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6530B1 - 파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선박 - Google Patents

파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6530B1
KR101236530B1 KR1020100105090A KR20100105090A KR101236530B1 KR 101236530 B1 KR101236530 B1 KR 101236530B1 KR 1020100105090 A KR1020100105090 A KR 1020100105090A KR 20100105090 A KR20100105090 A KR 20100105090A KR 101236530 B1 KR101236530 B1 KR 101236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air
inlet
hull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5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3844A (ko
Inventor
이승우
이호식
정의윤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5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6530B1/ko
Publication of KR20120043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3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4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energy generated by movement of the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파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선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선박은, 선체; 및 선체에 마련되며, 해수면의 상승 또는 하강에 의하여 내부로 유입되거나 내부로부터 유출되는 해수 또는 공기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파력발전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선박{Ship with Wave Force Generation Device}
본 발명은, 파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도의 상하운동 에너지를 이용해서 동력을 얻어 발전(發電)하는 파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바다를 항해하는 동안 필요한 모든 동력을 자체에서 생산하여 소비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선박은, 선박에서 사용되는 전력을 생산하기 위한 발전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선박에 설치되는 발전장치는 선체에서 전기를 원활히 사용하고 비상시를 대비할 수 있도록 자체적으로 발전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전장치는 엔진의 기계적 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를 공급받아 이를 발전장치 내부의 고정자와 회전자의 자계적 결합에 의해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부하에 전기에너지를 직접 공급하거나 별도의 배터리(battery)에 저장하여 두었다가 필요한 경우 부하에 공급한다.
그런데 이러한 발전장치는 주로 엔진의 기계적 운동 에너지를 이용하는 것이고 엔진의 연료로 주로 화석연료가 사용되므로 종래 선박의 발전장치는 화석연료를 연소하여 발전(發電)하고 있다.
또한 선박에는 추진력을 얻기 위한 추진장치도 설치되어 있는데, 선박의 연료로서 주로 벙커씨유와 경유의 혼합유가 사용되며, 이 또한 화석연료에 해당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선박의 추진장치 및 발전장치에서 화석연료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어쩔 수 없이 환경오염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고유가 시대라 할 수 있는 현재 선박의 운용비용을 크게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자연력인 해수나, 바람을 활용하여 발생시킨 전기를 배터리(battery)에 저장해 두었다가 선체에 설치된 여러 가지 전기장치들에 직접 공급함으로써, 화석연료의 사용량을 크게 절감시켜 에너지를 절약하고 나아가 대기 및 해양오염도 감소시킬 수 있는 자연력을 이용한 발전장치가 구비된 선박의 개발이 절실하게 필요하게 되었고,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이에 대한 연구가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자연력을 이용한 발전장치가 구비된 선박의 개발 시에, 선박의 종류 등에 따라 요구되는 조건이 다양하고 많을 것이나 기본적으로 선박에 구비된 발전장치의 발전효율이 높아야 하고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파도의 상하운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고효율의 발전(發電)을 수행할 수 있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한 번 설치해 놓으면 선박이 수명을 다할 때까지 거의 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또한 화석연료의 사용을 종래 보다 감소시킬 수 있어 대기 및 해양오염도 감소시킬 수 있는, 파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 및 상기 선체에 마련되며, 해수면의 상승 또는 하강에 의하여 내부로 유입되거나 내부로부터 유출되는 해수 또는 공기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파력발전장치를 포함하는, 파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파력발전장치는, 해수면 상승 시 해수가 유입되는 해수 유입구와, 해수면 하강 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와, 해수면 하강 시 상기 해수 유입구로 유입된 해수가 배출되는 해수 유출구와, 해수면 상승 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유출구가 형성되는 장치본체; 및 상기 장치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터빈 발전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체에는 상기 파력발전장치 내로의 해수가 유입될 수 있는 선체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선체 유입구로의 해수의 유입을 허용 및 차단하는 선체 유입구 도어가 상기 선체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빈 발전기는, 해수면 상승 시에는 상기 해수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해수 및 상기 해수에 의한 공기 유동에 의하여 회전하고, 해수면 하강 시에는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하는 터빈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본체에는, 상기 선체의 선수(船首)방향의 전방에 위치하는 유입영역과, 상기 유입영역의 후방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유출영역을 구획하되 상기 유입영역과 상기 유출영역을 연통하는 연통유로가 관통 형성된 격벽이 마련되며, 상기 터빈날개는 상기 연통유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본체는, 상기 해수 유입구와, 상기 공기 유입구와, 상기 해수 유출구와, 상기 공기 유출구가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해수 유입구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해수 유입구 도어;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공기 유입구 도어;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해수 유출구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해수 유출구 도어; 및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공기 유출구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공기 유출구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력발전장치는, 상기 선체의 외부와 상기 해수 유출구를 연결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해수 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해수를 바다로 배출하는 해수 배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력발전장치는, 상기 공기 유출구가 개방된 경우 상기 공기 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선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기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공기 유출구가 개방된 경우 상기 공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공기 환기관; 및 상기 공기 환기관의 공기를 상기 선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에어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력발전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기장치는 상기 파력발전장치로부터 생산되는 전력을 충전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파도의 상하운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고효율의 발전(發電)을 수행할 수 있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한 번 설치해 놓으면 선박이 수명을 다할 때까지 거의 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또한 화석연료의 사용을 종래 보다 감소시킬 수 있어 대기 및 해양오염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선박의 주요부 배치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박의 파력발전장치의 해수면이 상승할 때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선박의 파력발전장치의 해수면이 하강할 때의 작동 상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선박은, 선체의 선수 부분에 설치되어 선박 운항 중의 파고의 변화를 이용하여 선박의 운용에 필요한 적어도 일부의 전력을 자체적으로 생산하는 파력발전장치가 설치된 선박으로서, 본 실시예의 선박에 설치된 파력발전장치는, 주로 해수면에 부표로 부유되도록 설치되거나 방파제 등의 시설물에 설치되는 종래 파력발전장치와 다른 새로운 구조를 가지며 그 발전효율도 종래 파력발전장치보다 높다. 이에 대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선박의 주요부 배치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박의 파력발전장치의 해수면이 상승할 때의 작동 상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선박의 파력발전장치의 해수면이 하강할 때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력발전장치(20)가 구비된 선박(1)은, 바다를 항해하는 선체(10)와, 선체(10)에 마련되는 파력발전장치(20)를 포함한다. 여기서 파력발전장치(20)는 선체(10)에 마련되는 전기장치 즉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2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선체(10)는 이동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른 컨테이너선의 선체(10)이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선체(10)는 탱커선, 벌커선 등의 선체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선체(10)에는 파력발전장치(20)가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의 파력발전장치(20)는 컨테이너선의 선체(10)의 선수(船首)에 설치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선미(船尾), 좌현 또는 우현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선체(10)의 선수(船首) 부분에는 파력발전장치(20) 내로의 해수가 유입될 수 있는 선체 유입구(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선체 유입구(12)로 해수의 유입을 허용 및 차단하는 선체 유입구 도어(11)가 선체(10)에 또한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파력발전장치(20)의 가동을 중지시킬 때에는 선체 유입구 도어(11)로 선체 유입구(12)를 폐쇄시키고, 파력발전장치(20)를 가동시킬 때에는 선체 유입구 도어(11)로 선체 유입구(12)를 개방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의 파력발전장치(20)는, 해수면(S)의 상승 또는 하강에 의하여 내부로 유입되거나 내부로부터 유출되는 해수 또는 공기를 이용하여 발전한다. 즉 해수면이 상승하여 해수가 내부로 들어오면 이 해수의 이동과 이 해수에 의한 공기 이동에 의하여 발전이 이루어지고, 해수면이 하강하여 해수가 빠져나가면 해수가 빠져나간 공간을 채우기 위한 공기의 이동에 의하여 발전(發電)이 이루어진다. 이에 대해서는 대응되는 구성의 설명 시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파력발전장치(20)는, 한 번 설치해 놓으면 선박(1)이 수명을 다할 때까지 거의 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데, 장치본체(210)와, 장치본체(210)에 내부에 설치되는 터빈 발전기(220)를 포함한다.
장치본체(210)는, 해수 유입구(214), 공기 유입구(215), 해수 유출구(216) 및 공기 유출구(217)가 형성되는 프레임(210a)과, 프레임(210a)에 결합되되 내부로 돌출되는 격벽(213)과, 프레임(210a)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해수 유입구(214)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해수 유입구 도어(214a)와, 프레임(210a)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기 유입구(215)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공기 유입구 도어(215a)와, 프레임(210a)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해수 유출구(216)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해수 유출구 도어(216a)와, 프레임(210a)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기 유출구(217)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공기 유출구 도어(217a)를 포함한다.
여기서 격벽(213)은, 선체(10)의 진행방향의 전방에 위치하는 유입영역(211)과, 유입영역(211)의 후방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유출영역(212)을 구획하며, 이러한 격벽(213)에는 유입영역(211)과 유출영역(212)을 연통하는 연통유로(218)가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해수면 상승 시 해수 유입구(214)로 해수가 유입되고 공기는 공기 유출구(217)로 배출되며, 해수면 하강 시 공기 유입구(215)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해수 유입구(214)로 유입된 해수가 해수 유출구(216)로 배출되면서 터빈 발전기(220)가 발전(發電)한다.
이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유입영역(211)의 전방 하단부에 인접한 프레임(210a)에는 해수가 유입되는 해수 유입구(214)가 형성되고, 해수 유입구(214)의 개폐를 위하여 선박(1) 운항 중 선수에 부딪히는 파도의 압력에 의해 유입영역(211)의 내부를 향하여만 열리는 해수 유입구 도어(214a)가 프레임(210a)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해수 유입구 도어(214a)는 프레임(210a)에 힌지 결합하는 방식으로 설치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력이나 스프링 또는 자체의 탄성력 등에 의해 해수 유입구(214)를 폐쇄하고, 유입되는 해수의 압력에 의해 해수 유입구(214)를 개방시키는 구조이면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유입영역(211)의 상단부에 인접한 프레임(210a)에는 선박(1)의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215)가 형성되고, 공기 유입구(215)의 개폐를 위하여 공기 유입구(215)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유입영역(211)의 내부를 향하여만 열릴 수 있는 공기 유입구 도어(215a)가 프레임(210a)에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유출영역(212)은 유입영역(211)에 유입된 해수 또는 공기가 배출되기 시작하는 곳이다. 유출영역(212)의 하단부에 인접한 프레임(210a)에는 유입영역(211)으로 유입된 해수를 배출하기 위한 해수 유출구(216)가 형성되고, 해수 유출구(216)의 개폐를 위하여 해수의 압력에 의해 유출영역(212)의 외부를 향하여만 열릴 수 있는 해수 유출구 도어(216a)가 프레임(210a)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런데 해수 유출구(216)로부터 배출되는 해수는 바다로 배출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파력발전장치(20)는, 선체(10)의 외부와 해수 유출구(216)를 연결하도록 선체(10)에 마련되어 해수 유출구(216)로부터 배출되는 해수를 바다로 배출하는 해수 배출관(230)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유출영역(212)의 상단부에 인접한 프레임(210a)에는 유입영역(211)으로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 유출구(217)가 형성되고, 공기 유출구(217)의 개폐를 위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유출영역(212)의 외부를 향하여만 열릴 수 있는 공기 유출구 도어(217a)가 프레임(210a)에 상대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런데 공기 유출구(217)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선체(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파력발전장치(20)는, 공기 유출구(217)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선체(10)의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장치(24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환기장치(240)는, 공기 유출구(217)가 개방된 경우 공기 유출구(217)와 연통되는 공기 환기관(241)과, 선체(10)의 갑판에 설치되어 공기 환기관(241)의 공기를 선체(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에어펌프(242)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공기 유출구(217)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에어펌프(242)에 의하여 공기 환기관(24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만약 공기 유출구(217)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자연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면 본 실시예와 달리 에어펌프(242)는 생략될 수 있다.
한편 터빈 발전기(220)는 유입영역(211)과 유출영역(212)을 구분하는 격벽(213) 사이의 연통유로(218) 상에 배치되는 터빈날개(221)를 포함한다. 터빈날개(221)는, 해수면 상승 시에는 해수 유입구(214)로부터 유입되는 해수와 이 해수에 의한 공기 유동에 의하여 회전하고, 해수면 하강 시에는 공기 유입구(215)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한다. 이와 같이 터빈날개(221)가 회전함에 따라서 터빈 발전기(220)의 발전(發電)이 이루어진다.
터빈 발전기(220)에서 생산된 전력은 터빈 발전기(220)에 연결된 전선(222)을 통해 배터리(250)에 저장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터빈날개(221)의 회전에 의해 생산된 전력은 배터리(250)에 충전되어, 평상시에는 냉동 컨테이너(260, Reefer container)의 전력 공급에 주로 사용되고, 선박(1) 접안 시에는 선수 트러스터(270, Thruster) 운행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파력발전장치를 구비한 선박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선박(1)이 운항 중일 때 선박(1)의 선수에 부딪히는 파도의 해수면(S)은 반복적으로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력발전장치(20)를 구비한 선박(1)은 해수면(S)의 상승 시뿐만 아니라 하강 시에도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파력발전장치(20)를 가동시키기 위하여 우선 선체 유입구 도어(12)로 선체 유입구(12)를 개방시킨다.
이를 전제로 먼저, 해수면(S)이 상승하는 경우의 작동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해수면(S)이 상승하면 선박(1)의 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형성된 해수 유입구(214)가 해수면(S) 아래에 위치함에 따라 해수 유입구 도어(214a)에 해수의 압력이 작용하여 해수 유입구 도어(214a)가 열리게 되고 이에 따라 해수가 해수 유입구(214)로 유입된다. 유입된 해수에 의해 유입영역(211) 내의 공기 압력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공기는 터빈날개(221)를 회전시키며 유출영역(212)으로 이동한다. 유입된 해수 또한 공기를 따라 터빈날개(221)를 회전시키며 유출영역(212)으로 이동한다.
유출영역(212)으로 이동한 공기는 유출영역(212)의 공기압을 상승시키고, 이에 따라 공기 유출구 도어(217a)가 열림으로써 유입된 공기는 유출영역(212) 외부로 유출되고 환기장치(240)를 통해 선박(1)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해수면(S) 하강 시에는, 도 3을 참조하면, 유출영역(212)에 있는 유입된 해수가 해수 유출구(216) 및 해수 배출관(230)을 통해 선박(1) 외부로 배출된다. 유출영역(212)의 해수가 배출됨에 따라 부압이 발생하고 이러한 부압은 공기 유입구 도어(215a)에 작용하여 공기 유입구(215)를 개방시킴으로써 외부 공기가 공기 유입구(215) 통해 유입영역(211)으로 유입된다. 유입영역(211)으로 유입된 공기는 터빈날개(221)를 회전시키며 유출영역(212)으로 이동하여 압력 평형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해수면(S)의 상승 및 하강 시에 터빈날개(221)의 회전에 의해 생산된 전력은 배터리(250)에 충전되어, 평상시에는 냉동 컨테이너(260, Reefer container)의 전력 공급에 주로 사용되고 선박(1) 접안 시에는 선수 트러스터(270, Thruster) 운행에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파력발전장치(20)를 구비한 선박(1)은, 해수면(S)의 상승 시뿐만 아니라 하강 시에도 터빈날개(221)를 회전시켜 발전할 수 있고 해수와 공기의 유동을 모두 사용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고효율의 발전(發電)을 수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파도의 상하운동 에너지를 이용한 발전(發電)으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또한 화석연료의 사용을 종래 보다 감소시킬 수 있어 대기 및 해양오염도 감소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파력발전장치(20)의 프레임(210a)이 선체(10)와 별도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 상 구분되어 설명된 것으로서 파력발전장치(20)의 프레임(210a)이 선체(10)의 일부분일 수도 있고 선체(10)와 별도로 제작되어 선체(10)와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선체 유입구(12)로 해수의 유입을 허용 및 차단하는 선체 유입구 도어(12)가 선체(10)에 마련되어, 파력발전장치(20)의 가동을 중지시킬 때에는 선체 유입구 도어(12)로 선체 유입구(12)를 폐쇄시키고 파력발전장치(20)를 가동시킬 때에는 선체 유입구 도어(12)로 선체 유입구(12)를 개방시키는 구조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해수 유입구(214)와 해수 유입구 도어(214a)가 선체 유입구(12)와 선체 유입구 도어(12)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해수압 및 공기압에 따라 해수 유입구 도어(214a), 공기 유출구 도어(217a), 해수 유출구 도어(216a), 또는 공기 유입구 도어(215a)가 자동으로 개폐되는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별도로 이들을 구동하는 구동수단들과, 별도의 압력센서들과, 이러한 압력센서들에 의하여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수단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선박 10 : 선체
20 : 파력발전장치 210 : 장치본체
210a: 프레임 211 : 유입영역
212 : 유출영역 214 : 해수 유입구
215 : 공기 유입구 216 : 해수 유출구
217 : 공기 유출구 220 : 터빈 발전기
230 : 해수 배출관 240 : 환기장치

Claims (10)

  1. 선체; 및
    상기 선체에 마련되며, 해수면의 상승 또는 하강에 의하여 내부로 유입되거나 내부로부터 유출되는 해수 및 공기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파력발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파력발전장치는,
    해수면 상승 시 해수가 유입되는 해수 유입구와, 해수면 하강 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와, 해수면 하강 시 상기 해수 유입구로 유입된 해수가 배출되는 해수 유출구와, 해수면 상승 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유출구가 형성되는 장치본체;
    상기 선체의 외부와 상기 해수 유출구를 연결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해수 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해수를 바다로 배출하는 해수 배출관;
    상기 공기 유출구가 개방된 경우 상기 공기 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선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기장치; 및
    상기 장치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터빈 발전기를 포함하며,
    상기 선체에는 상기 파력발전장치 내로의 해수가 유입될 수 있는 선체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선체 유입구로의 해수의 유입을 허용 및 차단하는 선체 유입구 도어가 상기 선체에 결합되어 있는, 파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선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빈 발전기는, 해수면 상승 시에는 상기 해수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해수 및 상기 해수에 의한 공기 유동에 의하여 회전하고, 해수면 하강 시에는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하는 터빈날개를 포함하는, 파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선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에는, 상기 선체의 선수(船首)방향의 전방에 위치하는 유입영역과, 상기 유입영역의 후방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유출영역을 구획하되 상기 유입영역과 상기 유출영역을 연통하는 연통유로가 관통 형성된 격벽이 마련되며,
    상기 터빈날개는 상기 연통유로 상에 배치되는, 파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선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는,
    상기 해수 유입구와, 상기 공기 유입구와, 상기 해수 유출구와, 상기 공기 유출구가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해수 유입구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해수 유입구 도어;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공기 유입구 도어;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해수 유출구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해수 유출구 도어; 및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공기 유출구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공기 유출구 도어를 포함하는, 파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선박.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공기 유출구가 개방된 경우 상기 공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공기 환기관; 및
    상기 공기 환기관의 공기를 상기 선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에어펌프를 포함하는, 파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선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력발전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기장치는 상기 파력발전장치로부터 생산되는 전력을 충전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파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선박.

KR1020100105090A 2010-10-27 2010-10-27 파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선박 KR101236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090A KR101236530B1 (ko) 2010-10-27 2010-10-27 파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090A KR101236530B1 (ko) 2010-10-27 2010-10-27 파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3844A KR20120043844A (ko) 2012-05-07
KR101236530B1 true KR101236530B1 (ko) 2013-02-22

Family

ID=46263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5090A KR101236530B1 (ko) 2010-10-27 2010-10-27 파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65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6445B1 (ko) 2016-10-05 2017-10-18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파력 추진장치를 구비한 선박
KR102337999B1 (ko) 2020-08-12 2021-12-09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용 파력 추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5251A (en) * 1977-10-11 1979-05-02 Kaiyo Kagaku Gijutsu Center Overspeed preventing method and its apparatus for waveforce generator
JPS5612064A (en) * 1979-07-12 1981-02-05 Fuji Electric Co Ltd Tidal wave turbine power generator
JPS5762970A (en) 1980-10-02 1982-04-16 Shigeru Utsunomiya Hydraulic power plant utilizing principle of weir
JP2005238918A (ja) * 2004-02-25 2005-09-08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用空気調和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5251A (en) * 1977-10-11 1979-05-02 Kaiyo Kagaku Gijutsu Center Overspeed preventing method and its apparatus for waveforce generator
JPS5612064A (en) * 1979-07-12 1981-02-05 Fuji Electric Co Ltd Tidal wave turbine power generator
JPS5762970A (en) 1980-10-02 1982-04-16 Shigeru Utsunomiya Hydraulic power plant utilizing principle of weir
JP2005238918A (ja) * 2004-02-25 2005-09-08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用空気調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3844A (ko) 2012-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6471B2 (en) Energy generation apparatus for ships
US200802310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harvesting electrical power from marine current using turbines
CN102975836B (zh) 一种水下滑翔器能源系统及其控制方法
US10100803B1 (en) Ocean wave-crest powered electrical generator in combination with pumped storage
CN201671755U (zh) 一种利用海洋潮汐能的发电装置
KR101236530B1 (ko) 파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선박
KR20050012110A (ko) 풍력, 수력 및 태양열을 이용한 전기발생장치가 구비된 선박
KR101039124B1 (ko) 부양식 방파제 겸용 파력발전 시스템
KR20080006529U (ko) 수차를 이용한 발전설비가 구비된 선박
KR100795516B1 (ko) 파도 에너지 변환장치
JP2005023799A (ja) 沈水式発電装置
KR20100065815A (ko) 수력을 이용한 선박의 발전장치
JP2000352371A (ja) 圧縮空気貯蔵複合発電システム
KR101168266B1 (ko) 선박용 발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JP6286281B2 (ja) 水上発電装置及び水上風力発電装置
US20030080245A1 (en) Self-inflated marine airship or balloon
JP4902800B1 (ja) 船舶
KR101195754B1 (ko) 선박의 배출수를 이용한 발전 장치
CN102102621B (zh) 浮力发动机及应用该浮力发动机的发电机组
KR101010607B1 (ko) 선박의 파력 발전장치
CN106401876B (zh) 一种船用风力压差增速发电设备
JP2004124866A (ja) 沈水式発電装置
JP3942625B1 (ja) バッテリー駆動式船舶
KR20100070519A (ko) 선박의 수력 발전 장치
KR20150034337A (ko) 밸러스트 수력발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