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4033A - 할로겐 비함유 착색제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할로겐 비함유 착색제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4033A
KR20050084033A KR1020057009694A KR20057009694A KR20050084033A KR 20050084033 A KR20050084033 A KR 20050084033A KR 1020057009694 A KR1020057009694 A KR 1020057009694A KR 20057009694 A KR20057009694 A KR 20057009694A KR 20050084033 A KR20050084033 A KR 20050084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alkyl
resin composition
photosensitive resin
phe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9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1756B1 (ko
Inventor
히데타카 오카
장-마리 아담
Original Assignee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크. filed Critical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크.
Publication of KR20050084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4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7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8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 H05K3/285Permanent coating compositions
    • H05K3/287Photosensitive composi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38Macromolecular compounds which are rendered insoluble or differentially wettab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9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 G03F7/105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having substances, e.g. indicators, for forming visible ima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66Marks, test patterns or identification means
    • H05K1/0269Marks, test patterns or identification means for visual or optical inspe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6Inspection; Monitoring; Aligning
    • H05K2203/161Using chemical substances, e.g. colored or fluorescent, for facilitating optical or visual inspe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73Mas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5K3/02 - H05K3/46, e.g.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patterned surfaces
    • H05K3/0076Mas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5K3/02 - H05K3/46, e.g.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patterned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s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Epoxy Resin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For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녹색 착색제[성분(A)](a),
반응성 또는 비반응성의 알칼리 가용성 올리고머 또는 중합체[성분(B)](b),
중합가능한 단량체[성분(C)](c),
광개시제[성분(D)](d),
에폭시 화합물[성분(E)](e) 및
필요한 경우, 추가의 첨가제[성분(F)](f)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의 제조시에 땜납 내식막, 에칭 내식막 또는 도금 내식막으로 사용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위의 화학식 1에서,
환 A, B, C 및 D는 하이드록시 또는 화학식 의 잔기[여기서, R1은 수소 또는 C1-C4-알킬이고, R2는 수소 또는 C1-C4-알킬이며, n은 0, 1, 2 또는 3이고, 환 E는 치환되지 않거나 C1-C6 알킬, C1-C6 알콕시, 하이드록시, NHCOR3, NHSO2R4 또는 SO2NHR5(여기서, R3은 C1-C4-알킬 또는 페닐이고, R4는 C1-C4 알킬 또는 페닐이며, R5는 C1-C4 알킬 또는 페닐이다)로 치환된다]로 치환된다.

Description

할로겐 비함유 착색제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 halogen-free colorant}
실시예 1
EA-6340(신-나카무라 케미칼 캄파니 리미티드사가 시판하는 카복실산 그룹을 갖는 페놀노볼락 에폭시아크릴레이트) 6g,
DPHA[알드리히(Aldrich)사가 시판하는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0.9g,
GY1180(반티코사가 시판하는 페놀노볼락) 1.5g,
이르가큐어907[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Ciba Specialty Chemicals)사가 시판하는 (4-메틸티오벤조일)-1-메틸-1-모르폴리노에탄] 0.3g,
QUANTACURE ITXR[인터네셔날 바이오신테틱스(International Biosynthetics)사가 시판하는 4-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0.03g,
화학식 2의 착색제 0.12g 및
아세톤 1.6g을 함유하는 내식막 혼합물을 2시간 동안 3mm 유리 비드 20g과 함께 SKANDEX DISPERSER(BA-S20)으로 분산시킨다.
화학식 2
분산액을 알루미늄 기판에 적용하고, 15분 동안 80℃에서 건조시킨다. 건조 후의 내식막 두께는 20μ이다. 내식막을 아세테이트 필름, 광 마스크 및 진공 호일을 통해 금속 할라이드 램프(ORC mfg.의 SMX-3000)에 의해 300mJ/cm2로 노광시킨다. 1% Na2CO3 수용액(30℃)을 100초 동안 분무하여 현상한 후, 내식막을 150℃에서 1시간 동안 열 경화시킨다. 땜납 공정을 모방하기 위해, 열 경화된 내식막을 융제(H-10F)로 피복하고, 260℃에서 5분 동안 건조 오븐에서 가열한다. 열처리(260℃에서 5분간) 전과 후의 내식막 외관을 비교한다.
실시예 2
화학식 2의 착색제를 동일한 중량의 화학식 4의 착색제로 대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샘플을 제조하여 평가한다.
화학식 4
실시예 3
화학식 2의 착색제를 동일한 중량의 화학식 5의 착색제로 대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샘플을 제조하여 평가한다.
화학식 5
실시예 4
EA-6340(신-나카무라 케미칼 캄파니 리미티드사가 시판하는 카복실산 그룹을 갖는 페놀노볼락 에폭시아크릴레이트) 6g,
DPHA[알드리히사가 시판하는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0.9g,
GY1180(반티코사가 시판하는 페놀노볼락) 1.5g,
이르가큐어907[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사가 시판하는 (4-메틸티오벤조일)-1-메틸-1-모르폴리노에탄] 0.3g,
QUANTACURE ITXR[인터네셔날 바이오신테틱스사가 시판하는 4-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0.03g,
화학식 3의 착색제 0.12g 및
아세톤 1.6g을 함유하는 내식막 혼합물을 2시간 동안 3mm 유리 비드 20g과 함께 SKANDEX DISPERSER(BA-S20)으로 분산시킨다.
화학식 3
분산액을 알루미늄 기판에 적용하고, 15분 동안 80℃에서 건조시킨다. 건조 후의 내식막 두께는 20μ이다. 내식막을 아세테이트 필름, 광 마스크 및 진공 호일을 통해 금속 할라이드 램프(ORC mfg.의 SMX-3000)에 의해 300mJ/cm2로 노광시킨다. 1% Na2CO3 수용액(30℃)을 100초 동안 분무하여 현상한 후, 내식막을 150℃에서 1시간 동안 열 경화시킨다. 땜납 공정을 모방하기 위해, 열 경화된 내식막을 융제(H-10F)로 피복하고, 260℃에서 5분 동안 건조 오븐에서 가열한다. 열처리(260℃에서 5분간) 전과 후의 내식막 외관을 비교한다.
실시예 5
화학식 3의 착색제를 동일한 중량의 화학식 7의 착색제로 대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식으로 샘플을 제조하여 평가한다.
화학식 7
실시예 6
화학식 3의 착색제를 동일한 중량의 화학식 6의 착색제로 대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식으로 샘플을 제조하여 평가한다.
화학식 6
참조 실시예
화학식 2의 착색제를 동일한 중량의 피그먼트 그린 7(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사가 시판하는 IRGALITE Green GFNP)로 대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샘플을 제조하여 평가한다.
결과
열처리(260℃에서 5분간) 후의 피복물의 외관 형성된 내식막의 할로겐 함량#1
실시예 1 변화 없슴
실시예 2 변화 없슴
실시예 3 변화 없슴
실시예 4 변화 없슴
실시예 5 변화 없슴
실시예 6 변화 없슴
참조 실시예 변화 없슴
#1은 각 내식막 성분의 화학 구조로부터 평가한다.
본 발명은 할로겐 비함유 착색제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히, 본 발명은, 인쇄 회로 기판의 제조시에 땜납 내식막, 에칭 내식막 또는 도금 내식막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감도가 높고 우수한 내열성 및 기판 표면 접착성을 나태낼 수 있는 할로겐 비함유 착색제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내식막 피복물의 사용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은 특히 전자 산업에서 공지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5,009,982호에는 프탈로시아닌 그린(할로겐화 프탈로시아닌), 피그먼트 그린 7 및 피그먼트 그린 36을 녹색 착색제로서 사용하는 땜납 내식막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내식막 제조업자는 현행 생태학적 운동에 기인하여 내식막 제형으로부터 할로겐 함량을 저하시키려고 노력하여 왔다. 따라서, 보다 낮은 할로겐 함량이 또한 착색제에 요구되고 있다.
한 가지 해결책은 미국 특허 제5,009,982호에 언급된 프탈로시아닌 블루이다. 할로겐 치환이 없는 프탈로시아닌은 청색을 나타내고, 따라서 이러한 청색 안료를 땜납 내식막에 사용하려고 시도하였다. 그러나, 청색은 내식막 사용자에 의해 허용되지 않았다.
다른 해결책은 비할로겐 청색과 비할로겐 황색을 혼합하여 녹색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생각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0-7974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1-64534호에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0-7974호에는 비할로겐 청색과 비할로겐 녹색을 포함하는 땜납 내식막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사용된 조성물은 안료를 제외한 땜납 내식막에 매우 통상적인 성분들을 사용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1-64534호는 녹색 안료의 조성물 특허이다. 이의 주된 논의는 청색과 황색에 의해 녹색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하나는 공-혼련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청색 및 황색을 강산에 용해시킨 다음, 물에 용해시켜 재침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녹색 안료 조성물의 응용 분야가 광범위하게 언급되어 있다.
녹색 착색 재료로서 요구되는 품질, 예를 들면, 청명한 색조, 우수한 내후성과 내열성을 유지하고 동시에 환경상 오염 문제를 충족시키는 단일 녹색 안료를 포함하는 땜납 내식막은 현재의 기술 수준에서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단일 할로겐 비함유 착색제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이르러, 본 발명에 따르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이 위에 제시된 기준을 상당히 충족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녹색 착색제[성분(A)](a),
반응성 또는 비반응성의 알칼리 가용성 올리고머 또는 중합체[성분(B)](b),
중합가능한 단량체[성분(C)](c),
광개시제[성분(D)](d),
에폭시 화합물[성분(E)](e) 및
필요한 경우, 추가의 첨가제[성분(F)](f)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위의 화학식 1에서,
환 A, B, C 및 D는 하이드록시 또는 화학식 의 잔기[여기서, R1은 수소 또는 C1-C4-알킬이고, R2는 수소 또는 C1-C4-알킬이며, n은 0, 1, 2 또는 3이고, 환 E는 치환되지 않거나 C1-C6 알킬, C1-C6 알콕시, 하이드록시, NHCOR3, NHSO2R4 또는 SO2NHR5(여기서, R3은 C1-C4-알킬 또는 페닐이고, R4는 C1-C4 알킬 또는 페닐이며, R5는 C1-C4 알킬 또는 페닐이다)로 치환된다]로 치환된다.
C1-C4 알킬로서의 R1, R2, R3, R4 및 R5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2급-부틸 또는 3급 부틸이다.
R1은 수소가 바람직하다.
R2는 수소가 바람직하다.
R3은 메틸 및 에틸이 바람직하다.
R4는 메틸 및 에틸이 바람직하다.
R5는 메틸 및 에틸이 바람직하다.
환 E의 치환체로서의 C1-C6 알킬은, 예를 들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2급-부틸, 3급-부틸, 아밀, 3급-아밀(1,1-디메틸프로필), 1,1,3,3-테트라메틸부틸, 헥실, 1-메틸펜틸, 네오펜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및 관련 이성체이다.
환 E의 치환체로서의 C1-C6 알콕시는, 예를 들면,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2급-부톡시, 이소부톡시, 3급-부톡시, 펜톡시 또는 헥속시이다.
n은 1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된 바람직한 착색제는 화학식 2 및 화학식 3의 착색제이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된 특히 바람직한 착색제는 화학식 4 내지 화학식 7의 착색제이다.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7의 착색제는 공지되어 있거나 통상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1 내지 7의 착색제는 또한, 비할로겐 녹색 착색제가 요구되는 경우, 다른 내식막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무수 필름 내식막은 에칭 내식막 및 도금 내식막 등의 인쇄 회로 기판의 구리 회로 패턴의 형성, 및 각종 평면 디스플레이 패널 분야에서 셀 또는 전극 패턴의 형성, 예를 들면, 샌드 블라스트 방법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사용되는 배리어 립의 형성에 사용된다.
추가로, 본 발명은,
위에 기재된 본 발명 조성물의 성분(A) 내지 성분(E) 및, 필요한 경우, 성분(F)를 혼합하는 단계(1),
생성된 조성물을 기판에 도포하는 단계("기판의 피복")(2),
존재하는 경우, 용매를 80 내지 90℃의 온도에서 증발시키는 단계(3)(또는, 단계(1) 내지 단계(3)은 무수 필름형 땜납 내식막이 사용되는 경우에 생략할 수 있다),
피복된 기판을 네가티브 마스크를 통해 또는 직접 레이저 화상에 의해 방사선에 노광시키는 단계(4)(이에 의해 아크릴레이트의 반응이 개시됨),
알칼리 수용액으로 세척하여 경화되지 않은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조사된 샘플을 현상하는 단계(5) 및
샘플을 약 150℃의 온도에서 열 경화시켜 카복실산과 에폭시 성분과의 가교결합을 개시하는 단계(6)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는 땜납 내식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렇게 제조한 땜납 내식막 층은 인쇄 회로 기판의 상부 영구 피복 층이고, 기판의 전체 수명에 있어서 내부 구리 회로를 보호한다. 땜납 내식막이 용융 땜납 온도(260℃)에 대해 내성이 있는 땜납 방법이 가장 강력하다.
성분(B)는 알칼리 가용성 결합제 중합체이다. 적합한 결합제는 분자량이 약 2,000 내지 2,000,000, 바람직하게는 10,000 내지 5,000,000이고 산도가 50 내지 600mg KOH/g,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mg KOH/g인 중합체이다. 알칼리 현상가능한 결합제의 예는 측쇄 그룹으로서 카복실산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중합체, 예를 들면, 에틸렌계 불포화 카복실산,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산, 2-카복시에틸(메트)아크릴산, 2-카복시프로필(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말레산, 말레산과 푸마르산의 반-에스테르를 (메트)아크릴산의 에스테르, 예를 들면, 메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량체와 공중합시켜 수득한 통상적으로 공지된 공중합체; 비닐 방향족 화합물, 예를 들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p-클로로스티렌; 아미드형 불포화 화합물, (메트)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 아크릴아미드,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타크릴아미드; 및 폴리올레핀형 화합물, 예를 들면, 부타디엔, 이소프렌, 클로로프로펜 등; 메타크릴로니트릴, 메틸 이소프로페닐 케톤,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또는 비닐 피발레이트이다. 공중합체의 예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과의 공중합체 및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와 스티렌 또는 치환된 스티렌과의 공중합체, 페놀계 수지, 예를 들면, 노볼락, (폴리)하이드록시스티렌, 및 하이드록시스티렌과 알킬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및/또는 메타크릴산과의 공중합체이다. 공중합체의 바람직한 예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벤질 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에틸 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벤질 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스티렌의 공중합체, 벤질 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부틸 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스티렌의 공중합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벤질 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하이드록시페닐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에서 폴리이미드 결합제 수지는 폴리이미드 전구체, 예를 들면, 폴리(암산)일 수 있다.
성분(B)의 다른 예는 분자 구조 속에 2개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 그룹과 하나 이상의 카복실산 관능기를 갖는 중합체 또는 올리고머, 예를 들면, 포화 또는 불포화 폴리염기산 무수물을 에폭시 화합물 및 불포화 모노카복실산의 반응 생성물과 반응시켜 수득한 수지[예를 들면, UCB 케미칼스사의 EB9696; 니폰 가야쿠 캄파니 리미티드(Nippon Kayaku Co., LTD.)사의 KAYARAD TCR1025, 신-나카무라 케미칼 캄파니 리미티드(Shin-Nakamura Chemical Co., Ltd.)사의 NK OLIGO EA-6340, EA-7440] 또는 카복실 그룹 함유 수지와 α,β-불포화 이중결합 및 에폭시 그룹을 갖는 불포화 화합물 사이에 형성된 부가 생성물[예를 들면, 다이셀 케미칼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사의 ACA200, ACA200M, ACA210P, ACA230AA, ACA250, ACA300, ACA320]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에 적합한 성분(C)의 예는 광중합가능한 비닐형 단량체이다. 대표적인 예는 하이드록시알킬 아크릴레이트, 예를 들면,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등; 글리콜의 모노아크릴레이트 또는 디아크릴레이트, 예를 들면, 에틸렌 글리콜, 메톡시테트라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등; 아크릴아미드, 예를 들면,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등; 아미노알킬 아크릴레이트, 예를 들면, N,N-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등; 다가 알콜 또는 이의 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물의 다가 아크릴레이트, 예를 들면, 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하이드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등; 페녹시 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디아크릴레이트 및 이들 페놀의 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물의 아크릴레이트 등; 글리시딜 에테르의 아크릴레이트, 예를 들면, 글리세린 디글리시딜 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 에테르,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 등; 및 멜라민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상기 아크릴레이트에 상응하는 메타크릴레이트 등이다.
일관능성 또는 다관능성 에틸렌계 불포화 화합물, 또는 이들 화합물의 다수의 혼합물은, 조성물의 고체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60중량% 이하로 상기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불포화 화합물(C)은 또한 비광중합가능한 필름 형성 성분과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면, 물리적으로 건조시킨 중합체 또는 유기 용매 중의 이들의 용액, 예를 들면, 니트로셀룰로즈 또는 셀룰로즈 아세토부티레이트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또한 화학적 및/또는 열 경화가능한 (열경화성) 수지, 예를 들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에폭사이드 및 멜라민 수지 및 폴리이미드 전구체일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의 동시 사용은 하이브리드 시스템으로서 공지된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고, 여기서 제1 단계에서는 광중합시키고 제2 단계에서는 열 후처리에 의해 가교결합시킨다.
광개시제로서 공지된 임의의 화합물을 성분(D)로서 사용할 수 있다. 성분(D)의 예는 캄포르퀴논, 벤조페논, 벤조페논 유도체, 아세토페논, 아세토페논 유도체, 예를 들면, α-하이드록시사이클로알킬페닐 케톤 또는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온, 디알콕시아세토페논, α-하이드록시- 또는 α-아미노-아세토페논, 예를 들면, (4-메틸티오벤조일)-1-메틸-1-모르폴리노-에탄, (4-모르폴리노-벤조일)-1-벤질-1-디메틸아미노-프로판, 4-아로일-1,3-디옥솔란, 벤조인 알킬 에테르 및 벤질 케탈, 예를 들면, 디메틸 벤질 케탈, 페닐글리옥살산 에스테르 및 이의 유도체, 이량체 페닐글리옥살산 에스테르, 아세틸, 퍼에스테르, 예를 들면, 벤조페논 테트라카복실산 퍼에스테르(예를 들면,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126 541호에 기재됨), 모노아실포스핀 옥사이드, 예를 들면,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 비스아실포스핀 옥사이드, 예를 들면,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 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 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4-디펜톡시페닐포스핀 옥사이드, 트리스아실포스핀 옥사이드, 옥심 에스테르, 예를 들면, 1-페닐-1,2-프로판디온-2-(o-벤조일)옥심, 1-페닐-1,2-프로판디온-2(o-에톡시카보닐)옥심 또는 영국 공개특허공보 제233 9571호 및 미국 특허 제2,001,2596호에 기재된 기타 옥심 에스테르, 할로메틸트리아진, 예를 들면, 2-[2-(4-메톡시-페닐)-비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1,3,5]트리아진, 2-(4-메톡시-페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1,3,5]트리아진, 2-(3,4-디메톡시-페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1,3,5]트리아진, 2-메틸-4,6-비스-트리클로로메틸-[1,3,5]트리아진, 2-(4-N,N-디(에톡시카보닐메틸)아미노페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1,3,5]트리아진, 2-(4-메톡시-나프틸)-4,6-비스트리클로로메틸-[1,3,5]트리아진, 2-(1,3-벤조디옥솔-5-일)-4,6-비스-트리클로로메틸-[1,3,5]트리아진, 2-[2-[4-(펜틸옥시)페닐]에테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1,3,5]트리아진, 2-[2-(3-메틸-2-푸라닐)-에테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1,3,5]-트리아진, 2-[2-(5-메틸-2-푸라닐)-에테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1,3,5]트리아진, 2-[2-(2,4-디메톡시-페닐)-에테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1,3,5]트리아진, 2-[2-(2-메톡시-페닐)에테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1,3,5]트리아진, 2-[2-[4-이소프로필옥시-페닐]-에테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1,3,5]트리아진, 2-[2-(3-클로로-4-메톡시-페닐)에테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1,3,5]트리아진, 2-[2-브로모-4-N,N-디(에톡시카보닐메틸)아미노-페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1,3,5]트리아진, 2-[2-클로로-4-N,N-디(에톡시카보닐메틸)아미노-페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1,3,5]트리아진, 2-[3-브로모-4-N,N-디(에톡시카보닐메틸)아미노-페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1,3,5]트리아진, 2-[3-클로로-4-N,N-디(에톡시카보닐메틸)아미노-페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1,3,5]트리아진 또는, 예를 들면, 문헌[참조: G. Buhr, R. Dammel and C. Lindley Polym. Mater. Sci. Eng. 61,269(1989)] 및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262 788호에 기재된 기타 할로메틸-트리아진;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4,371,606호 및 미국 특허 제4,371,607호에 기재된 할로메틸-옥사졸 광개시제; 예를 들면, 문헌[참조: E.A. Bartmann, Synthesis 5, 490(1993)]에 기재된 1,2-디설폰; 헥사아릴비스이미다졸/공개시제 시스템, 예를 들면, 2-머캅토벤조티아졸과 배합된 오르토-클로로헥사페닐-비스이미다졸, 페로세늄 화합물 또는 티타노센, 예를 들면, 비스(사이클로펜타디에닐)-비스(2,6-디플루오로-3-피릴페닐)티타늄 또는 1,7-비스(9-아크리디닐)헵탄 등의 비스아크리딘 유도체이다.
상술된 광개시제 중의 하나 또는 이들 화합물 다수의 혼합물은, 조성물의 고체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20중량% 이하로 상기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에폭시 그룹을 갖는 화합물을 성분(E)로서 첨가함으로써 당해 조성물에 열경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공지된 고체 또는 액체 에폭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당해 에폭시 화합물은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사용된다. 예를 들면, 도금 내성을 개선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액체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고, 내수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다수의 메틸 그룹을 벤젠 환 또는 사이클로알킬 환에 갖는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S형 에폭시 수지, 예를 들면, 니폰 가야쿠 캄파니 리미티드사가 제조한 BPS-200, ACR 캄파니사가 제조한 EPX-30, 다이니폰 잉크 앤드 케미칼스 인코포레이티드(Dainippon Ink & Chemicals Inc.)사가 제조한 Epiculon EXA-1514 등;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예를 들면, 다이니폰 잉크 앤드 케미칼스 인코포레이티드사가 제조한 Epiculon N-3050, N-7050, N-9050, 반티코(Vantico)사가 제조한 XAC-5005, GT-7004, 6484T, 6099 등;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예를 들면, 도흐토 카세이 캄파니(Tohto Kasei Co.)사가 제조한 YDF-2004, YDF2007 등; 디글리시딜 프탈레이트 수지, 예를 들면, 니폰 오일 앤트 팻츠 캄파니 리미티드(Nippon Oil and Fats Co., Ltd.)사가 제조한 Blemmer DGT 등; 헤테로사이클릭 에폭시 수지, 예를 들면, 니싼 케미칼 인더스티리즈 리미티드(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사가 제조한 TEPIC, 반티코사가 제조한 Araldite PT810 등; 비크실레놀형 에폭시 수지, 예를 들면, 유카 쉘 캄파니(Yuka Shell Co.)사가 제조한 YX-4000 등; 비페놀형 에폭시 수지, 예를 들면, 유카 쉘 캄파니사가 제조한 YL-6056 등; 테트라글리시딜 크실레노일에탄 수지, 예를 들면, 도흐토 카세이 캄파니사가 제조한 ZX-1063 등;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예를 들면, 니폰 카야쿠 캄파니 리미티드사가 제조한 EPPN-201, EOCN-103, EOCN-1020, EOCN-1025 및 BRRN 등, 아사히 케미칼 인더스트리 캄파니 리미티드사가 제조한 ECN-278, ECN-292 및 ECN-299 등, 반티코사가 제조한 GY-1180, ECN-1273 및 ECN-1299, 도흐토 카세이 캄파니사가 제조한 YDCN-220L, YDCN-220HH, YDCN-702, YDCN-704, YDPN-601 및 YDPN-602, 다이니폰 잉크 앤드 케미칼스 인코포레이티드사가 제조한 Epiculon-673, N-680, N-695, N-770 및 N-775; 비스페놀 A의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예를 들면, 아사히 케미칼 인더스트리 캄파니 리미티드사가 제조한 EPX-8001, EPX-8002, EPPX-8060 및 EPPX-8061, 다이니폰 잉크 앤드 케미칼스 인코포레이티드사가 제조한 Epiculon N-880 등; 킬레이트형 에폭시 수지, 예를 들면, 아사히 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Asahi Denka Kogyo K.K.)사가 제조한 EPX-49-69 및 EPX-49-30 등; 글리옥살형 에폭시 수지, 예를 들면, 도흐토 카세이 캄파니사가 제조한 YDG-414 등; 아미노 그룹 함유 에폭시 수지, 예를 들면, 도흐토 카세이 캄파니사가 제조한 YH-1402 및 ST-110, 유카 쉘 캄파니사가 제조한 YL-931 및 YL-933 등; 고무 개질된 에폭시 수지, 예를 들면, 다이니폰 잉크 앤드 케미칼스 인코포레이티드사가 제조한 Epiculon TSR-601, 아사히 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사가 제조한 EPX-84-2 및 EPX-4061 등; 디사이클로펜타디엔 페놀형 에폭시 수지, 예를 들면, 산요-고쿠사쿠 펄프 캄파니 리미티드(Sanyo-Kokusaku Pulp Co., Ltd.)사가 제조한 DCE-400 등; 실리콘 개질된 에폭시 수지, 예를 들면, 아사히 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사가 제조한 X-1359 등; l-카프롤락톤 개질된 에폭시 수지, 예를 들면, 디셀 케미칼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Dicel Chemical Industries, Ltd.)사가 제조한 Plaque G-402 및 G-710 등이다. 추가로, 이들 에폭시 화합물의 부분 에스테르화된 화합물(예를 들면,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에스테르화시킴)도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펙트럼 감도를 이동시키거나 확장시키는 감광제 또는 공개시제를 성분(F)로서 첨가하여 광 경화 속도를 가속시킬 수 있다. 특히, 이들은 방향족 화합물, 예를 들면, 벤조페논 및 이의 유도체, 티오크산톤 및 이의 유도체, 안트라퀴논 및 이의 유도체, 쿠마린 및 페노티아진 및 이들의 유도체 및 또한 3-(아로일메틸렌)티아졸린, 로다닌, 캄포르퀴논, 또한 에오신, 로다민, 에리트로신, 크산텐, 티오크산텐, 아크리딘, 예를 들면, 9-페닐아크리딘, 1,7-비스(9-아크리디닐)헵탄, 1,5-비스(9-아크리디닐)펜탄, 시아닌 및 메로시아닌 염료이다.
광중합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해, 아민, 예를 들면, 트리에탄올아민, N-메틸디에탄올아민, 에틸-p-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2-(디메틸아미노)에틸 벤조에이트, 2-에틸헥실-p-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옥틸-파라-N,N-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N-(2-하이드록시에틸)-N-메틸-파라-톨루이딘 또는 미흘러 케톤을 첨가할 수 있다. 아민의 작용은 벤조페논형의 방향족 케톤을 첨가하여 강화시킬 수 있다. 산소 스캐빈저로서 사용될 수 있는 아민의 예는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339 841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치환된 N,N-디알킬아닐린이다. 다른 촉진제, 공개시제 및 자동 산화제는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438 123호, 영국 공개특허공보 제2 180 358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6-68309호에 기재되어 있는 티올, 티오에테르, 디설파이드, 포스포늄 염, 포스핀 산화물 또는 포스핀이다.
추가로, 당해 분야에 통상적인 연쇄 전달제를 성분(E)로서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이의 예는 머캅탄, 아민 및 벤조티아졸이다.
당해 분야에 공지된 추가의 첨가제, 예를 들면, 유동 개선제, 부착 촉진제, 예를 들면,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스(2-메톡시에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드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드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2-(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성분(F)로서 첨가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 광택제, 습윤제, 소포제, 농도 보조제, 분산제, 응집 억제제, 항산화제 또는 무기 충전제가 첨가제(F)의 또 다른 예이다.
두껍고 착색된 피복물을 경화시키기 위해서는 미국 특허 제5,013,768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유리 미소구 또는 분쇄 유리 섬유를 첨가하는 것이 적절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임의로 추가적으로 성분(F)로서 에폭시 경화 촉진제, 예를 들면, 아민 화합물, 이미다졸 화합물, 카복실산, 페놀, 4급 암모늄염 또는 메틸올 그룹 함유 화합물을 포함한다.
첨가제(들)(F)의 선택은 적용 분야 및 당해 분야에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이루어진다. 상술된 첨가제는 당해 분야에 통상적인 것이고, 따라서 각각의 분야에서 통상적인 양으로 첨가된다.
보다 높은 색 포화(색도) 및 우수한 색 강도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화학식 1 내지 7의 착색제의 조 생성물을 소립화(염 혼련 또는 수성 분쇄)할 수 있다. 염 혼련의 기본 원리는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국제 공개공보 제WO 00/56819호에는, 고체 용액을 형성하지 않고서, 퀴나크리돈 안료와 함께 디케토피롤로피롤의 염 혼련이 기재되어 있다. 이의 잇점은 보다 적은 퀴나크리돈으로 인한 개선된 분쇄 효율, 고도의 색 강도 및 고도의 색도이다.
국제 공개공보 제WO 01/04215호에는, 안료 또는 안료 혼합물을 먼저 실질적으로 무정형 미립자 형태로 전환시킨 다음, 유기 액체, 피그먼트 바이올렛 23 및 피그먼트 레드 254와 함께 혼련하여 개선된 색상 특성을 수득하는 2단계 공정이 기재되어 있다.
국제 공개공보 제WO 01/09252호에는, 하나 이상의 옥시 또는 옥소 그룹을 분자 속에 갖는 수용성의 중성 유기 액체의 존재하에 구리 비함유 프탈로시아닌 안료의 염 혼련이 기재되어 있다.
개선된 유동성, 분산능 및 분산 안정성을 달성하기 위해, 공지된 분산제 또는 유동 개선제, 예를 들면, 설폰화 또는 만니히 치환된 안료, 특히 프탈로시아닌형 또는 무색형의 안료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에 의해 설명된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부 및 퍼센트는 중량 기준이고, 온도는 섭씨 ℃이다. 중량부와 용적부의 관계는 g과 cm2의 관계와 동일하다.

Claims (6)

  1. 화학식 1의 녹색 착색제[성분(A)](a),
    반응성 또는 비반응성의 알칼리 가용성 올리고머 또는 중합체[성분(B)](b),
    중합가능한 단량체[성분(C)](c),
    광개시제[성분(D)](d),
    에폭시 화합물[성분(E)](e) 및
    필요한 경우, 추가의 첨가제[성분(F)](f)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위의 화학식 1에서,
    환 A, B, C 및 D는 하이드록시로 치환되거나, 화학식 의 잔기[여기서, R1은 수소 또는 C1-C4-알킬이고, R2는 수소 또는 C1-C4-알킬이며, n은 0, 1, 2 또는 3이고, 환 E는 치환되지 않거나 C1-C6 알킬, C1-C6 알콕시, 하이드록시, NHCOR3, NHSO2R4 또는 SO2NHR5(여기서, R3은 C1-C4-알킬 또는 페닐이고, R4는 C1-C4 알킬 또는 페닐이며, R5는 C1-C4 알킬 또는 페닐이다)로 치환된다]로 치환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성분(A)가 화학식 2의 착색제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2
  3. 제1항에 있어서, 성분(A)가 화학식 3의 착색제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3
  4. 성분(A) 내지 성분(E) 및, 필요한 경우, 성분(F)를 혼합하는 단계(1),
    생성된 조성물을 기판에 도포하는 단계(2)("기판의 피복"),
    존재하는 경우, 용매를 80 내지 90℃의 온도에서 증발시키는 단계(3),
    피복된 기판을 네가티브 마스크를 통해 또는 직접 레이저 화상에 의해 방사선에 노광시키는 단계(4),
    알칼리 수용액으로 세척하여 경화되지 않은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조사된 샘플을 현상하는 단계(5) 및
    샘플을 약 150℃의 온도에서 열 경화시켜 카복실산과 에폭시 성분과의 가교결합을 개시하는 단계(6)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는 땜납 내식 방법.
  5. 제4항에 따르는 방법으로 수득한 피복 기판.
  6.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 피복된 기판.
KR1020057009694A 2002-11-28 2003-11-19 할로겐 비함유 착색제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1010817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2406035.2 2002-11-28
EP02406035 2002-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4033A true KR20050084033A (ko) 2005-08-26
KR101081756B1 KR101081756B1 (ko) 2011-11-10

Family

ID=32338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9694A KR101081756B1 (ko) 2002-11-28 2003-11-19 할로겐 비함유 착색제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8034531B2 (ko)
EP (1) EP1565789B1 (ko)
JP (1) JP4390707B2 (ko)
KR (1) KR101081756B1 (ko)
CN (1) CN100549825C (ko)
AT (1) ATE453877T1 (ko)
AU (1) AU2003298293A1 (ko)
BR (1) BR0316657A (ko)
CA (1) CA2507471A1 (ko)
DE (1) DE60330802D1 (ko)
MX (1) MXPA05005682A (ko)
TW (1) TW200421022A (ko)
WO (1) WO200404907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945B1 (ko) 2005-10-25 2012-10-12 히다치 가세고교 가부시끼가이샤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것을 이용한 감광성 엘리먼트, 레지스트 패턴의 형성방법 및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방법
US7713342B2 (en) * 2006-12-19 2010-05-11 Xerox Corporation Phase change inks
JP5291893B2 (ja) * 2007-05-08 2013-09-18 太陽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光硬化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物
WO2012036477A2 (ko) * 2010-09-16 2012-03-22 주식회사 엘지화학 감광성 수지 조성물, 드라이 필름 솔더 레지스트 및 회로 기판
JP5809182B2 (ja) * 2013-03-26 2015-11-10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感光性樹脂組成物
CN108003172A (zh) * 2017-12-12 2018-05-0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绿色光阻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9585A (en) * 1975-09-08 1977-08-02 Uop Inc. Hydroformylation process
JPS61243869A (ja) * 1985-04-19 1986-10-30 Taiyo Ink Seizo Kk レジストインキ組成物
US4789620A (en) * 1986-03-03 1988-12-06 Mitsubishi Rayon Co. Ltd. Liquid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carboxylated epoxy acrylates or methacrylates
US5578419A (en) 1991-12-12 1996-11-26 Mitsui Toatsu Chemicals, Incorporated Dyes for color filters, and photosensitive resist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EP0633296B1 (en) * 1993-07-09 1999-10-13 Mitsui Chemicals, Inc. Novel dyestuffs and their use
US5691101A (en) * 1994-03-15 1997-11-25 Kabushiki Kaisha Toshiba Photosensitive composition
EP0703281B1 (de) * 1994-09-23 2000-03-01 Ciba SC Holding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romierten, Alkoxy-substituierten Metall-Phthalocyaninen
US5810934A (en) * 1995-06-07 1998-09-22 Advanced Silicon Materials, Inc. Silicon deposition reactor apparatus
EP0763580B1 (en) * 1995-09-11 2003-08-13 Toyo Ink Manufacturing Co., Ltd. Aqueous type pigment dispersing agent,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nd aqueous pigment dispersion
JP3653855B2 (ja) 1996-04-15 2005-06-02 三菱化学株式会社 フタロシアニン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記録媒体
DE69713512T2 (de) * 1996-10-03 2003-02-13 Ciba Sc Holding Ag Substituierte phtalocyanine und deren verwendung
JP3286905B2 (ja) 1997-08-04 2002-05-27 株式会社リコー フタロシアニン化合物
JP4523679B2 (ja) 1998-06-22 2010-08-11 太陽インキ製造株式会社 ハロゲンフリーの着色顔料を用いたプリント配線板用緑色レジストインキ組成物
ATE230779T1 (de) * 1998-09-21 2003-01-15 Ciba Sc Holding Ag Substituierte phthalocyanine
DE19915717A1 (de) * 1999-04-08 2000-10-12 Agfa Gevaert Ag Aufzeichnungsmaterial mit pigmentgefärbter strahlungsempfindlicher Schicht
JP4075286B2 (ja) 1999-06-21 2008-04-16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ハロゲンを含有しない緑色顔料組成物
US6214433B1 (en) * 1999-10-04 2001-04-10 Dsm N.V. Radiation-curable coatings for optical discs and optical discs incorporating such coatings
US6713230B2 (en) * 1999-10-25 2004-03-30 Nan Ya Plastics Corporation Photosensitive ink composition
US20020077384A1 (en) * 2000-05-10 2002-06-20 Seiko Epson Corporation Ink jet recording ink composition containing pigment coated with resin
TWI237531B (en) 2000-12-13 2005-08-01 Goo Chemical Co Ltd Solder resist ink
US7144677B2 (en) * 2001-03-21 2006-12-05 Ricoh Company, Ltd. Optical recording method and optical recording medium
JP4472205B2 (ja) * 2001-04-17 2010-06-02 株式会社リコー フタロシアニン化合物
TWI227478B (en) * 2001-04-26 2005-02-01 Fuji Photo Film Co Lt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S6726755B2 (en) * 2002-02-08 2004-04-27 Xerox Corporation Ink compositions containing phthalocyan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1756B1 (ko) 2011-11-10
EP1565789A2 (en) 2005-08-24
TW200421022A (en) 2004-10-16
AU2003298293A1 (en) 2004-06-18
CN1717627A (zh) 2006-01-04
WO2004049070A2 (en) 2004-06-10
JP2006508381A (ja) 2006-03-09
BR0316657A (pt) 2005-10-18
US20050282923A1 (en) 2005-12-22
ATE453877T1 (de) 2010-01-15
CN100549825C (zh) 2009-10-14
CA2507471A1 (en) 2004-06-10
DE60330802D1 (de) 2010-02-11
MXPA05005682A (es) 2005-07-26
EP1565789B1 (en) 2009-12-30
WO2004049070A3 (en) 2004-07-22
US8034531B2 (en) 2011-10-11
JP4390707B2 (ja) 200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39584B (zh) 肟酯光起始劑
JP4769461B2 (ja) ヘテロ芳香族基を有するオキシムエステル光開始剤
JP4532726B2 (ja) 感光性樹脂組成物
CN105175315B (zh) 光致抗蚀剂组合物
JP4561101B2 (ja) カラーフィルタ用感放射線性組成物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JP6664383B2 (ja) オキシムスルホネート誘導体
DE19928742A1 (de) Neue O-Acyloxim-Photostarter
KR101892086B1 (ko) 옥심에스테르 유도체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광중합 개시제, 및 감광성 조성물
KR20160030233A (ko) 옥심 에스테르 광개시제
KR101081756B1 (ko) 할로겐 비함유 착색제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JP7187538B2 (ja) アルカリ現像型光硬化性熱硬化性樹脂組成物
US20050260520A1 (en) Heat stable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dry film resist
JP2014130186A (ja) 感光性組成物及び硬化物
KR20100012803A (ko) 감광성 조성물, 감광성 필름, 감광성 적층체, 영구 패턴 형성 방법, 및 프린트 기판
JP2007199135A (ja) 感光性組成物、及び青紫色レーザー用感光性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材料、画像形成材、及び画像形成方法
EP2175320B1 (en) Alkali-developable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TWI798206B (zh) 肟酯化合物及含有該化合物之光聚合起始劑
EP1398667A1 (en)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 halogen-free colorant
JP2016125027A (ja) 着色剤分散液、着色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