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3897A -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 - Google Patents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3897A
KR20050103897A KR1020050099316A KR20050099316A KR20050103897A KR 20050103897 A KR20050103897 A KR 20050103897A KR 1020050099316 A KR1020050099316 A KR 1020050099316A KR 20050099316 A KR20050099316 A KR 20050099316A KR 20050103897 A KR20050103897 A KR 20050103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entrifugal
water
water tank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9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3137B1 (ko
Inventor
윤장식
Original Assignee
윤장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장식 filed Critical 윤장식
Priority to KR1020050099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3137B1/ko
Publication of KR20050103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3897A/ko
Priority to EP06702914A priority patent/EP1843827A4/en
Priority to PCT/KR2006/000251 priority patent/WO2006112590A1/en
Priority to US11/815,496 priority patent/US8012248B2/en
Priority to JP2007554005A priority patent/JP4913073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3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3137B1/ko
Priority to US13/198,936 priority patent/US20120031275A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37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inertial or centrifugal separators, e.g. of cyclone type, optionally combined or associated with agglom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04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 B01D45/08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by impingement against baffle separators
    • B01D45/1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by impingement against baffle separators which are wet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01D45/14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generated by rotating vanes, discs, drums or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01D45/16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generated by the winding course of the gas stream, the centrifugal forces being generated solely or partly by mechanical means, e.g. fixed swirl v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8Spray cleaning with rotary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8Spray cleaning with rotary nozzles
    • B01D47/085Spray cleaning with rotary nozzles with nozzles which are partly immersed in the washing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8Absorbing units; Liquid distributo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using liqu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미세수분입자의 3차원 와류방식으로 포집하고 공기와 물을 비중차이에 의하여 원심분리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원심 분리형식의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하여 미세수분입자를 만드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물탱크의 내부에서 무화 디스크를 이용하여 미세수분입자를 만드는 무화실과, 포집실린더를 이용하여 3차원 미세수분입자의 와류에 기초하여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포집실과, 스파이럴홈을 이용하여 공기로부터 오염물질을 포집한 오염수를 원심분리하는 와류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를 구성한다.
고속 회전하는 원심 임펠러 및 스파이럴홈을 이용하여 원심 분리력을 발생하는 나선형 습공기 흐름에 기초하여 공기를 고성능, 소형 경량 구조로서, 0.1μm 크기 이하의 작은 미세먼지, 유해가스, 냄새입자, 오염물질 및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를 포함한 병원균을 고체 필터 없이 원심분리 하여 필터 교체 유지보수 없이 장기간 99.9%의 공기정화효율을 갖는다.

Description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 {Centrifugal wet type air cleaner utilizing a spin vaporizer}
본 발명은 1차적으로 공기중의 미세입자상 먼지, 유해가스, 냄새입자, 병원균, 및 박테리아를세정수를 이용하여 습식으로 포집하고, 2차적으로 기체와 액체의 비중차이(1: 1000)를 이용하여 공기중의 오염 세정수를 원심분리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것으로서, 고속회전하는 원심 임펠러를 이용하여 강력한 세기의 원심력을 갖는 와류에 발생 구조에 기초하여 공기 또는 기체를 필터 없이 정화하는 원심형식의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기 환경의 공기에는 세균, 병원균, 모래, 유해가스, 연기, 먼지, 유분, 수분, 타이어분진, 꽃가루 및 0.1μm 크기보다 작은 미세먼지, 냄새 입자를 포함한 오염물질이 혼합되어 있다.
종래의 공기 정화기술에서는 일반적으로 고체 형태의 백 필터 방식을 이용하고 있으나 미세입자상 먼지를 완전하게 포집하여 정화하지 못하며, 분진이 함유된 공기가 유인되면 여과포 표면에 누적되고, 필터 막힘으로 인하여 집진효율이 급격하게 저하되고 병원균 또는 세균의 온상지가 되기도 하며, 따라서 정기적인 교체에 따른 유지보수의 문제점이 있으며, 폐기된 필터 부직포로 인하여 2차 환경오염물질을 생성하여 지구 환경오염의 주요원인이 되고 있다.
광촉매, 전기 집진, 플라즈마를 포함한 공기정화장치의 공기정화효율이 저조하며, 더욱 음이온 발생 공기정화장치는 인체 보건 위생에 유해한 오존발생의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건식으로 구성된 원심형식의 공기정화기는 이론상 90%-95%의 공기정화효율을 갖고있지만 인체 보건 위생에 유해한 5μm 이하를 갖는 미세입자상 먼지, 꽃가루, 담배연기, 유해가스를 포집하여 정화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으로서, 단순하게 공기중의 먼지를 제한적으로 원심분리 제거하는 산업용 목적의 공기 청정장치이다.
종래의 습식 공기정화기에서 공기 흐름을 유인하여 2차원적인 수막 표면적 접촉에 의하여 물의 점성 응착력으로 공기를 정화하는 방식이 있다. 수막 표면적에 접촉하는 공기중의 오염물질만이 물의 점성 응착력으로 정화되고 수막 표면적에 접촉하지 않는 대부분의 오염물질은 정화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과도한 습기를 함유한 공기가 배출되어 정밀기기를 부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기역학 측면에서 종래의 습식 공기정화기는 0.1μm 크기보다 작은 미세먼지 정화 가능 및 공기정화효율이 다른 형식의 공기정화기보다 상대적으로 높지만 이론상 85% 미만으로 제한적이며, 병원균, 미생물의 자체 살균능력이 없어서 병원균의 온상이 되어 비위생적이며 세정수를 약품처리 살균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원심 형식의 공기정화장치”, 실용 평가 확정 등록 제 20-0328651호 (동일 출원인 및 발명자)에 기초한 발명으로서, "원심 임펠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특허공개 10-2004-0099193 (동일 출원인 및 발명자) 와 " WET TYPE AIR PURIFICATION APPARATUS UTILIZING A CENTRIFUGAL IMPELLER", PCT 국제공개번호, WO 2005/075799 (동일 출원인 및 발명자) 을 개선한 발명으로서, 대용량의 미세수분입자 흐름을 생성하여 대용량의 공기유량을 정화하도록 회전 무화 장치를 구성한 것이다.
종래기술의 문헌 정보에서는 " APPLIANCE FOR PURIFYING AND/OR HUMIDIFYING AND DEHUMIDIFYING GASES, ESPECIALLY AIR", 미국특허등록번호 4,829,781, 물을 이용한 습식공기정화기로서, 수막 표면적에 접촉하는 공기중의 오염물질만이 물의 점성 응착력으로 정화되고 제한된 2차원 수막 표면적에 접촉하지 않는 대부분의 오염물질은 정화가 되지 않아서 이론적으로 85%미만의 제한적인 공기정화효율을 갖는 문제점 이외에, 과도한 습기를 함유한 공기가 배출되어 별도의 제습 장치가 장착하여야 하고 병원균, 미생물의 자체 살균능력이 없어서 병원균의 온상이 되어 비위생적이며 세정수를 약품처리 살균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기술은 현재 국내외에서 가장 많이 유통되는 독일 벤타사 공기정화기 제품의 기본 기술 개념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의 세균 및 먼지를 포함한 오염물질을 기체와의 비중차이를 이용하여 원심 분리에 의하여 정화하는 것으로서, 전동기를 이용한 원심 형식의 공기 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에 함유된 세균, 먼지, 미세입자 및 기타 오염물질을 전동기에 의하여 고속 회전하는 원심 임펠러를 이용하여 원심 분리력을 발생하는 유체 흐름의 원리에 기초하여 공기를 고성능으로 청정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의 구성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미세수분입자로 포집하고 공기와 물을 비중차이에 의하여 원심분리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원심 분리형식의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하우징(409)의 내부에 위치한 전동기(433)와, 전동기(433)에 회전축(435)으로 연결되어 동시에 고속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한 원심 임펠러(408)와 무화 디스크(470)와, 무화 디스크(470)의 상면에서 회전축(435)상에 설치한 베어링(434)과, 무화 디스크(470)에 형성한 무화홈(472)과 통수구(474)와, 전동기(433)의 하면에 설치한 증속장치(436)와, 하우징(409)에 체결체로 고정하여 원심 임펠러(408)의 하부에 위치한 쉬라우드(498)와; 하우징(409)의 하부에서 체결체로 조립하여 설치한 물탱크(401)와, 물탱크(401)의 벽에 원주상으로 형성한 다수의 흡기구(405)와, 무화 디스크(470)에 물을 일정하게 공급하도록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물탱크(401)의 내부에 설치한 급수관(403)과 플로트 밸브(402)와, 물탱크(401)의 내부에서 무화 디스크(470)의 하면에 위치한 무화격리판(476)과; 물탱크(401)의 내부에 설치한 배수판(422)과, 배수판(422)에 원주상으로 설치한 다수의 배수구(422A)와, 배수판(422)의 상부에서 물탱크(401)의 벽과 쉬라우드(498)의 사이에 설치한 포집실린더(493)와, 포집실린더(493)의 내외 양면에 형성한 와류발생기(493A)와, 포집실린더(493)의 하면에 설치한 배수트랩(441)과; 하우징(409)의 내부에서 전동기(433)와 증속장치(436)를 고정하도록 설치한 와류실린더(413)와, 와류실린더(413)의 외면에 형성한 스파이럴홈(416)과, 스파이럴홈(416)의 상부에서 하우징(409)과 와류실린더(413)의 사이에서 설치한 1차격리판(450)과, 1차격리판(450)에 원주방향으로 형성한 다수의 배기공(450A)과, 와류실린더(413)의 상면에 설치한 2차격리판(460)과, 2차격리판(460)에 원주방향으로 형성한 다수의 배기공(460A)과; 2차격리판(460)의 상부에서 하우징(409)의 상단에 연결된 배기구(432)와, 배기구(432)에 설치한 습도조절기(4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와,; 및
물탱크(401)의 내부에서 무화 디스크(470)를 이용하여 미세수분입자를 만드는 무화실(500)과, 배수판(422)의 상부에서 물탱크(401)의 벽과 쉬라우드(498)의 사이에서 포집실린더(493)를 이용하여 3차원 미세수분입자의 와류에 기초하여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포집실(502)과, 하우징(409)과 와류실린더(413)의 사이에서 스파이럴홈(416)을 이용하여 공기로부터 오염물질을 포집한 오염수를 원심분리하는 와류실(504)과, 하우징(409)과 와류실린더(413)의 사이에서 스파이럴홈(416)을 이용하여 형성한 와류실(504)과, 하우징(409)의 내부에서 1차격리판(450)과 2차격리판(460)의 사이에 형성한 체류실(506)과, 2차격리판(460)과 배기구(432)의 사이에 형성한 체류실(50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와,; 및
원심 임펠러 (408)와 회전 무화 장치를 동시 회전하도록 하우징(409)의 외부에서 연장된 회전축(435)을 통하여 연결되어 설치한 전동기(433)와 증속장치(4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와, 및
물탱크(401)에 위치한 초음파 진동자(480)와 발진장치(482)를 포함하는 초음파 무화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와,; 및
공기를 유인하도록 전동기(433)에 회전축(435)으로 연결한 시로코팬, 축류팬, 사류팬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식의 흡입팬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와,; 및
전동기(433)에 회전축(435)으로 연결한 다양한 형식의 회전 무화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를 구성한 것이다.
더욱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회전 무화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의 구성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미세수분입자로 포집하고 공기와 물을 비중차이에 의하여 원심분리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원심 분리형식의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하우징(609)의 내부에 위치한 전동기(633)와, 전동기(633)에 회전축(635)으로 연결되어 동시에 고속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한 원심 임펠러(608)와 무화 디스크(670)와, 무화 디스크(670)의 상면에서 회전축(635)상에 설치한 베어링(634)과, 무화 디스크(670)에 형성한 무화홈(672)과 통수구(674)와, 전동기(633)의 상면에 설치한 증속장치(636)와; 하우징(609)의 하부에서 체결체로 조립하여 설치한 물탱크(601)와, 무화 디스크(670)에 물을 일정하게 공급하도록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물탱크(601)에 설치한 급수관(603)과 플로트 밸브(602)와, 물탱크(601)의 벽에 원주상으로 형성한 다수의 흡기구(605)와; 물탱크(601)의 상부에 설치한 배수판(622)과, 배수판(622)에 원주상으로 설치한 다수의 배수트랩(622A)과; 습공기를 유인하도록 하우징(609)에 체결체로 고정하여 원심 임펠러(608)의 상부에 위치한 쉬라우드(698)와, 쉬라우드(698)와 물탱크(601)사이에서 흡입 호스(691)와 배출 호스(697)를 통하여 연결한 포집장치(693)와, 포집장치(693)의 내부에 설치한 와류발생기(694)와; 하우징(609)의 내부에서 전동기(633)와 증속장치(636)를 고정하도록 설치한 와류실린더(613)와, 와류실린더(613)의 외면에 형성한 스파이럴홈(616)과, 스파이럴홈(616)의 하부에서 와류실린더(613)에 형성한 다수의 통기구(650)와, 와류실린더(613)에서 하우징(609)을 관통하여 설치한 배기구(632)와, 배기구(632)에 설치한 습도조절장치(6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와,; 및
물탱크(601)의 내부에서 무화 디스크(670)를 이용하여 미세수분입자를 만드는 무화실(700)과, 흡입 호스(691)와 배출 호스(697)를 사이에서 3차원 미세수분입자의 와류에 기초하여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포집실(702)와, 하우징(609)과 와류실린더(613)의 사이에서 스파이럴홈(616)을 이용하여 공기로부터 오염물질을 포집한 오염수를 원심분리하는 와류실(704)과, 와류실린더(613)의 내부에 형성한 체류실(70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와,; 및
물탱크(601)에 위치한 초음파 진동자(680)와 발진장치(682)를 포함하는 초음파 무화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 및
원심임펠러(608) 와 회전 무화디스크(670)를 동시에 회전하도록 하우징(609)의 외부에서 연장된 회전축(635)을 통하여 연결되어 설치한 전동기(633)와 증속장치(6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를 구성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실시 예로서 도시한 첨부 도면과 함께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의 세균 및 먼지를 포함한 오염물질을 기체와의 비중차이를 이용하여 원심 분리에 의하여 정화하는 것으로서, 전동기를 이용한 원심 형식의 공기 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에 함유된 세균, 먼지, 미세입자 및 기타 오염물질을 전동기에 의하여 고속 회전하는 원심 임펠러를 이용하여 원심 분리력을 발생하는 유체 흐름의 원리에 기초하여 공기를 고성능으로 청정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의 구성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미세수분입자로 포집하고 공기와 물을 비중차이에 의하여 원심분리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원심 분리형식의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하우징(409)의 내부에 위치한 전동기(433)와, 전동기(433)에 회전축(435)으로 연결되어 동시에 고속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한 원심 임펠러(408)와 무화 디스크(470)와, 무화 디스크(470)의 상면에서 회전축(435)상에 설치한 베어링(434)과, 무화 디스크(470)에 형성한 무화홈(472)과 통수구(474)와, 전동기(433)의 하면에 설치한 증속장치(436)와, 하우징(409)에 체결체로 고정하여 원심 임펠러(408)의 하부에 위치한 쉬라우드(498)와; 하우징(409)의 하부에서 체결체로 조립하여 설치한 물탱크(401)와, 물탱크(401)의 벽에 원주상으로 형성한 다수의 흡기구(405)와, 무화 디스크(470)에 물을 일정하게 공급하도록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물탱크(401)의 내부에 설치한 급수관(403)과 플로트 밸브(402)와, 물탱크(401)의 내부에서 무화 디스크(470)의 하면에 위치한 무화격리판(476)과; 물탱크(401)의 내부에 설치한 배수판(422)과, 배수판(422)에 원주상으로 설치한 다수의 배수구(422A)와, 배수판(422)의 상부에서 물탱크(401)의 벽과 쉬라우드(498)의 사이에 설치한 포집실린더(493)와, 포집실린더(493)의 내외 양면에 형성한 와류발생기(493A)와, 포집실린더(493)의 하면에 설치한 배수트랩(441)과; 하우징(409)의 내부에서 전동기(433)와 증속장치(436)를 고정하도록 설치한 와류실린더(413)와, 와류실린더(413)의 외면에 형성한 스파이럴홈(416)과, 스파이럴홈(416)의 상부에서 하우징(409)과 와류실린더(413)의 사이에서 설치한 1차격리판(450)과, 1차격리판(450)에 원주방향으로 형성한 다수의 배기공(450A)과, 와류실린더(413)의 상면에 설치한 2차격리판(460)과, 2차격리판(460)에 원주방향으로 형성한 다수의 배기공(460A)과; 2차격리판(460)의 상부에서 하우징(409)의 상단에 연결된 배기구(432)와, 배기구(432)에 설치한 습도조절기(4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와,; 및
물탱크(401)의 내부에서 무화 디스크(470)를 이용하여 미세수분입자를 만드는 무화실(500)과, 배수판(422)의 상부에서 물탱크(401)의 벽과 쉬라우드(498)의 사이에서 포집실린더(493)를 이용하여 3차원 미세수분입자의 와류에 기초하여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포집실(502)과, 하우징(409)과 와류실린더(413)의 사이에서 스파이럴홈(416)을 이용하여 공기로부터 오염물질을 포집한 오염수를 원심분리하는 와류실(504)과, 하우징(409)과 와류실린더(413)의 사이에서 스파이럴홈(416)을 이용하여 형성한 와류실(504)과, 하우징(409)의 내부에서 1차격리판(450)과 2차격리판(460)의 사이에 형성한 체류실(506)과, 2차격리판(460)과 배기구(432)의 사이에 형성한 체류실(50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와,; 및
원심 임펠러 (408)와 회전 무화 장치를 동시 회전하도록 하우징(409)의 외부에서 연장된 회전축(435)을 통하여 연결되어 설치한 전동기(433)와 증속장치(4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와, 및 물탱크(401)에 위치한 초음파 진동자(480)와 발진장치(482)를 포함하는 초음파 무화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와,; 및
공기를 유인하도록 전동기(433)에 회전축(435)으로 연결한 시로코팬, 축류팬, 사류팬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식의 흡입팬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와,; 및
전동기(433)에 회전축(435)으로 연결한 다양한 형식의 회전 무화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를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의 구성에 있어서, 추가로 구성하면 다음과 같다.
큰 알갱이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탱크(401)의 벽에 원주상으로 형성한 다수의 흡기구(405)에 스크린(미도시)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와,; 및
디스크 외주면으로 물이 공급되어 무화시키거나 수도관을 설치하여 급수하는 방식으로 전동기(433)에 회전축(435)으로 연결한 다양한 형식의 회전 무화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와,; 및
하우징(409)의 외부에 위치한 전동기(433) 및 증속장치(436)를 이용하여 벨트(미도시)를 이용한 간접구도방식으로 회전하는 회전축(435)으로 연결되어 동시에 고속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한 원심 임펠러(408)와 무화 디스크(47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와,; 및
물탱크(401)에 유해가스 정화용, 냄새입자 제거용, 알카리수 및 향수 발산용 화학 세정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와,; 및
분진발생장소의 오염공기를 정화하도록 물탱크(401)에 유연한 공기 흡입 호스를 연결하여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와,; 및
배기구(432) 또는 2차 체류실(508)에 음이온 발생 장치(443)을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와,; 및
물탱크(401)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403)에 정수필터(미도시)를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와,; 및
에어콘, 공조냉동시스템, 내연기관의 배출가스, 내연기관의 흡입공기 정화장치, 산업용 클린룸, 군수용 화생방 공기정화장치, 항온항습 공기조화시스템, 가정용 공기정화기의 부속품으로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를 구성한다.
더욱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회전 무화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의 구성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미세수분입자로 포집하고 공기와 물을 비중차이에 의하여 원심분리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원심 분리형식의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하우징(609)의 내부에 위치한 전동기(633)와, 전동기(633)에 회전축(635)으로 연결되어 동시에 고속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한 원심 임펠러(608)와 무화 디스크(670)와, 무화 디스크(670)의 상면에서 회전축(635)상에 설치한 베어링(634)과, 무화 디스크(670)에 형성한 무화홈(672)과 통수구(674)와, 전동기(633)의 상면에 설치한 증속장치(636)와; 하우징(609)의 하부에서 체결체로 조립하여 설치한 물탱크(601)와, 무화 디스크(670)에 물을 일정하게 공급하도록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물탱크(601)에 설치한 급수관(603)과 플로트 밸브(602)와, 물탱크(601)의 벽에 원주상으로 형성한 다수의 흡기구(605)와; 물탱크(601)의 상부에 설치한 배수판(622)과, 배수판(622)에 원주상으로 설치한 다수의 배수트랩(622A)과; 습공기를 유인하도록 하우징(609)에 체결체로 고정하여 원심 임펠러(608)의 상부에 위치한 쉬라우드(698)와, 쉬라우드(698)와 물탱크(601)사이에서 흡입 호스(691)와 배출 호스(697)를 통하여 연결한 포집장치(693)와, 포집장치(693)의 내부에 설치한 와류발생기(694)와; 하우징(609)의 내부에서 전동기(633)와 증속장치(636)를 고정하도록 설치한 와류실린더(613)와, 와류실린더(613)의 외면에 형성한 스파이럴홈(616)과, 스파이럴홈(616)의 하부에서 와류실린더(613)에 형성한 다수의 통기구(650)와, 와류실린더(613)에서 하우징(609)을 관통하여 설치한 배기구(632)와, 배기구(632)에 설치한 습도조절장치(6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와,; 및
물탱크(601)의 내부에서 무화 디스크(670)를 이용하여 미세수분입자를 만드는 무화실(700)과, 흡입 호스(691)와 배출 호스(697)를 사이에서 3차원 미세수분입자의 와류에 기초하여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포집실(702)와, 하우징(609)과 와류실린더(613)의 사이에서 스파이럴홈(616)을 이용하여 공기로부터 오염물질을 포집한 오염수를 원심분리하는 와류실(704)과, 와류실린더(613)의 내부에 형성한 체류실(70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와,; 및
물탱크(601)에 위치한 초음파 진동자(680)와 발진장치(682)를 포함하는 초음파 무화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 및
원심임펠러(608) 와 회전 무화디스크(670)를 동시에 회전하도록 하우징(609)의 외부에서 연장된 회전축(635)을 통하여 연결되어 설치한 전동기(633)와 증속장치(6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를 구성한 것이다.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의 구성에 있어서, 추가로 구성하면 다음과 같다.
큰 알갱이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탱크(601)의 벽에 원주상으로 형성한 다수의 흡기구(605)에 스크린(미도시)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와,; 및
디스크 외주면으로 물이 공급되어 무화시키거나 수도관을 설치하여 급수하는 방식으로 전동기(633)에 회전축(635)으로 연결한 다양한 형식의 회전 무화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와,; 및
하우징(609)의 외부에 위치한 전동기(633) 및 증속장치(636)를 이용하여 벨트(미도시)를 이용한 간접구동방식으로 회전하는 회전축(635)으로 연결되어 동시에 고속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한 원심 임펠러(608)와 무화 디스크(67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와,; 및
물탱크(601)에 유해가스 정화용, 냄새입자 제거용, 알카리수 및 향수 발산용 화학 세정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와,; 및
분진발생장소의 오염공기를 정화하도록 물탱크(601)에 유연한 공기 흡입 호스를 연결하여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와,; 및
배기구(632) 또는 체류실(706)에 음이온 발생 장치(643)을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와,; 및
물탱크(601)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603)에 정수필터(미도시)를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와,; 및
에어콘, 공조냉동시스템, 내연기관의 배출가스, 내연기관의 흡입공기 정화장치, 산업용 클린룸, 군수용 화생방 공기정화장치, 항온항습 공기조화시스템, 가정용 공기정화기의 부속품으로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 기초한 작용을 도시한 첨부 도면과 함께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의 작동 설명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정화하기 위하여 전동기(433)에 전원이 인가되면 증속장치(436) 및 회전축(435)을 통하여 연결한 원심임펠러(408) 및 무화디스크(470)이 회전한다. 여기서 전동기(633)가 저속 회전인 경우에도 증속장치(436)를 부설하여 원심임펠러(408) 및 무화디스크(470)를 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전동기(433)은 하우징(409)의 벽과 와류실린더(413)의 벽으로 구성한 이중 격벽의 내부에 위치하므로 소음이 적으며, 원심임펠러(408)의고속회전에 따라 습공기의 터보 냉각 효과에 의하여 전동기(433)는 냉각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원심 임펠러의 장착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435)에 고정되어 있으며,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는 원심 임펠러(408)의 상단 부분은 공기를 유인하고 하단부분은 공기를 원심력을 갖는 나선형 흐름으로 유도한다. 따라서 공기 유인 및 원심력을 발생하는 3차원 유체역학 구조를 갖는 원심임펠러(408)가 회전하면서,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 공기를 유인하고 원주방향으로 원심력을 발생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무화 장치의 작동 설명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화디스크(470)이 회전하면서 물탱크에 있는 물을 통수구(474)를 통하여 유인하여 원심방향으로 흐르게 하여 톱니와 유사한 요철이 형성한 무화홈(472)에서 미세수분입자로 무화하게 된다.
무화실(50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탱크(401)에 설치한 급수관(403)으로부터 플로트밸브(402)의 조절에 기초하여 일정 수위의 물을 무화디스크(470)가 회전하면서 통수구(474)를 통하여 유인하여 원심방향으로 흐르게 하여 무화실(500)에서 톱니와 유사한 요철이 형성한 무화홈(472)에서 미세수분입자로 무화하게 된다. 한편 외부공기는 물탱크(401)에 원주방향으로 형성한 다수의 흡기구(405)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무화실(500)에서 미세수분입자와 합류한다. 여기서 무화디스크(470)는 외측면에서 물을 흡착하여 디스크의 외측면에 형성한 무화홈에서 미세수분입자를 만들 수 있다. 한편 공기 중에는 큰 알갱이 형태의 고형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물탱크(401)에 원주방향으로 형성한 다수의 흡기구(405)에는 스크린(미도시) 또는 프리필터가 설치되어 있다.
미세수분입자를 함유한 습공기는, 도 12 에 도시한 바와 같은 무화격리판(476)의 안내에 따라 새로 유인하는 외부공기와 접촉하지 않고 배수판(422)의 다수의 배수구(422A)를 지나서 포집실(502)로 들어간다. 여기서 포집실(502)은 포집실린더(493)가 삽입되어 물탱크(401)의 내면과 쉬라우드(498)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도 10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집실린더(493)의 내면과 외면에는 양쪽으로 와류발생기(493A)가 형성되어 와류를 발생시키어 미세수분입자와 공기의 접촉을 높여서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미세수분입자가 효율적으로 포집하여 공기정화효율을 높이도록 한다.
습공기 흐름은 원심임펠러(408)의 흡인력에 의하여 쉬라우드(498)의 통로를 지나서 와류실(504)로 들어간다.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류실린더(413)의 표면에는 스파이럴홈(41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9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심임펠러(408)를 통과한 공기는 하우징(409)의 내면과 와류실린더(413)의 사이에서 형성한 와류실(504)에서,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와류실린더(413)에 형성된 스파이럴홈(416)을 따라서 나선형 흐름을 유지하면서 강력한 원심분리력으로 비중차이에 따른 기액분리작용을 하면서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정화한다. 여기서 고속회전하는 나선형 공기흐름은 라비린스효과에 의하여 축방향 흐름은 차단된 상태에서 원심력을 갖는다. 따라서 기체와 액체의 1:1000의 비중차이로 공기 흐름으로부터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포집한 물은 원심분리되어 제거되고 청정건조공기가 배출된다. 한편 원심 분리된 오염수는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포집한 상태에서 물의 점성 응착력으로 배출 공기 흐름으로 다시 희석되는 캐리오버(CARRY OVER) 현상이 발생 되지 않고 하우징(409)의 내면을 따라 중력의 영향으로 낙하하여 수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0.1μm 이하를 갖는 미세입자상 먼지도 10,000RPM 으로 회전하는 미세수분의 3차원 와류상태에서 액상의 물에 흡착된 상태에서 12,000G의 순간 원심력 세기가 작용하여 공기로부터 액상의 물의 점성 흡착력으로 부착되어 확실하게 원심분리되므로 필터없이 99.9%이상의 공기 정화 효율을 갖는다.
여기서 오염수는 배수판(422) 상부에서 포집실린더(493)의 용기로 모이게 된 후 일정량이 누적되면 물의 부력으로 부자(미도시)의 미는힘으로 배수판(422)에 원주방향으로 설치한 다수의 배수트랩(441)이 열리게 된다. 따라서 도 11 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배수판(422)에 형성한 다수의 배수구(422A)를 통하여 물탱크(401)로 낙하한다.
한편 와류실(504)에서 오염수를 원심분리에 의하여 정화한 공기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1차 격리판(450)에 형성한 다수의 배기공(450A)를 지나서 1차 체류실(506)로 들어가서 여분의 수분을 제거한다.
1차 체류실(506)에서 여분의 수분을 제거한 청정 건조 공기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2차 격리판(460)에 형성한 다수의 배기공(460A)을 지나서 2차 체류실(508)으로 들어간 후 배기구(432)를 통하여 소정의 청정장소로 배출된다. 여기서 2차 격리판(460)은 공기 흐름이 전동기(433)로 유입되지 않는 구조이다.
여기서 배기구(432)를 통하여 배출되는 청정공기는 건조한 상태이므로 적절한 습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배기구(432)에는 습도조절기(442)를 설치한다. 더욱 습도조절기(442)에는 향수를 청정공기에 분사하는 기능을 추가하여 양질의 아로마 향을 첨가한 양질의 청정공기를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배기구(432)를 통하여 배출되는 청정공기에 음이온 발생장치(443)을 설치하여 음이온을 첨가한 양질의 음이온 청정공기를 제조할 수 있다.
물탱크(401)에는 초음파 진동자(480)와 발진장치(482)를 설치하여 초음파 무화장치를 이용하여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미세수분입자를 만들 수 있다.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의 작동 설명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정화하기 위하여 전동기(633)에 전원이 인가되면 증속장치(636) 및 회전축(635)을 통하여 연결한 원심임펠러(608) 및 무화 디스크(670)가 회전한다. 여기서 전동기(633)가 저속 회전인 경우에도 증속장치(636)를 부설하여 원심임펠러(608) 및 무화 디스크(670)를 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습공기 흐름을 유인함과 동시에 원심력을 발생하는 3차원 유체역학 구조를 갖는 원심임펠러(608)가 회전하면서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 공기를 유인하고 원주방향으로 원심력을 발생한다.
무화 디스크(670)가 회전하면서 물탱크에 있는 물을 통수구(674)를 통하여 유인하여 원심방향으로 흐르게 하여 톱니와 유사한 요철이 형성한 무화홈(672)에서 미세수분입자로 무화하게 된다.
물탱크(601)에 설치한 급수관(603)으로부터 플로트밸브(602)의 조절에 기초하여 일정 수위의 물을 무화디스크(670)이 회전하면서 통수구(674)를 통하여 유인하여 원심방향으로 흐르게 하여 무화실(700)에서 톱니와 유사한 요철이 형성한 무화홈(672)에서 미세수분입자로 무화하게 된다. 한편 외부공기는 물탱크(601)에 원주방향으로 형성한 다수의 흡기구(605)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무화실(700)에서 미세수분입자와 합류한다. 여기서 미세수분입자와 합류한 습공기는 흡입호스(691)를 통하여 포집실(702)로 들어간다.
포집실(702)은 실린더 형태의 포집장치(693)의 내부에 있으며, 회전날개 또는 고정 선회 베인의 와류발생기(694)를 설치하여 습공기 흐름을 와류로 변화한다. 따라서 와류를 발생시키어 미세수분입자와 공기의 접촉을 높여서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미세수분입자가 효율적으로 포집도하여 공기정화효율을 높이도록 한다.
미세수분입자와 혼합된 습공기 흐름은 원심임펠러(608)의 흡인력에 의하여 배출호스(697)의 통로를 지나서 와류실(704)로 들어간다. 와류실(704)의 내부에는 스파이럴홈(616)이 표면에 형성되어진 와류실린더(613)가 있다. 따라서 원심임펠러(608)를 통과한 공기는 하우징(609)의 내면과 와류실린더(613)의 사이에서 형성한 와류실(704)에서,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와류실린더(613)에 형성된 스파이럴홈(616)을 따라서 나선형 흐름을 유지하면서 강력한 원심분리력으로 비중차이에 따른 기액분리작용을 하면서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정화한다. 여기서 라비린스 효과에 기초하여 고속회전하는 공기흐름은 축방향 흐름이 차단되나 기체와 액체의 1:1000의 비중차이로 인하여 원심력에 의하여 공기 흐름으로부터 원심 분리된 오염수는 물의 점성 응착력으로 하우징(609)의 내면을 따라 중력의 영향으로 낙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0.1μm 이하를 갖는 미세입자상 먼지도 10,000RPM 으로 회전하는 미세수분의 3차원 와류상태에서 액상의 물에 흡착된 상태에서 12,000G의 순간 원심력 세기가 작용하여 공기로부터 액체와 같이 원심분리되므로서 필터없이 99.9%이상의 공기 정화 효율을 갖는다.
여기서 오염수는 배수판(622) 상부에 위치한 공간에 모이게 된 후 일정량이 누적되면 다수의 배수트랩(622A)이 열리게 되고,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판(622)에 형성한 다수의 배수구(622A)를 통하여 물탱크(601)로 낙하한다.
한편 와류실(704)에서 오염수를 원심분리에 의하여 정화한 공기는,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와류실린더(613)에 형성한 다수의 통기구(650)를 지나서 체류실(706)로 들어간다.
체류실(706)에서 여분의 수분을 제거한 청정 건조 공기는 배기구(632)를 통하여 소정의 청정장소로 배출된다.
여기서 배기구(632)를 통하여 배출되는 청정공기는 건조한 상태이므로 적절한 습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배기구(632)에는 습도조절기(642)를 설치한다. 더욱 습도조절기(642)에는 향수를 청정공기에 분사하는 기능을 추가하여 양질의 아로마 향 청정공기를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배기구(632)를 통하여 배출되는 청정공기에 음이온 발생장치(643)를 설치하여 양질의 음이온 청정공기를 제조할 수 있다.
물탱크(601)에는 초음파 진동자(680)와 발진장치(682)를 설치하여 초음파 무화장치를 이용하여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미세수분입자를 만들 수 있다.
오염물질을 갖고 외부로 배출된 물은 정수필터(미도시)를 통하여 정화한 후 물탱크(401)로 순환시키어 소정의 용량으로 장기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충돌 및 원심력으로 자체 병원균 미생물의 살균능력이 있으므로 별도의 물 또는 세정수의 살균약품투입이 필요 없다.
도 1 에 도시한 배수 트랩(441) 및 도 13 에 도시한 배수 트랩(622A)은 물이 일정한 수위에 이르면 부력이 부자 또는 플로트밸브를 열려서 물을 배출하고 물이 빠지면 부자의 중력이나 스프링으로 플로트밸브를 닫아서 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잘 알려진 공압 부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심형식의 습식공기정화장치는 필터가 없이 0.1μm 크기보다 작은 미세먼지, 99.9%의 높은 공기정화성능을 갖는 소형 경량 구조에 기초하여 병원, 무균 실험실, 공장의 분진발생장소 및 굴뚝 연도가스, 자동차 실내, 사무실 및 일반가정에서의 환기목적의 에어컨, 온풍기의 공기청정기 및 내연기관의 터보차저, 자동차 배출가스정화장치, 군수용 화생방 보호장비 및 에어콘, 공조냉동시스템, 내연기관의 배출가스, 내연기관의 흡입공기 정화장치, 산업용 반도체 클린룸 장비, 항온항습공기조화시스템, 가정용 공기정화기의 부속품으로 이용할 수 있다.
더욱 본 발명에서는 원심임펠러는 원심력에 기초하여 공기 또는 기체를 흡입하는 팬을 의미하며, 비중차에 의한 기액분리가 발생하도록 공기흐름을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시로코팬(SIROCCO FAN)과 같은 형태의 날개를 설치하여 공기를 흡입하는것과, 도 1에 도시한 스파이럴홈(416)의 원심분리 기능이 있으므로 축류식팬 또는 사류팬을 설치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충돌 및 원심력으로 자체 병원균 미생물의 살균능력이 있으므로 다른 습식공기정화장치에서와 같이 세정수 세척용 살균약품투입이 필요 없다.
원심 임펠러와 회전 무화 디스크를 한 개의 전동기로 동시에 회전하여 간단하게 대량의 무화 용량을 갖추게 되어 대용량의 공기정화가 필요한 산업용 반도체 클린룸에 이용가능한 고효율의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를 개발하여 제조 및 유통하여 사업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심형식의 습식공기정화장치는 필터가 없이 0.1μm 크기보다 작은 미세먼지, 99.9%의 높은 공기정화성능을 갖는 소형 경량 구조에 기초하여 병원, 무균 실험실, 공장의 분진발생장소 및 굴뚝 연도가스, 자동차 실내, 사무실 및 일반가정에서의 환기목적의 에어컨, 온풍기의 공기청정기 및 내연기관의 터보차저, 자동차 배출가스정화장치, 군수용 화생방 보호장비 및 에어콘, 공조냉동시스템, 내연기관의 배출가스, 내연기관의 흡입공기 정화장치, 산업용 반도체 클린룸 장비, 항온항습공기조화시스템, 가정용 공기정화기의 부속품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공기는 대기중의 일반적인 기체성분, 수증기, 암모니아, 오존, 질소,산소, 아르곤 가스를 포함한 상대적으로 작은 비중의 기체 상태의 연속 유동체를 포함하여 정의한다.
환경오염방지기술분야에서 공기 또는 대기중의 오염물질을 물로서, 정화하는 것이 2차, 3차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친환경 청정 이론에 기초한 기술으로서, 필터가 없어서 정기적인 교체, 유지보수 및 2차 환경오염폐기물이 없는 특징으로 지구환경보호에 이바지할 수 있다.
충돌 및 원심력으로 자체 병원균 미생물의 살균능력이 있으므로 다른 습식공기정화장치에서와 같이 세정수 세척용 살균약품투입이 필요 없다.
원심 임펠러와 회전 무화 디스크를 한 개의 전동기로 동시에 회전하여 간단하게 대량의 무화 용량을 갖추게 되어 대용량의 공기정화가 필요한 산업용 반도체 클린룸에 이용가능한 고효율의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를 개발하여 제조 및 유통하여 사업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심형식의 습식공기정화장치는 필터가 없이 0.1μm 크기보다 작은 미세먼지, 99.9%의 높은 공기정화성능을 갖는 소형 경량 구조에 기초하여 병원, 무균 실험실, 공장의 분진발생장소 및 굴뚝 연도가스, 자동차 실내, 사무실 및 일반가정에서의 환기목적의 에어컨, 온풍기의 공기청정기 및 내연기관의 터보차저, 자동차 배출가스정화장치, 군수용 화생방 보호장비 및 에어콘, 공조냉동시스템, 내연기관의 배출가스, 내연기관의 흡입공기 정화장치, 산업용 반도체 클린룸 장비, 항온항습공기조화시스템, 가정용 공기정화기의 부속품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의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의 작동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원심 임펠러의 장착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무화 장치의 작동 설명도
도 5 는 도1의 회전 무화실의 설명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럴 실린더의 단면도
도 7 은 도1의 AA 단면도, 2차 격리판
도 8 은 도1의 BB 단면도, 1차 격리판
도 9 는 도1의 CC 단면도, 와류실
도 10 은 도1의 DD 단면도, 오염물질 포집 통로 단면도
도 11 은 도1의 EE 단면도, 공기통로 겸용 배수판
도 12 는 도11의 무화 격리판의 부품 단면도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회전 무화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의 구성도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의 작동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401 : 물탱크 408 : 원심 임펠러
416 : 스파이럴 홈 433 : 전동기
436 : 증속기어 470 : 무화 디스크

Claims (10)

  1.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미세수분입자로 포집하고 공기와 물을 비중차이에 의하여 원심분리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원심 분리형식의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하우징(409)의 내부에 위치한 전동기(433)와, 전동기(433)에 회전축(435)으로 연결되어 동시에 고속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한 원심 임펠러(408)와 무화 디스크(470)와, 무화 디스크(470)의 상면에서 회전축(435)상에 설치한 베어링(434)과, 무화 디스크(470)에 형성한 무화홈(472)과 통수구(474)와, 전동기(433)의 하면에 설치한 증속장치(436)와, 하우징(409)에 체결체로 고정하여 원심 임펠러(408)의 하부에 위치한 쉬라우드(498)와; 하우징(409)의 하부에서 체결체로 조립하여 설치한 물탱크(401)와, 물탱크(401)의 벽에 원주상으로 형성한 다수의 흡기구(405)와, 무화 디스크(470)에 물을 일정하게 공급하도록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물탱크(401)의 내부에 설치한 급수관(403)과 플로트 밸브(402)와, 물탱크(401)의 내부에서 무화 디스크(470)의 하면에 위치한 무화격리판(476)과; 물탱크(401)의 내부에 설치한 배수판(422)과, 배수판(422)에 원주상으로 설치한 다수의 배수구(422A)와, 배수판(422)의 상부에서 물탱크(401)의 벽과 쉬라우드(498)의 사이에 설치한 포집실린더(493)와, 포집실린더(493)의 내외 양면에 형성한 와류발생기(493A)와, 포집실린더(493)의 하면에 설치한 배수트랩(441)과; 하우징(409)의 내부에서 전동기(433)와 증속장치(436)를 고정하도록 설치한 와류실린더(413)와, 와류실린더(413)의 외면에 형성한 스파이럴홈(416)과, 스파이럴홈(416)의 상부에서 하우징(409)과 와류실린더(413)의 사이에서 설치한 1차격리판(450)과, 1차격리판(450)에 원주방향으로 형성한 다수의 배기공(450A)과, 와류실린더(413)의 상면에 설치한 2차격리판(460)과, 2차격리판(460)에 원주방향으로 형성한 다수의 배기공(460A)과; 2차격리판(460)의 상부에서 하우징(409)의 상단에 연결된 배기구(432)와, 배기구(432)에 설치한 습도조절기(4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물탱크(401)의 내부에서 무화 디스크(470)를 이용하여 미세수분입자를 만드는 무화실(500)과, 배수판(422)의 상부에서 물탱크(401)의 벽과 쉬라우드(498)의 사이에서 포집실린더(493)를 이용하여 3차원 미세수분입자의 와류에 기초하여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포집실(502)과, 하우징(409)과 와류실린더(413)의 사이에서 스파이럴홈(416)을 이용하여 공기로부터 오염물질을 포집한 오염수를 원심분리하는 와류실(504)과, 하우징(409)의 내부에서 1차격리판(450)과 2차격리판(460)의 사이에 형성한 체류실(506)과, 2차격리판(460)과 배기구(432)의 사이에 형성한 체류실(50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원심 임펠러 (408)와 회전 무화 장치를 동시 회전하도록 하우징(409)의 외부에서 연장된 회전축(435)을 통하여 연결되어 설치한 전동기(433)와 증속장치(4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물탱크(401)에 위치한 초음파 진동자(480)와 발진장치(482)를 포함하는 초음파 무화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를 유인하도록 전동기(433)에 회전축(435)으로 연결한 시로코팬, 축류팬, 사류팬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식의 흡입팬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전동기(433)에 회전축(435)으로 연결한 다양한 형식의 회전 무화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
  7.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미세수분입자로 포집하고 공기와 물을 비중차이에 의하여 원심분리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원심 분리형식의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하우징(609)의 내부에 위치한 전동기(633)와, 전동기(633)에 회전축(635)으로 연결되어 동시에 고속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한 원심 임펠러(608)와 무화 디스크(670)와, 무화 디스크(670)의 상면에서 회전축(635)상에 설치한 베어링(634)과, 무화 디스크(670)에 형성한 무화홈(672)과 통수구(674)와, 전동기(633)의 상면에 설치한 증속장치(636)와; 하우징(609)의 하부에서 체결체로 조립하여 설치한 물탱크(601)와, 무화 디스크(670)에 물을 일정하게 공급하도록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물탱크(601)에 설치한 급수관(603)과 플로트 밸브(602)와, 물탱크(601)의 벽에 원주상으로 형성한 다수의 흡기구(605)와; 물탱크(601)의 상부에 설치한 배수판(622)과, 배수판(622)에 원주상으로 설치한 다수의 배수트랩(622A)과; 습공기를 유인하도록 하우징(609)에 체결체로 고정하여 원심 임펠러(608)의 상부에 위치한 쉬라우드(698)와, 쉬라우드(698)와 물탱크(601)사이에서 흡입 호스(691)와 배출 호스(697)를 통하여 연결한 포집장치(693)와, 포집장치(693)의 내부에 설치한 와류발생기(694)와; 하우징(609)의 내부에서 전동기(633)와 증속장치(636)를 고정하도록 설치한 와류실린더(613)와, 와류실린더(613)의 외면에 형성한 스파이럴홈(616)과, 스파이럴홈(616)의 하부에서 와류실린더(613)에 형성한 다수의 통기구(650)와, 와류실린더(613)에서 하우징(609)을 관통하여 설치한 배기구(632)와, 배기구(632)에 설치한 습도조절장치(6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
  8. 제 7 항에 있어서, 물탱크(601)의 내부에서 무화 디스크(670)를 이용하여 미세수분입자를 만드는 무화실(700)과, 흡입 호스(691)와 배출 호스(697)를 사이에서 3차원 미세수분입자의 와류에 기초하여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포집실(702)와, 하우징(609)과 와류실린더(613)의 사이에서 스파이럴홈(616)을 이용하여 공기로부터 오염물질을 포집한 오염수를 원심분리하는 와류실(704)과, 와류실린더(613)의 내부에 형성한 체류실(70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원심임펠러(608) 와 회전 무화디스크(670)를 동시에 회전하도록 하우징(609)의 외부에서 연장된 회전축(635)을 통하여 연결되어 설치한 전동기(633)와 증속장치(6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물탱크(601)에 위치한 초음파 진동자(680)와 발진장치(682)를 포함하는 초음파 무화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
KR1020050099316A 2005-02-03 2005-10-20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 KR100653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316A KR100653137B1 (ko) 2005-10-20 2005-10-20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
EP06702914A EP1843827A4 (en) 2005-02-03 2006-01-23 CENTRIFUGAL WET-TYPE AIR PURIFIER USING A ROTARY VAPORIZER AND A SPIRAL BASED ON A LABYRINTH EFFECT
PCT/KR2006/000251 WO2006112590A1 (en) 2005-02-03 2006-01-23 Centrifugal wet type air cleaner utilizing a spin vaporizer and a spiral on the basis of a labyrinth effect
US11/815,496 US8012248B2 (en) 2005-02-03 2006-01-23 Centrifugal wet type air cleaner utilizing a spin vaporizer and a spiral on the basis of a labyrinth effect
JP2007554005A JP4913073B2 (ja) 2005-02-03 2006-01-23 ラビリンス効果に基づいて回転気化器及びらせん状構造物を利用した遠心湿式空気清浄機
US13/198,936 US20120031275A1 (en) 2005-02-03 2011-08-05 Centrifugal wet type air cleaner utilizing a spin vaporizer and a spiral on the basis of a labyrinth effe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316A KR100653137B1 (ko) 2005-10-20 2005-10-20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8187A Division KR20040043138A (ko) 2004-02-07 2004-02-07 원심 형식의 공기 정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897A true KR20050103897A (ko) 2005-11-01
KR100653137B1 KR100653137B1 (ko) 2006-12-01

Family

ID=37281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9316A KR100653137B1 (ko) 2005-02-03 2005-10-20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8012248B2 (ko)
JP (1) JP4913073B2 (ko)
KR (1) KR10065313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969B1 (ko) * 2006-09-29 2006-12-01 금호환경 주식회사 오존 공급이 가능한 초음파 회절식 스크러버
WO2012111949A2 (ko) * 2011-02-19 2012-08-23 Yun Jangshik 원심형식의 습식 청소기
KR101277362B1 (ko) * 2012-03-02 2013-06-20 김정수 와류형성돌기가 구비된 유체여과장치
CN105709509A (zh) * 2016-04-22 2016-06-29 台州龙江化工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汽水分离装置
CN113476881A (zh) * 2021-07-31 2021-10-08 陈翠娥 一种松香树脂油墨生产废气处理设备及其操作方法
CN114100290A (zh) * 2021-11-23 2022-03-01 太原理工大学 一种基于粉尘凝并效果的气雾化涡旋流体状态调节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137B1 (ko) 2005-10-20 2006-12-01 윤장식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
ATE532615T1 (de) * 2006-09-20 2011-11-15 Econ Maschb Und Steuerungstechnik Gmbh Vorrichtung zum entwässern und trocknen von feststoffen, insbesondere von unterwassergranulierten kunststoffen
CN101439253B (zh) * 2008-11-27 2012-05-09 胜利油田胜利动力机械集团有限公司 燃气超重力除尘或脱焦工艺及装置
FI20086232A0 (fi) * 2008-12-22 2008-12-22 Waertsilae Finland Oy Menetelmä ja laite partikkeleiden poistamiseksi pakokaasuista
KR20110017800A (ko) * 2009-08-14 2011-02-22 윤장식 원심분리 형식의 세정식 수평형 공기 조화기
US9073006B2 (en) * 2011-02-03 2015-07-07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Gas liquid contactor
US8728210B2 (en) * 2011-07-07 2014-05-20 Hsueh Yuan Lee Exhaust gas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DE102012104598A1 (de) * 2012-05-29 2013-12-05 Elringklinger Ag Abscheider und Verfahren zum Abscheiden von Flüssigkeitströpfchen aus einem Aerosol
KR101266402B1 (ko) 2012-10-19 2013-05-22 솔라윈에너지(주) 강제회전식 기액분리기
JP6051875B2 (ja) 2013-01-10 2016-12-27 株式会社Ihi 電動過給機
US9682345B2 (en) 2014-07-08 2017-06-20 Particle Measuring Systems, Inc. Method of treating a cleanroom enclosure
US9326556B2 (en) * 2014-07-10 2016-05-03 Frank Leon Personal cooling assembly
CN106573767B (zh) * 2014-08-27 2020-02-21 株式会社日立高新技术 开塞装置以及配管
CN106714932A (zh) 2014-09-02 2017-05-24 安吉洛·狄·诺伊 用于灰尘和其他污染物的过滤装置
JP6605502B2 (ja) * 2014-12-26 2019-11-13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高濃度に硫黄成分を含有する低質燃料を使用する船舶用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排気ガス浄化装置用スクラバー
CN107420928A (zh) * 2017-04-28 2017-12-01 张久明 一种烟气余热回收装置及其余热回收操作方法
EP3461549A4 (en) * 2017-07-31 2019-04-03 Beijing Zhongneng Nuotai Energy Saving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Co., Ltd. DAMPUSING AND DEHUMIDIFYING APPARATUS FOR WET DESULFURING, AND WET DEDUSTING AND DEHUMIDIFYING DEVICE FOR ELECTROMECHANICAL COUPLING
IL255268B (en) * 2017-10-26 2019-01-31 Izun Pharmaceuticals Corp Smoke capture system and method
ES2961948T3 (es) * 2017-12-11 2024-03-14 Clean Tech Co Ltd Aparato de tratamiento de gas que contiene polvo
CN109011681A (zh) * 2018-08-23 2018-12-18 无锡科技职业学院 一种搅拌式结晶器
CN112153257A (zh) * 2020-09-15 2020-12-29 南京立康智能化科技有限公司 一种除尘型智能安防设备
JP7288475B2 (ja) * 2021-03-26 2023-06-07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保護カバー構造及び電線配索具
CN113350897B (zh) * 2021-05-27 2022-07-12 烟台兴隆压力容器制造有限公司 一种u形连体压力容器
US20220403509A1 (en) * 2021-06-17 2022-12-22 Tokyo Electron Limited Vacuum processing apparatus and oxidizing gas removal method
CN113398707A (zh) * 2021-07-02 2021-09-17 深圳市兴梦科技有限公司 一种多重过滤工业净化器及其使用方法
CN113856413A (zh) * 2021-09-28 2021-12-31 湖北理工学院 一种除尘脱硫除雾一体化装置
CN114307480B (zh) * 2021-11-19 2023-04-14 桂林矿山机械有限公司 用于氢氧化钙生产线的水雾除尘装置及氢氧化钙生产线
CN115645953B (zh) * 2022-12-14 2023-03-28 协鑫高科纳米新材料(徐州)有限公司 一种气相二氧化硅制备用闪蒸罐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27015A (en) * 1945-06-07 1950-10-24 Robert A Lhota Air washing and cleaning apparatus
US3149935A (en) * 1961-05-25 1964-09-22 Ajem Lab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as washing with liquid spray
US3358413A (en) * 1966-12-28 1967-12-19 Combustion Eng Wet scrubber for dirty gases
US3710554A (en) * 1971-03-15 1973-01-16 Dustex Corp Wet collector
US3852408A (en) * 1972-09-21 1974-12-03 Lone Star Steel Co Process for the removal of sulfur dioxide from carrier gases
US3950151A (en) * 1974-04-15 1976-04-13 Air Pollution Research System Pollu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4272499A (en) * 1979-11-28 1981-06-09 Lone Star Steel Company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removal of particulate matter and reactive or water soluble gases from carrier gases
US4375975A (en) * 1980-06-04 1983-03-08 Mgi International Inc. Centrifugal separator
EP0118017A3 (de) * 1983-02-05 1987-04-22 Walter Kroll Gasreiniger
JPS59206028A (ja) 1983-05-06 1984-11-21 Asahi Glass Co Ltd 含塵気体の処理方法
EP0124863B1 (en) 1983-05-06 1991-04-03 Asahi Glass Company Ltd. Method of treating dust-containing gas and apparatus thereof
JPS61138514A (ja) * 1984-12-08 1986-06-26 Nippon Oil Eng Kk 気体洗浄及び温度制御装置
JPS6239822A (ja) * 1985-08-14 1987-02-20 Nec Corp 液晶光変調素子
JPS6239822U (ko) * 1985-08-28 1987-03-10
DE3629916A1 (de) 1986-01-21 1987-07-23 Venta Gmbh Vorrichtung zur reinigung und/oder be- und entfeuchtung von gasen, insbesondere luft
US6293121B1 (en) 1988-10-13 2001-09-25 Gaudencio A. Labrador Water-mist blower cooling system and its new applications
US5076819A (en) * 1990-04-13 1991-12-31 Sharrow Phillip G Dynamic gas-liquid contact apparatus and method
US5346128A (en) * 1993-07-22 1994-09-13 Honeywell Inc. Humidity control system
US5343831A (en) 1993-09-01 1994-09-06 Wci Outdoor Products, Inc. Dynamic air cleaner and carburetor pressurization system for air cool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7298554A (ja) 1994-04-21 1995-11-10 Tadao Totsuka フィルタ付送風機
JPH08257336A (ja) * 1995-03-27 1996-10-08 Aiwa Co Ltd 空気清浄装置
JP3158044B2 (ja) * 1996-03-25 2001-04-23 シャープ株式会社 サイクロン式湿式電気掃除機
JPH11207125A (ja) * 1998-01-21 1999-08-03 Nec Home Electron Ltd 空気清浄機
JP3767773B2 (ja) 1998-05-25 2006-04-19 株式会社中央製作所 遠心分離機
JP2000033215A (ja) * 1998-07-15 2000-02-02 Nec Home Electronics Ltd ミスト発生装置
JP2003074923A (ja) * 2001-09-05 2003-03-12 Ohm Denki Kk 集塵機能付き送風機
KR200328651Y1 (ko) 2002-12-07 2003-10-01 윤장식 원심 형식의 공기 정화 장치
CA2453912C (en) * 2002-12-23 2011-03-15 Eric B. Rosen Emiss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3843941B2 (ja) * 2002-12-25 2006-11-08 株式会社デンソー 遠心式送風機
US20040151617A1 (en) * 2003-01-31 2004-08-05 Zanakis Michael F. Methods and apparatus for air sterilization
WO2005075799A1 (en) 2004-02-07 2005-08-18 Jangshik Yun Wet type purification apparatus utilizing a centrifugal impeller
KR100716903B1 (ko) 2004-10-08 2007-05-10 윤장식 원심임펠러를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KR20040043138A (ko) 2004-02-07 2004-05-22 윤장식 원심 형식의 공기 정화 장치
KR100663667B1 (ko) 2004-10-06 2007-01-02 윤장식 원심 임펠러를 이용한 압축 기체 정화 장치
KR20040043140A (ko) 2004-03-20 2004-05-22 윤장식 원심 임펠러를 이용한 압축 기체 정화 장치
KR100653137B1 (ko) 2005-10-20 2006-12-01 윤장식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969B1 (ko) * 2006-09-29 2006-12-01 금호환경 주식회사 오존 공급이 가능한 초음파 회절식 스크러버
WO2012111949A2 (ko) * 2011-02-19 2012-08-23 Yun Jangshik 원심형식의 습식 청소기
WO2012111949A3 (ko) * 2011-02-19 2012-11-22 Yun Jangshik 원심형식의 습식 청소기
KR101277362B1 (ko) * 2012-03-02 2013-06-20 김정수 와류형성돌기가 구비된 유체여과장치
CN105709509A (zh) * 2016-04-22 2016-06-29 台州龙江化工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汽水分离装置
CN113476881A (zh) * 2021-07-31 2021-10-08 陈翠娥 一种松香树脂油墨生产废气处理设备及其操作方法
CN113476881B (zh) * 2021-07-31 2023-03-31 陈翠娥 一种松香树脂油墨生产废气处理设备及其操作方法
CN114100290A (zh) * 2021-11-23 2022-03-01 太原理工大学 一种基于粉尘凝并效果的气雾化涡旋流体状态调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540067A (ja) 2008-11-20
US20080250933A1 (en) 2008-10-16
JP4913073B2 (ja) 2012-04-11
KR100653137B1 (ko) 2006-12-01
US8012248B2 (en) 2011-09-06
US20120031275A1 (en) 201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3137B1 (ko) 회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원심 습식 공기 정화기
KR101223903B1 (ko) 원심분리형식의 습식 공기청정기
RU2372500C2 (ru) Воздухоочиститель мокрого типа и аппарат мокрого типа для очистки выхлопных газов, использующие центробежное рабочее колесо
EP2466085A2 (en) Centrifugal, wet-type air cleaner
CN100586532C (zh) 利用旋转汽化器和基于迷宫效应的螺旋的离心湿式空气净化器
US9316405B2 (en) Cyclone type humidifier and wet air purifier combination device using centrifugal force
US20140182453A1 (en) Centrifugal wet type cleaner
WO2008054131A1 (en) Centrifugal wet type air conditioner utilizing water
KR20060102535A (ko) 원심형식의 습식 공기 정화기
US20060230713A1 (en) Wet type air cleaner
KR20150052707A (ko) 원심분리형식의 습식 공기정화기
KR20070001848A (ko) 원심형식의 습식 공기 정화기
KR101565094B1 (ko) 공기정화기
WO2006112590A1 (en) Centrifugal wet type air cleaner utilizing a spin vaporizer and a spiral on the basis of a labyrinth effect
KR100716903B1 (ko) 원심임펠러를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KR20060118391A (ko) 원심형식의 습식 공기 정화기
KR20060120538A (ko) 원심형식의 습식 청정 공기 조화기
KR100640748B1 (ko) 습식 공기청정기용 정화장치
KR100924063B1 (ko) 물과 숯을 이용한 자동필터세척식 공기정화장치
KR100640770B1 (ko) 자기력 구동형 습식 공기 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