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3036A - 전동 드라이버 - Google Patents

전동 드라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3036A
KR20060033036A KR1020067002915A KR20067002915A KR20060033036A KR 20060033036 A KR20060033036 A KR 20060033036A KR 1020067002915 A KR1020067002915 A KR 1020067002915A KR 20067002915 A KR20067002915 A KR 20067002915A KR 20060033036 A KR20060033036 A KR 20060033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follower
housing
bit holder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2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5536B1 (ko
Inventor
도시오 미키야
다카유키 오카모토
다메요시 오시마
야스오 가자마
Original Assignee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33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3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5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5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14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 B25B23/141Mechanical overload release 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14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007Connections or joints between tool parts
    • B25B23/0035Connection means between socket or screwdriver bit and t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드라이버 비트를 확실하게 보유하여 지님으로써 회전 구동시의 덜컥거림을 감소시킨다.
전동 드라이버 (10) 는, 드라이버 비트 (12) 의 샤프트를 받아들여 고정적으로 보유하여 지니는 비트 홀더 (14), 이 비트 홀더 (14) 를 받아들여 이 비트 홀더를 그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또한 그 축선 방향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보유하여 지니는 관통구멍 (16) 을 가지는 하우징 (18) 을 갖는다. 드라이버 비트를, 하우징의 관통구멍 (16) 내에,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드라이버 비트를 확실하게 보유하여 지닌다.

Description

전동 드라이버{ELECTRIC DRIVER}
본 발명은 전동 드라이버에 관한 것이다.
전동 드라이버는, 통상적으로, 구동 모터, 이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드라이버 비트, 그리고 이들 모터와 드라이버 비트 사이에 개재되어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동력 전달 시스템에는, 드라이버 비트에 소정 이상의 부하 토크가 가해졌을 때 동력 전달 시스템 내에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는 동력 차단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동력 차단 수단은, 원환형 캠 부재, 이 캠 부재의 (캠 궤도가 형성된) 한 끝면에 드라이버 비트의 축선 방향에서 접촉하는 볼(ball), 상기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볼과 원환형 캠 부재 사이의 접촉 압력을 부여하는 압축 스프링, 이 압축 스프링의 상기 축선 방향에서의 압축 정도를 조절하는 조절 부재를 갖는다. 이 동력 차단 수단에서는, 조절 부재에 의해 압축 스프링의 압축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원환형 캠 부재와 볼 사이의 접촉 압력을 조절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원환형 캠 부재와 볼 사이에 소정 토크가 가해질 때까지는 이들을 서로 걸어 고정하여 동력 전달 수단을 통한 토크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반하여, 소정 이상의 토크가 가해지면, 원환형 캠 부재가 볼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 써 동력 전달 수단을 통한 회전 구동력의 전달을 불가능하게 한다.
상기 동력 전달 시스템은 원통형 하우징 내에 수납되어 있으며, 상기 동력 차단 수단의 조절 부재는, 원통형 부재와, 이 원통형 부재의 선단(先端)을 닫는 끝벽(end wall) 부재로 이루어진 컵형상 부재로 되어 있으며, 원통형 부재의 내면에 형성한 암나사를 상기 원통형 하우징의 외주에 형성한 수나사에 결합함으로써 그 축선 방향에서의 위치를 조절하여, 그 조절 부재의 상기 끝벽 부재에 접촉하는 상기 압축 스프링의 압축 정도를 변경하도록 되어 있다. 드라이버 비트는, 상기 동력 전달 시스템의 선단 부분이 그 드라이버 비트를 보유하여 지니는 드라이버 홀더 (드릴 척) 로 되어 있고, 이 드라이버 홀더가 상기 조절 부재의 끝벽 부재에 형성된 개구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1-270080호는 이러한 종래의 전동 드라이버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1-270080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동 드라이버는, 다음과 같은 결함을 갖고 있다.
즉, 상기 원통형 하우징과 동력 전달 시스템 사이에 상기 동력 차단 수단의 압축 스프링 등을 배치해야 하기 때문에, 동력 전달 시스템의 선단 부분을 그 하우징 내에 직접적으로 확실하게 지지할 수가 없고, 따라서 그 선단에 부착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드라이버 비트가 회전 구동될 때 진동을 발생시켜 이것이 나사 체결, 풀림 작업에 지장이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드라이버 비트는, 그 생크(shank) 부분이 원통형으로 된 드라이버 홀더 내에 삽입되어, 그 드라이버 홀더의 벽에 형성된 반경 방향 구멍을 통해서 로크 부재 (로킹 볼) 가 상기 생크 부분에 형성된 오목부에 결합됨으로써 그 드라이버 홀더에 고정되는데, 로크 부재와 오목부 사이에 미소한 놀음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그 드라이버 비트에 미소한 덜컥거림이 발생하기 쉽다.
그리고, 드라이버 비트에 가해지는 부하 토크가 일정 이상이 되면, 캠 부재에서의 캠 궤도의 융기부가 캠 종동자를 밀어올려 캠 종동자를 통과하여 헛돌게 되어 회전 구동 토크의 전달을 차단하게 되어 있지만, 융기부가 캠 종동자를 통과한 후에 이 캠 종동자가 그것에 가해지고 있는 스프링압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할 때 급격히 복귀하게 되어 충격을 일으키고, 이로 인해서 예를 들어, (캠 종동자의 밀어올림에 수반되어 작동하고, 그 전동 드라이버의 전원을 OFF 로 하는) 리미트 스위치에 손상을 입히는 등의 우려가 있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이러한 결함을 제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선단 및 기단을 가지며, 선단으로부터 드라이버 비트의 샤프트를 받아들여 고정적으로 보유하여 지니는 비트 홀더와,
선단 및 기단을 가지며, 상기 비트 홀더를 받아들여 이 비트 홀더를 그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그 축선 방향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보유하여 지니는 관통구멍을 갖는 하우징과,
그 비트 홀더의 상기 기단으로부터 상기 축선 방향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또한 그 축선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정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기 기단에 면하는 캠면을 구비하는 캠 부재로서, 상기 캠면이 상기 축선과 동심형의 원형 캠 궤도를 구비하는 캠 부재와,
그 캠 부재에 연결되어 그 캠 부재를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하는 회전 구동축과,
상기 비트 홀더와 상기 캠 부재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원형 캠 궤도에 결합되는 캠 종동자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선단으로 개구되고, 상기 기단을 향하여 상기 축선 방향에서 연장되는 스프링 수납구멍과,
이 스프링 수납구멍 내에 설정된 압축 스프링과,
상기 압축 스프링에 결합되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기단을 관통하여 신장되고, 상기 종동자에 상기 압축 스프링의 압축력(compressive force)을 전달하여 그 종동자를 캠면에 가압하는 압축력 전달 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선단에 분리 가능하게 설정되고, 상기 압축 스프링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축선 방향에서 변위됨으로써, 상기 압축 스프링의 압축력을 조정하는 압축력 조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캠 궤도는, 상기 캠면으로부터 상기 비트 홀더의 기단을 향하여 솟은 융기부를 가지고, 상기 캠 종동자는, 상기 캠 부재가 회전 구동될 때, 이 융기부에 걸려, 이 캠 부재의 회전 토크를 그 비트 홀더에 전달하여 그 비트 홀더를 회전 구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캠 종동자에 의해 비트 홀더에 전달되는 회전 토크가 일정 이상으로 되면 상기 융기부가 종동자를 밀어올려 통과하여, 캠 부재가 캠 종동자에 대하여 헛돌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드라이버를 제공한다.
이 전동 드라이버에서는, 드라이버 홀더가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삽입설정되기 때문에, 그 하우징에 의해 직접적으로 지지되어 그 드라이버 홀더를 확실하게 보유하여 지닐 수가 있고, 따라서 회전 구동시의 드라이버 비트의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우징의 관통구멍의 선단 근방에 비트 홀더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래이디얼 베어링을 형성함으로써, 드라이버 비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진동을 감소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 전동 드라이버는,
비트 홀더의 기단에 부착되고, 상기 캠면으로부터 상기 비트 홀더 쪽으로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 떨어져 있는 종동자 유지 부재를 가지고,
종동자를, 볼이나 롤러 등의 회전자로 하여, 상기 종동자 유지 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캠 궤도에 접촉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전동 드라이버는,
상기 종동자 유지 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기단 사이에, 상기 축선 방향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부착되고, 상기 하우징의 기단을 관통하여 신장하는 상기 압축력 전달 부재(thrust member)에 결합되는 압축력 수용 부재(follower)와,
상기 압축력 수용 부재와 상기 종동자 유지 부재 사이에 설정된 쓰러스트 베어링을 구비하고,
상기 압축력 전달 부재는, 상기 쓰러스트 베어링 및 상기 압축력 수용 부재를 통해서, 상기 캠 종동자를, 상기 캠면에 가압하도록 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전동 드라이버에서의 상기 압축력 조정 부재는,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한 원통형 부분과, 이 원통형 부분의 일단에 형성된 끝벽 (end wall)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의 선단을 향해 벌어져 있는 컵형상의 부재로 되고, 상기 원통형 부분의 내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선단 부분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와 결합되고 상기 압축 스프링의 일단이 상기 압축력 조정 부재의 상기 끝벽 부분의 내면과 결합되도록 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전동 드라이버에서는, 상기 압축력 조정 부재의 상기 끝벽 부분의 내면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정된 고리형 부재와, 이 고리형 부재로부터 상기 축선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리테이너 로드를 가지고, 이 리테이너 로드는, 상기 하우징에 그 선단으로부터 기단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된 로드 삽입부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그 고리형 부재의 상기 축선 둘레에서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압축 스프링의 상기 일단은 그 고리형 부재를 통하여 상기 압축력 조정 부재의 상기 끝벽 부분에 결합되도록 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전동 드라이버에서는,
상기 캠 궤도의 융기부는, 캠 부재가 정회전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정회전 방향에 면하는 쪽에 상기와 같은 종동자의 움직임을 발생시키기 위한, 경사가 급한 전방 경사부와, 그 융기부의 정점을 사이에 두고 그 전방 경사부에 이어서 그 정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완만하게 경사지는 후방 경사부를 가지며,
추가적으로는, 이 전동 드라이버가, 상기 캠 부재를 역회전시키는 상기 회전 구동축의 회전 구동력만을 상기 비트 홀더에 전달하는 일방향 클러치(one way clutch)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이 드라이버에서는, 드라이버 비트를 정회전시켜 나사를 조일 때에는, 드라이버 비트에 가해지는 회전 토크가 일정해질 때까지는 종동자가 전방 경사부에 걸려 구동 모터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이 캠 부재, 캠 종동자, 종동자 유지 부재, 비트 홀더를 통해 드라이버 비트에 전달되며, 회전 토크가 일정 이상이 되면 융기부가 종동자를 밀어올려 통과함으로써 그 캠 부재가 헛돌기 시작해 드라이버 비트에 대한 회전 토크의 전달이 차단되지만, 융기부의 통과에 수반되어 밀려 올라간 종동자가 원래 위치로 복귀할 때에는 완만한 경사의 후방 경사부를 따라 복귀하기 때문에, 이 종동자의 복귀에 따른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전동 드라이버에서는,
비트 홀더가, 그 선단으로부터 기단까지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가지고, 상기 드라이버 비트의 생크가, 그 비트 홀더의 선단측으로부터 상기 관통구멍 내에 삽입되어, 그 생크와 그 비트 홀더에 결합되는 로크 부재에 의해 상기 축선 방향의 둘레 및 그 축선 방향에서의 움직임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회전 구동축은, 상기 비트 홀더의 기단측으로부터 상기 관통구멍 내에 느슨히 삽입되어 있고,
이 관통구멍 내에 삽입된 상기 드라이버 비트의 생크 기단과, 회전 구동축의 선단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이 설정되어, 드라이버 비트를 전방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드라이버 비트를 비트 홀더에 대해 덜컥거림 없이 설정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전동 드라이버의 주요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2 는 그 전동 드라이버의 캠 부재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전동 드라이버 12: 드라이버 비트
12-1: 오목부 12-2: 단차부
14: 비트 홀더 14-1: 비트 홀더의 기단
14-2: (비트 홀더의) 관통구멍 16: (하우징의) 관통구멍
18: 하우징 18-1: 하우징의 기단
18-2: 하우징의 선단 18-3: 수나사
19: 래이디얼 베어링 20: 캠 부재
20-1: 캠면 20-2: 캠 궤도
20-3: 융기부 20-4: 전방 경사부
20-5: 후방 경사부 22: 회전 구동축
22-1: 회전 구동축의 연장부 24: 캠 종동자
26: 종동자 유지 부재 28: 스프링 수납구멍
30: 압축 스프링 32: 압축력 전달 부재(thrust member)
34: 압축력 조정 부재 34-1: 원통형부
34-2: 끝벽부 34-3: 암나사
36: 압축력 수용 부재(follower) 40: 쓰러스트 베어링
42: 고리형 부재 44: 리테이너 로드
46: 로드 삽입부 50: 일방향 클러치(one-way clutch)
54: 핀 56: 로크 부재 (로킹 볼)
58: 슬리브 60: 압축 스프링
62: 서브 하우징 64: 감속기
66: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 68: 스위치 작동 부재
70: 링형 부재 72: 코일 스프링
76: 슬리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전동 드라이버의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라 이루어진 전동 드라이버 (10) 의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전동 드라이버 (10) 는, 선단 (도면에서 우측 단) 으 로부터 드라이버 비트 (12) 의 샤프트를 받아들여 고정적으로 보유하여 지니는 원통형의 비트 홀더 (14) 와,
상기 비트 홀더 (14) 를 받아들여, 이 비트 홀더를 그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그 축선 방향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하는 관통구멍 (16) 을 포함하는 원통형의 하우징 (18) 과,
이 비트 홀더의 기단 (14-1: 도면에서 하단) 으로부터 상기 축선 방향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서, 또한 상기 축선에 대해 수직으로 설정되어 상기 비트 홀더 (14) 의 상기 기단 (14-1) 에 면하는 캠면 (20-1) 을 구비하는 링형의 캠 부재 (20; 도 2 참조) 로서, 캠면 (20-1) 이 상기 축선과 동심형으로 된 원형 캠 궤도를 구비하는 캠 부재 (20) 와,
이 캠 부재 (20) 에 연결되어 (도시하지 않은 회전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이 캠 부재 (20) 를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 구동축 (22) 과,
비트 홀더 (14) 와 캠 부재 (20) 사이에 형성되고, 이 캠 부재의 캠면 (20-1) 상의 원형 캠 궤도에 결합되는 캠 종동자 (24: 도시된 예에서는, 볼 또는 롤러 등의 회전자) 와,
상기 캠 종동자 (24) 를 회전가능하게 보유하여 지니고 있는 링형의 종동자 유지 부재 (26) 와,
하우징 (18) 의 선단 (18-2) 으로 개구되고, 그 기단 (18-1) 을 향하여 축선 방향에서 연장되는 단면 고리형의 스프링 수납구멍 (28) 과,
상기 스프링 수납구멍 (28) 내에 설정되는, 토크 조정을 위한 압축 스프링 (30) 과,
상기 압축 스프링 (30) 에 결합되어 하우징 (18) 의 기단 (18-1) 을 관통하여 신장되고, 종동자 (26) 에 그 압축 스프링 (30) 의 압축력을 전달하여 상기 캠 종동자 (24) 를 캠면 (20-1) 에 가압하는 가늘고 긴 막대형의 압축력 전달 부재 (32) 와,
상기 하우징 (18) 의 선단 (18-2) 에 분리 가능하게 설정되고, 압축 스프링 (30) 의 일단과 결합하여, 상기 축선 방향에서 변위됨으로써, 상기 압축 스프링 (30) 의 압축력을 조정하는 컵형상의 압축력 조정 부재 (34),
를 갖는다.
비트 홀더 (14) 는, 하우징 (18) 의 관통구멍 (16) 내에 안정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지지 되게끔 되어 있고, 도시한 예에서는, 하우징 (18) 의 관통구멍 (16) 의 선단 근방에 비트 홀더 (14) 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래이디얼 베어링, 구체적으로는 니들 베어링 (19) 을 형성하여, 그 비트 홀더 (14) 를 안정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낸 와 같이, 상기 캠 궤도 (20-2) 는, 캠면 (20-1) 으로부터 비트 홀더 (14) 의 기단 (14-1) 을 향하여 솟아 오른 융기부 (20-3, 20-3) 를 가지며, 캠 종동자 (24) 는, 캠 부재 (20) 가 회전 구동될 때, 어느 하나의 융기부 (20-3) 에 걸려서 그 캠 부재 (20) 로부터의 회전 토크를 비트 홀더 (14) 에 전달하여 비트 홀더 (14) 를 회전 구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 캠 종동자 (24) 에 의해 비트 홀더 (14) 에 전달되는 회전 토크가 일정 이상이 되면 상기 융기부 (20-3) 가 종동자 (24) 를 밀어올려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종동자 유지 부재 (26) 와 상기 하우징 (18) 의 기단 사이에는, 축선 방향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부착되고, 하우징 (18) 의 기단을 관통하여 신장하는 압축력 전달 부재 (32) 에 결합되는 링형의 압축력 수용 부재 (36) 가 형성되고, 이 압축력 수용 부재 (36) 와 종동자 유지 부재 (26) 사이에는 쓰러스트 베어링 (40) 이 설정되며, 압축력 전달 부재 (32) 가, 압축 스프링 (30) 의 압축력을 압축력 수용 부재 (36) 및 쓰러스트 베어링 (40) 을 통해 캠 종동자 (24) 에 전달하여, 그 캠 종동자 (24) 를 캠면 (20-1) 에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 (18) 의 선단 (18-2) 에 부착되는 압축력 조정 부재 (34) 는,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한 원통형 부분 (34-1) 과, 이 원통형 부분 (34-1) 의 일단에 형성된 끝벽 부분 (34-2) 을 구비하고, 하우징 (18) 의 선단을 향해 열려진 컵형상 부재로 되고, 원통형 부분 (34-1) 의 내면에는 암나사 (34-3) 가 형성되어, 이 암나사 (34-3) 가 하우징 (18) 의 선단 부분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 (18-3) 와 나사 결합 되어있다. 압축력 조정 부재 (34) 의 끝벽 부분 (34-2) 의 내면 상에는, 그 끝벽 부분 (34-2) 과 동심형으로 되어, 그 끝벽 부분의 내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정된 고리형 부재 (42) 가 형성되고, 압축 스프링 (30) 의 일단이 이 고리형 부재에 결합 되어있다.
이 고리형 부재 (42) 는, 상기 축선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리테이너 로드 (44) 를 가지며, 이 리테이너 로드는, 하우징 (18) 에 그 선단으로부터 기단을 향 하여 연장하도록 형성된 로드 삽입부 (46)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그 고리형 부재 (42) 의 상기 축선 둘레에서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캠 부재 (20) 의 캠 궤도의 융기부 (20-3) 는, 캠 부재가 정회전하는 방향 (도 2 에서, 화살표 A 로 나타낸 방향) 을 기준으로 하여, 그 정회전 방향에 면하는 쪽에 경사가 급한 전방 경사부 (20-4) 가, 그리고, 그 융기부의 정점을 사이에 두고 그 전방 경사부 (20-4) 에 이어서 정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완만하게 경사진 후방 경사부 (20-5)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서, 부호 "50"으로 나타내는 것은 일방향 클러치로, 캠 부재 (20) 가 역회전 될 때에만 회전 구동축 (22) 으로부터의 구동력을 비트 홀더 (14) 에 전달한다.
비트 홀더 (14) 는, 그 선단으로부터 기단까지 관통하는 관통구멍 (14-2) 을 가진다. 드라이버 비트 (12) 의 생크가, 이 비트 홀더 (14) 의 선단측으로부터 이 관통구멍 (14-2) 내에 삽입되어, 이 비트 홀더 (14) 를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에 수용되고, 드라이버 비트 (12) 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리형 오목부 (12-2) 에 결합되는 로크 부재 (56: 로킹 볼) 에 의해 상기 축선 방향의 움직임이 저지된다. 이 드라이버 비트의 기단에는 단차부 (12-1) 가 형성되어 있고, 비트 홀더의 관통구멍 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정된 핀 (54) 에 이 단차부 (12-1) 가 결합되도록 되어 있어서 축선 둘레에서의 움직임이 저지된다. 도면에서, 부호 "58" 은, 드라이버 비트 (14) 의 외주면 상에 형성되고, 로크 부재 (56) 를 반경 방향으로부터 가압하는 도시된 위치와, 가압을 개방하는 위치 사이에 서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는 슬리브이다.
비트 홀더 (14) 의 관통구멍 (14-2) 의 기단측으로부터는, 상기 회전 구동축 (22) 이 느슨히 삽입되어 있고, 이 관통구멍 (14-2) 내에 삽입된 드라이버 비트의 생크 기단과 회전 구동축 (22) 의 선단 사이에 압축 스프링 (60) 이 설정되어, 드라이버 비트 (12) 를 항상 전방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압축 스프링 (60) 은, 로크 부재 (56) 에 의해 드라이버 비트 (12) 를 비트 홀더 (14) 에 대해서 고정할 때 유극이 발생되는 것을 없앤다.
하우징 (18) 의 기단부에는, 상기 서술한 쓰러스트 베어링 (40), 캠 부재 (20), 캠 종동자 (24) 등을 수납하는 서브 하우징 (62) 이 형성되어 있고, 이 서브 하우징의 기단에는, 구동 모터 (도시 생략) 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을 감속하기 위한 감속기 (64) 가 설치되어 있다.
서브 하우징 (62) 의 외주면 상에는 리미트 스위치 (66) 가 형성되어 있고, 그 리미트 스위치 (66) 는 이것을 작동시키기 위한 리벳형의 스위치 작동 부재 (68) 를 구비하고 있다. 스위치 작동 부재 (68) 는, 압축력 수용 부재 (36) 주위에 결합 되어있는 링형 부재 (70) 와 접촉하고 있고, 이 링형 부재 (70) 는, 하우징 (18) 의 기단과의 사이에 설정된 코일 스프링 (72) 에 의해 상기 스위치 작동 부재 (68) 에 가압되어 있다.
상기 전동 드라이버에 의해 드라이버 비트를 정회전 구동하여 나사를 조이고, 이 나사가 일정 깊이까지 조여진 단계에서, 이 나사에 대한 저항이 커져 나사에 가해지는 회전 구동 토크가 일정 이상이 되면, 캠 부재 (20) 는 그 융기부 (20- 3) 가 캠 종동자 (24) 를 통과하게 되고, 캠 종동자 (24) 및 스위치 작동 부재 (68) 는 그 전동 드라이버의 선단 방향으로 이동되어, 리미트 스위치 (66) 를 작동하여 그 전동 드라이버의 전원을 OFF 로 한다. 캠 종동자 (24) 및 푸시 버튼 (68) 은, 이어 (압축 스프링 (30) 의 압축력에 의해) 복귀하게 되는데, 캠 부재 (20) 의 캠 궤도에서의 후방 경사부 (20-5) 가 완만한 경사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스위치 작동 부재 (68) 에 충격을 주지 않으며, 또한 리미트 스위치 (66) 에 손상을 입히지 않는다.
도면 중 부호 "76" 은, 하우징 (18) 의 기단에 고정되고, 그 주위에 종동자 유지 부재 (26), 쓰러스트 베어링 (40), 압축력 수용 부재 (36) 등을 지지하고, 회전 구동축 (22) (의 연장부분 (22-1)) 을 느슨하게 수용하고 있는 슬리브이다. 이 슬리브에 대해서, 종동자 유지 부재 (36) 는 고정되어 있고, 쓰러스트 베어링 (40) 및 압축력 수용 부재 (36) 는 회전가능토록 되어 있다.

Claims (10)

  1. 선단 및 기단을 가지고, 선단으로부터 드라이버 비트의 샤프트를 받아들여 고정적으로 보유하여 지니는 비트 홀더와,
    선단 및 기단을 가지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비트 홀더를 받아들여 이 비트 홀더를 그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그 축선 방향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보유하여 지니기 위해, 그 하우징의 선단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기단까지 관통하고 있는 관통구멍과,
    그 하우징의 상기 선단으로 개구되고, 그 하우징의 외주면과 상기 관통구멍 사이를, 상기 기단을 향하여 축선 방향에서 연장되는 단면 고리형의 스프링 수납구멍,
    을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비트 홀더의 상기 기단으로부터 상기 축선 방향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또한, 그 축선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정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기 기단에 면하는 캠면을 구비하는 캠 부재로서, 상기 캠면이 상기 축선과 동심형의 원형 캠 궤도를 구비하는 캠 부재와,
    상기 캠 부재에 연결되어 그 캠 부재를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하는 회전 구동축과,
    상기 비트 홀더와 상기 캠 부재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원형 캠 궤도에 결합 되는 캠 종동자와,
    상기 스프링 수납구멍 내에 설정된 압축 스프링과,
    상기 압축 스프링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기 기단을 관통하여 신장되고, 상기 종동자에 그 압축 스프링의 압축력을 전달하여 그 종동자를 캠면에 가압하는 압축력 전달 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선단에 분리 가능하게 설정되고, 상기 압축 스프링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축선 방향에서 변위됨으로써, 상기 압축 스프링의 압축력을 조정하는 압축력 조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캠 궤도는, 상기 캠면으로부터 상기 비트 홀더의 기단을 향하여 솟은 융기부를 가지고, 상기 캠 종동자는, 상기 캠 부재가 회전 구동될 때, 그 융기부에 걸려, 그 캠 부재의 회전 토크를 그 비트 홀더에 전달하여 그 비트 홀더를 회전 구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 캠 종동자에 의해 비트 홀더에 전달되는 회전 토크가 일정 이상이 되면 상기 융기부가 종동자를 밀어올려 통과하여, 캠 부재가 캠 종동자에 대하여 헛돌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드라이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홀더의 기단에 부착되고, 상기 캠면으로부터 상기 비트 홀더 측으로 상기 축선 방향에서 떨어진 종동자 유지 부재를 가지고,
    상기 종동자는, 회전자가 되어, 상기 종동자 유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캠 궤도에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드라이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자 유지 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기단 사이에, 상기 축선 방향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부착되고, 상기 하우징의 기단을 관통하여 신장하는 상기 압축력 전달 부재에 결합되는 압축력 수용 부재와,
    상기 압축력 수용 부재와 상기 종동자 유지 부재 사이에 설정된 쓰러스트 베어링을 구비하고,
    상기 압축력 전달 부재는, 상기 쓰러스트 베어링 및 상기 압축력 수용 부재를 통하여 상기 캠 종동자를, 상기 캠면에 가압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드라이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력 조정 부재는,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한 원통형 부분과, 이 원통형 부분의 일단에 형성된 끝벽(end wall)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선단을 향해 열린 컵형상 부재로 되고, 상기 원통형 부분의 내면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선단 부분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와 결합되고, 상기 압축 스프링의 일단이 상기 압축력 조정 부재의 상기 끝벽 부분의 내면과 결합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드라이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력 조정 부재의 상기 끝벽 부분의 내면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정된 고리형 부재와, 이 고리형 부재로부터 상기 축선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리테이너 로드를 가지고, 이 리테이너 로드는, 상기 하우징에 그 선단으로부터 기단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된 로드 삽입부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그 고리형 부재의 상기 축선 둘레에서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압축 스프링의 상기 일단은, 그 고리형 부재를 통하여 상기 압축력 조정 부재의 상기 끝벽 부분에 결합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드라이버.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캠 궤도의 융기부는, 캠 부재가 정회전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정회전 방향에 면하는 측에 상기와 같은 종동자의 움직임을 발생시키기 위한, 경사가 급한 전방 경사부와, 그 융기부의 정점을 사이에 두고 그 전방 경사부에 이어 그 정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완만하게 경사진 후방 경사부를 가지고, 그 전동 드라이버가, 추가로 상기 캠 부재를 역회전시키는 상기 회전 구동축의 회전 구동력만을 상기 비트 홀더에 전달하는 일방향(one-way clutch) 클러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드라이버.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캠 궤도의 융기부는, 캠 부재가 정회전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정회전 방향에 면하는 측에 상기와 같은 종동자의 움직임을 발생시키기 위한, 경사가 급한 전방 경사부와, 그 융기부의 정점을 사이에 두고 그 전방 경사부에 이어 그 정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완만하게 경사진 후방 경사부를 가지고, 그 전동 드라이버가, 추가로 상기 캠 부재를 역회전시키는 상기 회전 구동축의 회전 구동력만을 상기 비트 홀더에 전달하는 일방향 클러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드라이버.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캠 궤도의 융기부는, 캠 부재가 정회전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정회전 방향에 면하는 측에 상기와 같은 종동자의 움직임을 발생시키기 위한, 경사가 급한 전방 경사부와, 그 융기부의 정점을 사이에 두고 그 전방 경사부에 이어 그 정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완만하게 경사진 후방 경사부를 가지고, 그 전동 드라이버가, 추가로 상기 캠 부재를 역회전시키는 상기 회전 구동축의 회전 구동력만을 상기 비트 홀더에 전달하는 일방향 클러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드라이버.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홀더가, 그 선단으로부터 기단까지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가지고,
    상기 드라이버 비트의 생크는, 그 비트 홀더의 선단측으로부터 상기 관통구멍 내에 삽입되어, 그 생크를 그 비트 홀더에 결합시키는 로크 부재에 의해 상기 축선 방향의 둘레 및 그 축선 방향에서의 움직임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회전 구동축은, 상기 비트 홀더의 기단측으로부터 상기 관통구멍 내에 느슨히 삽입되어 있고,
    그 관통구멍 내에 삽입된 드라이버 비트의 생크의 기단과 회전 구동축의 선단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이 설정되어, 드라이버 비트를 전방으로 탄성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전동 드라이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관통구멍의 선단 근방에, 상기 비트 홀더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래이디얼 베어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드라이버.
KR1020067002915A 2003-08-12 2004-08-09 전동 드라이버 KR1006755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292413 2003-08-12
JP2003292413A JP3992667B2 (ja) 2003-08-12 2003-08-12 電動ドライバ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036A true KR20060033036A (ko) 2006-04-18
KR100675536B1 KR100675536B1 (ko) 2007-01-30

Family

ID=34131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2915A KR100675536B1 (ko) 2003-08-12 2004-08-09 전동 드라이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70561B2 (ko)
EP (1) EP1655107B1 (ko)
JP (1) JP3992667B2 (ko)
KR (1) KR100675536B1 (ko)
CN (1) CN100584539C (ko)
TW (1) TWI248388B (ko)
WO (1) WO20050142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3591A (ko) * 2014-03-31 2015-10-08 주식회사 융합테크 구름 접촉식 슬립토크 조절기능을 갖는 토크 리미트 드라이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66537A1 (en) * 2005-05-27 2006-11-30 Osamu Izumisawa Rotary impact tool having a ski-jump clutch mechanism
TW200918249A (en) * 2007-10-19 2009-05-01 Chia-Chiung Chuang Mechanism for stabilizing output torque of transmission member
CN101837577B (zh) * 2010-06-22 2012-05-09 张辉 一种电动螺丝刀中的自动离合装置
JP2012122659A (ja) * 2010-12-08 2012-06-28 Sharp Corp フィルタおよび空気調和機
CN102909710B (zh) * 2011-08-06 2015-04-22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动力工具
CN102357872B (zh) * 2011-10-14 2013-10-30 无锡麦克马丁定扭矩装配工具有限公司 气动工具轨道断气结构
CN103586818B (zh) * 2013-10-23 2016-03-02 舟山市派德龙科技有限公司 自动螺丝批中刀杆的稳定结构
CN105152632A (zh) * 2015-08-06 2015-12-16 合肥汇智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耐磨损陶瓷凸轮环及其制备方法
CN107789018A (zh) * 2016-08-30 2018-03-13 重庆西山科技股份有限公司 医用往复刀具
CN109922927B (zh) * 2016-11-10 2020-12-22 日东工器株式会社 电动工具及其控制装置以及控制电路
CN212497584U (zh) * 2018-02-14 2021-02-09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手持工具
JP7125748B2 (ja) * 2018-10-17 2022-08-25 京都機械工具株式会社 先端工具
US11224923B2 (en) 2019-01-28 2022-01-18 C. & E. Fein Gmbh Tool holder for a machine tool
CN112706113A (zh) * 2020-12-22 2021-04-27 深圳市忆好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电视机制作组装用手持式电动螺丝机机头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63134A (en) * 1956-03-15 1960-12-06 Henry T M Rice Fluid operated releasable torque transmitting apparatus
US3596542A (en) * 1969-05-01 1971-08-03 Chicago Pneumatic Tool Co Pneumatic push-start, torque shut-off screw driver
US3613751A (en) * 1969-07-24 1971-10-19 Monogram Ind Inc Adjustable screwdriver
US3616883A (en) * 1970-06-08 1971-11-02 Black & Decker Mfg Co Adjustable clutch
JPS5893474A (ja) * 1981-11-26 1983-06-03 Fuji Electric Co Ltd 電流形インバータの制御装置
JPS5893474U (ja) * 1981-12-19 1983-06-24 日本電気精器株式会社 電動ドライバ
JPS58143173U (ja) * 1982-03-20 1983-09-27 オリムピツク釣具株式会社 電動工具におけるトルク調節付クラツチ機構
JPS5954828A (ja) * 1982-09-21 1984-03-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動工具のクラツチ装置
JPS6080872A (ja) * 1983-10-12 1985-05-08 Canon Inc 複写装置
JPS6090676A (ja) * 1983-10-24 1985-05-21 日東精工株式会社 自動ねじ締め機
JPS6080872U (ja) * 1983-11-11 1985-06-05 日立工機株式会社 クラツチ式締付工具
FR2584644B1 (fr) * 1985-07-11 1987-11-27 Facom Tournevis dynamometrique
JPS6333998A (ja) 1986-07-29 1988-02-13 Sawafuji Dainameka Kk 圧電形スピ−カ
JPS6393572A (ja) * 1986-10-09 1988-04-23 日立工機株式会社 クラツチ式締付工具
JPH01138673A (ja) * 1988-02-13 1989-05-31 Nec Corp メモリ回路
JPH058057Y2 (ko) * 1988-03-15 1993-03-01
JP3819078B2 (ja) * 1996-07-18 2006-09-06 勝行 戸津 無反動クラッチ機構を内蔵した電動回転工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3591A (ko) * 2014-03-31 2015-10-08 주식회사 융합테크 구름 접촉식 슬립토크 조절기능을 갖는 토크 리미트 드라이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55107A4 (en) 2009-03-04
CN100584539C (zh) 2010-01-27
EP1655107A1 (en) 2006-05-10
US20060185481A1 (en) 2006-08-24
EP1655107B1 (en) 2010-06-30
US7370561B2 (en) 2008-05-13
JP3992667B2 (ja) 2007-10-17
KR100675536B1 (ko) 2007-01-30
WO2005014234A1 (ja) 2005-02-17
CN1852789A (zh) 2006-10-25
TWI248388B (en) 2006-02-01
JP2005059144A (ja) 2005-03-10
TW200520905A (en) 200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5536B1 (ko) 전동 드라이버
JP4308250B2 (ja) 外科用回転駆動ハンドピース
EP1690618B1 (en) Power tool
US5372206A (en) Tightening tool
US6668941B2 (en) Screw holding and driving device
US7806636B2 (en) Dead spindle chucking system with sliding sleeve
EP1649979B1 (en) Tightening tool
US8474118B2 (en) Insertion tool for tangless spiral coil insert
US5947210A (en) Power screwdriver
US6497418B2 (en) Tool-bit holding device in percussion tool
JPH07195278A (ja) 手持ち穿孔機
JPH0938869A (ja) 手工具
EP1795307A2 (en) Power impact tool adapter
US5706903A (en) Tool
WO2003011533B1 (en) Battery powered screwdriver and screw starting device
JPH07214406A (ja) 工具保持体
GB2327376A (en) Centrifugal force-controlled coupling switch mechanism
JP2004195642A (ja) 螺旋状コイルインサートの動力装着工具
CN112137682A (zh) 颅骨钻装置
CN211723328U (zh) 颅骨钻装置
WO2004106007A1 (en) Screw holding and driving device
JP2003191179A (ja) 手工具装置のためのねじ回し装置
JPH11342138A (ja) 医療用または歯科用回転工具の着脱自在の固定装置
JP2000296406A5 (ko)
JP2568078Y2 (ja) 軸結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