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172B1 - 기술가치 평가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기술가치 평가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172B1
KR100958172B1 KR20080016828A KR20080016828A KR100958172B1 KR 100958172 B1 KR100958172 B1 KR 100958172B1 KR 20080016828 A KR20080016828 A KR 20080016828A KR 20080016828 A KR20080016828 A KR 20080016828A KR 100958172 B1 KR100958172 B1 KR 100958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chnical
sales
technology
value
stand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16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1519A (ko
Inventor
한상영
장종찬
김은정
정찬혁
백승철
한재승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진흥원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진흥원
Priority to KR20080016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172B1/ko
Priority to PCT/KR2009/000884 priority patent/WO2009107972A2/ko
Publication of KR20090091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1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기술가치 평가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기업들의 과거 재무제표들을 표준화하여 작성한 표준-재무제표 DB를 참고하여, 입력된 기초 데이터를 기초로 기술가치를 평가한다. 이에 의해, 실제의 과거 자료를 토대로 작성한 표준-재무제표 DB를 이용한 기술가치 평가가 가능하여, 보다 신뢰성 있고, 보다 객관적이며, 보다 효과적이고, 보다 편리하게 기술가치를 평가할 수 있게 된다.
기술가치, 표준-손익계산서, 표준-매출원가, 표준-대차대조표

Description

기술가치 평가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Technology valuation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본 발명은 기술가치 평가 방법 및 시스템과 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업화하고자 하는 기술의 가치를 객관적인 기준에 의해 평가하는 기술가치 평가 방법 및 시스템과 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경제적 성장과 삶의 질적 향상은 지식의 혁신을 통해 이루어졌는데, 이 지식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기술이다. 이와 같이, 기술은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음에도, 이 기술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은 그리 폭넓게 적용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며, 이는 국내의 경우 더욱 그러하다.
최근 들어, 미국 등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기업이나 개인이 소유한 기술을 상품화하여, 매매, 대여 등의 기술거래가 활발히 이루어지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기술 평가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대되었다.
또한, 기술거래 이외에도 기술은 무형자산으로서 의미가 있다. 따라서, 기술거래 뿐만이 아니라 다른 목적으로 기술가치 평가가 이용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보다 신뢰성 있고, 보다 객관적이며, 보다 효과적이고, 보다 편리하게 기술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신뢰성 있고, 보다 객관적이며, 보다 효과적이고, 보다 편리하게 기술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기술가치 평가 방법 및 시스템과 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가치 평가 방법은, 기술가치 평가에 필요한 기초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기업들의 과거 재무제표들을 표준화하여 작성한 표준-재무제표 DB(Data Base)를 참고하여, 상기 입력단계를 통해 입력된 기초 데이터를 기초로 기술가치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단계에서 평가된 기술가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표준-재무제표 DB는, 기술분류와 종업원 수가 동등한 기업들의 과거 재무제표들의 각 항목 값들을 평균하여 하나의 항목으로 재구성하여 작성한 DB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준-재무제표 DB는, 기업들의 과거 손익계산서들을 표준화하여 작성한 표준-손익계산서 DB, 및 기업들의 과거 대차대조표들을 표준화하여 작성한 표준-대차대조표 D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평가단계는, 상기 표준-손익계산서 DB에 수록된 매출액들 중 일부를 이용하여 향후의 매출액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표준-손익계산서 DB에 수록된 매출원가들 중 일부를 이용하여 향후의 매출원가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표준-대차대조표 DB에 수록된 항목들 중 일부를 참조하고 상기 매출액 추정단계에서 추정된 매출액 및 상기 매출원가 추정단계에서 추정된 매출원가를 이용하여 FCF(Future Cash Flow: 미래현금흐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FCF 산출단계에서 산출된 FCF를 이용하여 기술 가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술 가치 산출단계는, 복수의 할인율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하여 현가계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현가계수 산출단계에서 산출된 현가계수와 상기 FCF 산출단계에서 산출된 FCF를 곱하여 사업가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업가치 산출단계에서 산출된 사업가치를 이용하여 기술가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술 가치 계산단계는, 기술별 중요도 DB에 수록되어 있는 기술별 중요도 중 해당 기술에 대한 중요도와 기술강도 DB에 수록되어 있는 기술별 강도 중 해당 기술에 대한 강도를 곱한 값을 기술기여도로 산출하고, 산출된 기술기여도와 상기 사업가치를 곱하여 상기 기술가치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술가치 평가단계는, 상기 입력단계에서 입력받은 기초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기술분류에 해당하는 기술수명을 기술수명 DB를 참조하여 예측하 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표준-재무제표 DB에 수록된 데이터들 중, 상기 예측단계에서 예측된 기술수명의 년도 들에 해당하는 데이터들을 참고하여, 상기 기술가치를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술가치 평가 시스템은, 기술가치 평가에 필요한 기초 데이터를 입력받는 사용자 단말; 기업들의 과거 재무제표들을 표준화하여 작성한 표준-재무제표 DB(Data Base)가 구축되어 있는 DB 서버; 및 상기 DB 서버에 구축되어 있는 표준-재무제표 DB를 참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기초 데이터를 기초로 기술가치를 평가하는 기술가치 평가 서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표준-재무제표 DB는, 기술분류와 종업원 수가 동등한 기업들의 과거 재무제표들의 각 항목 값들을 평균하여 하나의 항목으로 재구성하여 작성한 DB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준-재무제표 DB는, 기업들의 과거 손익계산서들을 표준화하여 작성한 표준-손익계산서 DB 및 기업들의 과거 대차대조표들을 표준화하여 작성한 표준-대차대조표 D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술가치 평가 서버는, 1) 상기 표준-손익계산서 DB에 수록된 매출액들 중 일부를 이용하여 향후의 매출액을 추정하고, 2) 상기 표준-손익계산서 DB에 수록된 매출원가들 중 일부를 이용하여 향후의 매출원가를 추정하며, 3) 상기 표준-대차대조표 DB에 수록된 항목들 중 일부를 참조하고, 추정된 매출액 및 추정된 매출원가를 이용하여 FCF(Future Cash Flow: 미래현금흐름)를 산출하고, 4) 산출된 FCF를 이용하여 기술 가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술가치 평가 서버는, 1) 복수의 할인율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하여 현가계수를 산출하고, 2) 산출된 현가계수와 산출된 FCF를 곱하여 사업가치를 산출하며, 3) 산출된 사업가치를 이용하여 기술가치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술가치 평가 서버는, 기술별 중요도 DB에 수록되어 있는 기술별 중요도 중 해당 기술에 대한 중요도와 기술강도 DB에 수록되어 있는 기술별 강도 중 해당 기술에 대한 강도를 곱한 값을 기술기여도로 산출하고, 산출된 기술기여도와 상기 사업가치를 곱하여 상기 기술가치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술가치 평가 서버는, 1)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받은 기초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기술분류에 해당하는 기술수명을 기술수명 DB를 참조하여 예측하고, 2) 상기 표준-재무제표 DB에 수록된 데이터들 중 예측된 기술수명의 년도들에 해당하는 데이터들을 참고하여, 상기 기술가치를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술가치 평가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는 기술가치 평가에 필요한 기초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기업들의 과거 재무제표들을 표준화하여 작성한 표준-재무제표 DB(Data Base)를 참고하여, 상기 입력단계를 통해 입력된 기초 데이터를 기초로 기술가치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단계에서 평가된 기술가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가치 평가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실제의 과거 자료를 토대로 작성한 표준-재무제표 DB를 이용한 기술가치 평가가 가능하여, 보다 신뢰성 있고, 보다 객관적이며, 보다 효과적이고, 보다 편리하게 기술가치를 평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기술 평가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기술 평가 시스템은 기술가치 평가 서버(100), DB(Data Base)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300)이 LAN(Local Area Network)을 통해 상호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구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술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는 기술가치 평가 서버(100), DB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300)이 LAN을 통해 상호 연결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다.
기술가치 평가 서버(100), DB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300)이 LAN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 네트워크에 대한 제한은 없다. 이들은 인터넷(Internet)을 통해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인데, 이 경우에는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웹서버(Web Server)를 더 필요로 한다.
기술가치 평가 서버(100)는 1) 기술등급 평가와 2) 기술가치 평가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기술가치 평가 서버(100)에는 1) 기술등급 평가를 위한, 기술등급 평가 프로그램(110)과, 2) 기술가치 평가를 위한, 기술가치 평가 프로그램(130) 등의 기술 평가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기술가치 평가 서버(100)는 1) LAN을 통해 DB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300)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과, 2) 전술한 기술 평가 프로그램들(110, 130)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매체 및 3) 저장매체에 저장된 기술 평가 프로그램(110, 130)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구비한다.
DB 서버(200)에는 기술가치 평가 서버(100)가 기술 평가를 수행하는데 참조되는 기술 평가용 DB들로서, 1) 기술등급 평가에 참조되는, 기술등급 평가용 DB(210)와 2) 기술가치 평가에 참조되는, 기술가치 평가용 DB(230)가 구축되어 있다.
또한, DB 서버(200)에는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기초 데이터를 저장하는 DB인 사용자 DB(270)도 마련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DB 서버(200)는 1) LAN을 통해 기술가치 평가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300)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과, 2) 전술한 DB들(210, 230, 및 270)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매체 및 3)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입력된 기초 데이터를 사용자 DB(270)에 수록하고, 기술 평가용 DB들(210, 230)에 수록된 데이터를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술가치 평가 서버(100)나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한다.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가 LAN을 통해 기술가치 평가 서버(100)와 DB 서버(200)에 액세스하는 수단으로, 1) LAN을 통해 기술가치 평가 서버(100) 및 DB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과, 2) 사용자로부터 기술 평가에 필요한 기초 데이터들을 입력받는 입력수단, 3) 디스플레이 및 4)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기초 데이터를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DB 서버(200)로 전달하고, 기술 평가 리포트를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술가치 평가 서버(100)로부터 전달받아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한다.
또한, 관리자의 경우는 관리자 모드로 접속하여 사용자 단말(300)를 통해 DB 서버(200)에 구축되어 있는 DB들(210, 230 및 270)을 열람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기술 평가 시스템을 이용하여 기술 평가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1. 기술등급 평가, 2. 기술가치 평가 순서로 설명하기로 한다.
1. 기술등급 평가
기술등급 평가에는 사용자 DB(270), 기술등급 평가용 DB(210) 및 기술등급 평가 프로그램(110)이 이용된다.
기술등급 평가용 DB(210)에는 기술등급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항목들이 수록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평가항목들에는 1) 기술성(기술장애 정도, 기술적 자원 활용성, 기술의 실행가능성, ... , 및 생산비용순준), 2) 시장성(기술의 혁신성, 기술의 확장성, 기술의 권리성, ... , 및 시장 진출 시기의 적절성) 및 3) 사업성(정부 규제의 영향, 산업계 규제의 영향, 자발적 규제의 영향, ... , 및 기술이전의 용이성) 등이 있다.
사용자 DB(270)에는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기술등급 평가 기초 데이터'가 수록되어 있다. '기술등급 평가 기초 데이터'는, 1) 기술 명칭 과, 2) 위 기술등급 평가용 DB(210)에 수록되어 있는 평가항목들 마다 사용자가 책정한 점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등급 평가 프로그램(110)은 기술등급 평가용 DB(210)에 수록되어 있는 평가항목들을 시각화한 평가항목-테이블 화면을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제공된 평가항목-테이블을 보면서 사용자가 입력한 점수들을 사용자 DB(270)에 수록할 수 있다.
그리고, 기술등급 평가 프로그램(110)은 사용자 DB(270)에 수록된 점수들을 기초로 기술등급을 산정한다. 기술등급은 예를 들면 1) 기술성, 2) 시장성 및 3) 사업성으로 분류하여 산정할 수 있다.
기술등급 산정은 평가항목들에 대한 점수들을 단순히 합산하는 방식으로 수행할 있음은 물론, 합산시 중요 평가항목들에는 가중치를 부여하여 합산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이후, 기술등급 평가 프로그램(110)은 산정된 기술등급과 사용자 DB(270)에 수록되어 있는 기술 명칭을 이용하여 기술등급 평가 리포트를 작성하고, 작성된 기술등급 평가 리포트를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2. 기술가치 평가
기술가치 평가에는 사용자 DB(270), 기술가치 평가용 DB(230) 및 기술가치 평가 프로그램(130)이 이용될 수 있다.
기술가치 평가용 DB(2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술분류 DB(230a), 기술수명 DB(230b), 표준-손익계산서 DB(230c), 표준-대차대조표 DB(230e), 할인율 DB(230f), 기술별 중요도 DB(230g) 및 개별기술 강도 DB(230h)를 포함할 수 있다.
표준-손익계산서 DB(230c)는 기술분류와 종업원 수가 동등한 기업들의 과거 손익계산서들을 표준화한 DB이다. 구체적으로, 기술분류와 종업원 수가 동등한 기업들에 대한 과거 손익계산서들의 각 항목 값들을 년도별로 평균하여 하나의 항목으로 재구성함으로서 표준화를 수행한다. 표준-손익계산서 DB(230c)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표준-대차대조표 DB(230e)는 기술분류와 종업원 수가 동등한 기업들의 과거 표준-대차대조표들을 표준화한 DB이다. 구체적으로, 기술분류와 종업원 수가 동등한 기업들의 과거 표준-대차대조표들의 각 항목 값들을 년 도별로 평균하여 하나의 항목으로 재구성함으로서 표준화를 수행한다.
전술한 표준-손익계산서 DB(230c), 및 표준-대차대조표 DB(230e)를 합쳐서 편의상 표준-재무제표 DB로 통칭한다.
한편, 사용자 DB(270)에는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기술가치 평가 기초 데이터'가 수록되어 있다. '기술가치 평가 기초 데이터'는, 1) 기술 명칭, 2) 전술한 기술분류 DB(230a)를 보고 사용자가 선택한 기술분류, 3) 종업원 수 및 4) 초기 투자 비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가치 평가 프로그램(130)은 사용자 DB(270)와 기술가치 평가용 DB(230)에 수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술가치를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술가치 평가 프로그램(130)은 기술가치 평가 기초 데이터 입력 프로세스(131), 기술수명 예측 프로세스(132), 매출액 성장률 산출 프로세스(133), 매출액 추정 프로세스(134), 매출원가 추정 프로세스(136), 손익계산서 추정 프로세스(137), FCF(Future Cash Flow: 미래현금흐름) 산출 프로세스(138), 현가계수 산출 프로세스(139), 사업가치 산출 프로세스(140), 기술기여도 산출 프로세스(141), 기술가치 산출 프로세스(142) 및 기술가치 평가 리포트 작성/출력 프로세스(143)를 포함한다.
한편, 도 3에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기술가치 평가 프로그램(130)을 구성하는 프로세스들(131 내지 143)의 좌측에 그 프로세스들이 참조하는 DB들(270, 230a 내지 230c, 230e 내지 230h)을 더 도시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3에 도시된 기술가치 평가 프로그램(130)을 구성하는 프로세스들(131 내지 143) 및 그들이 참조하는 DB들(270, 230a 내지 230c, 230e 내지 230h)에 대해,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 기술가치 평가 기초 데이터 입력 프로세스(13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술가치 평가 기초 데이터 입력 프로세스(131)는 기술분류 DB(230a)를 참조하고, 자신의 실행결과를 사용자 DB(270)에 수록하는 프로세스이다.
기술가치 평가 기초 데이터 입력 프로세스(131)는 1) 기술 명칭, 2) 기술분류, 3) 종업원 수 및 4) 초기 투자 비용 등을 기술가치 평가 기초 데이터로 입력받 아 사용자 DB(270)에 수록한다.
기술가치 평가 기초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도 4a에 도시하였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GUI는 사용자로부터 1) 기술 명칭, 2) 기술분류, 3) 종업원 수 및 4) 초기 투자 비용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기술분류는, 1) 대분류, 2) 중분류, 3) 소분류 및 4) 요소기술로 체계화되어 있으며, 각각에 분류된 기술은 기술분류 DB(230a)에 수록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분류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보다 더 포괄적이거나 더 세분화된 기준으로 분류될 수 있다.
따라서, 기술가치 평가 기초 데이터 입력 프로세스(131)가 이 GUI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에 있어서는, 기술분류 DB(230a)를 참조하여야 한다. 도 4b에는 기술분류 DB(230a)의 일부를 도시하였다.
도 4a에 도시된 GUI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든 일 예에 불과하며, 1) 기술 명칭, 2) 기술분류, 3) 종업원 수 및 4) 초기 투자 비용 등의 데이터를 각각 별도로 입력할 수 있는 GUI로도 구성이 가능하며, 다르게는 1) 기술의 명칭, 2) 기술분류, 및 3) 종업원 수를 같이 입력하고, 4) 초기 투자 비용은 별도로 입력할 수 있는 GUI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또 다르게, 이들을 두 개씩 묶어서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GUI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즉, 상기 1) 기술 명칭, 2) 기술분류, 3) 종업원 수 및 4) 초기 투자 비용의 데이터를 전부, 각각, 또는 일부씩 동시 또는 서로 다른 시기에 입력하도록 하는 GUI가 가능하다.
도 4b에 도시된 기술분류 DB(230a)의 일부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든 일 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는 도 4b에 도시된 그대로 기술분류 DB(230a)를 구현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이하에서 설명할 다른 모든 DB에도 마찬가지이다.
(2) 기술수명 예측 프로세스(13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술수명 예측 프로세스(132)는 사용자 DB(270)와 기술수명 DB(230b)를 참조하고, 자신의 실행결과를 매출액 추정 프로세스(134), 매출원가 추정 프로세스(136), FCF 산출 프로세스(138), 및 현가계수 산출 프로세스(139)로 전달하는 프로세스이다.
기술수명 예측 프로세스(132)는 기술수명 DB(230b)를 참조하여, 사용자 DB(270)에 수록된 기술분류의 수명을 예측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술수명 DB(230b)에는 기술분류 DB(230a)에 수록된 기술분류들과 그들 중 각각의 요소기술들에 대한 기술수명들이 DB화 되어 있다. 따라서, 기술수명 예측 프로세스(132)는 사용자 DB(270)에 수록된 기술분류(보다 구체적으로는, 요소기술)에 해당하는 기술수명을 기술수명 DB(230b)에서 검색하는 절차를 통해 기술수명을 예측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술수명 예측 프로세스(1132)는, 사용자 DB(1270)와 기술수명 DB(1230b)를 참조하고, 자신의 실행 결과를 매출액 성장률 산출 프로세스(1133), 매출액 추정 프로세스(1134), 매 출원가 성장률 산출 프로세스(1135), 매출원가 추정 프로세스(1136), FCF 산출(1138), 및 현가계수 산출 프로세스(1139)로 전달할 수 있다.
(3) 매출액 성장률 산출 프로세스(133)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출액 성장률 산출 프로세스(133)는 사용자 DB(270)와 표준-손익계산서 DB(230c)의 실행결과를 참조하여 매출액 성장률을 산출하고, 자신의 실행결과를 매출액 추정 프로세스(134)와 매출원가 추정 프로세스(136)로 전달하는 프로세스이다.
매출액 성장률 산출 프로세스(133)는 표준-손익계산서 DB(230c)로부터 소정 기간 동안의 매출액을 읽어와서 매출액 성장률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매출액 성장률 산출 프로세스(133)는 소정기간의 최초 년도의 매출액과 최후 년도의 매출액을 이용하여 매출액 성장률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기간은, 3년과 같이 미리 정해진 기간이 될 수도 있고, 다르게는 기술 수명처럼 경우에 따라서 변화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매출액 성장률 산출 프로세스(1133)는 사용자 DB(1270), 표준-손익계산서 DB(1230c)와 기술수명 예측 프로세스(1132)의 실행결과를 참조하고, 자신의 실행결과를 매출액 추정 프로세스(1134)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0의 매출액 성장률 산출 프로세스(1133)는 가장 최근 년도로부터 기술 수명만큼 소급한 기술 분류별 및 종업원별 매출액을 참조하여 매출액 성장률을 산출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준-손익계산서 DB(230c)는 기업별 손익계산서 DB에 나타난 매출액들 중 기술분류와 종업원 수가 일치하는 기업들의 매출액들을 년도별로 평균하여 하나의 항목으로 재구성하는 표준화 과정에 의해 작성된다. 도 3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준-손익계산서 DB(230c)는 기술분류와 종업원 수별로 표준화된 매출액과 매출원가를 저장한다.
매출액 성장률 산출 프로세스(133)는 표준-손익계산서 DB(230c)에 수록된 매출액들 중 사용자 DB(270)에 수록된 기술분류와 종업원 수에 대응되는 매출액들을 참조하고,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매출액 성장률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출액 성장률 산출 프로세스(133)는, 표준-손익계산서 DB(230c)에 저장된 매출액들 중 기술 분류별 및 종업원별로 정해진 매출액들의 초기 년도 매출액과 최후 년도 매출액을 참조하고, 참조한 매출액들을 하기 수학식 1에 대입하여 매출액 성장률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출액 성장률 산출 프로세스(133)는, 특정 기간(예를 들면 3년)동안의 매출액을 참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최후 년도의 매출액과 최후 년도로부터 소급하여 3년째 되는 년도의 매출액을 참조하여, 하기 수학식 1에 대입하여 매출액 성장률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출액 성장률 산출 프로세스(133)는 기술수명 예측 프로세스(132)에서 예측된 기술수명만큼의 매출액들만을 참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초기 년도의 매출액과 초기 년도로부터 기술 수명 년도만큼 소급한 해의 매출액을 참조하여, 하기 수학식 1에 대입하여 매출액 성장률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DB(270)에 수록된 기술분류의 요소기술이 "MIMO 기술"이고 종업원 수가 "10~20"이며, 기술수명 예측 프로세스(132)에서 예측된 기술수명이 "4년"인 경우, 매출액 성장률 산출 프로세스(133)는 표준-손익계산서 DB(230c)에 수록된 매출액들 중 기술분류가 "MIMO 기술"이고 종업원 수가 "10~20"에 해당하는 4년치(2004년 ~ 2007년) 매출액("(a1+c1)/2", "(a2+c2)/2", "(a3+c3)/2" 및 "(a4+c4)/2")을 참조할 수 있다.
그리고, 매출액 성장률 산출 프로세스(133)는 참조한 매출액들 중 최후년도의 매출액과 최초년도의 매출액을 아래의 수학식 1에 대입하여 매출액 성장률을 산출한다.
매출액 성장률 = [{(최후년도의 매출액)/(최초년도의 매출액)}^{1/(최후년도-최초년도)}]-1
위의 예에서, 최후년도=2007년, 최후년도의 매출액=(a1+c1)/2", 최초년도=2004년, 최초년도의 매출액=(a4+c4)/2가 된다.
성장률을 산출함에 있어서 상술한 수학식 1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성장률을 산출하는 다른 적절한 수학적 툴 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든 년도간의 성장률을 산출하고, 산출한 성장률을 평균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즉, 2006년, 2005년, 2004년 매출액으로부터 성장률을 산출할 때, 2005년도와 2006년도간의 매출액 성장률을 산출(예를 들면 상기 수학식 1을 사용하여 산출함)하고, 2004년도 매출액과 2005년도 매출액간의 성장률을 산출하고, 그리고 이들 산출한 성장률 들간을 평균하여 성장률을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4) 매출액 추정 프로세스(134)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출액 추정 프로세스(134)는 사용자 DB(270), 표준-손익계산서 DB(230c), 기술수명 예측 프로세스(132)와 매출액 성장률 산출 프로세스(133)의 실행결과를 참조하고, 자신의 실행결과를 손익계산서 추정 프로세스(137)로 전달하는 프로세스이다.
매출액 추정 프로세스(134)는 표준-손익계산서 DB(230c)에서 사용자 DB(270)에 수록된 기술분류와 종업원 수에 해당하는 매출액들 중 최후년도의 매출액을 읽어들인다.
그리고, 매출액 추정 프로세스(134)는 읽어들인 최후년도의 매출액에 매출액 성장률 산출 프로세스(133)에서 산출된 매출액 성장률을 곱해가면서 최후년도의 다음 년도부터의 매출액을 추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매출액 추정 프로세스(134)는, 1) 최후년도(2007년)의 매출액(A)에 매출액 성장률(d)를 곱하여 2008년의 매출액(A*d)을 추정하고, 2) 추정된 2008년의 매출액(A*d)에 매출액 성장률(d)을 곱하여 2009년(A*d*d)의 매출액을 추정하며, 3) 추정된 2009년의 매출액((A*d*d))에 매출액 성장률(d)를 곱하여 2010년(A*d*d*d)의 매출액을 추정한다.
매출액 추정 프로세스(134)가 매출액을 추정하여야 하는 년도는 기술수명 예측 프로세스(132)에서 예측된 기술수명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기술수명 예측 프로세스(132)에서 예측된 기술수명이 4년이라면, 매출액 추정 프로세스(134)에서 예측하여야 하는 것은 2008년의 매출액부터 2011년의 매출액까지다.
(5) 매출원가 추정 프로세스(136)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출원가 추정 프로세스(136)는 사용자 DB(270), 표준-손익계산서 DB(230c), 기술수명 예측 프로세스(132)와 매출액 성장률 산출 프로세스(133)의 실행결과를 참조하고, 자신의 실행결과를 손익계산서 추정 프로세스(137)로 전달하는 프로세스이다.
매출원가 추정 프로세스(136)는 표준-손익계산서 DB(230c)에서 사용자 DB(270)에 수록된 기술분류와 종업원 수에 해당하는 매출원가들 중 최후년도의 매출원가를 읽어들인다.
그리고, 매출원가 추정 프로세스(136)는 읽어들인 최후년도의 매출원가에 매출액 성장률 산출 프로세스(133)에서 산출된 성장률을 곱해가면서 최후년도의 다음 년도부터의 매출원가를 추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매출원가 추정 프로세스(136)는, 1) 최후년도(2007년)의 매출원가(O)에 매출액 성장률(k)를 곱하여 2008년의 매출액(O*k)을 추정하고, 2) 추정된 2008년의 매출액(O*k)에 매출액 성장률(k)를 곱하여 2009년(O*k*k)의 매출액을 추 정하며, 3) 추정된 2009년의 매출액(O*k*k))에 매출액 성장률(k)를 곱하여 2010년(O*k*k*k)의 매출액을 추정한다.
매출원가 추정 프로세스(136)가 매출원가를 추정하여야 하는 년도는 기술수명 예측 프로세스(132)에서 예측된 기술수명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기술수명 예측 프로세스(132)에서 예측된 기술수명이 4년이라면, 매출원가 추정 프로세스(136)에서 예측하여야 하는 것은 2008년의 매출원가부터 2011년의 매출원가까지다.
(6) 손익계산서 추정 프로세스(137)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익계산서 추정 프로세스(137)는 매출액 추정 프로세스(134) 및 매출원가 추정 프로세스(136)의 실행결과를 참조하고, 자신의 실행결과를 FCF 산출 프로세스(138)로 전달하는 프로세스이다.
손익계산서 추정 프로세스(137)는 매출액 추정 프로세스(134)에서 추정된 매출액들과 매출원가 추정 프로세스(136)에서 추정된 매출원가들을 이용하여, 기술수명 동안의 손익계산서를 추정하게 된다.
(7) FCF 산출 프로세스(138)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FCF 산출 프로세스(138)는 사용자 DB(270), 표준-대차대조표 DB(230e)와, 기술수명 예측 프로세스(132), 및 손익계산서 추정 프로세스(137)의 실행결과를 참조하고, 자신의 실행결과를 사업가치 산출 프로세스(140) 로 전달하는 프로세스이다.
표준-대차대조표 DB(230e)는 기업별 대차대조표 DB에 나타난 대차대조표들 중 기술분류와 종업원 수가 일치하는 기업들의 대차대조표들을 평균하여 하나의 항목으로 재구성하는 표준화 과정에 의해 작성된다.
FCF 산출 프로세스(138)는 표준-대차대조표 DB(230e)에 수록된 항목들 중 사용자 DB(270)에 수록된 기술분류와 종업원 수에 해당하는 항목들을 읽어들인다. 여기서, 읽어들이는 항목은 대손상각비, 무형자산상각비, 유동자산 및 유동부채 등이 있다.
항목들을 읽어들임에 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CF 산출 프로세스(138)는 기술수명 예측 프로세스(132)에서 예측된 기술수명만큼 만을 읽어들인다. 이 경우 FCF 산출 프로세스(138)는, 기술수명 예측 프로세스(132)의 실행결과를 참조할 수 있다.
이후, FCF 산출 프로세스(138)는 아래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FCF를 산출한다.
a. 영업이익 = (매출액 - 매출원가) - (판매비와 관리비)
{(매출액 - 매출원가)는 손익계산서 추정 프로세스(134)에서 추정된 손익계산서로부터 획득, (판매비와 관리비)도 추정된 손익계산서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손익계산서 추정 프로세스(134)에서 추정된 손익계산서로부터 획득}
b. 세후영업이익 = 영역이익 - 법인세
{법인세는 손익계산서 추정 프로세스(134)에서 추정된 손익계산서의 당기 순이익을 바탕으로 도출}
c. 감가상각비 = 손익계산서의 감가상각비 + 대손상각비 + 무형자산상각비
{손익계산서의 감가상각비는 손익계산서 추정 프로세스(134)에서 추정된 손익계산서로부터 획득, 대손상각비와 무형자산상각비는 표준-대차대조표 DB(230e)로부터 획득}
d. 운전자본 증감 = 유동자산 - 유동부채
{유동자산과 유동부채는 표준-대차대조표 DB(230e)로부터 획득}
e. FCF = 세후영업이익 + 감가상각비 - 운전자본 증감 - 유형자산투자
{유형자산투자는 사용자 DB(270)에서 읽어들임}
(8) 현가계수 산출 프로세스(139)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가계수 산출 프로세스(139)는 할인율 DB(230f)와 기술수명 예측 프로세스(132)의 실행결과를 참조하고, 자신의 실행결과를 사업 가치 산출 프로세스(140)로 전달하는 프로세스이다.
할인율 DB(230f)에는 소정의 할인율이 저장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험 프리미엄 할인율과 벤처 캐피탈 할인율 2가지가 저장되어 있는데, 사용자는 이 할인율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현가계수 산출 프로세스(139)는 할인율 DB(230f)에 수록된 할인율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할인율과 기술수명 예측 프로세스(132)에서 예측된 기술수명을 아래의 수학식 3에 대입하여, 현가계수를 산출한다.
현가계수 = 1/(1+r)*n
여기서, r은 사용자가 선택한 할인율이고, n은 기술수명 예측 프로세스(132)에서 예측된 기술수명이다.
(9) 사업가치 산출 프로세스(14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업가치 산출 프로세스(140)는 FCF 산출 프로세스(138)와 현가계수 산출 프로세스(139)의 실행결과를 참조하고, 자신의 실행결과를 기술가치 산출 프로세스(142)로 전달하는 프로세스이다.
사업가치 산출 프로세스(140)는 FCF 산출 프로세스(138)에서 산출된 FCF와 현가계수 산출 프로세스(139)에서 산출된 현가계수를 아래의 수학식 4에 대입하여, 사업가치를 산출한다.
사업가치 = FCF * 현가계수
(10) 기술기여도 산출 프로세스(14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술기여도 산출 프로세스(141)는 사용자 DB(270), 기술별 중요도 DB(230g)와 개별기술강도 DB(230h)를 참조하고, 자신의 실행결과를 기술가치 산출 프로세스(142)로 전달하는 프로세스이다.
기술별 중요도 DB(230g)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및 요소기술 각각에 대한 중요도가 책정되어 있는 DB이다.
기술기여도 산출 프로세스(141)는 사용자 DB(270)와 기술별 중요도 DB(230g)를 참조하여, 기술분류에 해당하는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및 요소기술 각각에 대한 중요도를 산술평균하여 기술분류에 대한 중요도를 산출한다.
개별기술강도 DB(230h)에는 기술강도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항목들이 수록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평가항목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항목, 중항목 및 소항목으로 체계화되어 있다.
기술기여도 산출 프로세스(141)는 개별기술강도 DB(230h)에 수록되어 있는 평가항목들을 시각화한 평가항목-테이블을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제공된 평가항목-테이블을 보면서 사용자가 입력한 점수들을 이용하여 기술강도를 산출한다.
기술강도 산출은 평가항목들에 대한 점수들을 단순히 합산하여 산정할 수 있음은 물론, 합산시 중요 평가항목들에는 가중치를 부여하여 합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기술기여도 산출 프로세스(141)는 산출된 중요도와 산출된 기술강도를 아래의 수학식 6에 대입하여 기술기여도를 산출한다.
기술기여도 = 중요도 * 기술강도
(11) 기술가치 산출 프로세스(14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술가치 산출 프로세스(142)는 사업가치 산출 프로세스(140)와 기술기여도 산출 프로세스(141)의 실행결과를 참조하고, 자신의 실행결과를 기술가치 평가 보고서 작성/출력 프로세스(143)로 전달하는 프로세스이다.
기술가치 산출 프로세스(142)는 사업가치 산출 프로세스(140)에서 산출된 사업가치와 기술기여도 산출 프로세스(141)에서 산출된 기술기여도를 아래의 수학식 6에 대입하여, 기술가치를 산출한다.
기술가치 = 사업가치 * 기술기여도
(12) 기술가치 평가 리포트 작성/출력 프로세스(143)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술가치 평가 리포트 작성/출력 프로세스(143)는 사용자 DB(270)에 수록되어 있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기술가치 평가 기초 데이터 와 기술가치 산출 프로세스(142)의 실행결과를 이용하여 기술가치 평가 리포트를 작성하고 작성된 기술가치 평가 리포트를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술가치 평가 프로그램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실시예는, 도 3의 실시예와의 관계에서 매출원가를 산출함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즉, 도 3의 실시예에서는 매출원가를 산출함에 있어서 매출액 성장률을 사용하여 매출원가를 산출하지만, 도 9의 실시예는 매출원가를 산출하기 위해서 매출원가의 성장률을 따로 산출하는 프로세스(935)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서, 도9의 실시예는, 표준-매출원가 DB(939d)를 별도로 포함하였지만, 표준-매출원가가 표준-손익계산서 DB(930c)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표준-매출원가 DB(939d)가 별도로 필요 없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출원가 성장률 산출 프로세스(935)는 사용자 DB(970)와 표준-매출원가 DB(930d)의 실행결과를 참조하고, 자신의 실행결과를 매출원가 추정 프로세스(936)로 전달하는 프로세스이다.
한편, 후술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매출원가 성장률 산출 프로세스(1135)는 사용자 DB(270), 표준-매출원가 DB(1230d)와 기술수명 예측 프로세스(1132)의 실행결과를 참조하고, 자신의 실행결과를 매출원가 추정 프로세스(1136)로 전달할 수 있다.
표준-매출원가 DB(930d)는 기업별 매출원가 DB에 나타난 매출원가들 중 기술분류와 종업원 수가 일치하는 기업들의 매출원가들을 년도별로 평균하여 하나의 항목으로 재구성하는 표준화 과정에 의해 작성된다.
매출원가 성장률 산출 프로세스(935)는 표준-매출원가 DB(930d)에 수록된 매출원가들 중 사용자 DB(970)에 수록된 기술분류와 종업원 수에 해당하는 매출원가들을 참조하고, 참조한 매출원가들로부터 적절한 수학적 툴을 사용하여 매출원가 성장률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출원가 성장률 산출 프로세스(935)는 표준-매출원가 DB(930d)에 저장된 모든 매출원가를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출원가 성장률 산출 프로세스(935)는, 소정기간 중, 최후년도의 매출원가와, 최초년도의 매출원가를 하기 수학식 7에 적용하여 매출원가 성장출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기간은 미리 정해진 기간 즉 3년이 될 수도 있고, 또는 기술수명기간과 같은 가변적인 기간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출원가 성장률 산출 프로세스(935)는 미리 정해진 기간(예를 들면 3년)만큼 매출원가만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출원가 성장률 산출 프로세스(935)는 기술수명 예측 프로세스(932)에서 예측된 기술수명만큼의 매출원가만을 참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DB(970)에 수록된 기술분류의 요소기술이 "MIMO 기술"이고 종업원 수가 "10~20"이며, 기술수명 예측 프로세스(932)에서 예측된 기술수명이 "4년"인 경우, 매출원가 성장률 산출 프로세스(935)는 표준-매출원가 DB(930d)에 수록된 매출원가들 중 기술분류가 "MIMO 기술"이고 종업원 수가 "10~20"에 해당하는 4년치 매출원가들을 읽어들인다.
그리고, 매출원가 성장률 산출 프로세스(935)는 읽어들인 매출원가들 중 일부를 아래의 수학식 7에 대입하여 매출원가 성장률을 산출한다.
매출원가 성장률 = [{(최후년도의 매출원가)/(최초년도의 매출원가)}^{1/(최후년도-최초년도)}]-1
한편, 위 수학식 7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해당하며, 필요에 따라 위와 다른 수학적 툴을 이용하여 매출원가 성장률을 산출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출원가 추정 프로세스(936)는 사용자 DB(970), 표준-매출원가 DB(930d), 기술수명 예측 프로세스(932)와 매출원가 성장률 산출 프로세스(935)의 실행결과를 참조하고, 자신의 실행결과를 손익계산서 추정 프로세스(937)로 전달하는 프로세스이다. 이하, 다른 프로세스들은, 도 3의 경우와 동일하다.
도 10의 실시예는, 도 9의 실시예와의 관계에서 매출액 성장률과 매출원가 성장률을 산출함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즉, 도 9의 실시예에서는 매출액 성장률과 매출원가 성장률을 산출함에 있어서 기술수명을 사용하지 않고 미리 정한 특정기간 동안의 성장률들을 산출하였지만, 도 10에서는 매출액 성장률과 매출원가 성장률을 산출함에 있어서 기술수명을 사용하였다. 나머지 도 10의 프로세스들은 도 9의 프로세스들과 동일하다.
지금까지, 기술 평가 시스템에 의한 기술 평가 방법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DB 서버, 기술가치 평가서버, 및 사용자 단말은 각각 랜을 통해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들은 인터넷이나 다른 광역망을 통해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은 인터넷망을 통해서, 기술 가치 평가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물론 인터넷망을 통해서 연결되기 위해 필요한 기술들이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웹서버나 웹페이지를 저장하기 위한 DB가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에는 웹페이지를 보기 위한 익스플로러와 같은 응용프로그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DB 서버와 기술가치 평가서버간에서 인터넷망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서, 사용자와 관리자가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서 기술가치 평가 서버(100)에 접근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서로 별개의 단말을 통해서 기술가치 평가 서버(100)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기술가치 평가 서버(100)가 기술등급 평가 프로그램(110)과 기술가치 평가 프로그램(130)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들 프로그램을 각각 수행하는 별도의 서버로도 구축이 가능할 것이다. 예들 들면, 기술가치 평가 서버는 기술가치 평가 프로그램만을 가지도록 하고, 기술등급 평가 프로그램(110)을 가지고 기술등급 평가를 하는 기술등급 평가 서버를 별도로 구축하는 것이다. 한편, DB 서버(100)가 기술등급 평가용 DB(210), 기술가치 평가용 DB(230), 및 사용자 DB(270)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들 DB들은 각각 별도의 서버로 구축이 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기술 평가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기술가치 평가용 DB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3은 기술가치 평가 프로그램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4a는 기술가치 평가 기초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GUI를 도시한 도면,
도 4b는 기술분류 DB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기술수명 DB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표준-손익계산서 DB를 작성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7은 기술별 중요도 DB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개별기술강도 DB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술가치 평가 프로그램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술가치 평가 프로그램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기술가치 평가 서버 130 : 기술가치 평가 프로그램
200 : DB 서버 300 : 사용자 단말
230c : 표준-손익계산서 DB 230e : 표준-대차대조표 DB

Claims (15)

  1. 사용자 단말이 기술가치 평가에 필요한 기초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기술가치 평가 서버가 기업들의 과거 재무제표들을 표준화하여 작성한 표준-재무제표 DB(Data Base)를 참고하여, 상기 입력단계를 통해 입력된 기초 데이터를 기초로 기술가치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기술가치 평가 서버가 상기 평가단계에서 평가된 기술가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준-재무제표 DB는,
    기업들의 과거 손익계산서들을 표준화하여 작성한 표준-손익계산서 DB 및 기업들의 과거 대차대조표들을 표준화하여 작성한 표준-대차대조표 DB를 포함하며,
    상기 기술가치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표준-손익계산서 DB에 수록된 매출액들 중 일부를 이용하여 향후의 매출액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표준-손익계산서 DB에 수록된 매출원가들 중 일부를 이용하여 향후의 매출원가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표준-대차대조표 DB에 수록된 항목들 중 일부를 참조하고 상기 매출액 추정단계에서 추정된 매출액 및 상기 매출원가 추정단계에서 추정된 매출원가를 이용하여 FCF(Future Cash Flow: 미래현금흐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FCF 산출단계에서 산출된 FCF를 이용하여 기술 가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가치 평가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재무제표 DB는,
    기술분류와 종업원 수가 동등한 기업들의 과거 재무제표들의 각 항목 값들을 평균하여 하나의 항목으로 재구성하여 작성한 D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가치 평가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술 가치를 산출하는 단계는,
    복수의 할인율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하여 현가계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현가계수 산출단계에서 산출된 현가계수와 상기 FCF 산출단계에서 산출된 FCF를 곱하여 사업가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업가치 산출단계에서 산출된 사업가치를 이용하여 기술가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가치 평가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술 가치를 계산하는 단계는,
    기술별 중요도 DB에 수록되어 있는 기술별 중요도 중 해당 기술에 대한 중요도와 기술강도 DB에 수록되어 있는 기술별 강도 중 해당 기술에 대한 강도를 곱한 값을 기술기여도로 산출하고, 산출된 기술기여도와 상기 사업가치를 곱하여 상기 기술가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가치 평가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술가치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단계에서 입력받은 기초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기술분류에 해당하는 기술수명을 기술수명 DB를 참조하여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매출액을 추정하는 단계와 상기 매출원가를 추정하는 단계는 각각 상기 표준-손익계산서 DB에 수록된 데이터들 중, 상기 예측단계에서 예측된 기술수명의 년도들에 해당하는 데이터들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가치 평가 방법.
  8. 기술가치 평가에 필요한 기초 데이터를 입력받는 사용자 단말;
    기업들의 과거 재무제표들을 표준화하여 작성한 표준-재무제표 DB(Data Base)가 구축되어 있는 DB 서버; 및
    상기 DB 서버에 구축되어 있는 표준-재무제표 DB를 참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기초 데이터를 기초로 기술가치를 평가하는 기술가치 평가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표준-재무제표 DB는,
    기업들의 과거 손익계산서들을 표준화하여 작성한 표준-손익계산서 DB, 및 기업들의 과거 대차대조표들을 표준화하여 작성한 표준-대차대조표 DB를 포함하며,
    상기 기술가치 평가 서버는,
    1) 상기 표준-손익계산서 DB에 수록된 매출액들 중 일부를 이용하여 향후의 매출액을 추정하고, 2) 상기 표준-손익계산서 DB에 수록된 매출원가들 중 일부를 이용하여 향후의 매출원가를 추정하며, 3) 상기 표준-대차대조표 DB에 수록된 항목들 중 일부를 참조하고, 추정된 매출액 및 추정된 매출원가를 이용하여 FCF(Future Cash Flow: 미래현금흐름)를 산출하고, 4) 산출된 FCF를 이용하여 기술 가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가치 평가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재무제표 DB는,
    기술분류와 종업원 수가 동등한 기업들의 과거 재무제표들의 각 항목 값들을 평균하여 하나의 항목으로 재구성하여 작성한 D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가치 평가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술가치 평가 서버는,
    1) 복수의 할인율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하여 현가계수를 산출하고, 2) 산출된 현가계수와 산출된 FCF를 곱하여 사업가치를 산출하며, 3) 산출된 사업가치를 이용하여 기술가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가치 평가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술가치 평가 서버는,
    기술별 중요도 DB에 수록되어 있는 기술별 중요도 중 해당 기술에 대한 중요도와 기술강도 DB에 수록되어 있는 기술별 강도 중 해당 기술에 대한 강도를 곱한 값을 기술기여도로 산출하고, 산출된 기술기여도와 상기 사업가치를 곱하여 상기 기술가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가치 평가 시스템.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술가치 평가 서버는,
    1)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받은 기초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기술분류에 해당하는 기술수명을 기술수명 DB를 참조하여 예측하고, 2) 상기 매출액과 상기 매출원가를 추정할 때, 상기 표준-손익계산서 DB에 수록된 데이터들 중 예측된 기술수명의 년도들에 해당하는 데이터들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가치 평가 시스템.
  15. 제1항, 제2항, 및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080016828A 2008-02-25 2008-02-25 기술가치 평가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0958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16828A KR100958172B1 (ko) 2008-02-25 2008-02-25 기술가치 평가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CT/KR2009/000884 WO2009107972A2 (ko) 2008-02-25 2009-02-25 기술가치 평가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16828A KR100958172B1 (ko) 2008-02-25 2008-02-25 기술가치 평가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519A KR20090091519A (ko) 2009-08-28
KR100958172B1 true KR100958172B1 (ko) 2010-05-14

Family

ID=41016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16828A KR100958172B1 (ko) 2008-02-25 2008-02-25 기술가치 평가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58172B1 (ko)
WO (1) WO2009107972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969B1 (ko) * 2011-05-20 2013-02-0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술기여도 평가방법과 이를 이용한 기술가치평가 방법 및 시스템
US9704133B2 (en) 2014-01-09 2017-07-11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jour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650B1 (ko) * 2011-03-17 2013-03-2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연구개발기술의 성과를 정량적으로 예측 평가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2018124400A1 (ko) * 2016-12-30 2018-07-05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신규 사업의 예측 매출액 추정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4772A (ko) * 1999-12-18 2001-07-11 이구택 기술가치 평가방법
KR20030070466A (ko) * 2002-02-25 2003-08-30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온라인상의 관련정보를 지원하는 기술가치평가시스템과 그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JP2004070406A (ja) * 2002-08-01 2004-03-04 Daido Life Insurance Co 財務データ管理システム及び財務データ管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50096924A (ko) * 2002-12-27 2005-10-06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피.비. 기술평가장치, 기술평가프로그램, 기술평가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634578A (en) * 2005-03-28 2006-10-01 Asia Pacific Technomart Corp Technology valuation and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4772A (ko) * 1999-12-18 2001-07-11 이구택 기술가치 평가방법
KR20030070466A (ko) * 2002-02-25 2003-08-30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온라인상의 관련정보를 지원하는 기술가치평가시스템과 그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JP2004070406A (ja) * 2002-08-01 2004-03-04 Daido Life Insurance Co 財務データ管理システム及び財務データ管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50096924A (ko) * 2002-12-27 2005-10-06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피.비. 기술평가장치, 기술평가프로그램, 기술평가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969B1 (ko) * 2011-05-20 2013-02-0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술기여도 평가방법과 이를 이용한 기술가치평가 방법 및 시스템
US9704133B2 (en) 2014-01-09 2017-07-11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jour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07972A2 (ko) 2009-09-03
WO2009107972A3 (ko) 2009-11-26
KR20090091519A (ko) 200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halili et al. Designing cyber insurance policies: The role of pre-screening and security interdependence
Brown et al. Household finances and the ‘Big Five’personality traits
Wu et al. Evaluating business performance of wealth management banks
Fan et al. The measurement of relatedness: An application to corporate diversification
Chancharat et al. Board structure and survival of new economy IPO firms
Petersen et al. How do firms implement impairment tests of goodwill?
Schelleman et al. Short-term accruals and the pricing and production of audit services
Chang et al. The impact of IT-related spillovers on long-run productivity: An empirical analysis
Tauringana et al. Determinants of risk disclosure compliance in Malawi: a mixed-method approach
Cho et al. Portfolio selection model for enhancing information technology synergy
Hassan et al. The effects of Shariah board composition on Islamic equity indices' performance
Baum et al. The role of uncertainty in the transmission of monetary policy effects on bank lending
Todd et al. Financial attributes, financial behaviors, financial‐advisor‐use beliefs, and investing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having used a robo‐advisor
Anong et al. Determinants of adequate emergency funds including the effects of seeking professional advice and industry affiliation
Çepni et al. The role of an aligned investor sentiment index in predicting bond risk premia of the US
KR100958172B1 (ko) 기술가치 평가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amarinha-Matos et al. Performance indicators based on collaboration benefits
Chooprayoon et al. TECTAM, A modifi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o assess E-commerce technologies adoption by Thai SME
Vladimirov et al. New formal description of expert views of Black-Litterman asset allocation model
Ludewig et al. Measuring organizational capital
Auer et al. Cost gap, Shapley, or nucleolus allocation: Which is the best game‐theoretic remedy for the low‐risk anomaly?
Kejriwal Positive accounting theory: A critical evaluation
Manali Strategic benefits and challenges of mobile banking in Kenyan commercial banks
Afik et al. Assessment of rapid growth ventures, an extension of Schwartz and Moon model
Blazheska et al. Determinants of the market choice and the consumers behavior on the Macedonian MTPL insurance market: Empirical application of the Markov chain mod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