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6361A -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6361A
KR20050086361A KR1020040111758A KR20040111758A KR20050086361A KR 20050086361 A KR20050086361 A KR 20050086361A KR 1020040111758 A KR1020040111758 A KR 1020040111758A KR 20040111758 A KR20040111758 A KR 20040111758A KR 20050086361 A KR20050086361 A KR 20050086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ing room
fan
coil unit
air
side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1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0791B1 (ko
Inventor
스기모토요시타카
시이야마구니아키
미야케히데노리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86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6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7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실의 내부 레이아웃을 설계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팬-코일 유닛을 커버하는 장식 커버를 제거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보다 많은 신선한 공기를 거실내로 순환시킬 수 있는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한다. 거실(A)내로 흡출된 공기와 냉매 사이의 열교환을 실행하는 팬-코일 유닛(4)은 거실(A)내에 설치된 유닛 라바토리(L)의 배면측에 설치된다.

Description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MARINE AIR CONDITIO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신선한 공기를 통로 및 거실에 불어넣어 선박내의 공기 조화를 실행하는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선한 공기를 통로 및 거실에 불어넣어 선박내의 공기 조화를 실행하는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팬-코일 유닛이 거실의 가장 내측 부분(즉, 통로로부터 가장 먼 부분)에 배치된 것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제 3426963 호의 도 1 내지 도 3 참조).
그러나, 일본 특허 제 3426963 호의 공기 조화 장치는 거실내의 보이는 위치에 배치된 팬-코일 유닛을 구비하기 때문에, 외관상(미관상) 고가인 장식 커버가 필요하게 되고, 제조 비용의 상승의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팬-코일 유닛이 발생하는 소음을 고려(즉, 거실내의 침대, 소파 또는 책상으로부터의 거리를 고려하여)하여 팬-코일 유닛의 위치가 결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거실의 내부의 레이아웃을 설계하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팬-코일 유닛은 거실의 최고 내부 부분, 즉 입구 도어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도어상에 설치된 그릴을 통해 거실내로 송풍된 신선한 공기가 팬-코일 유닛에 도달하기 전에, 신선한 공기의 일부는 라바토리(lavatory : 화장실)로부터 배기 덕트를 통해 외측으로 배출되어, 신선한 공기가 거실 내측에서 충분히 순환되지 않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뤄진 것으로, 거실의 내부 레이아웃을 설계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팬-코일 유닛을 커버하는 장식 커버를 제거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보다 많은 신선한 공기를 거실내로 순환시킬 수 있는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하기의 해결책을 이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는, 통로 및 거실이 설치된 통로 섹션의 각 데크를 통해 통과하고, 상부가 상층 데크상으로 개방되고 각 데크의 통로와 연통하는 벤트 트렁크 스페이스(vent trunk space)를 이용하여, 신선한 공기를 상기 통로 및 거실내로 취입하여, 선박내의 공기 조화를 실행하는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a marine air conditioning apparatus)로서, 상기 신선한 공기와의 열교환을 실행하는 냉매를 엔진실의 열원을 이용하여 가열하는 냉매 가열 장치와, 상기 신선한 공기와의 열교환을 실행하는 냉매를 선박 둘레의 외부에 존재하는 워터를 이용하여 냉각하는 냉매 냉각 장치와, 상기 거실내로 흡출된 공기와 상기 냉매 사이의 열교환을 실행하는 팬-코일 유닛(fan-coil unit)을 포함하며, 상기 팬-코일 유닛은 상기 거실에 설치된 유닛 라바토리(unit lavatory)의 배면측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이다.
이러한 종류의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에 따르면, 팬-코일 유닛이 유닛 라바토리의 배면측상에 설치된다. 따라서, 팬-코일 유닛은 거실의 내부로부터 보이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팬-코일 유닛을 커버하는데 필요한 장식 커버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팬-코일 유닛이 라바토리의 배면측의 위치에 설치되고, 거실내의 침대, 소파, 책상 등등으로부터 일정 거리가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팬-코일 유닛으로부터의 소음을 고려하여 거실의 레이아웃을 설계할 필요가 없게 되고, 레이아웃을 설계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팬-코일 유닛으로부터의 소음이 유닛 라바토리의 배면측에 갇히게 되기 때문에, 거실내의 소음이 감소될 수 있으며, 거실내의 정숙성이 개선될 수 있다.
상술한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실내의 공기를 상기 팬-코일 유닛으로 유도하는 흡입측 덕트와, 상기 팬-코일 유닛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거실내로 유도하는 배출측 덕트가 상기 팬-코일 유닛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측 덕트의 개방 단부는 상기 거실의 입구에 설치된 도어에 설치된 통기 그릴(ventilation grill)로 향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종류의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에 따르면, 그릴을 통해 거실내로 유동하는 신선한 공기가 최소 거리에서 흡입측 덕트의 개방 단부에 도달하며, 흡입측 덕트, 팬-코일 유닛 및 배출측 덕트를 통해 통과하여 거실내로 흡출된다.
상술한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방 단부는 상기 거실의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종류의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에 따르면, 이산화탄소(CO2)와 같은 공기보다 무거운 가스가 개방 단부를 통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거실내로 신선한 공기만이 흡출될 수 있다.
상술한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입측 덕트에 제 2 흡입측 덕트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흡입측 덕트의 개방 단부가 상기 통로로 향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종류의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에 따르면, 흡입측 덕트의 개방 단부 및 제 2 흡입측 덕트를 통해 신선한 공기가 팬-코일 유닛으로 직접 유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거실내로 흡출된 신선한 공기의 비율이 증가되며, 거실내의 생활 환경이 개선된다.
상술한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팬-코일 유닛, 상기 흡입측 덕트 및 상기 배출측 덕트가 상기 유닛 라바토리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종류의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에 따르면, 팬-코일 유닛, 흡입측 덕트 및 배출측 덕트가 선박내에 적재되기 전에 공장에서 유닛 라바토리와 사전에 조립되며, 이로 인해 선박내에서의 조립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며, 선박을 의장(rig)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술한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팬-코일 유닛이 상기 통로를 구성하는 벽면 내측에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종류의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에 따르면, 유닛 라바토리의 구성상 유닛 라바토리의 배면측에 팬-코일 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충분한 스페이스가 없을 지라도, 통로를 구성하는 벽면 내부에 팬-코일 유닛을 수용함으로써, 팬-코일 유닛을 유닛 라바토리의 배면측에 그리고 보이지 않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은 상기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중 어느 하나를 구비한다.
이러한 종류의 선박에 따르면, 거실의 레이아웃을 설계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팬-코일 유닛을 커버하는 장식 커버를 제거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거실내에서 보다 많은 신선한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에 따르면, 팬-코일 유닛이 라바토리의 배면측상에 그리고 거실내의 보이지 않는 위치에 설치(내장)되기 때문에, 팬-코일 유닛을 배치하는데 종래에 필요한 고가의 장식 커버를 생략할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팬-코일 유닛이 라바토리의 배면측상에 그리고 거실내의 보이지 않는 위치에 설치(내장)되기 때문에, 팬-코일 유닛이 거실내의 침대, 소파, 책상 등등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되며, 그로 인해 팬-코일 유닛으로부터의 소음을 고려하여 거실의 레이아웃을 설계할 필요성이 없으며, 레이아웃을 설계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팬-코일 유닛으로부터의 소음이 유닛 라바토리의 배면측에 갇히게 되며, 거실내의 소음이 감소되며, 거실내의 정숙성이 개선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100)(이후에 간략하게 "공기 조화 장치(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라고 한다)의 일반적인 개요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참조부호(1)는 냉각 유닛(냉매 냉각 장치)이며, 참조부호(2)는 핫 워터 가열기(냉매 가열 장치)이며, 참조부호(3)는 순환 펌프이며, 참조부호(4)는 팬-코일 유닛이며, 참조부호(5)는 팽창 탱크이며, 참조부호(6)는 열교환기이다.
냉각 유닛(1)은 냉각될 때 사용되는 칠러 워터(chiller water)를 생성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냉각 유닛(1)은 바다 또는 호수 물과 같은 선박 둘레의 외부에 존재하는 물을 취입하여 열교환후에 냉매를 냉각시키는데 사용하는 수냉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핫 워터 가열기(2)는 선박의 엔진실로부터 공급된 고온 핫 워터에 대해서 물대 물 열교환을 실행하여 적당한 온도의 핫 워터를 생성하도록 설치된다.
순환 펌프(3)는, 냉각 유닛(1)에 의해 생성된 칠러 워터 및 핫 워터 가열기(2)에 의해 생성된 핫 워터를 간접 냉열매로서 칠러 워터 파이프(7, 7a)를 통해 각 거실(A)로 공급하도록 설치된다.
팬-코일 유닛(4)은 순환 펌프(3)에 의해 공급된 간접 냉열매와 거실 공기 사이의 열교환을 행하여 냉난방을 실행하도록 설치된다. 각 팬-코일 유닛(4)에는 3단계 또는 자유롭게(무단으로) 능력을 전환할 수 있는 스위치(제어기)가 설치되며, 이러한 스위치는 거실의 일부에 설치될 수 있다.
팽창 탱크(5)는 온도 변화에 의해 야기된 칠러 워터의 체적 변화를 흡수하기 위해서 공기 조화 장치(100)의 상부에 설치된다.
열교환기(6)는, 메인 칠러 워터 파이프(7)에 분기되는 칠러 워터 파이프(7a)를 통해 공급된 간접 냉열매를 수납하고, 팬-코일 유닛(4)과 동일한 방법으로 간접 열냉매와 통로의 공기 사이의 열교환을 실행함으로써 통로(8)의 1차 냉난방을 실행하도록 설치된다.
거실(A)과 그 주변에 배치된 각 장치와 공기 흐름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각 데크에서 통로(8)로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는 수직방향의 신선한 공기 도입 루트로서 기존의 벤트 트렁크 덕트(10)가 이용되고 있고, 모든 데크에 대해서 이러한 벤트 트렁크 스페이스(9)에서 상하로 벤트 트렁크 데크(10)가 연장되어 있다. 팬-코일 유닛(4)은 거실(A)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열교환기(6)는 통로(8)와 벤트 트렁크 스페이스(9)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통기 그릴(12)은 거실(A)의 도어(11)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별개의 기동 배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배기 팬(13) 및 배기 덕트(14)는 거실(A)의 내부의 일부분에 설치된 유닛 라바토리(L)를 위해 설치된다.
또한, 공기 조화 장치(100)에 있어서, 칠러 워터 파이프(7, 7a)로 구성된 파이프라인은 난방시 그리고 냉방시에 전환에 의해 모두 이용되고 있다. 또한, 칠러 워터 파이프(7, 7a)를 구성한 경우, 조인트 부분은 액체 누설을 방지하도록 용접되고, 플랜지 커플링은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칠러 워터 파이프(7, 7a)에 있어서, 주 파이프는 하나의 데크의 간격으로 조립되며, 상부 파이프 및 하부 파이프는 분기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팬-코일 유닛(4)은 도 1a, 도 1b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 라바토리(L)의 배면측(즉, 통로(8) 측)과 이 통로(8)를 구성하는 벽면(8a) 사이의 스페이스내에 설치되며, 흡입측 덕트(4a) 및 배출측 덕트(4b)는 이러한 팬-코일 유닛(4)에 연결된다.
흡입측 덕트(4a)는 팬-코일 유닛(4)의 하부(도 1a에 따른 하부측)에 연결된 덕트이다. 흡입측 덕트(4a)의 일 단부는 팬-코일 유닛(4)의 하부면에 연결되어 있으며, 통기 그릴(12)을 향해 개방되는 공기 입구(개방 단부)(4c)는 흡입측 덕트(4a)의 타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거실(A) 내부에서 순환된 공기와, 통기 그릴(12)로부터 거실(A)내로 취입된 신선한 공기는 팬-코일 유닛(4)쪽으로 안내된다.
배출측 덕트(4b)는, 팬-코일 유닛(4)의 상부(도 1a에서 상측)에 연결되고, 유닛 라바토리(L)의 배면 및 상면을 따라 거실(A)쪽(즉, 통로(8)와 반대쪽)으로 연장되는 덕트이다. 배출측 덕트(4b)의 일 단부는 팬-코일 유닛(4)의 상면에 연결되며, 거실(A)을 향해 개방되는 공기 배출 포트(4d)는 배출측 덕트(4b)의 타 단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팬-코일 유닛(4)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는 이러한 공기 배출 포트(4d)를 통해서 거실(A)내로 송풍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된 공기 조화 장치(100)의 냉방 및 난방시의 작동을 설명한다. 우선, 냉방 동안에, 칠러 워터는 바다 또는 호수 물을 이용하는 칠러 유닛(1)에 의해 생성되며, 난방 동안에, 적당한 온도의 핫 워터는 핫 워터 가열기(2)에 의해 생성된다. 이러한 칠러 워터 또는 핫 워터는 칠러 파이프(7, 7a)를 통해서 통로(8)에서 공기와 열교환을 실행하는 열교환기(6)로 공급되며, 주 난방 및 냉방이 실행된다.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칠러 워터 또는 핫 워터는 칠러 워터 파이프(7, 7a)를 통해 팬-코일 유닛(4)으로 공급되고, 간접 열냉매로서 거실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여 냉난방을 실행한다. 동시에, 팬-코일 유닛(4)에 의해 거실 공기의 순환이 실행되고, 또한 개별 온도 조정이 실행된다.
다음에, 상술한 공기 조화 장치(100)에 의해 흡기되는 공기 흐름을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트 트렁크 스페이스(10)내로 취입된 신선한 공기는 열교환기(6)에 의해 주로 냉각 또는 가열된 후에 통로(8)내로 유출된다. 주로 냉각 또는 가열되고 통로(8)내로 유출된 공기는 거실(A)의 도어(11)에 설치된 그릴(12)을 통해 거실(A)내로 유동된다. 거실(A)내로 유동된 공기는 팬-코일 유닛(4)에 의해 거실에서 순환되며, 개별 온도 조정이 행해진다. 각 거실에서 특정 체적의 거실(A)에서 순환되는 공기의 일부는 유닛 라바토리(L)에 설치된 배기 포트(14a)를 통해 거실(A)에서 흡출되고, 배기 덕트(14)를 통해 외측(선박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상술한 공기 조화 장치(100)에 따르면, 팬-코일 유닛(4)이 라바토리(L)의 배면측 그리고 거실(A)의 내에서 보이지 않는 위치에 설치(내장)되기 때문에, 팬-코일 유닛(4)을 거실내에 설치하는데 종래에 필요하였던 고가의 장식 커버를 생략할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팬-코일 유닛(4)이 라바토리(L)의 배면측 및 거실(A)의 내에서 보이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기 때문에, 팬-코일 유닛(4)은 거실 내에서 침대, 소파, 책상 등등에서 약간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있어서, 팬-코일 유닛(4)으로부터의 소음을 고려하여 거실의 레이아웃을 설계할 필요가 없으며, 레이아웃을 설계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팬-코일 유닛(4)으로부터의 소음이 유닛 라바토리(L)의 배면측에서 갇히게 되고 거실(A) 내의 소음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거실(A)내의 정숙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팬-코일 유닛(4)이 통로(8)를 구성하는 벽면(8a)과 유닛 라바토리(L) 사이에 설치되고, 이러한 팬-코일 유닛(4)내로 공기를 안내하는 흡입측 덕트(14a)상에 설치된 공기 취입구(4c)가 벽면(8a)의 근방(즉, 도어(11)에 설치된 그릴(12)에 매우 근접한 위치에서)에 설치되기 때문에, 그릴(12)로부터 거실(A)내로 취입된 신선한 공기는 공기 취입구(4c)로부터 흡입측 덕트(14a)내로 취입될 수 있고, 이전의 신선한 공기보다 신선한 공기의 비율이 높은 공기가 거실(A)내로 취입될 수 있다.
또한, 통로(8)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팬-코일 유닛(4)을 설치함으로써, 팬-코일 유닛(4)은 메인 칠러 워터 파이프(7)에 보다 근접하게 되며, 그 결과 메인 칠러 워터 파이프(7)로부터 분기된 칠러 워터 파이프(7a)의 길이가 보다 짧게 제조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팬-코일 유닛(4)을 거실(A)내에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거실(A)내의 사용가능한 스페이스가 증가될 수 있으며, 거실(A)내의 레이아웃이 간략화될 수 있다. 또한, 칠러 파이프(7a)를 팬-코일 유닛(4)에 배치하는 것이 단순화되며, 이 파이프를 설치하는데 필요한 작동 시간이 단축될 수 있어서, 선박을 의장(rig)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여기에서, 팬-코일 유닛(4), 흡입측 덕트(4a) 및 배출측 덕트(4b)가 유닛 라바토리(L)와 일체로 구성(즉, 팬-코일 유닛(4), 흡입측 덕트(4a) 및 배출측 덕트(4b)가 선박에 장착되기 전에 공장에서 유닛 라바토리(L)에 사전에 조립되어 구성됨)된다면, 보다 유리하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선박에서의 조립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박을 의장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더욱 단축될 수 있다.
또한, 흡입측 덕트의 공기 취입구(4c)가 거실(4)의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거리(예를 들면 20㎝ 내지 50㎝)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다면, 보다 유리하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이산화탄소(CO2)와 같은 공기보다 무거운 가스가 공기 취입구(4c)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신선한 공기만이 공기 배출 포트(4d)로부터 흡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산화탄소와 같은 공기보다 무거운 가스는 유닛 라바토리(L)의 입구에 설치된 도어의 바닥부(공기 취입구(4c)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된 통기 그릴(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통과되고, 배기 포트(14a)내로 안내되고,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이러한 공기 조화 장치(100)에 따르면, 난방 매체로서 작용하는 핫 워터의 가열이 핫 워터 가열기(2)를 설치함으로써 엔진으로부터의 배기열을 이용하여 실행될 수 있기 때문에, 공기 조화 장치(100)의 설치 비용 및 운전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냉각 유닛(1)을 설치함으로써, 바다 또는 호수 물과 같은 선박 주변에 존재하는 외부 물을 사용하고, 이에 의해 열교환후에 온수화된 물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기구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설치 비용 및 운전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신선한 공기 도입 경로로서 기존의 벤트 트렁크 스페이스(9)를 이용함으로써, 선박내의 좁은 스페이스가 충분히 이용되며, 신선한 공기가 모든 데크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하역중일지라도 청정한 공기가 선박내로 취입될 수 있다.
벤트 트렁크 덕트(10)로부터 통로(8)내로 유출되는 공기를 열교환기(6)에 의해 1차 냉난방하여 통로의 공기 온도를 적당한 온도로 하는 것에 의해, 거실(A)에서의 공기 조화에 걸리는 부하가 감소될 수 있다. 여기에서, 열교환기(6)는 팬-코일 유닛(4)과 유사한 형태이다. 따라서, 칠러 워터 파이프(7)로부터 분기시켜서 간단히 설치할 수 있으며, 냉각 유닛(1)을 공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설치 비용의 감소가 성취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공기 조화 장치(100)에 따르면, 선박내로 취입된 공기가 통로(8)로부터 거실(A)내로 항상 송풍되기 때문에, 만일 거실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도, 연기가 통로(8)내로 유출되지 않는다. 이것은 깨끗한 시계를 확보할 수 있어 탈출의 경우에 매우 유효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200)는, 제 2 흡입측 덕트(4e)가 흡입측 덕트(4a)의 바닥 단부의 배면측상에 설치되는 점에 있어서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장치와 상이하다. 다른 부품은 상술한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며, 그에 따라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동일한 참조부호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제 2 흡입측 덕트(4e)는 흡입측 덕트(4a)의 바닥 단부의 배면측(도 2a에 따른 하부 좌측)에 연결된 덕트이며, 이것은 흡입측 덕트(4a)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2 흡입측 덕트(4e)의 일 단부는 흡입측 덕트(4a)의 바닥 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통로(8)를 향해 개방된 제 2 공기 취입구(4f)(개방 단부)는 제 2 흡입측 덕트(4e)의 타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열교환기(6)를 통해 통로(8)로 공급된 신선한 공기는 제 2 흡입측 덕트(4e) 및 흡입측 덕트(4a)를 통해 팬-코일 유닛(4)을 향해 안내된다.
한편, 팬-코일 유닛(4), 흡입측 덕트(4a) 및 제 2 흡입측 덕트(4e)와 대향하는 벽면(8a)에는 평면으로 볼 때 장방형의 길이방향 개구(8b)가 설치되며, 이 개구(8b)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접근 패널(8c)은 이러한 개구(8b)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접근 패널(8c)은 통상적(선박 항행시 또는 선박 정박시에)으로 폐쇄되어 있으며, 장식판으로서 작용하며, 유지점검 서비스가 실행될 때(또는 도크시에)에는 개방되어 있으며, 그 결과 팬-코일 유닛(4) 및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칠러 워터 파이프(7a) 등의 유지점검 서비스가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접근 패널(8c)에는 이 접근 패널(8c)이 폐쇄될 경우 제 2 공기 취입구(4f)와 대향하는 위치에 통기 그릴(8d)이 설치되며, 이에 의해 접근 패널(8c)이 폐쇄된 상태에서도 통로(8)내의 신선한 공기가 제 2 공기 취입구(4f)로 원활하게 유도될 수 있다.
상술한 공기 조화 장치(200)에 따르면, 통로(8)내의 신선한 공기는 그릴(8d), 제 2 공기 취입구(4f) 및 제 2 흡입측 덕트(4e)를 통해 팬-코일 유닛(4)으로 직접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거실(A)내로 흡출된 신선한 공기의 비율이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증가될 수 있으며, 거실(A)내의 생활 환경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조작자는 유지점검 서비스 동안에 접근 패널(8c)을 개방함으로써 팬-코일 유닛(4) 및 칠러 워터 파이프(7a) 등등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효율이 개선될 수 있으며, 작업 시간의 감소가 성취될 수 있다.
다른 작업 효율은 제 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며, 그에 따라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300)는, 팬-코일 유닛(4)이 벽면(8a) 내부에 설치되는 점에 있어서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상이하다. 다른 부품은 상술한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며, 그에 따라 이들 부품의 설명은 생략한다.
동일한 참조부호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예를 들면 유닛 라바토리(L)의 배면측상에 팬-코일 유닛(4)을 내장할 수 있는 스페이스가 없는 경우(즉, 유닛 라바토리(L)와 벽면(8a) 사이에 팬-코일 유닛(4)을 내장하기에 충분한 공간이 없는 경우), 팬-코일 유닛(4)은 벽면(8a) 내부에 내장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유닛 라바토리(L)의 구성상, 유닛 라바토리(L)의 배면측에 팬-코일 유닛(4)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 없을지라도, 팬-코일 유닛(4)이 상술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술한 작용 효과가 성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술한 개구(8b) 및 접근 패널(8c)의 동일한 구성이 팬-코일 유닛(4)의 배면측(즉, 통로(8)측)에 위치된 벽면(8a)에 적용된다면 보다 유리하다.
이들 구성을 적용하는 것으로 인한 작용 효과를 제 2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공기 취입구(4c)를 생략한 것, 즉 통로(8)로부터만 팬-코일 유닛(4)으로 신선한 공기가 유도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변형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 3 실시예에 있어서도 흡입측 덕트(4a) 및 제 2 흡입측 덕트(4e)를 팬-코일 유닛(4)과 동일하도록 벽면(8a) 내에 배치하고 그리고 공기 흡입구(4c)를 생략한 것, 즉 통로(8)로부터만 팬-코일 유닛(4)으로 신선한 공기가 유도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통로(8)내의 신선한 공기(즉, 거실(A)내로 흡출되고 거실(A) 내에서 순환하는 공기를 포함하지 않은 신선한 공기)가 팬-코일 유닛(4)으로 직접 유도될 수 있기 때문에, 신선한 공기는 항상 거실(A)내로 공급될 것이며, 거실(A)내로 흡출된 공기는 배기 덕트(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것이다. 따라서, 거실(A)은 항상 신선한 공기가 충전되고, 그 생활 환경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에 따르면, 팬-코일 유닛이 라바토리의 배면측상에 그리고 거실내의 보이지 않는 위치에 설치(내장)되기 때문에, 팬-코일 유닛을 배치하는데 종래에 필요한 고가의 장식 커버를 생략할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팬-코일 유닛이 라바토리의 배면측상에 그리고 거실내의 보이지 않는 위치에 설치(내장)되기 때문에, 팬-코일 유닛이 거실내의 침대, 소파, 책상 등등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되며, 그로 인해 팬-코일 유닛으로부터의 소음을 고려하여 거실의 레이아웃을 설계할 필요성이 없으며, 레이아웃을 설계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팬-코일 유닛으로부터의 소음이 유닛 라바토리의 배면측에 갇히게 되며, 거실내의 소음이 감소되며, 거실내의 정숙성이 개선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주요부의 개략적인 구조의 단면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주요부의 개략적인 구조의 평면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주요부의 개략적인 구조의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주요부의 개략적인 구조의 평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주요부의 개략적인 구조의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주요부의 개략적인 구조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도,
도 5는 거실과 그 주변에 배치된 장치와 공기의 흐름을 각각 도시하는 상태 설명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실과 그 주변에 배치된 장치와 공기의 흐름을 각각 도시하는 상태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각 유닛(냉매 냉각 장치) 2 : 핫 워터 탱크(냉매 가열 장치)
4 : 팬-코일 유닛 4a : 흡입측 덕트
4b : 배출측 덕트 4c : 공기 취입구(개방 단부)
4e : 제 2 흡입측 덕트 4f : 제 2 공기 취입구(개방 단부)
8 : 통로 8a : 벽면
9 : 벤트 트렁크 스페이스 11 : 도어
12 : 그릴 100 :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
200 :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 300 :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
A : 거실 L : 유닛 라바토리

Claims (7)

  1. 통로 및 거실이 설치된 통로 섹션의 각 데크를 통해 통과하고, 상부가 상층 데크상으로 개방되고 각 데크의 통로와 연통하는 벤트 트렁크 스페이스(vent trunk space)를 이용하여, 신선한 공기를 상기 통로 및 거실내로 취입하여, 선박내의 공기 조화를 실행하는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a marine air conditioning apparatus)에 있어서,
    상기 신선한 공기와의 열교환을 실행하는 냉매를 엔진실의 열원을 이용하여 가열하는 냉매 가열 장치와,
    상기 신선한 공기와의 열교환을 실행하는 냉매를 선박 둘레의 외부에 존재하는 워터를 이용하여 냉각하는 냉매 냉각 장치와,
    상기 거실내로 흡출된 공기와 상기 냉매 사이의 열교환을 실행하는 팬-코일 유닛(fan-coil unit)을 포함하며,
    상기 팬-코일 유닛은 상기 거실에 설치된 유닛 라바토리(unit lavatory)의 배면측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실내의 공기를 상기 팬-코일 유닛으로 유도하는 흡입측 덕트와, 상기 팬-코일 유닛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거실내로 유도하는 배출측 덕트가 상기 팬-코일 유닛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측 덕트의 개방 단부는 상기 거실의 입구에 설치된 도어에 설치된 통기 그릴(ventilation grill)로 향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단부는 상기 거실의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측 덕트에 제 2 흡입측 덕트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흡입측 덕트의 개방 단부가 상기 통로로 향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팬-코일 유닛, 상기 흡입측 덕트 및 상기 배출측 덕트가 상기 유닛 라바토리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팬-코일 유닛이 상기 통로를 구성하는 벽면 내측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KR1020040111758A 2004-02-25 2004-12-24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06307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49335A JP4354295B2 (ja) 2004-02-25 2004-02-25 船舶用空気調和装置
JPJP-P-2004-00049335 2004-0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6361A true KR20050086361A (ko) 2005-08-30
KR100630791B1 KR100630791B1 (ko) 2006-10-09

Family

ID=35010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1758A KR100630791B1 (ko) 2004-02-25 2004-12-24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354295B2 (ko)
KR (1) KR100630791B1 (ko)
CN (1) CN100352733C (ko)
DK (1) DK1785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937B1 (ko) * 2007-12-27 2010-04-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041B1 (ko) * 2007-08-21 2010-04-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폐기열을 이용한 선내 난방 장치
KR101097382B1 (ko) * 2009-03-18 2011-12-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공기조화장치 및 방법
KR101138341B1 (ko) 2010-01-27 2012-04-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거주구
KR101185415B1 (ko) 2010-06-11 2012-09-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엔진룸의 통기장치
DE102010040913B4 (de) * 2010-09-16 2013-02-28 Wobben Properties Gmbh Schiff mit Lüftungseinrichtung
KR101236530B1 (ko) * 2010-10-27 2013-0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파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선박
CN103043181B (zh) * 2012-12-26 2015-07-22 渤海造船厂集团有限公司 一种干船坞内实现机舱设备运行、调试中散热的冷却方法
KR101623390B1 (ko) * 2014-05-29 2016-05-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선박
CN107444604A (zh) * 2017-05-24 2017-12-08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空调系统及包含该空调系统的船舶
CN110239700A (zh) * 2019-06-10 2019-09-17 中储粮镇江粮油有限公司 一种运输船舶用机械通风系统
CN110316348A (zh) * 2019-08-21 2019-10-11 江西清华泰豪三波电机有限公司 船用通风末端装置及船舶
CN111452945A (zh) * 2020-03-13 2020-07-28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船用中央空调系统
CN111959740A (zh) * 2020-08-20 2020-11-20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舶客舱卫生单元及船舶
CN111976944A (zh) * 2020-08-27 2020-11-24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用空调管路布置结构及船舶
CN115158629B (zh) * 2022-08-05 2023-11-03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客船典型内舱房住舱空调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199U (ja) * 1992-08-27 1994-03-22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船舶の居住区空調用ダクト
JP3111154B2 (ja) * 1995-02-10 2000-11-20 株式会社新来島どっく 船舶の居室における空調システム
EP0731020A1 (en) * 1995-03-08 1996-09-11 A.T.I.S.A. Aero Termica Italiana S.p.A. Prefabricated cubicle for sanitary facilities, in particular in the cabins of ships, or the like
JP3426963B2 (ja) * 1998-05-26 2003-07-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用空気調和装置
JPH11348891A (ja) * 1998-06-05 1999-12-21 Sumitomo Heavy Ind Ltd 舶用通風温度調整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937B1 (ko) * 2007-12-27 2010-04-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60666A (zh) 2005-08-31
DK200401665A (da) 2005-08-26
JP2005238918A (ja) 2005-09-08
CN100352733C (zh) 2007-12-05
DK178549B1 (da) 2016-06-13
KR100630791B1 (ko) 2006-10-09
JP4354295B2 (ja) 200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0791B1 (ko) 선박용 공기 조화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JP2004270268A (ja) 建設機械の冷却装置
JPH11200951A (ja) 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装置
JP3506251B2 (ja) 換気空調システム、及び、換気空調ユニット
JP3519482B2 (ja) 換気システム、及び、換気ユニット
CN102186687A (zh) 空调设备
JPH0989310A (ja) エンジン駆動式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KR200191077Y1 (ko) 지하철 출입문의 에어커튼 장치
JP3426963B2 (ja) 船舶用空気調和装置
JP2004045029A (ja) 換気システム
JP2531083B2 (ja) 層階室内の空調方法とその装置
JP2005114274A (ja) 空気調和機
KR20220028466A (ko) 암모니아 냉매 냉각유닛을 이용한 공기조화 시스템 및 동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
JP3802531B2 (ja) 天埋形水冷ヒートポンプ式空調機
US20150143833A1 (en) Rv kitchen with outdoor refrigerator
US11739953B2 (en) Air conditioning appliance and make-up air assembly
JPH05340304A (ja) 熱電併給装置
US20220333790A1 (en) Air conditioning appliance and make-up air assembly
JP2002150393A (ja) 自動販売機
JP2002168197A (ja) 給水装置
JP2001280653A (ja) ガス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の機械室換気構造
JP2009040254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2018016997A (ja) 建物の通気構造
JP3913365B2 (ja) 浴室暖房乾燥機
JP4416123B2 (ja) 蒸気発生装置の配管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