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9026A - 광학부품용 필름, 이것을 이용한 필름 권층체, 광학부품,및 광디스크 - Google Patents

광학부품용 필름, 이것을 이용한 필름 권층체, 광학부품,및 광디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9026A
KR20050089026A KR1020057010184A KR20057010184A KR20050089026A KR 20050089026 A KR20050089026 A KR 20050089026A KR 1020057010184 A KR1020057010184 A KR 1020057010184A KR 20057010184 A KR20057010184 A KR 20057010184A KR 20050089026 A KR20050089026 A KR 20050089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vinyl polymer
optical
light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0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히코 야마시타
테츠오 야마나카
켄지 카네마루
코이치 사이토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가세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가세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가세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89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902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5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 G11B7/25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protective topcoat layers
    • G11B7/25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protective topcoat layers consisting essentially of organ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8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5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 G11B7/253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substrates
    • G11B7/2533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substrates comprising resins
    • G11B7/2535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substrates comprising resins polyesters, e.g. PET, PETG or P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00nm 정도의 단파장의 광투과율이 높고, 저복굴절이며, 가요성이 우수하고, 또한 장기간에 걸쳐 사용한 경우의 휘어짐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광학부품용 필름, 이것을 이용한 필름 권층체, 광학부품 및 광디스크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주파수 10Hz, 승온속도 3℃/min, 측정모드를 인장으로 하여 측정한 동적 점탄성 측정에 있어서의 손실 탄성율과 저장 탄성율의 비율의 30℃로부터 80℃까지의 적산값이 2 이상이며, 열가소성 수지로 주로 이루어진 광투과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품용 필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광학부품용 필름, 이것을 이용한 필름 권층체, 광학부품, 및 광디스크{FILM FOR OPTICAL COMPONENT, WINDING LAMINATE OF FILM, OPTICAL COMPONENT, AND OPTICAL DISC}
본 발명은, 예컨대, 대용량화한 고밀도 DVD 등의 광디스크의 광투과층에 적용되는 광학부품용 필름, 이것을 이용한 필름 권층체(卷層體), 광학부품 및 광디스크에 관한 것이다.
광디스크는, 투명한 플라스틱 기반(基盤)으로 이루어지는 지지기반의 한쪽의 면측에, 미세한 요철을 갖는 비트열이나 홈으로 이루어진 신호정보를 기록한 기록층을 형성하고 있고, 기록층과 대향하는 면측으로부터 레이저광 등의 광을 조사하여, 지지기반상의 신호정보에 따라 반사광량이 변화하는 것을 이용해서 정보의 기록 및 재생을 행하는 시스템이다.
광디스크의 종류로서, 예컨대, 컴팩트디스크(CD : Compact Disk), DVD(Digital Versatile Disk) 및 광자기 기록 디스크 등을 들 수 있다.
대표적인 광디스크인 CD에서는, 두께가 0.6mm인 지지기반상에 정보를 판독하는 투명한 광투과층이 형성되어 있고, 광투과층은 기록층을 갖는 지지기반을 겸한 구조이다. CD에서는, 기록재생용으로서 파장 780nm의 레이저광을 사용하고, 광투과층측으로부터 기록재생용 레이저광을 조사하고, 지지기반상의 기록층에 각인된 비트열이나 홈으로 이루어진 신호정보에 따라서 변화하는 반사광량에 근거해 기록층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한다.
CD보다도 기록용량이 큰 DVD에서는, 기록재생용으로서 파장 635nm의 레이저광을 사용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전술한 CD와 동일하게, 기록층에 레이저광을 조사해서 신호정보의 기록 및 재생을 행한다.
도 3은, DVD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DVD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DVD(10)는, 지지기반(11)과, 지지기반(11)상에 형성된 기록층(12)과, 기록층(12)상에 형성된 광투과층(13)을 구비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층판에 있어서는 정보를 판독하는 투명한 지지기반(11)의 두께는 0.6mm이고, 이 지지기반(11)상에 비트(14)열이나 기록용 홈 등의 정보가 기록된 기록층(12)이 형성되고, 기록층(12)상에 지지기반(11)과 동일한 두께(0.6mm)의 투명지지기반을 맞대어 광투과층(13)이 형성된다. 또, 기록층(12)상에 맞대어 형성된 광투과층(13)은, 보통 「더미」라고 불리고, 광디스크 자체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투과층(13)측으로부터 레이저광(15)을 조사하여, 기록층의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한다.
더욱이, 최근 몇년, 영상정보나 동화(動畵)정보 등의 발전에 따라, 기록용량을 대용량화한 DVD가 요구되고, 차세대 디스크라 불리는 기록용량이 20GB를 넘는 대용량의 고밀도 DVD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고밀도 DVD는, 직경 12센티미터의 사이즈로 종래와 동일한 사이즈이다. 종래와 동일한 사이즈인 것으로부터, 기록층에 있어서의 트랙 피치(track pitch)를 협소화하거나 또는 비트길이를 축소화하는 등에 의해 미세화하여, 고밀도화를 도모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두께가 1.1mm 정도인 지지기반상에 비트열이나 홈 등에 의해 신호정보가 기록된 기록층이 형성되고, 기록층의 표면에는 투명한 두께 0.1mm 정도의 필름을 접착해서 광투과층이 형성된다. 그리고, 광투과층의 면측으로부터 400nm 정도의 단파장의 청색 레이저를 조사하여, 신호정보의 기록 및 재생을 행한다.
상술한 CD, DVD 및 차세대 디스크 등의 지지기반 및 광투과층(더미층)의 재료로서, 예컨대, 강도특성 및 광학특성이 양호한 폴리카보네이트가 사용되고 있는 것이 보고되어 있고(일본국 특개 2000-67468호, 일본국 특개 2001-243659호 참조), 차세대 DVD의 기록층으로서도 폴리카보네이트가 사용되고 있다. 더욱이, 차세대 DVD의 광투과층으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 이외의 그 밖의 각종 재료를 적용하는 것도 검토되고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이외의 그 밖의 각종 재료로서는, 예컨대, 아크릴 수지, 스티렌계 수지,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액정성 폴리머,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머 얼로이재, 열경화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수지 또는 스티렌계 수지는, 투명성이 높고, 고무상 물질로부터 유리 상 폴리머까지 다양한 특징을 갖는 폴리머를 비교적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변성이 용이하다는 등의 특성을 갖고, 비교적 저렴하지만, 필름 형상으로 하기에는 강도, 내열성과 인성(靭性)의 양립 향상에 큰 과제를 남기고 있다. 인성의 부족은 아크릴수지 전반에 공통된 과제이며, 인성의 부족을 해결하는 방법은 몇가지 보고되어 있고, 예컨대, 수지중에 고무 입자를 첨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일본국 특공소 58-167605호 및 일본국 특개평 3-52910호 참조). 그러나, 이들 방법에서는, 수지로부터 박막필름을 형성하면 수지를 구부렸을 때에 백화현상이 발생해 버려서, 양호한 굴곡 가공성을 얻을 수 없다. 이것 때문에, 현재, 실온 이상의 유리전이점을 갖고, 또한, 인성 및 굴곡가공성이 우수한 아크릴수지는 발견되지 않아, 박막 필름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로서,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를 가장 대표적인 수지로 들 수 있다.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는, 특히, 고융점, 결정성이 높고, 난연성, 강직한 분자구조이므로,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갖고 있고, 낮은 선팽창계수 등을 갖는다. 그러나,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등의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유기용매에 난용이며, 용매로서 진한 황산 등의 무기 강산을 이용할 필요가 있었다. 진한 황산 등의 농후용액으로부터 방사된 섬유는 높은 강도와 탄성율을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어, 공업적으로 실시되기에 이르고 있지만 필름으로의 응용예는 적다. 예컨대, 팽윤상태에서 연신하여 필름으로서 성형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지만(일본국 특개평 4-6738호 참조), 본 방법에서는 제조공정이 매우 번잡해서, 생산성이 저하하고, 제품가격이 상승해버린다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유기용매로의 용해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는, 방향핵에 할로겐기를 도입한 단위 또는 굴곡성이 높은 단위를 공중합해서 유기용매로의 용해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일본국 특공소 56-45421호 참조). 그러나, 모노머가 고가이므로 제품가격이 높아지게 되고, 내열성이나 난연성을 손상하는 것이 염려되는 데다가, 할로겐 원자의 금속부식성이 문제로 되어 있다.
폴리이미드 수지는, 극히 높은 내열성과 강인성을 갖고, 필름 성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공업적으로 극히 유용한 재료이다. 폴리이미드를 필름상으로 가공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는 폴리이미드 용액을 도공한 후, 고온가열해서 이미드환을 형성하고 있다. 이미드환을 형성하면 우수한 내열성 및 강인성을 얻을 수 있지만, 일단 이미드환을 형성하면 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현저하게 저하하고, 폴리이미드를 리사이클하는 경우에는 극히 중대한 결점으로 되어 있었다. 따라서, 용매에 대한 용해성 및 내열성의 양쪽 특성을 겸비한 재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고, 예컨대, 방향핵에 알킬 등의 치환기를 도입한 단위를 공중합해서 유기용매로의 용해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방법에서는 유리전이온도가 320℃ 이상으로 되는 재료는 얻어지지 않고, 또한, 모노머가 고가라서 제품가격이 높아져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폴리머 얼로이재는, 이종의 고분자재료를 혼합하는 것에 의해 새로운 성능의 발현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지만, 상용화제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친화성이 다른 고분자를 혼합하는 것이 행해져 왔다. 이 방법에서는, 상용화제에 의해 표면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것을 겨냥한 기술이므로 해도(海島)구조를 형성하는 분산상태를 제어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완전히 상용화할 수는 없다. 이종고분자를 완전 상용화한 보고는 현재시점에서는 없다. 또한, 상용화제는 비교적 고가이므로, 제품가격이 높아지는 것과, 폴리머 얼로이재를 장기에 걸쳐 사용한 경우에는, 상용화제가 표면으로 블리드아웃해 버리는 등에 의해 오염의 원인이 되고, 또한, 폴리머 얼로이재의 분산상태가 변화해 버리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열경화성 수지에 관해서는, 일반적으로 불용불융(不溶不融)의 경화물이기 때문에, 내용제성 또는 고온하에서의 강도유지율 등의 내구성이 상당히 우수한 특징을 갖는다. 그러나, 가교반응이 공유결합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재가공할 수 없다는 결점이 있고, 이 결점은, 최근의 리사이클성의 확보에 관해서 치명적으로 되고 있다. 리사이클 가능한 열경화성 수지에 가장 가까운 것으로서는, 아이오노머수지를 들 수 있다. 아이오노머수지는, 측쇄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폴리머에, 산화 마그네슘, 또는 수산화칼슘 등의 금속산화물 또는 금속수산화물을 첨가한 것이며, 금속과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 이온결합을 형성하고, 유사적 가교점을 형성한 것이다. 본 방법에 의하면, 어느 정도의 내열성 및 강인성의 향상은 확인되지만, 금속화합물과 카르복실기의 결합력이 약한 것, 및 금속화합물의 수지에 대한 용해성이 낮아서 소량밖에 첨가할 수 없다는 등의 이유에 의해, 대폭적인 특성향상은 확인되지 않는다.
또한, 2종 이상의 합성 고분자를 혼합해서 분자간에 수소결합을 형성시키는 것에 의해 유사적인 가교구조를 갖게 하여, 종래의 재료에서는 실현되지 않았던 새로운 특성을 도입한 수지조성물이 개발되어 있다(일본국 특개 2000-273319호 참조). 더욱이, 유리전이온도가 낮은 중합체로서 프로톤 공여성 원자단인 수산기를 포함한 아크릴 중합체와, 유리전이온도가 높은 중합체로서 프로톤 수용성 원자단인 아민기를 포함한 아크릴 중합체를 블렌드하고, 분자간에 수소결합을 형성해서 유사적인 가교구조를 갖게 한 유사가교형 수지 조성물로부터 필름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새로운 특성을 갖고, 내열성 및 인성의 상반하는 특성을 양립시킨 필름을 얻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일본국 특개 2002-38036호 참조).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밀도 DVD의 일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고밀도 DVD의 일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예에 있어서, DVD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DVD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DVD의 단면도이다.
차세대 광디스크의 광투과층은, 상술한 바와 같이, 400nm 정도의 단파장인 레이저광을 투과시켜 기록층에 각인된 신호정보의 기록 및 재생을 행하지만, 광투과층의 광투과율이 낮으면 기록층으로부터의 반사광이 광투과층을 통과하는 경우에 흡수되어 버려서, 신호강도가 저하해 버린다. 이것 때문에, 광투과층으로서, 높은 신호정밀도를 얻기 위해서, 광투과율이 양호한 재료가 요망되고 있다.
예컨대, 아크릴수지는, 고도의 투명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부터, 특히, 400nm 정도의 단파장의 레이저를 이용한 광디스크로의 적용이 각종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아크릴수지를 광투과층으로서 접합시켜 광디스크로 한 경우에는, 높은 투명성이 얻어지지만, 사용시에 디스크 자체에 휘어짐이 생기고, 이것에 수반하여 반사광의 방향에 큰 어긋남이 생기고, 기록층의 신호정보를 정확하게 판독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휘어짐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아크릴수지의 저장 탄성율을 증가시키면 개선되지만, 저장 탄성율을 증가시키면 아크릴수지 표면의 경도가 저하하기 때문에, 실용시에 광디스크 표면에 상처가 나기 쉽다고 하는 새로운 문제가 생긴다.상처가 난 부분은 광투과율이 현저하게 저하하기 때문에, 신호를 독해하는 것이 어렵게 되어, 기록 용량이 저하해버린다.
휘어짐이 발생하는 원인은, 지지기반 및 광투과층의 재료가 상이하기 때문이며, 사용환경에 있어서 수분의 흡수량의 차이나, 열팽창율의 차이에 의해 부피변동량이 다르게 되는 등의 영향이 있기 때문이다. 상이한 재료를 이용한 경우에 생기는 문제는, 재료 고유의 본질적인 특성에 기인하는 것이지만, 지금까지, 이 점을 해결하고, 저복굴절, 고투과율, 휘어짐의 저감, 표면내찰상성 등, 차세대 디스크에 요구되는 여러가지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광투과층은 개발되지 않고 있다.
또한, 광디스크의 고밀도화에 수반하여, 광투과층 표면에 수㎛ 정도의 요철이 생기면, 독해시에 에러가 발생해서 기록 정보를 정확하게 독해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므로, 양호한 표면평활성을 갖는 광투과층용 필름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양호한 표면평활성을 갖는 필름은 기재에 부착을 일으켜 버려서 이형성이 악화하고, 그 결과, 작업성이 나쁘고, 수율이 저하하는 등의 문제를 갖고 있었다. 그러나, 기재로부터 필름을 박리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기재에 이형처리 등을 실시하면 필름의 표면평활성이 손상되어 버린다.
예컨대, 필름을 원반(기재층)으로부터 박리하지 않고, 필름을 원반과 함께 그대로 권취하여 형성되는 필름 권층체는, 표면평활성을 유지해서 필름을 권취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원반으로부터 필름을 박리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광디스크 등의 광학부품의 고용량 고품질화에 따라, 그 광투과층으로서 주로 적용되는 광학부품용 필름에 요구되고 있는 특성을 부여하고, 상기한 여러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은, 400nm 정도의 단파장의 광투과율이 높고, 저복굴절이며, 가요성이 우수하고, 또한 장기에 걸쳐서 사용한 경우의 휘어짐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광학부품용 필름, 이것을 이용한 필름 권층체, 광학부품 및 광디스크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 더하여, 실용시의 표면내찰상성이 우수한 광학부품용 필름, 이것을 이용한 필름 권층체, 광학부품 및 광디스크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광학부품용 필름을 권층체로 하는 경우의, 원반 기재층과 광투과층 필름의 이형성 및 표면평활성을 양립시킬 수 있는 광학부품용 필름, 이것을 이용한 필름 권층체, 광학부품 및 광디스크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한 결과, 광투과층으로서, 열가소성 수지 또는 비닐계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고, 당해 열가소성 수지 또는 비닐계 중합체의, 동적 점탄성측정에 있어서의 손실 탄성율과 저장 탄성율의 비율의 30℃로부터 80℃까지의 적산값을 소정의 값으로 규정하는 것에 의해, 저복굴절 또한 고광투과율의 광투과층을 얻을 수 있고, 또한, 광투과층을 다른 이종재료에 접합시킨 경우의 휘어짐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킨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갖는 수지가, 주로 비닐 중합체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비닐 중합체에 특정의 관능기를 조합시켜서 도입하므로써, 관능기의 상호작용에 의해 분자내에 수소결합이 형성되어 가교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해서, 광학부품용 필름에 새로운 성능, 특히, 광학특성 및 굴곡가공성을 부여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것을 광디스크의 광투과층 등, 특히 고밀도 DVD디스크의 광투과층으로서 사용하면, 광디스크의 휘어짐도 저감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른 것이다.
또, 비닐계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수지이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비닐계 중합체를 열가소성 수지와 병기한 이유는, 본 발명에 있어서 비닐계 중합체가 열가소성을 나타내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경우에 따라 경화반응을 수반하고, 경화성의 거동을 나타내는 것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비닐계 중합체로서, 바람직하게는 특성이 다른 2종 이상의 비닐계 중합체를 혼합하고, 비닐계 중합체의 상호간에 유사적인 가교구조를 형성시키는 것에 의해, 단독의 비닐계 중합체에서는 얻어지지 않는 복수의 특성을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더욱이 상반하는 특성을 동시에 갖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2종의 비닐계 중합체를 혼합하는 경우, 내열성이 양호하고 플러스 복굴절인 한쪽의 비닐계 중합체와, 유연성을 갖고, 마이너스 복굴절인 다른 쪽의 비닐계 중합체를 사용하여, 양자의 비닐계 중합체를 혼합한다. 그렇게 하면, 혼합물중에 유사가교가 형성되어, 혼합후의 비닐계 중합체는, 내열성 및 유연성의 특성이 양호하게 되고, 플러스 마이너스 복굴절을 상쇄해서 제로 복굴절화해서 저복굴절이 되어, 단독의 비닐계 중합체에서는 얻어지지 않고, 상반하는 특성을 양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광디스크에 적용하는 광투과층 및 지지기반의 각 열팽창량을 여러가지로 변경하여 휘어짐 발생을 예의 연구한 결과, 지지기반과 광투과층의 열팽창량을 소정의 범위로 규정하는 것에 의해, 광디스크의 휘어짐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킨 것이다.
또한, 광투과층상에 하드코트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실제로 사용시의 손상되기 쉬운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광투과층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비닐계 중합체 용액중에, 투명성을 저해하지 않는 실리콘 수지를 이형제로서 최적량 첨가하는 것에 의해, 및/또는 광투과층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비닐계 중합체중의 폴리머 전체에 차지하는 저분자량 폴리머의 양을 소정량 이하로 저감하는 것에 의해, 광투과층의 투명성 및 강도는 물론, 표면평활성을 손상하지 않고, 원반으로부터의 이형성이 양호한 광투과층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킨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하기 (1)∼(43)에 기재된 사항을 그 특징으로 한다.
(1) 주파수 10Hz, 승온속도 3℃/min, 측정모드를 인장으로 하여 측정한 동적 점탄성측정에 있어서의 손실 탄성율과 저장 탄성율의 비율의 30℃로부터 80℃까지의 적산값이 2 이상이며, 열가소성 수지로 주로 이루어진 광투과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품용 필름.
(2) 주파수 10Hz, 승온속도 3℃/min, 측정모드를 인장으로 하여 측정한 동적 점탄성측정에 있어서의 손실 탄성율과 저장 탄성율의 비율의 30℃로부터 80℃까지의 적산값이 2 이상이며, 비닐계 중합체로 주로 이루어진 광투과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품용 필름.
(3) 상기 비닐계 중합체는, 분자내에 적어도 1종의 프로톤 공여성 원자단을 포함하는 비닐계 중합체 A와, 분자내에 적어도 1종의 프로톤 수용성 원자단을 포함하는 비닐계 중합체 B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톤 공여성 원자단과 프로톤 수용성 원자단과의 사이에 분자간 수소결합에 의한 유사적인 가교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재의 광학부품용 필름.
(4) 상기 비닐계 중합체 A는, 분자내에 카르복실기, 수산기 또는 페놀성 수산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혼합물을 중합시켜 얻어진 중합체이며, 상기 비닐계 중합체 B는, 분자내에 질소원자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시켜 얻어진 중합체이며, 또한, 상기 비닐계 중합체 A 및 상기 비닐계 중합체 B의 어느 한쪽의 유리전이온도가 25℃ 이상이며, 다른 쪽의 유리전이온도가 25℃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재의 광학부품용 필름.
(5) 상기 열가소성 수지 또는 상기 비닐계 중합체는, 아크릴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재의 광학부품용 필름.
(6) 상기 열가소성 수지 또는 상기 비닐계 중합체중에, 페놀계 산화방지제,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 티오에테르계 산화방지제 및 광안정제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화합물이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재의 광학부품용 필름.
(7) 파장 405nm에 있어서의 광투과율이, 87%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재의 광학부품용 필름.
(8) 상기 광투과층의 막두께가 15∼250㎛이며, 막두께 정밀도가 ±2.0㎛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재의 광학부품용 필름.
(9) 상기 광투과층의 복굴절이 20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재의 광학부품용 필름.
(10) 상기 광투과층상에 연필경도가 3H 이상인 하드코트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재의 광학부품용 필름.
(11) 상기 하드코트층의 막두께가 0.5∼8㎛이며, 막두께 정밀도가 ±1.0㎛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재의 광학부품용 필름.
(12) 상기 하드코트층이, 가교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재의 광학부품용 필름.
(13) 상기 가교구조체가, 실리콘계 가교구조체 또는 아크릴계 가교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재의 광학부품용 필름.
(14) 상기 하드코트층이, 실리콘계 열가소성 수지를 0.2∼10.O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재의 광학부품용 필름.
(15) 상기 광투과층상에 적층되어, 사용시에는 박리제거되는 기재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재의 광학부품용 필름.
(16) 상기 기재층은, 상기 광투과층과 접하는 도공면이 이형처리되고, 그 표면평활성이 20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재의 광학부품용 필름.
(17) 상기 광투과층이 실리콘 수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재의 광학부품용 필름.
(18) 상기 광투과층의 열가소성 수지 또는 상기 비닐계 중합체는, 겔침투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분자량이 1만 이하인 저분자 폴리머가 차지하는 양이 폴리머 전체에 대하여 10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재의 광학부품용 필름.
(19) 상기 광투과층의 열가소성 수지 또는 상기 비닐계 중합체는, 상반하는 특성을 가짐과 동시에 유리전이온도가 각각 다른 비닐계 중합체 A와 비닐계 중합체 B를 적어도 혼합한 비닐계 중합체이며, 당해 비닐계 중합체 A 및 당해 비닐계 중합체 B 중, 유리전이온도가 25℃ 이상인, 어느 한쪽의 중합체의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한 중량평균 분자량이 70,0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재의 광학부품용 필름.
(20) 상기 기재층은, 본질적으로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재의 광학부품용 필름.
(21) 25℃, 이형속도 100mm/초의 조건하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으로부터 상기 광투과층을 박리한 때의 부착에 의한 박리 잔사가 1㎡당 3개소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재의 광학부품용 필름.
(22) 상기 광투과층의 25℃에서의 PET에 대한 정마찰계수가 0.4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재의 광학부품용 필름.
(23) 상기 광투과층상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재의 광학부품용 필름.
(24) 상기 광투과층 및 상기 접착층의 2층의 막두께가 30∼300㎛이며, 막두께 정밀도가 ±2.O㎛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재의 광학부품용 필름.
(25) 상기 광투과층이, 광디스크의 광투과층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재의 광학부품용 필름.
(26) 상기 기재의 광학부품용 필름을 롤 형상으로 권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권층체.
(27) 상기 기재의 광학부품용 필름을 광투과층으로서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품.
(28) 상기 광투과층은, 접착층을 개재하여 첩부되고, 상기 광투과층과 접착층의 굴절율 차이가 0.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재의 광학부품.
(29) 광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재의 광학부품.
(30) 상기 광디스크가 고밀도 DVD이며, 그 기록용량이 20GB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재의 광학부품.
(31) 지지기반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기록층, 접착층 및 광투과층이 순차 적층된 광디스크로서, 상기 광투과층의 30℃∼80℃의 1축 방향에 있어서의 열팽창량에 대한, 상기 지지기반의 30℃∼80℃의 1축 방향에 있어서의 열팽창량인 열팽창비가 0.75∼1.25의 범위내이며, 또한, 당해 광투과층은 열가소성 수지로 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32) 상기 광투과층의 복굴절이 20nm 이하이며, 두께가 15㎛∼2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재의 광디스크.
(33) 상기 광투과층의 파장 405nm에 있어서의 광투과율이 87%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재의 광디스크.
(34)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비닐계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재의 광디스크.
(35) 상기 비닐계 중합체는, 분자내에 적어도 1종의 프로톤 공여성 원자단을 포함하는 비닐계 중합체 A와, 분자내에 적어도 1종의 프로톤 수용성 원자단을 포함하는 비닐계 중합체 B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톤 공여성 원자단과 프로톤 수용성 원자단의 사이에 분자간 수소결합에 의한 유사적인 가교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재의 광디스크.
(36) 상기 비닐계 중합체 A는, 분자내에 카르복실기, 수산기 또는 페놀성 수산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혼합물을 중합시켜 얻어진 중합체이며, 상기 비닐계 중합체 B는, 분자내에 질소원자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시켜 얻어진 중합체이고, 또한, 상기 비닐계 중합체 A 및 상기 비닐계 중합체 B의 어느 한쪽의 유리전이온도가 25℃ 이상이며, 다른 쪽의 유리전이온도가 25℃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재의 광디스크.
(37) 상기 비닐계 중합체는 아크릴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재의 광디스크.
(38) 상기 열가소성 수지중에, 페놀계 산화방지제,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 티오에테르계 산화방지제 및 광안정제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화합물이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재의 광디스크.
(39) 상기 광투과층과 상기 접착층과의 굴절율 차이가 0.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재의 광디스크.
(40) 상기 지지기반은, 주로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재의 광디스크.
(41) 상기 지지기반의 두께는, 0.4mm∼1.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재의 광디스크.
(42) 상기 광투과층상에 연필경도가 3H 이상인 하드코트층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재의 광디스크.
(43) 기록용량이 20GB 이상의 고밀도 DV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재의 광디스크.
본 출원은, 동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즉, 2002-353919호(출원일 2002년 12월 5일), 2002-353928호(출원일 2002년 12월 5일), 2002-353938호(출원일 2002년 12월 5일), 2002-376721호(출원일 2002년 12월 26일), 2002-376750호(출원일 2002년 12월 26일), 2003-0OO472호(출원일 2003년 1월 6일), 및 2003-059388호(출원일 2003년 3월 6일)에 근거하는 우선권주장을 수반하는 것이며, 이들의 명세서를 참조하기 위해서 여기에 포함시키는 것으로 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본 발명의 광학부품용 필름의 광투과층의 손실 탄성율과 저장 탄성율의 비율의 30℃∼80℃까지의 적산값(이하, 이것을 Σtanδ로 약기한다.)은, 2 이상으로 규정했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Σtanδ가 2.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4 이상, 극히 바람직하게는 6 이상이다. Σtanδ가 2 미만이 되면, 필름을 사용한 광디스크를 장기에 걸쳐서 사용하면 광디스크에 휘어짐이 발생해서 독해 에러가 생겨버려서, 광디스크의 신뢰성이 저하하기 때문이고, 또한, 과혹촉진 시험을 행한 경우에도 휘어짐이 증대하기 때문이다. Σtanδ를 측정하는 필름의 막두께는 통상, 50∼1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처크(chuck)간 거리는, 통상, 5∼15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필름의 Σtanδ는, 주로, 주성분인 열가소성 수지 또는 비닐계 중합체의 종류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부품용 필름에 있어서의 광투과층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비닐계 중합체로서는, 필름으로 가공했을 때에 상술한 조건에서 측정한 동적 점탄성측정에 있어서의 손실 탄성율과 저장 탄성율의 비율의 30℃로부터 80℃까지의 적산값이 2 이상으로 되는 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수지이면 어떠한 수지이더라도 사용할 수 있다. 통상은, 열가소성 수지 또는 비닐계 중합체 자체의 Σtanδ가 상기의 값이 되는 것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비닐계 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셀룰로오스 수지 등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시한 수지중, 변성 용이성, 투명성 및 복굴절 등의 여러가지 특성의 관점으로부터 비닐계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비닐계 중합체로서는, 특히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에스테르를 주 단량체로서 제조되는 (메타)아크릴계 중합체인 것이, 투명성 등의 필름특성의 면으로부터 특히 바람직하다.
아크릴수지는, 반응성의 2중결합을 갖는 단량체를 중합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프로필, 아크릴산n-부틸, 아크릴산i-부틸, 아크릴산t-부틸, 아크릴산펜틸, 아크릴산n-헥실,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n-옥틸, 아크릴산도데실, 아크릴산옥타데실, 아크릴산부톡시에틸, 아크릴산페닐, 아크릴산벤질, 아크릴산나프틸, 아크릴산글리시딜,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아크릴산시클로헥실, 아크릴산메틸시클로헥실, 아크릴산트리메틸시클로헥실, 아크릴산노보닐, 아크릴산노보닐메틸, 아크릴산시아노노보닐, 아크릴산이소보닐, 아크릴산보닐, 아크릴산멘틸, 아크릴산펜틸, 아크릴산아다만틸, 아크릴산디메틸아다만틸, 아크릴산트리시클로[5. 2. 1. 02,6]데카-8-일, 아크릴산트리시클로[5. 2. 1. 02,6]데카-4-메틸, 아크릴산시클로데실 등의 아크릴산 에스테르류,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프로필, 메타크릴산n-부틸, 메타크릴산i-부틸, 메타크릴산t-부틸, 메타크릴산펜틸, 메타크릴산n-헥실, 메타크릴산2-에틸헥실, 메타크릴산n-옥틸, 메타크릴산도데실, 메타크릴산옥타데실, 메타크릴산부톡시에틸, 메타크릴산페닐, 메타크릴산나프틸, 메타크릴산글리시딜, 메타크릴산시클로펜틸,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메타크릴산메틸시클로헥실, 메타크릴산트리메틸시클로헥실, 메타크릴산노보닐, 메타크릴산노보닐메틸, 메타크릴산시아노노보닐, 메타크릴산페닐노보닐, 메타크릴산이소보닐, 메타크릴산보닐, 메타크릴산멘틸, 메타크릴산펜틸, 메타크릴산아다만틸, 메타크릴산디메틸아다만틸, 메타크릴산트리시클로[5. 2. 1. 02,6]데카-8-일, 메타크릴산트리시클로[5. 2. 1. 02,6]데카-4-메틸, 메타크릴산시클로데실 등의 메타크릴산에스테르류, α-메틸스티렌, α-에틸스티렌, α-플루오로스티렌, α-클로로스티렌, α-브로모스티렌, 플루오로스티렌, 클로로스티렌, 브로모스티렌, 메틸스티렌, 메톡시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화합물, 아크릴산칼슘, 아크릴산바륨, 아크릴산납, 아크릴산주석, 아크릴산아연, 메타크릴산칼슘, 메타크릴산바륨, 메타크릴산납, 메타크릴산주석, 메타크릴산아연 등의 (메타)아크릴산금속염,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등의 불포화지방산,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안화 비닐화합물, N-메틸말레이미드, N-에틸말레이미드, N-프로필말레이미드, N-프로필말레이미드, N-부틸말레이미드, N-i-부틸말레이미드, N-t-부틸말레이미드, N-라우릴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N-벤질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N-(2-클로로페닐)말레이미드, N-(4-클로로페닐)말레이미드, N-(4-브로포페닐)페닐말레이미드, N-(2-메틸페닐)말레이미드, N-(2-에틸페닐)말레이미드, N-(2-메톡시페닐)말레이미드, N-(2,4,6-트리메틸페닐)말레이미드, N-(4-벤질페닐)말레이미드, N-(2,4,6-트리브로모페닐)말레이미드,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메타크릴레이트, 2,2,6,6-테트라메틸-N-메틸피페리딜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고, 예시한 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열가소성 수지중에, 페놀계 산화방지제,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 티오에테르계 산화방지제 및 광안정제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산화방지제로서, 페놀계, 포스파이트계 및 티오에테르계의 각 산화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고, 광안정제로서는, 열가소성 수지의 투명성, 저복굴절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구체적으로는 이하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적용할 수 있다.
페놀계 산화방지제로서는, 열가소성 수지의 투명성, 저복굴절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컨대, 이하의 구조식(1)∼구조식(8)로 나타낸 산화방지제를 이용할 수 있다.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로서는, 열가소성 수지의 투명성 및 복굴절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컨대, 이하의 구조식(9)~구조식(21)로 나타낸 산화방지제를 이용할 수 있다.
티오에테르계 산화방지제로서는, 열가소성 수지의 투명성 및 복굴절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컨대 이하의 구조식(22)~구조식(24)로 나타낸 산화방지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이용되는 광안정제로서는, 예컨대 이하의 구조식(25)~구조식(34)에 나타낸 광안정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 및 광안정제의 첨가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첨가제의 양은 필요에 따라서 결정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필름의 제조에 이용되는 수지조성물의 고형분에 대하여, 1.0중량% 이하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01중량% 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제의 양이 1.0중량%를 넘으면, 열가소성 수지의 투명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가열용융해서 필름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상기에 예시한 산화방지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방지제를 첨가하지 않으면, 가공시에 산화열화에 의한 착색이 생겨 버려서, 수지조성물의 투명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공시에 비교적 저온(200℃정도 이하)에서 가공할 수 있는 경우는, 산화방지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좋다. 광안정제는, 열가소성 수지의 광안정성에 따라 첨가할 수 있다.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프탈산 에스테르, 트리글리세라이드류, 불소계 계면활성제, 고급지방산 금속염 등의 이형제, 기타 윤활제, 가소제, 대전방지제, 자외선흡수제, 난연제, 중금속 불활성화제 등을 첨가하는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크릴수지(비닐계 중합체)의 제조에는, 상기 재료를 이용하여, 괴상중합, 현탁중합, 유화중합 및 용액중합 등의 기존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중합을 행할 경우에 중합개시제를 이용하지만, 중합개시제로서는, 과산화벤조일, 과산화라우로일, 디-t-부틸퍼옥시헥사히드로테레프탈레이트,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1,1-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유기과산화물,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아조비스시클로헥사논-1-카르보니트릴, 아조디벤조일 등의 아조화합물,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등의 수용성 촉매 및 과산화물 또는 과황산염과 환원제의 조합에 의한 레독스촉매 등, 통상의 라디칼중합의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중합개시제이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고, 여기에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중합개시제는, 수지의 제조에 이용하는 단량체의 총량에 대해서 0.01중량%~10중량%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분자량 조정제로서, 메르캅탄계 화합물, 티오글리콜, 사염화탄소 및 α-메틸스티렌다이머 등을 필요에 따라서 첨가할 수 있고, 여기에 예시한 분자량 조정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열중합에 의해 중합하는 경우에는, 중합온도를 0℃∼200℃의 범위에서 적당히 선택할 수 있고, 특히, 50℃∼12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로서 아크릴수지를 이용한 경우, 아크릴수지의 분자량에 관해서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강인성 및 내열성의 점으로부터 중량평균 분자량(겔퍼미에이션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해 측정하고, 표준 폴리스티렌 검량선을 이용해서 환산한 값)이 10,000∼1,000,0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수지의 결점인 가요성 부족을 개선할 목적으로, 굴절율이 동일한 고무 입자를 첨가하는 것이나 유연성이 높은 아크릴수지를 블렌드할 수도 있다. 예컨대, 유연성이 높은 아크릴수지를 블렌드하는 방법으로서는, 일본국 특개 2000-273319호 공보 또는 일본국 특개 2002-38036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이 알려져 있고, 전자수용성의 원자단을 갖는 아크릴수지와 전자공여성의 원자단을 갖는 아크릴수지를 블렌드한 경우에 분자간 수소결합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투명성이 높은 아크릴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광투과층으로서, 열가소성 또는 경화성의 비닐계 중합체를 주로 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이용하는 경우, 적어도 1종의 프로톤 공여성 원자단을 갖는 비닐계 중합체 A와, 적어도 1종의 프로톤 수용성 원자단을 갖는 비닐계 중합체 B를 포함하는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의해, 양쪽 원자단의 사이에서, 분자간 수소결합에 의해 유사적인 가교가 형성된다. 또한, 비닐계 중합체는 아크릴계 수지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여기에서 「유사적인」이라고 표현했는데, 유사는, 열(열분해 온도 이하) 또는 용제 등에 의해 가교구조가 절단되고, 온도를 내리거나 또는 용제를 제거하는 것에 의해 다시 가교구조가 형성되는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2종 이상의 비닐계 중합체를 혼합하고, 이것을 광투과층 필름으로서 형성하는 것에 의해, 1종의 비닐계 중합체로부터 필름으로 만든 경우에는 얻을 수 없는 복수의 특성을 갖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컨대, 내열성이 양호한 비닐계 중합체와, 인성을 갖는 비닐계 중합체를 혼합해서 유사가교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내열성 및 강성의 특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이하에, 비닐계 중합체 A 및 비닐계 중합체 B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비닐계 중합체 A]
비닐계 중합체 A는, 적어도 1종의 프로톤 공여성 원자단을 갖는 비닐계 단량체를 중합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고, 투명성, 복굴절 등의 광학특성을 손상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은 없다.
상기 프로톤 공여성 원자단으로서는, 예컨대, 카르복실기, 설폰산기, 인산기, 수산기, 페놀성 수산기, 메르캅토기, 티오페놀성 메르캅토기, 1급 아미노기, 2급 아미노기 등의 관능기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실기, 수산기 또는 페놀성 수산기의 관능기를 갖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프로톤 공여성 원자단을 갖는 비닐계 단량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 2-아크릴로일옥시에틸헥사히드로프탈산, 2-아크릴로일옥시에틸-2-히드록시프로필프탈레이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애시드포스페이트, 2-히드록시-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크릴레이트,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헥사히드로프탈산,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2-히드록시프로필프탈레이트,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애시드포스페이트, 2-히드록시-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비닐페놀, 비닐벤조산, 벤조산비닐 및 그들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분자내에 적어도 1종의 프로톤 공여성 원자단을 갖는 비닐계 단량체와 다른 비닐계 단량체를 공중합하는 경우, 프로톤 공여성 원자단을 갖는 비닐계 단량체는, 비닐계 단량체의 총량에 대하여, 0.2몰% 이상 공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0.5몰% 이상 공중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몰% 이상 공중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0.2몰% 미만으로 되면, 비닐계 중합체 A 및 비닐계 중합체 B 사이의 분자간 수소결합점이 적게 되는 것으로부터 용해성이 나빠지고, 얻어지는 수지 조성물의 투명성이 손상되는 경향이 있다. 상한은 특별히 없지만, 일반적으로 30몰% 이하로 된다.
또한, 비닐계 중합체 A의 제조에는, 상기의 재료를 이용하여, 괴상중합, 현탁중합, 유화중합 및 용액중합 등의 기존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중합을 행할 때에는, 중합개시제를 이용할 수 있다. 중합개시제로서는, 과산화벤조일, 과산화라우로일, 디-t-부틸퍼옥시헥사히드로테레프탈레이트,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1,1-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유기과산화물,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아조비스실록헥사논-1-카르보니트릴, 아조디벤조일 등의 아조화합물,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등의 수용성 촉매 및 과산화물 또는 과황산염과 환원제의 조합에 의한 레독스촉매 등, 통상의 라디칼 중합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고, 여기에 나타낸 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중합개시제는, 비닐계 중합체의 제조에 이용하는 단량체의 총량에 대하여 0.01∼10중량%의 범위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분자량 조정제로서, 메르캅탄계 화합물, 티오글리콜, 사염화탄소, α-메틸스티렌다이머 등을 필요에 따라서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열중합에 의한 경우, 중합온도는, 0∼200℃의 사이에서 적당히 선택할 수 있고, 50∼120℃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비닐계 중합체 A는, 그 분자량에 관해서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강인성, 내열성의 점으로부터 중량평균 분자량(겔퍼미에이션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해 측정하고, 표준 폴리스티렌 검량선을 이용해서 환산한 값)이 10,000∼1,000,0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00∼1,000,000이 보다 바람직하다.
[비닐계 중합체 B]
비닐계 중합체 B는, 적어도 1종의 프로톤 수용성 원자단, 바람직하게는 질소원자를 갖는 원자단을 갖는 비닐계 단량체를 중합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고, 투명성, 복굴절 등의 광학특성을 손상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은 없다.
상기 프로톤 수용성 원자단으로서는, 예컨대, 카르보닐기, 설포닐기, 포스포릴기, 시아노기, 2급 아미노기, 3급 아미노기, 질소함유 복소환기 등의 관능기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급 아미노기, 3급 아미노기 또는 질소함유 복소환기의 관능기를 갖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프로톤 수용성 원자단을 갖는 비닐계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2,2,6,6,-테트라메틸N-메틸피리미딜메타크릴레이트, 2,2,6,6,-테트라메틸N-메틸피리미딜아크릴레이트, 2,2,6,6,-테트라-N-메틸피페리딜메타크릴레이트,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메타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디에틸아크릴아미드, N-디메틸메타크릴아미드, N-디에틸메타크릴아미드 등의 (메타)아크릴아미드류, 비닐피리딘 및 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여기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비닐계 중합체 B의 분자중에 적어도 1종의 프로톤 수용성 원자단을 도입하기 위한 단량체의 사용량으로서는, 비닐계 중합체 B를 구성하는 비닐계 단량체의 총량에 대하여, 0.2몰% 이상 공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몰% 이상 공중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몰% 이상 공중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0.2몰% 미만이면, 비닐계 중합체 A 및 비닐계 중합체 B 사이의 분자간 수소결합점이 적게 되는 것으로부터 용해성이 나빠지고, 얻어지는 수지조성물의 투명성이 손상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상한은 특별히 없지만, 일반적으로 30몰% 이하로 된다.
비닐계 중합체 B의 제조에는, 상기의 재료를 이용하여 괴상중합, 현탁중합, 유화중합, 용액중합 등의 기존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중합을 행할 때에는, 중합개시제를 이용할 수 있다. 중합개시제로서는, 과산화벤조일, 과산화라우로일, 디-t-부틸퍼옥시헥사히드로테레프탈레이트,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1,1-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유기과산화물,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아조비스시클로헥사논-1-카르보니트릴, 아조디벤조일 등의 아조화합물,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등의 수용성 촉매 및 과산화물 또는 과황산염과 환원제의 조합에 의한 레독스촉매 등, 통상의 라디칼중합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합개시제는, 비닐계 중합체 B의 제조에 이용하는 단량체의 총량에 대하여 0.01중량%∼10중량%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분자량 조정제로서, 메르캅탄계 화합물, 티오글리콜, 사염화탄소, α-메틸스티렌다이머 등을 필요에 따라서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열중합에 의한 경우, 중합온도는, 0∼200℃의 사이에서 적당히 선택할 수 있고, 50∼120℃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비닐계 중합체 B는, 그 분자량에 관해서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강인성, 내열성의 점으로부터 중량평균 분자량(겔퍼미에이션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해 측정하고, 표준 폴리스티렌 검량선을 이용해서 환산한 값)은, 10,000∼1,000,00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0,000∼1,000,000이 보다 바람직하다.
[비닐계 중합체 A 및 비닐계 중합체 B의 혼합]
본 발명에 있어서의 광투과층에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비닐계 중합체는, 상기의 비닐계 중합체 A와 비닐계 중합체 B를 혼합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가요성 또는 내열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그 밖의 비닐계 중합체를 적당히 첨가할 수도 있다.
비닐계 중합체 A와 비닐계 중합체 B를 혼합하는 방법은, 용융혼련법, 니스 블렌드법 등 특별히 방법은 상관 없다.
상기 비닐계 중합체 A와 비닐계 중합체 B의 혼합비율은, 얻어지는 수지조성물의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강인성, 내열성, 투명성의 점으로부터, 비닐계 중합체 A와 비닐계 중합체 B의 각각의 수소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원자단의 몰비를, 15 대 1∼1 대 15의 혼합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비닐계 중합체 A와 비닐계 중합체 B의 유리전이온도는 다른 것이 바람직하고, 그밖에 한쪽의 유리전이온도가 25℃ 미만이며, 다른 쪽의 유리전이온도가 2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위한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비닐계 중합체 A 및 비닐계 중합체 B를 혼합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비닐 중합체에 내열성 및 인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의 온도 조건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실온에서 인성을 부여할 수 없고, 열변형해 버린다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유리전이온도는 상기의 조건을 만족하는 온도범위이면 특별히 문제는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한쪽이 10℃ 이하, 다른 쪽이 50℃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한쪽이 0℃ 이하, 다른 쪽이 80℃ 이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유리전이온도는 DVA(동적 점탄성 측정), TMA, DSC법 등에 의해 측정할 수 있지만, DVA(동적 점탄성 측정)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도 DVA로 측정하고 있다.
상술한 유리전이온도의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 분자내에 적어도 1종의 프로톤 공여성 원자단을 포함하는 비닐계 중합체 A와, 분자내에 적어도 1종의 프로톤 수용성 원자단을 포함하는 비닐계 중합체 B의 각각에 대하여, 다른 비닐계 중합체를 공중합시킬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단량체로서는, 얻어지는 비닐계 중합체의 투명성을 손상하지 않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상술한 아크릴수지의 단량체를 들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상기 비닐계 중합체에 임의의 성분을 가할 수 있다. 예컨대, 열화방지, 열적 안정성, 성형성, 가공성 등의 관점으로부터, 상술한 페놀계, 포스파이트계, 티오에테르계 등의 항산화제, 광안정제,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프탈산 에스테르, 트리글리세라이드류, 불소계 계면활성제, 고급지방산 금속염 등의 이형제, 기타 윤활제, 가소제, 대전방지제, 자외선흡수제, 난연제, 중금속 불활성화제 등을 첨가해도 좋다.
열가소성 수지 또는 비닐계 중합체로부터 광투과층이 되는 필름을 제작하는 방법은, 필름의 투명성, 저복굴절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 또는 비닐계 중합체를 용매에 용해하고, 기재가 되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수지 필름상에 도포, 건조해서 제작해도 좋고, 또한, 열가소성 수지 또는 비닐계 중합체를 가열 용융하고, 사출성형해서 제작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열가소성 수지 또는 비닐계 중합체를 가열 용융하고, 압출 성형해서 제작해도 좋고, 또한, 열가소성 수지 또는 비닐계 중합체를 가열 용융해서 압축성형에 의해 제조해도 좋다.
또한, 이용하는 용매로서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비닐계 중합체가 용해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컨대,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계 용매,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계 용매, NMP,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에 나타낸 것은 일예이며,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또한, 특히 유리, 알루미늄 또는 구리 등의 금속에 대한 밀착성이 높기 때문에, 필름의 작성에 있어서는 캐스트기판의 선택이 중요하다.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스테인레스, PET필름, 테프론(등록상표) 필름 등을 선택할 수 있지만, 열가소성 수지 또는 비닐계 중합체와의 밀착성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필름을 구성하는 광투과층은, 강인하고 또한 유연성을 갖고 있어, 기계특성이 우수하고, 굴곡가공성도 양호하다.
본 발명의 광학부품용 필름은, 파장 405nm에 있어서의 광투과율이 87%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광투과율이 87% 미만이 되면, 기록층으로부터의 반사광이 광투과층을 통과할 때에 흡수되어, 신호강도가 저하해 버리기 때문이다. 광투과율을 87%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 예컨대, 자외선을 흡수하는 첨가제를 이용하지 않은 것 또는 수지를 구성하는 단량체에 자외선 흡수 대를 가지지 않는 것만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부품용 필름에 있어서의 광투과층의 두께는, 15∼25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5∼20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5∼150㎛의 범위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필름 두께가 15㎛ 미만이 되면 강인성이 저하하고, 가공시의 작업성이 악화하는 경향이 있고, 역으로, 250㎛를 넘으면 용제, 모노머 등의 휘발성 물질이 잔존하기 쉬워 특성이 양호한 필름이 얻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또, 필름의 두께의 측정은, 레이저포커스변위계(키엔스제, LT-8010)를 이용하여, 임의의 크기(예컨대, 1㎠∼10000㎠의 면내)에 관해서, 전체로부터 적절하게(예컨대, 25∼1000점) 측정점을 선택해서 측정하고, 그 평균치를 두께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부품용 필름은, 막두께 정밀도가 ±2.0㎛ 이내, 폭 15㎛에 있어서의 요철이 5nm 이하, 또한, 헤이즈가 1%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막두께 정밀도는 ±1.5㎛ 이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헤이즈는 0.5%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막두께 정밀도는, 예컨대, 필름으로 가공할 때에, 도공에 의해 제조하는 경우는, 도공기의 코터(coater) 정밀도 및 구동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 용융압출에 의해 제조하는 경우는, 압출금형의 클리어런스의 정밀도를 높이는 것 및 구동계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의해 조정할 수 있고, 표면평활성은 필름을 도공에 의해 제조하는 경우는, 이용하는 용매의 종류의 선정, 건조조건의 선정, 또는 코터의 평활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용융압출에 의해 제조하는 경우에는, 압출금형의 클리어런스 부분의 평활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헤이즈는 필름의 제조에 이용되는 수지조성물의 투명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의해 조정할 수 있고, 또한, 필름 표면의 평활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부품용 필름에 있어서의 광투과층의 복굴절은 20n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굴절이 20nm를 넘으면, 디스크에 기입할 때 및 판독할 때의 신호정밀도가 저하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광투과층 복굴절은, 신호정밀도의 점으로부터, 10n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n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특히 20GB를 넘는 고밀도 DVD의 경우는, 2nm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 상기 각 특성의 상세한 측정법의 예는,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상술한다.
본 발명의 광학부품용 필름은, 광투과층상에 하드코트층이 더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이 하드코트층은, 경화후의 표면경도가 연필경도로 3H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필경도가 3H 미만이면 내찰상성이 불충분하다. 또한, 하드코트층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가교체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고, 실리콘계 가교구조체 또는 아크릴계 가교구조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하드코트층의 막두께는 0.5∼8.0㎛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막두께 정밀도는 ±1.0㎛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코트층의 막두께가 0.5㎛ 미만이면, 내찰상성의 향상 효과가 낮고, 8.0㎛를 넘으면 환경성 시험시에 크랙이 생긴다.
이와 같은 하드코트층을 광학부품용 필름상에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미리 제작한 필름상에 경화촉매를 첨가한 하드코트 전구체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고, 그 후, 이것을 가열 또는 자외선 조사하는 것에 의해 경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가교구조체로 되는 하드코트 전구체로서는, 테트라에톡시실란, 테트라메톡시실란, C1∼C12의 알킬트리메톡시실란, C1∼C12의 알킬트리에톡시실란, 디(C1∼C12의 알킬)트리메톡시실란, 디(C1∼C12의 알킬)트리에톡시실란, 트리(C1∼C12의 알킬)메톡시실란, 트리(C1∼C12의 알킬)에톡시실란 등의 가수분해 축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더욱이, 이들 실란화합물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상기 하드코트 전구체에 첨가될 수 있는 경화촉매로서는, 예컨대,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바륨, 수산화스트론튬, 수산화리튬,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등의 알칼리금속 수산화물,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C3∼C8알킬)아민, 디메틸아민, 디에틸아민, 디(C3∼C8알킬)아민, 메틸아민, 에틸아민, (C3∼C8알킬)아민, 시클로헥시아민, 몰포린, 트리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트리에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히드록시에틸디메틸하이드록사이드, 히드록시에틸디에틸하이드록사이드 등의 아민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테트라에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히드록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히드록시에틸트리에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등이 적절하다. 그 중에서도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테트라에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히드록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히드록시에틸트리에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등이 보다 적절하다. 다만, 이들은 일예이며, 여기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첨가하는 경화촉매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하드코트 전구체의 고형분에 대해서 0.05중량%∼10중량%의 범위에서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가열에 의한 경화온도는, 하드코트 전구체를 경화할 수 있는 온도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60℃∼180℃ 정도가 적절하다. 가장 바람직한 온도는 120℃∼160℃ 정도이다.
또한, 상기 하드코트 전구체를 제조할 때에는 촉매를 이용하지만, 그 촉매로서는, 예컨대, 상기의 경화촉매와 동일한 알칼리수산화물, 아민화합물, 그 밖에, 염산, 황산, 질산, 파라톨루엔설폰산, 인산, 페놀설폰산, 폴리인산 등의 산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더욱이, 여기에 나타낸 것은 일예이며,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하드코트 전구체를 제조할 때의 반응온도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20℃∼100℃ 정도의 온도가 적절하다. 20℃를 하회하면, 반응 속도가 저하해서 생산성이 저하한다. 100℃를 넘으면, 가수분해 또는 축합에 의해 생성되는 알코올 또는 물이 비등하기 때문에 위험을 수반한다. 또한, 반응은, 용액중에서 행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용할 수 있는 용매는,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펜탄올, 헥산올, 헵탄올, 옥탄올 등의 알코올을 들 수 있다. 여기에 나타낸 것은 일예이며,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드코트층으로 되는, 아크릴계 가교구조체로서는, 아크릴로일기 또는 메타크릴로일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중합성 재료(하드코트 재료)를 이용해서 형성할 수 있다.
이 하드코트 재료로 이용할 수 있는,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 올리고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2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올리고머;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에 알킬렌옥사이드(에틸렌옥사이드나 프로필렌옥사이드)가 부가한 부가체의 디(메타)아크릴레이트[예컨대, 2,2-비스[4-(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4-(2-(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폭시)페닐]프로판 등] 등의 2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포스파조기-P=N-과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가 포함된다.
또한, 경화도막의 특성을 조정하기 위해서,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예컨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C1~20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실기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염기성 질소원자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플루오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할로겐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병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중합성 하드코트 재료는, 열중합개시제(벤조일퍼옥사이드, 큐멘히드로퍼옥사이드, 디큐밀퍼옥사이드 등의 유기과산화물 등)를 포함하는 열경화성의 것이어도 좋지만,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광중합개시제를 포함하는 광경화형의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자외선 경화형의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을 개시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벤조인 또는 그 유도체(벤조인,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등), 케톤류(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아세토페논이나 그 유도체(알콕시아세토페논 등), 프로피오페논 또는 그 유도체(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페논 등), 벤조페논 또는 그 유도체(4,4'-디메톡시벤조페논, 4,4'-비스(4-디에틸아미노페닐)케톤 등), 벤질 또는 그 유도체(벤질 및 벤질메틸케탈 등), 티옥산톤 또는 그 유도체(2,4-디에틸티옥산톤, 2-에틸티옥산톤, 2-이소프로필티옥산톤, 2-클로로티옥산톤 등) 등의 관용의 광중합개시제나 증감제를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 조합시켜 사용해도 좋다.
열중합개시제나 광중합개시제의 양은, 상기 중합성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1∼10중량부 정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하드코트 재료는, 필요에 따라서, 탄화수소류, 알코올류, 에스테르류, 케톤류, 에테르류 등의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유기용매함유 도포제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하드코트층은, 실리콘계 열가소성 수지를 0.2∼10.0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계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것에 의해, 하드코트층 표면의 미끄러짐성이 향상하고, 내찰상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부품용 필름상에, 이것을 지지하고, 사용시에는 박리제거되는 기재층을 설치해도 좋다. 또한, 나중의 첩부공정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필름상에 접착층을 설치해도 좋고, 상기 기재층과 함께 설치해도 좋다. 또, 하드코트층이 형성되어 있는 필름의 경우에는, 접착층은 하드코트층과 반대측의 면에 형성한다. 더욱이, 접착층이 최외층에 적층되는 경우에는, 이것을 보호하고, 사용시에는 박리제거되는 보호층을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광학부품용 필름은, 광투과층에 더하여, 기재층, 접착층, 하드코트층, 및 보호층을 용도에 따라 자유롭게 조합시켜서 적층해서 형성할 수 있고, 2∼5층 구조의 적층필름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광학부품용 필름에 있어서, 사용시에는 박리제거되는 상기 기재층을 광투과층상에 설치한 경우, 이 기재층의 표면평활성은, 그 표면을 이형처리한 경우이더라도 20n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8n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nm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2nm 이하인 것이 극히 바람직하다. 또, 이형처리로서는, 기재층으로의 무기박막층의 증착 또는 기재층상으로의 고분자화합물의 도포에 의해 이형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형처리가 필요 없는 표면평활성이 10nm 이하인 기재층을 이용해도 좋고, 이 경우, 7n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nm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층과 광투과층의 이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광투과층으로 되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비닐계 중합체에 실리콘 수지를 첨가해도 좋다. 열가소성 수지 또는 비닐계 중합체에 첨가하는 실리콘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디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등의 일반적인 실리콘, 이들을 변성한, 알킬변성실리콘, 플루오로실리콘,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지방산에스테르변성실리콘, 아미노변성실리콘, 카본산변성실리콘, 카르비노변성실리콘, 에폭시변성실리콘, 메르캅토변성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이형성이나 투명성의 점으로부터, 알킬변성실리콘,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이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알킬변성실리콘 및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으로서는, 예컨대, 하기식으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R은 알킬기 또는 폴리옥시알킬렌구조를 갖는 기이며, n 및 m은 중합도를 나타내는 정수이다)
상기의 식에 기재되는 구조를 갖는 것 중에서도, 에톡시기변성디메틸실리콘수지, 메톡시기변성디메틸실리콘수지, n-프로폭시기변성디메틸실리콘수지, iso-프로폭시기변성디메틸실리콘수지, n-부톡시기변성디메틸실리콘수지, iso-부톡시기변성디메틸실리콘수지, t-부톡시기변성디메틸실리콘수지, R이, 말단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등의 알킬기이고, 또한 폴리옥시에틸렌쇄, 폴리옥시프로필렌쇄 등의 폴리옥시알킬렌구조를 갖는 기인 변성디메틸실리콘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식에 있어서 n 및 m은 중합도를 나타내는 정수이며, 실리콘 수지의 바람직한 중합도(n+m)는, 20∼100,000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40∼50,00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10,000이다. 중합도가 20 미만이면, 필름 표면의 내찰상성 및 평활성이 저하하고, 중합도가 100,000을 넘으면 투명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변성부분인 R의 구조를 갖는 세그먼트의 중합도(m)는, 필름 표면의 평활성, 투명성 등의 점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5∼100,0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00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1,000이다.
또한, 실리콘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비닐계 중합체에 대하여 0.01중량%∼0.5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중량%∼0.3중량%의 범위이다. 실리콘 수지의 첨가량이 0.01중량% 미만이 되면 이형성에 대하여 개량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첨가량이 O.5중량%를 넘으면 필름으로 했을 때에 투명성을 손상하고, 또한, 표면에 실리콘이 블리드아웃해 버려서, 표면평활성에 문제가 생겨버리는 등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광투과층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비닐계 중합체중에 실리콘 수지를 첨가하는 것에 의해, 필름의 정마찰계수가 작아지게 되고, 기재층으로부터의 이형성 및 광투과층인 필름의 대찰상성 향상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PET에 대한 정마찰계수를 0.42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40 이하이다. 정마찰계수가 O.42를 넘으면, 이형성이 악화하기 때문에, 박리시에 필름이 손상되기 쉽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광투과층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비닐계 중합체로서, 겔침투크로마토그래피의 분자량 분석차트에 의해 측정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분자량이 1만 이하인 저분자 폴리머가 차지하는 양을, 폴리머 전체에 대하여 10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분자량 1만 이하의 폴리머가 차지하는 양을 10중량% 이하로 억제하므로써 열가소성 수지 또는 비닐계 중합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기재층으로부터 광투과층을 벗길 때의 부착이나 찢겨짐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분자내에 적어도 1종의 프로톤 공여성 원자단을 포함하는 비닐계 중합체 A와, 분자내에 적어도 1종 이상의 프로톤 수용성 원자단 B 중, 유리전이온도가 25℃ 이상인 중합체에 관해서는, 중량평균 분자량(폴리스티렌 환산)을 70,00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5,000∼1,000,00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리전이온도가 25℃ 이상인 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70,000 미만이 되면, 얻어지는 필름의 강도가 저하하고, 이형성이 악화하는 경향이 있고, 1,000,000을 넘으면 필름 도공전의 수지용액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버려서, 취급이 곤란해지게 되기 때문이다. 한편, 유리전이온도가 25℃ 미만인 중합체의 분자량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강도 및 성형성의 점으로부터 중량평균 분자량(폴리스티렌 환산)을 10,000∼1,000,00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부품용 필름이, 광투과층과 기재층으로 이루어진 경우, 기재층으로부터 광투과층인 필름을 박리할 때의 박리성의 기준으로서, 25℃, 이형속도 100mm/초로 박리한 경우의, 부착에 의한 박리 잔사가 1㎡당 3개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1㎡당의 박리 잔사가 3개소를 넘으면 얻어지는 필름의 수율이 저하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광학부품용 필름에,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미리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접착층은, 예컨대, 광투과층상에 접착제나 점착제 등을 도포 건조하거나, 또는 점착필름을 라미네이트해서 형성되는 층이며, 본 발명의 광학부품용 필름과, 기록층이나 지지기반 등의 피접착층을 접합시킬 수 있는 것이면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종류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광투과층상에 미리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광학부품 필름을 이용해서 광디스크를 제작하는 경우, 지지기반상에 별도 접착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상기 접착층상에 광투과층을 접합시켜 제작하는 것으로 되므로, 광투과층의 표면평활성이 저하할 뿐만 아니라, 작업 공정수가 많아지고, 작업성이 악화한다.
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접착제 또는 점착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아크릴계, 천연고무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실리콘계, 에스테르계 등의 것을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아크릴계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층은, 상기와 같은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기재에 미리 도포, 건조해서 필름상, 시트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기재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필름,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필름, 폴리에스테르필름, 폴리염화비닐필름, 폴리카보네이트 셀로판필름, 아세테이트필름, 각종 불소필름, 폴리이미드필름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나타낸 기재는 일예이고,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광투과층상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시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광투과층으로 되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비닐계 중합체 니스를 기재에 도공, 건조한 후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광투과층과 접착층을 합친 막두께는, 30㎛∼300㎛인 것이 바람직하고, 40∼2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20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막두께가 30㎛ 미만이 되면 표면평활성이나 작업성이 악화하는 경향이 있고, 막두께가 300㎛를 넘으면 표면평활성이나 405nm의 광투과율이 악화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광투과층과 접착층으로 이루어지는 2층의 막두께 정밀도는 ±2㎛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405nm에 있어서의 광투과율은 87%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광학부품용 필름을, 예컨대, 원통형상의 심재(芯材)의 외주면에 권취하여, 롤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권층체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름인 광투과층을 기재층인 원반으로부터 벗기지 않고 권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표면평활성이 손상되는 일이 없어지고, 사용시의 박리성도 양호하기 때문에, 취급도 용이하고, 그 결과, 광학부품 제조시의 수율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부품용 필름은, 광디스크의 광투과층용에 특히 적절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광학부품용 필름을 광투과층으로서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품도 포함한다. 또한, 이 경우, 광투과층은 접착층을 통해서 광학부품의 기록층 등에 첩부되지만, 광투과층과 접착층과의 굴절율 차이를 0.1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투과층과 접착층과의 굴절율 차이가 0.1을 넘으면, 광투과층과 접착층의 계면에서의 광의 난반사가 생기고, 이 결과, 신호정밀도를 저하시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광디스크는, 지지기반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기록층, 접착층 및 광투과층이 순차 적층된 것이며, 상기 광투과층은, 상술한 특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비닐계 중합체를 주로 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디스크는, 지지기반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기록층, 접착층 및 광투과층이 순차 적층된 광디스크이며, 상기 광투과층의 30℃∼80℃의 1축 방향에 있어서의 열팽창량에 대한, 상기 지지기반의 30℃∼80℃의 1축 방향에 있어서의 열팽창량인 열팽창비가 0.75∼1.25의 범위내이며, 또한, 당해 광투과층은 열가소성 수지로 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는, 광투과층에 대한 지지기반의 열팽창비를 0.75∼1.25의 범위로 규정했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8∼1.2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9∼1.1의 범위이다. 열팽창비가 0.75보다도 작아지게 되면 환경성 시험시 또는 장기간에 걸친 실사용시에 광투과층이 수축하는 방향으로 디스크가 휘고, 기록층에서의 독해 정밀도 및 기입 정밀도가 저하하고, 열팽창비가 1.25를 넘으면, 환경성 시험시 또는 장기간에 걸친 실사용시에 광투과층이 팽창하는 방향으로 디스크가 휘고, 기록층에서의 독해 정밀도 및 기입 정밀도가 저하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광투과층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광투과층의 30℃∼80℃의 1축 방향에 있어서의 열팽창량에 대한, 지지기반의 30℃∼80℃의 1축 방향에 있어서의 열팽창량인 열팽창비가 0.75∼1.25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면 어떤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컨대, 비닐계 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올레핀수지, 셀룰로오스수지 등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시한 수지중, 변성하기 쉽고, 투명성 및 복굴절 등의 제특성의 관점으로부터 비닐계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비닐계 중합체로서는, 특히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에스테르를 주 단량체로서 제조되는 (메타)아크릴계 중합체인 것이, 투명성 등의 필름특성의 면으로부터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로서, 비닐계 중합체를 주로 해서 되는 것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1종의 프로톤 공여성 원자단을 갖는 비닐계 중합체 A와, 적어도 1종의 프로톤 수용성 원자단을 갖는 비닐계 중합체 B를 포함하는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비닐계 중합체 A와 비닐계 중합체 B 중, 한쪽의 유리전이온도가 25℃ 미만이며, 다른 쪽의 유리전이온도가 2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양쪽 원자단의 사이에서, 분자간 수소결합에 의해 유사적인 가교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광디스크의 광투과층상에는 전술한 하드코트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광디스크는, 기록용량이 20GB 이상인 고밀도 DVD에 적절하다.
그 밖에, 상기 열팽창비가 규정된 본 발명의 광디스크에 있어서, 그 광투과층이나 광투과층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바람직한 특성이나 형상은, 전술과 동일하고, 용도에 따라서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광학부품용 필름을 적용한 광학부품으로서, 20GB를 넘는 대용량의 고밀도 DVD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도 1은, 고밀도 DVD의 일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밀도 DVD(1)는, 지지기반(2)상에 기록층(3)을 구비하고, 기록층(3)상에 접착층(4)을 개재해서 광투과층(5)이 형성된다.
DVD는, 405nm의 단파장 레이저광(6)을 광투과층(5)측으로부터 조사하고, 광투과층(5)을 통해서 기록층(3)의 신호정보를 재생 및 기록하는 것이지만, 고밀도 DVD(1)는, 광투과층(5)을 박육화하여, 본 발명의 광학부품용 필름을 적용한 것이다.
DVD의 구성 재료로서는, 광투과층(5)에 광학부품용 필름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지지기반(2) 및 기록층(3)은, 종래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지지기반(2)은,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플라스틱 기판으로 구성되고, 접착층(4)은, 투명성을 손상하지 않는 한 특별히 재료는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자외선 경화형 수지, 감압형 점착필름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지지기반(2)의 두께는, 0.4mm∼1.2mm의 범위로 하고, 기록층(3) 및 접착층(4)의 두께는, 30㎛∼250㎛의 범위로 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한 기록층(3) 및 접착층(4)의 두께는 30㎛∼150㎛이다.
또, 상술한 지지기반(2), 기록층(3), 접착층(4), 광투과층(5)의 각 층의 적층방법으로서는, 어떠한 방법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부품용 필름은, 상기 DVD용 이외에, 액정터치패널용 기재필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기재필름, 액정패널용 위상차필름 등으로서 사용 할 수도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광학부품용 필름의 특성 및 본 광학부품용 필름을 광디스크의 광투과층으로 한 경우의 특성을 이하의 실시예에서 검토했다.
이하의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서는, 수지재료를 여러가지로 변경한 광학부품용 필름, 더욱이 그 각각의 표면상에 하드코트층을 형성한 적층필름의 특성평가를 행함과 동시에, 각 광학부품용 필름 및 각 적층필름을 광투과층으로서 이용한 광디스크를 제작하고, 그 특성평가를 행하였다. 또,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재료를 정리한 것을 표 1에 나타낸다. 또, 표 1중의 구조식 36, 구조식 37 및 구조식 38은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다.
품명, 구조식 약칭 메이커
메타크릴산메틸 MMA 아사히카세이(주)
아크릴산부틸 BA 와코준야쿠(주)
메타크릴산트리시클로[5.2.1.02,6]데카-8-일 TCDMA 히다치카세이(주)
아크릴산 AA 와코준야쿠(주)
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CHMI 니뽄쇼꾸바이(주)
라우로일퍼옥사이드 LPO 니뽄유지(주)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AIBN 와코준야쿠(주)
구조식36 AO-50 아사히덴카(주)
구조식37 HP-10 아사히덴카(주)
구조식38 LA-57 아사히덴카(주)
2,2,6,6-피페리딜메타크릴레이트 LA-87 아사히덴카(주)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DE 미쓰비씨레이온(주)
에틸렌디메타크릴레이트 EDMA 교에이샤(주)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는, 우선 비닐계 중합체(아크릴수지)를 제조하고, 비닐계 중합체로부터 필름으로 성형하고, 더욱이, 이 필름을 사용한 광디스크를 제작했다.
<비닐계 중합체의 제조>
500mL의 오토클레이브에 중합용매로서 아세톤 200g을 투입하고, 메타크릴산메틸(MMA) 66.5g(58.4몰%), 아크릴산부틸(BA) 39.9g(27.4몰%), 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26.6g(14.2몰%)을 칭량하여 취하고, 중합개시제로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0.4g을 모노머 혼합물에 첨가해 용해한 후, 혼합물을 플라스크내에 첨가했다. 그 후, 실온(25℃)에서 질소가스를 약 1시간 통과시키고, 용존산소를 치환한 후, 질소기류하에서 60℃까지 승온했다. 동일 온도를 약 18시간 유지하여, 비닐계 중합체의 아세톤 용액을 얻었다. 이때의 중합율은 99% 이상이었다.
<필름의 제조>
얻어진 비닐계 중합체의 아세톤 용액에, 약칭 AO-50 및 약칭 HP-10으로 표시되는 산화방지제 및 약칭 LA-57로 표시되는 광안정제를 비닐중합체에 대하여 각각 0.05% 가하고, 완전히 용해시킨 후, 그 용액을 유리판상에 도포했다. 그 후, 100℃에서 10분간, 더욱이 150℃에서 15분간 가열 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막두께가 80㎛인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을 평가용 시료로 해서, 이하의 측정법에 의해, 손실 탄성율/저장 탄성율의 적산값(Σtanδ), 광투과율, 복굴절, 가요성, 막두께 정밀도 및 표면평활성, 및 헤이즈를 평가했다. 평가결과는, 후술하는 표 2에 정리해서 나타냈다.
[손실 탄성율/저장 탄성율의 적산값(Σtanδ)]
30℃∼80℃까지의 Σtanδ는, 동적 점탄성 측정장치를 이용해서 두께 약 80㎛의 평가시료에 관해서 측정했다. 측정조건은, 승온속도, 3℃/min, 측정모드를 인장모드로 하고, 주파수 10Hz, 챠크간 거리 10mm로 했다. 동적 점탄성 측정장치는, 레오미터사제의 DVE-4V를 사용했다.
[광투과율(%)]
광투과율은,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실온(25℃)에서 파장 405nm의 광투과율을 측정했다. 측정기는, JASCO사제의 V-570을 이용했다.
[복굴절(nm)]
복굴절은, 시마즈제작소(주)제의 에립소미터 AEP-100을 사용해서 측정했다.
[가요성]
가요성은, 필름을 구부렸을 때의 균열의 유무, 백화 현상의 정도를 눈으로 관찰했다. 평가는, 파손, 균열 및 백화 현상이 생기지 않는 필름을 ○으로 하고, 파손이 생긴 필름을 ×로 했다.
[막두께(㎛), 막두께 정밀도(㎛)]
필름의 막두께 및 막두께 정밀도는, 레이저 포커스 변위계(키엔스제, LT-8100)를 사용하고, 사이즈 12cm×12cm의 정방형 필름에 관해서 측정했다.
정방형 필름의 4개의 변을, 각각 직선 A, 직선 B, 직선 C, 직선 D로 하고, 직선 A에 대향하는 변을 직선 C로 하고, 직선 B에 대향하는 변을 직선 D로 했다. 직선 A로부터 직선 C를 향해서 3cm의 간격을 둔 3개의 평행직선을 각각 직선 A1, 직선 A2, 직선 A3으로 하고, 이들 3개의 평행직선(A1, 직선 A2, 직선 A3)과, 직선 A와, 직선 C와의 합계 5개에 관해서, 이하의 순서에 의해 직선상의 각 점에 있어서의 필름의 막두께를 측정했다. 우선, 직선 A의 일단부로부터 정방형 내측의 1cm의 점을 기준점으로 하고, 기준점으로부터 직선 A의 타단부를 향해 1mm의 간격을 둔 각 점에 관해서, 타단부로부터 정방형 내측 1cm의 점까지의 길이 10cm에 걸친 합계 101개의 각 점에 관해서 필름의 막두께를 측정했다. 다음에, 직선 A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직선 A1, 직선 A2, 직선 A3 및 직선 C에 관한 각 점의 막두께를 측정하고, 5개의 직선에 관해서 합계 505개의 각 점의 막두께를 측정했다. 더욱이, 전술한 직선 A로부터 직선 C까지의 각 직선과 동일하게, 직선 B로부터 직선 D를 향한 5개의 직선(직선 B, 직선 B1, 직선 B2, 직선 B3, 직선 D)의 합계 505개의 각 점에 관해서 막두께를 측정했다. 최후에, 전술한 방법에 따라 측정된 정방형 필름내의 총계 1010개에 관한 막두께의 평균치를 필름의 막두께로 했다.
또한, 막두께의 최대치로부터 평균 막두께를 뺀 값, 및 평균 막두께로부터 막두께의 최소값을 뺀 값을 각각 산출하고, 산출한 값 중 큰 값을 막두께 정밀도로 했다.
[표면평활성(nm)]
표면평활성은, 폭 15㎛에 있어서의 요철을 측정했다. 또, 측정에는, (SEIKO INSTRUMENT사제, AFM)을 사용했다. 폭 15㎛에 있어서의 요철을 구한 점은 12cm×12cm의 정방형 필름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점과, 4변의 각 중앙부로부터 1cm 내측의 점의, 합계 5점에 관해서 측정하고, 요철이 가장 큰 점의 요철의 크기를 가지고, 표면평활성으로 했다.
[헤이즈%)]
헤이즈는 헤이즈미터(스가시험기(주)제, HGM-2)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측정했다.
<광디스크의 제작>
직경 12cm, 두께 1.1mm의 폴리카보네이트제의 지지기반상에, 기록층을 개재해서 점착필름(세키스이화학제 품명:5511)을 두께 20㎛로 라미네이트하고, 더욱이 점착필름상에, 상기에서 제작한 필름을 라미네이트하고, 광디스크를 제작했다.
제작한 광디스크에 관해서, 이하의 측정법에 의해 광디스크의 휘어짐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후술하는 표 2에 나타냈다.
[광디스크의 휘어짐]
제작한 광디스크를, 온도 80℃, 습도 85%의 항온항습조 중에서 100시간 방치한 후의 휘어짐량을 측정했다. 그 양은, 직경 12cm의 디스크의 단부가 수평면으로부터 변동한 거리를 실태현미경에 의해 측정하고, 측정된 변동거리로부터 삼각함수를 이용해서 각도를 산출하고, 산출한 각도를 디스크의 휘어짐으로 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는, 산화방지제 및 광안정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필름을 제작하고, 더욱이 이것을 이용해서 광디스크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작했다. 이들에 관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각종 특성평가를 행하고, 결과를 표 2에 정리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는, 하기와 같이, 2종류의 비닐계 중합체를 개별로 제조한 후, 두 비닐계 중합체를 소정 비율로 혼합한 수지를 이용해서 필름을 제작하고, 그 후, 필름을 적용한 광디스크를 제작했다. 또,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수지를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 및 평가방법을 이용했다. 결과를 표 2에 정리했다.
<비닐계 중합체의 제조>
우선, 이하에 나타내는 순서에 의해 비닐 중합체(A)를 제조했다. 500mL의 오토클레이브에 중합용매로서 아세톤 200g을 투입하고, 메타크릴산메틸(MMA) 38g(33몰%), 아크릴산부틸(BA) 90g(61몰%), 아크릴산(AA) 5g(6몰%)을 칭량하여 취하고, 중합개시제로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0.4g을 모노머혼합물에 첨가해 용해한 후, 그 혼합물을 플라스크내에 첨가했다. 그 후, 실온에서 질소가스를 약 1시간 통과시키고, 용존산소를 치환한 후, 질소기류하에 60℃까지 승온했다. 동일 온도를 약 18시간 유지하여 고분자 용액, 즉 비닐계 중합체 A의 아세톤 용액을 얻었다. 이때의 중합율은 98% 이상이었다. 중량평균 분자량은 255,000이었다.
다음에, 이하에 나타내는 순서에 의해 비닐 중합체(B)를 제조했다. 500mL의 오토클레이브에 중합용매로서 아세톤 200g을 투입하고, 메타크릴산메틸(MMA) 88.8g(81.6몰%), 메타크릴산트리시클로[5. 2. 1. 02,6]데카-8-일(TCDMA) 37.1g(15.5몰%),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메타크릴레이트 7.1g(2.9몰%)을 칭량하여 취하고, 중합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4g을 모노머혼합물에 첨가해 용해한 후, 그 혼합물을 플라스크내에 첨가했다. 그 후, 실온에서 질소가스를 약 1시간 통과시키고, 용존산소를 치환한 후, 질소기류하에서 60℃까지 승온했다. 동일 온도를 18시간 유지하고, 비닐계 중합체 B의 아세톤 용액을 얻었다. 이때의 중합율은 98% 이상이었다. 중량평균 분자량은 75,000이었다.
<필름의 제조>
얻어진 비닐계 중합체(A)의 아세톤 용액과 비닐계 중합체(B)의 아세톤 용액을, 5:5의 중량비(카르복실기/아미노기의 몰비율=2.2/1)로 혼합해서 비닐중합체 혼합물로 한 후, 구조식(35)으로 표시되는 산화방지제를 비닐중합체 혼합물에 대하여 0.1%를 가해서 완전히 용해했다. 그 후, 얻어진 용액을 유리판상에 도포후, 100℃에서 10분간 가열건조후, 150℃에서 15분간 더 가열건조해서 용매를 제거하여, 두께가 약 100㎛인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4)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3에서 나타낸 비닐계 중합체(A) 및 비닐계 중합체(B)를 사용하고, 양자의 비닐계 중합체의 혼합비율을 변경한 수지를 이용해서 필름을 제작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해서 필름 및 광디스크를 제조했다. 구체적으로는, 비닐계 중합체(A)의 아세톤 용액과 비닐계 중합체(B)의 아세톤 용액을, 3:7의 중량비로 혼합한 수지를 사용했다. 필름 및 광디스크에 관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각종 특성평가를 행하고, 결과를 표 2에 정리했다.
(비교예 1)
본 비교예에서는, 비닐계 중합체(B)의 아세톤 용액만으로 필름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필름 및 광디스크를 제조했다. 필름 및 광디스크에 관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각종 특성평가를 행하고, 결과를 표 2에 정리했다.
(비교예 2)
본 비교예에서는, 필름의 재료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제작된 비닐계 중합체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해서 필름 및 광디스크를 제조했다. 필름 및 광디스크에 관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각종 특성평가를 행하고, 결과를 표 2에 정리했다.
<비닐계 중합체의 제조>
500mL의 오토클레이브에 중합용매로서 아세톤 200g을 투입하고, 메타크릴산메틸(MMA) 92.0g(77.1몰%), 아크릴산부틸(BA) 14.4g(9.4몰%), 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26.6g(13.5몰%)을 칭량하여 취하고, 중합개시제로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0.4g을 모노머 혼합물에 첨가해서 용해한 후, 그 혼합물을 플라스크내에 첨가했다. 그 후, 실온에서 질소가스를 약 1시간 통과시키고, 용존산소를 치환한 후, 질소기류하에 60℃까지 승온했다. 동일 온도를 약 18시간 유지하여, 비닐계 중합체의 아세톤 용액을 얻었다. 이때의 중합율은 99% 이상이었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Σtanδ는 2 미만의 값이며, 광투과율이 높고, 저복굴절이었지만, 디스크에 휘어짐이 발생하고 있었다. 한편, 실시예 1로부터 실시예 4까지의 Σtanδ는 2 이상의 값이며, 광투과율이 높고, 저복굴절이며, 또한, 디스크의 휘어짐을 저감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본 실시예에서는, 우선 비닐계 중합체(아크릴수지)를 제조하고, 비닐계 중합체로부터 필름을 성형하고, 상기 필름상에 하드코트 전구체를 도공적층하고, 가열 경화한 후, 이 적층필름을 사용한 광디스크를 제작했다.
<비닐계 중합체의 제조>
내압 2.3kg/㎠G의 4리터의 스테인레스강제 오토클레이브에 중합용매로서 아세톤 1279g을 투입하고, 메타크릴산메틸(MMA) 532g(58.4몰%), 아크릴산부틸(BA) 319g(27.4몰%), 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213g(14.2몰%)을 칭량하여 취하고, 중합개시제로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3.2g을 모노머혼합물에 첨가해 용해한 후, 혼합물을 플라스크내에 첨가했다. 그 후, 실온(25℃)에서 질소가스를 약 1시간 통과시키고, 용존산소를 치환한 후, 질소기류하에서 60℃까지 승온했다. 동일 온도를 약 18시간 유지하여, 비닐계 중합체의 아세톤 용액을 얻었다. 이때의 중합율은 99% 이상이었다.
<필름의 제조>
얻어진 비닐계 중합체의 아세톤 용액에, 약칭 AO-50 및 약칭 HP-10으로 표시되는 산화방지제 및 약칭 LA-57로 표시되는 광안정제를 비닐중합체에 대해서 각각 0.05% 가하고, 완전히 용해시킨 후, 이 용액을 히라노테크시드제 콤마코터헤드의 도공기를 이용하고, 기재층으로서 코스모샤인 A-4100(도요방적(주)제)의 PET를 사용하고, 3m/min 속도로 도공하고, 연속해서 50℃의 건조로를 3분, 140℃의 건조로를 3분 통과시켜 필름을 형성했다. 이때의 필름의 막두께는 80.0㎛이었다.
얻어진 필름을 평가용 시료로 하고, 상기한 측정법에 의해, 막두께, 막두께 정밀도, 표면평활성, 손실 탄성율/저장 탄성율의 적산값(Σtanδ), 광투과율, 복굴절, 가요성 및 헤이즈를 평가했다. 평가결과는, 후술하는 표 3에 정리해서 나타냈다.
<하드코트(HC)층의 형성>
하드코트 전구체(x-12-2206)의 고형분에 대해서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의 15% 수용액(와코준야쿠(주)제)을 3.3중량% 첨가해서 하드코트 전구체 용액을 조정했다. 이 용액을 히라노테크시드제 콤마코터헤드의 도공기를 이용하고, 상기에서 제작한 필름상에 도공하고, 연속해서 50℃의 건조로를 3분, 150℃의 건조로를 3분 통과시켜 적층필름을 형성했다. 이때의 적층필름의 막두께는 85.0㎛이었다. 상기에서 제작한 필름의 막두께는 80.0㎛이므로, 하드코트층의 막두께는 5.0㎛이다. 하드코트층의 연필경도 및 밀착성 및 적층필름의 막두께, 막두께 정밀도, 표면평활성, 광투과율, 복굴절, 가요성, 헤이즈 및 내찰상성을 측정했다. 또, 하드코트층의 연필경도, 밀착성, 및 적층필름의 내찰상성은 하기의 측정법에 의해 측정하고, 그 이외에는,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측정했다. 평가결과는, 후술하는 표 3에 정리해서 나타냈다.
[하드코트층의 연필경도]
하드코트 전구체의 고형분에 대해서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의 15% 수용액(와코준야쿠(주)제)을 3.3중량% 첨가한 것을 유리판상에 도포한 후, 50℃/3분의 직후에 150℃/3분 가열하여, 하드코트층을 제작하고, 그 연필경도를 JIS K5400에 준거해서 측정했다.
[하드코트층의 밀착성]
적층필름의 하드코트면으로부터 1mm 간격으로 1cm 이상의 노치를 바둑판의 눈금 모양으로 10개씩 넣고, 그 위에 셀로판 테이프를 첩부한 후 순간적으로 박리했을 때의 박리개수를 바둑판 눈금의 수로 나눈 것을 밀착성의 척도로 했다.
[적층필름의 내찰상성]
적층필름의 내찰상성은, 마모시험기를 이용하여, 하중 250g, 마모륜(摩耗輪) CSF-1, 회전수 100회전으로 행하고, 시험후의 헤이즈를 내찰상성의 척도로 했다.
<광디스크의 제작>
직경 12cm, 두께 1.1mm의 폴리카보네이트제의 지지기반상에, 기록층을 개재해서 점착필름(세키스이화학제 품명:5511)을 두께 20㎛로 라미네이트하고, 더욱이 점착필름상에, 상기에서 제작한 적층필름을 하드코트층이 외측으로 되도록 라미네이트하여, 광디스크를 제작했다. 제작한 광디스크에 관해서, 상기의 방법에 의해 휘어짐을 측정했다. 결과를 후술하는 표 3에 나타냈다.
(실시예 6)
산화방지제 및 광안정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필름을 제작하고, 더욱이 이것을 이용해서 적층필름 및 광디스크를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제작했다. 이들에 관해서 실시예 5와 동일한 각종 특성평가를 행하고, 결과를 표 3에 정리했다.
(실시예 7)
본 실시예에서는, 하기와 같이, 2종류의 비닐계 중합체를 개별로 제조한 후, 두 비닐계 중합체를 소정 비율로 혼합한 수지를 이용해서 필름을 제작하고, 그 위에 하드코트 전구체를 도공적층하고, 가열경화한 후, 이 적층필름을 사용한 광디스크를 제작했다. 또,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수지를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한 순서 및 평가를 행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정리했다. 하드코트층의 막두께는 2.1㎛로 했다.
<비닐계 중합체의 제조>
우선, 이하에 나타내는 순서에 의해 비닐 중합체(A)를 제조했다. 내압 2.3kg/㎠G의 4리터의 스테인레스강제 오토클레이브에 중합용매로서 아세톤 1279g을 투입하고, 메타크릴산메틸(MMA) 304g(33몰%), 아크릴산부틸(BA) 720g(61몰%), 아크릴산(AA) 40g(6몰%)을 칭량하여 취하고, 중합개시제로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0.4g을 모노머 혼합물에 첨가해 용해한 후, 그 혼합물을 플라스크내에 첨가했다. 그 후, 실온에서 질소가스를 약 1시간 통과시키고, 용존산소를 치환한 후, 질소기류하에 60℃까지 승온했다. 동일 온도를 약 18시간 유지하여 고분자 용액, 즉 비닐계 중합체 A의 아세톤 용액을 얻었다. 이때의 중합율은 98% 이상이었다. 중량평균 분자량은 255,000이었다.
다음에, 이하에 나타내는 순서에 의해 비닐 중합체(B)를 제조했다. 내압 2.3kg/㎠G의 4리터의 스테인레스강제 오토클레이브에 중합용매로서 아세톤 1279g을 투입하고, 메타크릴산메틸(MMA) 710g(81.6몰%), 메타크릴산트리시클로[5. 2. 1. 02,6]데카-8-일(TCDMA) 297g(15.5몰%),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메타크릴레이트 57g(2.9몰%)을 칭량하여 취하고, 중합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3.2g을 모노머혼합물에 첨가해 용해한 후, 그 혼합물을 플라스크내에 첨가했다. 그 후, 실온에서 질소가스를 약 1시간 통과시키고, 용존산소를 치환한 후, 질소기류하에서 60℃까지 승온했다. 동일 온도를 18시간 유지하고, 비닐계 중합체 B의 아세톤 용액을 얻었다. 이때의 중합율은 98% 이상이었다. 중량평균 분자량은 75,000이었다.
<필름의 제조>
얻어진 비닐계 중합체(A)의 아세톤 용액과 비닐계 중합체(B)의 아세톤 용액을, 5:5의 중량비(카르복실기/아미노기의 몰비율 2.2/1)로 혼합해서 비닐중합체 혼합물로 한 후, 구조식(35)으로 표시되는 산화방지제를 비닐중합체 혼합물에 대하여 0.1%를 가해서 완전히 용해했다. 그 후, 얻어진 용액을 히라노테크시드제 콤마코터헤드의 도공기를 이용하고, 기재층으로서 코스모샤인 A-4100(도요방적(주)제)의 PET를 사용하고, 3m/min 속도로 도공하고, 연속해서 50℃의 건조로를 3분, 140℃의 건조로를 3분 통과시켜 필름을 형성했다. 이때의 필름의 막두께는 100.2㎛이었다.
(실시예 8)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7에서 제작한 비닐계 중합체(A) 및 비닐계 중합체(B)의 혼합비율을 변경한 수지를 이용해서 필름을 제작한 것, 광투과층이 되는 필름의 막두께 및 하드코트층의 두께를 각각 80㎛ 및 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필름, 적층필름 및 광디스크를 제조했다. 구체적으로는, 비닐계 중합체(A)의 아세톤 용액과 비닐계 중합체(B)의 아세톤 용액을, 3:7의 중량비로 혼합한 수지를 사용했다. 이들에 관해서 실시예 5와 동일한 각종 특성평가를 행하고, 결과를 표 3에 정리했다.
(비교예 3)
비닐계 중합체(B)의 아세톤 용액만으로 필름을 제조한 것, 및 그 막두께를 8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필름, 적층필름 및 광디스크를 제조했다. 이들에 관해서 실시예 5와 동일한 각종 특성평가를 행하고, 결과를 표 3에 정리했다.
(비교예 4)
필름의 재료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제작된 비닐계 중합체를 사용하고, 하드코트층의 막두께를 0.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필름, 적층필름 및 광디스크를 제조했다. 이들에 관해서 실시예 5와 동일한 각종 특성평가를 행하고, 결과를 표 3에 정리했다.
<비닐계 중합체의 제조>
내압 2.3kg/㎠G의 4리터의 스테인레스강제 오토클레이브에 중합용매로서 아세톤 1279g을 투입하고, 메타크릴산메틸(MMA) 736g(77.1몰%), 아크릴산부틸(BA) 115g(9.4몰%), 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213g(13.5몰%)을 칭량하여 취하고, 중합개시제로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3.2g을 모노머혼합물에 첨가해 용해한 후, 그 혼합물을 플라스크내에 첨가했다. 그 후, 실온에서 질소가스를 약 1시간 통과시키고, 용존산소를 치환한 후, 질소기류하에 60℃까지 승온하였다. 동일 온도를 약 18시간 유지하고, 비닐계 중합체의 아세톤 용액을 얻었다. 이때의 중합율은 99% 이상이었다.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3 및 비교예 4의 Σtanδ는 2 미만의 값이며, 광투과율은 높고, 저복굴절이었지만, 디스크에 휘어짐이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비교예 4에서는 내찰상성이 큰 값으로 되어 있다. 한편, 실시예 5로부터 실시예 8까지의 Σtanδ는 2 이상의 값이며, 광투과율이 높고, 저복굴절이며, 또한, 디스크의 휘어짐을 저감함과 동시에 내찰상성도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9)
본 실시예에서는, 우선, 비닐계 중합체 A 및 비닐계 중합체 B를 각각 제조하고, 얻어진 각 비닐계 중합체를 혼합한 비닐계 중합체로부터 필름을 제작하고, 더욱이, 이 필름을 사용한 광디스크를 제작했다.
<비닐계 중합체의 제조>
[비닐 중합체 A의 제조]
500mL의 오토클레이브에 중합용매로서 아세톤 200g을 투입하고, 아크릴산부틸(BA) 128g(93.5몰%), 아크릴산(AA) 5g(6.5몰%)을 칭량하여 취하고, 중합개시제로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0.4g을 모노머혼합물에 첨가해 용해한 후, 그 혼합물을 플라스크내에 첨가했다. 그 후, 실온에서 질소가스를 약 1시간 통과시키고, 용존산소를 치환한 후, 질소기류하에 60℃까지 승온했다. 동일 온도를 약 18시간 유지하고, 비닐계 중합체 A의 아세톤 용액을 얻었다. 이때의 중합율은 99% 이상이었다. 중량평균 분자량은 250,000이었다. 유리전이온도는 -35℃이었다.
또, 유리전이온도(Tg)는, DVA로 측정했다. 측정장치로서, (주)유비엠제 레오스펙트라 DVE-V4를 사용했다. 측정조건은, 승온속도 3.O℃/min, 주파수 10.Ohz에서, 인장탄성율을 측정하고, 얻어진 데이타 중 tanδ의 피크톱을 Tg로 했다. 유리전이점의 측정조건은, 이하 동일하게 했다.
[비닐 중합체 B의 제조]
500mL의 오토클레이브에 중합용매로서 아세톤 200g을 투입하고, 메타크릴산메틸(MMA) 88.8g(81.6몰%), 메타크릴산트리시클로[5. 2. 1. 02,6]데카-8-일(TCDMA) 37.1g(15.5몰%),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메타크릴레이트 7.1g(2.9몰%)을 칭량하여 취하고, 중합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4g을 모노머 혼합물에 첨가해 용해한 후, 그 혼합물을 플라스크내에 첨가했다. 그 후, 실온에서 질소가스를 약 1시간 통과시키고, 용존산소를 치환한 후, 질소기류하에 60℃까지 승온했다. 동일 온도를 18시간 유지하고, 비닐계 중합체 B의 아세톤 용액을 얻었다. 이때의 중합율은 99% 이상이었다. 중량평균 분자량은 75,000이었다. 유리전이온도는 115℃이었다.
<필름의 제조>
얻어진 비닐계 중합체 A의 아세톤 용액과 비닐계 중합체 B의 아세톤 용액을 4:6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완전히 용해시킨 후, 그 용액을 유리판상에 도포하고, 100℃에서 10분간, 150℃에서 15분간 더 가열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80㎛의 필름을 제작하고, 얻어진 필름을 평가용 시료로 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측정법에 의해, 손실 탄성율/저장 탄성율의 적산값(Σtanδ), 가요성, 막두께, 광투과율, 복굴절을 각각 평가했다. 평가결과는, 후술하는 표 4에 정리해서 나타냈다.
<광디스크의 제작>
직경 12cm인 폴리카보네이트제의 두께 1.1mm의 지지기반상에, 기록층을 개재해서 점착필름(세키스이화학제 품명:5511)을 두께 20㎛로 라미네이트하고, 더욱이 점착필름상에, 제작한 필름을 라미네이트하여, 광디스크를 제작했다. 제작한 광디스크에 관해서, 상기의 측정법에 의해 광디스크의 휘어짐량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후술하는 표 4에 나타냈다.
(실시예 10)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비닐계 중합체 A 및 비닐계 중합체 B를 사용하고, 양자의 비닐계 중합체의 혼합비를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와 동일한 순서에 의해 필름을 제작했다. 그 후, 제작한 필름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한 순서에 의해 광디스크를 제작하고, 광디스크의 휘어짐량을 평가했다. 또, 각종 특성의 평가는,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했다.
구체적으로는, 얻어진 비닐계 중합체 A의 아세톤 용액과 비닐계 중합체 B의 아세톤 용액을 3:7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그 후, 완전히 용해시켜서, 그 용액을 유리판상에 도포후, 100℃에서 10분간, 150℃에서 15분간 더 가열 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80㎛의 필름을 제작하여, 평가용 시료로 했다.
(실시예 11)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비닐계 중합체 A와,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제조한 비닐계 중합체 B를 사용하고, 양자의 비닐계 중합체의 혼합비율을 3:7의 중량비로 혼합한 비닐계 중합체를 사용해서 필름을 제작하고, 이 필름으로부터 광디스크를 제작했다. 또, 각종 특성의 평가는,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했다.
[비닐 중합체 B의 제조]
500mL의 오토클레이브에 중합용매로서 아세톤 200g을 투입하고, 메타크릴산메틸(MMA) 86.6g(79.8몰%), 메타크릴산트리시클로[5. 2. 1. 02,6]데카-8-일(TCDMA) 37.0g(15.5몰%),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9.4g(4.7몰%)을 칭량하여 취하고, 중합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4g을 모노머 혼합물에 첨가해서 용해한 후, 그 혼합물을 플라스크내에 첨가했다. 그 후, 실온에서 질소가스를 약 1시간 통과시키고, 용존산소를 치환한 후, 질소기류하에 60℃까지 승온했다. 동일 온도를 18시간 유지하여, 비닐계 중합체 B의 아세톤 용액을 얻었다. 이때의 중합율은 99% 이상이었다. 중량평균 분자량은 72,000이었다. 유리전이온도는 115℃이었다.
(실시예 12)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9에서 제작한 필름을 광투과층으로 하고, 상기 필름상에 하기 하드코트 전구체를 도공적층하고, 가열경화한 후, 이 적층필름을 사용한 광디스크를 제작했다. 또, 하드코트층의 연필경도 및 적층필름의 내찰상성은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측정하고, 그 밖의 각종 특성평가는,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하여 행하였다.
(하드코트 전구체)
내압 2.3kg/㎠G의 4리터의 스테인레스강제 오토클레이브에 용매로서 부탄올(와코준야쿠(주)제) 1200g을 투입하고, 테트라에톡시실란(신에쓰화학(주)제) 32g, 메틸트리에톡시실란(신에쓰화학(주)제) 187.6g, 디메틸디에톡시실란(신에쓰화학(주)제) 180.4g을 칭량하여 취하고, 교반하면서 증류수 80g을 첨가했다. 그 후, 10% 수산화칼륨용액 0.04g을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60℃로 승온했다. 동일 온도를 2시간 유지하여, 하드코트 전구체를 얻었다. 이때의 고형분량은 20%이었다.
(하드코트층의 형성)
얻어진 하드코트 전구체의 고형분에 대하여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의 15% 수용액(와코준야쿠(주)제)을 3.3중량% 첨가해서 하드코트 전구체 용액을 조정했다. 이 용액을 히라노테크시드제 콤마코터헤드의 도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작한 필름상에 도공하고, 연속해서 50℃의 건조로를 3분, 150℃의 건조로를 3분 통과시켜 적층필름을 형성했다. 이때의 적층필름의 막두께는 83㎛이었으므로, 광투과층의 막두께를 빼면, 하드코트층의 막두께는 3㎛가 된다.
(비교예 5)
본 비교예에서는, 비닐계 중합체(B)의 아세톤 용액만으로 필름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했다. 또, 각종 특성의 평가는,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했다.
(비교예 6)
본 비교예에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제작된 비닐계 중합체 A와,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비닐계 중합체 B를 이용하여, 필름 및 광디스크를 제작했다.
[비닐 중합체 A의 제조]
500mL의 오토클레이브에 중합용매로서 아세톤 200g을 투입하고, 아크릴산부틸(BA) 133g(100몰%)을 칭량하여 취하고, 중합개시제로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0.4g을 모노머 혼합물에 첨가해 용해한 후, 그 혼합물을 플라스크내에 첨가했다. 그 후, 실온에서 질소가스를 약 1시간 통과시키고, 용존산소를 치환한 후, 질소기류하에 60℃까지 승온했다. 동일 온도를 약 18시간 유지하여, 비닐계 중합체 A의 아세톤 용액을 얻었다. 이때의 중합율은 99% 이상이었다. 중량평균 분자량은 260,000이었다. 유리전이온도는 -40℃이었다.
얻어진 비닐계 중합체 A의 아세톤 용액과 비닐계 중합체 B의 아세톤 용액을 4:6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완전히 용해시켜서, 그 용액을 유리판상에 도포후, 100℃에서 10분간, 150℃에서 15분간 더 가열 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했지만, 필름으로 형성할 수 없었다. 이 때문에, 광투과율만을 측정하였다.
상기의 실시예 9∼실시예 12, 비교예 5 및 비교예 6의 방법을 이용해서 제조한 필름 및 광디스크에 관해서 특성평가를 행한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또한, 카르복실기와 아미노기와의 몰 비율도 동일하게 표 4에 나타냈다. 또, 카르복실기와 아미노기와의 몰 비율은, 비닐계 중합체 A와 비닐계 중합체 B를 소정의 혼합비로 혼합하는 경우에, 소정량의 비닐 중합체 A중에 존재하는 카르복실기와, 소정량의 비닐 중합체 B중에 존재하는 아미노기를 각각 산출하고, 그 비율로부터 구했다.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6은, 카르복실기와 아미노기와의 몰 비율이 0이며, 필름형성능이 보이지 않았고, 광투과율만을 측정한 바, 5.5%로 낮은 값이었다. 또한, 비교예 5에서는, Σtanδ가 1.3으로 낮은 값이며, 광투과율은 양호했지만, 필름의 가요성 및 복굴절이 높고, 디스크에 휘어짐이 발생하고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실시예 9로부터 실시예 11까지는, Σtanδ가 2 이상이었기 때문에, 광투과율이 높고, 저복굴절임과 동시에 필름의 가요성이 양호하고, 게다가 디스크의 휘어짐도 저감할 수 있었다. 더욱이, 실시예 12에서는, 하드코트층을 필름상에 형성했기 때문에 내찰상성도 우수하다.
(실시예 13)
본 실시예에서는, 하기 프로톤 공여성 원자단을 갖는 비닐 중합체 A와 프로톤 수용성 원자단을 갖는 비닐 중합체 B를 함유하는 비닐계 중합체(아크릴수지)를 제조하고, 비닐계 중합체로부터 필름을 형성하고, 더욱이, 이 필름을 사용한 광디스크를 제작했다.
<비닐계 중합체의 제조>
[프로톤 공여성 원자단을 갖는 비닐 중합체 A의 제조]
500mL의 오토클레이브에 중합용매로서 아세톤 200g을 투입하고, 메타크릴산트리시클로[5. 2. 1. 02,6]데카-8-일(TCDMA) 56.1g(29몰%), 아크릴산부틸(BA) 73.1g(65몰%), 아크릴산(AA) 3.8g(6몰%)을 칭량하여 취하고, 중합개시제로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0.4g을 모노머 혼합물에 첨가하여 용해한 후, 그 혼합물을 플라스크내에 첨가하였다. 그 후, 실온(25℃)에서 질소가스를 약 1시간 통과시키고, 용존산소를 치환한 후, 질소기류하에 60℃까지 승온하였다. 동일 온도를 약 18시간 유지하여, 프로톤 공여성 원자단을 갖는 비닐계 중합체 A의 아세톤용액을 얻었다. 이때의 중합율은 98% 이상이었다.
[프로톤 수용성 원자단을 갖는 비닐 중합체 B의 제조]
500mL의 오토클레이브에 중합용매로서 아세톤 200g을 투입하고, 메타크릴산메틸(MMA) 88.8g(81.6몰%), 메타크릴산트리시클로[5. 2. 1. 02,6]데카-8-일(TCDMA) 37.1g(15.5몰%),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메타크릴레이트 7.1g(2.9몰%)을 칭량하여 취하고, 중합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4g을 모노머 혼합물에 첨가하여 용해한 후, 그 혼합물을 플라스크내에 첨가하였다. 그 후, 실온(25℃)에서 질소가스를 약 1시간 통과시키고, 용존산소를 치환한 후, 질소기류하에 60℃까지 승온하였다. 동일 온도를 약 18시간 유지하여, 비닐계 중합체 B의 아세톤 용액을 얻었다. 이때의 중합율은 98% 이상이었다.
<광투과층 필름의 제조>
얻어진 프로톤 공여성 원자단을 갖는 비닐계 중합체 A의 아세톤 용액과 프로톤 수용성 원자단을 갖는 비닐계 중합체 B의 아세톤 용액을 4:6의 중량비로 혼합해서 비닐중합체 혼합물을 얻었다. 그 후, 약칭 AO-50 및 약칭 HP-10으로 표시되는 산화방지제를 비닐중합체 혼합물에 대하여 각각 0.1% 가하고, 완전히 용해시킨 후, 그 용액을 유리기판상에 도포했다. 그 후, 100℃에서 10분간 가열건조한 후, 150℃에서 15분간 가열건조해서 용매를 제거하여, 두께 약 100㎛의 광투과층 필름을 제작했다. 제작한 필름을 평가용 시료로 하고, 이하의 측정법에 의해, 열팽창량, 열팽창비를 구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측정법에 의해 광투과율, 복굴절, 막두께, 막두께 정밀도를 각각 평가했다. 평가결과는, 후술하는 표 5에 정리해서 나타냈다.
[열팽창량, 열팽창비]
광투과층을 형성하는 각 재료로부터 평가 시험편으로서, 사이즈(4mm×20mm)의 필름을 제작하고, 30℃로부터 80℃로 온도를 상승시켰을 때의 1축 방향에 있어서의 열팽창량을 측정했다. 측정에는, Seiko Instruments사제의 SSC/5200을 사용하고, 측정조건은, 승온속도 2℃/min, 측정모드를 인장모드로 했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되는 지지기반으로부터 사이즈(4mm×20mm)의 평가 시험편을 제작하고, 동일하게 열팽창량을 측정했다. 열팽창량의 측정방법은, 30℃에서 상기 사이즈의 시험편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분 10mm을 갭으로 하여 그 양측에 철제 지그를 설치하고, 이것을 상기 측정조건에서 승온하고, 80℃에서 어느 정도의 길이가 팽창했는지를 팽창량으로서 측정하고, ㎛단위로 나타냈다. 측정된 광투과층의 필름과 지지기반과의 열팽창량에 관해서, 광투과층에 대한 지지기반의 필름의 열팽창비를 산출했다.
<광디스크의 제작>
직경 12cm의 폴리카보네이트제의 지지기반상에, 점착필름(세키스이화학제 품명:5511)을 라미네이트하고, 더욱이 점착필름상에 상기에서 제작한 광투과층 필름을 라미네이트해서 광디스크를 제작했다. 이하의 측정법에 의해 점착층과 광투과층의 굴절율 차이를 구하고, 제작한 광디스크에 관해서, 광디스크의 휘어짐을 실시예 1과 동일한 측정법에 의해 평가하고, 그 결과를 후술하는 표 5에 나타냈다.
[굴절율 차이]
아베굴절계를 이용하여 광투과층, 점착층 각각의 굴절율을 측정하고, 그 차이를 구했다.
(실시예 14)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3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비닐계 중합체 A 및 비닐계 중합체 B를 사용하고, 양자의 비닐계 중합체의 혼합비를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광투과층 필름을 제작했다. 그 후, 제작한 필름을 이용하여, 실시예 13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광디스크를 제작했다. 광투과층 필름 및 광디스크에 관해서, 실시예 13과 동일한 각종 특성평가를 행하고,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상기 혼합비에 관해서, 구체적으로는, 얻어진 비닐계 중합체 A의 아세톤 용액과 비닐계 중합체 B의 아세톤 용액을 3:7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그 후, 완전히 용해시켜서, 그 용액을 유리판상에 도포한 후, 100℃에서 10분간 가열 건조하고, 150℃에서 15분간 더 가열건조해서 용매를 제거하여, 두께 약 100㎛의 필름을 제작하고, 평가용 시료로 했다.
(실시예 15)
본 실시예에서는, 2종류의 비닐계 중합체를 혼합하지 않고,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제조한 1종류의 단독의 비닐계 중합체로부터 제작한 광투과층 필름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광디스크를 제작했다. 광투과층 필름 및 광디스크에 관해서, 실시예 13과 동일한 각종 특성평가를 행하고,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비닐계 중합체의 제조>
메타크릴산메틸(MMA) 98g(99몰%), 에틸렌디메타크릴레이트(EDMA) 2g(1몰%)을 칭량하여 취하고, 중합개시제로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0.3g을 모노머혼합물에 첨가해서 용해한 후, 실온(25℃)에서 질소가스를 약 1시간 통과시키고, 용존산소를 치환하고, 그 혼합물을 100㎛의 갭을 설치한 스테인레스판의 사이에 봉입했다. 이것을 60℃의 항온조에 약 18시간 방치하고, 중합반응을 행하였다. 이때의 중합율은 99% 이상이었다. 이 스테인레스판을 제거하고, 두께 100㎛의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6)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3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비닐계 중합체 A 및 비닐계 중합체 B를 사용하고, 양자의 비닐계 중합체의 혼합비를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필름을 제작했다. 그 후 제작한 필름을 이용하여, 실시예 13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광디스크를 제작했다. 광투과층 필름 및 광디스크에 관해서, 실시예 13과 동일한 각종 특성평가를 행하고,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상기 혼합비에 관해서, 구체적으로는, 얻어진 비닐계 중합체 A의 아세톤 용액과 비닐계 중합체 B의 아세톤 용액을 5:5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그 후, 완전히 용해시켜서, 그 용액을 유리판상에 도포한 후, 100℃에서 10분간 가열건조하고, 150℃에서 15분간 더 가열 건조해서 용매를 제거하여, 두께 약 100㎛의 광투과층 필름을 제작하고, 평가용 시료로 했다.
(실시예 17)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3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비닐계 중합체 A 및 비닐계 중합체 B를 사용하고, 양자의 비닐계 중합체의 혼합비를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필름을 제작했다. 그 후, 제작한 필름을 이용하여, 실시예 13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광디스크를 제작했다. 광투과층 필름 및 광디스크에 관해서, 실시예 13과 동일한 각종 특성평가를 행하고,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상기 혼합비에 관해서, 구체적으로는, 얻어진 비닐계 중합체 A의 아세톤 용액과 비닐계 중합체 B의 아세톤 용액을 2:8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그 후, 완전히 용해시켜서, 그 용액을 유리판상에 도포한 후, 100℃에서 10분간 가열건조하고, 150℃에서 15분간 더 가열건조해서 용매를 제거하여, 두께 약 100㎛의 광투과층 필름을 제작하고, 평가용 시료로 했다.
(비교예 7)
본 비교예에서는, 프로톤 공여성 원자단을 갖는 비닐 중합체 A를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광투과층 필름 및 광디스크를 제작했다. 광투과층 필름 및 광디스크에 관해서, 실시예 13과 동일한 각종 특성평가를 행하고,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프로톤 공여성 원자단을 갖는 비닐 중합체 A]
500mL의 오토클레이브에 중합용매로서 아세톤 200g을 투입하고, 메타크릴산트리시클로[5. 2. 1. 02,6]데카-8-일(TCDMA) 58.0g(31몰%), 아크릴산부틸(BA) 75.Og(69몰%)을 칭량하여 취하고, 중합개시제로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0.4g을 모노머 혼합물에 첨가해 용해한 후, 그 혼합물을 플라스크내에 첨가했다. 그 후, 실온(25℃)에서 질소가스를 약 1시간 통과시키고, 용존산소를 치환한 후, 질소기류하에서 60℃까지 승온했다. 동일 온도를 약 18시간 유지하여, 프로톤 공여성 원자단을 갖는 비닐계 중합체 A의 아세톤 용액을 얻었다. 이때의 중합율은 99% 이상이었다.
(비교예 8)
본 비교예에서는, 2종류의 비닐계 중합체를 혼합하지 않고,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제조한 1종류의 단독의 비닐계 중합체로부터 제작한 광투과층 필름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광디스크를 제작했다. 광투과층 필름 및 광디스크에 관해서, 실시예 13과 동일한 각종 특성평가를 행하고,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비닐계 중합체의 제조>
500mL의 오토클레이브에 중합용매로서 아세톤 200g을 투입하고, 메타크릴산메틸(MMA) 76.2g(65몰%), 아크릴산부틸(BA) 37.5g(25몰%), 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19.2g(10몰%)을 칭량하여 취하고, 중합개시제로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0.4g을 모노머 혼합물에 첨가해 용해한 후, 그 혼합물을 플라스크내에 첨가했다. 그 후, 실온에서 질소가스를 약 1시간 통과시키고, 용존산소를 치환한 후, 질소기류하에 60℃까지 승온했다. 동일 온도를 약 18시간 유지하여, 비닐계 중합체의 아세톤 용액을 얻었다. 이때의 중합율은 99% 이상이었다.
<필름의 제조>
상기 용액을 유리판상에 도포한 후, 100℃에서 10분간 가열건조하고, 150℃에서 15분간 더 가열 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약 100㎛의 필름을 제작하고, 평가용 시료로 했다.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7의 광투과층을 형성하는 아크릴계 중합체는, 필름형성능이 보이지 않아 열팽창량을 측정할 수 없으며, 또한, 비교예 8에서는, 광투과층에 대한 지지기반의 열팽창비가 0.72의 값으로 작고, 휘어짐량이 높은 값이 되어 있었지만, 실시예 13으로부터 실시예 17까지는, 어느 것이나 열팽창비가 0.75∼1.25의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부터, 광디스크의 휘어짐량을 저감할 수 있었다.
(실시예 18)
본 실시예에서는, 하기 프로톤 공여성 원자단을 갖는 비닐 중합체 A와 프로톤 수용성 원자단을 갖는 비닐 중합체 B를 함유하는 비닐계 중합체(아크릴수지)를 제조하고, 비닐계 중합체로부터 필름을 형성하고, 더욱이, 상기 필름상에 하드코트 전구체를 도공적층하고, 가열 경화한 후, 이 적층필름을 사용한 광디스크를 제작했다.
<비닐계 중합체의 제조>
[프로톤 공여성 원자단을 갖는 비닐 중합체 A의 제조]
내압 2.3kg/㎠G의 4리터의 스테인레스강제 오토클레이브에 중합용매로서 아세톤 1279g을 투입하고, 메타크릴산트리시클로[5. 2. 1. 02,6]데카―8-일(TCDMA) 449g(29몰%), 아크릴산부틸(BA) 585g(65몰%), 아크릴산(AA) 30g(6몰%)을 칭량하여 취하고, 중합개시제로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3.2g을 모노머 혼합물에 첨가해 용해한 후, 그 혼합물을 플라스크내에 첨가했다. 그 후, 실온(25℃)에서 질소가스를 약 1시간 통과시키고, 용존산소를 치환한 후, 질소기류하에 60℃까지 승온했다. 동일 온도를 약 18시간 유지하여, 프로톤 공여성 원자단을 갖는 비닐계 중합체 A의 아세톤 용액을 얻었다. 이때의 중합율은 98% 이상이었다.
[프로톤 수용성 원자단을 갖는 비닐 중합체 B의 제조]
내압 2.3kg/㎠G의 4리터의 스테인레스강제 오토클레이브에 중합용매로서 아세톤 1279g을 투입하고, 메타크릴산메틸(MMA) 710g(81.6몰%), 메타크릴산트리시클로[5. 2. 1. 02,6]데카―8-일(TCDMA) 297g(15.5몰%),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메타크릴레이트 57g(2.9몰%)을 칭량하여 취하고, 중합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3.2g을 모노머 혼합물에 첨가해 용해한 후, 그 혼합물을 플라스크내에 첨가했다. 그 후, 실온(25℃)에서 질소가스를 약 1시간 통과시키고, 용존산소를 치환한 후, 질소기류하에 60℃까지 승온했다. 동일 온도를 18시간 유지하여, 비닐계 중합체 B의 아세톤 용액을 얻었다. 이때의 중합율은 98% 이상이었다.
<광투과층 필름의 제조>
얻어진 프로톤 공여성 원자단을 갖는 비닐계 중합체 A의 아세톤 용액과 프로톤 수용성 원자단을 갖는 비닐계 중합체 B의 아세톤 용액을 4:6의 중량비로 혼합해서 비닐 중합체 혼합물을 얻었다. 그 후, 약칭 AO-50 및 약칭 HP-10으로 표시되는 산화방지제를 비닐 중합체 혼합물에 대하여 각각 0.1% 가하고, 완전히 용해시킨 후, 이 용액을 히라노테크시드제 콤마코터헤드의 도공기를 이용하고, 기재층으로서 코스모샤인 A-4100(도요방적(주)제)의 PET를 사용하고, 3m/min 속도로 도공하고, 연속해서 50℃의 건조로를 3분, 140℃의 건조로를 3분 통과해서 광투과층 필름을 형성했다. 이때의 필름의 막두께는 100.2㎛이었다. 제작한 필름을 평가용 시료로 해서 상기와 동일한 측정법에 의해, 본 실시예의 광투과층 필름의 열팽창량, 열팽창비를 구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측정방법에 의해 광투과율, 복굴절, 막두께, 막두께 정밀도를 각각 평가했다. 평가결과는, 후술하는 표 6에 정리해서 나타냈다.
<적층필름의 제조>
하드코트 전구체(x-12-2206)의 고형분에 대해서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의 15% 수용액(와코준야쿠(주)제)을 3.3중량% 첨가해서 코트 전구체 용액을 조정했다. 이 용액을 히라노테크시드제 콤마코터헤드의 도공기를 이용하고, 광투과층 필름상에 도공하고, 연속해서 50℃의 건조로를 3분, 150℃의 건조로를 3분 통과하여 적층필름을 형성했다. 이때의 적층필름의 막두께는 105.2㎛이며, 광투과층 필름의 막두께는 100.2㎛이므로, 하드코트층의 막두께는 5㎛이다. 본 실시예의 적층필름의 막두께, 막두께 정밀도, 광투과율, 복굴절을 실시예 1과 동일한 측정방법에 의해, 적층필름의 하드코트층의 연필경도 및 밀착성을 실시예 5와 동일한 측정법에 의해 각각 측정했다. 평가결과는, 후술하는 표 6에 정리해서 나타냈다.
<광디스크의 제작>
직경 12cm의 폴리카보네이트제의 지지기반상에, 점착필름(세키스이화학제 품명:5511)을 라미네이트하고, 점착필름상에 제작한 적층필름을 더 라미네이트해서 광디스크를 제작했다. 점착층과 광투과층의 굴절율 차이 및 제작한 광디스크의 휘어짐량을 실시예 13과 동일한 측정방법에 의해, 그 내찰상성을 이하의 측정법에 의해 측정했다. 결과를 후술하는 표 6에 나타냈다.
[광디스크의 내찰상성]
광디스크의 내찰상성은, 마모시험기를 이용하여, 하중 250g, 마모륜 CSF-1, 회전수 100회전에서 행하고, 시험후의 헤이즈를 내찰상성의 척도로 했다. 헤이즈(%)는, 헤이즈미터(스가시험기(주)제, HGM-2)를 이용하고, 실온에서 측정했다.
(실시예 19)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8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비닐계 중합체 A 및 비닐계 중합체 B를 사용하고, 양자의 비닐계 중합체의 혼합비를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광투과층 필름을 제작했다. 그 후, 제작한 광투과층 필름상에 실시예 18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하드코트층을 형성하여, 적층필름을 제작하고, 이것을 이용해서 광디스크를 제조했다.
상기 혼합비에 관해서, 구체적으로는, 얻어진 비닐계 중합체 A의 아세톤 용액과 비닐계 중합체 B의 아세톤 용액을 3:7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그 후, 완전히 용해시켜서, 이 용액을 히라노테크시드제 콤마코터헤드의 도공기를 이용하고, 기재층으로서 코스모샤인 A-4100(도요방적(주)제)의 PET를 사용하고, 3m/min 속도로 도공하고, 연속해서 50℃의 건조로를 3분, 140℃의 건조로를 3분 통과해서 광투과층 필름을 형성했다. 이때의 광투과층 필름의 막두께는 100.5㎛이었다.
본 실시예의 광투과층 필름, 적층필름 및 광디스크에 관해서, 실시예 18과 동일한 각종 특성평가를 행하고,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냈다.
(실시예 20)
본 실시예에서는, 2종류의 비닐계 중합체를 혼합하지 않고,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제조한 1종류의 단독의 비닐계 중합체로부터 제작한 광투과층 필름을 이용하고,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제작한 적층필름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8과 동일하게 하여 광디스크를 제조했다. 본 실시예의 광투과층 필름, 적층필름 및 광디스크에 관해서, 실시예 18과 동일한 각종 특성평가를 행하고,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냈다.
<비닐계 중합체의 제조>
메타크릴산메틸(MMA) 98g(99몰%), 에틸렌디메타크릴레이트(EDMA) 2g(1몰%)을 칭량하여 취하고, 중합개시제로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0.3g을 모노머 혼합물에 첨가해서 용해한 후, 실온(25℃)에서 질소가스를 약 1시간 통과시키고, 용존산소를 치환하고, 그 혼합물을 100㎛의 갭을 설치한 스테인레스판의 사이에 봉입했다. 이것을 60℃의 항온조에 약 18시간 방치하고, 중합반응을 행하였다. 이때의 중합율은 99% 이상이었다. 이 스테인레스판을 제거하고, 두께 100.1㎛의 광투과층 필름을 얻었다.
<적층필름의 제조>
하드코트 전구체(x-12-2206)의 고형분에 대하여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의 15% 수용액(와코준야쿠(주)제)을 3.3중량% 첨가해서 하드코트 전구체 용액을 조정했다. 이 용액을 상기 광투과층상에 핸드코터를 이용해서 도포하고, 50℃/ 10분 건조후, 150℃에서 5분간 가열하여, 적층필름을 얻었다. 이때의 하드코트층의 막두께는 약 2.1㎛이었다.
(실시예 21)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8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비닐계 중합체 A 및 비닐계 중합체 B를 사용하고, 양자의 비닐계 중합체의 혼합비를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광투과층 필름을 제작했다. 그 후, 제작한 광투과층 필름상에 하드코트층을 실시예 18과 동일한 순서로 형성하여, 적층필름을 얻었다. 하드코트층의 막두께는 약 2.2㎛이었다. 그 후, 실시예 18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광디스크를 제작했다.
상기 혼합비에 관해서, 구체적으로는, 얻어진 비닐계 중합체 A의 아세톤 용액과 비닐계 중합체 B의 아세톤 용액을 5:5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그 후, 완전히 용해시켜서, 이 용액을 히라노테크시드제 콤마코터헤드의 도공기를 이용하고, 기재층으로서 코스모샤인 A-4100(도요방적(주)제)의 PET를 사용하여, 3m /min 속도로 도공하고, 연속해서 50℃의 건조로를 3분, 140℃의 건조로를 3분 통과해서 광투과층 필름을 형성했다. 이때의 광투과층 필름의 막두께는 100.3㎛이었다.
본 실시예의 광투과층 필름, 적층필름 및 광디스크에 관해서, 실시예 18과 동일한 각종 특성평가를 행하고,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냈다.‘
(실시예 22)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8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비닐계 중합체 A 및 비닐계 중합체 B를 사용하고, 양자의 비닐계 중합체의 혼합비를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광투과층 필름을 제작했다. 그 후, 제작한 광투과층 필름상에 하드코트층을 실시예 18과 동일한 순서로 도공하여, 적층필름을 얻었다. 하드코트층의 막두께는 약 2.1㎛이었다. 그 후, 실시예 18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광디스크를 제작했다.
상기 혼합비에 관해서, 구체적으로는, 얻어진 비닐계 중합체 A의 아세톤 용액과 비닐계 중합체 B의 아세톤 용액을 2:8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그 후, 완전히 용해시켜서, 이 용액을 히라노테크시드제 콤마코터헤드의 도공기를 이용하고, 기재층으로서 코스모샤인 A-4100(도요방적(주)제)의 PET를 사용하여, 3m /min 속도로 도공하고, 연속해서 50℃의 건조로를 3분, 140℃의 건조로를 3분 통과해서 광투과층을 형성했다. 이때의 광투과층의 막두께는 99.8㎛이었다.
본 실시예의 광투과층 필름, 적층필름 및 광디스크에 관해서, 실시예 18과 동일한 각종 특성평가를 행하고,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냈다.
(비교예 9)
본 비교예에서는, 프로톤 공여성 원자단을 갖는 비닐 중합체 A를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것, 및 하드코트층을 형성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8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해서 광투과층 필름 및 광디스크를 제작했다. 본 실시예의 광투과층 필름 및 광디스크에 관해서, 실시예 18과 동일한 각종 특성평가를 행하고,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냈다.
[프로톤 공여성 원자단을 갖는 비닐 중합체 A]
내압 2.3kg/㎠G의 4리터의 스테인레스강제 오토클레이브에 중합용매로서 아세톤 1279g을 투입하고, 메타크릴산트리시클로[5. 2. 1. 02,6]데카―8-일(TCDMA) 464g(31몰%), 아크릴산부틸(BA) 600g(69몰%)을 칭량하여 취하고, 중합개시제로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3.2g을 모노머 혼합물에 첨가해 용해한 후, 그 혼합물을 플라스크내에 첨가했다. 그 후, 실온(25℃)에서 질소가스를 약 1시간 통과시키고, 용존산소를 치환한 후, 질소기류하에서 60℃까지 승온했다. 동일 온도를 약 18시간 유지하고, 프로톤 공여성 원자단을 갖는 비닐계 중합체 A의 아세톤 용액을 얻었다. 이때의 중합율은 99% 이상이었다.
(비교예 10)
본 실시예에서는, 2종류의 비닐계 중합체를 혼합하지 않고,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제조한 1종류의 단독의 비닐계 중합체로부터 제작한 광투과층 필름을 이용하고, 적층필름의 하드코트층의 막두께를 약 0.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8과 동일하게 하여 광디스크를 제조했다. 본 실시예의 광투과층 필름, 적층필름 및 광디스크에 관해서, 실시예 18과 동일한 각종 특성평가를 행하고, 그 결과를 표6에 나타냈다.
<비닐계 중합체의 제조>
내압 2.3kg/㎠G의 4리터의 스테인레스강제 오토클레이브에 중합용매로서 아세톤 1279g을 투입하고, 메타크릴산메틸(MMA) 610g(65몰%), 아크릴산부틸(BA) 300g(25몰%), 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154g(10몰%)을 칭량하여 취하고, 중합개시제로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3.2g을 모노머 혼합물에 첨가해 용해한 후, 그 혼합물을 플라스크내에 첨가했다. 그 후, 25℃에서 질소가스를 약 1시간 통과시키고, 용존산소를 치환한 후, 질소기류하에 60℃까지 승온했다. 동일 온도를 약 18시간 유지하여, 비닐계 중합체의 아세톤 용액을 얻었다. 이때의 중합율은 99% 이상이었다.
<필름의 제조>
상기 용액을 유리판상에 도포한 후, 100℃에서 10분간 가열건조하고, 150℃에서 15분간 더 가열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약 100㎛의 필름을 제작하고, 평가용 시료로 했다.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9의 광투과층을 형성하는 아크릴계 중합체는, 필름형성능이 보이지 않아, 열팽창량을 측정할 수 없으며, 또한, 비교예 10에서는, 광투과층에 대한 지지기반의 열팽창비가 0.72의 값으로 작고, 휘어짐량이 높은 값으로 되어 있었지만, 실시예 18로부터 실시예 22까지는, 어느 것이나 열팽창비가 0.75∼1.25의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부터, 광디스크의 휘어짐량을 저감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9의 하드코트를 적층하지 않은 경우, 비교예 10의 하드코트의 막두께가 지나치게 얇은 경우는, 각각 내찰상성이 낮은 것에 대해서, 실시예 18로부터 실시예 22에서는, 내찰상성이 향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3)
본 실시예에서는, 하기 폴리머 A와 폴리머 B를 혼합해서 얻어진 중합체에 실리콘 수지를 첨가한 것을 기재층에 도포건조하므로써 평가용 필름을 제작했다.
<폴리머 A의 제조>
내압 2.3kg/㎠G의 4리터의 스테인레스강제 오토클레이브에 중합용매로서 아세톤 1252g을 투입하고, 아크릴산부틸(BA, 와코준야쿠(주)제) 1035g, 아크릴산(AA, 와코준야쿠(주)제) 46g을 칭량하여 취했다. 그 후, 실온에서 질소가스를 약 1시간 통과시키고, 용존산소를 치환한 후, 오토클레이브내를 가압ㆍ밀폐하고, 60℃까지 승온했다. 더욱이, 중합개시제로서 라우로일퍼옥사이드(LPO, 일본유지(주)제) 3.1g,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네이트(PBO, 일본유지(주)제) 1.1g, α-메틸스티렌다이머(AMSD, 고이카세(주)제) 0.03g을 아세톤 40g에 용해하고, 실온에서 질소가스를 약 10분간 통과시키고, 용존산소를 치환한 혼합용액을 첨가했다. 그 후, 동일 온도를 약 14시간 유지했다. 더욱이, 90℃까지 승온해서 동일 온도에서 약 6시간 유지한 후, 고분자 용액을 얻었다. 이때의 중합율은 98% 이상이며, 중량평균 분자량은 250,000이었다.
<폴리머 B의 제조>
내압 2.3kg/㎠G의 4리터의 스테인레스강제 오토클레이브에 중합용매로서 아세톤 1500g을 투입하고, 메타크릴산메틸(MMA, 와코준야쿠(주)제) 749g, 메타크릴산트리시클로[5. 2. 1. 02,6〕데카―8-일(TCDMA, 히다치화성(주)제) 103g, 아크릴산부틸(BA) 69g, 2,2,6,6-펜타메틸-4-피페리딜메타크릴레이트(LA-87, 히다치화성(주)제) 79g을 칭량하여 취했다. 그 후, 실온에서 질소가스를 약 1시간 통과시키고, 용존산소를 치환하고, 오토클레이브내를 가압ㆍ밀폐로 해서, 65℃까지 승온한 후, 중합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와코준야쿠(주)제) 3.Og, 아조비스시클로헥사논-1-카르보니트릴(ACHN, 와코준야쿠(주)제) 1.Og을 아세톤 40g에 용해하여, 실온에서 질소가스를 약 10분간 통과시키고, 용존산소를 치환한 혼합용액을 첨가했다. 그 후, 동일 온도를 약 18시간 유지했다. 그 후, 90℃까지 승온해서 동일 온도에서 약 6시간 유지해서 고분자용액을 얻었다. 이때의 중합율은 98% 이상이며, 중량평균 분자량은 65,000이었다.
(필름의 제작)
얻어진 폴리머 A 니스와 폴리머 B 니스를 4:6의 고형분의 비율로 혼합함과 동시에, 이형제로서 SH28PA(폴리옥시에틸렌구조를 갖는 측쇄에서 변성된 디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도오레ㆍ다우코닝(주)제, 하기식의 구조를 갖는다)
(식중, n은 약 1000, m은 약 400, R은 알킬기 또는 수소이다)
를 혼합수지에 대하여 0.05% 첨가했다. 그 용액을, 히라노테크시드제 콤마코터헤드의 도공기를 이용하여, 원반 PET(코스모샤인 A-4150, 도요방적(주))에 3m/min 속도로 도공하고, 연속해서 50℃의 건조로를 3분, 140℃의 건조로를 3분 통과해서 평가용 필름으로 했다. 또, 사용한 원반 PET의 막두께는 125㎛이며, 막두께 정밀도는 1.5㎛이며, 도공면의 표면평활성은 5nm이다.
(실시예 24)
본 실시예에서는, 수지에 대하여 이형제인 SH28PA(도오레ㆍ다우코닝(주)제)의 첨가량을 0.2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3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25)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23에서 제작한 필름의 광투과층상에 하기 하드코트 전구체를 도공적층하고, 가열경화함으로써 하드코트층을 형성하고, 이것을 평가용 필름으로 했다.
<하드코트 전구체>
내압 2.3kg/㎠G의 4리터의 스테인레스강제 오토클레이브에 용매로서 부탄올(와코준야쿠(주)제) 1200g을 투입하고, 테트라에톡시실란(신에쓰화학(주)제) 32g, 메틸트리에톡시실란(신에쓰화학(주)제) 187.6g, 디메틸디에톡시실란(신에쓰화학(주)제) 180.4g을 칭량하여 취하고, 교반하면서 증류수 80g을 첨가했다. 그 후, 10% 수산화칼륨용액 0.04g을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60℃로 승온했다. 동일 온도를 2시간 유지하여, 하드코트 전구체를 얻었다. 이때의 고형분량은 20%이었다.
<하드코트층의 형성>
얻어진 하드코트 전구체의 고형분에 대하여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의 15% 수용액(와코준야쿠(주)제)을 3.3중량% 첨가해서 하드코트 전구체 용액을 조정했다. 이 용액을 히라노테크시드제 콤마코터헤드의 도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작한 필름상에 도공하고, 연속해서 50℃의 건조로를 3분, 150℃의 건조로를 3분 통과해서 적층필름을 형성했다. 이때의 적층필름의 막두께는 82.9㎛이었으므로, 광투과층의 막두께를 빼면, 하드코트층의 막두께는 3.0㎛로 된다.
상기 실시예 23∼실시예 25에 의해 제작된 각 평가용 필름(광투과층 필름, 기재층, 이들이 적층된 적층필름)에 관해서, 헤이즈, 광투과율, 복굴절, 막두께(㎛)ㆍ막두께 오차, 표면평활성, 하드코트층의 연필경도, 필름의 내찰상성을 상기의 측정방법에 의해, 유리전이온도, 색상, 정마찰계수, 굴곡가공성, 부착성을 하기의 측정방법에 의해 측정ㆍ평가했다.
[유리전이온도(Tg)]
DVA로 측정했다. 측정장치로서, (주)유비엠제 레오스펙트라 DVE-V4를 사용했다. 측정조건은, 승온속도 3.0℃/min, 주파수 10.0hz에서, 인장탄성율을 측정하고, 얻어진 데이터중 Σtanδ의 피크 톱을 Tg로 했다.
[색상(옐로우니스 인덱스)(%)]
필름의 색상(황색도)은, 옐로우니스 인덱스에 관해서, 색차계(일본전색공업제 COH-300A)를 이용해서 측정했다.
[정마찰계수]
정마찰계수는, 20cm×20cm의 유리기판상에 필름을 라미네이트하고, 그 위에 저면이 직경 3cm, 높이 2cm, 중량 75g의 원주체의 저면에 PET필름(코스모샤인 A4150)을 붙인 것을 올리고, 필름을 기울여서 원주체가 움직이기 시작한 각도를 θ로 하고, 각도 θ로부터 정마찰계수 μ=tanθ(θ:원주체가 움직이기 시작한 각도)를 산출하고, 정마찰계수μ로 했다.
[굴곡가공성]
필름을 구부렸을 때의 균열의 유무 및 백화 현상의 정도를 눈으로 관찰했다. 균열 및 백화 현상이 관찰되지 않았을 때에 그 평가를 O으로 하고, 관찰되었을 때에 그 평가를 ×로 했다.
[부착성]
원반 PET에 도공한 필름을, 사이즈 15cm×1m로 절출하였다. 절출한 필름에 관해서 광투과층 필름면측을 아래로 하여, 필름을 평평하게 한 상태에서, 실온(25℃), 이형속도 100mm/sec의 범위에서, 장방형의 단변을 위쪽 바닥으로 하고, 위쪽 바닥 좌측으로부터 위쪽 바닥 우측 방향으로, 벗겨진 양이 장변과 단변을 비교해서 항상 단변측쪽이 많아지게 되도록 위쪽 바닥을 모두 벗기고, 다음으로 장변 좌우가 같은 정도의 위치가 되도록 벗기고, 아래 바닥을 향해서 원반 PET를 벗겼다. 이때, 벗긴 PET필름은 높이 30cm 이하가 되도록 벗겼다. 부착의 값은 원반 PET의 박리 잔사 개수를 측정했다. 측정 매수는, 각각 5장으로 하고, 값은 합계수를 측정하고, 1㎡당의 개수로 환산해서 표기했다.
상기의 측정방법에 의해 측정된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량의 실리콘 수지를 첨가한 실시예 23 내지 실시예 25의 각 필름은, 광투과율이 높고, 헤이즈가 낮으며, 복굴절이 소정값보다 낮은 것으로부터 광학특성이 양호하고, 또한, 1㎥당의 박리 잔사 개수가 3개 이하이며, 이형성이 양호했다. 또한, 실시예 25와 같이 하드코트층을 광투과층상에 형성하는 것에 의해, 필름의 내찰상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26)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머 전체에 대하여 분자량 1만 이하의 폴리머가 차지하는 양이 4.2중량%인, 폴리머 A 및 폴리머 B의 혼합물을 사용했다.
<폴리머 A의 제조>
내압 2.3kg/㎠G의 4리터의 스테인레스강제 오토클레이브에 중합용매로서 아세톤 1252g을 투입하고, 아크릴산부틸(BA, 와코준야쿠(주)제) 1035g, 아크릴산(AA, 와코준야쿠(주)제) 46g을 칭량하여 취했다. 그 후, 실온에서 질소가스를 약 1시간 통과시키고, 용존산소를 치환하고, 오토클레이브내를 가압ㆍ밀폐하여, 60℃까지 승온한 후, 중합개시제로서 라우로일퍼옥사이드(LPO, 일본유지제) 3.1g,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네이트(PBO, 일본유지제) 1.1g, α-메틸스티렌다이머(AMSD, 고이카세이제) 0.03g을 아세톤 40g에 용해하고, 실온에서 질소가스를 약 10분간 통과시키고, 용존산소를 치환한 혼합용액을 첨가했다. 그 후, 동일 온도를 약 14시간 유지했다. 더욱이 90℃까지 승온하고, 동일 온도에서 약 6시간 유지한 후, 고분자용액을 얻었다. 이때의 중합율은 98% 이상이며, 중량평균 분자량은 250,000이었다.
<폴리머 B의 제조>
내압 2.3kg/㎠G의 4리터의 스테인레스강제 오토클레이브에 중합용매로서 아세톤 1500g을 투입하고, 메타크릴산메틸(MMA, 와코준야쿠(주)제) 749g, 메타크릴산트리시클로〔5. 2. 1. 02,6〕데카―8-일(TCDMA, 히다치화성(주)제) 103g, 아크릴산부틸(BA) 69g, 2,2,6,6-펜타메틸-4-피페리딜메타크릴레이트(LA-87, 히다치화성(주)제) 79g을 칭량하여 취했다. 그 후, 실온에서 질소가스를 약 1시간 통과시키고, 용존산소를 치환하고, 오토클레이브내를 가압ㆍ밀폐하여, 60℃까지 승온한 후, 중합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와코준야쿠(주)제) 3.Og, 아조비스시클로헥사논-1-카르보니트릴(ACHN, 와코준야쿠(주)제) 1.Og을 아세톤 40g에 용해하여, 실온에서 질소가스를 약 10분간 통과시키고, 용존산소를 치환한 혼합용액을 첨가했다. 더욱이, 동일 온도를 약 18시간 유지하고, 90℃까지 승온한 후, 동일 온도에서 약 6시간 유지하여, 고분자 용액을 얻었다. 폴리머 B의 중합율은 98% 이상이며, 중량평균 분자량은 75,000이었다.
<필름의 제작>
얻어진 폴리머 A 니스와 폴리머 B 니스를 4:6의 고형분의 비율로 혼합하고, 그 용액을 히라노테크시드제 콤마코터헤드의 도공기를 이용하여, 원반PET(코스모샤인 A-4100, 도요방적(주))에 3m/min 속도로 도공하고, 연속해서 50℃의 건조로를 3분, 140℃의 건조로를 3분 통과해서 평가용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27)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머 B 합성시의 반응온도를 60℃로부터 62℃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6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평가용 필름을 제작했다. 폴리머 B의 중합율은 98% 이상이며, 폴리머 B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71,000이었다.
(실시예 28)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머 A 합성시의 반응온도를 60℃로부터 65℃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6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필름을 제작했다. 폴리머 A의 중합율은 98% 이상이며, 폴리머 A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135,000이었다.
상기 실시예 26∼실시예 28에 의해 제작된 각 평가용 필름(광투과층 필름, 기재층, 이들이 적층된 적층필름)에 관해서, 유리전이온도, 광투과율, 색상, 굴곡가공성, 부착성, 복굴절, 막두께(㎛)ㆍ막두께 오차, 표면평활성을 상기의 측정방법에 의해, 폴리스티렌 환산 분자량을 하기의 측정방법에 의해 측정ㆍ평가했다. 결과를 표 9에 나타낸다.
[폴리스티렌 환산 분자량]
겔침투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폴리스티렌 환산 분자량을 구했다. 측정조건은 표 1에 나타낸 것으로 했다.
또한, 분자량 1만 이하의 양은, 분자량 분석차트에 있어서 면적비로 산출한 것이다. 측정기는 토소(주)제의 HLC-802A를 사용했다.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6∼28의 각 필름은, 어느 것이나 유리전이온도가 25℃ 이상이고, 폴리머 B의 분자량이 70,000 이상이며, 폴리머 A 및 폴리머 B의 혼합후에 있어서의 분자량 1만 이하의 폴리머가 차지하는 양이 10중량% 이하이므로, 1㎡당 박리 잔사의 개수는 3개 이하가 되어, 이형성이 양호했다.
이하의 실시예 29∼33에서는, 광투과층상에 표면경도가 연필경도로 3H 이상인 하드코트층을 더 형성한 적층필름을 제작하고, 이것을 평가한 것이다.
(실시예 29)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26과 동일하게 하여 얻은 필름상에 하기 하드코트 전구체 A를 도포하고, 이것을 가열경화시켜, 적층필름을 제작했다.
<하드코트 전구체 A>
내압 2.3kg/㎠G의 4리터의 스테인레스강제 오토클레이브에 용매로서 부탄올(와코준야쿠(주)제) 1200g을 투입하고, 테트라에톡시실란(신에쓰화학(주)제) 32g, 메틸트리에톡시실란(신에쓰화학(주)제) 187.6g, 디메틸디에톡시실란(신에쓰화학(주)제) 180.4g을 칭량하여 취하고, 교반하면서 증류수 80g을 첨가했다. 그 후, 10% 수산화 칼륨용액 0.04g을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60℃로 승온했다. 동일 온도를 2시간 유지하여, 하드코트 전구체 A를 얻었다. 이때의 고형분량은 20%이었다.
<하드코트층의 형성>
얻어진 하드코트 전구체 A의 고형분에 대해서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의 15% 수용액(와코준야쿠(주)제)을 3.3중량% 첨가해서 하드코트 전구체 용액을 조정했다. 이 용액을 히라노테크시드제 콤마코터헤드의 도공기를 이용하여, 광투과층 필름상에 도공하고, 연속해서 50℃의 건조로를 3분, 150℃의 건조로를 3분 통과해서 적층필름을 형성했다. 이때의 하드코트층의 막두께는, 광투과층의 막두께를 빼서 산출했다.
(실시예 30)
하드코트 전구체 A 대신에, 시판품인 하드코트 전구체(신에쓰화학(주)제 X-12-2206)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9와 동일하게 하여 적층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31)
본 실시예에서는, 광투과층 필름으로서 실시예 2에서 제작한 필름을 이용하고, 하드코트층의 막두께를 약 2㎛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0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32)
본 실시예에서는, 광투과층 필름으로서 실시예 3에서 제작한 필름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0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필름을 제작했다.
상기 실시예 29∼32에 의해 제작된 각 필름(광투과층 필름, 기재층 필름, 적층필름)에 관해서, 실시예 26과 동일한 각종 특성을 평가함과 동시에, 하드코트층의 특성에 관한 평가를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행하였다. 또, 외관의 평가는 하기와 같다. 결과를 표 10에 나타낸다.
[외관]
하드코트층 표면의 외관을 눈으로 관찰 및 현미경(배율 200배)에 의해 평가했다. 평가기준으로서는, 눈으로 관찰 및 현미경의 양쪽에서 크랙이 전혀 확인될 수 없는 경우에는 ○, 눈으로는 확인할 수 없지만, 현미경으로는 크랙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에는 △, 눈으로 분명히 크랙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에는 ×로 했다.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9∼32의 각 필름은, 어느 것이나 유리전이온도가 25℃ 이상이고, 폴리머 B의 분자량이 70,000 이상이며, 폴리머 A 및 폴리머 B의 혼합후에 있어서의 분자량 1만 이하의 폴리머가 차지하는 양이 10중량% 이하이었기 때문에, 1㎡당 박리 잔사의 개수는 3개 이하가 되고, 이형성이 양호하고, 게다가, 하드코트층의 연필경도가 3H 이상이었기 때문에 내찰상성도 양호했다.
따라서, 분자량이 1만 이하인 저분자 폴리머가 차지하는 양이, 폴리머 전체에 대하여 10중량% 이하인 열가소성 수지 또는 비닐계 중합체, 특히 2종 이상의 비닐계 중합체를 혼합한 폴리머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광투과성이나 필름 강도에 더하여, 표면평활성 및 이형성이 모두 양호한 광학부품용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 33, 실시예 34, 실시예 36은, 광학부품용 적층필름의 기재층으로서, 이형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막두께가 125㎛, 막두께 정밀도가 ±O.8㎛, 표면평활성이 각각 5nm, 10nm, 5nm인 PET기재를 사용하고, 실시예 35는, 광학부품용 적층필름의 기재층으로서, 그 표면을 이형처리하고, 막두께가 50㎛이며, 막두께 정밀도가 각각 ±0.7㎛, 표면평활성이 각각 18mn인 PET기재를 사용했다.
(실시예 33)
본 실시예에서는, 광투과층으로서, 하기 폴리머 A와 폴리머 B를 혼합한 폴리머를 사용했다.
<폴리머 A의 제조>
내압 2.3kg/㎠G의 4리터의 스테인레스강제 오토클레이브에 중합용매로서 아세톤 1279g을 투입하고, 아크릴산부틸(BA, 와코준야쿠(주)제) 994g, 아크릴산(AA, 와코준야쿠(주)제) 86g, 이소프로필알코올(IPA, 토쿠야마(주)제) 160g을 칭량하여 취했다. 그 후, 실온에서 질소가스를 약 1시간 통과시키고, 용존산소를 치환한 후, 중합개시제로서 라우로일퍼옥사이드(LPO, 일본유지(주)제) 0.72g,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네이트(PBO, 일본유지(주)제) 0.24g, 분자량 조정제로서 α-메틸스티렌다이머 0.054g을 아세톤 40g에 용해하고, 실온에서 질소가스를 약 10분간 통과시키고, 용존산소를 치환한 혼합용액을 첨가했다. 그 후, 오토클레이브내를 가압ㆍ밀폐하여, 60℃까지 승온하고, 동일 온도에서 약 20시간 유지한 후, 90℃까지 승온했다. 더욱이, 동일 온도에서 약 10시간 유지하여, 고분자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고분자용액의 중합율은 97% 이상이었다.
<폴리머 B의 제조>
내압 2.3kg/㎠G의 4리터의 스테인레스강제 오토클레이브에 중합용매로서 아세톤 1279g을 투입하고, 메타크릴산메틸(MMA, 아사히화성(주)제) 810g, 메타크릴산트리시클로[5. 2. 1. 02,6]데카-8-일(TCDMA, 히다치화성(주)제) 205g, 아크릴산부틸(BA) 32g,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메타크릴레이트(FA712HM, 히다치화성(주)제) 32g을 칭량하여 취했다. 그 후, 실온에서 질소가스를 약 1시간 통과시키고, 용존산소를 치환한 후, 중합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와코준야쿠(주)제) 2.88g, 아조비스시클로헥사논-1-카르보니트릴(ACHN, 와코준야쿠(주)제) 0.96g을 아세톤 40g에 용해하여, 실온에서 질소가스를 약 10분간 통과시키고, 용존산소를 치환한 혼합용액을 첨가했다. 그 후, 오토클레이브내를 가압ㆍ밀폐하여 60℃까지 승온하고, 동일 온도를 약 20시간 유지했다. 더욱이, 90℃까지 승온한 후, 동일 온도에서 약 10시간 유지하여, 고분자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고분자용액의 중합율은 97% 이상이었다.
(적층필름의 제작)
얻어진 폴리머 A 니스와 폴리머 B 니스를 3:7의 고형분의 비율에 의해 혼합하고, 혼합한 용액을 히라노테크시드제 콤마코터헤드의 도공기에 의해, 기재층 (PET, 코스모샤인 A-4150, 도요방적(주)제)상에 3m/min 속도로 도공하고, 연속해서 50℃의 건조로를 3분, 140℃의 건조로를 3분 통과해서 광투과층을 형성하고, 이것을 평가용 적층필름으로 했다.
(실시예 34)
본 실시예에서는, 기재층으로서 코스모샤인 A-4100(도요방적(주)제)의 PET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3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적층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35)
본 실시예에서는, 기재층으로서 표면처리된 퓨렉스 A71(테이진듀퐁필름(주)제)의 PET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3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적층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36)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33에서 제작한 적층필름의 광투과층상에 하기 하드코트 전구체를 도공적층하고, 가열경화함으로써 하드코트층을 형성하고, 이것을 평가용 적층필름으로 했다.
(하드코트 전구체)
내압 2.3kg/㎠G의 4리터의 스테인레스강제 오토클레이브에 용매로서 부탄올(와코준야쿠(주)제) 1200g을 투입하고, 테트라에톡시실란(신에쓰화학(주)제) 32g, 메틸트리에톡시실란(신에쓰화학(주)제) 187.6g, 디메틸디에톡시실란(신에쓰화학(주)제) 180.4g을 칭량하여 취하고, 교반하면서 증류수 80g을 첨가했다. 그 후, 10% 수산화 칼륨 용액 0.04g을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60℃로 승온했다. 동일 온도를 2시간 유지하여, 하드코트 전구체를 얻었다. 이때의 고형분량은 20%이었다.
(하드코트층의 형성)
얻어진 하드코트 전구체의 고형분에 대하여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의 15% 수용액(와코준야쿠(주)제)을 3.3중량% 첨가해서 하드코트 전구체 용액을 조정했다. 이 용액을 히라노테크시드제 콤마코터헤드의 도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작한 필름상에 도공하고, 연속해서 50℃의 건조로를 3분, 150℃의 건조로를 3분 통과해서 적층필름을 형성했다. 이때의 적층필름의 막두께는 82㎛이었으므로, 광투과층의 막두께를 빼면, 하드코트층의 막두께는 2.4㎛가 된다.
상기 실시예 33∼실시예 36에 의해 제작된 각 광투과층 및 적층필름에 관해서, 유리전이온도(Tg), 405nm 광투과율, 색상(옐로우니스 인덱스), 막두께(㎛), 막두께 정밀도(㎛), 표면평활성(nm), 굴곡가공성, 이형성(부착성), 하드코트층의 연필경도, 적층필름의 내찰상성을 상기와 동일한 측정법에 의해 평가했다. 또한, 상분리 상태, 휘어짐 상태를 하기의 방법에 의해 평가했다. 결과를 표 11에 나타낸다.
[상분리 상태의 관찰]
폴리머 A와 폴리머 B를 혼합한 경우의 상분리 상태는, 눈으로 투명성을 관찰해서 평가했다. 평가방법은, 육안 관찰에 의해 투명한 경우에 상분리가 관찰되지 않은 것으로 하여 그 평가를 ○으로 하고, 약간 백탁한 경우에 상분리가 다소 관찰된 것으로 하여 그 평가를 △로 하고, 더 백탁한 경우에 상분리가 관찰된 것으로 하여 그 평가를 ×로 했다.
[휘어짐 상태의 관찰]
항온항습조를 이용하여, 온도 80℃, 습도 85%RH의 조건하에서 100시간 방치한 필름의 휘어짐 상태를 관찰했다. 평가방법은, 필름에 휘어짐이 관찰되지 않았을 경우에 그 평가를 ○으로 하고, 필름에 휘어짐이 관찰된 경우에 그 평가를 ×로 했다.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33 및 실시예 34는, 기재층에 이형처리를 실시하지 않아 표면평활성을 10nm 이하로 하고, 실시예 35는, 기재층에 이형처리를 실시해서 표면평활성을 20nm 이하로 하였기 때문에, 부착에 의한 박리 잔사가 거의 발견되지 않고, 이형성이 양호했다. 더욱이, 실시예 36과 같이 하드코트층을 광투과층상에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적층필름의 내찰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재층의 표면평활성을 소정의 값으로 규정하므로써 기재층과 광투과층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고, 광투과성이나 필름 강도에 더하여, 표면평활성과 이형성이 모두 양호한 광학부품용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 37∼실시예 40은, 어느 것이나 광투과층 및 점착층을 갖는 2층 적층구조의 광학부품용 필름에 관한 것이고, 실시예 41은, 실시예 37의 적층필름의 광투과층상에 하드코트층을 더 형성한 3층 적층필름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37)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33의 폴리머 A와 폴리머 B를 1:9로 혼합한 용액을 사용해서 하기한 바와 같이 광투과층용의 필름을 제작하고, 상기 광투과층용 필름과 접착층용의 필름을 적층해서 2층 적층필름을 제작했다. 그 후 이것을 지지기반상에 첩부하여, 샘플로 했다.
<2층 적층필름의 제작>
폴리머 A 및 폴리머 B의 혼합용액을 히라노테크시드제 콤마코터헤드의 도공기를 이용하여, 기재상에 도공하고, 건조해서 광투과층 필름을 제작했다. 그 후, 더블택테이프 #5511(세키스이화학공업(주))의 점착층을, 상기 기재를 박리하면서 광투과층 필름상에 라미네이트하여, 적층필름을 제작했다. 또, 이 시점에서의 적층필름은, 광투과층/점착층/점착층측의 기재층의 3층 구조이며, 점착층측의 기재층은 사용시에 박리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제작한 적층필름 중, 광투과층과 점착층으로 이루어지는 2층 적층필름의 두께는 110㎛이며, 405nm에 있어서의 광투과율은 88.4%이었다. 또한, 광투과층의 단독의 필름에 있어서의 파장 405nm의 광투과율은 92.3%이었다.
<폴리카보네이트 지지기반의 제작>
사출성형기 IS-55EPN(도시바기계(주)제)을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300℃, 금형온도 100℃의 조건하에서 성형하여, 외형 86mm, 내경 15mm, 두께 1.2mm의 사이즈인 원반상의 폴리카보네이트로부터 형성되는 지지기반으로 했다. 그 후, 상기 방법에서 제작된 3층 구조의 적층필름의 기재층을 박리하면서, 광투과층과 점착층으로 이루어지는 2층 적층필름을 원반상 폴리카보네이트 기반상에 첩부했다.
(실시예 38)
본 실시예에서는, 2층 적층필름의 막두께를 변경한 것이며, 기본적으로는 실시예 37과 동일한 순서를 이용해서 샘플을 제작했다. 제작한 2층 적층필름의 막두께는 50㎛이며, 405nm에 있어서의 광투과율은 89.1%이었다. 또한, 광투과층의 필름 단독의 파장 405nm에 있어서의 광투과율은 93.2%이었다.
(실시예 39)
본 실시예에서는, 2층 적층필름의 막두께를 변경한 것이며, 기본적으로는 실시예 37과 동일한 순서를 이용해서 샘플을 제작했다. 제작한 2층 적층필름의 막두께는 150㎛이며, 405nm에 있어서의 광투과율은 88.1%이었다. 또한, 광투과층의 필름 단독의 파장 405nm에 있어서의 광투과율은 91.3%이었다.
(실시예 40)
본 실시예에서는, 2층 적층필름의 막두께를 변경한 것이며, 기본적으로는 실시예 37과 동일한 순서를 이용해서 샘플을 제작했다. 제작한 2층 적층필름의 막두께는 200㎛이며, 405nm에 있어서의 광투과율은 87.9%이었다. 또한, 광투과층의 필름 단독의 파장 405nm에 있어서의 광투과율은 90.8%이었다.
(실시예 41)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37에서 제작한 적층필름의 광투과층상에 하기 하드코트 전구체를 더 도공적층하고, 가열경화함으로써 하드코트층을 형성하여, 하드코트층/광투과층/점착층/점착층측의 기재층으로 이루어지는 4층구조의 적층필름 제작했다. 그 후, 이 4층구조의 적층필름의 기재층을 박리하면서, 하드코트층, 광투과층 및 점착층으로 이루어지는 3층 적층필름을 지지기반상에 첩부해서 샘플로 했다.
(하드코트 전구체)
내압 2.3kg/㎠G의 4리터의 스테인레스강제 오토클레이브에 용매로서 부탄올(와코준야쿠(주)제) 1200g을 투입하고, 테트라에톡시실란(신에쓰화학(주)제) 32g, 메틸트리에톡시실란(신에쓰화학(주)제) 187.6g, 디메틸디에톡시실란(신에쓰화학(주)제) 180.4g을 칭량하여 취하고, 교반하면서 증류수 80g을 첨가했다. 그 후, 10% 수산화 칼륨 용액 0.04g을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60℃로 승온했다. 동일 온도를 2시간 유지하여, 하드코트 전구체를 얻었다. 이때의 고형분량은 20%이었다.
(하드코트층의 형성)
얻어진 하드코트 전구체의 고형분에 대하여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의 15% 수용액(와코준야쿠(주)제)을 3.3중량% 첨가해서 하드코트 전구체 용액을 조정했다. 이 용액을 히라노테크시드제 콤마코터헤드의 도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작한 적층필름의, 점착층과 반대측의 광투과층상에 도공하고, 연속해서 50℃의 건조로를 3분, 150℃의 건조로를 3분 통과해서 적층필름을 형성했다. 이때의 적층필름의 막두께는 98㎛이었으므로, 광투과층의 막두께를 빼면, 하드코트층의 막두께는 3.0㎛가 된다.
상기 실시예 37∼실시예 41에 의해 제작된 광투과층 필름, 2층 적층필름, 3층 적층필름에 관해서, 유리전이온도(Tg), 405nm에 있어서의 광투과율, 막두께(㎛), 막두께 정밀도(㎛), 표면평활성(nm), 하드코트층의 연필경도, 적층필름의 내찰상성을 상기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또한, 광투과층과 점착층의 굴절율차이 및 샘플 제작시의 작업성을 이하에 나타낸 측정방법을 이용해서 평가했다. 평가결과를 표 12에 나타낸다.
[광투과층과 점착층의 굴절율 차이]
아베굴절계를 이용하여, 광투과층과 점착층 각각 단독으로 측정했다. 측정장치로서, 아타고(주)제 아베굴절계를 사용했다.
[샘플 제작시의 작업성]
광투과층 필름, 점착층 및 원반상의 폴리카보네이트 기반을 맞대어 지지기반 샘플을 제작할 때에, 광투과층 및 점착층을 구비한 2층 적층필름과 폴리카보네이트 지지기반을 맞대는 공정만의 작업인 경우에, 샘플 제작시의 작업성을 ○로 평가하였다. 또한, 원반상의 폴리카보네이트 지지기반상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공정 후에, 광투과층 필름을 맞대는 공정이 필요한 경우에, 샘플 제작시의 작업성을 ×로 평가했다.
표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37 내지 실시예 40의 2층 적층필름의 막두께는, 어느 것이나 30∼300㎛의 범위내이며, 막두께 정밀도 및 광투과율도 본 발명의 범위내가 되어 있고, 작업성도 양호했다. 또한, 하드코트층을 형성한 실시예 40의 3층 적층필름은 내찰상성도 양호했다.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광학부품용 필름을 사용해서 고밀도 DVD를 제조하는 것에 의해, 단파장의 레이저광을 조사한 경우에 있어서도, 광투과율이 높고, 저복굴절성인 것으로부터 신호정보를 고정밀도로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다. 또한, 광학부품용 필름의 가요성이 양호하고 강인한 것으로부터, 취급이나 가공이 용이하게 되고, 제조공정의 허용폭과 제품설계의 허용폭이 확대한다. 더욱이, 장기간에 걸쳐서 고밀도 DVD를 사용한 경우에도 휘어짐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신호정보의 기록 및 재생의 에러를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영상정보나 동화(動畵)정보 등의 발전에 따라 광디스크 등에 요구되는 기록용량의 대용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더욱이, 적절한 경도와 막두께를 갖는 하드코트층이 표면에 형성된 필름을 사용해서 고밀도 DVD를 제조한 경우에는, 실제로 사용시의 표면 내찰상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상처가 나기 어려워 신호정밀도의 악화에 의한 기록용량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부품용 필름은, 굴곡가공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표면평활성을 유지하면서 필름을 롤 형상으로 권취하여 필름 권층체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게다가 사용시의 이형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작업성의 효율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광학부품용 적층필름의 구체적인 용도로서 대용량화한 DVD를 예로 들었지만, 광학부품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DVD용 이외에, 액정터치패널용 기재필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기재필름, 액정 패널용 위상차 필름, 전자페이퍼 등의 광학부품으로서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가,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인 것, 많은 변경 및 수정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 벗어나는 일 없이 실행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것이다.

Claims (43)

  1. 주파수 10Hz, 승온속도 3℃/min, 측정모드를 인장으로 하여 측정한 동적 점탄성 측정에 있어서의 손실 탄성율과 저장 탄성율의 비율의 30℃로부터 80℃까지의 적산값이 2 이상이며, 열가소성 수지로 주로 이루어진 광투과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품용 필름.
  2. 주파수 10Hz, 승온속도 3℃/min, 측정모드를 인장으로 하여 측정한 동적 점탄성 측정에 있어서의 손실 탄성율과 저장 탄성율의 비율의 30℃로부터 80℃까지의 적산값이 2 이상이며, 비닐계 중합체로 주로 이루어진 광투과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품용 필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계 중합체는, 분자내에 적어도 1종의 프로톤 공여성 원자단을 포함하는 비닐계 중합체 A와, 분자내에 적어도 1종의 프로톤 수용성 원자단을 포함하는 비닐계 중합체 B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톤 공여성 원자단과 프로톤 수용성 원자단의 사이에 분자간 수소결합에 의한 유사적인 가교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품용 필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계 중합체 A는, 분자내에 카르복실기, 수산기 또는 페놀성 수산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시켜 얻어진 중합체이며, 상기 비닐계 중합체 B는, 분자내에 질소원자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시켜 얻어진 중합체이며, 또한, 상기 비닐계 중합체 A 및 상기 비닐계 중합체 B의 어느 한쪽의 유리전이온도가 25℃ 이상이며, 다른 쪽의 유리전이온도가 25℃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품용 필름.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또는 상기 비닐계 중합체는, 아크릴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품용 필름.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또는 상기 비닐계 중합체중에, 페놀계 산화방지제,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 티오에테르계 산화방지제 및 광안정제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화합물이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품용 필름.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파장 405nm에 있어서의 광투과율이, 87%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품용 필름.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층의 막두께가 15∼250㎛이며, 막두께 정밀도가 ±2.0㎛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품용 필름.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층의 복굴절이 20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품용 필름.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층상에 연필경도가 3H 이상인 하드코트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품용 필름.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트층의 막두께가 0.5∼8㎛이며, 막두께 정밀도가 ±1.0㎛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품용 필름.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트층이, 가교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품용 필름.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구조체가, 실리콘계 가교구조체 또는 아크릴계 가교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품용 필름.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트층이, 실리콘계 열가소성 수지를 0.2∼10.0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품용 필름.
  1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층상에 적층되어, 사용시에는 박리제거되는 기재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품용 필름.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상기 광투과층과 접하는 도공면이 이형처리되고, 그 표면평활성이 20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품용 필름.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층이 실리콘 수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품용 필름.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층의 열가소성 수지 또는 상기 비닐계 중합체는, 겔침투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된 표준 폴리스티렌환산의 분자량이 1만 이하인 저분자 폴리머가 차지하는 양이 폴리머 전체에 대하여 10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품용 필름.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층의 열가소성 수지 또는 상기 비닐계 중합체는, 상반되는 특성을 가짐과 동시에 유리전이온도가 각각 다른 비닐계 중합체 A와 비닐계 중합체 B를 적어도 혼합한 비닐계 중합체이며, 상기 비닐계 중합체 A 및 상기 비닐계 중합체 B 중, 유리전이온도가 25℃ 이상인, 어느 한쪽의 중합체의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한 중량평균 분자량이 70,0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품용 필름.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본질적으로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품용 필름.
  21. 제 15항에 있어서, 25℃, 이형속도 100mm/초의 조건하에서, 상기 기재층으로부터 상기 광투과층을 박리한 때의 부착에 의한 박리 잔사가 1㎡당 3개소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품용 필름.
  22.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층의 25℃에서의 PET에 대한 정마찰계수가 0.4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품용 필름.
  2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층상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품용 필름.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층 및 상기 접착층의 2층의 막두께가 30∼300㎛이고, 막두께 정밀도가 ±2.0㎛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품용 필름.
  2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층이, 광디스크의 광투과층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품용 필름.
  26. 제 1항 내지 제 2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부품용 필름을 롤 형상으로 권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권층체.
  27. 제 1항 내지 제 2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부품용 필름을 광투과층으로서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품.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층은, 접착층을 개재해서 첩부되고, 상기 광투과층과 접착층과의 굴절율 차이가 0.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품.
  29. 제 27항에 있어서, 광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품.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광디스크가 고밀도 DVD이며, 그 기록용량이 20GB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품.
  31. 지지기반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기록층, 접착층 및 광투과층이 순차 적층된 광디스크로서, 상기 광투과층의 30℃∼80℃의 1축 방향에 있어서의 열팽창량에 대한, 상기 지지기반의 30℃∼80℃의 1축 방향에 있어서의 열팽창량인 열팽창비가 0.75∼1.25의 범위내이며, 또한, 상기 광투과층은 열가소성 수지로 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층의 복굴절이 20nm 이하이며, 두께가 15㎛∼2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33.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층의 파장 405nm에 있어서의 광투과율이 87%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34.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비닐계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계 중합체는, 분자내에 적어도 1종의 프로톤 공여성 원자단을 포함하는 비닐계 중합체 A와, 분자내에 적어도 1종의 프로톤 수용성 원자단을 포함하는 비닐계 중합체 B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톤 공여성 원자단과 프로톤 수용성 원자단의 사이에 분자간 수소결합에 의한 유사적인 가교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계 중합체 A는, 분자내에 카르복실기, 수산기 또는 페놀성 수산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시켜 얻어진 중합체이며, 상기 비닐계 중합체 B는, 분자내에 질소원자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시켜 얻어진 중합체이며, 또한, 상기 비닐계 중합체 A 및 상기 비닐계 중합체 B의 어느 한쪽의 유리전이온도가 25℃ 이상이며, 다른 쪽의 유리전이온도가 25℃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37.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계 중합체는, 아크릴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38.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중에, 페놀계 산화방지제,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 티오에테르계 산화방지제 및 광안정제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화합물이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39.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층과 상기 접착층과의 굴절율 차이가 0.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40.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반은, 주로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41.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반의 두께는, 0.4mm∼1.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4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층상에 연필경도가 3H 이상인 하드코트층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43. 제 31항에 있어서, 기록용량이 20GB 이상인 고밀도 DV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KR1020057010184A 2002-12-05 2003-12-05 광학부품용 필름, 이것을 이용한 필름 권층체, 광학부품,및 광디스크 KR200500890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53919 2002-12-05
JPJP-P-2002-00353928 2002-12-05
JPJP-P-2002-00353938 2002-12-05
JP2002353938 2002-12-05
JP2002353928 2002-12-05
JPJP-P-2002-00353919 2002-12-05
JPJP-P-2002-00376721 2002-12-26
JPJP-P-2002-00376750 2002-12-26
JP2002376721 2002-12-26
JP2002376750 2002-12-26
JP2003000472 2003-01-06
JPJP-P-2003-00000472 2003-01-06
JPJP-P-2003-00059388 2003-03-06
JP2003059388 2003-03-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9026A true KR20050089026A (ko) 2005-09-07

Family

ID=32475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0184A KR20050089026A (ko) 2002-12-05 2003-12-05 광학부품용 필름, 이것을 이용한 필름 권층체, 광학부품,및 광디스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104188A1 (ko)
EP (1) EP1589060A1 (ko)
KR (1) KR20050089026A (ko)
AU (1) AU2003289210A1 (ko)
TW (1) TW200422302A (ko)
WO (1) WO20040507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75419A1 (en) * 2004-10-06 2006-04-06 Tdk Corporatio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S8496848B2 (en) * 2005-04-28 2013-07-30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Films and processes for producing the same
JP4458027B2 (ja) * 2005-11-28 2010-04-28 Tdk株式会社 多層光記録媒体、多層光記録媒体の情報記録方法
WO2007086244A1 (ja) * 2006-01-24 2007-08-02 Kimoto Co., Ltd.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装置
KR100870106B1 (ko) * 2006-03-21 2008-11-25 제일모직주식회사 메틸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공중합체 수지를 이용한 광디스크
JP2008171539A (ja) * 2006-12-15 2008-07-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情報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9185925B2 (en) 2009-10-09 2015-11-17 Philip Morris Usa Inc. Immobilized flavorants for flavor delivery
JP2012046723A (ja) * 2010-07-30 2012-03-08 Nitto Denko Corp アプリケーションテープ
CN102033654A (zh) * 2010-12-21 2011-04-27 深超光电(深圳)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7468A (ja) * 1998-08-25 2000-03-03 Teijin Ltd 光ディス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00529B2 (ja) * 1998-12-05 2008-06-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731375B2 (ja) * 1999-03-29 2006-01-05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疑似架橋型樹脂およびこの樹脂からなる成形品
JP4282222B2 (ja) * 1999-12-21 2009-06-17 帝人化成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巻層体および光ディスクの製造方法
US20030170564A1 (en) * 2000-04-26 2003-09-11 Nobuaki Kido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substrate for use therein
JP4894082B2 (ja) * 2000-06-29 2012-03-07 Jsr株式会社 環状オレフィン系(共)重合体から形成されてなる光学材料
JP4083959B2 (ja) * 2000-07-27 2008-04-30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樹脂組成物、これから得られる成形体、シート又はフィルムおよび光学用レンズ
JP2002074749A (ja) * 2000-08-30 2002-03-15 Sony Corp 光学記録媒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230854A (ja) * 2001-02-05 2002-08-16 Sony Corp 光学記録媒体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記録媒体の製造装置
JP2003084101A (ja) * 2001-09-17 2003-03-19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素子用樹脂組成物、光学素子、および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
JP2003147148A (ja) * 2001-11-12 2003-05-21 Univ Nihon ポリメタクリル酸メチル/ジルコニアハイブリッド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422302A (en) 2004-11-01
WO2004050749A1 (ja) 2004-06-17
AU2003289210A1 (en) 2004-06-23
EP1589060A1 (en) 2005-10-26
US20060104188A1 (en) 200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107599A (ja) 光ディスク
JP2007002144A (ja) 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並びにその硬化物
CA2242047A1 (en) A photo-curing resin composition for dvd
KR101137306B1 (ko) 광경화성 전사시트, 이것을 사용한 광정보 기록매체의제조방법 및 광정보 기록매체
JP2009096927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積層体
EP1183316A1 (en) Adhesive composition and optical disc using the same
JP4658616B2 (ja) 光ディスク用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光ディスク
KR20050089026A (ko) 광학부품용 필름, 이것을 이용한 필름 권층체, 광학부품,및 광디스크
JP2007017521A (ja) 平面型光導波路作製用樹脂シート
JP3911728B2 (ja) ディジタルビデオディスクの保護コート兼接着用樹脂組成物
JP2891257B2 (ja) Dvdの保護コート兼接着用樹脂組成物
US6972143B2 (en) Protective U.V. curable cover layer for optical media
JP2003277697A (ja) 光硬化性接着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光情報記録媒体の製造方法
JP2011210335A (ja) 光記録媒体用光重合性樹脂組成物、硬化物及び光記録媒体
CN100475883C (zh) 可光固化转印膜、使用该膜制备光学信息记录介质的方法和光学信息记录介质
JP5016368B2 (ja) 光硬化性転写シート、これを用いた光情報記録媒体の製造方法、及び光情報記録媒体
JP2007042241A (ja) 光ディスク用光硬化型組成物、及び光ディスク
JP2006192591A (ja) 光学部品用積層フィルム、フィルム巻層体、光学部品及び光ディスク
JP4070440B2 (ja) 光情報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230882A (ja) 光学部品用積層フィルム、フィルム巻層体、光学部品及び光ディスク
JP2004195974A (ja) 光学部品用積層フィルム、フィルム巻層体、光学部品及び光ディスク
JP2004199855A (ja) 光学部品用フィルム、これを用いた光学部品及び光ディスク
JP5158923B2 (ja) 光硬化性転写シート、これを用いた光情報記録媒体の製造方法、及び光情報記録媒体
JP2005165188A (ja) 光学部品用積層フィルム、フィルム巻層体、光学部品及び光ディスク
JP2004288349A (ja) 光学部品用積層フィルム、光学部品及び光ディ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