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0078A - 유압 작업기 - Google Patents

유압 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0078A
KR20050090078A KR1020057013058A KR20057013058A KR20050090078A KR 20050090078 A KR20050090078 A KR 20050090078A KR 1020057013058 A KR1020057013058 A KR 1020057013058A KR 20057013058 A KR20057013058 A KR 20057013058A KR 20050090078 A KR20050090078 A KR 20050090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pressure
hydraulic
valve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3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4158B1 (ko
Inventor
도시히로 아베
유스케 가지타
가즈노리 나카무라
고지 이시카와
히데오 가라사와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90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0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4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41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02Systems essentially incorporating 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actuating force of an output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02Systems essentially incorporating 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actuating force of an output member
    • F15B11/024Systems essentially incorporating 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actuating force of an output member by means of differential connection of the servomotor lines, e.g. regenerative circ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03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attitude of actuators, e.g. speed, floating fun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17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with energy recovery arrangements, e.g. using accumulators, fly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21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 E02F9/2232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using one or more variable displacement pumps
    • E02F9/2235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using one or more variable displacement pumps including an electronic controll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21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 E02F9/2239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using two or more pumps with cross-assis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85Pilot-operated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96Systems with a variable displacement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05Systems with pumps
    • F15B2211/2053Type of pump
    • F15B2211/20546Type of pump variable capa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05Systems with pumps
    • F15B2211/20576Systems with pumps with multiple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30Directional control
    • F15B2211/305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valves
    • F15B2211/3052Shuttl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30Directional control
    • F15B2211/31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s of the valve element
    • F15B2211/3105Neutral or centre positions
    • F15B2211/3116Neutral or centre positions the pump port being open in the centre position, e.g. so-called open cent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30Directional control
    • F15B2211/31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s of the valve element
    • F15B2211/3122Special positions other than the pump port being connected to working ports or the working ports being connected to the return line
    • F15B2211/3133Regenerative position connecting the working ports or connecting the working ports to the pump, e.g. for high-speed approach str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30Directional control
    • F15B2211/315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s of the valve or valves in the circuit
    • F15B2211/3157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s of the valve or valves in the circuit being connected to a pressure source, an output member and a return line
    • F15B2211/31576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s of the valve or valves in the circuit being connected to a pressure source, an output member and a return line having a single pressure source and a single output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30Directional control
    • F15B2211/315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s of the valve or valves in the circuit
    • F15B2211/3157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s of the valve or valves in the circuit being connected to a pressure source, an output member and a return line
    • F15B2211/31582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s of the valve or valves in the circuit being connected to a pressure source, an output member and a return line having multiple pressure sources and a single output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30Directional control
    • F15B2211/32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ion
    • F15B2211/329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ion actuated by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60Circuit component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63Electronic controllers
    • F15B2211/6303Electronic controllers using input signals
    • F15B2211/6306Electronic controllers using input signals representing a pressure
    • F15B2211/6313Electronic controllers using input signals representing a pressure the pressure being a loa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60Circuit component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63Electronic controllers
    • F15B2211/6303Electronic controllers using input signals
    • F15B2211/6306Electronic controllers using input signals representing a pressure
    • F15B2211/6316Electronic controllers using input signals representing a pressure the pressure being a pilot 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붐(boom), 암(arm) 및 버킷(bucket) 등의 작업 요소를 복동식 유압 실린더로 구동하는 유압 쇼벨 등의 유압 작업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압 실린더의 보텀(bottom)실 및 로드(rod)실에 압유를 공급하는 유압 회로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주 펌프(21)와, 주 펌프(21)로부터의 압유에 의해 신축되는 붐 실린더(11)와, 주 펌프(21)로부터 붐 실린더(11)의 보텀실(11a) 및 로드실(11b)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방향 제어 밸브(22)와, 방향 제어 밸브(22)의 절환 조작을 행하는 조작 장치(23)와, 파일럿 펌프(24)와, 파일럿 펌프(24)로부터 토출(吐出)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잭업(jack-up) 절환 밸브(25)와, 방향 제어 밸브(22)의 상류 측에서 방향 제어 밸브(22)의 미터인 포트(meter-in port)에 접속되어, 잭업 절환 밸브(25)에 의해 절환 조작되는 유량 제어 밸브(26)와, 방향 제어 밸브(22)의 하류 측에서 방향 제어 밸브(22)의 센터 바이패스 포트(center bypass port)에 접속되어, 잭업 절환 밸브(25)에 의해 절환 조작되는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로 유압 작업기의 유압 회로를 구성하고, 붐 실린더(11)의 보텀압에 따라서 잭업 절환 밸브(25)를 절환한다.

Description

유압 작업기 {HYDRAULIC WORKING MACHINE}
본 발명은 붐(boom), 암(arm) 및 버킷(bucket) 등의 작업 요소를 복동식 유압 실린더로 구동하는 유압 쇼벨 등의 유압 작업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압 실린더의 보텀(bottom)실 및 로드(rod)실에 압유를 공급하는 유압 회로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유압 쇼벨의 주행 상태를 검출하는 주행 상태 검출 수단과, 상기 주행 상태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붐 하강(붐용 유압 실린더가 축소되는 방향)용의 파일럿 신호(pilot signal)를 전달하는 파일럿 관로를 차단하는 위치 또는 연통하는 위치로 절환되는 절환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 상태 검출 수단이 주행 상태를 검출했을 때에 상기 파일럿 관로를 연통하는 위치로 상기 절환 밸브를 절환함으로써, 주행 동작과 붐 하강 동작의 복합 동작을 행할 때 붐용 유압 실린더의 로드실에 주 펌프로부터의 압유를 공급하도록 하고, 붐에 의해 차체를 잭업(jack up)할 수 있는 유압 작업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1: 일본국 특개평6-2344호 공보(도 1) 참조).
또, 붐 하강 조작 시에 붐 실린더의 보텀실로부터 되돌아오는 오일을 붐 실린더의 로드실에 재생시켜, 주 펌프의 소비 마력의 저감을 도모하면서 붐 실린더에 작용하는 외력의 변화 등에 따른 붐 동작 속도의 변동을 방지할 수 있는 유압 작업기도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2: 일본국 특개평5(1993)-302604호 공보(도 1) 참조).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유압 작업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와 관계되는 유압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3은 조작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예와 관계되는 유압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5는 제3 실시예와 관계되는 유압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6은 제4 실시예와 관계되는 유압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7은 제5 실시예와 관계되는 유압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8은 제6 실시예와 관계되는 유압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9는 제6 실시예와 관계되는 유압 회로의 주요부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0은 제7 실시예와 관계되는 유압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11은 제8 실시예와 관계되는 유압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12는 제9 실시예와 관계되는 유압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13은 제10 실시예와 관계되는 유압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14는 제10 실시예의 유압 회로에 구비되는 셔틀 밸브 군의 구성도이다.
상기 종래 기술 중,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은, 주행 동작과 붐 하강 동작의 복합 동작 시에만, 붐 실린더의 로드실에 주 펌프로부터의 압유가 공급되기 때문에, 단순한 붐 하강 조작 도중에 붐을 누르는 힘이 작용했을 때, 붐 실린더의 로드실이 진공 상태가 되어 공극(空隙)을 생성시켜 붐 조작의 작동을 지연시키는 일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기술은, 붐 하강 조작 시에는 주 펌프로부터의 압유를 항상 붐 실린더의 로드실에 공급하는 구성이므로, 차체를 잭업시키기 위한 누르는 힘을 필요로 하지 않는 단순한 붐 하강 동작에 있어서는, 주 펌프로부터의 압유를 붐 실린더의 로드실에 공급하지 않고, 보텀실로부터의 복귀하는 오일 만을 로드실에 재생시키는 경우보다 오히려 펌프 소비 마력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또, 붐을 낙하시키면서 다른 작업 요소를 구동할 때에, 주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가 붐 실린더의 로드실에 공급되므로, 상대적으로 다른 작업 요소를 구동하기 위한 액츄에이터(actuator)로 공급되는 압유의 공급량이 감소하므로,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도 있다. 그리고, 잭업은 예를 들면 늪지로부터 탈출하는 경우나, 급경사를 내려갈 때에 붐으로 차체를 지지하면서 주행하는 경우에 행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미비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 시에 있어서의 주 펌프의 소비 마력의 저감과 에너지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차체의 잭업력 등의 누르는 힘을 크게 발생시킬 수 있는 유압 작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 번째로, 주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에 의해 신축되어 작업 요소를 구동하는 복동식 유압 실린더와 상기 주 펌프로부터 상기 유압 실린더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방향 제어 밸브와, 상기 방향 제어 밸브의 절환 조작을 행하는 조작 장치를 구비한 유압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유압 실린더로 공급되는 공급압이 소정의 압력에 이르렀을 때 유로(流路)가 절환되는 잭업 절환 밸브와, 상기 절환 밸브의 절환 조작에 수반해서 상기 주 펌프로부터 상기 방향 제어 밸브의 미터인(meter-in)에 공급되는 압유의 유로를 개로(開路) 측 또는 폐로(閉路) 측으로 변경하는 유로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 시에 상기 유압 실린더의 유지압력이 상기 소정압력 이상일 때에는, 상기 잭업 절환 밸브가 제1 절환 위치로 절환되어서 상기 유로 변경 수단을 폐로 측으로 절환하여 상기 주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상기 유압 실린더의 비유지압 공급 측에 공급하지 않고, 상기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 시에 상기 유압 실린더의 유지압이 상기 소정압 미만일 때에는, 상기 잭업 절환 밸브가 제2 절환 위치로 절환되어서 상기 유로 변경 수단을 개로 측으로 절환하여 상기 주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상기 방향 제어 밸브를 통하여 상기 유압 실린더의 유지압 측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두 번째로, 주 펌프와, 작업 요소와, 상기 주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에 의해 신축되어 상기 작업 요소를 구동하는 복동식 유압 실린더와, 상기 주 펌프로부터 상기 유압 실린더의 보텀실 및 로드실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방향 제어 밸브와, 상기 방향 제어 밸브의 절환 조작을 행하는 조작 장치를 구비한 유압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유압 실린더의 보텀압이 소정압에 이르렀을 때에 절환되는 잭업 절환 밸브와, 상기 잭업 절환 밸브의 절환 조작에 따라 상기 주 펌프로부터 상기 방향 제어 밸브의 미터인에 공급되는 압유의 유로를 개로 측 또는 폐로 측으로 변경하는 유로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 시에 상기 유압 실린더의 보텀압이 상기 소정압 이상일 때에, 상기 잭업 절환 밸브를 제1 절환 위치로 절환함으로써 상기 유로 변경 수단을 폐로 측으로 절환하여 상기 주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상기 유압 실린더의 로드실에 공급하지 않고, 상기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 시에 상기 유압 실린더의 보텀압이 상기 소정압 이하일 때에는, 상기 잭업 절환 밸브를 제2 절환 위치로 절환함으로써 상기 유로 변경 수단을 개로 측으로 절환하여 상기 주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상기 방향 제어 밸브를 통하여 상기 유압 실린더의 로드실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했다.
예를 들면 유압 쇼벨에 설치되는 붐용 유압 실린더는, 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작업 요소로서의 붐이나 암 등의 중량을 받아 보텀실 측이 고압이 된다. 이에 비해, 작업 요소에 누르는 힘이 작용했을 때, 붐용 유압 실린더에 인장력이 작용하고, 유압 실린더의 보텀실 측이 저압이 된다. 따라서, 이 보텀압의 변화를 감시하고,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 시에 해당 작업 요소를 구동하는 유압 실린더의 보텀압이 소정압 이상일 때에, 잭업 절환 밸브를 제1 절환 위치로 절환함으로써 유로 변경 수단을 폐로 측으로 절환하여 주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유압 실린더의 로드실에 공급하지 않게 하면, 차체를 잭업시키기 위한 누르는 힘을 필요로 하지 않는 단순한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 시에 있어서의 펌프 소비 마력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하나의 작업 요소를 낙하시키면서 다른 작업 요소를 복합 동작 시킬 때는, 주 펌프로부터 다른 작업 요소를 구동하기 위한 액츄에이터에 공급되는 압유를 상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유압 작업기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 시에 유압 실린더의 보텀압이 소정압 이하일 때에, 잭업 절환 밸브를 제2 절환 위치로 절환함으로써 유로 변경 수단을 개로 측으로 절환하여 주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방향 제어 밸브를 통하여 유압 실린더의 로드실에 공급하면, 작업 요소에 누르는 힘을 크게 발생시킬 수가 있으므로, 차체를 잭업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세 번째로, 제1 및 제2 주 펌프와, 상기 제1 주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에 의해 구동되는 제1 주행 장치와, 상기 제2 주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에 의해 구동되는 제2 주행 장치와, 상기 제1 주 펌프로부터 상기 제1 주행 장치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 방향 제어 밸브와, 상기 제2 주 펌프로부터 상기 제2 주행 장치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2 방향 제어 밸브와, 작업 요소와, 상기 제 1 및 제2 주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에 의해 신축되어, 상기 작업 요소를 구동하는 복동식 유압 실린더와, 상기 제1 주 펌프로부터 상기 유압 실린더의 보텀실 및 로드실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3 방향 제어 밸브와, 상기 제2 주 펌프로부터 상기 유압 실린더의 보텀실 및 로드실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4 방향 제어 밸브와, 상기 제1 및 제2 방향 제어 밸브를 절환 조작하는 제1 조작 장치와, 상기 제3 및 제4 방향 제어 밸브를 절환 조작하는 제2 조작 장치를 구비한 유압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유압 실린더의 보텀압이 소정압에 이르렀을 때에 절환되는 잭업 절환 밸브와, 해당 잭업 절환 밸브의 절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제1 주 펌프로부터 상기 제3 방향 제어 밸브의 메타인에 공급되는 압유의 유로를 개로 측 또는 폐로 측으로 변경하는 유로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 시에 상기 유압 실린더의 보텀압이 상기 소정압 이상일 때세, 상기 잭업 절환 밸브를 제1 절환 위치로 절환함으로써 상기 유로 변경 수단을 폐로 측으로 절환하여 상기 제1 및 제2 주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상기 유압 실린더의 로드실에 공급하지 않고, 상기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 시에 상기 유압 실린더의 보텀압이 상기 소정압 이하일 때에는, 상기 잭업 절환 밸브를 제2 절환 위치로 절환함으로써 상기 유로 변경 수단을 개로 측으로 절환하여 상기 제1 및 제2 주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상기 제3 및 제4 방향 제어 밸브를 통하여 상기 유압 실린더의 로드실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했다.
본 구성에 있어서도, 상기 제2 과제 해결 수단과 동일하게 작용하여, 단순한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 시에 있어서의 펌프 소비 마력의 저감과 유압 작업기의 에너지 효율의 향상이 도모되고, 또한 작업 요소에 누르는 힘을 크게 발생시킬 수 있다. 또, 주행용의 유압 회로를 구비하였으므로, 주행 동작과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의 복합 동작을 행함으로써, 차체를 잭업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네 번째로, 상기 제1 또는 제2 구성의 유압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유압 실린더의 보텀실로부터 배출되는 미터 아웃 오일(meter-out oil)의 일부를 상기 유압 실린더의 로드실에 공급되는 미터인 오일(meter-in oil)로 재생하는 재생 회로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했다.
이와 같이, 재생 회로를 구비하면, 단순한 작업 요소의 하강 조작의 도중에서 작업 요소에 누르는 힘이 작용했을 때도, 유압 실린더의 로드실에 보텀실로부터의 재생유가 공급되므로, 유압 실린더의 로드실이 진공 상태가 되어 공극을 일으키지 않고, 작업 요소를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각 구성의 유압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잭업 절환 밸브로서 유압 파일럿식 절환 밸브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이와 같이, 잭업 절환 밸브로서 유압 파일럿식 절환 밸브를 구비하면, 잭업 절환 밸브의 신호 포트와 유압 실린더의 보텀실을 유도로 연결하기만 하면 되고,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단순한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 시에 있어서의 펌프 소비 마력의 저감과 에너지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어서, 차체의 잭업도 가능한 유압 작업기를 저가로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섯 번째로, 주 펌프인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와, 상기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가 밀어내는 만큼의 용적을 제어하는 경전(傾轉) 제어 수단과, 적어도 하나의 작업 요소와, 상기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에 의해 신축되어 상기 작업 요소를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와, 상기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로부터 상기 유압 실린더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방향 제어 밸브와, 상기 방향 제어 밸브의 이동량을 제어하는 파일럿 조작 장치와, 상기 파일럿 조작 장치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경전 제어 수단에 경전 제어 신호에 따른 경전 지시 수단을 구비한 유압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유지압이 소정압에 이르렀을 때에, 절환되는 잭업 절환 밸브와, 상기 잭업 절환 밸브의 절환 조작에 때라 상기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로부터 상기 방향 제어 밸브의 미터인에 공급되는 압유의 유로를 개로 측 또는 폐로 측으로 변경하는 유로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 시에 상기 액츄에이터의 유지압이 상기 소정압 이상일 때에는, 상기 잭업 절환 밸브를 제1 절환 위치로 절환함으로써 상기 유로 변경 수단을 폐로 측으로 절환하여, 상기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로부터 상기 액츄에이터에 압유의 공급을 중단하고 , 또한 상기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가 밀어내는 만큼의 용적이 저감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 시에 상기 액츄에이터의 유지압이 상기 소정압 이하일 때에는, 상기 잭업 절환 밸브를 제2 절환 위치로 절환함으로써 상기 유로 변경 수단을 개로 측으로 절환하여 상기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상기 방향 제어 밸브를 통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에 공급하고, 또한 상기 경전 지시 수단에 의해 상기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가 밀어내는 만큼의 용적이 증가되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유압 쇼벨에 설치되는 붐용 유압 실린더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작업 요소로서의 붐이나 암 등의 중량을 받아 보텀실측이 고압이 된다. 이에 비해, 작업 요소에 누르는 힘이 작용할 때는, 붐용 유압 실린더에 인장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보텀실 측이 저압이 된다. 따라서, 붐용 유압 실린더의 보텀압 등의 액츄에이터의 유지압의 변화를 감시하여,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 시에 해당 작업 요소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의 유지압이 소정압 이상일 때에, 잭업 절환 밸브를 제1 절환 위치로 절환함으로써 유로 변경 수단을 폐로 측으로 절환하여 주 펌프인 가변 용량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액츄에이터에 공급하지 않으면, 차체를 잭업시키기 위한 누르는 힘을 필요로 하지 않는 단순한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 시에 있어서의 펌프 소비 마력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하나의 작업 요소를 낙하시키면서 다른 작업 요소를 복합 동작 시킬 때는, 가변 용량 유압 펌프로부터 다른 작업 요소를 구동하기 위한 액츄에이터에 공급되는 압유를 상대적으로 증가시킬 수가 있으므로, 유압 작업기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또,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 시에 액츄에이터의 유지압이 소정압 이하일 때에, 잭업 절환 밸브를 제2 절환 위치로 절환함으로써 유로 변경 수단을 개로 측으로 절환하여 가변 용량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방향 제어 밸브를 통하여 액츄에이터에 공급하면, 작업 요소에 누르는 힘을 크게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차체를 잭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 시에 해당 작업 요소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의 유지압이 소정압 이상일 때에는,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가 밀어내는 만큼의 용적이 저감되도록 제어하고,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 시에 액츄에이터의 유지압이 소정압 이하일 때는, 경전 지시 수단에 의해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가 밀어내는 만큼의 용적이 증가되도록 제어하면, 단순한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 시에 있어서의 펌프 소비 마력을 저감할 수 있고, 유압 작업기의 연비를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작업 요소의 강압 작업 시에 필요량의 압유를 신속하게 액츄에이터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단순한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으로부터 작업 요소의 강압 작업으로 원활하게 이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여섯 번째로, 주 펌프인 제1 및 제2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와, 상기 제1 및 제2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가 밀어내는 만큼의 용적을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1 및 제2 경전 제어 수단과, 상기 제1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에 의해 구동되는 제1 주행 장치와, 상기 제2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에 의해 구동되는 제2 주행 장치와, 상기 제1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로부터 상기 제1 주행 장치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 방향 제어 밸브와, 상기 제2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로부터 상기 제2 주행 장치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2 방향 제어 밸브와, 적어도 하나의 작업 요소와, 상기 제1 및 제2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에 의해 신축되어 상기 작업 요소를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와, 상기 제1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로부터 상기 액츄에이터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3 방향 제어 밸브와, 상기 제2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로부터 상기 액츄에이터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4 방향 제어 밸브와, 상기 제1 및 제2 방향 제어 밸브를 절환 조작하는 파일럿 조작 장치와, 상기 파일럿 조작 장치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경전 제어 수단에 경전 제어 신호에 따른 경전 지시 수단을 구비한 유압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유지압이 소정압에 이르렀을 때에 절환되는 잭업 절환 밸브와, 상기 잭업 절환 밸브의 절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로부터 상기 제3 방향 제어 밸브의 미터인에 공급되는 압유의 유로를 개로 측 또는 폐로 측으로 변경하는 유로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 시에 상기 액츄에이터의 유지압이 상기 소정압 이상일 때에는, 상기 잭업 절환 밸브를 제1 절환 위치로 절환함으로써 상기 유로 변경 수단을 폐로 측으로 절환하여 상기 제1 및 제2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로부터 상기 액츄에이터에 압유의 공급을 중단하고,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가 밀어내는 만큼의 용적이 저감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 시에 상기 액츄에이터의 유지압이 상기 소정압 이하일 때에는, 상기 잭업 절환 밸브를 제2 절환 위치로 절환함으로써 상기 유로 변경 수단을 개로 측으로 절환하여 상기 제1 및 제2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상기 제 3및 제4 방향 제어 밸브를 통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에 공급하고, 또한 상기 경전 지시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가 밀어내는 만큼의 용적이 증가되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구성에 있어서도, 상기 제2 과제 해결 수단과 동일하게 작용하여 단순한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 시에 있어서의 펌프 소비 마력의 저감과 유압 작업기의 에너지 효율의 향상을 꾀하면서 작업 요소에 누르는 힘을 크게 발생시킬 수 있고, 또한 단순한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으로부터 작업 요소의 강압 작업으로 원활하게 이행할 수 있다. 또, 주행용의 유압 회로를 구비하였으므로, 주행 동작과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의 복합 동작을 행함으로써, 차체를 잭업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곱 번째로, 상기 제1, 제2 또는 제5 구성의 유압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유로 변경 수단이, 상기 방향 제어 밸브의 상류 측에서 상기 방향 제어 밸브의 미터인 포트(meter-in port)에 접속되어, 상기 잭업 절환 밸브가 제1 절환 위치로 절환되어 있을 때에는 폐로 위치로 절환되고, 상기 잭업 절환 밸브가 제2 절환 위치로 절환되어 있을 때에는 개로 위치로 절환되는 유량 제어 밸브와, 상기 방향 제어 밸브의 하류 측에서 상기 방향 제어 밸브의 센터 바이패스 포트(center bypass port)에 접속되고, 상기 잭업 절환 밸브가 제1 절환 위치로 절환되어 있을 때에는 개로 위치로 되고, 상기 잭업 절환 밸브가 제2 절환 위치로 절환되어 있을 때에는 폐로 위치로 절환되는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제2 또는 제5의 과제 해결 수단에 있어서의 유로 변경 수단을, 잭업 절환 밸브의 절환 위치에 따라 절환되는 유량 제어 밸브와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로 구성하면, 잭업 절환 밸브가 제1 절환 위치로 절환되어 있을 때, 즉, 작업 요소의 하중에 의해 낙하하는 경우에는, 유량 제어 밸브가 폐로 위치로 절환되고, 또한,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가 개로 위치로 절환되므로, 주 펌프로부터 토출된 압유는 방향 제어 밸브의 센터 바이패스 포트 및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를 통하여 압유 탱크로 복귀하여, 유압 실린더의 로드실로 공급되는 압유의 공급이 정지된다. 또, 잭업 절환 밸브가 제2 절환 위치로 절환되어 있으면, 즉, 작업 요소에 누르는 힘이 작용했을 때는, 유량 제어 밸브가 개로 위치로 절환되고, 또한,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가 폐로 위치로 절환되므로, 주 펌프로부터 토출된 압유는, 유량 제어 밸브 및 방향 제어 밸브의 미터인 포트를 통하여 유압 실린더의 로드실에 공급된다. 따라서, 단순한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 시에 있어서의 펌프 소비 마력의 저감과 유압 작업기의 에너지 효율의 향상이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작업 요소에 누르는 힘을 크게 발생시킬 수 있어서 차체를 잭업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여덟 번째로, 상기 제3 또는 제6의 구성의 유압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유로 변경 수단이, 상기 제3 방향 제어 밸브의 상류 측에서 상기 제3 방향 제어 밸브의 미터인 포트에 접속되고, 상기 잭업 절환 밸브가 제1 절환 위치로 절환되어 있을 때에는 폐로 위치로 절환되고, 상기 잭업 절환 밸브가 제2 절환 위치로 절환되어 있을 때에는 개로 위치로 절환되는 유량 제어 밸브와, 상기 제3 방향 제어 밸브의 하류 측에서 상기 제3 방향 제어 밸브의 센터 바이패스 포트에 접속되고, 상기 잭업 절환 밸브가 제1 절환 위치로 절환되어 있을 때에는 개로 위치로 절환되고, 상기 잭업 절환 밸브가 제2 절환 위치로 절환되어 있을 때에는 폐로 위치로 절환되는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로 구성되어 있다.
본 구성에 있어서도, 상기 제3 과제 해결 수단과 동일하게 작용하여 단순한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 시에 있어서의 펌프 소비 마력의 저감과 유압 작업기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주행 동작과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의 복합 동작을 행함으로써, 차체를 잭업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홉 번째로, 상기 제7 내지 제9의 구성의 유압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잭업 절환 밸브로서 유압 파일럿식 절환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유압 파일럿식 절환 밸브의 파일럿 포트에 조리개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잭업 절환 밸브로서 유압 파일럿식 절환 밸브를 구비하면, 잭업 절환 밸브의 신호 포트와 유압 실린더의 보텀실을 유도로 연결하기만 하면 되므로,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단순한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 시에 있어서의 펌프 소비 마력의 저감과 에너지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어서, 차체를 잭업할 수 있는 유압 작업기를 저가로 만들 수 있다. 또, 유압 파일럿식 절환 밸브의 파일럿 포트에 조리개를 구비하면, 유압 파일럿식 절환 밸브의 헌팅(hunting)을 방지할 수 있고, 단순한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으로부터 작업 요소의 강압 작업으로 원활하고 확실하게 이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열 번째로, 상기 제1 내지 제9의 구성의 유압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잭업 절환 밸브의 절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電磁)식 절환 밸브와, 상기 유압 실린더의 보텀실의 압력치를 검출하는 압력 검출 수단과, 상기 압력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압력에 따라서 상기 전자식 절환 밸브를 동작 시키는 전기적 제어 수단을 더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잭업 절환 밸브로서 전자식 절환 밸브를 구비하면, 적어도 유압 실린더의 보텀실(유지압 측)과 잭업 절환 밸브의 신호 포트를 연결하는 유도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유압 회로를 간략화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열 한번째로, 상기 제5 또는 제6의 구성의 유압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경전 지시 수단으로서, 상기 파일럿 조작 장치에 의해 생성된 조작 신호 압력 중, 소정의 조작 신호 압력 군의 최고 압력을 선택하는 복수개의 셔틀 밸브의 조합을 사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경전 지시 수단으로서 복수개의 셔틀 밸브를 조합하여 사용하면,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 필요한 조작 신호 압력을 확실하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작업 요소의 누르는 작업 시에 경전 지시 수단에 의해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가 밀어내는 만큼의 용적이 증가되도록 제어하는 유압 작업기를 만들 수 있다. 또, 상기 경전 지시 수단에 의해 소정의 조작 신호 압력 군 중 최고 압력을 선택하면, 작업 요소의 강압 작업 시에 필요량의 압유를 확실하게 액츄에이터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단순한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으로부터 작업 요소의 강압 작업으로 원할하고 확실하게 이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열두 번째로, 상기 각 구성의 유압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하강 동작되는 작업 요소가 붐이며, 상기 액츄에이터가 붐용 유압 실린더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작업 요소로서 붐을 구비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로서 붐용 유압 실린더를 구비하면, 붐 및 붐용 유압 실린더를 구비한 유압 쇼벨 등의 유압 작업기에 대하여, 상기 제5 및 제6 과제 해결 수단에 기재한 작용 효과가 발휘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열세 번째로, 상기 제12의 구성의 유압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붐용 유압 실린더의 보텀실로부터 배출되는 미터 아웃 오일의 일부를 상기 붐용 유압 실린더의 로드실에 공급되는 미터인 오일로 재생하는 재생 회로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재생 회로를 구비하면, 단순한 작업 요소의 하강 조작의 도중에 붐에 누르는 힘이 작용했을 때도, 붐용 유압 실린더의 로드실에 보텀실로부터의 재생유가 공급되므로, 붐용 유압 실린더의 로드실이 진공 상태가 되어 공극을 일으키지 않고, 붐의 원활한 조작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말하는 소정압 이상과 소정압 미만은, 소정압을 기준으로 소정압보다 큰 경우와 작은 경우의 분류를 나타낸 것이며, 소정압의 경우의 잭업 절환 밸브의 절환 위치를 제1 절환 위치로 하거나 제2 절환 위치로 하기 때문에 설계 시에 적절하게 설정되는 설계적 사항이다.
이와 같이, 잭업 절환 밸브로서 유압 파일럿식 절환 밸브를 구비하면, 잭업 절환 밸브의 신호 포트와 유압 실린더의 보텀실을 유도로 연결하기만 하면 되고,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단순한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 시에 있어서의 펌프 소비 마력의 저감과 에너지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어서, 차체를 잭업할 수도 있는 유압 작업기를 저가로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잭업 절환 밸브로서 전자식의 절환 밸브를 구비하면, 적어도 유압 실린더의 보텀실과 잭업 절환 밸브의 신호 포트를 연결하는 유도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유압 회로를 간략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유압 작업기는, 작업 요소를 구동하는 유압 실린더의 보텀압의 변화를 감시하고,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 시에 해당 작업 요소를 구동하는 유압 실린더의 보텀압이 소정압 이상일 때에는, 잭업 절환 밸브를 제1 절환 위치로 절환함으로써 유로 변경 수단을 폐로 측으로 절환하여 주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유압 실린더의 로드실에 공급하지 않게 했으므로, 차체를 잭업시키기 위한 누르는 힘을 필요로 하지 않는 단순한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 시에 있어서의 펌프 소비 마력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하나의 작업 요소를 낙하시키면서 다른 작업 요소를 복합 동작 시킬 때에는, 주 펌프로부터 다른 작업 요소를 구동하기 위한 액츄에이터에 공급되는 압유를 상대적으로 증가시킬 수가 있어서, 유압 작업기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 시에 유압 실린더의 보텀압이 소정압 미만일 때에는, 잭업 절환 밸브를 제2 절환 위치로 절환하여 유로 변경 수단을 개로 측으로 절환하여, 주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방향 제어 밸브를 통하여 유압 실린더의 로드실에 공급하므로, 차체의 잭업에 필요한 작업 요소의 구동력을 발생할 수 있고, 주행 동작과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의 복합 동작을 행함으로써 차체를 잭업할 수 있게 된다.
[유압 작업기의 외관 구성]
먼저, 본 발명에 관한 유압 작업기의 외관 구성을 도 1에 의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유압 작업기의 측면도이다.
본 예의 유압 작업기는, 유압 쇼벨로서,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좌우 한쌍의 주행 장치(1, 2)로 이루어지는 주행체(3)와, 상기 주행체(3) 상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선회체(4)와, 일단이 선회체(4)에 회동 가능하게 핀 결합된 붐(5)과, 일단이 붐(5)에 회동 가능하게 핀 결합된 암(6)과, 일단이 암(6)에 회동 가능하게 핀 결합된 버킷(7)과, 주행 장치(1, 2)를 구동하는 제1 및 제2 주행용 유압 모터(8, 9)와, 선회체(4)를 구동하는 선회용 유압 모터(10)와, 붐(5)을 구동하는 붐용 유압 실린더(11)와, 암(6)을 구동하는 암용 유압 실린더(12)와, 버킷(7)을 구동하는 버킷용 유압 실린더(13)가 주된 구성요소로 되어 있다.
[유압 회로의 제1 실시예]
다음에, 상기 유압 작업기에 구비되어 유압 회로의 제1 예를 도 2 및 도 3에 의해 설명한다. 도 2는 제1 실시예와 관계되는 유압 회로의 주요부 회로도, 도 3은 조작 장치의 구성도이며, 이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예의 유압 회로는, 잭업 절환 밸브로서 유압 파일럿식 절환 밸브를 구비하고, 또한 유압 실린더에 하나의 주 펌프로부터의 유압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예의 유압 회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 펌프(21)와 주 펌프(21)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에 의해 신축되어서, 붐(5)를 구동하는 복동식의 붐용 유압 실린더(11)와, 주 펌프(21)로부터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실(11a) 및 로드실(11b)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방향 제어 밸브(22)와, 방향 제어 밸브(22)를 절환 조작하는 조작 장치(23)와, 파일럿 펌프(24)와, 파일럿 펌프(24)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잭업 절환 밸브(25)와, 방향 제어 밸브(22)의 상류 측에서 방향 제어 밸브(22)의 미터인 포트에 접속되어, 잭업 절환 밸브(25)에 의해 절환 조작되는 유량 제어 밸브(26)와, 방향 제어 밸브(22)의 하류 측에서 방향 제어 밸브(22)의 센터 바이패스 포트에 접속되어서, 잭업 절환 밸브(25)에 의해 절환 조작되는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와, 탱크(28)에 의해 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잭업 절환 밸브(25)는 잭업을 행할 때 주 펌프(21)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미터인 측에 연통시키기 위해서 절환되는 유압 파일럿식 절환 밸브이고,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는 센터 바이패스를 개폐하기 위한 절환 밸브이다.
그리고, 유량 제어 밸브(26)는, 포펫 밸브(261; poppet valve)와, 상기 포펫 밸브(261)의 배압실과 방향 제어 밸브(22)의 펌프 포트 측을 연통, 차단하는 파일럿식 절환 밸브(262)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향 제어 밸브(22)는, 조리개(29a, 29b)와 체크 밸브(29c)로 이루어지는 재생 회로를 가지는 것이 구비되어 있다.
또, 상기 조작 장치(23)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레버(23a)와, 상기 조작 레버(23a)에 의해 절환 조작되는 붐 하강 측 감압 밸브(23b)와, 붐 상승 측 감압 밸브(23c)로 구성된다.
주 펌프(21)와 방향 제어 밸브(22) 사이에는, 주 펌프(21)로부터 방향 제어 밸브(22)의 센터 바이패스 포트에 직접 통하는 유도(31)와, 주 펌프(21)로부터 유량 제어 밸브(26)를 통하여 방향 제어 밸브(22)의 미터인 포트로 통하는 유도(32, 33)가 설치되고, 방향 제어 밸브(22)와 붐용 유압 실린더(11) 사이에는, 보텀실(11a)로 통하는 유도(34)와 로드실(11b)로 통하는 유도(35)가 형성되어 있다. 또,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실(11a)과 잭업 절환 밸브(25)의 신호 포트 사이에는, 보텀 압신호 공급용의 유도(3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방향 제어 밸브(22)와 탱크(28)를 연결하는 유도는,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를 통하여 방향 제어 밸브(22) 측의 유도(37)와 탱크(28) 측의 유도(38)로 나누어져 있어서, 방향 제어 밸브(22)와 탱크(28) 측의 유도(38) 사이에는, 보텀실(11a)로부터 배출된 압유의 일부를 탱크(28)로 안내하기 위한 유도(39)가 형성되어 있다. 또, 조작 장치(23)와 방향 제어 밸브(22)의 신호 포트 사이에는, 붐 하강 신호 공급용의 파일럿 관로(40)와 붐 상승 신호 공급용의 파일럿 관로(41)가 설치되고, 또한 붐 하강용의 파일럿압을 잭업 절환 밸브(25)를 통하여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로 안내하는 절환 신호 공급용의 파일럿 관로(42, 43)가 형성되어 있다. 거기에 더하여서, 파일럿 펌프(24)와 유량 제어 밸브(26)를 구성하는 절환 밸브(262)의 신호 포트 사이에는, 잭업 절환 밸브(25)를 통하여 절환 신호 공급용의 파일럿 관로(44, 45)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 실시예와 관계되는 유압 작업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작 레버(23a)가 중립 위치에 있고, 붐용 유압 실린더(11)에 인장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을 경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향 제어 밸브(22)는 중립 위치(22b)가 되어,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실(11a)이 붐 등의 자기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서 고압이 되고, 잭업 절환 밸브(25)는 절환 위치(25a)로 절환되고, 유량 제어 밸브(26)의 절환 밸브(262)는 절환 위치(26a)로 절환되어서,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는 밸브 위치(27a)를 유지한다. 따라서, 주 펌프(21)로부터 토출된 압유는 유도(31), 방향 제어 밸브(22)의 센터 바이패스 포트, 유도(37),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 및 유도(38)을 통하여 탱크(28)로 안내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 레버(23a)를 도면의 좌측 방향, 즉, 붐 하강 방향으로 조작하면, 파일럿 펌프(24)로부터 공급되는 압유가 감압 밸브(23b)에 의해 감압되어, 상기 감압된 파일럿압이 붐 하강 신호로서 파일럿 관로(40)로 도출하고, 방향 제어 밸브(22)가 절환 위치(22a)로 절환된다. 그리고, 보텀실(11a)로부터의 복귀된 오일의 일부가 조리개(9b), 체크 밸브(29c) 및 유도(35)를 통하여 로드실(11b)에 재생되고, 또한 나머지가 조리개(29a) 및 유도(39)를 통하여 탱크(28)에 되돌려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 보텀압이 잭업 절환 밸브(25)의 스프링(25c)에 의해 설정되는 소정의 절환 압력보다 높을 때에는, 잭업 절환 밸브(25)의 절환 위치는 절환 위치(25a)에 유지되므로, 유량 제어 밸브(26)의 절환 위치도 절환 위치(26a)에 유지되고, 또,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도 밸브 위치(27a)에 유지된다. 따라서, 주 펌프(21)로부터 토출된 압유는, 유도(31), 방향 제어 밸브(22)의 센터 바이패스 포트, 유도(37),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 및 유도(38)를 통하여 탱크(28)에 안내되고,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실(11a) 및 로드실(11b)에는 압유가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로드실(11b)에는 재생유 만 도입되어 붐(5)의 자기 하중에 의해 붐용 유압 실린더(11)가 축소하여, 붐(5)이 하강하는 방향으로 회동(이른바 자기 하중 낙하)된다.
한편, 조작 레버(23a)가 붐이 하강하는 방향으로 조작되는 경우에 있어서, 보텀압이 잭업 절환 밸브(25)의 절환 압력보다 낮을 때에는, 잭업 절환 밸브(25)가 절환 위치(25b)로 절환되어, 파일럿 관로(44) 및 파일럿 관로(45)를 통하여 유량 제어 밸브(26)의 절환 밸브(262)의 신호 포트에 공급되어 있던 파일럿 펌프(24)로부터의 압유가 차단되므로, 절환 밸브(262)가 밸브 위치(26b)로 절환되어, 포펫 밸브(261)의 배압이 관로(33)와 동일 압이 되어, 주 펌프(21)로부터 토출된 압유가, 유도(32), 유량 제어 밸브(26)의 포펫 밸브(261), 유도(33)를 통하여 방향 제어 밸브(22)의 미터인 포트에 공급된다. 또, 잭업 절환 밸브(25)의 절환에 따라서 파일럿 펌프(24)로부터 토출된 압유가, 파일럿 관로(40), 파일럿 관로(42), 잭업 절환 밸브(25), 파일럿 관로(43)을 통하여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의 신호 포트에 공급되므로,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가 절환 위치(27b)로 절환되어 방향 제어 밸브(22)의 센터 바이패스의 하류가 차단된다. 따라서, 유도(33)로부터 방향 제어 밸브(22)의 미터인 포트에 공급된 주 펌프(21)로부터의 압유가 보텀실(11a)로부터 배출된 재생유와 함께 유도(35)를 통하여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로드실(11b)에 공급되고, 차체의 잭업력 등의 강한 누르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 조작 레버(23a)가 도면의 우측 방향, 즉, 붐 상승 방향으로 조작되는 경우에는, 파일럿 펌프(24)로부터 공급되는 압유에 의해 파일럿 관로(41)에 붐 상승용의 파일럿압이 도출하고, 방향 제어 밸브(22)가 절환 위치(22c)로 절환된다. 이로써, 로드실(11b)로부터 배출된 압유가 유도(35), 방향 제어 밸브(22), 유도(39)를 통하여 탱크(28)에 되돌려지므로, 보텀압이 잭업 절환 밸브(25)의 작동 압력보다 저압이 되어, 잭업 절환 밸브(25)가 절환 위치(25b)로 절환되어 유량 제어 밸브(26)가 절환 위치(26b)로 절환된다. 따라서, 유도(32), 유량 제어 밸브(26), 유도(33)을 통하여 방향 제어 밸브(22)의 미터인 포트에 공급된 주 펌프(21)로부터의 압유가, 유도(34)를 통하여 보텀실(11a)에 공급되고, 붐용 유압 실린더(11)가 신장 되어, 붐(5)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본 실시예에 관한 유압 작업기는,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압의 변화를 감시하고, 붐 하강 동작 시에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압이 소정압 이상일 때에는, 잭업 절환 밸브(25)를 절환 위치(25a)로 절환하여, 이로써 유량 제어 밸브(26)의 절환 밸브(262)를 절환 위치(26a)로 절환하고, 또한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를 밸브 위치(27a)로 하고, 주 펌프(21)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로드실(11b)에 공급하지 않으므로, 차체를 잭업시키기 위한 누르는 힘을 필요로 하지 않는 단순한 붐 하강 동작 시에 있어서의 펌프 소비 마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단순한 붐 하강 동작 시에 주 펌프(21)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로드실(11b)에 공급하지 않으므로, 붐(5)과 다른 작업 요소, 예를 들면 암(6)이나 버킷(7)을 복합 동작 시킬 때에는, 주 펌프(21)로부터 암용 유압 실린더(12)나 버킷용 유압 실린더(13)에 공급되는 압유를 상대적으로 증가시킬 수가 있어서, 유압 작업기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한편, 붐 하강 동작 시에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압이 소정압 이하일 때에는, 잭업 절환 밸브(25)를 밸브 위치(25b)로 절환하여, 이로써 유량 제어 밸브(26)의 절환 밸브(262)를 절환 위치(26b)로 절환하고, 또한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를 절환 위치(27b)로 절환하여 주 펌프(21)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로드실(11b)에 공급하므로, 붐(5)에 누르는 힘을 크게 발생시킬 수가 있어 차체를 잭업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예와 관계되는 유압 작업기는, 방향 제어 밸브(22)로서 조리개(29a, 29b)와 체크 밸브(29c)로 구성되는 재생 회로를 구비한 것을 사용하므로, 단순한 붐 하강 조작의 도중에 붐(5)에 누르는 힘이 작용했을 때에도,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로드실(11b)에 보텀실(11a)로부터의 재생유가 공급되므로,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로드실(11b)이 진공 상태가 되어 공극이 발생하지 않아서, 붐(5)의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와 관계되는 유압 작업기는, 잭업 절환 밸브(25)로서 유압 파일럿식 절환 밸브를 구비하므로, 잭업 절환 밸브(25)의 신호 포트와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실(11a)을 유도(36)로 연결하기만 하면 되고, 구조가 간단하여, 단순한 붐 하강 동작 시에 있어서의 펌프 소비 마력의 저감과 에너지 효율을 향상할 수 있어서, 차체를 잭업할 수 있는 유압 작업기를 저가로 만들 수 있다.
[유압 회로의 제2 실시예]
다음에, 상기 유압 작업기에 구비되어 유압 회로의 제2 예를 도 4에 의해 설명한다. 도 4는 제2 실시예와 관계되는 유압 회로의 회로도이며, 상기 도면에서 ㅇ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예의 유압 회로는, 잭업 절환 밸브 및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의 절환을 전자(電磁) 밸브에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4에 있어서, 부호 51은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압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 부호 52는 잭업 절환 밸브(25)및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을 절환하는 위한 전자 밸브, 부호 53은 압력 센서(51)의 출력 신호를 받아들여 전자 밸브(52)의 신호 입력부에 공급되는 지령 전류치를 출력하는 컨트롤러, 부호 54는 파일럿 관로(40)로부터 분기하여, 전자 밸브(52)로 연락하는 유도, 부호 55는 잭업 절환 밸브(25)의 신호 포트와 전자 밸브(52)를 연결하는 파일럿 관로, 부호 56은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의 신호 포트와 전자 밸브(52)를 연결하는 파일럿 관로를 나타내고 있고, 그 외, 도 2로 대응하는 부분에는 그와 동일한 부호가 표시되어 있다.
컨트롤러(53)에는, 압력 센서(51)에서 검출된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압치와 전자 밸브(52)의 신호 입력부에 공급되는 지령 전류치와의 관계가 기억되어 있어, 압력 센서(51)에 의해 검출된 보텀압치가 붐의 자기 중력 낙하 시의 보텀압치의 범위 내, 즉, 소정압 P0이상일 경우에는, 전자 밸브(52)가 밸브 위치(52a)를 유지 하고, 압력 센서(51)에 의해 검출된 보텀압치가 붐(5)에 누르는 힘이 작용했을 경우의 보텀압치의 범위 내, 즉, 소정압 P0보다 저압의 경우에는, 전자 밸브(52)를 절환 위치(52b)로 절환하는 지령 전류를 출력한다.
전자 밸브(52)가 밸브 위치(52a)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붐 하강 신호가 되는 파일럿압이 전자 밸브(52)에서 차단되어 파일럿 관로(55, 56)에 파일럿압이 형성되지 때문에, 잭업 절환 밸브(25)가 밸브 위치(25a)를 유지하고, 유량 제어 밸브(26)의 절환 밸브(262)가 절환 위치(26a)로 절환되고, 또한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가 밸브 위치(27a)를 유지한다. 이에 비해, 전자 밸브(52)가 절환 위치(52b)로 절환되어 붐 조작을 했을 경우에는, 붐 하강 신호가 되는 파일럿압이 전자 밸브(52)를 통하여 파일럿 관로(55,56)에 공급되므로, 잭업 절환 밸브(25)가 절환 위치(25b)로 절환되어, 유량 제어 밸브(26)의 절환 밸브(262)가 절환 위치(26b)로 절환되고, 또한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가 절환 위치(27b)로 절환된다.
절환 밸브(262)가 절환 위치(26a)로 절환되고, 또한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가 밸브 위치(27a)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처럼, 로드실(11b)에 공급되는 압유는 보텀실(11a)로부터 배출되는 재생유 만이 되어, 붐(5)이 자기하중에 의해 낙하한다. 한편, 잭업 절환 밸브(25)가 절환 위치(25b)로 절환되고, 또한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가 절환 위치(27b)로 절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처럼, 로드실(11b)에 재생유와 주 펌프(21)로부터 공급되는 압유가 합류하여 공급되고, 차체의 잭업력 등의 누르는 힘을 강하게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계되는 유압 작업기는, 제1 실시예와 관계되는 유압 작업기와 동일한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 외에 적어도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실(11a)과 잭업 절환 밸브(25)의 신호 포트를 연결하는 유도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유압 회로를 간략하게 할 수 있다.
[유압 회로의 제3 실시예]
다음에, 상기 유압 작업기에 구비되는 유압 회로의 제3 예를 도 5에 의해 설명한다. 도 5는 제3 실시예와 관계되는 유압 회로의 회로도이며, 상기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예의 유압 회로는, 잭업 절환 밸브로서 2개의 전자 밸브를 구비하고, 또한 붐용 유압 실린더의 보텀압 및 방향 제어 밸브의 파일럿압에 따라 이들 2개의 전자 밸브의 절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5에 있어서, 부호 51은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압을 검출하는 제1 압력 센서, 부호 61, 62는 잭업 절환 밸브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전자 밸브, 부호 63은 파일럿 관로(40)의 파일럿압을 검출하는 제2 압력 센서, 부호 64는 제1 압력 센서(51)의 출력 신호 및 제2 압력 센서(63)의 출력 신호를 받아들여, 제1 및 제2 전자 밸브(61, 62)의 절환 위치를 절환하기 위한 지령 전류치를 출력하는 컨트롤러, 부호 65는 제1 전자 밸브(61)와 유량 제어 밸브(26)의 절환 밸브(262)의 신호 포트를 연결하는 파일럿 관로, 부호 66은 제2 전자 밸브(62)와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의 신호 포트를 연결하는 파일럿 관로를 나타내고 있고, 그 외, 도 2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그와 동일한 부호가 표시되어 있다.
컨트롤러(64)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압력 센서(51)에서 검출된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압치(BM/B압)와 제1 및 제2 전자 밸브(61, 62)의 신호 입력부에 공급되는 지령 전류치와의 관계가 기억된 제1 기억부(71)와, 제2 압력 센서(63)에서 검출된 파일럿 관로(40)의 파일럿압(붐 하강 신호)과, 제1 전자 밸브(62)의 신호 입력부에 공급되는 지령 전류치와의 관계가 기억된 제2 기억부(72)와, 상기 제1 기억부(71)로부터 출력되는 지령 전류치와 상기 제2 기억부(72)로부터 출력되고 지령 전류치 중, 작은 지령 전류치를 선택하여 상기 제1 전자 밸브(62)의 신호 입력부에 공급하는 최소치 선택 회로(7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예의 컨트롤러(64)에 의하면, 압력 센서(51)에 의해 검출된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압치가 붐의 자기 하중 낙하 시의 보텀압치의 범위 내, 즉, 소정압 P0이상의 경우에는, 제1 기억부(71)로부터 출력되는 지령 전류치가 작은 값이 되기 때문에, 제1 전자 밸브(61)는 밸브 위치(61a)를 유지하고, 또, 최소치 선택 회로(73)로부터는, 제2 기억부(72)로부터 출력되는 지령 전류의 대소에 관계없이, 작은 값의 지령 전류가 출력된다. 그러므로, 제2 전자 밸브(62)도 밸브 위치(62a)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파일럿 펌프(24)로부터 토출된 압유가 제1 전자 밸브(61) 및 파일럿 관로(65)를 통하여 유량 제어 밸브(26)의 절환 밸브(262)의 신호 포트에 공급되므로, 절환 밸브(262)가 절환 위치(26a)로 절환되고, 또한 파일럿 펌프(24)로부터 토출된 압유가 제2 전자 밸브(62)에서 차단되기 때문에, 파일럿 관로(66)에 파일럿압이 형성되지 않고,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가 밸브 위치(27a)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압력 센서(51)에 의해 검출된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압치가 붐(5)에 누르는 힘이 작용했을 경우의 보텀압치의 범위 내, 즉, 소정압 P0보다 저압의 경우에는, 제1 기억부(71)로부터 출력된 지령 전류치가 큰 값이 되기 때문에, 제1 전자 밸브(61)가 절환 위치(61b)로 절환된다. 또, 최소치 선택 회로(73)로부터는, 제2 기억부(72)로부터 출력된 지령 전류에 따른 전류가 출력된다. 그러므로, 붐 하강 동작 시에는, 제2 전자 밸브(62)는 절환 위치(62b)로 절환되어,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가 절환 위치(27b)로 절환된다. 역으로, 붐 하강 조작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2 전자 밸브(62)는 밸브 위치(62a)를 유지하기 때문에,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는 밸브 위치(27a)를 유지한다.
유량 제어 밸브(26)의 절환 밸브(262)가 절환 위치(26a)로 절환되고, 또한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가 밸브 위치(27a)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처럼, 로드실(11b)에 보텀실(11a)로부터 배출된 재생유만 공급되고, 붐(5)이 자가 중량 낙하한다. 한편, 잭업 절환 밸브(25)를 구성하는 제1 전자 밸브(61) 및 제2 전자 밸브(62)의 밸브 위치가, 각각 절환 위치(61b, 62b)로 절환되고, 또한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가 절환 위치(27b)로 절환되는 경우에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처럼, 로드실(11b)에 재생유와 주 펌프(21)로부터 공급되는 압유가 합류하여 공급되므로, 차체의 잭업력 등의 누르는 힘이 강하게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기억부(71, 72)에서는, 도 5로부터도 알 수 있듯이 각각의 특성이 상이하게 되어 있다. 이것은,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가 모두 잭업 절환 밸브(25)과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가 각각 연동하여 절환되는 관계에 있는데 비해, 제3 실시예에서는, 잭업 절환 밸브(25)와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가 각각 독립적으로 절환되는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기억부(71)에 있어서 붐 보텀압이 Po보다 낮을 때에는, 붐 하강 조작의 행해지고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잭업 절환 밸브(25)를 구성하는 제1 전자 밸브(61)는 절환 위치(61b)로 절환된다.
한편, 붐 보텀압이 Po보다 낮고, 또한, 붐 하강 조작을 행해지고 있지 않을때에는, 제1 기억부(71)로부터 출력되는 지령 전류치 pi가 큰 값, 제2 기억부(72)로부터 출력되는 지령 전류치 pi가 작은 값이 되기 때문에, 양자 중 작은 지령 전류치 pi가 최소치 선택 회로(73)로부터 출력되고,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는 절환 위치(27a)인 채 절환은 행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은 사실로부터, 만일, 제1 절환 밸브(61)를 절환 위치(61b)로 절환하는 것보다 먼저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를 절환 위치(27b)로 절환하면, 펌프 토출압이 쓸데없이 상승하고, 에너지 효율을 열화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와 관계되는 유압 작업기도, 제2 실시예와 관계되는 유압 작업기와 동일한 효과가 있다.
[유압 회로의 제4 실시예]
다음에, 상기 유압 작업기에 구비되는 유압 회로의 제4 예를 도 6에 의해 설명한다. 도 6은 제4 실시예와 관계되는 유압 회로의 회로도이며, 이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예의 유압 회로는, 조작 장치(23)를 구성하는 감압 밸브(23b)에 의한 파일럿압, 즉, 붐 하강 신호에 의해 방향 제어 밸브(22), 유량 제어 밸브(26) 및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를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6에 있어서, 부호 51은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압을 검출하는 제1 압력 센서, 부호 81 및 82는 잭업 절환 밸브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전자 밸브, 부호 83은 압력 센서(51)의 출력 신호를 받아서 제1 및 제2 전자 밸브(81,82)의 절환 위치를 절환하기 위한 지령 전류치를 출력하는 컨트롤러, 부호 84는 파일럿 관로(40)로부터 분기하여, 제1 전자 밸브(81)로 연결하는 파일럿 관로, 부호 85는 파일럿 관로(40)로부터 분기하여, 제2 전자 밸브(82)로 연결하는 파일럿 관로, 부호 86은 제1 전자 밸브(81)와 유량 제어 밸브(26)의 절환 밸브(262)의 신호 포트를 연결하는 파일럿 관로, 부호 87은 제2 전자 밸브(82)와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의 신호 포트를 연결하는 파일럿 관로, 부호 88은 제2 전자 밸브(82)와 조작 장치(23)에 구비된 붐 상승 조작용의 감압 밸브(23c)를 연결하는 파일럿 관로, 부호 89는 파일럿 관로(87)와 파일럿 관로(88)와의 접속점에 설치된 체크 밸브를 나타내고 있고, 그 외, 도 2와 대응하는 요소에는 각각 대응하는 요소와 동일한 부호가 표시되어 있다.
컨트롤러(83)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압력 센서(51)에서 검출된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압치와 제1 전자 밸브(81)의 신호 입력부에 공급되는 지령 전류치와의 관계가 기억된 제1 기억부(91)와, 제1 압력 센서(51)에서 검출된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압치와 제2 전자 밸브(82)의 신호 입력부에 공급되는 지령 전류치와의 관계가 기억된 제2 기억부(9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령 전류치는 기준이 되는 전류치를 미리 설정하고, 이 설정된 전류치를 지령 전류 값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예의 컨트롤러(83)에 의하면, 압력 센서(51)에 의해 검출된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압치가 붐 자기 하중 낙하 시의 보텀압치의 범위 내, 즉, 소정압 PO이상의 경우에는, 제1 전자 밸브(81)가 제1 기억부(91)로부터 출력되는 지령 전류치에 의해 밸브 위치(81a)를 유지하고, 또한 제2 전자 밸브(82)가 제2 기억부(92)로부터 출력되는 지령 전류치에 의해 밸브 위치(82a)를 유지한다. 따라서, 붐 하강 조작의 경우에는, 파일럿 관로(40)로부터 파일럿 관로(84), 제1 전자 밸브(81) 및 파일럿 관로(86)를 통하여 유량 제어 밸브(26)의 절환 밸브(262)의 신호 포트에 공급되고, 절환 밸브(262)가 절환 위치(26a)로 절환됨과 동시에, 파일럿 관로(85)가 제2 전자 밸브(82)에서 차단되기 때문에, 파일럿 관로(87)에 파일럿압이 생성되지 않고,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가 밸브 위치(27a)를 유지한다.
한편, 압력 센서(51)에 의해 검출된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압치가 붐(5)에 누르는 힘이 작용했을 경우의 보텀압치의 범위 내, 즉, 소정압 P0보다 저압의 경우에는, 제1 전자 밸브(81)가 제1 기억부(91)로부터 출력되는 지령 전류치에 의해 절환 위치(81b)로 절환됨과 동시에, 제2 전자 밸브(82)가 제2 기억부(92)로부터 출력되는 지령 전류치에 의해 절환 위치(82b)로 절환된다. 따라서, 파일럿 관로(84)가 제1 전자 밸브(81)에서 차단되므로, 파일럿 관로(86)에 파일럿압이 생성되지 않고, 유량 제어 밸브(26)가 절환 위치(26b)로 절환되고, 또한 파일럿 관로(40)와 파일럿 관로(87)가 연결되어 통하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붐 하강 조작 시에는, 붐 하강용의 파일럿압이 파일럿 관로(40), 파일럿 관로(85), 제2 전자 밸브(82) 및 파일럿 관로(87)를 통하여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의 신호 포트에 공급되므로,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가 절환 위치(27b)로 절환된다.
유량 제어 밸브(26)의 절환 밸브(262)가 절환 위치(26a)로 절환되고, 또한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가 절환 위치(27a)로 절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처럼, 로드실(11b)에 보텀실(11a)로부터 배출된 재생유만 공급되므로, 붐(5)이 자기 중량 낙하한다. 한편, 잭업 절환 밸브(25)를 구성하는 제1 전자 밸브(81) 및 제2 전자 밸브(82)가 절환 위치(81b, 82b)로 절환되고, 또한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가 절환 위치(27b)로 절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처럼, 로드실(11b)에 재생유와 주 펌프(21)로부터 공급되는 압유 가 합류하여 공급되므로, 차체의 잭업력 등의 강한 누르는 힘이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제3 실시예 예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제1 및 제2 기억부(91, 92)에서는, 각각의 특성이 상이하다. 이것은,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잭업 절환 밸브(25)와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가 각각 독립적으로 절환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특히 본 실시예 예에서는, 2개의 기억부에 각각 상이한 특성을 가지게 함으로써, 잭업 절환 밸브(25)와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의 각각의 절환 타이밍을 바꾸어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의 특성 관계를 보면, 기준이 되는 설정압 Po보다 붐 보텀압(BM/B압)이 낮아질 경우, 설정압 Po보다 작은 값일 때에 지령압 Pi가 제1 기억부(91)로부터 제2 기억부(92)보다 먼저 출력되는 관계이므로, 절환 밸브(262)는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보다 먼저 절환된다. 이와 같이 잭업 절환 밸브(25)를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보다 먼저 절환함으로써, 제3 실시예 예와 같이, 에너지 효율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계되는 유압 작업기도 제2 실시예와 관계되는 유압 작업기와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
[유압 회로의 제5 실시예]
다음에, 상기 유압 작업기에 구비되어 유압 회로의 제5 예를 도 7에 의해 설명한다. 도 7은 제5 실시예와 관계되는 유압 회로의 회로도이며, 이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예의 유압 회로는, 붐 구동용의 유압 회로에 주행 장치 구동용의 유압 회로를 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7에 있어서, 부호 8은 우측 주행용 유압 모터, 부호 9는 좌측 주행용 유압 모터, 부호 101은 제2 주 펌프, 부호 102는 주 펌프(21)로부터 우측 주행용 유압 모터(8)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2 방향 제어 밸브, 부호 103은 제2 주 펌프(101)로부터 좌측 주행용 유압 모터(9)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3 방향 제어 밸브, 부호 104는 붐 하강 조작시에 제2 주 펌프(101)로부터 붐용 유압 실린더(11)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4 방향 제어 밸브, 부호 105는 붐 하강 조작을 하는 경우에 제1 주 펌프(21)로부터 공급되는 압유를 좌측 주행용 유압 모터(9) 측에 공급하기 위한 절환 밸브, 부호 106은 붐 조작을 했을 경우에, 절환 밸브(105)에 절환 신호를 부여하는 셔틀 밸브, 부호 107은 제2 주 펌프(101)과 제4 방향 절환 밸브(104)를 연결하는 유도, 부호 108은 제2 주 펌프(101)와 탱크(28)를 연락하는 센타 바이패스 통로, 부호 109는 제4 방향 절환 밸브(104)와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로드실(11b)를 연결하는 유도, 부호 110은 제4 방향 절환 밸브(104)와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실(11a)를 연결하는 유도, 부호 111은 유도(110)에 설치된 역지(逆止) 밸브, 부호 112는 주 펌프(21)와 절환 밸브(105)를 연결하는 유도, 부호 113은 유도 112에 설치된 역지 밸브, 부호 114는 절환 밸브(105)와 제3 방향 제어 밸브(103)를 연결하는 유도, 부호 115는 잭업 절환 밸브(25)에 붐 하강 신호가 되는 파일럿압을 안내하는 파일럿 관로, 부호 116은 제4 방향 제어 밸브(104)의 신호 포트에 붐 하강 신호를 공급하는 파일럿 관로, 부호 117은 제4 방향 제어 밸브(104)의 신호 포트에 붐 상승 신호를 공급하는 파일럿 관로, 부호 118은 절환 밸브(105)의 신호 포트에 절환 신호를 공급하는 파일럿 관로를 나타내고 있고, 그 외, 도 2로 대응하는 부분에는 그들과 동일한 부호가 표시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5 실시예와 관계되는 유압 작업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작 레버(23a)가 중립 위치에 있는 경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향 제어 밸브(22) 및 제4 방향 제어 밸브(104)는 각각 중립 위치(22b) 및 중립 위치(104b)를 유지하고, 잭업 절환 밸브(25)는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 측의 압력에 의해 절환 위치(25a)로 절환된다. 이 상태에서는, 파일럿 관로(43)가 탱크(28)와 연통하고 있어서,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는 밸브 위치(27a)를 유지 하고, 절환 밸브(105)는 밸브 위치(105a)를 유지한다. 따라서, 주 펌프(21)로부터 토출된 압유는, 유도(31), 방향 제어 밸브(22)의 센터 바이패스 포트, 유도(37),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 및 유도(38)를 통하여 탱크(28)에 유도되고, 제2 주 펌프(101)로부터 토출된 압유는, 유도(107), 유도(108), 제3 방향 제어 밸브(103)의 센터 바이패스 포트를 통하여 탱크(28)에 안내되기 때문에,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실(11a) 및 로드실(11b)에는 압유가 공급되지 않는다.
이 상태로부터 조작 레버(23a)를 도시 좌측 방향, 즉, 붐 하강 방향으로 조작하면, 파일럿 펌프(24)로부터 공급되고, 감압 밸브(23b)에 의해 감압된 파일럿압이 파일럿 관로(40)로 도출하고, 방향 제어 밸브(22)가 절환 위치(22a)로 절환된다. 한편, 파일럿 관로(115)에 상기 파일럿압이 유도되어 잭업 절환 밸브(25)를 통하여 절환 밸브(262)의 신호 포트로 안내되기 때문에, 절환 밸브(262)가 절환 위치(26a)로 절환된다. 이로써, 보텀실(11a)로부터 복귀한 오일의 일부가 조리개(29b), 체크 밸브(29c) 및 유도(35)를 통하여 로드실(11b)에 재생되면서, 나머지가 조리개(29a) 및 유도(39)를 통하여 탱크(28)에 되돌려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 보텀압이 잭업 절환 밸브(25)의 작동 압력보다 높을 때에는, 잭업 절환 밸브(25)는 밸브 위치(25a)로 유지되므로, 유량 제어 밸브(26)의 절환 위치도 절환 위치(26a)로 유지되고, 또한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도 밸브 위치(27a)로 유지된다. 따라서, 주 펌프(21)로부터 토출된 압유는, 유도(31), 방향 제어 밸브(22)의 센터 바이패스포트, 유도(37),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및 유도(38)를 통하여 탱크(28)에 유고되고, 또, 제2 주 펌프(101)로부터 토출된 압유는, 유도(107), 유도(108), 제3 방향 제어 밸브(103)의 센터 바이패스 포트를 통하여 탱크(28)에 유도되므로,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실(11a) 및 로드실(11b)에는 압유가 공급되지 않고, 로드실(11b)에 보텀실(11a)로부터 배출된 재생유만 공급되고, 붐(5)의 자기 하중에 의해 붐용 유압 실린더(11)이 축소하고, 붐(5)이 자기 하중 낙하한다.
한편, 조작 레버(23a)가 붐 하강 방향으로 조작되는 경우에 있어서, 보텀압이 잭업 절환 밸브(25)의 작동 압력보다 낮아졌을 때에는, 잭업 절환 밸브(25)가 절환 위치(25b)로 절환되므로, 파일럿 관로(45)가 잭업 절환 밸브(25)를 통하여 탱크(28)와 연통하고, 유량 제어 밸브(26)의 절환 밸브(262)가 밸브 위치(26b)로 절환된다. 따라서, 주 펌프(21)로부터 토출 압유가, 유도(32), 유량 제어 밸브(26), 유도(33)을 통하여 방향 제어 밸브(22)의 미터인 포트에 공급된다. 또, 잭업 절환 밸브(25)의 절환함에 따라, 붐 하강 신호로서의 파일럿압이 파일럿 관로(115), 잭업 절환 밸브(25), 파일럿 관로(43)를 통하여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의 신호 포트에 공급되므로,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가 절환 위치(27b)로 절환되로, 또한 파일럿 관로(116)를 통하여 제4 방향 제어 밸브(104)의 붐 하강 측의 신호 포트에 공급되므로, 제4 방향 제어 밸브(104)가 절환 위치(104a)로 절환된다. 따라서, 주 펌프(21)로부터 토출된 압유가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로드실(11b)에 공급되고, 또한 제2 주 펌프(101)로부터 토출된 압유가 제4 방향 제어 밸브(104), 유도(109) 및 유도(35)를 통하여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로드실(11b)에 공급되고, 로드실(11b)에는 보텀실(11a)로부터 배출된 재생유와 주 펌프(21)로부터 공급되는 압유 및 제2 주 펌프(101)으로부터 공급되는 압유가 합류하여 공급되므로, 차체의 잭업력 등의 강한 누르는 힘을 발생시킬 수가 있다.
또, 붐 조작용의 파일럿압이 셔틀 밸브(106), 유도(118)을 통하여 절환 밸브(105)로 안내되기 때문에, 절환 밸브(105)가 절환 위치(105b)로 절환되어, 주 펌프(21)로부터 토출된 압유가 제2 방향 제어 밸브(102) 및 제3 방향 제어 밸브(103)를 통하여 각각 좌우의 주행용 유압 모터(8, 9)에 공급된다. 이로써, 붐과 주행을 동시에 조작하고 있을 때에는, 좌우의 주행 모터(8,9)에는 주 펌프(21)로부터의 압유가 공급되고, 붐용 유압 실린더(11)인은 제2 주 펌프(101)로부터의 압유가 공급되므로, 주행 조작과 붐 하강 동작의 복합 동작에 의한 차체의 잭업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5 실시예에 있어서는, 잭업 절환 밸브(25)로서 유압 파일럿식 절환 밸브를 사용하였지만, 상기 제2 내지 제4 실시예와 관계되는 유압 작업기와 같이, 전자 유압식 또는 전자식의 절체 밸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유압 회로의 제6 실시예]
다음에, 상기 유압 작업기에 구비되는 유압 회로의 제6 예를 도 8 및 도 9에 의해 설명한다. 도 8은 제6 실시예와 관계되는 유압 회로의 주요부 회로도, 도 9는 제6 실시예의 유압 회로에 구비되는 셔틀 밸브 군의 구성도이며, 이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예의 유압 회로는, 잭업 절환 밸브로서 유압 파일럿식 절환 밸브를 구비하고, 또한 유압 실린더에 1개의 가변 용량 유압 펌프로부터의 유압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예의 유압 회로는, 도 2에 나타낸 제1 실시예에 대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변 용량 유압 펌프(주 펌프)(21)와, 가변 용량 유압 펌프(21)가 밀어내는 용적을 제어하는 레귤레이터(경전 제어 수단)(21a)와 가변 용량 유압 펌프(21)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에 의해 신축되어 붐(작업 요소)(5)을 구동하는 복동식의 붐용 유압 실린더(11)와, 가변 용량 유압 펌프(21)로부터 붐용 유압 실린더(액츄에이터)(11)의 보텀실(11a) 및 로드실(11b)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방향 제어 밸브(22)와, 방향 제어 밸브(22)의 절환 조작을 행하는 파일럿 조작 장치(23)와, 파일럿 펌프(24)와 파일럿 펌프(24)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잭업 절환 밸브(25)와, 방향 제어 밸브(22)의 상류 측에서 방향 제어 밸브(22)의 미터인 포트에 접속되어, 잭업 절환 밸브(25)에 의해 절환 조작되는 유량 제어 밸브(26)와, 방향 제어 밸브(22)의 하류 측에서 방향 제어 밸브(22)의 센터 바이패스포트에 접속되어, 잭업 절환 밸브(25)에 의해 절환 조작되는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와, 탱크(28)와, 파일럿 조작 장치(23) 및 도시하지 않은 다른 파일럿 조작 장치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레귤레이터(21a)에 경전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셔틀 밸브 군(경전 지시 수단)(30)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방향 제어 밸브(22)는, 조리개(29a, 29b)와 체크 밸브(29c)로 이루어지는 재생 회로를 가지는 것이 구비된다.
상기 파일럿 조작 장치(23)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레버(23a)로 해당 조작 레버(23a)에 의해 절환 조작되는 붐 하강 측 감압 밸브(23b)와, 붐 상승 측 감압 밸브(23c)로 구성된다.
상기 잭업 절환 밸브(25)의 파일럿 포트에는, 헌팅 방지용의 조리개(25d)가 구비된다.
상기 유량 제어 밸브(26)는, 포펫 밸브(261)와, 상기 포펫 밸브(261)의 배압실과 방향 제어 밸브(22)의 펌프 포트 측을 연통, 차단하는 파일럿식 절환 밸브(262)로 이루어진다.
상기 셔틀 밸브 군(30)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틀 밸브(301 ~ 315)와 유압 절환 밸브(317, 318)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셔틀 밸브 군(30)은, 개개의 셔틀 밸브 및 유압 절환 밸브를 배관에서 접속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블록 본체 내에 필요한 셔틀 밸브 및 유압 절환 밸브를 일체로 내장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셔틀 밸브(301 ~ 315) 중, 셔틀 밸브(301 ~ 307)는, 셔틀 밸브 군(30)의 최상단에 배치되고, 셔틀 밸브(301)는 주행 우측 전진의 조작 신호 압력 Af와 주행 우측 후진의 조작 신호 압력 Ar의 고압 측을 선택하고, 셔틀 밸브(302)는 주행 좌측 전진의 조작 신호 압력 Bf와 주행 좌측 후진의 조작 신호 압력 Br의 고압 측을 선택하고, 셔틀 밸브(303)는 버킷 클라우드의 조작 신호 압력 Cc와 버킷 덤프의 조작 신호 압력 Cd의 고압 측을 선택하고, 셔틀 밸브(304)는 붐 상승의 조작 신호 압력 Du와 잭업의 조작 신호 압력 G의 고압 측을 선택하고, 셔틀 밸브(305)는 암 클라우드의 조작 신호 압력 Ec와 암 덤프의 조작 신호 압력 Ed의 고압 측을 선택하고, 셔틀 밸브(306)는 우측 선회의 조작 신호 압력 Fr과 좌측 선회의 조작 신호 압력 Fl의 고압측을 선택하고, 셔틀 밸브(307)는 예비 액츄에이터가 예비 방향 제어 밸브에 접속된 경우에 설치되는 예비 파일럿 조작 장치의 한 쌍의 파일럿 밸브로부터의 조작 신호 압력의 고압 측을 선택한다.
셔틀 밸브(308 ~ 310)는 셔틀 밸브 군(30)의 2단째에 배치되고, 셔틀 밸브(308)는 최상단의 셔틀 밸브(301)와 셔틀 밸브(302)의 각각에서 선택한 조작 신호 압력의 고압 측을 선택하고, 셔틀 밸브(309)는 최상단의 셔틀 밸브(304)와 셔틀 밸브(305)의 각각에서 선택한 조작 신호 압력의 고압 측을 선택하고, 셔틀 밸브(310)는 최상단의 셔틀 밸브(306)와 셔틀 밸브(307)의 각각에서 선택한 조작 신호 압력의 고압 측을 선택한다.
셔틀 밸브(311, 312)는, 셔틀 밸브 군(30)의 3단째에 배치되고, 셔틀 밸브(311)는 최상단의 셔틀 밸브(303)와 2단째의 셔틀 밸브(309)의 각각에서 선택한 조작 신호 압력의 고압 측을 선택하고, 셔틀 밸브(312)는 2단째의 셔틀 밸브(309)와 셔틀 밸브(310)의 각각에서 선택한 조작 신호 압력의 고압 측을 선택한다.
셔틀 밸브(313, 314)는, 셔틀 밸브 군(30)의 4단째에 배치되고, 셔틀 밸브(313)는 최상단의 셔틀 밸브(301)와 3단째의 셔틀 밸브(311)의 각각에서 선택한 조작 신호 압력의 고압 측을 선택하고, 셔틀 밸브(304)는 3단째의 셔틀 밸브(311)와 셔틀 밸브(312)의 각각에서 선택한 조작 신호 압력의 고압 측을 선택한다.
셔틀 밸브(315)는, 셔틀 밸브 군(30)의 5단째에 배치되고, 4단째의 셔틀 밸브(314)에서 선택한 조작 신호 압력과 붐 하강의 조작 신호 압력 Dd의 고압 측을 선택한다.
유압 절환 밸브(317)는, 셔틀 밸브(313)에서 선택된 최고 압력이 수압부(317a)에 안내되어, 그 최고 압력을 기본으로 작동하고, 파일럿 펌프(24)의 압력으로부터 제어 신호 압력(펌프 제어 신호 Xp1)을 생성하는 비례 감압 밸브이다. 상기 유압 절환 밸브(317)는, 셔틀 밸브(313)에서 선택된 최고 압력이 탱크압 이하일 때는 도시한 위치에서 제어 신호 압력을 탱크압으로 저하시키고, 셔틀 밸브(313)에서 선택된 최고 압력이 탱크압 이상이 되면 도시한 위치로부터 절환되어, 파일럿 펌프(24)의 압력을 해당 최고 압력의 레벨에 따른 제어 신호 압력으로 감압하여 출력한다. 가변 용량 유압 펌프(21)의 레귤레이터(21a)는, 상기 제어 신호 압력(펌프 제어 신호 Xp1)에 의해 작동한다.
레귤레이터(21a)는, 펌프 제어 신호 Xp1의 압력이 상승에 따라서, 가변 용량 유압 펌프(21)의 경전을 증대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고, 펌프 제어 신호 Xp1가 주어지면, 거기에 따라 가변 용량 유압 펌프(21)의 토출 유량을 증감시킨다. 이로써, 파일럿 조작 장치(23)가 조작되면, 방향 제어 밸브(22)가 절환되고, 또한 가변 용량 유압 펌프(21)로부터는 조작 신호 압력(파일럿 조작 장치(23)의 조작량)에 따른 유량의 압유가 토출되어, 이 압유가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실(11a) 또는 로드실(11b)에 공급되어 붐용 유압 실린더(11)가 신축된다.
유압 절환 밸브(318)는, 셔틀 밸브(315)에서 선택된 최고 압력이 수압부(318a)에 안내되어, 그 최고 압력을 기본으로 작동하며, 파일럿 펌프(24)의 압력으로부터 제어 신호 압력(프론트 조작 Xf)을 생성하는 비례 감압 밸브이다. 상기 유압 절환 밸브(318)는, 셔틀 밸브(315)에서 선택된 최고 압력이 탱크압 이하일 때는 도시한 위치에서 제어 신호 압력을 탱크압으로 저하시키고, 셔틀 밸브(315)에서 선택된 최고 압력이 탱크압 이상이 되면, 도시한 위치로부터 절환되어, 파일럿 펌프(24)의 압력을 해당 최고 압력의 레벨에 따른 제어 신호 압력으로 감압하여 출력한다. 도시하지 않은 선회 브레이크 실린더와 주행 연통 밸브는, 상기 제어 신호 압력(프론트 조작 Xf)에 의해 작동한다.
이 제6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 대해 레귤레이터(경전 제어 수단)(21a)과, 이 레귤레이터(21a)에 경전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셔틀 밸브 군(경전 지시 수단)(30)을 설치한 구성이 기본적으로 상이할 뿐이므로, 제1 실시예와 구성이 관련되는 동작에 대하여서만 설명한다.
조작 레버(23a)가 중립 위치에 있고, 붐용 유압 실린더(11)에 인장력이 작용 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조작 레버(23a)를 도시하는 좌측 방향, 즉, 붐 하강 방향으로 조작하면, 붐(5) 하강 방향으로 회동(이른바 자기 하중 낙하)된다.
붐(5)의 자기 하중 낙하 시, 파일럿 조작 장치(23)에서 생성된 압유는 셔틀 밸브 군(30)의 잭업 신호 입력 포트 G에는 들어가지 않고, 붐 하강 신호 입력 포트 Dd에 들어간다. 잭업 신호 입력 포트 G의 압력은 다른 복수개의 조작 신호와 최고압으로 선택되어 유압 절환 밸브(317)를 절환하지만, 도시하지 않은 다른 파일럿 조작 장치가 조작되지 않는 경우에는, 유압 절환 밸브(317)가 절환되지 않고, 도 9의 상태가 유지된다. 이로써, 셔틀 밸브 군(30)으로부터는 펌프 제어 신호 Xp1으로서 탱크압이 출력되고, 레귤레이터(21a)를 통하여 가변 용량 유압 펌프(21)에 의해 용적이 저감되도록 제어된다.
한편, 조작 레버(23a)가 붐 하강 방향으로 조작되는 경우에 있어서, 보텀압이 잭업 절환 밸브(25)의 절환 압력보다 낮을 때에는, 제1 실시예와 같이하여 유도(33)로부터 방향 제어 밸브(22)의 미터인 포트에 공급된 가변 용량 유압 펌프(21)로부터의 압유가, 보텀실(11a)로부터 배출된 재생유와 함께 유도(35)를 통하여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로드실(11b)에 공급되어, 차체의 잭업력 등의 강한 누르는 힘을 발생시킬 수가 있다.
잭업 시에, 파일럿 조작 장치(23)에 의해 생성된 압유는 셔틀 밸브 군(30)의 잭업 신호 입력 포트 G에 들어가서, 다른 복수개의 조작 신호와 최고압으로 선택되어 유압 절환 밸브(317)를 절환한다. 이에 따라, 셔틀 밸브 군(30)으로부터는 펌프 제어 신호 Xp1으로서 상기 최고압에 따른 압력이 출력되고, 레귤레이터(21a)를 통하여 가변 용량 유압 펌프(21)에 의해 용적이 증가되도록 제어된다.
또, 조작 레버(23a)가 도시 오른쪽 방향, 즉, 붐 상승 방향으로 조작되는 경우에는, 파일럿 펌프(24)로부터 공급되는 압유에 의해 파일럿 관로(41)에 붐 상승용의 파일럿압이 도출되어, 방향 제어 밸브(22)가 절환 위치(22c)로 절환된다. 이로써, 로드실(11b)로부터 배출된 압유가 유도(35), 방향 제어 밸브(22), 유도(39)를 통하여 탱크(28)에 되돌려지므로, 보텀압이 잭업 절환 밸브(25)의 작동 압력보다 저압이 되어, 잭업 절환 밸브(25)가 절환 위치(25b)로 절환되어 유량 제어 밸브(26)가 절환 위치(26b)로 절환된다. 따라서, 유도(32), 유량제어 밸브(26), 유도(33)를 통하여 방향 제어 밸브(22)의 미터인 포트에 공급된 가변 용량 유압 펌프(21)로부터의 압유가, 유도(34)를 통하여 보텀실(11a)에 공급되어, 붐용 유압 실린더(11)가 신장되어, 붐(5)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붐 상승 조작 시에, 파일럿 조작 장치(23)에 의해 생성된 압유는 셔틀 밸브 군(30)의 붐 상승 신호 입력 포트 Du에 들어가, 다른 복수개의 조작 신호와 최고압으로 선택되어 유압 절환 밸브(317)를 절환한다. 이에 따라, 셔틀 밸브 군(30)으로부터는 펌프 제어 신호 Xp1으로서 상기 최고압에 따른 압력이 출력되고, 레귤레이터(21a)를 통하여 가변 용량 유압 펌프(21)에 의해 용적이 증가되도록 제어된다.
본 실시예와 관계되는 유압작업기는,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압의 변화를 감시하고, 붐 하강 동작 시에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압이 소정압 이상일 때에는, 잭업 절환 밸브(25)를 절환 위치(25a)로 절환하여, 이로써 유량 제어 밸브(26)의 절환 밸브(262)를 절환 위치(26a)로 절환함과 동시에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을 밸브 위치(27a)로 하고, 가변 용량 유압 펌프(21)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로드실(11b)에 공급하지 않게 했으므로, 차체를 잭업시키기 위한 누르는 힘을 필요로 하지 않는 단순한 붐 하강 동작 시의 펌프 소비 마력을 저감할 수 있고. 또, 단순한 붐 하강 동작 시에 가변 용량 유압 펌프(21)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로드실(11b)에 공급하지 않으므로, 붐(5)과 다른 작업 요소, 예를 들면 암(6)이나 버킷(7)을 복합 동작 시킬 때에, 가변 용량 유압 펌프(21)로부터 암용 유압 실린더(12)나 버킷용 유압 실린더(13)에 공급되는 압유를 상대적으로 증가시킬 수가 있어, 유압 작업기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한편, 붐 하강 동작 시에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압이 소정압 이하일 때에는, 잭업 절환 밸브(25)를 밸브 위치(25b)로 절환하고, 이로부터 유량 제어 밸브(26)의 절환 밸브(262)를 절환 위치(26b)로 절환하고, 또한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를 절환 위치(27b)로 절환하여 가변 용량 유압 펌프(21)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로드실(11b)에 공급하므로, 붐(5)에 큰 누르는 힘을 발생시킬 수가 있어 차체의 잭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 붐(5)의 하강 동작 시에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압이 소정압 이상일 때에는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21)가 밀어내는 만큼의 용적이 저감되도록 제어하고, 붐(5)의 하강 동작 시에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압이 소정압 이하일 때에는 레귤레이터(21a)에 의해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31)가 밀어내는 만큼의 용적이 증가되도록 제어하므로, 단순한 붐 하강 동작 시에 있어서의 펌프 소비 마력을 저감할 수 있고, 유압 작업기의 연비를 저감할 수 있고, 또한 붐(5)의 강압 작업 시에 필요량의 압유를 신속하게 붐용 유압 실린더(11)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붐(5)의 단순한 하강 동작으로부터 강압 작업으로의 이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그 외, 특히 설명하지 않는 각 부, 및 각 부의 동작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등하게 구성되며, 동등하게 동작한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붐용 유압 실린더(11)를 구동하기 위한 유압 회로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요지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작업 요소용의 유압 실린더를 구동하기 위한 유압 회로에 대하여도 상기와 동일게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작업 요소용의 유압 실린더로서는, 예를 들면, 암용 유압 실린더(12)를 들 수 있다. 상기 암용 유압 실린더(12)에 의해 잭업을 행하는 동작은, 먼저, 암(6)과 붐(5)을 연결하고 있는 부분 보다도 앞쪽에 암(6)을 위치시켜, 버킷(7)을 지면에 꽉 누른 상태로부터 암용 유압 실린더(12)를 신장하여, 암이 직립할 때까지 암(6)을 운전석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동작을 행하기 위해, 암용 유압 실린더(12)의 도시하지 않은 보텀실측에 압유를 안내하여, 암용 유압 실린더(12)를 신장한다. 이 때, 암용 유압 실린더(12)의 로드실의 압력을 감시하여, 상기 로드실의 압력이 낮을 때에 암 실린더의 보텀실에 압유를 안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잭업 시에 강한 누르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유압 회로의 제7 실시예]
다음에, 상기 유압 작업기에 구비되는 유압 회로의 제7 예를 도 10에 의해 설명한다. 도 10은 제7 실시예와 관계되는 유압 회로의 회로도이며, 이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예의 유압 회로는, 잭업 절환 밸브 및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의 절환을 전자 밸브에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10에 있어서, 부호 51은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압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 부호 52는 잭업 절환 밸브(25) 및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를 절환하기 위한 전자 밸브, 부호 53은 압력 센서(51)의 출력 신호를 받아서 전자 밸브(52)의 신호 입력부에 공급되는 지령 전류치를 출력하는 컨트롤러, 부호 54는 파일럿 관로(40)로부터 분기하여, 전자 밸브(52)로 연락하는 유도, 부호 55는 잭업 절환 밸브(25)의 신호 포트와 전자 밸브(52)를 연결하는 파일럿 관로, 부호 56은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의 신호 포트와 전자 밸브(52)를 연결하는 파일럿 관로를 나타내고 있고, 그 외, 도 8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그와 동일한 부호가 표시되어 있다.
컨트롤러(53)에는, 압력 센서(51)에서 검출된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압치와 전자 밸브(52)의 신호 입력부에 공급되는 지령 전류치와의 관계가 기억되어 있어서 압력 센서(51)에 의해 검출된 보텀압치가 붐 자기 하중 낙하 시의 보텀압치의 범위 내, 즉, 소정압 P0이상의 경우에는, 전자 밸브(52)가 밸브 위치(52a)를 유지하고, 압력 센서(51)에 의해 검출된 보텀압치가 붐(5)에 누르는 힘이 작용했을 경우의 보텀압치의 범위 내, 즉, 소정압 P0 보다도 저압의 경우에는, 전자 밸브(52)를 절환 위치(52b)로 절환하는 지령 전류를 출력한다.
전자 밸브(52)가 밸브 위치(52a)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붐 하강 신호가 되는 파일럿압이 전자 밸브(52)에서 차단되어 파일럿 관로(55, 56)에 파일럿압이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잭업 절환 밸브(25)가 밸브 위치(25a)를 유지하고, 유량 제어 밸브(26)의 절환 밸브(262)가 절환 위치(26a)로 절환되고, 또한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가 밸브 위치(27a)를 유지한다. 이에 비해, 상기 전자 밸브(52)가 절환 위치(52b)로 절환되어 붐 조작을 했을 경우에는, 붐 하강 신호로 되는 파일럿압이 전자 밸브(52)를 통하여 파일럿 관로(55, 56)에 공급되므로, 잭업 절환 밸브(25)가 절환 위치(25b)로 절환되어, 또한 유량 제어 밸브(26)의 절환 밸브(262)가 절환 위치(26b)로 절환되고, 또한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가 절환 위치(27b)로 절환된다.
절환 밸브(262)가 절환 위치(26a)로 절환되고, 또한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가 밸브 위치(27a)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처럼, 로드실(11b)에 공급되는 압유는 보텀실(11a)로부터 배출되는 재생유 만이 되어, 붐(5)이 자기 하중 낙하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셔틀 밸브 군(30)으로부터 레귤레이터(21a)에 탱크압에 해당하는 펌프 제어 신호 Xp1이 출력되고, 가변 용량 유압 펌프(21)가 밀어내는 만큼의 용적이 저감되도록 제어된다. 한편, 잭업 절환 밸브(25)가 절환 위치(25b)로 절환되고, 또한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가 절환 위치(27b)로 절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처럼, 로드실(11b)에 재생유와 가변 용량 유압 펌프(21)로부터 공급되는 압유가 합류 하여 공급되고, 차체의 잭업력 등의 강한 누르는 힘을 얻을 수 있고. 그리고, 이 경우에는, 셔틀 밸브 군(30)에 있어서 레귤레이터(21a)에 셔틀 밸브 군(30)에서 선택된 최고압에 따른 펌프 제어 신호 Xp1이 출력되고, 가변 용량 유압 펌프(21)가 밀어내는 ㅁ만큼의 용적이 증가되도록 제어된다.
본 실시예와 관계되는 유압 작업기는, 제6 실시예와 관계되는 유압 작업기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것 외에 적어도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실(11a)과 잭업 절환 밸브(25)의 신호 포트를 연결하는 유도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유압 회로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유압 회로의 제8 실시예]
다음에, 상기 유압 작업기에 구비되는 유압 회로의 제8 예를 도 11에 의해 설명한다. 도 11은 제8 실시예에 관한 유압 회로의 회로도이며, 이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예의 유압 회로는, 잭업 절환 밸브로서 2개의 전자 밸브를 구비하고, 또한 붐용 유압 실린더의 보텀압 및 방향 제어 밸브의 파일럿압에 따라 이들 2개의 전자 밸브의 절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11에 있어서, 부호 51은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압을 검출하는 제1 압력 센서, 부호 61 및 62는 잭업 절환 밸브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전자 밸브, 부호 63은 파일럿 관로(40)의 파일럿압을 검출하는 제2 압력 센서, 부호 64는 제1 압력 센서(51)의 출력 신호 및 제2 압력 센서(63)의 출력 신호를 받아서 제1 및 제2 전자 밸브(61,6 2)의 절환 위치를 절환하기 위한 지령 전류치를 출력하는 컨트롤러, 부호 65는 제1 전자 밸브(61)와 유량 제어 밸브(26)의 절환 밸브(262)의 신호 포트를 연결하는 파일럿 관로, 부호 66은 제2 전자 밸브(62)와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의 신호 포트를 연결하는 파일럿 관로를 나타내고 있고, 그 외, 도 8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그와 동일한 부호가 표시되어 있다.
컨트롤러(64)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압력 센서(51)에서 검출된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압치와, 제1 및 제2 전자 밸브(61, 62)의 신호 입력부에 공급되는 지령 전류치와의 관계가 기억된 제1 기억부(71)와, 제2 압력 센서(63)에서 검출된 파일럿 관로(40)의 파일럿압(붐 하강 신호)과 제1 전자 밸브(62)의 신호 입력부로 공급되는 지령 전류치와의 관계가 기억된 제2 기억부(72)와, 상기 제1 기억부(71)으로부터 출력되는 지령 전류치와 상기 제2 기억부(72)로부터 출력되는 지령 전류치 중, 작은 쪽의 지령 전류치를 선택하여 상기 제1 전자 밸브(62)의 신호 입력부에 공급하는 최소치 선택 회로(7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예의 컨트롤러(64)에 의하면, 압력 센서(51)에 의해 검출된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압치가 붐 자기 하중 낙하 시의 보텀압치의 범위 내, 즉, 소정압 PO이상의 경우에는, 제1 기억부(71)로부터 출력되는 지령 전류치가 작은 값이 되기 때문에, 제1 전자 밸브(61)는 밸브 위치(61a)를 유지하고, 또, 최소치 선택 회로(73)로부터는, 제2 기억부(72)로부터 출력되는 지령 전류의 대소와 관계없이, 작은 값의 지령 전류가 출력된다. 그러므로, 제2 전자 밸브(62)도 밸브 위치(62a)를 유지한다. 따라서, 파일럿 펌프(24)로부터 토출된 압유가 제1 전자 밸브(61) 및 파일럿 관로(65)를 통하여 유량 제어 밸브(26)의 절환 밸브(262)의 신호 포트에 공급되므로, 절환 밸브(262)가 절환 위치(26a)로 절환되고, 또한 파일럿 펌프(24)로부터 토출된 압유가 제2 전자 밸브(62)에서 차단되기 때문에 파일럿 관로(66)에 파일럿압이 생성되지 않고,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가 밸브 위치(27a)를 유지한다.
한편, 압력 센서(51)에 의해 검출된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압치가 붐(5)에 누르는 힘이 작용했을 경우의 보텀압치의 범위 내, 즉, 소정압 PO보다 저압의 경우에는, 제1 기억부(71)로부터 출력되는 지령 전류치가 큰 값이 되기 때문에 제1 전자 밸브(61)가, 절환 위치(61b)로 절환된다. 또, 최소치 선택 회로(73)로부터는, 제2 기억부(72)로부터 출력된 지령 전류에 따른 전류가 출력된다. 그러므로, 붐 하강 동작 시에는, 제2 전자 밸브(62)는 절환 위치(62b)로 절환되고,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는 절환 위치(27b)로 절환된다. 역으로, 붐 하강 조작을 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2 전자 밸브(62)는 밸브 위치(62a)를 유지하지 때문에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는 밸브 위치(27a)를 유지한다.
유량 제어 밸브(26)의 절환 밸브(262)가 절환 위치(26a)로 절환되고, 또한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가 밸브 위치(27a)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처럼, 로드실(11b)에 보텀실(11a)로부터 배출된 재생유만 공급되고, 붐(5)이 자기 하중 낙하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셔틀 밸브 군(30)에서 레귤레이터(21a)에 탱크압에 해당하는 펌프 제어 신호 Xp1이 출력되고, 가변 용량 유압 펌프(21)이 밀어내는 만큼의 용적이 저감되도록 제어된다. 한편, 잭업 절환 밸브(25)를 구성하는 제1 전자 밸브(61) 및 제2 전자 밸브(62)의 밸브 위치가, 각각 절환 위치(61b, 62b)로 절환되고, 또한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가 절환 위치(27b)로 절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처럼, 로드실(11b)에 재생유와 가변 용량 유압 펌프(21)로부터 공급되는 압유가 합류하여 공급되므로, 차체의 잭업력 등의 강한 누르는 힘이 발생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셔틀 밸브 군(30)으로부터 레귤레이터(21a)에 셔틀 밸브 군(30)에서 선택된 최고압에 따른 펌프 제어 신호 Xp1이 출력되고, 가변 용량 유압 펌프(21)가 밀어내는 만큼의 용적이 증가되도록 제어된다.
본 실시예와 관계되는 유압 작업기도, 제7 실시예와 관계되는 유압 작업기와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
[유압 회로의 제9 실시예]
다음에, 상기 유압 작업기에 구비되는 유압 회로의 제9 예를 도 12에 의해 설명한다. 도 12는 제9 실시예와 관계되는 유압 회로의 회로도이며, 이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예의 유압 회로는, 파일럿 조작 장치(23)를 구성하는 감압 밸브(23b)에 의한 파일럿압, 즉, 붐 하강 신호에 의해 방향 제어 밸브(22), 유량 제어 밸브(26) 및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의 절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12에 있어서, 부호 51은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압을 검출하는 제1 압력 센서, 부호 81 및 82는 잭업 절환 밸브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전자 밸브, 부호 83은 압력 센서(51)의 출력 신호를 받아서 제1 및 제2 전자 밸브(81, 82)의 절환 위치를 절환하기 위한 지령 전류치를 출력하는 컨트롤러, 부호 84는 파일럿 관로(40)로부터 분기하여, 제1 전자 밸브(81)로 연결하는 파일럿 관로, 부호 85는 파일럿 관로(40)로부터 분기하여, 제2 전자 밸브(82)로 연결하는 파일럿 관로, 부호 86은 제1 전자 밸브(81)와 유량 제어 밸브(26)의 절환 밸브(262)의 신호 포트를 연결하는 파일럿 관로, 부호 87은 제2 전자 밸브(82)와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의 신호 포트를 연결하는 파일럿 관로, 부호 88은 제2 전자 밸브(82)와 파일럿 조작 장치(23)에 구비된 붐 상승 조작용의 감압 밸브(23c)를 연결하는 파일럿 관로, 부호 89는 파일럿 관로(87)와 파일럿 관로(88)의 접속점에 설치된 체크 밸브를 나타내고 있고, 그 외, 도 8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그와 동일한 부호가 표시되어 있다.
컨트롤러(83)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압력 센서(51)에서 검출된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압치와 제1 전자 밸브(81)의 신호 입력부에 공급되는 지령 전류치와의 관계가 기억된 제1 기억부(91)와, 제1 압력 센서(51)에서 검출된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압치와 제2 전자 밸브(82)의 신호 입력부에 공급되는 지령 전류치와의 관계가 기억된 제2 기억부(9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예의 컨트롤러(83)에 의하면, 압력 센서(51)에 의해 검출된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압치가 붐 자기 하중 낙하 시의 보텀압치의 범위 내, 즉, 소정압 PO이상의 경우에는, 제1 전자 밸브(81)가 제1 기억부(91)로부터 출력되는 지령 전류치에 의해 밸브 위치(81a)를 유지하고, 또한 제2 전자 밸브(82)가 제2 기억부(92)로부터 출력되는 지령 전류치에 의해 밸브 위치(82a)를 유지한다. 따라서, 붐 하강 조작의 경우에는, 파일럿 관로(40)로부터 파일럿 관로(84), 제1 전자 밸브(81) 및 파일럿 관로(86)를 통하여 유량 제어 밸브(26)의 절환 밸브(262)의 신호 포트에 공급되고, 절환 밸브(262)가 절환 위치(26a)로 절환되고, 또한 파일럿 관로(85)가 제2 전자 밸브(82)에서 차단되기 때문에, 파일럿 관로(87)에 파일럿압이 생성되지 않고,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가 밸브 위치(27a)를 유지한다.
한편, 압력 센서(51)에 의해 검출된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압치가 붐(5)에 누르는 힘이 작용했을 경우의 보텀압치의 범위 내, 즉, 소정압 PO보다 저압의 경우에는, 제1 전자 밸브(81)가 제1 기억부(91)로부터 출력되는 지령 전류치에 의해 절환 위치(81b)로 절환되고, 또한 제2 전자 밸브(82)가 제2 기억부(92)로부터 출력되는 지령 전류치에 의해 절환 위치(82b)로 절환된다. 따라서, 파일럿 관로(84)가 제1 전자 밸브(81)에서 차단되므로, 파일럿 관로(86)에 파일럿압이 생성되지 않고, 유량 제어 밸브(26)가 절환 위치(26b)로 절환되고, 또한 파일럿 관로(40)와 파일럿 관로(87)가 연통 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붐 하강 조작을 행하면, 붐 하강용의 파일럿압이 파일럿 관로(40), 파일럿 관로(85), 제2 전자 밸브(82) 및 파일럿 관로(87)를 통하여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의 신호 포트에 공급되므로,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가 절환 위치(27b)로 절환된다.
유량 제어 밸브(26)의 절환 밸브(262)가 절환 위치(26a)로 절환되고, 또한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가 절환 위치(27a)로 절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처럼, 로드실(11b)에 보텀실(11a)로부터 배출된 재생유만 공급되므로, 붐(5)이 자기 하중 낙하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셔틀 밸브 군(30)으로부터 레귤레이터(21a)에 탱크압에 상당하는 펌프 제어 신호 Xp1이 출력되어, 가변 용량 유압 펌프(21)가 밀어내는 만큼의 용적이 저감되도록 제어된다. 한편, 잭업 절환 밸브(25)를 구성하는 제1 전자 밸브(81) 및 제2 전자 밸브(82)가 절환 위치(81b, 82b)로 절환되고, 또한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가 절환 위치(27b)로 절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처럼, 로드실(11b)에 재생유와 가변 용량 유압 펌프(21)로부터 공급되는 압유가 합류하여 공급되므로, 차체의 잭업력 등의 강한 누르는 힘이 발생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셔틀 밸브 군(30)으로부터 레귤레이터(21a)에 셔틀 밸브 군(30)에서 선택된 최고압에 따른 펌프 제어 신호 Xp1이 출력되어, 가변 용량 유압 펌프(21)가 밀어내는 만큼의 용적이 증가되도록 제어된다.
본 실시예와 관계되는 유압 작업기도, 제7 실시예와 관계되는 유압 작업기와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
[유압 회로의 제10 실시예]
다음에, 상기 유압 작업기에 구비되는 유압 회로의 제10 예를 도 13 및 도 14로부터 설명한다. 도 13은 제10 실시예와 관계되는 유압 회로의 회로도, 도 14는 제10 실시예의 유압 회로에 구비되는 셔틀 밸브 군의 구성도이며, 이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예의 유압 회로는, 붐 구동용의 유압 회로에 주행 장치 구동용의 유압 회로를 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13에 있어서, 부호 8은 우측 주행용 유압 모터, 부호 9는 좌측 주행용 유압 모터, 부호 101은 제2 가변 용량 유압 펌프, 부호 101a는 제2 가변 용량 유압 펌프(101)가 밀어내는 용적을 제어하는 제2 레귤레이터(경전 제어 수단), 부호 102는 가변 용량 유압 펌프(21)로부터 우측 주행용 유압 모터(8)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2 방향 제어 밸브, 부호 103은 제2 가변 용량 유압 펌프(101)로부터 좌측 주행용 유압 모터(9)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3 방향 제어 밸브, 부호 104는 붐 하강 조작 시에 제2 가변 용량 유압 펌프(101)로부터 붐용 유압 실린더(11)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4 방향 제어 밸브, 부호 105는 붐 하강 조작 시에, 제1 가변 용량 유압 펌프(21)로부터 공급되는 압유를 좌측 주행용 유압 모터(9) 측에 공급하기 위한 절환 밸브, 부호 106은 붐 조작 시에, 절환 밸브(105)에 절환 신호를 부여하는 셔틀 밸브, 부호 107은 제2 가변 용량 유압 펌프(101)와 제4 방향 절환 밸브(104)를 연결하는 유도, 부호 108은 제2 가변 용량 유압 펌프(101)와 탱크(28)를 연락하는 센터 바이패스 통로, 부호 109는 제4 방향 절환 밸브(104)와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로드실(11b)을 연결하는 유도, 부호 110은 제4 방향 절환 밸브(104)와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실(11a)을 연결하는 유도, 부호 111은 유도(110)에 설치된 역지 밸브, 부호 112는 가변 용량 유압 펌프(21)와 절환 밸브(105)를 연결하는 유도, 부호 113은 유도 112에 설치된 역지 밸브, 부호 114는 절환 밸브(105)와 제3 방향 제어 밸브(103)를 연결하는 유도, 부호 115는 잭업 절환 밸브(25)에 붐 하강 신호가 되는 파일럿압을 안내하는 파일럿 관로, 부호 116은 제4 방향 제어 밸브(104)의 신호 포트에 붐 하강 신호를 공급하는 파일럿 관로, 부호 117은 제4 방향 제어 밸브(104)의 신호 포트에 붐 상승 신호를 공급하는 파일럿 관로, 부호 118은 절환 밸브(105)의 신호 포트에 절환 신호를 공급하는 파일럿 관로를 나타내고 있고, 그 외, 도 8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그와 동일한 부호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본 예의 유압 회로에 구비되는 셔틀 밸브 군(30)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9의 셔틀 밸브 군에 셔틀 밸브(316)와 유압 절환 밸브(319)를 부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셔틀 밸브(316)는, 셔틀 밸브 군(30)의 6단째에 배치되고, 최상단의 셔틀 밸브(302)와 3단째의 셔틀 밸브(312)의 각각에서 선택한 조작 신호 압력의 고압 측을 선택한다. 또, 유압 절환 밸브(319)는, 셔틀 밸브(316)에 의해 선택된 최고 압력이 수압부(319a)에 안내되어, 그 최고 압력을 기본으로 작동하고, 파일럿 펌프(24)의 압력으로부터 제어 신호 압력(펌프 제어 신호 Xp2)을 생성하는 비례 감압 밸브이다. 상기 유압 절환 밸브(319)는, 셔틀 밸브(316)에 의해 선택된 최고 압력이 탱크압 이하일 때는 도시한 위치에 있어서 제어 신호 압력을 탱크압으로 저하시키고, 셔틀 밸브(316)에 의해 선택된 최고 압력이 탱크압 이상으로 되면 도시한 위치로부터 절환되어, 파일럿 펌프(24)의 압력을 해당 최고 압력의 레벨에 따른 제어 신호 압력으로 감압하여 출력한다. 제2 가변 용량 유압 펌프(101)의 레귤레이터(101a)는, 상기 제어 신호 압력(펌프 제어 신호 Xp2)에 의해 작동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0 실시예와 관계되는 유압 작업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조작 레버(23a)가 중립 위치에 있는 경우,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향 제어 밸브(22) 및 제4 방향 제어 밸브(104)는 각각 중립 위치(22b) 및 중립 위치(104b)를 유지하고, 잭업 절환 밸브(25)는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 측의 장력에 의해 절환 위치(25a)로 절환된다. 이 상태에서는 파일럿 관로(43)가 탱크(28)와 연통하여 있고,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는 밸브 위치(27a)를 유지하고, 절환 밸브(105)는 밸브 위치(105a)를 유지한다. 따라서, 가변 용량 유압 펌프(21)로부터 토출된 압유는, 유도(31), 방향 제어 밸브(22)의 센터 바이패스 포트, 유도(37),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 및 유도(38)를 통하여 탱크(28)에 안내되고, 또 제2 가변 용량 유압 펌프(101)로부터 토출된 압유는, 유도(107), 유도(108), 제3 방향 제어 밸브(103)의 센터 바이패스 포트를 통하여 탱크(28)에 안내되기 때문에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실(11a) 및 로드실(11b)에는 압유가 공급되지 않는다.
이 상태로부터 조작 레버(23a)를 도시 좌측 방향, 즉, 붐 하강 방향으로 조작하면, 파일럿 펌프(24)로부터 공급되고, 감압 밸브(23b)에 의해 감압된 파일럿압이 파일럿 관로(40)에 도출하고, 방향 제어 밸브(22)가 절환 위치(22a)로 절환된다. 한편, 파일럿 관로(115)에 이 파일럿압이 안내되어 잭업 절환 밸브(25)를 통하여 절환 밸브(262)의 신호 포트에 안내되기 때문에 절환 밸브(262)가 절환 위치(26a)로 절환된다. 이로써, 보텀실(11a)로부터 복귀하는 오일의 일부가 조리개(29b), 체크 밸브(29c) 및 유도(35)를 통하여 로드실(11b)에 재생되고, 또한 나머지가 조리개(29a) 및 유도(39)를 통하여 탱크(28)에 되돌려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 보텀압이 잭업 절환 밸브(25)의 작동 압력보다 높을 때에는, 잭업 절환 밸브(25)는 밸브 위치(25a)를 유지하므로, 유량 제어 밸브(26)의 절환 위치도 절환 위치(26a)를 유지하고, 또,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도 밸브 위치(27a)를 유지한다. 따라서, 가변 용량 유압 펌프(21)로부터 토출된 압유는, 유도(31), 방향 제어 밸브(22)의 센터 바이패스 포트, 유도(37),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 및 유도(38)를 통하여 탱크(28)에 안내되고, 또, 제2 가변 용량 유압 펌프(101)로부터 토출된 압유는, 유도(107), 유도(108), 제3 방향 제어 밸브(103)의 센터 바이패스 포트를 통하여 탱크(28)에 안내되므로,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보텀실(11a) 및 로드실(11b)에는 압유가 공급되지 않고, 로드실(11b)에 보텀실(11a)로부터 배출된 재생유 만 공급되고, 붐(5)의 자기 하중에 의해 붐용 유압 실린더(11)가 축소되어, 붐(5)이 자기 하중 낙하한다.
붐(5)의 자기 하중 낙하 시에, 파일럿 조작 장치(23)에 의해 생성된 압유는 셔틀 밸브 군(30)의 잭업 신호 입력 포트 G에는 들어가지 않고, 붐 하강 신호 입력 포트 Dd에 들어간다. 잭업 신호 입력 포트 G의 압력은 다른 복수개의 조작 신호와 최고압으로 선택되어 유압 절환 밸브(317)를 절환하지만, 도시하지 않은 다른 파일럿 조작 장치가 조작되지 않는 경우에는, 유압 절환 밸브(317)가 절환되지 않고, 도 4 상태를 유지한다. 이로써, 셔틀 밸브 군(30)으로부터는 펌프 제어 신호 Xp1, Xp2로서 탱크압이 출력되고, 레귤레이터(21a, 101a)를 통하여 가변 용량 유압 펌프(21, 101)에 의해 용적이 저감되도록 제어된다.
한편, 조작 레버(23a)가 붐 하강 방향으로 조작되는 경우에 있어서, 보텀압이 잭업 절환 밸브(25)의 작동 압력보다 낮아졌을 때에는, 잭업 절환 밸브(25)가 절환 위치(25b)로 절환되므로, 파일럿 관로(45)가 잭업 절환 밸브(25)를 통하여 탱크(28)으로 연통하고, 유량 제어 밸브(26)의 절환 밸브(262)가 밸브 위치(26b)로 절환된다. 따라서, 가변 용량 유압 펌프(21)로부터 토출된 압유가, 유도(32), 유량 제어 밸브(26), 유도(33)를 통하여 방향 제어 밸브(22)의 미터인 포트에 공급된다. 또, 잭업 절환 밸브(25)의 절환에 따라서, 붐 하강 신호로서의 파일럿압이 파일럿 관로(115), 잭업 절환 밸브(25), 파일럿 관로(43)를 통하여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의 신호 포트에 공급되므로,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27)가 절환 위치(27b)로 절환되고, 또한 파일럿 관로(116)를 통하여 제4 방향 제어 밸브(104)의 붐 하강 측의 신호 포트에 공급되므로, 제4 방향 제어 밸브(104)가 절환 위치(104a)로 절환된다.
따라서, 가변 용량 유압 펌프(21)로부터 토출된 압유가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로드실(11b)에 공급되고, 또한 제2 가변 용량 유압 펌프(101)로부터 토출된 압유가 제4 방향 제어 밸브(104), 유도(109) 및 유도(35)를 통하여 붐용 유압 실린더(11)의 로드실(11b)에 공급되고, 로드실(11b)에는 보텀실(11a)로부터 배출된 재생유와 가변 용량 유압 펌프(21)으로부터 공급되는 압유 및 제2 가변 용량 유압 펌프(101)로부터 공급되는 압유가 합류하여 공급되므로, 차체의 잭업력 등의 강한 누르는 힘을 발생시킬 수가 있다.
잭업 시에, 파일럿 조작 장치(23)에 의해 생성된 압유는 셔틀 밸브 군(30)의 잭업 신호 입력 포트 G에 들어가, 다른 복수개의 조작 신호와 최고압으로 선택되어 유압 절환 밸브(317)를 절환한다. 이로써, 셔틀 밸브 군(30)으로부터는 펌프 제어 신호 Xp1, Xp2로서 상기 최고압에 따른 압력이 출력되고, 레귤레이터(21a, 101a)를 통하여 가변 용량 유압 펌프(21,101)에 의해 용적이 증가되도록 제어된다.
또, 붐 조작용의 파일럿압이 셔틀 밸브(106), 유도(118)을 통하여 절환 밸브(105)에 안내되기 때문에, 절환 밸브(105)가 절환 위치(105b)로 절환되어 가변 용량 유압 펌프(21)로부터 토출된 압유가 제2 방향 제어 밸브(102) 및 제3 방향 제어 밸브(103)를 통하여 각각 좌우의 주행용 유압 모터(8, 9)에 공급된다. 이로써, 붐과 주행을 동시에 조작할 때에는, 좌우의 주행 모터(8,9)에는 가변 용량 유압 펌프(21)로부터의 압유가 공급되고, 붐용 유압 실린더(11)에는 제2 가변 용량 유압 펌프(101)로부터의 압유가 공급되므로, 주행 조작과 붐 하강 동작의 복합 동작에 의한 차체의 잭업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0 실시예에 있어서는, 잭업 절환 밸브(25)로서 유압 파일럿식 절환 밸브를 사용하였지만, 상기 제7 내지 제9 실시예와 관계되는 유압 작업기와 같이, 전자 유압식 또는 전자식 절환 밸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붐용 유압 실린더(11)을 구동하기 위한 유압 회로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요지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작업 요소용의 유압 실린더를 구동하기 위한 유압 회로에 대하여도 상기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압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잭업 절환 밸브로서 유압 파일럿식 절환 밸브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이와 같이, 잭업 절환 밸브로서 유압 파일럿식 절환 밸브를 구비하면, 잭업 절환 밸브의 신호 포트와 유압 실린더의 보텀실을 유도로 연결하기만 하면 되고,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단순한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 시에 있어서의 펌프 소비 마력의 저감과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주행용의 유압 회로를 구비하였으므로, 주행 동작과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의 복합 동작을 행함으로써, 차체의 잭업도 가능한 유압 작업기를 저가로 만들 수 있다.

Claims (14)

  1. 주 펌프로부터 토출(吐出)되는 압유에 의해 신축되어 작업 요소를 구동하는 복동식 유압 실린더와,
    상기 주 펌프로부터 상기 유압 실린더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방향 제어 밸브와,
    상기 방향 제어 밸브의 절환 조작을 행하는 조작 장치를 구비하는 유압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유압 실린더에 공급되는 압력이 소정압에 이르렀을 때에 유로(流路)가 절환되는 잭업(jack-up) 절환 밸브와,
    상기 절환 밸브의 절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주 펌프로부터 상기 방향 제어 밸브의 미터인(meter-in)에 공급되는 압유의 유로를 개로(開路) 측 또는 폐로(閉路) 측으로 변경하는 유로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 시에 상기 유압 실린더의 유지압이 상기 소정압 이상일 때에는, 상기 잭업 절환 밸브가 제1 절환 위치로 절환되어서, 상기 유로 변경 수단을 폐로 측으로 절환하여 상기 주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상기 유압 실린더의 비유지압 공급 측에 공급하지 않고,
    상기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 시에 상기 유압 실린더의 유지압이 상기 소정압미만일 때에는, 상기 잭업 절환 밸브가 제2 절환 위치로 절환되어서, 상기 유로 변경 수단을 개로 측으로 절환하여 상기 주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상기 방향 제어 밸브를 통하여 상기 유압 실린더의 유지압 측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작업기.
  2. 주 펌프와, 작업 요소와, 상기 주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에 의해 신축되어 상기 작업 요소를 구동하는 복동식 유압 실린더와, 상기 주 펌프로부터 상기 유압 실린더의 보텀실 및 로드실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방향 제어 밸브와, 상기 방향 제어 밸브의 절환 조작을 행하는 조작 장치를 구비한 유압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유압 실린더의 보텀압이 소정압에 이르렀을 때에 절환되는 잭업 절환 밸브와,
    상기 잭업 절환 밸브의 절환 조작에 따라 상기 주 펌프로부터 상기 방향 제어 밸브의 미터인에 공급되는 압유의 유로를 개로 측 또는 폐로 측으로 변경하는 유로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 시에 상기 유압 실린더의 보텀압이 상기 소정압 이상일 때에는, 상기 잭업 절환 밸브가 제1 절환 위치로 절환되어서, 상기 유로 변경 수단을 폐로 측으로 절환하여 상기 주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상기 유압 실린더의 로드실에 공급하지 않고,
    상기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 시에 상기 유압 실린더의 보텀압이 상기 소정압미만일 때에는, 상기 잭업 절환 밸브가 제2 절환 위치로 절환되어서, 상기 유로 변경 수단을 개로 측으로 절환하여 상기 주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상기 방향 제어 밸브를 통하여 상기 유압 실린더의 로드실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작업기.
  3. 제1 및 제2 주 펌프와, 상기 제1 주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에 의해 구동되는 제1 주행 장치와, 상기 제2 주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에 의해 구동되는 제2 주행 장치와, 상기 제1 주 펌프로부터 상기 제1 주행 장치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 방향 제어 밸브와, 상기 제2 주 펌프로부터 상기 제2 주행 장치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2 방향 제어 밸브와, 작업 요소와, 상기 제1 및 제2 주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에 의해 신축되어 상기 작업 요소를 구동하는 복동식 유압 실린더와, 상기 제1 주 펌프로부터 상기 유압 실린더의 보텀실 및 로드실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3 방향 제어 밸브와, 상기 제2 주 펌프로부터 상기 유압 실린더의 보텀실 및 로드실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4 방향 제어 밸브와, 상기 제1 및 제2 방향 제어 밸브의 절환 조작을 행하는 제1 조작 장치와, 상기 제3 및 제4 방향 제어 밸브의 절환 조작을 행하는 제2 조작 장치를 구비한 유압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유압 실린더의 보텀압이 소정압에 이르렀을 때에 절환되는 잭업 절환 밸브와,
    상기 잭업 절환 밸브의 절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제1 주 펌프로부터 상기 제3 방향 제어 밸브의 미터인에 공급되는 압유의 유로를 개로 측 또는 폐로 측으로 변경하는 유로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 시에 상기 유압 실린더의 보텀압이 상기 소정압 이상일 때에는, 상기 잭업 절환 밸브가 제1 절환 위치로 절환되어서, 상기 유로 변경 수단을 폐로 측으로 절환하여 상기 제1 및 제2 주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상기 유압 실린더의 로드실에 공급하지 않고,
    상기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 시에 상기 유압 실린더의 보텀압이 상기 소정압미만일 때에는, 상기 잭업 절환 밸브가 제2 절환 위치로 절환되어서, 상기 유로 변경 수단을 개로 측으로 절환하여 상기 제1 및 제2 주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상기 제3 및 제4 방향 제어 밸브를 통하여 상기 유압 실린더의 로드실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작업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실린더의 보텀실로부터 배출되는 미터 아웃 오일의 일부를 상기 유압 실린더의 로드실에 공급되는 미터인 오일로 재생하는 재생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작업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잭업 절환 밸브로서 유압 파일럿식 절환 밸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작업기.
  6. 주 펌프인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와, 상기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가 밀어내는 만큼의 용적을 제어하는 경전(傾轉) 제어 수단과, 적어도 1개의 작업 요소와, 상기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에 의해 신축되어 상기 작업 요소를 구동하는 적어도 1개의 액츄에이터(actuator)와, 상기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로부터 상기 유압 실린더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방향 제어 밸브와, 상기 방향 제어 밸브의 이동량을 제어하는 파일럿 조작 장치와, 상기 파일럿 조작 장치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경전 제어 수단에 경전 제어 신호에 따른 경전 지시 수단을 구비한 유압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유지압이 소정압에 이르렀을 때에 절환되는 잭업 절환 밸브와,
    상기 잭업 절환 밸브의 절환 조작에 따라서 상기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로부터 상기 방향 제어 밸브의 미터인에 공급되는 압유의 유로를 개로 측 또는 폐로 측으로 변경하는 유로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 시에 상기 액츄에이터의 유지압이 상기 소정압 이상일 때에는, 상기 잭업 절환 밸브를 제1 절환 위치로 절환함으로써 상기 유로 변경 수단을 폐로 측으로 절환하여, 상기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로부터 상기 액츄에이터에 압유의 공급을 중단하고, 또한 상기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가 밀어내는 만큼의 용적이 저감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 시에 상기 액츄에이터의 유지압이 상기 소정압 미만일 때에는, 상기 잭업 절환 밸브를 제2 절환 위치로 절환함으로써 상기 유로 변경 수단을 개로 측으로 절환하여, 상기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상기 방향 제어 밸브를 통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에 공급하고, 또한 상기 경전 지시 수단에 의해 상기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가 밀어내는 만큼의 용적이 증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작업기.
  7. 주 펌프인 제1 및 제2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와, 상기 제1 및 제2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가 밀어내는 만큼의 용적을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1 및 제2 경전 제어 수단과, 상기 제1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에 의해 구동되는 제1 주행 장치와, 상기 제2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에 의해 구동되는 제2 주행 장치와, 상기 제1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로부터 상기 제1 주행 장치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 방향 제어 밸브와, 상기 제2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로부터 상기 제2 주행 장치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2 방향 제어 밸브와, 적어도 1개의 작업 요소와, 상기 제1 및 제2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에 의해 신축되어 상기 작업 요소를 구동하는 적어도 1개의 액츄에이터와, 상기 제1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로부터 상기 액츄에이터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3 방향 제어 밸브와, 상기 제2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로부터 상기 액츄에이터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4 방향 제어 밸브와, 상기 제1 및 제2 방향 제어 밸브의 절환 조작을 행하는 파일럿 조작 장치와, 상기 파일럿 조작 장치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경전 제어 수단에 경전 제어 신호에 따른 경전 지시 수단을 구비한 유압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유지압이 소정압에 이르렀을 때에 절환되는 잭업 절환 밸브와,
    상기 잭업 절환 밸브의 절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제1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로부터 상기 제3 방향 제어 밸브의 미터인에 공급되는 압유의 유로를 개로 측 또는 폐로 측으로 변경하는 유로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 시에 상기 액츄에이터의 유지압이 상기 소정압 이상일 때에는, 상기 잭업 절환 밸브를 제1 절환 위치로 절환함으로써 상기 유로 변경 수단을 폐로 측으로 절환하여, 상기 제1 및 제2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로부터 상기 액츄에이터에 압유의 공급을 중단하고,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가 밀어내는 만큼의 용적이 저감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작업 요소의 하강 동작 시에 상기 액츄에이터의 유지압이 상기 소정압미만일 때에는, 상기 잭업 절환 밸브를 제2 절환 위치로 절환함으로써 상기 유로 변경 수단을 개로 측으로 절환하여, 상기 제1 및 제2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상기 제3 및 제4 방향 제어 밸브를 통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에 공급하고, 또한 상기 경전 지시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가 밀어내는 만큼의 용적이 증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작업기.
  8.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변경 수단은,
    상기 방향 제어 밸브의 상류 측에서 상기 방향 제어 밸브의 미터인 포트(meter-in port)에 접속되어, 상기 잭업 절환 밸브가 제1 절환 위치로 절환되어 있을 때에는 폐로 위치로 절환되고, 상기 잭업 절환 밸브가 제2 절환 위치로 절환되어 있을 때에는 개로 위치로 절환되는 유량 제어 밸브와,
    상기 방향 제어 밸브의 하류 측에서 상기 방향 제어 밸브의 센터 바이패스 포트(center bypass port)에 접속되어, 상기 잭업 절환 밸브가 제1 절환 위치로 절환되어 있을 때에는 개로 위치로 절환되고, 상기 잭업 절환 밸브가 제2 절환 위치로 절환되어 있을 때에는 폐로 위치로 절환되는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작업기.
  9. 제3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변경 수단은,
    상기 제3 방향 제어 밸브의 상류 측에서 상기 제3 방향 제어 밸브의 미터인 포트에 접속되어, 상기 잭업 절환 밸브가 제1 절환 위치로 절환되어 있을 때에는 폐로 위치로 절환되고, 상기 잭업 절환 밸브가 제2 절환 위치로 절환되어 있을 때에는 개로 위치로 절환되는 유량 제어 밸브와,
    상기 제3 방향 제어 밸브의 하류 측에서 상기 제3 방향 제어 밸브의 센터 바이패스 포트에 접속되어, 상기 잭업 절환 밸브가 제1 절환 위치로 절환되어 있을 때에는 개로 위치로 절환되고, 상기 잭업 절환 밸브가 제2 절환 위치로 절환되어 있을 때에는 폐로 위치로 절환되는 센터 바이패스 절환 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작업기.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잭업 절환 밸브로서 유압 파일럿식 절환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유압 파일럿식 절환 밸브의 파일럿 포트에 조리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작업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잭업 절환 밸브의 절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電磁)식 절환 밸브와,
    상기 유압 실린더의 보텀실의 압력값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 수단과,
    상기 압력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압력에 따라 상기 전자식 절환 밸브를 동작시키는 전기적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작업기.
  12.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전 지시 수단이, 상기 파일럿 조작 장치에 의해 생성된 조작 신호 압력 중, 소정의 조작 신호 압력 군의 최고 압력을 선택하는 복수개의 셔틀 밸브(shuttle valve)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작업기.
  13.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 동작되는 작업 요소가 붐(boom)이며, 상기 액츄에이터가 붐용 유압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작업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붐용 유압 실린더의 보텀실로부터 배출되는 미터 아웃 오일의 일부를 상기 붐용 유압 실린더의 로드실에 공급되는 미터인 오일로 재생하는 재생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작업기.
KR1020057013058A 2003-01-14 2004-01-14 유압 작업기 KR1006741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05808 2003-01-14
JPJP-P-2003-00005808 2003-01-14
JP2003143632 2003-05-21
JPJP-P-2003-00143632 2003-05-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078A true KR20050090078A (ko) 2005-09-12
KR100674158B1 KR100674158B1 (ko) 2007-01-24

Family

ID=32852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3058A KR100674158B1 (ko) 2003-01-14 2004-01-14 유압 작업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562615B2 (ko)
EP (1) EP1591669A4 (ko)
JP (1) JP4279837B2 (ko)
KR (1) KR100674158B1 (ko)
WO (1) WO200407021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909B1 (ko) * 2006-05-25 2007-05-16 주식회사 영텍 액추에이터 제어용 파일럿밸브 유닛
WO2016043365A1 (ko) * 2014-09-19 2016-03-24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용 유압회로
KR20170136613A (ko) * 2015-04-10 2017-12-11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작업 기계용 하중 감지 유압 시스템 및 하중 감지 유압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91669A4 (en) * 2003-01-14 2010-12-08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HYDRAULIC WORKING MACHINE
JP4121466B2 (ja) * 2004-02-06 2008-07-23 日立建機株式会社 油圧作業機の油圧回路
JP2006292068A (ja) * 2005-04-11 2006-10-26 Hitachi Constr Mach Co Ltd 油圧作業機
ITRE20060073A1 (it) * 2006-06-14 2007-12-15 Tracmec S R L Sistema idraulico con blocco automatico per sfili
JP4702894B2 (ja) * 2006-10-20 2011-06-15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油圧ショベルにおける油圧制御システム
US8479505B2 (en) 2008-04-09 2013-07-09 Sustain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dead volume in compressed-gas energy storage systems
US7958731B2 (en) 2009-01-20 2011-06-14 Sustain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mbined thermal and compressed gas energy conversion systems
US8474255B2 (en) 2008-04-09 2013-07-02 Sustainx, Inc. Forming liquid sprays in compressed-gas energy storage systems for effective heat exchange
US8037678B2 (en) 2009-09-11 2011-10-18 Sustainx, Inc. Energy storage and generation systems and methods using coupled cylinder assemblies
US8359856B2 (en) 2008-04-09 2013-01-29 Sustain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 pumping of high-pressure fluids for energy storage and recovery
WO2009126784A2 (en) 2008-04-09 2009-10-15 Sustain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ergy storage and recovery using compressed gas
US8225606B2 (en) 2008-04-09 2012-07-24 Sustain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ergy storage and recovery using rapid isothermal gas expansion and compression
US8448433B2 (en) 2008-04-09 2013-05-28 Sustain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ergy storage and recovery using gas expansion and compression
US20100307156A1 (en) 2009-06-04 2010-12-09 Bollinger Benjamin R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Drivetrain Efficiency for Compressed Gas Energy Storage and Recovery Systems
US7802426B2 (en) 2008-06-09 2010-09-28 Sustainx, Inc. System and method for rapid isothermal gas expansion and compression for energy storage
US8677744B2 (en) 2008-04-09 2014-03-25 SustaioX, Inc. Fluid circulation in energy storage and recovery systems
US20110266810A1 (en) 2009-11-03 2011-11-03 Mcbride Troy O Systems and methods for compressed-gas energy storage using coupled cylinder assemblies
US8250863B2 (en) 2008-04-09 2012-08-28 Sustainx, Inc. Heat exchange with compressed gas in energy-storage systems
US8240140B2 (en) 2008-04-09 2012-08-14 Sustainx, Inc. High-efficiency energy-conversion based on fluid expansion and compression
JP5330945B2 (ja) * 2008-10-29 2013-10-3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油圧システム及びこれを備えた風力発電装置
US7963110B2 (en) 2009-03-12 2011-06-21 Sustain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drivetrain efficiency for compressed gas energy storage
CN101852223B (zh) * 2009-03-30 2013-09-04 徐州重型机械有限公司 伸缩臂控制系统
GB2469484B (en) * 2009-04-15 2013-09-18 Ge Aviat Systems Ltd Landing gear actuation control system
US8104274B2 (en) 2009-06-04 2012-01-31 Sustainx, Inc. Increased power in compressed-gas energy storage and recovery
JP5087047B2 (ja) * 2009-06-18 2012-11-28 日立建機株式会社 油圧作業機械
US8763388B2 (en) * 2009-10-13 2014-07-01 Caterpillar Inc. Hydraulic system having a backpressure control valve
US8241010B2 (en) 2009-12-03 2012-08-14 Caterpillar Global Mining Llc Hydraulic reservoir for hydraulic regenerative circuit
US8171728B2 (en) 2010-04-08 2012-05-08 Sustainx, Inc. High-efficiency liquid heat exchange in compressed-gas energy storage systems
US8191362B2 (en) 2010-04-08 2012-06-05 Sustain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dead volume in compressed-gas energy storage systems
US8234863B2 (en) 2010-05-14 2012-08-07 Sustainx, Inc. Forming liquid sprays in compressed-gas energy storage systems for effective heat exchange
US8495872B2 (en) 2010-08-20 2013-07-30 Sustainx, Inc. Energy storage and recovery utilizing low-pressure thermal conditioning for heat exchange with high-pressure gas
JP2012047307A (ja) * 2010-08-30 2012-03-08 Kyb Co Ltd 切換弁
JP2012052583A (ja) * 2010-08-31 2012-03-15 Hitachi Constr Mach Co Ltd 油圧作業機
US8578708B2 (en) 2010-11-30 2013-11-12 Sustainx, Inc. Fluid-flow control in energy storage and recovery systems
JP5404597B2 (ja) * 2010-12-27 2014-02-05 日立建機株式会社 油圧作業機
JP2014522460A (ja) 2011-05-17 2014-09-04 サステインエ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圧縮空気エネルギー貯蔵システムにおける効率的二相熱移送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5572586B2 (ja) * 2011-05-19 2014-08-13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の油圧駆動装置
JP5802338B2 (ja) * 2011-10-07 2015-10-28 ボルボ コンストラクション イクイップメント アーベー 建設機械用作業装置の駆動制御システム
US20130091834A1 (en) 2011-10-14 2013-04-18 Sustainx, Inc. Dead-volume management in compressed-gas energy storage and recovery systems
CN102374203B (zh) * 2011-10-31 2013-03-13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液压控制回路
JP5689847B2 (ja) * 2012-05-10 2015-03-25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油圧制御装置
CN104379942B (zh) 2012-05-10 2017-04-12 伊顿公司 负载能量辅助及功率管理系统
US9261113B2 (en) * 2012-08-22 2016-02-16 Deere + Company Dual stage piloted force reduction valve
JP6023211B2 (ja) * 2012-11-07 2016-11-0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油圧駆動装置
WO2014112668A1 (ko) * 2013-01-18 2014-07-24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의 유량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5844761B2 (ja) * 2013-02-22 2016-01-20 日立建機株式会社 油圧ショベルの油圧駆動装置
JP2014173616A (ja) * 2013-03-06 2014-09-22 Caterpillar Sarl 作業機械の圧損低減回路
WO2016002979A1 (ko) * 2014-06-30 2016-01-07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용 유압회로
JP6324825B2 (ja) * 2014-07-03 2018-05-16 ナブテスコ株式会社 建設機械用油圧回路
EP3284869A4 (en) * 2015-04-13 2019-01-09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HYDRAULIC DEVICE FOR A CONSTRUCTION MACHINE AND CONTROL PROCESS THEREFOR
JP6840756B2 (ja) * 2016-07-29 2021-03-10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ショベル用コントロールバルブ
JP6580618B2 (ja) * 2017-03-21 2019-09-25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DE112017007331T5 (de) * 2017-03-29 2019-12-19 Komatsu Ltd. Arbeitsmaschinen-management-vorrichtung
CN108999821B (zh) * 2018-10-15 2024-04-16 长沙远大住宅工业阜阳有限公司 带有角度保护的液压驱动系统及翻转台
JP7198072B2 (ja) * 2018-12-13 2022-12-28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建設機械の油圧制御回路
JP7379226B2 (ja) * 2020-03-17 2023-11-1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ステム
KR20220154496A (ko) * 2021-05-13 2022-11-22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유압기계
GB202107462D0 (en) * 2021-05-26 2021-07-07 Univ Edinburgh Hydraulic contro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45288A1 (de) 1982-12-03 1984-06-14 O & K Orenstein & Koppel Ag, 1000 Berlin Verfahren zur einsparung von energie beim stellen eines ausruestungszylinders an einem hydraulikbagger durch eine hydraulikschaltung
IT1195178B (it) 1986-09-24 1988-10-12 Chs Vickers Spa Sistema di recupero di portata per circuiti idraulici con pompe e di stributori compensati in pressione per organi di lavoro di macchine movimento terra
US5174189A (en) * 1988-06-08 1992-12-29 Teijin Seiki Co., Ltd. Fluid control apparatus
JPH0218496A (ja) 1988-07-06 1990-01-22 New Japan Chem Co Ltd 水溶性金属加工油剤用基剤
JPH0638080Y2 (ja) * 1988-07-20 1994-10-05 東洋運搬機株式会社 荷役用油圧装置
US5046309A (en) * 1990-01-22 1991-09-10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Energy regenerative circuit in a hydraulic apparatus
JP2632765B2 (ja) 1992-11-10 1997-07-23 小松フォークリフト株式会社 荷役装置におけるリフトシリンダ用油圧回路
EP0629781B1 (en) 1992-12-04 1996-03-27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Hydraulic regenerator
JP3009822B2 (ja) * 1994-05-16 2000-02-14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シリンダ制御回路
JP2002097673A (ja) * 2000-09-22 2002-04-02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機械の油圧回路
JP2003120604A (ja) * 2001-10-11 2003-04-23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流体圧回路
EP1591669A4 (en) * 2003-01-14 2010-12-08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HYDRAULIC WORKING MACHIN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909B1 (ko) * 2006-05-25 2007-05-16 주식회사 영텍 액추에이터 제어용 파일럿밸브 유닛
WO2016043365A1 (ko) * 2014-09-19 2016-03-24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용 유압회로
KR20170136613A (ko) * 2015-04-10 2017-12-11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작업 기계용 하중 감지 유압 시스템 및 하중 감지 유압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36443B2 (en) 2012-12-25
KR100674158B1 (ko) 2007-01-24
US7562615B2 (en) 2009-07-21
JPWO2004070211A1 (ja) 2006-05-25
US20060162543A1 (en) 2006-07-27
JP4279837B2 (ja) 2009-06-17
US20090199552A1 (en) 2009-08-13
EP1591669A1 (en) 2005-11-02
EP1591669A4 (en) 2010-12-08
WO2004070211A1 (ja) 2004-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4158B1 (ko) 유압 작업기
US9080310B2 (en) Closed-loop hydraulic system having regeneration configuration
KR100657035B1 (ko) 작업기의 유압회로
CN107250570B (zh) 工程机械
KR101942603B1 (ko) 건설 기계
EP1178157B1 (en) Hydraulic driving system for a civil engineering or construction machine.
KR101061668B1 (ko) 유압 구동 장치
KR20110093934A (ko) 하이브리드 건설 기계
JP3816893B2 (ja) 油圧駆動装置
JP2018084334A (ja) 作業機の油圧システム
JP7404258B2 (ja) 流体回路
CN113789824A (zh) 一种挖掘机斗杆增速液压系统
KR100502269B1 (ko) 유압 구동장치
US11371535B2 (en) Fluid pressure circuit
JP2017015130A (ja) 流体回路
JP2799045B2 (ja) クレーン用油圧回路
JP2005256895A (ja) 作業用油圧シリンダの駆動制御装置および油圧ショベル
JP2012149554A (ja) ホイール式走行作業車の走行駆動回路装置
JP3853314B2 (ja) 油圧式作業機械
US11408145B2 (en) Work vehicle and hydraulic control method
JP2000257122A (ja) 油圧ショベルの旋回制御装置
JP2018066478A (ja) 作業機の油圧システム
JP2004028343A (ja) 油圧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