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6924A - 기술평가장치, 기술평가프로그램, 기술평가방법 - Google Patents

기술평가장치, 기술평가프로그램, 기술평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6924A
KR20050096924A KR1020057012046A KR20057012046A KR20050096924A KR 20050096924 A KR20050096924 A KR 20050096924A KR 1020057012046 A KR1020057012046 A KR 1020057012046A KR 20057012046 A KR20057012046 A KR 20057012046A KR 20050096924 A KR20050096924 A KR 20050096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milarity rate
technical
calculating
similarity
standard dev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2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4703B1 (ko
Inventor
히로아키 마스야마
노리아키 요시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피.비.
히로아키 마스야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9308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326897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피.비., 히로아키 마스야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피.비.
Publication of KR20050096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6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4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47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Handling legal document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313Selection or weighting of terms for index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5Clustering; Classification
    • G06F16/353Clustering; Classification into predefined clas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5Clustering; Classification
    • G06F16/355Class or cluster creation or mod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Handling legal docu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무형자산 중에서도 정보가 입수 용이한 기술문헌을 이용하고, 당해 문헌이 새로운 분야의 기술인지의 여부의 판단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정보평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기술문헌에 기초하여 기업에 있어서의 무형재산의 가치를 정량적 또는 정성적으로 받아들여서, 기업의 가치를 적확(的確)하게 분석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평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키워드를 취득하고, 기술문헌의 모집단 중에서 상기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을 계수하고, 당해 계수한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취득한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와의 비율을 연산해서 기술문헌의 유사율을 산출한다.

Description

기술평가장치, 기술평가프로그램, 기술평가방법{Technique evaluating device, technique evaluating program and technique evaluating method}
본 발명은 기술평가 및 지적재산의 평가에 관한 것이다.
금융기관이나 투자가나 기업에 있어서는, 투자처나 거래처의 기업가치를 확인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그런데, 종래 이 기업가치를 확인하기 위해서 경영, 재무나 주가 등의 경영재무정보를 시작으로, 기업가치를 객관적으로 판단하려고 하는 시도를 하고, 그 중에서는 다변량 해석이나 통계적 수법 및 데이터마이닝 등의 수법을 이용해서, 평가대상이 되는 기업의 심사나 등급평가를 행하는 것이 존재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0-348015호에는 재무데이터에 기초하여 경제변화를 반영하도록 1년이나 4분기마다 등 비교적 갱신기간이 긴 데이터에 기초한 기업평가에, 매일 변동하는 주가나 금리, 환(약속어음) 등과 같이 갱신기간이 비교적 짧은 데이터로부터 그 변화를 예측해서 동적으로 산출할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1-76042호에는 등록된 특허와, 그것에 관련한 매상고나 이익 등을 감가상각해서 현재 잔존하고 있는 특허의 자산적 가치를 파악하려고 하는 것이 있다. 또한, 각 특허 가치의 평가는 자사평가나 타사평가 등을 등급평가해서 입력한 것을 기여도로 해서 평가하고 있다.
도1은 제1실시예의 기업평가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평가수단(3) 및 지식재산 평가보고서 제공수단(4)의 기능을 포함하는 평가장치(30)의 신호처리계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경영재무정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기본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기업 간 통합, 분할 등의 기업의 변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특허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동향분석수단의 구성도이다.
도8은 기업별 출원건수동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는 기업별 IPC분야 출원동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출원 랭킹(ranking)의 일예이다.
도11은 등록율의 변화를 도시한 예이다.
도12는 각 연도의 출원건수의 예이다.
도13은 등록데이터를 바탕으로 등록에 걸린 평균 연수의 추이의 예이다.
도14는 출원데이터를 바탕으로 등록에 걸린 평균 연수의 추이의 예이다.
도15는 분야마다 특허출원건수와 경제지표와의 상관계수를 구한 예를 도시한 도표이다.
도16은 분야마다 특허등록건수와 경제지표와의 상관계수를 구한 예를 도시한 도표이다.
도17은 특허자산가치 분석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8은 대차대조표와 무형자산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9는 대차대조표와 무형자산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0은 제1실시예의 기업평가시스템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21은 주가타당성 분석수단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22는 제2실시예의 특허평가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23은 유사성의 판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4는 유사성의 판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5는 유사성의 판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6은 산출한 유사율의 이용 목적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표이다(모집단:출원· 등록, 조사대상:등록).
도27은 산출한 유사율의 이용 목적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표이다(모집단:등록, 조사대상:등록).
도28은 산출한 유사율의 이용 목적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표이다(모집단:출원· 등록, 조사대상:출원).
도29는 산출한 유사율의 이용 목적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표이다(모집단:등록, 조사대상:출원).
도30은 조사대상이 되는 특허공보를 지정하는 표시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31은 조사대상의 공보의 「출원번호」를 지정하고, 모집단으로서 「전출원」을 지정한 경우에 산출된 유사율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2는 조사대상의 공보의 「출원기간」을 지정하고, 모집단으로서 「전출원」과 그 「출원기간」을 지정한 경우에 산출된 유사율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3은 유사율 판정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4는 특허공보의 일부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5는 특허의 등록 소요연수마다의 등록건수 및 등록비율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6은 특허의 유사율마다의 등록건수 및 상대비율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7은 조사 대상의 특허공보의 유사율과 등록 소요연수와의 관계의 표시예(특허분포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8은 특허공보의 건수, 출원년(出願年) 등의 항목에 대해서 각 층마다 평균치를 산출한 도표이다.
도39는 유사율과 등록 소요연수와의 관계를, 각 해마다 보기 쉽게 정리한 입체도(유사율과 등록소요연수의 추이도)이다.
도40은 제2실시예의 특허평가시스템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41은 제3실시예의 기업평가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42는 제3실시예의 기업평가시스템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43은 조사대상의 기술문헌건수와, 산출한 유사율의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4는 조사대상의 기업이 출원한 특허공보를, 유사율이 작은 순으로 나열한 예외적 공보의 일람(一覽)을 도시한 도표이다.
도45는 조사대상의 기업이 출원한 특허공보를, 유사율이 큰 순으로 나열한 전형적 공보의 일람을 도시한 도표이다.
도46은 S회사의 대자사(對自社)유사율을 사용한 전형적 공보와 예외적 공보의 연도별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7은 자사의 특허문헌에 대해서 산출한 유사율의 건수분포를 도시한 원그래프이다.
도48은 조사대상의 기업의 기술문헌에 대해서 산출한 유사율의 매년 분포를 나타내는 천이도이다.
도49는 조사대상의 기업의 기술문헌에 대해서 산출한 유사율의 매년 분포를 나타내는 천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업평가시스템 2 : 데이터베이스
3: 평가수단 4 : 지식재산평가보고서 제공수단
5: 특허평가수단 31 : 특허동향 분석수단
32 : 등록동향 분석수단 33 : 등록동향 예측수단
34 : 특허경제지표 산출수단 35 : 특허자산가치 분석수단
36 : 특허경제 예측수단 37 : 주가타당성 분석수단
최근, 기업평가에서 차지하는 무형자산(만질 수 없는 자산)의 비율이 커짐에 따라, 무형자산의 가치가 기업가치를 크게 좌우하게 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기업가치는 총자산=부채+주주자본에 의해 표시되는 대차대조표상의 부가(簿價)가 아니라 주식의 시가총액+부채에 의해 산정된다. 따라서, 완전한 시가회계가 적용된 경우, 주식시가총액-주주자본에 의해 산출되는 금액이 기업의 눈에 보이지 않는 자산(무형자산)의 가치를 나타내고 있다고 하는 것이 되지만, 무형자산의 가치를 구체적으로 산출하는 수단은 없었다.
그렇지만, 주식시가총액은, 시장에 있어서의 주가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투자가에 있어서 현재의 주가와 장부상의 주주자본에 의해 산출되는 무형자산의 가치가 적정한지 아닌지는 주식매매의 의사결정에 있어서 극히 중요한 요소로 되어 있다. 이것은 기업에 있어서는, 무형자산가치의 증대를 꾀하는 것이 기업가치를 높이는 것으로 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무형자산가치의 증대는 경영전략상의 중요과제로 위치하게 되었다. 이 때문에, 무형자산의 가치평가수법의 확립이 중요한 과제로 되어 있지만, 무형자산은 특허나 상표 등의 공업소유권이나 저작권 등의 지적재산권의 기타, 브랜드나 노하우 등의 눈에 보이지 않는 다양한 자산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가치를 평가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그 때문에, 현재 무형자산을 평가하려고 하는 시도가 있지만, 무형자산의 가치를 정량적, 정성적으로 받아들여서 기업가치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특허정보(특허공보, 공개특허공보, 실용신안공보, 공개실용신안공보, 공표공보, 재공표공보, 외국공보, 심결공보, 경과정보, 발명협회공개기보, 공개기보, 또는 장래 새롭게 발행되는 기술에 관한 문헌 등을 포함한다)를 이용해서, 기업의 특허출원, 취득의 동향에 의해 얻어지는 특허와 기업경영과의 관계나, 특허가 기업경영에 미치는 영향 등에 관한 데이터(특허경제지표)를 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술문헌(특허정보, 각종기보, 학술논문, 또는 이것에 비슷한 기술문헌을 포함한다)에 관해서 다양한 수단으로 해석함으로써 기업의 특허자산 및 기업가치에 관한 객관적인 평가를 지원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평가장치, 기술평가프로그램, 및 기술평가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특허출원이 많은 업종 등에 속하는 기업의 무형자산, 및 기업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참고지표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평가장치, 기술평가프로그램, 및 기술평가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허를 유일한 자산으로 하는 벤처기업 등의 무형자산 및 기업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벤치마크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평가장치, 기술평가프로그램, 및 기술평가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장치는,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key word)를 취득하는 키워드 취득수단과, 기술문헌을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모집단(母集團) 중에서 상기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을 계수(計數)하는 계수수단과,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를 취득하는 총수취득수단과, 상기 계수한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상기 취득한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와의 비율을 연산하여 유사율(類似率)을 산출하는 유사율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한 유사율을 표시수단, 기록수단, 또는 송신수단 중 어느 것인가 1이상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를 취득하는 키워드 취득수단과, 기술문헌을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모집단 중에서 상기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을 계수하는 계수수단과,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를 취득하는 총수취득수단과, 상기 계수한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상기 취득한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와의 비율을 연산하여 유사율(類似率)을 산출하는 유사율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한 유사율을 표시수단, 기록수단, 또는 송신수단 중 어느 것인가 1이상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하므로, 조사대상의 기술문헌이 새로운 분야의 기술문헌인지의 여부 판단을 정량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장치는, 유사율 산출수단에 있어서 연산한 비율에 대해서 키워드 고유의 가중계수를 곱해서 유사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사율 산출수단에 있어서 연산한 비율에 대해서, 키워드 고유의 가중계수를 곱해서 유사율을 산출하도록 하므로, 출현빈도가 높은 흔한 용어의 키워드나, 기술분야를 특정하는 용어에 있어서 출현빈도가 적은 키워드 등에 대해서 합목적으로 가중 혹은 평균화해서 유사율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장치는 유사율 산출수단에 있어서 복수의 키워드마다 비율을 연산하고, 그 산출한 다수의 키워드마다 비율의 평균을 연산해서 유사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사율 산출수단에 있어서, 다수의 키워드(key word) 마다 비율을 연산하고, 그 산출한 다수의 키워드마다의 비율의 평균을 연산해서 유사율을 산출하도록 했으므로, 다수의 키워드를 설정한 경우에 있어서도, 모집단(母集團) 중의 기술문헌 중에서 명확하게 유사율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용자의 용도에 적합한 통계적인 의미가 있는 신뢰성이 높은 유사율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장치는, 유사율 산출수단에 있어서, 연산한 비율에 대하여 키워드 고유의 가중계수를 제곱승해서 유사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사율 산출수단에 있어서, 연산한 비율에 대하여 키워드 고유의 가중계수를 곱해서 유사율을 산출하도록 했으므로, 출현 빈도가 높은 흔히 있는 용어의 키워드나, 기술분야를 특정하는 용어에 있어서 출현 빈도가 적은 적절한 키워드 등에 대하여 의미부여를 명확히 해서 유사율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장치는, 기술문헌으로서, 특허공보, 공개특허공보, 실용신안공보, 공개실용신안공보, 공표공보, 재공표공보, 외국공보, 심결공보, 경과정보, 또는, 공개기보 등의 어느 것인가 1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술문헌을 특허공보, 공개특허공보, 실용신안공보, 공개실용신안공보, 공표공보, 재공표공보, 외국공보, 심결 공보, 경과정보, 또는 공개 기보 등의 어느 것인가 1이상이라고 했으므로, 기업의 무형재산의 가치를 정량적, 정성적으로 받아 들여서 기업의 가치를 적확(的確)하게 분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장치는,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정보가 특허정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상기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 설정등록되어 있는 특허정보의 설정등록건수를 취득하는 등록건수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유사율과 상기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의 설정등록건수를 관련되게 만들어서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key word)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정보가 특허정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상기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 설정등록되어 있는 특허정보의 설정등록건수를 취득하는 등록건수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유사율과 상기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의 설정등록건수를 관련되게 만들어서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므로, 설정등록된 특허출원의 중요성과 유사율과의 관계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장치는, 복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정보가 특허정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상기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각각 연산해서 등록 소요연수를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상기 취득한 유사율과 상기 산출한 등록 소요연수를 관련되게 만들어서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정보가 특허정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상기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각각 연산해서 등록 소요연수를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상기 취득한 유사율과 상기 산출한 등록 소요연수를 관련되게 만들어서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므로, 이용자는, 복수의 조사 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유사율과 등록 소요연수와의 분포를 아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장치는,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정보가 특허정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상기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각각 연산해서 등록 소요연수를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상기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상기 등록 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을 산출하는 표준편차 산출수단과, 상기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상기 등록 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정보가 특허정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상기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각각 연산해서 등록 소요연수를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상기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상기 등록 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을 산출하는 표준편차 산출수단과, 상기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상기 등록 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므로, 이용자는,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유사율과 등록 소요연수와의 분포 중에서의 집중, 혹은 격차(불균일)의 정도를 아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장치는,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정보가 특허정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출원시기마다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상기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각각 연산해서 등록 소요연수를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상기 취득한 유사율과 상기 산출한 등록 소요연수를 관련되게 만들어서 출원시기마다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정보가 특허정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출원시기마다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상기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각각 연산해서 등록 소요연수를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상기 취득한 유사율과 상기 산출한 등록 소요연수를 관련되게 만들어서 출원시기마다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므로, 이용자는,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출원시기마다 유사율과 등록 소요연수와의 분포를 아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장치는,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정보가 특허정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출원시기마다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상기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각각 연산해서 등록 소요연수를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상기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상기 등록 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을 출원시기마다 산출하는 표준편차 산출수단과, 상기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상기 등록 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을 출원시기마다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정보가 특허정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출원시기마다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상기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각각 연산해서 등록소요연수를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상기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상기 등록 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을 출원시기마다 산출하는 표준편차 산출수단과, 상기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상기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을 출원시기마다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므로, 이용자는,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유사율과 등록소요연수와의 분포를 출원시기마다 아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장치는, 출원 시기마다의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상기 출원시기마다의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에 기초하여 장래의 표준편차 또는 장래의 등록소요연수 혹은 그 양쪽을 1차 외삽(外揷) 또는 다차(多次) 외삽 연산으로 예측하는 예측수단을 구비하고, 표시수단은 장래의 표준편차 또는 장래의 등록 소요연수 혹은 그 양쪽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출원시기마다의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상기 출원시기마다의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에 기초하여 장래의 표준편차 또는 장래의 등록소요연수 혹은 그 양쪽을 1차 외삽(外揷) 또는 다차(多次) 외삽 연산으로 예측하는 예측수단을 구비하고, 표시수단은 장래의 표준편차 또는 장래의 등록 소요연수 혹은 그 양쪽을 표시하도록 하므로, 이용자는, 과거의 특허정보에 기초한 장래의 특허출원 예측을 아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장치는, 표시수단에 있어서, 유사율의 대소마다, 등록소요연수의 대소마다, 또는 출원시기마다의 어느 것인가 1이상마다 표시색을 변경해서 상기 유사율, 등록소요연수 또는 출원시기의 어느 것인가 1이상을 식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용자는, 많은 데이터 중에서 유사율, 등록소요연수 또는 출원시기의 어느 것인가 1이상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순시(瞬時)에 아는 것이 가능해지고, 원하는 유사율과 등록 소요연수와의 관계를 용이하게 발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프로그램에서는, 정보처리수단이, 키워드 취득수단에서,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를 취득하는 기능과, 계수수단에서, 기술문헌을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의 모집단(母集團) 중에서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을 계수(計數)하는 기능과, 총수취득수단에서,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를 취득하는 기능과, 유사율 산출수단에서, 계수한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취득한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와의 비율을 연산해서 유사율을 산출하는 기능과, 출력수단에서, 산출한 유사율을 표시수단, 기록수단, 또는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를 취득하고, 기술문헌을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모집단 중에서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을 계수하고,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를 취득하고, 계수한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취득한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와의 비율을 연산해서 유사율을 산출하고, 산출한 유사율을 표시수단, 기록수단, 또는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도록 했으므로, 조사대상의 기술문헌이 새로운 분야의 기술문헌인지의 여부의 판단을 정량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프로그램에서는, 정보처리수단이, 유사율 취득수단에서,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정보가 특허정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기능과, 산출수단에서,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각각 연산해서 등록 소요연수를 산출하는 기능과, 표시수단에서, 취득한 유사율과 산출한 등록 소요연수를 관련되게 만들어서 표시하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정보가 특허정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고,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각각 연산해서 등록소요연수를 산출하고, 취득한 유사율과 산출한 등록소요연수를 관련되게 만들어서 표시하도록 했으므로, 이용자는, 다수의 조사 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유사율과 등록소요연수와의 분포를 아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방법에서는, 키워드 취득수단이,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를 취득하는 공정과, 계수수단이, 기술문헌을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모집단 중에서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을 계수하는 공정과, 총수취득수단이,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를 취득하는 공정과, 유사율 산출수단이, 계수한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취득한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와의 비율을 연산해서 유사율을 산출하는 공정과, 출력수단이, 산출한 유사율을 표시수단, 기록수단, 또는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를 취득하고, 기술문헌을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모집단 중에서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을 계수하고,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를 취득하고, 계수한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취득한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와의 비율을 연산해서 유사율을 산출하고, 산출한 유사율을 표시수단, 기록수단, 또는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도록 했으므로, 조사대상의 기술문헌이 새로운 분야의 기술문헌인지의 여부의 판단을 정량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방법에서는, 유사율 취득수단이,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정보가 특허정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공정과, 산출수단이,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각각 연산해서 등록소요연수를 산출하는 공정과, 표시수단이, 취득한 유사율과 산출한 등록 소요연수를 관련되게 만들어서 표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정보가 특허정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고,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각각 연산해서 등록소요연수를 산출하고, 취득한 유사율과 산출한 등록소요연수를 관련되게 만들어서 표시하도록 했으므로, 이용자는,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유사율과 등록 소요연수와의 분포를 아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장치에는, 다수의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그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이 기술문헌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기술문헌의 수량과 유사율에 기초해서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표준편차산출 수단과, 산출한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에 기초해서 기술문헌을 유사율값이 작은 것을 가리키는 영역 또는 유사율이 큰 것을 가리키는 영역으로 구분하는 구분수단과, 산출한 기술문헌의 수량과 유사율과 구분한 영역을 관련되게 만들어서 표기하는 정보를 표시수단, 기록수단, 또는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술문헌의 유사율에 기초하여 기술문헌수의 분포를 나타내고, 분포에 대해서 평균치 및 표준편차를 산출함으로써, 그 평균치와 표준편차값에 기초한 기술문헌군(群)의 분류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장치에는, 다수의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그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이 기술문헌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기술문헌의 수량과 유사율에 기초하여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표준편차산출수단과, 산출한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에 기초하여 기술문헌을 유사율값이 작은 것을 가리키는 영역 또는 유사율이 큰 것을 가리키는 영역으로 구분하는 구분수단과, 상기 구분한 영역에 포함되는 기술문헌을 유사율의 값의 순서로 표기하는 정보를, 표시수단, 기록수단, 또는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사율이 큰 전형적 기술문헌이나 유사율이 작은 예외적 기술문헌을 순번으로 표시함으로써, 이용자는 조사대상의 기업의 경영방침이나 연구개발방침의 책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주식 등에 의한 투자가는, 조사대상의 기업이 종래부터 몰두하고 있는 기술개발의 분야나 신규로 참여한 기술개발의 분야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장기적인 투자의 판단기준 또는 단기적인 투자의 판단 기준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장치에는, 다수의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그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이 기술문헌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기술문헌의 수량과 유사율에 기초하여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표준편차산출수단과, 산출한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에 기초하여 기술문헌을 유사율값이 작은 것을 가리키는 영역 또는 유사율이 큰 것을 가리키는 영역으로 기술문헌의 출원 또는 발표의 시기마다 구분하는 구분수단과, 구분한 영역에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을 출원 또는 발표의 시기마다 그래프에서 표기하는 정보를 표시수단, 기록수단, 또는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사율이 큰 전형적 기술문헌의 수량이나 유사율이 작은 예외적 기술문헌의 수량을, 기술문헌의 발표의 시기마다 또는 출원의 시기마다 순번으로 표시함으로써, 이용자는 조사대상의 기업의 경영방침이나 연구개발방침의 시기적 경향을 아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주식 등에 의한 투자가는, 조사대상의 기업이 종래부터 몰두하고 있는 기술개발의 동향이나, 신규로 참여한 기술개발의 동향을 아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장기적인 투자의 판단기준 또는 단기적인 투자의 판단기준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장치에는, 다수의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그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이 기술문헌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기술문헌의 수량과 유사율에 기초하여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표준편차산출수단과, 산출한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에 기초하여 기술문헌을 유사율 값이 작은 것을 가리키는 영역 및 유사율이 큰 것을 가리키는 영역으로 구분하는 구분수단과, 구분한 영역에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의 비율을 그래프에서 표기하는 정보를 표시수단, 기록수단, 또는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용자는 표시된 정보를 열람함으로써, 비교적 유사율이 높은 공보군(公報群)과 비교적 유사율이 낮은 공보군과의 건수의 비율의 차이를, 원그래프의 원의 각도로 분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조사대상의 기업에 있어서의 코어영역에 관한 관련기술의 기술개발과, 새로운 기술분야의 기술개발과의 비율을 용이하게 아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장치에는, 다수의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그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이 기술문헌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기술문헌의 수량과 유사율에 기초하여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표준편차산출수단과, 산출한 유사율을 그 유사율의 평균치로 나누고 다시 표준편차로 나누어서 규격화한 유사율 편차를 산출하는 규격화수단과, 산출한 유사율 편차를 유사율의 표준편차에 기초한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구분수단과, 유사율 편차의 구분을 일방의 축으로 하고 기술문헌의 출원 또는 발표의 시기를 타방의 축으로 해서 그 양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당해 기술문헌의 존재와 그 기술문헌의 수량을 크기로 나타내는 표의 표기정보를 표시수단, 기록수단, 또는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용자는 표시된 정보를 열람함으로써, 각 회사의 해마다의 기술동향의 추이를 조사할 수 있고, 제품의 창성기(創成期), 개발기, 성숙기, 쇠퇴기 등으로 분류한 평가를 사용해서 기업의 상태를 아는 것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주가의 경향을 살피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취직을 희망하는 기술개발자는, 조사대상의 기업에서는 새로운 분야의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되어 있는지, 또는 성숙한 제품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개발이 활발한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취직을 할 때에, 안정한 코어영역의 기반이 존재하는 기업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술평가장치에는, 다수의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그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이 기술문헌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기술문헌의 수량과 유사율에 기초하여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표준편차산출수단과, 산출한 유사율을 그 유사율의 평균치로 나누고 다시 표준편차로 나누어서 규격화한 유사율 편차를 산출하는 규격화수단과, 산출한 유사율 편차를 일방의 축으로 하고 기술문헌의 출원 또는 발표의 시기를 타방의 축으로 해서 그 양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당해 기술문헌의 존재를 나타내는 표의 표기정보를 표시수단, 기록수단, 또는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용자는 표시된 정보를 열람함으로써, 유사율 편차의 분포에 대해서, 달마다의 변화 등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알 수 있다.
또한 이용자는 표시된 정보를 열람함으로써, 각 회사의 매달의 유사율 편차의 추이를 조사할 수 있고, 제품의 창성기, 개발기, 성숙기, 쇠퇴기 등으로 나눈 평가를 사용하여 기업의 상태를 알고, 주가의 경향을 살피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타사가 개발하고 있는 기술동향을 아는 것이 가능해지고, 투자의 대상으로서의 검토재료나 취직할 곳의 검토재료, 공동개발을 행할 것인가 아닌가의 검토재료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유사율의 산출 등의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도22∼도40에서 상설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업평가시스템(1)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업의 경영이나 재무나 특허 등의 기술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2)를 구비하고, 경영이나 재무에 관한 정보나 특허에 관한 정보로부터 경영이나 재무와 특허와의 상관을 분석해서 기업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참고지표 등의 판단정보를 작성하는 평가수단(3)을 구비한다.
데이터베이스(2)에는, 기업의 경영이나 재무에 관한 경영재무정보를 기억한 경영재무정보 데이터베이스(21)와, 특허정보 등의 기술문헌을 기억하는 특허정보 데이터베이스(22)를 구비한다. 또한, 기업의 기본정보를 기억하는 기본정보 데이터베이스(23)를 구비한다.
또한 평가수단(3)에서 내놓은 각 분석결과를 기업가치를 판단하기 위한 참고지표로 하고 또한, 이 참고지표를 바탕으로 하여, 특허와 경제에 관한 월차ㆍ연차ㆍ4분기의 보고서로서 정리한 특허사계보(特許四季報), 지식재산사계보, 특허경제 통계연감 등의 지식재산 평가보고서를 제공하는 지식재산 평가보고서 제공수단(4)을 구비하고 있다. 이 지식재산 평가보고서 제공수단(4)에는, Web이나 전자우편 등으로서 전자적으로 제공되며, 또한 출판사 등에도 제공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평가수단(3), 지식재산 평가보고서 제공수단(4)의 기능을 포함하는 평가장치(30)의 신호처리계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가장치(30)의 정보송수신부에는, 공중회선 또는 통신네트워크 등의 통신망(364)을 거쳐서 다른 통신기기와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송수신수단(365)(키워드 취득수단, 유사율 취득수단, 등록건수 취득수단, 출력수단의 기능을 포함한다)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평가장치(30)에는, 이용자가 입력수단(370)을 거쳐서 입력한 각종 정보를 읽어내서 후술하는 정보처리수단에 전달하거나, 정보처리수단으로부터의 지시 에 기초하여 LED 등에 표시지령을 출력하는 입력인터페이스(371)(키워드 취득수단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와, 화상이나 문자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372)과, 정보처리수단의 지령에 기초하여 표시수단(372)에 대하여 표시용 화상신호를 출력하는 표시인터페이스(373)(출력수단의 기능을 포함한다)가 설치되어 있다. 또, 입력수단(370)은, 키보드나 마우스, 태블릿 등의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평가장치(30)에는, 기록매체(377)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기록매체장착부(378)와, 기록매체(377)에 대하여 각종 정보를 기록하거나 읽어 내거나 하는 기록매체인터페이스(379)(키워드 취득수단, 유사율 취득수단, 등록건수 취득수단, 출력수단의 기능을 포함한다)가 설치되어 있다. 또, 기록매체(377)는, 메모리카드(memory card) 등의 반도체나, MO, 자기디스크 등으로 대표되는 자기기록식, 광기록식 등의 착탈가능한 기록매체이다.
또한 평가장치(30)에는, 평가장치(30)의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정보처리수단(380)(평가수단(3), 지식재산 평가보고서 제공수단(4), 특허평가수단(5)의 기능을 포함한다)과, 정보처리수단(380)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각종 정수가 기록되어 있는 ROM이나 정보처리수단(380)이 처리를 실행할 때의 작업영역이 되는 기록수단인 RAM으로 구성되는 메모리(38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은, 평가수단, 경제지표 산출수단, 특허경제 예측수단, 특허자산가치 분석수단, 주가타당성 분석수단, 상세분석수단, 등록동향 예측수단, 유사성 분석수단, 시각적 다변량 해석수단, 시각적 샘플도 판정수단, 총수취득 수단, 계수수단, 유사율 산출수단, 출력수단, 유사율 취득수단, 등록건수 취득수단, 산출수단, 예측수단, 표준편차 산출수단의 제기능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이것들의 모든 처리를 정보처리수단(380)이 실행하는 대신에, 다수의 처리장치에 분담해서 실행하도록 해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평가장치(30)에는, 평가장치(30)의 처리에 관한 각종 정수나 네트워크상의 통신기기에 통신접속할 때의 속성정보, URL(Uniform Resource Locators), 게이트웨이정보, DNS(Domain Name System)등의 접속정보, 기업의 경영에 관한 정보, 특허에 관한 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기록하는 하드디스크 등의 기록수단(384)과, 기록수단(384)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읽어 내거나 기록수단(384)에 대하여 정보를 써 넣는 처리를 행하는 기록수단 인터페이스(385)(키워드 취득수단, 출력수단, 유사율 취득수단, 등록건수 취득수단의 기능을 포함한다)와, 시간을 새기는 카렌다시계(390)가 설치되어 있다.
평가장치(30) 내의 정보처리수단(380)과, 표시인터페이스(373), 메모리(381), 기록수단 인터페이스(385), 카렌다시계(390) 등을 포함하는 각 주변회로는 버스(bus)(399)로 접속되고 있어, 정보처리수단(380)에서 실행되는 처리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각각의 주변회로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도1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2)는, 기록수단(384)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나, CD-ROM, CD-RW, DVD, MO 등의 기억매체(377)에서 제공될 경우, 통신망(364)을 거쳐서 다른 통신기기로부터 취득할 경우도 고려된다.
또한 상기 평가장치(30)는, 퍼스널컴퓨터, 워크스테이션 등의 여러가지 컴퓨터를 이용해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접속해서 기능을 분산하여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이하, 특허 등의 기술문헌에 관한 정보를 사용한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서술하지만, 실용신안이나 의장, 상표 등의 문헌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경영재산정보 데이터베이스(21)에 기억되는 경영재무정보(210)는, 경영정보와 재무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 경영재무정보(21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사의 규모(종업원수나 자본금 등) 등을 포함하고, 각 기업의 유가증권보고서로부터 얻을 수 있는 기업정보(연구개발비(211), 주가(212), 총자산(213), 주주자본(214), 부채(215) 등의 경제지표)나 히어링(hearing)에 의한 정보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이다. 이 재무정보의 입수는, 예를 들면 신문사나 연구소 등이 제공하고 있는 상용 데이터베이스를, 다른 서버 등으로부터 취득해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정보 데이터베이스(23)에 기억되는 기본정보(230)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식별번호ㆍ상장구분ㆍ업종구분ㆍ회사명ㆍ본점소재지ㆍ설립연월일ㆍ결산기 등을 관리한다. 또한, 각 기본정보(230)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업 간 통합ㆍ분할 등의 기업의 이벤트(event)를 기억하고, 기업의 변천을 아는 것을 기억하는 이력관리데이터(231)를 구비한다.
기업이 보유하는 특허는, 기업 간의 통합ㆍ분할에 따라 바뀌지만, 이 이력관리데이터를 참조함으로써 현재,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특허의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각종 식별번호에는, 특허의 출원인으로서의 출원인식별번호(232)를 관리하지만, 기업에 의해 다수의 출원인식별번호가 배정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이 기본정보(230)를 바탕으로 해서 전술한 경영재무정보(210)로부터 기업마다 경영이나 재무에 관한 정보를 꺼낼 수 있다. 또한, 출원인식별번호(232)로부터 기업마다 특허정보를 꺼낼 수 있다.
또한 특허정보 데이터베이스(22)에 기억되는 특허정보(220)에는, 도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특허정보 등의 기술문헌이 기록되어 있다. 이 중 특허정보로서 얻어지는 정보에는, 특허사정된 특허공보정보(특허청구범위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요약서를 포함하는 명세서나 도면 또는 서지적 사항 등)(221)와, 특허로서 등록되기 전에 발행된 공개특허공보정보(222) 등이 있어, 공개특허공보는 공표된 것이나 보정된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실용신안의 경우에는,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용신안으로서 등록된 실용신안공보정보(223)와, 실용신안으로서 등록되기 전에 발행된 공개실용신안공보정보(224)등이 있다. 또한, 이것들의 각 정보에는 명세서나 도면도 포함한다. 또한 이것들의 공보는, CD-ROM공보로서 제공되는 것을 데이터베이스로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런 공보는 국제출원된 것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공보로부터 얻어진 정보에 히어링(hearing)이나 특허원부의 열람 등에 의해 입수한 권리의 이전이나, 실시권의 설정에 관한 정보도 기억한다.
또한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평가수단(3)에서는, 특허동향 분석수단(31)과, 등록동향 분석수단(32)과, 등록동향 예측수단(33)과, 특허경제지표 산출수단(34)과, 특허자산가치 분석수단(35)과, 특허경제 예측수단(36)과, 주가타당성 분석수단(37)을 구비한다.
특허동향 분석수단(31)에서는, 특허정보를 바탕으로 각 기업의 출원이나 등록의 동향을 분석하고, 시장별이나 출원별, 기업그룹별 등의 임의의 기업군 또는 기술분야별로 상기 출원이나 등록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특허동향 분석결과 데이터베이스(39)에 기억한다.
또한 이 특허동향 분석결과 데이터베이스(39)와 특허정보 데이터베이스(22)와 기본정보 데이터베이스(23)에 기초하고, 등록동향 분석수단(32)에서 그 기업의 출원이 등록된 비율(등록율)이나 출원부터 등록까지 필요한 일수 등을 구하고, 그 결과를 등록동향 분석결과 데이터베이스(38)에 기억하고, 이것들로부터 등록동향 예측수단(33)에서 지금 이후 등록되는 건수를 예측한다.
또한, 특허경제지표 산출수단(34)에서 특허와 기업경영ㆍ재무와의 관계나 특허가 기업경영이나 재무에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한 결과를 특허경제지표 산출결과기억수단(이후, 특허경제지표 산출결과 데이터베이스라고 한다)(40)에 기억하고, 이 특허경제지표 산출결과 데이터베이스(40), 각 기업의 경영재무정보 데이터베이스(21) 및 특허정보 데이터베이스(22)로부터 특허자산가치 분석수단(35)으로 그 기업의 특허자산가치를 분석한다.
또한 특허경제 예측수단(36)에서는, 특허경제지표 산출결과 데이터베이스(40)에 기억되어 있는 특허와 기업경영ㆍ재무와의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각 기업의 경영재무정보 데이터베이스(21) 및 특허정보 데이터베이스(22)로부터 그 기업의 장래에 있어서의 특허자산가치 또는 특허에 의한 수익 등을 예측한다.
또한 주가타당성 분석수단(37)에서는, 각 기업의 특허자산가치 분석수단(35)이나 특허경제 예측수단(36)으로부터 얻어진 결과와, 각 기업의 주가(212)(경영재무정보 데이터베이스(21))를 바탕으로 산정되는 무형재산가치를 비교함으로써, 주가의 타당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또한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특허(출원ㆍ등록)동향 분석수단(31)에는 출원의 증가나 감소 등의 동향을 분석하는 출원동향 분석수단(311), 등록의 증가나 감소 등의 동향을 분석하는 등록동향 분석수단(312)을 구비한다. 이하, 각 분석수단의 기능을 설명한다.
1. 출원동향 분석수단(311)
이 분석에서는 특허정보 데이터베이스(22)로부터 꺼낸 각 기업의 특허정보(220)로부터, 출원 건수의 증가나 감소 등의 동향을 분석한다. 예를 들면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연도 등의 시간의 경과를 나타내는 것과 출원 건수를 채택하고, 각 연도마다 기업의 출원건수로부터 기업의 출원동향을 나타낸다. 또한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업의 출원동향을 IPC, FI, FI텀(term)등의 기술분야별로 분석하고, 각 기업의 기술분야별 출원동향을 분석한다.
여기에서, 각 기업의 특허정보(220)는, 기본정보(230)에서 관리되어 있는 식별번호(232)이나, 이력관리데이터(231)를 바탕으로, 각 기업이 현재 보유하는 것을 모두 꺼낸 특허정보(220)이다. 또한, 히어링(hearing)이나 특허원부 등으로부터 얻어진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것을 가미(加味)한다.
또한, 특허정보(220) 전체나, 시장별이나 업종별로 분류한 특허정보(220)를 분석한다. 이에 따라 시장별이나 업종별의 동향을 분석한다. 예를 들면, 전체 출원건수동향ㆍ시장별 출원건수동향ㆍ업종별 출원건수동향을 구하고, 또한, 각 기업별의 출원동향분석을 바탕으로 한 출원건수랭킹(ranking)ㆍ출원건수 성장률랭킹ㆍ출원건수 성장율배수랭킹 등이 얻어진다. 도10에, 출원랭킹의 일예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각 기업이 속하는 시장별이나 업종별의 위치를 분석할 수 있다.
2. 특허등록동향 분석수단(312)
이 분석에서는, 특허정보 데이터베이스(22)로부터 꺼낸 각 기업의 특허정보(220)를 모집단으로 해서, 등록건수의 증가나 감소 등 동향을 분석한다. 예를 들면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연도 등의 시간의 경과를 나타내는 것과 등록건수를 채택하고, 각 연도마다 기업의 등록건수로부터 기업의 등록동향을 나타낸다. 또한 기업의 등록동향을 기술분야별로 분석하고, 각 기업의 기술분야별 등록동향을 분석한다.
또한, 특허정보(220) 전체나 시장별로 나눈 특허정보(220)나 업종별로 나눈 특허정보(220)에서 특허 등록의 증가나 감소 등의 동향을 분석한다. 이에 따라 시장별이나 업종별의 동향을 분석한다. 또한, 각 기업에서 기술분야별로 등록동향을 분석한다. 예를 들면, 전체 등록건수동향ㆍ시장별 등록건수동향ㆍ업종별 등록건수동향 등을 구하고, 또한, 각 기업별의 특허등록 동향분석을 바탕으로 한 등록건수랭킹(ranking)ㆍ등록건수 성장률랭킹ㆍ등록건수 성장률배수랭킹 등이 얻어진다. 이에 따라 각 기업이 속하는 시장별이나 업종별의 위치를 분석할 수 있다.
등록동향 분석수단(32)에서는, 기업마다 전 출원의 특허정보(220)(전 출원의 특허정보로는, 심사청구되었는지 미청구인지는 상관없이 특허출원되어서 공개된 공보 전체를 말한다)를 대상으로 하고, 그 중 등록된 특허건수의 비율을 등록율로 해서 동향을 분석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등록율과 출원일부터의 시간의 경과를 나타내면, 등록율은 출원일부터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올라가고 있지만,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하면 등록율은 별로 변화하지 않게 된다.
또한 각 기업의 기술분야별로 등록율의 동향을 분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체 평균 등록율 동향, 시장별 평균 등록율 동향, 업종별 평균 등록율 동향과, 각 기업별의 등록율 동향분석을 바탕으로 한 등록율랭킹, 등록 소용기간 랭킹(ranking)등이 얻어진다.
등록동향 예측수단(33)에서는, 특허정보 데이터베이스(22)로부터 꺼낸 특허정보(220)로부터, 각 기업의 전 출원 특허건수와 출원마다의 등록율이나 출원부터 등록까지 필요로 한 일수 등을 꺼내고, 금후(今後) 어느 정도 출원특허가 어느 정도의 비율로, 또한 어느 정도의 일수에서 등록(권리화)되는지를 예측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등록율에 관해서는 A회사의 출원연도(yy)의 출원건수 N(yy)이 도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화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출원으로부터의 연수를 yc이라고 하면, A회사가 yy년도에 출원한 출원특허의 등록율 f(yc)는, 도1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추이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추이를 외삽(外揷)함으로써, 어떤 년도 yd에서의 A회사의 예상 등록(특허취득)율 Fyy(yd)를 구할 수 있다. 이 Fyy(yd)를 사용하고, 어떤 년도 yd까지 등록되어 있다고 예측되는 예측 등록건수 X(yd)는,
로서 예측할 수 있다.
등록율 Fyy(yd)은,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출원부터의 연수 yc에서 등록율이 출원부터의 연수에 따라 서서히 증가해서 10년째에 다다르면 등록율은 변화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많지만, 법률의 개정이나 기업의 방침에 의해, 등록율은 출원부터의 연수뿐만 아니라 출원년도에 의해 변화하는 경우도 있다. 이상, 등록건수를 연도마다 산출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매달이나 날짜마다 산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출원부터 등록까지 필요한 기간에 대해서는, 도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등록연도마다 필요로 한 기간과 분산(세로의 바가 분산을 가리킨다.) 등을 구함으로써, 예측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14에, 각 출원연도마다, 집계 시점에 있어서의 등록까지 필요로 한 기간의 평균 추이(세로의 바는 분산을 나타낸다.)를 가리킨다. 등록건수와 같이, 출원부터 등록까지 필요한 기간에 관해서도 매달이나 날짜 마다 산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특허경제지표 산출수단(34)에서는, 클러스터분석이나 상관분석이나 다변량해석 등의 여러가지 데이터마이닝의 수법을 사용해서, 특허정보(실용신안을 포함한다)(220)로 한 각 기업의 출원건수, 등록건수, 등록율 등과, 해당하는 기업의 경영재무정보(210)를 바탕으로 한 경제지표로서 상관(相關)을 분석하고, 특허정보(220)와 경제지표와의 상관을 나타내는 특허경제지표를 특허경제지표 산출결과 데이터베이스(40)에 기억한다.
여기에서는, 경제지표로는 매상고ㆍ매상이익ㆍ제조판매이익ㆍ영업이익ㆍ경상이익ㆍ이익ㆍ제종업원 1인당 제조판매이익 등의 각 기업의 재무상태의 기준이 되는 것이다.
그래서, 특허경제지표에는, 예를 들면,
ㆍ누계 등록건수와 업적(매상고ㆍ매상이익ㆍ영업이익)과의 관계를 분석해 등록 건수는 기업의 업적과의 사이에 어떤 상관이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
ㆍ누계 등록건수와 주주자본 시가총액비율(PBR: Price Book Value Ratio)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등록건수는 기업의 주가와의 사이에 어떤 상관이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
ㆍ등록건수의 성장율과 주주자본 시가총액배율성장율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등록건수의 증대는 주가의 성장(특히 무형자산평가의 성장)과의 사이에 어떤 상관이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
이 있다. 이것들에 의해, 특허의 유ㆍ무가 기업의 수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이 기업마다의 분석을, 시장별ㆍ업종별로 나누어서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것도 좋다. 예를 들면,
ㆍ종업원 1인당의 출원수, 종업원 1인당의 등록수
ㆍ출원 1건당의 연구개발비
를 기업마다 구하고, 또한, 시장별이나 업종별의 평균을 구하는 것으로 각 기업의 연구개발비(211)의 동향과 상대적인 위치를 분석하고, 또한, 시장별이나 분야별로 특허와 경제지표의 상관을 분석한 상관계수를 특허경제지표로 한다.
분야마다 특허출원건수와 경제지표와의 상관계수를 구한 예를 도15의 도표에서 나타낸다.
또한 분야마다 특허등록 건수와 경제 지표와의 상관계수를 요구한 예를 도16의 도표에서 나타낸다.
특허자산가치 분석수단(35)에서는, 특허경제지표 산출수단(34)의 결과(특허경제지표 산출결과 데이터베이스(40))와, 각 기업의 경영재무정보(210) 및 특허정보(220)와, 등록동향 분석수단(32)의 결과(등록동향 분석결과 데이터베이스(38))로부터, 그 기업의 특허자산가치(350) 등을 분석한다.
특허의 출원건수와 대단히 높은 상관을 가지는 경영재무정보(210)의 하나에에 연구개발비(211)를 들 수 있지만, 현재의 회계 기준에서는, 이것을 모두 비용에 계상(計上)하고 있다(일본의 경우, 2000년 3월기 이후의 결산부터, 비용계상이 의무로 되어 있다.).
이것은, 연구개발에 관계하는 지출(연구개발비(211))을 모두 해당 연도의 비용으로서 처리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지만, 연구개발에 의해 얻어진 기술적 성과는, 해당 연도의 업적이 아니라 장래의 업적에 기여할 가능성이 크고, 이 의미에 있어서 연구개발비(211)는 자산으로서의 성질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연구개발의 과정에 있어서 특허출원되는 것이 많다. 이것으로부터 연구개발비(211)는 특허자산을 예측하는 기초로 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도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경영재무정보(21)로부터 각각의 기업의 각 연도에 있어서의 연구개발비(211)와, 특허정보(22)로부터 기업별ㆍ업종별의 특허출원정보(221)와, 등록동향 분석수단 결과 데이터베이스(38)로부터 해당하는 기업의 출원이 등록된 비율이나 출원부터 등록까지 필요로 한 일수 등을 꺼내고, 또한 개별의 특허를 분석해서, 장래 수익에 공헌하는 가능성이 있는 특허자산가치(350)로서 계상(計上) 가능한 금액을 산정한다.
가령 출원 건수도 연구개발비(211)도 같은 정도의 기업이 존재했다고 해도, 등록율이 크게 다른 경우나, 특허의 내용에 의해서도, 연구개발비(211)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특허자산가치(350)로서는 크게 다르다. 그래서, 연구개발비(211)이나 특허출원비용이나 특허의 유지비용으로서의 연금 등의 출원에 관계하는 비용을 바탕으로, 특허자산의 원가를 산출한다.
그래서, 연구개발비(211)이나 특허출원비용이나 특허의 유지비용으로서의 연금 등의 합계를 출원건수로 나눈 것을 특허 1건당의 특허의 원가로서 간주한 특허원가비용을 구한다.
또한 특허자산가치(350)는 자산의 일종이므로, 현재의 가치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특허원가비용을 감가 상각해서 산출하는 것이 적절하다. 그래서, 개별특허의 특허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특허평가지표를 이용해서, 그것에 따른 감가 상각율을 개별 또는 집단으로 나누어서 설정한다. 그것을 고려해서 특허원가비용으로부터 현재 잔존하고 있는 현 특허자산단가를 산출하고, 모두 현 특허자산단가의 합계를 구한 것으로 특허자산가치(350)의 정밀도를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특허평가지수는, 개별 또는 집단으로 나누어서 특허평가 입력수단(351)으로부터 적절한 수치를 입력한다.
특허경제 예측수단(36)에서는, 특허와 경제지표와의 상관을 나타내는 특허경제지표 산출수단(34)의 결과(특허경제지표 산출결과 데이터베이스(40))인 특허경제 지표와, 등록동향 예측수단(33)에서 예측된 등록율이나 등록건수와, 특허자산가치 분석수단(35)에서 산출하는 특허자산가치(350)를 자산으로부터, 기업의 장래의 주가(212) 등의 경제지표를 예측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들면, 특허경제지표 산출수단(34)에서는, 매상고ㆍ매상이익ㆍ제조판매이익ㆍ영업이익ㆍ경상이익ㆍ이익ㆍ제종업원 1인당 제조판매이익 등 경제지표와 특허출원건수나 특허등록건수와의 상관계수를, 도15 또는 도1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한다.
이것에, 등록동향 예측수단(33)에서 예측되는 출원특허의 등록율이나, 그 등록율을 바탕으로 예측한 예측 등록건수를 가미하면, 장래, 매상고ㆍ매상고이익ㆍ제조판매이익ㆍ영업이익ㆍ경상이익ㆍ이익ㆍ제종업원 1인당 제조판매이익 등 경제지표가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 것인가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주가타당성 분석수단(37)에서는, 특허자산가치 분석수단(35)에서 분석한 결과로부터, 해당하는 기업의 주가(212)(주식시가총액(216))등에 의해 산출되는 시장에 있어서의 기업가치평가가 실태와 떨어져 있을 가능성이 큰 것을 판별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주가타당성 분석수단(37)에는, 이 무형자산의 가치와 주식시가총액(216)과의 관계로부터 타당성을 판단하는 상세분석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대차대조표를 바탕으로 해서 무형자산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고찰했다. 도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화살표 Al의 부분은 종래의 부가(簿價)에 의한 대차대조표에서, 대략적으로 자산(91(213))과 부채(92(215))와 주주자본(93(214))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무형자산을 자산의 일부로서 잡으면, 화살표 B의 주식시가총액(216)이라고 말하여지는 것은 주주자본(93)과 무형자산(94)과 시장요인에 의한 평가(95)로 구성된다고 생각된다. 또한 무형자산(94)에는, 특허 등의 공업소유권의 가치인 특허자산가치(350), 브랜드가치 등 특허 이외의 무형자산(941)등이 포함되어 있다. 실제의 기업의 기업가치는, 화살표 C가 가리키는 자산(91)과 무형자산(94)과 시장요인에 의한 평가(95)로도 생각된다.
완전한 시가회계가 적용된 경우에 대해서 생각한다.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A2는 완전한 시가회계가 적용된 경우의 부가(簿價)에 대응하는 것으로, 이 경우, 회계상 인식되는 자산의 시가평가(96)를 자산(91(213))에 넣는다. 이 시가평가(96)와 자산(91(213))이 부채(92(215))와 주주자본(93(214))에 대응한다. 이것에 기초하여 도18의 경우와 같이, 주식시가총액(215(B))이나 기업의 기업가치(C)과의 관계를 고려한다.
그래서, 기업의 시장에 있어서의 기업가치평가에 의해 산정되는 무형자산가치는 완전한 시가회계가 적용되어 있는 경우(국제회계 기준으로는 시가회계가 적용되고 있어, 일본의 회계 기준도 이것에 첨가한 규칙으로 개정되는 방향에 있다.), 주식시가총액-주주자본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이 특허자산가치(350)는, 전술한 특허자산가치 분석수단(35)으로 구한 것이다. 특허자산가치 분석수단(35)에서는, 특허출원에 관계되는 기술적 성과 등을 얻기 위해서 기업이 써버린 연구개발비(211)이나 특허의 출원비용ㆍ출원으로부터 등록까지 드는 비용ㆍ유지비용 등에 기초하고, 개별 기업의 특허출원 또는 등록 1건당의 연구개발비(211)등을 분석하고, 예를 들면 동업 타사의 값이나 동 업종에 있어서의 평균치와의 비교를 이용하고, 특허의 말하자면 취득하기 위한 원가의 잔존 가치(감가 상각한 것)로부터 현재의 특허자산가치(350)를 산정한다.
이 때, 등록동향 분석수단 결과데이터베이스(38)가 가지는 개별 기업의 출원이 등록된 비율이나 출원으로부터 등록까지 필요한 일수 등을 이용하고, 개별 기업의 특허출원 및 등록에 관계되는 경향이나 실적 등을 감안해서 특허자산가치(350)를 구하므로 상당히 엄밀하게 평가된다.
그러나, 도18이나 도19을 사용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주식시가총액 B가, 특허자산가치(350)와 주주자본(93)을 더한 액수를 밑도는 경우에는, 시장(市場)은 해당하는 기업의 무형자산(94)을 특허자산가치(350)이하밖에 평가하고 있지 않다고 하는 것이 된다(브랜드나 노하우 및 조직자산 등의 가치는 0이하로 간주되고 있는 것이 된다.). 그래서, 주가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상세 분석을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세분석수단에서는 시장(市場)이 특허자산가치 분석수단(35)에서 산출된 특허자산가치(350)이하의 평가밖에 주어지지 않고 있는 기업의 주가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우선 첫째로, 개시된 주주자본의 액수에 문제(예를 들면 그 기업에 부외(簿外) 채무나 불량자산 등이 존재하고 있을 경우, 실제의 주주자본은 그 부분만큼만 감소한다)가 있는지 없는지의 조사를 실시하고, 이것들의 문제에 의한 감액해도 설명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부정합(不整合)이라고 판단한다.
부정합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그 기업의 특허자산의 내용의 보다 상세한 정성적 분석을 실시하고, 특허자산가치 분석수단(35)에서 산출된 특허자산가치(350)의 가치에 충분한 객관성이 있는지 여부를 검증한다.
지식재산 평가보고서수단(4)에서는, 특허동향 분석결과 데이터베이스(39)와 특허경제지표 산출결과 데이터베이스(40)에 등록동향 분석수단(32) 및 등록동향 예측수단(33), 특허자산가치 분석수단(35)이나 특허경제 예측수단(36), 주가타당성 분석수단(37), 기업별 및 업종별 등의 특허와 경제지표의 동향에 관한 보고서를 월차, 연차, 4분기에 정리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다음에는 제1실시예의 기업평가시스템(1)의 흐름을 도20의 흐름도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우선, 특허동향 분석수단(31)에서, 특허정보 데이터베이스(22)에 기억되는 특허정보(220)을 꺼내고, 기업마다 각 연도의 출원건수(출원동향 분석수단(311))나 등록건수(등록동향 분석수단(312)) 및 그 동향, 또한 시장별, 업종별, 기업그룹별 등의 임의인 기업군별 또는 기술분야별 출원, 등록의 동향 등이 분석된다.(S100)
이것을 바탕으로 등록동향 분석수단(32)에서는, 그 기업의 출원이 등록된 비율(등록율)이나 출원부터 등록까지 필요로 한 일수 등을 분석한다(S101). 또한 이것들을 바탕으로, 등록동향 예측수단(33)에서는, 그 기업의 각 연도에 등록된다고 예측되는 등록건수를 산출한다(S102).
특허경제지표 산출수단(34)에서는, 특허동향 분석수단(31)에서 분석한 각 기업의 출원건수나 등록건수 등과 그 동향을 특허동향 분석결과 데이터베이스(39)로 꺼내고, 경영재무정보 데이터베이스(21)이나 특허정보 데이터베이스(22)로부터 해당하는 기업의 경영재무정보(210), 특허정보(220)를 꺼내고, 여러 가지 데이터마이닝 수단으로부터 특허정보와 경제지표나 재무지표와의 상관 등을 분석한다(S103).
특허자산가치 분석수단(35)에서는, 특허경제지표 산출수단(34)에서 분석된 각 기업의 경영재무정보(210)와 특허정보(220)에 기초하는 출원이나 등록동향과의 상관 등을 특허경제지표 산출결과 데이터베이스(40)로부터 꺼내고, 경영재무정보 데이터베이스(21)이나 특허정보 데이터베이스(22)로부터 해당하는 기업의 경영재무정보(210), 특허정보(220)를 꺼내고, 또한 등록동향 분석수단(32)에서 분석된 등록율이나 등록소요일수 등의 데이터를 이용해서 그 기업의 특허자산가치(350)를 분석한다.(S104).
또한 주가타당성 분석수단(37)에서는, 특허자산가치 분석수단(35)에 의해 산출된 특허자산가치와 주가에 의해 정해지는 무형자산가치(주식시가총액-주주자본)를 비교함으로써, 주가의 타당성을 분석한다(S105).
다음에 특허경제 예측수단(36)에서는, 특허경제지표 산출수단(34)에서 분석된 각 기업의 경영재무정보(210)와 특허정보(220)에 기초하는 출원이나 등록동향과의 상관 등을 특허경제지표 산출결과 데이터베이스(40)로부터 꺼내고, 등록동향 예측수단(33)에서 예측되는 특허건수와, 특허자산가치 분석수단(35)에서 분석된 특허자산가치 등을 바탕으로, 특허경제 예측수단(36)에서 각 기업이 보유한다고 예측되는 특허건수 등으로부터, 장래에 있어서의 무형자산평가액 등을 예측한다.(S106).
또한, 지식재산 평가보고서 제공수단(4)에서는 특허와 경제에 관한 월차ㆍ연차ㆍ4분기 등의 보고서인 지식재산 평가보고서를, 특허동향 분석결과 데이터베이스(39)와 특허경제지표 산출결과 데이터베이스(40)에 등록동향 분석수단(32) 및 등록 동향 예측수단(33), 특허자산가치 분석수단(35)이나 특허경제 예측수단(36), 주가타당성 분석수단(37)으로부터 얻어진 결과를 가미해서 작성한다. 이것들의 정보를 Web이나 전자우편 등으로서 전자적으로 제공하고, 또한, 출판사 등에도 제공한다(S107).
다음에는 주가타당성 분석수단(37)의 흐름에 대해서, 도18(혹은, 도19)의 대차대조표와 무형자산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과, 도21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거기에서, 예를 들면 특허자산가치 분석수단(35)에서 예시한 방법으로 산출된 특허자산가치(350)와, 그 기업의 주식시가총액으로부터 주주자본을 공제한 금액으로부터 구한 무형자산평가액(95)을 비교한다(S120). 주식시가총액과 특허자산가치(350)의 관계로부터, 상세한 분석이 필요한지 판단한다(S121).
예를 들면, 특허자산가치 분석수단(35)에서 산출되는 특허자산가치(350)가 10억엔인 기업이 존재한다고 가정하고, 해당하는 기업의 주식시가총액 B(216)부터 주주자본(93(214))을 공제한 금액(무형자산평가액)이 20억엔인 경우, 특허자산가치(350)이외의 무형자산평가액이 10억엔(그 평가가 타당한지 어떤지는 별도 검증이 필요하다.)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무형자산평가액이 10억엔 이하인 경우, 시장(市場)은 특허자산가치(350)를 만들어 내기 위해서 그 기업이 써버린 원가에 대해서 감가상각한 금액(즉, 연구개발비(211)의 일부를 자산으로 간주한 감가상각을 행한 결과 산출된 특허자산가치(350))이하의 무형자산가치밖에 평가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되고, 주가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보다 상세한 분석을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상세한 분석이 필요할 경우에는, 상세수단분석으로, 그 기업의 특허자산의 내용의 보다 상세한 정성적 분석을 실시하고, 특허자산가치 분석수단(35)에서 산출된 특허자산가치(350)에 충분한 객관성이 있는지 없는지를 검증한다(S122).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특허자산가치를 분석하고, 주가에 의해 정해지는 무형자산가치(주식시가총액-주주자본)와 비교함으로써, 주가가 타당한지 등을 검증할 수 있다.
다음에 제2실시예에서는 특허평가시스템(11)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와 동일한 것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시스템도,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컴퓨터상에서 동작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허평가시스템(11)(기업평가시스템(1)에 포함되는 것이어도 좋다)에는, 도2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특허나 실용신안 등의 출원된 공보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특허정보(220)(기술문헌이어도 좋다)를 기억하는 특허정보 데이터베이스(22)와, 특정한 공보와 그 이외에 추출한 임의의 공보와의 비교로부터 상기 특정의 공보의 신규성을 평가하는 특허평가수단(5)을 구비한다. 또한, 기업의 기본정보(230)를 기억하는 기본정보 데이터베이스(23)를 구비한다.
특허평가수단(5)(정보처리수단(380))에는, 기업별로 특허정보를 나누고, 그 중에서 특정한 출원을 선택하고, 그 이외에서 추출한 임의의 특허정보(220)로부터 모집단(母集團)(예를 들면 월 단위, 연 단위 등)을 꺼내서 유사성 등으로부터 특허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참고지표 등을 구하는 기능을 갖춘다.
또한 특허가치의 판정하는 방법으로서, 모집단이 되는 특허정보(220)와 조사대상의 특허정보(220)와의 사이에서 발명을 특징짓는 정보를 이용해서 발명의 유사성 등을 산출하는 유사성 판정수단(51)(정보처리수단(380))과, 모집단 전체의 특허정보(220)에 있어서, 조사 대상의 특허정보(220)의 상대 위치 또는 분포상황을 특징짓는 정보를 이용해서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시각적 판정수단(52)(정보처리수단(380))을 구비한다. 이것들의 판정 방법에 의해 구한 발명의 유사성이나 발명의 분포상황을 바탕으로, 특허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특허평가지표를 구한다.
이하에, 이 특허가치의 판정수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특허출원이나 특허발명의 가치는, 그 발명에 신규성이나 진보성이 어느 만큼 있는지가 문제된다. 또한 기업에 있어서의 그 특허출원 또는 특허발명의 위치는, 종래의 기술과 어느 만큼 공통점이 있는지나, 차이가 있는지에 의해 판단된다고도 말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특허출원의 가치나 위치를,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key word)에 대해서 주목하고,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정보가 특허정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산출하고, 종래의 특허출원이나 특허발명과의 유사성이나, 종래의 특허출원이나 특허발명과의 상대 위치로서 표현한다.
또, 기술분야나 발명의 유사성을 판단하는 소정의 키워드는, 미리 다수의 키워드를 사전 또는 시소러스(thesaurus)로서 등록해 두면 좋다. 또한 키워드 사전에는, 동의어끼리를 관련되게 만들어서 기록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동의어사전에는, 표현이 다를 뿐 동일한 의미를 표현하는 단어끼리를 관련되게 만든다. 예를 들면 「카테고리-」, 「카테고리이」, 및 「카테고리」등은 동의어임과 동시에, 어미의 「-」이나 「이」에 관해서는 자동으로 삭제 또는 변환해서 동의어라고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동의어로서, 「전자계산기」, 「퍼스콤」,「퍼스널컴퓨터」, 「PC」, 「처리장치」, 「CPU」, 「워크스테이션」, 「WS」등을 관련지어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영일사전이나 현대용어의 사전, 유사어사전, 가나한자변환사전 등을 참조하고, 각 키워드를 관련되게 만드는 처리를 실시해도 좋다.
예를 들면 키워드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추출한다.
1. 기술문헌내의 전문, 또는 특허정보의 「특허청구범위」, 「발명의 상세한 설명」,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면」, 「요약」등의 일부에서 키워드의 사전에 기초해서 소정의 키워드를 검색한다.
2. 조사대상의 기술문헌에 있어서, 문장의 띄어쓰기를 행해 키워드를 추출한다.
3. 조사대상의 기술문헌에 있어서, 문서의 처음부터 소정의 문자열을 잘라내고, 이 잘라낸 문자열로부터 소정의 「조사」, 「동사의 어미」, 「접속사」, 「감탄사」등 발명을 특정하는 용어로서 불필요한 단어를 삭제하는 처리를 행하여, 키워드를 추출한다.
등의 방법이 생각된다. 키워드의 추출처리는, 기술용어를 유효하게 잘라낼 수 있도록 순서를 만들 필요가 있다.
모집단과 조사대상의 출원의 유사성이나 상대 위치를 판단할 때는, 모집단과 조사대상 양쪽에 부여되어 있는 특허분류, FI텀(term), F텀(term) 등의 기술분야를 나타내는 코드나, 발명을 특징짓는 키워드 등의 정보를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어느 특정한 특허출원에 관계된 발명이, 모집단 중에서 새로운 분야의 발명인지의 여부의 판단을 행할 경우에 대해서 생각한다. 그 모집단에 포함되는 모든 공보와, 조사대상이 되는 특허정보를 소정의 조건을 가지고 비교해서, 그 조사대상의 발명이 모집단에 대하여 어느 정도 새로운 분야의 발명인지의 판단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는, 키워드를 판단의 조건으로서 이용한 경우의 실시예에 대해서 서술한다.
유사성 판정수단(51)(정보처리수단(380))에서는, 조사대상의 출원 또는 특허발명 등에 대하여, 모집단을 기업별, 업종별, 분야별, 시기별 등에서 선택한다. 그리고, 특징으로 생각되는 키워드 등이나 분류에 관한 정보로 유사성을 분석한다. 여기에서는, 소정의 키워드를 이용해서 유사율을 산출하고, 유사성을 판단할 경우 에 관하여 설명한다. 기술문헌 중에서 간단하게 얻을 수 있는 수치로서는,
1. 조사대상의 공보(기술문헌) 중에, 소정의 키워드가 각각 몇 개 존재하는가?
2. 조사대상의 공보(기술문헌)에 존재하는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공보(기술문헌)가, 모집단 중에 몇 건 존재하는가?
3. 상기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공보(기술문헌)의 건수와, 모집단에 포함되는 전 특허공보 건수(기술문헌)의 비율에 기초하여 산출한 유사율.
4. 키워드의 중요도나 출현 빈도를 고려하고, 모집단 중에 있어서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공보(기술문헌)의 건수 등에 대하여 적당한 중요도를 부여하여 유사율을 산출한 것.
등이 생각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른 조사대상이나 다른 모집단과의 비교를 행하기 위해서는, 규격화인자 N(조사대상이 되는 공보에 포함되는 키워드의 종류의 수), Pall(모집단 중의 특허공보의 총 건수)이나 Kall(모집단에 포함되는 키워드의 총수)등이라고 한 것이 필요하게 된다.
여기에서 유사율로는, 조사대상이 되는 개개의 특허공보(기술문헌을 포함한다)의 모집단에 있어서의 유사관계를 간편하게 판정하기 위해서, 새롭게 정의하는 지표다. 구체적으로는, 조사대상이 되는 개개의 특허공보(기술문헌)에 포함되는 키워드가, 모집단 중의 전 특허공보(기술문헌) 중, 몇 개의 특허공보(기술문헌)에 포함될 것인가라고 하는 비율을, 예를 들면 백분율로서 산출한 것이다.
따라서, 유사율이 높을수록(유사율이 큰 값을 나타낼수록) 조사대상의 발명에 유사 또는 관련되는 발명의 특허공보(기술문헌)가 다수 존재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유사율이 낮을수록(유사율이 작은 값을 나타낼수록) 조사대상의 발명에 유사 또는 관련되는 발명의 특허공보(기술문헌)가 적은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 때문에, 유사율이 낮을수록, 대략 신규성이나 진보성이 있는 발명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할 수 있다. 물론, 실제의 평가에 있어서는 정성적인 분석이 불가결하지만, 방대한 특허공보 등의 기술문헌을 1차 스크리닝할 목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매우 유효한 수단이 된다. 본 발명에서는, 유사율을 자동으로 산출함으로써, 통계 대상의 기업이 출원한 모든 특허공보 등의 기술문헌이나, 관련되는 업계 전체의 기업이 출원한 모든 특허공보 등의 기술문헌을 모집단으로 해서, 조사대상이 되는 개개의 특허공보 등의 기술문헌에 대해서 유사율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규격화인자를 고려한 유사율의 산출예로서, 이하와 같은 방법이 생각된다.
도23은, 특허공보의 모집단(100)(건수 Pall)과, 조사대상(20)이 되는 특허공보(101)에 포함되는 키워드 Kl∼KN과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집단의 특허공보의 총 건수(Pall건) 중에는 키워드 Kl을 포함하는 특허공보(건수 P(Kl))와, 키워드 K2를 포함하는 특허공보(건수 P(K2))…가 포함되어 있다고 한다.
유사율은, 조사 대상의 특허공보(101)와 모집단(100) 중의 각 특허공보에 포함되는 키워드의 출현율을 연산해서 구한다. 또한 유사성은, 모집단의 특허정보(220) 중의 특허정보에 포함되는 「요약」이나 「특허청구범위」, 또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등에 기재되어 있는 문장 안에서 소정의 키워드를 검색해서 판단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특허공보에 있어서의 유사율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특허공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술문헌 일반에 대해서 유사율을 산출하도록 해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2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사대상이 되는 특허공보에 포함되는 i번째의 키워드를 키워드 Ki라고 한다. 조사대상이 되는 특허공보(101)가, 키워드가 키워드 Kl, 키워드 K2, …, 키워드 Ki…, 키워드 KN을 포함하고 있을 때에, 키워드 Ki에 관한 유사율 Sim(Ki)은,
Ki :조사대상으로 포함되는 i번째의 키워드(i=1∼N)
P(Ki):키워드 Ki가 포함되는 모집단 중의 특허공보의 수량
Pall:모집단 중의 특허공보의 총 건수
에서 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키워드 취득수단(통신수단(365), 입력 인터페이스(371), 기록매체 인터페이스(379), 기록수단 인터페이스(385) 등)은,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계수수단(정보처리수단(380))은, 기술문헌을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모집단 중에서 상기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을 계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총수취득 수단(정보처리수단(380))은,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유사율 산출수단(정보처리수단(380))은, 상기 계수한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상기 취득한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와의 비율을 연산해서 유사율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출력수단(송수신수단(365), 기록매체 인터페이스(379), 기록수단 인터페이스(385), 표시 인터페이스(373), 정보처리수단(380) 등)은, 상기 산출한 유사율을 표시수단(372), 기록수단(384), 또는 송신수단(송수신수단(365))에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의 식3에, 키워드 Ki에 관한 유사율 Sim(Ki)의 평균을 산출하는 식을 나타낸다.
N : 조사대상의 특허공보에 포함되는 키워드의 종류의 수
Ki : 조사대상에 포함되는 i번째의 키워드(i=1∼N)
P(Ki): 키워드 Ki가 포함되는 모집단 중의 특허공보의 수량
Pall : 모집단 중의 특허공보의 총 건수
에서 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식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사율 산출수단(정보처리수단(380))은, 다수의 키워드마다 비율을 연산하고, 그 산출한 다수의 키워드마다 비율의 평균을 연산해서 유사율 Sim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조사대상의 특허공보에 포함되는 키워드의 종류로서 、 Kl=「화상」, K2=「기록」, K3=「휴대전화」, K4=「송신」의 N=4종류를 지정한 경우에 있어서, Kl∼K4의 각각 그 키워드가 포함되는 특허공보의 수량이, 각각 모집단Pall=30 중에 P(Kl)=15, P(K2)=7, P(K3)=3, P(K4)=2 이었다고 하면, Sim=22 .5라고 산출할 수 있다.
이 유사율(Sim)이 큰 값일 경우에는,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특허공보와, 조사대상의 특허공보에 공통인 키워드가 많이 존재하는 가능성이 높다고 하는 것이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가 근사(近似)하고 있는 가능성이 높은 것을 가리키고 있다. 또한 유사율이 크다고 하는 것은, 대상의 특허공보와 근사(近似)하는 기술에 관한 특허출원이 많이 존재한다고 하는 것이며, 또한 이미 제품화되어서 안정한 사업을 계속해서 실시하고 있는 기술분야의 발명에 따른 특허공보인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유사율(Sim)이 작은 값일수록,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특허공보와, 조사 대상의 특허공보에 공통인 키워드가 적고,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가 다를 가능성이 높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유사율이 작다고 하는 것은, 대상의 특허공보와 근사하는 기술에 관한 특허출원이 적다고 하는 것이며, 종래에는 적은 새로운 기술분야의 발명에 따른 특허공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 유사율의 다른 산출예를 나타낸다.
N :조사대상의 특허공보에 포함되는 키워드의 종류의 수
Ki :조사대상에 포함되는 i번째의 키워드(i=1∼N)
α(Ki): 각 키워드에 적당한 중요도를 부여하는 가중계수(보통 α(Ki)=1)
P(Ki): 키워드 Ki가 포함되는 모집단 중의 특허공보의 수량
Pall: 모집단 중의 특허공보의 총 건수
상기의 식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사율 산출수단(정보처리수단(380))은,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정보가 특허정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을 산출하고, 이 산출한 비율에 대하여 키워드 고유의 가중계수를 곱해서 유사율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의 식4는, 전술한 식3에 대해서, 특정한 키워드에 대하여 소정의 가중 계수 α(Ki)를 이용해서 유사율을 산출하는 것이다. 이 계수α(Ki)는, 보통 「1」의 값을 넣지만, 예를 들면 설정한 키워드가 「기록」과 같이 흔한 키워드이기 때문에, 특허공보에 기재된 발명을 특징짓는 의미 정도가 적은 키워드라고 생각될 경우에 있어서, 이용자가 유사율이 작은 값에 대해서 주목하고 싶을 경우에는, 계수α(Ki)로서 큰 값을 설정하면 좋다. 또한 반대로, 이용자가 유사율이 큰 값에 대해서 주목하고 싶을 경우에는, 흔히 있는 키워드의 계수α(Ki)로서 작은 값을 설정하면 좋다.
상기의 식4를 사용함으로써, 키워드의 개개에 대해서 독자적인 가중을 붙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키워드와 가중계수와의 관계는, 미리 특허공보에 포함되는 그 키워드의 수량이나, 기술문서 일반적으로 포함되는 그 키워드의 수량, 중요성, 적절함 등을 조사하고, 그 키워드의 출현 빈도에 기초하여 미리 키워드와 관련되게 만들어서 설정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와 같이 키워드에 가중을 행함으로써, 적절한 기술용어가 강조되어서 유사율에 반영된다. 또한 키워드에 가중을 행함으로써, 흔히 있는 용어는, 주목하는 유사율에는 영향이 주어지지 않는 것으로 되고, 유사율의 의미부여를 적절히 보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기술의 진보에 의해 특정한 키워드의 사용 빈도도 변화되는 위로, 키워드 자체의 용어의 의미가 시대와 함께 변화되는 것도 많이 있어서, 그 키워드에 따라서는 가중계수의 보수관리(maintenance)를 수시 행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 유사율의 다른 산출예를 나타낸다.
N : 조사대상의 특허공보에 포함되는 키워드의 종류의 수
Ki : 조사대상으로 포함되는 i번째의 키워드(i=1∼N)
α : 각 키워드에 적당한 중요도가 부여된 가중계수(보통 α=1)
P(Ki): 키워드 Ki가 포함되는 모집단 중의 특허공보의 수량
Pall : 모집단 중의 특허공보의 총 건수
상기의 식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사율 산출수단(정보처리수단(380))은,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정보가 특허정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을 산출하고, 이 산출한 비율에 대하여 키워드 고유의 가중계수를 제곱승해서 유사율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의 식5는, 전술한 식3에 대하여, 특정한 키워드에 대하여 소정의 가중 계수α을 이용해서 유사율을 산출하는 것이다. 이 식5에서는, 유사율의 계산을 행할 때에, 많은 유사율이 극단적으로 1에 가깝게 되거나, 또는 0에 가깝게 되어버려, 유사율에 차이가 나지 않을 경우에, 적당하게 α을 설정해서 유사율을 산출할 때에 이용하는 수식이다. 특히 모집단의 특허정보의 수량이 몇 만건, 혹은 몇 천만건도 있을 것 같은 경우에 있어서 유효한 수법이다.
또한 식5 중의 소괄호에 붙여진 α와, 대괄호에 붙여진 1/α에 단위(디멘션)를 조정시키고 싶은 경우(식5에서는 무차원화시키고 싶은 경우)에도 유효한 수법이 된다. 따라서, 단위를 조정하는 것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일방의 α을 생략한 식 으로 해도 좋다.
도24은, 도23에서 나타낸 특허공보의 모집단(100)(건수Pall)과, 조사대상이 되는 특허공보(101)에 포함되는 키워드 Kl∼ KN과의 관계에 더해서, 모집단 중의 특허공보의 출원번호와 그 출원번호의 각 공보에 포함되는 키워드의 종류와의 관계를 표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집단의 특허공보의 총 건수(Pall건) 중에는, 특허공보의 출원번호마다 각각의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다.
도25는, 도24에서 나타낸 조사대상이 되는 특허공보(101)가, 다수 존재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조사대상의 특허공보(101)는, 모집단 전체의 특허공보로 해도 좋고, 모집단 중의 일부의 특허공보라도 좋다. 또한 모집단 이외의 특허공보라도 좋다.
도26∼도29에, 유사율의 이용목적의 일예를 나타낸다. 유사율의 이용목적에 따라서, 조사대상의 기술문헌을 자사의 기술문헌(자사특허)으로 할지, 또는 타사의 기술문헌(타사특허)으로 할지의 편성이 고려된다. 또한 유사율의 이용목적에 따라서, 모집단의 기술문헌을 자사의 기술문헌(자사특허)으로 할지, 타사의 기술문헌(타사특허)으로 할지, 또는 업계전체의 기술문헌(업계 전체의 특허)으로 할지의 편성이 고려된다.
이하의 도26∼도29의 각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사율은, 특허출원 등의 기술문헌의 모집단 중에 있어서, 조사 대상의 특허출원 등의 기술문헌의 유사성 또는 관련성을 판단하는 것이기 때문에, 모집단을 자사의 특허출원, 타사의 특허출원 또는 업계 전체로 할 경우와, 조사대상의 특허출원을 자사의 특허출원 또는 타사의 특허출원으로 할 경우의 편성이 고려된다. 그리고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편성에 있어서, 유사율의 이용목적이 다른 경우가 있다.
도26은, 모집단을 자사특허, 타사특허, 업계 전체의 출원 및 등록을 포함하는 특허공보로 하고, 조사대상을 등록된 자사특허 및 타사특허의 특허공보로 한 각 경우에 있어서 유사율의 이용목적을 나타낸 도표이다.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집단을 출원 및 등록을 포함하는 자사특허의 특허공보로 하고, 조사대상을 등록된 자사특허의 특허공보로 한 경우에 있어서 유사율의 이용목적은, 자사의 조사대상의 특허에 대해서 자사 내에서의 위치를 알 필요가 있을 경우 등이다. 이 경우에, 유사율이 작으면 신규한 테마(theme), 크면 종래부터의 테마(theme)라고 생각된다. 또한 각 년도마다에 분포를 겹쳐서 평가함으로써, 자사의 제품개발이 발전하고 있는지 안정하고 있는지의 경향을 알 수 있다.
또한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집단을 출원 및 등록을 포함하는 타사특허의 특허공보로 하고, 조사대상을 등록된 자사특허의 특허공보로 한 경우에 있어서 유사율의 이용목적은, 자사의 조사대상의 특허에 대해서, 타사의 개발경향, 제품기획 등과 비교할 필요가 있는 경우 등이다. 이 경우에, 유사율이 작으면 타사의 경향과 다른 테마(theme), 유사율이 크면 타사의 경향과 같은 테마(theme)라고 생각된다. 또한 각 연도마다에 분포를 겹쳐서 평가함으로써, 자사의 제품개발이 발전하고 있는지 안정하고 있는지의 경향을 알 수 있다.
또한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집단을 출원 및 등록을 포함하는 업계 전체의 특허공보로 하고, 조사대상을 등록된 자사특허의 특허공보로 한 경우에 있어서 유사율의 이용목적은, 자사의 조사대상의 특허가, 업계 전체로부터 보아서 제품개발에 특징이 있는지 없는지의 판단 등에 이용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 유사율이 작으면 업계의 경향과 다른 테마(theme)라고 생각된다. 또한 각 연도마다 분포를 겹쳐서 평가함으로써, 자사의 제품개발이 발전하고 있는지 안정하고 있는지의 경향을 알 수 있다.
또한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집단을 출원 및 등록을 포함하는 자사특허의 특허공보로 하고, 조사대상을 등록된 타사특허의 특허공보로 한 경우에 있어서 유사율의 이용목적은, 조사대상의 특허에 대해서, 자사의 개발경향, 제품기획 등과 비교할 경우 등에 이용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 유사율이 작으면 자사의 경향과 다른 테마(theme), 유사율이 크면 자사의 경향과 같은 테마(theme)라고 생각된다. 또한 각 연도마다 분포를 겹쳐서 평가함으로써, 조사대상 기업의 제품개발이 발전하고 있는지 안정하고 있는지의 경향을 알 수 있다.
또한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집단을 출원 및 등록을 포함하는 타사특허의 특허공보로 하고, 조사대상을 등록된 타사특허의 특허공보로 한 경우에 있어서 유사율의 이용목적은, 조사대상의 특허공보에 대해서 타사 내에서의 위치를 알 필요가 있는 경우 등이다. 이 경우에, 유사율이 작으면 신규한 테마(theme), 크면 종래부터의 테마(theme)라고 생각된다. 또한 각 연도마다 분포를 겹쳐서 평가함으로써, 조사대상 기업의 제품개발이 발전하고 있는지 안정하고 있는지의 경향을 알 수 있다.
또한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집단을 출원 및 등록을 포함하는 업계 전체의 특허공보로 하고, 조사대상을 등록된 타사특허의 특허공보로 한 경우에 있어서 유사율의 이용목적은, 조사대상의 특허가, 업계 전체로부터 보아서 제품개발에 특징이 있는지 없는지의 판단 등에 이용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 유사율이 작으면 업계의 경향과 다른 테마(theme)라고 생각된다. 또한 각 연도마다 분포를 겹쳐서 평가함으로써, 조사대상 기업의 제품개발이 발전하고 있는지 안정하고 있는지의 경향을 알 수 있다.
도27은, 모집단을 등록된 자사특허, 타사특허, 업계 전체의 특허공보로 하고, 조사대상을 등록된 자사특허 및 타사특허의 특허공보로 한 각 경우에 있어서 유사율의 이용목적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집단을 등록된 자사특허의 특허공보로 하고, 조사대상을 등록된 자사특허의 특허공보로 한 경우에 있어서 유사율의 이용목적은, 자사의 조사대상의 특허에 대해서 자사 내에서의 위치를 조사할 필요가 있는 경우 등이다. 이 경우에, 유사율이 작으면 신규한 테마(theme), 크면 종래부터의 테마(theme)라고 생각된다. 또한 각 연도마다 분포를 겹쳐서 평가함으로써, 자사의 제품개발이 발전하고 있는지 안정하고 있는지의 경향을 알 수 있다.
또한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집단을 등록된 타사특허의 특허공보로 하고, 조사대상을 등록된 자사특허의 특허공보로 한 경우에 있어서 유사율의 이용목적은, 자사의 조사대상의 특허와, 타사의 기업이념, 제품경향 등을 비교할 필요가 있는 경우 등이다. 이 경우에, 유사율이 작으면 타사의 경향과 다른 테마(theme), 유사율이 크면 타사의 경향과 같은 테마(theme)라고 생각된다. 또한 각 연도마다 분포를 겹쳐서 평가함으로써, 자사의 제품개발이 발전하고 있는지 안정하고 있는지의 경향을 알 수 있다.
또한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집단을 등록된 업계 전체의 특허공보로 하고, 조사대상을 등록된 자사특허의 특허공보로 한 경우에 있어서 유사율의 이용목적은, 자사의 조사대상의 특허가, 업계 전체로부터 보아서 제품개발에 특징이 있는지 없는지의 판단 등에 이용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 유사율이 작으면 업계의 경향과 다른 테마(theme)라고 생각된다. 또한, 각 연도마다 분포를 겹쳐서 평가함으로써, 자사의 제품개발이 발전하고 있는지 안정하고 있는지의 경향을 알 수 있다.
또한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집단을 등록된 자사특허의 특허공보로 하고, 조사대상을 등록된 타사특허의 특허공보로 한 경우에 있어서 유사율의 이용목적은, 조사대상의 특허와, 자사의 기업이념, 제품경향 등과 비교할 필요가 있는 경우 등이다. 이 경우에, 유사율이 작으면 자사의 경향과 다른 테마(theme), 유사율이 크면 자사의 경향과 같은 테마(theme)라고 생각된다. 또한 각 연도마다 분포를 겹쳐서 평가함으로써, 조사대상 기업의 제품개발이 발전하고 있는지 안정하고 있는지의 경향을 알 수 있다.
또한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집단을 등록된 타사특허의 특허공보로 하고, 조사대상을 등록된 타사특허의 특허공보로 한 경우에 있어서 유사율의 이용목적은, 조사 대상의 특허에 대해서 타사 내에서의 위치를 알 필요가 있는 경우 등이다. 이 경우에, 유사율이 작으면 신규한 테마(theme), 크면 종래부터의 테마(theme)라고 생각된다. 또한 각 연도마다 분포를 겹쳐서 평가함으로써, 조사대상기업의 제품개발이 발전하고 있는지 안정하고 있는지의 경향을 알 수 있다.
또한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집단을 등록된 업계 전체의 특허공보로 하고, 조사대상을 등록된 타사특허의 특허공보로 한 경우에 있어서 유사율의 이용목적은, 조사대상의 특허가, 업계 전체로부터 보아서 제품개발에 특징이 있는지 없는지의 판단 등을 행할 경우이다. 이 경우에, 유사율이 작으면 업계의 경향과 다른 테마(theme)라고 생각된다. 또한, 각 연도마다 분포를 겹쳐서 평가함으로써, 조사대상 기업의 제품개발이 발전하고 있는지 안정하고 있는지의 경향을 알 수 있다.
도28은, 모집단을 자사특허, 타사특허, 업계 전체의 출원 및 등록을 포함하는 특허공보로 하고, 조사대상을 출원된 자사특허 및 타사특허의 특허공보로 한 각 경우에 있어서의 유사율의 이용목적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집단을 자사특허의 출원 및 등록을 포함하는 특허공보로 하고, 조사대상을 출원된 자사특허의 특허공보로 한 경우에 있어서 유사율의 이용목적은, 자사의 조사대상의 출원에 대해서 자사 내에서의 위치를 알 필요가 있을 경우 등이다. 이 경우에는, 유사율이 작으면 기초연구, 크면 응용연구에 관한 출원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각 연도마다 분포를 겹쳐서 평가함으로써, 자사의 연구개발이 발전하고 있는지 안정하고 있는지의 경향을 알 수 있다.
또한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집단을 타사특허의 출원 및 등록을 포함하는 특허공보로 하고, 조사대상을 출원된 자사특허의 특허공보로 한 경우에 있어서 유사율의 이용목적은, 자사의 조사대상의 출원에 대해서, 타사의 개발경향, 제품기획 등과 비교할 필요가 있는 경우 등이다. 이 경우에, 유사율이 작으면 타사의 경향과 다른 연구, 유사율이 크면 타사의 경향과 같은 연구를 행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각 연도마다 분포를 겹쳐서 평가함으로써, 자사의 연구개발이 발전하고 있는지 안정하고 있는지의 경향을 알 수 있다.
또한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집단을 업계 전체의 출원 및 등록을 포함하는 특허공보로 하고, 조사대상을 출원된 자사특허의 특허공보로 한 경우에 있어서 유사율의 이용목적은, 자사의 조사대상의 출원이, 업계 전체로부터 보아서 연구개발에 특징이 있는지 없는지의 판단을 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등이다. 이 경우에는, 유사율이 작으면 업계의 경향과 다른 연구를 행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각 연도마다 분포를 겹쳐서 평가함으로써, 자사의 연구개발이 발전하고 있는지 안정하고 있는지의 경향을 알 수 있다.
또한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집단을 자사특허 출원 및 등록을 포함하는 특허공보로 하고, 조사대상을 출원된 타사특허의 특허공보로 한 경우에 있어서 유사율의 이용목적은, 조사대상의 출원에 대해서, 자사의 개발경향, 제품기획 등과 비교할 필요가 있는 경우 등이다. 이 경우에는, 유사율이 작으면 자사의 경향과 다른 연구, 유사율이 크면 자사의 경향과 같은 연구를 행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각 연도마다 분포를 겹쳐서 평가함으로써, 조사대상 기업의 연구개발이 발전하고 있는지 안정하고 있는지의 경향을 알 수 있다.
또한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집단을 타사특허의 출원 및 등록을 포함하는 특허공보로 하고, 조사대상을 출원된 타사특허의 특허공보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유사율의 이용목적은, 조사대상의 출원에 대해서 타사 내에서의 위치를 알 필요가 있을 경우 등이다. 이 경우에는, 유사율이 작으면 기초연구, 크면 응용연구를 행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각 연도마다 분포를 겹쳐서 평가함으로써, 조사대상 기업의 연구개발이 발전하고 있는지 안정하고 있는지의 경향을 알 수 있다.
또한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집단을 업계 전체의 출원 및 등록을 포함하는 특허공보로 하고, 조사대상을 출원된 타사특허의 특허공보로 한 경우에 있어서 유사율의 이용목적은, 조사대상의 출원이, 업계 전체로부터 보아서 연구 개발에 특징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할 필요가 있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유사율이 작으면 업계의 경향과 다른 연구를 행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각 연도마다 분포를 겹쳐서 평가함으로써, 조사대상 기업의 연구개발이 발전하고 있는지 안정하고 있는지의 경향을 알 수 있다.
도29는, 모집단을 등록된 자사특허, 타사특허, 업계 전체의 특허공보로 하고, 조사대상을 출원된 자사특허 및 타사특허의 특허공보로 한 경우에 있어서 유사율의 이용목적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집단을 등록된 자사특허의 특허공보로 하고, 조사대상을 출원된 자사특허의 특허공보로 한 경우에 있어서 유사율의 이용목적은, 자사의 조사대상의 출원에 대해서 자사 내에서 어떤 위치가 될지를 조사 할 필요가 있는 경우 등이다. 이 경우에는, 유사율이 작으면 기초연구, 크면 응용연구를 행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각 연도마다 분포를 겹쳐서 평가함으로써, 자사의 연구개발이 발전하고 있는지 안정하고 있는지의 경향을 알 수 있다.
또한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집단을 등록된 타사특허의 특허공보로 하고, 조사대상을 출원된 자사특허의 특허공보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유사율의 이용목적은, 자사의 조사대상의 출원에 대해서, 타사의 기업이념, 제품경향 등과 비교할 필요가 있는 경우 등이다. 이 경우에는, 유사율이 작으면 타사의 경향과 다른 연구, 유사율이 크면 타사의 경향과 같은 연구를 행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각 연도마다 분포를 겹쳐서 평가함으로써, 자사의 연구개발이 발전하고 있는지 안정하고 있는지의 경향을 알 수 있다.
또한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집단을 등록된 업계 전체의 특허공보로 하고, 조사대상을 출원된 자사특허의 특허공보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유사율의 이용목적은, 자사의 조사대상의 출원이, 업계 전체로부터 보아서 연구개발에 특징이 있는지 없는지 판단할 필요가 있는 경우 등이다. 이 경우에는, 유사율이 작으면 업계의 경향과 다른 연구를 행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각 연도마다 분포를 겹쳐서 평가함으로써, 자사의 연구개발이 발전하고 있는지 안정하고 있는지의 경향을 알 수 있다.
또한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집단을 등록된 자사특허의 특허공보로 하고, 조사대상을 출원된 타사특허의 특허공보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유사율의 이용목적은, 조사대상의 출원에 대해서, 자사의 기업이념, 제품경향 등과 비교 할 필요가 있는 경우 등이다. 이 경우에는, 유사율이 작으면 자사의 경향과 다른 연구, 유사율이 크면 자사의 경향과 같은 연구를 행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각 연도마다 분포를 겹쳐서 평가함으로써, 조사대상 기업의 연구개발이 발전하고 있는지 안정하고 있는지의 경향을 알 수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집단을 등록된 타사특허의 특허공보로 하고, 조사대상을 출원된 타사특허의 특허공보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유사율의 이용목적은, 조사대상의 출원에 대해서 타사 내에서의 위치를 알 필요가 있는 경우 등이다. 이 경우에는, 유사율이 작으면 기초연구, 크면 응용연구를 행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각 연도마다 분포를 겹쳐서 평가함으로써, 조사대상 기업의 연구개발이 발전하고 있는지 안정하고 있는지의 경향을 알 수 있다.
또한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집단을 등록된 업계 전체의 특허공보로 하고, 조사대상을 출원된 타사특허의 특허공보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유사율의 이용 목적은, 조사대상의 출원이, 업계 전체로부터 보아서 특징이 있는 연구개발을 행하고 있는지 여부의 판단 등을 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유사율이 작으면 업계의 경향과 다른 연구를 행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각 연도마다 분포를 겹쳐서 평가함으로써, 조사대상 기업의 연구개발이 발전하고 있는지 안정하고 있는지의 경향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제3자가 조사대상의 특허공보에 대해서 유사성을 판단함으로써, 조사대상의 특허공보의 출원인의 기업의 개발동향을 아는 것이 가능해 지고, 당해 기업의 주식을 구입하는 등의 투자를 할 때 기준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30은, 이용자가 유사율을 산출할 때에, 그 조사대상이 되는 특허공보를 지정하는 표시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용자가, 입력수단(370)을 거쳐서 유사율의 산출을 행하는 취지의 지시를 입력하면, 표시수단(372)에는, 동 도면에 보이는 조사대상의 지정화면이 표시된다. 이용자는, 조사대상의 지정화면의 지시에 따르고, 소정의 항목을 입력수단(370)을 거쳐서 입력해 간다. 동 도면에 나타나는 「공보종별」의 항목은, 조사대상의 공보가, 「출원」(공개특허공보)인지, 또는 「등록」(특허공보)인지를 지정하는 항목이다. 또, 특허공보이외의 기술문헌이어도, 이하의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유사율의 조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정방법」의 항목은, 조사대상의 공보의 출원인의 「회사코드」를 이용하여 공보를 다수 검색하고, 그 안에서 소정의 조사대상의 공보를 선택할 때에 이용한다. 또한 조사 대상의 출원인에 기초하여 조사대상의 공보를 검색할 때에, 「출원인식별번호」나 출원일, 공개일, 또는 등록일 등의 날짜나 기간을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번호지정」의 항목은, 조사대상의 공보의 출원번호나 공개번호, 또는 특허번호 등이 밝혀지고 있는 경우에 그 조사대상의 공보번호를 입력해서 유사율을 산출할 때 이용하는 항목이다.
또한 동 도면에 나타난 조사대상의 지정화면에는, 조사할 때에 이용하는 모집단을 지정하는 버튼이 마련되어져 있다. 예를 들면, 「전출원을 모집단으로 해서 실행」의 버튼을 선택하면, 모집단으로서 공개특허공보를 설정하고, 유사율의 산출을 실행한다. 또한 「전등록을 모집단으로 해서 실행」의 버튼을 선택하면, 모집단으로서 특허공보를 설정하고, 유사율의 산출을 실행한다. 또한 「모집단을 지정한다」의 버튼을 지정하면, 다음에 모집단으로서 이용하는 공개특허공보 등의 공개일 등을 지정하는 화면이나 발명의 기술분야 등을 지정하는 화면이 표시되어서, 이용자는 모집단의 공보로서 소정의 기간이나 발명의 기술분야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31에, 조사대상의 공보의 「출원번호」를 지정하고, 모집단으로서 「전출원」을 지정했을 경우에 산출된 유사율의 표시예(유사율 판정.결과)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사율 판정결과표시에는, 조사대상 및 모집단의 조건과, 유사율의 산출결과가 표시되어 있다. 이용자는, 동 도면에 표시된 유사율을 보고, 모집단의 특허공보 중에 있어서 조사대상의 특허공보가 새로운 분야의 발명 에 관한 것인지 아닌지의 위치나, 조사대상의 특허공보의 출원인의 기업의 연구개발의 동향 등을 수치로서 아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동 도면에 있어서 이용자가, 조사대상의 출원번호 등을 선택하면, 해당하는 특허공보를 데이터베이스(특허정보(220))로부터 읽어 내고, 표시수단(372)에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특허공보의 표시는, 「특허청구범위」나 「요약」부분만을 표시해도 좋고,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포함하는 정보를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도32에, 조사대상의 공보의 「출원기간」을 지정하고, 모집단으로서 「전출원」과 그 「출원 기간」을 지정한 경우에 산출된 유사율의 표시예(유사율 판정결과)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사율 판정결과표시에는, 조사대상 및 모집단의 조건과, 유사율의 산출결과가 표시되어 있다. 이용자는, 동 도면에 표시된 유사율을 보고, 모집단의 특허공보 중에 있어서의 조사대상의 특허공보가 새로운 분야의 발명에 관한 것인지 아닌지의 위치나, 조사대상의 특허공보의 출원인의 기업의 연구개발의 동향 등을 수치로서 아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소정의 기간 내에 있어서, 새로운 사업을 하고 있는지 아닌지, 종래부터 계속하고 있는 사업에 관한 발명인지의 여부를 수치를 이용해서 정량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기간의 지정을 변화시켜서 유사율을 관찰함으로써, 발명에 관한 기술의 계속성을 숫자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33에, 조사대상의 공보의 「출원기간」을 지정하고, 모집단으로서 「전출원」을 지정한 경우에 산출된 유사율의 표시예(유사율 판정결과)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사율 판정결과표시에는, 조사대상 및 모집단의 조건과, 유사율의 산출결과가 표시되어 있다. 동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는, 조사대상의 특허출원이 지정된 기간 내에 다수 존재(동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는 5건 히트(hit))하고 있고, 각각 검색된 조사대상의 특허공보에 대해서 유사율이 산출되어서 표시되어 있다. 이용자는, 동 도면에 표시된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공보의 유사율을 보고, 모집단의 특허공보 중에 있어서의 조사 대상의 특허공보의 유사율끼리 비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조사 대상의 특허공보의 출원인이 이용자에 대하여 경합 타사의 관계에 있을 경우에는, 유사율이 작은 값에서 산출된 특허공보에 대하여는, 신규사업의 계획 또는 투자를 행하고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해서 주목하는 동시에, 자사의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연구개발의 시작이나 강화의 대책을 조기에 검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용자가, 조사대상의 특허공보의 출원인의 회사의 주식의 구입을 검토하고 있을 경우에는, 유사율이 작은 값에서 산출된 특허공보에 대하여는, 신규사업의 계획 또는 투자를 행하고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해서, 투자를 목적으로 한 주목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조사대상의 특허공보의 출원인이 이용자에 대하여 경합 타사의 관계에 있을 경우에 있어서, 유사율이 큰 값에서 산출된 특허공보에 대하여는, 종래부터 계속하고 있는 사업이 여전히 개발 중에 있다고 해서, 자사에 있어서의 경합 제품의 개발 강화를 재빠르게 검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특허공보의 내용을 열람해서 발명의 기술분야나 기술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할 경우가 많으므로, 원하는 특허공보의 번호 등을 선택함으로써, 특허공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유사율이 적은 순서 또는 유사율이 큰 순서로, 특허공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자동으로 순차 표시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도34에, 특허공보의 일부의 표시예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특허공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표시수단(372)에 표시할 경우에는, 유사율의 산출에 이용한 키워드를 각각 색별 표시하거나, 언더라인(underline) 표시하거나, 색조를 반전 표시하거나, 서체를 변경해서 표시하거나, 테두리 첨부 표시하거나 해서, 이용자에게 키워드를 찾기 쉽게 하도록 표시하면 좋다. 이것에 의해 이용자는, 용이하게 키워드를 찾는 것이 가능해지고, 키워드에 관련되는 발명을 조사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산출한 유사율을 이용해서, 특허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특허평가지표로 할 수 있다. 특허평가지표를 참고로 해서 특허정보(220)를, 새로운 기술분야에 관한 발명(예를 들면 신규성이 높은 발명)인지의 여부에 분류할 수 있다.
도35에, 특허의 등록소요연수마다의 등록건수 및 등록비율의 표시예를 나타낸다. 시각적 판정수단(52)(정보처리수단(380))은, 모집단 전체에 있어서의 특허공보의 등록소요연수의 분포상황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분석에는 다변량해석을 행하는 것도 유효하다. 또한 이 다변량해석 중, 수량화이론 제3류를 꼭 들어맞춰도 좋다. 또, 등록소요연수는, 출원부터 등록될 때 까지의 필요한 연수를 의미한다. 다만, 평성13년에 출원심사의 청구기간이 7년에서 3년으로 단축되었으므로, 법 개정이후의 출원에 관한 등록소요연수는 대폭 단축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소정의 모집단에 속하는 특허의 등록소요연수와 등록건수와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또한 등록소요연수의 평균치와 그 표준편차도 맞춰서 표시하고 있다. 또한 등록소요연수가 제일 많은 연수를 1로 해서 다른 등록소요연수의 상대 비율도 표시하고 있다.
도36에, 특허의 유사율마다의 등록건수 및 상대 비율의 표시예를 나타낸다. 시각적 판정수단(52)(정보처리수단(380))은, 설정등록이 된 특허공보를 모집단으로 해서 그 모집단에 포함되는 특허공보 모두를 조사대상으로 해서 개별적으로 유사율을 산출하고, 등록건수와의 관계의 분포상황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동 도면에 있어서, 유사율이 작은 값의 부분에 많은 등록건수가 존재할 경우에는, 조사대상의 특허공보가 새로운 기술일 가능성이 높고, 더욱 개발에 주력하고 있는 기술분야라고 생각된다. 또한 동 도면에 있어서, 유사율이 큰 값의 부분에 많은 등록건수가 존재할 경우에는, 종래부터 존재하는 기술분야에서 안정한 개발을 행하고 있어, 주력제품의 발명에 있어서 권리를 굳히고 있는 상태라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도36에 도시된 특허의 유사율마다의 등록건수를 표시할 경우에는, 이하에 나타난 처리를 행해서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유사율 취득수단(송수신수단(365), 입력 인터페이스(371), 기록수단 인터페이스(385), 기록매체 인터페이스(379), 정보처리수단(380)등)이,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공보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공보가 특허공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한다. 다음에, 등록건수 취득수단(송수신수단(365), 입력 인터페이스(371), 기록수단 인터페이스(385), 기록매체 인터페이스(379), 정보처리수단(380)등)이,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공보 중 설정등록되어 있는 특허공보의 설정등록건수를 취득한다. 그리고 정보처리수단(380)이, 표시수단(372)에 대하여, 취득한 유사율과 상기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공보의 설정등록건수를 관련되게 만들어서 표시하는 취지의 지시를 출력한다.
또한 도36에는,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값이 맞춰서 시각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이 표준편차값은 표준편차값 산출수단(정보처리수단(380))이, 등록건수 에 대한 유사율의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표시수단(372)에 표시하는 지시를 출력함으로써 표시된다.
이것에 의해 이용자는, 표준편차의 폭이나 위치를 관찰함으로써, 조사대상의 특허공보가 다방면의 기술분야에 미치고 있는지 여부, 또는 조사대상의 특허출원인 (기업 등)이 특정한 분야에 있어서의 개발을 행하고 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37에, 조사대상의 특허공보의 유사율과 등록소요연수와의 관계의 표시예(특허분포도)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 표시된 한점 한점은, 모집단 중에 있어서의 조사대상의 특허공보(기술문헌)의 유사율과 그 등록소요연수를 나타내고 있다. 시각적 판정수단(52)(정보처리수단(380))은, 모집단 전체에 있어서의 특허공보의 유사율과 등록소요연수와의 관계의 분포상황을, 등록소요연수마다 나누어서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37에 나타난 조사대상의 특허공보의 유사율과 등록소요연수와의 관계를 표시할 경우에는, 이하에 나타난 처리를 행해서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유사율 취득수단(송수신수단(365), 입력 인터페이스(371), 기록수단 인터페이스(385), 기록매체 인터페이스(379), 정보처리수단(380)등)이,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공보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공보가 특허공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한다. 다음에 산출수단(정보처리수단(380))이,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공보에 대해서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각각 연산해서 등록소요연수를 산출한다. 또, 설정등록된 특허공보에 대해서는, 등록건수 취득수단(송수신수단(365), 입력 인터페이스(371), 기록수단 인터페이스(385), 기록매체 인터페이스(379), 정보처리수단(380)등)이, 다수의 조사 대상의 특허공보 중 설정등록되어 있는 특허공보를 취득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정보처리수단(380)이, 표시수단(372)에 대하여, 취득한 유사율과 상기 산출한 등록소요연수를 관련되게 만들어서 표시하는 취지의 지시를 출력한다.
또한 도37에는, 유사율의 평균치 및 표준편차값과, 등록소요연수의 평균치 및 표준편차값이 함께 시각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이 표준편차값은, 표준편차값 산출수단(정보처리수단(380))이, 유사율에 대한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값과, 등록소요연수에 대한 유사율의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표시수단(372)에 표시하는 지시를 출력함으로써 표시된다.
이것에 의해 이용자는, 표준편차의 폭이나 위치를 관찰함으로써, 조사대상의 특허공보가 다방면의 기술분야에 미치고 있는지 여부, 또는 조사대상의 특허출원인 (기업 등)이 특정한 분야에 있어서의 개발을 행하고 있는지 여부 및, 특허출원의 제품화에 대한 의지나 중요성을 용이하게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동 도면에서는, 판단을 쉽게 하기 위해서, 유사율 및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값과 평균치를 경계로서, 「A」 「B」 「C」 「D」의 각 영역으로 분류하고 있다. 따라서, 조사대상의 특허공보의 모집단에 있어서의 유사율과 등록소요연수와의 관계를, 16분할한 영역 내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동 도면에 있어서, 유사율이 작은 값을 나타내는 동시에 등록소요연수가 짧은 부분에 조사대상의 특허공보의 건수가 많이 존재할 경우에는, 조사대상의 특허공보에 관한 발명이 새로운 기술임과 동시에, 출원인이 조기에 권리화를 바라고 있는 동시에 제품화의 가능성이 높은 발명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출원인의 기업 또는 업계 전체에 있어서 신규사업임과 동시에 실시시기가 빠르고, 중요한 발명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출원인과 경합 타사의 관계에 있는 기업에 있어서는, 동일하게 제품개발에 주력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재빠르게 연구체제나 투자의 체제를 갖출 필요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조사대상의 특허공보의 출원인의 기업에 대한 투자를 검토하고 있는 자에 있어서는, 투자를 행해야 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할 때의 유력한 정보가 된다.
동 도면에 있어서, 유사율이 작은 값을 나타내는 동시에 등록소요연수가 긴 부분에 조사대상의 특허공보의 건수가 많이 존재할 경우에는, 조사대상의 특허공보에 관한 발명이 독자적인 기술이지만, 당해 발명에 따른 사업의 실시 예정이 없는등 빠른 시기에 권리화할 필요가 없는 발명이든지, 또는 특허출원에 관한 발명에 진보성이 없는 등의 이유에 의해 권리화하기 어려운 발명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조사대상의 특허공보가 이 부분에 속할 경우에는, 당해 발명이, 계쟁 또는 경합 관계에 없는 발명일 경우, 심사청구를 행하고 있지만 권리화가 지연되고 있는 발명인지, 또는 심사청구를 행해서 특허사정이 되었을 경우라도, 이의신청이나, 특허무효심판의 청구이유가 될 가능성이 높은 발명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동 도면에 있어서, 유사율이 큰 값을 나타내는 동시에 등록소요연수가 짧은 부분에 조사대상의 특허공보의 건수가 많이 존재할 경우에는, 조사대상의 특허공보에 관한 발명이 종래의 발명과 유사한 부분이 많은 것을 나타낸다. 이 부분에 존재하는 특허공보에 관한 발명은, 출원인이 종래로부터 실시하고 있는 사업에 관련되는 발명이며 안정한 개발을 행하고 있어, 주력제품의 발명에 있어서 조기의 권리화와 권리의 포위망구축을 바라고 있는 발명인 가능성이 높은 발명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출원인 또는 업계 전체에 있어서 안정화한 사업에 관한 발명임과 동시에 중요한 발명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출원인과 경합 타사의 관계에 있는 기업에 있어서는, 마찬가지로 제품개발에 주력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재빠르게 연구 체제나 투자의 체제를 갖출 필요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당해 조사대상의 특허공보의 출원인의 기업에 대한 투자를 검토하고 있는 자에 있어서는, 투자를 더욱 행할 것인가 아닌가의 판단을 행할 때의 유력한 정보가 된다.
동 도면에 있어서, 유사율이 큰 값을 나타내는 동시에 등록소요연수가 긴 부분에 조사대상의 특허공보의 건수가 많이 존재할 경우에는, 조사대상의 특허공보에 관한 발명이 종래부터 존속하고 있는 안정한 제품의 기술분야에 속하고, 방위적 출원이었든지, 또는 특허출원에 관한 발명에 진보성이 없는 등의 이유에 의해 권리화하기 어려운 발명인 가능성이 높다.
또한 조사 대상의 특허공보가 이 부분에 속할 경우에는, 당해 발명이, 계쟁 또는 경합 관계에 없는 발명일 경우, 심사청구를 행하고 있지만 권리화가 지연되고 있는 발명이든지, 또는 심사청구를 행해서 특허사정이 되었을 경우라도, 진보성이 없는 것 등을 이유로 이의신청이나, 특허무효심판의 청구이유가 되는 확률이 높은 발명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또한 도37의 분포도를, 다수의 다른 출원인에 대해서 비교함으로써, 각 기업의 제품개발에 관한 주력방면에 대해서, 경향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38에서는, 도37에서 나타낸 각 층에 있어서의 특허공보의 건수, 출원년(出願年), 등록년(登錄年), 청구항수, 등록소요연수, 유사율(업계 전사), 유사율(자사) 기타의 항목에 대해서 평균치를 산출해 표시하고 있다. 도37에 도시한 도면에서는, 시각적으로는 이해하기 쉬운 것이지만, 도38과 같이 수치화 함으로써, 직접 각 항목에 대해서 수치로 비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38에 있어서의 소요등록연수 및 유사율의 각「A층」 「B층」 「C층」 「D층」은, 도37에 나타낸 각 층을 도시하고 있다.
도38에서는, 각 층에 있어서 특허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청구항수의 평균치를 산출하고 있다. 특허공보의 등록소요연수가 짧고(등록소요연수의 A층) 유사율이 작은 값을 나타낸(유사율이 A층) 경우에 있어서, 이 청구항수가 많을 경우에는, 종속하는 발명이나 주변의 관련 발명에 대해서 특허에 의한 권리를 굳히려고 하고 있는 경우가 생각된다. 따라서, 당해 특허출원에 관계되는 발명이, 중요한 발명일 경우가 생각된다.
또한 도38에 있어서, 특허공보의 등록소요연수가 길고(등록소요연수의 D층)유사율이 큰 값을 나타낸(유사율이 D층)경우에 있어서, 「청구항수」가 많을 경우에는, 성숙한 발명이며 출원이나 특허건의 유지에 관한 비용을 억제하기 위해서, 주변의 관련 발명에 대해서 병합한 형태로 1출원으로 하려고 하고 있을 경우가 생각된다.
도39에, 도37에서 나타낸 유사율과 등록소요연수와의 관계를, 해마다(또는 출원시기마다) 보기 쉽게 정리한 입체도(유사율과 등록소요연수의 추이도)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Ⅹ축이 유사율을, Y축이 등록소요연수를 나타내고, Z축이 조사대상의 특허공보의 출원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동 도면에 나타난 해마다 표시하고 있는 타원의 장경(長徑)과 단경(短徑)의 크기는, 유사율과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각 출원시기마다 표시되고 있는 각각의 타원을 직선 또는 곡선으로 연결함으로써, 출원시기마다의 유사율 및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의 추이를 보기 쉽게 하고 있다. 또, 동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출원시기마다의 유사율 및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를 타원으로 표시하는 실시예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유사율 및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를 타원으로 표시하는 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사율 및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의 타원의 크기와 위치가, 년(年)에 의해 어떻게 추이할지를 관찰함으로써, 이용자는 조사대상의 특허공보의 출원인의 기업에 있어서의 제품개발의 이력이나 추이의 경향을,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39에 나타낸 유사율과 등록 소요연수와의 관계를 표시할 경우에는, 이하에 보이는 처리를 행해서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유사율 취득수단(송수신수단(365), 입력 인터페이스(371), 기록수단 인터페이스(385), 기록매체 인터페이스(379), 정보처리수단(380)등)이,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공보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공보가 특허공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한다. 다음에, 산출수단(정보처리수단(380))이,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공보에 대해서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각각 연산해서 등록소요연수를 산출한다. 또, 설정등록된 특허공보에 대해서는, 등록건수 취득수단(송수신수단(365), 입력 인터페이스(371), 기록수단 인터페이스(385), 기록매체 인터페이스(379), 정보처리수단(380)등)이,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공보 중 설정등록되어 있는 특허공보를 취득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정보처리수단(380)이, 표시수단(372)에 대하여, 취득한 유사율과 상기 산출한 등록소요연수를 관련되게 만들고, 출원시기마다 표시하는 취지의 지시를 출력한다.
또한 도39에는, 전 출원시기에 있어서의 유사율의 평균치 및 표준편차값과, 전 출원시기에 있어서의 등록소요연수의 평균치 및 표준편차값이 함께 시각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이 평균치 및 표준편차값은, 표준편차 산출수단(정보처리수단(380))이 전 출원시기에 있어서의 유사율에 대한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값과, 전 출원시기에 있어서의 등록소요연수에 대한 유사율의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표시수단(372)에 표시하는 지시를 출력함으로써 표시된다.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많은 정보에 기초하여 평균치 또는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다시 입체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정확하게 경향을 아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렇게, 많은 특허공보의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한 결과를 표시하고 있으므로, 이용자는 신뢰성이 높은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보다 정확한 판단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사율 및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의 타원의 표시색에 대해서, 유사율 대소를 적색의 농담(濃淡)의 계조(階調)에서 연속적 또는 단계적으로 표시하고, 등록소요연수의 대소를 청색의 농담의 계조에서 연속적 또는 단계적으로 표시하고, 년(年)에 대해서 황색의 농담의 계조로 연속적 또는 단계적으로 합성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이렇게 각 파라미터에 대해서 색분해서 표시함으로써, 이용자는 주목해야 할 유사율과 등록소요연수와의 관계를 용이하게 찾아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도39에 도시한 도면을 각 기업마다 조사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주목해야 할 기업을 용이하게 찾아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유사율이나 등록소요연수에 소정의 역치를 마련하고, 그 역치 이하 또는 이상의 값을 나타내는 것에 대해서 색을 변화시켜서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동 도면에 나타난 실시예에서는, 장래(2003년 이후)의 표준편차 또는 장래의 등록소요연수를 예측해서 파선으로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예측수단(정보처리수단(380))이, 출원시기마다의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상기 출원시기마다의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에 기초하여 장래의 표준편차 또는 장래의 등록소요연수를 1차 외삽(外揷) 또는 다차(多次) 외삽 연산에서 예측하고, 정보처리수단(380)이 표시수단(372)에 대하여, 장래의 표준편차 또는 장래의 등록소요연수를 표시하는 취지의 지시를 출력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이용자는, 과거의 특허공보에 기초한 장래의 특허출원 예측을 아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39에는, 해마다의 유사율의 평균치에 기초하여 산출한 전년(全年)의 유사율의 평균치를 표시하고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각 년(年)의 등록소요연수의 평균치에 기초하여 산출한 전년(全年)의 소요등록연수의 평균치도 함께 표시하고 있다. 또 동 도면에서는, 각 출원년(出願年)마다에 유사율 및 등록소요연수를 산출해서 표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출원년마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출원월마다, 공개월마다 등의 다른 기간마다 표시하도록 해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제2실시예의 흐름에 대해서 도4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기본정보를 바탕으로 각 기업의 특허정보로부터 모집단을 꺼낸다(S140). 또한, 특정한 공보의 「요약」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글 중에서 공보의 특징을 나타내는 키워드를 추출한다(S141). 특정한 공보와 모집단에 대해서, 이 키워드를 검색해서 유사율(전술한 ①, ②)을 판단한다(S142). 이것을 모집단에 포함되는 공보 모두에 대해서 행한다(S143).
특정한 공보 이전에 출원된 임의의 공보와 유사율이 낮고 신규성이 높다고 판단된 공보에 관해서는(S144), 또한, 국제특허분류(IPC)등의 기술분야 전체의 특허정보를 꺼내서(S145), 기술분야 전체로부터 신규성이 높은지를 판단한다(S146).
이에 따라 각 출원의 신규성이나 기업이나 기술분야의 출원동향을 정량적, 정성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새로운 출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시각적으로 특허출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다음에 제3실시예에서는, 각 기업이 소유하는 개별의 특허의 가치를 가미하고, 각 기업의 특허가치를 엄밀히 평가할 경우의 기업평가시스템(12)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나 제2실시예와 동일한 것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서로 다른 것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시스템도,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컴퓨터상에서 동작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기업평가시스템(12)에는, 도4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업의 경영이나 재무나 특허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2)를 구비하고, 경영이나 재무에 관한 정보나 특허에 관한 정보로부터 경영이나 재무와 특허와의 상관(相關)을 분석해서 기업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참고지표를 작성하는 평가수단(3’)(정보처리수단(380))과, 특허평가수단(5)(정보처리수단(380))을 구비한다. 또한 특허평가수단(5)을 가미해서 기업별 및 업종별 등의 특허와 경제지표의 동향에 관한 보고서를 월차, 연차, 4분기에 정리하는 지식재산평가 보고서수단(4’)을 구비한다.
또한 평가수단(3’)에는, 특허동향 분석수단(31)과, 등록동향 분석수단(32)과, 등록동향 예측수단(33)과, 특허경제지표 산출수단(34)과, 특허자산가치 분석수단(35’)과, 특허경제 예측수단(36)과, 주가타당성 분석수단(37)의 기능을 갖춘다.
특허자산가치 분석수단(35’)(정보처리수단(380))에서는, 제1실시예의 특허자산가치 분석수단(35)과 거의 같은 구성이지만, 현재의 특허자산가치(350’)를 파악할 때 특허자산가치(350’)는 자산의 일종으로서 감가상각하지만, 이 감가상각율에, 제2실시예에서 서술한 특허평가수단(5)에서 구한 특허평가지표 등을 바탕으로, 특허가치의 평가에 따라서 적용한다. 즉, 특허평가수단(5)의 유사율의 분포상황은, 소폭인 개량기술로부터 신규기술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기술적 성질을 가지는 출원(발명)의 분포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이 때문에, 특허자산의 감가상각율 등을 특허평가수단(5)에서 구한 특허평가지표 등을 이용해서 개별 또는 클러스터 별로 설정한다. 이에 의해 또한, 객관성(혹은, 정밀도)이 높은 특허자산가치(350’)의 평가를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주가타당성 분석수단(37)(정보처리수단(380))에 있어서도,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특허자산가치 분석수단(35’)에서 구한 특허자산가치(350’)에 기초하는 것이 된다. 즉, 연구개발비(211)이나 특허의 출원비용· 출원부터 등록까지 드는 비용· 유지비용 등과 특허의 등록율로부터 특허의 취득원가의 잔존 가치를 산정하는 대로, 특허평가수단(5)에 의한 개별의 특허출원 및 등록별로 산출된 유사율과 그 분포상황 등을 이용해서, 개개(또는 클러스터별)의 특허에서 고유한 감가상각율의 설정을 행해서 특허자산가치(350’)를 구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상당히 엄밀히 평가된다.
예를 들면 특히 유사율이 높은 특허는 소폭인 개량기술일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하고, 대단히 짧은 상각(償却)연한(年限)을 설정하고, 비교적 유사율이 낮은 특허는 대폭적인 개량기술이나 신규기술의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하고, 비교적 긴 상각 연한을 설정한다. 또는, 유사율의 분포상황을 분석하고, 1건당의 연구개발비(212)의 산출을 단순평균이 아니고 경사 배분하도록 해도 좋다.
지식재산평가 보고서수단(4’)(정보처리수단(380))에서는, 특허동향 분석결과 데이터베이스(39)와 특허경제지표 산출결과 데이터베이스(40)에 등록동향 분석수단(32) 및 등록동향 예측수단(33), 특허자산가치 분석수단이나 특허경제 예측수단(36), 주가타당성 분석수단(37’), 게다가, 특허평가수단(5)을 가미해서 기업별 및 업종별 등의 특허와 경제지표의 동향에 관한 보고서를 월차, 연차, 4분기에 정리하는 기능을 갖춘다.
다음에, 제3실시예의 기업평가시스템(12)의 흐름을 도42의 흐름도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흐름도의 Sl00∼Sl03은 제1실시예와 같아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제1실시예와 서로 다른 곳만 설명한다.
S110에서는, 특허평가수단(5)에서 개별의 특허의 유사성 등으로부터 특허를 평가하는 처리를 행한다.
다음 Sl14에서는, 제1실시예의 S104와 거의 같지만, 특허자산가치 분석수단(35’)(정보처리수단(380))에 있어서, 특허평가수단(5)(정보처리수단(380))이 특허가치를 평가한 특허평가지표에 따라, 감가상각율로 특허의 취득원가를 상각하고, 특허자산가치(350’)를 산출한다.
S115는 제1실시예의 S105와 거의 같지만, 주가타당성 분석수단(37’)에서는, 특허자산가치 분석수단(35’)에 의해 산출된 특허자산가치(350’) 가치와 주가에 의해 정해지는 무형자산가치(주식시가총액-주주자본)를 비교함으로써, 주가의 타당성을 분석한다.
또한 제1실시예의 S106과 같이 특허경제 예측수단(36)으로, 장래에 있어서의 경제지표를 예측한다.
더욱이, Sl17은 제1실시예의 S107과 거의 같지만, 또한, 특허평가수단(5)에서 얻어지는 결과를 가미해서 작성한다. 이것들의 정보를 Web이나 전자우편 등으로서 전자적으로 제공하고, 또한, 출판사 등에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특허의 가치를 신규성이나 기업이나 기술분야의 출원동향을 정량적· 정성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주가가 타당한지 등을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다.
도43은, 조사대상의 기술문헌건수와, 산출한 유사율의 분포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서는, 가로축을 산출한 조사대상의 기술문헌의 유사율로 하고, 세로축을 해당하는 유사율의 기술문헌의 건수로 해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동 도면은, 조사대상의 기술문헌(특허공보)의 모집단에 대한 유사율을, 조사대상의 기술문헌(특허공보)을 포함하는 집단 전부에 걸쳐 계산하고, 각 유사율마다의 건수를 높이로서 표현하고 있다.
이렇게 기술문헌의 유사율에 기초하여 기술문헌수의 분포를 나타내고, 분포에 대해서 평균치 및 표준편차를 산출함으로써, 그 평균치와 표준편차값에 기초한 기술문헌군의 분류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기술문헌을 발행한 기업, 또는 특허출원을 행한 기업의 기술적 경향을 판단하기 위해서, 분포의 표준편차σ보다 밖의 영역에 대해서 주목해서 검토하고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사율이 「평균치-σ」이하의 작은 값으로서 산출된 기술문헌이 속하는 영역을, 「제1변두리영역」이라고 정의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유사율로는, 전술의 식3∼식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사대상으로 삼은 개개의 기술문헌(특허공보 등)과 지정된 모집단의 기술문헌(특허공보 등)과의 사이에서의 유사성을 간편하게 판정하기 위한 지표이다. 구체적으로는, 개개의 기술문헌에 포함되는 각 키워드가, 지정된 모집단의 기술문헌 중의 몇개의 기술문헌에 기재되어 있는지를 말하는 비율을 산출하고, 키워드 1개당의 평균치를 산출한 것이다.
기술문헌끼리의 유사율을 산출하는 것에 있어서는, 키워드의 고르는 방법에 의해 산출되는 유사율의 값이 변화되므로, 키워드의 고르는 방법이 중요하게 된다. 예를 들면 자사의 기술문헌에서는 비교적 많이 쓸 수 있지만, 타사의 기술문헌에서는 그다지 등장하지 않는 것 같은 키워드는, 기술문헌군을 특징짓는 키워드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 특징적인 키워드의 추출방법으로서, 기술문헌의 모집단과 그 모집단을 포함하는 기술문헌군 전체라고 하는 두 개의 세그먼트(segment)에 있어서, 키워드가 이용되는 확률을 각각 산출하고, 이것을 이차원 좌표에 전개한 평면상의 어느 영역에 분포하는 키워드만을 추출하고, 대상모집단에 특징적인 키워드를 파악한다고 하는 방법을 채용해도 좋다.
특징적인 키워드의 해석수법은 여러 가지로 개발되어 있다. 특징적인 키워드로는, 예를 들면 「장하」, 「구제」, 「승객」, 「끓는 물」, 「플랜트」, 「물부리」, 「타」, 「LSI」, 「MOSFET」, 「중성자」, 「브라운관」, 「엘리베이트」, 「MISFET」, 「캐쉬 메모리」, 「원자력」등이다.
기술 문장 중에서 추출되는 키워드의 개수는 각 회사마다 다르지만, 추출되는 키워드의 개수의 대소는, 각 회사의 문헌군의 성질을 반영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이 추출되는 키워드의 개수가 많은 기업은, 특정한 영역에 집중한 기술개발을 행하고 있는 기업인 가능성이 높고 키워드의 합계 개수가 적은 기업은, 넓은 영역에 걸쳐 기술개발을 행하고 있는 기업이든지, 혹은 자사를 특징짓는 것 같은 기술이 그다지 존재하지 않는 기업 중 어느 하나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σ를 이용하여 영역을 구분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은 평균치와 표준편차σ를 역치로서 이용한 분류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2σ, 3σ를 사용해도 좋고, 기술문헌수의 존재 비율을 역치로서 사용해도 좋고, 평균치 등의 분포의 중앙부에서 소정 양은 벗어난 영역을 정하도록 해도 좋다.
이 제1변두리영역에 속하는 기술문헌은, 문장 중에 기재되어 있는 소정의 키워드(key word)가, 다른 기술문헌에 그다지 기재되어 있지 않은 경향이 강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제1변두리영역에 속하는 기술문헌은, 모집단의 기술문헌과 기술적 경향이 유사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는 동시에, 새로운 기술분야에 관한 기술문헌이며, 종래의 기술과는 다른 예외적인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유사율이 낮은 제1변두리영역에 속하는 기술문헌을 「예외적 기술문헌」이라고 부르고, 이 기술문헌 중의 특허공보에 관해서는 「예외적 공보」라고 부르기로 한다.
또한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사율이 「평균치+σ」이상의 큰 값으로 산출된 기술문헌군이 속하는 영역을, 「제2변두리영역 」이라고 정의한다.
이 제2변두리영역에 속하는 기술문헌에서는, 문장 중에 기재되어 있는 소정의 키워드가 다른 기술문헌에도 빈번히 기재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제2변두리영역에 속하는 기술문헌은, 모집단의 기술문헌과 기술적 경향이 유사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는 동시에, 종래부터 존재하는 기술분야에 관한 기술문헌이며, 종전의 기술에 대한 개량기술 등의 전형적인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유사율이 높은 제2변두리영역에 속하는 기술문헌을 「전형적 기술문헌」이라고 부르고, 이 기술문헌 중의 특허공보에 관해서는 「전형적 공보」라고 부르기로 한다.
또, 도2에 나타난 송수신수단(365), 기록매체 인터페이스(379), 기록수단 인터페이스(385), 기록수단(384),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유사율 취득수단은, 다수의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그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이 기술문헌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표준편차 산출수단은, 기술문헌의 수량과 유사율에 기초하여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구분수단은, 산출한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에 기초하여 유사율 값이 작은 것을 나타내는 영역, 또는 유사율이 큰 것을 나타내는 영역으로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송수신수단(365), 표시수단(372), 표시 인터페이스(373), 기록매체 인터페이스(379), 기록수단 인터페이스(385),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출력수단은 도4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산출한 기술문헌의 수량과 유사율과 구분한 영역을 관련지어서 표기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44는, 조사대상의 기업이 출원한 특허공보를, 유사율이 작은 순으로 나열한 예외적 공보의 일람을 도시한 도표이다.
동 도면의 경우에는, 모집단을 자사의 특허출원의 공보 전부로 해서 조사대상의 기술문헌의 유사율을 산출한 경우이다.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특허공보의 번호와 제목을, 대자사유사율이 작은 순서로 유사율의 표준편차와 함께 나열되어 있다. 이 도표에 실린 특허공보는, 조사대상의 특허공보로 이용되어 있는 키워드군이, 자사의 다른 공보 중에 있어서 비교적 드물게 이외에는 이용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되므로, 「본 회사에 있어서의 예외적 공보(출원)의 일례」에 대해서 나타내는 것이 된다. 더욱 동 도면에서는, 순위의 판단을 쉽게 하기 위해서 10위와 11위의 사이의 경계의 선을 굵은 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이 순위의 표시는 굵은 선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11위 이후를 작은 문자로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동 도면에 의하면, 「주석 도금욕」 「신규한 세륨착체」 「스위칭소자구동회로」등의 특허공보가, 「예외적 공보」로서 상위에 나타나 있다. 이 도표에 게재된 공보는, 자사의 특허공보(공개특허공보 등) 중에서 그 외에 이 특허공보와 유사한 내용을 가지는 공보가 그다지 많지 않다고 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동업 타사의 기술문헌에 기초하여 산출한 예외적 공보와 비교함으로써, 각 회사의 기술개발의 대처의 차이를 분명하게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예외적 공보에 관한 도표를 이용자가 봄으로써, 타사에, 자사와 같은 기술분야의 예외적 공보가 존재하고 있을 경우에는, 「같은 제품분야의 개척을 목표로 삼고 있으므로 주의를 할 필요가 있다」라고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자사와는 다른 기술분야의 예외적 공보가 존재하고 있을 경우에는, 「다른 분야에 눈을 돌린 기술을 개발 중이기 때문에, 동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라고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취직을 희망하는 기술개발자는, 자신이 희망하는 기술분야의 개발을 중시하고 있는 기업의 존재를 조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품에 관한 공동 개발을 희망하는 자는, 공동 개발의 대상으로 삼는 기업의 제품개발의 동향을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공동 개발을 행해야 할지 여부의 판단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사율이 작은 예외적 기술문헌을 순서대로 표시함으로써, 조사대상의 기업의 경영방침이나 연구개발방침의 책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주식 등에 의한 투자가는, 조사대상의 기업이 새롭게 몰두하고 있는 기술개발의 분야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비교적 단기적인 투자를 행할 때의 판단 기준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예외적 기술분야에 속하는 기술문헌이 적을 경우나, 그 유사율의 표준편차가 작을 경우에는, 「조사대상의 기업은 그다지 새로운 기술분야에서의 기술개발을 행하고 있지 않고, 비교적 단기적인 투자에는 의향이 없다」등의 판단 기준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취직을 희망하는 기술개발자는, 조사대상의 기업에서는, 자신이 희망하는 기술분야의 개발이 존재하지 않는다 등의 판단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품에 관한 공동개발을 희망하는 자는, 공동개발의 대상으로 삼는 기업의 제품개발의 동향을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공동 개발을 행해야 할지 여부의 판단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2에 나타낸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구분수단은, 산출한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에 기초하여 기술문헌을 유사율 값이 작은 것을 나타내는 영역으로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송수신수단(365), 표시수단(372), 표시 인터페이스(373), 기록매체 인터페이스(379), 기록수단 인터페이스(385),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출력수단은 도4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구분한 영역에 포함되는 기술문헌을, 유사율의 값이 작은 순서로 표기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45는, 조사대상의 기업이 출원한 특허공보를, 유사율이 큰 순으로 나열한 전형적 공보의 일람(一覽)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동 도면의 경우도 모집단을 자사특허출원의 공보 전부로 해서 조사대상의 기술문헌의 유사율을 산출한 경우이다.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특허공보의 번호와 제목을, 대자사유사율이 큰 순으로 유사율의 표준편차와 함께 나열되어 있다. 이 도표에 실린 특허공보는, 조사대상의 특허공보에서 이용되어 있는 키워드군(群)이, 자사의 다른 공보 중에 있어서 비교적 종종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되므로, 「본 회사에 있어서의 전형적 공보(출원)의 일례」에 대해서 나타내는 것이 된다. 또한 동 도면에서는, 순위의 판단을 쉽게 하기 위해서 10위와 11위의 사이의 경계의 선을 굵은 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이 순위의 표시는 굵은 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11위 이후를 작은 문자로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동 도면에 의하면, 「금속제거방법」 「편면도금 알루미늄판」 「구리의 연속주조용 파우다」등의 특허공보가, 「전형적 공보」로서 상위에 나타나 있다. 이 도표에 게재된 공보는, 자사의 특허공보(공개특허공보 등) 중에서는, 이 특허공보와 유사한 내용을 가지는 공보가 많이 존재한다고 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동업 타사의 기술문헌에 기초하여 산출한 전형적 공보와 비교함으로써, 각 회사의 기술개발의 대처의 차이를 분명하게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전형적 공보에 관한 도표를 이용자가 봄으로써, 타사에, 자사와 같은 기술분야의 전형적 공보가 존재하고 있을 경우에는, 같은 제품분야의 제품을 충실하게 하려고 하고 있으므로, 「크로스라이센스 등에 대해서 검토할 필요가 있다」등의 판단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품에 관한 공동개발을 희망하는 자는, 공동개발의 대상으로 삼는 기업의 제품개발의 동향을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공동개발을 행해야 할 것인가 아닌가의 판단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자사와는 다른 기술분야의 전형적 공보가 존재하고 있을 경우에는, 「자사가 그 기술분야에 진출하는 때에는, 권리화된 특허 등에 관하여 주의할 필요가 있다」, 또는 「자사가 그 기술분야에 진출하는 때에는, 기술력의 격차에 주의해서 제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등의 판단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취직을 희망하는 기술개발자가, 자신이 희망하는 기술분야의 개발을 중시하고 있는 기업의 존재를 조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사율의 큰 전형적 기술문헌을 순서대로 표시함으로써, 조사대상의 기업의 경영방침이나 연구개발방침의 책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주식 등에 의한 투자가는, 조사대상의 기업이 종래부터 몰두하고 있는 기술개발의 분야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단기적인 주가의 변동에 혼란되지 않고 비교적 장기적인 투자를 행할 때의 판단기준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품에 관한 공동개발을 희망하는 자는, 공동개발의 대상으로 삼는 기업의 제품개발의 동향을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공동개발을 행해야 할 것인가 아닌가의 판단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형적 기술분야에 속하는 기술문헌이 적을 경우나, 그 유사율의 표준편차가 클 경우에는, 조사대상의 기업은 확고한 기술분야를 가지고 있지 않고, 비교적 장기적인 금후(今後)의 투자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등의 판단기준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취직을 희망하는 기술개발자는, 조사대상의 기업에서는, 자신이 희망하는 기술분야의 개발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등의 판단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2에 나타낸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구분수단은, 산출한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에 기초하여 기술문헌을 유사율 값이 큰 것을 나타내는 영역으로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송수신수단(365), 표시수단(372), 표시 인터페이스(373), 기록매체 인터페이스(379), 기록수단 인터페이스(385),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출력수단은 도4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구분한 영역에 포함되는 기술문헌을, 유사율의 값이 큰 순서로 표기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46은, S회사의 대자사유사율을 이용한 전형적 공보와 예외적 공보의 연별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 의하면, 각 연도(年)에 대해서 그 각 연도내의 전형적 공보의 건수를 흰색의 막대그래프로 표시하고, 예외적 공보의 건수를 빗금 그은 막대그래프로 표시하고 있으며, 그 높이는 좌측의 눈금의 「기술문헌건수」를 사용한다. 또한 동 도면에서는 동시에, 각 연도에 대해서 그 각 연도내의 전형적 공보가 차지하는 비율을 흰색의 꺽은선 그래프로 표현하고, 예외적 공보가 차지하는 비율을 검은색 꺽은선 그래프로 표현하고 있으며, 그 높이방향의 위치는, 우측의 눈금의 「예외적 전형적 특허비율」을 사용한다.
동 도면은 S회사가 1994년부터 2001년에 걸쳐서 특허출원한 공보에 대해서 유사율을 산출하고, 그 유사율의 평균치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그 평균치와 표준편차값에 기초하여 「예외적 특허건수」(예외적 공보) 및 「전형적 특허건수」(전형적 공보)에 매년마다 구분, 분류한 것이다.
동 도면에 나타난 예에서는, 예외적 특허건수의 추이는 해마다 증가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일방의 전형적 특허건수의 추이는, 해마다 감소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 S회사와 같이, 전형적 특허건수(전형적 공보)의 건수가 해마다 감소하고, 예외적 특허건수(예외적 공보)의 건수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경우에는, S회사에 있어서는, 비교적 코어영역으로부터 벗어난 기술개발이 활발화 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반대로, 전형적 특허건수(전형적 공보의 건수)가 해마다 증가하고, 예외적 특허건수(예외적 공보의 건수)가 해마다 감소하고 있는 경우에는, 당해 기업에 있어서는 코어영역에 관한 관련기술의 개발이 활발하게 행해지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이용자가 동 도면을 봄으로써, 전형적 특허건수(전형적 공보의 건수)가 해마다 감소하고, 예외적 특허건수(예외적 공보의 건수)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기업은, 비교적 코어영역으로부터 떨어진 기술개발이 활발화 하고 있다고 생각되므로, 투자대상으로서는, 장래의 개발성공에 기초하는 주식의 최고치를 기대할 수 있다고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취직을 희망하는 기술개발자는, 조사대상의 기업에서는, 자신이 희망하는 기술분야의 개발이 활발화 하고 있는 것의 판단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품에 관한 공동개발을 희망하는 자는, 공동개발의 대상으로 삼는 기업의 제품개발의 동향이, 활발하게 되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공동개발을 행해야 할 것인가 아닌가의 판단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반대로, 전형적 특허건수(전형적 공보의 건수)가 해마다 증가하고, 예외적 특허건수(예외적 공보의 건수)가 해마다 감소하고 있는 기업의 경우에는, 코어영역에 관한 관련기술의 개발이 활발하게 행해지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으므로, 당해 기업에 대한 투자에 관해서는, 「수수하지만 장기에 걸쳐 착실한 움직임을 기대할 수 있다」라고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취직을 희망하는 기술개발자는, 조사대상의 기업에서는, 자신이 희망하는 기술분야의 개발이 활발화 하고 있을 것인가 아닌가의 판단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품에 관한 공동개발을 희망하는 자는, 공동개발의 대상으로 삼는 기업의 제품개발의 동향이 여전히 활발할 것인가 아닌가에 대해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공동개발을 행해야 할지 여부의 판단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2에 나타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구분수단은, 산출한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에 기초하여 기술문헌을 유사율 값이 작은 것을 나타내는 영역 또는 유사율이 큰 것을 나타내는 영역으로, 기술문헌의 출원 또는 발표의 시기마다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송수신수단(365), 표시수단(372), 표시 인터페이스(373), 기록매체 인터페이스(379), 기록수단 인터페이스(385), 정보처리수단(380)등의 출력수단은 도4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구분한 영역에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을 출원 또는 발표의 시기마다 그래프에서 표기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47은, 자사의 특허문헌에 대해서 산출한 유사율의 건수분포를 나타내는 원 그래프이다.
동 도면에서는, 자사의 특허문헌에 대해서 산출한 유사율이 「평균치-표준편차σ」이하의 제1변두리영역을 「비교적 유사성이 낮은 공보군」이라고 정의하고, 유사율이 「평균치+표준편차σ」이상의 제2변두리영역을 「비교적 유사성이 높은 공보군」이라고 정의하고, 유사율이 「평균치± 표준편차σ」의 범위에 있는 공보군을 「그 밖의 공보군 」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동 도면에서 나타내는 예에서는, 특허문헌이 「제1변두리영역」 즉 「예외적 공보」 또는 「비교적 유사성이 낮은 공보군」에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부분이 26%이고, 「제2변두리영역」 즉 「전형적 공보」또는 「비교적 유사율이 높은 공보군」에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부분이 10%이다.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사대상의 기업의 기술문헌에 대해서 유사율의 건수분포를 원그래프에서 구분해서 표시함으로써, 「전형적 공보」 또는 「비교적 유사율이 높은 공보군」과 「예외적 공보」 또는 「비교적 유사율이 낮은 공보군」의 건수의 비율의 차이를, 원그래프의 원의 각도로 분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동 도면에 나타난 예에서는, 「예외적 공보」 또는 「비교적 유사율이 낮은 공보군」의 건수쪽이 크므로, 이 기업은 코어영역에 관한 관련기술의 기술개발보다도, 새로운 기술분야의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행해지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용자가 동 도면에 나타난 원그래프를 봄으로써, 「비교적 유사율이 낮은 공보군」의 건수가 커서 비교적 코어영역으로부터 떨어진 기술개발이 활발화 하고 있다고 읽어낼 수 있는 경우에는, 「투자대상으로서는, 장래 개발성공에 기초하는 주식의 최고치를 기대할 수 있다」라고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용자는, 「비교적 유사율이 높은 공보군」의 건수가 커서 비교적 코어영역의 기술개발이 활발화 하고 있다고 읽어낼 수 있을 경우에는, 「투자대상으로서는, 수수하지만 장기에 걸쳐 착실한 움직임을 기대할 수 있다」라고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취직을 희망하는 기술개발자는, 조사대상의 기업에서는 새로운 분야의 기술개발이 활발한지, 또는 코어영역의 기술분야의 개발이 활발한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취직을 할 때에, 안정한 코어영역의 기반이 존재하는 기업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제품에 관한 공동개발을 희망하는 자는, 공동개발의 대상으로 삼는 기업의 새로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제품개발의 활발함을 아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수입원이 되는 안정한 코어영역의 기반이 존재하는 기업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것들을 종합해서 비추어 보고, 공동개발을 행해야 할 것인가 아닌가의 판단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2에 나타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구분수단은, 산출한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에 기초하여 유사율 값이 작은 것을 나타내는 영역 및 유사율이 큰 것을 나타내는 영역으로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송수신수단(365), 표시수단(372), 표시 인터페이스(373), 기록매체 인터페이스(379), 기록수단 인터페이스(385),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출력수단은 도4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구분한 영역에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의 비율을 그래프에서 표기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48은, 조사대상의 기업의 기술문헌에 대해서 산출한 유사율의 해마다의 분포를 나타내는 천이도이다.
동 도면의 세로축은, 조사대상의 기업의 특허문헌에 대해서 산출한 유사율을 그 유사율의 평균치로 나누고, 다시 표준편차σ로 나누어서 규격화하고, 유사율의 평균치를 0으로 한 값이며, 「유사율 편차 」라고 정의하고 있다. 일방의 가로축은 특허공보의 출원년(또는 기술문헌의 발표년)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조사대상의 기업이 동 도면에 나타난 연도에 출원한 특허문헌은, 구분된 동 도면의 어느 쪽인가의 원내에 속하게 된다. 동 도면에 나타난 원의 크기는, 특허문헌의 수량을 나타낸다. 도43에서는, 문헌건수를 높이로 표기했지만, 동 도면에서는 이차원의 표로 표시하기 위해서, 공의 크기로 표현하고 있다.
「유사율 편차」의 값이 +1이상은 전형적 공보의 영역이고, 숫자가 -1이하는 예외적 공보의 영역이다. 동 도면에 나타난 조사대상의 기업의 예에서 보면, 전 특허공보에 대하여 유사율 편차의 수치가 작은 예외적 공보는, 1992년부터 1995년까지 적고(원의 크기가 조금 작다.), 1996년부터 2001년까지는 비교적 많다(원의 크기가 커져 오고 있다.).
한편, 유사율 편차의 수치가 큰 전형적 공보는, 1992년, 1993년, 1996년, 2000년 및 2001년에 존재하고, 1994년부터 1999년까지는 대부분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읽어낼 수 있다.
이용자는 동 도면을 봄으로써, 유사율 편차의 분포에 관해서 매년마다의 변화를 아는 것이 가능해진다. 동 도면에 나타난 조사대상의 기업의 예에서 보면, 전 공보에 대하여 유사율 편차의 수치가 작은 예외적 공보는 1992년부터 1995년까지 적고, 1996년부터 2001년까지는 비교적 많아지고 있는 것으로부터, 후년에 있어서 타사와 다른 제품분야의 개발을 진행시키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유사율 편차의 수치가 큰 전형적 공보는 1992년, 1993년, 1996년, 2000년 및 2001년에 출원되고 있고, 1994년, 1995년, 및 1997년부터 1999년까지는 대부분 출원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부터, 1994년, 1995년, 및 1997년부터 1999년까지의 기술개발동향은, 성숙한 제품의 상품화 또는 개량으로 향하고 있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가 동 도면을 봄으로써, 각 회사의 해마다의 기술동향의 추이를 조사할 수 있고, 제품의 창성기, 개발기, 성숙기, 쇠퇴기 등으로 분류한 평가를 사용하여 기업의 상태를 아는 것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주가의 경향을 찾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취직을 희망하는 기술개발자는, 조사 대상의 기업에서는 새로운 분야의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되어 오는지, 또는 성숙한 제품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개발이 활발한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취직을 할 때에, 안정한 코어영역의 기반이 존재하는 기업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품에 관한 공동개발을 희망하는 자는, 조사대상의 기업의 제품개발의 동향을 아는 것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공동개발을 행해야 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2에 나타난 정보처리수단(380)등의 규격화수단은, 산출한 유사율을 그 유사율의 평균치로 나누고, 다시 표준편차로 나누어서 규격화한 유사율 편차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구분수단은, 산출한 유사율 편차를, 유사율의 표준편차에 기초한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송수신수단(365), 표시수단(372), 표시 인터페이스(373), 기록매체 인터페이스(379), 기록수단 인터페이스(385),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출력수단은 도4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사율 편차의 구분을 일방의 축으로 하고, 기술문헌의 출원 또는 발표의 시기를 타방의 축으로 해서, 그 양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당해 기술문헌의 존재와 그 기술문헌의 수량을 크기로 나타내는 표의 표기정보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49는, 조사대상의 기업의 기술문헌에 대해서 산출한 유사율의 해마다의 분포를 나타내는 천이도이다.
동 도면의 세로축은 도48과 같이, 조사대상의 기업의 특허문헌에 대해서 산출한 유사율을 그 유사율의 평균치로 나누고, 다시 표준편차σ로 나누어서 규격화하고, 유사율의 평균치를 0으로 한 값이며, 「유사율 편차」이다. 일방의 가로축은 특허공보의 출원년(또는 기술문헌의 발표년)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조사대상의 기업이 동 도면에 나타난 연도에 출원한 특허문헌은 동 도면의 영역 내에 플랏(plot)되게 된다. 동 도면에 있어서의 X표시는 1건의 특허공보를 나타내고 있고, X표시의 위치는 특허문헌의 존재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43에서는 문헌건수를 높이로 표기했지만, 동 도면에서는 이차원의 표로 표시하기 위해서 특허문헌마다 X표시를 플랏(plot) 하고, 특허출원의 분포를 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난 조사대상의 기업의 예에서는 전 공보에 대하여, 유사율 편차의 수치가 작은 예외적 공보의 특허출원은, 초기의 연대 및 중간의 연대에서 적고, 초기의 연대보다도 조금 경과한 연대 및 최근에 비교적 많이 출원되어 있다고 하는 것을 읽어낼 수 있다. 한편, 유사율 편차의 수치가 큰 전형적 공보의 특허출원은, 초기의 연대 및 최근이외에서는 대부분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는 것을 읽어낼 수 있다.
이용자는 동 도면을 봄으로써, 유사율 편차의 분포에 대해서, 매월 변화 등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알 수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난 조사대상의 기업의 예에서 보면, 전 공보에 대하여 유사율 편차의 수치가 작은 예외적 공보는, 초기의 연대쯤 및 중간에서 적고, 초기의 연대보다도 조금 경과한 연대 및 최근에서는 비교적 많은 것으로부터, 초기의 연대부터 조금 경과한 시기, 및 최근에 있어서, 타사와 달랐던 제품분야의 개발이 진척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유사율 편차의 수치가 큰 전형적 공보는, 초기의 연대 및 최근이외에서는 대부분 출원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부터, 그 조사 대상의 기업에서는, 자사와 같은 분야에 별로 관계되지 않고, 성숙한 제품의 상품화로 향하고 있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동 도면에 있어서, 각 특허공보가 속하는 기술분야를 구분해서 표시하면, 언제쯤 어느 기술분야에 있어서 타사와 다른 제품분야의 개발이 진척되었는지, 혹은 성숙한 제품의 상품화로 향하고 있었는지를 일목요연하게 이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욱이 도49에 도시한 도면을, 각 기술분야별마다 각각 표시, 또는 인쇄함으로써, 이용자는 조사대상의 기업이 타사와 달랐던 제품분야의 개발을 진행시키고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 혹은 성숙한 제품의 상품화를 행하고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에 대해서 조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용자는 동 도면을 봄으로써, 각 회사의 매월 유사율 편차의 추이를 조사할 수 있고, 제품의 창성기, 개발기, 성숙기, 쇠퇴기 등으로 나눈 평가를 사용해서 기업의 상태를 알고, 주가의 경향을 찾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2에 나타난 송수신수단(365), 표시수단(372), 표시 인터페이스(373), 기록매체 인터페이스(379), 기록수단 인터페이스(385),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출력수단은 도4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산출한 유사율 편차를 일방의 축으로 하고, 기술문헌의 출원 또는 발표의 시기를 타방의 축으로 해서, 그 양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해당 기술문헌의 존재를 나타내는 표의 표기정보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의하면,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를 취득하는 키워드 취득수단과, 기술문헌을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모집단 중에서 상기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을 계수하는 계수수단과,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를 취득하는 총수취득수단과, 상기 계수한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상기 취득한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와의 비율을 연산해서 유사율을 산출하는 유사율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한 유사율을 표시수단, 기록수단, 또는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했으므로, 조사대상의 기술문헌이 새로운 분야의 기술문헌 인지의 여부의 판단을 정량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른 발명의 형태에 의하면, 유사율 산출수단에 있어서 연산한 비율에 대하여, 키워드 고유의 가중계수를 곱해서 유사율을 산출하도록 했으므로, 출현빈도가 높은 흔히 있는 용어의 키워드나, 기술분야를 특정하는 용어이고 출현빈도가 적은 키워드 등에 대하여 합목적으로 가중 혹은 평균화해서 유사율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른 발명의 형태에 의하면 유사율 산출수단에 있어서, 다수의 키워드마다 비율을 연산하고, 그 산출한 다수의 키워드마다의 비율의 총 합계를 연산해서 유사율을 산출하도록 했으므로, 다수의 키워드를 설정한 경우이어도,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 안에서 명확하게 유사율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용자의 용도에 적합한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신뢰성이 높은 유사율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른 발명의 형태에 의하면, 유사율 산출수단에 있어서, 연산한 비율에 대하여 키워드 고유의 가중계수를 제곱승해서 유사율을 산출하도록 했으므로, 출현빈도가 높은 흔히 있는 용어의 키워드나, 기술분야를 특정하는 용어이고 출현빈도가 적은 키워드 등에 대하여 의미부여를 명확히 해서 유사율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른 발명의 형태에 의하면 기술문헌으로서, 특허공보, 공개특허공보, 실용신안공보, 공개실용신안공보, 공표공보, 재공표공보, 외국공보, 심결공보, 경과정보, 공개기보, 또는, 발명협회공개기보 등의 어느 것인가 1이상이라고 했으므로, 기업의 무형재산의 가치를 정량적, 정성적으로 받아 들여서 기업의 가치를 정확하게 분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른 발명의 형태에 의하면,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정보가 특허정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상기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 설정등록되어 있는 특허정보의 설정등록건수를 취득하는 등록건수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유사율과 상기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의 설정등록건수를 관련되게 만들어서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였으므로, 설정등록된 특허출원의 중요성과 유사율과의 관계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른 발명의 형태에 의하면,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정보가 특허정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상기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각각 연산해서 등록소요연수를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상기 취득한 유사율과 상기 산출한 등록 소요연수를 관련되게 만들어서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했으므로, 이용자는,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유사율과 등록소요연수와의 분포를 아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른 발명의 형태에 의하면,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정보가 특허정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상기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각각 연산해서 등록소요연수를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상기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상기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을 산출하는 표준편차 산출수단과, 상기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상기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했으므로, 이용자는,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유사율과 등록소요연수와의 분포 중에서의 집중, 혹은 격차(불균일)의 정도를 아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른 발명의 형태에 의하면,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정보가 특허정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출원시기마다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상기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각각 연산해서 등록소요연수를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상기 취득한 유사율과 상기 산출한 등록소요연수를 관련되게 만들어서 출원시기마다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했으므로, 이용자는,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출원시기마다 유사율과 등록 소요연수와의 분포를 아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른 발명의 형태에 의하면,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정보가 특허정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출원시기마다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상기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각각 연산해서 등록소요연수를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상기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상기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을 출원시기마다 산출하는 표준편차 산출수단과, 상기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상기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을 출원시기마다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했으므로, 이용자는,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유사율과 등록소요연수와의 분포를 출원시기마다 아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른 발명의 형태에 의하면, 출원시기마다의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상기 출원시기마다의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에 기초하여 장래의 표준편차 또는 장래의 등록소요연수 혹은 그 양쪽을 1차 외삽 또는 다차 외삽 연산에서 예측하는 예측수단을 구비하고, 표시수단은 장래의 표준편차 또는 장래의 등록소요연수 혹은 그 양쪽을 표시하도록 했으므로, 이용자는, 과거의 특허정보에 기초한 장래의 특허출원예측을 아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른 발명의 형태에 의하면, 이용자는, 많은 데이터 중에서 유사율, 등록소요연수 또는 출원시기의 어느 것인가 1이상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순시(瞬時)에 아는 것이 가능해지고, 원하는 유사율과 등록소요연수와의 관계를 용이하게 발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른 발명의 형태에 의하면,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를 취득하고, 기술문헌을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모집단 중에서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을 계수하고,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를 취득하고, 계수한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취득한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와의 비율을 연산해서 유사율을 산출하고, 산출한 유사율을 표시수단, 기록수단, 또는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도록 했으므로, 조사대상의 기술문헌이 새로운 분야의 기술문헌인지의 여부의 판단을 정량적으로 행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른 발명의 형태에 의하면,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정보가 특허정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고,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각각 연산해서 등록소요연수를 산출하고, 취득한 유사율과 산출한 등록소요연수를 관련되게 만들어서 표시하도록 했으므로, 이용자는,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유사율과 등록소요연수와의 분포를 아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원 발명에 의하면, 특허와 경제지표와의 상관을 분석함으로써 기업의 가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특허의 가치를 정량적으로 파악함으로써 기업의 평가를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연구개발비를 기초로 특허의 자산가치를 분석함으로써 현상에 의거한 평가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특허가치의 평가에 따라서, 연구개발을 감가상각함으로써 엄밀하게 예측할 수 있다. 또한, 특허의 자산가치와 재무정보로부터 주가가 적정할지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특허정보의 유사성이나 특허정보의 상대위치 또는 분포상황을 시각적으로 판단해서 그 공보의 중요도를 예측하거나, 특허평가의 지표로 되는 것을 구할 수 있다.
이 특허평가의 지표를 이용함으로써 각 기업의 특허의 자산가치를 더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또한, 기업의 평가나 주가가 적정한지의 판단을 할 수 있다.
또한 특허의 등록율의 동향, 등록건수의 동향, 상기 특허경제지표, 및, 상기 특허자산가치를 바탕으로, 장래의 주가를 예측하고, 특허와 기업경영재무와의 관계나 특허가 기업경영에 미치는 영향 등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타사가 개발하고 있는 기술동향을 아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투자의 대상으로서의 검토재료나 취직할 곳의 검토재료, 공동개발을 행할 것인가 아닌가의 검토재료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54)

  1.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key word)를 취득하는 키워드 취득수단과,
    기술문헌을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모집단 중에서 상기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을 계수(計數)하는 계수수단과,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를 취득하는 총수취득수단과,
    상기 계수한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상기 취득한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와의 비율을 연산해서 유사율(類似率)을 산출하는 유사율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한 유사율을 표시수단, 기록수단, 또는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출력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장치.
  2.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를 취득하는 키워드 취득수단과,
    기술문헌을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모집단 중에서 상기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을 계수하는 계수수단과,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를 취득하는 총수취득수단과,
    상기 계수한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상기 취득한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와의 비율을 연산하고, 상기 비율에 대하여 키워드 고유의 가중계수를 곱해서 유사율을 산출하는 유사율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한 유사율을 표시수단, 기록수단, 또는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출력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장치.
  3.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를 취득하는 키워드 취득수단과,
    기술문헌을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모집단 중에서 상기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을 계수하는 계수수단과,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를 취득하는 총수취득수단과,
    상기 계수한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상기 취득한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와의 비율을 다수의 키워드마다 연산하고, 산출한 다수의 키워드마다의 비율의 평균을 연산해서 유사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사율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한 유사율을 표시수단, 기록수단, 또는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출력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장치.
  4.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를 취득하는 키워드 취득수단과,
    기술문헌을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모집단 중에서 상기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을 계수하는 계수수단과,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를 취득하는 총수취득수단과,
    상기 계수한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상기 취득한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와의 비율을 다수의 키워드마다 연산하고, 상기 비율에 대하여 키워드 고유의 가중계수를 곱한 것에 관한 평균을 연산해서 유사율을 산출하는 유사율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한 유사율을 표시수단, 기록수단, 또는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출력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장치.
  5.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를 취득하는 키워드 취득수단과,
    기술문헌을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모집단 중에서 상기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을 계수하는 계수수단과,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를 취득하는 총수취득수단과,
    상기 계수한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상기 취득한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와의 비율을 연산하고, 상기 비율에 대하여 키워드 고유의 가중계수를 제곱승해서 유사율을 산출하는 유사율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한 유사율을 표시수단, 기록수단, 또는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출력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장치.
  6.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를 취득하는 키워드 취득수단과,
    기술문헌을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모집단 중에서 상기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을 계수하는 계수수단과,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를 취득하는 총수취득수단과,
    상기 계수한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상기 취득한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와의 비율을 다수의 키워드마다 연산하고, 상기 비율에 대하여 키워드 고유의 가중계수를 제곱승한 것에 관한 평균을 연산해서 유사율을 산출하는 유사율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한 유사율을 표시수단, 기록수단, 또는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출력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기술평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술문헌은, 특허공보, 공개특허공보, 실용신안공보, 공개실용신안공보, 공표공보, 재공표공보, 외국공보, 심결공보, 경과정보, 또는 공개기보 등의 어느 것인가 1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장치.
  8.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정보가 특허정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상기 다수의 조사 대상의 특허정보 중 설정등록되어 있는 특허정보의 설정등록건수를 취득하는 등록건수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유사율과, 상기 다수의 조사 대상의 특허정보의 설정등록건수를 관련되게 만들어서 표시하는 표시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장치.
  9.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정보가 특허정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상기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각각 연산해서 등록소요연수를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상기 취득한 유사율과, 상기 산출한 등록소요연수를 관련되게 만들어서 표시하는 표시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장치.
  10.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정보가 특허정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상기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각각 연산해서 등록소요연수를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상기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상기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을 산출하는 표준편차 산출수단과,
    상기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상기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을 표시하는 표시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장치.
  11.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정보가 특허정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출원시기마다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상기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각각 연산해서 등록소요연수를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상기 취득한 유사율과, 상기 산출한 등록소요연수를 관련되게 만들고, 출원 시기마다 표시하는 표시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장치.
  12.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정보가 특허정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출원시기마다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상기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각각 연산해서 등록소요연수를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상기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상기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을 출원시기마다 산출하는 표준편차 산출수단과,
    상기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상기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을 출원시기마다 표시하는 표시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장치.
  13.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정보가 특허정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출원시기마다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상기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각각 연산해서 등록소요연수를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상기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상기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을 출원시기마다 산출하는 표준편차 산출수단과,
    상기 출원시기마다의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상기 출원시기마다의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에 기초하여, 장래의 표준편차 또는 장래의 등록소요연수 혹은 그 양쪽을 1차 외삽, 또는 다차 외삽 연산으로 예측하는 예측수단과,
    장래의 유사율, 또는, 장래의 등록소요연수 혹은 그 양쪽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장치.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기술평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유사율의 대소마다, 등록소요연수의 대소마다, 또는 출원시기마다의 어느 것인가 1이상마다, 표시색을 변경해서 상기 유사율, 등록소요연수, 또는 출원시기의 어느 것인가 1이상을 식별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장치.
  15. 키워드를 취득하는 키워드 취득수단과,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을 계수하는 계수수단과,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를 취득하는 총수취득수단과, 기술문헌의 수량과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와의 비율을 연산해서 유사율을 산출하는 유사율 산출수단과, 유사율을 표시수단, 기록수단,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출력수단과, 상기 키워드 취득수단, 계수수단, 총수취득수단, 유사율 산출수단, 및 출력수단을 제어하는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술평가장치의 정보처리수단에 있어서 실행되는 기술문헌평가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키워드 취득수단에서,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를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계수수단에서, 기술문헌을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모집단 중에서 상기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을 계수하는 기능과,
    상기 총수취득수단에서,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를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유사율 산출수단에서, 상기 계수한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상기 취득한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와의 비율을 연산해서 유사율을 산출하는 기능과,
    상기 출력수단에서, 상기 산출한 유사율을 표시수단, 기록수단,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프로그램.
  16. 키워드를 취득하는 키워드 취득수단과,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을 계수하는 계수수단과,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를 취득하는 총수취득수단과, 기술문헌의 수량과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와의 비율을 연산해서 유사율을 산출하는 유사율 산출수단과, 유사율을 표시수단, 기록수단,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출력수단과, 상기 키워드 취득수단, 계수수단, 총수취득수단, 유사율 산출수단, 및 출력수단을 제어하는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술평가장치의 정보처리수단에 있어서 실행되는 기술문헌평가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키워드 취득수단에서, 조사 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를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계수수단에서, 기술문헌을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모집단 중에서 상기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을 계수하는 기능과,
    상기 총수취득수단에서,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를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유사율 산출수단에서, 상기 계수한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상기 취득한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와의 비율을 연산하고, 상기 비율에 대하여 키워드 고유의 가중계수를 곱해서 유사율을 산출하는 기능과,
    상기 출력수단에서, 상기 산출한 유사율을 표시수단, 기록수단,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프로그램.
  17. 키워드를 취득하는 키워드 취득수단과,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을 계수하는 계수수단과,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를 취득하는 총수취득수단과, 기술문헌의 수량과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와의 비율을 연산해서 유사율을 산출하는 유사율 산출수단과, 유사율을 표시수단, 기록수단,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출력수단과, 상기 키워드 취득수단, 계수수단, 총수취득수단, 유사율 산출수단, 및 출력수단을 제어하는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술평가장치의 정보처리수단에 있어서 실행되는 기술문헌평가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키워드 취득수단에서,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를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계수수단에서, 기술문헌을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모집단 중에서 상기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을 계수하는 기능과,
    상기 총수취득수단에서,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를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유사율 산출수단에서, 상기 계수한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상기 취득한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와의 비율을 다수의 키워드마다 연산하고, 상기 산출한 다수의 키워드마다의 비율의 평균을 연산해서 유사율을 산출하는 기능과,
    상기 출력수단에서, 상기 산출한 유사율을 표시수단, 기록수단,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프로그램.
  18. 키워드를 취득하는 키워드 취득수단과,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을 계수 하는 계수수단과,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를 취득하는 총수취득수단과, 기술문헌의 수량과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와의 비율을 연산해서 유사율을 산출하는 유사율 산출수단과, 유사율을 표시수단, 기록수단,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출력수단과, 상기 키워드 취득수단, 계수수단, 총수취득수단, 유사율 산출수단, 및 출력수단을 제어하는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술평가장치의 정보처리수단에 있어서 실행되는 기술문헌평가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키워드 취득수단에서, 조사 대상의 기술문헌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를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계수수단에서, 기술문헌을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모집단 중에서 상기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을 계수하는 기능과
    상기 총수취득수단에서,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를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유사율 산출수단에서, 상기 계수한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상기 취득한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와의 비율을 다수의 키워드마다 연산하고, 상기 비율에 대하여 키워드 고유의 가중계수를 곱한 것에 관한 평균을 연산해서 유사율을 산출하는 기능과,
    상기 출력수단에서, 상기 산출한 유사율을 표시수단, 기록수단,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프로그램.
  19. 키워드를 취득하는 키워드 취득수단과,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을 계수하는 계수수단과,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를 취득하는 총수취득수단과, 기술문헌의 수량과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와의 비율을 연산해서 유사율을 산출하는 유사율 산출수단과, 유사율을 표시수단, 기록수단,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출력수단과, 상기 키워드 취득수단, 계수수단, 총수취득수단, 유사율 산출수단, 및 출력수단을 제어하는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술평가장치의 정보처리수단에 있어서 실행되는 기술문헌평가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키워드 취득수단에서,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를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계수수단에서, 기술문헌을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모집단 중에서 상기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을 계수하는 기능과,
    상기 총수취득수단에서,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를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유사율 산출수단에서, 상기 계수한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상기 취득한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와의 비율을 연산하고, 상기 비율에 대하여 키워드 고유의 가중계수를 제곱승해서 유사율을 산출하는 기능과,
    상기 출력수단에서, 상기 산출한 유사율을 표시수단, 기록수단,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프로그램.
  20. 키워드를 취득하는 키워드 취득수단과,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을 계수하는 계수수단과,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를 취득하는 총수취득수단과, 기술문헌의 수량과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와의 비율을 연산해서 유사율을 산출하는 유사율 산출수단과, 유사율을 표시수단, 기록수단,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출력수단과, 상기 키워드 취득수단, 계수수단, 총수취득수단, 유사율 산출수단, 및 출력수단을 제어하는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술평가장치의 정보처리수단에 있어서 실행되는 기술문헌평가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키워드 취득수단에서,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를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계수수단에서, 기술문헌을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모집단 중에서 상기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을 계수하는 기능과,
    상기 총수취득수단에서,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를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유사율 산출수단에서, 상기 계수한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상기 취득한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와의 비율을 다수의 키워드마다 연산하고, 상기 비율에 대하여 키워드 고유의 가중계수를 제곱승한 것에 관한 평균을 연산해서 유사율을 산출하는 기능과,
    상기 출력수단에서, 상기 산출한 유사율을 표시수단, 기록수단,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프로그램.
  21. 제1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기술평가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기술문헌은, 특허공보, 공개특허공보, 실용신안공보, 공개실용신안공보, 공표공보, 재공표공보, 외국공보, 심결공보, 경과정보, 또는 공개기보 등의 어느 것인가 1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프로그램.
  22. 유사율을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특허정보의 설정등록건수를 취득하는 등록건수 취득수단과, 유사율과 특허정보의 설정등록건수를 관련되게 만들어서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유사율 취득수단, 등록건수 취득수단, 및 표시수단을 제어하는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술평가장치의 정보처리수단에 있어서 실행되는 기술평가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유사율 취득수단에서,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정보가 특허정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등록건수 취득수단에서, 상기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 설정등록되어 있는 특허정보의 설정등록건수를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표시수단에서, 상기 취득한 유사율과, 상기 다수의 조사 대상의 특허정보의 설정등록건수를 관련되게 만들어서 표시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프로그램.
  23. 유사율을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특허정보의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연산해서 등록소요연수를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유사율과 등록소요연수를 관련되게 만들어서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유사율 취득수단, 산출수단, 및 표시수단을 제어하는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술평가장치의 정보처리수단에 있어서 실행되는 기술평가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유사율 취득수단에서,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정보가 특허정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산출수단에서, 상기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각각 연산해서 등록소요연수를 산출하는 기능과,
    상기 표시수단에서, 상기 취득한 유사율과 상기 산출한 등록소요연수를 관련되게 만들어서 표시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프로그램.
  24. 유사율을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특허정보의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연산해서 등록소요연수를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상기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을 산출하는 표준편차 산출수단과,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상기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을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유사율 취득수단, 산출수단, 표준편차 산출수단, 및 표시수단을 제어하는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술평가장치의 정보처리수단에 있어서 실행되는 기술평가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유사율 취득수단에서,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정보가 특허정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산출수단에서, 상기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각각 연산해서 등록소요연수를 산출하는 기능과,
    상기 표준편차 산출수단에서, 상기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상기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을 산출하는 기능과,
    상기 표시수단에서, 상기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상기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을 표시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프로그램.
  25. 유사율을 출원시기마다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특허정보의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연산해서 등록소요연수를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유사율과 등록소요연수를 관련되게 만들어서 출원시기마다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유사율 취득수단, 산출수단, 및 표시수단을 제어하는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술평가장치의 정보처리수단에 있어서 실행되는 기술평가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유사율 취득수단에서,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정보가 특허정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근거한 유사율을 출원시기마다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산출수단에서, 상기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각각 연산해서 등록소요연수를 산출하는 기능과,
    상기 표시수단에서, 상기 취득한 유사율과 상기 산출한 등록소요연수를 관련되게 만들어서 출원시기마다 표시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프로그램.
  26. 유사율을 출원시기마다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특허정보의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연산해서 등록소요연수를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을 출원시기마다 산출하는 표준편차 산출수단과,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을 출원시기마다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유사율 취득수단, 산출수단, 표준편차 산출수단, 및 표시수단을 제어하는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술평가장치의 정보처리수단에 있어서 실행되는 기술평가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유사율 취득수단에서,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정보가 특허정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출원시기마다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산출수단에서, 상기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각각 연산해서 등록소요연수를 산출하는 기능과,
    상기 표준편차 산출수단에서, 상기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상기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을 출원시기마다 산출하는 기능과,
    상기 표시수단에서, 상기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상기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을 출원시기마다 표시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프로그램.
  27. 유사율을 출원시기마다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특허정보의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연산해서 등록소요연수를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을 출원시기마다 산출하는 표준편차 산출수단과,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을 출원시기마다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장래의 표준편차 또는 장래의 등록소요연수 혹은 그 양쪽을 1차 외삽(外揷) 또는 다차 외삽 연산으로 예측하는 예측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유사율 취득수단, 산출수단, 표준편차 산출수단, 표시수단, 및 예측수단을 제어하는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술평가장치의 정보처리수단에 있어서 실행되는 기술평가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유사율 취득수단에서,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정보가 특허정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출원시기마다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산출수단에서, 상기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각각 연산해서 등록소요연수를 산출하는 기능과,
    상기 표준편차 산출수단에서, 상기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상기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을 출원시기마다 산출하는 기능과,
    상기 예측수단에서, 상기 출원시기마다의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상기 출원 시기마다의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에 기초하여 장래의 표준편차 또는 장래의 등록소요연수 혹은 그 양쪽을, 1차 외삽 또는 다차 외삽 연산으로 예측시키는 기능과,
    상기 표시수단에서, 장래의 유사율 또는 장래의 등록소요연수 혹은 그 양쪽을 표시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프로그램.
  28.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기술평가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표시수단에서, 상기 유사율의 대소마다, 등록소요연수의 대소마다, 또는 출원시기마다의 어느 것인가 1이상마다, 표시색을 변경해서 상기 유사율, 등록소요연수 또는 출원시기의 어느 것인가 1이상을 식별 표시하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프로그램.
  29. 키워드를 취득하는 키워드 취득수단과,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을 계수하는 계수수단과,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를 취득하는 총수취득수단과, 기술문헌의 수량과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와의 비율을 연산해서 유사율을 산출하는 유사율 산출수단과, 유사율을 표시수단, 기록수단, 또는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기술평가장치를 이용한 기술문헌평가방법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취득수단이,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를 취득하는 공정과,
    상기 계수수단이, 기술문헌을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모집단 중에서 상기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을 계수하는 공정과,
    상기 총수취득수단이,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를 취득하는 공정과,
    상기 유사율 산출수단이, 상기 계수한 소정의 키워드가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상기 취득한 모집단 중의 기술문헌의 총수와의 비율을 연산해서 유사율을 산출하는 공정과,
    상기 출력수단이, 상기 산출한 유사율을 표시수단, 기록수단, 또는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방법.
  30. 유사율을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특허정보의 설정등록건수를 취득하는 등록건수 취득수단과, 유사율과 특허정보의 설정등록건수를 관련되게 만들어서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한 기술평가장치를 이용한 기술평가방법에 있어서,
    유사율 취득수단이,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정보가 특허정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공정과,
    상기 등록건수 취득수단이, 상기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 설정등록되어 있는 특허정보의 설정등록건수를 취득하는 공정과,
    상기 표시수단이, 상기 취득한 유사율과, 상기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의 설정등록건수를 관련되게 만들어서 표시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방법.
  31. 유사율을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특허정보의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연산해서 등록소요연수를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유사율과 등록소요연수를 관련되게 만들어서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한 기술평가장치를 이용한 기술평가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사율 취득수단이,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정보가 특허정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공정과,
    상기 산출수단이, 상기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각각 연산해서 등록소요연수를 산출하는 공정과,
    상기 표시수단이, 상기 취득한 유사율과 상기 산출한 등록소요연수를 관련되게 만들어서 표시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방법.
  32. 유사율을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특허정보의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연산해서 등록소요연수를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상기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을 산출하는 표준편차 산출수단과,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상기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한 기술평가장치를 이용한 기술평가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사율 취득수단이,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정보가 특허정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공정과,
    상기 산출수단이, 상기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각각 연산해서 등록소요연수를 산출하는 공정과,
    상기 표준편차 산출수단이, 상기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상기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을 산출하는 공정과,
    상기 표시수단이, 상기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상기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을 표시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방법.
  33. 유사율을 출원시기마다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특허정보의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연산해서 등록소요연수를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유사율과 등록소요연수를 관련되게 만들어서 출원시기마다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한 기술평가장치를 이용한 기술평가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사율 취득수단이,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정보가 특허정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출원시기마다 취득하는 공정과,
    상기 산출수단이, 상기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출원부터 설정 등록까지의 연수를 각각 연산해서 등록소요연수를 산출하는 공정과,
    상기 표시수단이, 상기 취득한 유사율과 상기 산출한 등록소요연수를 관련되게 만들어서 출원시기마다 표시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방법.
  34. 유사율을 출원시기마다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특허정보의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연산해서 등록소요연수를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을 출원시기마다 산출하는 표준편차 산출수단과,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을 출원시기마다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한 기술평가장치를 이용한 기술평가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사율 취득수단이,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정보가 특허정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출원시기마다 취득하는 공정과,
    상기 산출수단이, 상기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각각 연산해서 등록소요연수를 산출하는 공정과,
    상기 표준편차 산출수단이, 상기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상기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을 출원시기마다 산출하는 공정과,
    상기 표시수단이, 상기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상기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을 출원시기마다 표시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방법.
  35. 유사율을 출원시기마다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특허정보의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연산해서 등록소요연수를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을 출원시기마다 산출하는 표준편차 산출수단과,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을 출원시기마다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장래의 표준편차 또는 장래의 등록소요연수 혹은 그 양쪽을 1차 외삽 또는 다차 외삽 연산으로 예측하는 예측수단을 구비한 기술평가장치를 이용한 기술평가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사율 취득수단이,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정보가 특허정보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출원시기마다 취득하는 공정과,
    상기 산출수단이, 상기 다수의 조사대상의 특허정보에 대해서 출원부터 설정등록까지의 연수를 각각 연산해서 등록소요연수를 산출하는 공정과,
    상기 표준편차 산출수단이, 상기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상기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을 출원시기마다 산출하는 공정과,
    상기 예측수단이, 상기 출원시기마다의 유사율의 표준편차 또는 상기 출원시기마다의 등록소요연수의 표준편차 혹은 그 양쪽에 기초하여 장래의 표준편차 또는 장래의 등록소요연수 혹은 그 양쪽을, 1차 외삽 또는 다차 외삽 연산으로 예측하는 공정과,
    상기 표시수단이, 장래의 유사율 또는 장래의 등록소요연수 혹은 그 양쪽을 표시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방법.
  36. 제33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기술평가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이, 상기 유사율의 대소마다, 등록소요연수의 대소마다, 또는 출원시기마다의 어느 것인가 1이상마다, 표시색을 변경해서 상기 유사율, 등록소요연수, 또는 출원시기의 어느 것인가 1이상을 식별 표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방법.
  37. 다수의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하여,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그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이 기술문헌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상기 기술문헌의 수량과 유사율에 기초하여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표준편차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한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에 기초하여 기술문헌을 유사율 값이 작은 것을 나타내는 영역, 또는 유사율이 큰 것을 나타내는 영역으로 구분하는 구분수단과,
    상기 산출한 기술문헌의 수량과 유사율과 구분한 영역을 관련되게 만들어서 표기하는 정보를, 표시수단, 기록수단, 또는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출력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장치.
  38. 다수의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그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이 기술문헌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상기 기술문헌의 수량과 유사율에 기초하여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표준편차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한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에 기초하여 기술문헌을 유사율 값이 작은 것을 나타내는 영역, 또는 유사율이 큰 것을 나타내는 영역으로 구분하는 구분수단과,
    상기 구분한 영역에 포함되는 기술문헌을, 유사율의 값의 순서로 표기하는 정보를, 표시수단, 기록수단, 또는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출력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장치.
  39. 다수의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그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이 기술문헌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상기 기술문헌의 수량과 유사율에 기초하여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표준편차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한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에 기초하여 기술문헌을 유사율 값이 작은 것을 나타내는 영역, 또는 유사율이 큰 것을 나타내는 영역으로, 기술문헌의 출원 또는 발표의 시기마다 구분하는 구분수단과,
    상기 구분한 영역에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을 출원 또는 발표의 시기마다 그래프에서 표기하는 정보를, 표시수단, 기록수단, 또는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출력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장치.
  40. 다수의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그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이 기술문헌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상기 기술문헌의 수량과 유사율에 기초하여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표준편차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한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에 기초하여 기술문헌을 유사율 값이 작은 것을 나타내는 영역, 및 유사율이 큰 것을 나타내는 영역으로 구분하는 구분수단과,
    상기 구분한 영역에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의 비율을 그래프에서 표기하는 정보를, 표시수단, 기록수단, 또는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출력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장치.
  41. 다수의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그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이 기술문헌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상기 기술문헌의 수량과 유사율에 기초하여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출하는 표준편차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한 유사율을 그 유사율의 평균치로 나누고, 다시 표준편차로 나누어서 규격화한 유사율 편차를 산출하는 규격화수단과,
    상기 산출한 유사율 편차를, 유사율의 표준편차에 기초한 다수 영역으로 구분하는 구분수단과,
    상기 유사율 편차의 구분을 일방의 축으로 하고, 기술문헌의 출원 또는 발표의 시기를 타방의 축으로 해서, 그 양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당해 기술문헌의 존재와 그 기술문헌의 수량을 크기로 나타내는 표의 표기정보를, 표시수단, 기록수단, 또는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출력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장치.
  42. 다수의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그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이 기술문헌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상기 기술문헌의 수량과 유사율에 기초하여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표준편차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한 유사율을 그 유사율의 평균치로 나누고, 다시 표준편차로 나누어서 규격화한 유사율 편차를 산출하는 규격화수단과,
    상기 산출한 유사율 편차를 일방의 축으로 하고, 기술문헌의 출원 또는 발표의 시기를 타방의 축으로 해서, 그 양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당해 기술문헌의 존재를 나타내는 표의 표기정보를, 표시수단, 기록수단, 또는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출력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장치.
  43. 유사율을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표준편차 산출수단과, 기술문헌을 유사율의 값의 크기에 따라 구분하는 구분 수단과, 기술문헌의 수량과 유사율과 구분한 영역을 관련지어서 표기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수단과, 상기 유사율 취득수단, 표준편차 산출수단, 구분수단 및 출력수단을 제어하는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술평가장치의 정보처리수단에 있어서 실행되는 기술평가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유사율 취득수단에서, 다수의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그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이 기술문헌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표준편차 산출수단에서, 기술문헌의 수량과 유사율에 기초하여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기능과,
    상기 구분수단에서, 산출한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에 기초하여 기술문헌을 유사율의 값이 작은 것을 나타내는 영역, 또는 유사율의 값이 큰 것을 나타내는 영역으로 구분하는 기능과,
    상기 출력수단에서, 산출한 기술문헌의 수량과 유사율과 구분한 영역을 관련지어서 표기하는 정보를, 표시수단, 기록수단, 또는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프로그램.
  44. 유사율을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표준편차 산출수단과, 기술문헌을 유사율의 값의 크기에 따라 구분하는 구분수단과, 기술문헌을 유사율의 값의 순서로 표기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수단과, 상기 유사율 취득수단, 표준편차 산출수단, 구분수단 및 출력수단을 제어하는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술평가장치의 정보처리수단에 있어서 실행되는 기술평가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유사율 취득수단에서, 다수의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그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이 기술문헌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표준편차 산출수단에서, 기술문헌의 수량과 유사율에 기초하여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기능과,
    상기 구분수단에서, 산출한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에 기초하여 기술문헌을 유사율의 값이 작은 것을 나타내는 영역, 또는 유사율의 값이 큰 것을 나타내는 영역으로 구분하는 기능과,
    상기 출력수단에서, 구분한 영역에 포함되는 기술문헌을, 유사율의 값의 순서로 표기하는 정보를, 표시수단, 기록수단, 또는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프로그램.
  45. 유사율을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표준편차 산출수단과, 기술문헌을 유사율의 값의 크기에 따라 구분하는 구분수단과, 기술문헌의 수량을 그래프에서 표기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수단과, 상기 유사율 취득수단, 표준편차 산출수단, 구분수단 및 출력수단을 제어하는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술평가장치의 정보처리수단에 있어서 실행되는 기술평가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유사율 취득수단에서, 다수의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그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이 기술문헌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표준편차 산출수단에서, 기술문헌의 수량과 유사율에 기초하여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기능과,
    상기 구분수단에서, 산출한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에 기초하여 기술문헌을 유사율의 값이 작은 것을 나타내는 영역, 또는 유사율의 값이 큰 것을 나타내는 영역으로, 기술문헌의 출원 또는 발표의 시기마다 구분하는 기능과,
    상기 출력수단에서, 구분한 영역에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을 출원 또는 발표의 시기마다 그래프에서 표기하는 정보를, 표시수단, 기록수단, 또는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프로그램.
  46. 유사율을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표준편차 산출수단과, 기술문헌을 유사율의 값의 크기에 따라 구분하는 구분수단과, 기술문헌의 수량의 비율을 그래프에서 표기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수단과, 상기 유사율 취득수단, 표준편차 산출수단, 구분수단 및 출력수단을 제어하는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술평가장치의 정보처리수단에 있어서 실행되는 기술평가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유사율 취득수단에서, 다수의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그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이 기술문헌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표준편차 산출수단에서, 기술문헌의 수량과 유사율에 기초하여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기능과,
    상기 구분수단에서, 산출한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에 기초하여 기술문헌을 유사율의 값이 작은 것을 나타내는 영역, 및 유사율의 값이 큰 것을 나타내는 영역으로 구분하는 기능과,
    상기 출력수단에서, 구분한 영역에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의 비율을 그래프에서 표기하는 정보를, 표시수단, 기록수단, 또는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프로그램.
  47. 유사율을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표준편차 산출수단과, 규격화한 유사율 편차를 산출하는 규격화수단과, 기술문헌을 유사율 편차의 값의 크기에 따라 구분하는 구분수단과, 기술문헌의 존재와 그 기술문헌의 수량을 크기로 나타내는 표의 표기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수단과, 상기 유사율 취득수단, 표준편차 산출수단, 규격화수단, 구분수단 및 출력수단을 제어하는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술평가장치의 정보처리수단에 있어서 실행되는 기술평가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유사율 취득수단에서, 다수의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그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이 기술문헌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표준편차 산출수단에서, 기술문헌의 수량과 유사율에 기초하여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기능과,
    상기 규격화수단에서, 산출한 유사율을 그 유사율의 평균치로 나누고, 다시 표준편차로 나누어서 규격화한 유사율 편차를 산출하는 기능과,
    상기 구분수단에서, 산출한 유사율 편차를 유사율의 표준편차에 기초한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기능과,
    상기 출력수단에서, 유사율 편차의 구분을 일방의 축으로 하고 기술문헌의 출원 또는 발표의 시기를 타방의 축으로 해서, 그 양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당해 기술문헌의 존재와 그 기술문헌의 수량을 크기로 나타내는 표의 표기정보를, 표시수단, 기록수단, 또는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프로그램.
  48. 유사율을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표준편차 산출수단과, 규격화한 유사율 편차를 산출하는 규격화수단과, 기술문헌을 유사율 편차의 값의 크기에 따라 구분하는 구분수단과, 기술문헌의 존재를 나타내는 표의 표기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수단과, 상기 유사율 취득수단, 표준편차 산출수단, 규격화수단, 구분수단 및 출력수단을 제어하는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술평가장치의 정보처리수단에 있어서 실행되는 기술평가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유사율 취득수단에서, 다수의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그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이 기술문헌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표준편차 산출수단에서, 기술문헌의 수량과 유사율에 기초하여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기능과,
    상기 규격화수단에서, 산출한 유사율을 그 유사율의 평균치로 나누고, 다시 표준편차로 나누어서 규격화한 유사율 편차를 산출하는 기능과,
    상기 구분수단에서, 산출한 유사율 편차를 유사율의 표준편차에 기초한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기능과,
    상기 출력수단에서, 산출한 유사율 편차를 일방의 축으로 하고 기술문헌의 출원 또는 발표의 시기를 타방의 축으로 해서, 그 양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당해 기술문헌의 존재를 나타내는 표의 표기정보를, 표시수단, 기록수단, 또는 송신수단의 어느 것인가 1 이상에 출력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프로그램.
  49. 유사율을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표준편차 산출수단과, 기술문헌을 유사율의 값의 크기에 따라 구분하는 구분수단과, 기술문헌의 수량과 유사율과 구분한 영역을 관련지어서 표기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기술평가장치를 이용한 기술평가방법에 있어서,
    유사율 취득수단이, 다수의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그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이 기술문헌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공정과,
    상기 표준편차 산출수단이, 기술문헌의 수량과 유사율에 기초하여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공정과,
    상기 구분수단이, 산출한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에 기초하여 기술문헌을 유사율의 값이 작은 것을 나타내는 영역, 또는 유사율의 값이 큰 것을 나타내는 영역으로 구분하는 공정과,
    상기 출력수단이, 산출한 기술문헌의 수량과 유사율과 구분한 영역을 관련지어서 표기하는 정보를, 표시수단, 기록수단, 또는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방법.
  50. 유사율을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표준편차 산출수단과, 기술문헌을 유사율의 값의 크기에 따라 구분하는 구분수단과, 기술문헌을 유사율의 값의 순서로 표기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기술평가장치를 이용한 기술평가방법에 있어서,
    유사율 취득수단이, 다수의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그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이 기술문헌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공정과,
    상기 표준편차 산출수단이, 기술문헌의 수량과 유사율에 기초하여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공정과,
    상기 구분수단이, 산출한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에 기초하여 기술문헌을 유사율의 값이 작은 것을 나타내는 영역, 또는 유사율의 값이 큰 것을 나타내는 영역으로 구분하는 공정과,
    상기 출력수단이, 구분한 영역에 포함되는 기술문헌을, 유사율의 값의 순서로 표기하는 정보를, 표시수단, 기록수단, 또는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방법.
  51. 유사율을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표준편차 산출수단과, 기술문헌을 유사율의 값의 크기에 따라 구분하는 구분수단과, 기술문헌의 수량을 그래프에서 표기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기술평가장치를 이용한 기술평가방법에 있어서,
    유사율 취득수단이, 다수의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그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이 기술문헌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공정과,
    상기 표준편차 산출수단이, 기술문헌의 수량과 유사율에 기초하여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공정과,
    상기 구분수단이, 산출한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에 기초하여 기술문헌을 유사율의 값이 작은 것을 나타내는 영역, 또는 유사율의 값이 큰 것을 나타내는 영역으로, 기술문헌의 출원 또는 발표의 시기마다 구분하는 공정과,
    상기 출력수단이, 구분한 영역에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을 출원 또는 발표의 시기마다 그래프에서 표기하는 정보를, 표시수단, 기록수단, 또는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방법.
  52. 유사율을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표준편차 산출수단과, 기술문헌을 유사율의 값의 크기에 따라 구분하는 구분수단과, 기술문헌의 수량의 비율을 그래프에서 표기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기술평가장치를 이용한 기술평가방법에 있어서,
    유사율 취득수단이, 다수의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그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이 기술문헌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공정과,
    상기 표준편차 산출수단이, 기술문헌의 수량과 유사율에 기초하여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공정과,
    상기 구분수단이, 산출한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에 기초하여 기술문헌을 유사율의 값이 작은 것을 나타내는 영역, 및 유사율의 값이 큰 것을 나타내는 영역으로 구분하는 공정과,
    상기 출력수단이, 구분한 영역에 포함되는 기술문헌의 수량의 비율을 그래프에서 표기하는 정보를, 표시수단, 기록수단, 또는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방법.
  53. 유사율을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표준편차 산출수단과, 규격화한 유사율 편차를 산출하는 규격화수단과, 기술문헌을 유사율 편차의 값의 크기에 따라 구분하는 구분수단과, 기술문헌의 존재와 그 기술문헌의 수량을 크기로 나타내는 표의 표기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기술평가장치를 이용한 기술평가방법에 있어서,
    유사율 취득수단이, 다수의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그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이 기술문헌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공정과,
    상기 표준편차 산출수단이, 기술문헌의 수량과 유사율에 기초하여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공정과,
    상기 규격화수단이, 산출한 유사율을 그 유사율의 평균치로 나누고, 다시 표준편차로 나누어서 규격화한 유사율 편차를 산출하는 공정과,
    상기 구분수단이, 산출한 유사율 편차를 유사율의 표준편차에 기초한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공정과,
    상기 출력수단이, 유사율 편차의 구분을 일방의 축으로 하고 기술문헌의 출원 또는 발표의 시기를 타방의 축으로 해서, 그 양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당해 기술문헌의 존재와 그 기술문헌의 수량을 크기로 나타내는 표의 표기정보를, 표시수단, 기록수단, 또는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방법.
  54. 유사율을 취득하는 유사율 취득수단과,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표준편차 산출수단과, 규격화한 유사율 편차를 산출하는 규격화수단과, 기술문헌을 유사율 편차의 값의 크기에 따라 구분하는 구분수단과, 기술문헌의 존재를 나타내는 표의 표기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기술평가장치를 이용한 기술평가방법에 있어서,
    유사율 취득수단이, 다수의 조사대상의 기술문헌 중에 포함되는 소정의 키워드에 대해서, 그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의 수량과, 그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술문헌이 기술문헌의 모집단 중에 존재하는 비율에 기초한 유사율을 취득하는 공정과,
    상기 표준편차 산출수단이, 기술문헌의 수량과 유사율에 기초하여 유사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공정과,
    상기 규격화수단이, 산출한 유사율을 그 유사율의 평균치로 나누고, 다시 표준편차로 나누어서 규격화한 유사율 편차를 산출하는 공정과,
    상기 구분수단이, 산출한 유사율 편차를 유사율의 표준편차에 기초한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공정과,
    상기 출력수단이, 산출한 유사율 편차를 일방의 축으로 하고 기술문헌의 출원 또는 발표의 시기를 타방의 축으로 해서, 그 양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당해 기술문헌의 존재를 나타내는 표의 표기정보를, 표시수단, 기록수단, 또는 송신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평가방법.
KR1020057012046A 2002-12-27 2003-12-26 기술평가장치, 기술평가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기술평가방법 KR1007447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81733 2002-12-27
JP2002381733 2002-12-27
JP2003393080A JP2005326897A (ja) 2003-10-21 2003-10-21 技術・知財評価装置及び技術・知財評価方法
JPJP-P-2003-00393080 2003-10-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924A true KR20050096924A (ko) 2005-10-06
KR100744703B1 KR100744703B1 (ko) 2007-08-02

Family

ID=32716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2046A KR100744703B1 (ko) 2002-12-27 2003-12-26 기술평가장치, 기술평가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기술평가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60122849A1 (ko)
EP (1) EP1582999A4 (ko)
KR (1) KR100744703B1 (ko)
AU (1) AU2003296141A1 (ko)
BR (1) BR0317764A (ko)
CA (1) CA2519238A1 (ko)
MX (1) MXPA05006991A (ko)
NZ (1) NZ541411A (ko)
RU (1) RU2341821C2 (ko)
WO (1) WO2004061714A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172B1 (ko) * 2008-02-25 2010-05-14 한국산업기술진흥원 기술가치 평가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053968B1 (ko) * 2009-12-15 2011-08-04 한국발명진흥회 특허 자동 평가 시스템의 특허 자동 평가 방법
KR101102467B1 (ko) * 2011-04-22 2012-01-05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기술 라이프 사이클을 이용한 단계 판단 장치 및 방법
KR101102468B1 (ko) * 2011-04-22 2012-01-05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기술의 발전 속도 예측 장치 및 방법
KR101102466B1 (ko) * 2011-04-22 2012-01-05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기술 추이 시각화 장치 및 방법
KR101118057B1 (ko) * 2009-12-15 2012-02-24 한국발명진흥회 특허 자동 평가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서의 평가 요소 정보 처리 방법
KR101334711B1 (ko) * 2011-06-30 2013-11-29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유망 연구주체 판단 시스템 및 방법
KR101334714B1 (ko) * 2011-06-30 2013-11-29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자질집합 확장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51264A (ko) * 2014-11-03 2016-05-1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업의 제품개발 전략을 벤치마킹하기 위한 제품그물망구축장치, 그 방법 및 기업의 제품개발 전략을 벤치마킹하는 제품그물망구축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매체
KR20180015696A (ko) * 2018-02-01 2018-02-13 이강하 통합 혁신형 창업 플랫폼 시스템
KR20190104745A (ko) * 2018-03-02 2019-09-1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이슈 관심도 기반의 뉴스 가치 평가 장치 및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WO2020122546A1 (ko) * 2018-12-12 2020-06-18 오종학 특허와 논문 데이터를 활용한 국가 및 기업들의 과학 기술력 진단 및 예측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4221195A1 (en) * 2003-03-17 2004-09-30 Intellectual Property Bank Corp. Enterprise value evaluation device and enterprise value evaluation program
DE102004053794A1 (de) * 2004-11-08 2006-06-01 Zanox.De Ag Verfahren und System zur Bewertung eines Objektes oder zum Beziehen von Information von Betreibern
WO2006112507A1 (ja) * 2005-04-20 2006-10-26 Intellectual Property Bank Corp. 調査対象文書の索引語抽出装置及び文書特徴分析装置
WO2006115227A1 (ja) * 2005-04-21 2006-11-02 Intellectual Property Bank Corp. 調査対象文書の索引語抽出装置
WO2006115228A1 (ja) * 2005-04-21 2006-11-02 Intellectual Property Bank Corp. 調査対象文書の索引語抽出装置、性格表現図、及び文書特徴分析装置
KR20080005208A (ko) * 2005-04-25 2008-01-10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피.비. 정보해석 보고서 자동 작성 장치, 정보해석 보고서 자동작성 프로그램 및 정보해석 보고서 자동 작성 방법
US7949581B2 (en) * 2005-09-07 2011-05-24 Patentratings, Llc Method of determining an obsolescence rate of a technology
US7716226B2 (en) 2005-09-27 2010-05-11 Patentratings, Llc Method and system for probabilistically quantifying and visualizing relevance between two or more citationally or contextually related data objects
US20070073625A1 (en) * 2005-09-27 2007-03-29 Shelton Robert H System and method of licensing intellectual property assets
JP4837989B2 (ja) * 2005-12-26 2011-12-14 株式会社野村総合研究所 文献情報分析装置及び文献情報分析方法
US20080097773A1 (en) * 2006-02-06 2008-04-24 Michael Hill Non-disclosure bond for deterring unauthorized disclosure and other misuse of intellectual property
JP4635891B2 (ja) * 2006-02-08 2011-02-2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776187B1 (ko) * 2006-06-20 2007-11-1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술평가방법
JP5142509B2 (ja) * 2006-10-31 2013-02-13 株式会社東芝 文書作成支援装置、文書作成支援システム
JP4344813B2 (ja) * 2006-11-02 2009-10-14 株式会社パテント・リザルト 特許評価装置
JP5357767B2 (ja) * 2006-11-29 2013-12-04 オーシャン トモ エルエルシー 無形資産デリバティブを取引するマーケットプレイスおよび無形資産デリバティブを取引する方法
US8065307B2 (en) * 2006-12-20 2011-11-22 Microsoft Corporation Parsing, analysis and scoring of document content
JP5273840B2 (ja) * 2007-06-22 2013-08-28 一郎 工藤 特許力算出装置及び特許力算出装置の動作方法
US11461785B2 (en) * 2008-07-10 2022-10-04 Ron M. Redlich System and method to identify, classify and monetize information as an intangible asset and a production model based thereon
JP5326387B2 (ja) * 2008-07-10 2013-10-30 富士通株式会社 経過情報出力方法および経過情報出力プログラム
US20110270826A1 (en) * 2009-02-02 2011-11-03 Wan-Kyu Cha Document analysis system
US9110971B2 (en) * 2010-02-03 2015-08-18 Thomson Reuters Global Resources Method and system for ranking intellectual property documents using claim analysis
RU2452018C1 (ru) * 2011-05-16 2012-05-27 Учреждение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Институт проблем управления им. В.А. Трапезникова РАН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ценки выполнения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х и опы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их работ
US20120317040A1 (en) * 2011-06-08 2012-12-13 Entrepreneurial Innovation, LLC. Patent Value Prediction
US20140180934A1 (en) * 2012-12-21 2014-06-26 Lex Machin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Non-Textual Information In Analyzing Patent Matters
US9430739B2 (en) 2013-12-19 2016-08-30 Praedicat, Inc. Determining general causation from processing scientific articles
RU2541859C1 (ru) * 2014-03-14 2015-02-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Институт проблем управления им. В.А. Трапезникова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ценки экономической эффективности процесса управления сложными системами
JP6354284B2 (ja) * 2014-04-22 2018-07-11 株式会社カネカ パテンタビリティ評価装置
WO2015190485A1 (ja) * 2014-06-10 2015-12-17 アスタミューゼ株式会社 知的財産権の評価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6065297B2 (ja) * 2015-06-10 2017-01-25 株式会社フォーカルワークス 特許評価装置および発明者評価装置
US10832360B2 (en) * 2015-10-20 2020-11-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alue scorer in an automated disclosure assessment system
CN106157197A (zh) * 2016-08-01 2016-11-23 广东智动力知识产权运营有限公司 上市公司专利信息的分析方法和装置
CN106372242A (zh) * 2016-09-19 2017-02-01 合肥清浊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相似专利技术分析方法
EP3333728A1 (en) * 2016-12-12 2018-06-13 Tata Consultancy Service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research literature for strategic decision making of an entity
CN108764546B (zh) * 2018-05-17 2021-04-13 鞍山师范学院 一种基于学术大数据的论文影响力预测方法
CN109213855A (zh) * 2018-09-12 2019-01-15 合肥汇众知识产权管理有限公司 基于专利撰写的文献标记方法
US10585990B1 (en) 2019-03-15 2020-03-10 Praedicat, Inc. Live updating visualization of causation scores based on scientific article metadata
KR20230057114A (ko) * 2021-10-21 2023-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기술 문서 데이터 베이스를 통한 키워드 도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4305A (ja) * 1992-10-12 1994-05-06 Hitachi Ltd 文書検索方法
JP3023943B2 (ja) * 1993-07-29 2000-03-21 富士通株式会社 文書検索装置
US5915249A (en) * 1996-06-14 1999-06-22 Excite, Inc. System and method for accelerated query evaluation of very large full-text databases
JPH1115848A (ja) * 1997-06-26 1999-01-22 Sharp Corp 情報分類装置、文書情報分類方法及び同方法の実行に用いる記録媒体
KR100429145B1 (ko) * 1999-12-18 2004-04-28 주식회사 포스코 기술가치 평가방법
US7660819B1 (en) * 2000-07-31 2010-02-09 Alion Science And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for similar document detection
JP2002073643A (ja) * 2000-09-01 2002-03-12 Toshiba Systems Development Co Ltd 文書分類システム
JP2002092228A (ja) * 2000-09-13 2002-03-29 Patolis Corp 特許技術力評価方法及び同システム
JP3625054B2 (ja) * 2000-11-29 2005-03-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技術文書検索装置
KR20010035256A (ko) * 2001-01-29 2001-05-07 이귀영 인터넷 웹 평가 모델을 이용한 기술가치 평가 방법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172B1 (ko) * 2008-02-25 2010-05-14 한국산업기술진흥원 기술가치 평가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118057B1 (ko) * 2009-12-15 2012-02-24 한국발명진흥회 특허 자동 평가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서의 평가 요소 정보 처리 방법
KR101053968B1 (ko) * 2009-12-15 2011-08-04 한국발명진흥회 특허 자동 평가 시스템의 특허 자동 평가 방법
WO2012144683A1 (ko) * 2011-04-22 2012-10-26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유망 기술 라이프 사이클을 이용한 유망 단계 판단 장치 및 방법
US8341170B2 (en) 2011-04-22 2012-12-2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visualizing technology change
KR101102468B1 (ko) * 2011-04-22 2012-01-05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기술의 발전 속도 예측 장치 및 방법
US8280841B1 (en) 2011-04-22 2012-10-02 Korea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tage judgment using of technology life cycle
WO2012144685A1 (ko) * 2011-04-22 2012-10-26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기술 추이 시각화 장치 및 방법
KR101102467B1 (ko) * 2011-04-22 2012-01-05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기술 라이프 사이클을 이용한 단계 판단 장치 및 방법
WO2012144684A1 (ko) * 2011-04-22 2012-10-26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기술의 발전 속도 예측 장치 및 방법
KR101102466B1 (ko) * 2011-04-22 2012-01-05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기술 추이 시각화 장치 및 방법
KR101334711B1 (ko) * 2011-06-30 2013-11-29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유망 연구주체 판단 시스템 및 방법
KR101334714B1 (ko) * 2011-06-30 2013-11-29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자질집합 확장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51264A (ko) * 2014-11-03 2016-05-1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업의 제품개발 전략을 벤치마킹하기 위한 제품그물망구축장치, 그 방법 및 기업의 제품개발 전략을 벤치마킹하는 제품그물망구축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매체
KR20180015696A (ko) * 2018-02-01 2018-02-13 이강하 통합 혁신형 창업 플랫폼 시스템
KR20190104745A (ko) * 2018-03-02 2019-09-1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이슈 관심도 기반의 뉴스 가치 평가 장치 및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WO2020122546A1 (ko) * 2018-12-12 2020-06-18 오종학 특허와 논문 데이터를 활용한 국가 및 기업들의 과학 기술력 진단 및 예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5123812A (ru) 2006-01-27
KR100744703B1 (ko) 2007-08-02
NZ541411A (en) 2007-08-31
BR0317764A (pt) 2006-02-21
WO2004061714A1 (ja) 2004-07-22
AU2003296141A1 (en) 2004-07-29
EP1582999A1 (en) 2005-10-05
CA2519238A1 (en) 2004-07-22
US20060122849A1 (en) 2006-06-08
MXPA05006991A (es) 2005-09-30
RU2341821C2 (ru) 2008-12-20
EP1582999A4 (en) 2008-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4703B1 (ko) 기술평가장치, 기술평가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기술평가방법
Romanus et al. Auditor industry specialization, auditor changes, and accounting restatements
JP4018722B2 (ja) 企業評価装置並びに企業評価プログラム
EP1783678A1 (en) Device for specifying company evaluation contribution factor and/or index, specifying program, and specifying method
Klein et al. How do executives exercise their stock options?
US8930254B2 (en) Financial methodology to valuate and predict the news impact of major events on financial instruments
Wei et al. Informativeness of the market news sentiment in the Taiwan stock market
KR20060096432A (ko) 기업평가 장치 및 기업평가 프로그램
Mbithi et al. Corporate risk disclosure: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future research agenda
Fieberg et al. Machine learning in accounting research
Ngoc Hung et al.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financial statements from an audit point of view: A machine learning approach
WO2005041094A1 (ja) 企業評価装置並びに企業評価プログラム
Liu Tax aggressiveness and the proportion of quantitative information in income tax footnotes
Karim et al. Using linguistics to mine unstructured data from FASB exposure drafts
JPWO2004061714A1 (ja) 技術評価装置、技術評価プログラム、技術評価方法
Pei Accounting Qualitative Information in Conference Calls and Future Earnings.
Eickhoff What do they mean? Using Media Richness as an Indicator for the Information Value of Stock Analyst Opinion regarding post-earnings Firm Performance
Chu et al. Product Market Competition and Disclosure Content Differentiation
Viswanath Quantification of Human Resources: A Sys-tematic Review of HR Accounting in India
Mediawati et al. A BIBLIOMETRIC ANALYSIS OF THE TERM “ISLAMIC SOCIAL REPORT”: RESEARCH CLASSIFICATION, RESEARCH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Shih et al. Construction of classification models for credit policies in banks
Cullinan et al. Costs associated with exit or disposal activities: A topic modeling investigation of disclosure and market reaction
Maharana et al. Exploring the landscape of corporate tax reforms: A comprehensive bibliometric analysis
Bergsland et al. Transparency and its relation to sustainability performance: aA textual mining approach to sustainability performance of mutual funds and disclosure in underlying companies
Lacomb et al. The house that fraud bui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