聚氨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6189191A (zh) * 2016-07-14 2016-12-07 安徽亳州喜宝鞋服有限公司 一种用于鞋材的高强度高弹性的聚氨酯材料及其制备方法
CN106674992A (zh) * 2016-07-14 2017-05-17 安徽亳州喜宝鞋服有限公司 一种透气除臭的聚乳酸基聚氨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6117497A (zh) * 2016-07-19 2016-11-16 黄伟 一种凹凸棒土改性的聚氨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6189195A (zh) * 2016-07-19 2016-12-07 黄伟 一种基于聚碳酸1,3‑丙二醇酯多元醇的聚氨酯材料及其制备方法
CN106146784A (zh) * 2016-07-19 2016-11-23 黄伟 一种用于鞋材的淀粉基聚氨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6117498A (zh) * 2016-07-19 2016-11-16 黄伟 一种用于鞋材的聚氨酯‑改性蛭石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6084175A (zh) * 2016-07-19 2016-11-09 黄伟 一种纳米硅灰石‑生物基聚氨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6117499A (zh) * 2016-07-19 2016-11-16 黄伟 一种聚氨酯‑环氧树脂互穿网络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6117488B (zh) * 2016-07-21 2019-04-12 山东一诺威聚氨酯股份有限公司 聚氨酯模塑床垫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9867768B (zh) * 2019-03-12 2021-10-15 青岛科技大学 一种形变-温度敏感的聚氨酯硬质多孔材料及其制备方法
JP7368104B2 (ja) * 2019-04-26 2023-10-24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とその製造方法
JP2022533936A (ja) * 2019-05-13 2022-07-27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低密度、低圧縮永久歪み、長回復時間の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CN112142941A (zh) * 2020-09-24 2020-12-29 南通馨宇诺家居用品有限公司 一种清凉竹炭记忆绵抱枕
CN115368536B (zh) * 2022-08-31 2023-05-23 足力健老龄产业发展有限公司北京分公司 一种具有清凉止痒效果的薄荷聚氨酯发泡鞋垫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6120512B (zh) * 2023-04-05 2023-07-04 广州艾科新材料股份有限公司 低温感慢回弹聚氨酯材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4848A (en) * 1973-11-14 1975-05-20 Tenneco Chem Manufacture of membrane-free nonlustrous polyurethane foam
DE2815540A1 (de) * 1978-04-11 1979-10-25 Basf Ag Polyurethan-weichschaumstoffe mit hoher trag- und stossabsorptionsfaehigkeit
JPS5527315A (en) * 1978-08-15 1980-02-27 Bridgestone Corp Production of polyurethane foam
GB9126740D0 (en) * 1991-12-17 1992-02-12 Ici Plc Polyol compositions
US5391686A (en) * 1992-12-17 1995-02-21 W. R. Grace & Co.-Conn. Polyurethane compositions having enhanced corrosion inhibiting properties
JPH0959343A (ja) * 1995-08-28 1997-03-04 Sanyo Chem Ind Ltd 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3930089B2 (ja) * 1996-05-09 2007-06-13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及びそれを用いたスピーカエッジ
JP4125426B2 (ja) * 1998-02-06 2008-07-30 三井化学ポリウレタン株式会社 低反発性ウレタンフォーム
JP2001329042A (ja) * 2000-05-25 2001-11-27 Nippon Polyurethane Ind Co Ltd 高反発高振動吸収性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US20060217516A1 (en) * 2001-12-21 2006-09-28 Casati Francois M Tertiary amine modified polyurethane products made therefrom
DE50306005D1 (de) * 2002-02-23 2007-02-01 Bayer Materialscienc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weichen, gut entformbaren thermoplastischen Polyurethanelastomeren mit geringer Schwind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60438C (zh) 2009-02-11
JP2005225974A (ja) 2005-08-25
CN1683427A (zh) 2005-10-19
JP4666278B2 (ja) 201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41806A (ko) 고 통기성·저 반발 탄성·연질 폴리우레탄 포옴의 제조방법
JP5964879B2 (ja) 気泡構造物及び粘弾性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JP5228914B2 (ja) 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EP1682597B1 (en) Viscoelastic polyurethane foam
US6521674B1 (en) Latex-like flexible polyurethane foam and process for making same
US11053367B2 (en) Composition for polyurethane foam containing polyrotaxane, polyurethane foam derived from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polyurethane foam
BR112020012516A2 (pt) processo de produção de espumas, espuma de poliuretano, materiais híbridos, métodos de reciclagem de espuma e de reciclagem de materiais híbridos, uso de espuma, uso de poliuretano flexível, elemento de acolchoamento, palmilha para calçados e calçados
EP2609131B1 (en) Method for making resilient low density polyurethane foam having low compression sets
JP5393089B2 (ja) 車両シート用モールド発泡ウレタンパッド、車両シート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US7432312B2 (en) Polyurethane foam having deodorization property or antibacterial effect
JP4065147B2 (ja) 高通気性・低反発弾性の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およびその用途
KR101519614B1 (ko) 온도둔감형 폴리우레탄 메모리폼 형성용 조성물
JP2018062588A (ja) ポリロタキサンを含有する組成物由来の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JP2008019353A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6069447B1 (ja) 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KR101743557B1 (ko) 통기성 및 온도둔감 특성을 향상시킨 연질 메모리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4358137A (ja) 低反発ウォッシャブル枕
KR20090126103A (ko) 아미노수지를 포함하는 발포체용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JP2006291129A (ja) スキン付き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231710A (ja) 寝具用粘弾性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WO2012115113A1 (ja) 低反発性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081664A (ja) 低硬度性軟質ポリウレタン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043561A (ja) 機能性を有する高通気性・低反発弾性フォーム
JP2023004001A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及び被服
WO2023248536A1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