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5696A - 통합 혁신형 창업 플랫폼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합 혁신형 창업 플랫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5696A
KR20180015696A KR1020180013108A KR20180013108A KR20180015696A KR 20180015696 A KR20180015696 A KR 20180015696A KR 1020180013108 A KR1020180013108 A KR 1020180013108A KR 20180013108 A KR20180013108 A KR 20180013108A KR 20180015696 A KR20180015696 A KR 20180015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vestment
funding
ratio
bi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6995B1 (ko
Inventor
이강하
안홍덕
Original Assignee
이강하
안홍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하, 안홍덕 filed Critical 이강하
Priority to KR1020180013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995B1/ko
Publication of KR20180015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5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2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2219Large Object storage; Management thereof
    • G06F17/3031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echnology Law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안에서 펀딩 및 제품의 생산과 평가 등에 이르는 창업의 일련의 과정에서 지원 및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창업생태계를 활성화할 수 있는 통합형 혁신 창업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서, 후원형모델과 투자형모델을 융합하여 하나의 플랫폼으로 구성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창업플랫폼에서 보다 폭넓고 다양한 기회를 얻을 수 있으면서 성장 가능한 제안사항을 객관적으로 선별하여 확실하고 효율적인 투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통합 혁신형 창업 플랫폼 시스템{INTEGRATED INNOVATIVE PLATFORM SYSTEM FOR ESTABLISHING A BUSINESS}
본 발명은 벤처기업의 투자유치 및 창업지원 시스템에 관련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안에서 펀딩 및 제품의 생산 등에 이르는 창업의 일련의 과정에서 지원 및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창업생태계를 융합하여 창출하고 활성화할 수 있는 통합형 혁신 창업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창업에 대한 열기가 증가하고 소자본의 사업 모델이 증가함에 따라 창업의 수는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스타트업(Start-up)이란 설립한지 오래되지 않은 신생 벤처기업을 의미하는 것으로 혁신적 기술과 아이디어를 보유한지 얼마 되지 않은 창업기업으로서 대규모 자금을 조달하기 이전 단계라는 점에서 엄격한 의미로는 벤처와 구별 사용되고 있다.
2015년 현재 OECD의 보고서에 따르면 스타트업이 중견기업으로 성장하는 비율은 3%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한국 벤처기업이 창업단계 이후에 생존하는 확률은 41% 수준으로 조사 대상의 OECD 회원국 중 최하위인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소규모의 창업단계에서는 상장사와는 달리 기업의 정보가 제대로 노출되기 어렵고, 이는 투자자들이 회사정보를 획득하지 못하여 적절하게 투자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결과로 이어진다. 또한, 사업 아이템 선정과 검토가 체계적이지 못하고 진행과정이나 성과물에 대한 피드백도 적절하고 충분하게 제공되지 않아 사업의 지속성과 신뢰성이 낮기 때문에 투자의 유치가 점점 어려워지는 실정이다.
한편, 개인이나 소규모 창업단계의 기업의 경우 경험과 지식이 부족하여 경영관리 및 경영활동에 대한 정보화 수준이 열악한 데에서도 창업성공율이 낮은 원인을 찾아볼 수 있다.
최근에는 경험과 지식이 부족한 창업단계의 기업들에 온라인을 이용하여 창업 및 경영에 대한 지원을 해주는 모델들이 제안되어 서비스되고 있다.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창업단계의 벤처기업들이 투자를 받는 방법에 대해 다양한 모델들이 제시되어 있는데, 펀딩방식에 따라 기부형, 후원형, 대출투자형, 지분투자형 모델로 구분해볼 수 있다.
기부형 모델의 경우 자금적 어려움이 있는 개인이나 스타트업기업에 대해 증여와 같은 방식으로 자금을 지급하는 것이며 보상이 없는 투자를 전제로 한다.
후원형 모델의 경우 제품, 공연 또는 서비스 등의 대상에 대해 펀딩한 금액에 따라 소정의 보상을 제품의 지급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하는 방식을 말하며 대표적으로 킥스타터(Kick Starter)가 알려져있다.
대출투자형 모델의 경우 희망금리 제시를 통해서 역경매 방식의 투자가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투자에 대한 보상이 금리의 지급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비교적 신용도가 낮은 개인이나 기업이 활용하고 있다.
지분투자형 모델의 경우 투자자가 지분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투자를 하는 것을 말하며 지분을 확보하는 방식은 지분증권, 채무증권, 투자계약증권 등을 받는 방식이 사용된다. 대표적으로 와이콤비네이터(Ycombinator)가 이러한 방식을 통하여 투자를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상기 모델들의 경우 단순 투자의 유치에 중점을 둔 방식으로서 종래의 창업실패율의 원인을 그대로 내포하고 있다. 후원자 또는 투자자의 경우 상당히 제한된 기업정보를 가지며 객관적으로 신뢰성 있는 가치지표들의 획득이 사실상 어렵고, 사업의 진행과정에 있어서도 마일스톤(Milestone)과 같은 피드백을 정확하고 적절하게 제공받지 못하여 그 정보들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문제를 가진다. 창업 기업의 입장에서도 사업 아이템의 혁신성보다는 노출정도에 따라 투자유치에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그 노출의 기회조차도 낮기 때문에 원활한 자금의 유치가 어려운 문제를 가진다.
더군다나, 특히 후원형 모델과 같은 경우 단발성에 그치기 때문에 벤처의 창업과 연속성이라는 부분에서 한계를 가지며, 지분투자형 모델의 경우 그 투자 대상이 엄격하기 때문에 생존확률은 높으나 창업에 이르는 수가 상당히 제한적인 한계를 가지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3-0032532호는 인터넷을 통한 창업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공개하고 있으며, 도 1은 이에 대한 블록도이다.
상기 창업지원 시스템은 운영사서버(400)가 인터넷(1)등 소정 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회원사서버(100 : 100 1 ~100m ) 및 이용자컴퓨터(200 : 200 1 ~200n ), 그리고 은행망(300)과 접속되어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맹점 개설안내와 관련된 소정 회원사정보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랜차이즈사측 회원사 서버와 개인 투자자가 이용하는 이용자 컴퓨터 및 은행망에 소정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어 개인 투자자에게 창업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사 서버를 구비하고, 상기 운영사 서버는 상기 회원사 서버, 이용자 컴퓨터 및 은행망에 각각 통신접속되어 데이터송수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접속수단과, 적어도 하나의 프랜차이즈사를 회원사로 가입받아 상기 회원사 정보를 전송받으며, 개인 투자자를 창업회원으로 가입받기 위한 회원정보 처리수단과, 동일한 회원사를 창업투자대상으로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창업 회원을 창업그룹으로 등록하기 위한 창업정보 처리수단과, 상기 창업 그룹의 투자에 따라 개설된 가맹점의 매출금/손익금정보를 포함한 영업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영업정보 처리수단 및 상기 은행망과 연동되어 상기 창업 그룹의 소속 창업회원에게 해당 가맹점의 운영손익에 따른 배당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배당처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개선된 창업지원방법도 단순 투자의 유치를 목적으로 하고 있어 상기된 정보의 신뢰성과 창업기업의 지속성에 대한 문제를 그대로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종래기술의 펀딩모델의 한계를 극복하여 객관적인 지표를 통하여 선별과 노출을 결정하고, 투자자가 투자유치단계와 기업활동 과정에서 적절한 정보를 연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 지속적인 창업벤처의 육성이 가능한 통합 혁신형 창업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외부 빅데이터서버(5200), 제안자단말(5400) 및 투자자단말(5500)에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연결되는 통신부(4000); 타겟투자자에게 제안된 후원제안사항을 선별하여 노출하며 후원금을 유치하는 제1펀딩부(1100)와, 후원금 총액의 목표후원금 달성여부 판단을 통하여 후원의 지속여부를 결정하는 제1펀딩판단부(1200)와, 수수료 또는 이익을 분배하거나 환불하는 제1빌링부(1300)로 구성되는 후원형시스템(1001); 상기 후원형시스템에서 안출된 제품 및/또는 서비스의 결과물에대하여 투자자단말로부터 평가정보를 수신하여 후원형모델에서 투자형모델로의 전환여부를 결정하는 평가부(1400); 및 상기 평가부의 판단에 따라 투자제안사항을 선별하여 노출하며 투자금을 유치하는 제2펀딩부(2100)와, 투자금 총액의 목표투자금 달성여부 판단을 통하여 창업단계의 중단, 투자금 또는 직접지원자금의 투입을 결정하는 제2펀딩판단부(2200)와, 수익에 대한 배분비율을 결정하고 수익비율을 설정하거나 환불하는 제2빌링부(2300)와, 투자지원 여부 및 방식을 판단하는 창업판단부(2400)로 구성되는 투자형시스템(2001);을 포함하는 통합 혁신형 창업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투자금의 유치 및 관리와 아이템의 개발을 금융 및 빅데이터 관련 기업들과 공유하고 통합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장성이 우수한 창업플랫폼을 제공한다.
상기 제1펀딩부의 기능 수행 이후 평가부 판단 이전 단계 및 제1펀딩부의 기능 수행 이후 창업판단부에 의한 판단 이전까지 제안자단말로부터 입력된 마일스톤을 투자자단말로 제공하는 마일스톤관리부(3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취득의 정확성과 확실성이 향상되며 피드백에 의한 만족도가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제1펀딩부 및 제2펀딩부는, 외부 빅데이터서버로부터 수집된 빅데이터들을 기초로 제안사항에 대한 매칭 및 순위결정을 하여 타겟투자자에게 선별된 제안사항을 노출하도록 하는 펀딩관리부와, 결제서버와 연결되어 각각의 투자자단말로부터 후원금 또는 투자금을 유치하는 펀딩모집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펀딩관리부는, 외부 빅데이터서버로부터 검색이력, 구매이력, 해시태그를 포함하는 빅데이터를 수집하는 외부빅데이터수집부와, 내부 서버의 검색이력, 펀딩이력, 선호도를 포함하는 내부빅데이터를 수집하는 내부빅데이터수집부와, 상기 외부 빅데이터와 내부빅데이터의 영향순위에 따라 노출순위와 빈도를 결정하는 필터링 및 순위결정부와, 각 투자자단말에 노출순위에 따라 제안사항을 노출하는 노출부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빌링부는, 제1펀딩판단부에서 설정된 목표후원금을 기준으로 제안자수수료(b12)와 관리자수수료(c12)를 분배하는 수수료분배부(1330)와, 목표후원금의 초과금에 대하여 후원자포인트(a11)과 제안자적립금(b11)을 분배하는 순이익분배부(1320)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자원분배의 만족도가 향상된다.
상기 제2빌링부는, 투자금 총액에 대하여 제안자기본비율(b21)을 기준으로 제안자 지분비율을 설정하고 그 나머지에 대하여 투자자비율(a21)을 배분하는 비율설정부(232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비율설정부는, 제1빌링부의 목표후원금의 초과금에 대한 제안자적립금의 투자금 총액에 대한 비율을 제안자기본비율에 가산하여 제안자 지분비율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평가부는, 펀딩항목, 신뢰도항목 및 선호도항목을 인자로 투자형모델로의 전환을 판단하도록 하는 정량평가부(1410)와, 후원자평가항목 및 관리자평가항목을 인자로 투자형모델로의 전환을 판단하도록 하는 정성평가부(142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량평가부는, 외부 빅데이터에서 후원제안사항 관련 키워드가 다른 후원제안사항 키워드에 비하여 검색결과가 적은 경우 혁신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하는 혁신성항목을 추가적인 인자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업판단부는, 투자제안사항에 대한 프리젠테이션의 관리와 평가를 수행하는 PT관리부(2410)와, 제2빌링부에 의하여 배분비율이 결정된 이후에 투자지원 여부를 판단하는 지원판단부(24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원판단부는, 제2펀딩판단부에서 목표투자금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와, PT관리부에서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지 않는 경우 직접지원금의 투입 여부를 추가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후원형모델과 투자형모델을 융합하여 하나의 플랫폼으로 구성하고, 이에 더 나아가 벤처캐피탈로서의 기능도 일부 수행할 수 있어 제안자 입장에서는 하나의 창업플랫폼에서 보다 폭넓고 다양한 기회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장점은 성장 가능한 제안사항에 대하여 확실하고 효율적인 투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 창업의 성공률을 향상하고 리스크를 저감할 수 있는 효과로 이어진다.
또한, 크라우드 펀딩 형태의 융합을 통하여 자본력이 크지 않은 대중에게 빅데이터를 통하여 최적화하여 접근하고 보다 가능성이 높은 수익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중의 만족감과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제서버를 제공하는 카드사, 캐피탈 등의 금융기관과, 검색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포털사이트 및 국가산하기관 등과의 연계를 통하여 하나의 플랫폼으로서 다양한 업종의 기관들을 융합하여 창업지원플랫폼을 형성함으로써 상호 간의 시너지가 향상되고 새로운 시장과 수익이 창출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인터넷을 통한 창업지원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통합 혁신형 창업 플랫폼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펀딩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펀딩관리부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제1빌링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2의 제2빌링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통합 혁신형 창업 플랫폼 시스템에서 제1빌링부 및 제2빌링부에 의하여 분배와 비율 설정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통합 혁신형 창업 플랫폼 시스템에서 평가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통합 혁신형 창업 플랫폼 시스템에서 창업판단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통합 혁신형 창업 플랫폼 시스템에 의한 창업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합 혁신형 창업 플랫폼 시스템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후원금을 유치 및 분배하는 후원형시스템과, 투자금을 유치하고 배분비율을 설정하는 투자형시스템과, 상기 후원형 시스템의 평가에 따라 투자형시스템으로의 전환 여부를 판단하는 평가부를 포함하는 통합 혁신형 창업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한다.
후원금과 투자금이란 넓은 의미에서 후술될 펀딩에 의하여 유치된 자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그보다 좁은 의미로써 수익의 배당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금전을 후원금으로 정의하며, 소정의 수익배분비율에 따라 수익 및/또는 원금을 회수하기 위한 목적의 금전을 투자금으로 정의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다만, 상기 후원금에서는 소정의 제품 제공이나 적립금 제공 등의 비금전적인 보상을 배제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투자자란 후원금의 제공자 및 투자금의 제공자를 각각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제안자는 후원형시스템 또는 투자형시스템에서 창업 아이템을 제안하고 시제품 개발이나 제품 및/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또는 개인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후원형시스템과 투자형시스템이 융합된 형태로서 시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후원금을 유치하고 소정의 목적 달성시 이를 창업단계로 도입될 수 있도록 투자금 유치 및 수익배분율의 설정을 위한 투자형시스템으로의 전환 여부를 평가부에서 판단함으로써 후원모델과 창업모델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하나의 플랫폼에서 효과적으로 벤처아이템이 발굴되고 창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아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후술될 각각의 서버 및 부들은 독립적이고 분리된 장치로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나의 정보처리모듈에서 프로그래밍된 알고리즘을 통하여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통합 혁신형 창업 플랫폼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타겟투자자에게 제안된 후원제안사항을 선별하여 노출하며 후원금을 유치하는 제1펀딩부(1100)와, 후원금 총액의 목표후원금 달성여부 판단을 통하여 후원의 지속여부를 결정하는 제1펀딩판단부(1200)와, 수수료 또는 이익을 분배하거나 환불하는 제1빌링부(1300)로 구성되는 후원형시스템(1001)과, 상기 후원형시스템에서 안출된 제품 및/또는 서비스의 결과물을 평가하고 창업의 지속여부를 결정하는 평가부(1400)와, 상기 평가부의 지속 결정에 따라 후원형시스템의 제안자에 의한 투자제안사항을 선별하여 노출하며 투자금을 유치하는 제2펀딩부(2100)와, 투자금 총액의 목표투자금 달성여부 판단을 통하여 창업단계의 중단, 투자금 또는 직접지원자금의 투입을 결정하는 제2펀딩판단부(2200)와, 수익에 대한 배분비율을 설정하거나 환불하는 제2빌링부(2300)와, 창업의 투자방식을 판단하는 창업판단부(2400)로 구성되는 투자형시스템(2001)을 포함하는 창업플랫폼(1000)을 제공한다.
창업플랫폼(1000)은 소정의 네트워크망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빅데이터서버(5200), 제안자단말(5400), 투자자단말(5500) 등과 통신부(4000)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4000)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여 웹상에서 정보를 구현하는 서버 또는 서버와 연결되는 네트워크수단일 수 있으며, 와이파이나 3G, 4G, LTE와 같은 이동통신망 등의 다양한 방식을 통하여 제안자단말(5400) 및 투자자단말(5500)과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데, 최근에는 스마트폰이 대중화됨에 따라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하여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고, 이메일을 통하여 각 단말로부터 접속할 수도 있음은 물론, 종래의 통신망을 이용한 SNS나 MMS를 통하여 접속할 수도 있으므로, 상기 통신부(4000)는 인터넷상의 웹을 통한 정보의 입출력을 위한 장치만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단말은 개인용컴퓨터, 모바일단말기나 스마트영상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모바일단말기로서 휴대가 가능한 스마트폰이나 PDA, 노트북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들을 의미하며, 스마트영상장치는 화상으로 정보를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영상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종류의 통신수단 및 네트워크 연결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후술될 바와 같이, 창업플랫폼(1000)이 하나 이상의 제안자단말(5400), 투자자단말(5500), 빅데이터서버(5200)와의 상호 관련을 통하여 정보를 취합하여 분석하고 노출하며 후원금 또는 투자금을 유치하고 분배할 수 있도록 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투자금의 유치를 위한 펀딩부와 이의 배분 드을 위한 빌링부는 다양한 방식의 결제처리방식을 통하여 자금을 관리한다. 따라서, 창업플랫폼(1000)은 자체로서 결제처리가 가능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온라인 카드결제, 간편계좌이체, 모바일 소액결제, 앱카드, 모바일 전자결제시스템(삼성페이, 카카오페이, 애플페이...) 등의 다양한 결제수단이 등장함에 따라 외부에서 결제시스템을 구성하는 결제서버(5300)에 연결될 수 있다.
후원형시스템(1001)은 제안자에게 후원금을 유치하여 분배하고 이를 통하여 소정의 서비스 또는 제품을 제공하는데, 이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제1펀딩부(1100)는 플랫폼 시스템 내부 또는 외부의 정보를 통하여 후원제안사항인 제품 또는 서비스 아이템을 최적의 투자자에게 노출하고 후원금을 모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노출의 적절성을 위하여 투자자 개인, 더욱 정확하게는 투자자단말(5500)들에서 이루어지는 검색이력이나 선호도 등의 빅데이터들을 수집하여 제안 아이템과 매칭을 수행하도록 하여 투자의 가능성이 높은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선별된 제안 아이템을 노출한다. 이러한 빅데이터의 수집 및 노출과 관련하여서는 후술한다.
각 투자자단말(5500)에서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페이지를 통하여 후원금의 지급이 투자자의 선택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소정의 결제서버(5300)를 통하여 각 제안자에 해당되는 투자자별로 후원금이 적립된다. 따라서, 각각의 제안자 및 제안 아이템별로 후원형 식별코드가 부여되어 후원금이 각각의 식별번호 별로 누적될 수 있다.
각각의 제안자 식별코드, 후원형 식별코드, 투자자 식별코드 등은 데이터베이스(3200)에 저장되며 각각의 후원제안사항별로 별도의 저장경로가 구성되어 후술될 바와 같은 제안이력, 후원이력, 진행현황, 마일스톤제공사항, 분배이력, 검색이력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화의 개념은 후술될 투자형시스템에도 적용 또는 준용될 수 있다.
제1펀딩판단부(1200)는 목표후원금을 설정하여 이에 미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후원형모델의 지속 여부를 판단하며, 목표후원금을 미달한 경우 후원형모델을 종료하고, 후원금에 도달하거나 이를 초과한 경우 지속하도록 함으로써 제품 또는 서비스의 제작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목표후원금에 도달한 경우 제1빌링부(1300)는 후원금총액을 분배하여 지급하거나 할당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빌링부(1300)에 의한 후원금의 분배가 완료되면 제안자단말(5400)에서 지속적으로 제품이나 서비스의 개발 및 제공여부와 진행현황을 피드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창업플랫폼(1000)은 마일스톤관리부(3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일스톤관리부(3100)는 제안자단말(5400)로부터 진행상황에 대한 보고를 수집하고 관리자가 이를 확인 및 승인한 이후에 투자자단말(5500)에 노출할 수 있도록 하며, 여기서 마일스톤(Milestone)이란 주로 제품개발이나 기술개발에 대한 것을 포함하나 경영진 또는 비용에 관한 사항 등의 다양한 사건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마일스톤관리부(3100)는 제품 또는 서비스의 최종 공급 또는 최종 피드백의 이전 단계까지 지속적 및/또는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투자자의 불안감이나 정보획득의 불확실성을 해소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제품 또는 서비스의 최종적인 제공이 완료되면 평가부(1400)에서는 투자자단말(5500)로부터 평가정보를 수신하고 소정의 평가알고리즘에 따라 투자형모델로의 전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평가부(1400)는 제안된 창업아이템에 대한 후원형시스템(1001)으로부터 투자형시스템(2001)의 전환을 위한 판단을 수행하며, 이러한 평가는 관리자의 주관에 따라 이루어지는 경우도 고려해볼 수 있으나 소정의 정형화된 알고리즘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정량평가와 정성평가의 평가방법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정량평가에는 후원금에 대한 사항과, 납기나 마일스톤에 관한 사항 및 기타 빅데이터로서 제공될 수 있는 소정의 피드백 정보들을 인자로 할 수 있으며, 정성평가에서는 투자자단말(5500)로부터 수신되는 피드백이나 설문조사 또는 시스템 관리자로부터 평가되는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8의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투자형시스템(2001)에서는 제안된 창업 아이템인 투자제안사항에 대하여 투자를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소정의 비율로써 투자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후원형시스템(1001)에서는 단발성이며 일종의 선주문 형태의 개별 아이템에 대한 후원이 이루어졌다면, 투자형시스템(2001)에서는 벤처기업으로서 창업할 수 있도록 투자유치를 수행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가짐에 유의하여야 한다.
여기서 투자형시스템(2001)에 제공되는 투자제안사항은 후원형시스템(1001)에서의 후원제안사항이 그대로 활용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으나, 후술될 바와 같이 본격적으로 창업을 개시하면서 투자가 이루어지고 수익비율이 할당된다는 점에서 투자제안사항이 별도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투자제안사항은 후원제안사항을 기초로 하며, 이와 동일하거나 투자자단말(5500)로부터 수신된 평가결과를 기초로 개선된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아이템일 수 있다.
이에, 선별 및 분류부(2010)는 투자제안사항에 대하여 기초적인 선별 및 분류를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선별되어 분류된 투자제안사항은 데이터베이스(3200)에 별도의 투자형 식별코드로 분류되어 관리될 수 있다.
제2펀딩부(2100)는 플랫폼 시스템 내부 또는 외부의 정보를 통하여 제안 아이템을 적절한 투자자에게 노출하고 투자금을 유치하며, 노출의 적절성을 위하여 투자자 개인, 더욱 정확하게는 투자자단말(5500)들에서 이루어지는 검색이력이나 선호도 등의 빅데이터들을 수집하여 제안 아이템과 매칭을 수행하도록 하여 투자의 가능성이 높은 타겟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선별된 제안 아이템을 노출한다. 이때, 후원형시스템(1001)에서 이루어지는 소정의 피드백 데이터들은 데이터베이스(3200)에서 추출되어 내부빅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각 투자자단말(5500)에서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페이지를 통하여 투자금의 지급이 투자자의 선택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소정의 결제서버(5300)를 통하여 각 제안자에 해당되는 투자자별로 투자금이 적립된다. 따라서, 각각의 제안자 및 제안 아이템별로 투자형 식별코드가 부여되어 투자금이 각각의 식별번호 별로 누적될 수 있다.
제2펀딩판단부(2200)는 목표투자금을 설정하여 이에 미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투자형모델의 지속 여부를 판단하며, 목표투자금을 미달한 경우 투자형모델을 종료하고, 목표투자금에 도달하거나 이를 초과한 경우 지속하도록 함으로써 창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목표투자금이 미달된 경우에도 후술될 창업판단부(2400)에서 자기자본의 투자여부 판단을 통하여 창업과정을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투자형시스템(2001)에서의 투자금은 수익의 배분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제2빌링부(2300)는 수익금의 배분을 위한 지분의 설정에 대하여 주로 기능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창업판단부(2400)는 투자금의 합이 목표투자금을 달성한 상태 또는 직접지원금인 자기자본의 투자에 대한 판단이 수행된 경우 창업계약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투자제안사항에 대하여 제안자로 하여금 프리젠테이션을 수행하고 이를 평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창업이 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2빌링부(2300)에서 투자금액과 지분에 대한 배분율을 결정하여 창업에 대한 투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마일스톤관리부(3100)는 투자형시스템(2001)에서도 작동되며, 펀딩이 개시되는 시점 즉, 제2펀딩부(2100)에 의한 투자금의 유치가 이루어지는 시점부터 창업판단부(2400)에 의한 창업 투자가 이루어지는 시점까지 마일스톤과 같은 피드백사항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부가하여 제2빌링부(2300)에 의하여 지분율이 결정된 이후부터는 스탁팅이 수행되는 차별성을 가진다.
도 3은 도 2의 펀딩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펀딩부(1100)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투자금 또는 후원금의 유치를 위한 빅데이터의 수집 및 노출과 자금의 결제 등에 대하여 제2펀딩부(2100)의 기능과 공통되며 이에 대해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펀딩부(1100)는 소정의 데이터들을 수집하고 적절한 투자자들에게 제안아이템의 노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펀딩관리부(1110)와, 소정의 투자자들에 자금을 유치하는 펀딩모집부(11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안아이템은 후원제안사항과 투자제안사항을 모두 의미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상기 제1펀딩부(1100)는 통신부(4000)를 통하여 외부의 빅데이터서버(5200) 및 창업플랫폼(1000) 시스템 내부의 데이터베이스(3200)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노출되는 방향성을 결정할 수 있다.
펀딩모집부(1120)는 결제서버(5300)와 연결되고 각각의 투자자단말(5500)로부터 다양한 방식으로 결제요청이 이루어지는 투자금 또는 후원금에 대하여 각각의 투자식별코드 또는 후원식별코드별로 적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능한다.
도 4는 도 3의 펀딩관리부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펀딩관리부(1110)는 바람직하게는 빅데이터서버(5200)로부터 후원제안사항 또는 투자제안사항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외부빅데이터수집부(1111)와, 시스템 내부의 데이터베이스(3200)를 통하여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내부빅데이터수집부(1112)와, 상기 외부 및 내부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각각의 제안 아이템에 대한 순위를 결정하여 노출 순위와 빈도 등의 노출사항을 결정하는 필터링 및 순위결정부(1113)와, 필터링 및 순위결정부(1113)에서 판단된 노출사항을 투자자단말(5500) 또는 창업플랫폼(1000) 시스템이 유저인터페이스로서 웹서버 또는 웹페이지로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외부빅데이터수집부(1111)와 연결되는 빅데이터서버(5200)는, 주로 검색엔진을 제공하는 포털사이트의 데이터베이스 서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네이버(NAVER), 다음(DAUM), 구글(GOOGLE), 줌(ZUM), 빙(BING) 등일 수 있다. 또한, 통계청, 중소기업청 또는 국가 및 그 산하 기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인적, 물적 통계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도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수집되는 외부빅테이터는 검색이력, 구매이력, 해시태그, 개인의 연령 또는 성별 등의 분류와 그 분류에 따른 검색이력, 구매이력, 해시태그일 수 있다. 또한, 지역 및 인구정보에 대한 통계정보가 노출의 정확성을 위하여 빅데이터로서 수집될 수 있으며 이에 부가하여 상권정보, 카드결제, 세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창업플랫폼(1000) 시스템 내부의 데이터베이스(3200)로부터 내부빅데이터가 수집되어 상기 외부빅데이터와 유기적으로 필터링 및 순위결정 조건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내부 서버의 검색이력, 펀딩이력, 선호도, 피드백, 장바구니이력, SNS의 공유나 친구 추천 등의 사항이 수집되어 내부 빅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필터링 및 순위결정부(1113)는 수집된 외부빅데이터와 내부빅데이터의 정보를 소정의 비율에 따라 할당하여 영향순위를 결정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외부빅데이터와 내부빅데이터의 영향력 비율은 30:70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는 선택적이다.
한편, 필터링 및 순위결정부(1113)는 객관적 지표인 빅데이터들을 활용하여 각각의 제안사항별로 노출순위와 빈도 등의 노출사항을 결정하는데, 혁신성 등의 사항을 추가배점사항으로 하여 결정을 수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혁신성은 관리자의 주관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검색되지 않은 조건 즉, 내부빅데이터 또는 외부빅데이터에서 검색되지 않은 제안사항은 혁신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링 및 순위결정부(1113)의 노출사항 판단에 따라 노출부(1114)는 시스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제공되는 화면상에 노출되는 순위를 결정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투자자단말(5500) 각각에 할당된 노출순위에 따라 개별적인 순위에 따른 노출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때, 노출순위 또는 빈도는 필터링 및 순위결정부(1113)에서 결정된 순위에 따라 이루어지는데, 단순히 빅데이터의 수집결과에 따른 순위에 따라 우선적인 노출이 이루어지고 혁신성에서 높은 배점을 받은 제안사항은 별도의 혁신아이템 항목에서 노출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제1빌링부에 대한 블록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후원형시스템(1001)에서는 단발성이고 제품의 개발 또는 제조를 위한 후원금을 유치하고 이를 활용하도록 할 수 있는바, 이를 위하여 목표후원금이 설정되어 제1펀딩판단부(1200)에서 후원금의 지급 여부를 결정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목표후원금을 기준으로 달성된 경우 이러한 후원금은 제품 및/또는 서비스의 개발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관리자의 소정의 관리수수료를 공제한 비율로써 후원제안자에게 지급될 수 있다. 이러한 분배는 수수료분배부(1330)에서 기설정된 비율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초과 달성되는 후원금에 대해서는 소정의 비율로 적립 또는 지불이 순이익분배부(1320)를 통하여 이에 대한 비율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목표후원금을 달성하지 못하여 후원형모델이 진행되지 않는 것으로 제1펀딩판단부(1200)에서 판단한 경우 투자자단말(5500)에서 집행된 자금에 대한 환불을 수행하고 해당 후원제안사항에 대한 투자절차는 종료된다. 이를 위하여 환불부(1340)는 각각의 후원식별코드별로 각각의 투자자단말(5500) 또는 투자자의 식별코드별로 자금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그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해 현금 또는 소정의 가용포인트로 환불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도 6은 제2빌링부에 대한 블록도이다.
투자형시스템(2001)에서는 창업에 투자제안사항을 판별하고 투자여부를 판단하여 투자금을 지원을 목적으로 하므로 일회성인 후원형시스템(1001)과는 자금의 분배 과정에서 차이를 가짐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투자형시스템(2001)의 제2펀딩부(2100)에서 목표투자금에 대한 유치가 달성된 것으로 판단되는 등의 판단이 있는 경우 제2빌링부(2300)는 투자자, 관리자 및/또는 제안자와의 사이에 수익배분에 대한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비율의 설정에 대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제2펀딩판단부(2200)에서 목표투자금이 유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는 환불부(2330)에서 환불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제1빌링부(1300)의 환불부(1340)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통합 혁신형 창업 플랫폼 시스템에서 제1빌링부 및 제2빌링부에 의하여 분배와 비율 설정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될 비율 및 배분의 관계는 후원형시스템(1001)와 투자형시스템(2001)이 연결되는 바람직한 일예시로서 예시된 비율은 본 발명의 개념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7의 (a)는 후원형시스템(1001)에서 적립된 후원금이 목표후원금에 도달한 경우로 판단된 경우 그 비율에 대한 그래프이다.
목표후원금을 100%로 볼 때, 제안자수수료(b12)는 제품 및/또는 서비스의 제작이나 공급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시스템의 운영을 위한 관리자수수료(c12)는 목표후원금 한도에서 배당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안자수수료(b12)와 관리자수수료(c12)의 비율은 95:5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후원금의 총액이 목표후원금을 초과한 경우 상기와 같이 전체의 자금을 100% 설정하여 제안자와 관리자의 분배비율로 배분될 수 있으나, 초과금의 경우에는 달리 설정하는 것이 유익하다. 이러한 초과금은 소정의 비율로써 후술될 바와 같은 투자금의 비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 목표후원금인 100%를 초과하는 초과금에 대해서는 후원자에 대하여 소정의 비율로 후원자포인트(a11)를 할당하고, 제안자적립금(b11)을 할당할 수 있다. 이때, 초과금에 대하여 시스템의 관리자에 소정의 운영관리수수료로써 관리초과수수료(c11)의 비율을 추가적으로 할당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후원자포인트(a11), 제안자적립금(b11) 및 관리초과수수료(c11)의 비율은 50:25:25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후원자포인트는 예를 들어 제품의 추가공급, 공연티켓, 부가서비스 또는 다른 제안사항에 대한 투자가용포인트로서 활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7의 (b)는 투자형시스템에서 투자비율에 따른 지분을 결정하는 예를 나타는 그래프이다.
여기서, 투자형모델의 경우는 후원형모델과는 달리 상한이 없으며 따라서 투자금 총액에 대하여 배분이 이루어지는 차이가 있음에 유의한다.
제안자기본비율(b21)에 따라 제안자의 비율이 설정되면 그 나머지에 대하여 투자자에 대한 비율이 설정될 수 있다. 투자자비율(a21)에 대해, 투자자는 다수로 구성되므로 각각의 투자금을 총 투자금으로 나눈 비율로 각각의 투자자들의 지분율이 결정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제안자의 지분비율은 제안자기본비율(b21)로 한정될 수도 있으나, 창업의 증진 및 제고를 고려하여 후원형모델에서 결정된 초과금에 대한 제안자적립금(b11)을 추가로 제안자초과비율(b22)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안자기본비율(b21)이 결정된 상태에서 제안자초과지분(b22)의 합을 뺀 나머지에 대하여 투자자비율(a21)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안자기본비율(b21)은 50%로 설정하고, 이에 후원형모델의 제안자적립금(b11)의 전체 투자금 총액에 대한 비를 제안자초과비율(b22)로 가산한 나머지를 투자자비율(a21)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비율에 따라 창업 이후 수익의 배분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비율의 설정은 관리자의 기본공제액 또는 비율을 제한 나머지에 대하여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후술될 바와 같이 시스템의 관리자에 의한 자기자본의 투입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와 다른 비율이 설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통합 혁신형 창업 플랫폼 시스템에서 평가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평가부(1400)는 후원형시스템(1001)에서 투자형시스템(2001)으로 전환되는 판단을 수행하며, 객관화된 정량평가를 위한 정량평가부(1410)와 정성평가부(1420)로 구성될 수 있다.
정량평가부(1410)는 객관적인 데이터를 통하여 투자형모델로의 전환여부를 판단하며, 펀딩항목, 신뢰도항목, 선호도항목으로 그 인자를 구분할 수 있다.
상기 펀딩항목으로서 목표후원금의 초과달성액 또는 그 비율, 목표후원금달성에 소요된 기간, 인당 후원금액 또는 수량, 참여인원 등을 그 요소로 할 수 있으며, 신뢰도항목으로서 제품 또는 서비스의 납기 준수율, 마일스톤 준수율, 투자자 또는 일반고객의 피드백 응답율을 요소로 할 수 있다. 또한, 선호도항목의 요소로서 외부공유횟수(SNS, 해시태그, 친구추천 등), 검색수, 클릭수, 좋아요 항목의 클릭수, 장바구니에 담긴 수량 등을 그 요소로 할 수 있으며, 이에 부가하여 혁신성항목과 시장환경분석항목이 추가적인 인자로 판단될 수 있다. 여기서 혁신성항목은 빅데이터에서 관련 키워드가 검색되지 않거나 검색이 미미한 경우를 의미함은 상기한 바와 같다. 또한, 시장환경분석 관련하여 유사상품의 판매량이나 연관된 제품의 시장총액 등을 그 요소로 할 수 있다.
정성평가부(1420)는 후원자평가항목과 관리자평가항목을 그 분석 인자로 정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개인의 직관적인 판단의 요소가 개입되기 때문에 정형화된 평가문항이 도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원자평가항목은 제품의 수령 또는 서비스의 체험 이후 만족도 등의 설문결과나 기타의 다양한 피드백을 포함할 수 있고, 관리자평가항목의 경우 제품군의 인기도, 디자인의 참신성, 시장발전 가능성 항목을 그 요소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관리자평가요소들은 외부빅데이터에 대한 판단을 기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통합 혁신형 창업 플랫폼 시스템에서 창업판단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평가부(1400)의 평가에 의하여 투자형시스템(2001)으로의 전환이 판단되면 제2펀딩부(2100)에서 투자금의 유치가 수행되고 제2펀딩판단부(2200)에서 목표투자금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2빌링부(2300)에 의하여 배분비율이 결정된다.
이렇게 수익에 대한 배분비율의 결정 이후에 창업투자여부가 결정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창업판단부(2400)가 기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창업판단부(2400)는 투자제안사항에 대한 프리젠테이션에 대한 관리와 평가를 수행하는 PT관리부(2410)와 투자지원을 실제 수행할 것인지 투자형모델을 종료할 것인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는 지원판단부(2420)로 구성될 수 있다.
PT관리부(2410)는 경쟁 프리젠테이션을 통하여 투자자 및 관리자가 이에 투자제안사항과 실제 추진가능여부에 대한 현실적인 판단을 수행하도록 하며, 이에 부응한 경우 지원판단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PT관리부(2410)에서 평가항목은 객관화가 가능하도록 정형화된 평가문항들에 대한 확인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원판단부(2420)는 현실적인 투자지원이 수행될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며 후원형시스템(1001)에서의 평가결과와, 투자지원사항의 선별결과와, 상술된 내.외부의 빅데이터로부터의 객관화된 평가결과와, PT관리부(2410)에서의 판단결과를 취합하여 미래성장가능성을 판단하고, 투자지원의 적합성여부를 평가하도록 한다. 여기서 투자지원이란 배분비율의 설정 확정 또는 투자금의 일부나 전부의 지급, 특허의 지원, 웹사이트내 우선적인 노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지원판단부(2420)는 제2펀딩판단부(2200)에서 목표투자금이 도달되어 배분비율이 설정된 경우 뿐만 아니라, 목표투자금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도 투자지원의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시스템 자체 또는 관리자가 보유하고 있는 자금을 투입하여 투자제안자와 관리자의 수익 배분비율의 관계로 설정될 수 있는데, 이러한 자금을 직접지원금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이러한 직접지원금의 지원과정과 관련하여서는 후술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통합 혁신형 창업 플랫폼 시스템에 의한 창업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후원형모델로부터 투자형모델로 전환하여 아이템의 제안에서 창업에 이르는 투자자, 관리자 및 제안자의 유기적인 관계를 통하여 객관화되고 효율적인 제안사항의 선별과 자금의 유치, 분배 및 피드백과 공급 등을 수행하게 됨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를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면, 후원제안사항이 제안되어 접수되는 제1제안단계(S1010)로부터 후원형모델이 개시된다.
제1펀딩부(1100)에서 선별 및 분류(S1020)가 이루어지면, 펀딩관리부(1110)에서 내.외부의 빅데이터를 인자로 하여 필터링 및 순위가 결정되고 투자자단말(5500)의 웹페이지나 어플 등을 통하여 순위에 따라 노출(S1110)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각각의 투자자단말(5500)을 통하여 후원금이 유치되는 펀딩모집(S1120)이 수행되고 후원금의 적립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적립된 후원금의 총액과 목표후원금을 비교하여 제1펀딩판단부(1200)에서는 목표후원금의 도달여부를 판단(S1200)한다.
소정의 설정 기간 내에 후원금 총액이 목표후원금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빌링부(1300)에서는 환불(S3000)을 수행하며, 도달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빌링부(1300)에서 분배를 수행한다.
상기 후원금의 분배는 제품 또는 서비스의 공급을 전제로 하는 것으로서, 목표후원금을 기준으로 제안자수수료(b12)로서 지급되며, 이를 초과하는 초과금에 대해서는 후원자적립금(a11)과 제안자적립금(b11)으로 분배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이러한 수수료에 대하여 관리자 수수료(c12)와 관리자초과수수료(c11)가 시스템의 관리자측에 분배될 수 있음은 상기와 같다.
후원금의 분배 후, 마일스톤관리부(3100)에서 지속적으로 제안자단말(5400)로부터 입력된 마일스톤 등의 피드백사항을 투자자단말(5500)로 제공할 수 있다.
제품 또는 서비스의 제공이 완료되면 각 투자자단말(5500)로부터 평가(S1400)를 접수받아 평가부(1400)에서 후원형모델에서 투자형모델로의 전환 여부를 판단(S1450)하며, 이러한 판단과정과 관련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평가부(1400)의 판단에서 투자형모델로 전환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하나의 제안사항에 대하여 창업플랫폼시스템은 종료되며, 전환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투자제안사항인 제2제안을 접수(S2010)받아 투자형시스템(2001)의 작동이 개시된다.
마찬가지로 투자제안사항에 대하여 제2펀딩부(2100)의 펀딩관리부에서 선별 및 분류(S2020)가 이루어지고 빅데이터의 수집 및 노출(S2110)이 이루어지며 투자자단말(5500)을 통하여 투자금이 유치되는 펀딩모집(S2120)의 단계로 이어진다. 이러한 과정에 대하여 후원형모델의 개념이 적용 또는 준용될 수 있다.
소정의 설정 주기 또는 기간 동안 투자금이 적립되면, 투자금 총액과 목표투자금을 대비(S2200)하여 목표투자금에 도달하였는지에 따라 다른 판단이 수행되며, 목표투자금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수익 배분을 위한 지분율을 결정(S2300)한다.
상기 지분율은 제안자기본비율(b21)을 기준으로하여 후원형모델의 제안자적립금(b12)의 투자금 총액에 대한 비율을 부가한 이후에 투자자비율(a21)이 결정될 수 있다.
지분율의 결정 이후 PT관리부(2410)에서 수행된 프리젠테이션의 평가를 통하여 지원판단부(2420)에서 지원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수익배분비율은 확정되고 계약 및 창업(S2500)이 이루어진다.
상기 펀딩모집(S2120)이후 계약 및 창업(S2500)의 과정에서 마일스톤을 포함한 피드백이 지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지분율의 결정 이후 스탁팅이 수행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투자금이 미달되거나, PT관리부(2410)에서 프리젠테이션이 통과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바로 시스템을 종료하지 않고, 추가적인 판단을 수행하게 된다.
이는 후원형모델과의 차이를 가짐에 유의하며, 시스템 자체의 자기자본을 투입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직접지원판단(S2420)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객관적인 평가항목에 부가하여 혁신성 또는 성장가능성이 상대적으로 큰 투자제안사항에 대하여 시스템 자체의 직접지원금을 투입하는 것으로서, 이렇게 직접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는 투자금은 환불(S3000)되고 관리자와 제안자의 관계에서 소정의 배분비율이 결정되어 계약 및 창업(S2500)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후원형모델 또는 투자형모델의 경우 크라우드펀딩의 양상을 띠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더 나아가 벤처캐피탈로서의 기능도 일부 수행할 수 있어 제안자 입장에서는 하나의 창업플랫폼에서 보다 폭넓고 다양한 기회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장점은 성장 가능한 제안사항에 대하여 확실하고 효율적인 투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 창업의 성공률을 향상하고 리스크를 저감할 수 있는 효과로 이어진다.
또한, 크라우드 펀딩 형태의 융합을 통하여 자본력이 크지 않은 대중에게 빅데이터를 통하여 최적화하여 접근하고 보다 가능성이 높은 수익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중의 만족감과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제서버를 제공하는 카드사, 캐피탈 등의 금융기관과, 검색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포털사이트 및 국가산하기관 등과의 연계를 통하여 하나의 플랫폼으로서 다양한 업종의 기관들을 융합하여 창업지원플랫폼을 형성함으로써 상호 간의 시너지가 향상되고 새로운 시장과 수익이 창출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1...후원형시스템 1100...제1펀딩부
1110...펀딩관리부 1111...외부빅데이터수집부
1112...내부빅데이터수집부 1113...필터링 및 순위결정부
1114...노출부 1120...펀딩모집부
1200...제1펀딩판단부 1300...제1빌링부
1320...순이익분배부 1330...수수료분배부
1340...환불부 1400...평가부
1410...정량평가부 1420...정성평가부
2001...투자형시스템 2010...선별 및 분류부
2100...제2펀딩부 2200...제2펀딩판단부
2300...제2빌링부 2320...비율설정부
2330...환불부 2400...창업판단부
2410...PT관리부 2420...지원판단부
3100...마일스톤관리부 3200...데이터베이스
4000...통신부 5200...빅데이터서버
5300...결제서버 5400...제안자단말
5500...투자자단말

Claims (6)

  1. 하나 이상의 외부 빅데이터서버(5200), 제안자단말(5400) 및 투자자단말(5500)에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연결되는 통신부(4000);
    타겟투자자에게 제안된 후원제안사항을 선별하여 노출하며 후원금을 유치하는 제1펀딩부(1100)와, 후원금 총액의 목표후원금 달성여부 판단을 통하여 후원의 지속여부를 결정하는 제1펀딩판단부(1200)와, 수수료 또는 이익을 분배하거나 환불하는 제1빌링부(1300)로 구성되는 후원형시스템(1001);
    상기 후원형시스템에서 안출된 제품 또는 서비스의 결과물에 대하여 투자자단말로부터 평가정보를 수신하여 후원형모델에서 투자형모델로의 전환여부를 결정하는 평가부(1400); 및
    상기 평가부의 판단에 따라 후원형시스템의 피드백 데이터들이 추출된 내부빅데이터를 포함하는 투자제안사항을 선별하여 노출하며 투자금을 유치하는 제2펀딩부(2100)와, 투자금 총액의 목표투자금 달성여부 판단을 통하여 창업단계의 중단, 투자금 또는 직접지원자금의 투입을 결정하는 제2펀딩판단부(2200)와, 수익에 대한 배분비율을 결정하고 수익비율을 설정하거나 환불하는 제2빌링부(2300)와, 투자지원 여부 및 방식을 판단하는 창업판단부(2400)로 구성되는 투자형시스템(2001);을 포함하며,
    상기 제1빌링부는,
    제1펀딩판단부에서 설정된 목표후원금을 기준으로 제안자수수료(b12)와 관리자수수료(c12)를 분배하는 수수료분배부(1330)와, 목표후원금의 초과금에 대하여 후원자포인트(a11)와 제안자적립금(b11)을 할당하는 순이익분배부(1320)를 구비하며,
    상기 제2빌링부는,
    투자금 총액에 대하여 제안자기본비율(b21)을 기준으로 제안자 지분비율을 설정하되 제1빌링부에서 할당된 제안자적립금을 제안자초과비율(b22)로 결정하는 비율설정부(2320)를 구비하는 통합 혁신형 창업 플랫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펀딩부의 기능 수행 이후 평가부 판단 이전 단계 및 제1펀딩부의 기능 수행 이후 창업판단부에 의한 판단 이전까지 제안자단말로부터 입력된 마일스톤을 투자자단말로 제공하는 마일스톤관리부(3100);를 더 포함하는 통합 혁신형 창업 플랫폼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펀딩부 및 제2펀딩부는,
    외부 빅데이터서버로부터 수집된 빅데이터들을 기초로 제안사항에 대한 매칭 및 순위결정을 하여 타겟투자자에게 선별된 제안사항을 노출하도록 하는 펀딩관리부와, 결제서버와 연결되어 각각의 투자자단말로부터 후원금 또는 투자금을 유치하는 펀딩모집부로 구성되며,
    상기 펀딩관리부는,
    외부 빅데이터서버로부터 검색이력, 구매이력, 해시태그를 포함하는 빅데이터를 수집하는 외부빅데이터수집부와, 내부 서버의 검색이력, 펀딩이력, 선호도를 포함하는 내부빅데이터를 수집하는 내부빅데이터수집부와, 상기 외부 빅데이터와 내부빅데이터의 영향순위에 따라 노출순위와 빈도를 결정하는 필터링 및 순위결정부와, 각 투자자단말에 노출순위에 따라 제안사항을 노출하는 노출부로 구성되는 통합 혁신형 창업 플랫폼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율설정부는,
    투자금 총액에 대하여 설정된 제안자 지분비율의 나머지에 대하여 투자자비율(a21)을 배분하는 통합 혁신형 창업 플랫폼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율설정부는,
    제1빌링부의 목표후원금의 초과금에 대한 제안자적립금의 투자금 총액에 대한 비율을 제안자기본비율에 가산하여 제안자 지분비율을 설정하는 통합 혁신형 창업 플랫폼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부는,
    펀딩항목, 신뢰도항목 및 선호도항목을 인자로 투자형모델로의 전환을 판단하도록 하는 정량평가부(1410)와, 후원자평가항목 및 관리자평가항목을 인자로 투자형모델로의 전환을 판단하도록 하는 정성평가부(1420)로 구성되는 통합 혁신형 창업 플랫폼 시스템.


KR1020180013108A 2018-02-01 2018-02-01 통합 혁신형 창업 플랫폼 시스템 KR101886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108A KR101886995B1 (ko) 2018-02-01 2018-02-01 통합 혁신형 창업 플랫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108A KR101886995B1 (ko) 2018-02-01 2018-02-01 통합 혁신형 창업 플랫폼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388A Division KR20170083216A (ko) 2016-01-08 2016-01-08 통합 혁신형 창업 플랫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696A true KR20180015696A (ko) 2018-02-13
KR101886995B1 KR101886995B1 (ko) 2018-08-08

Family

ID=61231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108A KR101886995B1 (ko) 2018-02-01 2018-02-01 통합 혁신형 창업 플랫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69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307B1 (ko) * 2020-07-03 2021-03-10 김현석 B2b 기반의 비즈니스 소셜 미디어 플랫폼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725A (ko) 2019-05-03 2020-11-11 노상호 창업 플랫폼 시스템
KR102214687B1 (ko) 2020-04-14 2021-02-10 노상호 창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그 방법
KR20230032077A (ko) 2021-08-30 2023-03-07 주식회사 위아오너 실질 데이터 정보 기반의 가상공간을 통한 창업 시뮬레이션 시스템
KR20230065621A (ko) 2021-11-05 2023-05-12 주식회사 팀폴리매스 창업자 연결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
KR102652564B1 (ko) 2021-12-14 2024-03-29 주식회사 팀폴리매스 컨텐츠 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6924A (ko) * 2002-12-27 2005-10-06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피.비. 기술평가장치, 기술평가프로그램, 기술평가방법
KR100862760B1 (ko) * 2007-04-12 2008-10-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이력 기반 서비스 방법 및 그시스템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130114479A (ko) * 2012-04-09 2013-10-18 쿨리지코너인베스트먼트(주)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투자정보 제공 시스템 및 투자정보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6924A (ko) * 2002-12-27 2005-10-06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피.비. 기술평가장치, 기술평가프로그램, 기술평가방법
KR100862760B1 (ko) * 2007-04-12 2008-10-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이력 기반 서비스 방법 및 그시스템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130114479A (ko) * 2012-04-09 2013-10-18 쿨리지코너인베스트먼트(주)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투자정보 제공 시스템 및 투자정보 제공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크라우드 펀딩 관련 기사(아시아경제) 출처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sec&sid1=105&oid=277&aid=0003576604 (2015.09.03.) *
크라우드 펀딩, 신용평가 등에 대한 기사(서울경제) 출처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sec&sid1=101&oid=011&aid=0002681749 (2015.05.12.)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307B1 (ko) * 2020-07-03 2021-03-10 김현석 B2b 기반의 비즈니스 소셜 미디어 플랫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6995B1 (ko) 2018-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6995B1 (ko) 통합 혁신형 창업 플랫폼 시스템
US202000131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defined contribution plans
US20210398163A1 (en) Distribution of fractional equity rewards based on purchase behavior
US118167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a service provider of a retirement plan
US1090245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yalty programs
US201000768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sioning a controlled secondary market for small dollar deposits and lending
US20140040003A1 (en) Payment method decision engine
US20140122346A1 (en) Method, apparatus,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leasing space
US201302320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uter-implemented accounting services provided using cloud resources
US200900372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ransferable pre-need funeral services
US2009022238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vention in electronic markets
US20220270137A1 (en) Personalized advertisement and checkout system and method
US20130030988A1 (en) Charitable donation of proceeds from recycling activity
US20140108183A1 (en) Task Exchange
JP2022008305A (ja) 中間流通業者を経由して最初供給者及び購買者を連結する流通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KR20170083216A (ko) 통합 혁신형 창업 플랫폼 시스템
US20090043661A1 (en) Client-server system for managing an item database and item transactions with user-item associations
US20140114689A1 (en) Systems for Insuring Service Providers
US20100161401A1 (en) Incentive providing system for increase of visitors on internet site and method thereof
US20130325735A1 (en) Methods for Providing Unique Employee Benefits in Partnership with a Service Provider and System Therefor
CA3096214A1 (en) Personalized advertisement and checkout system and method
Susilowati et al. Marketing mix and purchasing behavior for Japanese motorcycle brand in Indonesia
KR102086944B1 (ko) 오프라인 연동 기반 대출 금융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CN117333203B (zh) 一种结合商业营销解决方案的会员营销平台
KR102276969B1 (ko) 브랜디드 콘텐츠의 성과를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