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6360A - Taci 항체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Taci 항체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6360A
KR20050116360A KR1020057001299A KR20057001299A KR20050116360A KR 20050116360 A KR20050116360 A KR 20050116360A KR 1020057001299 A KR1020057001299 A KR 1020057001299A KR 20057001299 A KR20057001299 A KR 20057001299A KR 20050116360 A KR20050116360 A KR 20050116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ody
taci
atcc
deposited
antibod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1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난 춘타라파이
이크발 그레왈
경진 김
민홍 얀
Original Assignee
제넨테크,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넨테크, 인크. filed Critical 제넨테크, 인크.
Publication of KR20050116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636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7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NGF-receptor/TNF-receptor superfamily, e.g. CD27, CD30, CD40, CD95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44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haptens, metals, DNA, RNA, amino acids

Abstract

TACI 수용체 항체가 제공된다. 상기 TACI 항체는 제약 조성물, 제품, 또는 키트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TACI 항체를 사용한 치료 및 진단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TACI 항체 및 그의 용도{TACI ANTIBODIES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TACI 항체, 및 예를 들면, TALL-1, APRIL, TACI, BR3, 및 BCMA로 지칭되는 TNF 및 TNFR 패밀리(family)의 구성원을 비롯한 TACI, 종양 괴사 인자 (TNF) 및 TNFR-관련 분자의 활성을 조절하기 위한 TACI 항체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포유류 세포 또는 이러한 TNF 및 TNFR-관련 분자와 연관된 병적 상태의 시험관내, 동일반응계내(in situ) 및(또는) 생체내 진단 및(또는)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분자, 예를 들면 종양 괴사 인자-알파 ("TNF-알파"), 종양 괴사 인자-베타 ("TNF-베타" 또는 "림포톡신-알파(lymphotoxin-alpha)"), 림포톡신-베타 ("LT-베타"), CD30 리간드, CD27 리간드, CD40 리간드, OX-40 리간드, 4-1BB 리간드, Apo-1 리간드 (Fas 리간드 또는 CD95 리간드라고도 지칭됨), Apo-2 리간드 (Apo2L 또는 TRAIL라고도 지칭됨), Apo-3 리간드 (TWEAK라고도 지칭됨), APRIL, OPG 리간드 (RANK 리간드, ODF, 또는 TRANCE라고도 지칭됨), 및 TALL-1 (BlyS, BAFF 또는 THANK라고도 지칭됨)이 사이토카인의 종양 괴사 인자 ("TNF") 패밀리의 구성원으로서 동정되었다[예를 들면, 문헌[Gruss and Dower, Blood, 85: 3378-3404 (1995); Schmid et al., Proc. Natl. Acad. Sci., 83: 1881 (1986); Dealtry et al., Eur. J. Immunol., 17: 689 (1987); Pitti et al., J Biol. Chem., 271: 12687-12690 (1996); Wiley et al., Immunity, 3: 673-682 (1995); Browning et al., Cell, 72: 847-856 (1993); Armitage et al. Nature, 357: 80-82 (1992), 1997년 1월 16일자로 공개된 WO 97/01633; 1997년 7월 17일자로 공개된 WO 97/25428; Marsters et al., Curr. Biol., 8: 525-528 (1998); Chicheportiche et al., Biol. Chem., 272: 32401-32410 (1997); Hahne et al., J. Exp. Med., 188: 1185-1190 (1998); 1998년 7월 2일자로 공개된 W098/28426; 1998년 10월 22일자로 공개된 W098/46751; 1998년 5월 7일자로 공개된 WO/98/18921; Moore et al., Science, 285: 260-263 (1999); Shu et al., J. Leukocyte Biol., 65: 680 (1999); Schneider et al., J. Exp. Med.,189: 1747-1756 (1999); Mukhopadhyay et al., J. Biol. Chem., 274: 15978-15981 (1999)]을 참고할 수 있다]. 이들 분자들 중에서, TNF-알파, TNF-베타, CD30 리간드, 4-1BB 리간드, Apo-1 리간드, Apo-2 리간드 (Apo2L/TRAIL) 및 Apo-3 리간드 (TWEAK)가 세포자멸성(apoptotic) 세포사에 연관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TNF 패밀리의 다양한 분자들은 면역 체계의 발현 또는 기능에서 목적하는(porported) 역할을 한다. [Gruss et al., Blood, 85: 3378 (1995)]. Zheng et al.은 TNF가 CD8-양성 T 세포의 자극 후(post-stimulation) 세포자멸사 (apoptosis)에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하였다[Zheng et al., Nature, 377: 348-351 (1995)]. 다른 연구자들은 CD30 리간드가 흉선에서의 자기 반응 T 세포의 결실(deletion)에 관여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Amakawa et 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Symposium on Programmed Cell Death, Abstr. No. 10, (1995)]. CD40 리간드는 증식, 면역글로불린 분비, 및 생존을 비롯한 B 세포의 많은 기능을 활성화시킨다[Renshaw et al., J. Exp. Med., 180: 1889 (1994)]. 최근 동정된 또다른 TNF 패밀리 사이토카인인 TALL-1 (BlyS)은 특정 조건 하에서 B 세포 증식 및 면역글로불린 분비를 유도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Moore et al., supra; Schneider et al., supra; Mackay et al., J. Exp. Med., 190: 1697 (1999); Shu et al., J. Leukocyte Biol.,65: 680-683 (1999); Gross et al., Nature, 404: 995-999 (2000)].
마우스 Fas/Apo-1 수용체 또는 리간드 유전자 (각각 lpr 및 gld로 불리움)에서의 돌연변이는 일부 자가면역증들과 관련되어 있으며, 이는 Apo-1 리간드가 주변부(periphery)에서 자기 반응 림프구의 클론 결실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Krammer et al., Curr. Op. Immunol., 6: 279-289 (1994); Nagata et al., Science, 267: 1449-1456 (1995)]. 또한, Apo-1 리간드는 CD4-양성 T 림프구 및 in B 림프구에서 자극 후 세포자멸사를 유도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활성화된 림프구의 기능이 더이상 필요치 않은 경우 활성화된 림프구를 제거하는 데에 관여할 수 있다[Krammer et al., supra; Nagata et al., supra]. Apo-1 수용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작동제 마우스 단일클론 항체는 TNF-α와 동등하거나 또는 유사한 세포 사멸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Yonehara et al., J. Exp. Med., 169: 1747-1756 (1989)].
OPG 리간드 (RANK 리간드, TRANCE, 또는 ODF라고도 지칭됨)로 불리우는 TNF-관련 리간드는 특정한 면역조절 활성에 일부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문헌에서 보고되었다. 1998년 7월 2일자로 공개된 W098/28426은 가용성 형태에서, 가지 세포의 성숙을 유도하고, MLR에서 CD1a+ 가지 세포 동종자극능(allo-stimulatory capacity)을 향상시키고, TGF-베타의 존재 하에서 시험관내 생존 가능한 인간 말초 혈액 T 세포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진, 타입 2 막횡단 단백질로서의 리간드 (상기 문헌에서 RANK 리간드로 지칭됨)를 기재하고 있다. [또한, 문헌[Anderson et al., Nature, 390: 175-179 (1997)] 참조]. 또한, 인용문헌 W098/28426은 한 마크로파지 종양 세포주(RAW264.7로 불리움; ATCC TIB71)가 TNF-알파의 리간드 생산은 향상시켰지만, 이러한 종양 세포에 의해 산화질소 생산이 자극되지는 않았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가지 세포 활성을 조절하는 데 있어서 [예를 들면, 문헌[Wong et al., J. Exp. Med., 186:2075-2080 (1997); Wong et al., J. Leukocyte Biol., 65: 715-724 (1999); Josien et al., J. Immunol., 162: 2562-2568 (1999); Josien et al., J. Exp. Med., 191: 495-501 (2000)] 참조] 및 면역 반응에서 T 세포 활성화에 대한 영향에 있어서 [예를 들면, 문헌[Bachmann et al., J. Exp. Med., 189: 1025-1031 (1999); Green et al., J. Exp. Med., 189: 1017-1020 (1999)] 참조] OPG 리간드/TRANCE/ODF의 추정되는 역할이 문헌에서 연구되었다. 문헌[Kong et al., Nature, 397:315-323 (1999)]은 파괴된(disrupted) opgl 유전자를 갖는 마우스가 심한 골다공증을 나타내며, 파골세포가 결여되고, T 및 B 림프구의 초기 분화에서 결함이 발생하였다는 점을 보고하고 있다. Kong et al.은 생체내 T 세포의 전신 활성화가 파골세포생성에서의 OPGL-매개 증가 및 골 소실을 일으킨다고 추가로 보고하였다. [Kong et al., Nature, 402: 304-308 (1999)].
이러한 TNF 패밀리 사이토카인에 의해 매개되는 다양한 세포 반응의 유도는 특이적인 세포 수용체에 대한 그들의 결합에 의해 개시되는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 종래, 대략 55-kDa (TNFR1) 및 75-kDa (TNFR2)의 두개의 별개의 TNF 수용체가 동정되었다 [Hohman et al., J. Biol. Chem., 264: 14927-14934 (1989); Brockhaus et al., Proc. Natl. Acad. Sci., 87: 3127-3131 (1990); 1991년 3월 20일 공개된 EP 417,563; Loetscher et al., Cell, 61: 351 (1990); Schall et al., Cell, 61: 361 (1990); Smith et al., Science, 248: 1019-1023 (1990); Lewis et al., Proc. Natl. Acad.Sci., 88: 2830-2834 (1991); Goodwin et al., Mol. Cell. Biol., 11: 3020-3026 (1991)]. 이러한 TNFR들은 세포외, 막횡단 및 세포내 영역을 비롯한 세포 표면 수용체의 전형적인 구조를 공유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또한, 상기 양쪽 모두의 수용체의 세포외 부분은 본래 가용성 TNF-결합 단백질로서 발견되었다 [Nophar, Y. et al., EMBO J., 9: 3269 (1990); and Kohno, T. et al., Proc. Natl. Acad. Sci. U. S. A., 87: 8331 (1990); Hale et al., J. Cell. Biochem. Supplement 15F, 1991, p. 113 (P424)].
타입 1 및 타입 2 TNFR (TNFR1 및 TNFR2)의 세포외 부분은 NH2-말단으로부터 시작하여 1 내지 4로 명명된 4 개의 시스테인-풍부 도메인(CRD)의 반복되는 아미노산 서열 패턴을 함유한다. [Schall et al., supra; Loetscher et al., supra; Smith et al., supra; Nophar et al., supra; Kohno et al., supra; Banner et al., Cell, 73: 431-435 (1993)]. CRD의 유사한 반복되는 패턴은 p75 신경 성장 인자 수용체 (NGFR) [Johnson et al., Cell, 47: 545 (1986); Radeke et al., Nature, 325: 593 (1987)], B 세포 항원 CD40 [Stamenkovic et al., EMBOJ., 8: 1403 (1989)], T 세포 항원 OX40 [Mallet et al., EMBO J., 9: 1063 (1990)] 및 Fas 항원 [Yonehara et al., supra and Itoh et al., Cell, 66: 233-243 (1991)]을 비롯한 몇몇 다른 세포-표면 단백질들에 존재한다. 또한, CRD은 쇼페(Shope) 및 믹소마 폭스바이러스(myxoma poxvirus)의 가용성 TNFR (sTNFR)-유사 T2 단백질에서 발견된다 [Upton et al., Virology, 160: 20-29 (1987); Smith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176: 335 (1991); Upton et al., Virology, 184: 370 (1991)]. 이들 서열의 최적 정렬은 시스테인 잔기의 위치가 잘 보존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종종 이들 수용체는 TNF/NGF 수용체 슈퍼패밀리(superfamily)의 구성원들로서 통칭되기도 한다.
림포톡신-α를 제외한 지금까지 동정된 TNF 패밀리 리간드는 C-말단이 세포외인 전형적으로 타입 II 막횡단 단백질이었다. 반면, 지금까지 동정된 TNF 수용체 (TNFR) 패밀리의 대부분의 수용체는 전형적으로 타입 I 막횡단 단백질이다. 그러나, TNF 리간드 및 수용체 패밀리 양쪽 모두에서, 패밀리 구성원들 간에 동정된 상동성은 주로 세포외 도메인 ("ECD")에서 발견되었다. TNF-α, Apo-1 리간드 및 CD40 리간드를 비롯한 몇몇의 TNF 패밀리 사이토카인은 세포 표면에서 단백질분해로 분절되며, 각 경우에서 생성되는 단백질은 전형적으로 가용성 사이토카인으로서 기능하는 동형삼중체(homotrimeric) 분자를 형성한다. 또한, TNF 수용체 패밀리 단백질은 대개 단백질분해로 분절되어 동족의 사이토카인의 억제제로서 기능할 수 있는 가용성 수용체 ECD를 방출한다.
RANK로 지칭되는 TNFR 패밀리 구성원은 OPG 리간드의 수용체로서 동정되었다 (문헌[1998년 7월 2일자로 공개된 W098/28426; Anderson et al., Nature, 390: 175-179 (1997); Lacey et al., Cell, 93: 165-176 (1998)] 참조). 또한, OPG (FDCR-1 또는 OCIF)로 불리우는 또다른 TNFR-관련 분자도 OPG 리간드에 대한 수용체로서 동정되었다. [Simonet et al., Cell, 89: 309 (1997); Yasuda et al., Endocrinology, 139: 1329 (1998); Yun et al., J. Immunol., 161: 6113-6121 (1998)]. 문헌[Yun et al., supra]은 OPG/FDCR-1/OCIF가 막결합 형태 및 분비된 형태 모두로 발현되고 가지 세포, EBV-형질전환된 B 세포주 및 편도선 B 세포를 비롯한 면역 체계 세포에서 제한된 발현 패턴을 갖는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Yun et al.도 B 세포 및 가지 세포에서, OPG/FDCR-1/OCIF의 발현이 B 세포 활성화에 관여된 분자인 CD40에 의해 상향조절될 수 있다고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Yun et al.은 OPG/FDCR-1/OCIF가 면역 반응의 조절에 어떻게 기능하는 지 아직 밝혀지지 않았음을 인정하고 있다.
보다 최근에 TNFR 패밀리의 다른 구성원들이 동정되었다. 문헌[von Bulow et al., Science, 278: 138-141 (1997)]에서, 연구자들은 트란스멤브레인 엑티베이터(Transmembrane Activator) 및 CAML-인터엑터(Interactor) 또는 "TACI"로 불리우는 세포막 수용체를 기재하고 있다. TACI 수용체는 TNFR 패밀리의 시스테인-풍부 모티프(motif) 특성을 함유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시험관내 분석시험에서, TACI를 TACI-특이 항체를 갖는 형질감염된 저켓(Jurkat) 세포의 표면에 가교시킨 결과 NF-KB가 활성화되었다. [또한, 1998년 9월 18일자로 공개된 WO 98/39361 참조]. TACI 녹아웃(knockout) 마우스는 과반응성 B 세포를 갖는 반면 BCMA 무표지(null) 마우스는 어떠한 식별가능한 표현형도 갖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Yan et al., Nature Immunology, 2: 638-643 (2001); von Bulow et al., Immunity, 14: 573-582 (2001); Xu et al., Mol. Cell. Biology, 21: 4067-4074 (2001)]. 또한, 2000년 7월 13일자로 공개된 WO 00/40716; 2001년 11월 15일자로 공개된 WO 01/85782를 참고할 수 있다.
문헌[Laabi et al., EMBO J., 11: 3897-3904 (1992)]은 발현이 B 세포 말기 성숙과 일치하는 것으로 발견된 "BCM"으로 불리우는 신규한 유전자를 동정하였음을 보고하였다. BCM 정상 cDNA의 개방 해독 프레임은 단일 막횡단 도메인을 갖는 184 개의 아미노산 길이 폴리펩티드를 예측하였다. 나중에, 이들 연구자들은 이 유전자를 "BCMA"로 명명하였다. [Laabi et al., Nucleic Acids Res., 22: 1147-1154 (1994)]. BCMA mRNA 발현은 전구-B 림프구 단계를 제공하는 인간 악성 B 세포주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따라서 림프구의 분화 단계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Gras et al., Int. Immunology, 7: 1093-1106 (1995)]. 문헌[Madry et al., Int. Immunology, 10: 1693-1702 (1998)]에서는, 뮤린(murine) BCMA cDNA의 클로닝이 기재되었다. 뮤린 BCMA cDNA는 인간 BCMA 폴리펩티드와 62% 동일성을 갖는 185 개의 아미노산 길이의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뮤린 및 인간 BCMA 단백질 서열의 정렬은 N-말단 영역에서 6 개의 시스테인의 보존된 모티프를 밝혀내어 BCMA 단백질이 TNFR 슈퍼패밀리에 속한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Madry et al., supra]. 또한, 2000년 11월 16일자로 공개된 WO 00/68378; 2000년 8월 31일자로 공개된 WO 00/50633을 참고할 수 있다.
Tall-1 (BlyS) 리간드는 TACI 및 BCMA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Gross et al., supra, (2000); Thompson et al., J. Exp. Med., 192: 129-135 (2000); Yan et al., supra, (2000); Marsters et al., Curr. Biol., 10: 785-758 (2000); 2000년 7월 13일자로 공개된 WO 00/40716; 2000년 11월 9일자로 공개된 WO 00/67034; 2001년 2월 22일자로 공개된 WO 01/12812]. 마찬가지로 TACI 및 BCMA는 April로 알려진 리간드에 결합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문헌[Marsters et al., Curr. Biol., 6:750 (1996)]에서, 연구자들은 그의 세포외 시스테인-풍부 반복 서열에서 TNFR 패밀리에 유사성을 보이며, 세포질 사멸 도메인 서열을 함유한다는 점에서 TNFR1 및 CD95를 닮은, Apo-3으로 불리우는 전 길이 천연 서열 인간 폴리펩티드를 기재하고 있다 [또한, 문헌[Marsters et al., Curr. Biol., 6: 1669 (1996)] 참조]. 또한, Apo-3은 다른 연구자들에 의해 DR3, wsl-1, TRAMP 및 LARD라고도 지칭되었다 [Chinnaiyan et al., Science, 274: 990 (1996); Kitson et al., Nature, 384: 372 (1996); Bodmer et al., Immunity, 6: 79 (1997); Screaton et al., Proc. Natl. Acad. Sci., 94: 4615-4619 (1997)].
Pan et al.은 "DR4"로 지칭되는 또다른 TNF 수용체 패밀리 구성원을 개시하였다[Pan et al., Science, 276: 111-113 (1997); 또한, 1998년 7월 30일자로 공개된 W098/32856 참조]. DR4는 세포 자살 장치로 기능할 수 있는 세포질 사멸 도메인을 함유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Pan et al.은 DR4가 Apo2L/TRAIL로 공지된 리간드에 대한 수용체인 것으로 생각된다고 개시하였다.
문헌[Sheridan et al., Science, 277:818-821 (1997) and Pan et al., Science, 277:815-818, (1997)]에는 Apo2L/TRAIL에 대한 수용체로 생각되는 또다른 분자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1998년 11월 19일자로 공개된 W098/51793; 1998년 9월 24일자로 공개된 W098/41629 참조]. 상기 분자는 DR5로 지칭된다. (또한, 이는 Apo-2; TRAIL-R, TR6, Tango-63, hAP08, TRICK2 또는 KILLER로도 지칭되었다) [Screaton et al., Curr. Biol., 7:693-696 (1997); Walczak et al., EMBO J., 16: 5386-5387 (1997); Wu et al., Nature Genetics, 17:141-143 (1997); 1998년 8월 20일자로 공개된 W098/35986; 1998년 10월 14일자로 공개된 EP870,827; 1998년 10월 22일자로 공개된 W098/46643; 1999년 1월 21일자로 공개된 W099/02653; 1999년 2월 25일자로 공개된 W099/09165; 1999년 3월 11일자로 공개된 W099/11791]. DR4와 마찬가지로, DR5도 세포질 사멸 도메인을 함유하며 세포자멸사를 신호화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Apo-2L/TRAIL과 DR5 사이에 형성된 착물의 결정 구조는 문헌[Hymowitz et al., Molecular Cell, 4: 563-571 (1999)]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또다른 사멸 도메인-함유 수용체인 DR6이 최근에 동정되었다 [Pan et al.,FEBS Letters, 431: 351-356 (1998)]. DR6은 4개의 추정되는 세포외 시스테인 풍부 도메인, 및 세포질 사멸 도메인을 함유하는 것 외에도 세포질 영역에서 프롤린-풍부 모티프와 중첩되는 추정되는 루신-지퍼(zipper) 서열을 함유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프롤린-풍부 모티프는 많은 세포내 신호-전달 분자에서 발견되는 src-상동성-3 도메인에 결합하는 서열과 유사하다. 앞서 언급한 다른 사멸 도메인-함유 수용체와는 달리, DR6은 세포자멸사 감응성 지시자(indicator) 세포주인 MCF-7에서 세포 사멸을 유도하지 않아, 이 수용체에 대한 교호적 기능을 제시한다. 이러한 관찰과 일관된 것으로서, DR6은 현재, 활성화된 사멸 수용체로부터의 하류 신호를 조절하는 어뎁터(adapter) 분자, 예를 들면 FADD, RAIDD 및 RIP를 함유하는 사멸-도메인과 관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Pan et al., FEBS Lett.,431: 351 (1998)].
최근 동정된 수용체의 추가의 군은 신호 전달자이기 보다는 억제제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유인 수용체"로서 지칭된다. 이 군은 DCR1 (TRID, LIT 또는 TRAIL-R3라고도 지칭됨) [Pan et al., Science, 276: 111-113 (1997); Sheridan et al., Science, 277: 818-821 (1997); McFarlane et al., J. Biol. Chem., 272: 25417-25420 (1997); Schneider et al., FEBS Letters, 416: 329-334 (1997); Degli-Esposti et al., J. Exp. Med., 186: 1165-1170 (1997); and Mongkolsapaya et al., J. Immunol., 160: 3-6 (1998)] 및 DCR2 (TRUNDD 또는 TRAIL-R4라고도 불리움) [Marsters et al., Curr. Biol., 7: 1003-1006 (1997); Pan et al., FEBS Letters, 424: 41-45 (1998); Degli-Esposti et al., Immunity, 7: 813-820 (1997)], 양쪽 모두의 세포 표면 분자, 뿐만 아니라 OPG [Simonet et al., supra; Emery et al., infra] 및 DCR3 [Pitti et al., Nature, 396: 699-703 (1998)](상기 양쪽 모두는 분비된, 가용성 단백질임)를 포함한다.
TNFR 패밀리의 추가로 새로이 동정된 구성원은 CAR1, HVEM, GITR, ZTNFR-5, NTR-1 및 TNFL1을 포함한다 [Brojatsch et al., Cell,87: 845-855 (1996); Montgomery et al., Cell, 87: 427-436 (1996); Marsters et al., J. Biol. Chem., 272: 14029-14032 (1997); Nocentini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4: 6216-6221 (1997); Emery et al., J. Biol. Chem., 273: 14363-14367 (1998); 1999년 1월 28일자로 공개된 W099/04001; 1999년 2월 18일자로 공개된 W099/07738; 1999년 7월 8일자로 공개된 W099/33980].
최근 Tewari et al.에 의해 검토된 바와 같이, TNFR1, TNFR2 및 CD40은 전사 인자, NF-κB의 활성화를 통해 염증전(proinflammatory) 및 보조자극 사이토카인, 사이토카인 수용체, 및 세포 부착 분자의 발현을 조절한다. [Tewari et al., Curr. Op. Genet. Develop., 6: 39-44 (1996)]. NF-κB는 서브유닛이 보존된 Rel 영역을 함유하는 이량체 전사 인자의 패밀리의 원형이다. [Verma et al., Genes Develop., 9: 2723-2735 (1996); Baldwin, Ann. Rev. Immunol., 14: 649-681 (1996)]. 그의 잠복형에서, NF-κB는 IκB 억제제 패밀리의 구성원과 착물을 이루며, 특정 자극에 대한 반응에서 IκB가 비활성화되는 경우, 방출된 NF-κB는 특이적인 DNA 서열에 결합하고 유전자 전사를 활성화시키는 핵으로 전위한다. 상기와 같이, 현재까지 동정된 TNFR 구성원은 세포내 사멸 도메인 영역을 포함하거나 또는 결여되어 있다. 사멸 도메인, 예를 들면 TNFR2, CD40, HVEM, 및 GITR이 결여된 일부 TNFR 분자들은 NF-κB 활성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헌[Lotz et al., J. Leukocyte Biol., 60: 1-7 (1996)] 참조].
사이토카인 및 그들의 수용체의 TNF 패밀리의 검토를 위해, 문헌[Ashkenazi and Dixit, Science, 281: 1305-1308 (1998); Golstein, Curr. Biol., 7: 750-753 (1997); Gruss and Dower, supra, and Nagata, Cell, 88: 355-365 (1997); Locksley et al., Cell, 104:487-501 (2001); Wallah, TNF Ligand & TNF/NGF Receptor Families, Cytokine Reference, Academic Press, pp. 371-411 (2001)]을 참고할 수 있다.
도 1A 및 1B는 천연 서열 인간 TACI (서열 번호 1) (역 상보적(reverse complimentary) 서열은 서열 번호 2에 제공됨) 및 그의 추정되는 아미노산 서열 (서열 번호 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도시한다. 도 1C는 "hTACI(265)"로 지칭되는 TACI 스플라이싱된(spliced) 변이체를 도시한다(서열 번호 17).
도 2는 천연 서열 인간 BCMA (서열 번호 4) (역 상보적 서열은 서열 번호 5에 제공됨) 및 그의 추정되는 아미노산 서열 (서열 번호 6)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도시한다.
도 3은 천연 서열 인간 TALL-1 (서열 번호 7) (역 상보적 서열은 서열 번호 8에 제공됨) 및 그의 추정되는 아미노산 서열 (서열 번호 9)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도시한다.
도 4A-4B는 천연 서열 인간 APRIL (서열 번호 10) (역 상보적 서열은 서열 번호 11에 제공됨) 및 그의 추정되는 아미노산 서열 (서열 번호 12)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도시한다.
도 5A는 천연 서열 인간 TACIs (서열 번호 1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시작 및 정지 코돈은 밑줄침)을 도시하고 도 5B는 그의 추정되는 아미노산 서열 (서열 번호 14)을 도시한다.
도 6A는 천연 서열 인간 BR3 (서열 번호 15)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시작 및 정지 코돈은 밑줄침)을 도시하고 도 6B는 그의 추정되는 아미노산 서열 (서열 번호16)을 도시한다.
도 7A-7B는 "PRO"로 명명된 아미노산 서열에 대한 "비교 단백질(Comparison Protein)"로 명명된 아미노산 서열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계산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PRO" 서열은 본 명세서의 도면에 나타낸 TACI, BCMA, TALL-1, APRIL, TACIs, 또는 BR3 서열일 수 있다.
도 8는 항체 1D10, 1G10, 5B6 및 6D11의 TACI-IgG, BCMA-IgG 및 CD4-IgG (대조군)에 대한 결합 능력을 조사한 ELISA 분석시험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9는 TACI가 TALL-1 자극의 음성 조절제임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는 항-TACI 항체 5B6 및 6D11이 B 림프구 증식을 방해한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10은 항-TACI mAb가 TACI를 발현하는 IM9 세포를 인식하고 이에 결합함을 나타내는 FACS 분석 결과를 도시한다.
도 11은 (A) 인간 TACI (6D11, 7B6, 및 4C7)에 대해 마우스에서 생성된 세 개의 단일클론 항체가, 0.1 ㎍ 전 길이 인간 TACI로 24 hr 동안 형질감염되고 PE-공액화 α-마우스 IgG1 이차 항체를 사용하여 FACS에 의해 분석한 293 개의 세포에 결합한다는 점(기준 대조군은 회색으로 표시함) (B) 1 ㎍의 ELAM-루시퍼라제 보고자(reporter) 플라스미드 및 0.1 ㎍ 대조군 pRL-TK 플라스미드와 함께 전 길이 인간 TACI 발현 플라스미드로 형질감염시킨 후, 가용성 재조합 인간 BLyS 또는 TACI 항체, 6D11, 7B6 및 4C7로 처리한 인간 293 개의 세포에서의 NF-kB 활성; 및 (C) 6D11 및 7B6 항-TACI 항체에 의한 항-CD40 항체/IL-4-유도 B-세포 증식의 억제를 도시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TACI 항체 및 TACI 항체의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항체는 길항제 또는 작동제로서 작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포유류 세포 또는 TALL-1, APRIL, TACI, BCMA, TACIs, 또는 BR3의 존재 (또는 부재)와 관련된 병적 상태의 시험관내, 동일반응계내, 또는 생체내 진단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인간 TACI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있거나) TACI 및(또는) 그의 리간드(들)과 관련된 생물학적 활성을 조절할 수 있는 항-TACI 항체를 포함함으로써, 다양한 질환 및 병적 상태, 예를 들면 면역 관련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항-TACI 항체는 TACI를 활성화시킨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항-TACI 항체는 TACI에 대한 BlyS의 결합을 방해하거나 또는 방해하지 않으면서 B-세포 증식 또는 생존을 억제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TALL-1 또는 April과 TACI 간의 상호작용을 방해하거나 또는 중화시키기 위한 TACI 항체의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길항제는 TALL-1과 TACI 및(또는) BCMA 간의 상호작용을 방해하거나 또는 중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TALL-1 리간드 또는 TACI 수용체의 활성을 감소시키거나, 중화시키거나 또는 방해하기에 유효한 양으로 포유류 세포, 예를 들면 적혈구 세포 (바람직하게는 B 세포)를 하나 이상의 TACI 항체에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세포는 세포 배양물 또는 포유류, 예를 들면 면역 관련 질환 또는 암에 걸린 포유류 중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형적인 방법은 포유류의 증가된 또는 증진된 TALL-1 또는 APRIL 발현 및(또는) 활성과 관련되거나 또는 이로부터 유발된 병적 상태 또는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치료 방법에서, 바람직하게는 TALL-1 리간드 및(또는) APRIL 리간드에 의한 해당 수용체 결합 또는 활성화를 방해하거나 또는 감소시키는 TACI 항체가 투여될 수 있다. 임의적으로, TACI 항체는 TALL-1 및 APRIL 양쪽 모두의 활성을 방해하거나 또는 중화시킬 수 있는 방법(예를 들면, 이중 길항제는 TALL-1 및 APRIL 양쪽 모두의 활성을 방해하거나 또는 중화시킴)에 사용될 수 있다. 임의적으로, 상기 방법에 사용되는 길항제 분자(들)는 TALL-1 뿐만 아니라 APRIL의 활성을 방해하거나 또는 중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방법은 한 타입의 길항제 분자 또는 2가지 타입 이상의 길항제의 조합물의 사용을 고려한다.
또한, 본 발명은 TACI 항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임의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TACI 항체를 병적 상태 또는 질환를 치료하는 데에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TACI 항체를 포함하는 제품 및 키트를 제공한다.
더욱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서열 번호 3의 아미노산 2 내지 166을 포함하는 TACI 수용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가 제공된다. 임의적으로, 상기 항체는 BCMA 수용체에는 결합하지 않으며 단일클론 항체이다. 임의적으로, 단일클론 항체는 수탁 번호 PTA-4297로서 ATCC에 기탁된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분비된 1G10.1.5 항체, 수탁 번호 PTA-4298로서 ATCC에 기탁된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분비된 5B6.3.10 항체, 또는 수탁 번호 PTA-4299로서 ATCC에 기탁된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분비된 6D11.3.1 항체를 포함한다.
또한, ATCC 수탁 번호 PTA-4297로서 기탁된 하이브리도마 세포주에 의해 생산되는 1G10.1.5 단일클론 항체가 결합하는 에피토프, ATCC 수탁 번호 PTA-4298로서 기탁된 하이브리도마 세포주에 의해 생산되는 5B6.3.10 단일클론 항체가 결합하는 에피토프, ATCC 수탁 번호 PTA-4299로서 기탁된 하이브리도마 세포주에 의해 생산되는 6D11.3.1 단일클론 항체가 결합하는 에피토프, ATCC 수탁 번호 PTA-5000으로서 기탁된 하이브리도마 세포주에 의해 생산되는 7B6.15.11 항체가 결합하는 에피토프 또는 수탁 번호 PTA-4999로서 ATCC에 기탁된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생산되는 4C7.2.1 항체가 결합하는 에피토프와 동일한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단일클론 항체가 제공된다.
또한, 다른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단일클론 항체 1G10.1.5를 생산하고 수탁 번호 PTA-4297로서 ATCC에 기탁된 하이브리도마 세포주, 수탁 번호 PTA-4297로서 ATCC에 기탁된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분비된 단일클론 항체 1G10.1.5, 단일클론 항체 5B6.3.10을 생산하고 수탁 번호 PTA-4298로서 ATCC에 기탁된 하이브리도마 세포주, 수탁 번호 PTA-4298로서 ATCC에 기탁된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분비된 단일클론 항체 5B6.3.10, 단일클론 항체 6D11.3.1을 생산하고 수탁 번호 PTA-4299로서 ATCC에 기탁된 하이브리도마 세포주, 수탁 번호 PTA-4299로서 ATCC에 기탁된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분비된 단일클론 항체 6D11.3.1; 단일클론 항체 G10.1.5를 생산하고 수탁 번호 PTA-4297로서 ATCC에 기탁된 하이브리도마 세포주 및 수탁 번호 PTA-4297로서 ATCC에 기탁된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분비된 단일클론 항체 G10.1.5, 단일클론 항체를 생산하고 수탁 번호 PTA-5000으로서 ATCC에 기탁된 하이브리도마 세포주 7B6.15.11, 수탁 번호 PTA-5000으로서 ATCC에 기탁된 7B6.15.11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생산되는 단일클론 항체; 및 단일클론 항체를 생산하고 수탁 번호 PTA-4999로서 ATCC에 기탁된 4C7.2.1 하이브리도마 세포주, 수탁 번호 PTA-4999로서 ATCC에 기탁된 4C7.2.1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생산되는 단일클론 항체가 제공된다.
또한, 서열 번호 3의 아미노산 2 내지 166을 포함하는 TACI 수용체에 결합하고 ATCC PTA-4297로서 기탁된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생산되는 단일클론 항체가 상기 TACI 수용체에 경쟁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억제하는 항체를 포함하는 단리된 항-TACI 수용체 단일클론 항체; 서열 번호 3의 아미노산 2 내지 166을 포함하는 TACI 수용체에 결합하고 ATCC PTA-4298로서 기탁된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생산되는 단일클론 항체가 상기 TACI 수용체에 경쟁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억제하는 항체를 포함하는단리된 항-TACI 수용체 단일클론 항체; 및 서열 번호 3의 아미노산 2 내지 166을 포함하는 TACI 수용체에 결합하고 ATCC PTA-4299로서 기탁된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생산되는 단일클론 항체가 상기 TACI 수용체에 경쟁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억제하는 항체를 포함하는 단리된 항-TACI 수용체 단일클론 항체가 제공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TACI 폴리펩티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a) 수탁 번호 PTA-4297로서 ATCC에 기탁된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분비된 1G10.1.5 항체로부터 유래하는 서열; (b) 수탁 번호 PTA-4298로서 ATCC에 기탁된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분비된 5B6.3.10 항체로부터 유래하는 서열; (c) 수탁 번호 PTA-4299로서 ATCC에 기탁된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분비된 6D11.3.1 항체로부터 유래하는 서열; (d) 수탁 번호 PTA-5000으로서 ATCC에 기탁된 7B6.15.11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분비된 항체로부터 유래하는 서열을 포함하는 키메릭 항-TACI 항체이다. 임의적으로, 이러한 항체는 인간화된 항체이거나 또는 (e) 수탁 번호 PTA-4999로서 ATCC에 기탁된 4C7.2.1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분비된 항체로부터 유래하는 서열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항-TACI 수용체 항체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및 폴리옥시알킬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비단백질성 중합체, 또는 세포독성제 또는 효소, 또는 방사성 동위원소, 형광 화합물 또는 화학발광 화합물에 결합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I. 정의
용어 "BR3", "BR3 폴리펩티드" 또는 "BR3수용체"가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천연 서열 BR3 폴리펩티드" 및 "BR3 변이체" (이는 본 명세서에서 더 정의됨)를 포괄한다. "BR3"는 도 6에 기재한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및 변이체 또는 그의 단편을 포함하는 핵산 분자, 도 6에 기재한 서열 및 그의 변이체 뿐만 아니라 상기의 단편을 포함하는 핵산 분자에 의해 코딩되는 폴리펩티드를 지칭하는 명칭이다. 본 발명의 BR3 폴리펩티드는 다양한 공급원, 예를 들면 인간 조직 타입 또는 또다른 공급원으로부터 단리될 수 있거나, 또는 재조합 및(또는) 합성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천연 서열" BR3 폴리펩티드는 천연형의 해당 BR3 폴리펩티드와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이같은 천연 서열 BR3 폴리펩티드는 천연으로부터 단리되거나 또는 재조합 및(또는) 합성 수단으로 생성될 수 있다. "천연 서열 BR3 폴리펩티드"는 구체적으로 폴리펩티드의 천연형의 절단 또는 분비형(예를 들어, 세포외 도메인 서열), 천연형 변이형(예를 들어, 선택적으로 스플라이스된 형태) 및 천연형의 대립유전형질 변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BR3 폴리펩티드는 도 6B(SEQ ID NO:16)의 1 내지 184 아미노산 잔기의 연속된 서열을 포함하거나 상기 서열로 이루어진 BR3 폴리펩티드 또는 WO 02/24909(2002.3.28. 공개)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상기 문헌 중에서 "BAFF-R"로 지칭됨)을 포함한다.
BR3 "세포외 도메인" 또는 "ECD"는 막횡단 및 세포질 도메인이 실질적으로 결여된 BR3 폴리펩티드 형태이다. 일반적으로, BR3 폴리펩티드 ECD는 이같은 막횡단 및(또는) 세포질 도메인의 약 1% 미만을 갖고, 바람직하게는 이같은 도메인의 약 0.5 % 미만을 갖는다. 본 발명의 BR3 폴리펩티드에 대한 임의의 막횡단 도메인(들)로 확인된 것들은 소수성 도메인 유형을 확인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준에 따라 확인되었다. 막횡단 도메인의 정확한 경계는 변화할 수 있으나, 대부분 최초에 확인된 도메인의 양 말단에서 약 5개 이하가 변화한다. BR3의 ECD 형태는 도 6B의 아미노산 1 내지 77 또는 2 내지 62를 포함하는 것들을 포함한다.
"BR3 변이체"는 천연 서열 전장 BR3 또는 BR3 ECD의 아미노산 서열과 약 80%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갖는 BR3 폴리펩티드를 의미한다. 임의로, BR3 변이체는 단일 시스테인 풍부 도메인을 포함한다. 이같은 BR3 변이체 폴리펩티드는, 예를 들어, 전장 아미노산 서열의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N- 및(또는) C- 말단과 아울러 하나 이상의 내부 도메인에서 첨가되거나 또는 결실된 BR3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또한, BR3 ECD의 단편이 고안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BR3 변이체 폴리펩티드는 도 6에 나타낸 핵산 분자로 코딩되는 BR3 폴리펩티드 또는 그 특정 단편과 약 80%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1%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2%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3%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4%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5%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6%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7%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8%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9%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0%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1%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2%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3%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4%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5%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6%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7%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8%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및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9%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갖는다. BR3 변이체 폴리펩티드는 천연 BR3 폴리펩티드 서열을 포괄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BR3 변이체 폴리펩티드는 아미노산 길이가 약 10개 이상, 많은 경우 약 20개 이상, 보다 많은 경우 약 30 개 이상, 보다 많은 경우 약 40개 이상, 보다 많은 경우 약 50개 이상, 보다 많은 경우 약 60개 이상, 보다 많은 경우 약 70개 이상, 보다 많은 경우 약 80개 이상, 보다 많은 경우 약 90개 이상, 보다 많은 경우 약 100개 이상, 보다 많은 경우 약 150개 이상, 보다 많은 경우 200개 이상, 보다 많은 경우 약 250개 이상, 보다 많은 경우 약 300 개 이상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TACI" 또는 "TACI 폴리펩티드" 또는 "TACI 수용체"는 "천연 서열 TACI 폴리펩티드 " 및 "TACI 변이체"(이후 본원에서 상세히 정의됨)를 포함한다. "TACI"는 도 1에 나타낸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핵산 분자에 의해 코딩되는 폴리펩티드 및 그 변이체 또는 단편, 도 1에 나타낸 서열을 포함하는 핵산 분자 및 그 변이체 및 단편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TACI 폴리펩티드는 다양한 공급원, 예를 들어, 인간 조직 또는 기타 공급원으로부터 단리될 수 있거나, 또는 재조합 및(또는) 합성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천연 서열" TACI 폴리펩티드는 천연으로부터 유래하는 해당 TACI 폴리펩티드와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이같은 천연 서열 TACI 폴리펩티드는 천연에서 단리될 수 있거나 또는 재조합 및(또는) 합성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용어 "천연 서열 TACI 폴리펩티드"는 구체적으로 천연형의 절단 또는 분비 형태(예를 들어, 세포외 도메인 서열), 천연형 변이체 형태(예를 들어, 선택적으로 스플라이스된 형태) 및 폴리펩티드의 천연형 대립유전자 변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TACI 폴리펩티드는 상기 본 불로우 등의 문헌 및 WO 98/39361(1998. 9. 11. 공개)에 기술된 폴리펩티드, 스플라이스된 변이체(상기에서 "hTACI(265)"로 지칭되었고, 도 1C(SEQ ID NO:17)로 나타냄), 도 1의 아미노산 잔기 1-293의 연속된 서열을 포함하는 TACI 폴리펩티드 및 WO 00/40716(2000. 7. 13. 공개) 및 WO 01/85782(2001. 11. 15. 공개)에 개시된 폴리펩티드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TACI "세포외 도메인" 또는 "ECD"는 막횡단 및 세포질 도메인이 본질적으로 결여된 TACI 폴리펩티드 형태를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TACI 폴리펩티드 ECD는 약 1% 미만의 이같은 막횡단 및(또는) 세포질 도메인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약 0.5% 미만의 이같은 도메인을 가진다. 본 발명의 TACI 폴리펩티드에 대해 확인된 임의의 막횡단 도메인(들)은 소수성 도메인 유형을 확인하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준에 따라 확인된다. 막횡단 도메인의 정확한 경계는 변화할 수 있으나, 대부분 최초에 확인된 도메인의 양 말단에서 약 5개 이하가 변화한다. TACI의 ECD 형태는 본 블로우 등의 문헌 및 WO 98/39361에 기술된 것들을 포함한다.
"TACI 변이체"는 천연 서열 전장 TACI 또는 TACI ECD의 아미노산 서열과 약 80%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갖는 TACI 폴리펩티드를 의미한다. 이같은 TACI 변이체 폴리펩티드는 예를 들어, 전장 아미노산 서열의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N- 및(또는) C- 말단과 아울러 하나 이상의 내부 도메인에서 첨가되거나 또는 결실된 TACI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또한, TACI ECD의 단편이 고안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TACI 변이체 폴리펩티드는 도 1에 나타낸 핵산 분자로 코딩되는 TACI 폴리펩티드 또는 그 특정 단편과 약 80%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1%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2%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3%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4%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5%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6%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7%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8%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9%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0%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1%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2%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3%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4%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5%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6%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7%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8%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및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9%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갖는다. TACI 변이체 폴리펩티드는 천연 TACI 폴리펩티드 서열을 포괄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TACI 변이체 폴리펩티드는 아미노산 길이가 약 10개 이상, 많은 경우 약 20개 이상, 보다 많은 경우 약 30 개 이상, 보다 많은 경우 약 40개 이상, 보다 많은 경우 약 50개 이상, 보다 많은 경우 약 60개 이상, 보다 많은 경우 약 70개 이상, 보다 많은 경우 약 80개 이상, 보다 많은 경우 약 90개 이상, 보다 많은 경우 약 100개 이상, 보다 많은 경우 약 150개 이상, 보다 많은 경우 200개 이상, 보다 많은 경우 약 250개 이상, 보다 많은 경우 약 300 개 이상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TACIs"는 도 5B의 1 내지 246 잔기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그 단편 또는 변이체를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지칭하고, 이는 단일 시스테인 풍부 도메인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같은 TACIs 폴리펩티드는 도 5B의 1 내지 246 잔기의 연속된 서열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같은 TACIs 폴리펩티드는 도 5A에 나타낸 코딩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핵산 분자로 코팅된다. 본 발명의 TACIs 폴리펩티드는 다양한 공급원, 예를 들어, 인간 조직 또는 기타 공급원으로부터 단리될 수 있거나, 또는 재조합 및(또는) 합성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천연 서열" TACIs 폴리펩티드는 천연에서 유래한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이같은 천연 서열 TACIs 폴리펩티드는 천연으로부터 단리될 수 있거나, 재조합 및(또는) 합성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TACIs 폴리펩티드는 도 5B에 나타낸 폴리펩티드의 단편 또는 변이체로, 도 5B에 나타낸 서열과 약 80%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가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5A에 나타낸 코딩 핵산 서열에 의해 코딩되는 TACIs 폴리펩티드와 약 81%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2%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3%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4%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5%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6%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7%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8%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9%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0%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1%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2%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3%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4%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5%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6%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7%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8%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및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99% 이상의 서열 동일성을 갖는다. 이같은 변이체 폴리펩티드는 예를 들어, 도 5B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의 N- 및(또는) C-말단과 아울러 하나 이상의 내부 도메인에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첨가 또는 결실된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TACIs "세포외 도메인 " 또는 "ECD"는 막횡단 및 세포질 도메인이 본질적으로 결여된 TACIs 폴리펩티드 형태를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TACIs 폴리펩티드 ECD는 약 1% 미만의 이같은 막횡단 및(또는) 세포질 도메인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약 0.5% 미만의 이같은 도메인을 가진다. 본 발명의 TACIs 폴리펩티드에 대해 확인된 임의의 막횡단 도메인(들)은 소수성 도메인 유형을 확인하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준에 따라 확인된다. 막횡단 도메인의 정확한 경계는 변화할 수 있으나, 대부분 최초에 확인된 도메인의 양 말단에서 약 5개 이하가 변화한다. TACIs의 ECD 형태는 도 5B의 아미노산 잔기 1 내지 119 및 임의로는 도 5B의 아미노산 잔기 1 내지 119의 연속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BCMA" 또는 "BCMA 폴리펩티드" 또는 "BCMA 수용체"는 "천연 서열 BCMA 폴리펩티드" 및 "BCMA 변이체"(이는 이후 본원에서 상세히 정의됨)을 포함한다. "BCMA"는 도 2에 나타낸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핵산에 의해 코딩되는 폴리펩티드 또는 그 변이체, 도 2에 나타낸 서열을 포함하는 핵산 분자 및 이들의 변이체와 아울러 상기 단편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BCMA 폴리펩티드는 다양한 공급원, 예를 들어, 인간 조직 또는 기타 공급원으로부터 단리되거나, 또는 재조합 및(또는) 합성 분자로 생성될 수 있다.
"천연 서열" BCMA 폴리펩티드는 천연에서 유도된 해당 BCMA 폴리펩티드와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이같은 천연 서열 BCMA 폴리펩티드는 천연으로부터 단리되거나 또는 재조합 및(또는) 합성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용어 "천연 서열 BCMA 폴리펩티드"는 구체적으로 천연형의 절단 또는 분비 유형(예를 들어, 세포외 도메인 서열), 천연형 변이체 형태(예를 들어, 선택적으로 스플라이스된 형태) 및 폴리펩티드의 천연형 대립유전자 변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BCMA 폴리펩티드는 문헌[Laabi et al., EMBO J., 11:3897-3904(1992); Laabi et al., Nucleic Acids Res., 22:1147-1154(1994); Gras et al., Int. Immunology, 7:1093-1106(1995); Madry et al., Int. Immunology, 10:1693-1702(1998)]; WO 00/50633(2000. 11. 16. 공개); WO 00/50633(2000. 8. 31. 공개)에 개시된 폴리펩티드 및 도 2(SEQ ID NO:6)의 아미노산 잔기 1-184의 연속된 서열을 포함하는 BCMA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BCMA "세포외 도메인" 또는 "ECD"는 막횡단 및 세포질 도메인이 본질적으로 결여된 BCMA 폴리펩티드 형태를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BCMA 폴리펩티드 ECD는 약 1% 미만의 이같은 막횡단 및(또는) 세포질 도메인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약 0.5% 미만의 이같은 도메인을 가진다. 본 발명의 BCMA 폴리펩티드에 대해 확인된 임의의 막횡단 도메인(들)은 소수성 도메인 유형을 확인하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준에 따라 확인된다. 막횡단 도메인의 정확한 경계는 변화할 수 있으나, 대부분 최초에 확인된 도메인의 양 말단에서 약 5개 이하가 변화한다. BCMA의 ECD 형태는 문헌[Laabi et al., EMBO J., 11:3897-3904(1992); Laabi et al., Nucleic Acids Res., 22:1147-1154(1994); Gras et al., Int. Immunology, 7:1093-1106(1995); Madry et al., Int. Immunology, 10:1693-1702(1998)]에 기술되어 있는 것들을 포함한다.
"BCMA 변이체"는 천연 서열 BCMA 또는 BCMA ECD의 아미노산 서열과 약 80%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갖는 BCMA 폴리펩티드를 의미한다. 이같은 BCMA 변이체 폴리펩티드는 예를 들어, 전장 아미노산 서열의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N- 및(또는) C- 말단과 아울러 하나 이상의 내부 도메인에서 첨가되거나 또는 결실된 BCMA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또한, BCMA ECD의 단편이 고안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BCMA 변이체 폴리펩티드는 도 2에 나타낸 핵산 분자로 코딩되는 BCMA 폴리펩티드 또는 그 특정 단편과 약 80%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1%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2%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3%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4%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5%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6%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7%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8%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9%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0%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1%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2%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3%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4%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5%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6%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7%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8%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및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9%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갖는다. BCMA 변이체 폴리펩티드는 천연 BCMA 폴리펩티드 서열을 포괄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BCMA 변이체 폴리펩티드는 아미노산 길이가 약 10개 이상, 많은 경우 약 20개 이상, 보다 많은 경우 약 30 개 이상, 보다 많은 경우 약 40개 이상, 보다 많은 경우 약 50개 이상, 보다 많은 경우 약 60개 이상, 보다 많은 경우 약 70개 이상, 보다 많은 경우 약 80개 이상, 보다 많은 경우 약 90개 이상, 보다 많은 경우 약 100개 이상, 보다 많은 경우 약 150개 이상, 보다 많은 경우 200개 이상, 보다 많은 경우 약 250개 이상, 보다 많은 경우 약 300 개 이상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TALL-1" 또는 "TALL-1 폴리펩티드"란 용어는 "천연 서열 TALL-1 폴리펩티드" 및 "TALL-1 변이체"를 포함한다. "TALL-1"은 도 3에 나타낸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핵산 분자로 코딩되는 폴리펩티드 및 그 변이체, 도 3에 나타낸 서열을 포함하는 핵산 및 천연 서열 TALL-1의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상기 폴리펩티드와 핵산 분자의 변이체 및 단편을 나타낸다. TALL-1의 변이체는 도 3에 나타낸 천연 서열 TALL-1 폴리펩티드와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및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갖는다. "천연 서열" TALL-1 폴리펩티드는 천연으로부터 유도된 해당 TALL-1 폴리펩티드와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이같은 처연 서열 TALL-1 폴리펩티드는 천연으로부터 단리되거나 또는 재조합 및(또는) 합성 방법으로 생성될 수 있다. 용어 "천연 서열 TALL-1 폴리펩티드"는 구체적으로 천연 절단 또는 분비 형태(예를 들어, 세포외 도메인 서열), 천연 변이체 형태(예를 들어, 선택적으로 스플라이스된 형태) 및 폴리펩티드의 천연 대립유전자 변이체를 포함한다. 용어 "TALL-1"은 문헌[Shu et al., GenBank Accession No. AF136293]; WO 98/18921(1998. 5. 7 공개); EP 869,180(1998. 10. 7 공개); WO 98/27114(1998. 6. 25 공개); WO 99/12964(1999. 3. 18 공개); WO 99/33980(1999. 7. 8 공개); EP 869,180(1998. 10. 7 공개); 문헌[Moore et al., 상기 참조]; 문헌[Schneider et al., 상기 참조]; 및 문헌[Mukhopadhyay et al., 상기 참조]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APRIL" 또는 "APRIL 폴리펩티드"는 "천연 서열 APRIL 폴리펩티드" 및 "APRIL 변이체"를 포함한다. "APRIL"은 도 4A-4B에 나타낸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핵산 분자로 코딩되는 폴리펩티드 및 그 변이체, 도 4A-4B에 나타낸 서열을 포함하는 핵산 및 그 변이체와 아울러, 천연 서열 APRIL의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상기 폴리펩티드와 핵산 분자의 변이체 및 단편을 나타낸다. APRIL의 변이체는 도 4A-4B에 나타낸 천연 서열 APRIL 폴리펩티드와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및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갖는다. "천연 서열" APRIL 폴리펩티드는 천연으로부터 유도된 해당 APRIL 폴리펩티드와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이같은 천연 서열 APRIL 폴리펩티드는 천연으로부터 단리되거나 또는 재조합 및(또는) 합성 방법으로 생성될 수 있다. 용어 "천연 서열 APRIL 폴리펩티드"는 구체적으로 천연 절단 또는 분비 형태(예를 들어, 세포외 도메인 서열), 천연 변이체 형태(예를 들어, 선택적으로 스플라이싱된 형태) 및 폴리펩티드의 천연 대립유전자 변이체를 포함한다. 용어 "APRIL"은 문헌[Hahne et al., J. Exp. Med., 188:1185-1190(1998); GenBank Accession No.AF046888]; WO 99/00518(1999.1.7. 공개); WO 99/35170(1999.7.15. 공개); WO 99/12965(1999.3.18. 공개); WO 99/33980(1999.7.8. 공개); WO 97/33902(1997.9.18. 공개); WO 99/11791(1999.3.11. 공개); EP 911,633(1999.3.28. 공개); 및 WO 99/50416(1999.10.7. 공개)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혼성화 반응의 "엄격도"는 당업자들이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프로브 길이, 세척 온도 및 염 농도에 따라 경험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긴 프로브는 적절한 어닐링을 위해 높은 온도를 요구하는 반면, 짧은 프로브는 낮은 온도를 요구한다. 혼성화는 일반적으로 변성된 DNA가 그 용융점 미만의 환경에서 상보적 가닥이 존재할 때 재어닐링하는 능력에 따라 달라진다. 프로브와 혼성화 서열 사이에 목적하는 동일성 정도가 높으면, 더 높은 상대적 온도가 사용될 수 있다. 그 결과, 더 높은 상대적 온도는 반응 조건이 보다 엄격해지도록 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더 낮은 온도는 그런 경향이 덜하다. 혼성화 반응의 엄격도에 대한 추가적인 상세한 사항 및 설명은 문헌[Ausubel et al.,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Wiley Interscience Publishers, 1995]을 참조.
본원에서 정의된 "엄격한 조건" 또는 "높은 엄격도의 조건"은 (1)세척시 낮은 이온 농도 및 높은 온도를 사용, 50℃에서 0.015 M 염화나트륨/0.0015 시트르산나트륨/0.1% 소듐 도데실 술페이트; (2) 혼성화 중 변성화제를 사용, 42℃에서 0.1% 소 혈청 알부민을 함유하는 50%(v/v) 포름아미드/0.1% 피콜/0.1% 폴리비닐피롤리돈/750 mM 염화나트륨, 75 mM의 시트르산 나트륨을 갖는 pH 6.5의 50 mM 인산나트륨 완충용액; 또는 (3) 42℃에서 50% 포름아미드, 5 x SSC(0.75 M NaCl, 0.075 M 시트르산나트륨), 50 mM 인산나트륨(pH 6.8), 0.1% 피로인산나트륨, 5x 덴하르드츠 용액, 초음파분쇄된 연어 정자 DNA(50 ㎍/ml), 0.1% SDS 및 10% 덱스트란 술페이트, 42℃에서 0.2 x SSC(염화나트륨/시트르산나트륨) 및 55℃에서 50% 포름아미드에서 세척 후, 55℃에서 EDTA를 함유하는 0.1 x SSC로 이루어지는 고엄격도 세척와 같은 것이다.
"중간 정도의 엄격 조건"은 문헌[Sambrook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New York; Cold Spring Harbor Press, 1989]에 기술된 것과 같고, 상기에서 기술된 것보다 덜 엄격한 세척 용액 및 혼성화 조건(예를 들어, 온도, 이온 농도 및 %SDS)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중간 정도의 엄격 조건의 예는 20% 포름아미드, 5x SSC(150 mM NaCl, 15 mM 구연산 삼나트륨), 50 mM 인산나트륨(pH 7.6), 5 x 덴하르드츠 용액, 10% 덱스트란 술페이트 및 20 mg/ml 변성된 분쇄된 연어 정자 DNA를 포함하는 용액 중에서 37℃에서 밤새 교반하고, 37-50℃에서 1x SSC 중에서 필터를 세척하는 것이다. 당업자들은 프로브 길이 등과 같은 요소에 따라서 온도, 이온 농도 등을 어떻게 조정해야 할지 이해할 것이다.
핵산은 다른 핵산 서열과 기능적 연관 관계에 놓였을 때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예를 들어, 폴리펩티드의 분비에 관여하는 예비단백질로 발현될 때 예비서열 또는 분비 리더 DNA는 상기 폴리펩티드의 DNA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서열의 전사에 영향을 주는 경우 프로모터 또는 인핸서는 코딩 서열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번역을 돕기 위해 위치할 때 리보좀 결합 부위는 코딩 서열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라는 것은 연결된 DNA 서열이 인접한 서열이라는 것으로, 분비 리더의 경우는 인접한 것이고, 해독틀 내에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인핸서는 인접한 것일 필요는 없다. 연결은 편리한 제한효소 부위에서의 라이게이션을 통해 달성된다. 이같은 부위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합성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어댑터 또는 링커가 통상의 실무에 따라 사용된다.
용어 "아미노산" 및 "아미노산들"은 모든 천연형 L-알파-아미노산을 지칭한다. 이러한 정의는 노르루신, 오르니틴 및 호모시스테인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아미노산은 단일 문자 또는 세문자 표기로 확인된다:
Asp D 아스파르트산 Ile I 이소루신
Thr T 트레오닌 Leu L 루신
Ser S 세린 Tyr Y 티로신
Glu E 글루탐산 Phe F 페닐알라닌
Pro P 프롤린 His H 히스티딘
Gly G 글리신 Lys K 라이신
Ala A 알라닌 Arg R 아르기닌
Cys C 시스테인 Trp W 트립토판
Val V 발린 Gln Q 글루타민
Met M 메티오닌 Asn N 아스파라긴
서열 목록 및 도에서, 서열 중의 일정 위치에서의 두개 이상의 아미노산 또는 뉴클레오티드를 지칭하고 또는 확인하기 위해 특정 다른 단일 문자 또는 세문자 표기가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확인된 리간드 또는 수용체 폴리펩티드 서열과 관련된 "퍼센트(%)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은 최대 퍼센트의 서열 동일성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하다면 서열 및 도입 갭을 일렬로 배열하고, 서열 동일성의 일부로 임의의 보존적 치환은 고려하지 않고, 본원에서 확인된 이러한 리간드 또는 수용체 서열 중의 아미노산 잔기와 동일한 후보 서열 중의 아미노산 잔기의 퍼센트로 정의된다. 퍼센트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결정하기 위한 배열은 당업자들의 통상의 지식 범위 내의 다양한 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BLAST, BLAST-2, ALIGN, ALIGN-2 또는 Megaline(DNASTAR) 소프트웨어와 같은 공개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당업자들은 비교되는 전장 서열에 대해 최대 배열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임의의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배열을 측정하기 위한 적절한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원의 목적의 경우, %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수치는 서열 비교 컴퓨터 프로그램 ALIGN-2을 사용하여 하기에서 기술한 것처럼 얻었다. ALIGN-2 서열 비교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넨테크사가 개발한 것으로 소스 코드는 미국 저작권청(워싱톤 디.시, 20559)에 사용자 문서로 출원되었고, 미국 저작권 등록 번호 TXU510087로 등록되었다. ALIGN-2 프로그램은 캘리포니아주 사우쓰 샌프란시스코 소재 제넨테크사로부터 공개적으로 구입할 수 있다. ALIGN-2 프로그램은 UNIX 작동 시스템, 바람직하게는 디지탈 UNIX V4.0D에서 사용하기 위해 컴파일되야 한다. 모든 서열 비교 파라미터는 ALIGN-2 프로그램에 의해 설정되고, 변화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된 "면역어드헤신"이란 용어는 이종 단백질("어드헤신")의 결합 특이성과 면역글로블린 불변 도메인의 작동체 기능을 결합시킨 항체 유사 분자를 나타낸다. 구조적으로, 면역어드헤신은 항원 인지 및 항체의 결합 부위(즉, "이종") 이외의 바람직한 결합 특이성 및 면역글로블린 불변 도메인 서열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의 융합을 포함한다. 면역어드헤신 분자의 어드헤신 부분은 일반적으로 최소한 수용체 또는 리간드의 결합 부위를 포함하는 연속된 아미노산 서열이다. 면역어드헤신 중의 면역글로블린 불변 도메인 서열은 임의의 면역글로블린, 예를 들어, IgG-1, IgG-2, IgG-3 또는 IgG-4 서브유형, IgA("IgA-1 및 IgA-2" 포함), IgE, IgD 또는 IgM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길항체"란 용어는 가장 넓은 의미로 사용되고, TALL-1 폴리펩티드, APRIL 폴리펩티드 또는 TALL-1 및 APRIL 모두의 실험관내, 생체 정상부위에서, 또는 생체내에서 하나 이상의 생물활성 활성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차단하거나, 억제하거나 또는 중화시키는 임의의 분자를 포함한다. TALL-1 및 APRIL 폴리펩티드의 이같은 생물학적 활성의 예는 TALL-1 또는 APRIL의 TACI, BCMA, TACIs 또는 BR3로의 결합, NF-κB의 활성화 및 증식 활성화 및 B 세포에 의한 Ig 분비의 활성화, 류마티스 관절염 및 루푸스와 아울러 문헌에서 추가로 언급된 면역 관련 증상들을 포함한다. 길항제는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항체는 TACIs 또는 TACI에 직접 결합한 결과 TALL-1 폴리펩티드, APRIL 폴리펩티드 또는 TALL-1 및 APRIL 모두의 실험관내, 생체 정상부위에서, 또는 생체내에서 하나 이상의 생물활성 활성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차단하거나, 억제하거나 또는 중화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또한, 길항제는 예를 들어, BCMA 또는 BR3 또는 기타 작용체 분자로의 결합을 차단 또는 억제한 결과 TALL-1 폴리펩티드, APRIL 폴리펩티드 또는 TALL-1 및 APRIL 모두의 실험관내, 생체 정상부위에서, 또는 생체내에서 하나 이상의 생물활성 활성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차단하거나, 억제하거나 또는 중화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길항제 분자는 분자가 TALL-1 및 APRIL 모두의 생물학적 활성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차단, 억제 또는 중화하는 능력이 있을 때 "이중" 길항제 활성을 가질 수 있다.
"아고니스트"란 용어는 가장 넓은 의미로 사용되고, TACI 폴리펩티드, TACIs 폴리펩티드 또는 TACI 및 TACIs 모두의 실험관내, 생체 정상부위에서, 또는 생체내에서 하나 이상의 생물활성 활성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증가시키거나, 자극하거나 또는 활성화시키는 임의의 분자를 포함한다. TACIs 및 TACI의 이같은 생물학적 활성의 예는 NF-κB의 활성화, 면역글로블린 생성 및 분비의 유도 또는 억제 및 세포 증식을 포함할 수 있다. 아고니스트는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고니스트는 TACIs 또는 TACI에 직접 결합한 결과 TACI 폴리펩티드, TACIs 폴리펩티드 또는 TACI 및 TACIs 모두의 실험관내, 생체 정상부위에서, 또는 생체내에서 하나 이상의 생물활성 활성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증가시키거나, 자극하거나 또는 활성화시켜서, 수용체 활성화 또는 신호 전달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아고니스트는 예를 들어, TACIs 또는 TACI 수용체 활성화 또는 신호 전달을 일으키는 기타 작용체 분자를 자극시킨 결과 TACIs 또는 TACI에 직접 결합한 결과 TACI 폴리펩티드, TACIs 폴리펩티드 또는 TACI 및 TACIs 모두의 실험관내, 생체 정상부위에서, 또는 생체내에서 하나 이상의 생물활성 활성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증가시키거나, 자극하거나 또는 활성화시킬 수 있다.
"항체"란 용어는 가장 넓은 의미로 사용되고, 구체적으로 BR3, TACIs, TALL-1, APRIL, TACI 또는 BCMA에 대한 단일 모노클로날 항체, 폴리에피토프 특성을 가진 항체 조성물, 단일쇄 항체 및 항체의 단편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항체"는 완전한 면역글로블린 또는 항체 분자, 폴리클로날 항체, 다중특이적 항체들(즉, 두개 이상의 완전한 항체로부터 형성된 이중특이적 항체) 및 면역글로블린 단편(예를 들어, Fab, F(ab')2, 또는 Fv)이 본원에서 기술된 목적한 길항제 또는 아고니스트 성질을 나타내기만 한다면, 이들을 포함한다.
항체는 일반적으로 특정 항원에 대한 결합 특이성을 나타내는 단백질 또는 폴리펩티드이다. 천연 항체는 일반적으로 이종사량체 당단백질로 두개의 동일한 경쇄(L) 및 두개의 동일한 중쇄(H)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경쇄는 한개의 공유 이황화 결합에 의해 중쇄에 연결되지만, 이황화 결합의 수는 상이한 면역글로블린 이소타입의 중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각각의 중쇄 및 각각의 경쇄는 또한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된 사슬내 이황화 결합을 가진다. 각각의 중쇄는 한쪽 끝에 한개의 가변 도메인(VH)과 그 뒤에 다수의 불변 도메인을 가진다. 각각의 경쇄는 한쪽 끝에 한개의 가변 도메인(VL)과 다른 쪽 끝에 불변 도메인을 가진다; 경쇄의 불변 도메인은 중쇄의 첫번째 불변 도메인과 나란히 배열되고, 경쇄의 가변 도메인은 중쇄의 가변 도메인과 나란히 배열된다. 특정 아미노산 잔기가 경쇄와 중쇄 가변 도메인 사이의 접촉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생각된다[Chothia et al., J. Mol. Biol., 186:651-663(1985); Novotny and Harber, Proc. Natl. Acad. Sci. USA, 82:4592-4596(1985)]. 임의의 포유동물 종의 항체의 경쇄는 그 불변 도메인의 아미노산 서열 기준으로 두개의 매우 상이한 유형, 즉 카파 및 람다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그 중쇄의 불변 도메인의 아미노산 서열에 따라서, 면역글로블린은 상이한 클래스로 나뉠 수 있다. 면역글로블린에는 5종의 주요 클래스가 있다:IgA, IgD, IgE, IgG 및 IgM. 이들 중 일부는 서브클래스(이소타입), 예를 들어, IgG-1, IgG-2, IgG-3 및 IgG-4; IgA-1 및 IgA-2로 보다 세분화될 수 있다. 면역글로블린의 상이한 클래스에 해당하는 중쇄 불변 도메인은 각각 알파, 델타, 엡실론, 감마 및 뮤로 지칭된다.
"항체 단편"은 완전한 항체의 일부, 일반적으로 완전한 항체의 항원 결합 또는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항체 단편의 예는 Fab, Fab', F(ab')2 및 Fv 단편, 디아보디, 단일쇄 항체 분자 및 항체 단편들로부터 형성된 다중특이적 항체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가변"이란 용어는 항체들 사이에서 서열이 상이하고, 그 특정 항원에 대한 각각의 특이적 항체의 결합 및 특이성에 사용되는 일정한 부분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가변성은 일반적으로 항체의 가변 도메인에 걸쳐 고르게 분포하지 않는다. 이는 일반적으로 경쇄 및 중쇄 가변 도메인 양쪽의 상보성 결정 영역(CDRs) 또는 초가변 영역이라 불리는 3개의 세그먼트에 집중되어 있다. 가변 도메인 중 보다 보전된 부분은 프레임워크(FR)라 불린다. 천연 중쇄 및 경쇄의 가변 도메인은 크게 β-시트 배열을 하고 있으며, 연결 루프를 형성하고 때때로 β-시트 구조의 일부를 형성하는 3개의 CDRs에 연결되어 있는 각각 4개의 FR 영역을 포함한다. 각 사슬 중의 CDRs은 FR 영역에 의해 다른 사슬의 CDRs과 매우 밀접하게 서로 모이게 되고, 항체의 항원 결합 부위의 형성에 기여한다[Kabat, E.A. et al., 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Bethesda, MD(1987)]. 불변 도메인은 항체의 항원으로의 결합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항체-의존적 세포내 독성에서의 항체의 참여와 같은 다양한 작용체 기능을 나타낸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단일클론 항체"는 실질적으로 동종의 항체들의 집단으로부터 얻어진 항체(즉 집단을 이루는 개별 항체가 소량 존재할 수 있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가능한 변이를 제외하고 동일한 것)을 말한다. 단일클론 항체는 매우 특이적이고, 단일 항원 부위(site)에 대한 것이다. 더구나, 여러가지 결정인자(에피토프)에 대한 여러가지 항체를 전형적으로 포함하는 통상적인 (다클론) 항체 제조에 비하여, 각 단일클론 항체는 항원의 단일 결정인자(single determinant)에 대한 것이다.
본원의 단일클론 항체는 그들이 원하는 생물학적 활성 또는 성질을 보이는 한, 근원종 또는 면역글로불린 클래스 또는 서브클레스 명칭 뿐만 아니라 항체 조각(e.g., Fab, F(ab')2, 및 Fv)에 상관없이, 불변 도메인(예를 들면, "인간화된" 항체)으로 관심있는 항체의 가변(다변이(hypervariable)를 포함함) 도메인을, 또는 중(重)사슬로 경(輕)사슬을, 또는 어떤 종으로부터의 사슬로 다른 종의 사슬을 또는 이종조직 단백질로 융합 단백질(fusions)을 스플라이싱하여 제조된 가상(chimeric), 혼성 및 재조합 항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4,816,567호 및 문헌[Mage et al., in Monoclonal Antibody Production Techniques and Applications, pp. 79-97 (Marcel Dekker, Inc.: New York, 1987)] 참조.
따라서, 개질제 "단일클론"은 실질적으로 동종 집단으로부터 얻어지는 항체의 특성을 나타내며, 임의의 특별한 방법에 의해 항체의 제조를 요구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은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단일클론 항체는 문헌[Kohler and Milstein, Nature, 256: 495(1975)]에 처음 기재된 하이브리도마 방법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거나 또는 미국특허 제4,816,567호에 기재된 재조합 DNA 방법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단일클론 항체"는 또한 예를 들면 문헌[McCafferty et al., Nature, 348: 552-554 (1990)]에 기재된 기법을 이용하여 생성된 파지(phage) 라이브러리로부터 단리될 수 있다.
비-인간(예를 들면 뮤린) 항체의 "인간화된" 형태는 특이적 가상 면역글로불린, 면역글로불린 사슬 또는 그의 조각(예를 들면 Fv, Fab, Fab', F(ab')2 또는 항체의 다른 항원-결합 결과)이며, 이들은 비-인간 면역글로불린으로부터 얻은 최소의 서열을 포함한다. 대부분에 있어, 인간화된 항체는 리시피언트(recipient)의 CDR(complementary determining region)으로부터의 잔기가 비-인간종 (도너(donor) 항체), 예를 들면 원하는 특이성, 친화성 및 캐패시티(capacity)를 갖는 생쥐, 래트, 또는 토끼의 CDR로부터의 잔기로 대체된 인간 면역글로불린이다(리시피언트 항체). 일부 경우, 인간 면역글로불린의 Fv 골격 영역 (FR) 잔기는 해당하는 비-인간 잔기로 대체된다. 더구나, 인간화된 항체는 리시피언트 항체에서도, 도입된 CDR 또는 골격 서열에서도 발견되지 않은 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식은 항체 성능을 더 세련되게 하고 최적화하기 위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인간화된 항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 적형적으로는 두개의 가변 도메인 모두를 실질적으로 포함할 것이며, 여기서 CDR 영역의 모두 또는 실질적으로 모두는 비-인간 면역글로불린의 그것에 해당하며, 인간 면역글로불린의 FR 영역의 모두 또는 실질적으로 모두는 인간 면역글로불린 컨센서스 서열의 그것이다. 인간화된 항체는 최적으로는 또한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 또는 도메인(Fc), 전형적으로는 인간 면역글로불린의 그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할 것이다.
"인간 항체"는 인간에 의해 만들어지는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에 해당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고/가지거나 본원에서 개시하고 있거나 또는 당 분야에 알려진 인간 항체를 제조하는 임의의 기법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것이다. 인간 항체의 이러한 정의는 적어도 하나의 인간 중사슬 폴리펩티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인간 경사슬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항체, 예를 들면 뮤린 경사슬 및 인간 중사슬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항체를 포함한다. 인간 항체는 당 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기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인간 항체는 인간 항체를 발현하는 파지 라이브러리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Vaughan et al. Nature Biotechnology, 14: 309-314 (1996): Sheets et al. PNAS, (USA) 95: 6157-6162 (1998)); Hoogenboom and Winter, J. Mol. Biol., 227: 381 (1991); Marks et al., J. Mol.Biol., 222: 581 (1991)). 인간 항체는 또한 유전자 이전 동물, 예를 들면 내생 면역글로불린 유전자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불활성화된 마우스에 인간 면역글로불린 좌(locus)를 도입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공격시, 인간 항체 생성이 관찰되며, 이것은 유전자 재배열, 어셈블리 및 항체 레퍼토리를 포함하는 모든 면에서 인간에서 관찰되는 것과 매우 닮았다. 이러한 접근은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5,545,807호; 제5,545,806; 제5,569,825호; 제5,625,126호; 제5,633,425호; 제5,661,016호, 및 이하의 과학 문헌[Marks et al., Bio/Technology, 10: 779-783 (1992); Lonberg et al., Nature, 368: 856-859 (1994); Morrison, Nature, 368: 812-13 (1994); Fishwild et al., Nature Biotechnology, 14: 845-51 (1996); Neuberger, Nature Biotechnology, 14: 826 (1996); Lonberg and Huszar, Intern. Rev. Immunol., 13: 65-93 (1995)]에 기재되어 있다. 별법으로, 인간 항체는 타겟 항원에 대한 항체를 만드는 인간 B 림프구의 불멸화(immortalization)를 통해 만들어질 수 있다(그러한 B 림프구는 개별적으로 리커버되거나 또는 시험관내 면역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헌[Cole et al., Monoclonal Antibodies and Cancer Therapy, Alan R. Liss, p. 77 (1985); Boerner et al., J. Immunol., 147 (1): 86-95 (1991)] 및 미국특허 제5,750,373호 참조.
용어 "Fc 영역"은 손상되지 않은(intact) 항체의 파파인 소화(digestion)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면역글로불린 중사슬의 C-말단 영역을 정의하는 데 이용된다. Fc 영역은 천연 서열 Fc 영역 또는 변이형(variant) Fc 영역일 수 있다. 비록, 면역글로불린 중사슬의 Fc 영역의 경계가 변할 수 있으나, 인간 IgG 중사슬 Fc 영역을 보통 약 포지션 Cys226의 아미노산 잔기(residue)로부터 또는 약 포지션 Pro230으로부터 Fc 영역의 카르복실-말단까지 스트레치(stretch)하는 것을 정의한다(본원에는 상기 카바트(Kabat)등의 문헌에 따른 번호 시스템을 사용함). 면역글로불린의 Fc 영역은 일반적으로 두개의 불변 도메인, CH2 도메인 및 CH3 도메인, 및 임의적으로 CH4 도메인을 포함한다.
본원의 "Fc 영역 사슬"은 Fc 영역의 두 폴리펩티드 사슬 중 하나를 의미한다.
인간 IgG Fc 영역의 "CH2 도메인"(또한, "Cy2" 도메인으로도 불리움)은 보통 약 포지션 231의 아미노산 잔기로부터 약 포지션 340의 아미노산 잔기에 이른다. CH2 도메인은 다른 도메인과 밀접하게 쌍을 이루지 않는 점에서 독특하다. 오히려, 두 N-연결된 가지(branched) 탄화수소 사슬이 손상되지 않은 천연 IgG 분자의 두 CH2 도메인 사이에 끼어있다. 탄화수소가 도메인-도메인 쌍에 대한 치환체를 제공할 수 있고, CH2 도메인을 안정화시키는 것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문헌[Burton, Molec. Immunol. 22: 161-206 (1985)]. 본원의 CH2 도메인은 천연 서열 CH2 도메인 또는 변이형 CH2 도메인일 수 있다.
"CH3 도메인"은 Fc 영역 중 CH2 도메인으로의 잔기 C-말단의 스트레치(stretch)를 포함한다(즉, IgG의 약 위치 341의 아미노산 잔기로부터 약 447 위치의 아미노산 잔기로의). 본원에서 CH3 영역은 천연 서열 CH3 도메인 또는 변이형 CH3 도메인일 수 있다(예를 들면 그의 한 사슬에 도입된 "프로트로베란스(protroberance)"를 갖고, 그의 다른 사슬에 해당하는 도입된 "캐비티(cavity)"를 갖는 CH3 도메인; 미국특허 제5,821,333호 참조). 그러한 변이형 CH3 도메인은 본원에서 기술되는 다특이적(multispecific) (예를 들면, 이특이적(bispecific) 항체를 만드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돌쩌귀(Hinge) 영역"은 일반적으로 인간 IgG1'의 약 Glu216 또는 약 Cys226으로부터 약 Pro230으로의 스트레칭으로 정의된다(Burton, Molec. Immunol. 22: 161-206 (1985)). 다른 IgG 아이소형(isotype)의 돌쩌귀 영역은 동일 위치에 중사슬간 S-S 결합을 형성하는 처음 및 마지막 시스테인 잔기를 배치함으로써 IgG1 서열과 정렬될 수 있다. 본원에서의 돌쩌귀 영역은 천연 서열 돌쩌귀 영역 또는 변이형 돌쩌귀 영역일 수 있다. 변이형 돌쩌귀 영역의 두 폴리펩티드 사슬은 일반적으로 폴리펩티드 사슬 당 적어도 하나의 시스테인 잔기를 유지하여, 변이형 돌쩌귀 영역의 두 폴리펩티드 사슬은 두 사슬 사이에 디술피드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본원에서 바람직한 돌쩌귀 영역은 천연 서열 인간 돌쩌귀 영역, 예를 들면 천연 서열 인간 IgG1 돌쩌귀 영역이다.
"기능성(functional) Fc 영역"은 천연 서열 Fc 영역의 "효과자(effector) 기능"을 적어도 하나 갖는다. "효과자 기능"의 예는 Clq 결합; 보체 의존성 세포독성(CDC); Fc 수용체 결합; 항체-의존성 세포-매개 세포독성(cytotoxicity) (ADCC); 식균 작용(phagocytosis); 세포 표면 수용체 (예를 들면 B 세포 수용체; BCR)의 하향 조절(down regulation)등을 포함한다. 그러한 효과자 기능은 일반적으로 Fc 영역이 결합 도메인 (예를 들면 항체 가변 도메인)과 결합되고, 그러한 항체 효과자 기능을 평가하는 당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분석을 이용하여 평가될 수 있다.
"자연 서열 Fc영역"은 자연에서 발견되는 Fc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과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변이형 Fc영역"은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수식에 의해 천연 Fc 영역의 그것과는 다른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변이형 Fc 영역은 천연 서열 Fc 영역이나 모(parent) 폴리펩티드의 Fc 영역에 비교하여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치환을 가지며, 예를 들면 천연 서열 Fc 영역 또는 모 폴리펩티드의 Fc 영역 중 약 하나 내지 약 열개의 아미노산 치환, 바람직하게는 약 하나 내지 약 다섯개의 아미노산 치환을 갖는다. 본원에서 변이형 Fc 영역은 바람직하게 천연 서열 Fc 영역 및(또는) 모 폴리펩티드의 Fc 영역과 적어도 약 80% 서열 동일성을 가지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90%의 서열 동일성을,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95%의 서열 동일성을 가질 것이다.
"항체-의존성 세포-매개 세포독성" 및 "ADCC"는 Fc 수용체(FcR) 를 발현하는 비특이적 세포독성 세포(예를 들면 내츄럴 킬러 (NK) 세포, 호중구(neutrophil) 및 마크로파지)가 타겟 세포에 결합된 항체를 인식하고, 이어서 타겟 세포의 세포 용해(lisys)를 야기하는 세포-매개 반응을 말한다. 단핵구(monocyte)가 FcγRI, FcγRII 및 FcγRIII를 발현하지만, ADCC를 매개하는 세포, NK 세포,는 FcγRIII만을 발현한다. 조혈(hematopoietic) 세포에서의 FcR 발현은 문헌[Ravetch and Kinet, Annu. Rev. Immunol., 9: 457-92 (1991)]의 464 페이지 표 3에 요약되어 있다. 관심있는 분자의 ADCC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미국 특허 제5,500,362호 또는 제5,821,337호에 기재된 것 같은 시험관내 ADCC 분석이 실시될 수 있다. 그러한 평가에 유용한 효과자 세포는 말초 혈액 단핵 세포 (PBMC) 및 내츄럴 킬러 (NK) 세포를 포함한다. 별법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관심있는 분자의 ADCC 활성은 예를 들면 문헌[Clynes et al. PNAS (USA), 95: 652- 656 (1998)]에 개시된 것같은 동물 모델 중에서 생체내 평가될 수 있다.
"인간 효과자 세포"는 하나 이상의 FcR을 발현하고, 효과자 기능을 수행하는 백혈구다. 바람직하게는, 세포가 적어도 FcγRIII를 발현하고, ADCC 효과자 기능을 수행한다. ADCC를 매개하는 인간 백혈구의 예는 말초 혈액 단핵 세포(PBMC), 내츄럴 킬러 (NK) 세포, 단핵구, 세포 독성(cytotoxic) T 세포 및 호중구를 포함하며, PBMC 및 NK 세포가 바람직하다. 효과자 세포는 그의 천연 공급원, 예를 들면 본원에서 기술되는 PBMC 또는 혈액으로부터 단리될 수 있다.
용어 "Fc 수용체" 및 "FcR"은 항체의 Fc 영역에 결합한 수용체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다. 바람직한 FcR은 천연 서열 인간 FcR이다. 더욱이, 바람직한 FcR은 IgG 항체 (감마 수용체)를 결합하고, FcγRI, FcγRII, 및 FcγRIII 서브클래스의 수용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대립 유전자 변형체(allelic variant) 및 별법으로는 이러한 수용체의 스플라이스된 형태를 포함한다. FcγRII 수용체는 그의 세포질 도메인이 주로 다른, 유사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FcγRIIA ("활성화(activating) 수용체") 및 FcγRIIB ("억제(inhibiting) 수용체")를 포함한다. 활성화 수용체 FcγRIIA 는 그의 세포질 도메인 중 면역 수용체 티로신-기재의 활성화 모티프(ITAM)을 함유한다. 억제 수용체 FcγRIIB는 그의 세포질 도메인 중 면역수용체 티로신-기재의 억제 모티프(ITIM)를 함유한다 (문헌[Daeron, Annu. Rev. Immunol., 15: 203-234 (1997)]에서 리뷰됨). FcR은 문헌[Ravetch and Kinet, Annu. Rev. Immunol., 9:457-92 (1991); Capel et al., Immunomethods, 4: 25- 34 (1994); 및 de Haas et al., J. Lab. Clin. Med., 126: 330-41 (1995)]에서 리뷰되었다. 장차 확인될 것을 포함하여 다른 FcR가 본원에서 용어 "FcR"에 포함된다. 이 용어는 또한 태아에게 어머니의 IgG를 전달하는 책임을 지는 신생아(neonatal) 수용체, FcRn를 포함한다(Guyer et al., J. Immunol., 117: 587 (1976); 및 Kim et al., J. Immunol., 24: 249 (1994)).
"보체 의존성 세포 독성" 및 "CDC"는 보체 존재하에 타겟의 세포 용해(lysing)를 말한다. 보체 활성화 경로는 동족(cognate) 항원과 콤플렉스된 분자(예를 들면 항체)에 대한 보체 시스템의 제1 요소(Clq)의 결합에 의해 개시된다. 보체 활성화를 평가하기 위해, CDC 분석, 예를 들면 문헌[Gazzano-Santoro et al., J. Immunol. Methods, 202: 163 (1996)]에 기재된 것 같이 실시될 수 있다.
"친화성 성숙된" 항체는 그의 하나 이상의 CDR에서, 항원에 대한 항체의 친화성을 향상시키는, 하나 이상의 변형(alteration)을 갖는 것으로, 모 항체는 이러한 변형을 갖지 않는다. 바람직한 친화성 성숙된 항체는 타겟 항원에 대해 나노몰 또는 심지어 피코몰의 친화성을 가질 것이다. 바람직한 친화성 성숙된 항체는 당 분야에 알려진 과정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문헌[Marks et al. Bio/Technology, 10: 779-783 (1992)]은 VH 및 VL 도메인 셔플링에 의해 친화성 성숙을 기술한다. 골격 잔기 및(또는) CDR의 무작위 돌연변이(mutagenesis)는 문헌[Barbas et al. Proc Nat. Acad. Sci, USA 91: 3809-3813 (1994); Schier et al. Gene, 169: 147-155 (1995); Yelton et al. J. Immunol., 155: 1994-2004 (1995); Jackson et al., J. Immunol., 154 (7): 3310-9 (1995); 및 Hawkins etal, J. Mol. Biol., 226: 889-896 (1992)]에 기술되어 있다.
"항체의 면역특이적 결합"에서 사용되는 용어 "면역특이적"은 예를 들어 항체의 항원 결합 위치와 그 항체가 인식하는 특이적 항원간에 발생하는 항원 특이적 결합 상호작용을 말한다.
"단리된"은, 본원에서 개시된 다양한 단백질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때, 단백질이 확인되고 분리된 것 및(또는) 그의 천연 환경의 요소로부터 회수된 것을 의미한다. 그의 천연 환경의 오염 요소는 단백질을 진단 또는 치료에 사용할 때 전형적으로 간섭하는 물질로, 효소, 호르몬 및 기타 단백질성 또는 비-단백질성 용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단백질은 (1) 스피닝 컵 서열분석기(sequenator)를 이용하여 N-말단 또는 내부 아미노산 서열의 15 잔기 이상을 얻기에 충분한 정도로, 또는 (2) 쿠마시 블루(Coomassie blue) 또는 바람직하게는 은염색(silver stain)을 이용한 비환원 또는 환원 상태하에서 SDS-PAGE에 의한 동일성(homogeneity)까지 정제할 수 있다. 단백질 천연 환경의 적어도 한 요소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므로, 단리된 단백질은 재조합 세포 내 현장(in situ) 단백질을 포함한다. 그러나, 보통 단리된 단백질은 적어도 한 단계의 정제단계에 의해 제조될 것이다.
"치료" 또는 "요법(therapy)"은 요법적 치료 및 예방 또는 방지 방법 모두를 말한다.
치료 또는 요법 목적의 "포유류(mammal)"은 인간, 가축 및 농장 동물 및 동물원, 스포츠 또는 애완 동물, 예를 들면 개, 말, 고양이, 소 등을 포함하는 포유류로 분류되는 임의의 동물을 말하며, 바람직하게 포유류는 인간이다.
"TALL-1-연관된 병적 상태" 및 "APRIL-연관된 병적 상태"는 정상 건강 상태의 포유류에서의 발현 또는 활성 수준보다 과도하거나 그에 미치지 못하며, 그러한 과도한 또는 감소된 수준이 몸체 중 전신의, 국소적 또는 특정의 조직 또는 세포 타입 또는 위치에서 발생하는, TALL-1 또는 APRIL의 비정상적인 활성 또는 발현과 관련된 병상(病狀) 또는 상태를 각각 말한다. TALL-1-연관된 병적 상태 및 APRIL-연관된 병적 상태는 급성 및 만성 면역 관련 질환 및 암을 포함한다.
용어 "암(cancer)", "암의(cancerous)", 및 "악성(malignant)"은 조절되지 않은 세포 성장을 전형적인 특징으로 하는 포유류에서의 생리학적 상태를 말하거나 기술하는 것이다. 암의 예는 선암(adenocarcinoma), 임파종(lymphoma), 모세포종(blastoma), 흑색종(melanoma), 육종(sarcoma) 및 백혈병(leukemia)을 포함하는 암종(carcinoma)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암의 특별한 예는 편평(squamous)세포암, 소세포(small-cell)폐암, 비-소세포(non-small-cell) 폐암, 위장내(gastrointestinal)암, 호킨스(Hodgkin) 및 비-호킨스 임파선암(lymphoma), 췌장암, 교모세포종(glioblastoma), 경부(cervical)암, 난소암, 간암, 예를 들면 간암종(hepatic carcinoma) 및 간세포암(hepatoma), 방광(bladder)암, 유방암, 결장(colon)암, 대장(colorectal)암, 자궁내막암(endometrial carcinoma), 골수종(myeloma) (예를 들면 다발성 골수종), 타액선암(salivary gland carcinoma), 신장암 예를 들면 신세포(renal cell)암 및 윌름 종양(Wilms'tumors), 기저 세포(basal cell)암, 흑색종, 전립선암, 외음(vulval)암, 갑상선암, 고환암, 식도암, 및 두경부암의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치료하려는 임의의 암은 임파선암, 백혈병 및 골수종 및 그의 아유형(亞類型;subtype), 예를 들면, 버킷 임프종, 다발성 골수종, 급성 림프구(lymphoblastic) 백혈병 또는 림프구성(lymphocytic) 백혈병, 비-호킨스 임파선암, 및 급성 골수성 백혈병을 포함한다.
용어 "면역 연관된 질환"은 포유류의 면역 체계의 요소가 포유류의 질병률(morbidity)을 야기, 매개 또는 그렇지 않으면 기여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또한, 면역 반응의 자극 또는 개입이 질환의 발전에 개선된 효과를 갖는 질환도 포함된다. 이 용어에는 자가면역 질환, 면역-매개 염증성 질환, 비-면역-매개 염증성 질환, 감염성 질환, 및 면역결여 질환이 포함된다. 그의 일부가 면역 또는 T-세포 매개되고,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될 수 있는 면역-연관된 및 염증성 질환의 예는 전신 홍반성 루프스, 류마티스성 관절염, 만성 연소성 관절염(juvenile chronic arthritis), 척추관절병증(spondyloarthropathies), 전신성 경화증(경피증(scleroderma)), 특발성 염증성 근염(idiopathic inflammatory myopathies) (피부근염, 다발성 근염(polymyositis)), 쉐그렌 증후군, 전신성 혈관염, 샤르코이드증(sarcoidosis),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면역 범혈구 감소증(immune pancytopenia),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 자가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immune-mediated thrombocytopenia)), 갑상선염 (그레브스병, 하시모토 갑상선염, 연소형 림프구성 갑상선염(juvenile lymphocytic thyroiditis), 위축성 갑상선염), 당뇨병, 면역-매개 신질환 (사구체신염, 간질성 신염(tubulointerstitial nephritis)), 중추 및 말초 신경 시스템의 탈수초성(demyelinating) 질환, 예를 들면 다발성 경화증, 특발성 탈수초 다발신경병증(idiopathic demyelinating polyneuropathy) 또는 길랭-바레 증후군 및 만성 염증성 탈수초 다발신경병증, 췌담즙(hepatobiliary) 질환 예를 들면 감염성 간염 (간염 A, B, C, D, E 및 기타 비-간폐성(non-hepatotropic) 바이러스), 자가면역성 만성 활동성 간염(autoimmune chronic active hepatitis),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 육아종성 간염, 및 경화성 담관염, 염증성 및 섬유성 폐질환(fibrotic lung disease) 예를 들면 염증성 장질환 (궤양성 대장염: 크론씨 병), 글루텐 과민성 장질환, 및 위플씨 병, 수포성 피부 질환, 다형 홍반 및 접촉 피부염을 포함하는 자가면역성 또는 면역-매개 피부 질환, 건선, 알레르기성 질환, 예를 들면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음식물 과민반응 및 두드러기, 폐의 면역 질환 예를 들면 호산구성 폐렴, 특발성 폐 섬유증 및 과민성 폐장염, 이식 거부 및 이식편대숙주병을 포함하는 이식관련 질환을 포함한다. 감염성 질환은 AIDS (HIV 감염), 간염 A, B, C, D, 및 E, 박테리아 감염증, 진균 감염증, 원충 감염증 및 기생충 감염증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자가면역성 질환"은 폭넓고 일반적인 의미에서 정상 또는 건강한 조직의 파괴가 자신의 조직 구성에 대한 개별 포유류의 체액성 또는 세포 면역 반응으로부터 발생하는 포유류의 상태 또는 장애를 말한다. 그 예는 홍반성 루프스, 갑상선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건선, 다발성 경화증, 자가면역적 당뇨병 및 염증성 장질환 (IBD)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전구약(prodrug)"은 모 약물(parent drug)에 비해 암 세포에 대해 덜 세포 독성이고, 효소적으로 활성화되거나 더욱 활성인 모(parent) 형태로 변환될 수 있는 제약학적으로 활성인 물질의 전구체 또는 유도체 형태를 말한다. 예를 들어, 문헌[Wilman, "Prodrugs in Cancer Chemotherapy "Biochemical Society Transactions, 14, pp. 375- 382, 615th Meeting Belfast (1986) 및 Stella et al.,"Prodrugs : A Chemical Approach to Targeted Drug Delivery, "Directed Drug Delivery, Borchardt et al., (ed.), pp. 247-267, Humana Press (1985)] 참조. 본 발명의 전구약은 포스페이트 함유 전구약, 티오포스페이트-함유 전구약, 술페이트-함유 전구약, 펩티드-함유 전구약, D-아미노산-수식된 전구약, 글리코실레이트된 전구약, 베타-락탐 함유 전구약, 임의적으로 치환된 페녹시아세트아미드-함유 전구약 또는 임의적으로 치환된 페닐아세트아미드-함유 전구약, 5-플루오로시토신 및 다른 5-플루오로우리딘 전구약 (이는 더욱 활성인 세포독성이 없는 약물로 변환될 수 있음)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용도를 위해 전구약 형태로 유도될 수 있는 세포독성 약물의 예는 이하에서 기술하는 화학요법제를 포함하나 그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세포독성제"라는 용어는 세포의 기능을 억제 또는 방해하고(하거나) 세포의 파괴를 유발하는 물질을 말한다. 이 용어는 방사성 동위원소(예를 들면, At211, I131, I125, Y90, Re186, Re188 , Sm153, Bi212, P32 및 Lu의 방사성 동위원소), 화학요법제, 및 독소, 예를 들면 저분자 독소 또는 세균, 진균, 식물 또는 동물 기원의 효소적 활성 독소(그의 단편 및(또는) 변이체 포함)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화학요법제"는 암과 같은 상태의 치료에 유용한 화학 물질이다. 화학요법제의 예는 알킬화제, 예를 들면 티오테파 및 시클로스포스파미드(CYTOXANTM); 알킬 술포네이트, 예를 들면 부술판, 임프로술판 및 피포술판; 아지리딘, 예를 들면 벤조도파, 카르보쿠온, 메투레도파, 및 우레도파; 알트레타민, 트리에틸렌멜라민, 트리에틸렌포스포라미드, 트리에틸렌티오포스파오라미드 및 트리메틸올로멜라민을 비롯한 에틸렌이민 및 메틸라멜라민; 아세토게닌(특히 불라타신 및 불라타시논); 캄프토테신(합성 유사체 토포테칸 포함); 브리오스타틴; 칼리스타틴; CC-1065(아도젤레신, 카르젤레신 및 비젤레신 합성 유사체 포함); 크립토피신(특히 크립토피신 1 및 크립토피신 8); 돌라스타틴; 두오카르마이신(합성 유사체, KW-2189 및 CBI-TMI 포함); 엘류테로빈; 판크라티스타틴; 사르코딕틴; 스폰지스타틴; 질소 머스타드, 예를 들면 클로람부실, 클로르나파진, 클로로포스파미드, 에스트라무스틴, 이포스파미드, 메클로레타민, 메클로레타민, 옥시드 히드로클로라이드, 멜팔란, 노벰비친, 페네스테린, 프레드니무스틴, 트로포스파미드, 우라실 머스타드; 니트로스우레아, 예를 들면 카르무스틴, 클로로조토신, 포테무스틴, 로무스틴, 니무스틴, 라니무스틴; 항생제, 예를 들면 에네디인 항생제(예를 들면, 칼리케아미신, 특히 칼리케아미신 γ1 I 및 칼리케마이신 θI 1, 예를 들면 문헌[Agnew Chem Intl. Ed. Engl., 33:183-186 (1994)] 참조; 다이네미신 A를 비롯한 다이네미신; 에스페라미신; 및 네오카르지노스타틴 발색단 및 관련 색소단백질 에네디인 항생제 발색단), 아클라시노마이신, 액티노마이신, 오트라마이신, 아자세린, 블레오마이신, 칵티노마이신, 카라비신, 카르미노마이신, 카르지노필린, 크로모마이신, 닥티노마이신, 도노로부신, 데토루비신, 6-디아조-5-옥소-L-노르류신, 독소루비신(모르폴리노-독소루비신, 시아노모르폴리노-독소루비신, 2-피롤리노-독소루비신 및 데옥시독소루비신 포함), 에피루비신, 에소루비신, 이다루비신, 마르셀로마이신, 미토마이신, 미코페놀산, 노갈라마이신, 올리보마이신, 페플로마이신, 포트피로마이신, 푸로마이신, 쿠엘라마이신, 로도루부신, 스트렙토니그린, 스트렙토조신, 투베르시딘, 우베니멕스, 지노스타틴, 조루비신; 항-대사물질, 예를 들면 메토트렉세이트 및 5-플루오로우라실(5-FU); 엽산 유사체 예를 들면 데노프테린, 메토트렉세이트, 프테로프테린, 트리메트렉세이트; 푸린 유사체, 예를 들면 플루다라빈, 6-머캅토푸린, 티아미프린, 티오구아닌; 피리미딘 유사체, 예를 들면 안시타빈, 아자시티딘, 6-아자우리딘, 카르모푸르, 시타라빈, 디데옥시우리딘, 독시플루리딘, 에노시타빈, 플록수리딘, 5-FU; 안드로겐, 예를 들면 칼루스테론, 드로모스타놀 프로피오네이트, 에피티오스타놀, 메피티오스탄, 테스토락톤; 항-부신제, 예를 들면 아미노글루테티미드, 미토탄, 트릴로스탄; 엽산 보충제, 예를 들면 프롤린산; 아세글라톤; 알도포스파미드 글리코시드; 아미노페불리닌산; 암사크린; 베스트라부실; 비산트렌; 에다트렉세이트; 데포파민; 데메콜신; 디아지쿠온; 엘포르니틴; 엘립티늄 아세테이트; 에포틸론; 에토글루시드; 질산갈륨; 히드록시우레아; 렌티난; 로니다민; 메이탄시노이드, 예를 들면 메이탄신 및 안사미토신; 미토구아존; 미토잔트론; 모피다몰; 니트라크린; 펜토스타틴; 페나메트; 피라루비신; 포도필린산; 2-에틸히드라지드; 프로카르바진; PSK(등록상표); 라족산; 리족신; 시조피란; 스피로게르마늄; 테누아존산; 트리아지쿠온; 2,2',2'-트리클로로트리에틸아민; 트리코테센(특히 T-2 톡신, 베라쿠린 A, 로리딘 A 및 안구이딘); 우레탄; 빈데신; 다카르바진; 만노무스틴; 미토브로니톨; 미톨락톨; 피포브로만; 가시토신; 아라비노시드("Ara-C"); 시클로포스파미드; 티오테파; 탁소이드, 예를 들면 파클리탁셀(탁솔(등록상표),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퀴브 온콜로지(Bristol-Myers Squibb Oncology, Princeton, NJ)) 및 도세탁셀(탁소테레(등록상표), 롱플랑 로러(Rhone-Poulenc Rore, Antony, France)); 클로람부실; 젬시타빈; 6-티오구아닌; 머캅토푸린; 메토트렉세이트; 백금 유사체, 예를 들면 시스플라틴 및 카르보플라틴; 빈블라스틴; 백금; 에토포시드(VP-16); 이포스파미드; 미토마이신 C; 미토잔트론; 빈크리스틴; 아미노프테린; 젤로다; 이반드로네이트; CPT-11; 토포이소머라제 억제제 RFS 2000; 디플루오로메틸오르니틴(DMFO); 레티노산; 카페시타빈; 및 상기한 것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산 또는 유도체를 포함한다. 이 정의에 또한 포함되는 것은 종양에의 호르몬 작용을 조절 또는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항-호르몬제, 예를 들면 타목시펜, 랄록시펜, 아로마타제 억제 4(5)-이미다졸, 4-히드록시타목시펜, 트리옥시펜, 케옥시펜, LY117018, 오나프리스톤 및 토레미펜(파레스톤)을 비롯한 항-에스트로겐제; 및 항-안드로겐제, 예를 들면 플루타미드, 닐루타미드, 비칼루타미드, 류프롤리드, 및 고세렐린; 및 상기한 것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산 또는 유도체이다.
본원에 사용된 "성장 억제제"는 시험관내 또는 생체내에서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말한다. 따라서, 성장억제제는 이러한 유전자를 과발현하는 세포의 퍼센트를 S 상에서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이다. 성장 억제제의 예는 세포 주기 진행(S 상 이외의 곳에서)을 차단하는 약제, 에를 들면 G1 정지 및 M-상 정지를 유도하는 약제를 포함한다. 전형적 M-상 차단제는 빈카(빈크리스틴 및 빈블라스틴), 탁솔 및 토포 II 억제제, 예를 들면 독소루비신, 에피루비신, 도노루비신, 에토포시드, 및 블레오마이신을 포함한다. G1 정지를 일으키는 약제는 S-상 정지도 유발하며, 예를 들면, DNA 알킬화제, 예를 들면 타목시펜, 프레드니손, 다카르바진, 메클로레타민, 시스플라틴, 메토트렉세이트, 5-플루오로우라실 및 아라-C이다. 추가의 정보는 문헌[Molecular Basis of Cancer, Mendelsohn and Israel, eds., Chapter 1, entitled "Cell cycle regulation, oncogens, and antineoplastic drugs" by Murakami et al. (WB Saunders: Philadelphia, 1995), 특히 p. 13]에서 찾을 수 있다.
"사이토카인"이라는 용어는 세포간 매개자로서 또다른 세포에 작용하는 한 세포 집단에 의해 방출되는 단백질에 대한 일반적 용어이다. 이러한 사이토카인의 예는 림포카인, 모노카인, 및 전통적 폴리펩티드 호르몬이다. 사이토카인 중에는 성장 호르몬, 예를 들면 인간 성장 호르몬, N-메티오닐 인간 성장 호르몬, 및 소의 성장 호르몬; 파라티로이드 호르몬; 티록신; 인슐린; 프로인슐린; 릴랙신; 프로릴랙신; 당단백질 호르몬, 예를 들면 여포 자극 호르몬(FSH), 티로이드 자극 호르몬(TSH), 및 황체형성 호르몬(LH); 간 성장 인자; 섬유모세포 성장 인자; 프로락틴; 태반 락토겐; 종양 괴사 인자-α 및 -β; 뮬러리안 억제 물질; 마우스 고나도트로핀-결합 펩티드; 인히빈; 액티빈; 혈관 내피 성장 인자; 인테그린; 트롬보포이에틴(TPO); 신경 성장 인자; 혈소판-성장 인자; 전환 성장 인자(TGF), 예를 들면 TGF-α 및 TGF-β; 인슐린-유사 성장 인자-I 및 -II; 에리트로포이에틴(EPO); 골유도 인자; 인터페론, 예를 들면 인터페론-α, -β 및 -γ; 콜로니 자극 인자(CSF), 예를 들면 마크로파지-CSF(M-CSF); 과립구-마크로파지-CSF(GM-CSF); 및 과립구-CSF(G-CSF); 인터루킨(IL), 예를 들면 IL-1, IL-2, IL-3, IL-4, IL-5, IL-6, IL- 7, IL-8, IL-9, IL-11, IL-12; 및 LIF 및 키트 리간드(KL)를 비롯한 기타 폴리펩티드 인자가 포함된다. 본원에 사용된 사이토카인이라는 용어는 천연 공급원 또는 재조합 세포 배양으로부터의 단백질 및 천연 서열 사이토카인의 생물학적 활성 등가물을 포함한다.
II. 방법 및 재료
본 발명은 바람직한 양의 TACI 항체를 세포에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포유류 세포에서 TALL-1, APRIL, TACI, BCMA, TACI, 및(또는) BR3 활성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물질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된 TACI 항체의 양은 치료 효과를 얻기 위하여 각 리간드 또는 각 수용체의 결합 및(또는) 활성에 영향을 미치기에 효과적인 양일 것이다. 이는 예를 들면 하기 방법 및 실시예의 방법에 따라생체내 또는 생체외에서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TACI 항체로 치료될 예시적 상태 또는 장애는 류마티스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건선 및 루프스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자가 면역 질환으로 임상적으로 지칭되는 포유류에서의 상태 또는 포유류에서 B 세포 반응이 비정상적으로 상향조절된 기타 병리 상태(예를 들면 암)를 포함한다.
A. 항체
항-TACI 수용체 항체가 본원에서 제공되며 본원에 개시된 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다. 단일클론 항체는 하이브리도마 방법, 예를 들면 문헌[Kohler and Milstein, Nature, 256: 495 (1975)]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하이브리도마 방법에서, 마우스, 햄스터, 또는 다른 적절한 숙주 동물을 전형적으로 면역화제로 면역화시켜서 면역화제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항체를 생산하거나 생산할 수 있는 림프구를 유발시킨다. 별법으로, 림프구를 시험관내에서 면역화시킬 수 있다.
면역화제는 전형적으로 TACI 폴리펩티드(또는 TACI ECD) 또는 그의 융합 단백질, 예를 들면 TACI ECD-IgG 융합 단백질을 포함할 것이다. 면역화제는 별법으로 TALL-1 또는 APRIL의 TACI에의 결합에 참여하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을 갖는 TACI의 단편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면역화제는 TACI의 세포외 도메인 서열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인간 기원의 세포를 원한다면 말초 혈관 림프구("PBL")가 사용되고, 비-인간 포유류 공급원을 원한다면 비장 세포 또는 림프절 세포가 사용된다. 그 후 폴리에틸렌글리콜과 같은 적절한 융합제를 사용하여 림프구를 불멸화 세포주와 융합시켜서 하이브리도마 세포를 형성한다[Goding, Monoclonal Antibodies: Principles and Practice, Academic Press, (1986) pp.59-103]. 불멸화된 세포주는 보통 형질전환된 포유류 세포, 특히 설치류, 소 및 인간 기원의 골수종 세포이다. 보통, 랫트 또는 마우스 골수종 세포주가 사용된다. 하이브리도마 세포는 바람직하게는 비융합, 불멸화 세포의 성장 또는 생존을 억제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함유하는 적절한 배지에서 배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모 세포가 효소 하이포잔틴 구아닌 포스포리보실 트랜스퍼라제(HGPRT 또는 HPRT)가 없다면, 하이브리도마를 위한 배지는 전형적으로 하이포잔틴, 아미노프테린 및 티미딘을 포함할 것이고("HAT 배지"), 이 물질은 HGPRT-결핍 세포의 성장을 방해한다.
바람직한 불멸화 세포주는 효율적으로 융합하고, 선택된 항체-생산 세포에 의해 항체의 안정한 고 수준 발현을 지지하고, HAT 배지와 같은 배지에 민감한 것이다. 더욱 바람직한 불멸화 세포주는 예를 들면 솔크 인스티튜트 세포 분배 센터(Salk Institute Cell Distribution Center, San Diego, California) 및 아메리칸 타입 컬쳐 콜렉션(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Manassas, Virginia)로부터 얻을 수 있는 쥐의 골수종 세포주이다. 인간 골수종 및 마우스-인간 헤테로골수종 세포주도 인간 단일클론 항체의 생산을 위해 기재되었다[Kozbor, J. Immunol., 133: 3001 (1984); Brodeur et al., Monoclonal Antibody Production Techniques and Applications, Marcel Dekker, Inc., New York, (1987) pp. 51-63].
그 후 하이브리도마 세포가 배양되는 배지를 TACI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의 존재에 대해 분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에 의해 생산된 단일클론 항체의 결합 특이성은 면역침전 또는 시험관내 결합 분석, 예를 들면 방사면역분석(RIA) 또는 효소-결합 면역흡착 분석(ELISA)에 의해 측정된다. 이러한 기술 및 분석은 당업계에 공지되었다. 단일클론 항체의 결합 친화성은, 예를 들면, 문헌[Munson and Pollard, Anal. Biochem., 107: 220 (1980)]의 스캐차드 분석(Scatchard analysis)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원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를 확인한 후, 클론을 희석 과정을 제한함으로써 서브클로닝하고 표준 방법으로 성장시킬 수 있다[Goding, supra]. 이 목적을 위한 적절한 배지는 예를 들면 둘베코스 모디파이드 이글즈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또는 RPMI-1640 배지를 포함한다. 별법으로, 하이브리도마 세포를 포유류에서 복수로서 생체내에서 성장시킬 수 있다.
서브클론에 의해 분비된 단일클론 항체는 통상의 면역글로불린 정제 방법, 예를 들면 단백질 A-세파로스, 히드록실아파타이트 크로마토그래피, 겔 전기영동, 투석 또는 친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복수액 또는 배지로부터 단리 또는 정제할 수 있다.
단일클론 항체는 재조합 DNA 방법,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4,816,567호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단일클론 항체를 코딩하는 DNA는 통상의 방법을 사용하여(예를 들면, 단일클론 항체의 중쇄 및 경쇄를 코딩하는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탐침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단리하고 서열화될 수 있다. 하이브리도마 세포는 이러한 DNA의 바람직한 공급원으로서 작용한다. 단리되면, DNA를 발현 벡터로 위치시킬 수 있고, 그 후 달리 면역글로불린 단백질을 생산하지 않는 이.콜라이 세포, 원숭이 COS 세포, 차이니스 햄스터 난소(CHO) 세포 또는 골수종 세포와 같은 숙주세포로 형질감염시켜서 재조합 숙주 세포에서 단일클론 항체의 합성을 얻는다. 또한, 예를 들면 인간 중쇄 및 경쇄 불변 도메인에 대한 코딩 서열을 상동 쥐 서열 대신 치환시키거나[Morrison, et al., Proc. Nat. Acad. Sci. 81, 6851 (1984)], 면역글로불린 코딩 서열에 비-면역글로불린 폴리펩티드에 대한 코딩 서열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공유 결합시킴으로써 DNA를 변형시킬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비-면역글로불린 폴리펩티드는 본 발명의 항체의 불변 영역 대신 치환되거나 또는 본 발명의 항체의 하나의 항원-결합 위치의 가변 도메인 대신 치환되어 TACI에 대해 특이성을 갖는 하나의 항원-결합 위치 및 다른 항원에 대해 특이성을 갖는 또다른 항원-결합 위치를 포함하는 키메라 이가 항체를 생성한다.
키메라 또는 하이브리드 항체는 또한 가교제가 관여하는 방법을 비롯한 합성 단백질 화학에서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시험관 내에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술파이드 교환 반응을 사용하거나 티오에테르 결합을 형성시킴으로써 면역독소를 제작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적절한 시약의 예는 이미노티올레이트 및 메틸-4-머캅토부티리미데이트를 포함한다.
단일 사슬 Fv 단편은 예를 들면 문헌[Iliades et al., FEBS Letters, 409: 437-441 (199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생산될 수도 있다. 다양한 링커를 사용하는 이러한 단일 사슬 단편의 커플링은 문헌[Kortt et al., Protein Engineering, 10: 423-433 (1997)]에 기재되어 있다. 재조합 생산 및 항체의 조작을 위한 다양한 기술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당업자가 전형적으로 사용하는 이러한 기술의 예를 하기에 더 자세히 기재한다.
(i) 인간화 항체
일반적으로, 인간화 항체는 비-인간 공급원으로부터 그에 도입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를 갖는다. 이 비-인간 아미노산 잔기는 "수입(import)" 가변 도메인으로부터 전형적으로 취해진 "수입" 잔기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다. 인간화는 상응하는 인간 상체의 서열 대신 설치류 CDR 또는 CDR 서열로 치환함으로써 윈터(Winter) 및 공동 연구자의 방법[Jones et al., Nature, 321:522-525 (1986); Riechmann et al., Nature, 332:323-327 (1988); Verhoeyen et al., Science, 239:1534-1536 (1988)]에 따라 본질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인간화" 항체는 손상되지 않은 인간 가변 도메인보다 실질적으로 적은 것이 비-인간 종으로부터의 상응 서열에 의해 치환된 키메라 항체이다. 실제로, 인간화 항체는 전형적으로 몇몇 CDR 잔기 및 가능하게는 몇몇 FR 잔기가 설치류 항체에서의 유사 위치로부터의 잔기에 의해 치환된 인간 항체이다.
항체가 항원에 대한 높은 친화성 및 다른 유리한 생물학적 성질을 보유하면서 인간화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방법에 따르면, 인간화 항체는 부모 및 인간화 서열의 3차원적 모델을 사용하여 부모 서열 및 다양한 수태(conceptual) 인간화 생성물의 분석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3차원적 면역글로불린 모델은 통상적으로 입수가능하고 당업자에게 익숙하다. 선택된 후보 면역글로불린 서열의 가망성 있는 3차원적 배좌 구조를 도시하고 표시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입수할 수 있다. 이 표시의 관찰에 의해 후보 면역글로불린 서열의 기능에서 잔기의 가능한 역할의 분석, 즉, 후보 면역글로불린이 항원에 결합하는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잔기의 분석이 가능하다. 이 방법으로, 원하는 항체 특성, 예를 들면 표적 항원에 대한 친화성의 증가를 달성할 수 있도록 FR 잔기를 공통 및 수입 서열로부터 선택하고 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CDR 잔기는 항원 결합에 영향을 미치는데 직접적으로 또한 가장 실질적으로 관여한다.
(ii) 인간 항체
인간 단일클론 항체는 하이브리도마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인간 단일클론 항체의 생산을 위한 인간 골수종 및 마우스-인간 헤테로골수종 세포주는 예를 들면 문헌[Kozbor, J. Immunol. 133,3001 (1984), and Brodeur, et al., Monoclonal Antibody Production Techniques and Applications, pp. 51-63 (Marcel Dekker, Inc., New York, 1987)]에 기재되어 있다.
내인성 면역글로불린 생산의 부재 하에, 면역화시 인간 항체의 레퍼토리를 생산할 수 있는 트렌스제닉 동물(예를 들면, 마우스)를 생산하는 것이 현재 가능하다. 예를 들면, 키메라 및 생식-선(germ-line) 돌연변이 마우스에서 항체 중쇄 결합 영역(JH) 유전자의 동형접합성 결실이 내인성 항체 생산의 완전한 억제를 유발하는 것으로 기재되었다. 이러한 생식-선 돌연변이 마우스에서 인간 생식-선 면역글로불린 유전자 배열의 전달은 항원 부하시 인간 항체의 생산을 일으킬 것이다. 예를 들면, 문헌[Jakobovits et al., Proc. Natl. Acad. Sci. USA90, 2551-255 (1993); Jakobovits et al., Nature 362,255-258 (1993)]을 참조하라.
멘데즈(Mendez) 등(Nature Genetics 15: 146-156 [1997])은 이 기술을 더 향상시켰고, 항원으로 부하시킬 때 고 친화성 완전 인간 항체를 생성시키는 "제노마우스(Xenomouse) II"라고 불리는 트랜스제닉 마우스의 라인을 생성시켰다. 이는 메가베이스 인간 중쇄 및 경쇄 자리를 상기 내인성 JH 분절로의 결실과 함께 마우스로 생식-선 통합함으로써 달성되었다. 제노마우스 II는 대략 66 개의 VH 유전자, 완전한 DH 및 JH 영역 및 세 개의 상이한 불변 영역(μ,δ 및 χ)을 함유하는 1,020 kb의 인간 중쇄 자리를 지니며, 또한 32 Vκ 유전자, Jκ 분절 및 Cκ 유전자를 함유하는 800 kb의 인간 κ 자리를 지닌다. 이 마우스에서 생산된 항체는 유전자 재배열, 조합 및 레퍼토리를 비롯하여 모든 측면에서 인간에게서 관찰되는 것과 매우 유사하다. 인간 항체는 쥐 자리에서 유전자 재배열을 방해하는 내인성 JH 분절에서의 결실로 인하여 내인성 항체에 비해 우선적으로 발현된다.
별법으로, 파지 디스플레이 기술(phage display technology)(McCafferty et al., Nature 348, 552-553 [1990])을 사용하여 비면역화 공여자로부터의 면역글로불린 가변(V) 도메인 유전자 레퍼토리로부터 시험관 내에서 인간 항체 및 항체 단편을 생산할 수 있다. 이 기술에 따르면, 항체 V 도메인 유전자를 섬유상 박테리오파지(예를 들면, M13 또는 fd)의 주요 또는 소수 코트 단백질 유전자 내로 프레임 내(in-frame) 클로닝시키고 파지 입자의 표면 상의 기능적 항체 단편으로서 디스플레이한다. 섬유상 입자가 파지 게놈의 단일-가닥 DNA 카피를 함유하므로, 항체의 기능적 성질에 기초한 선별은 이러한 성질을 나타내는 항체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선별을 유발한다. 따라서, 파지는 B-세포의 성질 중 일부를 모방한다. 파지 디스플레이는 다양한 형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검토를 위해서 예를 들면 문헌[Johnson, Kevin S. and Chiswell, David J., Current Opinion in Structural Biology 3, 564-571 (1993)]를 참조하라. V-유전자 분절의 몇몇 공급원을 파지 디스플레이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문헌[Clackson et al., Nature 352, 624-628 (1991)]에서는 면역화 마우스의 비장으로부터 유래된 V 유전자의 작은 무작위 조합 라이브러리로부터 항-옥사졸론 항체의 다양한 배열을 단리하였다. 비면역화 인간 공여자로부터의 V 유전자의 레퍼토리를 제작할 수 있고, 항원(자기-항원 포함)의 다양한 배열에 대한 항체를 문헌[Marks et al., J. Mol. Biol. 222,581-597 (1991)] 또는 [Griffith et al., EMBO J. 12, 725-734 (1993)]에 기재된 기술에 본질적으로 따라 단리할 수 있다. 자연적 면역 반응에서, 항체 유전자는 높은 속도로 돌연변이를 축적한다(체세포 과돌연변이). 도입된 변화 중 일부는 더 높은 친화성을 부여할 것이고, 고-친화성 표면 면역글로불린을 디스플레이하는 B 세포는 추후 항원 부하 중 우선적으로 복제되고 분화된다. 이 자연 과정은 "체인 셔플링(chain shuffling)"으로 알려진 기술을 사용하여 모방될 수 있다(Marks et al.,Bio/Technol. 10, 779-783 [1992]). 이 방법에서, 파지 디스플레이에 의해 얻어진 "1차(primary)" 인간 항체의 친화성은 중쇄 및 경쇄 V 영역 유전자를 비면역화 공여자로부터 얻은 V 도메인 유전자의 천연적으로 발생하는 변이체(레퍼토리)의 레퍼토리로 순차적으로 교체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이 기술은 nM 영역에서 친화성을 갖는 항체 및 항체 단편의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매우 큰 파지 항체 레퍼토리("the mother-of-all libraries"라고도 알려짐)를 제조하기 위한 전략은 문헌[Waterhouse et al., Nucl. Acids Res. 21, 2265-2266 (1993)]에 기재되어 있다. 설치류 항체로부터 인간 항체를 유도하기 위하여 유전자 셔플링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인간 항체는 출발 설치류 항체에 대해 유사한 친화성 및 특이성을 갖는다. "에피토프 임프린팅(imprinting)"이라고도 불리는 이 방법에 따르면, 파지 디스플레이 기술에 의해 얻어진 설치류 항체의 중쇄 또는 경쇄 V 도메인 유전자를 인간 V 도메인 유전자의 레퍼토리로 교체시켜서 설치류-인간 키메라를 형성한다. 항원의 선택에 의해 기능적 항원-결합 위치를 회복할 수 있는 인간 가변이 단리되며, 즉, 에피토프가 파트너의 선택을 좌우(임프린트)한다. 나머지 설치류 V 도메인을 교체시키기 위하여 방법을 반복하면 인간 항체가 얻어진다(1993년 4월 1일에 공개된 PCT 특허 출원 WO 93/06213 참조). CDR 그래프팅(grafting)에 의한 설치류 항체의 전통적 인간화와는 달리, 이 기술은 설치류 기원의 프레임워크(framework) 또는 CDR 잔기를 갖지 않는 완전한 인간 항체를 제공한다.
하기에서 논의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항체는 단량체 항체, 이량체 항체 및 항체의 다가 형태를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이러한 이량체 또는 다가 형태를 공지의 기술로 제작할 수 있다. 1가 항체를 제조하는 방법도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한가지 방법은 면역글로불린 경쇄 및 병형된 중쇄의 재조합 발현과 관계된다. 중쇄는 중쇄 가교화를 막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Fc 영역의 임의의 지점에서 잘라낸다. 별법으로, 관련 시스테인 잔기를 다른 아미노산 잔기로 치환하거나 가교화를 막기 위하여 결실시킨다.
(iii) 이중특이성(bispecific) 항체
이중특이성 항체는 2 개 이상의 상이한 항원에 대해 결합 특이성을 갖는, 바람직하게는 인간 또는 인간화된 단일클론 항체이다. 이 경우에, 결합 특이성 중 하나는 TACI 또는 BR3 수용체에 대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BCMA 또는 BR3 수용체와 같은 다른 항원, 바람직하게는 다른 수용체 또는 수용체 서브유닛에 대한 것이다. 예를 들면, TACI 수용체 및 다른 어팝토시스-신호전달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이중특이성 항체는 본 발명의 범위 내이다.
이중특이성 항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전통적으로 이중특이성 항체의 재조합 생산은 두 개의 면역글로불린 중쇄-경쇄 쌍의 공동발현에 기초하고, 여기서 두 개의 중쇄는 상이한 특이성을 갖는다(Millstein and Cuello, Nature 305, 537-539 (1983)). 면역글로불린 중쇄 및 경쇄의 무작위 분류 때문에, 이 하이브리도마(쿼드로마(quadroma))는 단 하나만이 올바른 이중특이성 구조를 갖는 10 개의 상이한 항체 분자의 가능한 혼합물을 생산한다. 보통 친화 크로마토그래피 단계에 의해 수행되는 올바른 분자의 정제는 다소 번거로우며, 생성물 수율은 낮다. 유사한 과정이 PCT 출원 공개 WO 93/08829호(1993년 5월 13일 공개), 및 문헌[Traunecker et al., EMBO 10, 3655-3659 (1991)]에 개시되어 있다.
상이하고 더욱 바람직한 접근법에 따라, 원하는 결합 특이성(항체-항원 결합 위치)을 갖는 항체 가변 도메인은 면역글로불린 불변 도메인 서열에 융합된다. 융합은 바람직하게는 힌지(hinge)의 적어도 일부, CH2 및 CH3 영역을 포함하는 면역글로불린 중쇄 불변 도메인과 이루어진다. 하나 이상의 융합에 존재하는, 경쇄 결합에 필요한 위치를 함유하는 제1 중쇄 불변 영역(CH1)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면역글로불린 중쇄 융합 및, 원한다면, 면역글로불린 경쇄를 코딩하는 DNA를 별도의 발현 벡터내로 삽입시키고, 적절한 숙주 유기체로 공동형질감염시킨다. 이는 제작에 사용된 세 개의 폴리펩티드 사슬의 불균등한 비율이 최적 수율을 제공할 때의 실시태양에서 세 개의 폴리펩티드 단편의 상호 비율을 조정하는데 큰 유연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두 개 이상의 폴리펩티드 사슬의 균등 비율로의 발현이 고 수율을 유발하거나 비율이 특별한 의미가 없을 때 하나의 발현 백터에 두개 또는 세개 모두의 폴리펩티드 사슬에 대한 코딩 서열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접근법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이중특이성 항체는 하나의 팔에 제1 결합 특이성을 갖는 하이브리드 면역글로불린 중쇄, 및 다른 팔에 하이브리드 면역글로불린 중쇄-경쇄 쌍(제2 결합 특이성을 제공)으로 이루어진다. 이중특이성 분자의 한쪽 절반에만 면역글로불린 경쇄가 존재하는 것이 손쉬운 분리 방법을 제공하므로, 이 비대칭 구조가 원하지 않는 면역글로불린 사슬 조합으로부터 원하는 이중특이성 화합물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접근법은 1994년 3월 3일에 공개된 PCT 공개 WO 94/04690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중특이성 항체의 생산에 대한 더욱 자세한 사항은 예를 들면 문헌[Suresh et al., Methods in Enzymology 121, 210 (1986)]을 참조하라.
(iv) 헤테로접합 항체
헤테로접합 항체도 본 발명의 범위 내이다. 헤테로접합 항체는 두 개의 공유결합된 항체로 구성된다. 이러한 항체는 예를 들면 원하지 않는 세포에 면역계 세포를 표적화하기 위해(미국특허 제4,676,980호), 또한 HIV 감염의 치료를 위해 제안되었다(PCT 출원 공개 WO 91/00360호 및 WO 92/200373호; EP 03089호 참조). 헤테로접합 항체는 임의의 편리한 가교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적절한 가교화제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고, 다수의 가교화 기술과 함께 미국 특허 제4,676,980호에 개시되어 있다.
(v) 항체 단편
특정 실시태양에서, 항-TACI 항체(쥐, 인간 및 인간화 항체, 항체 변이체 포함)는 항체 단편이다. 항체 단편의 생산을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었다. 전통적으로, 이 단편은 손상되지 않은 항체의 단백분해성 분해를 통해 유도되었다(예를 들면, 문헌[Morimoto et al., J. Biochem. Biophys. Methods 24: 107-117 (1992) and Brennan et al., Science 229: 81 (1985)] 참조). 그러나, 이 단편은 현재 재조합 숙주 세포에 의해 직접 생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Fab'-SH 단편은 이.콜라이로부터 직접 회수될 수 있고 화학적으로 커플링되어 F(ab')2 단편을 형성한다(Carter et al., Bio/Technology 10: 163-167 (1992)). 다른 실시양태에서, F(ab')2는 류신 지퍼 GCN4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F(ab')2 분자의 조합을 촉진한다. 또다른 접근법에 따르면, 재조합 숙주 세포 배양으로부터 직접 Fv, Fab 또는 F(ab')2 단편을 단리할 수 있다. 항체 단편의 생산을 위한 다양한 기술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면, 파파인을 사용하여 분해를 수행할 수 있다. 파파인 분해의 예는 1994년 12월 22일에 공개된 WO 94/29348호 및 미국 특허 제4,342,566호에 기재되어 있다. 항체의 파파인 분해는 전형적으로 각각 단일 항원 결합 위치를 갖는 Fab 단편으로 불리는 두 개의 동일한 항원 결합 단편 및 나머지 Fc 단편을 생산한다. 펩신 처리에 의해 두 개의 항원 결합 위치를 갖고 여전히 항원을 가교화시킬 수 있는 F(ab')2 단편을 얻는다.
항체 분해에서 생산되는 Fab 단편은 또한 경쇄의 불변 영역 및 중쇄의 제1 불변 영역(CH1)을 함유한다. Fab' 단편은 항체 힌지 영역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시스테인을 포함하는 중쇄 CH1 도메인의 카르복시 말단에서 몇개의 잔기의 첨가에 의해 Fab 단편과 구별된다. Fab'-SH는 불변 도메인의 시스테인 잔기가 유리 티올기를 갖는 Fab'에 대한 본원에서의 표시이다. (Fab')2 항체 단편은 원래 그 사이에 힌지 시스테인을 갖는 Fab' 단편의 쌍으로서 생산되었다. 항체 단편의 다른 화학적 커플링도 공지되었다.
항체는 그의 불변 영역의 보존된 위치에서 글리코실화된다(Jefferis and Lund, Chem. Immunol. 65: 111-128 [1997]; Wright and Morrison, TibTECH 15: 26-32 [1997]). 면역글로불린의 올리고당 측쇄는 단백질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고(Boyd et al., Mol. Immunol. 32: 1311-1318 [1996]; Wittwe and Howard, Biochem. 29:4175-4180 [1990]), 당단백질의 배좌 및 제시된 3차원적 표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당단백질의 부분들 사이의 분자내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친다 (Hefferis and Lund, supra ; Wyss and Wagner, Current Opin. Biotech. 7: 409-416 [1996]).
올리고당은 특이적 인식 구조에 기초하여 특정 분자로 소정의 당단백질을 표적화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갈락토실화되지 않은 IgG에서 올리고당 잔기가 CH2 사이 공간 밖으로 움직이고(flip), 말단 N-아세틸글로코스아민 잔기가 만노스 결합 단백질에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Malhotra et al., Nature Med. 1: 237-243 [1995]). 차이니스 햄스터 난소(CHO) 세포에서 생산된 CAMPATH-1H(인간 림프구의 CDw52 항원을 인식하는 재조합 인간화 쥐 단일클론 IgG1 항체)로부터 글리코펩티다제에 의한 올리고당의 제거는 보체 매개 용해(CMCL)에서 완전한 감소를 일으켰고(Boyd et al., Mol. Immunol. 32: 1311-1318 [1996]), 뉴라미니다제(neuraminidase)를 사용한 시알산 잔기의 선택적 제거는 DMCL의 손실을 일으키지 않았다. 항체의 글리코실화는 항체-의존성 세포독성(ADCC)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도 보고되었다. 특히, 분기된 GlcNAc의 형성을 촉매화하는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인 β(1,4)-N-아세틸글로코스아미닐트랜스퍼라제 III(GnTIII)의 테트라사이클린-조절 발현을 갖는 CHO 세포는 향상된 ADCC 활성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었다(Umana et al., Mature Biotech. 17: 176-180 [1999]).
항체의 글리코실화 변이체는 항체의 글리코실화 패턴이 변경(alteration)된 변이체이다. 변경(alteration)은 항체에서 발견된 하나 이상의 탄수화물 모이티의 결실, 하나 이상의 탄수화물 모이티의 항체에의 첨가, 글리코실화의 조성(글리코실화 패턴), 글리코실화의 정도의 변화 등을 의미한다. 글리코실화 변이체는, 예를 들면, 항체를 코딩하는 핵산 서열에서 하나 이상의 클리코실화 위치를 제거, 변화, 및(또는) 첨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항체의 글리코실화는 전형적으로 N-연결 또는 O-연결된다. N-연결은 아스파라긴 잔기의 측쇄에 탄수화물 모이티의 부착을 의미한다. 트리펩티드 서열 아스파라긴-X-세린 및 아스파라긴-X-트레오닌(여기서 X는 프롤린 이외의 아미노산임)은 탄수화물 모이티의 아스파라긴 측쇄에 대한 효소적 부착을 위한 인식 서열이다. 따라서, 폴리펩티드에서 이 트리펩티드 서열의 존재는 가능한 글리코실화 위치를 생성시킨다. O-연결 글리코실화는 N-아세틸갈락토스아민, 갈락토스 또는 크실로스 당 중 하나가 히드록시아미노산(5-히드록시프롤린 또는 5-히드록시리신도 사용될 수 있지만 가장 일반적으로는 세린 또는 트레오닌)에 부착하는 것을 의미한다.
항체에 글리코실화 위치를 첨가하는 것은 편리하게는 하나 이상의 상기 트리펩티드 서열(N-연결 글리코실화 위치에 대한 것)을 함유하도록 아미노산 서열을 변경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이 변경은 원래 항체(O-연결 글리코실화 위치에 대한 것)의 서열에 하나 이상의 세린 또는 트레오닌 잔기를 첨가하거나 이것으로 치환시킴으로써 생성시킬 수도 있다.
항체의 글리코실화(글리코실화 패턴을 포함)는 기본이 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변경하지 않고 변경시킬 수도 있다. 글리코실화는 항체를 발현시키기 위하여 사용된 숙주 세포에 크게 의존한다. 가능성 있는 치료제로서 재조합 당단백질(예를 들면, 항체)의 발현을 위해 사용된 세포 유형은 천연 세포인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항체의 글리코실화 패턴에서의 현저한 변이가 기대될 수 있다(예를 들면, 문헌[Hse et al.,J. Biol. Chem. 272: 9062-9070 [1997]] 참조). 숙주 세포의 선택 이외에, 항체의 재조합 생산 중 글리코실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성장 방식, 배지 조성, 배양 밀도, 산소화, pH, 정제 방법 등을 포함한다. 올리고당 생산에 관여하는 특정 효소를 도입 또는 과발현시키는 것을 비롯하여, 특정 숙주 유기체에서 달성되는 글리코실화 패턴을 변경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었다(미국 특허 제5,047,335호; 5,510,261호 및 5.278,299호). 글리코실화, 또는 특정 유형의 글리코실화는 예를 들면 엔도글리코시다제 H(Endo H)를 사용하여 당단백질로부터 효소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재조합 숙주 세포는 유전적으로 조작될 수 있고, 예를 들면 특정 유형의 다당류를 처리하는데 결함을 만든다. 이 기술 및 유사한 기술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항체의 글리코실화 구조는 렉틴 크로마토그래피, NMR, 질량 분광분석, HPLC, GPC, 단당류 조성 분석, 순차적 효소 분해, 및 전하에 기초하여 올리고당을 분리하기 위하여 고 pH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는 HPAEC-PAD를 비롯한 탄수화물 분석의 통상의 기술에 의해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다. 분석적 목적으로 올리고당을 방출하기 위한 방법도 또한 공지되어 있고, 비제한적으로 효소 처리(통상적으로 펩티드-N-글리코시다제 F/엔도-β-갈락토시다제를 사용하여 수행됨), 주로 O-연결 구조를 방출하기 위한 가혹한 알칼리성 환경을 사용한 제거, 및 N- 및 O-연결 올리고당을 방출하기 위한 무수 히드라진을 사용한 화학적 방법을 포함한다.
트리아바디(triabody)도 본 발명의 범위 이내이다. 이러한 항체는 예를 들면 문헌[Iliades et al., supra] 및 [Kortt et al., supra]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항체는 세포독성제(독소 분자와 같은 것) 또는 프로드럭(예를 들면 펩티딜 화학요법제, WO 81/01145호 참조)을 활성 항암 약물로 전환시키는 프로드럭-활성화 효소에 항체를 접합시킴으로써 변형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WO 88/07378호 및 미국 특허 제4,975,278호 참조. 이 기술은 또한 "항체 의존성 효소 매개 프로드럭 요법"(ADEPT)라고도 불린다.
ADEPT에 유용한 면역접합체의 효소 성분은 더 활성이 큰, 세포독성 형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방식으로 프로드럭에 작용할 수 있는 모든 효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유용한 효소는 포스페이트 함유 프로드럭을 유리 약물로 전환시키는데 유용한 알칼리성 포스파타제; 술페이트 함유 프로드럭을 유리 약물로 전환시키는데 유용한 아릴술페이트; 비독성 5-플루오로시스테인을 항암 약물인 5-플루오로우라실로 전환시키는데 유용한 시토신 데아미나제; 펩티드-함유 프로드럭을 유리 약물로 전환시키는데 유용한 프로테아제, 예를 들면 세라티아 프로테아제, 열용해소(thermolysin), 서브틸리신(subtilisin), 카르복시펩티다제 및 카텝신(예를 들면 카텝신 B 및 L); 카스파제, 예를 들면 카스파제-3; D-아미노산 치환체를 함유하는 프로드럭을 전환시키기에 유용한 D-알라닐카르복시펩티다제; 글리코실화 프로드럭을 유리 약물로 전환시키는데 유용한 탄수화물-절단 효소, 예를 들면 베타-갈락토시다제 및 뉴라미니다제; 베타-락탐으로 유도체화된 약물을 유리 약물로 전환시키는데 유용한 베타-락타마제; 아민 질소에 페녹시아세틸 또는 페닐아세틸기로 각각 유도체화된 약물을 유리 약물로 전환시키는데 유용한 페니실린 아미다제, 예를 들면 페니실린 V 아미다제 또는 페니실린 G 아미다제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별법으로, 당업계에 "애브자임(abzyme)"으로도 알려진 효소 활성을 갖는 항체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프로드럭을 유리 활성 약물로 전환시킬 수 있다(예를 들면 문헌[Massey, Nature 328: 457-458 (1987)] 참조). 항체-애브자임 접합체는 애브자임을 종양 세포 집단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헤테로이중기능성 가교화 시약의 사용과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기술로 효소를 항체에 공유결합시킬 수 있다. 별법으로, 본 발명의 효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적 활성 부분에 연결된 본 발명의 항체의 하나 이상의 항원 결합 영역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은 당업계에 공지된 재조합 DNA 기술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예를 들면, 문헌[Neuberger et al., Nature, 312: 604-608 (1984)] 참조).
추가적 항체 변형도 고려된다. 예를 들면, 항체를 다양한 비단백질성 중합체 중 하나,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옥시알킬렌,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의 공중합체에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코아세르베이션(coacervation) 기술 또는 계면 중합화(예를 들면, 각각 히드록시메틸셀룰로스 또는 젤라틴-마이크로캡슐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마이크로캡슐)에 의해 제조된 마이크로캡슐, 콜로이드 약물 전달 시스템(예를 들면, 리포좀, 알부민 마이크로스피어, 마이크로에멀젼, 나노-입자 및 나노캡슐) 또는 마크로에멀젼에 항체를 포획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6th edition, Oslo, A., Ed., (1980)]에 개시되어 있다. 항체의 혈청 반감기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5,739,277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회수(salvage) 수용체 결합 에피토프를 항체(특히 항체 단편)에 혼입시킬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회수(salvage) 수용체 결합 에피토프"는 IgG 분자의 생체내 혈청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IgG 분자(예를 들면, IgG1, IgG2, IgG3, 또는 IgG4)의 Fc 영역의 에피토프를 말한다.
B. 분석 방법
리간드/수용체 결합 연구는 경쟁적 결합 분석, 직접 및 간접 샌드위치 분석, 및 면역침전 분석과 같은 공지의 분석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세포 기반 분석 및 동물 모델을 진단 방법으로서, 또한 본원에서 확인된 리간드와 수용체 사이의 상호작용 및 본원에 언급된 상태 및 질병의 발달 및 발병을 더 이해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 접근법에서, 포유류 세포를 본원에 기재된 리간드 또는 수용체로 형질감염시킬 수 있고, 결합 또는 활성을 자극 또는 억제하는 효능제 또는 길항제의 능력을 분석한다. 적절한 세포를 원하는 유전자로 형질감염시키고 활성에 대해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 후 이러한 형질감염된 세포주를 B-세포 증식 또는 Ig 분비를 억제 또는 자극, 예를 들면 조절하는 길항제(들) 또는 효능제(들)의 능력을 시험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원에서 확인된 유전자의 코딩 서열로 형질감염된 세포는 면역 관련 질환 또는 암의 치료를 위한 약물 후보를 식별하기 위하여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트랜스제닉 동물로부터 유래된 1차 배양물을 세포-기반 분석에 사용할 수 있다. 트랜스제닉 동물로부터 연속 세포주를 유도하는 기술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문헌[Small et al., Mol. Cell. Biol., 5: 642-648 (1985)] 참조).
적절한 세포 기반 분석은 에피토프-부착(tagged) 리간드(예를 들면, AP 또는 Flag)를 각 수용체를 갖거나 발현하는 세포에 첨가하고, 항-태그(tag) 항체를 사용한 FACS 염색에 의해 결합을 분석하는 것이다(가망성 있는 길항제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다른 분석에서, B 세포의 TALL-1 또는 APRIL 유도 증식을 억제하는 효능제 또는 길항제의 능력을 분석한다. B 세포 또는 세포주를 가망성 있는 효능제 또는 길항제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TALL-1 또는 APRIL과 함께 배양하고 B 세포의 증식을 3H-티미딘 혼입 또는 세포 수로 측정할 수 있다.
세포 기반 시험관내 분석의 결과는 생체내 동물 모델을 사용하여 추가로 검증할 수 있다. 다양한 공지의 동물 모델을 사용하여 예를 들면 면역 관련 질환 또는 암의 발생 및 발병에 있어서 본원에서 확인된 효능제 및 길항제의 역할을 더 이해하고 후보 치료제의 효능을 시험할 수 있다. 이러한 모델의 생체내 성질은 인간 환자에서의 반응을 특히 예상할 수 있게 한다. 면역 관련 질환의 동물 모델은 비-재조합 및 재조합(트랜스제닉) 동물 모두를 포함한다. 비-재조합 동물 모델은, 예를 들면, 설치류, 예를 들면 쥐 모델을 포함한다. 이러한 모델은 표준 방법, 예를 들면, 피하 주사, 꼬리 정맥 주사, 비장 이식, 복강내 이식, 및 신장 피막 하 이식을 사용하여 세포를 동계의 마우스에 세포를 도입함으로써 생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식편-대-숙주 질환을 위한 동물 모델이 공지되어 있다. 이식편-대-숙주 질환은 면역적격 세포를 면역억제 또는 내성 환자에게 이식할 때 발생한다. 공여자 세포는 숙주 항원을 인식하고 이에 반응한다. 반응은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염증에서 설사 및 체중 감소의 약한 경우까지 다양할 수 있다. 이식편-대-숙주 질환 모델은 MHC 항원 및 부차 이식 항원에 대한 T 세포 반응성을 평가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적절한 과정은 문헌[Current Protocols in Immunology, unit 4.3]에 상술되어 있다.
피부 동종이식 거부반응에 대한 동물 모델은 항-바이러스 및 종양 면역성에 있어서 이들의 역할을 나타내고 그 척도인 생체내 조직 파괴를 매개하는 T 세포의 능력을 시험하는 수단이다. 가장 흔하고 일반적으로 인정된 모델은 쥐 꼬리-피부 이식편을 사용한다. 반복된 실험에 의해 피부 동종이식 거부반응이 T 세포, 헬퍼 T 세포 및 킬러-이펙터 T 세포에 의해 매개되고 항체에 의해서는 매개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Auchincloss, H. Jr. and Sachs, D. H., Fundamental Immunology, 2nd ed., W. E. Pauled., Raven Press, NY, 1989, 889-992]. 적절한 과정은 문헌[Current Protocols in Immunology, unit 4.4]에 상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시험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이식 거부반응 모델은 문헌[Tanabe, M. et al., Transplantation, (1994) 58:23] 및 [Tinubu, S. A. et al., J. Immunol., (1994) 4330-4338]에 기재된 동종이형 심장 이식 모델이다.
지연형 과민반응에 대한 동물 모델은 세포 매개 면역 기능의 분석도 또한 제공한다. 지연형 과민반응은 항원으로의 부하 후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야 염증이 최고점에 이르는 것이 특징인 T 세포 매개 생체내 면역 반응이다. 이 반응은 또한 조직 특이적 자가면역 질환, 예를 들면 다발성 경화증(MS) 및 실험 자가면역 뇌척수염(EAE, MS에 대한 모델)에서 발생한다. 적절한 과정은 문헌[Current Protocols in Immunology, unit 4.5]에 상술되어 있다.
관절염에 대한 동물 모델은 콜라겐-유도 관절염이다. 이 모델은 인간 자가면역 류마티스 관절염의 임상적, 조직학적 및 면역학적 특성을 공유하고, 인간 자가면역 관절염에 대한 일반적으로 인정된 모델이다. 마우스 및 랫트 모델은 윤활막염, 연골 및 연골하골의 미란이 특징이다. 문헌[Current Protocols in Immunology, 상기, units 15.5]에 기재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을 자가면역 관절염에 대한 활성에 대해 시험할 수 있다. 또한 문헌[Issekutz, A. C. et al., Immunology, (1996) 88:569]에 기재된 CD18 및 VLA-4 인테그린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를 사용한 모델을 참조하라.
오브알부민으로 동물을 감작시킨 후 에어로졸에 의해 전달된 동일한 단백질로 동물을 부하시킴으로써 항원-유도 기도 과도-반응성, 폐 호산구증가증 및 염증을 유도한 천식의 모델이 기재되었다. 몇몇 동물 모델(기니 피그, 랫트, 비-인간 영장류)은 에어로졸 항원으로 부하시 인간의 아토피 천식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났다. 쥐 모델은 인간 천식의 특징 중 많은 것을 갖는다. 천식의 치료에 있어서 활성 및 유효성에 대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시험하기에 적합한 방법은 문헌[Wolyniec, W. W. et al., Am. J. Respir. Cell Mol. Biol., (1998) 18:777] 및 거기에 인용된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건선 유사 질환에 대한 동물 모델에서 시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문헌[Schon, M. P. et al., Med., (1997) 3:183]에 기재된 scid/scid 마우스 모델에서 시험할 수 있으며, 여기서 마우스는 건선과 유사한 조직병리학적 피부 병변을 나타냈다. 다른 적절한 모델은 문헌[Nickoloff, B. J. et al., Am. J. Path., (1995) 146:580]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된 인간 피부/scid 마우스 키메라이다.
후보 치료 조성물의 항암 활성을 시험하기 위한 다양한 동물 모델이 공지되어 있다. 이는 흉선 제거 누드 마우스 또는 scid/scid 마우스로의 인간 종양 이종이식, 또는 p53 넉아웃 마우스와 같은 유전적 쥐 종양 모델을 포함한다.
재조합(트랜스제닉) 동물 모델은 트랜스제닉 동물을 생산하기 위한 표준 기술을 사용하여 본원에서 확인된 분자의 코딩 부분을 관심있는 동물의 게놈에 도입함으로써 설계할 수 있다. 트랜스제닉 조작에 대한 표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동물은 비제한적으로 마우스, 랫트, 토끼, 기니 피그, 양, 염소, 돼지 및 비-인간 영장류, 예를 들면 비비, 침팬지 및 원숭이를 포함한다. 트랜스진을 이러한 동물에 도입하기 위한 당업계에 공지된 기술은 전핵 마이크로주사(Hoppe and Wanger, 미국 특허 제4,873,191호); 생식 선으로의 레트로바이러스-매개 유전자 전달(예를 들면, Van der Putte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2, 6148-615 [1985]); 배아 줄기 세포에서 유전자 표적화(Thompson et al., Cell, 56, 313-321 [1989]); 배아의 전기천공(Lo, Mol. Cel. Biol., 3, 1803-1814 [1983]); 정자-매개 유전자 전달(Lavitrano et al., Cell, 57, 717-73 [1989])을 포함한다. 검토를 위해,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4,736,866호를 참조하라.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트랜스제닉 동물은 그들의 세포의 일부에만 트랜스진을 보유하는 것을 포함한다("모자이크 동물"). 트랜스진은 단일 트랜스진으로서, 또는 콘카타머(concatamer)로, 예를 들면 머리-대-머리 또는 머리-대-꼬리 탠덤(tandem)으로 통합될 수 있다. 트랜스진을 특정 세포 유형에 선택적으로 도입하는 것은 또한 예를 들면 문헌[Lasko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9, 6232-636 (1992)]의 기술에 따라서 할 수도 있다.
트랜스제닉 동물에서의 트랜스진의 발현은 표준 기술에 의해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던 블롯 분석 또는 PCR 증폭을 사용하여 트랜스진의 통합을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mRNA 발현의 수준을 인 시투(in situ) 혼성화, 노던 블롯 분석, PCR, 또는 면역세포화학법과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분석할 수 있다. 동물을 면역 질환 병리의 증후에 대해, 예를 들면, 면역 세포가 특정 조직으로 침윤되는 것을 측정하기 위하여 조직학적 검사에 의해, 또는 암성 또는 악성 조직의 존재에 대해 추가로 검사할 수 있다.
별법으로,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내인성 유전자와 동물의 배아 세포로 도입된 동일한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변경된 유전자 DNA 사이의 상동 재조합의 결과로서, 본원에서 확인된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결함이 있거나 변경된 유전자를 갖는 "넉 아웃" 동물을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cDNA를 사용하여 확립된 기술에 따라 그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유전자 DNA를 클로닝할 수 있다. 특정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유전자 DNA의 부분을 결실시키거나 다른 유전자, 예를 들면 통합을 모니터링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선택가능한 마커를 코딩하는 유전자로 교체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수 킬로베이스의 변경되지 않은 플랭킹 DNA(5' 및 3' 말단 모두에서)를 벡터에 포함시킨다(상동 재조합 벡터의 기재에 대해서 예를 들면, 문헌[Thomas and Capecchi, Cell, 51:503 (1987)] 참조). 벡터를 배아 줄기 세포주로 도입시키고(예를 들면 전기천공에 의해), 도입된 DNA가 내인성 DNA와 상동적으로 재조합된 세포를 선별한다(예를 들면, 문헌[Li et al., Cell, 69:915 (1992)] 참조). 그 후, 선별된 세포를 동물(예를 들면, 마우스 또는 랫트)의 배반포에 주사하여 응집(aggregation) 키메라를 형성시킨다[예를 들면, 문헌[Bradley, in Teratocarcinomas and Embryonic Stem Cells: A Practical Approach, E. J. Robertson, ed. (IRL, Oxford, 1987), pp.113-152] 참조). 그 후 키메라 배아를 적절한 가임신 암컷 대리모 동물에 이식할 수 있고, 만기를 채운 배아가 "넉 아웃" 동물을 생성한다. 상동적으로 재조합된 DNA를 생식 세포에 지니는 자손을 표준 기술에 의해 확인할 수 있고, 동물의 모든 세포가 상동적으로 재조합된 DNA를 함유하는 동물을 번식시키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넉아웃 동물은 예를 들면 특정 병리 상태를 방어하는 그들의 능력 및 폴리펩티드의 부재로 인한 병리적 상태의 발달이 특징일 수 있다.
C. 제제
본원에 기재된 TACI 항체는 임의로 담체 내에서 사용된다. 적절한 담체 및 이들의 제제는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6th ed., 1980, Mack Publishing Co., edited by Osol et al]에 기재되어 있다. 전형적으로, 적절한 양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담체에 사용하여 제제가 등장성이 되게 한다. 담체의 예는 식염수, 링거 용액 및 덱스트로스 용액을 포함한다. 담체의 pH는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8,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4 내지 약 7.8이다. 예를 들면, 투여 경로 및 투여될 활성 약제의 농도에 따라서 특정 담체가 더 바람직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담체는 동결건조된 제제 또는 수용액의 형태일 수 있다.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안정화제는 바람직하게는 사용되는 용량 및 농도에서 세포 및(또는) 수용자에게 비독성이고, 포스페이트, 시트레이트 및 다른 유기산과 같은 완충액; 아스코르빈산 및 메티오닌을 비롯한 항산화제; 보존제(예를 들면 옥타데실디메틸벤질 암모늄 클로라이드; 헥사메토늄 클로라이드;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벤제토늄 클로라이드; 페놀, 부틸 또는 벤질 알콜; 알킬 파라벤, 예를 들면 메틸 또는 프로필 파라벤; 카테콜; 레조르시놀; 시클로헥사놀; 3-펜타놀; 및 m-크레졸); 저분자량(약 10 개의 잔기 미만) 폴리펩티드; 단백질, 예를 들면 혈청 알부민, 젤라틴 또는 면역글로불린; 친수성 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비닐피롤리돈; 아미노산, 예를 들면 글리신, 글루타민, 아스파라긴, 히스티딘, 아르기닌 또는 리신; 단당류, 이당류 및 글루코스, 만노스, 또는 덱스트린을 비롯한 다른 탄수화물; 킬레이트화제, 예를 들면 EDTA; 당, 예를 들면 수크로스, 만니톨, 트레할로스 또는 소르비톨; 염-형성 반대-이온, 예를 들면 나트륨; 및(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예를 들면 TWEENTM, PLURONICSTM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를 포함한다.
제제는 또한 치료될 특정 적응증에 필요한 1종 이상의 활성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서로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상보적 활성을 갖는 것을 함유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TACI 항체는 예를 들면, 코아세르베이션 기술에 의해, 또는 계면 중합화, 예를 들면 히드록시메틸셀룰로스 또는 젤라틴-마이크로캡슐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마이크로캡슐에 의해 각각 제조되는 마이크로캡슐에, 콜로이드성 약물 전달 시스템(예를 들면 리포좀, 알부민 마이크로스피어, 마이크로에멀젼, 나노-입자 및 나노캡슐)에 또는 마크로에멀젼에 포획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술은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16th edition, Osol, A. Ed. (1980)]에 개시되어 있다.
생체내 투여를 위해 사용되는 제제는 멸균되어야 한다. 이는 멸균 여과 멤브레인을 통해 여과함으로써 용이하게 달성된다.
지연-방출 제제를 제조할 수 있다. 지연-방출 제제의 적절한 예는 활성제제를 함유하는 고체 소수성 중합체의 반투과 매트릭스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릭스는 성형품, 예를 들면 필름 또는 마이크로캡슐의 형태이다. 지연-방출 매트릭스의 예는 폴리에스테르, 히드로겔(예를 들면 폴리(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폴리(비닐알콜)), 폴리락티드(미국 특허 제3,773,919호), L-글루탐산 및 γ 에틸-L-글루타메이트의 공중합체, 비-분해성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분해성 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 예를 들면 루프론 데포TM(LUPRON DEPOT)(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 및 류프롤리드 아세테이트로 구성된 주사가능한 마이크로스피어), 및 폴리-D-(-)-3-히드록시부티르산을 포함한다.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및 락트산-글리콜산과 같은 중합체는 100 일에 걸쳐 분자의 방출을 가능하게 하는 반면, 특정 히드로겔은 더 짧은 기간 동안 단백질을 방출시킨다.
D. 치료의 방식
본원에 기재된 분자는 다양한 병리 상태, 예를 들면 면역 관련 질환 또는 암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이러한 상태는 예를 들면 본원에 기재된 1 종 이상의 TACI 항체 또는 길항제 또는 효능제의 투여를 통해 포유류에서 TALL-1, APRIL, TACI, BCMA, TACI 또는 BR3와 관계된 선택된 활성을 자극 또는 억제함으로써 치료될 수 있다.
포유류에서 본원에 기재된 다양한 병리 상태의 진단은 당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진단 기술은 당업계에서 얻을 수 있고, 이는, 예를 들면, 포유류에서 암 또는 면역 관련 질환의 진단 또는 검출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암은 촉진, 혈액 분석, X-선, NMR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기술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면역 관련 질환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전신성 홍반 루푸스에서 질환의 중심 매개자는 자기 단백질/조직에 대한 자가-반응성 항체의 생산 및 면역-매개 염증의 추후 생성이다. 신장, 폐, 근골격계, 피부점막, 눈, 중추신경계, 심혈관계, 위장관, 골수 및 혈액을 비롯한 다수의 장기 및 시스템이 임상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류마티스 관절염(RA)은 다수 관절의 윤활막과 주로 관련되어 관절 연골에 대한 손상을 초래하는 만성 전신성 자가면역 염증성 질환이다. 발병기전은 T 림프구 의존적이고 류마티스 인자인 자기 IgG에 대한 자가-항체의 생산과 관계되고, 결과적으로 관절액 및 혈액에서 높은 수치에 이르는 면역 복합체의 형성이 초래된다. 관절에서 이 복합체는 림프구 및 단핵구가 윤활막으로 현저히 침윤되게 하고 추후 현저한 윤활 변화를 일으키고; 많은 호중구의 첨가와 함께 유사한 세포에 의해 침윤되면 관절 공간/액에 변화를 일으킨다. 영향을 받은 조직은 주로 관절이고, 대칭적 양상인 경우가 많다. 그러나, 관절-외 질환도 두가지 주요한 형태로 발생한다. 한 가지 형태는 진행성 관절 질환과 함께 관절-외 병변 및 폐 섬유증, 혈관염 및 피부 궤양의 전형적 병변의 발생이다. 관절-외 질환의 두번째 형태는 소위 펠티 증후군(Felty's syndrome)이며, 이는 RA 질환 경과에서 후기에, 관절 질환이 진정된 후 어느 시점에 발생하며, 호중성백혈구감소증, 저혈소판증 및 비장비대의 존재를 포함한다. 이는 경색, 피부 궤양 및 괴저와 함께 다수의 장기에서의 혈관염이 수반될 수 있다. 환자는 환부 관절 위의 피하 조직에 류마티스양 결절이 발달하는 경우가 많으며, 후기 단계의 결절은 혼합된 염증성 세포 침윤물에 의해 둘러싸인 괴사 중심을 갖는다. RA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른 소견은 심장막염, 흉막염, 관상 동맥염, 폐 섬유증을 동반한 간질 폐렴, 건조 각막결막염, 및 류마티스양 결절을 포함한다.
청소년 만성 관절염은 16세 미만의 연령에서 흔히 시작되는 만성 특발성 염증 질환이다. 그 표현형은 RA와 일부 유사성을 갖는데, 류마티스 인자 양성인 일부 환자들은 청소년형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분류된다. 이 질환은 소관절성, 다관절성 및 전신성의 3가지 주요 카테고리로 하위 분류된다. 관절염은 중증일 수 있고 전형적으로 파괴성이며, 관절의 강직 및 성장 지체를 야기한다. 기타 증상으로는 만성 전방 포도막염 및 전신성 아밀로이드증이 포함될 수 있다.
척추 관절병증은 HLA-B27 유전자 생성물의 발현과 일부 공통된 임상적 특징 및 공통의 연관성을 갖는 질환군이다. 이 질환은 강직성 척추염, 레이터(Reiter) 증후군(반응성 관절염), 염증성 장질환과 관련된 관절염, 건선과 관련된 척추염, 청소년기 발병 척추 관절병증, 및 미분화형 척추 관절병증을 포함한다. 독특한 특징으로는 척추염이 있거나 없는 천장골염; 염증성 비대칭 관절염; HLA-B27 (I군 MHC HLA-B 좌위의 혈청학적으로 정의된 대립 유전자)과의 연관성; 안구 염증, 및 기타 류마티스성 질병과 관련된 자가항체의 부재가 포함된다. 상기 질병을 초래하는 핵심으로서 가장 연관성이 높은 세포는, I군 MHC 분자가 제시하고 있는 항원을 표적으로 하는 CD8+ T 림프구이다. CD8+ T 세포는 마치 I군 MHC 분자에 의해 발현되는 외래 펩티드인 것처럼 I군 MHC 대립 유전자 HLA-B27과 반응할 수 있다. HLA-B27의 에피토프는 박테리아 또는 기타 미생물 항원성 에피토프를 모방할 수 있으므로, CD8+ T 세포 반응을 유도한다는 가설이 세워져 있다.
전신성 경화증 (피부 경화증)의 병인은 알려지지 않았다. 이 질병의 특징은 피부의 경화인데, 이 역시 활동성 염증 과정에 의해 유발된다. 피부 경화증은 국소성이거나 전신성일 수 있는데, 혈관성 병변이 흔히 나타나며 전신성 경화증의 발생에 있어서는 미세혈관계에서의 내피 세포 손상이 초기의 중요한 증상이고, 혈관 손상은 면역적으로 매개될 수 있다. 피부 병변에서 단핵 세포 침윤의 존재 및 다수 환자에서 항-핵 항체의 존재가 이러한 면역학적인 토대를 암시하고 있다. ICAM-1은 흔히 피부 병변에서 섬유모세포의 세포 표면 상에서 상향조절되는데, 이는 상기 세포들 간의 T 세포 상호작용이 질병의 발병에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기타 관련된 기관에는 위장관(비정상적인 연동/운동성을 야기하는 평활근 위축 및 섬유증), 신장(소 궁상(arcurate) 및 소엽간 동맥에 영향을 주어 결과적으로 신피질 혈류량을 감소시켜 단백뇨, 질소혈증 및 고혈압을 유발하는 동심성 내피하 내막 증식), 골격근(위축, 간질성(interstitial) 섬유증; 염증), 폐(간질성 폐렴 및 간질성 섬유증), 및 심장(수축대 괴사, 반흔형성/섬유증)이 포함된다.
피부 근염, 다발성 근염 및 기타를 포함하는 특발성 염증 근병증은 그 병인이 알려지지 않은 만성 근육 염증 질환으로, 근육의 약화를 야기한다. 근육 손상/염증은 흔히 대칭성이며 진행성이다. 자가항체는 대부분의 형태와 관련된다. 이러한 근염-특이적 자가항체는 단백질 합성에 관련된 구성 요소들, 단백질 및 RNA의 기능에 대한 것으로 이를 억제한다.
쉐그렌(Sjogren) 증후군은 면역-매개 염증이 원인이며, 후속적으로 눈물샘 및 침샘의 기능이 파괴된다. 이 질병은 염증성 결합조직 질환과 관련되거나 이에 수반될 수 있다. 이 질병은 Ro 및 La 항원(둘 다 작은 RNA-단백질 복합체임)에 대한 자가항체 생산과 연관된다. 병변은 간경화, 말초 또는 감각 신경병증 및 촉진성 자반을 포함하는 기타 증상 또는 관련성을 갖는 건조성 각결막염, 구강건조증을 야기한다.
전신성 혈관염은 1차 병변이 염증이고, 후속적인 혈관 손상으로 이환된 혈관에 의해 공급받고 있는 조직에 허혈/괴사/변성, 및 일부 경우에는 궁극적인 말단-기관 기능장애를 야기하는 질환이다. 혈관염은 또한, 2차 병변 또는 기타 면역-염증 매개 질환, 예를 들면 류마티스 관절염, 전신성 경화증 등, 특히 면역 복합체의 형성과도 관련된 질환에 대해 후유증으로 나타날 수 있다. 1차 전신성 혈관염 군에 속하는 질병으로는 전신성 괴사 혈관염: 결절성 다발동맥염, 알레르기성 혈관염(angiitis) 및 육아종증, 다발성 혈관염; 베게너(Wegener) 육아종증; 림프종성 육아종증; 및 거대 세포 동맥염이 포함된다. 기타 혈관염은 점막피부 림프절 증후군 (MLNS 또는 카와사키(Kawasaki)병), 고립성 CNS 혈관염, 베체트(Bechet) 병, 폐색성 혈전혈관염(버거(Buerger)병), 및 피부괴사성 소정맥염을 포함한다. 본원에 열거된 타입의 혈관염 중 대부분의 발병 메커니즘은 주로 혈관벽의 면역글로불린 복합체 침착, 및 ADCC, 보체 활성화, 또는 양자 모두에 의한 후속적인 염증 반응 유도로 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사르코이드증은 신체 거의 모든 조직에서 상피양 육아종이 존재하고 폐에서의 발병이 가장 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인이 알려지지 않은 질환이다. 발병 기전은 질병 부위에서 활성화된 마크로파지 및 림프 세포의 존속, 및 이러한 세포 타입에 의해 분비되는 국소적이면서 전신적인 활성 생성물의 분비로 인한 후속적인 만성 후유증을 포함한다.
자가면역 용혈성 빈혈, 면역 범혈구 감소증 및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을 포함하는 자가면역 용혈성 빈혈은, 적혈구 세포(일부 경우에는, 혈소판도 포함하는 기타 혈액 세포)의 표면 상에 발현된 항원과 반응하는 항체가 생산된 결과이며, 이러한 항체 코팅된 세포가 보체 매개 용해 및(또는) ADCC/Fc-수용체-매개 메커니즘에 의해 제거됨을 보여주고 있다.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을 포함하는 자가면역 혈소판 감소증, 및 기타 임상 환경에서의 면역-매개 혈소판 감소증에 있어서, 혈소판 파괴/제거는 혈소판에 결합하는 항체 또는 보체, 및 보체 용해, ADCC 또는 FC-수용체 매개 메커니즘에 의한 후속적인 제거의 결과로서 나타난다.
그레이브스병(Grave's disease), 하시모토(Hashimoto) 갑상선염, 청소년 림프구성 갑상선염 및 위축성 갑상선염을 포함하는 갑상선염은, 갑상선에 존재하고 흔히 갑상선에 특이적인 단백질과 반응하는 항체의 생산으로 인한, 갑상선 항원에 대한 자가면역 반응의 결과이다. 실험 모델로는 천연 모델(래트(BUF 및 BB 래트) 및 닭(비만 닭 계통)); 유도성 모델(갑상선 글로불린, 갑상선 마이크로좀 항원(갑상선 퍼옥시다제)에 의한 동물의 면역화)을 포함하는 모델들이 있다.
타입 I 당뇨병 또는 인슐린-의존성 당뇨병은 췌장 섬 β 세포의 자가면역 파괴로 인해 발생하는데, 이러한 파괴는 자가-항체 및 자가-반응성 T 세포에 의해 매개된다. 인슐린 또는 인슐린 수용체에 대한 항체는 또한, 인슐린-비반응성의 표현형을 나타낼 수 있다.
사구체 신염 및 세뇨관 신염을 포함하는 면역 매개 신질환은, 직접적으로는 신장 항원에 대한 자가반응성 항체 또는 T 세포 생산의 결과이거나, 간접적으로는 기타 비신장 항원에 대해 반응성인 항체 및(또는) 면역 복합체의 신장에서의 침착의 결과로서, 신장 조직에 대한 항체 또는 T 림프구 매개성 손상의 결과이다. 따라서, 면역-복합체의 형성을 야기하는 기타 면역-매개 질환도 간접적인 후유증으로서 면역 매개성 신장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직접적인 면역 메커니즘 및 간접적인 면역 메커니즘은 모두 신장 조직의 병변 발생을 야기/유발하여 궁극적으로는 기관의 기능 손상, 및 일부 경우에는 신부전으로의 진행을 야기하는 염증 반응을 일으킨다. 체액성 및 세포성 면역 메커니즘은 모두, 병변의 발생 기전에 관련될 수 있다.
다발성 경화증; 특발성 탈수초 다발성 신경병증 또는 귈렝-바레(Guillain-Barre) 증후군; 및 만성 염증성 탈수초 다발성 신경병증을 포함하는 중추 및 말초 신경계의 탈수초 질환은, 희소돌기 아교세포 또는 미엘린에 직접적으로 가해진 손상의 결과로서 자가면역적 원리를 가지고, 신경 탈수초화를 야기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MS에서는 질병의 유발 및 진행이 T 림프구에 의존적이라는 것을 암시하는 증거가 있다. 다발성 경화증은 T 림프구-의존성이며 재발-완화 과정 또는 만성 진행 과정을 갖는 탈수초 질병이다. 병인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바이러스 감염, 유전적 소인, 환경 및 자가면역이 모두 기여한다. 병변은 주로 T 림프구 매개의 미세아교 세포의 침윤 및 침윤성 마크로파지를 포함하며, CD4+T 림프구가 병변에서 우세한 세포 타입이다. 희소돌기 아교세포의 세포 사멸 및 후속적인 탈수초화 메커니즘은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T 림프구에 의해 일어나는 것 같다.
호산구성 폐렴; 특발성 폐 섬유증 및 과민성 폐렴을 포함하는 염증 및 섬유성 폐질환은 조절되지 않는 면역-염증 반응과 관련될 수 있다. 이 반응을 억제하면 치료적으로 유익할 것이다.
수포성 피부질환, 다형 홍반 및 접촉성 피부염을 포함하는 자가면역 또는 면역-매개 피부질환은, T 림프구-의존적으로 생성된 자가-항체에 의해 매개된다.
건선은 T 림프구-매개의 염증성 질환이다. 병변은 T 림프구, 마크로파지 및 항원 처리 세포, 및 일부 호중구의 침윤을 포함한다.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음식물 과민반응, 및 두드러기를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은 T 림프구 의존적이다. 이러한 질환들은 주로 T 림프구 유발성 염증, IgE 매개성-염증, 또는 이 둘의 조합에 의해 매개된다.
이식편 거부반응 및 이식편-대-숙주-질병(GVHD)을 포함하는 이식 관련 질환은 T 림프구-의존성이며, T 림프구의 기능 억제에 의해 개선된다.
면역 및(또는) 염증 반응의 중재가 유익한 기타 질환은 바이러스 감염(AIDS, A, B, C, D, E형 간염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음), 박테리아 감염, 진균 감염, 및 원충 및 기생충 감염(MLR을 자극하는 분자(또는 유도체/작동제)는 감염 인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치료적으로 증강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감염성 질환, 면역결핍 질환((MLR을 자극하는 분자/유도체/작동제는 유전성, 후천성, 감염 유발성(HIV 감염에서와 같이), 또는 의원성(즉, 화학요법으로부터와 같이) 면역결핍 상태에 대한 면역 반응을 치료적으로 증강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및 신생물이다.
TACI 항체, 길항제(들) 또는 작동제(들)은 공지된 방법에 따라, 예를 들어 볼루스(bolus)로서 또는 일정 시간에 걸친 지속적인 주입에 의해 정맥내로, 근육내로, 복강내로, 뇌척수내로, 피하로, 관절내로, 활막내로, 수막강내로, 경구로, 국소적으로, 또는 흡입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임의적으로, 다양한 시판 기구들을 사용하여 미니-펌프 주입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길항제 또는 작동제는 당 분야에 기술되어 있는 유전자 치료 기술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TACI 항체, 길항제 또는 작동제를 투여하기에 효과적인 용량 및 스케줄은 경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결정을 하는 것은 당 분야의 기술범위에 속한다. 1회 투여 또는 다수 투여가 사용될 수 있다. 현재 단독으로 사용되는 길항제 또는 작동제의 효과적인 용량 또는 양은, 하루에 약 1 ng/체중 kg 내지 약 100 mg/체중 kg, 또는 그 이상의 범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종 간의 용량 변환(scaling)은 당 분야에 공지된 방법, 예를 들면 문헌[Mordenti et al., Pharmaceut. Res., 8:1351(199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TACI 항체, 또는 그의 작동제 또는 길항제가 생체내 투여되는 경우, 보통의 용량은 투여 경로에 따라 하루에 약 10 ng/포유류 체중 kg 내지 100 mg/포유류 체중 kg 이하, 또는 그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1 ㎍/kg/일 내지 10 mg/kg/일로 변화할 수 있다. 특정 용량 및 전달 방법에 대한 안내는 문헌에 제시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4,657,760호; 제5,206,344호; 또는 제5,225,212호를 참조로 한다. 상이한 제제는 상이한 치료 화합물 및 상이한 질환들에 대해 효과적일 것이고, 예를 들어 하나의 기관 또는 조직을 표적으로 하는 투여는 다른 기관 또는 조직에 대한 투여와 상이한 방식으로 전달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고 예상된다. 당업자들은 투여해야만 하는 용량이 예를 들면, 치료받게 될 포유류, 투여 경로, 및 포유류에게 투여되는 기타 약물 또는 치료법에 따라 변화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세포 타입 및(또는) 질병의 심도에 따라,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개별적인 투여에 의해서든 연속적인 주입에 의해서든, 약 1 ㎍/kg 내지 150 mg/kg(예를 들면, 0.1-20 mg/kg)의 길항제 항체 또는 작동제 항체가 투여를 위한 초기 후보 용량이다. 통상적인 1일 용량은 상기 언급한 인자에 따라 약 1 ㎍/kg 내지 100 mg/kg,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증상에 따라서는 수일 또는 그 이상에 걸친 반복적인 투여를 위해서는, 목적하는 질병 증상의 억제가 나타날 때까지 치료를 지속한다. 그러나, 다른 투여 요법도 유용할 수 있다.
임의적으로 임의의 치료를 행하기 전에 TALL-1, APRIL, TACI, BCMA, TACIs 또는 BR3의 수준 또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포유류 또는 환자를 시험할 수 있다. 이러한 시험은 혈청 샘플 또는 말초 혈액 백혈구의 ELISA 또는 FACS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는 단일 타입의 치료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TACI 항체가 투여될 수 있다. 별법으로, 당 분야의 전문가는 TACI 항체 및 길항제 또는 작동제의 조합, 예를 들면 TACI 항체와 BR3 항체의 조합을 방법에 사용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이중 작동제 또는 길항제, 즉, 예를 들어 TALL-1과 APRIL 모두를 차단하거나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길항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길항제 분자는 예를 들면, TALL-1과 APRIL, 또는 TACI, TACIs, BR3 및 BCMA 간에 보존된 에피토프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치료법이 방법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나 이상의 기타 치료법은 방사선 치료의 수행, 사이토카인(들), 성장 억제제(들), 화학치료제(들), 세포독성제(들),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 ras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 혈관신생 억제제, 및 당 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특히 상기 단락 I에서 더 정의한 사이클린-의존성 키나제 억제제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치료는 리툭산(Rituxan)™ 또는 허셉틴(Herceptin)™과 같은 종양 항원을 표적으로 하는 치료적 항체, 뿐만 아니라 항-VEGF와 같은 항-혈관신생 항체에 기초한다.
화학치료제의 준비 및 투여 스케줄은 제조업자의 지시에 따라, 또는 당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경험적으로 결정된 바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화학요법에 대한 준비 및 투여 스케줄은 또한, 문헌[Chemotherapy Service Ed., M. C. Perry, Williams & Wilkins, Baltimore, MD(1992)]에 기재되어 있다. 화학치료제는 예를 들면, 작동제 또는 길항제의 투여에 선행하거나 후속할 수 있고, 또는 그와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작동제 또는 길항제는 예를 들면, 타목시펜과 같은 항-에스트로겐 화합물, 또는 오나프리스톤과 같은 항-프로게스테론(EP 616812 참조)과 공지된 용량으로 조합될 수도 있다 .
또한, 기타 항원에 대한 항체, 예를 들어 CD20, CD11a, CD18, CD40, ErbB2, EGFR, ErbB3, ErbB4, 혈관 내피 인자(VEGF), 또는 기타 TNFR 과(family) 구성원(예를 들어 DR4, DR5, OPG, TNFR1, TNFR2)에 결합하는 항체를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또는 이에 더하여, 본원에 개시된 동일하거나 둘 이상의 상이한 항원에 결합하는 둘 이상의 항체가 환자에게 함께 투여될 수 있다. 때로는, 하나 이상의 사이토카인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도 유익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작동제 또는 길항제는 성장 억제제와 함께 투여된다. 예를 들면, 성장 억제제가 먼저 투여되고, 이어서 본 발명의 작동제 또는 길항제가 투여될 수 있다.
길항제 또는 작동제(및 하나 이상의 기타 요법들)는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길항제 또는 작동제의 투여 후, 시험관내에서 처리된 세포를 분석할 수 있다. 생체내 치료를 수행한 경우, 치료한 포유류는 숙련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g 생산과 같은 B 세포 활성의 마커(비특이적 또는 항원 특이적)를 분석할 수 있다.
E. 제조합 생산 방법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바와 같은 TACI 항체를 코딩하는 단리된 핵산, 상기 핵산을 포함하는 벡터 및 숙주 세포, 및 항체의 생산을 위한 재조합 기술을 제공한다.
항체의 재조합 생산을 위해, 이를 코딩하는 핵산을 단리하고 추가로 클로닝(DNA의 증폭)하거나 발현시키기 위해 복제성 벡터 내로 삽입한다. 상기 항체를 코딩하는 DNA는 통상적인 방법으로(예를 들면, 항체를 코딩하는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로브를 사용함으로써) 용이하게 단리되고 시퀀싱된다. 다수의 벡터를 사용할 수 있다. 벡터 성분들은 일반적으로 신호 서열, 복제원점, 하나 이상의 마커 유전자, 인핸서 요소, 프로모터, 및 전사 종결 서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방법은 항-TACI 항체의 경쇄 또는 중쇄 (또는 경쇄 및 중쇄 모두)를 코딩하는 DNA 서열을 포함하는 벡터를 제공하는 단계, 숙주 세포를 상기 벡터로 형질감염 또는 형질전환시키는 단계, 및 재조합 항-TACI 항체 생성물을 생산하기에 충분한 조건하에서 숙주 세포(들)을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키메릭 또는 재조합 항-TACI 항체의 생산 방법을 포함한다.
(i) 신호 서열 성분
본 발명의 항-TACI 항체는 직접적으로,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는, 신호 서열이거나 성숙한 단백질 또는 폴리펩티드의 N-말단에 특이적인 절단 부위를 갖는 기타 폴리펩티드인 이종 폴리펩티드와의 융합 폴리펩티드로서, 재조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선택된 이종 신호 서열은 숙주 세포에 의해 인식되고 처리되는(즉, 신호 펩티다제에 의해 절단됨) 것이다. 천연의 항체 신호 서열을 인식하고 처리하지 않는 원핵생물 숙주 세포에 대해서는, 신호 서열이 예를 들면, 알칼리성 포스파타제, 페니실리나제, lpp 또는 열-안정성 내독소 II 리더 군으로부터 선택된 원핵생물의 신호 서열로 치환된다. 효모 분비를 위해서는, 천연 신호 서열을 예를 들면, 효모 인버타제 리더, α 인자 리더(사카로마이세스(Saccharomyces) 및 클루이베로마이세스(Kluyveromyces) α-인자 리더를 포함), 또는 산 포스파타제 리더, 씨. 알비칸스(C. albicans) 글루코아밀라제 리더, 또는 WO 90/13646에 기술된 신호로 치환할 수 있다. 포유류 세포 발현에서는 포유류 신호 서열, 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분비성 리더, 예를 들면 단순포진 바이러스 gD 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구 영역에 대한 DNA는 항체를 코딩하는 DNA에 리딩 프레임으로 라이게이션된다.
(ii) 복제원점 성분
발현 및 클로닝 벡터는 모두, 하나 이상의 선택된 숙주 세포에서 벡터가 복제되도록 할 수 있는 핵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클로닝 벡터 내의 이러한 서열은 벡터가 숙주 염색체의 DNA와 무관하게 복제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고, 복제원점 또는 자율 복제 서열을 포함한다. 이러한 서열들은 다양한 박테리아, 효모 및 바이러스에 대해 알려져 있다. 플라스미드 pBR322의 복제원점은 대부분의 그람-음성 박테리아에 적합하고, 2μ 플라스미드 원점은 효모에 대해 적합하며, 다양한 바이러스 원점들(SV40, 폴리오마, 아데노바이러스, VSV 또는 BPV)이 포유류 세포의 클로닝 벡터에 대해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복제원점 성분은 포유류 발현 벡터에 대해서는 필요하지 않다(SV40 원점은 단지 조기(early) 프로모터를 포함하기 때문에 전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iii) 선택 유전자 성분
발현 및 클로닝 벡터는 선택성 마커라고도 부르는 선택 유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인 선택 유전자는 (a) 항생제 또는 기타 독소, 예를 들면 암피실린, 네오마이신, 메토트렉세이트 또는 테트라사이클린에 대한 내성을 부여하고, (b) 영양요구 결핍을 보충하거나, (c) 복합 배지로부터는 얻을 수 없는 중요한 영양분을 공급하는 단백질을 코딩하는데, 예를 들면 바실리(Bacilli)에 대한 D-알라닌 라세마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이다.
선택 방식에 대한 하나의 예시에서는, 숙주 세포의 성장을 정지시키는 약물을 사용한다. 이종 유전자로 성공적으로 형질전환된 이러한 세포들은, 약물 내성을 부여하는 단백질을 생산하기 때문에 선택 요법에서 살아남는다. 이러한 우성 선택에 대한 예에서는 약물인 네오마이신, 미코페놀산 및 하이그로마이신을 사용한다.
포유류 세포에 대해 적합한 선택성 마커의 다른 예는 항체 핵산을 흡수할 수 있는 세포를 동정할 수 있는 것들, 예를 들면 DHFR, 티미딘 키나제, 금속티오네인-I 및 -II, 바람직하게는 영장류 금속티오네인 유전자, 아데노신 디아미나제, 오르니틴 디카르복실라제 등이다.
예를 들면, DHFR 선택 유전자로 형질전환된 세포는 먼저, 모든 형질전환체를 DHFR의 경쟁적 길항제인 메토트렉세이트(Mtx)를 함유하는 배양 배지 내에서 배양함으로써 동정된다. 야생형 DHFR이 사용되는 경우 적절한 숙주 세포는, DHFR 활성이 결핍된 차이니즈 햄스터 난소(CHO) 세포주이다.
별법으로, 항-DR4 항체, 야생형 DHFR 단백질을 코딩하는 DNA 서열, 및 다른 선택성 마커, 예를 들면 아미노글리코시드 3'-포스포트랜스퍼라제(APH)로 형질전환되거나 공-형질전환된 숙주 세포(특히, 내인성 DHFR을 포함하는 야생형 숙주)는, 선택성 마커에 대한 선택 시약, 예를 들면 아미노글리코시드성 항생제, 예를 들어 카나마이신, 네오마이신, 또는 G418을 함유하는 배지 내에서 세포를 성장시킴으로써 선택될 수 있다. 미국특허 제4,965,199호 참조.
효모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선택 유전자는, 효모 플라스미드 YRp7에 존재하는 trp1 유전자이다(Stinchcomb et al., Nature, 282:39(1979)). trp1 유전자는 트립토판 중에서는 성장 능력이 없는 돌연변이 효모 균주, 예를 들면 ATCC No. 44076 또는 PEP4-1에 대한 선택 마커를 제공한다. Jones, Genetics, 85:12(1977). 효모 숙주 세포 게놈에서 trp1 손상이 존재하면, 트립토판 부재시의 성장으로 형질전환을 검출하는데 효과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Leu2-결핍 효모 균주(ATCC 20,622 또는 38,626)는 Leu2 유전자를 포함하는 공지된 플라스미드에 의해 보충된다.
또한, 1.6 ㎛ 환형 플라스미드 pKD1으로부터 유래된 벡터는 클루이베로마이세스 효모의 형질전환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별법으로, 재조합 송아지 키모신의 대규모 생산을 위한 발현 시스템이 K. 락티스(K. lactis)에 대해 보고되었다. Van den Berg, Bio/Technology, 8:135(1990). 클루이베로마이세스의 산업상 균주에 의한 성숙한 재조합 인간 혈청 알부민의 분비를 위한 안정한 다수-카피 발현 벡터도 개시되었다. Fleer et al., Bio/Technology, 9:968-975(1991).
(iv) 프로모터 성분
발현 및 클로닝 벡터는 통상적으로, 숙주 유기체에 의해 인식되고 항체 핵산에 조작가능하게 연결된 프로모터를 포함한다. 원핵생물 숙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프로모터는 phoA 프로모터, β-락탐 분해효소 및 락토스 프로모터 시스템, 알칼리성 포스파타제, 트립토판(trp) 프로모터 시스템, 및 하이브리드 프로모터, 예를 들면 tac 프로모터를 포함한다. 그러나, 기타 공지된 박테리아 프로모터가 적합하다. 박테리아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프로모터는 또한, 항-TACI 항체를 코딩하는 DNA에 조작가능하게 연결된 샤인-달가노(S.D.) 서열을 포함할 것이다.
프로모터 서열은 진핵생물에 대해서 알려져 있다. 궁극적으로, 모든 진핵생물 유전자는 전사가 개시되는 부위로부터 약 25 내지 30 염기 상류에 위치하는 AT-풍부 영역을 갖는다. 다수 유전자의 전사 시작 부위로부터 70 내지 80 염기 상류에서 발견되는 다른 서열은 CNCAAT 영역이다(여기서, N은 임의의 뉴클레오티드일 수 있다). 대부분 진핵생물 유전자의 3' 말단에는, 코딩 서열의 3' 말단에 폴리 A 테일을 첨가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는 AATAAA 서열이 존재한다. 이러한 서열들은 모두 진핵생물 발현 벡터 내로 적절하게 삽입된다.
효모 숙주에 사용하기 위해 적합한 프로모터 서열은 예를 들면, 3-포스포글리세레이트 키나제 또는 기타 해당 효소들, 예를 들어 에놀라제,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제, 헥소키나제, 피루베이트 디카르복실라제, 포스포프룩토키나제, 글루코스-6-포스페이트 이소머라제, 3-포스포글리세레이트 뮤타제, 피루베이트 키나제, 트리오스포스페이트 이소머라제, 포스포글루코스 이소머라제, 및 글루코키나제에 대한 프로모터를 포함한다.
성장 조건에 의해 전사가 조절되는 추가의 장점을 갖는 유도성 프로모터인 기타 효모 프로모터는, 알콜 디히드로게나제 2, 이소시토크롬 C, 산 포스파타제, 질소 대사와 관련된 분해성 효소, 금속티오네인,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제, 및 말토스 및 갈락토스 이용의 원인이 되는 효소에 대한 프로모터 영역이다. 효모 발현에 사용하기 위해 적합한 벡터 및 프로모터는 EP 73,657에 추가로 기술되어 있다. 효모 인핸서도 효모 프로모터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포유류 숙주 세포 내에서 벡터로부터 항-TACI 항체의 전사는, 예를 들면 바이러스, 예를 들어 폴리오마 바이러스, 계두(fowlpox) 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예를 들어, 아데노바이러스 2), 소 유두종 바이러스, 조류 육아종 바이러스,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레트로바이러스, B형 간염 바이러스,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원숭이 바이러스 40(SV40)의 게놈으로부터, 이종 포유류 프로모터, 예를 들면 액틴 프로모터 또는 면역글로불린 프로모터로부터, 열-충격 프로모터로부터 수득한 프로모터에 의해 조절되며, 단 상기 프로모터들이 숙주 세포 시스템과 혼화될 수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한다.
SV40 바이러스의 조기 및 만기(late) 프로모터는, SV40 바이러스 복제원점도 포함하는 SV40 제한효소 단편으로서 편리하게 수득된다. 인간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의 최조기(immediate early) 프로모터는 HindIII E 제한효소 단편으로서 편리하게 수득된다. 벡터로서 소 유두종 바이러스를 사용하는 포유류 숙주에서 DNA를 발현하기 위한 시스템은 미국특허 제4,419,446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 대한 변형은 미국특허 제4,601,978호에 기재되어 있다. 단순포진 바이러스로부터의 티미딘 키나제 프로모터의 조절하에 마우스 세포 내에서의 인간 β-인터페론 cDNA의 발현에 대해 Reyes et al., Nature 297:598-601(1982)도 참조. 별법으로, 루스 육종 바이러스(rous sarcoma virus)의 긴 말단 반복(long terminal repeat)이 프로모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v) 인핸서 요소 성분
고등 진핵생물에 의한 본 발명의 항-TACI 항체를 코딩하는 DNA의 전사는 흔히, 인핸서 서열을 벡터 내에 삽입함으로써 증가된다. 다수의 인핸서 서열이 현재 포유류 유전자들로부터 공지되어 있다(글로빈, 엘라스타제, 알부민, α-페토단백질 및 인슐린). 그러나 통상적으로는, 진핵 세포 바이러스의 인핸서가 사용될 것이다. 예를 들어, 복제 원점의 후반부(bp 100-270) 상의 SV40 인핸서,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조기 프로모터 인핸서, 복제 원점의 후반부 상의 폴리오마 인핸서, 및 아데노바이러스 인핸서가 포함된다. 진핵생물 프로모터의 활성화를 위한 인핸서 요소에 대한 문헌[Yaniv, Nature 297:17-18(1982)]도 참조. 인핸서는 항체-코딩 서열에 대해 5' 또는 3' 부위에서 벡터 내로 스플라이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프로모터로부터 5' 부위에 위치한다.
(vi) 전사 종결 성분
진핵생물 숙주 세포(효모, 진균, 곤충, 식물, 동물, 인간, 또는 기타 다세포 유기체로부터의 유핵 세포)에 사용되는 발현 벡터는 또한, 전사 종결 및 mRNA 안정화에 에 필요한 서열을 포함할 것이다. 이러한 서열은 통상적으로 진핵생물 또는 바이러스 DNA 또는 cDNA의 5', 때로는 3' 비번역 영역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영역들은 다가 항체를 코딩하는 mRNA의 비번역 부분 내에 폴리아데닐화된 단편으로서 전사된 뉴클레오티드 분절을 포함한다. 하나의 유용한 전사 종결 성분은, 소 성장 호르몬 폴리아데닐화 영역이다. W094/11026 및 거기에 개시된 발현 벡터 참조.
(vii) 숙주 세포의 선택 및 형질전환
본 발명의 벡터 내의 DNA를 클로닝하거나 발현시키는데 적합한 숙주 세포는 원핵생물, 효모, 또는 상기 기술된 보다 고등한 진핵생물 세포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적합한 원핵생물로는 유박테리아(eubacteria), 예를 들어 그람-음성 또는 그람-양성 유기체, 예를 들면 에스케리키아(Escherichia)와 같은 엔테로박테리아시에(Enterobacteriaceae), 예를 들어 대장균(E. coli), 엔테로박터(Enterobacter), 어위니아(Erwinia), 클레브시엘라(Klebsiella), 프로테우스(Proteus), 살모넬라(Salmonella), 예를 들어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 세라티아(Serratia), 예를 들어 세라티아 마르세센스(Serratia marcescens), 및 쉬젤라(Shigella), 뿐만 아니라 바실리(Bacilli), 예를 들어 B. 서브틸리스(B. subtilis) 및 B. 리체니포르미스(B. licheniformis)(예를 들면, 1989. 4. 12일에 공개된 DD 266,710에 개시된 B. 리체니포르미스 41P), 슈도모나스(Pseudomonas), 예를 들어 P. 에어루지노사(P. aeruginosa), 및 스트렙토마이세스(Streptomyces)가 포함된다. 대장균 B, 대장균 X1776(ATCC 31,537) 및 대장균 W3110(ATCC 27,325)과 같은 기타 균주들도 적합하지만, 하나의 바람직한 대장균 클로닝 숙주는 대장균 294(ATCC 31,446)이다. 이러한 예들은 제한적이라기 보다는 예시적인 것이다.
원핵생물 이외에 진핵 미생물, 예를 들면 사상 진균 또는 효모가 TACI 항체-코딩 벡터에 대한 클로닝 또는 발현 숙주로서 적합하다.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 또는 통상적인 빵 효모는, 하등 진핵 숙주 미생물 중에서 가장 흔히 사용된다. 그러나, 스키조사카로마이세스 폼베(Schizosaccharomyces pombe); 클루이베로마이세스 숙주, 예를 들면 K. 락티스(K. lactis), K. 프래질리스(K. fragilis, ATCC 12,424), K. 불가리쿠스(K. bulgaricus, ATCC 16,045), K. 윅케라미(K. wickeramii, ATCC 24,178), K. 왈티(K. waltii, ATCC 56,500), K. 드로소필라룸(K. drosophilarum, ATCC 36,906), K. 써모톨레란스(K. thermotolerans), 및 K. 마르시아누스(K. marxianus); 야로위아(yarrowia, EP 402,226); 피치아 파스토리스(Pichia pastoris, EP 183,070); 칸디다(Candida); 트리코더마 리에세이(Trichoderma reesei, EP 244,234); 뉴로스포라 크라싸(Neurospora crassa); 슈반니오마이세스(Schwanniomyces), 예를 들면 슈반니오마이세스 옥시덴탈리스(Schwanniomyces occidentalis); 및 사상 진균, 예를 들면 뉴로스포라(Neurospora), 페니실리움(Penicillium), 톨리포클라디움(Tolypocladium), 및 아스퍼질루스(Aspergillus) 숙주, 예를 들면 A. 니둘란스(A. nidulans) 및 A. 나이저(A. niger)와 같은 기타 다수의 속, 종, 및 균주들이 시판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 유용하다.
글리코실화된 항체의 발현에 적합한 숙주 세포는 다세포 유기체로부터 유래된다. 무척추동물 세포에는 예를 들어, 식물 및 곤충 세포가 포함된다. 다수의 배큘로바이러스 균주 및 변이체, 및 숙주, 예를 들면 스포도프테라 프루지페르다(Spodoptera frugiperda, 모충), 아에데스 에집티(Aedes aegypti, 모기), 아에데스 알보픽투스(Aedes albopictus, 모기), 드로소필라 멜라노개스터(Drosophila melanogaster, 초파리), 및 봄빅스 모리(Bombyx mori)로부터 상응하는 허용된 곤충 숙주 세포가 동정되었다. 형질감염을 위한 다양한 바이러스 균주가 시판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오토그라파 캘리포니카(Autographa californica) NPV의 L-1 변이체, 및 봄빅스 모리 NPV의 Bm-5 균주이며, 이러한 바이러스는 본 발명에 따라 바이러스로서, 특히 스포도프테라 프루지페르다(Spodoptera frugiperda) 세포를 형질감염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다.
목화, 옥수수, 감자, 콩, 페튜니아, 토마토 및 담배의 식물 세포 배양도 숙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척추동물 세포에 가장 큰 관심이 쏠리고 있으며, 배양(조직배양)에서 척추동물 세포를 증식시키는 것이 일상적인 방법이 되었다. 유용한 포유류 숙주 세포주는 예를 들면, SV40으로 형질전환된 원숭이 신장 CV1주(COS-7, ATCC CRL 1651); 인간 배아 신장 세포주(293 또는 현탁 배양액 내에서 성장시키기 위해 서브클로닝된 293 세포, Graham et al., J. Gen Virol. 36:59(1977)); 새끼 햄스터 신장 세포(BHK, ATCC CCL 10); 차이니즈 햄스터 난소 세포/-DHFR(CHO, Urlaub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77:4216(1980)); 마우스 세르톨리 세포(TM4, Mather, Biol. Reprod. 23:243-251(1980)); 원숭이 신장 세포(CV1 ATCC CCL 70); 아프리카 녹색 원숭이 신장 세포(VERO-76, ATCC CRL-1587); 인간 자궁경부암 세포(HELA, ATCC CCL 2); 개 신장 세포(MDCK, ATCC CCL 34); 버팔로 래트 간세포(BRL 3A, ATCC CRL 1442); 인간 폐세포(W138, ATCC CCL 75); 인간 간세포(Hep G2, HB 8065); 마우스 유선 종양(MMT 060562, ATCC CCL51); TRI 세포(Mather et al., Annals N. Y. Acad. Sci. 383:44-68(1982)); MRC 5 세포; FS4 세포; 인간 간암주(Hep G2); 및 골수종 또는 림프종 세포(예를 들면 YO, J558L, P3 및 NSO 세포) (미국특허 제5,807,715호 참조)이다.
숙주 세포는 항체 생산을 위한 상기 기술된 발현 또는 클로닝 벡터로 형질전환되고, 프로모터 유도, 형질전환체의 선택, 또는 목적 서열을 코딩하는 유전자의 증폭에 적절하도록 변형된 통상적인 영양 배지에서 배양된다.
(viii) 숙주 세포 배양
본 발명의 항체를 생산하는데 사용되는 숙주 세포는 다양한 배지 내에서 배양될 수 있다. 시판되는 배지, 예를 들면 햄스 F10(Ham's F10, 시그마), 최소 필수 배지((MEM), 시그마), RPMI-1640(시그마), 및 둘베코스 변형 이글스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 시그마)가 숙주 세포 배양에 적합하다. 또한, 문헌[Ham et al., Meth. Enz. 58:44(1979), Barnes et al., Anal. Biochem. 102:255(1980), 미국특허 제4,767,704호; 제4,657,866호; 제4,927,762호; 제4,560,655호; 또는 제5,122,469호; WO 90/03430; WO 87/00195; 또는 미국특허 Re.30,985]에 기술된 것들 중 임의의 배지가 숙주 세포에 대한 배양 배지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배지들 중 어느 것도 필요하다면, 호르몬 및(또는) 기타 성장 인자(예를 들면 인슐린, 트랜스페린 또는 표피 성장 인자), 염(예를 들면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및 인산나트륨, 인산칼슘, 인산마그네슘), 완충액(예를 들면, HEPES), 뉴클레오티드(예를 들면, 아데노신 및 티미딘), 항생제(예를 들면, 겐타마이신(GENTAMYCIN)™ 약물), 미량 요소(통상적으로 마이크로몰 범위의 최종 농도로 존재하는 무기 화합물로 정의됨), 및 글루코스 또는 이와 동등한 에너지원을 보충할 수 있다. 당업자가 알 수 있는 기타 필요한 임의의 보충물도 적절한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배양 조건, 예를 들면 온도, pH 등은 발현을 위해 선택된 숙주 세포에 대해 과거에 사용되던 것이며,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ix) 정제
재조합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 항체는 세포내에서, 페리플라즘 공간에서 생산되거나, 배지로 직접적으로 분비될 수 있다. 만일 항체가 세포내에서 생산된다면, 첫번째 단계로서 숙주 세포 또는 용해된 단편인 입자 찌꺼기를 예를 들면, 원심분리 또는 초여과로 제거한다. 문헌[Carter et al., Bio/Technology 10:163-167(1992)]에는 대장균의 페리플라즘 공간으로 분비되는 항체의 단리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간략히 말하자면, 아세트산나트륨(pH 3.5), EDTA 및 페닐메틸술포닐플루오라이드(PMSF)의 존재하에 약 30분에 걸쳐 세포 페이스트를 해동한다. 세포 찌꺼기는 원심분리로 제거할 수 있다. 항체가 배지로 분비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시판되는 단백질 농축 필터, 예를 들면 아미콘(Amicon) 또는 밀리포어 펠리콘(Millipore Pellicon) 초여과 유닛으로 상기 발현 시스템으로부터의 상청액을 먼저 농축한다. 단백질 분해를 억제하기 위해 상기 중 임의의 단계는 프로테아제 억제제, 예를 들면 PMSF를 포함할 수 있고, 우연한 오염물질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항생제를 포함시킬 수 있다.
세포로부터 제조된 항체 조성물은 예를 들면, 히드록시아파타이트 크로마토그래피, 겔 전기영동, 투석 및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될 수 있는데, 여기서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가 바람직한 정제 기술이다. 친화성 리간드로서 단백질 A의 적합성은, 종 및 항체 내에 존재하는 임의의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의 이소타입에 좌우된다. 단백질 A는 인간 γ1, γ2 또는 γ4 중쇄에 기초한 항체 정제에 사용될 수 있다(Lindmark et al., J. Immunol. Meth. 62:1-13(1983)). 모든 마우스 이소타입 및 인간 γ3에 대해 단백질 G가 권장된다(Guss et al., EMBO J. 5:1567-1575(1986)). 친화성 리간드가 결합하는 매트릭스는 가장 흔하게는 아가로스이지만, 기타 매트릭스들도 사용될 수 있다. 기계적으로 안정한 매트릭스, 예를 들면 콘트롤드 포어 글래스 또는 폴리(스티렌디비닐)벤젠은 아가로스로 달성될 수 있는 것보다 신속한 유속 및 짧은 처리 시간을 가능케 해준다. 항체가 CH3 도메인을 포함하는 경우, 베이커본드(Bakerbond) ABX™ 수지(J. T. 베이커, 뉴저지주 필립스버그)가 정제에 유용하다. 회수하려는 항체에 따라서는 기타 단백질의 정제를 위한 기술, 예를 들면 이온교환 컬럼 상에서의 분획법, 에탄올 침전법, 역상 HPLC, 실리카 상에서의 크로마토그래피, 음이온 또는 양이온 교환 수지(예를 들면, 폴리아스파라긴산 컬럼) 상에서의 헤파린 세파로스(SEPHAROSE)™ 크로마토그래피, 크로마토포커싱, SDS-PAGE 및 황산암모늄 침전법도 사용할 수 있다.
F. 제조 물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기술한 질환의 치료에 유용한 물질들을 수용하고 있는 제조품이 제공된다. 제조 물품은 용기 및 라벨을 포함한다. 적합한 용기는 예를 들면 병, 바이알, 주사기 및 시험관을 포함한다. 용기는 다양한 물질, 예를 들어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용기는 증상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조성물을 수용하며, 멸균 접근 포트를 가질 수 있다(예를 들면, 용기는 피하 주사 바늘로 구멍을 뚫을 수 있는 마개가 있는 정맥내 용액 백 또는 바이알일 수 있다). 조성물 중의 활성제는 길항제(들) 또는 작동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 상의, 또는 용기에 수반된 라벨은 그 조성물이 선택되어 기재되어 있는 증상의 치료에 사용됨을 나타낸다. 제조 물품은 제약학상 허용되는 완충액, 예를 들면 포스페이트-완충 식염수, 링거액 및 덱스트로스 용액을 포함하는 제2의 용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타 완충액, 희석제, 필터, 바늘, 주사기, 및 사용 지시가 기재된 포장내 설명서(package insert)를 포함하는, 상업상 및 사용자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기타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미국 가출원 제60/398,530호(2002.7.25. 출원) 및 문헌[Seshasayee, D et al., (2003) Immunity 18:279-288]은 그 전체로서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삽입된다.
하기 실시예는 제한을 위해서가 아니라 예시를 위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모든 인용문헌들은 명백히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삽입된다.
실시예 1:
항-TACI 단일클론 항체의 제조
Balb/c 마우스(챨스 리버 래보라토리즈(Charles River Laboratories)로부터 입수)의 각 뒷발바닥에 MPL-TDM 보강제(adjuvant, 리비 이뮤노케미칼 리서치 인크(Ribi Immunochemical Research Inc., 몬타나주 해밀톤)로부터 구매) 중의 인간 TACI-IgG 2 ㎍을 10회 주사하여 면역화했다. 인간 TACI-IgG 면역어드헤신은 문헌[Ashkenazi et al., Proc. Natl. Acad. Sci., 88:10535-10539(1991)]에 기술된 방법으로 제조했다. 면역어드헤신 구조물(construct)은 인간 TACI 폴리펩티드의 아미노산 2-166으로 구성된다. 이종 신호 서열(pCMV-1 플래그(시그마)의 프리-프로 트립신 아미노산 1-17)을 사용하고 TACI 서열 하류의 인간 IgG1 Fc 영역을 코딩하는 TACI-ECD 구조물을 CHO 세포 내에서 발현시킨 다음, 단백질 A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했다.
최종적으로 추가접종(boost)한 지 3일 후, 마우스로부터 슬와 림프절을 제거하여 1%의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을 보충한 DMEM 배지(바이오휘테이커 코포레이션(Biowhittaker Corp.)으로부터 입수) 중의 단일 세포 현탁액을 제조했다. 그 다음, 35% 폴리에틸렌 글리콜로 림프절 세포를 쥐 골수종 세포 P3X63AgU.1(ATCC CRL 1597)와 융합시켜 96-웰 배양 플레이트에서 배양했다. HAT 배지에서 융합 결과 생성된 하이브리도마를 선택했다. 융합 10일 후, 하이브리도마 배양 상청액을 ELISA로 스크리닝하여 TACI-IgG에는 결합하지만 CD4-IgG에는 결합하지 않는 단일클론 항체의 존재 여부를 시험했다. 또한, 포획 ELISA법을 사용하여 단일클론 항체가 BMCA-IgG에 결합하는지 여부를 시험했다.
포획 ELISA를 위해서, 50 mM의 탄산염 완충액(pH 9.6) 중의 2.0 ㎍/ml 염소 항-인간 IgG-Fc (카펠 인크(Cappel Inc)) 50 ㎕를 96-웰 미세역가 플레이트(맥시솔브(Maxisorb); 눈크(Nunc, 덴마크 캄스트루프))의 각 웰에 첨가하고, 4℃에서 밤새 인큐베이션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코팅했다. 비특이적 결합 부위는 실온에서 1시간 동안, 2%의 BSA 200 ㎕로 차단했다. 그리고, 플레이트를 세척 완충액(0.05% 트윈 20을 함유하는 PBS)으로 3회 세척했다. 세척 단계 후,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1시간 동안 PBS 중의 0.4 ㎍/ml의 TACI-IgG 50 ㎕/웰과 인큐베이션했다. 3회 세척 후, 100 ㎕의 하이브리도마 상청액 또는 다양한 농도의 다중클론 혈청을 지정된 웰에 첨가했다. 100 ㎕의 P3X63AgU.1 골수종 세포에 조건화된 배지를 대조군으로 지정된 다른 웰에 첨가했다.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진탕 장치 상에서 인큐베이션한 다음, 세척 완충액으로 3회 세척했다.
그 다음, 검정 완충액(PBS 중의 0.5% 소 혈청 알부민, 0.05% 트윈-20, 0.01% 티메로졸)에서 1:1000으로 희석한 HRP-콘쥬게이트된 염소 항-마우스 IgG Fc(카펠 래보라토리즈(Cappel Laboratories)로부터 구입) 50 ㎕를 각 웰에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진탕 장치 상에서 인큐베이션했다. 플레이트를 완충액으로 3회 세척한 후, 각 웰에 50 ㎕의 기질(TMB 미세웰 퍼옥시다제 기질, 커크가드 & 페리(Kirkegaard & Perry, 메릴랜드주 게이터스버그)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0분 동안 인큐베이션했다. TMB 1-성분 정지 용액(디에틸 글리콜, 커크가드 & 페리) 50 ㎕를 각 웰에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자동화 미세역가 플레이트 판독장치로 45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했다.
그리고, ELISA 시험에서 양성인 상청액을 한계 희석으로 2회 클로닝했다.
실시예 2
막 TACI를 인식하는 항-TACI 항체의 동정
상기 실시예 1에 기술된 바와 같이, 1G10.1.5, 5B6.3.10. 및 6D11.3.1로 명명된 항-TACI 항체를 생성하고 제조했다. 이 mAbs는 유동 세포분석법으로 측정된 바와 같이 막 TACI를 인식했다. 간략히 말하자면, 인간 B 림프성 IM9 세포(ATCC, CCL-159)(100 ㎕의 완전 RPMI-1640 배지 중에 5 x 105개의 세포)를 48-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플레이팅하고, 200 ml의 결합 완충액 중의 100 ㎕의 FITC-염소 항-마우스 IgG Fc와 37℃에서 밤새 5% CO2에서 인큐베이션했다. 세척 후, 세포를 팩스캔(FACScan)으로 분석했다.
항-TACI mAbs가 IM9 세포가 발현한 TACI를 인식했음을 보여주는 실험 결과는 도 10에 나타냈다.
실시예 3
항-TACI 항체의 이소타입 판정
플레이트를 이소타입 특이적 염소 항-마우스 Ig(피셔 바이오텍(Fisher Biotech), 펜실베니아주 피츠버그)로 4℃에서 밤새 코팅하여, 항-TACI 단일클론 항체(상기 실시예 2 참조)의 이소타입을 결정했다. 비특이적 결합 부위를 2% BSA로 차단한 후, 100 ㎕의 하이브리도마 배양 상청액 또는 5 ㎍/ml의 정제된 mAbs를 첨가했다. 실온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30분 동안 HRP-콘쥬게이트된 염소 항-마우스 Ig와 인큐베이션했다. 플레이트에 결합된 HRP 수준을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HRP 기질로 검출했다.
항-TACI 항체, 1G10.1.5, 5B6.3.10. 및 6D11.3.1이 IgG1 이소타입인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4
인간 BCMA에 대한 항-TACI Mabs의 교차 반응성
인간 BCMA에 대한 1G10.1.5, 5B6.3.10 및 6D11.3.1 항체의 교차 반응 가능성은 하기의 변형을 가한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포획 ELISA로도 측정했다. 인간 BCMA-IgG 분자를 염소 항-인간 IgG-Fc 코팅된 미세역가 웰에 포획시켰다. BCMA-ECD 면역어드헤신을 상기 언급한 아쉬케나지(Ashkenazi) 등의 문헌에 기술된 방법으로 제조했다. 면역어드헤신 구조물은 인간 BCMA 폴리펩티드의 아미노산 5-51로 구성된다. 이종 신호 서열(pCMV-1 플래그(시그마)의 프리-프로 트립신 아미노산 1-17)을 사용하고 BCMA 서열 하류의 인간 IgG1 Fc 영역을 코딩하는 BCMA-ECD 구조물을 CHO 세포 내에서 발현시킨 다음, 단백질 A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러한 항-TACI mAbs는 포획 ELISA에서 BCMA-IgG를 인식하지 못했다.
실시예 5
항-TACI mAbs는 B 세포 증식을 차단한다
B 세포에 대한 1G10.1.5, 5B6.3.10 및 6D11.3.1 항체의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시험관내 세포 증식 검정법을 수행했다.
림프구 분리 배지(ICN)를 사용한 후 CD19+ MACS 비드(밀테나이 바이오텍(Miltenyi Biotech))로 정제하여, 인간 말초 혈액로부터 B 세포를 단리했다. 농축된 B 세포를 완전 배지(RPMI-1640, 10% 소태아 혈청, 2 mM 글루타민)에 재현탁하고, 조직 배양 플레이트에 5 x 105 세포/웰로 플레이팅했다. 그리고, 세포를 37℃에서 72시간 동안 10 ㎍/ml의 항-인간 CD40 항체(BD 파민젠(Pharmingen)), 100 ng/ml의 IL-4(R & D 시스템즈), 및 변화하는 농도의 항-TACI 항체와 배양했다. 항-마우스 IgG1 항체(BD 파민젠)를 대조군으로 사용했다. B 세포의 증식은 배양의 마지막 6시간 동안 배양액을 메틸 3H-티미딘(1 μCi/웰)으로 펄싱한 다음 수집하여 측정했다. 티미딘의 혼입은 섬광 계수기로 측정했다.
결과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고, 세포 증식은 CPM x 10-3으로 기록했다. 데이터는 항-CD40 항체 유도성 B 세포 증식이 6D11.3.1 및 5B6.3.10 항-TACI 항체에 의해 용량 의존적인 방식으로 억제됨을 보여주고 있다. TACI 녹아웃 마우스로부터의 다른 데이터는, TACI 수용체가 그 기능에 있어서 억제성이며, TACI 부재시 B 세포는 TALL-1로부터 억제 신호를 받을 수 없음을 암시하고 있다(데이터는 도시하지 않음).
실시예 6
BLyS의 huTaci에 대한 결합
Blys의 huTACI에 대한 결합의 ELISA를 위해, 50 mM의 탄산염 완충액(pH 9.6) 중의 2.0 ㎍/ml 염소 항-인간 IgG-Fc(카펠 인크) 50 ㎕를 96-웰 미세역가 플레이트(맥시솔브; 눈크(덴마크 캄스트루프))의 각 웰에 첨가하고, 4℃에서 밤새 인큐베이션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코팅했다. 비특이적 결합 부위는 실온에서 1시간 동안, 2%의 BSA 200 ㎕로 차단했다. 그리고, 플레이트를 세척 완충액(0.05% 트윈 20을 함유하는 PBS)으로 3회 세척했다. 세척 단계 후, 플레이트를 검정 완충액(PBS 중의 0.5% 소 혈청 알부민, 0.05% 트윈-20) 중의 0.4 ㎍/ml의 TACI-IgG 50 ㎕/웰과 인큐베이션했다. 3회 세척 후, 100 ㎕의 하이브리도마 상청액 또는 다양한 농도의 다중클론 혈청을 지정된 웰에 첨가했다. 100 ㎕의 P3X63AgU.1 골수종 세포에 조건화된 배지를 대조군으로 지정된 다른 웰에 첨가했다.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진탕 장치 상에서 인큐베이션한 다음, 세척 완충액으로 3회 세척했다.
그 다음, 검정 완충액에서 1:1600인 비오틴화된 인간 BlyS 100 ㎕를 각 웰에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진탕 장치 상에서 인큐베이션한 다음 세척 완충액으로 3회 세척했다. 검정 완충액(PBS 중의 0.5% 소 혈청 알부민, 0.05% 트윈-20)에서 1:1000으로 희석한 스트렙타비딘-HRP(지메드 래보라토리(Zymed laboratory, 캘리포니아주)로부터 구입) 50 ㎕를 각 웰에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진탕 장치 상에서 인큐베이션했다. 플레이트를 세척 완충액으로 3회 세척한 후, 각 웰에 50 ㎕의 기질(TMB 미세웰 퍼옥시다제 기질, 커크가드 & 페리(메릴랜드주 게이터스버그)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0분 동안 인큐베이션했다. TMB 1-성분 정지 용액(디에틸 글리콜, 커크가드 & 페리) 50 ㎕를 각 웰에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자동화 미세역가 플레이트 판독장치로 45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했다.
실시예 7
ELISA 검정법에서 BlyS의 TACI에 대한 결합을 차단하지 않는 항-TACI 항체에 의한 B 세포 증식의 억제
마우스에서 TACI에 대한 다른 항체들을 생성했고, 인간 일차 B 세포에서의 신호전달에 대한 상기 항체의 효과를 연구했다. 도 11A는 3가지의 항-TACI 단일클론 항체, 6D11, 7B6.15.11 및 4C7.2.1이 완전-길이의 인간 TACI로 형질감염된 293 세포에 결합한다는 것으로 입증해주고 있다. 모의-형질감염된 293 세포에 대해서는 TACI 항체의 결합이 관찰되지 않았다(데이터는 도시하지 않음).
항체를 NF-κB 활성화 활성에 대해 분석했다. 인간 293 세포를 1 ㎍의 ELAM-루시퍼라제 리포터 플라스미드 및 0.1 ㎍의 대조군 pRL-TK 플라스미드(프로메가 코포레이션(Promega Corporation))와 함께, 0.1 ㎍의 완전-길이 인간 TACI 발현 플라스미드로 형질감염시켰다. 4시간 후, 표시된 양의 가용성 재조합 인간 BLyS 또는 TACI 항체를 20시간 동안 첨가하고, 리포터 유전자 활성을 측정했다. NFκB-루시퍼라제 리포터(이중-루시퍼라제 리포터 검정 시스템, 프로메가 코포레이션)의 활성화에 의해 입증되는 바와 같이, 3가지 항체 중 2가지(6D11 및 7B6)는 작동제성 활성을 나타냈다.
형질감염 효율에 있어서의 변동은, 동량의 단백질 및 내부 레닐라(Renilla) 리포터 조절을 사용함으로써 조절했다. 도 11B에서, 3가지 항체 중 2가지(6D11 및 7B6)에서 작동제성 활성이 나타났다. 6D11 및 7B6은 대조군으로 사용한 가용성 인간 BLyS에 비해, NF-κB 리포터를 활성화시킬 수 있었다. 3번째 항체 4C7은 리포터 활성을 촉진시키지 않았고 작동제성 항체가 아니었다. 6D11 항체는 BLyS의 TACI에 대한 결합을 차단했으나, 7B6 및 4C7은 차단하지 않았다(ELISA, 데이터는 도시하지 않았음).
항체를 인간 B-세포 증식 검정법으로 시험했다. 자기 비드(림프구 분리 배지(ICN 파마슈티칼즈) 후, CD19+ MACS 비드(밀테나이 바이오텍))를 사용하여 양성 선택으로 말초 혈액으로부터 단리된 5 x 105개의 인간 B 세포를, α-CD40 항체(10 ㎍/ml, BD 파민젠) 및 IL-4(100 ng/ml, R & D 시스템즈), 및 TACI 작동제성 항체의 두 가지의 상이한 클론(증가하는 농도)으로 72시간 동안 자극했다. [H3] 계수를 TACI 작동제성 항체 농도에 대한 함수로 플롯팅했다. 3가지 항체는 모두 동일한 마우스 이소타입(IgG1)이었고, 4C7은 매치된 이소타입 대조군 항체로 작용했다. 어떠한 자극도 없는 경우에 B 세포 증식의 배경 수준은 그래프에 나타낸 각각의 수치로부터 뺐다. 2가지의 TACI 작동제성 항체 6D11 및 7B6는 α-CD40 항체/IL4로 유도되는 B 세포 증식을 현저하게 억제한 반면, 비작동제성 항체 4C7은 억제하지 않았다. 도 1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α-CD40 항체-유도성 B 세포 증식은 TACI에 대한 2가지의 작동제성 단일클론 항체에 의해 용량-의존적인 방식으로 억제되었다. 3가지 항체는 모두 동일한 마우스 이소타입(IgG1)이었고, 4C7은 매치된 이소타입 대조군 항체로 작용했다. 어떠한 자극도 없는 경우에 B 세포 증식의 배경 수준은 그래프에 나타낸 각각의 수치로부터 뺐다. 6D11과 7B6가 모두 293 세포에서 NF-κB 활성을 촉진하고 B 세포 증식을 억제할 수 있었던 반면, 비작동제성 항체 4C7은 어느 쪽도 할 수 없었던 것으로 관찰되어, 증식에 대해 관찰된 효과가 TACI에 의해 유도된 활성 억제성 신호로 인한 것임을 암시하고 있다.
물질의 기탁
이하 물질들은 아메리칸 타입 컬쳐 콜렉션(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TCC), 미국 20110-2209 버지니아주 마나싸스 유니버시티 불러바드 10801)에 기탁되었다.
물질 ATCC 기탁 번호 기탁일
1G10.1.5 PTA-4297 2002.5.7.
5B6.3.10 PTA-4298 2002.5.7.
6D11.3.1 PTA-4299 2002.5.7.
4C7.2.1 PTA-4999 2003.2.11.
7B6.15.11 PTA-5000 2003.2.11.
이들 기탁은 특허 절차상 미생물 기탁의 국제적 승인에 관한 부다페스트 조약 및 그의 규칙(부다페스트 조약(Budapest Treaty))의 규정 하에 이루어졌다. 이는 기탁일로부터 30년 동안 기탁물의 생존 가능한 배양물의 유지를 보장한다. 기탁물은 부다페스트 조약의 협약 하에, 그리고 제넨테크 인크와 ATCC 사이 협정에 따라 ATCC로부터 분양될 것이며, 이는 관련 미국 특허의 허여시 또는 미국 또는 외국 특허 출원의 공개시(이 중 먼저인 때) 공공에 대한 기탁물의 배양 프로제니의 영구적이고 비제한적인 분양을 보장하고, 미국 특허 및 상표청장에 의해 35 USC §122 및 그에 따른 미국 특허 및 상표청장의 규칙(37 CFR §1.14 포함, 특히 886 OG 638 참조)에 따라 권리가 있는 것으로 결정한 이에게 프로제니의 분양을 보장한다.
본 출원의 양수인은 적합한 조건 하에 배양할 때 기탁 물질의 배양물이 사멸하거나 손실되거나 파손된 경우, 그 통지시 물질을 다른 동일한 물질로 즉시 교체할 것임을 동의하였다. 기탁 물질의 분양은 각국 정부의 권한으로 그 특허법에 따라 승인된 권리에 위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도록 허가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앞서 기술한 명세서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에 충분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은 본원에 제시한 실시예에 의해 그 영역이 제한되지 않는다. 실제로, 앞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원에 나타내고 기술된 것 이외에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며, 이는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내에 속하는 것이다.
<110> CHUNTHARAPAI, ANAN GREWAL, IQBAL KIM, KYUNG JIN YAN, MINHONG <120> TACI Antibodies and Uses Thereof <130> P1942R1 <140> US 10/626,914 <141> 2003-07-25 <150> US 60/398,530 <151> 2002-07-25 <160> 17 <210> 1 <211> 1377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1 agcatcctga gtaatgagtg gcctgggccg gagcaggcga ggtggccgga 50 gccgtgtgga ccaggaggag cgctttccac agggcctgtg gacgggggtg 100 gctatgagat cctgccccga agagcagtac tgggatcctc tgctgggtac 150 ctgcatgtcc tgcaaaacca tttgcaacca tcagagccag cgcacctgtg 200 cagccttctg caggtcactc agctgccgca aggagcaagg caagttctat 250 gaccatctcc tgagggactg catcagctgt gcctccatct gtggacagca 300 ccctaagcaa tgtgcatact tctgtgagaa caagctcagg agcccagtga 350 accttccacc agagctcagg agacagcgga gtggagaagt tgaaaacaat 400 tcagacaact cgggaaggta ccaaggattg gagcacagag gctcagaagc 450 aagtccagct ctcccggggc tgaagctgag tgcagatcag gtggccctgg 500 tctacagcac gctggggctc tgcctgtgtg ccgtcctctg ctgcttcctg 550 gtggcggtgg cctgcttcct caagaagagg ggggatccct gctcctgcca 600 gccccgctca aggccccgtc aaagtccggc caagtcttcc caggatcacg 650 cgatggaagc cggcagccct gtgagcacat cccccgagcc agtggagacc 700 tgcagcttct gcttccctga gtgcagggcg cccacgcagg agagcgcagt 750 cacgcctggg acccccgacc ccacttgtgc tggaaggtgg gggtgccaca 800 ccaggaccac agtcctgcag ccttgcccac acatcccaga cagtggcctt 850 ggcattgtgt gtgtgcctgc ccaggagggg ggcccaggtg cataaatggg 900 ggtcagggag ggaaaggagg agggagagag atggagagga ggggagagag 950 aaagagaggt ggggagaggg gagagagata tgaggagaga gagacagagg 1000 aggcagaaag ggagagaaac agaggagaca gagagggaga gagagacaga 1050 gggagagaga gacagagggg aagagaggca gagagggaaa gaggcagaga 1100 aggaaagaga caggcagaga aggagagagg cagagaggga gagaggcaga 1150 gagggagaga ggcagagaga cagagaggga gagagggaca gagagagata 1200 gagcaggagg tcggggcact ctgagtccca gttcccagtg cagctgtagg 1250 tcgtcatcac ctaaccacac gtgcaataaa gtcctcgtgc ctgctgctca 1300 cagcccccga gagcccctcc tcctggagaa taaaaccttt ggcagctgcc 1350 cttcctcaaa aaaaaaaaaa aaaaaaa 1377 <210> 2 <211> 1377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2 tttttttttt tttttttttt gaggaagggc agctgccaaa ggttttattc 50 tccaggagga ggggctctcg ggggctgtga gcagcaggca cgaggacttt 100 attgcacgtg tggttaggtg atgacgacct acagctgcac tgggaactgg 150 gactcagagt gccccgacct cctgctctat ctctctctgt ccctctctcc 200 ctctctgtct ctctgcctct ctccctctct gcctctctcc ctctctgcct 250 ctctccttct ctgcctgtct ctttccttct ctgcctcttt ccctctctgc 300 ctctcttccc ctctgtctct ctctccctct gtctctctct ccctctctgt 350 ctcctctgtt tctctccctt tctgcctcct ctgtctctct ctcctcatat 400 ctctctcccc tctccccacc tctctttctc tctcccctcc tctccatctc 450 tctccctcct cctttccctc cctgaccccc atttatgcac ctgggccccc 500 ctcctgggca ggcacacaca caatgccaag gccactgtct gggatgtgtg 550 ggcaaggctg caggactgtg gtcctggtgt ggcaccccca ccttccagca 600 caagtggggt cgggggtccc aggcgtgact gcgctctcct gcgtgggcgc 650 cctgcactca gggaagcaga agctgcaggt ctccactggc tcgggggatg 700 tgctcacagg gctgccggct tccatcgcgt gatcctggga agacttggcc 750 ggactttgac ggggccttga gcggggctgg caggagcagg gatcccccct 800 cttcttgagg aagcaggcca ccgccaccag gaagcagcag aggacggcac 850 acaggcagag ccccagcgtg ctgtagacca gggccacctg atctgcactc 900 agcttcagcc ccgggagagc tggacttgct tctgagcctc tgtgctccaa 950 tccttggtac cttcccgagt tgtctgaatt gttttcaact tctccactcc 1000 gctgtctcct gagctctggt ggaaggttca ctgggctcct gagcttgttc 1050 tcacagaagt atgcacattg cttagggtgc tgtccacaga tggaggcaca 1100 gctgatgcag tccctcagga gatggtcata gaacttgcct tgctccttgc 1150 ggcagctgag tgacctgcag aaggctgcac aggtgcgctg gctctgatgg 1200 ttgcaaatgg ttttgcagga catgcaggta cccagcagag gatcccagta 1250 ctgctcttcg gggcaggatc tcatagccac ccccgtccac aggccctgtg 1300 gaaagcgctc ctcctggtcc acacggctcc ggccacctcg cctgctccgg 1350 cccaggccac tcattactca ggatgct 1377 <210> 3 <211> 293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 Met Ser Gly Leu Gly Arg Ser Arg Arg Gly Gly Arg Ser Arg Val 1 5 10 15 Asp Gln Glu Glu Arg Phe Pro Gln Gly Leu Trp Thr Gly Val Ala 20 25 30 Met Arg Ser Cys Pro Glu Glu Gln Tyr Trp Asp Pro Leu Leu Gly 35 40 45 Thr Cys Met Ser Cys Lys Thr Ile Cys Asn His Gln Ser Gln Arg 50 55 60 Thr Cys Ala Ala Phe Cys Arg Ser Leu Ser Cys Arg Lys Glu Gln 65 70 75 Gly Lys Phe Tyr Asp His Leu Leu Arg Asp Cys Ile Ser Cys Ala 80 85 90 Ser Ile Cys Gly Gln His Pro Lys Gln Cys Ala Tyr Phe Cys Glu 95 100 105 Asn Lys Leu Arg Ser Pro Val Asn Leu Pro Pro Glu Leu Arg Arg 110 115 120 Gln Arg Ser Gly Glu Val Glu Asn Asn Ser Asp Asn Ser Gly Arg 125 130 135 Tyr Gln Gly Leu Glu His Arg Gly Ser Glu Ala Ser Pro Ala Leu 140 145 150 Pro Gly Leu Lys Leu Ser Ala Asp Gln Val Ala Leu Val Tyr Ser 155 160 165 Thr Leu Gly Leu Cys Leu Cys Ala Val Leu Cys Cys Phe Leu Val 170 175 180 Ala Val Ala Cys Phe Leu Lys Lys Arg Gly Asp Pro Cys Ser Cys 185 190 195 Gln Pro Arg Ser Arg Pro Arg Gln Ser Pro Ala Lys Ser Ser Gln 200 205 210 Asp His Ala Met Glu Ala Gly Ser Pro Val Ser Thr Ser Pro Glu 215 220 225 Pro Val Glu Thr Cys Ser Phe Cys Phe Pro Glu Cys Arg Ala Pro 230 235 240 Thr Gln Glu Ser Ala Val Thr Pro Gly Thr Pro Asp Pro Thr Cys 245 250 255 Ala Gly Arg Trp Gly Cys His Thr Arg Thr Thr Val Leu Gln Pro 260 265 270 Cys Pro His Ile Pro Asp Ser Gly Leu Gly Ile Val Cys Val Pro 275 280 285 Ala Gln Glu Gly Gly Pro Gly Ala 290 <210> 4 <211> 995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4 aagactcaaa cttagaaact tgaattagat gtggtattca aatccttacg 50 tgccgcgaag acacagacag cccccgtaag aacccacgaa gcaggcgaag 100 ttcattgttc tcaacattct agctgctctt gctgcatttg ctctggaatt 150 cttgtagaga tattacttgt ccttccaggc tgttctttct gtagctccct 200 tgttttcttt ttgtgatcat gttgcagatg gctgggcagt gctcccaaaa 250 tgaatatttt gacagtttgt tgcatgcttg cataccttgt caacttcgat 300 gttcttctaa tactcctcct ctaacatgtc agcgttattg taatgcaagt 350 gtgaccaatt cagtgaaagg aacgaatgcg attctctgga cctgtttggg 400 actgagctta ataatttctt tggcagtttt cgtgctaatg tttttgctaa 450 ggaagataag ctctgaacca ttaaaggacg agtttaaaaa cacaggatca 500 ggtctcctgg gcatggctaa cattgacctg gaaaagagca ggactggtga 550 tgaaattatt cttccgagag gcctcgagta cacggtggaa gaatgcacct 600 gtgaagactg catcaagagc aaaccgaagg tcgactctga ccattgcttt 650 ccactcccag ctatggagga aggcgcaacc attcttgtca ccacgaaaac 700 gaatgactat tgcaagagcc tgccagctgc tttgagtgct acggagatag 750 agaaatcaat ttctgctagg taattaacca tttcgactcg agcagtgcca 800 ctttaaaaat cttttgtcag aatagatgat gtgtcagatc tctttaggat 850 gactgtattt ttcagttgcc gatacagctt tttgtcctct aactgtggaa 900 actctttatg ttagatatat ttctctaggt tactgttggg agcttaatgg 950 tagaaacttc cttggtttca tgattaaagt cttttttttt cctga 995 <210> 5 <211> 995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5 tcaggaaaaa aaaagacttt aatcatgaaa ccaaggaagt ttctaccatt 50 aagctcccaa cagtaaccta gagaaatata tctaacataa agagtttcca 100 cagttagagg acaaaaagct gtatcggcaa ctgaaaaata cagtcatcct 150 aaagagatct gacacatcat ctattctgac aaaagatttt taaagtggca 200 ctgctcgagt cgaaatggtt aattacctag cagaaattga tttctctatc 250 tccgtagcac tcaaagcagc tggcaggctc ttgcaatagt cattcgtttt 300 cgtggtgaca agaatggttg cgccttcctc catagctggg agtggaaagc 350 aatggtcaga gtcgaccttc ggtttgctct tgatgcagtc ttcacaggtg 400 cattcttcca ccgtgtactc gaggcctctc ggaagaataa tttcatcacc 450 agtcctgctc ttttccaggt caatgttagc catgcccagg agacctgatc 500 ctgtgttttt aaactcgtcc tttaatggtt cagagcttat cttccttagc 550 aaaaacatta gcacgaaaac tgccaaagaa attattaagc tcagtcccaa 600 acaggtccag agaatcgcat tcgttccttt cactgaattg gtcacacttg 650 cattacaata acgctgacat gttagaggag gagtattaga agaacatcga 700 agttgacaag gtatgcaagc atgcaacaaa ctgtcaaaat attcattttg 750 ggagcactgc ccagccatct gcaacatgat cacaaaaaga aaacaaggga 800 gctacagaaa gaacagcctg gaaggacaag taatatctct acaagaattc 850 cagagcaaat gcagcaagag cagctagaat gttgagaaca atgaacttcg 900 cctgcttcgt gggttcttac gggggctgtc tgtgtcttcg cggcacgtaa 950 ggatttgaat accacatcta attcaagttt ctaagtttga gtctt 995 <210> 6 <211> 184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6 Met Leu Gln Met Ala Gly Gln Cys Ser Gln Asn Glu Tyr Phe Asp 1 5 10 15 Ser Leu Leu His Ala Cys Ile Pro Cys Gln Leu Arg Cys Ser Ser 20 25 30 Asn Thr Pro Pro Leu Thr Cys Gln Arg Tyr Cys Asn Ala Ser Val 35 40 45 Thr Asn Ser Val Lys Gly Thr Asn Ala Ile Leu Trp Thr Cys Leu 50 55 60 Gly Leu Ser Leu Ile Ile Ser Leu Ala Val Phe Val Leu Met Phe 65 70 75 Leu Leu Arg Lys Ile Ser Ser Glu Pro Leu Lys Asp Glu Phe Lys 80 85 90 Asn Thr Gly Ser Gly Leu Leu Gly Met Ala Asn Ile Asp Leu Glu 95 100 105 Lys Ser Arg Thr Gly Asp Glu Ile Ile Leu Pro Arg Gly Leu Glu 110 115 120 Tyr Thr Val Glu Glu Cys Thr Cys Glu Asp Cys Ile Lys Ser Lys 125 130 135 Pro Lys Val Asp Ser Asp His Cys Phe Pro Leu Pro Ala Met Glu 140 145 150 Glu Gly Ala Thr Ile Leu Val Thr Thr Lys Thr Asn Asp Tyr Cys 155 160 165 Lys Ser Leu Pro Ala Ala Leu Ser Ala Thr Glu Ile Glu Lys Ser 170 175 180 Ile Ser Ala Arg <210> 7 <211> 858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7 atggatgact ccacagaaag ggagcagtca cgccttactt cttgccttaa 50 gaaaagagaa gaaatgaaac tgaaggagtg tgtttccatc ctcccacgga 100 aggaaagccc ctctgtccga tcctccaaag acggaaagct gctggctgca 150 accttgctgc tggcactgct gtcttgctgc ctcacggtgg tgtctttcta 200 ccaggtggcc gccctgcaag gggacctggc cagcctccgg gcagagctgc 250 agggccacca cgcggagaag ctgccagcag gagcaggagc ccccaaggcc 300 ggcttggagg aagctccagc tgtcaccgcg ggactgaaaa tctttgaacc 350 accagctcca ggagaaggca actccagtca gaacagcaga aataagcgtg 400 ccgttcaggg tccagaagaa acagtcactc aagactgctt gcaactgatt 450 gcagacagtg aaacaccaac tatacaaaaa ggatcttaca catttgttcc 500 atggcttctc agctttaaaa ggggaagtgc cctagaagaa aaagagaata 550 aaatattggt caaagaaact ggttactttt ttatatatgg tcaggtttta 600 tatactgata agacctacgc catgggacat ctaattcaga ggaagaaggt 650 ccatgtcttt ggggatgaat tgagtctggt gactttgttt cgatgtattc 700 aaaatatgcc tgaaacacta cccaataatt cctgctattc agctggcatt 750 gcaaaactgg aagaaggaga tgaactccaa cttgcaatac caagagaaaa 800 tgcacaaata tcactggatg gagatgtcac attttttggt gcattgaaac 850 tgctgtga 858 <210> 8 <211> 858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8 tcacagcagt ttcaatgcac caaaaaatgt gacatctcca tccagtgata 50 tttgtgcatt ttctcttggt attgcaagtt ggagttcatc tccttcttcc 100 agttttgcaa tgccagctga atagcaggaa ttattgggta gtgtttcagg 150 catattttga atacatcgaa acaaagtcac cagactcaat tcatccccaa 200 agacatggac cttcttcctc tgaattagat gtcccatggc gtaggtctta 250 tcagtatata aaacctgacc atatataaaa aagtaaccag tttctttgac 300 caatatttta ttctcttttt cttctagggc acttcccctt ttaaagctga 350 gaagccatgg aacaaatgtg taagatcctt tttgtatagt tggtgtttca 400 ctgtctgcaa tcagttgcaa gcagtcttga gtgactgttt cttctggacc 450 ctgaacggca cgcttatttc tgctgttctg actggagttg ccttctcctg 500 gagctggtgg ttcaaagatt ttcagtcccg cggtgacagc tggagcttcc 550 tccaagccgg ccttgggggc tcctgctcct gctggcagct tctccgcgtg 600 gtggccctgc agctctgccc ggaggctggc caggtcccct tgcagggcgg 650 ccacctggta gaaagacacc accgtgaggc agcaagacag cagtgccagc 700 agcaaggttg cagccagcag ctttccgtct ttggaggatc ggacagaggg 750 gctttccttc cgtgggagga tggaaacaca ctccttcagt ttcatttctt 800 ctcttttctt aaggcaagaa gtaaggcgtg actgctccct ttctgtggag 850 tcatccat 858 <210> 9 <211> 285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9 Met Asp Asp Ser Thr Glu Arg Glu Gln Ser Arg Leu Thr Ser Cys 1 5 10 15 Leu Lys Lys Arg Glu Glu Met Lys Leu Lys Glu Cys Val Ser Ile 20 25 30 Leu Pro Arg Lys Glu Ser Pro Ser Val Arg Ser Ser Lys Asp Gly 35 40 45 Lys Leu Leu Ala Ala Thr Leu Leu Leu Ala Leu Leu Ser Cys Cys 50 55 60 Leu Thr Val Val Ser Phe Tyr Gln Val Ala Ala Leu Gln Gly Asp 65 70 75 Leu Ala Ser Leu Arg Ala Glu Leu Gln Gly His His Ala Glu Lys 80 85 90 Leu Pro Ala Gly Ala Gly Ala Pro Lys Ala Gly Leu Glu Glu Ala 95 100 105 Pro Ala Val Thr Ala Gly Leu Lys Ile Phe Glu Pro Pro Ala Pro 110 115 120 Gly Glu Gly Asn Ser Ser Gln Asn Ser Arg Asn Lys Arg Ala Val 125 130 135 Gln Gly Pro Glu Glu Thr Val Thr Gln Asp Cys Leu Gln Leu Ile 140 145 150 Ala Asp Ser Glu Thr Pro Thr Ile Gln Lys Gly Ser Tyr Thr Phe 155 160 165 Val Pro Trp Leu Leu Ser Phe Lys Arg Gly Ser Ala Leu Glu Glu 170 175 180 Lys Glu Asn Lys Ile Leu Val Lys Glu Thr Gly Tyr Phe Phe Ile 185 190 195 Tyr Gly Gln Val Leu Tyr Thr Asp Lys Thr Tyr Ala Met Gly His 200 205 210 Leu Ile Gln Arg Lys Lys Val His Val Phe Gly Asp Glu Leu Ser 215 220 225 Leu Val Thr Leu Phe Arg Cys Ile Gln Asn Met Pro Glu Thr Leu 230 235 240 Pro Asn Asn Ser Cys Tyr Ser Ala Gly Ile Ala Lys Leu Glu Glu 245 250 255 Gly Asp Glu Leu Gln Leu Ala Ile Pro Arg Glu Asn Ala Gln Ile 260 265 270 Ser Leu Asp Gly Asp Val Thr Phe Phe Gly Ala Leu Lys Leu Leu 275 280 285 <210> 10 <211> 1348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10 ggtacgaggc ttcctagagg gactggaacc taattctcct gaggctgagg 50 gagggtggag ggtctcaagg caacgctggc cccacgacgg agtgccagga 100 gcactaacag tacccttagc ttgctttcct cctccctcct ttttattttc 150 aagttccttt ttatttctcc ttgcgtaaca accttcttcc cttctgcacc 200 actgcccgta cccttacccg ccccgccacc tccttgctac cccactcttg 250 aaaccacagc tgttggcagg gtccccagct catgccagcc tcatctcctt 300 tcttgctagc ccccaaaggg cctccaggca acatgggggg cccagtcaga 350 gagccggcac tctcagttgc cctctggttg agttgggggg cagctctggg 400 ggccgtggct tgtgccatgg ctctgctgac ccaacaaaca gagctgcaga 450 gcctcaggag agaggtgagc cggctgcagg ggacaggagg cccctcccag 500 aatggggaag ggtatccctg gcagagtctc ccggagcaga gttccgatgc 550 cctggaagcc tgggagaatg gggagagatc ccggaaaagg agagcagtgc 600 tcacccaaaa acagaagaag cagcactctg tcctgcacct ggttcccatt 650 aacgccacct ccaaggatga ctccgatgtg acagaggtga tgtggcaacc 700 agctcttagg cgtgggagag gcctacaggc ccaaggatat ggtgtccgaa 750 tccaggatgc tggagtttat ctgctgtata gccaggtcct gtttcaagac 800 gtgactttca ccatgggtca ggtggtgtct cgagaaggcc aaggaaggca 850 ggagactcta ttccgatgta taagaagtat gccctcccac ccggaccggg 900 cctacaacag ctgctatagc gcaggtgtct tccatttaca ccaaggggat 950 attctgagtg tcataattcc ccgggcaagg gcgaaactta acctctctcc 1000 acatggaacc ttcctggggt ttgtgaaact gtgattgtgt tataaaaagt 1050 ggctcccagc ttggaagacc agggtgggta catactggag acagccaaga 1100 gctgagtata taaaggagag ggaatgtgca ggaacagagg catcttcctg 1150 ggtttggctc cccgttcctc acttttccct tttcattccc accccctaga 1200 ctttgatttt acggatatct tgcttctgtt ccccatggag ctccgaattc 1250 ttgcgtgtgt gtagatgagg ggcgggggac gggcgccagg cattgttcag 1300 acctggtcgg ggcccactgg aagcatccag aacagcacca ccatctta 1348 <210> 11 <211> 1348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11 taagatggtg gtgctgttct ggatgcttcc agtgggcccc gaccaggtct 50 gaacaatgcc tggcgcccgt cccccgcccc tcatctacac acacgcaaga 100 attcggagct ccatggggaa cagaagcaag atatccgtaa aatcaaagtc 150 tagggggtgg gaatgaaaag ggaaaagtga ggaacgggga gccaaaccca 200 ggaagatgcc tctgttcctg cacattccct ctcctttata tactcagctc 250 ttggctgtct ccagtatgta cccaccctgg tcttccaagc tgggagccac 300 tttttataac acaatcacag tttcacaaac cccaggaagg ttccatgtgg 350 agagaggtta agtttcgccc ttgcccgggg aattatgaca ctcagaatat 400 ccccttggtg taaatggaag acacctgcgc tatagcagct gttgtaggcc 450 cggtccgggt gggagggcat acttcttata catcggaata gagtctcctg 500 ccttccttgg ccttctcgag acaccacctg acccatggtg aaagtcacgt 550 cttgaaacag gacctggcta tacagcagat aaactccagc atcctggatt 600 cggacaccat atccttgggc ctgtaggcct ctcccacgcc taagagctgg 650 ttgccacatc acctctgtca catcggagtc atccttggag gtggcgttaa 700 tgggaaccag gtgcaggaca gagtgctgct tcttctgttt ttgggtgagc 750 actgctctcc ttttccggga tctctcccca ttctcccagg cttccagggc 800 atcggaactc tgctccggga gactctgcca gggataccct tccccattct 850 gggaggggcc tcctgtcccc tgcagccggc tcacctctct cctgaggctc 900 tgcagctctg tttgttgggt cagcagagcc atggcacaag ccacggcccc 950 cagagctgcc ccccaactca accagagggc aactgagagt gccggctctc 1000 tgactgggcc ccccatgttg cctggaggcc ctttgggggc tagcaagaaa 1050 ggagatgagg ctggcatgag ctggggaccc tgccaacagc tgtggtttca 1100 agagtggggt agcaaggagg tggcggggcg ggtaagggta cgggcagtgg 1150 tgcagaaggg aagaaggttg ttacgcaagg agaaataaaa aggaacttga 1200 aaataaaaag gagggaggag gaaagcaagc taagggtact gttagtgctc 1250 ctggcactcc gtcgtggggc cagcgttgcc ttgagaccct ccaccctccc 1300 tcagcctcag gagaattagg ttccagtccc tctaggaagc ctcgtacc 1348 <210> 12 <211> 250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2 Met Pro Ala Ser Ser Pro Phe Leu Leu Ala Pro Lys Gly Pro Pro 1 5 10 15 Gly Asn Met Gly Gly Pro Val Arg Glu Pro Ala Leu Ser Val Ala 20 25 30 Leu Trp Leu Ser Trp Gly Ala Ala Leu Gly Ala Val Ala Cys Ala 35 40 45 Met Ala Leu Leu Thr Gln Gln Thr Glu Leu Gln Ser Leu Arg Arg 50 55 60 Glu Val Ser Arg Leu Gln Gly Thr Gly Gly Pro Ser Gln Asn Gly 65 70 75 Glu Gly Tyr Pro Trp Gln Ser Leu Pro Glu Gln Ser Ser Asp Ala 80 85 90 Leu Glu Ala Trp Glu Asn Gly Glu Arg Ser Arg Lys Arg Arg Ala 95 100 105 Val Leu Thr Gln Lys Gln Lys Lys Gln His Ser Val Leu His Leu 110 115 120 Val Pro Ile Asn Ala Thr Ser Lys Asp Asp Ser Asp Val Thr Glu 125 130 135 Val Met Trp Gln Pro Ala Leu Arg Arg Gly Arg Gly Leu Gln Ala 140 145 150 Gln Gly Tyr Gly Val Arg Ile Gln Asp Ala Gly Val Tyr Leu Leu 155 160 165 Tyr Ser Gln Val Leu Phe Gln Asp Val Thr Phe Thr Met Gly Gln 170 175 180 Val Val Ser Arg Glu Gly Gln Gly Arg Gln Glu Thr Leu Phe Arg 185 190 195 Cys Ile Arg Ser Met Pro Ser His Pro Asp Arg Ala Tyr Asn Ser 200 205 210 Cys Tyr Ser Ala Gly Val Phe His Leu His Gln Gly Asp Ile Leu 215 220 225 Ser Val Ile Ile Pro Arg Ala Arg Ala Lys Leu Asn Leu Ser Pro 230 235 240 His Gly Thr Phe Leu Gly Phe Val Lys Leu 245 250 <210> 13 <211> 1239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13 agcatcctga gtaatgagtg gcctgggccg gagcaggcga ggtggccgga 50 gccgtgtgga ccaggaggag cgctggtcac tcagctgccg caaggagcaa 100 ggcaagttct atgaccatct cctgagggac tgcatcagct gtgcctccat 150 ctgtggacag caccctaagc aatgtgcata cttctgtgag aacaagctca 200 ggagcccagt gaaccttcca ccagagctca ggagacagcg gagtggagaa 250 gttgaaaaca attcagacaa ctcgggaagg taccaaggat tggagcacag 300 aggctcagaa gcaagtccag ctctcccggg gctgaagctg agtgcagatc 350 aggtggccct ggtctacagc acgctggggc tctgcctgtg tgccgtcctc 400 tgctgcttcc tggtggcggt ggcctgcttc ctcaagaaga ggggggatcc 450 ctgctcctgc cagccccgct caaggccccg tcaaagtccg gccaagtctt 500 cccaggatca cgcgatggaa gccggcagcc ctgtgagcac atcccccgag 550 ccagtggaga cctgcagctt ctgcttccct gagtgcaggg cgcccacgca 600 ggagagcgca gtcacgcctg ggacccccga ccccacttgt gctggaaggt 650 gggggtgcca caccaggacc acagtcctgc agccttgccc acacatccca 700 gacagtggcc ttggcattgt gtgtgtgcct gcccaggagg ggggcccagg 750 tgcataaatg ggggtcaggg agggaaagga ggagggagag agatggagag 800 gaggggagag agaaagagag gtggggagag gggagagaga tatgaggaga 850 gagagacaga ggaggcagaa agggagagaa acagaggaga cagagaggga 900 gagagagaca gagggagaga gagacagagg ggaagagagg cagagaggga 950 aagaggcaga gaaggaaaga gacaggcaga gaaggagaga ggcagagagg 1000 gagagaggca gagagggaga gaggcagaga gacagagagg gagagaggga 1050 cagagagaga tagagcagga ggtcggggca ctctgagtcc cagttcccag 1100 tgcagctgta ggtcgtcatc acctaaccac acgtgcaata aagtcctcgt 1150 gcctgctgct cacagccccc gagagcccct cctcctggag aataaaacct 1200 ttggcagctg cccttcctca aaaaaaaaaa aaaaaaaaa 1239 <210> 14 <211> 246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4 Met Ser Gly Leu Gly Arg Ser Arg Arg Gly Gly Arg Ser Arg Val 1 5 10 15 Asp Gln Glu Glu Arg Trp Ser Leu Ser Cys Arg Lys Glu Gln Gly 20 25 30 Lys Phe Tyr Asp His Leu Leu Arg Asp Cys Ile Ser Cys Ala Ser 35 40 45 Ile Cys Gly Gln His Pro Lys Gln Cys Ala Tyr Phe Cys Glu Asn 50 55 60 Lys Leu Arg Ser Pro Val Asn Leu Pro Pro Glu Leu Arg Arg Gln 65 70 75 Arg Ser Gly Glu Val Glu Asn Asn Ser Asp Asn Ser Gly Arg Tyr 80 85 90 Gln Gly Leu Glu His Arg Gly Ser Glu Ala Ser Pro Ala Leu Pro 95 100 105 Gly Leu Lys Leu Ser Ala Asp Gln Val Ala Leu Val Tyr Ser Thr 110 115 120 Leu Gly Leu Cys Leu Cys Ala Val Leu Cys Cys Phe Leu Val Ala 125 130 135 Val Ala Cys Phe Leu Lys Lys Arg Gly Asp Pro Cys Ser Cys Gln 140 145 150 Pro Arg Ser Arg Pro Arg Gln Ser Pro Ala Lys Ser Ser Gln Asp 155 160 165 His Ala Met Glu Ala Gly Ser Pro Val Ser Thr Ser Pro Glu Pro 170 175 180 Val Glu Thr Cys Ser Phe Cys Phe Pro Glu Cys Arg Ala Pro Thr 185 190 195 Gln Glu Ser Ala Val Thr Pro Gly Thr Pro Asp Pro Thr Cys Ala 200 205 210 Gly Arg Trp Gly Cys His Thr Arg Thr Thr Val Leu Gln Pro Cys 215 220 225 Pro His Ile Pro Asp Ser Gly Leu Gly Ile Val Cys Val Pro Ala 230 235 240 Gln Glu Gly Gly Pro Gly 245 <210> 15 <211> 595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15 cgtcggcacc atgaggcgag ggccccggag cctgcggggc agggacgcgc 50 cagcccccac gccctgcgtc ccggccgagt gcttcgacct gctggtccgc 100 cactgcgtgg cctgcgggct cctgcgcacg ccgcggccga aaccggccgg 150 ggccagcagc cctgcgccca ggacggcgct gcagccgcag gagtcggtgg 200 gcgcgggggc cggcgaggcg gcgctgcccc tgcccgggct gctctttggc 250 gcccccgcgc tgctgggcct ggcactggtc ctggcgctgg tcctggtggg 300 tctggtgagc tggaggcggc gacagcggcg gcttcgcggc gcgtcctccg 350 cagaggcccc cgacggagac aaggacgccc cagagcccct ggacaaggtc 400 atcattctgt ctccgggaat ctctgatgcc acagctcctg cctggcctcc 450 tcctggggaa gacccaggaa ccaccccacc tggccacagt gtccctgtgc 500 cagccacaga gctgggctcc actgaactgg tgaccaccaa gacggccggc 550 cctgagcaac aatagcaggg agccggcagg aggtggcccc tgccc 595 <210> 16 <211> 184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6 Met Arg Arg Gly Pro Arg Ser Leu Arg Gly Arg Asp Ala Pro Ala 1 5 10 15 Pro Thr Pro Cys Val Pro Ala Glu Cys Phe Asp Leu Leu Val Arg 20 25 30 His Cys Val Ala Cys Gly Leu Leu Arg Thr Pro Arg Pro Lys Pro 35 40 45 Ala Gly Ala Ser Ser Pro Ala Pro Arg Thr Ala Leu Gln Pro Gln 50 55 60 Glu Ser Val Gly Ala Gly Ala Gly Glu Ala Ala Leu Pro Leu Pro 65 70 75 Gly Leu Leu Phe Gly Ala Pro Ala Leu Leu Gly Leu Ala Leu Val 80 85 90 Leu Ala Leu Val Leu Val Gly Leu Val Ser Trp Arg Arg Arg Gln 95 100 105 Arg Arg Leu Arg Gly Ala Ser Ser Ala Glu Ala Pro Asp Gly Asp 110 115 120 Lys Asp Ala Pro Glu Pro Leu Asp Lys Val Ile Ile Leu Ser Pro 125 130 135 Gly Ile Ser Asp Ala Thr Ala Pro Ala Trp Pro Pro Pro Gly Glu 140 145 150 Asp Pro Gly Thr Thr Pro Pro Gly His Ser Val Pro Val Pro Ala 155 160 165 Thr Glu Leu Gly Ser Thr Glu Leu Val Thr Thr Lys Thr Ala Gly 170 175 180 Pro Glu Gln Gln <210> 17 <211> 265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7 Met Ser Gly Leu Gly Arg Ser Arg Arg Gly Gly Arg Ser Arg Val 1 5 10 15 Asp Gln Glu Glu Arg Phe Pro Gln Gly Leu Trp Thr Gly Val Ala 20 25 30 Met Arg Ser Cys Pro Glu Glu Gln Tyr Trp Asp Pro Leu Leu Gly 35 40 45 Thr Cys Met Ser Cys Lys Thr Ile Cys Asn His Gln Ser Gln Arg 50 55 60 Thr Cys Ala Ala Phe Cys Arg Ser Leu Ser Cys Arg Lys Glu Gln 65 70 75 Gly Lys Phe Tyr Asp His Leu Leu Arg Asp Cys Ile Ser Cys Ala 80 85 90 Ser Ile Cys Gly Gln His Pro Lys Gln Cys Ala Tyr Phe Cys Glu 95 100 105 Asn Lys Leu Arg Ser Pro Val Asn Leu Pro Pro Glu Leu Arg Arg 110 115 120 Gln Arg Ser Gly Glu Val Glu Asn Asn Ser Asp Asn Ser Gly Arg 125 130 135 Tyr Gln Gly Leu Glu His Arg Gly Ser Glu Ala Ser Pro Ala Leu 140 145 150 Pro Gly Leu Lys Leu Ser Ala Asp Gln Val Ala Leu Val Tyr Ser 155 160 165 Thr Leu Gly Leu Cys Leu Cys Ala Val Leu Cys Cys Phe Leu Val 170 175 180 Ala Val Ala Cys Phe Leu Lys Lys Arg Gly Asp Pro Cys Ser Cys 185 190 195 Gln Pro Arg Ser Arg Pro Arg Gln Ser Pro Ala Lys Ser Ser Gln 200 205 210 Asp His Ala Met Glu Ala Gly Ser Pro Val Ser Thr Ser Pro Glu 215 220 225 Pro Val Glu Thr Cys Ser Phe Cys Phe Pro Glu Cys Arg Ala Pro 230 235 240 Thr Gln Glu Ser Ala Val Thr Pro Gly Thr Pro Asp Pro Thr Cys 245 250 255 Ala Gly Arg Thr Ala Pro Pro Arg Glu Gly 260 265

Claims (44)

  1. 서열 번호 3의 아미노산 2 내지 166을 포함하는 TACI 수용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2. 제 1 항에 있어서, BCMA 수용체에 결합하지 않는 항체.
  3. 제 1 항에 있어서, 단일클론 항체인 항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수탁 번호 PTA-4297로서 ATCC에 기탁된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분비된 1G10.1.5 항체, 수탁 번호 PTA-4298로서 ATCC에 기탁된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분비된 5B6.3.10 항체, 또는 수탁 번호 PTA-4299로서 ATCC에 기탁된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분비된 6D11.3.1 항체를 포함하는 단일클론 항체.
  5. ATCC 수탁 번호 PTA-4297로서 기탁된 하이브리도마 세포주에 의해 생산되는 1G10.1.5 단일클론 항체가 결합하는 에피토프, ATCC 수탁 번호 PTA-4298로서 기탁된 하이브리도마 세포주에 의해 생산되는 5B6.3.10 단일클론 항체가 결합하는 에피토프, 또는 ATCC 수탁 번호 PTA-4299로서 기탁된 하이브리도마 세포주에 의해 생산되는 6D11.3.1 단일클론 항체가 결합하는 에피토프와 동일한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단일클론 항체.
  6. 단일클론 항체 1G10.1.5를 생산하고 수탁 번호 PTA-4297로서 ATCC에 기탁된 하이브리도마 세포주.
  7. 수탁 번호 PTA-4297로서 ATCC에 기탁된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분비되는 단일클론 항체 1G10.1.5.
  8. 단일클론 항체 5B6.3.10을 생산하고 수탁 번호 PTA-4298로서 ATCC에 기탁된 하이브리도마 세포주.
  9. 수탁 번호 PTA-4298로서 ATCC에 기탁된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분비되는 단일클론 항체 5B6.3.10.
  10. 단일클론 항체 6D11.3.1을 생산하고 수탁 번호 PTA-4299로서 ATCC에 기탁된 하이브리도마 세포주.
  11. 수탁 번호 PTA-4299로서 ATCC에 기탁된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분비된 단일클론 항체 6D11.3.1.
  12. 서열 번호 3의 아미노산 2 내지 166을 포함하는 TACI 수용체에 결합하고, ATCC PTA-4297로서 기탁된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생산되는 단일클론 항체가 상기 TACI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경쟁적으로 억제하는 항체를 포함하는 단리된 항-TACI 수용체 단일클론 항체.
  13. 서열 번호 3의 아미노산 2 내지 166을 포함하는 TACI 수용체에 결합하고, ATCC PTA-4298로서 기탁된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생산되는 단일클론 항체가 상기 TACI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경쟁적으로 억제하는 항체를 포함하는 단리된 항-TACI 수용체 단일클론 항체.
  14. 서열 번호 3의 아미노산 2 내지 166을 포함하는 TACI 수용체에 결합하고, ATCC PTA-4299로서 기탁된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생산되는 단일클론 항체가 상기 TACI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경쟁적으로 억제하는 항체를 포함하는 단리된 항-TACI 수용체 단일클론 항체.
  15. TACI 폴리펩티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a) 수탁 번호 PTA-4297로서 ATCC에 기탁된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분비된 1G10.1.5 항체로부터 유래한 서열; (b) 수탁 번호 PTA-4298로서 ATCC에 기탁된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분비된 5B6.3.10 항체로부터 유래한 서열; 또는 (c) 수탁 번호 PTA-4299로서 ATCC에 기탁된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분비된 6D11.3.1 항체로부터 유래한 서열을 포함하는 키메릭 항-TACI 항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인간화된 것인 항-TACI 항체.
  17.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및 폴리옥시알킬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비단백질성 중합체에 결합된 항-TACI 수용체 항체.
  18. 제 1 항에 있어서, 세포독성제 또는 효소에 결합된 항-TACI 수용체 항체.
  19. 제 1 항에 있어서, 방사성 동위원소, 형광 화합물 또는 화학발광 화합물에 결합된 항-TACI 수용체 항체.
  20. 제 1 항에 있어서, 글리코실화된 항-TACI 수용체 항체.
  21. 제 1 항에 있어서, 비글리코실화된 항-TACI 수용체 항체.
  22. 포유류 세포를 유효량의 TACI 수용체 항체에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항체가 서열 번호 3의 아미노산 2 내지 166을 포함하는 TACI 수용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인, 상기 포유류 세포에서 TALL-1 또는 TACI 폴리펩티드 생물학적 활성 조절 방법.
  23. TACI 수용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B-세포 증식을 억제하며 TACI 수용체에 대한 BLyS 결합은 억제하지 않는 항체.
  24. 제 1 항에 있어서, 단일클론 항체인 항체.
  25. 제 1 항에 있어서, 2003년 2월 11일에 7B6.15.11 (수탁 번호 PTA-5000)로서 ATCC에 기탁된 하이브리도마 세포주에 의해 생산되는 항체.
  26. 제 24 항에 있어서, 2003년 2월 11일에 7B6.15.11 (수탁 번호 PTA-5000)로서 ATCC에 기탁된 하이브리도마 세포주에 의해 생산되는 항체가 결합하는 에피토프와 동일한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항체.
  27. 2003년 2월 11일에 7B6.15.11 (수탁 번호 PTA-5000)로서 ATCC에 기탁된 하이브리도마 세포주에 의해 생산되는 단일클론 항체가 결합하는 에피토프와 동일한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단일클론 항체.
  28. 7B6 단일클론 항체를 생산하고 7B6.15.11 (수탁 번호 PTA-5000)로서 ATCC에 기탁된 하이브리도마 세포주.
  29. 수탁 번호 PTA-5000으로서 ATCC에 기탁된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생산되는 단일클론 항체 7B6.
  30. TACI 수용체에 결합하고 ATCC PTA-5000으로서 기탁된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생산되는 단일클론 항체가 상기 TACI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경쟁적으로 억제하는 항체를 포함하는 단일클론 항체.
  31. TACI 폴리펩티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수탁 번호 PTA-5000으로서 ATCC에 기탁된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생산되는 항체의 가변 도메인으로부터 유래하는 서열을 포함하는 단일클론 항체.
  32. 제 31 항에 있어서, 키메릭 항체인 항체.
  33. 제 31 항에 있어서, 인간화된 것인 항체.
  34. 제 23 항, 제 26 항, 제 30 항 및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및 폴리옥시알킬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비단백질성 중합체에 결합된 항체.
  35. 제 23 항, 제 26 항, 제 30 항 및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포독성제 또는 효소에 결합된 항체.
  36. 제 23 항, 제 26 항, 제 30 항 및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사성 동위원소, 형광 화합물 또는 화학발광 화합물에 결합된 항체.
  37. 제 23 항, 제 26 항, 제 30 항 및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글리코실화된 항체.
  38. 제 23 항, 제 26 항, 제 30 항 및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글리코실화된 항체.
  39. 제 23 항, 제 26 항, 제 30 항 및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체에 포유류 세포를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포유류 세포의 TACI 폴리펩티드 생물학적 활성 조절 방법.
  40. 수탁 번호 PTA-4999로서 ATCC에 기탁된 4C7.2.1 하이브리도마 세포주에 의해 생산되는 항체가 결합하는 에피토프와 동일한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단일클론 항체.
  41. 수탁 번호 PTA-4999로서 ATCC에 기탁된 4C7.2.1 하이브리도마 세포주.
  42. 수탁 번호 PTA-4999로서 ATCC에 기탁된 4C7.2.1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분비된 단일클론 항체.
  43. TACI 폴리펩티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수탁 번호 PTA-4999로서 ATCC에 기탁된 4C7.2.1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분비된 항체의 가변 도메인으로부터 유래하는 서열을 포함하는 키메릭 항-TACI 항체.
  44. 제 43 항에 있어서, 인간화된 것인 항-TACI 항체.
KR1020057001299A 2002-07-25 2003-07-25 Taci 항체 및 그의 용도 KR200501163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9853002P 2002-07-25 2002-07-25
US60/398,530 2002-07-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6360A true KR20050116360A (ko) 2005-12-12

Family

ID=31188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1299A KR20050116360A (ko) 2002-07-25 2003-07-25 Taci 항체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20050043516A1 (ko)
EP (1) EP1551877A4 (ko)
JP (1) JP2005533863A (ko)
KR (1) KR20050116360A (ko)
CN (1) CN1692127A (ko)
AU (1) AU2003256836A1 (ko)
BR (1) BR0313033A (ko)
CA (1) CA2492447A1 (ko)
MX (1) MXPA05000940A (ko)
NZ (1) NZ537781A (ko)
WO (1) WO2004011611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61214A1 (en) * 2010-12-31 2022-03-02 BioAtla, Inc. Comprehensive monoclonal antibody generation
WO2022131889A1 (ko) * 2020-12-16 2022-06-23 주식회사 굳티셀 Taci 단백질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83387B1 (en) 1999-01-15 2007-02-27 Genentech, Inc. Polypeptide variants with altered effector function
US7112410B1 (en) 2001-08-29 2006-09-26 Human Genome Sciences, Inc. Human tumor necrosis factor TR21 and methods based thereon
US20050276812A1 (en) 2004-06-01 2005-12-15 Genentech, Inc. Antibody-drug conjugates and methods
BR122018071968B8 (pt) 2003-11-06 2021-07-27 Seattle Genetics Inc conjugado de anticorpo-droga, composição farmacêutica, artigo de manufatura e uso de um conjugado de anticorpo-droga
US20100111856A1 (en) 2004-09-23 2010-05-06 Herman Gill Zirconium-radiolabeled, cysteine engineered antibody conjugates
NZ580115A (en) 2004-09-23 2010-10-29 Genentech Inc Cysteine engineered antibody light chains and conjugates
US20090304674A1 (en) * 2005-04-22 2009-12-10 Kipps Thomas J Methods for treating disease by regulating cll cell survival
CN102010403A (zh) 2005-10-13 2011-04-13 卫材R&D管理有限公司 普拉二烯内酯b和普拉二烯内酯d的全合成
WO2007142667A2 (en) 2005-10-13 2007-12-13 Human Genome Sciences, Inc. Treatment of patients with autoantibody positive disease
WO2007062090A2 (en) 2005-11-23 2007-05-31 Genentech,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related to b cell assays
EA201170028A1 (ru) * 2008-07-02 2011-12-30 Эмерджент Продакт Дивелопмент Сиэтл, Ллс СВЯЗЫВАЮЩИЕ НЕСКОЛЬКО МИШЕНЕЙ БЕЛКИ, ОБЛАДАЮЩИЕ АНТАГОНИСТИЧЕСКИМ ДЕЙСТВИЕМ TNF-α
WO2010040105A2 (en) 2008-10-02 2010-04-08 Trubion Pharmaceuticals, Inc. Cd86 antagonist multi-target binding proteins
AU2010292172A1 (en) 2009-09-09 2012-05-03 Centrose, Llc Extracellular targeted drug conjugates
PE20130342A1 (es) 2010-04-15 2013-04-20 Spirogen Sarl Pirrolobenzodiacepinas y conjugados de las mismas
CN114246952A (zh) 2010-06-08 2022-03-29 基因泰克公司 半胱氨酸改造的抗体和偶联物
EP2582392A4 (en) * 2010-06-18 2015-02-18 Human Genome Sciences Inc USE OF ANTAGONISTS OF A LYMPHOCYTE B STIMULATING PROTEIN FOR THE TREATMENT OF ASTHMA AND OTHER ALLERGIC AND INFLAMMATORY DISEASES OF THE RESPIRATORY SYSTEM
JP5889912B2 (ja) 2010-11-17 2016-03-22 ジェネンテッ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アラニニルメイタンシノール抗体コンジュゲート
JP5987053B2 (ja) 2011-05-12 2016-09-06 ジェネンテッ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フレームワークシグネチャーペプチドを用いて動物サンプルにおける治療抗体を検出するための多重反応モニタリングlc−ms/ms法
PT2750713E (pt) 2011-10-14 2016-01-20 Genentech Inc Pirrolobenzodiazepinas e conjugados das mesmas
WO2013130093A1 (en) 2012-03-02 2013-09-06 Genentech, Inc. Biomarkers for treatment with anti-tubulin chemotherapeutic compounds
WO2013171296A1 (en) 2012-05-16 2013-11-21 INSERM (Institut National de la Santé et de la Recherche Médicale) Diagnostic and treatment of sarcoidosis
JP6154900B2 (ja) 2012-07-13 2017-06-28 ロシュ グリクアート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二重特異性抗vegf/抗ang−2抗体及び眼血管疾患の処置におけるそれらの使用
ES2680153T3 (es) 2012-10-12 2018-09-04 Adc Therapeutics Sa Conjugados de anticuerpos anti-PSMA-pirrolobenzodiazepinas
PT2906296T (pt) 2012-10-12 2018-06-01 Medimmune Ltd Conjugados de pirrolobenzodiazepina-anticorpo
WO2014057120A1 (en) 2012-10-12 2014-04-17 Adc Therapeutics Sàrl Pyrrolobenzodiazepine-antibody conjugates
KR101995621B1 (ko) 2012-10-12 2019-07-03 에이디씨 테라퓨틱스 에스에이 피롤로벤조디아제핀-항-cd22 항체 컨주게이트
CA2887895C (en) 2012-10-12 2019-10-29 Adc Therapeutics Sarl Pyrrolobenzodiazepine-anti-cd19 antibody conjugates
JP6270859B2 (ja) 2012-10-12 2018-01-31 エイディーシー・セラピューティクス・エス・アー・エール・エルAdc Therapeutics Sarl ピロロベンゾジアゼピン−抗体結合体
RS53818B1 (en) 2012-10-12 2015-06-30 Spirogen Sàrl PIROLOBENZODIAZEPINI I NJIHOVI conjugated
CN110452242A (zh) 2012-12-21 2019-11-15 麦迪穆有限责任公司 吡咯并苯并二氮杂卓及其结合物
CN105246894A (zh) 2012-12-21 2016-01-13 斯皮罗根有限公司 用于治疗增殖性和自身免疫疾病的非对称吡咯并苯并二氮杂卓二聚物
KR102057755B1 (ko) 2013-03-13 2019-12-19 메디뮨 리미티드 피롤로벤조디아제핀 및 그의 컨쥬게이트
CA2905181C (en) 2013-03-13 2020-06-02 Medimmune Limited Pyrrolobenzodiazepines and conjugates thereof for providing targeted therapy
JP6340019B2 (ja) 2013-03-13 2018-06-06 メドイミューン・リミテッドMedImmune Limited ピロロベンゾジアゼピン及びそのコンジュゲート
EP2971077B1 (en) 2013-03-15 2019-05-22 INSERM (Institut National de la Santé et de la Recherche Médicale) Method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use in the treatment and prediction of myocardial infarction
KR20160042080A (ko) 2013-08-12 2016-04-18 제넨테크, 인크. 1-(클로로메틸)-2,3-디히드로-1H-벤조[e]인돌 이량체 항체-약물 접합체 화합물, 및 사용 및 치료 방법
US9956299B2 (en) 2013-10-11 2018-05-01 Medimmune Limited Pyrrolobenzodiazepine—antibody conjugates
US9950078B2 (en) 2013-10-11 2018-04-24 Medimmune Limited Pyrrolobenzodiazepine-antibody conjugates
GB201317982D0 (en) 2013-10-11 2013-11-27 Spirogen Sarl Pyrrolobenzodiazepines and conjugates thereof
EP3054983B1 (en) 2013-10-11 2019-03-20 Medimmune Limited Pyrrolobenzodiazepine-antibody conjugates
JP6671292B2 (ja) 2013-12-16 2020-03-25 ジェネンテッ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ペプチド模倣化合物及びその抗体−薬物コンジュゲート
MX2016007826A (es) 2013-12-16 2017-03-31 Genentech Inc Compuestos peptidomimeticos y sus conjugados de anticuerpo-farmaco.
WO2015095212A1 (en) 2013-12-16 2015-06-25 Genentech, Inc. 1-(chloromethyl)-2,3-dihydro-1h-benzo[e]indole dimer antibody-drug conjugate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and treatment
WO2016037644A1 (en) 2014-09-10 2016-03-17 Medimmune Limited Pyrrolobenzodiazepines and conjugates thereof
EP3191134B1 (en) 2014-09-12 2019-11-20 Genentech, Inc. Anthracycline disulfide intermediates, antibody-drug conjugates and methods
GB201416112D0 (en) 2014-09-12 2014-10-29 Medimmune Ltd Pyrrolobenzodiazepines and conjugates thereof
KR20170052600A (ko) 2014-09-12 2017-05-12 제넨테크, 인크. 시스테인 가공된 항체 및 콘주게이트
CA2959689A1 (en) 2014-09-17 2016-03-24 Genentech, Inc. Pyrrolobenzodiazepines and antibody disulfide conjugates thereof
EP3223854A1 (en) 2014-11-25 2017-10-04 ADC Therapeutics SA Pyrrolobenzodiazepine-antibody conjugates
CN107206101B (zh) 2014-12-03 2021-06-25 基因泰克公司 季铵化合物及其抗体-药物缀合物
GB201506402D0 (en) 2015-04-15 2015-05-27 Berkel Patricius H C Van And Howard Philip W Site-specific antibody-drug conjugates
GB201506411D0 (en) 2015-04-15 2015-05-27 Bergenbio As Humanized anti-axl antibodies
MA43345A (fr) 2015-10-02 2018-08-08 Hoffmann La Roche Conjugués anticorps-médicaments de pyrrolobenzodiazépine et méthodes d'utilisation
MA43354A (fr) 2015-10-16 2018-08-22 Genentech Inc Conjugués médicamenteux à pont disulfure encombré
MA45326A (fr) 2015-10-20 2018-08-29 Genentech Inc Conjugués calichéamicine-anticorps-médicament et procédés d'utilisation
GB201601431D0 (en) 2016-01-26 2016-03-09 Medimmune Ltd Pyrrolobenzodiazepines
GB201602359D0 (en) 2016-02-10 2016-03-23 Medimmune Ltd Pyrrolobenzodiazepine Conjugates
GB201602356D0 (en) 2016-02-10 2016-03-23 Medimmune Ltd Pyrrolobenzodiazepine Conjugates
JP6943872B2 (ja) 2016-03-25 2021-10-06 ジェネンテッ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多重全抗体及び抗体複合体化薬物定量化アッセイ
GB201607478D0 (en) 2016-04-29 2016-06-15 Medimmune Ltd Pyrrolobenzodiazepine Conjugates
PL3458101T3 (pl) 2016-05-20 2021-05-31 F. Hoffmann-La Roche Ag Koniugaty PROTAC-przeciwciało i sposoby ich stosowania
US20170370906A1 (en) 2016-05-27 2017-12-28 Genentech, Inc. Bioanalytical analysis of site-specific antibody drug conjugates
US10639378B2 (en) 2016-06-06 2020-05-05 Genentech, Inc. Silvestrol antibody-drug conjugates and methods of use
CN109689111B (zh) 2016-08-11 2024-04-05 基因泰克公司 吡咯并苯并二氮杂䓬前药及其抗体缀合物
CN110139674B (zh) 2016-10-05 2023-05-16 豪夫迈·罗氏有限公司 制备抗体药物缀合物的方法
GB201617466D0 (en) 2016-10-14 2016-11-30 Medimmune Ltd Pyrrolobenzodiazepine conjugates
US11160872B2 (en) 2017-02-08 2021-11-02 Adc Therapeutics Sa Pyrrolobenzodiazepine-antibody conjugates
GB201702031D0 (en) 2017-02-08 2017-03-22 Medlmmune Ltd Pyrrolobenzodiazepine-antibody conjugates
CN110582505B (zh) 2017-04-18 2021-04-02 免疫医疗有限公司 吡咯并苯并二氮杂*缀合物
CN110536703A (zh) 2017-04-20 2019-12-03 Adc治疗有限公司 使用抗axl抗体-药物缀合物的组合疗法
CA3060225A1 (en) 2017-05-09 2018-11-15 Cyano Biotech Gmbh Modified microcystins and nodularins
CN110741090A (zh) 2017-05-09 2020-01-31 赛安诺生物技术有限责任公司 用于修饰微囊藻毒素和节球藻毒素的方法
US11318211B2 (en) 2017-06-14 2022-05-03 Adc Therapeutics Sa Dosage regimes for the administration of an anti-CD19 ADC
SI3668874T1 (sl) 2017-08-18 2022-04-29 Medimmune Limited Pirolobenzodiazepinski konjugati
RU2020113749A (ru) 2017-09-20 2021-10-20 пиЭйч ФАРМА Ко., ЛТД. Аналоги таиланстатина
GB201803342D0 (en) 2018-03-01 2018-04-18 Medimmune Ltd Methods
GB201806022D0 (en) 2018-04-12 2018-05-30 Medimmune Ltd Pyrrolobenzodiazepines and conjugates thereof
GB201814281D0 (en) 2018-09-03 2018-10-17 Femtogenix Ltd Cytotoxic agents
AU2019365238A1 (en) 2018-10-24 2021-05-13 F. Hoffmann-La Roche Ag Conjugated chemical inducers of degradation and methods of use
EP3894427A1 (en) 2018-12-10 2021-10-20 Genentech, Inc. Photocrosslinking peptides for site specific conjugation to fc-containing proteins
GB201901197D0 (en) 2019-01-29 2019-03-20 Femtogenix Ltd G-A Crosslinking cytotoxic agents
US20220324964A1 (en) * 2019-06-04 2022-10-13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Antibodies and chimeric antigen receptors that target taci
CN116903727A (zh) 2020-05-08 2023-10-20 高山免疫科学股份有限公司 具有和不具有t细胞抑制蛋白的april和baff抑制性免疫调节蛋白及其使用方法
GB2597532A (en) 2020-07-28 2022-02-02 Femtogenix Ltd Cytotoxic compounds
WO2024056009A1 (zh) * 2022-09-14 2024-03-21 荣昌生物制药(烟台)股份有限公司 一种taci抗体及其用途

Family Cites Families (7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A (en) * 1836-08-10 Stock
US3773919A (en) * 1969-10-23 1973-11-20 Du Pont Polylactide-drug mixtures
US4179337A (en) * 1973-07-20 1979-12-18 Davis Frank F Non-immunogenic polypeptides
JPS6023084B2 (ja) * 1979-07-11 1985-06-05 味の素株式会社 代用血液
US4640835A (en) * 1981-10-30 1987-02-03 Nippon Chemiphar Company, Ltd. Plasminogen activator derivatives
US4816567A (en) * 1983-04-08 1989-03-28 Genentech, Inc. Recombinant immunoglobin preparations
US4496689A (en) * 1983-12-27 1985-01-29 Miles Laboratories, Inc. Covalently attached complex of alpha-1-proteinase inhibitor with a water soluble polymer
EP0206448B1 (en) * 1985-06-19 1990-11-14 Ajinomoto Co., Inc. Hemoglobin combined with a poly(alkylene oxide)
US5182196A (en) * 1985-10-09 1993-01-26 Biogen, Inc. Expression systems for overproduction of desired proteins
US5641663A (en) * 1985-11-06 1997-06-24 Cangene Corporation Expression system for the secretion of bioactive human granulocyte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GM-CSF) and other heterologous proteins from steptomyces
IL85035A0 (en) * 1987-01-08 1988-06-30 Int Genetic Eng Polynucleotide molecule,a chimeric antibody with specificity for human b cell surface antigen,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and methods utilizing the same
US4861579A (en) * 1988-03-17 1989-08-29 American Cyanamid Company Suppression of B-lymphocytes in mammals by administration of anti-B-lymphocyte antibodies
DE68926679T2 (de) * 1988-09-22 1996-10-17 Teijin Ltd Physiologisch aktives polypeptid, rekombinantes plasmid, rekombinante mikrobielle zellen, medizinisches präparat sowie verfahren zur gewinnung des gereinigten polypeptids
US5225538A (en) * 1989-02-23 1993-07-06 Genentech, Inc. Lymphocyte homing receptor/immunoglobulin fusion proteins
DK0939121T4 (da) * 1989-09-12 2008-02-04 Ahp Mfg B V TNF-bindende proteiner
US5519119A (en) * 1990-09-21 1996-05-21 Ishihara Sangyo Kaisha Ltd. Muteins of TN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a method of making
CA2055168A1 (en) * 1990-11-21 1992-05-22 Walter Fiers Tnf-muteins
JP4124480B2 (ja) * 1991-06-14 2008-07-23 ジェネンテック・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免疫グロブリン変異体
SK376492A3 (en) * 1992-04-02 1995-06-07 Hoffmann La Roche Tnf - muteins and method of their production
US5540926A (en) * 1992-09-04 1996-07-30 Bristol-Myers Squibb Company Soluble and its use in B cell stimulation
US7744877B2 (en) * 1992-11-13 2010-06-29 Biogen Idec Inc. Expression and use of anti-CD20 Antibodies
EP0752248B1 (en) * 1992-11-13 2000-09-27 Idec Pharmaceuticals Corporation Therapeutic application of chimeric and radiolabeled antibodies to human B lymphocyte restricted differentiation antigen for treatment of B cell lymphoma
US5736137A (en) * 1992-11-13 1998-04-07 Idec Pharmaceuticals Corporation Therapeutic application of chimeric and radiolabeled antibodies to human B lymphocyte restricted differentiation antigen for treatment of B cell lymphoma
US5595721A (en) * 1993-09-16 1997-01-21 Coulter Pharmaceutical, Inc. Radioimmunotherapy of lymphoma using anti-CD20
US6509170B1 (en) * 1996-03-14 2003-01-21 Human Genome Sciences, Inc. Polynucleotides encoding human tumor necrosis factor delta
US6541224B2 (en) * 1996-03-14 2003-04-01 Human Genome Sciences, Inc. Tumor necrosis factor delta polypeptides
US6812327B1 (en) * 1996-10-25 2004-11-02 Human Genome Sciences, Inc. Neutrokine-alpha polypeptides
US5969102A (en) * 1997-03-03 1999-10-19 St. Jude Children's Research Hospital Lymphocyte surface receptor that binds CAML, nucleic acids encoding the same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6306393B1 (en) * 1997-03-24 2001-10-23 Immunomedics, Inc. Immunotherapy of B-cell malignancies using anti-CD22 antibodies
US6171586B1 (en) * 1997-06-13 2001-01-09 Genentech, Inc. Antibody formulation
US6171787B1 (en) * 1997-06-26 2001-01-09 Abbott Laboratories Member of the TNF family useful for treatment and diagnosis of disease
WO1999002567A2 (en) * 1997-07-08 1999-01-21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ducing homoconjugates of antibodies which induce growth arrest or apoptosis of tumor cells
WO1999050416A1 (en) * 1997-09-30 1999-10-07 Pharmacia & Upjohn Company Tnf-related death ligand
US6297022B1 (en) * 1997-10-08 2001-10-02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Method of identifying agonists and antagonists for tumor necrosis related receptor TR1
US6297367B1 (en) * 1997-12-30 2001-10-02 Chiron Corporation Polynucleotide encoding TNFL1
US6551795B1 (en) * 1998-02-18 2003-04-22 Genome Therapeutics Corporation Nucleic acid and amino acid sequences relating to pseudomonas aeruginosa for diagnostics and therapeutics
US6528624B1 (en) * 1998-04-02 2003-03-04 Genentech, Inc. Polypeptide variants
US6242195B1 (en) * 1998-04-02 2001-06-05 Genentech, Inc. Methods for determining binding of an analyte to a receptor
US6194551B1 (en) * 1998-04-02 2001-02-27 Genentech, Inc. Polypeptide variants
WO2001060397A1 (en) * 2000-02-16 2001-08-23 Genentech, Inc. Uses of agonists and antagonists to modulate activity of tnf-related molecules
US6355782B1 (en) * 1998-07-09 2002-03-12 Baylor College Of Medicine Hypohidrotic ectodermal dyplasia genes and proteins
MY136203A (en) * 1998-08-11 2008-08-29 Idec Pharma Corp Combination therapies for b-cell lymphomas comprising administration of anti-cd20 antibody
US6224866B1 (en) * 1998-10-07 2001-05-01 Biocrystal Ltd. Immunotherapy of B cell involvement in progression of solid, nonlymphoid tumors
US20030095967A1 (en) * 1999-01-25 2003-05-22 Mackay Fabienne BAFF, inhibitors thereof and their use in the modulation of B-cell response and treatment of autoimmune disorders
CZ299819B6 (cs) * 1999-01-25 2008-12-03 Biogen Idec Ma Inc. Farmaceutické kompozice obsahující protilátky specifické pro rozpustný BAFF
EP1035172A3 (en) * 1999-03-12 2002-11-27 Fuji Photo Film Co., Ltd. Azomethine compound and oily magenta ink
ES2331644T3 (es) * 1999-06-09 2010-01-12 Immunomedics, Inc. Inmunoterapia de trastornos autoinmunes usando anticuerpos cuya diana son celulas b.
DE19930748C2 (de) * 1999-07-02 2001-05-17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EPROM- und DRAM-Grabenspeicherzellbereichen auf einem Chip
EE05673B1 (et) * 1999-08-17 2013-08-15 Biogen, Inc. BAFF-retseptor (BCMA), immunoregulatoorne agens
UA74798C2 (uk) * 1999-10-06 2006-02-15 Байоджен Айдек Ма Інк. Спосіб лікування раку у ссавця за допомогою поліпептиду, що протидіє взаємодії april з його рецепторами
MXPA02004599A (es) * 1999-11-08 2002-10-23 Idec Pharma Corp Tratamiento de tumores malignos de celula b utilizando anticuerpos anti-cd40l en combinacion con anticuerpos anti-cd20 y/o agentes quimioterapeuticos y radioterapia.
US20020006404A1 (en) * 1999-11-08 2002-01-17 Idec Pharmaceuticals Corporation Treatment of cell malignancies using combination of B cell depleting antibody and immune modulating antibody related applications
AU2001234953B2 (en) * 2000-02-11 2006-03-16 Biogen Ma Inc. Heterologous polypeptide of the tnf family
WO2001072333A1 (en) * 2000-03-24 2001-10-04 Chiron Corporation Methods of therapy for non-hodgkin's lymphoma using a combination_of an antibody to cd20 and interleuking-2
US20030185796A1 (en) * 2000-03-24 2003-10-02 Chiron Corporation Methods of therapy for non-hodgkin's lymphoma
KR20020091170A (ko) * 2000-03-31 2002-12-05 아이덱 파마슈티칼즈 코포레이션 B 세포 림프종의 치료를 위한 항-사이토카인 항체 또는길항제 및 항-cd20의 조합된 사용
NZ521540A (en) * 2000-04-11 2004-09-24 Genentech Inc Multivalent antibodies and uses therefor
AU5914201A (en) * 2000-04-25 2001-11-07 Idec Pharma Corp Intrathecal administration of rituximab for treatment of central nervous system lymphomas
MXPA02011130A (es) * 2000-05-12 2003-03-10 Amgen Inc Metodos y composiciones de materia que se refieren a april/g70, bcma, blys/agp-3, y taci.
AU7013401A (en) * 2000-06-22 2002-01-02 Univ Iowa Res Found Methods for enhancing antibody-induced cell lysis and treating cancer
DE60140773D1 (de) * 2000-08-18 2010-01-21 Dyax Corp Polypeptide zur Bindung an das B-Lymphozyten-stimulatorische Protein (BLyS)
KR20040023565A (ko) * 2000-09-18 2004-03-18 아이덱 파마슈티칼즈 코포레이션 B 세포 고갈/면역조절 항체 조합을 이용한 자가면역질환의 치료를 위한 조합 요법
UA83458C2 (uk) * 2000-09-18 2008-07-25 Байоджен Айдек Ма Інк. Виділений поліпептид baff-r (рецептор фактора активації в-клітин сімейства tnf)
US20030092164A1 (en) * 2000-11-07 2003-05-15 Gross Jane A. Human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IL156618A0 (en) * 2000-12-28 2004-01-04 Altus Biologics Inc Crystals of whole antibodies and fragments thereof, method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diagnostic kits utilizing the same
US20030103971A1 (en) * 2001-11-09 2003-06-05 Kandasamy Hariharan Immunoregulatory antibodies and uses thereof
EP2301971A1 (en) * 2001-02-20 2011-03-30 ZymoGenetics, L.L.C. Antibodies that bind both BCMA and TACI
CN1636067A (zh) * 2001-08-03 2005-07-06 杰南技术公司 TACls和BR3多肽及其用途
EP2131198B1 (en) * 2001-09-20 2013-03-27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Measuring circulating therapeutic antibody, antigen and antigen/antibody complexes using ELISA assays
AU2002330074A1 (en) * 2001-09-21 2003-04-01 Amgen Inc. Tall-1 receptor molecules and uses thereof
EP1443961B1 (en) * 2001-10-25 2009-05-06 Genentech, Inc. Glycoprotein compositions
US20040093621A1 (en) * 2001-12-25 2004-05-13 Kyowa Hakko Kogyo Co., Ltd Antibody composition which specifically binds to CD20
US20030180292A1 (en) * 2002-03-14 2003-09-25 Idec Pharmaceuticals Treatment of B cell malignancies using anti-CD40L antibodies in combination with anti-CD20 antibodies and/or chemotherapeutics and radiotherapy
PT2272868E (pt) * 2003-06-05 2015-07-07 Genentech Inc Terapêutica de combinação para distúrbios de células b
US20050163775A1 (en) * 2003-06-05 2005-07-28 Genentech, Inc. Combination therapy for B cell disorder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61214A1 (en) * 2010-12-31 2022-03-02 BioAtla, Inc. Comprehensive monoclonal antibody generation
US11396717B2 (en) 2010-12-31 2022-07-26 Bioatla, Inc. Comprehensive monoclonal antibody generation
WO2022131889A1 (ko) * 2020-12-16 2022-06-23 주식회사 굳티셀 Taci 단백질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92127A (zh) 2005-11-02
EP1551877A4 (en) 2006-01-18
BR0313033A (pt) 2007-07-10
EP1551877A2 (en) 2005-07-13
AU2003256836A1 (en) 2004-02-16
US20050043516A1 (en) 2005-02-24
NZ537781A (en) 2008-04-30
JP2005533863A (ja) 2005-11-10
US20080171036A1 (en) 2008-07-17
MXPA05000940A (es) 2005-05-16
WO2004011611A2 (en) 2004-02-05
WO2004011611A3 (en) 2004-08-12
CA2492447A1 (en) 200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4881B2 (en) Human DR4 antibodies and uses thereof
KR20050116360A (ko) Taci 항체 및 그의 용도
AU2005201915B2 (en) DR4 antibodies and uses thereof
JP5886509B2 (ja) Dr5抗体およびその使用
JP2005517021A5 (ko)
US20080095700A1 (en) DR4 antibodies and uses thereof
JP2005510208A (ja) TACIs及びBR3ポリペプチドとその用途
JP2014111605A (ja) Tweak及びfn14活性を調節するための方法及び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