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6091A - 촬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 및 촬상 장치의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 및 촬상 장치의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6091A
KR20060006091A KR1020057022489A KR20057022489A KR20060006091A KR 20060006091 A KR20060006091 A KR 20060006091A KR 1020057022489 A KR1020057022489 A KR 1020057022489A KR 20057022489 A KR20057022489 A KR 20057022489A KR 20060006091 A KR20060006091 A KR 20060006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ing
optical system
imaging optical
pedestal
imag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2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6147B1 (ko
Inventor
다께시 우에사까
Original Assignee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06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6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6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6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for improving the contrast of the display / brillance control visibilit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간편한 구성으로 자세차가 발생하지 않고, 촬상 소자와 촬상 광학계의 광축 방향의 정확한 위치 결정이 가능하고, 촬상 소자의 고화소화에도 대응할 수 있는 매크로 촬영 가능한 촬상 장치이다. 이 촬상 장치는 촬상 소자(8)와, 상기 촬상 소자에 접촉하는 다리부를 일체적으로 갖는 받침대(6)와, 상기 받침대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고,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으로 피사체광을 유도하는 촬상 광학계(50)와, 상기 촬상 광학계를 내포하는 외부 프레임 부재(12)와, 촬상 광학계(50) 및 받침대(6)를 촬상 소자(8)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배치된 탄발 부재(9)를 구비하고, 그곳에서 받침대(6)와 촬상 광학계(50)의 접촉부에 있어서의 적어도 한 쪽면에 형성된 복수의 경사면, 또는 경사면 및 수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캠면을 거쳐서 받침대(6) 및 촬상 광학계(50) 중 어느 한 쪽이 회전되었을 때 촬상 광학계(50)가 광축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받침대, 촬상 소자, 촬상 광학계, 외부 프레임 부재, 탄발 부재

Description

촬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 및 촬상 장치의 조립 방법{IMAGING DEVICE,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ND IMAGING DEVICE ASSEMBLING METHOD}
본 발명은 촬상 장치의 촛점 조절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에 내장되는 촬상 장치를 이용하여 근접 촬영할 때에 적합한 촛점 조절 기구에 관한 것이다.
소형이며 박형인 촬상 장치가, 휴대 전화기나 퍼스널 컴퓨터 등의 소형, 박형의 전자 기기에 탑재되게 되었다. 이에 의해 원격지로 음성 정보뿐만 아니라 화상 정보도 상호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들 휴대 단말에 내장되는 촬상 장치는, 촬상 광학계의 촛점 거리가 매우 짧은 것과 F 넘버가 2 내지 4 정도인 것이므로, 상(像)측의 촛점 심도는 매우 얕아져 촬상면에 대한 촬상 광학계의 광축 방향의 위치 결정에는 엄격한 정밀도가 요구된다. 이로 인해, 촬상 장치의 촬상 광학계의 위치 설정 방법에 관하여 여러 가지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어, 촬상 장치의 조립시의 핀트 조정을 불필요하게 하기 위해 광학 부재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다리부를 촬상 소자에 접촉시키고, 탄발 부재로 광학 부재를 촬상 소자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촬상 소자와 광학 부재의 광축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325193호 공보 참조).
또한, 촬영 렌즈와 통 형상의 폴더에 돌기와 경사 홈을 상호 형성하고, 촬영 렌즈를 회전시킴으로써 촬영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조립시의 핀트 조정을 행하고, 또한 이 조정 기구를 이용하여 근접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082271호 공보 참조).
상술한 휴대 단말에 탑재되는 촬상 장치도 보급율의 증대에 수반하여 고화질화 ·다기능화가 요망되고, 고화소수의 촬상 소자의 탑재나 근접 촬영(매크로 촬영)이 가능한 촬상 장치가 요망되어 있다.
고화질화에 관해서는 고화소수의 촬상 소자를 이용하게 되고, 이에 대응하여 촬상 광학계를 고해상력으로 하기 위해 광학 부재는 복수매화되고, 광학 부재간 상호의 위치 결정과 함께 이 광학 부재로 구성되는 촬상 광학계의 촬상 소자에 대한 광축 방향의 정확한 위치 결정이 필요해진다.
또한, 매크로 촬영에 관해서도 촬상면에 대한 촬상 광학계의 광축 방향의 이동량 및 그 설정 위치는 상기와 동일하며 매우 엄격한 정밀도가 요구되게 된다.
이에 대해,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촬상 장치는 촬상 소자와 광학 부재의 광축 방향의 위치 결정에 조정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아 간편하고 유효한 방법이지만, 촬상 광학계를 피사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데까지는 이르고 있지 않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촬상 장치와 같이 돌기와 경사 홈을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경우, 이 돌기의 치수 형상에 대해 경사 홈은 필연적으로 간극을 가진 형상으로 해야만 하며, 촬상 장치가 상향일 때에는 돌기는 경사 홈의 하방에 접촉하고, 촬상 장치가 하향일 때에는 돌기는 경사 홈의 상방에 접촉하게 되어, 핀트는 간극만큼 어긋난다고 하는 자세차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에 비추어, 간편한 구성이며 자세차가 발생하지 않고, 촬상 소자와 촬상 광학계의 광축 방향의 정확한 위치 결정이 가능하며, 촬상 소자의 고화소화에도 대응할 수 있는 매크로 촬영 가능한 촬상 장치 및 이 촬상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 및 촬상 장치의 조립 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르면,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에 접촉하는 다리부를 일체적으로 갖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고, 상기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으로 피사체광을 유도하는 촬상 광학계와, 상기 촬상 광학계를 내포하는 외부 프레임 부재와 탄발 부재를 구비하고, 그곳에서 상기 탄발 부재는 상기 촬상 광학계 및 상기 받침대를 상기 촬상 소자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받침대와 상기 촬상 광학계의 접촉부에 있어서의 적어도 한 쪽면에 형성된 복수의 경사면, 또는 경사면 및 수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캠면을 거쳐서 상기 받침대 및 상기 촬상 광학계 중 어느 한 쪽이 회전되었을 때, 상기 촬상 광학계가 광축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르면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에 접촉하는 다리부를 일체적으로 갖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고, 상기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으로 피사체광을 유도하는 촬상 광학계와, 상기 촬상 광학계를 내포하는 외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촬상 광학계를 상기 촬상 소자의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발 부재를 구비하고, 그곳에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외부 프레임 부재 중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고 있고, 또한 상기 받침대와 상기 촬상 광학계와의 접촉부에 있어서의 적어도 한 쪽면에 형성된 경사면, 또는 경사면 및 수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캠면을 거쳐서 상기 촬상 광학계가 회전되었을 때, 상기 촬상 광학계가 광축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따르면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에 접촉하는 다리부를 일체적으로 갖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고, 상기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으로 피사체광을 유도하는 촬상 광학계와, 상기 촬상 광학계를 내포하는 외부 프레임 부재와 탄발 부재를 구비하고, 그곳에서 상기 탄발 부재는 상기 촬상 광학계 및 상기 받침대를 상기 촬상 소자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촬상 광학계와의 접촉부측의 면에 형성된 복수의 단차로 이루어지는 캠면과, 상기 외부 프레임 부재의 내주의 상기 단차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경사면을 거쳐서 상기 촬상 광학계가 회전되었을 때, 상기 촬상 광학계가 광축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따르면 촬상 소자를 갖는 기판에 외부 프레임 부재를 고정하는 공정과, 상기 외부 프레임 부재에 받침대를 끼워 맞추는 공정과, 상기 받침대 상에 촬상 광학계를 적재하는 공정과, 탄발 부재를 상기 촬상 광학계에 적재하는 공정과, 상기 탄발 부재의 타단부를 압박하면서 덮개 부재를 상기 외부 프레임 부재에 고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의 조립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각 형태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탄발 부재로 촬상 광학계 및 받침대를 촬상 소자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간편한 구성을 갖고 자세차를 발생시키지 않아 촬상 소자와 촬상 광학계와의 상대적인 위치 결정이 가능하고 촬상 소자의 고화소화에 대응하는, 매크로 촬영 가능한 촬상 장치와 상기 촬상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이 제공된다.
덧붙여, 일방향으로부터 순차 적재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계에 의한 자동 조립을 적용하는 것이 용이해져, 비용 절감 가능한 촬상 장치의 조립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형태 그리고 이점은, 본 발명의 원리에 합치하는 적합한 구체예가 실시예로서 개시되고, 첨부한 도면에 관련하여 설명되는 이하의 기술로부터 상기 기술의 숙달자에게 있어서 명백해질 것이다.
도1a 및 도1b는 본 발명의 촬상 장치를 내장하는 휴대 단말의 일예인 휴대 전화기의 표/리 외관을 각각 도시한 입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촬상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에 도시된 촬상 장치를 가상면 III에서 절단하여 얻어진 단면도이다.
도4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받침대에 형성된 캠면의 일예를 도시한 전개 입면도이다.
도5는 촬상 장치의 조립 순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6은 도3에 상당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촬상 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7은 도3에 상당하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촬상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8은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받침대에 형성된 캠면의 형상을 도시한 전개 입면도이다.
도9는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받침대의 한 쌍의 단차와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외부 프레임 부재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0a 및 도10b는 각각 본 발명의 촬상 장치에 적용되는 2 종류의 압축 코일 스프링의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최량의 형태에 관한 바람직한 몇 개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a 및 도1b는 본 발명의 촬상 장치를 내장한 휴대 단말의 일예인 휴대 전화기(T)의 표/리 외관을 각각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T)는, 표시 화면(D)을 구비한 케이스로서의 상부 하우징(71)과, 복수의 조작 버튼(P)을 구비한 하부 하우징(72)이 힌지 (73)를 거쳐서 연결된 절첩식 휴대 전화기이다. 촬상 장치(S)는 상부 하우징(71) 내의 표시 화면(D)의 하방에 내장되어 있어, 촬상 장치(S)가 상부 하우징(71)의 외표면측으로부터 빛을 취입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부 하우징(7l)의 표시 화면(D)의 하방에는 원호 형상의 개구부(74)가 형성되어 있어, 이 개구부(74)로부터 조작 부재(15)가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조작 부재(15)를 개구부(74) 내에서 도면에 있어서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매크로 촬영시의 핀트 위치가 설정된다.
또한, 이 촬상 장치의 위치는 상부 하우징(71) 내의 표시 화면(D)의 상방이나 측면에 배치해도 좋다. 조작 부재(15)의 위치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휴대 전화기는 절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물론이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촬상 장치가 이하에 설명된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촬상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의 촬상 장치(100)가, 도1a 및 도1b에 있어서의 촬상 장치(S)에 상당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00)는 일측에 촬상 소자가 실장된 프린트 기판(11), 휴대 단말의 다른 제어 기판에 접속을 위한 커넥트 기판(17), 프린트 기판(11)과 커넥트 기판(17)을 접속하는 가요성 프린트(FPC), 촬상 광학계 등을 내포하고, 측면에 개구부(12k)가 형성된 통 형상의 외부 프레임 부재(12), 이 외부 프레임 부재(12)의 상면에 고정 부착되는 덮개 부재(13), 외부 프레임 부재(12)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보스(12b) 상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조작 부재(15), 조작 부 재(15)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단차식 나사(16)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외부 프레임 부재(12)의 주위면측에 위치하는 조작 부재(15)의 일단부측은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주위 단부에는 톱니바퀴부(15g)가 형성되어 있다.
도3은 도2에 도시된 촬상 장치(100)를 가상면 III에서 절단하여 얻어진 단면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 형상의 외부 프레임 부재(12)의 내부에는 피사체측으로부터 제1 렌즈(1), 촬상 광학계의 개구 F치를 정하는 개구 조리개(4), 제2 렌즈(2), 불필요광 차단을 위한 고정 조리개(5), 제3 렌즈(3)를 갖는 촬상 광학계(50)와, 받침대(6)와, 적외 커트 필터(7)와, 프린트 기판(11) 상에 실장된 촬상 소자(8)와, 탄발 부재인 압축 코일 스프링(9)과, 그 와셔(10)와, 덮개 부재(13)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에는 덮개 부재(13)가 고정 부착되어 있다.
도3에 있어서, 본 발명에 관한 받침대(6)는 링 형상을 갖고, 촬상 소자(8)측에는 촬상 소자(8)의 상면에 접촉하는 다리부(6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촬상 광학계(50)측에는 높이가 다른 수평면(6a, 6b)과, 이 수평면을 연속적으로 잇는 경사면(6c)이 약 120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 이들 면을 캠면이라 칭한다. 받침대(6)의 측면에는 오목부(6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받침대(6)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외부 프레임 부재(12)의 내주면 중 적어도 1 부위에는 받침대(6)의 외주면 중 1 부위에 형성된 오목부(6e)에 끼워 맞추어져 받침대(6)의 위치 결정과 회전을 금지하는 볼록부(12e)가 형성되어 있다.
촬상 광학계(5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렌즈(1), 제2 렌즈(2), 제3 렌즈(3)를 광학 유효면 이외의 플랜지부에서 상호 접촉시키고 접착제 등으로 서로 고정 부착함으로써 유닛화되어 있어, 다른 부재를 거치지 않고 구성함으로써 상호의 렌즈 간격을 오차 없이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촬상 광학계(50)를 구성하는 제3 렌즈(3)의 촬상 소자(8)측에는 돌기(3a)가 약 120 °간격으로 형성되어 받침대(6)에 형성된 캠면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고, 이 돌기(3a)에 의해 받침대(6)의 캠면과 접촉하고 있다. 또한, 외부 프레임 부재(12)의 개구부(12k)에 대응하는 제3 렌즈(3)의 측부 외주면에는 톱니바퀴부(3g)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3 렌즈(3)의 플랜지부의 덮개 부재(13)측에는 와셔(10)가 배치되고, 덮개 부재(13)와 와셔(10) 사이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9)이 탄발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압축 코일 스프링(9)의 탄발 작용에 의해 촬상 광학계(50)와 받침대(6)는 촬상 소자(8) 방향으로 항상 압박되어 있다.
한편, 단차식 나사(1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는 조작 부재(15)의 일단부에 형성된 톱니바퀴부(15g)는 제3 렌즈(3)의 톱니바퀴부(3g)와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1a에 도시된 휴대 단말(T)의 개구부(74)로부터 노출된 이 조작 부재(15)의 타단부(기단부)(15r)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부위이다.
계속해서, 이상과 같이 구성된 촬상 장치(100)의 동작 및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에 의해 조작 부재(15)의 선단부(15r)가 조작되면 조작 부재(15)는 단차식 나사(16)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톱니바퀴부(15g)에 맞물린 제3 렌즈(3)의 톱니바퀴부(3g)를 거쳐서 제3 렌즈(3)는 회전된다. 이로 인해, 약 120 °간격으로 배치된 제3 렌즈(3)의 돌기부(3a)는 받침대(6)에 약 120 °간격으로 배치된 캠면의 수평면(6a)으로부터 경사면(6c)을 경유하여 촬상 소자(8)로부터 이격된 수평면(6b)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촬상 광학계(50)는 광축 방향으로 소정량[수평면(6a)과 수평면(6b)과의 단차에 상당하는 거리] 이동하여, 근거리 촬영에 적합한 촛점 거리 위치에 설정된다.
이 때, 본 발명에 관한 탄발 부재인 압축 코일 스프링(9)이, 촬상 광학계(50) 및 이에 접촉하는 받침대(6)를 촬상 소자(8)측으로 내내 압박하고 있다. 이에 의해, 촬상 광학계(50)는 어떠한 자세라도 촬상 소자(8)와의 간격을 항상 일정하게, 또한 기우는 일 없이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세차의 문제를 해소한 매크로 촬영 가능한 촬상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촬상 광학계(50)가 탄발 부재(9)를 거쳐서 외부 프레임 부재(12) 내에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되어 있음으로써 촬상 장치(100)의 이송시나 휴대 단말로의 조립시에 외부 프레임 부재(12)에 충격이나 외압이 가해진 경우에도, 내부의 촬상 광학계(50)나 받침대(6)에 직접적으로 힘이 전달되지 않아, 주요부인 촬상 광학계(50)와 받침대(6)에 변형이 없는 신뢰성이 높은 촬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부재(15)의 선단부(15r)의 회전은 휴대 단말(T)의 개구부(74)에 의해 규제되기 때문에, 만일 선단부(15r)에 큰 작용력이 가해진 경우라도 개구부(74)가 그 힘을 받고 촬상 광학계(50)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고장나기 어려운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받침대(6)의 다리부(6d)는 촬상 소자(8)의 수광면의 외측 부위에서 접 촉하고, 적외 커트 필터(7)를 이 받침대에 배치함으로써 촬상 소자(8)의 수광면측을 에워쌀 수 있어,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먼지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먼지가 수광면 상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4는 받침대(6)에 형성되는 캠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은 링 형상으로 형성된 360 °를 이루는 캠면의 전개 입면도(캡선도)이다. 단, 도시한 캠선도는 높이 방향으로 과장하여 묘화되어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영역에서 규정되는 캠 형상, B 영역에서 규정되는 캠 형상, C 영역에서 규정되는 캠 형상의 3 종류의 캠 형상이 각각 120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캠 형상 A, B, C는 각각 수평면의 높이가 다르도록 형성되어 있고, 한편 서로 쌍이 되는 수평면의 높이의 차(d로 나타냄)는 같은 치수로 형성된다. 또한, 캠 형상 A, B, C 각각의 사용 영역은 약 30 °이며, 각 캠 형상 사이에는 10 °의 사용하지 않는 영역이 배치되어 있다. 도3에 도시된 촬상 장치에 사용한 경우, 촬상 광학계(50)의 회전각은 약 30 °로 설정된다.
상기 3 종류의 캠 형상 중, 촬상 광학계(50)의 최종면으로부터 촛점 위치까지의 거리가 설계치 근방에서 조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캠 형상 B에 제3 렌즈(3)의 돌기부(3a)가 접촉하도록 조립된다. 촬상 광학계(50)의 최종면으로부터 촛점 위치까지의 거리가 설계치보다 짧아진 경우에는, 캠 형상 A에 제3 렌즈(3)의 돌기부(3a)가 접촉하도록 조립된다. 또한, 촬상 광학계(50)의 최종면으로부터 촛점 위치까지의 거리가 설계치보다 길어진 경우에는, 캠 형상 C에 제3 렌즈(3)의 돌기부(3a)가 접촉하도록 조립된다.
이들은, 촬상 광학계 각각에 측정하여 그에 대응하는 캠면을 선택해도 좋고, 로트 단위로 설정해도 좋다.
또한, 이 캠면이 형성된 받침대(6)는 상술한 오목부(6e)가 40 °씩 적어도 3개 형성되고, 외부 프레임 부재(12)의 볼록부(12e)와 끼워 맞추어지는 오목부를 선택함으로써 제3 렌즈(3)의 돌기부(3a)와 접촉하는 캠 형상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외부 프레임 부재(12)에 대한 받침대(6)의 주위 방향의 위상을 선택하여 끼워 맞춤으로써, 미리 조립된 촬상 광학계(50)의 촛점 위치의 변동에 대응하여 사용하는 캠 형상을 선택하고, 통상 거리의 촬영시와 매크로 촬영시의 핀트가 맞는 피사체 거리의 변동을 해소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3 종류의 캠 형상을 받침대(6)에 형성한 것이 설명되었지만, 캠 형상은 3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촬상 광학계(50)의 회전각도 이에 대응하여 적절히 설정되는 것이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촬상 장치(100)의 조립 방법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촬상 장치(100)의 조립 순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의 부호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도2 내지 도3과 동일 기능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1) 우선, 촬상 소자(8)가 실장된 프린트 기판(11)과, 휴대 단말의 다른 제어 기판에 접속을 위한 커넥트 기판(17)을 소정 위치에 가요성 프린트(FPC)를 거쳐서 접속한 프린트 기판 유닛이 준비된다.
(2) 계속해서, 외부 프레임 부재(12)가 프린트 기판(11) 상에 고정된다. 외부 프레임 부재(12)는 위치 결정되고, 프린트 기판(11)과 외부 프레임 부재(12)가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다. 이 위치 결정은, 예를 들어 공정용 지그로서 준비된 카메라에 의해 촬상 소자(8)의 위치를 화상 인식하고, 이 화상 인식된 촬상 소자(8)에 대해 외부 프레임 부재(12)를 소정 위치에 둠으로써 정확하게 위치 결정된다. 또한, 이러한 정밀도가 필요없는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프린트 기판(11)에 형성된 위치 결정용 구멍에 외부 프레임 부재(12)에 형성된 보스를 끼워 넣음으로써 위치 결정해도 된다.
(3) 다음에, 미리 적외 커트 필터(7)가 조립 부착된 받침대(6)가 외부 프레임 부재(12)의 내부에 끼워 넣어진다. 이 때, 외부 프레임 부재(12)의 내주에 설치된 볼록부(12e)(도3 참조)가, 받침대(6)에 설치된 3 군데의 오목부(6e) 중 미리 정해진 1 군데의 오목부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조립된다. 3 군데의 오목부(6e)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때, 그 선택은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촬상 광학계(50)를 측정한 결과를 기초로 하여 결정된다.
(4) 받침대(6)의 캠면 상에 미리 유닛으로서 조립된 촬상 광학계(50)가 적재된다. 이 때, 제3 렌즈에 형성된 3 군데의 돌기부(3a)가 캠면 상의 소정의 위치가 되어, 톱니바퀴부(3g)가 외부 프레임 부재(12)의 개구부(12k)에 면하도록 조립된다.
(5) 촬상 광학계(50)의 제3 렌즈의 플랜지부에 와셔(10)가 적재된다.
(6) 탄발 부재(9)의 일단부가 와셔 상에 적재된다. 탄발 부재(9)는 와셔 (10)를 거쳐서 촬상 광학계(50)에 적재되게 된다.
(7) 탄발 부재(9)의 타단부를 압박하면서 덮개 부재(13)가 외부 프레임 부재(12)에 고정되어 고정 부착된다. 이 고정 부착은 접착제 등에 의해 행해진다.
(8) 조작 부재(15)가 외부 프레임 부재(12)의 보스(12b)에 부착된다. 이 부착시에, 조작 부재(15)에 형성된 톱니바퀴부(15g)와 제3 렌즈에 형성된 톱니바퀴부(3g)는 소정의 치부와 치부가 맞물리도록 치부 맞춤이 이루어진다. 그 후, 조작 부재(15)가 단차식 나사(16)를 거쳐서 외부 프레임 부재(12)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상이, 본 발명의 촬상 장치의 조립 방법이다. 이와 같이 일방향으로부터 순차 적재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기계에 의한 자동 조립을 적용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그 결과,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생산수의 증감에도 신속하게 대응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받침대(6)에 캠면을 형성하고, 촬상 광학계(50)측에 돌기부(3a)를 갖는 구성이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받침대(6)에 돌기부를 설치하여 촬상 광학계측에 캠면을 형성하거나, 혹은 양쪽에 캠면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받침대(6)를 회전 불가능하게 하고 촬상 광학계(50)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 반대로 촬상 광학계(50)를 회전 불가능하게 하고 받침대(6)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높이가 다른 수평면을 경사면으로 이은 캠 형상을 갖는 캠면이 설명되었지만, 경사면으로만 형성된 캠면이라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6은 도3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변형예는, 도3에 도시된 촬상 장치의 구성의 사고 방식을 그대로 다른 형태로 한 촬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6에 도시된 촬상 장치(150)는, 받침대와 탄발 부재가 촬상 광학계의 주위에 배치되지 않고 한 쪽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 도6에 있어서 형상이 달라도 도3에 도시된 부재와 동일 기능인 부재에는 동일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촬상 장치(150)는 촬상 소자(8)가 실장된 프린트 기판(11)에 개구부(12k)를 갖는 외부 프레임 부재(12)와 샤프트(14)가 부착되고, 한 쪽면에 캠면(6a, 6b, 6c)을 갖는 받침대(6)가 외부 프레임 부재(12)의 한 쪽측 내부에 설치된 샤프트(14)를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받침대(6)의 다른 쪽면(6d)은 촬상 소자(8)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받침대(6)는, 조작 부재(15)와 일체화되어 선단부(15r)가 도1에 도시된 개구부(74)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한편, 제3 렌즈(3)는 가이드 통(3s)을 거쳐서 샤프트(14)에 끼워 맞추어지고, 제3 렌즈(3)의 하면에 형성된 돌기부(3a)는 캠면에 접촉된다. 이 제3 렌즈(3)는, 도시하지 않은 회전 고정에 의해 회전 불가능하지만, 광축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탄발 부재인 압축 코일 스프링(9)은 가이드 통(3s)의 주위에 배치되고, 적외 커트 필터(7)가 부착된 덮개 부재(13)에 의해 샤프트(14)의 다른 쪽을 고정함으로써 압축 코일 스프링(9)에 의해 제3 렌즈(3)를 포함하는 촬상 광학계(50) 및 받침대(6)는 촬상 소자(8) 방향으로 항상 가압되게 된다.
이 촬상 장치(150)는 사용자에 의해 선단부(15r)가 조작됨으로써 받침대(6)가 샤프트(14)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제3 렌즈(3)의 돌기(3a)는 받침대(6)의 캠면 6a로부터 6c를 경유하여 6b와 접촉하게 되어, 이 캠면의 높이의 차만큼 촬상 광학계(50)가 피사체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매크로 촬영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돌기부(3a)는 제3 렌즈(3)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필수이지만, 가이드 통(3s)은 다른 부품으로 구성해도 된다.
촬상 광학계에 있어서의 촛점 위치 변동의 해소는, 이 받침대(6)의 캠면을 각종의 높이로 준비해 두고 촬상 광학계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된다.
이 경우도, 촬상 광학계(50)는 어떠한 자세라도 촬상 소자(8)와의 간격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자세차의 문제를 해소하면서 매크로 촬영 가능한 촬상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촬상 장치(200)가 도7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된다.
도7은 도3에 상당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촬상 장치(200)의 단면도이다. 촬상 장치(200)는 도1에 있어서의 촬상 장치(S)에 상당한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도7에 있어서 도3과 동일 기능인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촬상 장치(200)는 피사체측으로부터 제1 렌즈(1), 촬상 광학계(50)의 개구 F 치를 정하는 개구 조리개(4), 제2 렌즈(2), 불필요광 차단을 위한 고정 조리개(5), 제3 렌즈(3)로 구성된 촬상 광학계(50)와, 받침대(6)와, 적외 커트 필터(7)와, 프린트 기판(11) 상에 설치된 촬상 소자(8)와, 탄발 부재인 압축 코일 스프링(9)과, 와셔(10)와, 외부 프레임 부재(12)와, 그 덮개 부재(13)로 구성되어 있다.
도7에 있어서, 본 발명에 관한 받침대(6)에는 상면측에서 촬상 소자(8)에 접촉하는 다리부(6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촬상 광학계(50)측에는 높이가 다른 수평면(6a, 6b)과, 이 수평면을 연속적으로 잇는 경사면(6c)이 약 120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면(6a, 6b, 6c)을 이하 캠면이라 칭한다.
또한, 본 제2 실시예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부재(15)를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보스(12b)를 포함하는 받침대(6)는, 외부 프레임 부재(12)의 일부분으로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받침대(6)는 차광성의 재료로 형성되고, 촬상 소자(8)의 상부에 위치하는 부분은 개구부가 되어 이 개구부에 적외 커트 필터(7)가 부착되어 있다.
이 받침대(6)는 촬상 소자(8)에 다리부(6d)가 접촉하고, 그 밖의 부위는 프린트 기판(11)과 약간의 간극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프린트 기판(11)으로의 부착시에는 프린트 기판(11)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구멍과, 받침대(6)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보스를 끼워 맞춤시킴으로써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이후, 받침대(6)는 접착제 등에 의해 프린트 기판(11)에 고정된다.
촬상 장치(200)의 조립은 제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며, 받침대(6)의 고정 후 촬상 장치(50)의 적재, 와셔(10), 압축 코일 스프링(9)의 조립이 행해져 개구부 (12k)를 갖는 덮개 부재(13)가 씌워진다.
그 밖의 촬상 장치(200) 각부의 명칭, 기능 및 동작은 제1 실시예에 의한 촬상 장치(100)(도3 참조)와 완전히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자세차의 문제를 해소하면서 매크로 촬영 가능한 촬상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촬상 장치(100)보다도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으므로 비용 절감이 더욱 가능해진다.
또한, 받침대(6)에 캠면이 형성되고 촬상 광학계(50)의 제3 렌즈(3)에 돌기부가 형성된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받침대(6)에 돌기부를 설치하고 제3 렌즈의 하면에 캠면을 형성하거나, 혹은 양쪽에 캠면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캠면을 높이가 다른 수평면을 경사면으로 이은 형상으로 하였지만, 경사면으로만 형성된 캠면이라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촬상 장치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주요 부품의 구성은 도3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의한 촬상 장치(100)와 동일하므로, 도3을 참조하면서 다른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본 제3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는, 도3에 도시된 받침대(6)의 캠면의 형상과, 받침대에 면하는 외부 프레임 부재(12)의 형상이 다르기 때문에 이들 부분에 대해 도8 및 도9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8은 제3 실시예에 관한 받침대(6)에 형성되는 링 형상 캠면의 형상을 도시 한 전개도(캠선도)이다. 또한, 이 캠선도는 높이 방향으로 과장하여 묘화되어 있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면에는 A 영역에서 규정되는 캠 형상, B 영역에서 규정되는 캠 형상, C 영역에서 규정되는 캠 형상의 3 종류의 캠 형상이 각각 120 °마다 형성되어 있다.
캠 형상 A, B, C는 각각 수평면의 높이가 다르도록 형성되어 있고, 한편 서로 쌍이 되는 수평면의 높이의 차(d로 나타냄)는 같은 치수로 형성된다. 또한, 각 캠 형상 A, B, C 각각의 사용 영역은 약 30 °이며, 각 캠 형상 사이에는 10 °의 사용하지 않는 영역이 배치되어 있다. 도3에 도시된 촬상 장치에 사용한 경우, 촬상 광학계(50)의 회전각은 약 30 °로 설정된다.
도9는 받침대(6)에 형성된 한 쌍의 캠 형상과 이에 대응하는 위치의 외부 프레임 부재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6)는 한 쌍의 낮은 수평면 a, 높은 수평면 b의 단차에 대응하는 위치에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외부 프레임 부재(12)의 내주에는 이 절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수평면 a로부터 수평면 b를 잇는 산 형상의 경사면(12s)이 형성되어 있다. 부호 3a는 제3 렌즈에 형성된 돌기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3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3에 도시되어 있는 조작 부재(15)가 회전되면, 이에 맞물리는 제3 렌즈가 회전한다. 이 때, 제3 렌즈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돌기부(3a)는 단차 상을 도면에 있어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경사면(12s)에 다다르면 이 경사를 따라 들어 올 려져 경사면(12s)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수평면 b 상(파선으로 나타냄)에서 정지한다. 이에 의해 단차의 차분만큼 촬상 광학계(50)는 피사체측으로 이동하여, 매크로 촬영의 핀트 위치에 설정된다.
외부 프레임 부재(12)의 내주에 형성되는 경사면(12s)은 받침대(6)에 형성되는 절결부에 대응하여 3 군데에 설치되고, 이에 의해 받침대(6)의 회전을 불가능하게 하고 있어 도3에 도시되는 볼록부(12e)는 불필요하다. 또한, 받침대(6)의 절결부는 각 캠 형상마다, 즉 40 °씩 설치되고, 외부 프레임 부재(12)에 대한 받침대(6)의 주위 방향의 캠 형상 A, B, C의 선택에 사용된다.
상기 3 종류의 캠 형상은, 촬상 광학계(50)의 최종면으로부터 촛점 위치까지의 거리가 설계치 근방에서 조립되어 있는 경우에 캠 형상 B에 제3 렌즈의 돌기부(3a)가 접촉하도록 조립된다. 촬상 광학계(50)의 최종면으로부터 촛점 위치까지의 거리가 설계치보다 짧아진 경우에, 캠 형상 A에 제3 렌즈의 돌기부(3a)가 접촉하도록 조립된다. 또한, 촬상 광학계(50)의 최종면으로부터 촛점 위치까지의 거리가 설계치보다 길어진 경우에, 캠 형상 C에 제3 렌즈의 돌기부(3a)가 접촉하도록 조립된다.
또한, 3 종류의 캠 형상이 받침대(6)에 형성된 것을 설명하였지만, 캠 형상은 3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촬상 광학계(50)의 회전각도 캠 형상의 수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되는 것이다.
도10a 및 도10b는 본 발명의 상기 각 실시예에서 설명된 촬상 장치에 적용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의 2개의 형상예를 각각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0a에 도시된 압축 코일 스프링(9)은 말단부(9m)가 절곡되어 있고, 또한 도10b에 도시된 압축 코일 스프링(9)은 스프링을 형성하는 선재가 가압되는 부재와의 접촉면이 평탄해지도록 가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코일 스프링의 단부를 촬상 광학계의 가압력을 받는 부분과 접촉하지 않도록 가공함으로써 접촉부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고 또한 접촉부의 마모로부터 발생되는 먼지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전술한 와셔를 폐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압축 코일 스프링의 권취 방향을 촬상 광학계가 촬상 소자(8)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하면, 가압력이 커지는 회전 방향에서 단부가 걸리지 않게 됨으로써, 마찬가지로 와셔를 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촬상 장치에 있어서는 촬상 광학계(50)는 3매의 렌즈를 갖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1매의 렌즈 및 복수매의 렌즈 구성 중 어디에도 적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촬상 광학계(50)를 일체적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전군 조출 구성)으로 하였지만, 복수매 구성인 경우에는 받침대(6)에 렌즈를 형성하여 받침대보다 전방에 배치한 광학계를 이동시키는 구성(전군 조출 구성)에도 적용 가능하다. 전군 조출의 경우에는, 전군 조출보다 작은 이동량으로 매크로 촬영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촬상 장치에 있어서 탄발 부재로서 압축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판 스프링이나 스폰 지 형상의 부재도 적용 가능하고, 인장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여 촬상 광학계를 받침대에 접촉하도록 구성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한, 탄발 부재로 압박하는 부위를 제3 렌즈의 플랜지부로서 설명하였지만, 제1 렌즈 또는 제2 렌즈를 압박하도록 구성해도 본 발명을 일탈하는 것이 아닌 것은 물론이다.
또한, 제1 실시예와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적외 커트 필터(7)는 받침대를 투광성의 재료로 촬상 소자(8)를 덮도록 형성하고, 적외 커트 특성을 갖는 코팅을 실시해도 좋다. 이와 같이, 광학계 사이 또는 후방에 적외 커트의 기능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촬상 광학계(50)의 전방면에 배치하는 경우보다도, 촬상 장치 전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받침대를 투광성 재료로 촬상 소자(8)의 상면을 덮는 평판부를 일체 성형하여, 적외 커트 필터를 제1 렌즈의 전방에 배치하는 구성도 본 발명을 일탈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7)

  1.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에 접촉하는 다리부를 일체적으로 갖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고, 상기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으로 피사체광을 유도하는 촬상 광학계와, 상기 촬상 광학계를 내포하는 외부 프레임 부재와 탄발 부재를 구비하고,
    그곳에서, 상기 탄발 부재는 상기 촬상 광학계 및 상기 받침대를 상기 촬상 소자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받침대와 상기 촬상 광학계의 접촉부에 있어서의 적어도 한 쪽면에 형성된 복수의 경사면, 또는 경사면 및 수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캠면을 거쳐서 상기 받침대 및 상기 촬상 광학계 중 어느 한 쪽이 회전되었을 때, 상기 촬상 광학계가 광축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에 접촉하는 다리부를 일체적으로 갖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고, 상기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으로 피사체광을 유도하는 촬상 광학계와, 상기 촬상 광학계를 내포하는 외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촬상 광학계를 상기 촬상 소자의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발 부재를 구비하고,
    그곳에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외부 프레임 부재 중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고 있고, 또한 상기 받침대와 상기 촬상 광학계의 접촉부에 있어서의 적어도 한 쪽면 에 형성된 경사면, 또는 경사면 및 수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캠면을 거쳐서 상기 촬상 광학계가 회전되었을 때, 상기 촬상 광학계가 광축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에 접촉하는 다리부를 일체적으로 갖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고, 상기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으로 피사체광을 유도하는 촬상 광학계와, 상기 촬상 광학계를 내포하는 외부 프레임 부재와 탄발 부재를 구비하고,
    그곳에서, 상기 탄발 부재는 상기 촬상 광학계 및 상기 받침대를 상기 촬상 소자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촬상 광학계와의 접촉부측의 면에 형성된 복수의 단차로 이루어지는 캠면과, 상기 외부 프레임 부재의 내주의 상기 단차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경사면을 거쳐서 상기 촬상 광학계가 회전되었을 때, 상기 촬상 광학계가 광축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광학계는 복수의 광학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광학 부재는 상호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 상기 촬상 광학계를 구성하는 광학 부재의 일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 평판부를 일체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 적외 커트 필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 부재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기 촬상 광학계와의 접촉부는 단부면 이외의 부위에서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 부재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권취 방향은 상기 촬상 광학계가 촬상 소자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의 회전 방향과 같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 부재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코일 스프링이 압박하는 상기 촬상 광학계와의 사이에 와셔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원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 부재는 상기 외부 프레임 부재에 고정 부착된 덮개 부재와 상기 촬상 광학계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3. 제1항에 기재된 촬상 장치를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4. 제2항에 기재된 촬상 장치를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5. 제3항에 기재된 촬상 장치를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6. 촬상 소자를 갖는 기판에 외부 프레임 부재를 고정하는 공정과, 상기 외부 프레임 부재에 받침대를 끼워 맞추는 공정과, 상기 받침대 상에 촬상 광학계를 적재하는 공정과, 탄발 부재를 상기 촬상 광학계에 적재하는 공정과, 상기 탄발 부재의 타단부를 압박하면서 덮개 부재를 상기 외부 프레임 부재에 고정하는 공정을 갖는 촬상 장치의 조립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프레임 부재에 받침대를 끼워 맞추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프레임 부재에 대한 상기 받침대의 주위 방향의 위상을 선택하여 끼워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의 조립 방법.
KR1020057022489A 2003-05-30 2004-05-28 촬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 KR1008161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54233 2003-05-30
JPJP-P-2003-00154233 2003-05-3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4528A Division KR100816143B1 (ko) 2003-05-30 2004-05-28 촬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 및 촬상 장치의 조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091A true KR20060006091A (ko) 2006-01-18
KR100816147B1 KR100816147B1 (ko) 2008-03-21

Family

ID=3348731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4528A KR100816143B1 (ko) 2003-05-30 2004-05-28 촬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 및 촬상 장치의 조립방법
KR1020057022489A KR100816147B1 (ko) 2003-05-30 2004-05-28 촬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4528A KR100816143B1 (ko) 2003-05-30 2004-05-28 촬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 및 촬상 장치의 조립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630580A4 (ko)
JP (4) JP4645023B2 (ko)
KR (2) KR100816143B1 (ko)
CN (1) CN1798994A (ko)
WO (1) WO20041070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7290A (ja) * 2003-10-30 2005-06-16 Hitachi Maxell Ltd カメラ
JP2005195678A (ja) * 2003-12-26 2005-07-21 Seiko Precision Inc カメラモジュール
KR20070104558A (ko) * 2005-01-25 2007-10-26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촬상 장치 및 상기 촬상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
JP3813167B1 (ja) 2006-04-13 2006-08-23 マイルストーン株式会社 撮像レンズ繰出し装置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JP4349449B2 (ja) 2007-08-17 2009-10-21 ソニー株式会社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5148369B2 (ja) * 2008-05-27 2013-02-20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JP4639260B2 (ja) * 2008-08-28 2011-02-23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US7965454B2 (en) * 2008-08-28 2011-06-21 Konica Minolta Opto, Inc. Imaging lens and small-size image pickup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1070016A (ja) * 2009-09-25 2011-04-07 Sanyo Electric Co Ltd レンズモジュール、撮影装置、レンズ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2011099900A (ja) * 2009-11-04 2011-05-19 Konica Minolta Opto Inc 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る撮像装置ならびに光学素子の接合方法
DE102009055080B4 (de) 2009-12-21 2019-11-14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r Struktur, Abformwerkzeug
DE102009055088B4 (de) 2009-12-21 2015-04-0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truktur, optisches Bauteil, optischer Schichtstapel
DE102009055083B4 (de) 2009-12-21 2013-12-05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Optischer Schichtstape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CN102822713B (zh) 2010-10-26 2014-08-2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透镜单元
WO2012056653A1 (ja) * 2010-10-26 2012-05-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
JP6000654B2 (ja) * 2012-05-29 2016-10-05 シャープ株式会社 レンズ、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レンズアレイ
JP6136117B2 (ja) * 2012-05-29 2017-05-31 富士通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電子装置
CN105549173A (zh) 2016-01-28 2016-05-04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光学镜头和摄像模组及其组装方法
JP7105451B2 (ja) * 2020-01-21 2022-07-25 株式会社精工技研 レンズ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3531A (en) * 1978-09-21 1980-03-27 Fuji Photo Optical Co Ltd Plastic lens
JPS56149010A (en) * 1980-04-21 1981-11-18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Plastic lens
JPS6064316A (ja) * 1983-09-19 1985-04-12 Olympus Optical Co Ltd レンズ保持装置
JPS59157603A (ja) * 1983-02-28 1984-09-07 Canon Inc レンズの保持構造
JPS6046517U (ja) * 1983-09-08 1985-04-02 株式会社東芝 光学部品
JPS60233607A (ja) * 1984-05-07 1985-11-20 Asahi Optical Co Ltd 内視鏡の接眼装置
JPS62153908A (ja) * 1985-12-27 1987-07-08 Ricoh Co Ltd レンズユニツト
JPS62127512U (ko) * 1986-02-06 1987-08-13
JPS62146101U (ko) * 1986-03-10 1987-09-16
JPS62151511U (ko) * 1986-03-19 1987-09-25
JPH01101214U (ko) * 1987-12-25 1989-07-07
US4990945A (en) * 1988-08-13 1991-02-05 Fuji Photo Film Co., Ltd. Camera of changeable focal length
JPH02107110U (ko) * 1989-02-10 1990-08-27
JPH054114U (ja) * 1991-06-28 1993-01-22 リズム時計工業株式会社 撮像距離調整機構
JPH07134236A (ja) * 1993-11-12 1995-05-23 Olympus Optical Co Ltd レンズ駆動装置
JPH0836124A (ja) * 1994-07-25 1996-02-06 Nikon Corp レンズ保持装置および該装置を備えたレンズ系
JP3932565B2 (ja) * 1995-11-06 2007-06-20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0049319A (ja) * 1998-07-27 2000-02-18 Olympus Optical Co Ltd 固体撮像装置
JP2002072037A (ja) * 2000-09-01 2002-03-12 Sony Corp 光学系、光学系の製造方法および光ピックアップ
JP2002182270A (ja) * 2000-12-15 2002-06-26 Toshiba Corp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182090A (ja) * 2000-12-18 2002-06-26 Ricoh Co Ltd リブ一体型レンズ、これを用いた光学ユニット、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915513B2 (ja) * 2001-01-12 2007-05-16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撮像装置
JP4721136B2 (ja) * 2001-05-18 2011-07-13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3014908A (ja) * 2001-06-29 2003-01-15 Ricoh Co Ltd 対物レンズ、対物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2003015423A (ja) * 2001-07-05 2003-01-17 Canon Inc 現像剤担持体及びこれを具備する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2003043333A (ja) * 2001-07-27 2003-02-13 Nidec Copal Corp レンズ駆動装置
JP3486680B2 (ja) * 2001-08-10 2004-01-13 株式会社ネクスト 半導体レーザ投光器ユニット
JP2004088713A (ja) * 2002-06-27 2004-03-18 Olympus Corp 撮像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JP4277665B2 (ja) * 2003-07-08 2009-06-10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該撮像装置を備えた携帯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4107007A1 (ja) 2006-07-20
JP2005018023A (ja) 2005-01-20
JP4645023B2 (ja) 2011-03-09
KR100816147B1 (ko) 2008-03-21
JP2005192231A (ja) 2005-07-14
JP2005018024A (ja) 2005-01-20
KR20070086664A (ko) 2007-08-27
JP4518023B2 (ja) 2010-08-04
KR100816143B1 (ko) 2008-03-21
WO2004107007A1 (ja) 2004-12-09
CN1798994A (zh) 2006-07-05
EP1630580A4 (en) 2006-06-21
EP1630580A1 (en) 2006-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6147B1 (ko) 촬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
KR101092124B1 (ko) 촬상 장치, 상기 촬상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 및 촬상장치의 제조 방법
JP4691674B2 (ja) 光学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並びに携帯端末
KR20060047989A (ko) 촬상 장치
KR101092198B1 (ko) 광학 유닛 및 상기 광학 유닛을 구비한 촬상 장치 및 상기촬상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
JP2013061513A (ja) レンズ鏡胴
JPWO2006080184A1 (ja) 撮像装置及び該撮像装置を備えた携帯端末
JP2008129252A (ja) 撮像ユニットと撮像装置、および通常撮影とマクロ撮影との切り替え方法
JP4679082B2 (ja) レンズ駆動装置
JP2005189414A (ja) 撮像装置
JP4901562B2 (ja) レンズ繰出し装置
JP2005128578A (ja) 撮像装置及び該撮像装置を備えた携帯端末
JP4517623B2 (ja) 撮像装置及び該撮像装置を備えた携帯端末
JP4277665B2 (ja) 撮像装置及び該撮像装置を備えた携帯端末
JP6050128B2 (ja) 撮像ユニット
JP4403770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製造方法
JP4321204B2 (ja) 撮像装置及び該撮像装置を備えた携帯端末
CN100520472C (zh) 摄像装置以及具有该摄像装置的便携式终端
JP4520793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電子機器
JP2018077381A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2005043857A (ja) 撮像装置及び該撮像装置を備えた携帯端末
JP2005045755A (ja) 撮像装置及び該撮像装置を備えた携帯端末
JP2006091277A (ja) 切換機能を備えたマクロ撮影用レンズ
JP2012083495A (ja) 手ぶれ補正機構
JP2005114957A (ja) 撮像装置及び該撮像装置を備えた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