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9922A -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및 그 용도 - Google Patents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및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9922A
KR20060009922A KR1020057021369A KR20057021369A KR20060009922A KR 20060009922 A KR20060009922 A KR 20060009922A KR 1020057021369 A KR1020057021369 A KR 1020057021369A KR 20057021369 A KR20057021369 A KR 20057021369A KR 20060009922 A KR20060009922 A KR 20060009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ylene
ethylene
mol
polymer composition
olef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1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7354B1 (ko
Inventor
료지 모리
다카시 나카가와
아키라 도도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09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9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3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2Copolymers of propene at least partially crystalline copolymers of propene with other 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0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groups C08L7/00 - C08L49/00, or C08L55/00 - C08L57/00; Derivatives thereof
    • C08L2666/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hydrocarbons; Derivatives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성, 유연성, 내열성, 내긁힘성, 고무 탄성이 밸런스 좋게 뛰어난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이소탁틱 폴리프로필렌(i)을 1∼40중량부, 프로필렌 성분을 45∼98몰%, 에틸렌 성분을 10∼25몰%, 필요에 따라서 탄소수 4∼20의 α-올레핀 유래의 성분 단위(a)를 0∼30몰%의 양 함유하는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ii)를 60∼99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

Description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및 그 용도{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투명성, 유연성, 내긁힘성, 내열성, 고무 탄성이 뛰어난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은 염가이고 강성, 내습성, 및 내열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자동차 재료나 가전 재료 등 광범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으로 환경 호르몬, 다이옥신 등의 문제 때문에 탈연질 염화비닐의 동향이 강해지는 중, 유연성, 투명성을 가진 폴리올레핀이 요망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TPO라 불리는 열가소성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유연성이 뛰어나지만 투명성이 없고, 또한 PP에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첨가한 계(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7-048485호 공보)는 유연하고 투명성을 갖지만 고가이기 때문에, 용도가 한정되어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수반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염가이고 투명성, 유연성, 내열성, 내긁힘성, 고무 탄성이 밸런스 좋게 뛰어난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St계 또는 에틸렌계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하지 않는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은 이하의 (A), (B), (C), (D)를 함께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A) 토션 모드(torsion mode)에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1Orad/s)에서, -25℃∼25℃의 범위에 손실 탄젠트(tanδ)의 피크를 갖고, 또한 그 값이 0.5 이상이고,
(B) 상기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부터 얻어지는 저장 탄성률 G((20℃)와 G' (100℃)의 비(G'(20℃)/G'(10O℃))가 5 이하이고,
(C) JIS K7196에 의거하여 측정되는 바늘 침입 온도(℃)가 100℃∼168℃이고,
(D) 척 간 30mm, 인장 속도 30mm/분으로 100% 변형을 주어, 10분간 유지한 뒤에 제하(除荷;unload) 10분 후의 잔류 변형이 20% 이하.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은,
아이소탁틱 폴리프로필렌(i)을 1∼40중량부, 프로필렌 성분을 45∼89몰%, 에틸렌 성분을 10∼25몰%, 필요에 따라서 탄소수 4∼20의 α-올레핀 유래의 성분 단위(a)를 0∼30몰%의 양 함유하는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ii)(여기서 에틸렌 성분과 탄소수 4∼20의 α-올레핀 유래의 성분 단위(a)의 적어도 한쪽은 O몰%는 아님)을 60∼99중량부 함유하고,
JIS 6301에 의거하여 측정한 인장 탄성률(YM)이 100MPa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서는, 상기 탄소수 4∼20의 α-올레핀 유래의 성 분 단위(a)가 1-부텐 및/또는 1-옥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은 투명성, 유연성, 내열성, 내긁힘성, 고무 탄성이 밸런스 좋게 뛰어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처음에,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에 함유되는 각 성분(i), (ii)에 대해서 설명한다.
아이소탁틱 폴리프로필렌(i)
본 발명에서는, 하기와 같은 특성을 가진 특정 프로필렌 중합체가 사용된다. 이 프로필렌 중합체는, 하기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면 호모폴리프로필렌이어도,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여도,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여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호모 폴리프로필렌 또는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이소탁틱 폴리프로필렌(i)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ASTM D1238, 230℃, 2.16kg하중 하)는 0.01∼400 g/10분, 바람직하게는 0.5∼90 g/10분이다. 또한, DSC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융점은 120℃ 이상이고, 130℃ 이상이 바람직하고, 15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MFR 값의 아이소탁틱 폴리프로필렌(i)으로는 유동성이 뛰어나고, 대형품도 성형할 수 있는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이 얻어진다. 또한 MFR값이 400 g/10분을 넘는 아이소탁틱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되는 조성물은 내충격성(IZ 충격 강도)이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아이소탁틱 폴리프로필렌(i)이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인 경우에, α-올레핀으로는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20의 α-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을 0.3∼7 몰%의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0.3∼6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0.3∼5 몰%의 양으로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로필렌 중합체의 상온 n-데칸 가용 성분 함량은 시료(프로필렌 중합체) 5g을, 비등 n-데칸 200cc중에 5시간 침지하여 용해한 뒤, 실온까지 냉각하여, 석출한 고상을 G4 유리 필터로 여과한 뒤, 건조하여 측정한 고상 중량으로부터 역산하여 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이소탁틱 폴리프로필렌(i)은 각종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입체 규칙성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체상 티탄 촉매 성분과 유기 금속 화합물 촉매 성분과 또한 필요에 따라서 전자 공여체로 형성되는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고체상 티탄 촉매 성분으로는, 구체적으로, 3염화티탄 또는 3염화티탄 조성물이, 비표면적이 100㎡/g 이상인 담체에 담지된 고체상 티탄 촉매 성분, 또는 마그네슘, 할로겐, 전자 공여체(바람직하게는 방향족 카복실산에스테르 또는 알킬기 함유 에테르) 및 티탄을 필수 성분으로 하고, 이들 필수 성분이 비표면적 1OO㎡/g 이상인 담체에 담지된 고체상 티탄 촉매 성분을 들 수 있다. 또한 메탈로센 촉매로 제조할 수도 있다. 이들 중, 특히 후자의 고체상 티탄 촉매 성분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기 금속 화합물 촉매 성분으로는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로는 구체적으로, 트리알킬알루미늄, 디알킬알루미늄할라 이드, 알킬알루미늄세스키할라이드, 알킬알루미늄디할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은 사용하는 티탄 촉매 성분의 종류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전자 공여체로는 질소 원자, 인 원자, 황 원자, 규소 원자 또는 붕소 원자 등을 갖는 유기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와 같은 원자를 갖는 에스테르 화합물 및 에테르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촉매는 공분쇄 등의 방법에 의해 더 활성화되어도 좋고, 또한 상기와 같은 올레핀이 전(前)중합되어 있어도 좋다.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ii)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는 프로필렌 성분을 45∼89몰%, 바람직하게는 45∼80몰%, 바람직하게는 50∼75몰%, 에틸렌 성분을 10∼25몰%, 바람직하게는 10∼23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23몰%, 필요에 따라서 탄소수 4∼20의 α-올레핀 유래의 성분 단위(a)를 0∼30몰%, 바람직하게는, 0∼25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0∼20몰%의 양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양으로 프로필렌, 에틸렌 성분, 필요에 따라서 탄소수 4∼20의 α-올레핀 성분을 함유하는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ii)는 아이소탁틱 폴리프로필렌과의 상용성이 양호해지고, 얻어지는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은 충분한 투명성, 유연성, 내열성, 내긁힘성을 발휘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ii)는 135℃ 데카린 중에서 측정한 고유 점도[η]가 통상 0.01∼10 dl/g, 바람직하게는 0.05∼10 dl/g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ii)의 고유 점도[η]가 상기 범위내에 있으면, 내후성, 내오존성, 내열 노화성, 저온 특성, 내동적 피로성 등의 특성이 뛰어난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로 된다.
이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ii)는, JIS K6301에 의거하여, JIS3호 덤벨을 사용하여, 스팬(span) 간:30mm, 인장 속도:30 mm/분으로 23℃에서 측정한, 100% 변형에서의 응력(M1O0)이 4Mpa 이하, 바람직하게는 3Mpa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Mpa 이하이다. 그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ii)가 이러한 범위에 있으면 유연성, 투명성, 고무 탄성이 뛰어나다.
이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ii)는 X선 회절로 측정한 결정화도가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0∼15%이다. 또한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ii)는 단일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고, 또한 시차주사형 열량계(DSC)에 의해서 측정한 유리 전이 온도 Tg가 통상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ii)의 유리 전이 온도 Tg가 상기 범위내에 있으면, 내한성, 저온특성이 뛰어나다.
이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ii)는 시차주사형 열량계(DSC)에서의 흡열 곡선에서 융점(Tm,℃)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융해열량 ΔH가 30J/g 이하이고, 또한 C3 함량(몰%)과 융해열량 ΔH(J/g)의 관계에서 이하의 관계식이 성립된다.
ΔH < 345Ln(C3 함량 몰%)-1492, 단 이 경우, 76≤C3 함량(몰%)≤90
또한 GPC에 의해 측정한 분자량 분포(Mw/Mn, 폴리스티렌 환산, Mw:중량 평균 분자량, Mn:수평균 분자량)는 4.0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ii)는 그 일부가 극성 모노머에 의해 그래프트 변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극성 모노머로는 수산기 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 아미노기 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 에폭시기 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 방향족 비닐 화합물, 불포화 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 비닐에스테르 화합물, 염화비닐 등을 들 수 있다.
변성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상기와 같은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ii)에, 극성 모노머를 그래프트 중합시킴에 의해 얻어진다.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ii)에, 상기와 같은 극성 모노머를 그래프트 중합시킬 때에는, 극성 모노머는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ii) 100중량부에 대해서, 통상 1∼1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8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그래프트 중합은 통상 래디칼 개시제의 존재 하에 행해진다.
래디칼 개시제로는 유기 과산화물 또는 아조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래디칼 개시제는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ii) 및 극성 모노머와 그대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소량의 유기 용매에 용해하고나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유기 용매로는 래디칼 개시제를 용해할 수 있는 유기용매이면 특히 한정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ii)에 극성 모노머를 그래프트 중합시킬 때에는 환원성 물질을 사용해도 좋다. 환원성 물질을 사용하면, 극성 모노머의 그래프트 양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ii)의 극성 모노머에 의한 그래프트 변성은 종래 공지 방법으로 행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ii)를 유기 용매에 용해한 다음에, 극성 모노머 및 래디칼 개시제 등을 용액에 첨가하고, 70∼200℃, 바람직하게는 80∼190℃의 온도에서, 0.5∼15시간, 바람직하게는 1∼10시간 반응시킴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압출기 등을 사용하여, 무용매로,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ii)와 극성 모노머를 반응시켜, 변성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ii)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 반응은 통상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ii)의 융점 이상, 구체적으로는 120∼250℃의 온도에서, 통상 0.5∼10분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변성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변성량(극성 모노머의 그래프트 양)은 통상 0.1∼50중량%, 바람직하게는 0.2∼3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2∼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에 상기의 변성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함유되면, 다른 수지와의 접착성, 상용성이 뛰어나고, 또한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성형체 표면의 젖음성이 개량되는 경우가 있다.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ii)의 제조
본 발명에 의한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ii)는 상기(i)아이소탁틱 폴리프로필렌 제조용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동일하게 제조할 수 있고, 또한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도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t계 또는 에틸렌계 블록 공중합체
St계 또는 에틸렌계 블록 공중합체라 함은 이하에 설명하는 에틸렌·α-올레핀계 블록 공중합체(M)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계 블록 공중합체(N)를 의미한다.
에틸렌·α-올레핀계 블록 공중합체(M)
본 발명에 의한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에 함유되지 않은 에틸렌·α-올레핀계 블록 공중합체(M)라 함은 탄소 원자수 3∼10의 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 5∼40몰%와,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 60∼95몰%로 되는 결정성 폴리에틸렌부를 함유한 저결정성 공중합체부와 비결정성 공중합체부로 된다.
또한 상기 에틸렌·α-올레핀계 블록 공중합체는
1. DSC의 흡열 곡선으로부터 얻어진 융점(Tm)과 정법(定法)의 NMR로부터 측정되는 에틸렌 함량(C2) 사이에 있어서,
Tm(℃) > 3.9×C2(몰%)-230
의 관계를 만족하고,
2. GPC에 의해 측정되는 분자량 분포가 1∼1.5이고
3. 실온에서의 n-데칸 가용 성분량이 0∼20중량%인
상기 1∼3을 모두 만족한다.
에틸렌·α-올레핀계 블록 공중합체의 23℃ n-데칸 가용 성분량은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한다. 즉, 교반장치가 부착된 1리터의 플라스크에, 중합체 시료 3g, 2,6-디-tert-부틸-4-메틸페놀 20mg, n-데칸 500ml를 넣고, 145℃의 유욕(油浴)상에서 가열 용해시킨다. 중합체 시료가 용해한 뒤, 약 8시간에 걸쳐 실온까지 냉각하고, 이어서 23℃의 수욕(水浴)상에서 8시간 유지한다. 석출한 중합체와, 용해 폴리머를 함유하는 n-데칸 용액을 G-4(또는 G-2)의 유리 필터로 여과 분리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용액을 10mmHg, 150℃의 조건으로 가열하여 n-데칸 용액에 용해한 폴리머를 정량으로 될 때까지 건조하고, 그 중량을 23℃ 데칸 가용 성분량으로 하고, 에틸렌·α-올레핀계 블록 공중합체의 23℃ n-데칸 가용 성분량은 중합체 시료의 중량에 대한 백분율로서 산출한다.
여기서, 탄소 원자수 3∼20의 올레핀으로는, 구체적으로는,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3-메틸-1-펜텐, 1-옥텐, 3-메틸-1-부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도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1-에이코센, 시클로펜텐, 시클로헵텐, 노르보르넨, 5-에틸-2-노르보르넨, 테트라시클로도데센, 2-에틸-1,4,5,8-디메타노-1,2,3,4,4a,5,8,8a-옥타히드로나프탈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탄소 원자수 3∼20의 올레핀 또는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는 2종 이상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에틸렌·α-올레핀계 블록 공중합체는 탄소 원자수 4∼20의 디엔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를 5몰% 이하의 양으로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디엔 화합물로는, 구체적으로는, 1,3-부타디엔, 1,3-펜타디엔, 1,4-펜타디엔, 1,3-헥사디엔, 1,4-헥사디엔, 1,5-헥사디엔, 4-메틸-1,4-헥사디엔, 5-메틸-1,4-헥사디엔, 6-메틸-1,6-옥타디엔, 7-메틸-1,6-옥타디엔, 6-에틸-1,6-옥타디엔, 6-프로필-1,6-옥타디엔, 6-부틸-1,6-옥타디엔, 6-메틸-1,6-노나디엔, 7-메틸-1,6-노나디엔, 6-에틸-1,6-노나디엔, 7-에틸-1,6-노나디엔, 6-메틸-1,6-데카디엔, 7-메틸-1,6-데카디엔, 6-메틸-1,6-운데카디엔, 1,7-옥타디엔, 1,9-데카디엔, 이소프렌, 부타디엔, 에틸리덴노르보르넨, 비닐노르보르넨, 디시클로펜타디엔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α-올레핀계 블록 공중합체(M)의 제조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05-04377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방향족 탄화수소계 블록 공중합체(N)
본 발명에 의한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에 함유되지 않은, 방향족 탄화수소계 블록 공중합체(N)라 함은 방향족 비닐로부터 유도되는 블록 중합 단위(X)와, 공역 디엔으로부터 유도되는 블록 중합 단위(Y)로 되는 방향족 비닐·공역 디엔 블록 공중합체(N1) 및 그 수첨물(N2)이다.
이러한 구성의 방향족 비닐·공역 디엔 블록 공중합체(N1)의 형태는, 예를 들면 X(YX)n 또는(XY)n [n은 1이상의 정수]로 나타낸다.
이러한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에서는, 하드 세그먼트인 방향족 비닐 블록 중합 단위(X)가 공역 디엔 블록 중합 단위(Y)의 가교 점으로 존재하여 물리 가교(도메인)를 형성하고 있다. 이 방향족 비닐 블록 중합 단위(X) 사이에 존재하는 공 역 디엔 블록 중합 단위(Y)는 소프트 세그먼트로서 고무 탄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블록 중합 단위(X)를 형성하는 방향족 비닐로는, 구체적으로는, 스티렌 외에, α-메틸스티렌, 3-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4-프로필스티렌, 4-도데실스티렌, 4-시클로헥실스티렌, 2-에틸-4-벤질스티렌, 4-(페닐부틸)스티렌 등의 스티렌 유도체를 들 수 있다. 또한, 블록 중합 단위(Y)를 형성하는 공역 디엔으로는 부타디엔, 이소프렌, 펜타디엔, 2,3-디메틸부타디엔 및 이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이 공역 디엔 블록 중합 단위(Y)가 부타디엔과 이소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경우에는 이소프렌, 부타디엔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40몰% 이상의 양으로 함유하고 있다. 또한, 공역 디엔 블록 중합 단위(Y)는 랜덤 공중합 단위, 블록 공중합 단위 또는 테이퍼드(taped) 공중합 단위의 어느 하나여도 좋다. 방향족 비닐 중합 단위의 함유량은 적외선 분광법, NMR 분광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방향족 비닐·공역 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N2)은 상기와 같은 방향족 비닐·공역 디엔 블록 공중합체(N1)를 공지의 방법에 의해 수첨함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방향족 비닐·공역 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수첨물(N2)은, 통상, 수첨율이 90% 이상이다. 이 수첨율은 공역 디엔 블록 중합 단위(Y) 중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의 전(全)량을 100%로 했을 때의 값이다.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본 발명에 의한 St계 또는 에틸렌계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하지 않는 프로필렌 공중합체 조성물은 이하의 (A), (B), (C), (D)를 함께 만족하고 있다. 여기서 St계 또는 에틸렌계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하지 않음이라 함은 St계 또는 에틸렌계 블록 공중합체의 본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중의 함유량이 1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중량%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A) 토션 모드에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1Orad/s)에서, -25℃∼25℃의 범위에서 손실 탄젠트(tanδ)의 피크를 갖고, 또한 그 값이 0.5 이상이고,
(B) 상기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부터 얻어지는 저장 탄성률 G((20℃)와 G'(100℃)의 비(G'(20℃)/G'(100℃))가 5 이하이고,
(C) JIS K7196에 의거하여 측정되는 바늘 침입 온도(℃)가 1OO℃∼168℃이고,
(D) 척 간 30mm, 인장 속도 3Omm/분으로 100% 변형을 주어, 10분간 유지한 뒤에 제하 10분후의 잔류 변형이 20% 이하임.
상기 (A)항에서, -25℃∼25℃의 범위에서, 손실 탄젠트 tanδ는 0.5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0.5∼2.5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0.6∼2의 범위에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25℃∼25℃의 범위에서의 손실 탄젠트 tanδ가 0.5 이하인 경우에는, 유연성을 충분히 발현할 수 없는 경향이 있고, 또한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도 내긁힘성이 뒤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B)항에서, 저장 탄성률 G((20℃)와 G'(100℃)의 비(G'(20℃)/G'(100℃))가 5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4 이하이고, 3.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저장 탄성률 G((20℃)와 G'(100℃)의 비((G'(20℃)/G'(100℃))가 5를 넘은 경우에는, 표면에 끈적임감 등이 생겨, 핸들링이 악화되거나, 충분한 내열성을 발현할 수 없는 경향이 있다.
상기 (C)항에서, JIS K7196에 의거하여 측정되는 바늘 침입 온도(℃)가 100℃∼168℃이고, 바람직하게는 120℃∼168℃, 더욱 바람직하게는 140℃∼168℃의 범위이다. 바늘 진입 온도가 100℃미만에서는, 가열 멸균 처리 등이 요구되는 용도에는 전개할 수 없다.
상기 (D)항에서, 길이 50mm, 폭이 5mm인 형상을 갖는 두께 1mmt의 덤벨 편(片)을 표선 간 30mm, 인장 속도 30mm/분으로 100% 변형을 주어, 10분간 유지한 뒤에 제하 10분후의 잔류 변형은 2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8%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6% 이하이다. 잔류 변형이 20%를 넘으면, 고무 탄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어, 신축성이나 복원성이 요구되는 용도에는 전개할 수 없다.
상기(A)∼(D)의 특성을 갖는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은, 아이소탁틱 폴리프로필렌(i)을 1∼4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3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중량부 함유하고, 프로필렌 성분을 45∼89몰%, 에틸렌 성분을 10∼25몰%, 필요에 따라서 탄소수 4∼20의 α-올레핀 유래의 성분 단위(a)를 0∼30몰%의 양 함유하는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ii)(여기서 에틸렌 성분과 탄소수 4∼20의 α-올레핀 유래의 성분 단위(a)의 적어도 한쪽은 0몰%는 아님)을 60∼99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0∼99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75∼99중량부 함유한다.
이러한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로 되는 성형물은 ASTM D1003에 의거하여 측정한 흐림도(Haze)가 25%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인 것이 요망된다.
이러한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로 되는 성형물은 JIS 6301에 준거하여 측정한 인장 탄성률(YM)이 100MPa 이하, 바람직하게는 80MPa 이하인 것이 요망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은 멜트 플로우 레이트(ASTM D1238, 230℃, 하중 2.16kg)가 통상 O.OOO1∼1OOO g/1O분, 바람직하게는 0.0001∼900 g/10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1∼800 g/10분이고, 135℃의 데카히드로나프탈렌 중에서 측정되는 고유 점도[η]가 통상 0.01∼10 dl/g, 바람직하게는 0.05∼10 dl/g, 더욱 바람직하게는 O.1∼1O dl/g이다.
본 발명에 의한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은 시차 주사형 열량계(DSC)에서의 흡열 곡선에서, 100℃ 이상에 융점(Tm,℃)의 최대 피크가 존재하고, 그 융해열량이 5∼40 J/g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5∼35 J/g의 범위에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의 최고 흡열 피크(융점)는 130℃ 이상, 바람직하게는 140℃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60℃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의 멜트 텐션(MT)은, 통상 0.5∼10g, 바람직하게는 1∼10g이고, 필름, 튜브 성형성 등의 성형성이 뛰어나다. 또한, 이 멜트 텐션(MT)은 멜트 텐션 테스터[(주)도요 세이키 세이사쿠쇼제]에 의해, 측정 온도 200℃, 압출 속도 15mm/분의 조건 하에서 압출되는 스트랜드를 일정 속도(10m/분)로 인취할 때에 필라멘트에 걸리는 장력으로서 구하였다.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
상기와 같은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은, 각 성분을 상기와 같은 범위에서 각종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다단 중합법, 헨셀 믹서, V-블렌더, 리본 블렌더, 텀블러 블렌더 등으로 혼합하는 방법, 또는 혼합 후, 일축 압출기, 이축 압출기, 니더, 반바리 믹서 등으로 용융 혼련한 뒤, 조립(造粒) 또는 분쇄하는 방법을 채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이소탁틱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내후성 안정제, 내열 안정제, 대전 방지제, 슬립 방지제, 안티 블로킹제, 방담제, 윤활제, 안료, 염료, 가소제, 노화 방지제, 염산 흡수제, 산화 방지제 등의 첨가제가 필요에 따라서 배합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하기에 상술하는「기타 공중합체」(엘라스토머) 등을,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도 있다.
기타 공중합체
본 발명에 의한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기타 공중합체」(엘라스토머, 엘라스토머용 수지)가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기타 공중합체」로는 에틸렌·α- 올레핀 랜덤 공중합체(iii), 에틸렌·디엔 공중합체(iv), 및 에틸렌·트리엔 공중합체(v)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공중합체는 1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된다.
이들 「기타 공중합체」는 본 발명의 아이소탁틱 폴리프로필렌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서, 통상 0∼3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20중량부의 양으로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 기타 공중합체를 상기와 같은 양으로 사용하면, 유연성, 투명성, 저온 내충격성의 밸런스가 뛰어난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는 조성물이 얻어진다.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iii)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iii)로는, 밀도가 0.860 g/㎤ 이상 0.895 g/㎤ 미만, 바람직하게는 O.86O∼O.890 g/㎤로서,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ASTM D1238, 190℃, 하중 2.16kg)가 0.5∼30 g/10분, 바람직하게는 1∼20 g/10분인 연질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에틸렌과 공중합시키는 α-올레핀은 탄소 원자수 3∼20의 α-올레핀이고, 구체적으로는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1-운데센, 1-도데센, 1-헥사도데센, 1-옥타데센, 1-노나데센, 1-에이코센, 4-메틸-1-펜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탄소 원자수 3∼10의 α-올레핀이 바람직하다. 이들 α-올레핀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된다.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iii)는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60∼90몰%의 양으로, 탄소 원자수 3∼20의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10∼40몰%의 양으로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iii)는 이들 단위 외에,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하지 않은 범위에서, 다른 중합성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다른 중합성 모노머로는, 예를 들면 스티렌, 비닐시클로펜텐, 비닐시클로헥산, 비닐노르보르난 등의 비닐 화합물류;
아세트산비닐 등의 비닐 에스테르류;
무수 말레인산 등의 불포화 유기산 또는 그 유도체;
부타디엔, 이소프렌, 펜타디엔, 2,3-디메틸부타디엔 등의 공역 디엔류;
1,4-헥사디엔, 1,6-옥타디엔, 2-메틸-1,5-헥사디엔, 6-메틸-1,5-헵타디엔, 7-메틸-1,6-옥타디엔, 디시클로펜타디엔, 시클로헥사디엔, 디시클로옥타디엔, 메틸렌노르보르넨, 5-비닐노르보르넨,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5-메틸렌-2-노르보르넨, 5-이소프로필리덴-2-노르보르넨, 6-클로로메틸-5-이소프로페닐-2-노르보르넨, 2,3-디이소프로필리덴-5-노르보르넨, 2-에틸리덴-3-이소프로필리덴-노르보르넨, 2-프로페닐-2,2-노르보르나디엔 등의 비공역 폴리엔류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iii)는 이러한 다른 중합성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10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몰% 이하의 양으로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iii)로는, 구체적으로는,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에틸리덴노르보르넨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1-헥센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1-옥텐 랜덤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1-헥센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1-옥텐 랜덤 공중합체 등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공중합체는 2종 이상 병용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iii)는 X선 회절법에 의해 측정되는 결정화도가 통상 40% 이하, 바람직하게는 0∼39%, 더욱 바람직하게는 0∼35%이다.
상기와 같은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는 바나듐계 촉매, 티탄계 촉매 또는 메탈로센계 촉매 등을 사용하는 종래 공지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iii)는 신디오탁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중에, 통상 0∼40중량%, 바람직하게는 0∼35중량%의 양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iii)를 상기와 같은 양을 사용하면, 강성 및 경도, 투명성, 내충격성의 밸런스가 뛰어난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는 조성물이 얻어진다.
에틸렌· 디엔 공중합체(iv)
본 발명에서 엘라스토머로서 사용되는 에틸렌·디엔 공중합체(iv)는 에틸렌과 디엔의 랜덤 공중합체이다.
에틸렌과 공중합시키는 디엔으로는, 구체적으로는,
디시클로펜타디엔, 1,4-헥사디엔, 시클로옥타디엔, 메틸렌노르보르넨, 에틸리덴노르보르넨 등의 비공역 디엔;
부타디엔, 이소프렌 등의 공역 디엔;
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부타디엔, 이소프렌이 바람직하다. 이들 디엔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에틸렌·디엔 공중합체(iv)에서, 디엔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의 함유 비율은 통상 0.1∼30몰%, 바람직하게는 0.1∼20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15몰%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요망된다. 요오드가는 통상 1∼150, 바람직하게는 1∼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인 것이 요망된다. 또한, 에틸렌·디엔 공중합체(iv)의 135℃의 데카히드로나프타렌 중에서 측정한 고유 점도[η]는 O.01∼1O dl/g, 바람직하게는 0.05∼10 dl/g, 더욱 바람직하게는 0.1∼10 dl/g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요망된다. 이러한 에틸렌·디엔 공중합체(iv)는 종래부터 공 지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에틸렌·디엔 공중합체(iv)는 아이소탁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중에, 통상 0∼40중량%, 바람직하게는 0∼35중량%의 양으로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 에틸렌·디엔 공중합체(iv)를 상기와 같은 양으로 사용하면, 강성 및 경도, 투명성, 내충격성의 밸런스가 뛰어난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는 조성물이 얻어진다.
에틸렌·트리엔 공중합체(v)
본 발명에서 엘라스토머로서 사용되는 에틸렌·트리엔 공중합체(v)는 에틸렌과 트리엔의 랜덤 공중합체이다.
에틸렌과 공중합시키는 트리엔으로는, 구체적으로는,
6,10-디메틸-1,5,9-운데카트리엔, 4,8-디메틸-1,4,8-데카트리엔, 5,9-디메틸-1,4,8-데카트리엔, 6,9-디메틸-1,5,8-데카트리엔, 6,8,9-트리메틸-1,5,8-데카트리엔, 6-에틸-10-메틸-1,5,9-운데카트리엔, 4-에틸리덴-1,6-옥타디엔, 7-메틸-4-에틸리덴-1,6-옥타디엔, 4-에틸리덴-8-메틸-1,7-노나디엔(EMND), 7-메틸-4-에틸리덴-1,6-노나디엔, 7-에틸-4-에틸리덴-1,6-노나디엔, 6,7-디메틸-4-에틸리덴-1,6-옥타디엔, 6,7-디메틸-4-에틸리덴-1,6-노나디엔, 4-에틸리덴-1,6-데카디엔, 7-메틸-4-에틸리덴-1,6-데카디엔, 7-메틸-6-프로필-4-에틸리덴-1,6-옥타디엔, 4-에틸리덴-1,7-노나디엔, 8-메틸-4-에틸리덴-1,7-노나디엔, 4-에틸리덴-1,7-운데카디엔 등의 비공역 트리엔;
1,3,5-헥사트리엔 등의 공역 공역 트리엔;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트리엔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 다.
상기와 같은 트리엔은 예를 들면 EP 0691354A1 공보, WO 96/2015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종래 공지 방법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틸렌·트리엔 공중합체(v)에서, 트리엔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의 함유 비율은 통상 0.1∼30몰%, 바람직하게는 0.1∼20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15몰%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요망된다. 요오드가는 통상 1∼200, 바람직하게는 1∼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인 것이 요망된다.
또한, 에틸렌·트리엔 공중합체(v)의 135℃의 데카히드로나프탈렌 중에서 측정한 고유 점도[η]는 0.01∼10 dl/g, 바람직하게는 0.05∼1O dl/g, 더욱 바람직하게는 O.1∼1O dl/g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요망된다.
상기와 같은 에틸렌·트리엔 공중합체(v)는 종래 공지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에틸렌·트리엔 공중합체(v)는 아이소탁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중에, 통상 0∼40중량%, 바람직하게는 0∼35중량%의 양으로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 에틸렌·트리엔 공중합체(v)를 상기와 같은 양으로 사용하면, 강성 및 경도, 투명성, 내충격성의 밸런스가 뛰어난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는 조성물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서 연화제(vi), 무기 충전재(vii)를 사용할 수 있다. 연화제(vi)로서,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스 오일, 윤활유, 파라핀, 유동 파라핀, 석유 아스팔트, 바셀린 등의 석유계 물질; 콜타르, 콜타르 피치 등의 콜타르류; 피마자유, 아마인유, 유채씨유, 대두유, 야자유 등의 지방유; 톨유, 밀납, 카르나우바 왁스, 라놀린 등이 왁스류; 리시놀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바륨, 스테아린산칼슘 등의 지방산 또는 그 금속염; 석유 수지, 쿠마론인덴 수지, 아탁틱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고분자 물질; 디옥틸 프탈레이트, 디옥틸 아디페이트, 디옥틸 세바케이트 등의 에스테르계 가소제; 기타 마이크로 크리스탈린 왁스, 사브(팍티스), 액상 폴리부타디엔, 변성 액상 폴리부타디엔, 액상 티오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연화제(vi)는 아이소탁틱 폴리프로필렌(i)과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ii)의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해서 200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2∼100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연화제(vi)의 사용량이 200중량부를 넘으면, 얻어지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내열성, 내열 노화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서, 필요에 따라서 사용되는 무기 충전제(vii)로서, 구체적으로는, 탄산칼슘, 규산칼슘, 클레이, 카리온, 탈크, 실리카, 규조토, 운모분, 아스베스토스, 알루미나, 황산바륨, 황산알루미늄, 황산칼슘, 염기성 탄산마그네슘, 이황화몰리브덴, 그라파이트, 유리 섬유, 유리 구, 시라스 발룬, 수산화 칼슘, 수산화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무기 충전제(vii)는 아이소탁틱 폴리프로필렌(i)과 프로필렌·에틸렌·α -올레핀 공중합체(ii)의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해서, 200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2∼200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무기 충전제(vii)의 사용량이 200중량부를 넘으면, 얻어지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고 무 탄성, 성형 가공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로 되는 성형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은 종래 공지의 폴리올레핀 용도에 널리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예를 들면 시트, 미연신 또는 연신 필름, 필라멘트, 다른 각종 형상의 성형체로 성형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로 되는 성형체는 다층 적층체여도 좋으며, 적어도 그 1층이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을 함유하여 되는 층으로서, 다층 필름 및 시트, 다층 용기, 다층 튜브, 수계 도료의 1구성 성분으로서 함유되는 다층 도막 적층체 등을 들 수 있다.
성형체로는 구체적으로는, 압출 성형, 사출 성형, 인플레이션 성형, 블로우 성형, 압출 블로우 성형, 사출 블로우 성형, 프레스 성형, 진공 성형, 캘린더 성형, 발포 성형 등의 공지의 열성형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성형체를 들 수 있다. 이하에 여러 예를 들어 성형체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성형체가 예를 들면 압출 성형체인 경우, 그 형상 및 제품 종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시트, 필름(미연신), 파이프, 호스, 전선 피복, 튜브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시트(표피재), 필름, 튜브, 카테터, 모노필라멘트(부직포) 등이 바람직하다.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을 압출 성형할 때에는, 종래 공지의 압출 장치 및 성형 조건을 채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단축 스크류 압출기, 혼련 압출기, 램 압출기, 기어 압출기 등을 사용하여, 용융한 프로필렌 조성물을 특정 다이스 등으로 부터 압출함에 의해 소망한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연신 필름은 상기와 같은 압출 시트 또는 압출 필름(미연신)을, 예를 들면 텐터법(종횡 연신, 횡종 연신), 동시 2축 연신법, 1축 연신법 등의 공지의 연신 방법에 의해 연신하여 얻을 수 있다.
시트 또는 미연신 필름을 연신할 때의 연신 배율은 이축 연신의 경우에는 통상 20∼70배 정도, 또한 1축 연신의 경우에는 통상 2∼10배 정도이다. 연신에 의해서, 두께 5∼200㎛ 정도의 연신 필름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름상 성형체로서, 인플레이션 필름을 제조할 수도 있다. 인플레이션 성형 시에는 드로우 다운을 일으키기 어렵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로 되는 시트 및 필름 성형체는 대전하기 어렵고, 인장 탄성률 등의 강성, 내열성, 신축성, 내충격성, 내노화성, 투명성, 투시성, 광택, 강성, 방습성 및 가스 배리어성이 뛰어나서, 포장용 필름 등으로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로 되는 시트 및 필름 성형체는 다층 성형체라도 좋고,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을 적어도 1층 함유하고 있는 다층 적층체로서 사용된다.
또한, 필라멘트 성형체는, 예를 들면 용융한 프로필렌 조성물을, 방사 구금을 통하여 압출함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판 본드법, 멜트 블로운법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필라멘트를 더 연신하여도 좋다. 이 연신은 필라멘트의 적어도 1축 방향이 분자 배향할 정도로 행하면 좋고, 통상 5∼10배 정도의 배율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프로필렌 조성물 로 되는 필라멘트는 대전하기 어렵고, 또한 투명성, 강성, 내열성 및 내충격성, 신축성 이 뛰어나다.
사출 성형체는 종래 공지의 사출 성형 장치를 사용하여 공지의 조건을 채용하여, 프로필렌 조성물을 각종 형상으로 사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프로필렌 조성물로 되는 사출 성형체는 대전하기 어렵고, 투명성, 강성, 내열성, 내충격성, 표면 광택, 내약품성, 내마모성 등이 뛰어나고, 자동차 내장용 트림재, 자동차용 외장재, 가전 제품의 하우징, 용기 등에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
블로우 성형체는 종래 공지의 블로우 성형 장치를 사용하여 공지의 조건을 채용하여,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을 블로우 성형함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로 되는 블로우 성형체는 다층 성형체여도 좋으며,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을 적어도 1층 함유하고 있다.
예를 들면 압출 블로우 성형에서는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을 수지 온도 100℃∼300℃의 용융 상태로 다이로부터 압출하여 튜브상 패리손을 형성하고, 다음에 패리손을 소망 형상의 금형 중에 유지한 후 공기를 불어넣어, 수지 온도 130℃∼300℃에서 금형에 착장(着裝)함에 의해 중공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다. 연신(블로우) 배율은 횡방향으로 1.5∼5배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출 블로우 성형에서는,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을 수지 온도 100℃∼300℃에서 패리손 금형에 사출하여 패리손을 성형하고, 다음에 패리손을 소망 형상의 금형 중에 유지한 후 공기를 불어 넣어, 수지 온도 120℃∼300℃에서 금형에 착장함에 의해 중공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다. 연신(블로우) 배율은 종 방향 으로 1.1∼1.8배, 횡방향으로 1.3∼2.5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로 되는 블로우 성형체는 투명성, 유연성, 내열성 및 내충격성이 뛰어난 동시에 방습성도 우수하다.
프레스 성형체로는 몰드 스탬핑 성형체를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기재와 표피재를 동시에 프레스 성형하여 양자를 복합 일체화 성형(몰드 스탬핑 성형)할 때의 기재를 본 발명에 의한 프로필렌 조성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몰드 스탬핑 성형체로는, 구체적으로는, 도어 트림, 리어 패키지 트림, 시트 백 가니쉬(garnish), 인스트루먼트 패널 등의 자동차용 내장재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로 되는 프레스 성형체는 대전하기 어렵고, 유연성, 내열성, 투명성, 내충격성, 내노화성, 표면 광택, 내약품성, 내마모성 등이 우수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투명성, 내충격성, 유연성, 내열성, 내긁힘성, 고무 탄성 등이 밸런스 좋게 뛰어난 성형물을 얻을 수 있는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이 얻어진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물성 시험 조건 등을 기재한다.
[동적 점탄성 측정]
레오메트릭사제 RDS-II를 사용하여, 폭 10mm, 길이 38mm 사이에서의 토션 모드(비틀림)로, 온도상승 속도 2℃/분으로 -100℃∼100℃까지 10rad/s로서 측정하고, 각 온도에서의 손실 탄젠트 tanδ 및 저장 탄성률 G'의 값을 얻었다.
[인장 시험]
잔류 변형;
길이 50mm, 표선 간의 길이(L0) 30mm, 폭이 5mm인 형상을 가진 두께 1mmt의 덤벨 편(片)을 척 간 30mm, 인장 속도 30mm/분으로 하중을 걸어 100%(척 간을 60mm까지) 변형을 주어, 10분간 유지한 뒤에 제하(하중을 제거) 10분후의 표선 간의 길이(L)mm를 측정하였다.
잔류 변형(%)=[(L-L0)/L0]×100
인장 탄성률 및 M100(100% 변형에서의 인장 응력);
JIS K6301에 의거하여, JIS3호 덤벨을 사용하여, 스팬 간:3Omm, 인장 속도:30mm/분으로 23℃에서 측정하였다.
[바늘 침입 온도(t)]
JIS K7196에 의거하여, 두께 1mm의 시험편을 사용하여, 온도상승 속도 5℃/분으로 1.8mmφ의 평면 압자에 2Kg/㎠의 압력을 걸어, TMA 곡선으로부터, 바늘 진입 온도(℃)를 구하였다.
[헤이즈(%)]
두께 1mm의 시험편을 사용하여, 닛뽄덴쇼쿠고교(주)제의 디지털 탁도계 「 NDH-20D」로 측정하였다.
[내마모성 시험]
도요세이키제, 가꾸신 마모시험기를 사용하여, 두께 2mm의 시험편을 사용하고, 45R, SUS제의 마모 압자 470g의 선단을 면범포(綿帆布) #10으로 덮고, 이것을 23℃,왕복 회수 100회, 왕복 속도 33회/분, 스트로크(stroke) 100mm로 시료를 마모시켜, 그 전후의 글로스 변화율 ΔGloss를 이하와 같이 하여 구하였다.
ΔGloss=(마모 전의 Gloss - 마모 후의 Gloss)/마모 전의 Gloss×100.
[융점(Tm) 및 유리 전이 온도(Tg)]
DSC의 흡열 곡선을 구하여, 최대 피크 위치의 온도를 Tm으로 한다. 측정은 시료를 알루미늄팬에 넣고, 100℃/분으로 200℃까지 온도상승시켜, 200℃에서 10분간 유지한 후, 100℃/분으로 -150℃까지 10℃/분으로 온도를 내리고, 그 다음에 10℃/분으로 온도 상승시킬 때의 흡열 곡선으로부터 구하였다.
[고유 점도[η]]
135℃, 데칼린 중에서 측정하였다.
[Mw/Mn]
GPC(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오르토디클로로벤젠 용매로, 140℃에서 측정하였다.
[합성예 1]
(프로필렌·에틸렌·부텐 공중합체의 합성)(ii-1)
충분히 질소 치환한 2000ml의 중합 장치에, 917ml의 건조 헥산, 1-부텐 85g 과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1.Ommol)을 상온에서 주입한 뒤, 중합 장치 내부 온도를 65℃로 온도상승시키고, 프로필렌으로 계내의 압력을 0.77MPa로 되도록 가압한 뒤에, 에틸렌으로, 계내 압력을 O.78MPa로 조정하였다. 그 다음에, 디메틸메틸렌(3-tert-부틸-5-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플루오레닐 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0.OO2mmol과 알루미늄 환산으로 0.6mmol의 메틸알루미녹산(도소·파인켐사제)을 접촉시킨 톨루엔 용액을 중합기내에 첨가하여, 내부 온도 65℃, 계내 압력을 0.78MPa로 에틸렌으로 유지하면서 20분간 중합하고, 20ml의 메탄올을 첨가하여 중합을 정지시켰다. 탈압 후, 2L의 메탄올 중에서 중합 용액으로부터 폴리머를 석출시키고, 진공 하 130℃, 12시간 건조하였다. 얻어진 폴리머는 60.4g이고, 고유 점도[η]가 1.81dl/g이고, 유리 전이 온도 Tg는 -27℃이고, 에틸렌 함량은 13몰%이고, 부텐 함량은 19몰이고, GPC에 의해 측정한 분자량 분포(Mw/Mn)는 2.4였다. 또한 DSC 측정에 의한 융해열량은 명료한 융해 피크는 확인할 수 없었다.
[합성예 2]
(프로필렌·에틸렌·부텐 공중합체의 합성)(ii-2)
충분히 질소 치환한 2000ml의 중합 장치에, 833ml의 건조 헥산, 1-부텐 2O0g과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1.0mmol)를 상온에서 주입한 뒤, 중합 장치 내부 온도를 40℃로 온도상승시키고, 프로필렌으로 계내의 압력을 0.77MPa로 되도록 가압한 뒤에, 에틸렌으로, 계내 압력을 0.8MPa로 조정하였다. 그 다음에, 디메틸메틸렌(3-tert-부틸-5-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플루오레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O.OO1mmol과 알루미늄 환산으로 0.3mmol의 메틸알루미녹산(도소·파인켐사제)을 접촉시킨 톨루 엔 용액을 중합기 내에 첨가하고, 내부 온도 40℃, 계내 압력을 0.8MPa로 에틸렌으로 유지하면서 20분간 중합하고, 20ml의 메탄올을 첨가하여 중합을 정지시켰다. 탈압 후, 2L의 메탄올 중에서 중합 용액으로부터 폴리머를 석출시키고, 진공 하, 130℃, 12시간 건조하였다. 얻어진 폴리머는 41.4g이고, 고유 점도[η]가 2.1dl/g이고, 유리 전이 온도 Tg는 -31℃이고, 에틸렌 함량은 15몰%이고, 부텐 함량은 23몰이고, GPC에 의해 측정한 분자량 분포(Mw/Mn)는 2.1이었다. 또한 DSC 측정에 의한 융해열량은 명료한 융해 피크는 확인할 수 없었다.
[합성예 3]
(프로필렌·에틸렌·부텐 공중합체의 합성)(ii-3)
충분히 질소 치환한 2000ml의 중합 장치에, 833ml의 건조 헥산, 1-부텐 1OOg과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1.Ommol)을 상온에서 주입한 뒤, 중합 장치 내부 온도를 40℃로 온도상승시키고, 프로필렌으로 계내의 압력을 0.76MPa로 되도록 가압한 뒤에, 에틸렌으로, 계내 압력을 0.8MPa로 조정하였다. 그 다음에, 디메틸메틸렌(3-tert-부틸-5-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플루오레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O.OO1mmol과 알루미늄 환산으로 0.3mmol의 메틸알루미녹산(도소·파인켐사제)을 접촉시킨 톨루엔 용액을 중합기 내에 첨가하고, 내부 온도 40℃, 계내 압력을 0.8MPa로 에틸렌으로 유지하면서 20분간 중합하고, 20ml의 메탄올을 첨가하여 중합을 정지시켰다. 탈압 후, 2L의 메탄올 중에서 중합 용액으로부터 폴리머를 석출시키고, 진공 하, 130℃, 12시간 건조하였다. 얻어진 폴리머는 36.4g이고, 고유 점도[η]는 1.81dl/g이고, 유리 전이 온도 Tg는 -29℃이고, 에틸렌 함량은 17몰%이고, 부텐 함 량은 7몰이고, GPC에 의해 측정한 분자량 분포(Mw/Mn)는 2.1이었다. 또한 DSC 측정에 의한 융해열량은 명료한 융해 피크는 확인할 수 없었다.
[합성예 4]
(프로필렌·에틸렌·부텐 공중합체의 합성)(ii-4)
충분히 질소 치환한 20OOml의 중합 장치에, 917ml의 건조 헥산, 1-부텐 5Og과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1.Ommol)을 상온에서 주입한 뒤, 중합 장치 내부 온도를 65℃로 온도상승시키고, 프로필렌으로 계내의 압력을 0.77MPa로 되도록 가압한 뒤에, 에틸렌으로, 계내 압력을 O.78MPa로 조정하였다. 그 다음에, 디메틸메틸렌(3-tert-부틸-5-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플루오레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0.002mmol과 알루미늄 환산으로 0.6mmol의 메틸 알루미녹산(도소·파인켐사제)을 접촉시킨 톨루엔 용액을 중합기 내에 첨가하고, 내부 온도 40℃, 계내 압력을 0.78MPa로 에틸렌으로 유지하면서 30분간 중합하여, 20ml의 메탄올을 첨가하여 중합을 정지시켰다. 탈압 후, 2L의 메탄올 중에서 중합 용액으로부터 폴리머를 석출시키고, 진공 하, 130℃, 12시간 건조하였다. 얻어진 폴리머는 46.4g이고, 고유 점도[η]가 1.51dl/g이고, 유리 전이 온도 Tg는 -30℃이고, 에틸렌 함량은 17몰%이고, 부텐 함량은 10몰이고, GPC에 의해 측정한 분자량 분포(Mw/Mn)는 2.1이었다. 또한 DSC 측정에 의한 융해열량은 명료한 융해 피크는 확인할 수 없었다.
[합성예 5]
(프로필렌·에틸렌·부텐 공중합체의 합성)(ii-5)
감압 건조 및 질소 치환해 둔 1.5리터의 오토클레이브에, 상온에서 헵탄을 675ml 첨가하고, 이어서 트리이소부틸 알루미늄(이하, TIBA라 함)의 1.O밀리몰/ml 톨루엔 용액을 알루미늄 원자로 환산하여 그 양이 0.3밀리몰로 되도록 0.3ml 첨가하고, 교반 하에 프로필렌을 28.5리터(25℃, 1기압), 1-부텐을 5리터(25℃, 1기압) 삽입하고, 온도상승을 개시하여 60℃에 도달시켰다. 그 후, 계내를 에틸렌으로 6.0kg/㎠G로 되도록 가압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합성한 공지의 방법으로 합성한 rac-디메틸실릴렌-비스(2-메틸-4-페닐-1-인데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의 톨루엔 용액(0.0001mM/ml)을 7.5ml, (트리페닐카르베늄테트라(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의 톨루엔 용액(0.001mM/ml)을 2.3ml 첨가하여, 프로필렌과 에틸렌과 1-부텐의 공중합을 개시하엿다. 이때의 촉매 농도는 전(全)계에 대해서 rac-디메틸실릴렌-비스(2-메틸-4-페닐-1-인데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가 0.001밀리몰/리터, 트리페닐카르베늄테트라(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가 0.003밀리몰/리터였다.
중합 중, 에틸렌을 연속적으로 공급함에 의해, 내압을 6.0kg/㎠G로 유지하였다. 중합을 개시하여 15분 후, 중합 반응을 메틸알콜을 첨가함에 의해 정지시켰다. 이 폴리머 용액을 석출시킨 후, 아세톤으로 충분히 세정하고 고체부(공중합체)를 여과에 의해 채취하였다. 질소 유통 하, 130℃, 350mmHg에서 12시간 건조하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프로필렌·부텐·에틸렌 공중합체의 수량은 24g이고, [η]은 1.9dl/g이고, 유리 전이 온도 Tg는 -31℃이고, 에틸렌 함량은 15몰%이고, 부텐 함량은 6몰이고, GPC에 의해 측정한 분자량 분포(Mw/Mn)는 2.4였다. 또한, DSC 측정에 의한 융해열량은 명료한 융해 피크는 확인할 수 없었다.
[실시예 1]
미쓰이 폴리프로필렌(B101:MFR=0.5, Tm=165℃)(i-1) 20중량부와, 합성예 1에서 얻어진 프로필렌·에틸렌·부텐 공중합체(ii-1) 80중량부를 200℃에서 2축 압출기로 혼련하여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을 얻었다. 결과를 표 1∼2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프로필렌·부텐·에틸렌 공중합체(ii-1)를 합성예 2에서 얻어진 프로필렌·에틸렌·부텐 공중합체(ii-2)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하였다. 결과를 표 1∼2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미쓰이 폴리프로필렌(B101:MFR=0.5, Tm=165℃)(i-1) 15중량부, 합성예 1에서 얻어진 프로필렌·에틸렌·부텐 공중합체(ii-1)를 합성예 3에서 얻어진 프로필렌·에틸렌·부텐 공중합체(ii-3) 85중량부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하였다. 결과를 표 1∼2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3에서, 미쓰이 폴리프로필렌(B101:MFR=0.5, Tm=165℃)(i-1) 25중량부, 합성예 3에서 얻어진 프로필렌·에틸렌·부텐 공중합체(ii-3)를 75중량부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하였다. 결과를 표 1∼2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3에서, 합성예 3에서 얻어진 프로필렌·에틸렌·부텐 공중합체(ii-3)를 합성예 4에서 얻어진 프로필렌·에틸렌·부텐 공중합체(ii-4)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하였다. 결과를 표 1∼2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4에서, 합성예 3에서 얻어진 프로필렌·에틸렌·부텐 공중합체(ii-3)를 합성예 4에서 얻어진 프로필렌·에틸렌·부텐 공중합체(ii-4)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하였다. 결과를 표 1∼2로 나타낸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프로필렌·부텐·에틸렌 공중합체(ii-1)를 미쓰이 가가꾸(주)제: 터프마 P(에틸레·프로필렌 공중합체, C2=80몰%, [η]=2.5dl/g)(ii-3)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하였다. 결과를 표 1∼2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미쓰이 폴리프로필렌(B101:MFR=0.5, Tm=165℃)(i-1) 40중량부와, 합성예 5에서 얻어진 프로필렌·에틸렌·부텐 공중합체(ii-5) 60중량부를 200℃에서 2축 압출기로 혼련하여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을 얻었다. 결과를 표 1∼2에 나타낸다.
[표 1]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1 비교예2
아이소탁틱 프로필렌(i-1) MFR(g/10분)=0.5 Tm;165℃ Mw/Mn=5.5 20 20 15 25 15 25 20 40
프로필렌·부텐·에틸렌 랜덤 공중합체(ii-1) [η]=1.9 TB/{M100×(Fp/100)0.5}:7.3 C2/C3/C4(몰%)=13/68/19(몰% ),M100=3.2MPa 80
프로필렌·부텐·에틸렌 랜덤 공중합체(ii-2) [η]=2.0 TB/{M100×(Fp/100)0.5}:1.8 C2/C3/C4(몰%)=15/62/23(몰% ),M100=1.1MPa 80
프로필렌·부텐·에틸렌 랜덤 공중합체(ii-3) [η]=2.0 TB/{M100×(Fp/100)0.5}:2.3 C2/C3/C4(몰%)=17/76/7(몰% ),M100=0.9MPa 85 75
프로필렌·부텐·에틸렌 랜덤 공중합체(ii-4) [η]=2.0 TB/{M100×(Fp/100)0.5}:2.4 C2/C3/C4(몰%)=17/73/10(몰% ),M100=1.0MPa 85 75
프로필렌·부텐·에틸렌 랜덤 공중합체(ii-5):쇼와덴코 TB/{M100×(Fp/100)0.5}:5.4 C2/C3/C4(몰%)=15/79/6(몰% ),M100=3.7MPa 60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 합체(ii-6) [η]=2.5 C2/C3(몰%)=80/20(몰%) 80
(표 1, 2 중의 수치는 중량%)
[표 2]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동적 점탄성 (A)손실 탄젠트 Tanδ 피크 (값,온도℃) (B)저장 탄성률의 비 (G'(20℃)/G(100℃) (C)바늘 진입 온도(℃) (D)잔류 변형(%) 인장 탄성률(YM)(MPa) 투명성(헤이즈)(%) 내마모성(ΔGloss)(%) 0.6 - 14℃ 3.8 151 12 25 10 35 0.9 - 18℃ 3.5 150 10 19 11 39 0.7 - 17℃ 2.5 153 7 17 12 31 0.6 - 16℃ 3.1 153 7 31 12 26 0.7 - 18℃ 3 153 8 17 12 34 0.6 - 16℃ 3.1 153 9 28 12 30 0.3 - 25℃ 5.1 60 32 22 80 62 0.5 - 18℃ 4.2 153 25 52 32
본 발명에 의하면, 투명성, 내충격성, 유연성, 내열성, 내긁힘성, 고무 탄성 등이 밸런스 좋게 뛰어난 성형물을 얻을 수 있는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이 얻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을 사용한 성형체는 투명성, 내킹크성(kink resistance), 유연성, 내열성, 내긁힘성, 고무 탄성 등의 물성 밸런스가 양호하여, 각종 용도로서의 요구 성능을 충분히 만족하고 있다.

Claims (7)

  1. 아이소탁틱 폴리프로필렌(i)을 1∼40중량부, 프로필렌 성분을 45∼89몰%, 에틸렌 성분을 10∼25몰%, 필요에 따라서 탄소수 4∼20의 α-올레핀 유래의 성분 단위(a)를 0∼30몰%의 양 함유하는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ii)를 60∼99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2. 아이소탁틱 폴리프로필렌(i)을 1∼40중량부와 하기 (a)와 (b)를 만족하는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ii)를 99∼60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a)프로필렌 성분을 45∼89몰%, 에틸렌 성분을 10∼25몰%, 필요에 따라서 탄소수 4∼20의 α-올레핀 유래의 성분 단위를 0∼30몰%의 양 함유.
    (b)시차주사형 열량계(DSC)에서의 흡열 곡선에서 융점(Tm, ℃)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융해열량 ΔH가 30J/g 이하이고, 또한 C3 함량(몰%)과 융해열량 ΔH(J/g)의 관계에서 이하의 관계식을 만족함.
    ΔH < 345Ln(C3함량 몰%)-1492, 단 이 경우, 76≤C3함량(몰%)≤9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시차주사형 열량계(DSC)에서의 흡열 곡선에서, 1OO℃이상에 융점(Tm, ℃)의 최대 피크가 존재하고, 그 융해열량이 5∼40J/g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ii)의 필요에 따라서 함유되는 탄소수 4∼20의 α-올레핀이 1-부텐 및 또는 1-옥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융 프레스 성형에 의해 얻어진 1mm 시트에서의 헤이즈가 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6. St계 또는 에틸렌계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하지 않는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로서, 이하의 (A), (B), (C), (D)를 함께 만족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A) 토션(torsion) 모드에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1Orad/s)에서, -25℃∼25℃의 범위에 손실 탄젠트(tanδ)의 피크를 갖고, 그 값이 0.5 이상이고,
    (B) 상기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부터 얻어지는 저장 탄성률 G((20℃)와 G'(100℃)의 비(G'(20℃)/G'(100℃))가 5 이하이고,
    (C) JIS K7196에 의거하여 측정되는 바늘 침입 온도(℃)가 1OO℃∼168℃이고,
    (D) 척 간 30mm, 인장 속도 3Omm/분으로 100% 변형을 주어, 10분간 유지한 뒤에 제하(除荷) 10분 후의 잔류 변형이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로 되는 성형체.
KR1020057021369A 2003-05-28 2004-05-12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및 그 용도 KR1007773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50875 2003-05-28
JPJP-P-2003-00150875 2003-05-28
JPJP-P-2003-00207919 2003-08-19
JP2003207919 2003-08-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922A true KR20060009922A (ko) 2006-02-01
KR100777354B1 KR100777354B1 (ko) 2007-11-28

Family

ID=33492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1369A KR100777354B1 (ko) 2003-05-28 2004-05-12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및 그 용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329824B2 (ko)
EP (1) EP1630197B1 (ko)
JP (2) JP4790416B2 (ko)
KR (1) KR100777354B1 (ko)
DE (1) DE602004031607D1 (ko)
TW (1) TWI302158B (ko)
WO (1) WO20041064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90416B2 (ja) * 2003-05-28 2011-10-12 三井化学株式会社 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KR100807765B1 (ko) * 2004-04-19 2008-02-28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그 조성물로 이루어진 성형체, α-올레핀계 공중합체
CN104086900B (zh) * 2004-11-25 2016-10-26 三井化学株式会社 丙烯系树脂组合物及其用途
CN101065527A (zh) * 2004-11-26 2007-10-31 三井化学株式会社 聚丙烯无纺布及其用途
CA2589230C (en) * 2004-11-26 2010-07-06 Otsuka Pharmaceutical Factory, Inc. Medical tubes
WO2006070793A1 (ja) * 2004-12-28 2006-07-06 Du Pont/Mitsui Polychemicals Co. Ltd. 太陽電池封止材
JP5550615B2 (ja) * 2005-03-18 2014-07-16 三井化学株式会社 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の製造方法
JP5020524B2 (ja) * 2005-03-18 2012-09-05 三井化学株式会社 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該組成物からなる成形体、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からなるペレット、熱可塑性重合体用改質剤、熱可塑性重合体組成物の製造方法
JP5330637B2 (ja) * 2005-03-18 2013-10-30 三井化学株式会社 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該組成物からなる成形体、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の製造方法
CN101142272B (zh) * 2005-03-18 2012-09-05 三井化学株式会社 丙烯基聚合物组合物、其用途以及用于制造热塑性聚合物组合物的方法
JP4705703B2 (ja) * 2005-04-28 2011-06-22 日本ポリプロ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医療用ブロー容器
US20070116911A1 (en) * 2005-11-21 2007-05-24 Fina Technology, Inc. Hot seal resins
WO2007066475A1 (ja) * 2005-12-09 2007-06-14 Mitsui Chemicals, Inc. 振動制御用材料、振動制御用成形体、および振動制御用多層積層体
CN101351513B (zh) * 2005-12-28 2012-07-25 三井化学株式会社 涂层材料
JP5079241B2 (ja) * 2006-02-17 2012-11-21 三井化学株式会社 中空成形体の製造方法、積層中空成形体の製造方法、補強中空成形体の製造方法および補強積層中空成形体の製造方法
CN101395216B (zh) * 2006-03-17 2012-06-27 三井化学株式会社 聚丙烯树脂组合物、成型体、片材及容器
US7863368B2 (en) * 2006-11-17 2011-01-04 Mitsui Chemicals, Inc. Propylene resin composition, process for producing propylene resin composition,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shaped article produced of the 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electric wire
JP5253183B2 (ja) * 2007-02-15 2013-07-31 三井化学株式会社 プロピレン系重合体、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ペレットおよび粘着剤
EP2226357B1 (en) * 2007-12-27 2018-02-28 Mitsui Chemicals, Inc.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JP5363909B2 (ja) * 2008-08-12 2013-12-11 三井化学株式会社 1−ブテン系重合体の製造方法
WO2010116848A1 (ja) 2009-03-30 2010-10-14 三井化学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9045574B2 (en) 2009-09-28 2015-06-02 Mitsui Chemicals, Inc. Viscosity modifier for lubricating oils, additive composition for lubricating oils, and lubricating oil composition
DE202010010668U1 (de) * 2010-07-26 2011-11-16 Rehau Ag + Co. Schlauchleitung, insbesondere für Sanitäranwendungen, sowie Schlauchanordnung
CN103354832B (zh) 2010-12-10 2015-11-25 路博润公司 含有粘度指数改进剂的润滑剂组合物
WO2015125802A1 (ja) 2014-02-19 2015-08-27 三井化学株式会社 グラフト変性プロピレン・α-オレフィン共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557005B2 (en) 2014-06-23 2020-02-11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ainted polyolefin articles
JP6485139B2 (ja) * 2014-07-10 2019-03-20 日本ポリプロ株式会社 変形回復性耐熱構造体用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変形回復性耐熱構造体
WO2017013128A1 (en) * 2015-07-21 2017-01-26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Expansion reservoir of polypropylene with glass fibers
JP6963400B2 (ja) * 2017-03-28 2021-11-10 三井化学株式会社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30133B (it) 1989-04-28 1991-10-14 Himont Inc Composizioni polipropileniche plasto-elastiche
DE69223823T2 (de) 1991-02-15 1998-05-20 Mitsui Toatsu Chemicals Durchsichtige schlagzähe Formkörper
EP0527589B1 (en) * 1991-08-08 1998-06-03 Ube Rexene Corporation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morphous polyolefin and crystalline polypropylene
JP3326893B2 (ja) 1993-08-03 2002-09-24 ジェイエスアール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
IT1265452B1 (it) * 1993-12-27 1996-11-22 Himont Inc Film poliolefinici compositi adatti per imballaggio
JPH11293061A (ja) * 1998-02-13 1999-10-26 Sumitomo Chem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
AU4962399A (en) * 1998-07-01 2000-01-24 Exxon Chemical Patents Inc. Elastic blends comprising crystalline polymer and crystallizable polymers of propylene
JP2000191857A (ja) * 1998-10-21 2000-07-11 Mitsui Chemicals Inc 軟質透明性シンジオタクティック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CN1187404C (zh) * 1999-04-13 2005-02-02 三井化学株式会社 软质间同立构聚丙烯组合物含它的层压片和成型产品
JP4346182B2 (ja) * 1999-12-14 2009-10-21 株式会社プライムポリマー 二軸延伸フィルム
US6384142B1 (en) * 2000-02-08 2002-05-07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ropylene impact copolymers
EP1149598A3 (en) 2000-04-27 2002-03-06 Terumo Kabushiki Kaisha Catheter and medical tube
US6943215B2 (en) * 2001-11-06 2005-09-13 Dow Global Technologies Inc. Impact resistant polymer blends of crystalline polypropylene and partially crystalline, low molecular weight impact modifiers
JP3969166B2 (ja) * 2002-04-19 2007-09-05 住友化学株式会社 難白化組成物及びそのシート
US7388051B2 (en) * 2003-01-27 2008-06-17 Mitsui Chemicals, Inc.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and use thereof
JP4790416B2 (ja) * 2003-05-28 2011-10-12 三井化学株式会社 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7354B1 (ko) 2007-11-28
US8329824B2 (en) 2012-12-11
EP1630197A4 (en) 2007-10-24
EP1630197B1 (en) 2011-03-02
JP2011174093A (ja) 2011-09-08
TWI302158B (en) 2008-10-21
WO2004106430A1 (ja) 2004-12-09
JPWO2004106430A1 (ja) 2006-07-20
US20060247381A1 (en) 2006-11-02
EP1630197A1 (en) 2006-03-01
TW200427764A (en) 2004-12-16
DE602004031607D1 (de) 2011-04-14
JP4790416B2 (ja) 201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354B1 (ko)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및 그 용도
KR100855245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 조성물로 이루어진 성형체
KR100751993B1 (ko)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및 그의 용도
WO2004014998A9 (en) Plasticized polyolefin compositions
JP2007092049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US9017593B2 (en) Composite materials comprising propylene-based polymer blend coatings
JP2008208303A (ja)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射出成形体
JP4732749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成形体およびその用途
JP2004285318A (ja) 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
US20100316820A1 (en) Composite Materials Comprising Propylene-Based Polymer Blend Coatings
AU2005209627B2 (en) A Medical Tube Comprising a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JP2008208305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