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9048A - 정착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정착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9048A
KR20050109048A KR1020050006962A KR20050006962A KR20050109048A KR 20050109048 A KR20050109048 A KR 20050109048A KR 1020050006962 A KR1020050006962 A KR 1020050006962A KR 20050006962 A KR20050006962 A KR 20050006962A KR 20050109048 A KR20050109048 A KR 20050109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image
path
conveyance path
tone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6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0704B1 (ko
Inventor
이시다마사미
마츠쿠라요시오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09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9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0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07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28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with means for handling the copy material in the fixing nip, e.g. introduction guides, stripp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03G2215/207Type of toner image to be fixed 
    • G03G2215/2083Type of toner image to be fixed  duplex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unters In Electrophotography And Two-Sided Copying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는 정착 장치는 정착 장치를 구획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그 내부에 토너상(像)이 전사된 기록 매체를 가열하여 화상을 정착시키는 가열 부재와, 가열 부재에 압접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한다. 하우징 내에는 제 1 반송로(搬送路)와, 제 1 반송로와는 다른 경로를 갖는 제 2 반송로가 형성되고, 기록 매체의 반송처를 제 1 반송로 또는 제 2 반송로로 전환하는 전환 부재가 설치된다. 그 결과,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된 용지 반전 장치로 화상 기록 매체를 보낼 경우, 전환 부재까지의 용지의 반송 패스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착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가열하여 정착시키는 방법에 의해 기록 매체에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 장치 및 정착 장치를 장착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 복사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는 정착 장치에 의해 화상이 정착된 용지를 표리(表裏) 반전시켜, 다른 면(화상이 정착된 면의 반대쪽 면)에 화상을 정착하는 것이 있다. 이 때, 장치 본체에는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최소한의 기능을 부여하고, 용지를 반전시키는 장치(용지 반전 장치)는 옵션으로서 장착하게 되어 있는 것이 있다.
옵션으로서의 용지 반전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着脫) 가능하게 되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용지 배출부 부근에 설치된 전환 게이트를 전환함으로써, 용지를 용지 배출부로, 또는 용지 반전 장치의 반전 롤러로 안내하고 있다(일본국 특개평6-110274호 공보 참조).
그러나, 일본국 특개평6-110274호 공보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용지의 반송처를 용지 배출부 또는 용지 반전 장치의 반전 롤러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 게이트를 용지 반전 장치 내에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용지 반전 장치로 용지가 반송된 경우, 전환 게이트까지의 용지의 패스 길이가 길어지게 되어, 인쇄 처리에 필요한 시간(스루풋(throughput))이 길어진다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용지의 반송 패스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스루풋을 단축시키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고 정착 장치를 구획하는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토너상(像)이 전사된 기록 매체를 가열하여 화상을 정착시키는 가열 부재와, 상기 가열 부재에 압접(壓接)되는 가압 부재와,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되고 상기 가열 부재와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해 화상이 정착된 상기 기록 매체가 반송되는 제 1 반송로와,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반송로와는 다른 경로를 가지며 상기 가열 부재와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해 화상이 정착된 상기 기록 매체가 반송되는 제 2 반송로와, 상기 기록 매체의 반송처를 상기 제 1 반송로 또는 상기 제 2 반송로로 전환하는 전환 부재를 갖는 정착 장치에 의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형태에 의하면, 하우징 내에는 기록 매체를 가열하여 기록 매체에 토너상을 정착하는 가열 부재와, 이 가열 부재에 압접된 가압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가열 부재와 가압 부재에 의해 화상이 정착된 기록 매체는 전환 부재에 의해 하우징 내에 형성된 제 1 반송로 또는 제 1 반송로와는 별도로 하우징 내에 형성된 제 2 반송로로 반송처가 전환되어 반송된다.
정착 장치 내에서 반송처를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표면에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제 2 반송로로 반송하여 용지 반전 장치에 보낼 경우, 전환 부재까지의 용지의 반송 패스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스루풋이 향상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정착 장치의 하류(下流) 측에 별도로 반송로를 형성하지 않아도, 용지의 종류나 사이즈, 편면(片面)/양면(兩面) 인쇄 등에 따라 용지의 배출로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는, 토너상이 형성되는 표면을 갖는 토너상 담지체(擔持體)와, 복수의 화상 기록 매체의 시트를 수용하는 기록 매체의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화상 기록 매체의 일 시트를 취출(取出)하고 반송하여 토너상이 형성된 상기 토너상 담지체의 표면에 접촉시키는 주(主)반송부와, 토너상 담지체로부터 토너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하는 전사부와, 토너상이 전사된 화상 기록 매체를 수취하고 토너상을 화상 기록 매체에 정착하는 정착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정착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고 정착 장치를 구획하는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토너상이 전사된 기록 매체를 가열하여 화상을 정착시키는 가열 부재와, 상기 가열 부재에 압접되는 가압 부재와,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되고 상기 가열 부재와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해 화상이 정착된 상기 기록 매체가 반송되는 제 1 반송로와,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반송로와는 다른 경로를 가지며, 상기 가열 부재와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해 화상이 정착된 상기 기록 매체가 반송되는 제 2 반송로와, 상기 기록 매체의 반송처를 상기 제 1 반송로 또는 상기 제 2 반송로로 전환하는 전환 부재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용지 반전 장치를 더 구비하며, 용지 반전 장치가 상기 제 2 반송로에 접속하고, 상기 제 2 반송로에 반송된 화상 기록 매체를 수취하며, 상기 토너상이 정착된 표면과는 반대쪽의 화상 기록 매체 표면이 상기 토너상 담지체의 토너상이 형성되는 표면과 접촉하도록 화상 기록 매체를 상기 주반송로로 되돌리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착 장치(18)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10)의 개략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화상 형성 장치의 개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를 갖고, 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상부에 힌지부(14)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개폐 커버(16)가 설치되어 있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는 구동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소정의 회전 속도로 도시의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는 감광체(50)를 구비하고 있다. 감광체(50)의 아래쪽에는 감광체(50)의 둘레면을 대전(帶電)하는 대전 롤러(52)가 설치되어 있다. 대전 롤러(52)의 아래쪽에는 노광 장치(60)가 배치되어 있고, 이 노광 장치(60)로부터 레이저광이 출사되어, 감광체(50)의 둘레면 위에 정전 잠상(潛像)이 형성된다.
감광체(50)의 옆쪽에는 로터리식의 현상 장치(40)가 배치되어 있다. 현상 장치(40)는 황색(Y), 자홍색(M), 청록색(C), 흑색(K)의 각 색의 토너가 수용된 현상기(42a∼42d)를 갖고 있다. 그리고, 현상 장치(40)가 90° 회전하면서, 이들 현상기(42a∼42d)로부터 감광체(50)에 토너가 공급되어 감광체(50)의 둘레면 위에 풀 컬러(full-color)의 토너상이 형성된다.
감광체(50)를 사이에 두어 현상 장치(40)의 반대쪽에는 클리닝 블레이드(56)와 토너 회수병(58)으로 구성된 클리닝 장치(54)가 설치되어 있으며, 감광체(50)의 둘레면에 남은 전사 잔류 토너가 클리닝 블레이드(56)에 의해 긁어내져, 토너 회수병(58)에 회수된다.
감광체(50)의 위쪽에는 중간 전사 장치(62)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중간 전사 장치(62)는 무단(無端) 형상의 중간 전사 벨트(64)를 구비하고 있다. 중간 전사 벨트(64)는 랩인 롤(lap-in roll)(68), 랩아웃 롤(lap-out roll)(70), 2차 전사 백업 롤(secondary transfer backup roll)(72), 스크레이퍼 백업 롤(scraper backup roll)(74) 및 브러시 백업 롤(brush backup roll)(76)에 의해 팽팽하게 되어 있고, 랩인 롤(68)과 랩아웃 롤(70) 사이에서 감광체(50)의 둘레면에 맞닿으면서, 도시의 화살표 B 방향으로 주행한다.
중간 전사 벨트(64)를 사이에 두어 감광체(50)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전사 롤(66)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전사 롤(66)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64)에 의해 반송된 용지(P)에 감광체(50)에 형성된 토너상이 전사된다(1차 전사).
한편,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하부에는 급지(給紙) 트레이(44)가 기록 매체 수용 유닛으로서 배치되어 있다. 급지 트레이(44)에는 용지(P)가 수납되어 있다. 급지 트레이(44)의 단부(端部)에는 피드 롤(feed roll)(45) 및 리타드 롤(retard roll)(47)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급지 트레이(44)로부터 피드 롤(45)에 의해 용지(P)가 공급되고, 리타드 롤(47)에 의해 처리되어, 반송로(48)에 반송된다. 그리고, 피드 롤(45)과 리타드 롤(47)의 반송 방향 하류 측에 배치된 레지스트 롤(resist roll)(49)에 의해 일시 정지되고, 타이밍을 맞추어 2차 전사 롤(80)과 2차 전사 백업 롤(72)의 닙부(nipping portion)로 반송된다. 여기서, 용지(P) 위에 토너상이 전사되고(2차 전사), 후술하는 정착 장치(18)에 반송되어, 정착 장치(18)에 의해 용지(P) 위에 전사된 토너상이 정착된다. 그리고, 토너상이 정착된 용지(P)는 정착 장치(18)의 반송 방향 상류(上流) 측에 설치된 반송 롤(46A, 46B)에 의해 배출구(41)로부터 개폐 커버(16)의 상부에 설치된 배출부(36)로 배출된다.
중간 전사 벨트(64)의 감광체(50)와 반대쪽에는 중간 전사체 클리너(82)가 설치되어 있다. 중간 전사체 클리너(82)는 스크레이퍼(84) 및 브러시 롤(86)을 구비하고 있으며, 2차 전사 후에 중간 전사 벨트(64)에 잔류된 폐(廢)토너를 스크레이퍼(84)와 브러시 롤(86)에 의해 긁어내서, 토너 회수병(88)에 회수한다. 이상이 화상 형성 프로세스이다.
(정착 장치)
다음으로, 정착 장치(18)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착 장치(18)는 하우징(19)을 구비하고 있으며, 하우징(19)의 내부에는 소정의 온도로 가열되는 히트 롤러(20)와, 이 히트 롤러(20)와의 사이에서 용지(P)를 압접하는 가압 롤러(30)가 설치되어 있다.
히트 롤러(20)는 금속제 코어(22)(중공(中空) 형상의 심금(芯金), 철 또는 알루미늄 소관(素管))의 주위에 내열성 탄성층(24) 및 저(低)마찰계수의 이형층(離型層)(26)(PFA로 이루어지는 튜브)이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발열원(發熱源)으로서의 할로겐 램프(28)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가압 롤러(30)는 엔드리스 벨트(endless belt)(32)를 갖고, 엔드리스 벨트(32)의 내측에는 압력 패드(34)와, 압력 패드(34)를 지지하는 금속제 홀더(3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엔드리스 벨트(32)의 양단부 내주면이 벨트 주행 가이드부(38)의 둘레면에 의해 지지되고, 엔드리스 벨트(32)는 벨트 주행 가이드부(38)의 둘레면을 따라 회동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히트 롤러(20)는 구동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화살표 F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회전에 의해 엔드리스 벨트(32)가 종동(從動) 회전하게 되어 있다. 이 때, 토너상이 형성된 용지(P)가 히트 롤러(20)와 가압 롤러(30)의 닙부에 반송되고, 히트 롤러(20)로부터의 열과 가압 롤러(30)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용지(P) 위의 토너가 용융(鎔融)되어, 토너 화상이 용지(P) 위에 정착한다. 그리고, 히트 롤러(20)와 가압 롤러(30)의 용지 반송 방향의 하류 측에 설치된 주행 롤(78)에 용지(P)가 안내되어, 하우징(19) 내에 형성된 용지 반송로(152) 또는 용지 반송로(154)로 반송되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밖으로 배출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 반송로(152)의 하부 반송면은, 히트 롤러(20)의 하류 측에 히트 롤러(20)의 축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판편(板片)(155)과, 이 판편(155)에 이어서 용지 반송로(152)를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판편(43)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판편(155) 및 판편(43)과 대향하여, 판편(157)이 히트 롤러(20)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되어 있어, 공통의 반송로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판편(157)의 하류 측에는 리브(rib)(178)가 설치되어, 용지 반송로(154)를 구성하고 있다. 리브(178)의 중앙에는 반송 롤(46B)이 배치되고, 판편(43) 측에 설치된 반송 롤(46A)과의 사이에 용지(P)를 닙하여, 용지 반송로(152)로부터 용지(P)를 배출한다.
한편, 판편(43)과 판편(157) 사이에는 게이트(156)가 설치되어, 용지 반송로(152)와 용지 반송로(154)를 형성하고 있다. 게이트(156)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9)의 용지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장판(長板)(160)을 갖고, 장판(16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판재(板材)(158)가 직교하여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장판(160)의 양단부는 정착 장치(18)의 하우징(19) 측벽(19A)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도 4 및 도 7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판(160)의 길이 방향의 한쪽 단부에는 조작편(162)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편(162)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되고, 조작편(162)과 장판(160)은 각기둥(164)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장판(160)의 다른쪽 단부에는 코일 스프링(166)이 감겨져 있고, 코일 스프링(166)의 일단이 각기둥(164)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166)의 타단이 하우징(19)의 측벽(19A)에 형성된 구멍부(168)에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게이트(156)는 화살표 C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으며, 게이트(156)는 외부로부터 힘을 가하지 않을 때에는,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P)를 용지 반송로(152)(도 5 참조)로 안내하는 방향으로 경사진다.
조작편(162)의 정상면(162B)에는, 후술하는 용지 반전 장치(170)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장착되었을 때, 용지 반전 장치(170)에 설치된 솔레노이드(172)가 맞닿게 되어 있다.
솔레노이드(172)는 제어 장치(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있어, 솔레노이드(172)가 통전(通電)되면, 가동(可動) 철심(172A)이 돌출되어 조작편(162)의 정상면(162B)을 가압한다. 이것에 의해, 조작편(162)이 아래쪽(화살표 D 방향)으로 눌려, 게이트(156)는 장판(160)의 한쪽 단부 근방을 축으로 하여, 화살표 C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것에 의해,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게이트(156)는 용지(P)를 용지 반송로(154)(도 6 참조)로 안내하는 방향으로 경사진다.
솔레노이드(172)로의 통전이 정지되면, 게이트(156)는 코일 스프링(166)의 가압력에 의해 화살표 C 방향으로 회동한다. 조작편(162)의 상측 단부에는 계단부(162A)가 형성되어 있고,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166)의 가압력에 의해 화살표 C 방향으로 가압했을 때, 계단부(162A)가 하우징(19)의 측벽(19A)에 돌출 설치된 고정 부재(174)에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게이트(156)는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고, 용지(P)를 용지 반송로(152)(도 5 참조)로 안내하는 방향으로 경사진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판(160)의 상면(게이트(156)를 하우징(19)에 부착했을 때에, 장판(160)의 상측이 되는 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돌기부(17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부(176)는 리브(178)에 맞닿아 지지되기 때문에, 장판(160)이 변형되지 않는다.
또한,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판(160)의 하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돌기부(18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180)는 리브(178)(도 8의 (a) 참조)와 평행하게 설치된 리브(182)와 맞닿아 지지되기 때문에, 장판(160)이 변형되지 않는다.
(용지 반전 장치)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는 용지 반전 장치(170)를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커버(13)(도 1 참조)를 제거하고, 용지 반전 장치(170)를 부착한다.
용지 반전 장치(170)는 대략 L자 형상의 용지 반전 장치 본체(171)를 갖고 있으며, 용지 반전 장치 본체(171)의 한쪽 단부에는 핀치 롤러(pinch roller)(184)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핀치 롤러(184)에는 스위치백 롤러(switchback roller)(186)가 소정의 닙 압력으로 맞닿아 있다. 스위치백 롤러(186)는 구동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정전(正轉) 및 반전(反轉)하게 되어 있다. 또한, 핀치 롤러(184) 및 스위치백 롤러(186)의 용지 반송 방향의 상류 측에는 센서(188)가 설치되어 있다. 정착 장치(18)의 용지 반송로(154)로부터 송출(送出)된 용지(P)를 수취하고, 센서(188)에 의해 용지(P)의 반송 방향의 후단부(後端部)를 검출하면, 스위치백 롤러(186)를 반전시켜 반송로(196)로 보내게 되어 있다.
핀치 롤러(184) 및 스위치백 롤러(186)의 용지 반송 방향 하류 측에는 반송 롤러(190, 192)가 배열 설치되어 있으며, 반송로(196)로 보내진 용지(P)는 반송 롤러(190, 192)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형성된 삽입구(194)를 통하여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내부에 반송되고, 반송로(48)로 보내지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정착 장치에 따른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편면 인쇄의 경우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지 트레이(44)로부터 공급된 용지(P)는 반송로(48)를 통과하여 감광체(50) 및 정착 장치(18)에 의해 화상이 편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이 용지(P)는 게이트(156)에 안내되어 용지 반송로(152)로 반송되고, 반송 롤(46A, 46B)에 의해 배출구(41)로부터 배출부(36)로 배출된다.
한편, 양면 인쇄의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용지 반전 장치(170)를 장착한다. 그리고, 도 7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 반전 장치(170)에 설치된 솔레노이드(172)에 의해 조작편(162)이 가압되고, 게이트(156)는 화살표 C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동한다. 여기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에 토너상이 형성된 용지(P)는 게이트(156)에 안내되어 용지 반송로(154)로 반송된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188)가 용지(P)의 반송 방향의 후단(後端)을 검출하면, 스위치백 롤러(186)가 반전하여, 용지(P)를 반송로(196)로 보내고, 삽입구(194)를 통하여 레지스트 롤(49)로 반송한다. 그리고, 감광체(50) 및 정착 장치(18)에 의해 용지(P)의 화상이 형성되지 않은 면에 화상이 형성된다. 이 때, 솔레노이드(172)의 통전은 정지되어 있고, 게이트(156)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166)의 가압력에 의해 용지 반송로(152)로 안내하는 방향으로 경사진다. 그리고, 용지(P)는 게이트(156)에 안내되어, 용지 반송로(152)로 반송되고, 반송 롤(46A, 46B)에 의해 배출구(41)(도 3 참조)로부터 배출부(36)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정착 장치(18) 내에서 용지(P)의 반송처를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편면에 화상이 형성된 용지(P)를 용지 반송로(154)로 반송하여 용지 반전 장치(170)로 보낼 경우, 게이트(156)까지의 용지(P)의 반송 패스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스루풋이 향상된다. 또한, 정착 장치(18)의 하류 측에 별도로 반송로를 형성하지 않아도, 정착 장치(18)에 2개의 용지 반송로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용지의 종류나 사이즈 등에 따라 용지의 배출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용지 반송로(152)와 용지 반송로(154) 사이에 게이트(156)를 설치함으로써, 정착 장치(18) 중에서 용지 반송로(152) 또는 용지 반송로(154)로 배분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156)는 회전축을 장판(160)으로 함으로써, 정착 장치(18)를 소형으로 설계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156)를 구성하는 장판(160)에 돌기부(176)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두꺼운 종이 등이 반송될 때에, 두꺼운 종이의 압력에 의해 게이트(156)(장판(160))가 휘어도, 돌기부(176, 180)가 용지 반송로(152) 및 용지 반송로(154)의 전환부에 설치된 리브(178, 182)에 닿기 때문에, 게이트(156)(장판(16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156)의 강성(剛性)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 이상으로 장판(160)의 두께를 증대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정착 장치(18)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용지 반송로(152)와 용지 반송로(154)의 상류 측에 주행 롤(78)을 설치함으로써, 용지(P)를 용지 반송로(152) 또는 용지 반송로(154)에 원활하게 보낼 수 있다.
상기 특정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환 부재는 상기 제 1 반송로 및 상기 제 2 반송로의 사이(분기점)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반송로와 상기 제 2 반송로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게이트일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 1 반송로 및 제 2 반송로의 사이에 설치된 게이트를 제 1 반송로와 제 2 반송로 사이에서 전환함으로써, 용지는 제 1 반송로 또는 제 2 반송로에 반송된다. 즉, 게이트에 의해 용지의 반송처가 제 1 반송로 또는 제 2 반송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제 1 반송로와 제 2 반송로 사이에 게이트를 설치함으로써, 정착 장치 중에서 제 1 반송로 또는 제 2 반송로로 배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는 상기 가열 부재(롤) 또는 상기 가압 부재(롤)의 축과 평행한 장판과, 상기 장판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또한 직교하여 배치된 판재로 구성되고, 상기 장판에는, 상기 게이트에 의해 반송로를 전환했을 때, 상기 제 1 반송로 및 상기 제 2 반송로의 전환부에 설치된 고정된 부위로 되는 리브에 닿는 보강부가 장판의 회전축으로 되는 부분의 근방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서는, 게이트를 구성하는 가열 부재 또는 가압 부재의 축방향과 평행한 장판에는 판재가 소정의 간격으로 장판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장판에는 보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게이트에 의해 반송로를 전환했을 때, 이 보강부는 반송로의 전환부에 설치된 리브에 닿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게이트를 장판(박판(薄板))으로 함으로써, 정착 장치를 소형으로 설계할 수 있다. 또한, 두꺼운 종이 등이 반송될 때에, 두꺼운 종이의 압력에 의해 장판이 휘어도, 보강부가 반송로의 전환부에 설치된 리브에 닿기 때문에, 게이트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 이상으로 장판의 두께를 증대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정착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반송로와 상기 제 2 반송로의 상류 측에는, 상기 기록 매체를 상기 제 1 반송로 또는 상기 제 2 반송로로, 즉 전환 부재로 안내하는 주행 롤이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 1 반송로와 제 2 반송로의 상류 측에 주행 롤을 설치함으로써, 용지를 제 1 반송로 또는 제 2 반송로에 원활하게 보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용지의 반송 패스 길이가 짧아져, 스루풋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착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착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착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용지 반전 장치를 장착한 상태의 개략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착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착 장치에 있어서, 게이트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착 장치에 있어서, 게이트가 회동(回動)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착 장치의 솔레노이드의 측면도로서, 도 7의 (a)는 솔레노이드가 조작편을 가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의 (b)는 솔레노이드가 조작편을 가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착 장치의 돌출부의 단면도로서, 도 8의 (a)는 돌기부(176)가 리브(178)에 맞닿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의 (b)는 돌기부(180)가 리브(182)에 맞닿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8 : 정착 장치
19 : 하우징
20 : 히트 롤러(가열 부재)
30 : 가압 롤러(가압 부재)
78 : 주행 롤
152 : 용지 반송로(제 1 반송로)
154 : 용지 반송로(제 2 반송로)
156 : 게이트(전환 수단)
158 : 판재
160 : 장판
176 : 돌기부(보강부)
178 : 리브
180 : 돌기부(보강부)
182 : 리브

Claims (13)

  1.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고, 정착 장치를 구획하는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토너상(像)이 전사된 기록 매체를 가열하여 화상을 정착시키는 가열 부재와,
    상기 가열 부재에 압접(壓接)되는 가압 부재와,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되고, 상기 가열 부재와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해 화상이 정착된 상기 기록 매체가 반송되는 제 1 반송로(搬送路)와,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반송로와는 다른 경로를 가지며, 상기 가열 부재와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해 화상이 정착된 상기 기록 매체가 반송되는 제 2 반송로와,
    상기 기록 매체의 반송처를 상기 제 1 반송로 또는 상기 제 2 반송로로 전환하는 전환 부재를 갖는 정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송로 및 제 2 반송로는 가열 부재와 상기 가압 부재의 하류(下流)에서 분기(分岐)하도록 형성되는 정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부재는 상기 제 1 반송로 및 상기 제 2 반송로의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기록 매체를 상기 제 1 반송로와 상기 제 2 반송로의 어느 한쪽으로 안내하는 게이트를 구비하는 정착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는 상기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연장되는 장판(長板)과, 장판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장판에 배치된 판재(板材)를 구비하는 정착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판은, 상기 게이트가 상기 기록 매체를 상기 제 1 반송로와 상기 제 2 반송로의 어느 한쪽으로 각각 안내하는 위치에 있을 때에, 하우징 내의 복수의 고정된 부위에 맞닿는 보강부를 갖는 정착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송로와 상기 제 2 반송로의 상류(上流) 측에는 상기 기록 매체를 전환 부재로 안내하는 주행 롤이 설치되는 정착 장치.
  7. 토너상이 형성되는 표면을 갖는 토너상 담지체(擔持體)와,
    복수의 화상 기록 매체의 시트를 수용하는 기록 매체의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화상 기록 매체의 일 시트를 취출(取出)하고 반송하여, 토너상이 형성된 상기 토너상 담지체의 표면에 접촉시키는 주(主)반송부와,
    토너상 담지체로부터 토너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하는 전사부와,
    토너상이 전사된 화상 기록 매체를 수취하여, 토너상을 화상 기록 매체에 정착하는 정착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정착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고, 정착 장치를 구획하는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토너상이 전사된 기록 매체를 가열하여 화상을 정착시키는 가열 부재와,
    상기 가열 부재에 압접되는 가압 부재와,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되고, 상기 가열 부재와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해 화상이 정착된 상기 기록 매체가 반송되는 제 1 반송로와,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반송로와는 다른 경로를 가지며, 상기 가열 부재와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해 화상이 정착된 상기 기록 매체가 반송되는 제 2 반송로와,
    상기 기록 매체의 반송처를 상기 제 1 반송로 또는 상기 제 2 반송로로 전환하는 전환 부재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용지 반전 장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용지 반전 장치가 상기 제 2 반송로에 접속하고, 상기 제 2 반송로에 반송된 화상 기록 매체를 수취하며, 상기 토너상이 정착된 표면과는 반대측의 화상 기록 매체 표면이 상기 토너상 담지체의 토너상이 형성되는 표면과 접촉하도록 화상 기록 매체를 상기 주반송로로 되돌리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송로 및 제 2 반송로는 가열 부재와 상기 가압 부재의 하류에서 분기하도록 형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부재는 상기 제 1 반송로 및 상기 제 2 반송로의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기록 매체를 상기 제 1 반송로와 상기 제 2 반송로의 어느 한쪽으로 안내하는 게이트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는 상기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연장되는 장판과, 장판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장판에 배치된 판재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장판은, 상기 게이트가 상기 기록 매체를 상기 제 1 반송로와 상기 제 2 반송로의 어느 한쪽에 각각 안내하는 위치에 있을 때에, 하우징 내의 복수의 고정된 부위에 맞닿는 보강부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송로와 상기 제 2 반송로의 상류 측에는 상기 기록 매체를 전환 부재로 안내하는 주행 롤이 설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50006962A 2004-05-14 2005-01-26 정착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07307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44546 2004-05-14
JP2004144546A JP4676164B2 (ja) 2004-05-14 2004-05-14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9048A true KR20050109048A (ko) 2005-11-17
KR100730704B1 KR100730704B1 (ko) 2007-06-21

Family

ID=35308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6962A KR100730704B1 (ko) 2004-05-14 2005-01-26 정착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176952B2 (ko)
JP (1) JP4676164B2 (ko)
KR (1) KR100730704B1 (ko)
CN (1) CN10042807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2446A (ko) * 2007-08-30 2009-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JP5171465B2 (ja) * 2008-08-05 2013-03-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303400B2 (ja) * 2009-08-19 2013-10-0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381490B2 (ja) * 2009-08-19 2014-01-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747606B2 (ja) * 2011-03-29 2015-07-1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357350B1 (ja) * 2013-03-06 2013-12-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22180017A (ja) * 2021-05-24 2022-12-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28940A1 (de) * 1982-08-03 1984-02-09 Canon K.K., Tokyo Fotokopiergeraet zur erstellung von zweiseitigen kopien
JP2948432B2 (ja) * 1992-04-02 1999-09-13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写真装置
JPH06110274A (ja) 1992-09-28 1994-04-22 Fujitsu Ltd 両面印刷装置
JPH10151832A (ja) 1996-11-25 1998-06-09 Fuji Xerox Co Ltd Micrプリンタ兼用画像形成装置
US5995797A (en) * 1997-05-26 1999-11-30 Konic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conveys unfixed toner images to a fixing device in an undisturbed and stable manner so that images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a sheet
KR100408645B1 (ko) * 2000-06-09 2003-12-06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JP3692941B2 (ja) * 2001-01-23 2005-09-0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定着用オプション装置
JP3830091B2 (ja) * 2001-03-22 2006-10-0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161366B2 (ja) * 2002-09-17 2008-10-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4020751A (ja) * 2002-06-13 2004-01-22 Sharp Corp 加熱装置および加熱方法
US7057631B2 (en) * 2002-09-26 2006-06-06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forming proces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lectrophotographic image-receiving sheet, and electrophotographic print
US6853832B2 (en) * 2002-10-29 2005-02-08 Fuji Xerox Co., Ltd. Compact image forming apparatus
JP4496519B2 (ja) * 2003-09-29 2010-07-0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409183B2 (en) * 2003-12-08 2008-08-05 Sharp Kabushiki Kaisha Releasing agent applying mechanism, fixing device, and prin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53096A1 (en) 2005-11-17
US7176952B2 (en) 2007-02-13
CN100428076C (zh) 2008-10-22
KR100730704B1 (ko) 2007-06-21
JP2005324924A (ja) 2005-11-24
CN1696842A (zh) 2005-11-16
JP4676164B2 (ja)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0704B1 (ko) 정착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2014174473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50008408A1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8019080A (ja) 用紙搬送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画像形成装置
US8509666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8066900A (ja) 画像加熱装置
JP2010204485A (ja) 定着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4206607A (ja) 画像形成装置、及び、搬送装置
JPH03133871A (ja) 電子写真装置の定着器
JP5084226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760943B2 (ja) 搬送経路切替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4447700B2 (ja) 画像形成装置
JP4289095B2 (ja) 画像形成装置
JP3931555B2 (ja) 画像形成装置
JPS6129596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0047443A (ja) 電子写真装置
JP7363253B2 (ja) 画像形成装置
JP404222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0095382A (ja) 給紙搬送ガイド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1097622A (ja) 画像形成装置
JPH0934289A (ja) 定着装置
JP2023158485A (ja) 画像形成装置
JPS61130161A (ja) 用紙搬送路用分岐装置
JP2021147175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0101618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