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8522A - 디지털 사무기기에서 화상형성속도 조절방법 및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사무기기에서 화상형성속도 조절방법 및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8522A
KR20050108522A KR1020040033307A KR20040033307A KR20050108522A KR 20050108522 A KR20050108522 A KR 20050108522A KR 1020040033307 A KR1020040033307 A KR 1020040033307A KR 20040033307 A KR20040033307 A KR 20040033307A KR 20050108522 A KR20050108522 A KR 20050108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office
speed
office equipment
image forming
operating enviro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3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3039B1 (ko
Inventor
박광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3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3039B1/ko
Priority to US11/110,820 priority patent/US7215895B2/en
Publication of KR20050108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8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3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30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20Humidity or temperature control also ozone evacuation; Internal apparatus environment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20Humidity or temperature control also ozone evacuation; Internal apparatus environment control
    • G03G21/203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사무기기에서 전달받은 인쇄 데이터에 대한 화상형성 속도를 조절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의 내부온도와 동작 환경을 측정한다. 상기 측정한 내부온도와 동작 환경을 이용하여 제1임계출력매수를 산출한다. 상기 전달받은 인쇄 데이터에 대해 화상형성 매수가 상기 제1임계출력매수를 초과하면, 상기 동작 환경을 이용하여 상기 인쇄 데이터에 대한 화상형성속도를 조절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사무기기에서 화상형성속도 조절방법 및 조절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of printing velocity in digital office device}
본 발명은 복사, 프린트, 스캔 기능 등의 기능을 갖는 디지털 사무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사무기기의 동작 상태를 파악하여 내부 온도를 제어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사무기기는 복사기, 프린터, 스캐너, 팩시밀리 등이 있다.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는 수신부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인쇄 용지에 화상형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도 1은 디지털 사무기기 중 프린터에서 프린팅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상기 도 1을 이용하여 프린터에서 프린팅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S100단계에서 프린터는 인쇄 데이터가 수신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인쇄 데이터가 수신되면 S102단계로 이동하고, 인쇄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S100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S102단계에서 상기 프린터는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대한 화상형성을 수행한다. 상기 화상형성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원 발명과 무관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S104단계에서 상기 프린터는 프린터 내부 온도를 측정한다. S106단계에서 상기 프린터는 상기 측정한 내부 온도와 설정치를 비교한다.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측정한 내부 온도가 설정치보다 작으면, S102단계로 돌아가 화성형성을 계속 수행한다. 하지만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측정한 내부 온도가 설정치보다 크다면 S108단계로 이동한다. 상기 S108단계에서 상기 프린터는 인쇄 데이터에 대한 화상형성을 중단한다.
상기 화상형성을 중단함으로서 상기 프린터는 내부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시스템의 안정을 위해 화상형성 동작을 일시 중단하거나, 문서 급지 장치의 동작을 일시 정지시켜 프린터 내부의 온도를 감소시킨다.
상기 도 1은 상기 프린터가 내부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내부 온도가 설정치를 초과할 경우 화상형성을 중단한다. 하지만, 상기 프린터는 화상형성하는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 매수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인쇄 매수가 설정치를 초과할 경우 화상형성을 중단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방안은 인쇄 데이터에 대한 화상형성을 중단함으로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프린터의 내부온도가 설정치를 초과할 경우 언제까지 화상형성을 중단해야 상기 내부온도가 특정 온도까지 감소되는 알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프린터에 특정 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프린터는 상기 설정된 시간동안 화상형성을 중단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프린터의 동작 환경에 상관없이 사용자는 동일하게 시간을 설정한다. 상기 프린터를 포함한 화상형성장치에서 발생하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사무기기의 동작 환경을 고려하여 인쇄데이터에 대한 화상형성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털 사무기기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기능을 고려하여 인쇄데이터에 대한 화상형성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이루기 위해 디지털 사무기기에서 전달받은 인쇄 데이터에 대한 화상형성 속도를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의 내부온도와 동작 환경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한 내부온도와 동작 환경을 이용하여 제1임계출력매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전달받은 인쇄 데이터에 대해 화상형성 매수가 상기 제1임계출력매수를 초과하면, 상기 동작 환경을 이용하여 상기 인쇄 데이터에 대한 화상형성속도를 조절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이루기 위해 디지털 사무기기에서 전달받은 인쇄 데이터에 대한 화상형성 속도를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의 내부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의 동작 환경을 측정하는 동작환경 검출부; 및 상기 측정한 내부온도와 동작 환경에 대응되는 제1임계출력매수를 독출하고, 상기 전달받은 인쇄 데이터에 대해 화상형성 매수가 상기 제1임계출력매수를 초과하면, 상기 동작 환경을 이용하여 상기 인쇄 데이터에 대한 화상형성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복합형 디지털 사무기기에서 수행하는 기능들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에 의하면 상기 복합형 디지털 사무기기는 인쇄 기능, 팩시밀리 기능, 복사 기능, 스캔 기능 등을 수행한다. 상기 기능들 이외에 다른 기능들이 상기 복합형 디지털 사무기기에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복합형 디지털 사무기기는 특성상 하나의 작업으로 인한 내부 온도 변화량보다는 적어도 2개의 작업을 연속하여 수행할 경우 내부 온도 변화량이 크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사무기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는 제어부(300), 온도측정부(302), 카운터(304), 저장부(306), 비교부(308), 동작 환경 검출부(31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들 이외에 다른 구성들이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에 포함될 수 있으나, 상기 도 3은 본원 발명과 관련하여 필요한 구성만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온도 측정부(302)는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 내부의 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는 화상형성을 수행하는 부분의 온도를 측정한다. 즉,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가 프린터인 경우 정착기의 온도를 측정한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사무기기는 화상형성을 수행하는 부분의 온도를 측정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디지털 사무기기의 내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곳이면 어느 곳이든지 본원 발명에 포함된다.
상기 동작 환경 검출부(310)는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가 동작하고 있는 환경 상태를 측정한다. 상기 동작 환경 검출부(310)에서 측정할 수 있는 환경 상태는 온도와 습도 등이 있다. 상기 동작 환경 검출부(310)는 측정가능한 온도들을 적어도 2개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측정한 온도를 상기 적어도 2개의 구간들 중 하나의 구간에 할당한다. 즉, 상기 동작 환경 검출부(310)는 측정 가능한 온도들을 저온, 상온, 고온 등으로 구분하고, 상기 측정한 온도를 상기 저온, 상온, 고온 중 하나에 할당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정확한 동작 환경을 측정하기 위해 동작 환경 검출부에서 구분 가능한 온도 구간의 개수는 늘일 수 있다. 상기 동작 환경 검출부는 습도에 대해서도 상기 온도와 같이 측정가능한 습도들을 적어도 2개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측정한 습도를 상기 적어도 2개의 구간들 중 하나의 구간에 할당한다. 즉, 상기 동작 환경 검출부(310)는 측정가능한 습도들을 저습, 상습, 고습 등으로 구분하고, 상기 측정한 습도를 상기 저습, 상습, 고습 중 하나에 할당할 수 있다. 상기 동작 환경 검출부(310)는 상기 측정한 정보들을 제어부(300)로 전달한다.
상기 카운터(304)는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에서 연속하여 화상형성되는 인쇄 매수를 측정한다. 상기 카운터(304)는 상기 측정한 인쇄 매수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제어부(300)로 전달한다.
상기 저장부(306)는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에서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 특히, 본원 발명과 관련하여 상기 저장부는 제1임계출력 매수와 제2임계 출력 매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제1 임계출력 매수는 본원 발명인 퍼지 추론에 의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임계 매수이다. 상기 제 2임계출력 매수는 퍼지 추론에 의해 픽업 속도가 조절된 디지털 사무기기의 픽업 속도를 정상속도로 복귀하는데 필요한 매수이다. 상기 제1임계출력 매수와 제2임계출력 매수의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비교부(308)는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카운터(304)로부터 전달된 정보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제1임계출력 또는 제2임계출력을 비교한다. 상기 비교부(308)는 상기 비교 결과를 상기 제어부(300)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온도 측정부(302)로부터 디지털 사무기기의 내부 온도와 동작 환경 검출부(310)로부터 디지털 사무기기의 동작 환경에 관한 정보(온도와 습도)를 전달받는다. 상기 제어부(300)는 전달받은 내부 온도와 동작 환경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306)로부터 대응되는 제1임계출력 매수을 독출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전달받은 내부 온도가 높으면 상기 제1임계출력 매수의 값은 작다. 또한, 상기 전달받은 동작 환경에 관한 정보 중 온도가 고온이면 제1임계출력매수의 값은 작고, 습도가 고습이면 제1임계출력매수의 값은 높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300)는 전달받은 디지털 사무기기의 내부온도와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의 동작 환경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304)로부터 제1임계출력매수를 독출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저장부로부터 전달받은 제1임계출력매수에 관한 정보를 비교부(308)로 전달하며, 상기 카운터(304)로부터 전달된 연속 인쇄 매수에 관한 정보를 비교부(308)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비교부(308)로부터 전달받은 비교 결과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퍼지 추론에 의한 픽업 속도를 조절할 지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연속 인쇄 매수가 상기 제1임계출력매수보다 크다면 상기 제어부(300)는 본원 발명에 따른 퍼지 추론에 의한 픽업속도를 조절한다.
상기 퍼지 추론에 의한 픽업속도는 동작환경 검출부(310)로부터 전달된 온도와 습도를 이용하여 결정한다. 상기 동작환경 검출부(310)로부터 전달된 온도가 높으면 상기 픽업속도를 감소시키며, 상기 전달된 온도가 낮으면 상기 픽업속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동작 환경 검출부(310)로부터 전달된 습도가 낮으면 픽업속도가 증가시키며, 상기 전달된 습도가 높으면 픽업속도를 감소시킨다. 이 경우 상기 온도와 습도 중 온도에 관한 정보의 비중을 높여 상기 픽업속도를 조절한다. 즉, 상기 동작환경 검출부(310)로부터 전달된 온도가 고온이고, 전달된 습도가 고습이면, 상기 제어부(300)는 전달된 정보 중 온도에 관한 정보를 우선하여 상기 픽업속도를 감소시킨다.
상기 조절되는 픽업속도는 전달된 정보를 바탕으로 적어도 2개로 구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조절되는 픽업속도를 새분화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조절된 픽업속도로 화상형성한 인쇄 매수에 관한 정보를 상기 비교부(308)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저장부(306)에 저장되어 있는 제2임계출력매수에 관한 정보를 상기 비교부(308)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비교부로부터 전달된 조절된 픽업속도로 화상형성한 인쇄 매수와 제2임계출력매수에 관한 정보의 비교 결과를 전달받아 정상 픽업 속도로 복귀할 지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도 3은 상기 비교부(308)와 제어부(300)가 구분되어 있으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하나의 구성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00)가 카운터(304)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와 저장부(306)로부터 독출한 정보에 대한 비교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무기기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상기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무기기에서 수행되는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S400단계에서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의 온도 측정부는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의 내부 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는 외부로부터 인쇄 데이터에 대한 화상형성이 지시되거나,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를 구성하고 있는 입력부로부터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에 대한 화상형성이 지시되면 내부 온도를 측정한다.
S402단계에서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의 동작 환경 검출부는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의 동작 환경을 검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동작 환경 검출부는 온도와 습도를 측정한다. 상기 S400단계와 S402단계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하나의 단계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의 제어부는 상기 S400단계와 S402단계에서 측정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저장부로부터 제1임계출력매수를 독출한다.
S404단계에서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는 화상형성을 수행하고, 상기 화상형성되는 문서의 매수를 카운트한다. 상기 화상형성되는 문서의 매수는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매수를 비교부로 전달한다.
S406단계에서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기의 비교부는 카운터가 전달한 연속출력되는 인쇄매수와 제1임계출력 매수를 비교한다.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카운터로부터 전달된 출력매수가 상기 제1임계출력 매수보다 작으면 S404 단계로 이동한다.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카운터로부터 전달된 인쇄매수가 상기 제1임계출력 매수보다 같거나 크다면 S408단계로 이동한다.
S408단계에서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는 퍼지 추론에 의한 픽업 속도를 계산한다. 상기 퍼지 추론에 의한 픽업 속도는 상기 S402단계에서 측정한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의 동작 환경에 관한 정보를 이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는 습도 정보에 대한 비중보다 온도 정보에 대한 비중을 높여 픽업 속도를 계산한다.
S410단계에서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는 상기 S408단계에서 측정한 픽업 속도로 화상형성할 수 있도록 픽업 속도를 조절한다.
S412단계에서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의 카운터는 픽업 속도가 조절된 이후에 출력되는 문서의 매수를 카운트한다. S414단계에서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는 픽업 속도가 조절된 이후에 출력되는 문서의 매수와 제2임계출력 매수를 비교한다. 상기 제2임계출력 매수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임계출력 매수가 크다면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의 내부 온도 변화 역시 크며, 상기 제 2임계출력 매수가 작다면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의 내부 온도 변화는 작다. 하지만, 상기 제 2 임계출력 매수가 작다면, 상기 퍼지 추론에 의한 픽업 속도를 계산하는 회수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동작 환경과 퍼지 추론에 의한 픽업 속도 계산 회수 등을 고려하여 상기 제2임계출력 매수를 설정한다.
상기 비교 결고 상기 픽업 속도가 조절된 이후에 출력되는 문서의 매수가 제2임계출력매수보다 작다면 S412단계로 이동한다.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픽업 속도가 조절된 이후에 출력되는 문서의 매수가 제2임계출력매수보다 크다면 S416단계로 이동한다. 상기 S416단계에서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는 초기에 설정된 정상 픽업 속도로 복귀한다.
상기 S416단계에서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는 정상 픽업 속도로 복귀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사용자의 설정에 달리 구현할 수 있다. 즉, S416단계에서 온도 측정부로부터 디지털 사무기기의 내부 온도를 전달받고, 상기 전달받은 디지털 사무기기의 내부온도가 기 설정되어 있는 화상형성을 위한 최적 디지털 사무기기의 내부온도 범위에 포함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전달받은 디지털 사무기기의 내부온도가 최적 디지털 사무기기의 내부온도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는 정상 픽업 속도로 복귀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전달받은 디지털 사무기기의 내부온도가 최적 디지털 사무기기의 내부온도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는 퍼지 추론에 의한 픽업속도를 새로 계산할 수 있다. 즉, 전달받은 디지털 사무기기의 내부온도가 최적 디지털 사무기기의 내부온도보다 낮다면 픽업속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전달받은 디지털 사무기기의 내부온도가 최적 디지털 사무기기의 내부온도보다 높다면 픽업 속도를 감소시킨다.
도 5는 동작 환경에 따른 디지털 사무기기의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는 동작 환경 검출부로부터 전달된 온도와 습도 정보 중 온도 정보만을 이용하여 픽업속도를 조절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는 상기 동작 환경 검출부로부터 검출가능한 온도를 3개의 구간으로 구분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S500단계에서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는 a, b, c의 값을 설정한다. 상기 b는 상기 a보다 크며, 상기 c보다 작게 설정한다. S502단계에서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는 동작환경이 저온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동작환경이 저온이면 S510단계로 이동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동작환경이 저온이 아니면 S504단계로 이동한다.
상기 S504단계에서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는 동작환경이 상온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동작환경이 상온이면 S506단계로 이동하고, 상기 동작환경이 상온이 아니면 S508단계로 이동한다.
상기 S506단계에서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는 픽업속도를 b로 조정하며, 상기 S508단계에서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는 픽업속도를 a로 조정한다. 상기 S510단계에서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는 픽업속도를 c로 조정한다.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는 조정된 픽업속도를 이용하여 인쇄 데이터에 대한 화상형성을 수행한다. 또한, 픽업속도 이외에 엔진의 동작 속도를 조절함으로서 프린터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도 5에서는 조정할 픽업속도를 미리 설정하고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디지털 사무기기는 동작환경과 퍼지 추론을 이용하여 조정할 픽업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즉, 디지털 사무기기의 제어부는 연속 인쇄량 증가에 따른 내부온도 변화에 대한 퍼지 모델링 함수를 각 동작 환경별로 구성한다.
상기 도 3 내지 도 5에서는 프린터에 대해 알아보았으나, 화상형성을 수행하는 다른 기기들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일 예로 복사 기능을 수행하는 복사기는 피딩속도를 조절함으로서 복사기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3 내지 도 5에서는 하나의 기능만을 수행하는 디지털 사무기기에 대해 알아보았다. 하지만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기능만을 수행하던 디지털 사무기기에서 여러 개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복합형 디지털 사무기기로 필요성 대두되었다. 따라서, 복합형 디지털 사무기기가 출현하게 되었다. 이하, 상기 복합형 디지털 사무기기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상기 복합형 디지털 사무기기에서 수행되는 동작은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에서 수행되는 동작과 동일하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복합형 디지털 사무기기는 적어도 2개의 기능을 수행하며, 각 기능을 하나의 동작으로 관리하는 방안이 추가된다.
이하 상기 도 4를 이용하여 복합형 디지털 사무기기의 동작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다만, 상기 복합형 디지털 사무기기를 설명함에 있어,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에서 수행되는 동작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S404단계에서 상기 복합형 디지털 사무기기는 화상형성되는 문서의 매수를 카운트한다. 이 경우 각 복합형 디지털 사무기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에 따라 매수에 대한 가중치를 달리한다. 즉, 각 기능에 따른 화상형성과 내부 온도 상승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가중치를 설정한다. 하기 〈표 1〉은 각 기능에 따른 가중치를 설정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기능 가중치
프린트 기능 α
팩시밀리 기능 β
복사 기능 δ
스캔 기능 ε
상기 〈표 1〉은 각 기능에 따른 가중치를 달리 설정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어떤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하나의 매수를 화상형성한 후 내부 온도 상승 비율이 높다면 상기 기능에는 큰 가중치를 설정하고, 하나의 매수를 화상형성한 후 내부 온도 상승 비율이 낮다면 상기 기능에는 작은 가중치를 설정한다. 따라서, 상기 복합형 디지털 사무기기는 화상형성되는 매수를 카운터함에 있는 각 기능에 따른 가중치를 이용한다.
S408단계에서 상기 복합형 디지털 사무기기는 픽업속도뿐만 아니라, 피딩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즉, 복사부의 피딩속도를 조절함으로서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 내부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형 디지털 사무기기는 적어도 2개의 방법으로 디지털 사무기기의 내부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두 개 이상의 작업이 연속되는 경우 연속 인쇄량에 대한 온도특성 변화를 퍼지 추론 함수를 이용하여 내부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 사무기기의 내부 온도에 따라 복사 용지의 화상형성속도를 조절함으로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합형 디지털 사무기기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을 종합하여 하나로 관리함으로서 시스템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사무기기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복합형 디지털 사무기기에서 수행되는 기능들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무기기에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무기기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무기기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다른 도면.

Claims (19)

  1. 디지털 사무기기에서 전달받은 인쇄 데이터에 대한 화상형성 속도를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의 내부온도와 동작 환경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한 내부온도와 동작 환경을 이용하여 제1임계출력매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전달받은 인쇄 데이터에 대해 화상형성 매수가 상기 제1임계출력매수를 초과하면, 상기 동작 환경을 이용하여 상기 인쇄 데이터에 대한 화상형성속도를 조절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속도는 인쇄 용지의 픽업 속도를 이용하여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된 화상형성속도로 화상형성할 제2임계출력매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조절된 화상형성속도로 화상형성한 매수가 상기 제2임계출력매수를 초과하면, 상기 초과된 매수는 조절되기 이전 화상형성속도로 화상형성하는 단계;를 부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환경은 외부온도와 습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한 내부온도 또는 외부온도가 높으면 상기 제1임계출력매수는 작아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한 외부온도가 높거나, 습도가 낮으면 상기 화상형성속도를 감소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가 적어도 2가지로 동작으로 화상형성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각 동작으로 화상형성되는 문서의 합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속도를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각 동작별로 하나의 문서를 화상형성할 경우 온도 상승률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온도 상승률에 비례하여 상기 합산되는 문서에 대한 가중치를 할당하고, 상기 할당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화상형성되는 문서의 합을 계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가 복사기능을 수행할 경우 피딩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형성속도를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0. 디지털 사무기기에서 전달받은 인쇄 데이터에 대한 화상형성 속도를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의 내부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의 동작 환경을 측정하는 동작환경 검출부; 및
    상기 측정한 내부온도와 동작 환경에 대응되는 제1임계출력매수를 독출하고, 상기 전달받은 인쇄 데이터에 대해 화상형성 매수가 상기 제1임계출력매수를 초과하면, 상기 동작 환경을 이용하여 상기 인쇄 데이터에 대한 화상형성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인쇄 용지의 픽업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형성속도를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절된 화상형성속도로 화상형성할 제2임계출력매수를 산출하고, 상기 조절된 화상형성속도로 화상형성한 매수가 상기 제2임계출력매수를 초과하면, 상기 초과된 매수는 조절되기 이전 화상형성속도로 화상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는 제1임계출력매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부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환경은 외부온도와 습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측정한 내부온도 또는 외부온도에 반비례하여 상기 제1임계출력매수를 저장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한 외부온도가 높거나, 습도가 낮으면 상기 화상형성속도를 감소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가 적어도 2가지로 동작으로 화상형성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동작으로 화상형성되는 문서의 합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속도를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동작별로 하나의 문서를 화상형성할 경우 온도 상승률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온도 상승률에 비례하여 상기 합산되는 문서에 대한 가중치를 할당하고, 상기 할당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화상형성되는 문서의 합을 계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사무기기가 복사기능을 수행할 경우, 상기 제어부는 피딩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형성속도를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KR1020040033307A 2004-05-12 2004-05-12 디지털 사무기기에서 화상형성속도 조절방법 및 조절장치 KR100583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307A KR100583039B1 (ko) 2004-05-12 2004-05-12 디지털 사무기기에서 화상형성속도 조절방법 및 조절장치
US11/110,820 US7215895B2 (en) 2004-05-12 2005-04-21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printing velocity in digital offic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307A KR100583039B1 (ko) 2004-05-12 2004-05-12 디지털 사무기기에서 화상형성속도 조절방법 및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8522A true KR20050108522A (ko) 2005-11-17
KR100583039B1 KR100583039B1 (ko) 2006-05-25

Family

ID=35309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3307A KR100583039B1 (ko) 2004-05-12 2004-05-12 디지털 사무기기에서 화상형성속도 조절방법 및 조절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215895B2 (ko)
KR (1) KR1005830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985B1 (ko) * 2010-08-31 2015-03-16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
KR102518094B1 (ko) * 2022-10-27 2023-04-05 주식회사 에이티앤아이 신뢰도가 향상된 기록물 디지털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577B1 (ko) * 2005-04-22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온도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07237682A (ja) * 2006-03-10 2007-09-20 Oki Data Corp 画像形成装置
CN102555551A (zh) * 2012-02-24 2012-07-11 苏州工业园区鑫海胜电子有限公司 打印机变速温度控制装置
JP6413556B2 (ja) * 2014-09-26 2018-10-3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7218151B2 (ja) * 2018-10-31 2023-02-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0320B2 (ja) 1989-05-26 2000-06-1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のファジイ制御システム
JPH0816043A (ja) 1994-06-30 1996-01-1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9190127A (ja) 1996-01-09 1997-07-2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113000A (ja) 1998-05-25 1999-01-0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のファジイ制御システム
US6694108B2 (en) * 1998-10-30 2004-02-17 Canon Kabushiki Kaisha System for managing temperature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by controlling printing speed
JP2000267507A (ja) * 1999-03-18 2000-09-29 Copyer Co Ltd 画像形成装置
KR100398898B1 (ko) * 1999-07-07 2003-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인쇄품질 향상방법
KR100303661B1 (ko) * 1999-09-22 2001-11-02 윤종용 정착기의 온도 제어방법
KR100353711B1 (ko) * 2000-03-09 2002-09-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온도 제어방법
JP4116531B2 (ja) * 2002-12-16 2008-07-09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
US6816686B2 (en) * 2003-02-25 2004-11-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ctrophotographic imaging and fusing apparatus and methods
JP2005055463A (ja) * 2003-08-01 2005-03-0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985B1 (ko) * 2010-08-31 2015-03-16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
KR102518094B1 (ko) * 2022-10-27 2023-04-05 주식회사 에이티앤아이 신뢰도가 향상된 기록물 디지털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3039B1 (ko) 2006-05-25
US7215895B2 (en) 2007-05-08
US20050254844A1 (en) 200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5231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sheet feeding method and control program
US728078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document identical size mode and outputting a document image having a size conforming to the document
US72158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printing velocity in digital office device
US7852504B2 (en) Image forming device, print job transmission device, data management device, program, storage medium and method for supplying print sheet
KR20080084226A (ko)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944599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70248374A1 (en) Variable speed printing
JP2008122807A (ja) 画像形成装置
US5923828A (en)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forms an image based on bit map data
JP2019074586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5740505A (en) Image forming apparatus
EP2607959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gradation correction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gram
CN102363394B (zh) 图像处理装置以及图像处理方法
CN101236371A (zh) 可确定纸张宽度的成像设备及其成像方法
US200600027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life time of a developer
JP5069738B2 (ja) 画像読取装置
CN101251727B (zh) 图像形成装置
JP2007126226A (ja) 積載枚数検知装置、積載枚数検知方法、シート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3003071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and method of compensating for density of image
JP2010217564A (ja) 画像形成装置
JP2016113271A (ja) シート状媒体積載装置、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6917771B2 (en) Duplex 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oner image concentration thereof
JP3935795B2 (ja) 用紙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1524510B2 (en) Adjusting a pickup time of a printing medium when a transfer delay occurs or is anticipated to occur
US11609522B2 (en) Image forming system,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