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1853B1 - 환경, 사회, 지배구조 평가시스템 - Google Patents

환경, 사회, 지배구조 평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1853B1
KR102641853B1 KR1020230077937A KR20230077937A KR102641853B1 KR 102641853 B1 KR102641853 B1 KR 102641853B1 KR 1020230077937 A KR1020230077937 A KR 1020230077937A KR 20230077937 A KR20230077937 A KR 20230077937A KR 102641853 B1 KR102641853 B1 KR 102641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luation
social
environmental
company
gover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7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목
심현구
김충배
세 권 오
영 권 오
권국섭
고영석
장영민
이승일
박준혁
김진환
Original Assignee
신용보증기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보증기금 filed Critical 신용보증기금
Priority to KR1020230077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8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8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경, 사회, 지배구조 평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ESG 평가시스템을 환경 평가부, 사회 평가부, 지배구조 평가부, 영역별 평가부, 평가 결과 산출부 및 ESG 영역별 등급 및 종합등급 산출부로 구성하여 구축함으로써, 기관의 대외위상 강화와 사업 분야의 다각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함은 물론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의 역량이 우수한 기업이 우대받는 환경을 조성해 줄 수 있고, 59개의 평가 기준을 중소기업 특성을 고려하여 32개의 항목으로 ESG 평가시스템을 결합하여 재구성함으로써, 중소기업 특성을 고려한 평가체계 구성으로 기업 규모와 업종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모든 중소기업에 적용이 가능하며, ESG 평가시스템의 ESG 영역별 등급 및 종합등급 산출부를 통해 모든 평가 기준을 확인하지 않아도 등급이 부여되도록 설계함으로써, 중요도가 높은 평가 기준부터 우선 확인할 수 있도록 전산 구축하여 빠르고 정교한 평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환경, 사회, 지배구조 평가시스템{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Evaluation System}
본 발명은 ESG 평가시스템을 환경 평가부, 사회 평가부, 지배구조 평가부, 영역별 평가부, 평가 결과 산출부 및 ESG 영역별 등급 및 종합등급 산출부로 구성하여 구축함으로써, 기관의 대외위상 강화와 사업 분야의 다각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함은 물론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의 역량이 우수한 기업이 우대받는 환경을 조성해 줄 수 있고, 59개의 평가 기준을 중소기업 특성을 고려하여 32개의 항목으로 ESG 평가시스템을 결합하여 재구성함으로써, 중소기업 특성을 고려한 평가체계 구성으로 기업 규모와 업종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모든 중소기업에 적용이 가능하며, ESG 평가시스템의 ESG 영역별 등급 및 종합등급 산출부를 통해 모든 평가 기준을 확인하지 않아도 등급이 부여되도록 설계함으로써, 중요도가 높은 평가 기준부터 우선 확인할 수 있도록 전산 구축하여 빠르고 정교한 평가가 가능한 환경, 사회, 지배구조 평가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최근 기업들이 리스크 관리에 보다 많은 신경을 기울이면서, 자 기업과 타 기업들을 다방면으로 평가하고 이와 같은 평가 결과를 투자, 합병, 생산 라인에 대한 리스크 관리 등에 응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업들은 정량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재무적인 데이터들을 토대로 기업들을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최근 들어서 비재무적인 데이터를 토대로 기업을 평가하고 리스크를 분석하는 방법론이 부각되고 있다.
기업들이 공개하는 재무적 데이터에는 해당 기업에게 불리한 내용이 반영되지 않으며, 기업이 제공하는 재무 관련 보고서에 대한 신뢰성 또한 의문시되는 실정이다. 비재무 데이터를 통한 기업 분석이 필요한 이유를 살펴보면, 사람들의 인터넷을 통한 SNS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기업 또는 제품에 대한 특정한 소문이 퍼지거나 하는 사건 등에 의해 기업 평판이 흔들리는 경우도 있으며 기업 오너의 범죄나 건강 관련 소문들에 의해 해당 기업이 가지는 리스크가 높아지는 경우도 있으나 이와 같은 사건들은 재무적 데이터를 통해 분석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재무적인 데이터뿐 아니라 비재무적인 데이터를 통해 기업을 분석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기업 평가가 가능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흐름에서, 비재무 데이터들을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의 세 주제로 나누어서 분석하는 방법론이 부각되고 있다.
ESG와 같은 비재무 데이터를 토대로 기업들에 대한 평가 보고서를 작성하는 기업들이 생겨났지만, 비재무 데이터는 주관적 성격이 강하고 보고서가 작성되는 속도도 상대적으로 느려 기업들이 이를 활용하기에 힘든 점들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단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등이 인터넷상에서 ESG에 관한 뉴스 기사들을 수집하여 자동으로 분석하여 기업 평가를 수행하게 함에 있어서도, 뉴스 기사들은 정형화된 데이터가 아니어서 뉴스 기사들의 분류와 평가를 자동화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이 다수 존재하였다.
그러므로 ESG 평가시스템을 환경 평가부, 사회 평가부, 지배구조 평가부, 영역별 평가부, 평가 결과 산출부 및 ESG 영역별 등급 및 종합등급 산출부로 구성하여 구축하여 기관의 대외위상 강화와 사업 분야의 다각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함은 물론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의 역량이 우수한 기업이 우대받는 환경을 조성해 줄 수 있고, ESG 평가시스템의 ESG 영역별 등급 및 종합등급 산출부를 통해 모든 평가 기준을 확인하지 않아도 등급이 부여되도록 설계함으로써, 중요도가 높은 평가 기준부터 우선 확인할 수 있도록 전산 구축하여 빠르고 정교한 평가가 가능한 환경, 사회, 지배구조 평가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2006-0096432(2006. 09. 1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상된 것으로서, ESG 평가시스템을 환경 평가부, 사회 평가부, 지배구조 평가부, 영역별 평가부, 평가 결과 산출부 및 ESG 영역별 등급 및 종합등급 산출부로 구성하여 구축함으로써, 기관의 대외위상 강화와 사업 분야의 다각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함은 물론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의 역량이 우수한 기업이 우대받는 환경을 조성해 줄 수 있는 환경, 사회, 지배구조 평가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59개의 평가 기준을 중소기업 특성을 고려하여 32개의 항목으로 ESG 평가시스템을 결합하여 재구성함으로써, 중소기업 특성을 고려한 평가체계 구성으로 기업 규모와 업종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모든 중소기업에 적용이 가능한 환경, 사회, 지배구조 평가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ESG 평가시스템의 ESG 영역별 등급 및 종합등급 산출부를 통해 모든 평가 기준을 확인하지 않아도 등급이 부여되도록 설계함으로써, 중요도가 높은 평가 기준부터 우선 확인할 수 있도록 전산 구축하여 빠르고 정교한 평가가 가능한 환경, 사회, 지배구조 평가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환경, 사회, 지배구조 평가시스템은 환경경영과 친환경 추진체계와 기후변화와 자원이용과 오염 및 폐기물의 현황을 파악하여 환경경영 평가주제, 친환경 추진체계 평가주제, 기후변화 평가주제, 자원 이용 평가주제, 오염 및 폐기물 평가주제를 통해 환경 수준을 평가하는 기능을 갖는 환경평가부와; 사회경영과 인적자원과 사회적 관계와 안전 및 보안의 현황을 파악하여 사회경영 평가주제, 인적 자원 평가주제, 사회적 관계 평가주제, 안전 및 보안 평가주제를 통해 사회 수준을 평가하는 기능을 갖는 사회평가부와; 윤리경영과 통제구조와 주주 및 관계사의 현황을 파악하여 윤리경영 평가주제, 통제구조 평가주제, 주주 및 관계사 평가주제를 통해 지배구조의 수준을 평가하는 기능을 갖는 지배구조 평가부와; 상기 환경평가부와, 사회평가부와, 지배구조 평가부로부터 기업과 관련하여 수집한 정보를 이용하여 E(환경), S(사회), G(지배구조) 영역에 관한 기업의 역량을 평가하는 기능과, 기후변화, 자원 이용 관련 정보인 기업의 환경정보를 활용하여 현재 수준과 전년 대비 증감 여부를 평가하는 기능과, 기업이 실제 측정한 온실가스 배출량 정보를 보유하는 경우에는 실측 정보를 바탕으로 평가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신보가 보유하고 있는 배출량 추정 계수를 활용하여 추정·평가하는 기능과, 다수의 평가 기준이 결합된 항목은 우선순위가 높은 기준부터 해당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인 평가기준이 평가기준 1, 평가기준 2, 평가기준 3, 평가기준4가 존재하는 경우, 우선순위를 미적용하여 적용할 때 D등급 보유 기업의 경우는 [평가기준 1]을 적용한 후 [평가기준 2]를 적용하고, 이후에 [평가기준 3]을 적용한 다음 [평가기준 4]를 적용하여 D등급을 산출하므로 평가가 늦어지는 것이며, 우선순위를 적용하여 적용할 때 D등급 보유 기업의 경우는 [평가기준 1]을 적용한 후 [평가기준 3]을 바로 적용하여 D등급을 산출하므로 평가가 빨라지는 것으로 평가하여 소요시간을 단축하는 기능을 갖는 영역별 평가부와; 상기 영역별 평가부에서 산출한 항목별 평가 결과를 계량화하여 평가점수와 등급으로 산출시 평가항목과 영역별 결합 가중치를 두며, 상기 평가항목과 영역별 결합 가중치는 신보 내외 전문가를 대상으로 쌍대 비교로 상대적 중요도를 판단하는 분석방법인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실시한 후 분석 결과로 산출하는 기능과, 기업의 규모와 업종, 형태(개인/법인기업)를 기준으로 각각 다른 가중 결합 체계를 적용하여 E, S, G 영역별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기능을 갖는 평가 결과 산출부와; 상기 평가 결과 산출부로부터 산출된 결과를 사용하여 환경, 사회, 지배구조 영역의 등급과 종합등급을 산출하는 기능과, 영역별 등급과 종합등급은 영역별 평가점수를 바탕으로 영역별 등급화 및 가중 결합하여 종합등급(7등급 체계)을 산출하는 기능을 갖는 ESG 영역별 등급 및 종합등급 산출부; 을 포함하며, 59개의 평가 기준을 중소기업 특성을 고려하여 32개의 항목인 환경경영 목표, 환경경영 운영체계, 환경투자, 녹색구매 및 녹색제품, 녹색공정, 환경인증, 온실가스, 에너지, 용수, 원부자재, 생물다양성, 폐기물, 오염 및 화학물질, 순환경제, 사회적 책임 모ㄱ표, 고용 및 근로환경, 복리후생, 인권 및 다양성, 노사관계, 공급망 및 협력업체, 고객 및 소비자, 지역사회, 제품 품질 및 안전, 안전보건 및 산업재해, 정보보호, 윤리경영 진단, 준법경영, ESG 정보공시, 이사회, 감사기구, 관계사 거래, 주주권리로 ESG 평가시스템을 결합하여 재구성하므로 중소기업 특성을 고려한 평가체계 구성으로 기업 규모와 업종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모든 중소기업에 적용이 가능하며, 기관의 대외위상 강화와 사업 분야의 다각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함은 물론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의 역량이 우수한 기업이 우대받는 환경을 조성해 줄 수 있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환경평가부에서, 환경경영 평가주제는 기업의 환경경영 현황을 파악하여 E(환경)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고, 친환경 추진체계 평가주제는 기업의 친환경 추진체계 관리 현황을 파악하여 E(환경)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며, 기후변화 평가주제는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현황을 파악하여 E(환경)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고, 자원 이용 평가주제는 기업의 자원 이용 현황을 파악하여 E(환경)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며, 오염 및 폐기물 평가주제는 기업의 오염 및 폐기물 이용 현황을 파악하여 E(환경)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고, 상기 사회평가부에서, 사회경영 평가주제는 기업의 사회경영 현황을 파악하여 S(사회)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고, 인적 자원 평가주제는 기업의 인적 자원 관리 현황을 파악하여 S(사회)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며, 사회적 관계 평가주제는 기업의 사회적 관계를 파악하여 S(사회)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고, 안전 및 보안 평가주제는 기업의 안전 및 보안 관리 현황을 평가하여 S(사회)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며, 상기 지배구조 평가부에서, 윤리경영 평가주제는 기업의 윤리경영 현황을 파악하여 G(지배구조)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고, 통제구조 평가주제는 기업의 통제구조를 파악하여 G(지배구조)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며, 주주 및 관계사 평가주제는 기업의 주주 및 관계사 현황을 파악하여 G(지배구조) 수준을 평가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환경, 사회, 지배구조 평가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은 ESG 평가시스템을 환경 평가부, 사회 평가부, 지배구조 평가부, 영역별 평가부, 평가 결과 산출부 및 ESG 영역별 등급 및 종합등급 산출부로 구성하여 구축함으로써, 기관의 대외위상 강화와 사업 분야의 다각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함은 물론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의 역량이 우수한 기업이 우대받는 환경을 조성해 줄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59개의 평가 기준을 중소기업 특성을 고려하여 32개의 항목으로 ESG 평가시스템을 결합하여 재구성함으로써, 중소기업 특성을 고려한 평가체계 구성으로 기업 규모와 업종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모든 중소기업에 적용이 가능하다.
셋째, 본 발명은 ESG 평가시스템의 ESG 영역별 등급 및 종합등급 산출부를 통해 모든 평가 기준을 확인하지 않아도 등급이 부여되도록 설계함으로써, 중요도가 높은 평가 기준부터 우선 확인할 수 있도록 전산 구축하여 빠르고 정교한 평가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경, 사회, 지배구조 평가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경, 사회, 지배구조 평가시스템의 영역별 평가부에서 평가 영역별 카테고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경, 사회, 지배구조 평가시스템의 평가 결과 산출부에서 등급 체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경, 사회, 지배구조 평가시스템을 이용한 우선순위 중심의 평가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인 환경, 사회, 지배구조 평가시스템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환경, 사회, 지배구조 평가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경, 사회, 지배구조 평가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경, 사회, 지배구조 평가시스템의 영역별 평가부에서 평가 영역별 카테고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경, 사회, 지배구조 평가시스템의 평가 결과 산출부에서 등급 체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경, 사회, 지배구조 평가시스템을 이용한 우선순위 중심의 평가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인 환경, 사회, 지배구조 평가시스템은 환경 평가부(10), 사회 평가부(20), 지배구조 평가부(30), 영역별 평가부(40), 평가 결과 산출부(50), ESG 영역별 등급 및 종합등급 산출부(60) 등으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환경, 사회, 지배구조 평가시스템은 환경경영과 친환경 추진체계와 기후변화와 자원이용과 오염 및 폐기물의 현황을 파악하여 환경 수준을 평가하는 기능을 갖는 환경평가부(10)와; 사회경영과 인적자원과 사회적 관계와 안전 및 보안의 현황을 파악하여 사회 수준을 평가하는 기능을 갖는 사회평가부(20)와; 윤리경영과 통제구조와 주주 및 관계사의 현황을 파악하여 지배구조의 수준을 평가하는 지배구조 평가부(30)와; 상기 환경평가부(10)와, 사회평가부(20)와, 지배구조 평가부(30)로부터 기업과 관련하여 수집한 정보를 이용하여 E(환경), S(사회), G(지배구조) 영역에 관한 기업의 역량을 평가하는 기능을 갖는 영역별 평가부(40)와; 상기 영역별 평가부(40)에서 산출한 항목별 평가 결과를 계량화하여 평가점수와 등급으로 산출하는 기능을 갖는 평가 결과 산출부(50)와; 상기 평가 결과 산출부(50)로부터 산출된 결과를 사용하여 환경, 사회, 지배구조 영역의 등급과 종합등급을 산출하는 기능을 갖는 ESG 영역별 등급 및 종합등급 산출부(60); 을 구비한다.
상기 본 발명인 환경, 사회, 지배구조 평가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기술적 수단들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환경평가부(10)는 환경경영과 친환경 추진체계와 기후변화와 자원이용과 오염 및 폐기물의 현황을 파악하여 환경 수준을 평가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환경평가부(10)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경경영 평가주제, 친환경 추진체계 평가주제, 기후변화 평가주제, 자원 이용 평가주제, 오염 및 폐기물 평가주제를 평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환경평가부(10)에서, 환경경영 평가주제는 기업의 환경경영 현황을 파악하여 E(환경)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고, 친환경 추진체계 평가주제는 기업의 친환경 추진체계 관리 현황을 파악하여 E(환경)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며, 기후변화 평가주제는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현황을 파악하여 E(환경)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고, 자원 이용 평가주제는 기업의 자원 이용 현황을 파악하여 E(환경)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며, 오염 및 폐기물 평가주제는 기업의 오염 및 폐기물 이용 현황을 파악하여 E(환경)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다.
상기 사회평가부(20)는 사회경영과 인적자원과 사회적 관계와 안전 및 보안의 현황을 파악하여 사회 수준을 평가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사회평가부(20)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회경영 평가주제, 인적 자원 평가주제, 사회적 관계 평가주제, 안전 및 보안 평가주제를 평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사회평가부(20)에서, 사회경영 평가주제는 기업의 사회경영 현황을 파악하여 S(사회)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고, 인적 자원 평가주제는 기업의 인적 자원 관리 현황을 파악하여 S(사회)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며, 사회적 관계 평가주제는 기업의 사회적 관계를 파악하여 S(사회)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고, 안전 및 보안 평가주제는 기업의 안전 및 보안 관리 현황을 평가하여 S(사회)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다.
상기 지배구조 평가부(30)는 윤리경영과 통제구조와 주주 및 관계사의 현황을 파악하여 지배구조의 수준을 평가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지배구조 평가부(30)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윤리경영 평가주제, 통제구조 평가주제, 주주 및 관계사 평가주제를 평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배구조 평가부(30)에서, 윤리경영 평가주제는 기업의 윤리경영 현황을 파악하여 G(지배구조)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고, 통제구조 평가주제는 기업의 통제구조를 파악하여 G(지배구조)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며, 주주 및 관계사 평가주제는 기업의 주주 및 관계사 현황을 파악하여 G(지배구조) 수준을 평가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역별 평가부(40)는 상기 환경평가부(10)와, 사회평가부(20)와, 지배구조 평가부(30)로부터 기업과 관련하여 수집한 정보를 이용하여 E(환경), S(사회), G(지배구조) 영역에 관한 기업의 역량을 평가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영역별 평가부(40)에서는 기후변화, 자원 이용 관련 정보인 기업의 환경정보를 활용하여 현재 수준과 전년 대비 증감 여부를 평가하는 기능과, 기업이 실제 측정한 온실가스 배출량 정보를 보유하는 경우에는 실측 정보를 바탕으로 평가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신보가 보유하고 있는 배출량 추정 계수를 활용하여 추정·평가하는 기능과, 다수의 평가 기준이 결합된 항목은 우선순위가 높은 기준부터 해당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평가하여 소요시간을 단축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상기 평가 결과 산출부(50)는 상기 영역별 평가부(40)에서 산출한 항목별 평가 결과를 계량화하여 평가점수와 등급으로 산출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평가 결과 산출부(50)에서는 항목별 평가 결과를 계량화하여 평가점수와 등급으로 산출시 평가항목과 영역별 결합 가중치를 두는데, 상기 평가항목과 영역별 결합 가중치는 신보 내외 전문가를 대상으로 쌍대 비교로 상대적 중요도를 판단하는 분석방법인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실시한 후 분석 결과로 산출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평가 결과 산출부(50)에서는 기업의 규모와 업종, 형태(개인/법인기업)를 기준으로 각각 다른 가중 결합 체계를 적용하여 E, S, G 영역별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상기 ESG 영역별 등급 및 종합등급 산출부(60)는 상기 평가 결과 산출부(50)로부터 산출된 결과를 사용하여 환경, 사회, 지배구조 영역의 등급과 종합등급을 산출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ESG 영역별 등급 및 종합등급 산출부(60)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역별 등급과 종합등급은 영역별 평가점수를 바탕으로 영역별 등급화 및 가중 결합하여 종합등급(7등급 체계)을 산출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ESG 평가시스템의 ESG 영역별 등급 및 종합등급 산출부를 통해 모든 평가 기준을 확인하지 않아도 등급이 부여되도록 설계함으로써, 중요도가 높은 평가 기준부터 우선 확인할 수 있도록 전산 구축하여 빠르고 정교한 평가가 가능한 것이다.
도 4에 도시한바와 같이, 우선순위 중심의 평가방식은 평가기준이 평가기준 1, 평가기준 2, 평가기준 3, 평가기준4가 존재하는 경우, 우선순위를 미적용하여 적용할 때 D등급 보유 기업의 경우는 [평가기준 1]을 적용한 후 [평가기준 2]를 적용하고, 이후에 [평가기준 3]을 적용한 다음 [평가기준 4]를 적용하여 D등급을 산출하므로 평가가 늦어지는 것이며, 우선순위를 적용하여 적용할 때 D등급 보유 기업의 경우는 [평가기준 1]을 적용한 후 [평가기준 3]을 바로 적용하여 D등급을 산출하므로 평가가 빨라지는 것이다.
표 1과 표 2에는 ESG 평가시스템에 적용되는 59개의 평가기준을 중소기업 특성을 고려하여 32개의 항목으로 나타낸 내용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ESG 평가시스템을 환경 평가부, 사회 평가부, 지배구조 평가부, 영역별 평가부, 평가 결과 산출부 및 ESG 영역별 등급 및 종합등급 산출부로 구성하여 구축하여 기관의 대외위상 강화와 사업 분야의 다각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함은 물론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의 역량이 우수한 기업이 우대받는 환경을 조성해 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환경, 사회, 지배구조 평가시스템은 모든 중소기업의 환경, 사회, 지배구조를 정교하게 평가하는 분야에 폭 넓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10 : 환경 평가부 20 : 사회 평가부
30 : 지배구조 평가부 40 : 영역별 평가부
50 : 평가 결과 산출부
60 : ESG 영역별 등급 및 종합등급 산출부

Claims (8)

  1. 환경, 사회, 지배구조 평가시스템에 있어서,
    환경경영과 친환경 추진체계와 기후변화와 자원이용과 오염 및 폐기물의 현황을 파악하여 환경경영 평가주제, 친환경 추진체계 평가주제, 기후변화 평가주제, 자원 이용 평가주제, 오염 및 폐기물 평가주제를 통해 환경 수준을 평가하는 기능을 갖는 환경평가부와;
    사회경영과 인적자원과 사회적 관계와 안전 및 보안의 현황을 파악하여 사회경영 평가주제, 인적 자원 평가주제, 사회적 관계 평가주제, 안전 및 보안 평가주제를 통해 사회 수준을 평가하는 기능을 갖는 사회평가부와;
    윤리경영과 통제구조와 주주 및 관계사의 현황을 파악하여 윤리경영 평가주제, 통제구조 평가주제, 주주 및 관계사 평가주제를 통해 지배구조의 수준을 평가하는 기능을 갖는 지배구조 평가부와;
    상기 환경평가부와, 사회평가부와, 지배구조 평가부로부터 기업과 관련하여 수집한 정보를 이용하여 E(환경), S(사회), G(지배구조) 영역에 관한 기업의 역량을 평가하는 기능과, 기후변화, 자원 이용 관련 정보인 기업의 환경정보를 활용하여 현재 수준과 전년 대비 증감 여부를 평가하는 기능과, 기업이 실제 측정한 온실가스 배출량 정보를 보유하는 경우에는 실측 정보를 바탕으로 평가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신보가 보유하고 있는 배출량 추정 계수를 활용하여 추정·평가하는 기능과, 다수의 평가 기준이 결합된 항목은 우선순위가 높은 기준부터 해당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인 평가기준이 평가기준 1, 평가기준 2, 평가기준 3, 평가기준4가 존재하는 경우, 우선순위를 미적용하여 적용할 때 D등급 보유 기업의 경우는 [평가기준 1]을 적용한 후 [평가기준 2]를 적용하고, 이후에 [평가기준 3]을 적용한 다음 [평가기준 4]를 적용하여 D등급을 산출하므로 평가가 늦어지는 것이며, 우선순위를 적용하여 적용할 때 D등급 보유 기업의 경우는 [평가기준 1]을 적용한 후 [평가기준 3]을 바로 적용하여 D등급을 산출하므로 평가가 빨라지는 것으로 평가하여 소요시간을 단축하는 기능을 갖는 영역별 평가부와;
    상기 영역별 평가부에서 산출한 항목별 평가 결과를 계량화하여 평가점수와 등급으로 산출시 평가항목과 영역별 결합 가중치를 두며, 상기 평가항목과 영역별 결합 가중치는 신보 내외 전문가를 대상으로 쌍대 비교로 상대적 중요도를 판단하는 분석방법인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실시한 후 분석 결과로 산출하는 기능과, 기업의 규모와 업종, 형태(개인/법인기업)를 기준으로 각각 다른 가중 결합 체계를 적용하여 E, S, G 영역별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기능을 갖는 평가 결과 산출부와;
    상기 평가 결과 산출부로부터 산출된 결과를 사용하여 환경, 사회, 지배구조 영역의 등급과 종합등급을 산출하는 기능과, 영역별 등급과 종합등급은 영역별 평가점수를 바탕으로 영역별 등급화 및 가중 결합하여 종합등급(7등급 체계)을 산출하는 기능을 갖는 ESG 영역별 등급 및 종합등급 산출부; 을 포함하며, 59개의 평가 기준을 중소기업 특성을 고려하여 32개의 항목인 환경경영 목표, 환경경영 운영체계, 환경투자, 녹색구매 및 녹색제품, 녹색공정, 환경인증, 온실가스, 에너지, 용수, 원부자재, 생물다양성, 폐기물, 오염 및 화학물질, 순환경제, 사회적 책임 목표, 고용 및 근로환경, 복리후생, 인권 및 다양성, 노사관계, 공급망 및 협력업체, 고객 및 소비자, 지역사회, 제품 품질 및 안전, 안전보건 및 산업재해, 정보보호, 윤리경영 진단, 준법경영, ESG 정보공시, 이사회, 감사기구, 관계사 거래, 주주권리로 ESG 평가시스템을 결합하여 재구성하므로 중소기업 특성을 고려한 평가체계 구성으로 기업 규모와 업종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모든 중소기업에 적용이 가능하며, 기관의 대외위상 강화와 사업 분야의 다각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함은 물론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의 역량이 우수한 기업이 우대받는 환경을 조성해 줄 수 있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사회, 지배구조 평가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평가부에서, 환경경영 평가주제는 기업의 환경경영 현황을 파악하여 E(환경)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고, 친환경 추진체계 평가주제는 기업의 친환경 추진체계 관리 현황을 파악하여 E(환경)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며, 기후변화 평가주제는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현황을 파악하여 E(환경)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고, 자원 이용 평가주제는 기업의 자원 이용 현황을 파악하여 E(환경)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며, 오염 및 폐기물 평가주제는 기업의 오염 및 폐기물 이용 현황을 파악하여 E(환경)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고, 상기 사회평가부에서, 사회경영 평가주제는 기업의 사회경영 현황을 파악하여 S(사회)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고, 인적 자원 평가주제는 기업의 인적 자원 관리 현황을 파악하여 S(사회)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며, 사회적 관계 평가주제는 기업의 사회적 관계를 파악하여 S(사회)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고, 안전 및 보안 평가주제는 기업의 안전 및 보안 관리 현황을 평가하여 S(사회)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며, 상기 지배구조 평가부에서, 윤리경영 평가주제는 기업의 윤리경영 현황을 파악하여 G(지배구조)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고, 통제구조 평가주제는 기업의 통제구조를 파악하여 G(지배구조)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며, 주주 및 관계사 평가주제는 기업의 주주 및 관계사 현황을 파악하여 G(지배구조) 수준을 평가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사회, 지배구조 평가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30077937A 2023-06-19 2023-06-19 환경, 사회, 지배구조 평가시스템 KR102641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7937A KR102641853B1 (ko) 2023-06-19 2023-06-19 환경, 사회, 지배구조 평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7937A KR102641853B1 (ko) 2023-06-19 2023-06-19 환경, 사회, 지배구조 평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1853B1 true KR102641853B1 (ko) 2024-03-04

Family

ID=90297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7937A KR102641853B1 (ko) 2023-06-19 2023-06-19 환경, 사회, 지배구조 평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185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6432A (ko) 2003-10-23 2006-09-11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피.비. 기업평가 장치 및 기업평가 프로그램
KR20090057194A (ko) * 2009-04-24 2009-06-04 주식회사 신한은행 부실여신 거래 기업의 사전 선정 방법
KR20170000006A (ko) * 2015-06-22 2017-01-0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술창업 요인 분석 시스템
KR20170004165A (ko) * 2015-07-01 2017-01-11 지속가능발전소 주식회사 뉴스의 데이터마이닝을 통한 기업 평판 분석 장치 및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KR20190110084A (ko) * 2019-09-20 2019-09-27 지속가능발전소 주식회사 Esg 기반의 기업 평가 수행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KR102535522B1 (ko) * 2022-08-05 2023-05-26 김종웅 소프트웨어 기반 기업 esg 경영 관리 장치 및 그 수행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6432A (ko) 2003-10-23 2006-09-11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피.비. 기업평가 장치 및 기업평가 프로그램
KR20090057194A (ko) * 2009-04-24 2009-06-04 주식회사 신한은행 부실여신 거래 기업의 사전 선정 방법
KR20170000006A (ko) * 2015-06-22 2017-01-0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술창업 요인 분석 시스템
KR20170004165A (ko) * 2015-07-01 2017-01-11 지속가능발전소 주식회사 뉴스의 데이터마이닝을 통한 기업 평판 분석 장치 및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KR20190110084A (ko) * 2019-09-20 2019-09-27 지속가능발전소 주식회사 Esg 기반의 기업 평가 수행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KR102535522B1 (ko) * 2022-08-05 2023-05-26 김종웅 소프트웨어 기반 기업 esg 경영 관리 장치 및 그 수행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rgan et al. Supplier transparency: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Shafiq et al. Exploring the implications of supply risk on sustainability performance
Akhavan et al. A configuration of sustainable sourcing and supply management strategies
Fasan et al. Fostering stakeholder engagement: The role of materiality disclosure in integrated reporting
Lu et al. What do stakeholders care about? Investigating corporate social and environmental disclosure in China
Al Farooque et al. Determinants of social and economic reportings: evidence from Australia, the UK and South African multinational enterprises
Kim et al. Greenwash vs. brownwash: Exaggeration and undue modesty in corporate sustainability disclosure
Fernandez-Feijoo et al. Commitment to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measured through global reporting initiative reporting: Factors affecting the behavior of companies
Xu et al. Data quality issues in implementing an ERP
Aras et al. Managing corporate performance: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financial performance in emerging markets
Blair et al. The new role for assurance services in global commerce
Munir Ahmad et al. Development of assessment methodology for improving performance in SME's
Rahman et al. Multi‐actor initiatives after Rana Plaza: Factory managers’ views
Jarboui et al. Do sustainability committee characteristics affect CSR performance? Evidence from India
Iredele Measuring performance in corporate environmental reporting in Nigeria
Beaulieu et al. Intellectual capital disclosures in Swedish annual reports
Van Holt et al. Research frontiers in the era of embedding sustainability: Bringing social and environmental systems to the forefront
Liu et al. An analysis of stock market impact from supply chain disruptions in Japan
Won Kim et al. Managerial accounting research 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framework and opportunities for research
Llach et al. Integrating ICTs and supply chain management: The case of micro‐sized firms
Bennett Employee voice initiatives in the public sector: views from the workplace
Balasundaram Audit committee characteristics and their impact on intellectual capital disclosure: a study of listed manufacturing companies in Sri Lanka
Fei et al. The impact of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board diversity and firm size o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of registered firm in China
Huo et al. China-related POM research: Literature review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KR102641853B1 (ko) 환경, 사회, 지배구조 평가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