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3153A - 용접 밀봉 제품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용접 밀봉 제품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3153A
KR20050123153A KR1020057019245A KR20057019245A KR20050123153A KR 20050123153 A KR20050123153 A KR 20050123153A KR 1020057019245 A KR1020057019245 A KR 1020057019245A KR 20057019245 A KR20057019245 A KR 20057019245A KR 20050123153 A KR20050123153 A KR 20050123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s
reactive multilayer
seal
crushable
comminute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9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피터 반 히어덴
데일 데져
티모시 피. 웨이스
오마 엠. 크니오
Original Assignee
리엑티브 나노테크놀로지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엑티브 나노테크놀로지스, 인크. filed Critical 리엑티브 나노테크놀로지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50123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315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C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 B81C1/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or systems in or on a substrate
    • B81C1/00015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or systems in or on a substrate for manufacturing microsystems
    • B81C1/00261Processes for packaging MEMS devices
    • B81C1/00269Bonding of solid lids or wafers to the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C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 B81C2203/00Forming microstructural systems
    • B81C2203/01Packaging MEMS
    • B81C2203/0109Bonding an individual cap on the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C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 B81C2203/00Forming microstructural systems
    • B81C2203/01Packaging MEMS
    • B81C2203/0172Seals
    • B81C2203/019Sea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arrangement of seals between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C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 B81C2203/00Forming microstructural systems
    • B81C2203/03Bonding two components
    • B81C2203/038Bond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B81C2203/031 - B81C2203/03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asket Seals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Packages (AREA)
  • Closing Of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용기를 밀봉하는 방법이 포함된다. 이 방법은 용기의 둘 이상의 구성요소를 마련하는 단계, 둘 이상의 구성요소 사이에 분쇄가능한 재료를 배치하는 단계, 둘 이상의 구성요소 사이에 반응성 다층 재료를 배치하는 단계, 둘 이상의 구성요소 사이에 밀봉을 형성하게끔 분쇄가능한 재료를 변형시키는 단계, 둘 이상의 구성요소를 결합하게끔 반응성 다층 재료를 화학적으로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용접 밀봉 제품 및 제조방법{Hermetically sealed product and related methods of manufacture}
본 발명은 변형가능한 재료 및 반응성 다층 결합 재료를 사용한 인클로저(enclosure) 구성요소들의 용접 밀봉을 포함한다. 반응성 다층 결합 재료는 반응성 다층 포일(foil) 및 가용성(fusible)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용접 밀봉은 다수의 민감한 장치(sensitive devices)를 유해한 환경에 대한 노출로 인한 파괴적인 효과로부터 보호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민감한 장치의 예로는 광학 장치(optical devices), 포토닉 장치(photonic devices), 광학 섬유(fiber optics), MEMS 및 생물 의학 장치(biomedical devices)가 있다. 일반적으로, 밀봉은 민감한 요소를 기밀한 인클로저 내에 봉입하여 구성요소를 환경으로부터 고립시킴으로써 달성한다.
민감한 장치 및 구성요소들을 밀봉하는 여러 가지 간단한 방법들이 있다. 그러한 방법으로는 접착제, 에폭시, 및 기계식 파스너(mechanical fasteners)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그러한 방법들은 효과적인 밀봉을 방지할 수 있는 각각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접착제 및 에폭시는 열 및 습기에 노출되는 경우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자면, 기계식 파스너는 엄격한 기계 허용도를 요구할 수 있고, 잠재적으로 낮은 신뢰도를 감수해야 할 수 있다(즉, 충분히 기밀한 인클로저를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고급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선호되는 밀봉 방법에 레이저 용접, 전자 빔(e-beam) 용접, 및 열저항(thermal resistance) 용접이 포함된다. 정교하게 적용된 경우, 이러한 방법은 높은 강도의, 실질적으로 기밀한, 균일한 결합을 제공하고, 따라서 누출 정도를 매우 낮은 값으로 제한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 역시 약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이러한 방법을 구현하는 데에는 엄격한 허용도를 요구하고 높은 자본비용을 초래한다. 다른 약점에는 표면 처리의 필요성 (예를 들면, 밀봉 과정의 구현 후 인클로저의 연마 또는 가공), 및 밀봉 과정이 결합되는 인클로저 재료에 열적 손상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는데, 이는 극단적인 경우 인클로저 및 그 내부에 배치된 요소 모두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민감한 요소 및 장치를 용접 밀봉하기 위한 향상된, 더욱 효과적인 수단이 필요하다.
민감한 요소 및 장치를 용접 밀봉하는 한 가지 향상된 방법은 반응성 다층 결합이다. 반응성 다층 결합은 비교적 새로운 결합 기술로서, 가용성 재료의 두 층 및 결합할 두 구성요소 사이에 반응성 다층 포일을 끼운 후 포일을 점화시키는 것을 바탕으로 한다. 포일의 점화는 자체 확산되는 반응을 시작하고, 이는 반응성 포일 온도의 급격한 증가를 일으킨다. 반응에서 방출되는 열은 가용성 재료층을 융해시키고, 냉각시 두 구성요소를 서로 결합시킨다.
반응성 다층 결합은 이미 알려진 바 있다. 이 과정은 미국특허 5,381,944에서 상세히 기술되었고, 그 전체가 참고를 위해 여기에 포함된다. 미국특허 5,381,944의 과정에 대한 여러 개선점이 2000년 5월 2일에 출원된 "Reactive Joining Using Multilayer Materials"의 제목의 미국특허 가출원 60/201,292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전체가 참고를 위해 여기에 포함된다. 반응성 결합 과정에 사용된 반응성 다층은 통상적으로 Ni 및 Al과 같이 높은 음성 혼합열을 가지는 원소가 엇갈리는 수백 개의 나노단위 층을 증착(vapor depositing)시킴으로써 제조된 나노구조(nanostructured) 재료이다. 이러한 방법의 다양한 구현 형태는 그 전체가 참고를 위해 여기에 포함되는 다음의 출판물에서 개시된다: 미국특허 5,538,795; 미국특허 5,547,715; Journal of Applied Physics, Vol. 94(5), 2003년 9월 1일호의 기사 "Deposi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Self-Propagating CuOx/Al Thermite Reaction in a Multilayer Foil Geometry"; 2001년 5월 1일에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09/846,486; 및 D.A. Glocker, S.I. Shah 저 Handbook of Thin Film Process Technology, 1998년도 판의 "Self-Propagating Reactions in Multilayer Materials," 장. 나노구조 반응성 다층을 제조하는 다른 방법에는 그 전체가 참고를 위해 여기에 포함되는 미국특허 6,534,194에 기술된 기계식 가공(mechanical processing)과 전착(electrochemical deposition)이 있다.
그러나 반응성 다층 결합에 의한 인클로저 밀봉은 고급 구성요소에 필요한 허용가능한 누출 정도를 제공하는 데 실패하였다. 이러한 실패는 두 가지 널리 알려진 효과에 기인한다: (i) 반응에 따른 반응성 포일의 밀도 상승, 및 (ii) 반응 온도에서 실온으로의 냉각에 따른 포일의 수축. 이러한 효과는 모두 포일에 균열의 형성을 야기하고, 이는 곧이어 융해된 땜납 또는 브레이즈(braze)로 채워진다. 그 결과, 반응성 결합 구조는 연성 납땜 또는 브레이즈 매트릭스로 둘러싸인 경성 재료(반응한 포일)를 포함한다. 광학 현미경으로 확인될 수 있는 이 결과는, 반응 중에 형성되는 균열 중 몇몇이 가용성 재료로 온전히 채워지지 않기 때문에, 기계적 강도가 높은 결합의 형성에 필수적이지만, 밀봉이 파괴되거나 누출 정도 목표에 미치지 못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반응성 결합은 현재 고급 용접 밀봉을 지속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적절한 수단을 제시하지 않는다.
도 1A ~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봉된 제품의 구성요소 및 밀봉된 제품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다양한 개략도.
도 2A ~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봉된 제품의 구성요소 및 밀봉된 제품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다양한 개략도.
도 3A ~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봉된 제품의 구성요소 및 밀봉된 제품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다양한 개략도.
도 4A ~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봉된 제품의 구성요소 및 밀봉된 제품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다양한 개략도.
도 4C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봉된 제품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4D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봉된 제품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5A ~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봉된 제품의 구성요소 및 밀봉된 제품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다양한 개략도.
도 6A ~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봉된 제품의 구성요소 및 밀봉된 제품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다양한 개략도.
도 7A ~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봉된 제품의 구성요소 및 밀봉된 제품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다양한 개략도.
도 7C ~ 7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봉된 제품의 구성요소 및 밀봉된 제품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다양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봉 검사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용기(container)를 밀봉하는 방법이 포함된다. 이 방법은 용기의 둘 이상의 구성요소를 마련하는 단계, 둘 이상의 구성요소 사이에 분쇄가능한(crushable) 재료를 배치하는 단계, 둘 이상의 구성요소 사이에 반응성 다층 재료를 배치하는 단계, 둘 이상의 구성요소 사이에 밀봉을 형성하게끔 분쇄가능한 재료를 변형시키는 단계, 둘 이상의 구성요소를 결합하게끔 반응성 다층 재료를 화학적으로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측면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둘 이상의 구성요소 사이에 가용성 재료의 배치하는 단계; 반응성 다층 재료를 화학적으로 변화시키는 단계가 둘 이상의 구성요소를 결합하게끔 가용성 재료를 변화시키는 단계 포함; 반응성 다층 재료가 반응성 다층 포일 포함; 반응성 다층 재료가 가용성 재료 포함; 밀봉이 용접 밀봉; 반응성 다층 재료를 화학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둘 이상의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밀봉 형성; 반응성 다층 재료를 화학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둘 이상의 구성요소 사이의 밀봉 고정; 다른 밀봉이 용접 밀봉; 분쇄가능한 재료를 변형시키는 단계가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에 힘을 가하는 단계 포함; 밀봉의 품질을 판단하는 단계; 밀봉의 품질을 판단하는 단계가 밀봉의 누출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 포함; 밀봉에 대한 소정의 품질 변수를 마련하는 단계; 밀봉의 품질을 판단하는 단계가 밀봉의 품질이 소정의 품질 변수 이내인지 판단하는 단계 포함; 반응성 다층 재료를 화학적으로 변화시키는 단계가 반응성 다층 재료의 적어도 일부분을 점화시키는 단계 포함; 분쇄가능한 재료를 변형시키는 것이 용기의 내부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밀봉; 반응성 다층 재료를 밀봉의 희망 강도에 근거하여 선택하는 단계; 분쇄가능한 재료가 영구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 분쇄가능한 재료가 가역성으로 변형되도록 구성; 분쇄가능한 재료가 연금속 포함; 연금속이 구리, 금,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스틸, 코바(Kovar), 및 연땜납 중 적어도 하나 포함; 분쇄가능한 재료가 압축성 중합체 포함; 압축성 중합체가 부나 고무, 실리콘 고무, 및 바이톤(viton) 중 적어도 하나 포함; 분쇄가능한 재료가 외부 환경에 대하여 반응성 다층 재료의 내측에 배치;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하나에 홈을 마련하는 단계; 분쇄가능한 재료를 배치하는 단계가 분쇄가능한 재료를 홈에 배치하는 단계 포함;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하나에 돌기를 마련하는 단계; 분쇄가능한 재료를 변형시키는 단계는 돌기에 접하여 분쇄가능한 재료를 변형시키는 단계 포함;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다른 하나에 다른 돌기를 마련하는 단계; 분쇄가능한 재료를 변형시키는 단계가 다른 돌기에 접하여 분쇄가능한 재료를 변형시키는 단계 포함;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하나에 홈을 마련하는 단계; 분쇄가능한 재료를 변형시키는 단계가 분쇄가능한 재료를 홈 안으로 변형시키는 단계 포함;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하나에 모퉁이를 마련하는 단계; 분쇄가능한 재료를 배치하는 단계가 변형가능한 재료를 모퉁이에 배치하는 단계 포함;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하나에 모퉁이를 마련하는 단계; 분쇄가능한 재료를 변형시키는 단계가 분쇄가능한 재료를 모퉁이 안으로 변형시키는 단계 포함;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하나는 뚜껑이고,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다른 하나는 용기 바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는 밀봉된 제품이 포함된다. 이 밀봉된 제품은 용기를 구성하는 둘 이상의 구성요소, 둘 이상의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는, 변형된 상태에 있고 둘 이상의 구성요소 사이에 밀봉을 형성하는 분쇄가능한 재료, 및 둘 이상의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고 둘 이상의 구성요소를 결합하는 반응성 다층 재료의 화학 변화 생성물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측면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반응성 다층 재료가 반응성 다층 포일 포함; 반응성 다층 재료가 가용성 재료 포함; 가용성 재료가 둘 이상의 구성요소를 결합하도록 구성; 가용성 재료가 둘 이상의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 분쇄가능한 재료가 반응성 다층 재료의 화학 변화 생성물의 내측에 위치; 분쇄가능한 재료 및 화학 변화 생성물이 협동하여 둘 이상의 구성요소 사이에 용접 밀봉 형성; 분쇄가능한 재료가 영구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 분쇄가능한 재료가 가역성으로 변형되도록 구성; 분쇄가능한 재료가 연금속 포함; 연금속이 구리, 금,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스틸, 코바, 및 연땜납 중 적어도 하나 포함; 분쇄가능한 재료가 압축성 중합체 포함; 압축성 중합체가 부나 고무, 실리콘 고무, 및 바이톤 중 적어도 하나 포함; 분쇄가능한 재료가 적어도 일부분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하나의 홈 내에 배치; 분쇄가능한 재료가 적어도 일부분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다른 하나의 다른 홈 내에 배치; 분쇄가능한 재료가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하나의 돌기에 접하여 배치; 분쇄가능한 재료가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하나의 다른 돌기에 접하여 배치; 분쇄가능한 재료가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하나의 모퉁이에 배치;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하나는 뚜껑이고,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다른 하나는 용기 바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는 밀봉된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키트가 포함된다. 이 키트는 결합시 용기를 구성하는 둘 이상의 구성요소, 둘 이상의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분쇄가능한 재료, 및 둘 이상의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반응성 다층 재료를 포함한다. 분쇄가능한 재료는 변형된 상태일 때 둘 이상의 구성요소 사이에 실질적으로 밀봉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반응성 다층 재료의 적어도 일부분은 둘 이상의 구성요소를 결합하게끔 화학적으로 변화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측면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반응성 다층 재료가 반응성 다층 포일 포함; 반응성 다층 재료가 가용성 재료 포함; 가용성 재료가 둘 이상의 구성요소를 결합하도록 구성; 가용성 재료가 둘 이상의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 분쇄가능한 재료가 외부 환경에 대하여 반응성 다층 재료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구성; 분쇄가능한 재료 및 화학 변화 생성물이 협동하여 둘 이상의 구성요소 사이에 용접 밀봉 형성; 분쇄가능한 재료가 영구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 분쇄가능한 재료가 가역성으로 변형되도록 구성; 분쇄가능한 재료가 연금속 포함; 연금속이 구리, 금,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스틸, 코바, 및 연땜납 중 적어도 하나 포함; 분쇄가능한 재료가 압축성 중합체 포함; 압축성 중합체가 부나 고무, 실리콘 고무, 및 바이톤 중 적어도 하나 포함;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하나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쇄가능한 재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홈 포함;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다른 하나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쇄가능한 재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다른 홈 포함;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하나가 분쇄가능한 재료에 접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된 돌기 포함;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다른 하나가 분쇄가능한 재료에 접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된 다른 돌기 포함;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하나가 분쇄가능한 재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모퉁이 포함;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하나는 뚜껑이고,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다른 하나는 용기 바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는 밀봉 검사 장치가 포함된다. 밀봉 검사 장치는 챔버, 챔버 안에 배치된 용기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기구, 챔버에 대해 기체를 공급 및 제거하도록 구성된 포트, 반응성 다층 재료의 화학 변화를 시작하도록 구성된 트리거, 및 용기로부터의 누출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누출 감지기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측면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반응성 다층 재료가 반응성 다층 포일; 기구가 압봉; 챔버가 진공 챔버; 포트가 챔버 내에 진공을 생성하도록 구성; 포트가 기체의 공급원에 연결; 포트가 진공 공급원에 연결.
전술된 및 후술될 일반적인 설명은 모범 및 예시를 위한 것일 뿐이며, 청구항에 나타난 본 발명의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그 일부분을 구성하는 참조 도면은 본 발명의 일 (또는 복수의) 실시예를 묘사하며, 기술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해석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가능한 경우,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사용될 것이다.
도 1 내지 8은 용접 밀봉 제품 및 제조방법의 다양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묘사한다. 용접 밀봉 제품은 기계식 밀봉 및 반응성 다층 결합의 명민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접 밀봉 제품은 다음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1) 압력 하에 적절히 변형되는 경우 장치와 환경 사이에 고품질의 밀봉을 제공하는 "분쇄가능한(crushable)" 또는 "연한(soft)" 재료, 및 (2) "분쇄가능한" 또는 "연한" 재료를 변형시키기 위해 가해진 힘(예를 들면, 압력)이 제거된 후 밀봉의 무결성을 유지하는 반응성 다층 결합.
용접 밀봉 제품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a) 봉입 공간을 정의하는 둘 이상의 구성요소 사이에 하나 이상의 분쇄가능한 재료를 배치하는 단계, (b) 둘 이상의 구성요소(예를 들면, 뚜껑과 용기) 사이에 하나 이상의 반응성 다층 포일을 배치하는 단계, (c) 분쇄가능한 재료를 변형시키고 따라서 조립품에(예를 들면,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에) 압력을 가하는 단계, 및 (d) 반응성 다층 결합을 형성하도록 하나 이상의 반응성 다층 포일을 점화시키는 단계.
분쇄가능한 재료는 압력 하에서 변형될 수 있는 와이어(wire), 개스킷(gasket), 워셔(washer), 및/또는 어떠한 다른 적합한 재료의 형태일 수 있다. 영구적 또는 가역성일 수 있는 변형은, 분쇄가능한 재료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둘 이상의 구성요소 사이에 및/또는 분쇄가능한 재료에 걸쳐 밀봉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와이어, 개스킷, 워셔 및/또는 어떠한 다른 적합한 재료의 단면은 직경이 1 밀리미터에서 1 센티미터까지 다양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이러한 재료의 길이가 수 밀리미터에서 1 미터 이상까지 다양할 수 있다. 그러나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분쇄가능한 재료가 단면 또는 다른 부면에서 어떠한 적합한 형상 및/또는 어떠한 적합한 크기이든 가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몇몇의 분쇄가능한 재료는 봉입 공간 및 외부 환경 사이에 압력차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밀봉을 유지할 수 있는 충분한 기계 강도를 보유하며 영구적으로(즉, 가소성으로) 변형할 수 있다. 영구적으로 변형하는 분쇄가능한 재료의 예에는 구리, 금, 및/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연금속이 포함된다. 영구적으로 변형할 수 있는 분쇄가능한 재료의 다른 예에는 단단한 코어(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스틸) 및 연한 외각(예를 들면, 구리 및/또는 알루미늄)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분쇄가능한 재료는 가압중 가역성으로 변형할 수 있다(즉, 압력이 제거되면, 분쇄가능한 재료는 실질적으로 원상태로 회복된다). 그러한 가역성 분쇄가능한 재료에는 중합체 재료(예를 들면, 부나(buna) 고무, 실리콘 고무, 및/또는 바이톤(viton))가 포함될 수 있다. 가역성 분쇄가능한 재료는 변형된 후에도 재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또 다른 분쇄가능한 재료에는 스프링 같은(spring-like) 재료(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스틸) 주위의 용이하게 변형되는 재료(예를 들면, 구리 및/또는 알루미늄)의 외각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 제시된 분쇄가능한 재료 몇몇은 재사용될 수 있고, 몇몇은 일회용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용접 밀봉 제품의 제조방법은 하나 이상의 반응성 다층 결합 방법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관한 예가 미국특허 5,381,944, 2001년 5월 1일에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09/846,486 (미국특허 공개번호 20020182436), 및 2000년 5월 2일에 출원된 미국특허 가출원 60/201,292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전체는 참고를 위해 여기에 포함된다.
용접 밀봉 제품의 제조방법은 또한 둘 이상의 구성요소 사이에 충분한 결합 강도를 획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밀봉에 적용될 수 있는 강도 요구조건은, 인클로저 구성요소에 가해지는 압력이 분쇄가능한 재료의 변형을 유지하다가 제거된 후에도 그 결합이 분쇄가능한 재료의 변형을 유지해야 한다는 조건에 의해 증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은 용접 밀봉 제품의 통상적 떠밀림을, 또는 다른 외부 힘을, 인내할 수 있을 정도로 강도가 높아야 하며, 동시에 인클로저 구성요소에서 압력이 제거된 후 분쇄가능한 재료의 변형을(따라서 밀봉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반응성 결합 과정을 위한 가용성 재료(예를 들면, 땜납 또는 브레이즈)는 하나 이상의 관련 인자에 근거하여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인자에는 강도 요구조건(예를 들면, 사용되는 분쇄가능한 재료의 종류에 따른), 열피로저항도(thermal fatigue resistance), 부식저항도, 낮은 스플래터(splatter), 및/또는 증기 배출량(vapor emission)이 포함된다. 밀봉된 장치가 사용 중 통상적으로 고온에 노출되는 경우, 가용성 재료로 브레이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A 및 1B는 용접 밀봉 제품(10) 및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묘사한다. 도 1A 및 1B에 묘사된 바와 같이, 와이어 개스킷(11) 또는 다른 적합한 분쇄가능한(즉, 변형가능한) 재료(11)가 인클로저 구성요소 중 하나의 일부분에, 예를 들어 뚜껑(13)의 홈(12)에, 배치될 수 있다. 홈(12)은 어떠한 적합한 방법으로든 인클로저 구성요소(예를 들면, 뚜껑(13))에 형성될 수 있다. 둘 이상의 인클로저 구성요소의, 예를 들어 뚜껑(13) 및 용기(17)의, 하나 이상의 표면(15, 16)에 및/또는 그 사이에 반응성 다층 포일(14)을 배치할 수 있다.
인클로저 구성요소(13, 17)는 장치(21)가 그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에워싸인 공간(18)을 정의할 수 있다. 반응성 다층 포일(14) 또한 하나 이상의 가용성 재료(20) 층에 및/또는 그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 다음, 하나의 인클로저 구성요소(13)의 홈(12) 및 다른 인클로저 구성요소(17)의 표면(16) 사이에서, 예를 들어 어떠한 적합한 방법을 사용하여 인클로저 구성요소 중 하나의 어떠한 적절한 부분(예를 들면, 뚜껑(13)의 상부)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분쇄가능한 재료(11)는 변형될 수 있다. 분쇄가능한 재료(11)의 그러한 변형은 에워싸인 공간(18) 및/또는 장치(21)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밀봉시킬 수 있다. 그 다음, 반응성 다층 포일(14)이 점화되어 인클로저 구성요소, 예를 들어 뚜껑(13) 및 용기(17) 사이에 강도 높은 기계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강도 높은 기계 결합은 가용성 재료(20)의 인클로저 구성요소(13, 17)에 대한 결합 또는 인클로저 구성요소(13, 17)의 직접적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 다음, 하나 이상의 인클로저 구성요소에 대한 압력이 제거될 수 있고, 그 결과 비교적 장기간 충분한 무결성을 갖는, 충분히 기밀한 밀봉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밀봉된 인클로저(10)가 제공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반응성 다층 포일, 결합 재료, 및/또는 다른 적합한 "가용성" 재료가 반응성 다층의 어느 면 및/또는 어느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가용성 재료층은 어떠한 적합한 형태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독립 구조의(free-standing) 시트(sheet), 인클로저 구성요소(예를 들면, 용기 및/또는 뚜껑)에 사전 배치된 층, 및/또는 포일 표면에 사전 배치된 층일 수 있다. 이와 기타 적합한 형태가 미국특허 5,381,944, 2001년 5월 1일에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09/846,486 (미국특허 공개번호 20020182436), 및 2000년 5월 2일에 출원된 미국특허 가출원 60/201,292에 개시되어 있다. 가용성 재료의 예에는 땜납 및/또는 브레이즈가 있다. 땜납 및/또는 브레이즈는 인클로저 구성요소에 배치될 수 있고, 포일 및/도는 인클로저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된 독립 구조의 시트일 수 있고, 그리고/또는 포일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A 및 2B는 용접 밀봉 제품(30) 및 제조방법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묘사한다. 이 실시예는 도 1A 및 1B에 제시된 실시예와 상당 부분 유사한데, 인클로저 구성요소 중 하나(예를 들면, 용기(31))의 표면이 다른 인클로저 구성요소(34)에 배치된 분쇄가능한 재료(33)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 돌출부(32)(예를 들면, 리지(ridge))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이 다르다. 예를 들어, 돌출부(32)는 다른 인클로저 구성요소(예를 들면, 상부 뚜껑(34)의 홈(35)에 실질적으로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32)는 도 2A 및 2B에 묘사된 리지 형상과 같이 어떠한 적합한 형상 및/또는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어떠한 적합한 방법을 사용하여 인클로저 구성요소(31)의 표면(36)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돌출부(32) 및 인클로저 구성요소에 배치된 분쇄가능한 재료(33) 사이의 상호작용 때문에 분쇄가능한 재료(예를 들면, 와이어 개스킷(33))를 변형시키는 데 도 1의 구성에서보다 더 적은 압력이 요구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도 3A 및 3B는 용접 밀봉 제품(50) 및 제조방법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묘사한다. 이 실시예는 도 1A ~ 1B 및 도 2A ~ 2B에 제시된 실시예와 상당 부분 유사한데, 분쇄가능한 재료(예를 들면, 와이어 개스킷(51))가 인클로저 구성요소 중 하나(예를 들면, 상부 뚜껑(53))의 홈(52) 안에 배치되고, 변형 이전에 다른 인클로저 구성요소(예를 들면, 용기(55))의 대응 홈(54)(예를 들면, 골(trough))에 대해 실질적으로 반대편에 배치된다는 점이 다르다. 골(54) 또는 홈(54)은 인클로저 구성요소(55)에서 다른 표면(57)에 비해 높여진 표면(56)에, 예를 들어 반응성 포일(58)이 배치되는 표면(56)에, 배치될 수 있다. 변형 중에, 분쇄가능한 재료(51)는 홈(52)과 골(54) 사이에서 변형된다. 이러한 구성의 장점은 골(54) 또는 홈(54)이 도 2A ~ 2B의 돌출부(32)보다 가공하기 쉬울 수 있고, 도 1A ~ 1B의 평평한 표면(16) 또는 도 2A ~ 2B의 돌출부(32)의 양 경우에 비해 취급 중 손상에 덜 취약하다는 것이다. 밀봉을 형성하도록 분쇄가능한 재료(51)를 변형시키는 것에는 도 2A ~ 2B의 구성에 가해지는 압력과 유사한 압력이 요구된다(즉, 도 1A ~ 1B의 구성에 가해지는 압력보다 적다).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기에 기술된 어떠한 실시예의 어떠한 특징도 여기에 기술된 다른 특징과 변경, 치환, 및/또는 통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4A 및 4B는 도 1A 및 1B의 구성과 유사한 구성을 묘사하는데, 분쇄가능한 재료(71)가 용기(73)의 홈(72)에 배치되고 뚜껑의 대응하는 표면이 반응성 다층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다른 예에서, 도 4C는 도 2A 및 2B의 구성과 유사한 구성을 묘사하는데, 분쇄가능한 재료(81)가 용기(83)의 홈(82)에 배치되고 돌출부(84)가 뚜껑(85)에 배치된다는 점이 다르다. 다른 예에서, 도 4D는 도 3A 및 3B의 구성과 유사한 구성을 묘사하는데, 분쇄가능한 재료(91)가 용기(93)의 홈(92)에 배치되고 대응하는 골(94) 또는 홈(94)이 뚜껑(95)에 배치된다는 점이 다르다.
도 5A 및 5B는 용접 밀봉 제품(100) 및 제조방법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묘사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분쇄가능한 재료(예를 들면, 와이어 개스킷(101))가 인클로저 구성요소 중 하나(예를 들면, 용기(103))에 가공(또는 다른 방법으로 제조)된 모퉁이(102)에 배치된다. 따라서 여기에 제시된 다른 실시예들과 달리, 분쇄가능한 재료(101) 및/또는 반응성 다층(104)의 만족스러운 맞음새를 제공하기 위해 인클로저 구성요소 중 하나 이상에 추가 가공(또는 다른 제조과정) 단계가 필요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인클로저 구성요소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분쇄가능한 재료(101)가 다른 인클로저 구성요소(예를 들면, 뚜껑(106)의 표면(105))에 의해 모퉁이(102)에서 변형되고 그 결과 인클로저 구성요소(예를 들면, 뚜껑(106) 및 용기(103))에 의해 정의되는 봉입 내부 공간(107)을 밀봉할 수 있다. 그 다음, 반응성 다층(104)의 반응성 다층 포일(108)은 인클로저 구성요소(예를 들면, 뚜껑(106) 및 용기(103)의 외부 가장자리)의 실질적으로 인접한 부분들을 결합시키고, 그리고/또는 가용성 재료(109)를 인클로저 구성요소(103, 106)에 결합시키게끔 자극(triggered) 및/또는 점화될 수 있다. 그 결과, 밀봉의 장기 무결성이 달성된다. 이러한 밀봉 구성 및/또는 방법의 구현은 도 1A 내지 4D에 제시된 구성 및/또는 방법에 비해 더 적은 밀봉 압력(예를 들면, 분쇄가능한 재료를 변형하기 위한)을 요구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할 수 있다. 이 구성 및/또는 방법이 도 1A 내지 4D에 제시된 구성 및/또는 방법과 공유하는 다른 장점은, 분쇄가능한 재료의 변형이 적절한 밀봉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 반응성 다층 포일을 자극(예를 들면, 점화)하기 전에 분쇄가능한 재료를 제거하고 다른 분쇄가능한 재료로 밀봉 절차를 반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도 6A 및 6B는 용접 밀봉 제품(120) 및 제조방법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묘사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둘 이상의 인클로저 구성요소(123, 124)의 대응하는 표면(121, 122)이 분쇄가능한 재료(127)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 돌출부(125, 126)(예를 들면, 예리한 리지)를 포함한다. 그 예리함을 유지하기 위해, 리지(125, 126)는 분쇄가능한 재료(127)의 배치 이전에 보호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밀봉 이전에 둘 이상의 인클로저 구성요소(123, 124)가 정렬될 때, 각각의 리지(125, 126)는 실질적으로 서로 대응될 수 있다. 리지(125, 126)는 적어도 개스킷, 워셔, 또는 다른 적합한 분쇄가능한 재료(127)에 비해 단단한 재료일 수 있다. 개스킷, 워셔, 및/또는 다른 어떠한 적합한 더 연하고(예를 들면, 리지(125, 126) 및/또는 인클로저 구성요소(123, 124)에 비해) 및/또는 분쇄가능한 재료(127)가 상응하는 리지(123, 1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변형시 효과적인 밀봉을 형성하기 위해 개스킷(127) 및/또는 워셔(127)는 리지(125, 126)에 올바르게 배치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인클로저 구성요소(123, 124)에 충분한 압력을 가하여 더 단단한 예리한 리지(125, 126)가 더 연한 분쇄가능한 재료(127)를 적합하게 변형시키면서 밀봉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 방법의 잠재적인 장점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1) 다른 재료에 비해 단순한 개스킷 및/또는 워셔를 취급하기 쉬울 수 있다, (2) 표면의(예를 들면, 인클로저 구성요소의) 평평함 및 마감에 대한 요구 조건이 더 낮을 수 있다, 그리고/또는 (3) 분쇄가능한 재료를 변형시키고 적합한 밀봉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압력이, 예를 들어 여기에 제시된 다른 실시예에 비해, 더 적을 수 있다.
도 7A 내지 7D는 용접 밀봉 제품(140, 160) 및 제조방법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묘사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연한 워셔, 개스킷, 또는 다른 분리된 분쇄가능한 재료가 생략될 수 있고, 대신 인클로저 구성요소(142, 162)의 예리한 리지(141, 161) 또는 돌출부(141, 161)를 사용하여 다른 인클로저 구성요소(143, 163)의 더 연한 표면을 직접 누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연한 또는 단단한 재료는 갈바니 커플(galvanic couple)을 방지하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7A 및 7B는 용기(142)의 예리한 리지(141)가 뚜껑(143)의 더 연한 재료에 직접 접하여 및/또는 그 안으로 누르는 실시예를 묘사한다. 도 7C 및 7D는 뚜껑(162)의 예리한 리지(161)가 용기(163)의 더 연한 재료에 직접 접하여 및/또는 그 안으로 누르는 실시예를 묘사한다.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각 인클로저 구성요소의 일부분만 더 단단한 및/또는 더 연한 재료로, 예를 들어 인클로저 구성요소 사이에 밀봉을 제공하기에 필요한 정도에 따라, 만들어도 됨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디자인의 장점에는 더 적은 가공 노력(즉, 제조하기가 더 용이함), 및 와이어, 개스킷, 워셔, 및/또는 다른 분리된 분쇄가능한 재료의 생략이 포함된다. 이 실시예, 특히 도 7A 및 7B의 구성의 다른 장점은 밀봉이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사료되는 경우 특수한 기하학적 특징을 가지지 않는 인클로저 구성요소(예를 들면, 도 7A 및 7B의 뚜껑(143) 또는 도 7C 및 7D의 용기(163))를 제거 및/또는 교체할 수 있다는 점이다. 다른 구성요소 또한 재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장점은, 더 연한 및/또는 분쇄가능한 재료(예를 들면, 도 7A 및 7B의 뚜껑(143) 또는 도 7C 및 7D의 용기(163))로 만들어진 구성요소가 특수한 기하학적 특징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그 인클로저 구성요소는 여기에 제시된 다른 인클로저 구성요소에 비해 제조 및/또는 교체하기가 상대적으로 저렴할 수 있다는 점이다.
여기에 바람직한 실시예가 제시되는 본 발명의 한 가지 장점은 용기의 봉입 공간 내에 배치된 민감한 요소가 밀봉된 표면 및/또는 분쇄가능한 재료에 의해 반응성 결합 과정에 사용되는 가용성 재료(예를 들면, 땜납 또는 브레이즈)의 흐름으로부터 보호된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밀봉된 표면 및/또는 분쇄가능한 재료가 사용되지 않는 기존 방법에서는, 가용성 재료가 융해된 상태에 있는 동안 때때로 용기의 봉입 공간 내로 누출되어 결과적으로 그 안에 수용된 민감한 요소를 손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에서는, 밀봉 표면 및/또는 분쇄가능한 재료가 가용성 재료의 내측에, 즉 가용성 재료와 봉입 공간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가용성 재료가 봉입 공간으로 흘러 그 안에 수용된 민감한 요소를 손상시킬 가능성이 상당히 저감, 또는 완전히 제거된다. 융해된 가용성 재료(예를 들면, 땜납 또는 브레이즈)는 밀봉된 표면 및/또는 분쇄가능한 재료에 의해(예를 들면, 와이어, 개스킷, 워셔 및 그 지지물에 의해, 또는 예리한 리지에 의해) 갇힐 것이다. 이것은 종래의 반응성 결합 방법에 비해 장점이다.
여기에 바람직한 실시예가 제시되는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밀봉을 영구적으로 하기(예를 들면, 반응성 결합을 통해) 전에 밀봉(예를 들면, 밀봉된 표면 및/또는 분쇄가능한 재료에 의한)의 품질이 분석 및 보장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점화 및 반응성 결합 이전에 하나 이상의 인클로저 구성요소에 압력을 가하고 밀봉된 표면 및/또는 분쇄가능한 재료를 변형시킴으로써 밀봉을 획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압에 따른 밀봉의 품질이 불만족스러운 것으로 사료되면, 용기 내에 위치하는 민감한 요소의 손실의 위험 없이 인클로저 조립품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절은 와이어, 개스킷, 워셔, 및/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의 교체,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예를 들면, 뚜껑 및/또는 용기)의 표면 연마, 또는 인클로저 조립품의 불량 부분을 교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인클로저를 영구적으로 밀봉하기 이전에 밀봉의 품질을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은 조립품에 영구적인 또는 회복할 수 없는 변경에 의해 밀봉이 이루어지는 대부분의 접근법 대안과 비교할 때 상당한 장점이다. 이러한 대안의 예에는 레이저 용접, 납땜 또는 브레이징(brazing), 및 나사 또는 기계식 파스너의 사용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영구적인 결합의 형성 이전에 밀봉 검사 장치를 사용한 밀봉의 품질 검증을 제공한다. 그러한 밀봉 검사 장치(200)의 예가 도 8에 나타나 있다. 도 8에 묘사된 바와 같이, 이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진공 챔버(201), 인클로저 구성요소 중 하나(예를 들면, 뚜껑(203))를 다른 인클로저 구성요소(예를 들면, 용기(204)의 상부)에 대하여 배치하고 그리고/또는 인클로저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압봉(202) 또는 유사한 기구, 챔버(201)를 기체(예를 들어, He 또는 Ar과 같은 비활성 기체) 또는 기체 혼합물(예를 들어, He을 함유하는 비활성 기체 혼합물)로 채우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유입구(205), 챔버(201)로부터 기체(예를 들어, He 또는 Ar과 같은 비활성 기체) 또는 기체 혼합물(예를 들어, He을 함유하는 비활성 기체 혼합물)을 비우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유출구(206), 및 반응성 다층(208)(예를 들면, 가용성 및/또는 결합 재료를 구비하거나 또는 구비하지 않을 수 있는 반응성 다층 포일)을 점화시키기 위한 수단(207)을 포함할 수 있다. 압봉(202)은, 예를 들어 압봉(202)의 운동을 보조하고 그리고/또는 압봉(202)과 압봉(202)이 관통하는 챔버(201) 벽 사이의 접촉면을 밀봉하기 위한, 벨로우(212)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구 및 유출구는 동일한 포트(port)일 수 있다(즉, 기체 또는 기체 혼합물이 동일한 유입구, 유출구, 및/또는 포트를 통하여 챔버를 채우게 및/또는 비우게 할 수 있다). 반응성 다층(208)을 점화시키기 위한 수단(207)에는 전자적, 열적 또는 기계적 자극을 제공할 수 있는 내부 장치, 및/또는 레이저와 같은 외부 장치가 포함된다. 반응성 다층을 점화시키기 위한 수단이 레이저인 경우, 진공 챔버(201)의 벽을 관통하는 광학적 경로가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용접 밀봉 제품의 제조 과정은 다음의 단계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1) 챔버(201) 안에 둘 이상의 인클로저 구성요소(예를 들면, 용기 및 뚜껑)를 배치, (2) 당업계에 알려진 적합한 수단을, 예를 들어 유출구(206)에 연결된 진공 펌프를 사용하여 챔버(201)를 비움 (특히 공기 및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3) 당업계에 알려진 적합한 수단을 사용하여 챔버(201)를 기체 또는 기체 혼합물로 다시 채움(예를 들어, 챔버(201)를 유입구(205)를 통하여 비활성 기체로 채움), (4) 인클로저 구성요소 중 하나를 다른 인클로저 구성요소에 대하여 배치(예를 들면, 용기(204)의 상부에 뚜껑(203) 배치)하고, 챔버 내부(209) 및/또는 장치(210)를 챔버(201)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밀봉하기 위해(예를 들면, 분쇄가능한 재료의 변형, 인클로저 구성요소 중 하나의 예리한 리지를 다른 인클로저 구성요소 안으로 배치, 및/또는 여기에서 제시된 실시예 중 하나의 변형태에 의해) 인클로저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가압(예를 들면, 압봉(202)을 통하여 뚜껑(203)을), (5) 당업계에 알려진 적합한 수단을, 예를 들어 유출구(206)에 연결된 진공 펌프를 사용하여 챔버(201)를 비움, (6) 당업계에 알려진 어떠한 적합한 수단 및/또는 방법(예를 들면, 유출구(206)에 연결된 누출 감지기(211))을 사용하여 누출 정도를 측정/검증. 측정된 누출 정도가 만족할만한 수준이면, 포일 및/또는 반응성 다층(208)을 점화시키고 따라서 인클로저를 영구적으로 밀봉한다. 측정된 누출 정도가 만족할만한 수준이 아니면, 하나 이상의 결점에 대처하고 과정의 하나 이상의 단계를 반복한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장점은 밀봉 과정 중 민감한 요소의 손실을 제거 또는 최소화한다는 점이다.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전술된 어떠한 실시예의 어떠한 측면도 다른 실시예의 다른 측면과 통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전술된 측면 중 어떠한 것이 생략되어도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더 나아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참조용으로 개시된 어떠한 실시예도 다만 예시를 위한 것이며, 어떠한 설명이 기술되어 있어도 본 발명을 어떻게도 제한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여기에 개시된 본 발명의 설명 및 실행을 고려한다면 다른 실시예들도 자명할 것이다. 이러한 설명 및 예는 예시용으로만 간주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는 다음의 청구항에 의해서 나타난다.

Claims (76)

  1. 용기를 밀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둘 이상의 구성요소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 사이에 분쇄가능한 재료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 사이에 반응성 다층 재료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 사이에 밀봉을 형성하게끔 상기 분쇄가능한 재료를 변형시키는 단계; 및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를 결합하게끔 상기 반응성 다층 재료를 화학적으로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기 밀봉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 사이에 가용성 재료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응성 다층 재료를 화학적으로 변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를 결합하게끔 상기 가용성 재료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기 밀봉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다층 재료는 반응성 다층 포일을 포함하는 용기 밀봉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다층 재료는 가용성 재료를 포함하는 용기 밀봉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은 용접 밀봉인 용기 밀봉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다층 재료를 화학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은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밀봉을 형성하는 용기 밀봉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다층 재료를 화학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은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 사이의 상기 밀봉을 고정시키는 용기 밀봉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밀봉은 용접 밀봉인 용기 밀봉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가능한 재료를 변형시키는 단계는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에 힘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기 밀봉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의 품질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용기 밀봉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의 품질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밀봉의 누출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기 밀봉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에 대한 소정의 품질 변수를 마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밀봉의 품질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밀봉의 품질이 상기 소정의 품질 변수 이내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기 밀봉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다층 재료를 화학적으로 변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반응성 다층 재료의 적어도 일부분을 점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기 밀봉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가능한 재료를 변형시키는 것은 상기 용기의 내부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밀봉시키는 용기 밀봉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다층 재료를 상기 밀봉의 희망 강도에 근거하여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용기 밀봉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가능한 재료는 영구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된 용기 밀봉 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가능한 재료는 가역성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된 용기 밀봉 방법.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가능한 재료는 연금속을 포함하는 용기 밀봉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금속은 구리, 금,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스틸, 코바(Kovar), 및 연땜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용기 밀봉 방법.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가능한 재료는 압축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용기 밀봉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성 중합체는 부나 고무, 실리콘 고무, 및 바이톤(vit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용기 밀봉 방법.
  22.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가능한 재료는 외부 환경에 대하여 상기 반응성 다층 재료의 내측에 배치되는 용기 밀봉 방법.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하나에 홈을 마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쇄가능한 재료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분쇄가능한 재료를 상기 홈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기 밀봉 방법.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하나에 돌기를 마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쇄가능한 재료를 변형시키는 단계는 상기 돌기에 접하여 상기 분쇄가능한 재료를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기 밀봉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다른 하나에 다른 돌기를 마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쇄가능한 재료를 변형시키는 단계는 상기 다른 돌기에 접하여 상기 분쇄가능한 재료를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기 밀봉 방법.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하나에 홈을 마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쇄가능한 재료를 변형시키는 단계는 상기 분쇄가능한 재료를 상기 홈 안으로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기 밀봉 방법.
  2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하나에 모퉁이를 마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분쇄가능한 재료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변형가능한 재료를 상기 모퉁이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기 밀봉 방법.
  2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하나에 모퉁이를 마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분쇄가능한 재료를 변형시키는 단계는 상기 분쇄가능한 재료를 상기 모퉁이 안으로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기 밀봉 방법.
  2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하나는 뚜껑이고,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다른 하나는 용기 바디인 용기 밀봉 방법.
  30. 용기를 구성하는 둘 이상의 구성요소;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는, 변형된 상태에 있고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 사이에 밀봉을 형성하는 분쇄가능한 재료; 및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를 결합하는 반응성 다층 재료의 화학 변화 생성물을 포함하는 밀봉된 제품.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다층 재료는 반응성 다층 포일을 포함하는 밀봉된 제품.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다층 재료는 가용성 재료를 포함하는 밀봉된 제품.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성 재료는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를 결합하도록 구성된 밀봉된 제품.
  34.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는 가용성 재료를 더 포함하는 밀봉된 제품.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성 재료는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를 결합하도록 구성된 밀봉된 제품.
  36.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가능한 재료는 상기 반응성 다층 재료의 상기 화학 변화 생성물의 내측에 위치하는 밀봉된 제품.
  37.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가능한 재료 및 상기 화학 변화 생성물은 협동하여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 사이에 용접 밀봉을 형성하는 밀봉된 제품.
  38.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가능한 재료는 영구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된 밀봉된 제품.
  39.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가능한 재료는 가역성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된 밀봉된 제품.
  40.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가능한 재료는 연금속을 포함하는 밀봉된 제품.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금속은 구리, 금,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스틸, 코바, 및 연땜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밀봉된 제품.
  4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가능한 재료는 압축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밀봉된 제품.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성 중합체는 부나 고무, 실리콘 고무, 및 바이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밀봉된 제품.
  44.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가능한 재료는 적어도 일부분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하나의 홈 내에 배치되는 밀봉된 제품.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가능한 재료는 적어도 일부분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다른 하나의 다른 홈 내에 배치되는 밀봉된 제품.
  46.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가능한 재료는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하나의 돌기에 접하여 배치되는 밀봉된 제품.
  47.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가능한 재료는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하나의 다른 돌기에 접하여 배치되는 밀봉된 제품.
  48.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가능한 재료는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하나의 모퉁이에 배치되는 밀봉된 제품.
  49.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하나는 뚜껑이고,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다른 하나는 용기 바디인 밀봉된 제품.
  50. 밀봉된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키트에 있어서,
    결합시 상기 용기를 구성하는 둘 이상의 구성요소;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분쇄가능한 재료; 및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반응성 다층 재료를 포함하되, 상기 분쇄가능한 재료는 변형된 상태일 때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 사이에 실질적으로 밀봉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반응성 다층 재료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를 결합하게끔 화학적으로 변화되도록 구성된 밀봉된 용기 형성용 키트.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다층 재료는 반응성 다층 포일을 포함하는 밀봉된 용기 형성용 키트.
  52.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다층 재료는 가용성 재료를 포함하는 밀봉된 용기 형성용 키트.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성 재료는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를 결합하도록 구성된 밀봉된 용기 형성용 키트.
  54.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가용성 재료를 더 포함하는 밀봉된 용기 형성용 키트.
  55.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성 재료는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를 결합하도록 구성된 밀봉된 용기 형성용 키트.
  56.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가능한 재료는 외부 환경에 대하여 상기 반응성 다층 재료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밀봉된 용기 형성용 키트.
  57.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가능한 재료 및 상기 반응성 다층 재료의 화학 변화 생성물은 협동하여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 사이에 용접 밀봉을 형성하는 밀봉된 용기 형성용 키트.
  58.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가능한 재료는 영구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된 밀봉된 용기 형성용 키트.
  59.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가능한 재료는 가역성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된 밀봉된 용기 형성용 키트.
  60.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가능한 재료는 연금속을 포함하는 밀봉된 용기 형성용 키트.
  61.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금속은 구리, 금,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스틸, 코바, 및 연땜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밀봉된 용기 형성용 키트.
  62.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가능한 재료는 압축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밀봉된 용기 형성용 키트.
  63. 제 6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성 중합체는 부나 고무, 실리콘 고무, 및 바이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밀봉된 용기 형성용 키트.
  64.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하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분쇄가능한 재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홈을 포함하는 밀봉된 용기 형성용 키트.
  65.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분쇄가능한 재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다른 홈을 포함하는 밀봉된 용기 형성용 키트.
  66.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하나는 상기 분쇄가능한 재료에 접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된 돌기를 포함하는 밀봉된 용기 형성용 키트.
  67.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분쇄가능한 재료에 접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된 다른 돌기를 포함하는 밀봉된 용기 형성용 키트.
  68.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하나는 상기 분쇄가능한 재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모퉁이를 포함하는 밀봉된 용기 형성용 키트.
  69.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하나는 뚜껑이고, 상기 둘 이상의 구성요소 중 다른 하나는 용기 바디인 밀봉된 용기 형성용 키트.
  70. 챔버;
    상기 챔버 안에 배치된 용기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기구;
    상기 챔버에 대해 기체를 공급 및 제거하도록 구성된 포트;
    반응성 다층 재료의 화학 변화를 시작하도록 구성된 트리거; 및
    상기 용기로부터의 누출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누출 감지기를 포함하는 밀봉 검사 장치.
  71. 제 70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다층 재료는 반응성 다층 포일인 밀봉 검사 장치.
  72. 제 70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는 압봉인 밀봉 검사 장치.
  73. 제 70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진공 챔버인 밀봉 검사 장치.
  74. 제 70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는 상기 챔버 내에 진공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밀봉 검사 장치.
  75. 제 70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는 기체 공급원에 연결된 밀봉 검사 장치.
  76. 제 70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는 진공 공급원에 연결된 밀봉 검사 장치.
KR1020057019245A 2003-04-09 2004-04-06 용접 밀봉 제품 및 제조방법 KR200501231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6119603P 2003-04-09 2003-04-09
US60/461,196 2003-04-09
US10/814,243 US7121402B2 (en) 2003-04-09 2004-04-01 Container hermetically sealed with crushable material and reactive multilayer material
US10/814,243 2004-04-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3153A true KR20050123153A (ko) 2005-12-29

Family

ID=33135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9245A KR20050123153A (ko) 2003-04-09 2004-04-06 용접 밀봉 제품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3) US7121402B2 (ko)
EP (1) EP1618604A2 (ko)
JP (1) JP2006522722A (ko)
KR (1) KR20050123153A (ko)
AU (1) AU2004229368A1 (ko)
BR (1) BRPI0409118A (ko)
CA (1) CA2521852A1 (ko)
MX (1) MXPA05010799A (ko)
TW (1) TW200502419A (ko)
WO (1) WO2004091445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3130A2 (en) * 2007-06-26 2008-12-31 Reactive Nanotechnologies, Inc. Gasketless low-temperature hermetic sealing with solder
KR20170070543A (ko) * 2015-12-14 2017-06-22 주식회사 씨에이치솔루션 실링부재를 구비한 진공 챔버와 이에 이용되는 실링 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61006B2 (en) * 2001-07-26 2011-11-22 Powderject Research Limited Particle cassette, method and kit therefor
US20060071384A1 (en) * 2004-10-06 2006-04-06 Advanced Display Process Engineering Co. Lt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lat-panel display
US7354659B2 (en) * 2005-03-30 2008-04-08 Reactive Nanotechnologies, Inc. Method for fabricating large dimension bonds using reactive multilayer joining
US20060219331A1 (en) * 2005-04-04 2006-10-05 Federal Mogul World-Wide, Inc. Exothermic Wire for Bonding Substrates
US20080093418A1 (en) * 2005-06-22 2008-04-24 Weihs Timothy P Multifunctional Reactive Composite Structures Fabricated From Reactive Composite Materials
JP4699134B2 (ja) * 2005-08-12 2011-06-08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電子管、及び電子管の製造方法
US8962151B2 (en) * 2006-08-15 2015-02-24 Integrated Micro Sensors, Inc. Method of bonding solid materials
US7469640B2 (en) * 2006-09-28 2008-12-30 Alliant Techsystems Inc. Flares including reactive foil for igniting a combustible grain thereof and methods of fabricating and igniting such flares
EP1953802A3 (en) * 2007-02-01 2012-05-23 Parker-Hannifin Corporation Semiconductor process chamber
JP5330697B2 (ja) * 2007-03-19 2013-10-30 株式会社リコー 機能素子のパッケージ及びその製造方法
JP4243632B2 (ja) * 2007-05-11 2009-03-25 株式会社アイディエス 真空採血管の開栓装置及び開栓方法
US8641855B2 (en) * 2007-09-25 2014-02-04 Siemens Energy, Inc. Method for spacing electrical conductors and related devices
FR2921753A1 (fr) * 2007-10-02 2009-04-03 Intexys Sa Sous-ensemble optoelectronique et procede d'assemblage de ce sous-ensemble
FR2928632B1 (fr) * 2008-03-11 2012-06-01 Imagene Contenant destine a recevoir et conserver du materiel biologique, notamment de l'adn
US20100011559A1 (en) * 2008-07-16 2010-01-21 O'malley Edward J Retrofit Seals and Method for Placement in an Existing Groove
US7644854B1 (en) 2008-07-16 2010-01-12 Baker Hughes Incorporated Bead pack brazing with energetics
GB0817309D0 (en) * 2008-09-19 2008-10-29 Univ Heriot Watt Encapsulation method
US20100104493A1 (en) * 2008-10-23 2010-04-29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Reactive composite material structures with endothermic reactants
US8440923B2 (en) * 2008-10-23 2013-05-14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Electrical closing switch made from reactive composite materials
US8871121B2 (en) * 2008-10-23 2014-10-28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Optical and metamaterial devices based on reactive composite materials
US20100104823A1 (en) * 2008-10-23 2010-04-29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Reactive composite material structures with multiple reaction-propagation circuits
US20100104834A1 (en) * 2008-10-23 2010-04-29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Foam-like structures based on reactive composite materials
EP2259018B1 (en) * 2009-05-29 2017-06-28 Infineon Technologies AG Gap control for die or layer bonding using intermediate layers of a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DE102010004635B4 (de) * 2010-01-14 2011-09-22 Multivac Sepp Haggenmüller Gmbh & Co. Kg Siegelwerkzeug
CN102185580A (zh) * 2010-01-18 2011-09-14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电子装置、基板的制造方法以及电子装置的制造方法
US9969022B2 (en) * 2010-09-28 2018-05-15 Applied Materials, Inc. Vacuum process chamber component and methods of making
WO2013127464A1 (de) * 2012-03-02 2013-09-06 Maag Pump Systems Ag Dichtungsanordnung, eine fördereinrichtung mit einer dichtungsanordnung sowie ein verfahren zum betrieb der dichtungsanordnung
DE102012206869B4 (de) * 2012-04-25 2021-05-27 Robert Bosch Gmbh Mikromechanisches Bau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ikromechanischen Bauelements
US9315417B2 (en) * 2013-02-17 2016-04-19 Invenias Inc Attachment of a cap to a substrate-based device with in situ monitoring of bond quality
JP2015088579A (ja) * 2013-10-30 2015-05-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パッケージ、光学デバイス、光センサー、電子デバイスおよび電子機器
US9540231B2 (en) * 2014-01-28 2017-01-10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EMS device with a bonding layer embedded in the cap
US20150226053A1 (en) * 2014-02-12 2015-08-13 Baker Hughes Incorporated Reactive multilayer foil usage in wired pipe systems
CN103910325B (zh) * 2014-02-27 2015-06-17 厦门大学 一种可实现键合间隙精确可控的高可靠性的mems封装结构及封装方法
JP6365215B2 (ja) * 2014-10-15 2018-08-01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9431354B2 (en) 2014-11-06 2016-08-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ctivating reactions in integrated circuits through electrical discharge
ITUA20164673A1 (it) * 2016-06-27 2017-12-27 St Microelectronics Srl Dispositivo mems formato da almeno due strati strutturali incollati reciprocamente e relativo processo di fabbricazione
US9859227B1 (en) 2016-06-30 2018-01-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maging integrated circuit components
KR20200110047A (ko) * 2019-03-15 2020-09-23 주식회사 케이씨텍 기판 처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58927A (en) 1961-06-05 1964-12-01 Burroughs Corp Method of fabricating sub-miniature semiconductor matrix apparatus
CA1122129A (en) * 1978-12-21 1982-04-20 John B. Hutchison Sealing conduits
JPS6035823B2 (ja) 1980-12-17 1985-08-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半導体装置の製法
US4607779A (en) 1983-08-11 1986-08-26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Non-impact thermocompression gang bonding method
US4715526A (en) 1986-11-20 1987-12-29 General Dynamics, Pomona Division Floating seal and method of its use
FR2622546B2 (fr) * 1987-05-25 1990-03-16 Emballages Conseils Etudes Dispositif de fermeture pour recipients
US5137171A (en) * 1987-07-30 1992-08-11 Crown Beverage Packaging, Inc. Collapsed body bead for improved sidewall integrity of metal can packages
US5038996A (en) 1988-10-12 1991-08-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onding of metallic surfaces
US5175410A (en) 1991-06-28 1992-12-29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IC package hold-down fixture
JP2702059B2 (ja) * 1993-07-09 1998-01-21 扶桑薬品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輸液容器の口部閉塞方法
US5381944A (en) 1993-11-04 1995-01-1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Low temperature reactive bonding
US5589489A (en) * 1993-12-15 1996-12-31 Zeneca Limited Cyclic amide derivatives for treating asthma
US5477009A (en) 1994-03-21 1995-12-19 Motorola, Inc. Resealable multichip module and method therefore
US5538795B1 (en) 1994-07-15 2000-04-18 Univ California Ignitable heterogeneous stratified structure for the propagation of an internal exothermic chemical reaction along an expanding wavefront and method making same
US5641713A (en) 1995-03-23 1997-06-2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rocess for forming a room temperature seal between a base cavity and a lid using an organic sealant and a metal seal ring
US6158927A (en) * 1996-06-17 2000-12-12 Cole Carbide Industries, Inc. Milling cutter
US5956576A (en) 1996-09-13 1999-09-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hanced protection of semiconductors with dual surface seal
EP0907064A3 (de) 1997-10-03 2000-08-02 Horia A. Dinulescu Wärmetauscher, insbesondere Luftkühler für Kraftwerke,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2000323593A (ja) 1999-05-06 2000-11-24 Yazaki Corp 半導体装置
KR20020020809A (ko) 1999-08-13 2002-03-15 프리돌린 클라우스너, 롤란드 비. 보레르 페길화-인터페론-알파와 관련된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
US6544662B2 (en) 1999-10-25 2003-04-08 Alliedsignal Inc. Process for manufacturing of brazed multi-channeled structures
JP2001171755A (ja) * 1999-12-14 2001-06-26 Hosokawa Yoko Co Ltd 包装容器
US20050082343A1 (en) 2000-05-02 2005-04-21 Jiaping Wang Method of joining using reactive multilayer foils with enhanced control of molten joining materials
US6991856B2 (en) 2000-05-02 2006-01-31 Johns Hopkins University Methods of making and using freestanding reactive multilayer foils
US7361412B2 (en) 2000-05-02 2008-04-22 Johns Hopkins University Nanostructured soldered or brazed joints made with reactive multilayer foils
US20050142495A1 (en) 2003-10-09 2005-06-30 David Peter Van Heerden Methods of controlling multilayer foil ignition
US7441688B2 (en) 2003-11-04 2008-10-28 Reactive Nanotechnologies Methods and device for controlling pressure in reactive multilayer joining and resulting product
IL152516A0 (en) 2000-05-02 2003-05-29 Univ Johns Hopkins Freestanding reactive multilayer foils
US6736942B2 (en) 2000-05-02 2004-05-18 Johns Hopkins University Freestanding reactive multilayer foils
JP2002178509A (ja) * 2000-12-12 2002-06-26 Olympus Optical Co Ltd 液滴噴射装置
US6543194B2 (en) * 2001-05-21 2003-04-08 Continuous Coating Corporation Pre-shrunk drywall trim device
US20020179921A1 (en) 2001-06-02 2002-12-05 Cohn Michael B. Compliant hermetic package
EP1626836A2 (en) 2003-05-13 2006-02-22 Reactive Nanotechnologies Inc. Method of controlling thermal waves in reactive multilayer joining and resulting produc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3130A2 (en) * 2007-06-26 2008-12-31 Reactive Nanotechnologies, Inc. Gasketless low-temperature hermetic sealing with solder
WO2009003130A3 (en) * 2007-06-26 2009-04-02 Reactive Nanotechnologies Inc Gasketless low-temperature hermetic sealing with solder
KR20170070543A (ko) * 2015-12-14 2017-06-22 주식회사 씨에이치솔루션 실링부재를 구비한 진공 챔버와 이에 이용되는 실링 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522722A (ja) 2006-10-05
TW200502419A (en) 2005-01-16
WO2004091445A3 (en) 2005-04-28
CA2521852A1 (en) 2004-10-28
US7143568B2 (en) 2006-12-05
BRPI0409118A (pt) 2006-03-28
US20040200736A1 (en) 2004-10-14
US20060108365A1 (en) 2006-05-25
EP1618604A2 (en) 2006-01-25
MXPA05010799A (es) 2006-03-09
WO2004091445A2 (en) 2004-10-28
US7121402B2 (en) 2006-10-17
AU2004229368A1 (en) 2004-10-28
US20060032193A1 (en) 200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123153A (ko) 용접 밀봉 제품 및 제조방법
US4895291A (en) Method of making a hermetic seal in a solid-state device
JP5076166B2 (ja) 圧電デバイス及びその封止方法
CN104023897A (zh) 室温下的玻璃到玻璃、玻璃到塑料以及玻璃到陶瓷/半导体的结合
WO2010031026A2 (en) Fluid-containing pouches with reduced gas exchange and methods for making same
WO2003008921A1 (en) Isolation technique for pressure sensing structure
WO2009003130A2 (en) Gasketless low-temperature hermetic sealing with solder
CN109456076A (zh) 硅玻璃部件、其制造方法及陶瓷与硅玻璃的接合方法
CN110506329A (zh) 贯通孔的密封构造及密封方法、以及用于对贯通孔进行密封的转印基板
EP1824779B1 (fr) Dispositif et procede de fermeture hermetique d'une cavite d'un compose electronique
JP2009088057A (ja) 電子部品の製造方法
US8058106B2 (en) MEMS device package with vacuum cavity by two-step solder reflow method
US6732905B2 (en) Vented cavity, hermetic solder seal
JPH07221589A (ja) 電子部品とその製造方法
JP2009088024A (ja) 電子部品封止体の蓋体、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部品封止体
JP2004179662A (ja) 封止を形成するための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FR3012965A1 (fr) Dispositif de traversee notamment pour systeme d'implant medical et procede de realisation.
JP2020161529A (ja) 超音波接合装置、超音波接合構造、超音波接合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5274560A (ja) 放射線検出器用フィルタの実装方法
JP2010050864A (ja) 圧電デバイスの封止方法
KR20180119648A (ko) 관통 구멍의 밀봉 구조 및 밀봉 방법, 그리고 관통 구멍을 밀봉하기 위한 전사 기판
CN1799133A (zh) 气密的密封产品和相关制造方法
KR101898122B1 (ko) 진공 소자 및 진공 브레이징을 포함하는 그 제조 방법
JP2010147054A (ja) 電子部品パッケージ及び電子部品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
JP2006049353A (ja) 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