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9017A - 토목 공사용 파일 - Google Patents

토목 공사용 파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9017A
KR20060039017A KR1020067002520A KR20067002520A KR20060039017A KR 20060039017 A KR20060039017 A KR 20060039017A KR 1020067002520 A KR1020067002520 A KR 1020067002520A KR 20067002520 A KR20067002520 A KR 20067002520A KR 20060039017 A KR20060039017 A KR 20060039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civil engineering
guide rail
pile body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2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3171B1 (ko
Inventor
야스히로 후지타
Original Assignee
야스히로 후지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스히로 후지타 filed Critical 야스히로 후지타
Publication of KR20060039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9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4Piles with prefabricated supports or anchoring parts; Anchoring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5Ground anchors with deformable anchor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48Piles varying in construction along their length, i.e. along the body between head and shoe, e.g.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long their lengt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6Screw p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토목 공사에 사용하는 토목 공사용 파일의 본체 내부에, 쐐기를 가지는 코어체를 가지고, 땅속 깊은 곳에서, 코어체의 쐐기가 땅속에 박혀, 토목 공사용 파일이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토목 공사용 파일은 종래부터 있었지만, 코어체를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 내부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적절하게 코어체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해당 노력의 삭감을 도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토목 공사용 파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예를 들면, 본 발명은 토목 공사용 파일(1) 본체의 내부에는 코어체(6)의 안내 유도를 가능하게 하는 안내 레일(4)이 구비되어 있고, 안내 레일(4)을 통해 코어체(6)가 안내 유도되어, 쐐기(6a, 6b)가 컷푸시 개구부(2a, 2b, 3a, 3b)에 적합하도록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공사용 파일(1)을 제공한다.
토목 공사, 파일, 쐐기, 코어체, 안내 레일.

Description

토목 공사용 파일 {PILE FOR CIVIL ENGINEERING WORK}
본 발명은 호안(護岸) 공사, 도로 공사, 또는 건축·구축용 토대(土臺) 공사 등에 사용하는 토목 공사용 파일(pile)에 관한 것이다. 특히, 토목 공사용 파일에 있어서, 내부에 쐐기를 가지는 코어체가 장착되어 있는 토목 공사용 파일에 관한 것이다.
종전의 토목 공사용 파일은 형상에서도, 또 크기에서도 다양한 것이 있었다. 그리고, 그 재질은 거의 콘크리트재 또는 철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었다. 가장 인기 있는 토목 공사용 파일은 원통추(圓筒錐) 형상 또는 원주(圓柱)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토목 공사용 파일을 하천, 해안, 또는 도로 등의 호안 공사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토목 공사용 파일을 경사지게 또는 수직으로 박아 넣어 사용하는 것이었다. 또 건축·구축용 토목 공사의 경우에도, 이것은 동일했다. 이 때문에, 토질이 무른 곳이나, 연약 지반인 곳에 토목 공사용 파일을 박아도, 파일 자체가 안정되지 않거나, 흔들리거나, 또는 빠지게 되거나 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지반이 단단한 곳에서도, 시간이 경과하면 토목 공사용 파일이 흔들리거나 또 떠오르거나 한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지는 것이었다. 또 내진성에 있어서도 종전의 토목 공사용 파일에서는, 불안정성을 가지는 것이었다. 토목 공사용 파 일이 이와 같이 흔들리거나, 안정되지 않거나, 또 떠올라 오는 것 같은 상태에서는, 공사도 위험하고, 공사 완료 후에도 상당한 위험성을 가지게 되어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이와 같은 문제점이나, 문제점을 개선하고, 땅속에서 보다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토목 공사용 파일이 발명되어,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1(1999)-32392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평 11(1999)-323923호 공보에는, 선도(先導) 파일 및 이음매 파일로 형성되고, 각각 파일의 측벽에는 복수개의 개구부를 가지고, 또 각각의 파일 내부에, 복수개의 쐐기를 가지는 코어체가 장착되고, 또한 쐐기의 선단이 개구부 단(端)에 걸리도록 장착되어 구성되는 토목 공사용 파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코어체를 파일 본체 내부의 적절한 장소에 위치 결정하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코어체가 파일 본체 내부의 적절한 장소에 위치 결정되었을 때, 코어체에 장착된 복수개의 쐐기 선단이 각 파일의 측벽에 형성된 복수개의 개구부 내측에 인접한다. 그 상태에서, 각 쐐기의 선단을 방사 방향 외측으로 안내하면서 코어체를 눌러 내림으로써, 토목 공사용 파일로부터 쐐기를 돌출시킨다.
그런데, 코어체를 파일 내부의 적절한 장소에 위치 결정하는 작업의 어려운 점은 토목 공사용 파일의 길이에 있다. 통상, 토목 공사용 파일은 구경이 20cm∼30cm의 강관(鋼管)으로 길이 5m∼6m, 또는 그 이상이 된다. 또한, 강관 측벽의 적절한 부분에 형성하는 개구부는 강관구로부터 3m 이상 앞에 있고, 그 수도 수 개소, 예를 들면, 8개소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작은 개구부에 길이 약 80cm의 쐐 기 각 한 개씩을 일시에 삽입하는 것이지만, 이러한 작업은 이른바 눈가림 상태에서의 작업과 동일하여 감각을 의지하여 행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조립에는 두 사람 이상의 작업원이 필요하여, 1개의 토목 공사용 파일을 조립하는 데 15분 내지 20분 이상의 시간 낭비를 하고 있었다.
그래서, 난(難)작업인 조립의 개량과 간소화가 급선무였다. 또, 토목 공사용 파일을 크게 하면 그것을 구성하는 부재도 커져, 토목 공사용 파일로부터 쐐기를 돌출시키는 것이 더욱 어려웠다.
그래서, 본 발명은 코어체를 파일 본체 내부의 적절한 장소에 간단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는 토목 공사용 파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토목 공사용 파일을 제조하는 데 적합한 도구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의 범위 제1항에 기재된 본 발명은, 일단에 나중에 형성하여 고정되는 선도부를 가지고 또한 내부는 공동형(空洞形)으로 형성되고, 또 측벽에는 복수개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 내에, 복수개의 쐐기를 가지는 코어체가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토목 공사용 파일에 있어서,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코어체의 안내 유도를 가능하게 하는 안내 레일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안내 레일을 통해 상기 코어체가 안내 유도되어, 상기 쐐기의 선단이 상기 개구부에 적합하도록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공사용 파일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코어체를 토목 공사용 파일 내부의 적절한 장소에 위치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토목 공사용 파일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의 범위 제2항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1항에 기재된 토목 공사용 파일에 있어서,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는 2 이상으로 분할된 파일 본체 부분이 접합 고정되어 있고, 상기 코어체는 각 파일 본체 부분에 1개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파일 본체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토목 공사용 파일이 제공된다. 따라서, 길이가 다른 복수개 종류의 토목 공사용 파일이 제공된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의 범위 제3항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2항에 기재된 토목 공사용 파일에 있어서, 상기 안내 레일은 분할된 파일 본체 부분을 걸쳐서 복수개가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파일 본체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토목 공사용 파일이라도, 코어체를 토목 공사용 파일 내부의 적절한 장소에 위치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의 범위 제4항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2항에 기재된 토목 공사용 파일에 있어서, 상기 안내 레일은 분할된 파일 본체 부분에 각각 복수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코어체를 분할된 각 파일 본체 부분 내부의 적절한 장소에 위치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의 범위 제5항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1항에 기재된 토목 공사용 파일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외부의 압력에 의해 개방되는 컷푸시(cut-push) 개구부이며, 개방된 컷푸시 개구부의 설편(舌片) 부분은 적어도 하단부가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설편 부분이 슬로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적절하게 위치 결정된 코어체의 쐐기는 슬로프를 사용하여 적절하게 토목 공사용 파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의 범위 제6항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토목 공사용 파일에 있어서,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은 외부에 흙 굴삭용의 나선 날개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이 땅속으로 관입(貫入)되는 것을 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적절하게 땅속에 토목 공사용 파일을 매설할 수 있게 된다. 또, 이 나선 날개에 의해, 매설된 토목 공사용 파일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의 범위 제7항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토목 공사용 파일에 있어서, 상기 선도부는 굴삭 날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적절하게 지면을 굴삭하여 토목 공사용 파일을 매설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의 범위 제8항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토목 공사용 파일에 있어서, 상기 쐐기는 인접하는 쐐기와 상이한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토목 공사용 파일로부터 쐐기가 현격한 차이로 돌출되게 되어, 견고하게 땅속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의 범위 제9항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토목 공사용 파일에 있어서,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의 단면(斷面) 형상을 원형 또는 각형(角形)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설치 장소 등에 적합시킨 토목 공사용 파일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의 범위 제10항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토목 공사용 파일에 있어서, 상기 쐐기는 한 개씩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코어체에 경첩 등의 각도를 바꿀 수 있는 부재를 사용하여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쐐기는 구부러지지 않고 토목 공사용 파일로부터 돌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원의 제2 발명은 전술한 토목 공사용 파일의 생산에 사용되는 자석을 구비한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의 범위 제11항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토목 공사용 파일의 생산에 사용되는 자석을 구비한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로서, 복수개의 상기 안내 레일을 서로 병행으로 유지하면서,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 내부에 삽입 가능하며, 상기 안내 레일을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의 내벽에 서로 병행인 상태에서 고정한 후, 상기 안내 레일을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의 내벽에 남긴 채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로부터 외부로 인출 가능한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토목 공사용 파일을 제조하는 데 적합한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토목 공사용 파일의 내부에 적합하도록 안내 레일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 한 사람으로도 용이하게 안내 레일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토목 공사용 파일의 조립에 걸리는 노력이나 시간을 삭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의 범위 제12항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11항에 기재된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로서, 상기 안내 레일을 유지할 수 있는 복수개의 홈이 주변부에 형성되고, 그에 인접하여 마그넷이 장착되어 있고, 그 일면에 손잡이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제1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부와, 상기 제1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부에 고정된 봉(棒) 부재와, 상기 봉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또는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주변부에 상기 안내 레일을 유지할 수 있는 복수개의 홈과 그에 인접하여 마그넷이 장착되어 있는 제2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부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안내 레일을 토목 공사용 파일의 내부에 적절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본원의 제3 발명은 전술한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를 사용하여 안내 레일을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 내에 고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의 범위 제13항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11항 또는 제12항에 기재된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를 사용하여 안내 레일을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 내에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상기 안내 레일을 서로 병행으로 유지하는 공정과, 서로 병행으로 유지되어 있는 상기 안내 레일을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 내부에 삽입하고,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 내부에서의 상기 안내 레일의 위치를 결정하는 공정과, 상기 안내 레일을 각각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의 내벽에 고정하는 공정과, 상기 안내 레일을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의 내벽에 남기고 상기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만을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의 외부로 인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레일을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 내에 고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안내 레일을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 내에 한번에 신속하게 또한 정확하게 고정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의 범위 제14항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13항에 기재된 안내 레일을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 내에 고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가 2개 이상의 파일 본체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 레일을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 내에 고정하는 방법은 이에 앞서 이들 파일 본체 부분을 접합 고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긴 치수의 토목 공사용 파일의 경우도, 짧은 파일 본체 부분을 접합 고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의 범위 제15항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13항에 기재된 안내 레일을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 내에 고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가 2개 이상의 파일 본체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 레일을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 내에 고정하는 방법은 2개 이상의 파일 본체 부분의 각각에 대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짧은 파일 본체 부분에 대해서 복수개의 안내 레일을 한번에 신속하고 또한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원의 제4 발명은 전술한 토목 공사용 파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의 범위 제16항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토목 공사용 파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의 측벽부에 개구부를 형성한 후 또는 전에, 안내 레일을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의 내벽에 고정하는 공정과,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 내에 선단이 예각형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쐐기를 가지는 코어체를 상기 안내 레일에 의해 안내 유도하고, 상기 쐐기의 선단이 상기 개구부 근방에 위치하도록 세트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토목 공사용 파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토목 공사용 파일을 제조하는 데 적합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의 범위 제17항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16항에 기재된 토목 공사용 파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가 2개 이상의 파일 본체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안내 레일을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의 내벽에 고정하는 공정에 앞서, 이들 파일 본체 부분을 접합 고정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안내 레일을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의 내벽에 고정하는 공정은 상기 안내 레일을 접합 고정된 복수개의 파일 본체 부분을 걸치도록 설치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의 범위 제18항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16항에 기재된 토목 공사용 파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가 2개 이상의 파일 본체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 레일을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의 내벽에 고정하는 공정 및 상기 쐐기의 선단을 상기 개구부 근방에 위치하도록 세트하는 공정은 각각의 파일 본체 부분에 대하여 행해지고, 또한, 그 후, 코어체를 구비한 파일 본체 부분을 접합 고정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의 범위 제19항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토목 공사용 파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안내 레일의 고정 공정 후에, 다시,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의 일단에 원추 또는 각추형으로 형성되는 선도부를 고정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원의 제1 발명에 관한 토목 공사용 파일의 제1 실시예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제2 발명에 관한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의 제1 실시예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난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의 구성 요소 및 그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a)는 지지용의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부의 평면도, (b)는 중계용의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부의 평면도, 그리고 (c)는 (a) 및 (b)에 나타난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난 토목 공사용 파일을 구성하는 선도 파일에 장착되는 코어체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난 토목 공사용 파일을 구성하는 이음매 파일에 장착되는 코어체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난 토목 공사용 파일을 구성하는 선도부의 고정 전을 나타낸 일부를 단면으로 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난 토목 공사용 파일을 구성하는 선도 굴삭 나선 날개의 외관도이며, (a)는 그 평면도, (b)는 그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난 토목 공사용 파일을 구성하는 이음매 나선 날개의 외 관도이며, (a)는 그 평면도, (b)는 그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난 토목 공사용 파일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토목 공사용 파일로부터 쐐기를 돌출시킬 때 사용하는 강봉의 가공 전에 있어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원의 제1 발명에 관한 토목 공사용 파일의 제2 실시예의 선도 파일에 장착되는 코어체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원의 제1 발명에 관한 토목 공사용 파일의 제2 실시예의 이음매 파일에 장착되는 코어체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원의 제1 발명에 관한 토목 공사용 파일의 제2 실시예에 사용되는 선도부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원의 제1 발명에 관한 토목 공사용 파일의 제2 실시예의 이음매 파일과 뿌리 내리기 강봉과의 조합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5는 본원의 제1 발명에 관한 토목 공사용 파일의 제2 실시예에서 선도 파일의 코어체를 중심으로 그린 설명도이며, (a)는 쐐기의 돌출 전의 단면도, (b)는 쐐기의 돌출 후의 단면도이다.
다음에, 본원의 제1 발명에 관한 토목 공사용 파일의 제1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각각의 부재와 그들의 관계를 나타내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토목 공사용 파일(1)은 선도 파일(2)과, 이음매 파일(3)과, 선도 파일(2)이나 이음매 파일(3)의 내부에 고정되는 안내 레일 (4)과, 선도부(5)와, 코어체(6)와, 선도 굴삭 나선 날개(7)와, 그리고, 이음매 나선 날개(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목 공사용 파일(1)의 본체 부분은 선도 파일(2)에 0∼복수개의 이음매 파일(3)을 고정하여 제조한다. 이에 따라, 여러 가지 길이의 토목 공사용 파일(1)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물론 1개의 일체적인 본체 부분뿐이며, 즉, 선도 파일(2)의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토목 공사용 파일(1)을 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경우, 코어체(6)는 1개의 토목 공사용 파일(1)에 복수개 또는 단수 장착된다.
선도 파일(2)은 내부가 공동(空洞)의 원통형을 한 강관으로 제작된다. 선도 파일(2)은 상하 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지는 합계 8개의 컷푸시 개구부(2a, 2b)와 접합부(2c)를 구비하고 있다. 컷푸시 개구부(2a, 2b)를 형성하는 데는 먼저 하부 한 변을 남기고 3변에 틈새를 넣는다. 그리고, 나중에, 밖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하는 힘을 부여함으로써, 하부의 한 변을 기점(基点)으로 설편형(舌片形)의 부분을 내측으로 절곡한다. 그 결과 내측으로 구부러진 이 설편 부분은 쐐기(6a, 6b)가 외부로 돌출하기 위한 슬로프를 형성한다.
그러나, 컷푸시 개구부(2a, 2b)의 절단된 3변의 선도 파일(2)의 개소는 강도가 약해진다. 그러므로, 보강을 위해 보강 프레임(9)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컷푸시 개구부(2a, 2b)는 선도 파일(2)의 길이 방향으로는 동일 선 상에 2개씩 형성되지만, 주위 방향으로는 인접하는 컷푸시 개구부(2a, 2b)끼리가 높이를 바꾸어 요철(凹凸)이 되도록 또한 2개째의 것과는 동일 높이가 되도록 배치된다(도 1 참조).
이음매 파일(3)의 개략은 선도 파일(2)과 동일하다. 이음매 파일(3)도 내부가 공동의 원통형을 한 강관으로 제작된다. 이음매 파일(3)은 상하 2개의 그룹으로 나어지는 합계 8개의 컷푸시 개구부(3a, 3b)와, 지상 돌기부(3c)와 접합부(3d)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2 이상의 이음매 파일(3)을 접합하여 토목 공사용 파일(1)의 본체 부분을 구축하는 경우에는, 이음매 파일(3)의 상하 양단에 접합부(3d)를 형성하고, 그 대신에 지상 돌기부(3c)를 제거한 것을 사용한다.
컷푸시 개구부(3a, 3b)도 컷푸시 개구부(2a, 2b)와 동일하게 하여 형성한다.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선도 파일(2)에 형성되는 컷푸시 개구부(2a, 2b)와 이음매 파일(3)에 형성되는 컷푸시 개구부(3a, 3b)가 토목 공사용 파일(1)의 길이 방향에서 동일 선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을 원주 방향으로 비켜 놓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토목 공사용 파일(1)을 중심으로 360도 전 주위에 대하여 보다 많은 뿌리가 퍼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안정성이 향상된다. 지상 돌기부(3c)는 토목 공사용 파일(1)을 땅속에 매설할 때의 회전 구동을 보조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선도 파일(2)이나 이음매 파일(3)을 단면 원형의 강관으로 제작할 뿐만 아니라, 사각형 등의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내부가 중공의 재료로 제작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은 강철 이외에 Al 합금이나 Ti 합금이나, 합성 수지에 의해 제작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선도 파일(2)이나 이음매 파일(3)은 컷푸시 개구부(2a, 2b, 3a, 3b)의 수를 8개로 한정하지 않고, 임 의의 복수개로 할 수 있다. 물론, 짝수개가 아니고 홀수개라도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개구부를 컷푸시 개구, 즉, 하부 한 변을 남기고 3변에 틈새를 넣는 공정은 미리 행해 두고, 설편 부분의 절곡 공정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타이밍에서 행하는 방식을 채용했다. 그러나, 미리 4각 형상으로 개구해 두고, 개구부에는 슬로프를 형성한 부재를 외부로부터 장착하도록 하는 방식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컷푸시 개구부를 선도 파일(2)이나 이음매 파일(3)의 길이 방향의 동일선 상에 형성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 주위 방향으로 인접하는 컷푸시 개구부(2a, 2b, 3a, 3b)는 선도 파일(2)이나 이음매 파일(3)의 길이 방향으로 직각의 동일한 수평 단면 상에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선도 파일(2)과 이음매 파일(3)의 기본 구성을 상이하도록 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토목 공사용 파일(1)의 본체인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는 1개의 선도 파일(2)과 1개의 이음매 파일(3)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선도 파일(2)과 이음매 파일(3)은 요철형의 접합부(2c, 3d)를 끼워 맞추어 결합하고, 결합부를 용접함으로써 토목 공사용 파일의 본체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접합부를 보호하기 위해 접합부 커버(10)를 장착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선도 파일(2)과 이음매 파일(3)을 용착하여 하나의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로 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선도 파일(2)에 복수개의 이음매 파일(3)을 연결하는 것을 본 발명은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접합부(2c, 3d)에 의해 결합한 결합부를 용접하지 않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선도 파일(2)과 이음 매 파일(3)은 동일 길이 및 동일 직경이다. 그러나, 상이한 길이나 상이한 직경으로 하는 것을 본 발명은 배제하지 않는다.
다음에, 선도 파일(2)이나 이음매 파일(3)의 내부에 고정되는 안내 레일(4)에 대하여 설명한다. 안내 레일(4)은 자석에 들러붙는 자성을 가지는 강재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단면이 사각형이다. 안내 레일(4)은 선도 파일(2)과 이음매 파일(3)을 더 한 길이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안내 레일의 단면을 각형 이외에, 원형이나 다각형으로 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 강철로 제작하는 이외에, Al 합금이나 Ti 합금이나 합성 수지에 의해 제작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선도 파일(2)과 이음매 파일(3)을 더한 길이와 안내 레일(4)과는 대략 동일 길이로 되어 있다. 물론, 각각에 설치하도록 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안내 레일(4)은 선도 파일(2) 및 이음매 파일(3)에 각 4개씩으로, 합계 8개 사용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안내 레일(4)의 수를 본 발명은 한정하지 않는다. 안내 레일(4)은 선도 파일(2)과 이음매 파일(3)로 독립하여 장착할 때는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선도 파일(2) 및 이음매 파일(3)의 각각의 길이보다 안내 레일(4)을 조금 짧게 하는 것이 좋다. 이것은 선도 파일(2)이나 이음매 파일(3)을 접속하는 부분이나 선도부(5)와 접속하는 부분을 고려하기 위해서이다.
선도 파일(2)이나 이음매 파일(3)과 상이한 재질의 재료로 안내 레일(4)을 제작하는 것을 본 발명은 배제하지 않는다. 그러나, 선도 파일(2), 이음매 파일(3) 및 안내 레일(4)이 모두 동일 재료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의 접합 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또, 안내 레일(4)은 자석에 들러붙는 자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자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재료로 제작된 경우에는, 이와 같은 자성을 가지는 재료를 일부에 가지도록 한다.
다음에, 안내 레일(4)을 선도 파일(2) 및/ 또는 이음매 파일(3)의 내부에 장착하는 도구와, 그 도구를 사용한 토목 공사용 파일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그 도구인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40)에 대하여 설명한다. 4개의 안내 레일(4)은 서로 병행으로 또한 4개의 안내 레일(4)의 중심선으로부터 서로 90도의 각도로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40)를 사용하여 배치된다(도 2 참조).
이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40)를 도 3에 나타낸다. 도 3 (a)에는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부(40A)가, 도 3 (b)에는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부(40B)가, 그리고 도 3 (c)에는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부(40A)와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부(4OB)의 관계가 나타나 있다.
도 3 (a)의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부(40A)는 4개의 마그넷(40a)과, 손잡이(40b)와, 4개의 홈(40c)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도 3 (b)의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부(40B)는 4개의 마그넷(40a)과, 4개의 홈(40c)과, 구멍(40d)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마그넷(40a)은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부(40A, 40B)의 각 홈(40c) 근방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자석에 들러붙는 강재인 안내 레일(4)을 끌어 당겨, 홈(40c) 내에 유지 가능하게 한다. 손잡이(40b)는 도 2에 나타낸 상태에서 마그넷 크로스 게 이지(40)를 이동 가능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이다. 홈(40c)은 안내 레일(4)과 보합(補合)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 그 내부에 안내 레일(4)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구멍(40d)은 사각형을 하고 있다. 이 구멍(40d)에는, 각재(角材)(40e)가 삽입된다. 이 각재(40e)의 일단은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부(40A)의 손잡이 측과 상이한 면의 중앙에 접합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부(40B)는 각재(40e)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도 3 (c) 참조). 그러나,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부(40B)가 각재(40e)로부터 갑자기 벗어나지 않도록, 각재(40e)의 일단에는 돌기(40f)가 구비되어 있다(도 3 (c) 참조). 돌기(40f)는 의도적으로 소정 값 이상의 힘이 작용하면 각재(40e)의 내부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부(40B)를 각재(40e)로부터 떼어내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안내 레일(4)을 서로 적정한 위치에 유지한 채 이동 가능하면, 손잡이(40b)의 형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홈(40c)은 안내 레일(4)과 보합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에 본 발명은 한정하지 않는다. 또, 형상을 사각형 이외에 원형이나 다각형인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그러나, 안내 레일(4)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구멍(40d)은 각재(40e)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형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부(40A)와,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부(40B)의 홈(40c)을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면, 원형이라도 다각형이라도 된다. 또, 각재(40e)의 일단은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부(40A)의 손잡이 측과 상이한 면의 중앙에 접합에 의해 고정되는 것에 본 발명은 한정하지 않는 다. 사용 시에 고정되어 있도록 취급할 수 있으면 어떠한 접합 방법이라도 된다. 또한, 돌기(40f)로부터 각재(40e)가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본 발명은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부(40A, 40B)를 하나의 부재로 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 3개 이상의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부를 조합하는 것을 본 발명은 배제하지 않는다.
다음에, 이러한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40)를 사용하여 안내 레일(4)을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의 내부에 장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토목 공사용 파일(1)의 본체는 선도 파일(2)과 이음매 파일(3)로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안내 레일(4)을 사용하여 후술하는 코어체(6)를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의 내부에 장착하는 방법으로서는, 크게 나누어, 선도 파일(2)과 이음매 파일(3)을 접합 고정한 후에 코어체(6)를 내장하는 경우와, 각각에 코어체(6)를 내장해 두고, 이들을 접합 고정하는 경우의 2개 방법이 있다.
처음에, 선도 파일(2)과 이음매 파일(3)을 접합 고정한 후에 코어체(6)를 내장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40)를 사용한 안내 레일(4)의 장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처음에, 선도 파일(2)과 이음매 파일(3)을 접합부(2c, 3d)의 위치에서 접합하고,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 양자를 고정한다. 다음에, 4개의 안내 레일(4)을 서로 병행으로, 또한 4개의 안내 레일(4)의 중심선으로부터 서로 90도의 각도가 되도록 하여, 후술하는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40)에 세트한다(도 2 참조). 4개의 안 내 레일(4)의 길이는 토목 공사용 파일(1)의 본체 길이와 거의 동일하게 한다. 다음에, 이 배치를 유지한 채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의 내부로서, 컷푸시 개구부(2a, 2b, 3a, 3b)를 피하는 위치에 4개의 안내 레일(4)을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각 안내 레일(1)을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 내벽의 필요 개소에 용접에 의해 접합한다. 마지막으로, 손잡이(40b)를 잡아 당겨,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40)를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의 외부로 제거한다. 이에 따라, 용이하게 또한 정확하게 안내 레일(4)을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의 내벽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컷푸시 개구부(2a, 2b, 3a, 3b)의 틈새를 형성하는 시기에 관해서는, 상기 공정 중 어느 하나의 공정 전후에 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의 내부에 세트되는 코어체(6)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의 코어체(6)는 선도 파일(2)의 내부에 장착되는 코어체이며, 도 5의 코어체(6)는 이음매 파일(3)의 내부에 장착되는 코어체이다. 코어체(6)는 4조(組)의 쐐기(6a, 6b)와, 이동 대좌(臺座)(6c)를 구비하고 있다. 이음매 파일(3)에 장착되는 코어체(6)는 또한, 중타체(中打體)(6f)를 가지고 있다. 쐐기(6a)는 쐐기(6b)보다 길게 되어 있다. 이것은 선도 파일(2)이나 이음매 파일(3)에서, 컷푸시 개구부(2a, 2b, 3a, 3b)가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대응하고 있다. 또, 쐐기(6a, 6b)는 이동 대좌(6c)에 90도 걸러서 1조씩 배치되지만, 주위 방향으로 인접하는 조에 있어서의 쐐기(6a, 6b)는 길이가 상이하다. 이것은 주위 방향으로 인접하는 컷푸시 개구부(2a, 2b, 3a, 3b)가 서로 교대로 배치되는 것에 대응하고 있다.
이동 대좌(6c)에는, 안내 레일(4)에 따라 코어체(6)를 선도 파일(2)이나 이음매 파일(3)의 내부에서 안내하는 유도홈(6d)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유도홈(6d)은 안내 레일(4)을 배치하는 위치에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이동 대좌(6c)에는 복수개의 시멘트 밀크 주입구(6e)가 구비되어 있다. 시멘트 밀크 주입구는 시멘트 밀크를 주입 가능하게 하는 주입구이다. 이음매 파일(3)에 장착되는 코어체(6)의 중타체(6f)는 이동 대좌의 중앙에 일단을 장착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도 5의 코어체(6)는 도 4의 코어체에 중타체(6f)를 장착한 것이다. 이동 대좌(6c)의 중앙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암나사가 절단되어 있고, 거기에 중타체(6) 일단의 수나사가 나사 결합된다. 중타체(6f)의 또 일단의 직경은 다른 개소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중타체(6f)를 포함한 코어체(6)의 길이는 선도 파일(2)이나 이음매 파일(3)의 길이와 동일 길이로 되어 있다.
각 안내 레일(4)을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의 내벽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한 후, 선도 파일(2)의 하단에 원추 또는 각추형으로 형성되는 선도부(5)를 장착 고정한다.
여기에서, 선도부(5)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선도부(5)는 강철로 제작된다. 선도부(5)는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의 일단, 즉 선도 파일(2)의 하단에 장착되는 원추형의 부재이다. 선도부(5)는 걸어맞춤부(5a)를 가지고 있으며, 걸어맞춤부(5a)가 선도 파일(2)의 내부에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장착된다(도 6 참조). 그리고, 장착 후에 경계 부분은 용접되고, 선도부(5)는 선도 파일(2)에 고정된다. 그리고, 선도부(5)는 선도 파일(2)이나 이음매 파일 (3)과는 상이한 재료로 제작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의 형상에 대응하고 있으면, 원추형 이외에, 각추형이나 다각추형이라도 된다.
그런데, 토목 공사용 파일의 조립이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에 안내 레일(4)을 설치한 후,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인 선도 파일(2)이나 이음매 파일(3)의 내부에, 코어체(6, 6)를 안내 레일(4)에 따라 안내 유도하여 고정하는 것이 행해진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선도 파일(2)의 내부에 장착되는 도 4의 코어체(6)가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 내에 먼저 삽입된다. 코어체(6)의 이동 대좌(6c)는 그 유도홈(6d)에 의해 안내 레일(4)에 따라 이동하고,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인 선도 파일(2)이나 이음매 파일(3)의 내부에 안내된다. 그리고, 이 삽입 전에 컷푸시 개구부(2a)를 외부로부터 해머 등으로 두드려, 내부로부터 외부로 약 40도의 슬로프를 형성해 둔다.
다음에, 도 5의 코어체(6)를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에 삽입한다. 쐐기(6a, 6b)는 전체를 다소 외측으로 개방한 상태, 즉, 그들의 선단이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의 내경보다 크게 되어 있는 상태에서, 넣을 때 전체를 좁혀서 넣는다. 따라서, 코어체(6)를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 내에 삽입하면, 쐐기(6a, 6b)의 예각형 선단이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의 내벽에 따라 미끄러지면서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4개소의 중압(中押) 가공을 행한 개구부(2a)에, 긴 쪽의 쐐기(6a) 선단 예각 부분이 돌출된다. 다음에, 남은 4개소의 컷푸시 개구부(2b)를 20도 전후 중압 가공하고 나서, 재차 이동 대좌(6c)를 누르면, 개구부(2b)로부터 4개의 쐐기(6b)의 예각 선단부가 돌출되어, 토목 공사용 파일(1)의 조립 간소화가 도모된다.
마찬가지로, 이음매 파일(3)의 컷푸시 개구부(3a)를 외부로부터 해머 등으로 두드려, 내부로부터 외부로 약 40도의 슬로프를 형성해 둔다(도 6 참조). 그 후, 도 5의 코어체(6)를 삽입하면, 도 4의 코어체(6)의 이동 대좌(6c)는 도 5의 코어체의 중타체(6f)에 밀려, 선도 파일(2)의 가장 깊숙한 부분에 도달한다. 그리고, 도 4의 코어체(6)에 장착된 쐐기(6a, 6b)의 돌출단은 컷푸시 개구부(2a, 2b)로부터 돌출 가능한 위치에 달한다. 다른 한편, 도 5의 코어체(6)에 장착된 쐐기(6a)의 돌출단은 컷푸시 개구부(3a)로부터 돌출 가능한 위치에 동일하게 달한다. 다음에, 동일하게 컷푸시 개구부(3b)에 외부로부터 힘을 걸어, 내부로부터 외부로 약 20도의 슬로프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5의 코어체(6)의 이동 대좌(6c)에 더욱 힘을 걸어 토목 공 사용 파일 본체의 내부에 상하로 겹쳐 쌓인 코어체(6, 6)를 밀어넣는다. 이에 따라, 상방의 코어체(6)에 장착된 쐐기(6b)의 돌출단도 컷푸시 개구부(3b)로부터 돌출 가능한 위치에 달한다.
다음에, 또는,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1)의 조립 중에, 선도 굴삭 나선 날개(7)나 이음매 나선 날개(8)를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의 외주에 장착한다.
나선 날개인 선도 굴삭 나선 날개(7)(도 7 참조)나 이음매 나선 날개(8)(도 8 참조)는 강제(鋼製)의 도너츠 형상의 원반을 가공하여 제작된다. 그리고, 그 선단부 및/ 또는 외주부는 흙을 굴삭해 가기 위해 날과 같은 예리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들 부위는 나무의 뿌리 자르기, 흙 가르기용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제 작 방법은 도너츠형 금속판의 외주로부터 날개 내주까지 1개소의 절삭 깊이을 넣는다. 그리고, 이 절삭 깊이의 양측을 상하로 갈라 놓음으로써, 금속판을 나선형으로 형성한다. 선도 굴삭 나선 날개(7) 및 이음매 나선 날개(8)의 중심 측은 선도 파일(2)의 장착부 외형과 보합하는 형상으로 한다. 그 내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각형 돌기(7a, 8a)가 형성되어 있다. 각형 돌기(7a, 8a)는 교대로 상 및 하 방향으로 절곡 가공된다. 교대로 일으킨 각형 돌기(7a, 8a)의 면적을 늘림으로써, 나선 날개(7, 8)를 토목 공사용 파일(1)헤 용접할 때의 가(假)고정이나 위치 결정이 간단하게 되어, 그들의 장착 시간과 경비의 삭감, 간소화가 달성된다. 즉, 각형 돌기(7a, 8a)는 상하로 절곡하여 사용하므로, 원통형의 강관 파일에 용접하는 경우라도 강관 파일 형상에 맞추어 접촉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한 선도 굴삭 나선 날개(7)나 이음매 나선 날개(8)는 용접 등에 의해 연결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선도 파일(2)로의 고정을 견고하고, 또한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각형 돌기(7a, 8a)가 원형 또는 다각형인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선도 굴삭 나선 날개(7)는 토목 공사용 파일(1)을 땅속에 삽입할 때 보조를 하는 역할을 하므로, 선도부(5)의 근방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선도 파일(2)의 선단에 고정된다.
각형 돌기(7a, 8a)의 상하 절곡 가공한 선도 굴삭 나선 날개(7)와 이음매 나선 날개(8)를 회전 관입 각도에 적합하도록 각도 조정을 행한다. 그리고, 선도 파일(2)의 측면에 용접에 의해 고정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용접 이외에 걸림 부재를 설치하여 기계적으로 거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선도 굴삭 나선 날개(7)에 이음매 나선 날개(8)를 하나 연결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선도 굴삭 나선 날개(7)에 이음매 나선 날개(8)을 연결하지 않는 것도, 또는 복수개의 이음매 나선 날개(8)를 연결하는 것도 배제하지 않는다.
다음에, 선도 파일(2)과 이음매 파일(3)에 각각 코어체(6)를 내장해 두고, 이들을 접합 고정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40)를 사용한 안내 레일(4)의 장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선도 파일(2)을 준비하는 동시에, 전술과 동일하게 하여, 4개의 안내 레일(4)을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40)에 세트한다(도 2 참조). 4개의 안내 레일(4)의 길이는 각각 선도 파일(2)의 길이와 거의 동일하게 한다. 다음에, 이 배치를 유지한 채 선도 파일(2)의 내부로서, 컷푸시 개구부(2a, 2b)를 피하는 위치에 4개의 안내 레일(4)을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각 안내 레일(1)을 선도 파일(2) 내벽의 필요 개소에 용접에 의해 접합한다. 마지막으로, 손잡이(40b)를 잡아 당겨,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40)를 선도 파일(2)의 외부로 제거한다. 이에 따라, 용이하게 또한 정확하게 안내 레일(4)을 선도 파일(2)의 내벽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동일하게 하여, 이음매 파일(3)에도 안내 레일(4)을 용접 고정한다. 이러한 안내 레일(4)을 설치한 선도 파일(2) 및 이음매 파일(3)을 제조하고, 공장 내에서 또는 현장에서 양자를 용접 등에 의해 고정한다. 이에 따라, 토목 공사용 파일(1)이 제조된다. 이 경우에도, 컷푸시 개구부(2a, 2b 및/ 또는 3a, 3b)를 형성하기 위한 틈새를, 상기 공정 중 어느 하나의 공정의 전후에 넣을 수 있다. 또, 선도부(5)를 선도 파일 파일(2)의 하단에 장착 고정하는 시기도, 안내 레일(4)을 선도 파일(2)의 내벽에 고정한 후이면, 언제라도 된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토목 공사용 파일의 제1 실시예의 구성 및 조립 순서를 설명했다. 다음에, 이러한 토목 공사용 파일의 사용 방법을, 도 9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관한 토목 공사용 파일(1)은 도시하지 않은 회전 관입 파일기에 의해 지면(100)에 소정 심도에 이를 때까지 회전 관입된다. 소정의 심도까지 도달하는 동안에, 선도 굴삭 나선 날개(7) 및 이음매 나선 날개(8)에 의해 굴삭 교반된 토목 공사용 파일(1)의 외주 부분은 연약 토질화되고 있다. 즉, 선도 굴삭 나선 날개(7)나 이음매 나선 날개(8)의 투영(投影) 면적이 선도 파일(2)이나 이음매 파일(3)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이들 나선 날개의 회전 관입으로 굴삭 교반된 강관의 외주 부분은 연약 토질화된다.
토목 공사용 파일(1)이 지면(100)의 소정 깊이까지 매설된 상태에서, 도 10의 뿌리내리기 강봉(30)을 토목 공사용 파일(1)의 상부로부터 내부에 삽입한다. 이에 따라, 코어체(6, 6)는 힘을 받아, 하방으로 내려지는 것과 동시에, 쐐기(6a, 6b)가 외부로 돌출한다. 그리고, 쐐기(6a, 6b)는 연약 토질화되고 있는 굴삭 교반토(101)를 관통하여, 경질토(硬質土)(102)까지 달한다(도 9 참조). 즉, 토목 공사용 파일(1)에 내장된 16개의 쐐기(6a, 6b)는 뿌리내리기 강봉(30)으로 압입(壓入)이 걸려 컷푸시 개구부(2a, 2b, 3a, 3b)로부터 돌출되어, 연약 토질로부터 경질토 (102)까지 박힌다. 이 결과, 토목 공사용 파일(1)은 나무의 뿌리와 같이 360도 전 주위 방향으로부터의 힘에 대하여 안정성을 가지게 되고, 또 나선 날개도 토목 공사용 파일(1)을 위한 지지 구조체로 되어 지진에 강한 면진(免震) 파일로 하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이와 같은 토목 공사용 파일(1)의 시설 상태에 있어서, 토목 공사용 파일(1)의 내부에는 큰 공간이 존재한다. 그래서, 이동 대좌(6c)의 시멘트 밀크 주입구(6e)를 통해 시멘트 밀크를 주입하고, 전 토목 공사용 파일(1) 내를 고형화하여 안정되고 안전하며 견고한 지지 파일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도 11, 도 12 및 도 15에 따라, 본 발명에 관한 토목 공사용 파일(1)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리고,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제2 실시예에서도, 도면 중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있다.
제2 실시예에서의 토목 공사용 파일(1)과,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의 토목 공사용 파일(1)은 대체로 동일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제1 실시예와는 상이한 부재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서의 토목 공사용 파일(1)은 전체 길이가 4∼5m이다. 그리고, 쐐기(6a, 6b)는 폭이 넓고 또한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쐐기(6a, 6b)를 만곡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도 11 및 도 12에는, 제2 실시예에 관한 토목 공사용 파일(1)에 내장되는 코어체(6)가 나타나 있다. 도 11의 코어체(6)는 선도 파일(2)의 내부에 장착되는 코어체(6)이며, 도 12의 코어체(6)는 이음매 파일(3) 내부에 장착되는 코어체(6)이 다.
코어체(6)는 4조의 쐐기(6a, 6b)와, 이동 대좌(6c)와, 경첩(6g)과, 중계 부재(6h)를 구비하고 있다. 중계 부재(6h)는 이동 대좌(6c)의 하부 중앙에 일단을 고정하고 있다. 중계 부재(6h)에는, 쐐기(6a, 6b)가 각각 경첩(6g)을 통해 장착되어있다. 그러므로, 쐐기(6a, 6b)는 경첩(6g)을 기점으로 하여 중계 부재(6h)에 대한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음매 파일(3)에 장착되는 코어체(6)에서는, 중계 부재(6i)의 선단에 중타체(6f)가 설치되어 있다. 쐐기(6a)는 쐐기(6b)와 동일 길이로 되어 있다. 그러나, 쐐기(6a)와 쐐기(6b)는 중계 부재(6h) 또는 중계 부재(6i)의 상이한 높이 위치에 장착되어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들 부재는 각재이며, 4개의 측면에 쐐기(6a)와 쐐기(6b)가 세로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있다. 이것은 선도 파일(2)이나 이음매 파일(3)에서, 컷푸시 개구부(2a, 2b, 3a)가 상이한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대응하고 있다.
이동 대좌(6c)에는, 안내 레일(4)에 따라 코어체(6)를 선도 파일(2)이나 이음매 파일(3)의 내부에서 안내하는 유도홈(6d)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유도홈(6d)의 위치는 안내 레일(4)을 배치해야 할 위치에 대응하고 있다. 이동 대좌(6c)에는, 또 복수개의 시멘트 밀크 주입구(6e)가 형성되어 있다. 시멘트 밀크 주입구는 시멘트 밀크를 주입 가능하게 하는 주입구이다.
이음매 파일(3)에 장착되는 코어체(6)의 중타체(6f)는 중계 부재(6i)의 일단에 장착된다. 도 12의 코어체(6)는 도 11의 코어체에 중타체(6f)를 장착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장착은, 예를 들면, 중계 부재(6i)의 중앙에 암나사가 잘리고, 거 기에 중타체(6f)의 중앙에 돌출한 수나사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달성할 수도 있다. 중계 부재(6i)와 중타체(6f)를 일체로 해도 된다. 또, 중타체(6f)의 직경은 중계 부재(6i)의 굵기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중계 부재(6h)와, 중계 부재(6i)의 길이는 중계 부재(6i) 쪽이 길게 되어 있다. 또한, 중타체(6f)를 포함시킨 코어체(6)의 길이는 선도 파일(2)이나 이음매 파일(3)의 길이와 거의 동일 길이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중계 부재(6h)의 단면 형상을 각형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 중계 부재(6h)의 단면 형상은 원형이나, 5각형이나 6각형 등의 다각형이라도 된다. 또, 본 발명은 중타체(6f)를 포함시킨 코어체(6)의 길이가 선도 파일(2)이나 이음매 파일(3)의 길이와 상이한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다음에, 제2 실시예에 관한 토목 공사용 파일(1)에 사용되는 선도부(5)를 도 1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서의 선도부(5)는 복수개의 굴삭 날개(5b)를 가지고 있다. 이 굴삭 날개(5b)와, 상기한 선도 굴삭 나선 날개(7)나 이음매 나선 날개(8) 등의 나선 날개에 의해, 본 발명에 관한 토목 공사용 파일(1)을 땅속에 매설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단, 본 발명은 토목 공사용 파일에 굴삭 날개(5b)와, 선도 굴삭 나선 날개(7)나 이음매 나선 날개(8) 등의 나선 날개를 양쪽에 설치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에, 제2 실시예에 관한 토목 공사용 파일(1)로부터 쐐기(6a, 6b)를 돌출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뿌리내리기 강봉(30)을, 도 1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뿌리내리기 강봉(30)은 다단식이며, 외주에 나사가 잘려 있고, 수나사부 (30a)를 형성하고 있다. 다른 한편, 이음매 파일(3) 내부의 상부에는, 나사가 잘려 있고, 암나사부(3e)를 형성하고 있다. 즉, 암나사부(3e)에 수나사부(30a)를 나사 결합 시킴으로써, 뿌리내리기 강봉(30)을 회전시키면서 이음매 파일(3)의 내부로 밀어넣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단, 이음매 파일(3)의 내부 중간쯤까지는 안내 레일(4)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암나사부(3e)는 이음매 파일(3)의 상부에만 설치하는 것이다. 즉, 안내 레일(4)은 선도 파일(2)과 이음매 파일(3)을 조합한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되어 있다. 또, 뿌리내리기 강봉(30)은 도시하지 않지만 다단식으로 되어 있으므로, 소정의 길이까지 뿌리내리기 강봉(30)이 이음매 파일(3)의 중간까지 삽입되면 보충하여 길게 한다. 이에 따라, 적절하게 코어체(6)를 압입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이, 제2 실시예에서의 토목 공사용 파일(1)과, 상기 제1 실시예에서의 토목 공사용 파일(1)의 차이이다.
다음에 제2 실시예에서의 토목 공사용 파일(1)을 지면(100)에 압입한 후의 쐐기(6a, 6b)의 돌출에 대하여 도 1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5 (a)는 제2 실시예에서의 토목 공사용 파일(1)을 선도 파일(2)의 코어체(6)를 중심으로 그린 단면도이며, 쐐기(6a, 6b)의 돌출 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5 (b)는 도 15 (a)에서, 쐐기(6a, 6b)를 돌출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15에서는, 선도 파일(2)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지만, 이음매 파일(3)에서도 동일하다.
먼저, 토목 공사용 파일(1)에 대하여 설명한다. 선도 파일(2)의 내벽과 그 내부의 코어체(6)의 중계 부재(6h) 사이에는 넓은 공간 S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시멘트 밀크를 충전하여 견고한 토목 공사용 파일(1)을 얻을 수 있다. 도 15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토목 공사용 파일(1)을 조립한 상태에서는, 쐐기(6a, 6b)는 컷푸시 개구부(2a, 2b)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위치하고 있다. 선도 파일(2)의 상부에는 이음매 파일(3)이 고정되어 있고, 선도 파일(2)의 코어체(6) 상에 이음매 파일(3)의 코어체(6)가 얹힌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 선도 파일(2)의 코어체(6)의 이동 대좌(6c)에는, 이음매 파일(3)의 코어체(6)의 중타체(6f)가 접촉하고 있다.
도 15 (a)의 상태에서, 토목 공사용 파일(1)의 상부로부터, 뿌리내리기 강봉(30)을 삽입하여 나사 결합시키면, 회전에 의해 큰 토크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도면 중 아래로 향하는 힘 F가 상방의 코어체(6)에 걸려, 상하의 코어체(6)는 동시에 하방으로 밀린다. 그 결과, 경첩(6g)이 열리고, 거기에 고정되어 있는 쐐기(6a, 6b)가 구부러지지 않고 토목 공사용 파일(1)로부터 도 15 (b)와 같이 외측으로 밀어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쐐기(6a, 6b)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다음의 세 개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는, 쐐기(6a, 6b)가 코어체(6)의 견고한 또한 평평한 중계 부재(6h)의 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점이다. 극히 큰 힘을 쐐기(6a, 6b)에 전달할 수 있다. 둘째는, 쐐기(6a, 6b)가 코어체(6)의 중계 부재(6h)에 경첩(6g) 등의 각도를 바꿀 수 있는 부재를 사용하여 장착되어 있는 점이다. 쐐기(6a, 6b)를 만곡하지 않고 땅속에 똑바로 삽입할 수 있다. 셋째는, 쐐기(6a, 6b)는 폭이 넓고 두 꺼워 굴곡되지 않는 재료로 만들어지고 있는 점이다. 코어체(6)의 중계 부재(6h)와 선도 파일(2)의 내벽 사이에 큰 간격 S가 있다고 해도 쐐기(6a, 6b)가 만곡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토목 공사용 파일(1)에서도, 4개의 안내 레일을 전술한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40)를 사용하여 강관 내벽에, 또한 정확하게 원하는 위치에 한번에 고정한다. 다른 한편, 토목 공사용 파일(1)에 내장하는 코어체(6)의 이동 대좌(6c)에는, 4개의 유도홈(6d)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것에 안내 레일(4)을 유지함으로써, 종래, 매우 곤란했던 조립 작업에서의 시간 낭비를 절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2인 1조의 작업이 혼자서의 간단한 작업으로 개선되었다. 또, 쐐기(6a, 6b)를 토목 공사용 파일(1)로부터 돌출시켜 뿌리를 내린 상태에서는, 토목 공사용 파일(1)의 측벽은 복수개의 쐐기(6a, 6b)에 의해 지지되고, 또한 선단부는 나선 날개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따라, 토목 공사용 파일(1)은 견고하게 땅속에 뿌리를 내린 상태가 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토목 공사용 파일(1)은 상기한 제1 실시예의 토목 공사용 파일(1)보다 간단한 구성이라고 하는 특징을 가진다. 제1 실시예의 토목 공사용 파일(1)에서는, 쐐기(6a, 6b)를 돌출시키기 위해서는 쐐기(6a, 6b)가 만곡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본 실시예의 토목 공사용 파일(1)로부터 쐐기(6a, 6b)를 돌출시키기 위해서는 쐐기(6a, 6b)가 구부러지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 그러므로, 제1 실시예의 토목 공사용 파일(1)을 소형 토목 공사용 파일로서, 또 제2 실시예의 토목 공사용 파일(1)을 대형 토목 공사용 파일로서 나누어 사용하는 것도 가 능하다. 단, 본 발명은 전술한 제1 실시예나 제2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토목 공사용 파일에 의하면, 안내 레일이 있기 때문에, 토목 공사용 파일을 신속하게, 또한 용이하게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가 있으므로, 용이하게 안내 레일을 서로 적합한 위치에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토목 공사용 파일 내에 안내 레일을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 양산화할 수 있고, 개량을 거듭하여 간소화하고 경제적으로도 염가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laims (19)

  1. 일단에 나중에 형성하여 고정되는 선도부(先導部)를 가지고, 또한 내부는 공동형(空洞形)으로 형성되고, 또 측벽에는 복수개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토목 공사용 파일(pile) 본체 내에, 복수개의 쐐기를 가지는 코어체(core body)가 장착되어 구성되는 토목 공사용 파일에 있어서,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코어체의 안내 유도를 가능하게 하는 안내 레일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안내 레일을 통해 상기 코어체가 안내 유도되어, 상기 쐐기의 선단이 상기 개구부에 적합하도록 안내되는, 토목 공사용 파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는 2 이상으로 분할된 파일 본체 부분이 접합 고정되어 있고, 상기 코어체는 각 파일 본체 부분에 1개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공사용 파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레일은 분할된 파일 본체 부분을 걸쳐서 복수개가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공사용 파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레일은 분할된 파일 본체 부분에 각각 복수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공사용 파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외부의 압력에 의해 개방되는 컷푸시(cut-push) 개구부이며, 개방된 컷푸시 개구부의 설편(舌片) 부분은 적어도 하단부가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설편 부분은 슬로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공사용 파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은 외부에 흙 굴삭용의 나선 날개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이 땅속으로 관입(貫入)되는 것을 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공사용 파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도부는 굴삭 날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공사용 파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는 인접하는 쐐기와 상이한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공사용 파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의 단면(斷面) 형상은 원형 또는 각형(角形)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공사용 파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는 1개씩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코어체에 경첩 등의 각도를 바꿀 수 있는 부재를 사용하여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공사용 파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토목 공사용 파일의 생산에 사용되는 자석을 구비한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cross gauge)로서,
    복수개의 상기 안내 레일을 서로 병행으로 유지하면서,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 내부에 삽입 가능하며, 상기 안내 레일을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의 내벽에 서로 병행인 상태에서 고정한 후, 상기 안내 레일을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의 내벽에 남긴 채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로부터 외부로 인출 가능한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레일을 유지할 수 있는 복수개의 홈이 주변부에 형성되고, 그에 인접하여 마그넷이 장착되어 있고, 그 일면에 손잡이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제1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부와,
    상기 제1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부에 고정된 봉(棒) 부재와,
    상기 봉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또는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주변부에 상기 안내 레일을 유지할 수 있는 복수개의 홈과 그에 인접하여 마그넷이 장착되어 있는 제2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기재된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를 사용하여 안내 레일을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 내에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상기 안내 레일을 서로 병행으로 유지하는 공정과,
    서로 병행으로 유지되고 있는 상기 안내 레일을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 내부에 삽입하여,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 내부에서의 상기 안내 레일의 위치를 결정하는 공정과,
    상기 안내 레일을 각각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의 내벽에 고정하는 공정과,
    상기 안내 레일을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의 내벽에 남기고 상기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만을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의 외부에 인출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안내 레일을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 내에 고정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는 2개 이상의 파일 본체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 레일을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 내에 고정하는 방법은 그에 앞서, 이들 파일 본체 부분을 접합 고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레일을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 내에 고정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는 2개 이상의 파일 본체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 레일을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 내에 고정하는 방법은 2개 이상의 파일 본체 부분의 각각에 대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레일을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 내에 고정하는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토목 공사용 파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의 측벽부에 개구부를 형성한 후 또는 전에, 안 내 레일을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의 내벽에 고정하는 공정과,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 내에 선단이 예각형(銳角形)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쐐기를 가지는 코어체를 상기 안내 레일에 의해 안내 유도하고, 상기 쐐기의 선단이 상기 개구부 근방에 위치하도록 세트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토목 공사용 파일의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는 2개 이상의 파일 본체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안내 레일을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의 내벽에 고정하는 공정에 앞서, 이들 파일 본체 부분을 접합 고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안내 레일을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의 내벽에 고정하는 공정은 상기 안내 레일을 접합 고정된 복수개의 파일 본체 부분을 걸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공사용 파일의 제조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는 2개 이상의 파일 본체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 레일을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의 내벽에 고정하는 공정 및 상기 쐐기의 선단을 상기 개구부 근방에 위치하도록 세트하는 공정은 각각의 파일 본체 부분에 대하여 행해지고,
    그 후, 코어체를 구비한 파일 본체 부분을 접합 고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공사용 파일의 제조 방법.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레일의 고정 공정 후에, 상기 토목 공사용 파일 본체의 일단에 원추 또는 각추형(角錐形)으로 형성되는 선도부를 고정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공사용 파일의 제조 방법.
KR1020067002520A 2003-08-06 2004-01-21 토목 공사용 파일,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 및 토목 공사용 파일의 제조 방법 KR1007531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206214 2003-08-06
JP2003206214 2003-08-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017A true KR20060039017A (ko) 2006-05-04
KR100753171B1 KR100753171B1 (ko) 2007-08-30

Family

ID=34131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2520A KR100753171B1 (ko) 2003-08-06 2004-01-21 토목 공사용 파일,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 및 토목 공사용 파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36095B2 (ko)
JP (1) JP4169758B2 (ko)
KR (1) KR100753171B1 (ko)
CN (1) CN100513703C (ko)
WO (1) WO20050149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846B1 (ko) * 2014-02-10 2014-09-04 주식회사 길건축사사무소 부력방지앵커를 구비한 피에이치씨 말뚝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85092C (zh) * 2007-02-08 2010-01-27 徐国彬 抗压抗拔桩基的成桩方法
US20090285637A1 (en) * 2008-05-16 2009-11-19 W.T.W. Construction, Inc. Pile mandrel with extendable reaming members
JP5495706B2 (ja) * 2008-12-05 2014-05-2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既設港湾岸壁の補強構造
JP5294831B2 (ja) * 2008-12-24 2013-09-18 システム計測株式会社 杭の羽根板及びそれを備えた杭
US20100223862A1 (en) * 2009-03-06 2010-09-09 Jacobus Nicolaas Smit Multi-purpose auger-type anchoring system
KR101195485B1 (ko) * 2010-08-06 2012-10-29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면마찰력이 강화된 말뚝 및 그 시공방법
GB201102577D0 (en) * 2011-02-15 2011-03-30 Go Science Ltd Annular seismic sensor node
US9022695B2 (en) 2012-10-18 2015-05-05 P3 Infrastructure Consulting Inc. Apparatus and system for securing a hollow pile in the ground
US10077893B1 (en) * 2013-02-11 2018-09-18 Philip Abraham Removable anchoring system and uses thereof
US8845236B1 (en) 2013-02-15 2014-09-30 FixDirt, LLC Ground anchor
WO2016127172A1 (en) * 2015-02-06 2016-08-11 Stroyer Benjamin G Pile coupling for helical pile/torqued in pile
US10844569B2 (en) 2015-05-11 2020-11-24 Pier Tech Systems, Llc Modular foundation support systems and methods including shafts with interlocking, self-aligning and torque transmitting couplings
US9506214B1 (en) 2015-05-11 2016-11-29 Pier Tech Systems, Llc Interlocking, self-aligning and torque transmitting coupler assembly
MX2018005636A (es) * 2015-11-06 2018-08-14 Hubbell Inc Pila helicoidal con punta de corte.
US10220918B2 (en) * 2017-05-23 2019-03-05 Timothy H. Knapp Helical anchor and piling system
CA2980619C (en) * 2017-09-28 2021-12-21 Michael G. Rawlyk Helical screw pile assemblies
CN107989028B (zh) * 2017-12-01 2023-08-01 徐少钢 一种便携式机械组合地上固定桩装置
CN108914950B (zh) * 2018-06-27 2020-12-04 山东仁合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边坡绿化防护方法及防护装置
RU2727988C2 (ru) * 2018-07-27 2020-07-28 Владимир Алексеевич Виноградов Металлическая свая
RU185554U1 (ru) * 2018-08-02 2018-12-1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Ульян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Забивная свая с уширениями
KR101986458B1 (ko) * 2018-09-21 2019-06-05 유동식 지주 고정의 용이성과 고정력 강화를 겸비한 앵커 기초기구
WO2020086459A1 (en) * 2018-10-21 2020-04-30 Stroyer Benjamin G Deformed pile shaft for providing gripping contact with a supporting medium and resisting the supporting medium from shearing
JP7028818B2 (ja) * 2019-03-11 2022-03-02 東興ジオテック株式会社 傾斜地の崩壊防止補強体および補強材の挿入方法並びに傾斜地の崩壊防止補強工法
US11795654B1 (en) * 2020-01-10 2023-10-24 Julius C. Gilliam, III Underpinning device with pressurized grout anchor system
IT202000006130A1 (it) * 2020-03-23 2021-09-23 Giorgio Grossi Sistema e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i fondazioni prefabbricate in acciaio da collocarsi mediante infissione
CN114852255B (zh) * 2022-05-26 2023-11-21 江苏科技大学 一种轻型鱼雷锚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33144A (en) * 1958-08-26 1962-05-08 Riley Stoker Corp Welding apparatus
US3487646A (en) * 1968-08-19 1970-01-06 Paul Henri Gatien Load bearing pile
JPS56100906A (en) * 1980-01-08 1981-08-13 Masaya Nagashima Temporarily built bridge
JPS5996327A (ja) * 1982-11-24 1984-06-02 高 金星 支持枝付き基礎杭
JPH06123933A (ja) 1992-10-12 1994-05-06 Fuji Photo Film Co Ltd 写真印画紙用支持体
JPH07331653A (ja) * 1994-06-06 1995-12-19 Hidekazu Tanaka 基礎杭
EP0728506B1 (en) * 1995-01-25 1999-05-19 Stuff Co., Ltd. Block toy
US5975808A (en) * 1997-07-11 1999-11-02 Fujita; Yasuhiro Pile or pile assembly for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works
JPH1198173A (ja) 1997-09-18 1999-04-09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蓄積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0000819A (ja) 1998-06-17 2000-01-07 Mitsubishi Plastics Ind Ltd 樹脂含浸シート材
JP3137243B2 (ja) * 1999-04-05 2001-02-19 保宏 藤田 土木工事用杭
JP2001144256A (ja) 1999-11-15 2001-05-25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半導体受動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44043B2 (ja) * 2000-01-06 2006-11-08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翼付き杭
JP3876645B2 (ja) * 2001-05-15 2007-02-07 株式会社大林組 地盤埋設支持体の支持力増加構造および同支持体の構築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846B1 (ko) * 2014-02-10 2014-09-04 주식회사 길건축사사무소 부력방지앵커를 구비한 피에이치씨 말뚝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56626A (zh) 2006-11-01
US7736095B2 (en) 2010-06-15
KR100753171B1 (ko) 2007-08-30
CN100513703C (zh) 2009-07-15
WO2005014939A1 (ja) 2005-02-17
JPWO2005014939A1 (ja) 2006-10-05
JP4169758B2 (ja) 2008-10-22
US20070214735A1 (en) 200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3171B1 (ko) 토목 공사용 파일, 마그넷 크로스 게이지 및 토목 공사용 파일의 제조 방법
JP2009046832A (ja) 基礎用杭装置、それに用いられる縦連結手段並びに基礎用杭の打ち込み設置方法
KR101871118B1 (ko) 무용접 케이싱 커플러를 적용한 다단 확공이 가능한 굴착용 비트를 이용하는 파일 두부 보강구조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시공방법
JP5391390B1 (ja) 基礎鋼管、基礎鋼管に使用する回転工具及びこれらの施工方法
JP5693778B1 (ja) 仮設山留構造体及び仮設山留方法
JP6502287B2 (ja) 杭および杭の設置方法
JP6689064B2 (ja) 鋼管杭
KR200455432Y1 (ko) 옹벽시공용 연결장치
JP5965933B2 (ja) 杭および杭の設置方法
KR101737475B1 (ko) 복합 phc 말뚝 및 그 시공방법
KR100823087B1 (ko) 토목 및 건물 기초용 매입말뚝 및 매입말뚝 제작용 거푸집
KR100935235B1 (ko) 사면보강장치
JP3923614B2 (ja) 支持力強化用基礎杭
JP3586839B2 (ja) 現場造成コンクリート杭及びその造成工法
JP2003096773A (ja) 鋼管杭、およびその埋設工法
JP4251628B2 (ja) 境界杭の埋設具
JP4475845B2 (ja) 杭の施工方法
JPH0559215B2 (ko)
KR102305551B1 (ko) 중공콘크리트관을 이용한 가설 흙막이 벽체
KR0176306B1 (ko) 케이싱을 이용한 말뚝박기 공법
JP7277743B2 (ja) 既製杭の保持装置及び基礎杭構築方法
JPS6128774B2 (ko)
KR200257292Y1 (ko) 전철주의 기초콘크리트 시공용 거푸집
JP2003096770A (ja) ソイルセメント合成杭
JP4312135B2 (ja) 鋼管矢板の打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