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4893A - 용지 이송장치 및 화상 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용지 이송장치 및 화상 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4893A
KR20050094893A KR1020057013963A KR20057013963A KR20050094893A KR 20050094893 A KR20050094893 A KR 20050094893A KR 1020057013963 A KR1020057013963 A KR 1020057013963A KR 20057013963 A KR20057013963 A KR 20057013963A KR 20050094893 A KR20050094893 A KR 20050094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belt
charge
conveying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3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7912B1 (ko
Inventor
츠네오 마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050094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4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7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79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7Conveyor belts or like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48Apparatus for condensed record, tally strip, or like work using two or more papers, or sets of papers, e.g. devices for switching over from handling of copy material in sheet form to handling of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and vice versa or point-of-sale printers comprising means for printing on continuous copy material, e.g. journal for tills, and on single sheets, e.g. cheques or receip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6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output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4/00Non-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54/02Non-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ostatic, electric, or 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04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using electrostatic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20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40Ident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5/00Physical ent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11/00 or B65H2513/00
    • B65H2515/70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electric power or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Ink Jet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Abstract

기록용지(12) 재료의 종류에 관계없이 안정된 상태로 상기 기록용지(12)를 이송할 수 있는 용지 이송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용지 이송장치는 이음매 없는 이송 벨트(21)의 표면에 전하를 인가하고 상기 이송 벨트(21)에 상기 기록용지(12)를 흡착시켜 이송한다. 대전수단(26,83)은 띠 모양의 교번하는 전압패턴(91)으로 상기 이송 벨트(21)의 표면을 대전한다. 제어부(73)는 상기 기록장치(12)의 이송 방향으로 교번하는 전압패턴(91)의 대전폭(L)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용지 이송장치 및 화상 형성장치{SHEET CONVEYANCE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 벨트를 사용하여 용지를 이송하기 위한 용지 이송장치 및 이러한 용지 이송장치를 사용하는 화상 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잉크젯 기록장치는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복사기와 같이 화상 기록장치(또는 화상 형성장치라고도 한다)로 사용된다. 상기 잉크젯 기록장치는 잉크 기록 헤드로부터 기록용지 측으로 잉크 방울을 토출하여 기록용지 또는 기록 종이에 화상을 기록한다. 상기 기록용지는 통상의 기록용지로 한정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OHP 필름 등을 포함하며, 잉크 방울 또는 현상액(developer)이 적용될 수 있는 물체를 의미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종류의 기록용지는 단순히 기록용지 또는 기록 종이로 언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록용지는 기록되는 매개물(medium)이나 기록하는 매개물로서 언급될 수 있다. 잉크젯 기록장치는 고속으로 정밀한 화상을 기록할 수 있다. 더욱이, 잉크젯 기록장치는 운용 비용이 작으며 소음이 적다. 또한, 잉크젯 기록장치는 다색의 잉크를 사용하여 칼라 화상을 쉽게 기록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잉크를 토출하기 위한 에너지 발생 수단으로서 써멀(thermal) 액추에이터, 형상기억합금 액추에이터 또는 정전(electrostatic)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잉크젯 헤드가 알려져 있다. 상기 써멀 에추에이터는 압전소자와 같은 전기 열변환 소자를 사용하여 액체의 막 비등(film boiling)에 의해 발생한 상 변화를 이용한다. 상기 형상기억합금 액추에이터는 온도 변화에 의해 발생한 금속의 상 변화를 이용한다. 상기 정전 액추에이터는 잉크를 토출하기 위하여 정전력(electrostatic force)를 이용한다.
한편, 잉크젯 기록 방법에 있어서, 잉크는 기록용지에 도포되기 때문에, 상기 기록용지는 잉크 내에 함유된 수분 성분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코클(cockling)이라고 불린다. 기록용지는 코클때문에 주름이 질 수 있으며, 이것은 기록 헤드의 노즐과 기록되는 기록용지의 표면 사이의 위치 관계에 변화를 가져온다. 코클의 크기가 크다면, 기록용지는 최악의 경우에 기록 헤드의 노즐과 접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기록 헤드의 노즐 표면이 오염될 수 있고 기록용지 자체가 오염될 수도 있으며, 이것은 화질의 저하를 가져온다. 더욱이 잉크 방울이 도포되는 위치가 코클의 영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화질 또한 저하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잉크젯 기록장치는 기록용지의 코클을 흡수하는 개구를 구비하는 압반(壓盤, platen) 상에 기록용지를 위치시키고 기록을 수행한다. 이러한 압반은 외주면에 돌출부를 갖는 스퍼(spur)를 함께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스퍼에 의해 기록용지의 화상에 긁힘 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잉크젯 기록장치에 있어서, 기록용지는 롤러에 의해 이송된다. 예를 들어 두 쌍의 롤러가 그 사이에 위치하는 인쇄 영역에 배치되며, 이 중 한 쌍의 롤러는 스퍼와 롤러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 의하는 경우에, 기록용지가 두 쌍의 롤러 모두에 물려 있는 경우에 한하여 정확한 급지가 보장된다.
최근에는, 기록용지의 기록 가능한 영역을 증대시키기 위한 요청이 있다. 따라서, 기록 가능한 영역을 증대하기 위하여, 기록용지가 단지 한 쌍의 롤러와 물려있는 상태에서, 즉 급지 정밀도가 보장될 수 없는 상태에서 기록용지에 화상을 기록하는 잉크젯 기록장치가 있다. 그러나, 기록용지가 두 쌍의 롤러 중에서 한 쌍의 롤러에만 물린 상태에서는 기록용지가 들뜬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충분한 급지력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급지 정밀도를 보장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화질이 악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잉크젯 기록장치에서 화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잉크 방울이 도포되는 위치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요청된다. 따라서, 기록되는 기록용지의 평평도(flatness)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기록 작업이 통상의 기록용지를 사용하여 수행될 때에는 기록용지의 섬유조직(fiber)이 잉크 내에 포함된 수분 성분 때문에 주름진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잉크 방울[도트(dot)]이 도포되는 위치가 어긋난다. 지금까지, 기록용지의 이러한 변형은 기록용지에 잉크방울이 도포된 후 3분 후에 더 크게 나타난다.
일본 특허 제2897960호 및 일본 특개평 7-53081호에는, 기록용지의 평평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기록용지가 대전 벨트(charge belt)의 회전에 의하여 이송되도록 상기 대전 벨트의 표면에 기록용지를 정전적으로 흡착시키고 전기적으로 대전가능한 이음매 없는 대전 벨트를 사용하는 잉크젯 기록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기록용지는 정전 흡착력에 의해 대전벨트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잉크젯 기록 작업이 수행되는 동안 대전 벨트에 의해 기록용지의 평평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일본 특허 제2897960호는 대전 벨트의 표면에서 전압 인가 수단과 접촉함으로써 교번하는 패턴으로 대전 벨트의 표면을 대전하는 용지 이송장치 및 화상 기록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개평 7-53081호는 대전 벨트의 표면에 안정된 전위(potential)를 얻기 위해 방전 벨트를 사용하여 대전 벨트의 전하를 제거하는 인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잉크젯 기록장치와 같은 화상 형성장치에 사용되는 기록용지의 재질은 한 종류로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록용지 이외에도 OHP 시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기록용지가 이송 벨트(통상의 대전 벨트와 동일)에 정전적으로 흡착시켜 이송되는 경우에, 이송되는 기록용지의 표면 저항에 의해 야기되는 이송 벨트의 전하의 영향에 의하여 유전분극률(rate of dielectric polarization)이 변하기 때문에, 정전 흡착력이 변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용지 이송장치 및 화상 형성장치는 기록용지의 종류가 바뀔 때 바람직한 정전 흡착력을 얻을 수 없고, 이에 따라 기록용지가 안정된 조건으로 이송되는 것을 방해한다. 그러므로, 이송 안정성과 화질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잉크젯 기록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잉크젯 기록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잉크젯 기록장치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4는 잉크젯 기록장치에 제공되는 이송 벨트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잉크젯 기록장치의 전체 제어부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6은 이송 벨트에 형성된 대전 전압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A는 대전 롤러에서 이송 벨트로 인가된 전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B는 기록용지에 가해진 흡착력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대전 전압 패턴의 대전폭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라인 급지(line feed) 작업 동안에 대전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라인 급지(line feed) 작업 동안에 대전을 다른 방식으로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잉크젯 기록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잉크젯 기록장치에서 높은 저항을 갖는 물체에 대한 대전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이송 벨트의 평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개선되고 유용한 용지 이송장치 및 화상 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록용지 재질의 종류에 관계없이 안정한 조건으로 기록용지를 이송할 수 있는 용지 이송장치 및 화상 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이음매 없는(endless) 이송 벨트 표면에 전하를 인가하고 상기 이송 벨트에 용지를 흡착시켜 이송하는 용지 이송장치에 있어서, 띠 모양의 교번하는 전압 패턴(belt-like alternate voltage pattern)으로 상기 이송 벨트의 표면을 대전하는 대전수단; 및 상기 용지의 이송 방향으로 교번하는 전압 패턴의 대전폭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용지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이송 벨트에 형성된 대전 전압 패턴의 대전폭(또는 대전 피치)을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이송 벨트는 적절한 대전폭(또는 대전 피치)으로 대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록용지와 같은 용지의 안정된 이송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지의 종류에 따라 상기 대전폭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용지 이송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상기 용지 종류의 정보를 입력하는 용지 종류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지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 종류의 정보는 외부에서 주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지가 수지(resin)를 포함하고 있을 때의 대전폭이 용지가 수지(resin)를 포함하고 있지 않을 때의 대전폭보다 작도록 대전폭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지의 표면 저항이 1×1010Ω/□(Ω/square) 이하일 때의 대전폭이 4mm 이상 30mm 이하가 되도록, 그리고 상기 용지의 표면 저항이 1×1010Ω/□를 초과할 때의 대전폭이 2mm 이상 8mm 이하가 되도록 상기 대전폭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용지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 벨트는 표면층으로서의 절연층과, 후면층으로서의 중간 저항층(medium resistance layer)로 이루어지는 2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절연층의 표면저항은 1×1010Ω/□ 이상이고, 상기 중간 저항층의 표면저항은 1×108Ω/□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층의 두께는 60㎛ 이하이고, 상기 후면층의 두께는 4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이송 벨트와 맞물리는 롤러의 체적저항은 1×1010Ω·㎝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용지 이송장치는 상기 이송 벨트 표면의 전하를 제거 또는 감소시키는 방전수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방전수단은 상기 이송 벨트의 표면층 측에 위치하고 상기 용지와 이송 벨트가 접촉하는 영역 이외의 장소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용지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지의 표면저항이 1×1012Ω/□(Ω/square) 이상일 때의 상기 용지의 선단부(leading edge portion)와 후단부(trailing edge portion)가 상기 이송 벨트에 흡착되도록 상기 이송 벨트의 대전 영역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선단부는 상기 용지의 선단으로부터 50mm 이하의 범위를 갖고 상기 후단부는 후단으로부터 100mm 이하의 범위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용지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대전폭이 상기 용지의 선단으로부터의 거리에 대응하여 변화되도록 전하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이음매 없는(endless) 이송 벨트 표면에 전하를 인가하고 상기 이송 벨트에 용지를 흡착시켜 용지를 이송하는 용지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장치에 있어서, 띠 모양의 교번하는 전압 패턴(belt-like alternate voltage pattern)으로 상기 이송 벨트의 표면을 대전하는 대전수단; 및 상기 용지의 이송 방향으로 교번하는 전압 패턴의 대전폭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형성장치는 전술한 용지 이송장치를 구비하기 때문에 용지의 이송이 안정되고, 따라서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 벨트는 상기 용지가 이송 벨트에 의해 이송되기 전에 대전될 수 있다. 상기 이송 벨트에 대전하는 작업은 상기 용지에 화상이 형성되는 동안 중지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 벨트에 대전하는 작업은 상기 용지를 일정 거리만큼 이송할 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압 패턴에서 각각의 전하의 극성은 상기 용지가 일정 거리만큼 이송될 때 상기 이송 벨트의 이송량에 대응하여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전압패턴의 대전폭은 상기 용지가 일정 거리만큼 이송될 때의 이송 벨트 이송량의 정수 배(整數 倍,integral multiple)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이음매 없는(endless) 이송 벨트 표면에 전하를 인가하고 상기 이송 벨트에 용지를 흡착시켜 이송하는 용지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장치에 있어서, 띠 모양의 교번하는 전압 패턴(belt-like alternate voltage pattern)으로 상기 이송 벨트의 표면을 대전하는 대전수단; 상기 용지의 종류와 상기 이송 벨트에 형성된 교번하는 전압 패턴의 대전폭 사이의 관계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관계에 기초하는 용지 종류에 따라 상기 용지의 이송 방향으로 교번하는 전압 패턴의 대전폭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이음매 없는(endless) 이송 벨트 표면에 전하를 인가하고 상기 이송 벨트에 용지를 흡착시켜 이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띠 모양의 교번하는 전압 패턴(belt-like alternate voltage pattern)으로 상기 이송 벨트의 표면을 대전하는 단계; 및 상기 용지의 종류와 상기 이송 벨트에 형성된 교번하는 전압 패턴의 대전폭 사이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용지의 종류에 따라 상기 용지의 이송 방향으로 교번하는 전압패턴의 대전폭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용지 이송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화상 형성장치로서의 잉크젯 기록장치에 대해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잉크젯 기록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잉크젯 기록장치의 주요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잉크젯 기록장치의 주요부분의 정면도이다.
화상 형성장치로서의 잉크젯 기록장치에 있어서, 캐리지(carriage)(3)가 주 주사(main scanning)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캐리지(3)는 가이드 로드(1)과 스테이(stay)(미도시)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가이드 로드(1)는 좌우측 플레이트(미도시) 사이에 장착되는 가이드 부재로서 작용한다. 상기 캐리지(3)는 타이밍)(timing) 벨트를 통하여 주 주사 모터(main scanning motor)(7)(도 2 참조)에 의해 도 2의 화살표 방향으로 주사(走査,scan)를 위해 이동가능하다.
상기 캐리지(3)에는 노랑(Y), 시안(cyan)(C), 마젠타(magenta)(M), 검정(B)과 같은 네 개의 칼러로 잉크방울을 토출하는 네 개의 잉크젯 헤드를 구비하는 기록 헤드(4)가 구비된다. 상기 기록 헤드(4)는 다수의 잉크 출구부가 주 주사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정렬되고 잉크 방울들이 하측으로 토출되도록 상기 캐리지(3)에 장착된다. 기록 헤드(4)를 구성하는 잉크젯 헤드에 있어서, 써멀(thermal) 액추에이터, 형상기억합금 액추에이터 또는 정전(electrostatic) 액추에이터가 잉크를 토출하기 위한 에너지 발생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써멀 에추에이터는 압전소자와 같은 전기 열변환 소자를 사용하여 액체의 막 비등(film boiling)에 의해 발생하는 상 변화를 이용한다. 상기 형상기억합금 액추에이터는 온도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금속의 상 변화를 이용한다. 상기 정전 액추에이터는 잉크를 토출하기 위하여 정전력(electrostatic force)를 이용한다.
또한, 상기 캐리지(3)에는 기록 헤드(4)에 각각의 칼러 잉크를 공급하기 위하여 각각의 칼러에 대한 서브 탱크들(5)이 교체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각각의 칼러 잉크는, 메인 탱크(미도시)로부터 잉크 공급 튜브들(6)을 통하여 각각의 서브 탱크들(5)에 공급된다.
상기 잉크젯 기록장치는 반달 모양의 롤러(급지 롤러)(13)와, 급지 트레이 등 용지 적재부(11)에 적재된 기록용지(12)를 급지하기 위한 용지 급지부로서 분리 패드(14)를 포함한다. 상기 분리 패드(14)는 마찰계수가 큰 물질로 이루어지며, 급지 롤러(13) 측으로 압력을 가한다. 상기 급지부는 기록용지(12)를 한 장씩 분리하고 용지 적재부(11)로부터 기록용지(12)를 급지한다.
상기 잉크젯 기록장치는 이송 벨트(21)와, 이송 가이드(22)와, 카운터 롤러(23)와, 가압 부재(24)와, 선단 가압 롤러(25)와 대전 롤러(26)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이송 벨트(21)는, 기록용지(12)를 정전적으로 흡착하여 이송하도록 기록 헤드(4) 하측의 급지부로부터 급지된 기록용지(12)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로서 기능한다. 상기 이송 가이드(22)는 기록용지(12)가 상기 이송 벨트(21)와 접촉하도록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기록용지(12)의 급지 방향을 변경한다. 상기 카운터 롤러(23)는, 급지부로부터 급지되고 카운터 롤러(23)와 이송 벨트(21) 사이에 끼워져 이송 가이드(22)에 의하여 안내된 기록용지(12)를 이송한다. 선단 가압롤러(25)는 가압부재(24)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이송 롤러(21) 측으로 압박된다. 상기 대전 롤러(26)는 정전 흡착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송 벨트(21)의 표면을 대전하기 위한 대전수단이다.
상기 이송 벨트(21)는 이음매 없는 벨트로서, 이송 롤러(27) 및 상기 이송 롤러(27)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인장(tension) 롤러(28)와 맞물린다. 상기 인장 벨트(21)는 부 주사(sub-scanning) 모터(31)(도 2 참조)에 의해 이송 롤러(27)를 구동시킴으로써 화살표(A) 방향(벨트 이송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 벨트(21)는 표면층(21a)과 후면층(중간 저항층 또는 접지층)(21b)을 갖는다. 상기 표면층(21a)은 대략 40㎛의 두께를 갖는 순수한 ETFE 등의 수지(resin) 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표면층(21a)은 저항 제어가 수행되지 않으며 기록용지 흡착면을 형성한다. 상기 후면층(21b)은 표면층(21a)의 재료와 같은 재료로 형성되며, 여기에 탄소에 의한 저항 제어가 수행된다.
상기 이송 벨트(21)의 표면층(절연층)(21a)의 두께가 크다면, 유전 상수(dielectric constant)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전기적으로 대전될 때 이송 벨트(21)에 잔류하는 전하의 양이 감소한다. 실험에 의하면, 바람직한 정전 흡착력은 표면층(21a)의 두께가 60㎛ 이하로 설정된 경우에 얻어진다. 그러나, 상기 이송 벨트(21)의 정전 흡착력은, 제조 공정의 필름 두께의 변동을 고려하고 그리고 실제로 이송 벨트(21)에서 흠(flaw)이 발생하는 경우라도 표면층(21a)의 두께가 0이 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표면층(21a)를 가능한 한 얇게 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이송 벨트(21)의 후면층(중간 저항층 또는 접지층)(21b)의 두께는 정전 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이송 벨트(21)의 전체 두께가 크다면 이송 벨트(21)의 강성(rigidity)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실제 장치에 사용될 때 이송 벨트의 평평함(flatness)을 유지하기 어렵게 된다. 그러나,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기 후면층(21b)의 두께를 너무 얇게 할 수 없다. 실험에 의하면 상기 후면층(21b)의 두께는 대략 40 내지 2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 벨트(21)는 2층의 구조를 가지며, 후면에 저항이 제어된 후면층(21b)을 구비한다. 따라서, 절연층이 되는 표면층(21a)에 전하를 인가한 후에 흡착된 기록용지가 이송 벨트(21)와 접촉한다면, 전하는 표면층(21a)에 공급되고 이에 따라 기록용지와 이송 벨트(21) 사이의 정전 흡착력이 증가한다. 만약 이송 벨트(21)가 단일의 절연층으로 이루어진다면, 정전 흡착력은 이송 벨트(21)가 2층 구조를 갖는 경우에 비해 절반이 된다. 더욱이, 이송 벨트(21)가 단일층으로 이루어진다면 이송 벨트(21)와 초기에 접촉하는 기록용지의 위치가 이송 벨트(21)의 내측으로 배치된 접지 롤러와 대향하는 위치가 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이송 벨트(21)를 2층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제약이 없어진다.
이러한 경우에, 바람직한 정전력은 표면층(21a)에 표면저항이 1×1010Ω/□(Ω/square) 이상인 물질을 사용하고, 후면층(21b)에 표면저항이 1×108Ω/□ 이하인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이송 벨트(21)를 구동시키는 이송 롤러(27)는 대전 회로에서 접지롤러로 작용한다. 상기 이송 롤러(27)는 미끄럼 없이 이송 벨트를 구동하기 위하여 고무와 같이 마찰계수가 큰 물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흠 등에 의해 훼손된 절연층을 갖는 이송 벨트(21)에 전하가 인가될 때 과다한 전류 흐름에 의하여 이송 벨트(21)의 훼손이 진행되는 것을 막기 위해 이송 롤러(27)에 과다 전류 방지 기능을 제공하도록, 그리고 불필요한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스파크 또는 전자파를 방지하도록 이송 롤러(27)에 일정한 수준의 체적저항이 설정된다. 그러나, 체적 저항이 너무 높다면, 대전 회로에서 이송 롤러(27)의 임피던스가 급격히 증가하고, 이에 따라 이송 벨트(21)에 전하를 형성하기 위해서 이송 벨트(21)에 인가된 바이어스 전압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실험적으로, 접지 롤러로서의 이송 롤러(27)의 체적 저항이 1×1010Ω·㎝ 이하라면 바이어스 전압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수준으로 이송 롤러(27)에 과다 전류 방지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대전 롤러(26)는 이송 벨트(21)의 표면과 접촉하도록 이송 벨트(21) 주위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 벨트(21)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한다. 상기 대전 롤러(26)의 축의 양단에는 각각 2.5N의 가압력이 제공된다. 또한, 이송 롤러(27)는 접지 롤러로서 작용하며 접지선(29)를 통하여 이송 벨트(21)를 접지시키도록 이송 벨트(21)의 중간 저항층과 접촉한다.
또한, 상기 잉크젯 기록장치는 기록 헤드(4)에 의해 화상이 기록된 기록용지(12)를 배출하기 위한 용지 배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용지 배출부는 각각의 기록용지(12)를 이송 벨트(21)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분리부재(41)와, 배출된 기록용지(12)를 적재하기 위한 용지 배출 트레이(42)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잉크젯 기록장치의 제어부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5는 잉크젯 기록장치의 전체 제어부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상기 제어부는 프린터 컨트롤러(70)와, 주 주사 모터(7) 및 부 주사 모터(31)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드라이버(81)와, 기록 헤드(잉크젯 헤드)(4)를 구동하기 위한 헤드 드라이버(82)(헤드 구동 회로, 드라이버 IC 등으로 구성됨)를 포함한다.
프린터 컨트롤러(70)는 인터페이스(이하 'I/F'라 함)(72)와, 주 제어부(73)와, 램(RAM)(74)과, 롬(ROM)(75)과, 구동신호 발생회로(77)와, I/F(78)와, I/F(79)를 포함한다. 상기 I/F(72)는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정보 처리장치, 스캐너와 같은 화상 판독 장치,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화상 장치 등을 구비하는 호스트 측에서 전송된 인쇄 데이터를 케이블 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받는다. 상기 주 제어부(73)는, 본 발명에 의한 이송 벨트(21)의 전압패턴의 폭을 변화시키는 수단으로서 작용하도록, CPU, 롬(ROM), 램(RAM), I/F 등을 구비한다. 상기 램(74)은 다양한 데이터와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롬(75)은 다양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루틴 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상기 구동신호 발생회로(77)는 기록 헤드(4)에 공급되는 구동 파형(waveform)를 생성한다. 상기 I/F(78)는 인쇄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며, 인쇄 데이터는 헤드 드라이버(82)에 도트 패턴 데이터(dot pattern data)[비트 맵 데이터(bit map data)]와 구동 파형 데이터로 전개된다. 상기 I/F(79)는 모터 드라이버(81)에 모터 구동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그리고 대전 롤러(26)에 고전압(대전 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회로의 출력을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주 제어부(73)는 다양한 센서와 스위치로부터의 신호를 제공받는다. 즉, 상기 주 제어부(73)는 인코더(34)의 출력을 제공받으며, 상기 인코더(34)는 포토 센서(33)와, 도 2에 도시된 부 주사모터(31)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이송 롤러(27)의 축(27a)에 고정된 슬릿 플레이트(3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주 제어부(73)는 사용되는 기록용지의 종류를 지정하기 위하여 작동 패널(미도시)에 구비되는 용지 종류 지정수단(스위치 또는 메뉴 선택수단으로 구성됨)으로부터 신호를 제공받는다. 더욱이, 사용되는 기록용지의 종류를 지정하는 정보는 호스트 측의 프린터 드라이버에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주 제어부(73)는, 회전량, 즉 이송 롤러(27)의 이동량과 사용되는 기록용지의 지정된 형태에 기초하여 이송 벨트(21)의 전하를 제어하도록 고전압 회로(83)를 제어한다.
상기 램(74)은 다양한 버퍼와 작업 메모리로서 사용된다. 상기 롬(75)은 각종 제어 루틴, 폰트 데이터와 그래픽 함수, 각종 절차(procedure), 기록용지의 종류와 이송 벨트(21)에 형성된 대전 전압 패턴의 폭 사이의 관계 등의 고정된 정보(테이블 정보)와 같은 다양한 정보와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주 제어부(73)는 I/F(72)에 포함되는 수신 버퍼 내에 저장된 인쇄 데이터를 읽고 분석하며, 램(74)의 일정 영역에 얻어진 해석 결과(중간 코드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 후에, 상기 주 제어부(73)는 롬(75)에 저장된 폰트 데이터를 사용하여 저장된 해석 결과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트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고, 롬(74)의 다른 일정 영역에 상기 도트 패턴 데이터를 저장한다. 호스트 측의 프린터 드라이버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비트 맵 데이터로 전개하고 잉크젯 기록장치에 전송하는 경우에, 수신된 비트 맵의 화상 데이터가 램(74)에 저장된다.
기록 헤드(4)의 한 라인(line)에 대응하는 도트 패턴 데이터가 얻어진 경우에, 상기 주 제어부(73)는 한 라인의 도트 패턴 데이터를 시리얼(serial) 데이터로서 발진 회로로부터의 클럭 신호(CLK)와 함께 I/F(78)를 통하여 헤드 드라이버(82)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주 제어부(73)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헤드 드라이버(82)로 래치(latch)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구동 신호 발생회로(77)는 파형 생성 회로와 증폭기(amplifier)로 이루어지며, 구동 파형(구동 신호)의 패턴 데이터를 저장하는 롬[롬(75)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과, 상기 롬으로부터 읽은 구동 파형의 데이터를 디지털/아날로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D/A) 변환기를 포함한다.
헤드 드라이버(82)는 클럭 신호 및 주 제어부(73)로부터의 인쇄 데이터인 시리얼 데이터를 입력하는 시프트 레지스터(shift resister); 주 제어부(73)로부터의 래치 신호에 따라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의 레지스트 값을 래치(latch)하는 래치 회로; 상기 래치 회로의 출력값의 레벨(level)을 변경하는 레벨 변환 회로[레벨 시프터(level shifter)]; 및 상기 레벨 시프터에 의해 온/오프가 제어되는 아날로그 스위치 어레이; 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 드라이버(82)는, 아날로그 스위치 어레이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구동 파형에 포함된 필요 구동 파형을 기록 헤드(4)에 선택적으로 인가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잉크젯 기록장치에 있어서, 기록용지(12)는 서로 분리되어 급지부로부터 급지된다. 각각의 기록용지(12)는 이송 가이드(22)에 의해 안내되며, 이송 벨트(21), 각각의 카운터 롤러(23) 및 선단 가압 롤러(25) 사이에서 압박되어 급지된다.
각각의 기록용지(12)가 급지되는 동안에, 주 제어부는 플러스 출력과 마이너스 출력을 대전 롤러(26)에 인가하도록, 교번하는 전압이 대전 롤러(26)에 인가되도록 고전압 회로(고전압 공급원)(83)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 벨트(21)의 표면[표면층(절연층)(21a)]은 교번하는 극성(이하 '대전 전압 패턴'이라 함)을 갖는 띠 모양의 전압 패턴(91)으로 대전된다. 즉, 상기 이송 벨트(21)는 이송 벨트(21)의 회전 방향인 부 주사 방향으로 소정의 폭[이하 '대전폭(대전 피치)'이라 함]을 갖는 플러스와 마이너스가 교번하여 대전된다.
도 7A와 도 7B를 참조하여 이송 벨트(21)에 형성된 전하에 의한 기록용지의 흡착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전 전압 패턴(91)은 소정의 폭으로 같은 전위를 갖는 양과 음의 전하를 인가하는 대전 롤러(26)에 의하여 표면층(절연층)(21a)에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벨트(21)과 접촉하게 된다면, 이송 벨트(21)의 표면에 각각의 양 전하에서 인접하는 음전하로 향하는 자력선들(90)이 생성된다. 이러한 자력선들(92)의 영향으로 기록용지(12)가 이송 벨트(12)와 접촉하는 측과 반대되는 기록용지(12)의 측에 동일한 극성을 갖는 전하가 유도된다. 기록용지(12)가 이송 벨트(21)와 접촉하는 측의 자력선 밀도는 기록용지(12)가 이송 벨트(12)와 접촉하지 않는 측의 자력선 밀도보다 더 높다. 따라서, 기록용지(12)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 전하의 차이가 생기게 되고, 이송 벨트 방향으로 기록용지(12)에 힘[맥스웰 스트레스(Maxwell stress)]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기록용지(12)는 이송 벨트(21)에 의해 흡착되고, 기록용지(12)는 이송 벨트(21)의 회전 이동에 의해 부 주사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 경우에, 상기 이송 벨트(21)에 형성된 대전 전하 패턴(91)의 대전폭(L)은 다음과 같이 제어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벨트(21)의 이송량(이동량)은 이송 롤러(27)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인코더(34)의 출력에 기초하여 얻어진다(계산된다). 다음으로, 주 제어부(73)에 의하여 이송 롤러(27)를 제어하는 부 주사 모터(31)를 제어함으로써 이송 벨트(21)의 이동량을 제어한다. 동시에, 이송 벨트(21)를 대전하기 위해 대전 롤러(대전 장치)(26)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회로(고전압 공급원)(83)의 출력은 양의 전압(플러스)과 음의 전압(마이너스) 사이에서 바뀌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기록용지(12)는 플러스와 마이너스로 교번하여 대전된 이송 벨트에 의해 이송되고 기록 위치에서 멈추게 되며, 그 후에 한 행(line)의 기록 작업은 화상 신호에 따라 캐리지(3)를 이동하는 동안에 기록 헤드(4)를 작동시켜 기록용지(12) 측으로 잉크 방울을 토출함으로써 수행된다. 한 행(line)의 기록이 완료되면, 상기 이송 벨트(21)는 일정한 거리만큼 기록용지(12)를 이동하도록 구동되며, 이에 따라 다음 행(line)의 기록 작업이 수행된다. 기록 종료 신호 또는 기록용지의 후단이 기록영역에 도달했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기록 작업은 종료되며 기록용지(12)는 용지 배출 트레이(42)로 배출된다.
기록 헤드(4)의 토출 불량을 회복하기 위한 회복 장치는 캐리지(3)의 이동 방향 일측의 기록 영역을 벗어나는 곳에 위치한다. 대기 상태에서는, 캡핑 수단(capping means)으로 기록 헤드(4)를 덮어 기록 헤드(4)를 습윤 상태로 유지하고 건조된 잉크로 인한 토출 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캐리지(3)는 상기 회복장치 근처로 이동한다. 더욱이, 안정된 토출 특성 유지를 위해 모든 잉크가 점성을 유지하도록, 기록과 관련없는 잉크 방울이 기록 도중에 토출될 수도 있다.
또한, 잉크의 토출 불량이 발생할 때, 기록 헤드(4)의 노즐은 튜브를 통하여 흡입수단에 의해 잉크와 함께 공기 방울을 흡입하도록 밀봉된다. 이에 따라, 노즐 표면에 부착하는 잉크, 불순물 등이 청소 수단에 의해 제거되며, 토출 불량을 위한 작업이 수행된다.
도 8 이후를 참조하여, 잉크 기록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대전 전압 패턴의 제어에 대해 살펴본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 제어부(73)는 용지 종류 지정 수단(35) 또는 호스트 측의 프린터 드라이버로부터 주어지는 용지 종류 정보를 읽어들인다. 즉, 이송된 기록용지의 종류에 관한 정보는, 주 제어부(73)에 용지 종류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용지 종류 입력부로 기능하는 용지 종류 지정 수단(35)으로부터 입력되거나, 호스트 측의 프린터 드라이버와 같이 외부에서 제공된다. 또한, 상기 주 제어부(73)는, 롬(75)에 저장된 용지 종류와 대전폭 사이의 관계에 대한 테이블로부터 지정된 용지 종류에 대응하는 대전폭 정보를 읽어 들인다.
그 후에, 상기 주 제어부(73)는, 읽어들인 대전폭 정보와 인코더(34)에 의해 감지된 이송 롤러(27)의 회전량[이송 벨트(21)의 이동량]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대전 롤러(26)에 인가된 전압의 극성을 바꾸기 위하여 고전압 회로(83)에서 출력되는 온/오프와 플러스/마이너스 전환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이송 벨트(21)에 형성된 대전 전압 패턴(91)의 대전폭(L)은 이송된 기록용지(12)의 종류에 대응하는 피치와 같도록 제어된다.
상기 이송 벨트(21)에 의해 기록용지에 가해지는 흡착력은 이송 벨트(21)의 대전영역의 폭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즉, 이송 벨트 표면의 전하에 의해 영향받는 유전분극률은 운반된 물체의 표면저항에 따라 변하며, 이에 따라 이송 벨트에 의해 생성되는 정전 흡착력이 변한다. 따라서, 기록용지에 포함된 수분의 양 또는 기록용지 표면을 형성하는 물질의 변화로 인하여 기록용지의 표면 저항이 변한다면, 기록용지에 가해지는 흡착력은 플러스와 마이너스의 전하가 교번하는 이송 벨트에 따라 변하게 된다.
기록용지의 표면 저항은 기록용지의 형태 또는 종류에 따라 분류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이송 벨트는 기록용지의 형태 또는 종류에 따라 대전폭을 조절(변화)함으로써 기록용지에 따라 적절한 대전폭으로 대전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 벨트에 의해 안정된 흡착력을 얻을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높은 이송 품질과 고화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더욱이, 기록용지의 표면 저항은 환경조건(온도, 습도)의 변화로 인하여 변동되기 때문에, 감지된 환경조건에 기초하여 대전폭을 제어하도록 환경조건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온도센서, 습도 센서)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좀 더 적절한 흡착력을 얻을 수 있다.
이송된 기록용지가 통상의 용지인 경우에 대해 살펴본다. 일반적으로, 통상의 용지의 표면 저항은 대략 1×107Ω/□(Ω/square)이다. 통상의 용지를 사용하는 경우에, 이송 벨트(21)와 접촉하는 기록용지(12)의 표면에는 이송 벨트(21) 표면의 전하의 극성과 반대되는 극성의 전하가 유도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정전흡착방법에 있어서, 전술한 정전 흡착력(맥스웰 스트레스) 외에, 이송 벨트(21)의 전하와 기록용지(12)에 유도된 전하는 정전적으로 서로 끌어당기며, 이에 따라 기록용지(12)를 이송 벨트(21)로 흡착하는 힘이 발생한다. 이러한 흡착력은 맥스 M 스트레스보다 강한 유전 전하(dielectric charge)에 의해 발생한다.
유전 전하의 생성률은 기록용지의 표면저항에 따라 변한다. 표면 저항이 높다면(1×1010Ω/□(Ω/square)를 초과한다면), 유전 전하는 작으며 기록용지의 흡착은 전술한 맥스웰 스트레스에 의존한다.
더욱이, 유전전하에 따른 흡착력은 대전폭(L)이 4mm 이상이고 30mm 이하인 범위에서는 대전폭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에, 맥스웰 스트레스에 의한 흡착력은 플러스와 마이너스 전하들이 바뀌는 지점이 많아짐에 따라 즉 대전폭이 감소함에 따라 효율적이 된다.
따라서, 이송되는 물체의 표면저항이 1×1010Ω/□ 이하라면, 일반적으로, 대전폭을 4mm 이상 30mm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통상의 용지를 안정된 상태로 이송할 수 있다. 즉, 통상의 용지를 이송하는 경우에, 4mm 이상 30mm 이하로 대전폭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이송 벨트(21)과 접촉하는 기록용지의 접촉면에 상기 저항을 제어하기 위한 약제(solution)가 적용되지 않는다면, OHP와 같은 수지를 함유하는 기록용지(이하, 'OHP'라 함)의 표면 저항은 1×1010Ω/□을 초과한다. 따라서, OHP를 이송 벨트(21)에 흡착하는 경우에 흡착력은 1×107Ω/□의 표면저항을 갖는 통상의 용지를 사용하는 경우의 흡착력보다 더 작다.
표면 저항이 높다면, 이송 벨트(21) 표면의 플러스와 마이너스 전하가 바뀌는 모서리 부분에서 생성된 맥스웰 스트레스에 의한 흡착력은 유전 분극에 의한 정전 작용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즉, 플러스와 마이너스 전하들이 바뀌는 지점이 많아짐에 따라, 즉 대전폭이 감소함에 따라, 높은 표면저항을 갖는 이송된 물체에 대해 더 큰 흡착력이 생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송되는 물체의 표면저항이 1×1010Ω/□을 초과하는 경우에, 대전폭을 2mm 이상 8mm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안정된 이송을 수행할 수 있다. 즉, OHP를 이송하는 경우에, 대전폭은 2mm 이상 8mm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전폭이 2mm 보다 작다면 전하들이 상쇄되며(cancel) 후술하는 바와 같이 대전되지 않은 상태와 동일해지기 때문에, 대전폭의 하한은 2mm로 설정한다.
이송 벨트(21)의 대전 작업이 시작되는 타이밍과 이송 벨트(21)에 기록용지(12)를 급지하는 타이밍 사이의 관계에 대해 살펴본다. 전술한 잉크젯 기록장치에 있어서, 급지되는 기록용지(12)는 용지 급지 롤러(13)에 의해 기록용지의 더미로부터 분리되어 이송된다. 여기서, 기록용지를 연속적으로 인쇄하는 경우 또는 다량의 기록용지를 인쇄하는 경우에, 지지되는 기록용지(12) 중 하나의 선단이 이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선단이 이송 벨트(21) 근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화상 형성장치의 배치에 따라서는, 기록용지가 적재되는 위치와 기록용지가 이송 벨트(21)와 접촉하게 되는 위치 사이의 거리가 이송 벨트(21)의 대전 장치(대전 롤러)와 기록용지(12)가 이송 벨트(21)와 접촉하게 되는 위치 사이의 거리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기록용지의 선단을 향하는 이송 벨트 표면에 전하를 형성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기록용지(12)에 인쇄를 하기 위해서 기록용지(12)를 분리하여 급지하기 이전에, 급지 롤러(13)가 구동되지 않는 상태에서 이송 벨트(21)를 구동하고, 이송 벨트(21)를 대전하기 위해 고전압회로(83)의 출력이 대전 장치(대전 롤러)(26)에 인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록용지(12)를 분리하고 급지하기 위해 이송 벨트(21)에 원하는 대전폭으로 전하를 형성한 후에 급지 롤러(13)가 구동되고, 이송 벨트(21)에 기록용지(12)가 흡착된 상태로 기록 헤드(4) 바로 아래로 이송되며, 그 후에 인쇄가 시작된다.
이에 따라, 이송 벨트(21)가 기록용지(12)와 접촉하는 위치에서 대전되지 않은 영역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며, 기록용지의 안정된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기록용지(12)의 크기와 이송 벨트(21)의 전체 길이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송 벨트(21)가 일정한 속도로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동안에 대전된다면, 대전 롤러(26)에 인가되는 고전압회로(83)의 출력은 일정한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고전압 회로(83)의 설명은 간단해질 수 있다.
만약 전하가 이송 벨트(21)에 미리 형성되고 기록용지(12)가 미리 형성된 전하에 의해 이송된다면, 이송 벨트(21)의 전체길이가 기록용지(12)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에는, 기록용지(12)는 선단에서 이송 벨트(21)에 흡착되지만 후단에 있는 기록용지는 기록용지(12) 자체에 흡착된다.
이러한 경우에, 기록용지(12)가 일단 이송 벨트(21)로부터 분리된다면 이송 벨트(21)의 전하는 감소한다. 그러므로, 이송 벨트(21)의 전체 길이보다 더 긴 기록용지(12)가 이송되는 경우에는, 기록용지(12)의 후단과 가까운 부분에 가해지는 흡착력은 매우 작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송 벨트(21)가 정지한 상태에서 기록 헤드(4)에 의한 화상 형성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대전 롤러(26)에 의한 이송 벨트(21)의 대전작업 또한 정지하지만, 라인 급지(line feed)에 의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송 벨트(21)가 이동할 때 대전작업이 수행된다. 이에 의하여, 기록용지에 대한 이송 벨트의 전하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안정한 흡착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대전 작업이 라인 급지(line feed) 동안(이송 벨트가 소정 거리만큼 이동하는 동안)에 수행되는 경우에, 어떤 화상 형성장치에서는 라인 급지량이 복수로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픽셀 밀도가 노즐 피치보다 큰 화상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즉, 형성되는 화상의 픽셀 밀도에 대응하여 라인 급지량(line feed amounts)이 다수 존재한다.
반면에, 정전 흡착 이송방법의 용지 흡착력은 플러스와 마이너스의 대전 전압 패턴의 대전폭(대전 피치)에 따라 변하며, 또한 기록용지의 종류에 따라 변하며, 그리고 각각의 환경에 대해 최적의 대전폭이 존재한다.
따라서, 라인 급지 동안에 동일한 극성의 대전 전압이 인가된다면, 최적의 대전폭을 얻을 수 없다. 그러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벨트(21)의 이동량(라인 급지량)이 대전폭의 정수배가 아닌 경우와 대전폭이 한 라인의 급지량보다 작은 경우에는, 도 9(a)와 같이 이송 벨트가 구동되는[부 주사모터(31)을 구동하여 이동되는] 동안에 도 9(b)와 같이 고전압 회로(고전압 공급원)(83)의 출력은 플러스와 마이너스 사이에서 바뀐다.
그리고, 라인 급지가 소정의 대전폭에서 완전히 대전되지 않고 종료되는 경우에는, 대전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은 동일한 극성으로 이후의 라인 급지 동안에 대전된다. 도 9의 예에서는 대전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은 S1 부분에서 대전되며, S2 부분에서 대전되지 않은 부분은 라인 급지로 잔존하며, S2 부분에서 대전되지 않은 부분은 다음의 라인 급지로 S3 부분에서 대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한 폭으로 전하를 형성하는 동안에 라인 급지가 멈추는 경우라 할지라도, 소정의 대전폭을 갖는 소정의 전하는 라인 급지 동안에 전하의 극성을 바꿈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안정된 흡착력을 얻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안정된 이송 특성이 얻어진다.
더욱이, 라인 급지 동안[일정량 만큼 이송 벨트(21)를 이동하는 동안]에 이송 벨트(21)를 대전하도록 설정된 경우에, 화상을 형성하는 동안에 라인 급지를 위한 이송 벨트(21)의 이동량이 대전폭의 정수배가 되도록 대전폭이 설정될 수도 있다.
이때, 라인 급지의 양은 형성되는 화상의 픽셀 밀도와 노즐 피치와 기록 헤드(4)의 노즐 수에 의해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잉크젯 헤드를 사용하는 화상 형성장치에서, 복수 개의 픽셀 밀도를 선택할 수 있다. 화상 형성장치에 의해 제공된 라인 급지량(line feed amounts)의 최대 공약수의 1/n이 되도록 대전폭이 설정된다면, 대전폭에서 전하의 형성은 도 10에서와 같이 각각의 라인 급지 동안에 완료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도 9에서와 같이 매우 짧은 시간 동안 대전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진다.
즉, 도 9에 참조로서 설명된 예에서 극성을 바꾸는 것은 라인 급지 동안에 수행되므로, 라인 급지량이 대전폭의 정수배가 아니라면, 동일한 극성의 전하는 두 개의 라인 급지를 통하여 인가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전 전압이 극히 짧은 시간(S4로 지시된 부분) 동안 인가되는 것은 가능하지만 이때 대전된 전하량은 소정량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즉, 이와 같이 극히 짧은 시간 동안의 대전 작업에 의하는 경우, 고전압 회로(83)의 출력을 소정의 전압까지 올린다 하여도 대전 롤러(26)를 통해 이송 벨트(21)에 원하는 전위를 형성할 수 없다. 따라서, 전위가 소정 수준보다 낮을 수 있고, 대전 작업은 대전되는 부분의 전위가 충분히 올라가기 전에 종료될 수 있다.
반면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 급지량이 대전폭의 정수배가 되도록 대전폭을 설정한 경우에는, 동일한 극성의 전하가 두 개의 라인 급지를 통하여 인가되지 않으며, 한번에 소정의 대전폭으로 대전 영역이 대전된다. 따라서, 이송 벨트의 전하량은 원하는 양이 되고, 전위 레벨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장치인 잉크젯 기록장치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송 벨트(21)의 잔류 전하를 제거하기 위한 방전 브러시(discharge brush)와 같은 방전장치가 사용된다. 방전 장치(38)는 잉크젯 기록장치의 하우징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이송 벨트(21) 표면에 양과 음의 전하를 형성하면서 이송 벨트(21)를 이동시킬 때, 방전장치(38)는 기록용지 분리 후의 전하를 제거한다. 이에 따라, 이송 벨트(21)를 대전 롤러(26)로 대전시킬 때, 이송 벨트에 전하가 실려 있지 않은 상태가 되고, 대전이 안정되고 이송 벨트(21)의 내구성이 개선된다.
즉, 양과 음의 전하(대전 전압 패턴)가 이송 벨트(21)의 전체 표면에서 교번하여 형성된다면, 기록용지(12)의 분리가 수행될 때 이송 벨트(21)가 기록용지(12)와 접촉하는 영역에서 이송 벨트(21) 표면의 전위는 감소한다.
하지만, 기록용지(12)와 접촉하지 않는 이송 벨트(21)의 일부 영역의 표면에 전하가 잔류하는데 이는 접촉 영역이 인접한 기록용지(12)들 사이에 있기 때문이다. 잔류 전하의 극성과 반대인 극성을 갖는 전하가 접촉 영역에 형성되면, 전위차는 가해지는 전압의 두 배만큼이 된다.
일반적으로, 이송 벨트의 표면에서 전하 공격(attach of the charge)에 따라 절연층이 소량 파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상적으로 가해지는 전압의 두 배의 전위차로 대전되면, 전하 공격의 양은 증가하며, 이송 벨트의 내구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방전장치(38)를 제공하여 대전 작용이 수행되는 때에 이송 벨트(21)에 전하가 생기지 않는 상태가 되도록 하면, 정상적으로 가해진 전압의 약 두 배의 전위차를 갖는 전하를 가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송 벨트(21)의 내구성을 개선하게 된다.
더욱이, 기록용지(12)를 이송할 때, 후술하는 것과 같이, 기록용지(12)의 특정 부분에 해당하는 이송 벨트의 일부에 전하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방전장치를 갖는 방전 기구를 사용하여 이송 벨트의 특정 부분에만 전하가 형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잉크젯 기록장치에서 (1×1010Ω/□를 초과하는) 높은 표면 저항을 갖는 고저항 물체인 기록용지를 이송할 때의 대전된 영역의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이송되는 기록용지의 선단(LE)이 검출되며, (50mm 이하의) 선단에 해당하는 부분과 (100mm 이하의) 후단(TE)에 해당하는 부분에만 전하가 가해져 이들 사이에 대전되지 않은 영역(93)을 형성한다.
이 장치에 의해, 이송 벨트의 전하를 제거하는 방전장치(38)가 제공되므로, 이송 벨트(21)의 대전되지 않은 영역(93)에는 전하가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고저항 물체인 기록용지(12)가 이송 벨트(21)에 의해 이송될 때, 기록용지의 선단(LE)과 후단(TE)은 정전력에 의해 이송 벨트(21)에 부착된다. 많은 경우, 이송될 고저항 물체인 기록용지(12)는 수지를 함유하며, 잉크에 의한 화상 형성에 의해 기록용지(12)의 균형이 깨지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기록용지(12)를 정전력에 의해 이송 벨트(21)에 부착할 필요가 줄어든다. 기록용지의 위치가 잘 유지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화상을 형성할 필요가 있으므로, 선단(LE)을 정전기력에 의해 이송 벨트(21)에 부착한다. 전술한 이유 외에도, 화상 기록 후에 기록용지를 배지 트레이(42)로 확실히 배출해야 하므로, 후단은 정전력에 의해 이송 벨트(21)에 부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될 고저항 물체인 기록용지를 이송할 때, 선단 및 후단(LE, TE) 만이 정전기력에 의해 이송 벨트에 흡착된다. 따라서 기록용지가 이송 벨트로부터 분리되는 때에도, 해제 방전(release discharge)에 따른 전하가 기록용지의 선두 및 후단의 표면에서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해제 방전에 기인한 대전 영역이 좁기 때문에, 선두 및 후단에 전하가 있는 기록용지를 이전에 장치에서 배출된 고저항 물체와의 정전기적 흡착 없이 적층할 수 있다.
즉, 높은 표면 저항(1×1010Ω/□)을 갖는 기록용지가 정전력에 의해 이송 벨트에 부착되어 이송되는 경우, 기록용지의 표면 전하는 쉽게 이동하지 않으므로 기록용지가 이송 벨트로부터 분리될 때 기록용지의 표면의 전하와 이송 벨트의 전하 사이에 해제 방전이 발생한다. 그러한 해제 방전이 발생하면 이송 벨트(21)와 접촉해온 기록용지의 해당 부분은 대전된다. 그 결과, 기록용지가 분리되어 배지 트레이에 배출되면, 배출된 기록용지는 이전에 배지 트레이에 배출되어 보관된 기록용지에 정전력에 의해 부착되며, 이는 배지 트레이에 보관된 기록용지의 배출을 초래하거나 이송되고 있는 기록용지에 이송 저항을 일으키는 등 악영향을 준다.
이어, 고저항 물체인 기록용지가 이송될 때, 선단과 후단에 해당하는 이송 벨트의 부분은 기록용지의 선단(LE)과 후단(TE) 만이 이송 벨트에 부착되도록 대전된다. 즉, 해제 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대전 영역을 이송에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수준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선단과 후단 이외의 부분은 대전시키지 않는다. 그에 따라, 배출된 기록용지와 이전에 배지 트레이에 배출된 기록용지 사이의 정전적인 흡인을 방지하여, 적층 능력 및 이송 특성을 개선한다.
또한, 이송 벨트에 형성된 대전 전압 패턴의 대전 폭을 2mm 이하로 설정하여, 이송 벨트가 대전되지 않는 조건을 정할 수 있다. 이송 벨트에 형성된 전하를 반대 극성의 다음 전하에 의해 제거할 수 있지만, 이 전하는 잔류 전하를 갖는 이송 벨트를 방전시키도록 작용할 수 있다.
고저항 물체를 이송할 때,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전하 제어를 실시하지만, 방전 장치의 효력에 따라 대전되지 않은 영역(93)에 일정한 수준의 잔류 전하가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약 2mm 이하의 피치를 갖는 고주파 전압이 이송 벨트에 가해지면, 이송 벨트가 방전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강제로 방전되어 대전되지 않은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1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전하 제어 동작에 있어서, 기록용지(12)의 선단(LE)에 해당하는 이송 벨트(21)의 대전된 영역은 정상적인 대전 폭으로 대전되고, 대전되지 않은 영역을 대전하는 시간 설정에 따라 고주파수 전압이 가해지며, 후단(TE)에 해당하는 이송 벨트(21)의 대전된 영역이 정상적인 대전 폭으로 대전된다. 따라서 기록용지의 선단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전하를 제어하면, 대전 전압 패턴(92)을 기록용지의 원하는 부분에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캐리지가 주사되는 시리얼(serial) 형태(셔틀 형태)의 잉크젯 기록장치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라인 형태(line type)의 헤드를 구비하는 라인 형태의 잉크젯 기록장치에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장치는 잉크젯 프린터 이외에도 팩시밀리 장치, 복사장치 및 프린터/팩스/복사기의 복합기에 적용 가능하다. 더욱이, 본 발명은 잉크 이외의 액체, 예를 들면 레지스트(resist) 또는 의료분야의 DNA 시료를 토출시키는 화상 형성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터, 팩시밀리 장치, 복사장치 및 프린터/팩스/복사기의 복합기 등 용지를 이송하는 장치와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Claims (20)

  1. 이음매 없는(endless) 이송 벨트 표면에 전하를 인가하고 상기 이송 벨트에 용지를 흡착시켜 이송하는 용지 이송장치에 있어서,
    띠 모양의 교번하는 전압 패턴(belt-like alternate voltage pattern)으로 상기 이송 벨트의 표면을 대전하는 대전수단; 및
    상기 용지의 이송 방향으로 교번하는 전압 패턴의 대전폭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용지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지의 종류에 따라 상기 대전폭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이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상기 용지 종류의 정보를 입력하는 용지 종류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이송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종류의 정보는 외부에서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이송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지가 수지(resin)를 포함하고 있을 때의 대전폭이 용지가 수지(resin)를 포함하고 있지 않을 때의 대전폭보다 작도록 대전폭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이송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지의 표면 저항이 1×1010Ω/□(Ω/square) 이하일 때의 대전폭이 4mm 이상 30mm 이하가 되도록, 그리고 상기 용지의 표면 저항이 1×1010Ω/□를 초과할 때의 대전폭이 2mm 이상 8mm 이하가 되도록 상기 대전폭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이송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벨트는 표면층으로서의 절연층과, 후면층으로서의 중간 저항층(medium resistance layer)로 이루어지는 2층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이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의 표면저항은 1×1010Ω/□ 이상이고, 상기 중간 저항층의 표면저항은 1×108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이송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의 두께는 60㎛ 이하이고, 상기 후면층의 두께는 4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이송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벨트와 맞물리는 롤러의 체적저항은 1×1010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이송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벨트 표면의 전하를 제거 또는 감소시키는 방전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방전수단은 상기 이송 벨트의 표면층 측에 위치하고 상기 용지와 이송 벨트가 접촉하는 영역 이외의 장소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이송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지의 표면저항이 1×1012Ω/□(Ω/square) 이상일 때의 상기 용지의 선단부(leading edge portion)와 후단부(trailing edge portion)가 상기 이송 벨트에 흡착되도록 상기 이송 벨트의 대전 영역을 제어하며,
    이때 상기 선단부는 상기 용지의 선단으로부터 50mm 이하의 범위를 갖고 상기 후단부는 후단으로부터 100mm 이하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이송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대전폭이 상기 용지의 선단으로부터의 거리에 대응하여 변화되도록 전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이송장치.
  14. 이음매 없는(endless) 이송 벨트 표면에 전하를 인가하고 상기 이송 벨트에 용지를 흡착시켜 용지를 이송하는 용지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장치에 있어서,
    띠 모양의 교번하는 전압 패턴(belt-like alternate voltage pattern)으로 상기 이송 벨트의 표면을 대전하는 대전수단; 및
    상기 용지의 이송 방향으로 교번하는 전압 패턴의 대전폭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벨트는 상기 용지가 이송 벨트에 의해 이송되기 전에 대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벨트에 대전하는 작업은 상기 용지에 화상이 형성되는 동안 중지되며,
    상기 이송 벨트에 대전하는 작업은 상기 용지를 일정 거리만큼 이송할 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패턴에서 각각의 전하의 극성은 상기 용지가 일정 거리만큼 이송될 때 상기 이송 벨트의 이송량에 대응하여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패턴의 대전폭은 상기 용지가 일정 거리만큼 이송될 때의 이송 벨트 이송량의 정수 배(整數 倍,integral multip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
  19. 이음매 없는(endless) 이송 벨트 표면에 전하를 인가하고 상기 이송 벨트에 용지를 흡착시켜 이송하는 용지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장치에 있어서,
    띠 모양의 교번하는 전압 패턴(belt-like alternate voltage pattern)으로 상기 이송 벨트의 표면을 대전하는 대전수단;
    상기 용지의 종류와 상기 이송 벨트에 형성된 교번하는 전압 패턴의 대전폭 사이의 관계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관계에 기초하는 용지 종류에 따라 상기 용지의 이송 방향으로 교번하는 전압 패턴의 대전폭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장치.
  20. 이음매 없는(endless) 이송 벨트 표면에 전하를 인가하고 상기 이송 벨트에 용지를 흡착시켜 이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띠 모양의 교번하는 전압 패턴(belt-like alternate voltage pattern)으로 상기 이송 벨트의 표면을 대전하는 단계; 및
    상기 용지의 종류와 상기 이송 벨트에 형성된 교번하는 전압 패턴의 대전폭 사이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용지의 종류에 따라 상기 용지의 이송 방향으로 교번하는 전압패턴의 대전폭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용지 이송방법.
KR1020057013963A 2003-01-28 2004-01-23 용지 이송장치, 화상 형성장치 및 용지 이송방법 KR1006379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18644 2003-01-28
JP2003018644A JP4563650B2 (ja) 2003-01-28 2003-01-28 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4893A true KR20050094893A (ko) 2005-09-28
KR100637912B1 KR100637912B1 (ko) 2006-10-24

Family

ID=32820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3963A KR100637912B1 (ko) 2003-01-28 2004-01-23 용지 이송장치, 화상 형성장치 및 용지 이송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591458B2 (ko)
EP (1) EP1587751B1 (ko)
JP (1) JP4563650B2 (ko)
KR (1) KR100637912B1 (ko)
CN (1) CN100509593C (ko)
DE (1) DE602004028903D1 (ko)
WO (1) WO20040674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1747B2 (ja) * 2005-02-24 2011-06-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551289B2 (ja) * 2005-07-19 2010-09-2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201033B2 (ja) * 2006-07-31 2008-12-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20080011926A (ko) * 2006-08-01 2008-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4730963B2 (ja) 2006-09-13 2011-07-2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724099B2 (ja) * 2006-11-29 2011-07-13 株式会社リコー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648297B2 (ja) * 2006-12-22 2011-03-09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
JP2008297091A (ja) * 2007-06-01 2008-12-1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4866298B2 (ja) * 2007-06-07 2012-02-01 株式会社リコー 用紙搬送装置
JP4913711B2 (ja) * 2007-11-28 2012-04-1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780217B2 (ja) * 2009-03-30 2011-09-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記録装置
JP5429621B2 (ja) 2009-09-03 2014-02-26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材給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627225B2 (ja) 2009-12-16 2014-11-19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8534524B2 (en) * 2010-10-08 2013-09-17 Gtech Corporation Perforated ticket dispensing machine
JP5694752B2 (ja) 2010-12-15 2015-04-01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5842546B2 (ja) * 2011-11-04 2016-01-13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CN107031211A (zh) * 2016-02-03 2017-08-11 深圳市博思得科技发展有限公司 打印机自动续纸方法、装置、及其适用的打印机
JP6479706B2 (ja) 2016-04-11 2019-03-06 株式会社PSM International 長尺シート材の厚み計測方法および厚み計測システム
US10915043B2 (en) * 2018-09-04 2021-02-09 Fuji Xerox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21149002A (ja) * 2020-03-19 2021-09-27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0646A (en) * 1970-07-08 1972-09-12 Addressograph Multigraph Electrostatic conveyor
JPS54140372A (en) * 1978-04-21 1979-10-31 Taihei Chem Electrostatic holding conveyor belt and electrostatic holding shifter that use said belt
JPH01294427A (ja) 1988-05-18 1989-11-28 Fp Corp 柄模様等の表示部分を有する合成樹脂製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2160390A (ja) 1988-12-12 1990-06-20 Nippondenso Co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を用いた接続構造
JP2897960B2 (ja) * 1989-05-12 1999-05-31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部材等の吸着装置、シート部材等の吸着方法、画像記録装置及び原稿取り扱い装置
US5121170A (en) * 1989-05-12 1992-06-09 Ricoh Company, Ltd. Device for transporting sheet members using an alternating voltage
JP2812533B2 (ja) 1990-04-25 1998-10-22 株式会社リコー 感光体ベルトによるシート搬送装置
JPH0451171A (ja) * 1990-06-19 1992-02-19 Ricoh Co Ltd 転写シート搬送装置
JP2871026B2 (ja) * 1990-07-23 1999-03-17 株式会社リコー 多段給紙搬送装置
JP3224528B2 (ja) 1990-08-31 2001-10-29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159727B2 (ja) 1990-10-11 2001-04-23 株式会社リコー 給紙装置
JPH0753081A (ja) * 1993-08-06 1995-02-28 Canon Aptecs Kk 印刷装置
DE19643106A1 (de) 1995-10-28 1997-04-30 Heidelberger Druckmasch Ag Einrichtung zum Fördern von Bogen in einer drucktechnischen Maschine
JPH1059573A (ja) * 1996-08-14 1998-03-03 Oki Electric Ind Co Ltd 媒体搬送装置
JP2001039569A (ja) * 1999-07-30 2001-02-13 Canon Inc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JP3804928B2 (ja) 2001-03-09 2006-08-02 株式会社リコー 液体噴射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7912B1 (ko) 2006-10-24
JP4563650B2 (ja) 2010-10-13
EP1587751A4 (en) 2007-08-08
CN1741946A (zh) 2006-03-01
EP1587751A1 (en) 2005-10-26
CN100509593C (zh) 2009-07-08
EP1587751B1 (en) 2010-09-01
WO2004067424A1 (en) 2004-08-12
DE602004028903D1 (de) 2010-10-14
JP2004262557A (ja) 2004-09-24
US7591458B2 (en) 2009-09-22
US20060033968A1 (en) 200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7912B1 (ko) 용지 이송장치, 화상 형성장치 및 용지 이송방법
KR100888763B1 (ko) 화상 형성 장치
KR100878426B1 (ko) 화상 형성 장치
JP4204508B2 (ja) 画像形成装置
JP4919601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973836B1 (ko) 화상 형성 장치
KR20060023135A (ko) 화상 형성 장치
JP456688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4351837A (ja) 画像形成装置
JP4688187B2 (ja) 画像形成装置
JP4460374B2 (ja) 静電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27642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062238A (ja) 画像形成装置
JP4439015B2 (ja) 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23769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10608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218667A (ja) 画像形成方法、画像形成装置及びプリンタドライバ
JP4076085B2 (ja) 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249579A (ja) 画像形成装置
JP2010189195A (ja) 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22439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145674A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303036A (ja) 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244198A (ja) 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8282874A (ja) 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