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6432A - 기업평가 장치 및 기업평가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기업평가 장치 및 기업평가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6432A
KR20060096432A KR1020067007432A KR20067007432A KR20060096432A KR 20060096432 A KR20060096432 A KR 20060096432A KR 1020067007432 A KR1020067007432 A KR 1020067007432A KR 20067007432 A KR20067007432 A KR 20067007432A KR 20060096432 A KR20060096432 A KR 20060096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chnical
field
company
inventions
s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7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아키 마스야마
카오루 미야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피.비.
히로아키 마스야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피.비., 히로아키 마스야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피.비.
Publication of KR20060096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64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업의 연구개발전략이나 지적재산전략을 분석하고, 경영재무정보와 합쳐서 기업가치평가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기업평가 장치 및 기업평가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공개특허공보 등의 기술문헌을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과, 기술문헌을 IPC 서브클래스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과,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과,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단, ka>1)한 것을 소정의 기술분야에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업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과 산출한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했다.

Description

기업평가 장치 및 기업평가 프로그램{ENTERPRISE EVALUATION DEVICE AND ENTERPRISE EVALUATION PROGRAM}
본 발명은, 기업가치평가와 그 판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본 특허공개 2000-348015호 공보와 같은, 재무 데이터에 기초해서 경제의 변화를 반영하도록, 연 1반기나 4반기 마다 등 비교적 갱신기간이 긴 데이터에 기초한 기업평가에, 날마다 변동하는 주가나 금리·환율 등과 같이 갱신기간이 비교적 짧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그 변화를 예측하여, 평가하고 싶은 시점에서 적시에 대상기업을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또 일본 특허공개 2001-76042호 공보에는, 등록된 특허와 그것에 관련된 매상고나 이익 등을 감가상각해서, 현존하고 있는 특허의 자산가치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 각 특허의 가치의 평가는, 자사평가나 타사평가 등을 순위매김해서 입력한 것을 기여도로서 평가하는 지적재산 평가장치가 알려져 있다.
금융기관이나 투자가나 기업에 있어서는, 투자처나 거래처의 기업가치를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래서, 종래, 이 기업가치를 확인하기 위해서, 경영·재무나 주가 등의 경영재무정보를 기초로, 기업가치를 객관적으로 판단하고자 하는 시도가 행해지고, 그 중에는, 다변량해석이나 통계적방법 및 데이터 마이닝 등 의 방법을 이용하여, 평가대상이 되는 기업의 심사나 등급 매기기를 행하는 것이 존재하고 있다.
최근, 기업가치에 차지하는 무형자산(Intangible assets)의 비율이 커짐에 따라, 무형자산의 가치가 기업가치를 크게 좌우하게 되어 왔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기업가치는, 총자산=부채+주주자본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대차대조표상의 부가 가 아니라, 대략적으로 주식의 시가총액+부채에 의해 산정된다. 따라서, 완전한 시가회계가 적용된 경우, 주식 시가총액-주주자본에 의해 산출되는 금액이 기업의 눈에 보이지 않는 자산(무형자산)의 타당성을 나타내고 있다라는 것으로 되지만, 종래는 무형자산의 가치를 구체적으로 산출해서 용도에 따라 판단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또, 일본 특허공개 2000-348015호 공보에 기재된 시스템에서는, 결산기에 공표되는 재무 데이터와 같이 갱신 간격이 긴 데이터(정적 데이터) 뿐만 아니라, 주가 등과 같이 갱신 간격이 짧은 데이터(동적 데이터)도 입력해서 기업평가를 위한 모델을 작성하고, 이 모델에 평가대상의 관련된 정적 데이터 및 동적 데이터를 적용함으로써, 경시적으로 변동될 수 있는 평가대상의 평가항목의 평가가 적시에 또한 최신의 것으로서 산출된다고 되어 있지만, 소정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발명이 특정 기업에 의해 독점상태에 있는지, 또는 경쟁상태에 있는지, 발명에 관한 경쟁력이 절대적 또는 상대적으로 어느 정도인 것인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또, 일본 특허공개 2001-76042호 공보에 기재된 지적재산 평가장치에서는, 특허 등의 지적재산의 1건 1건의 평가를, 각 연도마다 평가하는 것이며, 기업의 가치를 판단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주식 시가총액 등은, 시장에 있어서의 주가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투자가에게 있어서 현재의 주가와 장부상의 주주자본에 의해 산출되는 무형자산의 가치가 타당한지 아닌지는, 주식매매의 의사결정에 있어서의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기업에서는, 자금을 조달해서 기술개발 등을 계속해서 행함으로써, 무형자산가치의 증대를 꾀하여, 기업가치를 높이는 것을 희망하고 있다. 따라서, 무형자산가치의 증대는 기업에 있어서 경영전략상의 중요과제로 위치부여되고 있다.
이렇게 무형자산의 가치 평가방법의 확립이 긴요한 과제로 되어 있는 것이지만, 무형자산은, 특허나 상표 등의 공업소유권이나 저작권 등의 지적재산권 외에, 브랜드나 노하우 등의 눈에 보이지 않는 다양한 자산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가치를 평가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이것을 감안하여, 종래부터 무형자산을 평가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지만, 무형자산의 가치를 정량적·정성적으로 받아 들여서 기업가치의 타당성을 평가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특허정보 등의 기술문헌을 이용하여 기업의 사업전략, 연구개발전략, 지적재산전략을 분석하고, 또한 경영·재무정보와 합쳐서 보다 명확한 기업가치평가를 행하는 기업평가 장치 및 기업평가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소정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발명이나 기술력이, 과점상태에 있는지 또는 경쟁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수치, 막대그래프 또는 지표를 제시하는 것이 가능한 기업평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소정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발명수가 특정의 기업의 과점상태에 있는지 아닌지와, 조사대상의 기업이 상기 기술분야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기술적인 셰어(share)를 갖고 있는지를 아울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기업평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의 기술력이 각 기술분야에 다각화되어 있는지, 또는, 기술력이 하나의 기술분야에 집중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한 지표를, 수치, 문언, 또는 도형으로 제시하는 것이 가능한 기업평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발명으로부터 본 기술개발력의 종합력의 크기와, 발명에 관한 경쟁력의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를, 수치, 문언, 또는 도형으로 제시하는 것이 가능한 기업평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발명으로부터 본 기술개발력의 종합력의 크기와 발명에 관한 경쟁력의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를, 기업 사이에서의 상대평가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제시하는 것이 가능한 기업평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기술분야가 넓은 기업이어도 기술분야가 좁은 기업이어도 대등하게 발명에 관한 경쟁력을 대비하는 것이 가능한 기업평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발명으로부터 본 기술의 경쟁력에 대해서, 기업전체의 신장율을 가미한 평가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기업평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발명에 관한 기술력과 경영재무정보를 병합하여 이용자에게 제시함으로써, 기업의 상황을 보다 적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가능한 기업평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 장치는,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과,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단, ka>1)한 것을 소정의 기술분야에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업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과, 산출한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 장치는, 소정의 임계값과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비교해서, 소정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발명수가 특정의 기업의 과점상태에 있는지, 또는, 많은 기업에 의한 경쟁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기술분야별 과점상태 판단수단과, 기술분야별 과점상태 판단수단이 판단한 과점상태 또는 경쟁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 장치는, 소정의 임계값과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비교해서, 소정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발명수가 특정의 기업의 과점상태에 있는지, 또는, 많은 기업에 의한 경쟁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기술분야별 과점상태 판단수단과,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의 수치 또는 막대그래프에 의한 표시와 과점상태에 있는지 또는 경쟁상태에 있는지의 판단결과를 동일한 틀내 또는 인접하는 위치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과,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 장치는,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업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과,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업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셰어를 kb승(단, kb>0)한 것을 특정의 기업내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업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업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과, 산출한 기업별 과점 스코어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 장치는, 소정의 임계값과 기업별 과점 스코어를 비교해서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가 특정의 기술분야에 집중되어 있는지, 또는, 많은 기술분야에 다각화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도형 또는 문언을 이용하여 구분하는 기업별 다각화 구분수단(특허 다각화지수 에 기초하여 구분해도 좋다)과, 도형 또는 문언에 의한 구분의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 장치는, 1에서 기업별 과점 스코어를 뺀 다각화지수, 또는, 1에서 기업별 과점 스코어를 뺀 값에 10, 100, 200, 1000 또는 이들의 배수 등을 곱한 다각화지수(특허 다각화지수를 포함한다. 이하 동일)를 산출하는 다각화지수 산출수단과, 소정의 임계값과 다각화지수를 비교해서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가 특정의 기술분야에 집중되어 있는지, 또는, 많은 기술분야에 다각화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도형 또는 문언을 이용하여 구분하는 기업별 다각화 구분수단과, 도형 또는 문언에 의한 구분의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 장치는,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과,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단, ka>1)한 것을 소정의 기술분야에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업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과,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와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곱해서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과, 산출한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 장치는,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과,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단, ka>1)한 것을 소정의 기술분야에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업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과,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와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곱해서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과,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과, 산출한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 장치는, 소정의 임계값과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비교해서 특정의 기업의 발명에 관한 경쟁력을 나타내는 도형 또는 문언을 이용하여 구분하는 기업경쟁력 스코어 구분수단과, 도형 또는 문언에 의한 구분의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과,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 장치는, 상기의 임계값에 전체 기업의 기업경쟁력 스코어의 평균값, 또는 표준편차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 장치는,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과,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단, ka>1)한 것을 소정의 기술분야에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업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과,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와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곱해서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과,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과,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를 기술분야수로 나누어서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산출하는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과, 산출한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 장치는, 소정의 임계값과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비교해서 특정의 기업의 발명에 관한 경쟁력을 나타내는 도형 또는 문언을 이용하여 구분하는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 구분수단과, 도형 또는 문언에 의한 구분의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과,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 장치는, 상기의 임계값에 전체 기업의 기업경쟁력 스코어의 평균값, 또는 표준편차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 장치는,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과,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상기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단, ka>1)한 것을 소정의 기술분야에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업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과,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와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곱해서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과,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의 날짜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과 전체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을 취득하는 발명신장율 취득수단과,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로부터 전체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을 빼서 특정 기업의 초과성장율을 산출하는 초과성장율 산출수단과, 초과성장율에 1을 더한 값에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곱해서 기업경쟁력지수(특허경쟁력지수(PCPI)를 포함하는 지표를 말한다. 특허경쟁력지수(PCPI)에 대해서는 식17에서 설명한다)를 산출하는 기업경쟁력지수 산출수단과, 기업경쟁력지수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 장치는, 소정의 임계값과 산출한 기업경쟁력지수를 비교해서 특정의 기업의 발명에 관한 경쟁력을 나타내는 도형 또는 문언을 이용하여 구분하는 기업경쟁력지수 구분수단과, 도형 또는 문언에 의한 구분의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과,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 장치는, 상기의 임계값에 전체 기업의 기업경쟁력 스코어의 평균값, 또는 표준편차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 장치는,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과,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단, ka>1)한 것을 소정의 기술분야에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업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과,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와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곱해서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과,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의 날짜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과 전체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을 취득하는 발명신장율 취득수단과,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로부터 전체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을 빼서 특정 기업의 초과성장율을 산출하는 초과성장율 산출수단과, 초과성장율에 1을 더한 값에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곱해서 기업경쟁력지수를 산출하는 기업경쟁력지수 산출수단과, 기업별 경쟁력지수를 기술분야수로 나누어서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를 포함하는 지표를 말한다.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에 대해서는 식18에서 설명한다)를 산출하는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 산출수단과,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 장치는, 소정의 임계값과 산출한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를 비교해서 특정의 기업의 발명에 관한 경쟁력을 나타내는 도형 또는 문언을 이용하여 구분하는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 구분수단과, 도형 또는 문언에 의한 구분의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과,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 장치는, 상기의 임계값에 전체 기업의 기업경쟁력 스코어의 평균값, 또는 표준편차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 장치는, 기술분야의 분류에 IPC 섹션, IPC 클래스, IPC 서브클래스, IPC 메인그룹, IPC 서브그룹, F 텀, FI, 패싯, 기술문헌에 포함되는 키워드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 장치는, 기술문헌으로서, 특허공보, 공개특허공보, 실용신안공보, 공개실용신안공보, 공표공보, 재공표공보, 외국공보, 심결공보, 경과정보, 또는 공개기보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 장치는,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등에 있어서의 발명수로서, 특허 또는 실용신안의 출원 건수, 출원 청구항수, 등록 건수, 등록 청구항수, 심사청구 건수, 심사청구한 청구항수, 등록사정 건수, 등록사정 청구항수, 거절사정 건수, 거절사정 청구항수, 심판청구 건수, 심판청구의 청구항수 또는 이들 비율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 장치는, 기업별 과점 스코어의 구분 또는 다각화지수의 구분과, 기업경쟁력 스코어의 구분 또는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의 구분을 관련지어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과,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 장치는, 기업별 과점 스코어의 구분 또는 다각화지수의 구분과, 기업경쟁력지수의 구분 또는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의 구분을 관련지어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과,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 장치는, 기업별 과점 스코어의 구분 또는 다각화지수의 구분과,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 또는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 또는, 기업경쟁력지수 또는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를 관련지어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과,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 장치는, 기업의 규모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기업의 재무정보 등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사대상의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과, 기업별 과점 스코어,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기업경쟁력 스코어,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 기업경쟁력지수, 또는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와, 취득한 조사대상의 기업의 경영재무정보의 관계를 기업 마다 그래프 또는 도표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과,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 장치는, 경영재무정보로서, 매상고, 매상이익, 영업이익, 매상이익율, 영업이익율, 총자산 시가총액비율, 주주자본 시가총액비율, 매상고 시가총액비율, 제조판매이익 시가총액비율, 영업이익 시가총액비율, 총자산 제조판매이익율, 주주자본 제조판매이익율, 총자산 영업이익율, 주주자본 영업이익율, 주주자본비율, 시가총액 주주자본차액, 연구개발비, 매상고 연구개발비비율, 제조판매이익 연구개발비비율, 제조판매이익율, 또는 제조판매이익 등의 회사의 재무정보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과,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단, ka>1)한 것을 소정의 기술분야에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업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과, 산출한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했으므로, 소정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발명이나 기술력의 과점상태 또는 경쟁상태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임계값과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비교해서, 소정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발명수가 특정의 기업의 과점상태에 있는지, 또는, 많은 기업에 의한 경쟁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기술분야별 과점상태 판단수단과, 기술분야별 과점상태 판단수단이 판단한 과점상태 또는 경쟁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했으므로, 소정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발명이나 기술력의 과점상태 또는 경쟁상태를 알기 쉽게 절대적으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임계값과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비교해서, 소정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발명수가 특정의 기업의 과점상태에 있는지, 또는, 많은 기업에 의한 경쟁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기술분야별 과점상태 판단수단과,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의 수치 또는 막대그래프에 의한 표시와 과점상태에 있는지 또는 경쟁상태에 있는지의 판단결과를 동일한 틀내 또는 인접하는 위치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과,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했으므로, 소정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발명수가 특정의 기업의 과점상태에 있는지 아닌지와, 조사대상의 기업이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기술적인 셰어를 갖고 있는지를 아울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소정의 기술분야가 많은 기업에 의한 경쟁상태에 있고, 조사대상의 기업이 발명에 대해서 약간의 셰어 밖에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그 조사대상의 기업은 상기 기술분야에 있어서 현재의 상태에서는 우위의 상황에 없다라는 판단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업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과,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업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셰어를 kb승(단, kb>0)한 것을 특정의 기업내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업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업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과, 산출한 기업별 과점 스코어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했으므로, 기업별 과점 스코어의 값이 작을 수록 각 기술분야에 기술력이 다각화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해지고, 기업별 과점 스코어의 값이 클 수록 하나의 기술분야에 기술력이 집중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용자는, 특정의 기업의 기술개발분야의 집중, 다각화의 정도를 용이하게 아는 것이 가능해지고, 동일한 계산방법을 이용하여 산출한 타기업의 특허다각화지수와 비교함으로써, 소정의 기술개발분야의 집중, 다각화의 정도를 비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임계값과 기업별 과점 스코어를 비교해서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가 특정의 기술분야에 집중되어 있는지, 또는, 많은 기술분야에 다각화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도형 또는 문언을 이용하여 구분하는 기업별 다각화 구분수단과, 도형 또는 문언에 의한 구분의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했으므로,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의 기술력이 각 기술분야에 다각화되어 있는지, 또는, 기술력이 하나의 기술분야에 집중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한 지표를 알기 쉽게 절대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1에서 기업별 과점 스코어를 뺀 다각화지수, 또는, 1에서 기업별 과점 스코어를 뺀 값에 100을 곱한 다각화지수를 산출하는 다각화지수 산출수단과, 소정의 임계값과 다각화지수를 비교해서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가 특정의 기술분야에 집중되어 있는지, 또는, 많은 기술분야에 다각화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도형 또는 문언을 이용하여 구분하는 기업별 다각화 구분수단과, 도형 또는 문언에 의한 구분의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했으므로, 특허다각화지수의 값이 클 수록 각 기술분야에 기술력이 다각화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해지고, 특허다각화지수의 값이 작을 수록 하나의 기술분야에 기술력이 집중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용자는, 특정의 기업의 기술개발분야의 집중, 다각화의 정도를 용이하게 아는 것이 가능해지고, 동일한 계산방법을 이용하여 산출한 타기업의 특허다각화지수와 비교함으로써, 소정의 기술개발분야의 집중, 다각화의 정도를 비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다각화지수를 산출할 때에 곱하는 수치는, 상기 1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10, 200, 1000 등의 끊기 좋은 수치, 또는 이들의 배수를 이용해도 좋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과,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단, ka>1)한 것을 소정의 기술분야에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업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과,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와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곱해서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과, 산출한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했으므로, 소정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셰어가 큰 경우에는 그 기업에 의해 과점상태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값이 클 수록 해당 기업의 발명으로부터 본 기술개발력의 종합력이 큰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주식의 구입 또는 매각을 검토함에 있어서 기업의 장래성을 검토할 때에 이용하거나, 공동개발하는 기업을 선택할 때의 목표나, 취직처의 판단으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과,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단, ka>1)한 것을 소정의 기술분야에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업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과,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와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곱해서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과,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과, 산출한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했으므로, 특허경쟁력 스코어의 값이 크게 산출될 수록, 발명으로부터 본 기술개발력의 종합력이 큰 것을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임계값과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비교해서, 특정의 기업의 발명에 관한 경쟁력을 나타내는 도형 또는 문언을 이용하여 구분하는 기업경쟁력 스코어 구분수단과, 도형 또는 문언에 의한 구분의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과,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했으므로, 특정 기업의 특허경쟁력지수의 위치부여를 별의 수나 기업의 타입으로서 표현함으로써, 발명에 관한 경쟁력을 보기 쉽게 표현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특허출원 건수나 특허출원의 청구항수, IPC 서브클래스의 분류 등에 대해서 굳이 조사하지 않아도, 복수의 기업 사이의 발명에 관한 경쟁력을 알기 쉽게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임계값에 전체 기업의 기업경쟁력 스코어의 평균값, 또는 표준편차를 이용함으로써 기업 사이에서의 상대평가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평균을 상회한 기업이나 밑돈 기업을 눈에 띄게 해서 특정 기업의 특허경쟁력의 우열을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과,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단, ka>1)한 것을 소정의 기술분야에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업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과,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와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곱해서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과,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과,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를 기술분야수로 나누어서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산출하는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과, 산출한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했으므로, 기업에 있어서의 기술분야의 넓이에 구애되지 않는 기술개발력의 크기를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기술분야가 넓은 기업이어도 기술분야가 좁은 기업이어도 대등하게 발명에 관한 경쟁력을 대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임계값과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비교해서 특정의 기업의 발명에 관한 경쟁력을 나타내는 도형 또는 문언을 이용하여 구분하는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 구분수단과, 도형 또는 문언에 의한 구분의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과,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했으므로, 발명에 관한 규격화된 경쟁력을 보기 쉽게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임계값에 전체 기업의 기업경쟁력 스코어의 평균값, 또는 표준편차를 이용함으로써 기업 사이에서의 상대평가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평균을 상회한 기업이나 밑돈 기업을 눈에 띄게 해서 특정 기업의 특허경쟁력의 우열을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과,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상기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단, ka>1)한 것을 소정의 기술분야에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업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과,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와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곱해서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과,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의 날짜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과 전체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을 취득하는 발명신장율 취득수단과,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로부터 전체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을 빼서 특정 기업의 초과성장율을 산출하는 초과성장율 산출수단과, 초과성장율에 1을 더한 값에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곱해서 기업경쟁력지수를 산출하는 기업경쟁력지수 산출수단과, 기업경쟁력지수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했으므로, 발명에 관한 경쟁력에 대해서 기업전체의 신장율을 가미한 평가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임계값과 산출한 기업경쟁력지수를 비교해서 특정의 기업의 발명에 관한 경쟁력을 나타내는 도형 또는 문언을 이용하여 구분하는 기업경쟁력지수 구분수단과, 도형 또는 문언에 의한 구분의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과,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했으므로, 전체 기업의 신장율을 가미한 발명에 관한 경쟁력을 보기 쉽게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과,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단, ka>1)한 것을 소정의 기술분야에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업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과,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와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곱해서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과,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의 날짜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과 전체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을 취득하는 발명신장율 취득수단과,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로부터 전체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을 빼서 특정 기업의 초과성장율을 산출하는 초과성장율 산출수단과, 초과성장율에 1을 더한 값에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곱해서 기업경쟁력지수를 산출하는 기업경쟁력지수 산출수단과, 기업별 경쟁력지수를 기술분야수로 나누어서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를 산출하는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 산출수단과,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했으므로, 전체 기업의 신장율을 가미함과 아울러 기업의 기술분야의 넓이에 구애되지 않는 기술개발력의 크기를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기술분야가 넓은 기업이어도 기술분야가 좁은 기업이어도 대등하게 발명에 관한 경쟁력을 대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임계값과 산출한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를 비교해서 특정의 기업의 발명에 관한 경쟁력을 나타내는 도형 또는 문언을 이용하여 구분하는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 구분수단과, 도형 또는 문언에 의한 구분의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과,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했으므로, 전체 기업의 신장율을 가미한 발명에 관한 규격화 경쟁력을 보기 쉽게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기술분야의 분류에 특허문헌 등에 기재되어 있는 IPC 섹션, IPC 클래스, IPC 서브클래스, IPC 메인그룹, IPC 서브그룹, F 텀, FI, 패싯, 기술문헌에 포함되는 키워드를 이용했으므로, 공개되어 있는 특허문헌을 이용하여 발명의 과점상태, 다각화상태, 경쟁력 등을 산출해서 이용자에게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기술문헌으로서, 특허공보, 공개특허공보, 실용신안공보, 공개실용신안공보, 공표공보, 재공표공보, 외국공보, 심결공보, 경과정보, 또는 공개기보를 이용했으므로, 공개되어 있는 특허문헌을 이용하여 발명의 과점상태, 다각화상태, 경쟁력 등을 산출해서 이용자에게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등에 있어서의 발명수로서, 특허 또는 실용신안의 출원 건수, 출원 청구항수, 등록 건수, 등록 청구항수, 심사청구 건수, 심사청구한 청구항수, 등록사정 건수, 등록사정 청구항수, 거절사정 건수, 거절사정 청구항수, 심판청구 건수, 심판청구의 청구항수 또는 이들의 비율을 이용했으므로, 공개되어 있는 특허문헌을 이용하여 발명의 과점상태, 다각화상태, 경쟁력 등을 산출해서 이용자에게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기업별 과점 스코어의 구분 또는 다각화지수의 구분과, 기업경쟁력 스코어의 구분 또는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의 구분을 관련지어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과,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했으므로, 발명에 기초한 기업의 과점상태와 발명에 관한 경쟁력의 관계를 알기 쉽게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기업별 과점 스코어의 구분 또는 다각화지수의 구분과, 기업경쟁력지수의 구분 또는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의 구분을 관련지어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과,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했으므로, 발명에 기초한 기업의 과점상태와 발명에 관한 경쟁력의 관계를 알기 쉽게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기업별 과점 스코어의 구분 또는 다각화지수의 구분과,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 또는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 또는, 기업경쟁력지수 또는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를 관련지어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과,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했으므로, 발명에 기초한 기업의 과점상태와 발명에 관한 경쟁력의 관계를 알기 쉽게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기업의 규모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기업의 재무정보 등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사대상의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과, 기업별 과점 스코어,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기업경쟁력 스코어,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 기업경쟁력지수, 또는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와, 취득한 조사대상의 기업의 경영재무정보의 관계를 기업 마다 그래프 또는 도표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과,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했으므로, 발명에 관한 기술력과 경영재무정보를 병합하여 기업의 상황을 보다 적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경영재무정보로서 입수가 가능한, 매상고, 매상이익, 영업이익, 매상이익율, 영업이익율, 총자산 시가총액비율, 주주자본 시가총액비율, 매상고 시가총액비율, 제조판매이익 시가총액비율, 영업이익 시가총액비율, 총자산 제조판매이익율, 주주자본 제조판매이익율, 총자산 영업이익율, 주주자본 영업이익율, 주주자본비율, 시가총액 주주자본차액, 연구개발비, 매상고 연구개발비비율, 제조판매이익 연구개발비비율, 제조판매이익율, 또는 제조판매이익 등의 회사의 재무정보를 이용했으므로, 발명에 관한 기술력과 경영재무정보를 병합하여 기업의 상황을 보다 적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기업평가 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기업평가 장치의 신호처리계 블럭도이다.
도 3은, 경영재무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기술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5는, 특정 기업에 있어서 발명수가 많은 상위의 기술분야와, 그 기술분야내에서의 발명수의 셰어와, 그 소정의 기술분야에서 과점상태에 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과점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A기업의 특허다각화지수(PDI)의 시산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B기업의 특허다각화지수(PDI)의 시산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특허다각화지수(PDI)의 값에 기초한 다각화의 분류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A기업의 격차지수를 변화시킨 경우의 특허다각화지수(PDI)의 시산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B기업의 격차지수를 변화시킨 경우의 특허다각화지수(PDI)의 시산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식 11을 이용해서 산출한 (H01L)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의 계산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식 11을 이용해서 산출한 (G06F)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의 계산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식 15를 이용해서 산출한 특허경쟁력지수D(PCPID)의 계산예를 나타 내는 도이다.
도 14는, 식 16을 이용해서 산출하는 초과성장율의 산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는, 특허경쟁력지수D(PCPID)와, 초과성장율에 기초하여 산출한 특허경쟁력지수(PCPI)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6은, 가로축에 특허경쟁력지수(PCPI)의 값을 대수로 나타내고, 세로축을 기업수로 나타낸 경우의 계산결과의 분포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은, 특허경쟁력지수(PCPI)에 따른 랭크 구분의 구분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8은, 특정 기업의 발명에 관한 경쟁력의 구분을 별의 수로 표현하는 스타 랭크와, 발명에 관한 경쟁력을 기업의 타입으로서 표현하는 타입 구분명의 관련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9는, 기업A와 기업B의 특허다각화지수(PDI)와 특허경쟁력지수(PCPI),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를 아울러 표시하는 표시예이다.
도 20은, 기업A와 기업B의 특허다각화지수(PDI)와 특허경쟁력지수(PCPI),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를 합쳐서 표시하는 다른 표시예이다.
도 21은, 소정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각 기업의 특허경쟁력지수(PCPI)와 그 순위,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와 그 순위와, 다각화지수(PDI)에 기초한 형의 구분을, 특허경쟁력지수(PCPI) 수치가 높은 순으로 나타낸 도표이다.
도 22는, 소정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각 기업의 특허경쟁력지수(PCPI)와 그 순위,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와 그 순위와, 다각화지수(PDI)에 기초한 형의 구분을,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의 수치가 높은 순으로 나타낸 도표이다.
도 23은, 기업가치 판단을 행할 때의 다각화지수(PDI), 특허경쟁력지수(PCPI),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 등의 기술개발력에 관한 지표를 연산하고, 출력할 때의 플로챠트이다.
도 24는, 기업가치를 평가할 때에, 지표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표시메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5는, 지표의 종류를 선택하는 표시메뉴에서, 이용자가 「(PCPI)특허경쟁력지수」를 선택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6은, 지표의 종류를 선택하는 표시메뉴에서, 이용자가 「출원 청구항수」를 선택한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7은, 지표의 종류를 선택하는 표시메뉴에서, 이용자가 「(C)수익관련 지표」의 항목을 선택한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8은, 지표의 종류를 선택하는 표시메뉴로, 이용자가 「(C)수익관련 지표」에 관련된 항목 중에서 「GBP」(제조판매이익)를 선택한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9는, 기업가치를 판단하는 지표를 산출할 때의 「대상문서」 및 「데이터의 판독」의 조건을 선택하는 기업가치평가 입력조건 설정화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0은, 기업가치를 판단하는 지표를 산출할 때에 대상이 되는 업계 또는 대상이 되는 개개의 기업의 조건을 선택하는 기업가치평가 입력조건 설정화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1은, 산출 또는 판단한 기업평가 정보의 표시형태를 선택하는 기업가치평가 출력조건 설정화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2는, 기업평가 장치가 산출하는 「사업, 수익, 시장평가 관련」의 각 지표와 그 계산식을 예시하는 도표이다.
도 33은, 기업평가 장치가 산출하는 「사업, 수익, 시장평가 관련」의 각 지표와 그 계산식을 예시하는 도표이다.
도 34는, 기업평가 장치가 산출하는 「R&D 특허관련」의 각 지표와 그 계산식을 예시하는 도표이다.
도 35는, 기업평가 장치가 산출하는 「R&D 특허관련」의 각 지표와 그 계산식을 예시하는 도표이다.
도 36은, 기업평가 장치가 산출하는 「특허 포트폴리오 관련」의 각 지표와 그 계산식을 예시하는 도표이다.
도 37은, 특허정보의 일형태인 특허경쟁력지수(PCPI)를 가로축에 나타내고, 경영재무정보의 일형태인 제조판매이익을 세로축에 나타낸 그래프의 내용을 예시하는 도이다.
도 38은, 화학부문에 속하는 기업의 특허경쟁력지수(PCPI)와 제조판매이익(GBP)의 관계를 나타낸 도이다.
도 39는, 화학부문에 속하는 기업의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와 제조 판매이익(GBP)의 관계를 나타낸 도이다.
도 40은, 전체 기업의 특허다각화지수(PDI)와 제조판매이익(GBP)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1은, 화학업계의 특허경쟁력지수(PCPI)와 초과 GBP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2는, 화학업계의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와 초과 GBP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3은, 화학업계에 있어서의 각 기업의 특허다각화지수(PDI)와 초과 GBP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업가치 평가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듯이 기업가치 평가시스템은, 경영재무정보, 기술문헌(특허에 관한 정보 뿐만 아니라 실용신안에 관한 수치정보, 기보 등을 포함한다), 시장가치정보(시장가치의 수치정보), 기업가치의 타당성을 판정하는 임계값 및 상기 임계값에 기초한 타당성의 판정결과, 구분 등의 각종 정보 등을 기록하는 데이터베이스(20)와, 경영재무정보, 기술문헌, 시장가치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입력해서, 기업가치의 타당성을 판단한 결과를 출력하는 기업평가 장치(30)와, 상기 기업평가 장치(30)와 데이터베이스(20)를 통신 접속하고 있는 인터넷이나 전용의 통신회선 등의 통신망(10)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데이터베이스(20)는, 기업평가 장치(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 장치(30)의 신호처리계 블럭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듯이 기업평가 장치(30)의 정보송수신부에는, 공중회선 또는 통신 네트워크 등의 통신망(364)을 통해 다른 통신기기와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송수신수단(365)(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기술문헌 취득수단, 시장가치정보 취득수단, 각종 임계값 취득수단, 출력수단의 기능을 포함한다)이 설치되어 있다.
또 기업평가 장치(30)에는, 이용자가 입력수단(370)을 통해 입력한 각종 정보를 취득해서 후술하는 정보처리수단에 전달하거나, 정보처리수단으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LED 등에 표시지령을 출력하는 입력 인터페이스(371)와, 화상이나 문자, 그래프, 또는 도표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372)과, 정보처리수단의 지령에 기초하여 표시수단(372)에 대하여 표시용의 화상신호를 출력하는 표시 인터페이스(373)(출력수단의 기능을 포함한다)와, 화상이나 문자, 그래프, 또는 도표 등의 정보를 프린터(32) 등의 인쇄수단에 출력하는 프린터 인터페이스(374)가 설치되어 있다. 또, 입력수단(370)은, 키보드나 마우스, 태블릿 등의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기업평가 장치(30)에는, 기록매체(377)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기록매체 장착부(378)와, 기록매체(377)에 대하여 각종 정보를 기록하거나 판독하는 기록매체 인터페이스(379)(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기술문헌 취득수단, 시장가치정보 취득수단, 각종 임계값 취득수단, 출력수단의 기능을 포함한다)가 설치되어 있다. 또, 기록매체(377)는, 메모리카드 등의 반도체나, MO, 자기디스크 등으로 대표되는 자기기록식, 광기록식 등의 착탈가능한 기록매체이다.
또한 기업평가 장치(30)에는, 기업평가 장치(30)의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정보처리수단(380)과, 정보처리수단(380)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각종 정수가 기록되어 있는 ROM이나 정보처리수단(380)이 처리를 실행할 때의 작업 영역이 되는 기록수단인 RAM으로 구성되는 메모리(38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은,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기술문헌 취득수단, 시장가치정보 취득수단, 각종 임계값 취득수단, 출력수단,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기업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기업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기술분야별 과점상태 판단수단,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 기업별 다각화 구분수단,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 기업경쟁력 스코어 구분수단,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 구분수단, 발명신장율 취득수단, 초과성장율 산출수단, 기업경쟁력지수 산출수단,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 산출수단, 기업경쟁력지수 구분수단,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 구분수단의 여러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이들 모든 처리를 정보처리수단(380)이 실행하는 대신에, 복수의 전용의 처리장치를 설치해서, 각각의 처리장치에 처리를 분담해서 실행하도록 해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기업평가 장치(30)에는, 기업평가 장치(30)의 처리에 관한 각종 정수나 네트워크상의 통신기기에 통신 접속할 때의 속성정보, URL(Uniform Resource Locators), 게이트웨이 정보, DNS(Domain Name System) 등의 접속정보, 기업의 경영에 관한 경영재무정보, 특허에 관한 기술문헌, 시장가치정보, 기업가치를 판정하는 임계값 및 상기 임계값에 기초한 타당성의 판정결과 등의 각종 정보를 기록하는 하드디스크 등의 기록수단(384)과, 기록수단(384)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거나 기록수단(384)에 대하여 정보를 기록하는 처리를 행하는 기록수단 인터페이스(385)(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기술문헌 취득수단, 시장가치정보 취득수단, 각종 임계값 취득수단, 출력수단의 기능을 포함한다)와, 시각을 나타내는 캘린더 시계(390)가 설치되어 있다.
기업평가 장치(30)내의 정보처리수단(380)과, 표시 인터페이스(373), 메모리(381), 기록수단 인터페이스(385), 캘린더 시계(390) 등을 포함하는 각 주변회로는 버스(399)로 접속되어 있으며, 정보처리수단(380)으로 실행되는 처리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각각의 주변회로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경영재무정보, 기술문헌, 시장가치정보 등의 각종의 데이터베이스는, 기록수단(384)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나, CD-ROM, CD-RW, DVD, MO 등의 기억매체(377)로 제공될 경우, 통신망(364)을 통해 다른 통신기기(데이터베이스(20) 등)로부터 취득하는 경우도 고려된다.
또한 상기의 기업평가 장치(30)는, 퍼스널컴퓨터, 워크스테이션 등 여러가지 컴퓨터를 이용해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를 네트워크로 접속해서 기능을 분산시켜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송수신수단(365), 기록수단 인터페이스(375), 기록매체 인터페이스(379),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은, 조사대상의 회사의 규모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회사의 재무정보 등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정보 데이터베이스(데이터베이스(20), 기록수단(384), 기록매체(377) 등)로부터 조사대상의 기간에 있어서의 경영재무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송수신수단(365), 기록수단 인터페이스(375), 기록매체 인터페이스(379),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기술문헌 취득수단은, 출원이 완료된 특허 또는 실용신안, 또는, 조사대상의 회사가 소유하는 등록된 특허 또는 실용신안에 관한 기술문헌이나 기보를 기록하는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데이터베이스(20), 기록수단(384), 기록매체(377) 등)로부터, 조사대상의 기업, 조사대상의 기술분야, 혹은 전체 회사의 조사대상의 기간에 있어서의 기술문헌 등을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기술문헌 취득수단은, 공개특허공보, 특허공보 등의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송수신수단(365), 기록수단 인터페이스(375), 기록매체 인터페이스(379),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시장가치정보 취득수단은, 조사대상의 회사의 주가의 랭크, 브랜드 가치의 랭크, 또는 은닉자산(실제의 가액이 장부상의 가액보다 많은 기업의 자산)의 랭크 등의 시장가치정보를 기록하는 시장가치정보 데이터베이스(데이터베이스(20), 기록수단(384), 기록매체(377) 등)로부터, 조사대상의 기간에 있어서의 시장가치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은, 취득한 기술문헌을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은, 취득한 기술문헌을 출원인 등의 기업별, 및,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청구항 수 등의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은,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단, ka>1)한 것을 소정의 기술분야에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업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해서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송수신수단(365), 기록수단 인터페이스(375), 기록매체 인터페이스(379), 프린터 인터페이스(374),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출력수단은,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기업별 과점 스코어, 과점상태 또는 경쟁상태를 나타내는 지표, 기업경쟁력 스코어,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 기업경쟁력지수,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 그 밖의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기술분야별 과점상태 판단수단은, 소정의 임계값과 상기 산출한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비교해서, 소정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발명수가 특정의 기업의 과점상태에 있는지, 또는, 많은 기업에 의한 경쟁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은,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의 수치 또는 막대그래프에 의한 표시와, 과점상태에 있는지 또는 경쟁상태에 있는지의 판단결과를 동일한 틀내 또는 인접하는 위치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기업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은, 취득한 기술문헌을 출원인 등의 기업별로 분류해서, 기업별의 전체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업별의 전체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업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기업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은,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업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셰어를 kb승(단, kb>0)한 것을 특정의 기업내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해서 기업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기업별 다각화 구분수단은, 소정의 임계값과 상기 산출한 기업별 과점 스코어를 비교해서,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가 특 정의 기술분야에 집중되어 있는지, 또는, 많은 기술분야에 다각화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도형 또는 문언을 이용하여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다각화지수 산출수단은, 1에서 기업별 과점 스코어를 뺀 다각화지수, 또는, 1에서 기업별 과점 스코어를 뺀 값에 100을 곱한 다각화지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은,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와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곱해서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은,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해서,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기업경쟁력 스코어 구분수단은, 소정의 임계값과 상기 산출한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비교해서, 특정의 기업의 발명에 관한 경쟁력을 나타내는 도형 또는 문언을 이용하여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은, 도형 또는 문언에 의한 구분의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은,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를 기술분야수로 나누어서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 구분수단은, 소정의 임계값과 상기 산출한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비교해서, 특정의 기업의 발명에 관한 경쟁력을 나타내는 도형 또는 문언을 이용하여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발명신장율 취득수단은, 취득한 기술문헌의 날짜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과, 전체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을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초과성장율 산출수단은,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로부터 전체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을 빼서 특정 기업의 초과성장율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기업경쟁력지수 산출수단은, 초과성장율에 1을 더한 값에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곱해서 기업경쟁력지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기업경쟁력지수 구분수단은, 소정의 임계값과 상기 산출한 기업경쟁력지수를 비교해서, 특정의 기업의 발명에 관한 경쟁력을 나타내는 도형 또는 문언을 이용하여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 산출수단은, 기업별 경쟁력지수를 기술분야수로 나누어서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 구분수단은, 소정의 임 계값과 상기 산출한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를 비교해서, 특정의 기업의 발명에 관한 경쟁력을 나타내는 도형 또는 문언을 이용하여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에, 데이터베이스(20) 등의 기록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경영재무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표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 나타내듯이, 경영재무정보에는, 회사의 규모를 나타내는 정보와, 회사의 재무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와, 회사의 각종 정보를 조합해서 산출한 회사의 조합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또, 경영재무정보의 데이터는, 조사대상이 되는 기업의 유가증권 보고서, 신문사나 연구소 등이 제공하고 있는 상용 데이터베이스 등으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회사의 규모를 나타내는 정보에는, 종업원수, 임원수, 자본금, 제작소수, 사업소수, 부지면적, 연면적, 부지소유율, 건물소유율, 연결의 종업원수, 연결의 임원수, 연결의 자본금, 연결의 제작소수, 연결의 사업소수, 연결의 부지면적, 연결의 연면적, 연결의 부지소유율, 또는 연결의 건물소유율 등이 포함된다.
회사의 재무정보에는, 매상고, 매상이익, 영업이익, 매상이익율, 영업이익율, 총자산 시가총액비율, 주주자본 시가총액비율, 매상고 시가총액비율, 제조판매이익 시가총액비율, 영업이익 시가총액비율, 총자산 제조판매이익율, 주주자본 제조판매이익율, 총자산 영업이익율, 주주자본 영업이익율, 주주자본비율, 시가총액 주주자본차액, 연구개발비, 매상고 연구개발비비율, 제조판매이익 연구개발비비율, 제조판매이익율, 영업이익 연구개발비비율, 또는 제조판매이익 등이 포함된다.
또한 회사의 재무정보에는, 총자산, 유형 고정자산, 설비투자액, 감가상각비, 특허료 등 로열티수입, 금융자산(유동자산, 유동부채 등), 지불이자, 할인료, 장기 프라임 레이트(장기 차입금리), 단기 프라임 레이트, 사채금리, 10년물 장기국채이율, 인건비(임원보수 포함, 노무비), 복리후생비용, 주주자본, 발행이 완료된 주식총수, 주가(닛께이 평균주가 등), 또는 조세효과가 포함된다.
회사의 조합정보에는, 종업원 1인당 매상고, 종업원 1인당 연구개발비, 종업원 1인당 매상이익, 종업원 1인당 영업이익, 종업원 1인당 제조판매이익 등이 포함된다.
이하에, 제조판매이익에 대해서 설명한다.
회계기준의 개정에 의해 2000년 3월기 이후의 결산에 있어서, 연구개발비는 원칙적으로 전액비용으로서 계상(計上)하는 것이 의무화되었다. 종래, 제조비용이나 일반관리비에 포함되는 연구개발비를 내역으로서 개시하지 않는 기업이 다수 존재했지만, 이 규칙시행이후, 손익계산에 관계되는 연구개발비의 액수가 명확하게 되었다. 이것을 받아서, 여기에서는 기업의 연구개발비의 실태를 다각적으로 분석할 목적으로, 「제조판매이익」이라고 이름짓는 지표를 개발했다. 이것은, 영업이익에 연구개발비를 가산함으로써 구해지는 가정의 이익액(연구개발활동을 제외한 본업 즉 제조판매활동이 만들어 낸 총이익액)을 시산한 것이다. 이 시산액은, 연구개발비가 모두 비용으로서 계상됨으로써, 손익계산상, 연구개발활동을 적극화할 수록 영업이익은 압축되게 되므로, 기술개발(지적재산)의 중요성이 논의되는 가운데, 영업이익의 관점에서만은 기업의 수익성에 관한 실태는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에 하나의 시점을 부여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본 지표는 대략 매상이익과 영업이익의 중간에 위치되어지는 지표이며, 이들의 지표와 동시에 이용함으로써, 기업의 수익성을 보다 입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매상이익은, 매상고에서 제조원가를 빼는 것으로 구해지는 조이익이지만, 연구개발비에는 제조원가에 포함되는 것과 일반관리비에 포함되는 것이 있으므로, 엄밀한 의미에서는, 제조판매이익을 매상이익과 영업이익의 중간에 위치하는 이익지표라고 할 수는 없다. 제조판매이익과 그 밖의 이익지표의 관계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하기와 같다.
제조판매이익={(매상이익)+(제조원가에 포함되는 연구개발비)}
-{(일반관리비)-(일반관리비에 포함되는 연구개발비)}
= 영업이익+연구개발비의 총액
또한 이하에 제조판매이익 연구개발비비율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조판매이익」에 차지하는 「연구개발비」의 비율을 산출한 것으로, 제조판매활동이 만들어 낸 총이익액의 어느 정도의 비율을 연구개발비로서 재투자하고 있는지를 볼 수 있다. 이 비율은 일반적으로 R&D비율이라고 불리는 「매상고 연구개발비비율」과는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되지만, 어떠한 비율이 적정수준이라고 말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기 위한 분석 등 다각적인 분석을 시도했다.
「제조판매이익 연구개발비비율」의 값은, 기업의 우열이나 좋고 나쁨을 비교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지표는, 업종이나 규모 및 각 기업의 경영전략, 영업 수익의 상황 등에 따라 크게 다르다. 따라서, 동업종·동규모의 회사간의 상대비교 등을 행하기 위한 참고 지표의 하나로서 이용가능하다라고 생각된다.
또한 이하에 제조판매이익율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조판매이익율」은, 「제조판매이익」을 매상고로 나눔으로써 구했다. 따라서, 본 지표는, 연구개발활동을 제외한 본업 즉 제조판매활동이 만들어 낸 총이익액의 매상고에 차지하는 비율을 시산한 것이며, 대략 매상이익율(제조활동이 만들어 낸 조이익의 매상비)과 영업이익율(연구개발활동을 포함하는 본업이 만들어 낸 이익의 매상비)의 중간에 위치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하에, 시가총액 주주자본차액에 대해서 설명한다.
주가에 의해 결정되는 주식시가총액은, 시장에 있어서의 기업가치의 평가액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주식시가총액과 장부상의 주주자본의 차액은 시장에 있어서의 기업의 오프 밸런스 자산(자산에 계상되지 않는 무형자산)의 평가액이라고 할 수도 있다. 금후, 일본의 회계제도가 시가회계로 이행해 가는 중에, 이 차액이 갖는 의미는 점점 중요성을 가진다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완전한 시가회계가 행해진 경우, 「시가총액 주주자본차액」이 0이하 (즉 PBR이 1이하)인 기업은, 오프 밸런스의 무형자산 평가액이 0인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현재의 주식시황하에서, PBR이 1이하인 기업이 수많이 보여지지만, 예를 들면 장래에 이익을 초래할 유용한 특허를 보유하고, 불량채권이나 열화자산 등이 없는 회사의 「시가총액 주주자본차액」이 0이하이다라고 하면, 시장에 있어서의 과소평가의 가능성을 지적할 수 있다.
현재, 일본의 회계제도에 있어서는, 단계적으로 시가회계로의 이행이 꾀해지 고 있는 도상에 있으므로, 장부상의 주주자본의 액이 이론적상의 순자산과는 다르기 때문에, 「시가총액 주주자본차액」만으로 해당 기업의 시장에 있어서의 오프 밸런스의 무형자산의 평가액을 추정해서 그 평가의 과소·과대를 판단할 수는 없다.
이하에, 평균 등록 소요연수에 대해서 설명한다.
「등록 소요연수」란, 출원으로부터 특허사정되어 특허로서 등록될 때까지 필요한 연수를 의미한다. 「평균 등록 소요연수(등록년별)」란, 등록통계 대상기간의 각 연도에 등록된 개개의 특허가 출원부터 등록까지 필요한 연수의 등록년별의 평균값을 산출한 것으로, 「평균 등록 소요연수(출원년별)」란, 등록통계 대상기간 이후 출원통계 대상기간말까지 출원된 것 중, 등록통계 대상기간말까지 등록된 개개의 특허가 출원부터 등록까지 필요한 연수의 출원년별의 평균값을 산출한 것이다.
따라서, 「평균 등록 소요연수(출원년별)」은, 새로운 등록이 발생됨으로써 변화(증대)된다. 또, 심사청구 연한의 단축에 의해, 2001년 10월 이후의 출원에 관한 「등록 소요연수」는 대폭 단축되는 것으로 예측된다.
도 4에, 데이터베이스(20) 등의 기록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기술문헌의 일례의 도표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 나타내듯이 기술문헌에는, 특허나 실용신안의 출원정보나, 등록정보 등의 특허문헌이 포함되어 있다. 기술문헌의 데이터는, 예를 들면 특허청의 특허 전자 도서관의 데이터베이스, CD-ROM공보 등으로부터 취득한 특허나 실용신안에 관한 정보, 기타 기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발명의 출원관계의 정보에는, 예를 들면 기업별로, 출원일, 출원 번호, 발명의 명칭, 발명자, 출원인, 청구범위, 요약, IPC, FI, F 텀, 대리인, 공개일, 공개 번호, 심사청구의 유무, 심사청구일, 우선일, 우선권주장번호, 공표일, 공표 번호, 재공표공보 발행일, 재공표공보 번호, 국제출원일, 국제출원 번호, 국제공개일, 국제공개 번호, 지정국, 출원 건수, 심사청구 건수, IPC별 출원 건수, 키워드별 출원 건수, 출원 청구항수, 출원부터 심사청구까지의 연수, 발명자수, 출원인수 (공동 출원수), 국내우선의 수, 국내우선의 기초의 수, 외국으로부터의 우선의 기초의 수, 신규성 상실의 예외 신청의 유무, 공개공보에 심사청구의 기재의 유무, 분할출원의 수, 출원취하·포기의 수, 출원변경 건수, 조기심사 건수, 출원 건수(외국국가별), 발명자수 (외국국가별), 출원인수 (외국국가별), 우선권주장처의 수(외국국가별), 우선권주장의 기초의 수(외국국가별), 출원분할의 유무(외국국가별)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또 발명의 등록관계의 정보에는, 예를 들면 기업별로, 설정의 등록일, 등록공보 발행일, 등록 번호, 권리만료 예정일, 공고일, 공고 번호, 유지연금 납부상황, 거절사정 건수, 거절사정 확정일, 거절사정 청구항수, 거절사정 불복심판 건수, 심사청구후의 포기·취하 건수, 심사청구후의 포기·취하 청구항수, 무효심판의 수, 심판 번호, 심결일, 무효심판의 청구항수, 보정 각하·정정 심판의 수, 이의신청의 수, 이의신청의 청구항수, 등록특허의 발명자, 등록특허의 발명자수, 등록특허의 출원인, 인용문헌, 등록 건수, 등록 청구항수, 등록 건수 중 실효된 건 수, 출원부터 등록까지의 연수, 특허등록율, 특허사정율, 심사청구부터 등록까지의 연수, 우선심사의 유무, 거절이유 회수, 보정 회수, 보정(방식) 회수, 특허권의 설정등록의 유무, 존속기간의 연장등록의 유무, 특허권의 이전의 유무, 등록 건수(외국국가별), 등록 소요연수(외국국가별), 심사 연수(외국국가별), 거절이유회수(외국국가별), 보정 회수(외국국가별), 보정(방식) 회수(외국국가별), 이의신청의 유무(외국국가별), 우선심사의 유무, 거절이유 회수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이하에, 발명수에 기초하여 기업을 평가할 때의 각 지표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일반적으로 특허출원 건수나 특허출원에 포함되는 청구항수 등의 발명수가 많은 기업일 수록 신제품의 개발에 예산을 할당하고 있으며, 장래를 향한 제품개발이 활발하며, 장래의 사업의 확대나 수익의 향상을 예상할 수 있는 기업이다라고 판단할 수 있다.
최근의 공업제품은 제품 그 자체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 많은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많고, 제품의 기능이나 성능에 따라 제품개발에 요구되는 기술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또한 개발 제품의 기능이나 성능을 향상시켜서 경쟁력을 높이는 설계를 행하면, 제품의 개발비도 앙등하므로, 다액의 자금이나 인재도 필요하다.
신제품 개발을 위해서 많은 기술적 사상의 창작을 해서 특허출원을 하고 있는 기업에 개발 자금이 충분하면, 특허권을 얻었을 때의 독점 배타권을 감안하여, 장래의 사업의 확대나 수익의 향상을 예상할 수 있는 기업이다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 투자가나 은행은, 장래성이 있는 기업에 투자를 희망하고, 학생이나 중도채용의 기술자도 독창성이 있는 기술력을 구비한 장래성이 있는 기업에서의 취업을 희망한다.
본 발명에서는, 투자가나 은행, 기술자 등이, 복수의 기업 중에서, 독창성이 있는 기술력을 구비한 장래성이 있는 기업을 찾거나, 우위성을 구비한 기업을 조사할 경우의 판단 기준이나, 특정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발명이 경쟁상태에 있는지 과점상태에 있는지의 판단 기준이 되는 몇개의 지표를 제공한다.
우선 최초에, 특정의 기술분야에 관한 발명이 각 기업 균등하게 출원되어 있으며 기술이 이미 경쟁상태에 있는지, 또는 특정 기업이 돌출해서 출원하고 있으며 기술이 과점상태에 있는지의 판단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지표를 제공하는 특허출원 포트폴리오 분석에 대해서 설명한다.
특허출원 포트폴리오 분석에서는, IPC 서브클래스나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 마다, 특허출원이나 출원 시의 청구항수 등의 발명수를 추출한다.
일반적으로 특허출원은, 산업상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신규의 발명으로서, 발명의 단일성의 요건을 만족시키는 범위내의 발명에 대해서 출원하는 것이므로, 특허의 출원 건수를 발명수라고 생각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1개의 특허출원 중에도, 복수의 청구항으로 나누어서 신규성이 있는 발명이 복수 기재되어 있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특허출원의 청구항수를 갖고 발명수라고 생각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최근에서는, 1건의 특허출원에 포함되는 청구항수가 증대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1개의 특허출원에 포함되는 청구항수는, 기술분야나 업종, 기업 마다 그 평균값이나 경향이 크게 다른 것이 통계상 판명되고 있다. 따라서, 단순하게 출원 건수를 갖고 각 기업의 특허출원의 동향분석이나 타사와의 상대평가, 기술력 분석 등을 행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큰 오해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이유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기업의 특허출원의 동향이나 기술동향을, 특허의 출원 건수와 특허출원의 청구항수의 양면으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특허의 출원 건수와 청구항수를 발명수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수로서, 특허 또는 실용신안의 등록 건수, 등록 청구항수, 심사청구 건수, 심사청구한 청구항수, 등록사정 건수, 등록사정 청구항수, 거절사정 건수, 거절사정 청구항수, 심판청구 건수, 심판청구의 청구항수 등을 용도에 따라 이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의 2개이상의 발명수를 조합한 값, 예를 들면 (등록 건수/심사청구수)를 용도에 따라 이용하는 것도 생각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발명의 기술분야로서 IPC 서브클래스를 이용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기술정보는 IPC 서브클래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IPC의 섹션, 클래스, 서브클래스, 메인그룹, 서브그룹, F 텀, FI, 패싯, 특허문헌에 포함되는 키워드 등의 분류를 용도에 따라 이용해도 좋다.
또 다른 발명의 분류로서, 특허출원 등의 출원일, 등록일 등의 년마다 등의 분류를 이용해도 좋고, 출원부터 등록까지의 연수에 의한 분류, 심사청구부터 등록까지의 연수에 의한 분류, 등록특허 유지기간 등의 분류를 이용해도 좋다.
또, 이하의 예에서는, 기술분야의 분류에 IPC 서브클래스를 이용하고, 발명수로서 특허의 출원수나 청구항수를 이용한 계산예를 대표예로서 나타낸다.
도 5는, 특정 기업(BI사)의 특정의 연차(2003년차)에 있어서의 발명수가 많은 상위의 기술분야(H05K, H01L… 등)와, 그 기술분야내에서의 전체 기업의 발명수에 차지하는 특정 기업(BI사)의 발명수의 셰어(비율)와, 그 소정의 기술분야에서 발명수가 각 기업 사이에서 경쟁상태에 있는지 또는 과점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과점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동 도면에는, 산출에 이용한 발명의 연차를 나타내는 기간정보와, IPC 서브클래스 등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와,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소정 기술분야의 특허의 기업별 기술분야별 청구항수 및 기업별 기술분야별 청구항수와, 기업별 전체 청구항수에 차지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청구항수(기업별 기술분야별 청구항수 셰어(비율))와, 기업별 전체 출원 건수에 차지하는 기업별 기술 분야별 출원 건수(기업별 기술분야별 출원 건수 셰어(비율))와, 기업별 전체 청구항수와, 기술분야의 분류수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 동 도면에는, 기술분야별 전체 회사 청구항수에 차지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청구항수의 비율(기술분야별 기업별 청구항수 셰어)과, 그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각 회사의 기술분야별 기업별 청구항수를 감안하여 발명수가 경쟁상태인지 또는 과점상태인지를 나타내는 과점정보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하의 식 1에, 기업별 전체 청구항수에 차지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청구항수의 비율(기업별 기술분야별 청구항수 셰어)을 산출하는 계산식을 나타낸다.
기업별 기술분야별 청구항수 셰어(%)
={(기업별 기술분야별 청구항수)/(기업별 전체 청구항수)}×100…(식 1)
이하에, 기업별 전체 출원 건수에 차지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출원 건수의 비율(기업별 기술분야별 출원 건수 셰어)을 산출하는 계산식을 나타낸다.
기업별 기술분야별 출원 건수 셰어(%)
={(기업별 기술분야별 출원 건수)/(기업별 전체 출원 건수)}×100…(식 2)
상기 식 1 및 식 2를 청구항수 및 출원 건수에 한정하지 않고, 심사청구 건수, 등록 건수, 등록 청구항수 등에 대해서 발명수로서 일반화해서 기재하면,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셰어는 이하의 식 3으로서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하기의 식 3에서는 마지막에 100을 곱해서 %표시를 가능하게 하고 있지만, 100을 곱하지 않고 비율을 산출하도록 해도 좋다.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셰어(%)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기업별 전체 발명수)}×100…(식 3)
단,
기업별 전체 발명수=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의 각 기업 마다의 총합
=
Figure 112006026754127-PCT00001
(기업별 m기술분야별 발명수(기술분야))
M:특정기업내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의 총수
m:소정의 기술분야
다음에 기술분야별 전체 청구항수에 차지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청구항수의 비율(기술분야별 기업별 청구항수 셰어)을 산출하는 계산식을 나타낸다.
기술분야별 기업별 청구항수 셰어(%)
={(기업별 기술분야별 청구항수)/(기술분야별 전체 청구항수)}×100…(식 4)
단,
기술분야별 전체 청구항수=기술분야별 기업별 청구항수의 각 기업 마다의 총합
=
Figure 112006026754127-PCT00002
(기술분야별 n기업별 청구항수(기업))
N:소정의 기술분야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업의 총수
n:특정의 기업
상기 식 4의 파라미터를 청구항수에 한정하지 않고 출원 건수, 등록 건수, 등록 청구항수 등에 대해서 발명수로서 일반화해서 기재하면 이하에 나타내는 식 5에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100…(식 5)
단,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의 각 기업 마다의 총합
=
Figure 112006026754127-PCT00003
(기술분야별 n기업별 발명수(기업))
N:소정의 기술분야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업의 총수
n:특정의 기업
특정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발명수가 전체 회사 중에서 경쟁상태인지 또는 과점상태인지를 나타내는 과점정보는, 예를 들면 이하의 기술분야별 SEI 스코어(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의 계산식에 식 5를 대입해서 판별하여, 표시한다.
기술분야별 SEI 스코어=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
Figure 112006026754127-PCT00004
(기술분야별 SEI(기업))
=
Figure 112006026754127-PCT00005
{기술분야별 n기업별 발명수 셰어 강조율(기업)}
=
Figure 112006026754127-PCT00006
{(기술분야별 n기업별 발명수 셰어) ka }
=
Figure 112006026754127-PCT00007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Figure 112006026754127-PCT00008
(기술분야별 n기업별 발명수(기업))) ka }
=
Figure 112006026754127-PCT00009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ka }…(식 6)
단,
N:소정의 기술분야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업의 총수
n:특정의 기업
ka:격차지수(ka>1의 범위로 한다)
ka=2의 경우에는, 기술분야별 발명수 셰어=응용 HHI지수가 된다.
예를 들면 경쟁상태 또는 과점상태를 판단하는 임계값으로서 1000을 이용하면, 소정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발명의 경쟁상태를 이하와 같이 구분할 수 있다.
경쟁상태: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ka=2의 경우) <1000
과점상태: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ka=2의 경우)≥1000
본래의 HHI지수란, Hirschman-Herfindahl Index의 약자이며, 「허핀달지수」라고 불려지고 있는 지수이다. 본래 HHI지수는, 임의의 제품시장에 있어서의 과점, 분산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이며, 시장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이 갖는 셰어를 2승한 값의 총합에 의해 구해진다.
이 HHI지수를 발명에 적용시켜 응용하면, 1개의 회사가 완전 독점하고 있는 경우에는, 응용 HHI=10,000이라는 값으로 되고, 경쟁이 심할 수록 그 값은 낮아진다. 본 발명에서는, 발명수 셰어에 HHI지수를 적용시킴과 아울러, 과점상태 또는 경쟁상태를 판단하는 임계값을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발명수 셰어의 응용 HHI지수가 임계값이상인 경우를 과점상태라고 판단하고, 임계값미만인 경우를 경쟁상태라고 판단하고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발명수 셰어에 기초한 응용 HHI지수의 임계값을, 경험적으로 1000으로 설정하고 있지만, 임계값은 10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시장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의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2승하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고, 용도에 따라 3승이상의 값을 이용해도 좋다.
발명수를 표현하는 일례로서 특허출원 건수를 이용하여 기업의 장래성을 판단하거나 타사와 비교하거나 하는 경우에, 단지 출원 건수 등의 발명수에 착안해서 비교하면, 기업의 규모를 비교하는 것으로 되어 버려, 이용자가 알고 싶은 정보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특허출원 건수나 특허출원의 청구항수 등의 발명수 전체수만으로는 명확하게 되지 않는 기술분야별의 내역을, IPC 서브클래스 등의 기술분야정보를 이용하여 분류해서 분석하고 있다.
또한 각 회사에 있어서의 자사내에서의 내역분석에 추가해서, 그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타사의 스테이터스와, 그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경쟁상태를 표시 함으로써, 경합하고 있다라고 생각되는 기업전체에 있어서의 조사대상의 기업의 발명수의 위치부여를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특정의 기업에 대해서 출원 포트폴리오 분석을 행한 경우에, 발명수가 많은 것에 의해 출원 포트폴리오의 상위에 랭크된 기술분야가, 타사를 포함한 집계의 결과 과점상태에 있다고 판단한 경우(어느 하나의 기업이 눈에 띄게 많이 발명하고 있는 경우)로서, 그 특정의 기업이 그 기술분야의 발명에 대해서 상당한 셰어를 갖는다고 하면, 그 특정의 기업은 그 기술분야에 있어서 압도적인 기술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인정받게 된다.
또한 포트폴리오의 상위에 랭크된 기술분야가 타사를 포함한 집계의 결과 심한 경쟁상태에 있고, 그 특정의 기업이 발명에 대해서 약간의 셰어밖에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그 특정 기업은 그 기술분야에 있어서 현재의 상태에서는 우위의 상황에 없기 때문에, 경쟁상의 우위성을 확보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는 새로운 별도의 코어 영역으로 퇴출되는 것을 검토해야 할 상태에 있다고 추측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소정의 기간을 각 연차로 하고,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로서 IPC 서브클래스를 설정하고, 발명수로서 청구항수를 설정한 경우에 대해서 출원 포트폴리오 분석을 행하는 예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기업평가 장치(30)는, 소정의 기간내에 출원된 전체 회사의 공개특허공보에 대해서, IPC 서브클래스명과 청구항수를 판독하는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판독한 전체 공개특허공보에 부여된 모든 IPC 서브클래스 마다, 청구항수 및 출원 건수에 대해서 집계하고, 기업별 기술분야별 출원 건수와 기업별 기술분야별 청구항수와 그 상위의 분류수를 표시한다.
도 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소정의 기간 마다(각 연차별 등) 상위 5위까지의 소정 기술분야(IPC 서브클래스)에 대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청구항수, 기업별 기술분야별 청구항수 셰어, 기업별 기술분야별 출원 건수, 기업별 기술분야별 출원 건수 셰어를 산출해서 좌반분에 표시하고 있다. 기업별 기술분야별 청구항수, 기업별 기술분야별 청구항수 셰어, 기업별 기술분야별 출원 건수, 기업별 기술분야별 출원 건수 셰어의 우측옆에는, 앞기간의 계산결과와 비교한 경우의 증감(예를 들면 전년대비)을 ↑ 또는 ↓로 표시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출원 포트폴리오 분석결과의 우반분에는, 각 소정 기술분야(각 IPC 서브클래스)내에서의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도 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기술분야별 기업별 청구항수 셰어)와 그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의 순위, 및 해당 기술분야(IPC 서브클래스)의 과점상태(소정의 임계값과 상기 산출한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비교해서, 소정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발명수가 특정의 기업의 과점상태에 있는지, 또는, 많은 기업에 의한 경쟁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지표)를 표기하고 있다. 특히 도 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과점상태를 문자로 표기하고, 기술분야별 기업별 청구항수 셰어를 막대그래프 및 수치로 표기하고, 과점상태에 있는지 또는 경쟁상태에 있는지의 판단결과를 동일한 틀내 또는 인접하는 위치에 표시하고 있다.
다음에 도 5에 나타내는 각 계산결과의 수치와 그 의미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에서는, 어떤 특정 기업(BI사)의 2003년차의 기업별 기술분야별 청구항수(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의 일형태)는 2,526항이며, IPC 서브클래스(기술분야의 일형태)의 분류수는 51분류에 걸쳐 출원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중, 청구항수가 많은 쪽부터 5위까지의 IPC 서브클래스의 순위는, 1위:H05K(기업별 기술분야별 청구항수=731항이며, 자사 전체 청구항수의 28.94% 이하 동일), 2위:H01L(527, 20.86%), 3위:G02B(183, 7.24%), 4위:D21J(136, 5.38%), 5위:F01N(125, 4.95%)이다.
이들 산출한 기업별 기술분야별 청구항수 셰어에 대해서, 대응하는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식 6에서 ka=2로 한 경우)를 계산해 보면, 기업별 기술분야별 청구항수가 1위부터 3위까지의 IPC 서브클래스의 전체 회사에 있어서의 기술분야별 SEI 스코어(계산식은 식 6참조)는 모두 1,000을 밑돌므로 경쟁상태라고 판별하고 있다.
특히 BI사는, H01L의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는 0.40%이며, 순위는 제33위이며, G02B의 기술분야별 기업별 청구항수 셰어는 0.40%이며, 순위는 42위이다. 따라서 BI사는, 이들 기술분야에서는 기술적인 경쟁이 상당히 심한 상황에 놓여져 있는 것이 인정된다.
또 D21J의 기술분야에서는, BI사내에서의 기업별 기술분야별 청구항수의 순위는 제4위이지만, 전체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 중에서는, 44.00%의 기술분야별 기업별 청구항수 셰어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순위는 제1위이다. 기술분야별 SEI 스코어(ka=2로 한 경우)의 값도 44(%)2=1,936으로 되고(계산식은 식 6참조), 임계값인 1,000을 크게 초월하고 있으므로, BI사의 과점상태라고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BI사는, 이 기술분야의 기술개발에 있어서 압도적 우위성을 유지하고 있다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다음 F01N의 기술분야에서는, 전체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 중에서의 기술분야별 기업별 청구항수 셰어는 2.70%이며, 순위는 11위이다. 따라서, 타사에 의한 발명의 점유율이 높고, BI사 이외의 다른 기업의 과점상태라고 판별된다. 그리고, 이 기술분야에서의 BI사의 기술적 경쟁은 어려운 상황에 놓여져 있다라고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특허의 기업별 기술분야별 출원 건수나 기업별 기술분야별 청구항수 등의 발명수만으로는 판명되지 않는 기업의 기술적 경쟁력을, IPC 서브클래스 등의 기술분야를 고려해서 분석해서, 각 회사의 내역분석에 추가해서 그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각 회사의 셰어나 과점정보 등의 스테이터스, 또는 그 기술분야자체의 경쟁상태를 표시함으로써, 각 회사의 기술개발에 관한 위치부여를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각 연차(각 기간 등)의 기업별 전체 청구항수에 차지하는, 각 기술분야별(IPC 서브클래스별 등)의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기업별 기술분야별 청구항수 등)의 비율을 이용하여, 소정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기술개발의 집중, 다각화의 정도를 나타내는 특허다각화지수(다각화지수의 일형태를 나타내는 지표)의 산출 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는 특허다각화지수를 PDI(Patent Diversification Index)라고 부르고, 기업별 SEI(기술분야별 셰어 강조율)와 함께 이하의 순서로 산출한다.
다음에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는 계산식을 나타낸다.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셰어(%)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기업별 전체 발명수)}×100…(식 7)
단,
기업별 전체 발명수=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의 각 기술분야 마다의 총합
=
Figure 112006026754127-PCT00010
(기업별 m기술분야별 발명수(기술분야))
M:특정 기업내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의 총수
m:소정의 기술분야
다음에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셰어 강조율을 산출하는 계산식을 나타낸다.
기업별 기불분야별 발명수 셰어 강조율=기업별 기술분야별 SEI지수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셰어) kb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Figure 112006026754127-PCT00011
(기업별 m기술분야별 발명수(기술분야)))} kb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기업별 전체 발명수)} kb …(식 8)
단,
M:특정 기업내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의 총수
m:소정의 기술분야
kb:격차지수(kb>0)
다음에 기업별 SEI 스코어(기업별 과점 스코어 또는 기술분야별 셰어 강조율)의 정의식을 나타낸다.
기업별 기술분야별 SEI 스코어
=
Figure 112006026754127-PCT00012
(기업별 기술분야별 SEI지수)
=
Figure 112006026754127-PCT00013
{m기술분야별 발명수 셰어 강조율(기술분야)}
=
Figure 112006026754127-PCT00014
{(기업별 m기술분야별 발명수 셰어(기술분야)) kb }
=
Figure 112006026754127-PCT00015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Figure 112006026754127-PCT00016
(기업별 m기술분야별 발명수(기술분야))) kb }
=
Figure 112006026754127-PCT00017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기업별 전체 발명수)) kb }…(식 9)
단,
M:특정 기업내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의 총수
m:소정의 기술분야
kb:격차지수(kb>0)
다음에 다각화지수의 일형태인, 특허다각화지수(PDI)(Patent Diversification Index)를 정의하는 계산식을 나타낸다.
하기의 식에서는, 기업별 과점 스코어를 1에서 뺀 값에 100을 곱해서 다각화지수를 산출해서 %표시에 감각적으로 가까운 값으로 표시하도록 하고 있지만, 100을 곱하지 않고 1에서 기업별 과점 스코어를 뺀 값을 다각화지수로 정의해서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특허다각화지수(PDI)
={1-기업별 기술분야별 SEI 스코어}×100
={1-
Figure 112006026754127-PCT00018
(기업별 기술분야별 SI지수)}×100
=[1-
Figure 112006026754127-PCT00019
{m기술분야별 발명수 셰어 강조율(기술분야)}]×100
=[1-
Figure 112006026754127-PCT00020
{(기업별 m기술분야별 발명수 셰어(개술분야)) kb ×}]×100
=[1-
Figure 112006026754127-PCT00021
{((기업별 m기술분야별 발명수)/
Figure 112006026754127-PCT00022
(기업별 m기술분야별 발명수(기술분야))
[1-
Figure 112006026754127-PCT00023
{((기업별 m기술분야별 발명수)/(기업별 전체 발명수)) kb }]×100…(식 10)
단,
M:특정 기업내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의 총수
m:소정의 기술분야
kb:격차지수(kb>0)
기업별 SEI 스코어를 산출할 때에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셰어를 kb로 멱승해서 계산하고 있으므로, kb=2로 한 경우에 있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청구항수 셰어가 1개의 기술분야에서 100%인 경우(1개의 기술분야에 밖에 발명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업별 SEI 스코어(최대값)=1.00이 된다.
상기의 각 식에 나타내듯이, 기업별 SEI 스코어를 산출하는 경우에는, 각 기술분야에 대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청구항수 셰어의 kb승의 총합을 산출하고 있다. 이 계산식은, 식 6에 나타낸 기술분야별 n기업별 발명수 셰어와 비슷한 계산식이지만, 총합을 산출하는 대상이 다름과 아울러, 식 7에서는 이 총합을 1에서 감산함으로써,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이, 어느 정도의 기술분야에 걸쳐 이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식 10을 이용해서 특허다각화지수(PDI)를 산출함으로써, 특정의 기업내에서의 발명의 다각화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마지막에 100배하고 있 는 것은, 특허다각화지수가 취할 수 있는 범위를 0∼100으로 설정함으로써 %표시에 가까운 값으로서 수치를 판독하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 식 10에 나타내듯이 특허다각화지수를 산출할 때 1에서 발명수 셰어의 총합을 빼는 것을 행하지 않고, 기업별 기술분야별 청구항수 셰어의 멱승의 총합 자체를 100배해서, 기업별 SEI 스코어를 산출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이 소정의 기술분야에 집중되어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는 큰 값을 나타내므로, 산출한 지수를 독점화 지수 또는 과점 지수 등과 같이 표현하면 좋다.
또한 100배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끊기 좋은 숫자 또는 이들의 배수(예를 들면 10이나 200, 1000, 10000 등)을 곱해도 좋다.
식 6에 나타낸 기술분야별 SEI 스코어는, 큰 값일 수록 소정의 기술분야에서 특정의 기업이 발명을 독점하고 있는 상태(과점상태)를 나타내고, 작은 값을 나타낼 수록 소정의 기술분야에서 많은 기업이 발명을 창작하고 있는 상태(분산상태)를 나타내고 있었다. 특허다각화지수(PDI)의 경우에는, 식 8에 나타내듯이, 1에서 기업별 SEI 스코어를 빼서 100배하고 있으므로, 그 값이 100에 가까울 수록 그 기업에 있어서 넓은 기술분야에 걸쳐 발명이 다각화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그 값이 0에 가까울 수록 그 기업에 있어서 소정의 기술분야에 발명이 집중화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격차지수(kb)로서, 일반적으로는 kb=2를 이용하면 좋지만, 1보다 큰 멱수를 이용함으로써 각 기술분야간의 셰어의 차를 보다 크게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 다. 또한 격차지수(kb)를 1보다 작은 멱수로 하면 각 기술분야간의 차를 작게 표현하는 것이 가능해지지만, 각 기술분야간의 셰어의 차가 보이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그다지 바람직하지 못하지만, 원래의 셰어의 차가 너무 큰 기술분야끼리를 비교하는 경우에는, 유효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도 있다. 따라서, 조사대상이나 용도에 따라 격차지수를 적적하게 변경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특허다각화지수를 상기의 계산식으로 산출해서 소정의 임계값과 비교하여,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가 특정의 기술분야에 집중되어 있는지, 또는, 많은 기술분야에 다각화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도형 또는 문언을 이용하여 다각화의 정도를 구분하도록 해도 좋다. 식 10에 나타낸 특허다각화지수(PDI)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에 기초하여 산출했지만, 기업별 기술분야별 청구항수나 기업별 기술분야별 출원 건수 등을 이용하여 산출하도록 해도 좋다.
기술분야에 관한 수치로서는, 공개특허공보 등에 부여되어 있는 IPC 서브클래스의 주분류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IPC 서브클래스의 부분류를 병용하도록 해도 좋다. 그 경우에는, 주분류 0.5건, 부분류 0.5건으로서 균등할로 계수해도 좋고, IPC 주분류와 부분류에서 다른 가중을 해서, 예를 들면 주분류 0.7건, 부분류 0.3건 등으로 해서 계수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지수의 계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가중을 행해도 좋다.
도 6 및 도 7에, 특허다각화지수(PDI)의 시산예를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내는 계산 1은, 기술분야별 발명수가 「H01J」의 IPC 서브클래스에 있어서 집중되어 있는 A기업에 대해서 특허다각화지수(PDI)를 산출한 계산예이 다.
도 6에 나타내는 계산 1에서는, A기업은 IPC 서브클래스 「H01J」에 있어서 발명수(특허의 청구항수)가 164로 다른 기술분야의 2배이상 존재하므로, A기업의 기술개발분야는 약간 집중되어 있는 것이라고 생각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A기업의 청구항수만을 조사해 보아도, 청구항수가 소정의 기술분야에 집중되어 있는 것인지, 또는 다방면의 기술분야에 걸쳐 다각화되어 있는 것인지를 아는 것은 곤란하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기업별 기술분야별의 발명수와 그 총합으로부터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그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셰어에 대해서 격차지수를 이용하여 멱승해서 1에서 빼서 100배하고, 특정의 기업의 기술개발분야의 집중, 다각화의 정도를 나타내는 특허다각화지수(PDI)를 산출해서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특허다각화지수(PDI)를 보는 것만으로, 특정의 기업의 기술개발분야의 집중, 다각화의 정도를 용이하게 아는 것이 가능해지고, 동일한 계산방법을 이용하여 산출한 타기업의 특허다각화지수와 비교함으로써, 소정의 기술개발분야의 집중, 다각화의 정도를 비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에 나타내는 예는, 격차지수(kb)를 2로 한 경우의 계산예이지만, 도 9 에 나타내듯이 격차지수를 kb=3, 1.5, 0.5와 2 이외의 수치로 설정함으로써, 소정의 기술개발분야에서의 집중, 다각화의 정도를 용도에 따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격차지수(kb)를 큰 값으로 할 수록 다각화, 집중의 정도를 극단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특허다각화지수(PDI)를 산출할 때, 년도에 의한 불균형을 평준화하기 위해서, 몇년분의 발명수 등을 평균하면 좋다. 단, 너무 긴 년도의 평균을 취하면 기업 자체 또는 기술분야 마다의 형태의 년변화나 특징이 몰각되어서 보이지 않게 되므로, 바람직하게는 3년 마다의 이동평균을 취하면 좋다. 도 6에서는 1년간의 발명수에 기초하여 연산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동평균 등의 연산은 행하고 있지는 않지만, 그 계산은 통상 실시하고 있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나타내는 계산 2는, 기술분야별 발명수가 균등하게 다각화되어 있는 B기업에 대해서, 특허다각화지수(PDI)를 산출한 계산예이다.
도 7에 나타내는 계산 2에서는, B기업은 모든 IPC 서브클래스에 있어서 발명수(특허의 청구항수)가 70 또는 80으로 균등하게 존재하므로, B기업의 기술개발분야는 다각화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B기업에 있어서의 기술개발분야의 다각화상황과, A기업의 기술개발분야의 다각화상황을 청구항수만으로 비교하는 것은 곤란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특허다각화지수(PDI)를 산출해서 표시하여 대비함으로써, 이용자는 용이하게 기술개발분야의 다각화상황을 비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7에 나타내는 예는, 격차지수(kb)를 2로 한 경우의 계산예이지만, 도 10 에 나타내듯이 격차지수를 kb=3, 1.5, 0.5와 2 이외의 수치로 설정함으로써, 소정의 기술개발분야에서의 집중, 다각화의 정도를 용도에 따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격차지수(kb)를 큰 값으로 할 수록 다각화, 집중의 정도를 극단적으 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의 계산결과로부터 고찰하면, 격차지수(kb)의 값은 1.5 내지 3 사이의 수치가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형편상 kb=2로 한 경우에서 주로 설명한다.
도 8에, 특허다각화지수(PDI)의 값에 기초한 다각화의 분류예를 나타낸다.
특허다각화지수(PDI)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의 기술개발분야의 집중, 다각화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단지 특허다각화지수로서의 수치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특허다각화지수의 수치에 따른 평가 정보로 변환해서 형의 구분을 표시함으로써, 이용자에 대하여 기술개발분야의 집중, 다각화의 정도를 알기 쉽게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특허다각화지수(PDI)의 값이 96이상인 경우에 「초종합형」이라고 구분하고, 90이상 96미만의 경우에 「종합형」, 76이상 90미만의 경우에 「밸런스형」, 50이상 76미만의 경우에 「집중형」, 50미만의 경우에 「초집중형」이라고 구분하고 있다.
도 8에 나타낸 특허다각화지수의 구분을 이용하면, A기업은 kb=2인 경우의 특허다각화지수(PDI)가 63.5이므로 형의 구분은 「집중형」이다라고 판단한다. 한편 B기업은, kb=2인 경우의 특허다각화지수(PDI)가 92.8이므로, 형의 구분은 「종합형」이다라고 판단한다.
도 8에 나타낸 구분은 일례이며, 격차지수(kb값)나 특허다각화지수의 시점을 바꾼 경우에는, 도 8에 나타낸 구분과는 다른 별도의 구분을 적용하면 좋다. 단, 청구항수와 IPC 서브클래스를 이용하여 특허다각화지수의 계산을 행하는 경우에는, 전체 기업의 시산결과로부터 감안하면 도 8에 나타내는 형태의 분류가 적합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다음에 각 연차(각 기간 등)의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기술분야별 전체 청구항수 등)에 차지하는, 각 기업별의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기업별 기술분야별 청구항수 등)의 비율을 이용하여, 발명수로부터 본 기술개발 경쟁력의 정도를 나타내는 기술분야별 SEI 스코어 및 특허경쟁력지수의 산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는 특허경쟁력지수를 PCPI(Patent Competitive Position Index)라고 부르며, 기술분야별 SEI 스코어와 함께 이하의 순서로 산출한다. 또 특허경쟁력지수(PCPI)는 기업경쟁력지수에 포함되는 지수의 일형태이다.
이하에,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는 계산식을 나타낸다.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식 11)
단,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의 각 기업 마다의 총합
=
Figure 112006026754127-PCT00024
(기술분야별 n기업별 발명수(기업))
N:소정의 기술분야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업의 총수
n:특정의 기업
상기의 식 11에서 산출한 (H01L)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의 계산예를 도 11에 나타낸다. 또한 (G06F)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의 계산예를 도 12에 나타낸다.
다음에 기술분야별 기업별 SEI 지수(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 강조율)를 산출하는 계산식을 나타낸다. 또, 이 값을 특허경쟁력지수A(PCPIA)라고 정의한다.
특허경쟁력지수A(PCPIA)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 강조율(C·SEI)
=기술분야별 기업별 SEI 지수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 ka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Figure 112006026754127-PCT00025
(기술분야별 n기업별 발명수(기업))} ka …(식 12)
단,
N:소정의 기술분야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업의 총수
n:특정의 기업
ka:격차지수(ka>1의 범위로 한다.)
상기의 식 12에서 산출한 (H01L)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기술분야별 기업별 SEI 지수의 계산예를 도 11에 나타낸다. 또한 (G06F)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기술분야별 기업별 SEI 지수의 계산예를 도 12에 나타낸다.
특허경쟁력지수A(PCPIA)는,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에 대해서 ka승 하고 있으므로, 각 회사에 있어서의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의 격차를 크게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격차를 크게 표현한 쪽을 알기 쉬운 사상에 적용하면 좋다.
다음에 기술분야별 SEI 스코어를 산출하는 계산식을 나타낸다. 또, 이 값을 특허경쟁력지수B(PCPIB)라고 정의한다.
특허경쟁력 지수B(PCPIB)
=기술분야별 기업별 SEI 스코어(SSEI)
=기업별 셰어 강조율
=
Figure 112006026754127-PCT00026
(특허경쟁력지수A(기업))
=
Figure 112006026754127-PCT00027
(기술분야별 기업별 SEI 지수)
=
Figure 112006026754127-PCT00028
{기술분야별 n기업별 발명수 셰어 강조율}
=
Figure 112006026754127-PCT00029
{(기술분야별 n기업별 발명수 셰어) ka }
=
Figure 112006026754127-PCT00030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Figure 112006026754127-PCT00031
(기술분야별 n기업별 발명수(기업))) ka }
=
Figure 112006026754127-PCT00032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ka }…(식 13)
단,
N:소정의 기술분야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업의 총수
n:특정의 기업
ka:격차지수(ka>1의 범위로 한다.)
특허경쟁력지수B(PCPIB)는, 임의의 기술분야(제품시장 등)에 있어서의 특정 기업에 의한 과점, 분산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수치이며, 소정의 기술분야 마다 참여하고 있는 기업의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한 값의 총합에 의해 구한다.
기술분야별 SEI(기업)에 의해 구한 각 IPC 서브클래스의 경쟁상태(과점 또는 경쟁상태를 나타내는 기술분야 SEI 스코어)와, 각 회사의 기술분야별 기업별 셰어를 이용하여, 특허출원으로부터 본 기술개발 경쟁력의 정도를 측정한 것이다. 각 기업은 타사의 출원 동향을 주시하면서 자사가 개발, 출원하는 기술을 확인하고 있다. 이러한 경쟁에 있는 시장에서는, 발명에 관한 셰어가 큰 대기업이, 타사의 참 여를 저지할 수 있다. 그러나, 어떤 기업이 어떤 IPC 서브클래스에 있어서 셰어 제1위를 차지하고 있다고 해도, 심한 기술개발 경쟁상태에 있으면, 그 기업의 위치는 확고한 것은 아니다. 그래서, IPC 서브클래스의 기술개발 경쟁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참여 각 회사의 기술분야별 SEI 스코어를 산출해서, 시장성을 보는 것으로 했다. 기술분야별 SEI 스코어는 각 기업의 셰어의 kb승을 총합해서 구하지만, 그 수치가 1.00에 가까울 수록, 그 IPC 서브클래스는 과점상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청구항은 발명 마다 기재되어 있으므로, 출원 청구항수가 많다라는 것은 발명의 수가 많다라는 것을 나타내지만, 출원 비용의 저감을 꾀할 목적이나 특허청의 지도도 있고, 관련된 발명을 1개 모으기로 해서 출원하는 기업이 증가해 오고 있는 점에서도, 출원 건수를 베이스로 해서 발명의 양적 계측을 행하는 것은 오해를 낳을 가능성이 높아져 오고 있다. 또한 소폭의 개량 기술의 발명을 따로따로 출원 건수를 올린다라는 듯한 자의적인 요소를 배제하기 위해서도 출원 청구항수를 베이스로 계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업종에 따라서도 특허출원의 규모는 다르므로, 특허경쟁력지수의 산출에 있어서의 각 기업의 위치부여를 예측함에 있어서는, 최근 3년분의 데이터를 합계하여, 해마다의 출원 청구항수의 편차를 표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업종에 따른 출원 청구항수의 규모의 차이에 대처하기 위해서, 규모에서의 비교가 아닌,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의 셰어에서의 비교를 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IPC 서브클래스 분류별로 기업의 기술분야별 기업별 청구항수 셰어(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해서 그 값을 기업의 위치부여로 한다. IPC 서브클래스의 기술분류에 따라서 각 기업의 기술분야별 기업별 청구항수 셰어(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보면, 같은 기술분류에 있어서의 비교가 가능해져 업종에 따른 기업별 기술분야별 출원 청구항수의 규모의 차이에 좌우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공개특허공보에 부여되어 있는 IPC 서브클래스의 주분류를 이용했지만, 부분류와의 병용으로, 주분류 0.5건, 부분류 0.5건으로 해서 집계해도 좋고, 주분류와 부분류에서 다르게 가중해서, 예를 들면 주분류 0.7건, 부분류 0.3건 등으로 계수해도 좋다.
다음에 강조 PCPI(기술분야별 기업별 SEI 스코어 또는 PCPIC)를 산출하는 계산식을 나타낸다.
강조 PCPI(PCPIC)=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기술분야별 기업별 SEI 스코어
=(기술분야별 기업별 셰어(기업))×(특허경쟁력지수B(PCPIB))
=(기술분야별 기업별 셰어(기업))×(기술분야별 기업별 SEI 스코어)
=(기술분야별 기업별 셰어(기업))×(기업별 셰어 강조율)
=(기술분야별 기업별 셰어(기업))
×
Figure 112006026754127-PCT00033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ka }…(식 14)
단,
N:소정의 기술분야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업의 총수
n:특정의 기업
ka:격차지수(ka>1의 범위로 한다.)
상기의 식 14에서 산출한 (H01L)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기술분야별 기업별 SEI 스코어의 계산예를 도 11에 나타낸다. 또한 (G06F)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기술분야별 기업별 SEI 스코어의 계산예를 도 12에 나타낸다.
강조 PCPI(기술분야별 기업별 SEI 스코어)의 지표는, IPC 서브클래스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셰어가 큰 경우에, 해당 기업에 의해 과점상태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값이 클 수록 해당 기업이 출원하고 있는 각 IPC 서브클래스에 있어서의 발명으로부터 본 기술개발력의 종합력이 큰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또, 강조 PCPI의 산출에 있어서의 각 기업의 위치부여를 예측함에 있어서는, 최근 3년분의 데이터를 합계하여, 해마다의 청구항수의 편차를 표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업종에 따른 출원 청구항수의 규모의 차이에 대처하기 위해서, 출원의 규모에서의 비교가 아닌, 셰어에서의 비교를 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IPC 서브클래스 분류별로 기업의 청구항수 셰어를 산출해서 그 값을 기업의 위치부여로 한다. IPC 서브클래스의 기술분류에 따라서 각 기업의 청구항수 셰어를 보면, 같은 기술분류에 있어서의 비교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특허경쟁력지수(PCPI)를 산출할 때에 이용하는 특허경쟁력지수D (PCPID)에 대해서 정의한다.
특허경쟁력지수D(PCPID)
=
Figure 112006026754127-PCT00034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
Figure 112006026754127-PCT00035
(기술분야별 기업별 SEI 스코어)
=
Figure 112006026754127-PCT00036
(m 강조 PCPI(기술분야))…(식 15)
단,
M:특정 기업내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의 총수
m:소정의 기술분야
kb:격차지수(kb>0)
상기의 식 15에서 산출한 특허경쟁력지수D(PCPID)의 계산예를 도 13에 나타낸다.
각 기업에 있어서의 기술개발의 활발함은,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발명수의 증가의 트렌드에 보여지는 바와 같다. 출원 청구항수의 규모만으로는 단순비교로 우열을 정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어떤 기업의 출원 청구항수가, 전체 산업의 출원 청구항수 전체의 신장율을 상회하는 성장을 이루고 있는 경우에는, 그 기업은 시장전체를 상회하는 기술개발력의 성장을 이루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최근 3연차에 있어서의 특허의 발명수의 평균 신장율(특허출원 청구항의 평균 신장율)을 이용하고 있지만, 당년차에 있어서의 평균 신장율을 이용하도록 해도 좋고, 수년에 걸친 평균 신장율을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각 기업의 성장력을 보기 위해서 (1+초과성장율)을 가중해서 이용하고 있다. 1을 가산한 것은, 기업의 신장율=전체 기업의 신장율인 경우, 0을 가중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다음에 특허경쟁력지수(PCPI)를 산출할 때 이용하는 초과성장율에 대해서 정의한다.
초과성장율
=(특정 기업의 최근 3년차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평균신장률)
-(전체 기업의 최근 3년차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평균신장률)…(식 16)
도 14에, 상기 식 16에서 산출하는 초과성장율의 산출예를 나타낸다.
다음에 초과성장율을 가미한 특허경쟁력지수(PCPI)를 산출하는 계산식을 나타낸다.
특허경쟁력지수(PCPI)
={특허경쟁력지수D(PCPID)×(1+초과성장율)}×100…(식 17A)
={
Figure 112006026754127-PCT00037
(m 강조 PCPI(기술분야))×(1+초과성장율)}×100
={
Figure 112006026754127-PCT00038
(기술분야별 기업별 SEI 스코어)×(1+초과성장율)}×100
={
Figure 112006026754127-PCT00039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1+초과성장율)}×100
=[
Figure 112006026754127-PCT00040
{기술분야별 기업별 셰어(기업))×(특허경쟁력지수B(PCPIB))}×(1+초과성장율)]×100
=[
Figure 112006026754127-PCT00041
{(기술분야별 기업별 셰어(기업))×(기술분야별 기업별 SEI 스코어)}×(1+초과성장율)]×100
=[
Figure 112006026754127-PCT00042
{(기술분야별 기업별 셰어(기업))×(
Figure 112006026754127-PCT00043
(기술분야별 기업별 SEI 지수))}×(1+초과성장율)]×100
=[
Figure 112006026754127-PCT00044
{(기술분야별 기업별 셰어(기업))×
Figure 112006026754127-PCT00045
(기술분야별 n기업별 발명수 셰어 강조율)}×(1+초과성장율)]×100
=[
Figure 112006026754127-PCT00046
{(기술분야별 기업별 셰어(기업))×
Figure 112006026754127-PCT00047
(기술분야별 n기업별 발 명수 셰어) ka }×(1+초과성장율)]×100
=[
Figure 112006026754127-PCT00048
{(기술분야별 기업별 셰어(기업))×
Figure 112006026754127-PCT00049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Figure 112006026754127-PCT00050
(기술분야별 n기업별 발명수(기업))) ka )}×(1+초과성장율)]×100
=[
Figure 112006026754127-PCT00051
{(기술분야별 기업별 셰어(기업))×
Figure 112006026754127-PCT00052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ka )}×(1+초과성장율)]×100…(식 17)
단,
M:특정 기업내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의 총수
n:특정 기업
kb:격차지수(kb>0)
N:소정 기술분야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업의 총수
n:특정 기업
ka:격차지수(ka>1의 범위로 한다.)
특허경쟁력지수(PCPI)는, 기업경쟁력지수에 포함되는 지수의 일형태이다. 특허경쟁력지수(PCPI)는, 기술분야별 기업별 SEI 지수에 의해 구한 각 IPC 서브클래스의 경쟁상태(과점 또는 경쟁)와, 각 사의 기술분야별 기업별 셰어와, 초과성장율 (각 사의 출원 청구항수의 신장율)을 이용하여, 특허출원 등의 발명으로부터 본 기술개발 경쟁력의 정도를 예측한 것이다.
또한 특허경쟁력지수를 산출할 때에, 초과성장율을 가중하면 보다 기업의 성장, 감퇴의 정도를 가미해서 경쟁력을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초과성장율을 가중함으로써, 특허출원 청구항수의 신장율이 높을 수록 특허경쟁력지수의 값을 크게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특허경쟁력지수의 값이 크게 산출될 수록, 그 기업이 출원하고 있는 발명으로부터 본 기술개발력의 종합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소정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각 사에 대해서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 기술분야별 기업별 SEI 지수(특허경쟁력지수A), 특허경쟁력지수B(PCPIB), 기술분야별 기업별 SEI 스코어(강조 PCPI 또는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시산한 예를 나타낸다.
도 11에 나타내는 계산예에서는, 기술분야 「H01L」에 있어서 기업B가, 다른 기업과 비교해서 출원 청구항수가 70항으로 비교적 많은 경우의 계산예이다. 따라서, 기업B의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가 0.140으로 다른 기업과 비교해서 크게 산출되고,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특허경쟁력지수A(PCPIA)는 0.0196으로 다른 기업과 비교해서 더욱 크게 산출된다.
한편, 도 12에 나타내는 계산예는, 기술분야 「G06F」 에서는, 기업B의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는 70으로 도 11에 나타낸 기업B의 발명수와 동일하지만, 기업A와 기업E의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가 각각 26항, 33항으로 비교적 많으므로, 그다지 각 사의 출원 청구항수에 차이가 없는 경우의 계산예이다. 도 12의 계산예에서는, 도 11의 계산예와 비교해서, 각 사의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 기술분야별 기업별 SEI 지수(특허경쟁력지수A), 강조 PCPI의 각 값의 차는 적게 산출된다.
도13은, 각 기술분야별로 산출한 기업 마다의 기술분야별 기업별 SEI 스코어(강조 PCPI 또는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의 값을 표로 정리한 것이다.
A사의 초과성장율에 의한 가중을 하지 않을 때의 특허경쟁력지수D(PCPID)의 값은, 식 15에 의해 160.85로 산출되고, B사의 특허경쟁력지수D(PCPID)의 값은 16.22로 산출된다.
도 14는, 각 특정 기업에 있어서 출원한 청구항수의 신장율(최근 3연차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평균 신장율의 일형태)과, 전체 기업의 청구항수 신장율의 평균값(전체 기업의 최근 3연차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평균 신장율)과, 식 16을 이용해서 산출한 초과성장율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듯이, 기업A의 최근 3연차에 있어서의 특허청구항의 평균 신장율은 5.0%이며, 전체 기업의 최근 3연차에 있어서의 특허청구항의 평균 신장율은 2.3%이었으므로, A기업의 초과성장율=5.0%-2.3%=2.7%=0.027로 산출된다. 한편, 기업B의 최근 3연차에 있어서의 특허청구항의 평균 신장율은 -1.0%이었으므로, B기업의 초과성장율=-1.0%-2.3%=-3.3%=0.033으로 산출된다.
도 15는, 특허경쟁력지수D(PCPID)와, 초과성장율에 기초하여 산출한 특허경쟁력지수(PCPI)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기업A의 특허경쟁력지수D(PCPID)는 160.85이며, 초과성장율은 2.7%이었으므로, 식 17A에 의해, 특허경쟁력지수(PCPI)=(160.85)×(1+0.027)=165.19로 산출된다.
마찬가지로 기업B의 특허경쟁력지수D(PCPID)는 16.22이며, 초과성장율은 -3.3%이었으므로, 식 17A에 의해, 특허경쟁력지수(PCPI)=(16.22)×(1-0.033)=15.68로 산출된다.
도 16에, 가로축에 특허경쟁력지수(PCPI)의 값을 대수로 나타내고, 세로축을 기업수로 나타낸 경우의 계산결과의 분포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특허경쟁력지수(PCPI)의 분포는 정규분포에 가까운 분포 상황이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이상과 같이 해서 구한 특허경쟁력지수(PCPI)의 값 에 따라, 각 기업이 전체 기업중의 분포 중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순위매김하는 것으로 했다.
또, 도 16에서는 가로축에 특허경쟁력지수(PCPI)를 대수로 표시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대수표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분포로 표현해도 좋다. 또한 특허경쟁력지수(PCPI)와 마찬가지로, 특허경쟁력 스코어, 규격화 특허경쟁력 스코어, 기업경쟁력지수,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에 대해서도 가로축을 대수로 표시하고, 세로축을 기업수로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도 17에, 특허경쟁력지수(PCPI)에 따른 랭크 구분의 구분예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특허경쟁력지수(PCPI)의 평균값(X)과 표준편차(σ)에 따라, 특정 기업의 발명에 관한 경쟁력에 대해서 정규분포의 성질에 따라서 5개의 랭크로 구분하고 있다.
또, 도 17에서는 특허경쟁력지수(PCPI)에 대해서 랭크 구분을 한 예를 나타냈지만, 특허경쟁력지수(PCPI)와 마찬가지로, 특허경쟁력 스코어, 규격화 특허경쟁력 스코어, 기업경쟁력지수,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에 대해서 랭크 구분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도 18은, 특정 기업의 발명에 관한 경쟁력의 구분을 별의 수로 표현하는 스타 랭크와, 발명에 관한 경쟁력을 기업의 타입으로서 표현하는 타입 구분명의 관련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특정 기업의 특허경쟁력지수(PCPI)의 위치부여를 별의 수나 기업의 타입으로서 표현함으로써, 발명에 관한 경쟁력을 보기 쉽게 표현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특허출원 건수나 특허출원의 청구항수, IPC 서브클래스의 분류 등에 대해서 잘 모르는 이용자에 대해서도, 복수의 기업 사이의 발명에 관한 경쟁력을 알기 쉽게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특허경쟁력지수(PCPI)가 평균값(X)을 상회한 기업을 눈에 띄게 하기 위해서, 평균값이상을 3개의 랭크로 구분했지만, 더욱 세세하게 구분해도 좋다. 또한 평균값(X)을 밑돈 기업을 눈에 띄게 하기 위해서 평균값이하의 기업에 대해서 세세하게 구분해도 좋다.
또한 구분의 범위도, 표준편차를 이용한 (X+σ)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분하는 사람의 경험의 축적을 살려서, 분포를 보고 구분하도록 해도 좋다.
또, 도 18에서는 특허경쟁력지수(PCPI)에 대해서 스타 랭크 구분과 타입 구분을 행한 예를 나타냈지만, 특허경쟁력지수(PCPI)와 마찬가지로, 특허경쟁력 스코어, 규격화 특허경쟁력 스코어, 기업경쟁력지수,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에 대해서 스타 랭크 구분과 타입 구분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기업A의 특허경쟁력지수(PCPI)가, 전체 기업 중에서, 상위 2.28%부터 16%에 들어 있는 경우에는 「★★★☆, 스타 플레이어」라고 판별해서, 기업A의 특허경쟁력이 우수함을 이용자에게 통지한다.
마찬가지로 기업B의 특허경쟁력지수(PCPI)가 상위 16%부터 50%에 들어 있는 경우에는, 「★★☆☆, 플레이어」라고 판단해서, 특허경쟁력은 약간 떨어진다라고 판단된다. 또, 기업A 및 기업B의 특허경쟁력지수D(PCPID)만으로 하고, 초과성장율을 가중하지 않고 타입 구분을 계산해 본 결과, 본 예의 경우에는 분류되는 타입 구분에 변동은 없었다. 이것은, 신장율이 전체 기업평균 신장율과 그다지 크게 동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발명수가, 크게 성장 또는 감퇴한 기업의 경우에는, 초과성장율을 가중하는 것이 크게 계산결과에 반영된다.
다음에 특허경쟁력지수(PCPI)를 각 사가 출원하고 있는 서브클래스 분류수(기술분야수)로 나눔으로써, IPC 서브클래스당(기술분야당)의 경쟁력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가 되는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는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에 포함되는 지표의 일형태이다. 이하에서는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를 avgPCPI(average Patent Competitive Position Index)라고 부르기로 한다.
특허경쟁력지수(PCPI)만으로 기업의 특허경쟁력을 비교 판단하고자 한 경우에는, 기술개발분야가 넓은 대기업과, 어떤 기술분야에 특화한 경쟁력을 갖는 기업 사이에서 평등하게 평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특허경쟁력지수(PCPI)는, 각 기업이 출원하고 있는 기술분야(예를 들면 IPC 서브클래스)에 있어서의 경쟁력의 총합이기 때문에, 사력(社歷)이 있는 기술개발분야가 넓은 대기업 등과 같이, 기술분야가 넓을 수록(IPC 서브클래스 분류수가 많을 수록) 특허경쟁력지수(PCPI)의 수치가 증대하므로, 기업연령이 높은 대기업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어떤 기술분야에 특화한 기술적 경쟁력을 갖는 기업에는 불리하게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불평등을 시정하기 위해서, 산출한 특허경쟁력지수(PCPI)에 대해서 각 기업이 출원하고 있는 기술분야수(예를 들면 IPC 서브클래스 분류수)로 나눔으로써 규격화하고, 기술분야 마다(IPC 서브클래스당)의 경쟁력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이다.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를 산출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공개특허공보에 부여되어 있는 IPC 서브클래스의 주분류만을 이용할 뿐만 아니라, 주분류와 부분류를 병용해서, 주분류 0.5건, 부분류 0.5건과 같이 평등하게 계수해도 좋고, 주분류 0.7건, 부분류 0.3건과 같이 가중을 행하여, IPC 서브클래스의 건수를 계산해도 좋다.
이하에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를 산출하는 계산식을 나타낸다.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특허경쟁력지수(PCPI))/(기술분야수)…(식 18)
예: 기술분야수=3년 평균 IPC 서브클래스수
상기의 예에서는, 최근 3년의 평균 IPC 서브클래스수를 기업의 출원 경향의 평균으로 파악한 경우를 상정하고 있지만, 그 년도만이어도 좋고 수년의 평균의 IPC 서브클래스수를 이용하여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를 산출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낸 기업A의 경우로서, IPC 서브클래스 5부문이 최근 3년의 평균수였다라고 하면,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는 이하와 같이 산출된다.
기업A의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165.19/5=33.04…(식 19)
마찬가지로 도 15에 나타낸 기업B의 경우로서, IPC 서브클래스 14부문이 최근 3년의 평균수였다라고 하면,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는 이하와 같이 산출된다. 피부
기업B의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15.68/14=1.12…(식 20)
이와 같이 해서 각 기업의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를 산출하고, 특허경쟁력지수(PCPI)와 같은 룰에 따라, 5종류의 스타 랭크로 구분하여 표시해서 비교하면, 그 표시결과에 따라 이하의 예상을 세우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허경쟁력지수(PCPI)에 의한 구분에서는 「플레이어」의 랭크였던 기업이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에 의한 구분에서는 「스타 플레이어」로 승격된 경우에는, 그 기업은 비교적 강도있는 기술을 소유하고 있다라고 생각할 수 있다.
반대로, 특허경쟁력지수(PCPI)에 의한 구분에서는 「스타 플레이어」였던 기업이,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에 의한 구분에서는 「스타」로 격하된 경우에는, 그 기업에는 강도있는 기술이 그다지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특허경쟁력지수(PCPI)에 대해서 각 구분으로 랭크 구분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에 대해서 각 구분으로 랭크 구분하는 경우에도,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를 대수로 나타낸 분포가 정규분포에 가까운 분포가 되므로 대수축을 채용했지만, 본 발명은 대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의 축을 통상의 리니어한 축으로 해서 분포를 산출해도 좋다.
도 19 및 도 20에, 기업A와 기업B의 특허다각화지수(PDI)와 특허경쟁력지수(PCPI),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를 병합하여 표시하는 표시예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표의 가로축에 특허다각화지수(PDI)의 형의 구분을 배치하고, 세로축에 특허경쟁력지수(PCPI) 또는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의 구분을 배치하고 있다.
도 19에 나타내는 기업A의 예에서는, 가로축의 특허다각화지수(PDI)의 구분이 「집중형」으로 분류되고, 세로축의 특허경쟁력지수(PCPI)의 구분은 「스타 플레이어」(동 도면의 ●표시의 위치)로 분류되어 있는 것을 한눈에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는 「슈퍼스타」(동 도면의 ★표시의 위치)로 승격되어 있는 것을 한눈에 이해할 수 있다.
도 20에 나타내는 기업B의 예에서는, 가로축의 특허다각화지수(PDI)의 구분이 「종합형」으로 분류되고, 세로축의 특허경쟁력지수(PCPI)의 구분은 「플레이어」(동 도면의 ●표시의 위치)로 분류되어 있다. 또한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는 「바이 플레이어」 (동 도면의 ★표시의 위치)로 격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듯이, 특허다각화지수(PDI)와 더불어, 한쪽의 축을 특허경쟁력지수(PCPI)로서 나타내고, 다른 한쪽의 축을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로서 표형식으로 해당되는 랭크 및 구분을 표시함으로써, 간단히 숫자나 문자로 기업의 위치부여를 판단하기보다, 기업의 다각화의 형태와 특허경쟁력의 랭크 또는 규격화 특허경쟁력의 랭크의 위치부여를 한눈에 이해할 수 있어, 기업의 가치 판단의 재료로서 도움이 되게 된다.
예를 들면 전체 기업의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를 계산해서 구분한 결과,
기업A의 특허경쟁력지수(PCPI)는 상위 2.28%∼16%에 속했으므로 랭크의 구분은 「스타 플레이어」였다라고 한다. 그리고,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를 산출한 결과 상위 2.28%에 속했으므로 「슈퍼스타」로 승격되었다라고 한다. 이 경우에 기업A는, 특허경쟁력이 비교적 강하고, 특징 있는 우수한 기술을 갖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라고 생각된다.
또 반대로, 예를 들면 기업B의 특허경쟁력지수(PCPI)의 값은 상위 16%∼50%에 속했으므로 랭크의 구분은 「플레이어」였다라고 한다. 그리고, 규격화 특허경 쟁력지수(avgPCPI)의 값을 산출한 결과, 상위 50%∼84%에 속했으므로 「바이 플레이어」로 격하되었다라고 한다. 이 경우에 기업B에는, 강력한 중심기술이 그다지 없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라고 생각된다.
또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듯이, 한쪽의 축을 특허경쟁력지수(PCPI)로 하고, 다른 한쪽의 축을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로 해서 그 기업이 해당되는 구분을 서로 관련지어 조합해서 표시함으로써, 발명에 기초한 기업의 모습이나 위치부여를 보다 선명하게 내세우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특허경쟁력지수(PCPI)의 수치에 기초한 구분에서는 「스타 플레이어」에 있던 기업이,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의 수치에 기초한 구분에서는 「플레이어」로 격하된 경우에는, 그 기업의 출원 영역의 넓이가 기술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있지만, 개개의 출원 분야에 있어서의 경쟁력은 높지 않다라고 판단할 수도 있다. 반대로,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의 수치에 기초한 구분이 「플레이어」에서 「스타 플레이어」로 승격된 경우에는, 그 기업의 출원 영역은 그다지 넓지 않으므로 상대적인 기술의 경쟁력은 그다지 높지 않지만, 개개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경쟁력은 높다라고 판단할 수도 있다. 따라서, 특허경쟁력지수(PCPI)에 기초한 형의 구분과,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에 기초한 구분을 서로 관련지어 조합해서 표시함으로써, 종합적인 특허경쟁력과 집중되어 있는 기술개발력을 갖는 기업의 모습이 더욱 명확하게 됨과 아울러, 각 사의 기술개발에 관한 스테이터스를 보다 입체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21은, 소정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각 기업의 특허경쟁력지수(PCPI)와 그 순위,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와 그 순위와, 다각화지수(PDI)에 기초한 형의 구분을, 특허경쟁력지수(PCPI)의 수치가 높은 순으로 나타낸 도표이다.
도 22는, 도 21과 같은 내용을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의 수치가 높은 순으로 나타낸 도표이다.
도 21 및 도 22를 조합해서 특허경쟁력지수(PCPI)와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를 조합해서 봄으로써, 기업이, 특허경쟁력이 강한지 아닌지, 특징 있는 뛰어난 기술을 갖고 있는 것인지 아닌지, 강력한 중심기술이 존재하는 것인지 아닌지에 대해서, 다각화의 규모와 함께 관련지어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1에서는 특허경쟁력지수(PCPI)의 수치의 순번으로 기업을 나열하고 있으며, 도 22에서는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의 순번으로 기업을 나열하고 있다. 이들 도면을 보면, 예를 들면 IS사나 KW와 같이 특허경쟁력지수(PCPI)의 수치에서는 상위에 위치하고 있던 기업이,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의 수치의 순위에서는 하위로 되어 있는 기업이 존재한다. 또한 RE사나 SA사와 같이, 특허경쟁력지수(PCPI)의 수치의 순위에서는 하위에 위치하고 있던 기업이,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의 수치의 순위에서는 상위로 되어 있는 기업도 존재한다.
이렇게 특허경쟁력지수(PCPI)와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의 순위를 아울러 표시함으로써, 비교적 다방면에서 종합적으로 기술력을 갖고 있는 기업인지, 특수한 분야에서 특징 있는 기술을 갖고 있는 기업인지를 대비하면서, 각 사의 기술개발에 관한 여러가지 위치부여를 고찰해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동 도면에 나타내듯이, 특허경쟁력지수(PCPI)의 값에서 3위, 4위 에 있던 IS사나 KW사는,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의 값에서는 45위, 42위로 랭크가 아래이다. 이 양 사는, 비교적 다방면에서 종합적으로 기술력을 갖고 있지만, 특수한 분야에서 특징 있는 기술을 갖고 있지 않다라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MI사는, 특허경쟁력지수(PCPI)가 타기업과 동떨어진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가장 특허 등의 발명이 다각화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라고 생각된다. 이 다각화의 정도가 특허경쟁력지수(PCPI)의 값을 크게 산출하는 방향으로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다. 그리고 특허경쟁력지수(PCPI)의 값이 큰 것은, MI사가 강한 기술경쟁력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확실하게 반영하고 있다라고 생각할 수 있다. 왜냐하면, 가령 특허 등의 발명이 다각화되어 있더라도, 각 IPC 서브클래스 등의 기술분야에 있어서 셰어를 확보하고 있지 않으면, 타사의 연구개발이나 특허출원을 견제할 수 없고, 특허경쟁력지수(PCPI)의 산출에 있어서도 과소한 값밖에 가산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MI사가 수많은 IPC 서브클래스의 기술분야에서 특허출원을 할 수 있다라는 것은, 그 만큼의 기술지식의 축적이 있다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또한 MI사는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의 수치에 있어서도 9위에 위치하고, 특징 있는 기술도 가지고 있다라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MI사는, 매우 전통 있는 기업이며, 오랜 세월의 축적이 기술의 누적을 낳아, 압도적인 기술특허 경쟁력을 구비하고 있다라고 생각된다.
또한 TS사는, 특허다각화지수(PDI)에 기초한 구분에서는 「집중형」으로 분류되고, 특허경쟁력지수(PCPI)의 순위에서는 제2위에 랭크되고, 규격화 특허경쟁력 지수(avgPCPI)의 순위에서는 제1위에 랭크되어 있다. 이것은, TS사는 기술경쟁력도 강하고, 특징 있는 기술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다각화지수(PDI)나 특허경쟁력지수(PCPI),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를 산출해서 일람 표시함으로써, 기업의 기술력이나 경쟁력을 재빠르게 보다 적격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경영 규모가 다른 타사와의 비교도 용이하게 된다.
도 23에, 기업가치 판단을 행할 때의 다각화지수(PDI), 특허경쟁력지수(PCPI),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 등의 기술개발력에 관한 지표를 연산하고, 출력할 때의 플로챠트를 나타낸다.
S501 「기업가치평가, 기업선택」에서 정보처리수단(380)은, 이용자로부터 키보드 등의 입력수단(370)과 버스(399)를 통해 기업을 선택하는 화면의 표시지령을 입력하고, 그 지령에 기초하여 기록수단(384)으로부터 기업을 선택할 때의 표시 데이터를 판독해서 표시용의 화상신호로 변환해서 표시 인터페이스(373)에 출력한다. 정보처리수단(380)으로부터 표시용 데이터를 취득한 표시 인터페이스(373)는, 표시수단(372)에 대응한 표시 데이터로 변환해서 출력하고, 표시수단(372)은 표시 인터페이스(373)로부터 입력한 표시 데이터에 기초한 화면을 표시해서 이용자에게 통지한다.
이용자는, 표시수단(372)에 표시된 기업선택화면을 보면서, 조사대상이 되는 1 내지 복수의 기업을 특정하는 정보를 입력수단(370)을 통해 입력한다. 여기에서 입력하는 정보는, 기업명이어도 좋고, 기업코드이어도 좋고, 기업의 선택화면으로 부터 기업을 선택하도록 해도 좋다. 이용자가 입력수단(370)을 통해 입력한 기업을 특정하는 정보는, 버스(399)를 통해 정보처리수단(380)이 판독한다.
정보처리수단(380)이 적절한 기업의 특정 정보를 입력한 경우에는, 정보처리수단(380)은 기록수단(384)으로부터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지표의 종류를 선택하는 표시메뉴의 표시 데이터를 판독해서 표시용의 화상신호로 변환하고, 표시 인터페이스(373)에 출력하고, 예를 들면 도 24에 나타내는 기업가치평가 메뉴를 표시수단(372)에 표시시킨다.
다음의 S502 「기업가치평가, 메뉴 선택」에서 이용자는, 표시수단(372)에 표시되어 있는 기업가치평가 메뉴를 보면서,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원하는 지표를 선택해서 그러한 바를 입력한다.
도 24에 나타내는 기업가치평가 메뉴로부터 기업가치를 판단할 때의 지표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이용자는 「사업, 수익, 시장평가」나 「R&D, 특허관련」, 「특허 포트폴리오 관련」등의 선택 메뉴 중에서 원하는 지표를 선택한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이용자는 「특허 포트폴리오 관련」의 분야에 속하는 「(PAP)특허출원 포트폴리오 분석」의 항목을 선택하고, 그 산출하는 지표의 종류로서 특정의 기업의 기술개발분야의 집중, 다각화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의 하나인 「(PDI) 특허다각화지수」를 풀다운 메뉴 중에서 선택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동 도면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선택한 항목부분의 마크를 □에서 ■로 변경하고 있다.
또한 이용자가 「특허 포트폴리오 관련」의 분야에 속하는 「(PCPI) 특허경쟁력지수」의 산출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도 25에 나타내듯이 「(PCPI) 특허경쟁력 지수」를 풀다운 메뉴 중에서 선택한다.
이용자가 특허 포트폴리오 관련의 지표를 선택하는 정보를 입력하면, 그 입력정보는 정보처리수단(380)에 전달되고, 산출하는 지표의 연산식을 결정하는 플래그를 셋트함과 아울러, 이용자가 선택한 지표의 부분에 선택의 마크를 표시하고, 설정한 정보를 이용자에게 통지한다.
이용자가, 특허출원의 청구항수에 기초하여 지표의 산출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이용자는 「R&D 특허관련」의 선택 메뉴 중에서, 「(PA) 특허출원관련 지표」를 선택한다. 그러면 정보처리수단(380)은, 도 26에 나타내는 「(PA) 특허출원관련 지표」에 관련되는 항목이 기재된 풀다운 메뉴를 표시수단(372)에 표시하는 지시를 출력한다. 이용자는, 표시수단(372)에 표시된 풀다운 메뉴 중에서, 원하는 발명수의 파라미터를 선택한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계산 대상에 필요한 항목인 「출원 청구항수」를 선택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용자가 「R&D 특허관련」의 관련의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정보를 입력하면, 그 입력정보는 정보처리수단(380)에 전달되고, 산출하는 지표의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플래그를 셋트함과 아울러, 이용자가 선택한 파라미터의 부분에 선택의 마크를 표시하고, 설정한 정보를 이용자에게 통지한다.
이용자가, 발명의 지표와, 특정 기업의 사업, 수익시장 가치관련을 서로 관련지은 조사를 희망하는 경우에는, 이용자는 「사업, 수익, 시장가치관련」의 선택 메뉴 중에서, 「(C)수익관련 지표」를 선택한다. 그러면 정보처리수단(380)은, 도 27에 나타내는 「(C)수익관련 지표」에 관련된 항목이 기재된 풀다운 메뉴를 표시 수단(372)에 표시하는 지시를 출력한다. 이용자는, 표시수단(372)에 표시된 풀다운 메뉴 중에서, 원하는 수익관련 지표를 선택한다. 도 2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GBP」(제조판매이익)을 선택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용자가 「(C)수익관련 지표」관련의 항목을 선택하는 정보를 입력하면, 그 입력정보는 정보처리수단(380)에 전달되어, 산출하는 지표의 연산식을 결정하는 플래그를 셋트함과 아울러, 이용자가 선택한 지표의 부분에 선택의 마크를 표시하고, 설정한 정보를 이용자에게 통지한다.
이용자가 「설정」버튼을 선택해서,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지표의 종류의 선택처리가 종료되면, 정보처리수단(380)은, 기록수단(384)으로부터 기업가치를 평가할 때의 입력 조건을 설정하는 표시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판독해서 표시용의 화상신호로 변환하여, 표시 인터페이스(373)에 출력하고, 예를 들면 도 29에 나타내는 기업가치평가 입력조건 설정화면을 표시수단(372)에 표시시킨다.
이용자는, 표시수단(372)에 표시되어 있는 기업가치평가 입력조건 설정화면을 보면서,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원하는 조건을 선택해서 그러한 바를 입력한다.
이용자는, 도 29에 나타내는 기업가치평가 입력조건 설정화면의 표시에 기초하여 기업가치를 판단하는 지표를 산출할 때의 「대상문서」 및 「데이터의 판독」의 조건을 선택한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이용자는 「대상문서」의 조건으로서, 「공개 특허」와, 「등록 특허」를 선택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동 도면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이용자는, 「데이터의 판독」의 조건으로서, 「자사 DB1」를 선택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용자가 「대상문서」 및 「데이터의 판독」의 각 조건에 대해서 입력하면, 그 입력정보는 정보처리수단(380)에 전달되고, 「대상문서」 및 「데이터의 판독」의 조건에 대해서 이용자가 입력한 항목의 플래그를 셋트함과 아울러, 이용자가 선택한 지표의 부분에 선택의 마크를 표시하고, 설정한 정보를 이용자에게 통지한다.
이용자가 「설정」버튼을 선택해서, 「대상문서」 및 「데이터의 판독」의 조건에 대한 입력이 완료되면, 다음에 정보처리수단(380)은, 도 30에 나타내는 기업가치평가 입력조건 설정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기록수단(384)으로부터 판독해서, 표시 인터페이스(373)를 통해 표시수단(372)에 표시하는 지시를 출력한다. 이용자는, 표시수단(372)에 표시된 기업가치평가 입력조건 설정화면을 보면서, 원하는 평가대상의 기업을 선택한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이용자는 기업평가의 대상 중 큰 분류가 되는 「업계」 중에서 「전기기기업계」를 선택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이용자는, 기업가치평가의 대상 중 개별기업 등의 상세한 분류가 되는 「기업」을 선택해서, 「회사명」, 「회사 코드」, 「출원인 코드」 등의 입력 조건을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용자가 이 화면을 보면서 우측의 「대상」을 선택하고, 또한 기업을 선택한 경우에는, 회사명 또는 회사 코드나 출원인 코드를 입력한다.
이용자가 「설정」버튼을 선택해서 기업가치평가의 입력조건 설정을 종료하면, 그 입력정보는 정보처리수단(380)에 전달되고, 이용자가 입력한 「대상」으로 하는 기업의 플래그를 셋트함과 아울러, 이용자가 선택한 지표의 부분에 선택의 마 크를 표시하고, 설정한 회사명, 회사 코드, 출원인 코드 등의 정보를 표시수단(372)에 표시하고, 설정한 정보를 이용자에게 통지한다.
이용자가 「설정」버튼을 선택해서, 기업가치평가의 입력 조건의 설정이 종료되면, 다음에 정보처리수단(380)은, 도 31에 나타내는 기업가치평가 출력조건 설정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기록수단(384)으로부터 판독해서, 표시 인터페이스(373)를 통해 표시수단(372)에 표시하는 지시를 출력한다. 이용자는, 표시수단(372)에 표시된 기업가치평가 출력조건 설정화면을 보면서, 원하는 표시형태를 선택한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이용자는 「맵의 위치」에 관한 정보로서 「맵 1장」을 선택해서 「출력 데이터」로서 특허다각화지수 「PDI」를 선택하고, 출력 표시하는 정보의 양으로서 「상위 20개」를 선택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용자가 「설정」버튼을 선택해서, 기업가치평가 출력조건의 설정이 종료되면, 정보처리수단(380)이 실시하는 처리는 S503 「조합 선택」의 처리로 진행된다. 이용자가 「사업, 수익, 시장가치관련」의 경영재무에 관한 연산의 실시를 지정한 경우에는, 정보처리수단(380)이 실시하는 처리는 S604 「경영재무정보를 취득」의 처리로 진행되고, 이용자가 「R&D 특허관련」이나 「특허 포트폴리오 관련」의 연산의 실시를 지정한 경우에는, 정보처리수단(380)이 실시하는 처리는 S504 「특허정보를 취득」의 처리로 진행된다.
또, 이용자가 특허다각화지수(PDI)의 단독연산을 지정한 경우에는, 조합 처리는 선택되지 않고, S504 이후의 처리만을 실시한다.
예를 들면 이용자가 특허다각화지수(PDI)의 연산을 지시한 경우에는, S504에 서 정보처리수단(380)은, 특허 포트폴리오 관련의 연산처리와 지정된 기업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20)로부터 각 사의 특허공보와 그것에 관련된 정보를 취득하고, 연산에 필요한 IPC 서브클래스, 특허출원 건수, 특허출원의 청구항수 외에 기타의 정보를 추출하는 처리를 행한다. 특허정보의 취득 처리가 종료되면, 정보처리수단(380)이 실시하는 처리는 다음의 S505 「특허정보의 연산」의 처리로 진행된다.
S505에서 정보처리수단(380)은, S504에서 취득한 특허정보와, 이용자로부터 입력한 포트폴리오 관련의 연산식과, 기업명 등에 기초하여 플래그를 설정한 계산식을 이용하여, 이용자가 원하는 지표를 산출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 도 32 및 도 33에,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 장치가 산출하는 「사업, 수익, 시장평가 관련」의 각 지표와 그 계산식을 예시한다.
동 도면에 나타내듯이, 지표 그룹으로서 「(A)투자」와, 「(B)경영재무분석」과, 「(C)수익관련」과, 「(D)초과 수익분석」과, 「(M)시장평가 관련」과, 「(PE)특허수익성」이 설정되어 있으며, 각 그룹내에는 각 지표의 명칭의 예시와 그 개략의 계산식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34 및 도 35에,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 장치가 산출하는 「R&D 특허관련」의 지표의 예를 일람으로서 나타낸다.
동 도면에 나타내듯이, 지표 그룹으로서 「(R)연구개발관련」과, 「(PA)특허출원관련」과, 「(PB)심사청구관련」과, 「(PT)특허취득(등록)관련」과, 「(PP)특허생산성」과, 「(PS)특허스톡관련」이 설정되어 있으며, 각 그룹내에는 각 지표의 명칭의 예시와 그 개략의 계산식이 나타내어져 있다.
도 36에,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 장치가 산출하는 「특허 포트폴리오 관련」의 지표의 예를 일람으로서 나타낸다.
동 도면에 나타내듯이, 지표 그룹으로서 「(PA, P)특허 포트폴리오 분석」과, 「(PAK)특징 키워드」와, 「(PSI)특허유사율 분석」이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각 그룹내에는, 각 지표의 명칭의 예시와 그 개략의 계산식이 나타내어져 있다.
S505에서 특허에 관한 지표의 연산처리가 종료되면, 다음에 정보처리수단(380)이 실시하는 처리는 S506 「특허정보의 연산결과의 정리」의 처리로 진행된다.
S506에서 정보처리수단(380)은, 특허에 관한 지표의 연산결과에 기초하여 특정 기업을 소정의 구분으로 분류하고, 또한 소정의 랭크 구분 판별 등의 연산처리를 행하고, 각종 연산결과의 정리를 행한다.
S506에서 각종 연산결과의 정리가 종료되면, 정보처리수단(380)이 실시하는 처리는 다음 S507 「그래프 생성」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만약 이용자가 「사업, 수익, 시장평가 관련」 (도 27참조)으로부터, 「(C)수익관련 지표」를 선택하고, 또한 그 중의 「GBP」(제조판매이익)을 선택한 경우 등과 같이 「특허 포트폴리오 관련」의 연산과 다른 항목의 조합을 희망한 경우에는, 정보처리수단(380)이 실시하는 처리는 S604 「경영재무정보를 취득」으로 진행된다.
S604에서 정보처리수단(380)은, 데이터베이스(20)로부터, 회사의 규모를 나 타내는 정보, 회사의 재무정보, 회사의 조합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취득하고, 다음 S605 「경영재무정보의 연산」에서 경영재무정보의 연산을 행한다.
S605에서 경영재무정보의 연산처리가 종료되면, 다음에 정보처리수단(380)이 실시하는 처리는 S606 「경영재무정보의 연산결과의 정리」로 진행되고, 경영재무정보의 연산처리를 행하고, 다음 S507로 진행된다.
S507에서 정보처리수단(380)은, S505에서 산출한 특허정보의 연산결과, S506에서 정리한 각종 연산결과, S605에서 연산한 경영재무정보의 연산결과, 또는 S606에서 정리한 각종 경영재무정보의 연산결과를, 지표 또는 그 연산결과 등에 따른 표시형식에 적용시켜 표 또는 그래프를 생성하고, 표시용 데이터로 변환한다.
다음 S508에서 정보처리수단(380)은, S507에서 생성한 표 또는 그래프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 인터페이스(373)에 출력하고, 표시수단(372)에 표시시킨다.
S508에서 표시한 표 또는 그래프를 이용자가 열람함으로써, 이용자는 각 기업의 발명의 다각화, 발명에 관한 경쟁력, 또는 이들의 독특한 발명에 관한 정보와 경영재무정보의 관련 등의 기업가치를, 독특한 지표에 의해 용이하게 또한 적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용자가 지정한 기업평가의 항목에 따라서는, 정보처리수단(380)이 더욱 랭크 구분되거나 해서 기업가치의 판단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에 정보처리수단(380)은, S509 「기업가치판단」에서 소정의 임계값 등을 판독해서 기업가치를 판단한 후에, 그 수치, 그래프 등을 출력해서 각종 지표의 산출처리를 종료한다.
도 37에, 특허정보의 일형태인 특허경쟁력지수(PCPI)를 가로축에 나타내고, 경영재무정보의 일형태인 제조판매이익을 세로축에 나타낸 그래프의 판단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특허경쟁력지수(PCPI) 또는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 또는 특허다각화지수(PDI)와 제조판매이익(GBP)의 관계를 일반론적으로 말하면, 도 37에 나타내는 포트폴리오로 구분할 수 있다.
그래프 중앙의 세로, 가로의 십자선은, 세로축, 가로축의 평균값을 나타내는 선이다. 동 도면의 우측상단의 그룹에 속하는 기업은, 제조판매이익이 높고, 특허경쟁력지수(PCPI)도 큰 값을 나타내고 있는 점에서, 여기에 속하는 기업은 수익성이 양호하고 또한 특허경쟁력이 강한 기업이다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동 도면에 있어서의 좌측하단의 그룹에 속하는 기업은, 제조판매이익이 낮고, 특허경쟁력지수(PCPI)도 작은 값을 나타내고 있는 점에서, 여기에 속하는 기업은 수익성이 나쁘고, 또한 특허경쟁력도 약한 기업이다라고 판단할 수 있다.
도 38은, 화학부문에 속하는 기업의 특허경쟁력지수(PCPI)와 제조판매이익(GBP)의 관계를 나타낸 도이다.
도 38에서는, 화학업계에 있어서의 각 기업의 위치에 대해서, 최소 제곱법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평균값의 직선이 그어져 있다. 이 평균값의 직선보다 우측상단에 있는 기업은, 비교적 다방면의 기술분야에서 특허경쟁력이 강하고, 기업수익성도 겸비하고 있다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그래프의 우측상단에 위치하는 기업이어도, 평균값의 직선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기업은, 화학업계 전반에서는 특허경쟁력은 있지만, 수익성이 약간 약하 다라고 판단할 수 있다. 좌측하단의 평균선보다 아래의 기업은, 화학업계 전반에 있어서는, 특허경쟁력도 약하고 수익성도 나쁜 기업이다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그래프의 좌측부근에 위치하는 기업이어도, 평균값의 직선보다 위에 위치하는 기업의 경우에는, 화학업계 전반에서의 특허경쟁력은 그다지 강하지 않지만, 수익성이 좋은 기업이다라고 판단할 수 있다.
도 39는, 화학부문에 속하는 기업의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와 제조판매이익(GBP)의 관계를 나타낸 도이다.
도 39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화학업계에 있어서의 각 기업의 위치에 대해서, 최소 제곱법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평균값의 직선이 그어져 있다. 이 평균값의 직선보다 우측상단에 있는 기업은, 특수한 기술분야에서 특허경쟁력이 강하고, 기업수익성도 겸비하고 있다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그래프의 우측상단에 위치하는 기업이이어도, 평균값의 직선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기업은, 화학업계의 특수한 기술분야에서는 특허경쟁력은 있지만, 수익성이 약간 약하다라고 판단할 수 있다. 좌측하단의 평균선보다 아래의 기업은, 화학업계의 일부에 있어서는, 특허경쟁력도 약하고 수익성도 나쁜 기업이다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그래프의 좌측부근에 위치하는 기업이어도, 평균값의 직선보다 위에 위치하는 기업의 경우에는, 화학업계의 특수한 분야에서는 특허경쟁력은 그다지 강하지 않지만, 수익성이 좋은 기업이다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기업의 발명에 관한 경쟁력과 제조판매이익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냄으로써, 각 업계마다 발명의 경쟁력과, 제조판매이익의 관계를 비교하는 것 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소정의 업계와 다른 업계의 비교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전체 기업 중에 있어서의 조사대상의 기업의 위치부여도 용이하게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40은, 전체 기업의 특허다각화지수(PDI)와 제조판매이익(GBP)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듯이, 전체 기업의 특허다각화지수(PDI)와 제조판매이익(GBP)의 조합을 봄으로써, 기업의 가치평가를 종합적으로 선명하게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동 도면의 그래프의 우측에 존재하고, 평균값의 선으로부터 크게 상위에 위치하는 기업은, 특허출원이 다방면에 다각화되어 있으며, 또한 각각의 부문에서도 우위의 출원을 하고 있는 것이 짐작된다. 종합적으로 판단하면 이 기업은, 기술개발력과 수익성이 우수하다라고 판단할 수 있어, 주목해야 할 기업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각 사의 각 년도에 있어서의 제조판매이익(GBP)의 동업종 평균액의 차액을 나타내는 지수로서, 초과 제조판매이익(초과 GBP)을 채용해도 좋다.
하기 식에, 초과 제조판매이익(초과 GBP)을 산출하는 계산식을 나타낸다.
초과 GBP=매상고×(매상고 GBP율-업종평균의 매상고 GBP율)…(식 21)
초과 제조판매이익(초과 GBP)은, 어떤 기업이 제조판매활동에 의해 얻은 사업수입 중 업종평균을 초과되는 부분을 나타내는 수치이다. 초과 제조판매이익(초과 GBP)을 이용함으로써, 동업종에 있어서의 타사와의 비교를 적절하게 행하는 것 이 가능해지고, 조사대상의 기업이 업종의 평균과 비교해서 우수한지 뒤떨어지는지의 판단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39 또는 도 40에 나타낸 비교 이외에도, 초과 제조판매이익(초과 GBP)과 특허경쟁력지수(PCPI),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 또는 특허다각화지수(PDI)를 조합해서 하나의 그래프로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도 41은, 화학업계의 특허경쟁력지수(PCPI)와 초과 GBP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듯이, 평균값의 직선보다 우측상단에 위치하는 기업은, 광범위한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특허의 경쟁력이 우수하고, 또한 동업 타사와 비교해도 사업수익력이 우수하다라고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동 도면의 좌측하단에 위치하고, 평균값의 직선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기업은, 광범위한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특허의 경쟁력이 약하고, 동업종 중에서 비교한 경우에는 사업수익력이 약한 기업이다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동 도면의 우측에서 평균값의 직선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기업은, 광범위한 기술분야에서 특허의 경쟁력은 강하지만, 사업수익력이 약한 기업이다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평균값의 직선보다 상위에 위치하는 기업은, 동업종 중에서는 특허의 경쟁력이 강하고, 사업수익도 향상되어 있는 기업이다라고 판단할 수 있다.
도 42는, 화학업계의 규격화 특허경쟁력지수(avgPCPI)와 초과 GBP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우측상단에 멀리 떨어져서 플롯되어 있는 기업은, 특징 있는 기술분야를 갖고 있으며, 또한, 동업종 중에서는 사업수익력도 우수한 기업이다라고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우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평균값의 직선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기업은, 비교적 특징 있는 기술분야를 갖지만, 동업종 중에서는 사업수익력이 약한 기업이다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동 도면에 나타내는 좌측하단에 존재하고, 또한 평균값의 직선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기업은, 특징 있는 기술을 갖고 있지 않고, 사업수익력도 약한 기업이다라고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3은, 화학업계에 있어서의 각 기업의 특허다각화지수(PDI)와 초과 GBP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듯이, 화학업계에서는 상당한 기업이 종합형(90이상 96미만)에 속하고 있으며, 평균값의 직선보다 위에 위치하는 기업은 4개사밖에 없고, 또한 1사만 크게 사업수익력이 강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각 업계마다 보게 되면, 업계의 특징이나, 조사대상의 기업이 수익력이 강한 기업인지, 또는 수익력이 약한 기업인지가 명확하게 되어, 기업가치의 판단을 행하는 데에 있어서 도움이 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 수단과,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단, ka>1)한 것을 소정의 기술분야에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업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과, 산출한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했으므로, 소정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발명이나 기술력의 과점상태 또는 경쟁상태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임계값과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비교해서 소정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발명수가 특정의 기업의 과점상태에 있는지, 또는, 많은 기업에 의한 경쟁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기술분야별 과점상태 판단수단과, 기술분야별 과점상태 판단수단이 판단한 과점상태 또는 경쟁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했으므로, 소정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발명이나 기술력의 과점상태 또는 경쟁상태를 알기 쉽게 절대적으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임계값과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비교해서 소정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발명수가 특정의 기업의 과점상태에 있는지, 또는, 많은 기업에 의한 경쟁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기술분야별 과점상태 판단수단과,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의 수치 또는 막대그래프에 의한 표시와 과점상태에 있는지 또는 경쟁상태에 있는지의 판단결과를 동일한 틀내 또는 인접하는 위치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과,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 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했으므로, 소정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발명수가 특정의 기업의 과점상태에 있는지 아닌지와, 조사대상의 기업이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기술적인 셰어를 갖고 있는지를 아울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소정의 기술분야가 많은 기업에 의한 경쟁상태에 있고, 조사대상의 기업이 발명에 대해서 약간의 셰어밖에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그 조사대상의 기업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 현재의 상태에서는 우위위 상황에 없다라는 판단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업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과,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업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셰어를 kb승(단, kb>0)한 것을 특정의 기업내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업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업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과, 산출한 기업별 과점 스코어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했으므로, 기업별 과점 스코어의 값이 작을 수록 각 기술분야에 기술력이 다각화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해지고, 기업별 과점 스코어의 값이 클 수록 1개의 기술분야에 기술력이 집중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용자는, 특정의 기업의 기술개발분야의 집중, 다각화의 정도를 용이하게 아는 것이 가능해지고, 동 일한 계산방법을 이용하여 산출한 타기업의 특허다각화지수와 비교함으로써, 소정의 기술개발분야의 집중, 다각화의 정도를 비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임계값과 기업별 과점 스코어를 비교해서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가 특정의 기술분야에 집중되어 있는지, 또는, 많은 기술분야에 다각화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도형 또는 문언을 이용하여 구분하는 기업별 다각화 구분수단과, 도형 또는 문언에 의한 구분의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했으므로,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의 기술력이 각 기술분야에 다각화되어 있는지, 또는, 기술력이 1개의 기술분야에 집중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한 지표를 알기 쉽게 절대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1에서 기업별 과점 스코어를 뺀 다각화지수, 또는, 1에서 기업별 과점 스코어를 뺀 값에 100을 곱한 다각화지수를 산출하는 다각화지수 산출수단과, 소정의 임계값과 다각화지수를 비교해서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가 특정의 기술분야에 집중되어 있는지, 또는, 많은 기술분야에 다각화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도형 또는 문언을 이용하여 구분하는 기업별 다각화 구분수단과, 도형 또는 문언에 의한 구분의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했으므로, 특허다각화지수의 값이 클 수록 각 기술분야에 기술력이 다각화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해지고, 특허다각화지수의 값이 작을 수록 1개의 기술분야에 기술력이 집중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용자는, 특정의 기업의 기술개발분야의 집중, 다각화의 정도를 용이하게 아는 것이 가능해지고, 동일한 계산방법을 이용하여 산출한 타기업의 특허다각화지수와 비교 함으로써, 소정의 기술개발분야의 집중, 다각화의 정도를 비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과,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단, ka>1)한 것을 소정의 기술분야에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업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과,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와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곱해서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과, 산출한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했으므로, 소정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셰어가 큰 경우에는 그 기업에 의해 과점상태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값이 클 수록 해당 기업의 발명으로부터 본 기술개발력의 종합력이 큰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주식의 구입 또는 매각을 검토함에 있어서 기업의 장래성을 검토할 때에 이용하거나, 공동 개발하는 기업을 선택할 때의 목표나, 취직처의 판단으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 전체 발 명수를 추출하는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과,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단, ka>1)한 것을 소정의 기술분야에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업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과,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와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곱해서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과,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과, 산출한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했으므로, 특허경쟁력 스코어의 값이 크게 산출될 수록, 발명으로부터 본 기술개발력의 종합력이 큰 것을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임계값과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비교해서 특정의 기업의 발명에 관한 경쟁력을 나타내는 도형 또는 문언을 이용하여 구분하는 기업경쟁력 스코어 구분수단과, 도형 또는 문언에 의한 구분의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과,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했으므로, 특정 기업의 특허경쟁력지수의 위치부여를 별의 수나 기업의 타입으로서 표현함으로써, 발명에 관한 경쟁력을 보기 쉽게 표현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특허출원 건수나 특허출원의 청구항수, IPC 서브클래스의 분류 등에 대해서 굳이 조사하지 않아도, 복수의 기업 사이의 발명에 관한 경쟁력을 알기 쉽게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임계값에 전체 기업의 기업경쟁력 스코어의 평균값, 또는 표준편차를 이용함으로써 기업 사이에서의 상대평가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평균을 상회한 기업이나 밑돈 기업을 눈에 띄게 해서 특정 기업의 특허경쟁력의 우열을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과,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단, ka>1)한 것을 소정의 기술분야에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업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과,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와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곱해서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과,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과,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를 기술분야수로 나누어서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산출하는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과, 산출한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했으므로, 기업에 있 어서의 기술분야의 넓이에 구애되지 않는 기술개발력의 크기를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기술분야가 넓은 기업이여도 기술분야가 좁은 기업이여도 대등하게 발명에 관한 경쟁력을 대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임계값과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비교해서 특정의 기업의 발명에 관한 경쟁력을 나타내는 도형 또는 문언을 이용하여 구분하는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 구분수단과, 도형 또는 문언에 의한 구분의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과,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했으므로, 발명에 관한 규격화된 경쟁력을 보기 쉽게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임계값에 전체 기업의 기업경쟁력 스코어의 평균값, 또는 표준편차를 이용함으로써 기업 사이에서의 상대평가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평균을 상회한 기업이나 밑돈 기업을 눈에 띄게 해서 특정 기업의 특허경쟁력의 우열을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과,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상기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단, ka>1)한 것을 소정의 기술분야에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업 마다 적산 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과,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와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곱해서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과,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의 날짜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과 전체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을 취득하는 발명신장율 취득수단과,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로부터 전체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을 빼서 특정 기업의 초과성장율을 산출하는 초과성장율 산출수단과, 초과성장율에 1을 더한 값에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곱해서 기업경쟁력지수를 산출하는 기업경쟁력지수 산출수단과, 기업경쟁력지수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했으므로, 발명에 관한 경쟁력에 대해서 기업전체의 신장율을 가미한 평가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임계값과 산출한 기업경쟁력지수를 비교해서 특정의 기업의 발명에 관한 경쟁력을 나타내는 도형 또는 문언을 이용하여 구분하는 기업경쟁력지수 구분수단과, 도형 또는 문언에 의한 구분의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과,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했으므로, 전체 기업의 신장율을 가미한 발명에 관한 경쟁력을 보기 쉽게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 술문헌 취득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과,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단, ka>1)한 것을 소정의 기술분야에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업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과,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와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곱해서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과,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과, 취득한 기술문헌의 날짜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과 전체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을 취득하는 발명신장율 취득수단과,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로부터 전체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을 빼서 특정 기업의 초과성장율을 산출하는 초과성장율 산출수단과, 초과성장율에 1을 더한 값에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곱해서 기업경쟁력지수를 산출하는 기업경쟁력지수 산출수단과, 기업별 경쟁력지수를 기술분야수로 나누어서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를 산출하는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 산출수단과,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했으므로, 전체 기업의 신장율을 가미함과 아울러 기업의 기술분야의 넓이에 구애되지 않는 기술개발력 의 크기를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기술분야가 넓은 기업이여도 기술분야가 좁은 기업이여도 대등하게 발명에 관한 경쟁력을 대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임계값과 산출한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를 비교해서 특정의 기업의 발명에 관한 경쟁력을 나타내는 도형 또는 문언을 이용하여 구분하는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 구분수단과, 도형 또는 문언에 의한 구분의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과,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했으므로, 전체 기업의 신장율을 가미한 발명에 관한 규격화 경쟁력을 보기 쉽게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기술분야의 분류에 특허문헌 등에 기재되어 있는 IPC 섹션, IPC 클래스, IPC 서브클래스, IPC 메인그룹, IPC 서브그룹, F 텀, FI, 패싯, 기술문헌에 포함되는 키워드를 이용했으므로, 공개되어 있는 특허문헌을 이용하여 발명의 과점상태, 다각화상태, 경쟁력 등을 산출해서 이용자에게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기술문헌으로서, 특허공보, 공개특허공보, 실용신안공보, 공개실용신안공보, 공표공보, 재공표공보, 외국공보, 심결공보, 경과정보, 또는 공개기보를 이용했으므로, 공개되어 있는 특허문헌을 이용하여 발명의 과점상태, 다각화상태, 경쟁력 등을 산출해서 이용자에게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등에 있어서의 발명수로서, 특허 또는 실용신안의 출원 건수, 출원 청구항수, 등록 건수, 등록 청구항수, 심사청구 건수, 심사청구한 청구항수, 등록사정 건수, 등록사정 청구항수, 거절사정 건수, 거절사정 청구항수, 심판청구 건수, 심판청구의 청구항수 또는 이들 비율을 이용했으므로, 공개되어 있는 특허문헌을 이용하여 발명의 과점상태, 다각화상태, 경쟁력 등을 산출해서 이용자에게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기업별 과점 스코어의 구분 또는 다각화지수의 구분과, 기업경쟁력 스코어의 구분 또는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의 구분을 관련지어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과,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했으므로, 발명에 기초한 기업의 과점상태와 발명에 관한 경쟁력의 관계를 알기 쉽게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기업별 과점 스코어의 구분 또는 다각화지수의 구분과, 기업경쟁력지수의 구분 또는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의 구분을 관련지어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과,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했으므로, 발명에 기초한 기업의 과점상태와 발명에 관한 경쟁력의 관계를 알기 쉽게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기업별 과점 스코어의 구분 또는 다각화지수의 구분과,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 또는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 또는, 기업경쟁력지수 또는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를 관련지어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과,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했으므로, 발명에 기초한 기업의 과점상태와 발명에 관한 경쟁력의 관계를 알 기 쉽게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기업의 규모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기업의 재무정보 등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사대상의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과, 기업별 과점 스코어,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기업경쟁력 스코어,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 기업경쟁력지수, 또는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와, 취득한 조사대상의 기업의 경영재무정보의 관계를 기업 마다 그래프 또는 도표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과,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했으므로, 발명에 관한 기술력과 경영재무정보를 병합하여 기업의 상황을 보다 적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경영재무정보로서 입수가 가능한, 매상고, 매상이익, 영업이익, 매상이익율, 영업이익율, 총자산 시가총액비율, 주주자본 시가총액비율, 매상고 시가총액비율, 제조판매이익 시가총액비율, 영업이익 시가총액비율, 총자산 제조판매이익율, 주주자본 제조판매이익율, 총자산 영업이익율, 주주자본 영업이익율, 주주자본비율, 시가총액 주주자본차액, 연구개발비, 매상고 연구개발비비율, 제조판매이익 연구개발비비율, 제조판매이익율, 또는 제조판매이익 등의 회사의 재무정보를 이용했으므로, 발명에 관한 기술력과 경영재무정보를 병합하여 기업의 상황을 보다 적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40)

  1. 공개특허공보, 특허공보 등의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기술문헌을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상기 취득한 기술문헌을 출원인 등의 기업별, 및,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
    상기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상기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단, ka>1)한 것을 소정의 기술분야에 1개이상의 발명을 갖는 기업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및
    상기 산출한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장치.
  2. 공개특허공보, 특허공보 등의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기술문헌을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상기 취득한 기술문헌을 출원인 등의 기업별, 및,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
    상기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상기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단, ka>1)한 것을 소정의 기술분야에 1개이상의 발명을 갖는 기업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소정의 임계값과 상기 산출한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비교해서, 소정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발명수가 특정의 기업의 과점상태에 있는지, 또는, 많은 기업에 의한 경쟁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기술분야별 과점상태 판단수단; 및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상태 판단수단이 판단한 과점상태 또는 경쟁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 평가 장치.
  3. 공개특허공보, 특허공보 등의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기술문헌을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상기 취득한 기술문헌을 출원인 등의 기업별, 및,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
    상기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상기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단, ka>1)한 것을 소정의 기술분야에 1개이상의 발명을 갖는 기업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소정의 임계값과 상기 산출한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비교하여, 소정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발명수가 특정의 기업의 과점상태에 있는지, 또는, 많은 기업에 의한 경쟁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기술분야별 과점상태 판단수단;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의 수치 또는 막대그래프에 의한 표시와, 과점 상태에 있는지 또는 경쟁상태에 있는지의 판단결과를 동일한 틀내 또는 인접하는 위치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 및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장치.
  4. 공개특허공보, 특허공보 등의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기술문헌을 출원인 등의 기업별로 분류해서, 기업별의 전체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업별의 전체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업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상기 취득한 기술문헌을 출원인 등의 기업별, 및,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
    상기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업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상기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셰어를 kb승(단, kb>0)한 것을 특정의 기업내에 있어서 1개이상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업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업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및
    상기 산출한 기업별 과점 스코어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장치.
  5. 공개특허공보, 특허공보 등의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기술문헌을 출원인 등의 기업별로 분류해서, 기업별의 전체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업별의 전체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업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상기 취득한 기술문헌을 출원인 등의 기업별, 및,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
    상기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업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상기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셰어를 kb승(단, kb>0)한 것을 특정의 기업내에 있어서 1개이상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업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업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소정의 임계값과 상기 산출한 기업별 과점 스코어를 비교해서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가 특정의 기술분야에 집중되어 있는지, 또는, 많은 기술분야에 다 각화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도형 또는 문언을 이용하여 구분하는 기업별 다각화 구분수단; 및
    상기 도형 또는 문언에 의한 구분의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장치.
  6. 공개특허공보, 특허공보 등의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기술문헌을 출원인 등의 기업별로 분류해서, 기업별의 전체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업별의 전체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업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상기 취득한 기술문헌을 출원인 등의 기업별, 및,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
    상기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업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상기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셰어를 kb승(단, kb>0)한 것을 특정의 기업내에 있어서 1개이상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업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업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1에서 기업별 과점 스코어를 뺀 다각화지수, 또는, 1에서 기업별 과점 스코어를 뺀 값에 100을 곱한 다각화지수를 산출하는 다각화지수 산출수단;
    소정의 임계값과 상기 산출한 다각화지수를 비교해서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가 특정의 기술분야에 집중되어 있는지, 또는, 많은 기술분야에 다각화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도형 또는 문언을 이용하여 구분하는 기업별 다각화 구분수단; 및
    상기 도형 또는 문언에 의한 구분의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장치.
  7. 공개특허공보, 특허공보 등의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기술문헌을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상기 취득한 기술문헌을 출원인 등의 기업별, 및,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
    상기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술 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상기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단, ka>1)한 것을 소정의 기술분야에 1개이상의 발명을 갖는 기업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상기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와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곱해서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및
    상기 산출한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장치.
  8. 공개특허공보, 특허공보 등의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기술문헌을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상기 취득한 기술문헌을 출원인 등의 기업별, 및,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
    상기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상기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단, ka>1)한 것을 소정의 기술분야에 1개이상의 발명을 갖는 기업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상기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와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곱해서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상기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 1개이상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 및
    상기 산출한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장치.
  9. 공개특허공보, 특허공보 등의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기술문헌을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상기 취득한 기술문헌을 출원인 등의 기업별, 및,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
    상기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상기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단, ka>1)한 것을 소정의 기술분야에 1개이상의 발명을 갖는 기업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상기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와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곱해서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상기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 1개이상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
    소정의 임계값과 상기 산출한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비교해서 특정의 기업의 발명에 관한 경쟁력을 나타내는 도형 또는 문언을 이용하여 구분하는 기업경쟁력 스코어 구분수단;
    상기 도형 또는 문언에 의한 구분의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 및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장치.
  10. 제9항에 기재된 임계값은 전체 기업의 기업경쟁력 스코어의 평균값, 또는 표준편차를 이용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장치.
  11. 공개특허공보, 특허공보 등의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기술문헌을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상기 취득한 기술문헌을 출원인 등의 기업별, 및,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
    상기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상기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단, ka>1)한 것을 소정의 기술분야에 1개이상의 발명을 갖는 기업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상기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와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곱해 서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상기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 1개이상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를 기술분야수로 나누어서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산출하는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 및
    상기 산출한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장치.
  12. 공개특허공보, 특허공보 등의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기술문헌을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상기 취득한 기술문헌을 출원인 등의 기업별, 및,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
    상기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술 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상기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단, ka>1)한 것을 소정의 기술분야에 1개이상의 발명을 갖는 기업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상기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와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곱해서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상기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 1개이상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를 기술분야수로 나누어서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산출하는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
    소정의 임계값과 상기 산출한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비교해서 특정의 기업의 발명에 관한 경쟁력을 나타내는 도형 또는 문언을 이용하여 구분하는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 구분수단;
    상기 도형 또는 문언에 의한 구분의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 및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장치.
  13. 제12항에 기재된 임계값은 전체 기업의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의 평균값, 또는 표준편차를 이용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장치.
  14. 공개특허공보, 특허공보 등의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기술문헌을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상기 취득한 기술문헌을 출원인 등의 기업별, 및,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
    상기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상기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단, ka>1)한 것을 소정의 기술분야에 1개이상의 발명을 갖는 기업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상기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와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곱해서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상기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 1개이상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
    상기 취득한 기술문헌의 날짜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과, 전체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을 취득하는 발명신장율 취득수단;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로부터 전체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을 빼서 특정 기업의 초과성장율을 산출하는 초과성장율 산출수단;
    초과성장율에 1을 더한 값에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곱해서 기업경쟁력지수를 산출하는 기업경쟁력지수 산출수단; 및
    상기 기업경쟁력지수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장치.
  15. 공개특허공보, 특허공보 등의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기술문헌을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상기 취득한 기술문헌을 출원인 등의 기업별, 및,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
    상기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상기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단, ka>1)한 것을 소정의 기술분야에 1개이상의 발명을 갖는 기업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상기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와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곱해서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상기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 1개이상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
    상기 취득한 기술문헌의 날짜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과, 전체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을 취득하는 발명신장율 취득수단;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로부터 전체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을 빼서 특정 기업의 초과성장율을 산출하는 초과성장율 산출수단;
    초과성장율에 1을 더한 값에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곱해서 기업경쟁력지수를 산출하는 기업경쟁력지수 산출수단;
    소정의 임계값과 상기 산출한 기업경쟁력지수를 비교해서 특정의 기업의 발 명에 관한 경쟁력을 나타내는 도형 또는 문언을 이용하여 구분하는 기업경쟁력지수 구분수단;
    상기 도형 또는 문언에 의한 구분의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 및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장치.
  16. 제15항에 기재된 임계값은 전체 기업의 기업경쟁력지수의 평균값, 또는 표준편차를 이용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장치.
  17. 공개특허공보, 특허공보 등의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기술문헌을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상기 취득한 기술문헌을 출원인 등의 기업별, 및,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
    상기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상기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단, ka>1)한 것을 소정의 기술분야에 1개이상의 발명을 갖는 기업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상기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와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곱해서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상기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 1개이상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
    상기 취득한 기술문헌의 날짜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과, 전체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을 취득하는 발명신장율 취득수단;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로부터 전체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을 빼서 특정 기업의 초과성장율을 산출하는 초과성장율 산출수단;
    초과성장율에 1을 더한 값에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곱해서 기업경쟁력지수를 산출하는 기업경쟁력지수 산출수단;
    기업별 경쟁력지수를 기술분야수로 나누어서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를 산출하는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 산출수단; 및
    상기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 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장치.
  18. 공개특허공보, 특허공보 등의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기술문헌을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상기 취득한 기술문헌을 출원인 등의 기업별, 및,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
    상기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상기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단, ka>1)한 것을 소정의 기술분야에 1개이상의 발명을 갖는 기업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상기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와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곱해서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상기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 1개이상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
    상기 취득한 기술문헌의 날짜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과, 전체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을 취득하는 발명신장율 취득수단;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로부터 전체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을 빼서 특정 기업의 초과성장율을 산출하는 초과성장율 산출수단;
    초과성장율에 1을 더한 값에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곱해서 기업경쟁력지수를 산출하는 기업경쟁력지수 산출수단;
    기업별 경쟁력지수를 기술분야수로 나누어서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를 산출하는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 산출수단;
    소정의 임계값과 상기 산출한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를 비교해서 특정의 기업의 발명에 관한 경쟁력을 나타내는 도형 또는 문언을 이용하여 구분하는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 구분수단;
    상기 도형 또는 문언에 의한 구분의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 및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장치.
  19. 제18항에 기재된 임계값은 전체 기업의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의 평균값, 또는 표준편차를 이용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장치.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술분야는, IPC 섹션, IPC 클래스, IPC 서브클래스, IPC 메인그룹, IPC 서브그룹, F 텀, FI, 패싯, 기술문헌에 포함되는 키워드에 의한 분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장치.
  21.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술문헌은, 특허공보, 공개특허공보, 실용신안공보, 공개실용신안공보, 공표공보, 재공표공보, 외국공보, 심결공보, 경과정보, 또는 공개기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장치.
  22.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등에 있어서의 발명수는, 특허 또는 실용신안의 출원 건수, 출원 청구항수, 등록 건수, 등록 청구항수, 심사청구 건수, 심사청구한 청구항수, 등록사정 건수, 등록사정 청구항수, 거절사정 건수, 거절사정 청구항수, 심판청구 건수, 심판청구의 청구항수 또는 이들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장치.
  23. 제5항에 기재된 기업별 과점 스코어의 구분 또는 제6항에 기재된 다각화지수의 구분과, 제9항 또는 제10항에 기재된 기업경쟁력 스코어의 구분, 또는 제12항 또는 제13항에 기재된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의 구분을 관련지어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 및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장치.
  24. 제5항에 기재된 기업별 과점 스코어의 구분 또는 제6항에 기재된 다각화지수의 구분과, 제15항 또는 제16항에 기재된 기업경쟁력지수의 구분, 또는 제18항 또는 제19항에 기재된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의 구분을 관련지어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 및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장치.
  25. 제5항에 기재된 기업별 과점 스코어의 구분 또는 제6항에 기재된 다각화지수의 구분과, 제8항에 기재된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 또는 제11항에 기재된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 또는, 제14항에 기재된 기업경쟁력지수 또는 제17항에 기재된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를 관련지어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 및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장치.
  26. 기업의 규모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기업의 재무정보 등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사대상의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제4항에 기재된 기업별 과점 스코어, 제7항에 기재된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제8항에 기재된 기업경쟁력 스코어, 제11항에 기재된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 제14항에 기재된 기업경쟁력지수, 또는 제17항에 기재된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와, 상기 취득한 조사대상의 기업의 경영재무정보의 관계를 기업 마다 그래프 또는 도표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 및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경영재무정보는, 매상고, 매상이익, 영업이익, 매상이익율, 영업이익율, 총자산 시가총액비율, 주주자본 시가총액비율, 매상고 시가총액비율, 제조판매이익 시가총액비율, 영업이익 시가총액비율, 총자산 제조판매이익율, 주주자본 제조판매이익율, 총자산 영업이익율, 주주자본 영업이익율, 주주자본 비율, 시가총액 주주자본차액, 연구개발비, 매상고 연구개발비비율, 제조판매이익 연구개발비비율, 제조판매이익율, 또는 제조판매이익 등의 회사의 재무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장치.
  28.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취득한 기술문헌을 분류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산출한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 및
    상기 기술문헌 취득수단,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출력수단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업평가 장치의 정보처리수단에 있어서 실행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기술문헌 취득수단에, 공개특허공보, 특허공보 등의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능;
    상기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에, 취득한 기술문헌을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능;
    상기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에, 취득한 기술문헌을 출원인 등의 기업별, 및,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능;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에,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상기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단, ka>1)한 것을 소정의 기술분야에 1개이상의 발명을 갖는 기업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능; 및
    상기 출력수단에, 산출한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
  29.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취득한 기술문헌을 분류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소정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발명수가 특정의 기업의 과점상태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기술분야별 과점상태 판단수단;
    과점상태 또는 경쟁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 및
    상기 기술문헌 취득수단,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기술분야별 과점상태 판단수단, 출력수단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업평가 장치의 정보처리수단에 있어서 실행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기술문헌 취득수단에, 공개특허공보, 특허공보 등의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능;
    상기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에, 취득한 기술문헌을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능;
    상기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에, 취득한 기술문헌을 출원인 등의 기업별, 및,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능;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에,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상기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단, ka>1)한 것을 소정의 기술분야에 1개이상의 발명을 갖는 기업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상태 판단수단에, 소정의 임계값과 상기 산출한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비교해서 소정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발명수가 특정의 기업의 과점상태에 있는지, 또는, 많은 기업에 의한 경쟁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기능; 및
    상기 출력수단에, 기술분야별 과점상태 판단수단이 판단한 과점상태 또는 경쟁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
  30.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취득한 기술문헌을 분류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소정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발명수가 특정의 기업의 과점상태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기술분야별 과점상태 판단수단;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 및
    상기 기술문헌 취득수단,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기술분야별 과점상태 판단수단,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 출력수단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업평가 장치의 정보처리수단에 있어서 실행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기술문헌 취득수단에, 공개특허공보, 특허공보 등의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능;
    상기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에, 취득한 기술문헌을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능;
    상기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에, 취득한 기술문헌을 출원인 등의 기업별, 및,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능;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에,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상기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단, ka>1)한 것을 소정의 기술분야에 1개이상의 발명을 갖는 기업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상태 판단수단에, 소정의 임계값과 상기 산출한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비교해서 소정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발명수가 특정의 기업의 과점상태에 있는지, 또는, 많은 기업에 의한 경쟁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기능; 및
    상기 출력수단에,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
  31.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업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취득한 기술문헌을 분류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
    기업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업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산출한 기업별 과점 스코어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 및
    상기 기술문헌 취득수단, 기업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 기업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출력수단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업평가 장치의 정보처리수단에 있어서 실행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기술문헌 취득수단에, 공개특허공보, 특허공보 등의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능;
    상기 기업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에, 취득한 기술문헌을 출원인 등의 기업별로 분류해서, 기업별의 전체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업별의 전체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업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능;
    상기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에, 취득한 기술문헌을 출원인 등의 기업별, 및,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능;
    상기 기업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에,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업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상기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셰어를 kb승(단, kb>0)한 것을 특정의 기업내에 있어서 1개이상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업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능; 및
    상기 출력수단에, 산출한 기업별 과점 스코어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 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
  32.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업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취득한 기술문헌을 분류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
    기업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업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소정의 임계값과 산출한 기업별 과점 스코어를 비교해서 도형 또는 문언에 의한 구분을 행하는 기업별 다각화 구분수단;
    도형 또는 문언에 의한 구분의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 및
    상기 기술문헌 취득수단, 기업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 기업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기업별 다각화 구분수단, 출력수단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업평가 장치의 정보처리수단에 있어서 실행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기술문헌 취득수단에, 공개특허공보, 특허공보 등의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능;
    상기 기업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에, 취득한 기술문헌을 출원인 등의 기업별로 분류해서, 기업별의 전체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업별의 전체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업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능;
    상기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에, 취득한 기술문헌을 출원인 등의 기업별, 및,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능;
    상기 기업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에,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업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상기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셰어를 kb승(단, kb>0)한 것을 특정의 기업내에 있어서 1개이상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업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기업별 다각화 구분수단에, 소정의 임계값과 상기 산출한 기업별 과점 스코어를 비교해서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가 특정의 기술분야에 집중되어 있는지, 또는, 많은 기술분야에 다각화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도형 또는 문언을 이용하여 구분하는 기능; 및
    상기 출력수단에, 도형 또는 문언에 의한 구분의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
  33.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업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취득한 기술문헌을 분류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
    기업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업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다각화지수를 산출하는 다각화지수 산출수단;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가 특정의 기술분야에 집중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도형 또는 문언을 이용하여 구분하는 기업별 다각화 구분수단;
    도형 또는 문언에 의한 구분의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 및
    상기 기술문헌 취득수단, 기업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 기업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다각화지수 산출수단, 기업별 다각화 구분수단, 출력수단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업평가 장치의 정보처리수단에 있어서 실행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기술문헌 취득수단에, 공개특허공보, 특허공보 등의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능;
    상기 기업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에, 취득한 기술문헌을 출원인 등의 기업별로 분류해서, 기업별의 전체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업별의 전체 특허출원 청구항 수 등의 기업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능;
    상기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에, 취득한 기술문헌을 출원인 등의 기업별, 및,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능;
    상기 기업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에,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업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상기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셰어를 kb승(단, kb>0)한 것을 특정의 기업내에 있어서 1개이상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업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다각화지수 산출수단에, 1에서 기업별 과점 스코어를 뺀 다각화지수, 또는, 1에서 기업별 과점 스코어를 뺀 값에 100을 곱한 다각화지수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기업별 다각화 구분수단에, 소정의 임계값과 상기 산출한 다각화지수를 비교해서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가 특정의 기술분야에 집중되어 있는지, 또는, 많은 기술분야에 다각화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도형 또는 문언을 이용하여 구분하는 기능; 및
    상기 출력수단에, 도형 또는 문언에 의한 구분의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
  34.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취득한 기술문헌을 분류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산출한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 및
    상기 기술문헌 취득수단,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출력수단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업평가 장치의 정보처리수단에 있어서 실행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기술문헌 취득수단에, 공개특허공보, 특허공보 등의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능;
    상기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에, 취득한 기술문헌을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 능;
    상기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에, 취득한 기술문헌을 출원인 등의 기업별, 및,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능;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에,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상기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단, ka>1)한 것을 소정의 기술분야에 1개이상의 발명을 갖는 기업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에,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와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곱해서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능; 및
    상기 출력수단에, 산출한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
  35.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취득한 기술문헌을 분류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
    산출한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 및
    상기 기술문헌 취득수단,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 출력수단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업평가 장치의 정보처리수단에 있어서 실행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기술문헌 취득수단에, 공개특허공보, 특허공보 등의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능;
    상기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에, 취득한 기술문헌을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능;
    상기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에, 취득한 기술문헌을 출원인 등의 기업별, 및,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능;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에,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단, ka>1)한 것을 소정의 기술분야에 1개이상의 발명을 갖는 기업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에,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와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곱해서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에,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 1개이상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능; 및
    상기 출력수단에, 산출한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
  36.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 는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취득한 기술문헌을 분류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
    특정의 기업의 발명에 관한 경쟁력을 나타내는 도형 또는 문언을 이용하여 구분하는 기업경쟁력 스코어 구분수단;
    도형 또는 문언에 의한 구분의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 및
    상기 기술문헌 취득수단,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 기업경쟁력 스코어 구분수단,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 출력수단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업평가 장치의 정보처리수단에 있어서 실행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기술문헌 취득수단에, 공개특허공보, 특허공보 등의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능;
    상기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에, 취득한 기술문헌을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능;
    상기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에, 취득한 기술문헌을 출원인 등의 기업별, 및,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능;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에,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상기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단, ka>1)한 것을 소정의 기술분야에 1개이상의 발명을 갖는 기업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에,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와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곱해서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에,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 1개이상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기업경쟁력 스코어 구분수단에, 소정의 임계값과 상기 산출한 기업경쟁 력 스코어를 비교해서 특정의 기업의 발명에 관한 경쟁력을 나타내는 도형 또는 문언을 이용하여 구분하는 기능;
    상기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에, 도형 또는 문언에 의한 구분의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 및
    상기 출력수단에,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
  37.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취득한 기술문헌을 분류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
    특정의 기업의 발명에 관한 경쟁력을 나타내는 도형 또는 문언을 이용하여 구분하는 기업경쟁력 스코어 구분수단;
    도형 또는 문언에 의한 구분의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 성수단;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 및
    상기 기술문헌 취득수단,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 기업경쟁력 스코어 구분수단,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 출력수단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업평가 장치의 정보처리수단에 있어서 실행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기술문헌 취득수단에, 공개특허공보, 특허공보 등의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능;
    상기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에, 취득한 기술문헌을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능;
    상기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에, 취득한 기술문헌을 출원인 등의 기업별, 및,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능;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에,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상기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단, ka>1)한 것을 소정의 기술분야에 1개이상의 발명을 갖는 기업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에,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와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곱해서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에,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 1개이상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기업경쟁력 스코어 구분수단에, 전체 기업의 기업경쟁력 스코어의 평균값또는 표준편차를 이용한 소정의 임계값과 상기 산출한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비교해서 특정의 기업의 발명에 관한 경쟁력을 나타내는 도형 또는 문언을 이용하여 구분하는 기능;
    상기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에, 도형 또는 문언에 의한 구분의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 및
    상기 출력수단에,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
  38.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취득한 기술문헌을 분류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산출하는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
    산출한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 및
    상기 기술문헌 취득수단,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 출력수단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업평가 장치의 정보처리수단에 있어서 실행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기술문헌 취득수단에, 공개특허공보, 특허공보 등의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능;
    상기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에, 취득한 기술문헌을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능;
    상기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에, 취득한 기술문헌을 출원인 등의 기업별, 및,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능;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에,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상기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단, ka>1)한 것을 소정의 기술분야에 1개이상의 발명을 갖는 기업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에,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와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곱해서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에,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 1개이상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에,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를 기술분야수로 나누어서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능; 및
    상기 출력수단에, 산출한 규격화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 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
  39.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취득한 기술문헌을 분류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
    발명수의 신장율을 취득하는 발명신장율 취득수단;
    특정 기업의 초과성장율을 산출하는 초과성장율 산출수단;
    기업경쟁력지수를 산출하는 기업경쟁력지수 산출수단;
    기업경쟁력지수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 및
    상기 기술문헌 취득수단,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 발명신장율 취득수단, 초과성장율 산출수단, 기업경쟁력지수 산출수단, 출력수단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처리수단 을 구비한 기업평가 장치의 정보처리수단에 있어서 실행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기술문헌 취득수단에, 공개특허공보, 특허공보 등의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능;
    상기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에, 취득한 기술문헌을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능;
    상기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에, 취득한 기술문헌을 출원인 등의 기업별, 및,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능;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에,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단, ka>1)한 것을 소정의 기술분야에 1개이상의 발명을 갖는 기업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에,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와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곱해서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산출하 는 기능;
    상기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에,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 1개이상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발명신장율 취득수단에, 취득한 기술문헌의 날짜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과, 전체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을 취득하는 기능;
    상기 초과성장율 산출수단에,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로부터 전체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을 빼서 특정 기업의 초과성장율을 산출하는 기능;
    상기 기업경쟁력지수 산출수단에, 초과성장율에 1을 더한 값에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곱해서 기업경쟁력지수를 산출하는 기능; 및
    상기 출력수단에, 기업경쟁력지수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
  40.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문헌 취득수단;
    취득한 기술문헌을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취득한 기술문헌을 분류해서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
    발명수의 신장율을 취득하는 발명신장율 취득수단;
    특정 기업의 초과성장율을 산출하는 초과성장율 산출수단;
    기업경쟁력지수를 산출하는 기업경쟁력지수 산출수단;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를 산출하는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 산출수단;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 및
    상기 기술문헌 취득수단,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 발명신장율 취득수단, 초과성장율 산출수단, 기업경쟁력지수 산출수단,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 산출수단, 출력수단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업평가 장치의 정보처리수단에 있어서 실행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기술문헌 취득수단에, 공개특허공보, 특허공보 등의 기술문헌을 기술문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능;
    상기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 추출수단에, 취득한 기술문헌을 IPC 서브클래 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술분야별의 전체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능;
    상기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 추출수단에, 취득한 기술문헌을 출원인 등의 기업별, 및, IPC 서브클래스, 키워드 등의 기술분야별로 분류해서,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건수 또는 기업별 및 기술분야별의 특허출원 청구항수 등의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추출하는 기능;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 산출수단에, 기업별 기술분야별 발명수를 기술분야별 전체 발명수로 나누어서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산출하고, 상기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를 ka승(단, ka>1)한 것을 소정의 기술분야에 1개이상의 발명을 갖는 기업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 산출수단에, 기술분야별 기업별 발명수 셰어와 상기 기술분야별 과점 스코어를 곱해서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기업경쟁력 스코어 산출수단에, 기술분야별 강조과점 스코어를 특정의 기업에 있어서 1개이상의 발명을 갖는 기술분야 마다 적산해서 총합을 산출하여 기업별 경쟁력 스코어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발명신장율 취득수단에, 취득한 기술문헌의 날짜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과, 전체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을 취 득하는 기능;
    상기 초과성장율 산출수단에,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로부터 전체 기업에 있어서의 발명수의 신장율을 빼서 특정 기업의 초과성장율을 산출하는 기능;
    상기 기업경쟁력지수 산출수단에, 초과성장율에 1을 더한 값에 기업경쟁력 스코어를 곱해서 기업경쟁력지수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 산출수단에, 기업별 경쟁력지수를 기술분야수로 나누어서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를 산출하는 기능; 및
    상기 출력수단에, 규격화 기업경쟁력지수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
KR1020067007432A 2003-10-23 2004-03-24 기업평가 장치 및 기업평가 프로그램 KR200600964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96346 2003-10-23
JPJP-P-2003-00396346 2003-10-23
JP2003423855 2003-12-19
JPJP-P-2003-00423855 2003-12-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432A true KR20060096432A (ko) 2006-09-11

Family

ID=34622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7432A KR20060096432A (ko) 2003-10-23 2004-03-24 기업평가 장치 및 기업평가 프로그램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70136271A1 (ko)
EP (1) EP1686515A4 (ko)
KR (1) KR20060096432A (ko)
AU (1) AU2004292080A1 (ko)
CA (1) CA2543604A1 (ko)
IL (1) IL175116A0 (ko)
IS (1) IS8453A (ko)
NO (1) NO20062329L (ko)
WO (1) WO2005050511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503B1 (ko) * 2013-11-01 2014-04-28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기술 매치메이킹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20170133290A (ko) * 2017-09-28 2017-12-05 (주)망고플레이트 Hhi를 이용한 온라인 콘텐츠의 허위 평가 정보 적발 장치 및 방법
KR20190059449A (ko) 2017-11-23 2019-05-31 지속가능발전소 주식회사 Esg 기반의 기업 평가 수행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KR20190110084A (ko) 2019-09-20 2019-09-27 지속가능발전소 주식회사 Esg 기반의 기업 평가 수행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KR102505521B1 (ko) 2022-09-22 2023-03-02 (주)퀀티파이드이에스지 기업 esg 평가 시스템
KR102641853B1 (ko) 2023-06-19 2024-03-04 신용보증기금 환경, 사회, 지배구조 평가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6004131A1 (ja) * 2004-07-05 2008-07-31 株式会社アイ・ピー・ビー 企業評価装置、企業評価プログラム並びに企業評価方法
WO2007106475A2 (en) * 2006-03-13 2007-09-20 Ocean Tomo, Llc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 index of securities
JP5165857B2 (ja) * 2006-05-19 2013-03-21 株式会社東芝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US8311860B2 (en) * 2006-06-07 2012-11-13 Accenture Global Services Limited Industry scenario mapping tool
CA2564451A1 (en) * 2006-10-17 2008-04-17 Ibm Canada Limited - Ibm Canada Limitee Determining an executable growth strategy
US8024215B2 (en) * 2006-10-25 2011-09-20 Csm Worldwide, Inc. Managing sales and/or competition within an industry
US8527355B2 (en) * 2007-03-28 2013-09-03 Article One Partners Holdings, Llc Method and system for requesting prior art from the public in exchange for a reward
CN101436191A (zh) * 2007-11-13 2009-05-20 日电(中国)有限公司 用于计算对象之间竞争性度量的方法与系统
US8041696B2 (en) * 2008-06-13 2011-10-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dea tracking and management
JP5326387B2 (ja) * 2008-07-10 2013-10-30 富士通株式会社 経過情報出力方法および経過情報出力プログラム
US20100131513A1 (en) 2008-10-23 2010-05-27 Lundberg Steven W Patent mapping
KR101315177B1 (ko) * 2011-05-09 2013-10-0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융합 지수 요소 점수 산출을 위한 특허 정보 처리 방법
US10242066B2 (en) 2011-10-03 2019-03-26 Black Hills Ip Holdings, Llc Systems, methods and user interfaces in a patent management system
US9607274B2 (en) 2012-03-23 2017-03-28 Chairman's View, Inc. Enterprise value assessment tool
RU2736957C1 (ru) * 2020-06-17 2020-11-23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эрофлот - российские авиалинии»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за показателями деятельности предприятия
JP7181261B2 (ja) * 2020-07-30 2022-11-30 株式会社ユーザベース 情報処理装置、方法、プログラム
WO2024018961A1 (ja) * 2022-07-21 2024-01-25 真之 正林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1078A (ja) * 1998-06-25 2000-01-14 Gijutsu Transfer Service:Kk 電子データ集計方法およびデータのグラフ化方法並びに電子データ集計とデータのグラフ化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JP2002092228A (ja) * 2000-09-13 2002-03-29 Patolis Corp 特許技術力評価方法及び同システ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503B1 (ko) * 2013-11-01 2014-04-28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기술 매치메이킹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20170133290A (ko) * 2017-09-28 2017-12-05 (주)망고플레이트 Hhi를 이용한 온라인 콘텐츠의 허위 평가 정보 적발 장치 및 방법
KR20190059449A (ko) 2017-11-23 2019-05-31 지속가능발전소 주식회사 Esg 기반의 기업 평가 수행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KR20190110084A (ko) 2019-09-20 2019-09-27 지속가능발전소 주식회사 Esg 기반의 기업 평가 수행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KR102505521B1 (ko) 2022-09-22 2023-03-02 (주)퀀티파이드이에스지 기업 esg 평가 시스템
KR102641853B1 (ko) 2023-06-19 2024-03-04 신용보증기금 환경, 사회, 지배구조 평가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S8453A (is) 2006-05-11
US20070136271A1 (en) 2007-06-14
WO2005050511A1 (ja) 2005-06-02
AU2004292080A1 (en) 2005-06-02
CA2543604A1 (en) 2005-06-02
NO20062329L (no) 2006-07-12
EP1686515A4 (en) 2006-11-22
IL175116A0 (en) 2006-10-05
EP1686515A1 (en) 200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18722B2 (ja) 企業評価装置並びに企業評価プログラム
KR100744703B1 (ko) 기술평가장치, 기술평가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기술평가방법
KR20060096432A (ko) 기업평가 장치 및 기업평가 프로그램
EP1783624A1 (en) Company evaluation device, company evaluation program, and company evaluation method
KR20050108406A (ko) 기업가치 평가장치 및 기업가치평가 프로그램
JP4018719B2 (ja) 企業評価装置並びに企業評価プログラム
EP1686516A1 (en) System for evaluating enterprise and program for evaluating enterprise
JPWO2004061714A1 (ja) 技術評価装置、技術評価プログラム、技術評価方法
JP4018723B2 (ja) 企業評価装置並びに企業評価プログラム
Lewis et al. Contribution of Recording of Accounting Data on The Performance of the Selected Supermarkets in Moshi Municipality, Tanzan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