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6815A -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6815A
KR20050076815A KR1020050004951A KR20050004951A KR20050076815A KR 20050076815 A KR20050076815 A KR 20050076815A KR 1020050004951 A KR1020050004951 A KR 1020050004951A KR 20050004951 A KR20050004951 A KR 20050004951A KR 20050076815 A KR20050076815 A KR 20050076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heat
blowing direction
fin
hea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4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0717B1 (ko
Inventor
이와사키마사미치
구보야마기미마사
츠치야도시아키
다키구치고지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리테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리테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리테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6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6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0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07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0Tunnels or galleries specially adapted to house conduits, e.g. oil pipe-lines, sewer pipes ; Making conduits in situ, e.g. of concrete ; Casings, i.e. manhole shafts, access or inspection chambers or coverings of boreholes or narrow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F28F1/325Fins with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ome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 손실이 적고, 먼지의 퇴적이나 착상의 발생 등에 기인한 열전도 성능의 경시 열화를 억제하는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평판 핀(10)과, 평판 핀(10)을 관통하여 내부를 냉매가 통과하는 전열관(20)을 구비하고, 평판 핀(10)의 전방 가장자리측에서 상호간을 통과하는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전열관(20)의 송풍 방향 전방에 기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해서 점차 폭이 좁아지고, 통과하는 공기에 세로 소용돌이(S)를 발생시키는 날개부(11)를 평판 핀(10)으로부터 잘라 일으켜 형성하는 한편, 전열관(20)의 송풍 방향 후방에 평판 핀(10)으로부터 잘라 일으킨 윙렛(12)을 형성하였다.

Description

열교환기{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자동 판매기, 쇼케이스 등에 적용하는 핀 앤드 튜브형의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평판 핀(100)과, 평판 핀(100)을 관통하여 내부를 냉매가 순환하는 전열관(110)을 구비하고, 평판 핀(100)에 송풍하여 공기와 냉매 사이에서 열교환하는, 소위 핀 앤드 튜브형의 열교환기가 알려져 있다.
이 핀 앤드 튜브형의 열교환기에 있어서는 열교환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열관(110)과 전열관(110) 사이에 소위 루버라 불리는 미세한 컷업 부재(103)를 형성한 평판 핀(100)이 각종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특허 공개 평11-281279호 공보
[특허문헌 2]특허 공개 제2001-141383호 공보
그런데, 이러한 컷업 부재(103)를 형성한, 소위 루버핀은 효율이 좋은 한편, 컷업 부재(103)의 표면 상의 공기를 난류화하기 위하여, 마찰 저항이 커지기 때문에 압력 손실이 크다. 또한, 먼지의 퇴적이나 착상(着霜)의 발생에 의해 열전도 성능이 경시 열화한다. 또한, 얇은 평판 핀의 표면에 형성한 미세한 컷업 부재의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압력 손실이 적고, 먼지의 퇴적이나 착상의 발생에 기인한 열전도 성능의 경시 열화를 억제하는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른 열교환기는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평판 핀과, 상기 평판 핀을 관통하여 내부를 냉매가 통과하는 전열관을 구비하고, 상기 평판 핀의 전방 가장자리측에서 상호간을 통과하는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전열관의 송풍 방향 전방에 기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해서 점차 폭이 좁아지고, 통과하는 공기에 세로 소용돌이를 발생시키는 날개부를 평판 핀으로부터 잘라 일으켜 형성하는 한편, 전열관의 송풍 방향 후방에 평판 핀으로부터 잘라 일으킨 윙렛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따른 열교환기는 상기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열관 후류의 축류 성분과 동조하는 선회 성분을 생성하는 형태로 상기 윙렛의 경사각을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따른 열교환기는 상기 청구항 1에 있어서, 통과하는 공기의 편향 성분과 선회 성분이 동조하는 형태로 송풍 방향 최후열의 전열관의 송풍 방향 후방에 형성한 윙렛의 경사각을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따른 열교환기는 상기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평판 핀은 상기 날개부와 상기 윙렛을 소정의 피치로 연속하여 형성한 박판으로부터 절단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른 열교환기에 의하면, 전열관의 송풍 방향 전방에 기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해서 점차 폭이 좁아지고, 통과하는 공기에 세로 소용돌이를 발생시키는 날개부를 평판 핀으로부터 잘라 일으켜 형성했기 때문에, 평판 핀의 표면에 송풍 방향으로 날개부의 내측에 소용돌이형으로 흐르는 세로 소용돌이가 발생하여, 이 세로 소용돌이와 전열관의 근원부에 생성한 말굽형태 소용돌이가 간섭하여 세로 소용돌이가 강력하고 또한 강대해져 전열관 주위로 잡아당겨진다. 한편, 전열관의 송풍 방향 후방에 평판 핀으로부터 잘라 일으킨 윙렛을 형성했기 때문에, 전열관의 송풍 방향 후방의 사수역(死水域; dead water region)에 공기를 잡아당긴다. 이 때문에, 전열관 주위의 온도 경계층을 얇게 할 수 있어, 전열관의 송풍 방향 후방의 사수역의 생성을 억제하고, 전열관의 송풍 방향 후방의 열전도를 촉진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따른 열교환기에 의하면, 전열관 후류의 축류 성분과 동조하는 선회 성분을 생성하는 형태로 윙렛의 경사각을 설정했기 때문에, 윙렛을 가로지르는 공기의 흐름 중에는 윙렛의 선단부측으로 편향된 강한 선회 성분이 생겨, 전열관의 송풍 방향 후방의 사수역에 공기를 가까이 끌어당긴다. 이 때문에, 평판 핀에 발생한 세로 소용돌이와 함께 전열관의 송풍 방향 후방의 사수역에서 발달하는 온도 경계층을 얇게 할 수 있고, 전열관의 송풍 방향 후방의 사수역의 열전도를 촉진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따른 열교환기에 의하면, 통과하는 공기의 편향 성분과 선회 성분이 동조하는 형태로 송풍 방향 최후열의 전열관의 송풍 방향 후방에 형성한 윙렛의 경사각을 설정했기 때문에, 전열관의 송풍 방향 후방의 사수역의 생성을 억제한다. 이 때문에, 송풍 방향 최후열의 전열관의 송풍 방향 후방의 열전도를 촉진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따른 열교환기에 의하면, 평판 핀은 날개부와 윙렛을 소정의 피치로 연속하여 형성한 박판으로부터 절단하여 제조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평판 핀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적합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이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열교환기를 도 1∼도 6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또,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열교환기의 평판 핀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평판 핀을 적층한 열교환기의 측면도, 도 3은 평판 핀에 발생한 세로 소용돌이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4는 평판 핀에 발생한 세로 소용돌이와 전열관 주위에 발생하는 말굽 소용돌이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5는 제1 윙렛의 작용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6은 평판 핀에 발생한 세로 소용돌이, 전열관 주위에 발생하는 말굽 소용돌이와 윙렛의 작용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7은 제2 윙렛의 작용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실시예 1에 따른 열교환기는 도 9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적층된 복수의 평판 핀(10)과,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 핀(10)을 관통하여, 내부를 냉매가 순환하는 전열관(20)을 구비하고, 평판 핀(10)에 송풍하여 공기와, 전열관(20)의 내부를 순환하는 냉매 사이에서 열교환하는 것이다.
평판 핀(10)은 통상 0.5 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알루미늄 합금의 박판을 펀칭하여 작성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평판 핀(10)은 0.3 mm의 박판을 펀칭하여 작성하고 있다.
이 평판 핀(10)의 송풍 방향으로는 2열의 전열관(20)이 지그재그 격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전열관(20)의 송풍 방향 전방에는 날개부(11)가 평판 핀(10)으로부터 잘라 일으켜 형성되어 있다. 날개부(11)는 전열관(20)의 중심에서 송풍 방향 연장선상에 선단부(정점)가 오도록 기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해서 점차 폭이 좁아지는 이등변 삼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고, 날개부(11)에서 발생한 세로 소용돌이(S)가 붕괴하지 않는 범위(실속하지 않은 범위)에서 송풍 방향에 대하여 영각(α)(迎角, Angle of Attack)을 갖고 있다.
또한, 송풍 방향 전열의 전열관(20)의 송풍 방향에 대하여 경사 후방에 제1 윙렛(12)이 평판 핀(10)으로부터 잘라 일으켜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윙렛(12)의 경사각(β)은 전열관 후류의 축류 성분과 동조하는 선회 성분을 생성하는 형태로 설정되어 있다[송풍 방향에서 보면 전열관(20)에 대하여 역ハ의 글자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송풍 방향 후열(최후열)의 전열관(20)의 송풍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후방에 제2 윙렛(13)이 평판 핀(10)으로부터 잘라 일으켜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윙렛(13)의 경사각(γ)은 통과하는 공기의 편향 성분과 선회 성분이 동조하는 형태로 설정되어 있다[송풍 방향에서 보면 전열관(20)에 대하여 ハ의 글자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한 평판 핀(10)의 표면은 베마트 처리 또는 침수성 도료의 도포 등의 친수성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이 열교환기에 송풍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흐르는 공기(송풍 방향)에 대하여 영각(α)을 갖는 평판 핀(10)의 날개부(11) 양측에 날개부(11)의 내측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세로 소용돌이(S)가 발생하는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열관(20)의 근원부에 세로 소용돌이(S)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말굽형태 소용돌이(H)가 생성된다. 세로 소용돌이(S)는 말굽형태 소용돌이(H)의 영향을 받아, 세로 소용돌이(S)의 강도와 크기를 촉진하는 동시에, 세로 소용돌이(S)를 전열관(20)의 근원부에 가까이 끌어당긴다.
세로 소용돌이(S)가 평판 핀(10)의 표면에 공기를 아래를 향해 불기 때문에, 온도 경계층을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말굽형태 소용돌이(H)가 세로 소용돌이(S)를 전열관(20)의 근원부에 가까이 끌어당기기 때문에, 송풍 방향 후방에서 사수역의 생성을 억제하여, 전열관(20)의 송풍 방향 후방의 열전도를 회복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 방향 전열의 전열관(20)의 경사 후방에 배치한 제1 윙렛(12)을 가로질러 흐르는 공기에 제1 윙렛(12)의 선단측으로 편향된 강한 선회 성분이 생겨, 전열관(20)의 송풍 방향 후방의 사수역에 공기를 가까이 끌어당긴다. 이 때문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 핀(10)의 날개부(11)에 발생한 세로 소용돌이(S)와 함께 전열관(20)의 송풍 방향 후방의 사수역에서 발달하는 온도 경계층을 얇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열관(20)의 송풍 방향 후방의 사수역의 열전도를 회복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 방향 후열(최후열)의 전열관(20)의 경사 후방에 배치한 제2 윙렛(13)에서는 통과하는 공기의 편향 성분과 선회 성분이 동조하여, 전열관(20)의 송풍 방향 후방의 사수역의 생성을 억제한다. 이 때문에, 평판 핀(10)의 날개부(11)에 발생한 세로 소용돌이와 함께 전열관(20)의 송풍 방향 후방의 사수역에서 발달하는 온도 경계층을 얇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열관(20)의 송풍 방향 후방의 사수역의 열전도를 회복할 수 있다.
또한, 날개부(11)에 발생한 세로 소용돌이(S)에 의해 전열관(20)의 송풍 방향 전방에 생긴 쌍곡점(hyperbolic point) 부근을 흐르는 공기를 가속하여, 먼지의 퇴적, 착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평판 핀(10)의 표면에 친수성 처리를 실시했기 때문에, 수분을 포함한 공기가 날개부(11)에 충돌하더라도 착상하는 일이 없고, 세로 소용돌이(S)에 의한 열전도 촉진 효과가 열화하여 압력 손실을 증가시키는 일이 없다.
따라서, 실시예 1에 따른 열교환기에 의하면, 날개부(11), 제1 윙렛(12)과 제2 윙렛(13)에 의해 송풍 방향 전열의 전열관(20)의 송풍 방향 후방의 사수역과 송풍 방향 후열의 전열관(20)의 송풍 방향 후방의 사수역의 열전도를 회복할 수 있어, 열교환기는 높은 열전도 성능을 발휘한다.
이 열교환기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열교환기와 달리, 루버에 의해 난류화하지 않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을 촌단하지 않고, 마찰에 의한 압력 손실도 작다.
또, 실시예 1에 따른 열교환기는 전열관(20)을 2열 배치한 것이지만, 전열관(20)을 3열 이상의 복수 배치한 것에도 적용할 수 있고, 3열 이상의 복수 배치의 경우에는 최후열의 전열관(20)의 경사 후방에 제2 윙렛(13)을 배치하고, 다른 전열의 전열관(20)의 경사 후방에는 제1 윙렛(12)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열교환기를 도 8∼도 10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또,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열교환기의 평판 핀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한 평판 핀을 적층한 열교환기의 측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한 평판 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실시예 2에 따른 열교환기는 실시예 1에 따른 열교환기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평판 핀(30)과, 평판 핀(30)을 관통하여, 내부를 냉매가 순환하는 전열관(40)을 구비하고, 평판 핀(30)에 송풍하여 공기와 전열관(40)의 내부를 순환하는 냉매 사이에서 열교환하는 것이다.
평판 핀(30)은 실시예 1에 따른 열교환기의 평판 핀(10)과 마찬가지로, 두께 0.3 mm의 알루미늄 합금의 박판을 펀칭하여 작성하고 있다.
이 평판 핀(30)의 송풍 방향으로는 2열의 전열관(40)이 지그재그 격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전열관(40)의 송풍 방향 전방에는 날개부(31)가 평판 핀(30)으로부터 잘라 일으켜 형성되어 있다. 날개부(31)는 전열관(40)의 중심에서 송풍 방향 연장선 상에 선단(정점)이 오도록 기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해서 점차 폭이 좁아지는 이등변 삼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고, 날개부(31)에서 발생한 세로 소용돌이(S)가 붕괴하지 않는 범위(실속하지 않은 범위)에서 송풍 방향에 대하여 영각(α)을 갖고 있다.
전열관(40)의 송풍 방향에 대하여 경사 후방에 윙렛(32)이 평판 핀(30)으로부터 잘라 일으켜 형성되어 있다. 이 윙렛(32)의 경사각(β)은 전열관 후류의 축류 성분과 동조하는 선회 성분을 생성하는 형태로 설정되어 있다[송풍 방향에서 보면 전열관(40)에 대하여 역ハ의 글자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한 평판 핀(30)의 표면은 베마트 처리 또는 침수성 도료의 도포 등의 친수성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이 열교환기에 송풍하면, 실시예 1에 따른 열교환기와 마찬가지로, 송풍 방향에 대하여 영각(α)을 갖는 평판 핀(30)의 날개부(31) 양측에 날개부(31)의 내측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세로 소용돌이(S)가 발생하는 한편, 전열관(40)의 근원부에 세로 소용돌이(S)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말굽형태 소용돌이(H)가 생성된다. 세로 소용돌이(S)는 말굽형태 소용돌이(H)의 영향을 받아, 세로 소용돌이(S)의 강도와 크기를 촉진하는 동시에, 세로 소용돌이(S)를 전열관(40)의 근원부에 가까이 끌어당긴다.
세로 소용돌이(S)가 평판 핀(30)의 표면에 공기를 아래를 향해 불기 때문에, 온도 경계층을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말굽형태 소용돌이(H)가 세로 소용돌이(S)를 전열관(40)의 근원부에 가까이 끌어당기기 때문에, 송풍 방향 후방에서 사수역의 생성을 억제하고, 전열관(40)의 송풍 방향 후방의 열전도를 회복할 수 있다.
또한, 전열관(40)의 송풍 방향 경사 후방에 배치한 윙렛(32)을 흐르는 공기에, 윙렛(32)의 선단측으로 편향된 강한 선회 성분이 생겨, 전열관(40)의 송풍 방향 후방의 사수역에 공기를 가까이 끌어당긴다. 이 때문에, 평판 핀(30)의 날개부(31)에 발생한 세로 소용돌이(S)와 함께 전열관(40)의 송풍 방향 후방의 사수역에서 발달하는 온도 경계층을 얇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열관(40)의 송풍 방향 후방의 사수역의 열전도를 회복할 수 있다.
또한, 날개부(31)에 발생한 세로 소용돌이(S)에 의해, 전열관(40)의 송풍 방향 전방에 생긴 쌍곡점 부근을 흐르는 공기를 가속하여, 먼지의 퇴적, 착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평판 핀(30)의 표면에 친수성 처리를 실시했기 때문에 수분을 포함한 공기가 날개부(31)에 충돌하더라도 착상하는 일이 없고, 세로 소용돌이(S)에 의한 열전도 촉진 효과가 열화하여 압력 손실을 증가시키는 일이 없다.
따라서, 실시예 2에 따른 열교환기에 의하면 날개부(31)와 윙렛(32)에 의해 전열관(40)의 송풍 방향 후방의 사수역의 열전도를 회복할 수 있고, 열교환기는 높은 열전달 성능을 발휘한다.
이 열교환기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열교환기와 달리, 루버에 의해 난류화하지 않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을 촌단하지 않고, 마찰에 의한 압력 손실도 작다.
실시예 2에 따른 열교환기는 전열관(40)을 2열 배치한 것이지만, 전열관(40)을 3열 이상의 복수 배치한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평판 핀(30)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합금의 박판에 날개부(31)와 윙렛(32)을 소정의 피치로 연속하여 형성한 후에, 절단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날개부(31)와 윙렛(32)을 연속하여 형성한 후에, 절단하여 평판 핀(30)을 제조하면, 제조 효율이 상승하는 동시에, 단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열관(40)을 2열 배치하는 평판 핀과 전열관(40)을 3열 이상의 복수 열 배치하는 평판 핀을 절단하는 방법을 바꾸는 것만으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개별적으로 금형 등의 치구를 준비할 필요가 없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열교환기를 도 11 및 도 12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또,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열교환기의 평판 핀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평판 핀을 적층한 열교환기의 측면도이다.
실시예 3에 따른 열교환기는 실시예 1에 따른 열교환기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평판 핀(50)과, 평판 핀(50)을 관통하여, 내부를 냉매가 순환하는 전열관(60)을 구비하고, 평판 핀(50)에 송풍하여 공기와 전열관(60)의 내부를 순환하는 냉매 사이에서 열교환하는 것이다.
평판 핀(50)은 실시예 1에 따른 열교환기의 평판 핀(10)과 마찬가지로, 두께 0.3 mm의 알루미늄 합금의 박판을 펀칭하여 작성되어 있다.
이 평판 핀(50)의 송풍 방향으로는 2열의 전열관(60)이 지그재그 격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인접하는 전열관(60)의 사이에는 날개부(51)가 평판 핀(50)으로부터 잘라 일으켜 형성되어 있다. 날개부(51)는 후열의 전열관(60)의 중심에서 송풍 방향 연장선 상에 선단(정점)이 오도록 기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해서 점차 폭이 좁아지는 이등변 삼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고, 날개부(51)에서 발생한 세로 소용돌이(S)가 붕괴하지 않는 범위(실속하지 않은 범위)에서 송풍 방향에 대하여 영각(α)을 갖고 있다.
전열관(60)의 송풍 방향에 대하여 경사 후방에 윙렛(52)이 평판 핀(50)으로부터 잘라 일으켜 형성되어 있다. 이 윙렛(32)의 경사각(β)은 전열관 후류의 축류 성분과 동조하는 선회 성분을 생성하는 형태로 설정되어 있다[송풍 방향에서 보면 전열관(60)에 대하여 역ハ의 글자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한 평판 핀(50)의 표면은 베마트 처리 또는 침수성 도료의 도포 등의 친수성 처리가 되어 있다.
이 열교환기에 송풍하면, 송풍 방향에 대하여 영각(α)을 갖는 평판 핀(50)의 날개부(51) 양측에 날개부(51)의 내측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세로 소용돌이(S)가 발생하는 한편, 후열의 전열관(60)의 근원부에 세로 소용돌이(S)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말굽형태 소용돌이(H)가 생성된다. 세로 소용돌이(S)는 말굽형태 소용돌이(H)의 영향을 받아, 세로 소용돌이(S)의 강도와 크기를 촉진하는 동시에, 세로 소용돌이(S)를 후열의 전열관(60)의 근원부에 가까이 끌어당긴다.
세로 소용돌이(S)가 평판 핀(50)의 표면에 공기를 아래를 향해 불기 때문에, 온도 경계층을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말굽형태 소용돌이(H)가 세로 소용돌이(S)를 후열의 전열관(60)의 근원부에 가까이 끌어당기기 때문에, 송풍 방향 후방에서 사수역의 생성을 억제하고, 전열관(60)의 송풍 방향 후방의 열전도를 회복할 수 있다.
또한, 전열관(60)의 송풍 방향 경사 후방에 배치한 윙렛(52)을 흐르는 공기에 윙렛(52)의 선단측으로 편향된 강한 선회 성분이 생겨, 전열관(60)의 송풍 방향 후방의 사수역에 공기를 가까이 끌어당긴다. 이 때문에, 평판 핀(50)의 날개부(51)에 발생한 세로 소용돌이(S)와 동시에 전열관(60)의 송풍 방향 후방의 사수역에서 발달하는 온도 경계층을 얇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열관(60)의 송풍 방향 후방의 사수역의 열전도를 회복할 수 있다.
또한, 날개부(51)에 발생한 세로 소용돌이(S)에 의해 후열의 전열관(60)의 송풍 방향 전방에 생긴 쌍곡점 부근을 흐르는 공기를 가속하여, 먼지의 퇴적, 착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평판 핀(50)의 표면에 친수성 처리를 실시했기 때문에, 수분을 포함한 공기가 날개부(51)에 충돌하더라도 착상하는 일이 없고, 세로 소용돌이(S)에 의한 열전도 촉진 효과가 열화하여 압력 손실을 증가시키는 일이 없다.
따라서, 실시예 3에 따른 열교환기에 의하면 날개부(51)와 윙렛(52)에 의해 전열관(60)의 송풍 방향 후방의 사수역의 열전도를 회복할 수 있어, 열교환기는 높은 열전달 성능을 발휘한다.
이 열교환기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열교환기와 달리, 루버에 의해 난류화하지 않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을 촌단하지 않고, 마찰에 의한 압력 손실도 작다.
실시예 3에 따른 열교환기는 전열관(60)을 2열 배치한 것이지만, 전열관(60)을 3열 이상의 복수 배치한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평판 핀(30)은 실시예 3에 따른 열교환기와 같이, 알루미늄 합금의 박판에 날개부(51)와 윙렛(52)을 소정의 피치로 연속하여 형성한 후에, 절단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날개부(51)와 윙렛(52)을 연속하여 형성한 후에, 절단하여 평판 핀(50)을 제조하면, 제조 효율이 상승하는 동시에, 단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열관(60)을 2열 배치하는 평판 핀과 전열관(60)을 3열 이상의 복수열 배치하는 평판 핀을 절단하는 방법을 바꾸는 것만으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개별적으로 금형 등의 치구를 준비할 필요가 없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열교환기를 도 13 및 도 14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또,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열교환기의 평판 핀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평판 핀을 적층한 열교환기의 측면도이다.
실시예 4에 따른 열교환기는 실시예 1에 따른 열교환기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평판 핀(70)과, 평판 핀(70)을 관통하여, 내부를 냉매가 순환하는 전열관(80)을 구비하고, 평판 핀(70)에 송풍하여 공기와 전열관(80)의 내부를 순환하는 냉매 사이에서 열교환하는 것이다.
평판 핀(70)은 실시예 1에 따른 열교환기의 평판 핀(10)과 같이, 두께 0.3 mm의 알루미늄 합금의 박판을 펀칭하여 작성되어 있다.
이 평판 핀(70)의 송풍 방향으로는 2열의 전열관(80)이 지그재그 격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전열관(80)의 송풍 방향 전방에는 날개부(71)가 평판 핀(70)으로부터 잘라 일으켜 형성되어 있다. 날개부(71)는 전열관(80)의 중심에서 송풍 방향 연장선상에 선단(정점)이 오도록 기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해서 점차 폭이 좁아지는 이등변 삼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고, 날개부(71)에서 발생한 세로 소용돌이(S)가 붕괴하지 않는 범위(실속하지 않은 범위)에서 송풍 방향에 대하여 영각(α)을 갖고 있다.
전열관(80)의 송풍 방향에 대하여, 경사 후방에 윙렛(72)이 평판으로부터 잘라 일으켜 형성되어 있다. 이 윙렛(72)의 경사각(β)은 전열관 후류의 축류 성분과 동조하는 선회 성분을 생성하는 형태로 설정되어 있다[송풍 방향에서 보면 전열관(80)에 대하여 역ハ의 글자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한 평판 핀(70)의 표면은 베마트 처리 또는 침수성 도료의 도포 등의 친수성 처리가 되어 있다.
이 열교환기에 송풍하면, 실시예 1에 따른 열교환기와 같이 송풍 방향에 대하여 영각(α)을 갖는 평판 핀(70)의 날개부(71)의 양측에 날개부(71)의 내측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세로 소용돌이(S)가 발생하는 한편, 전열관(80)의 근원부에 세로 소용돌이(S)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말굽형태 소용돌이(H)가 생성된다. 세로 소용돌이(S)는 말굽형태 소용돌이(H)의 영향을 받아, 세로 소용돌이(S)의 강도와 크기를 촉진하는 동시에, 세로 소용돌이(S)를 전열관(80)의 근원부에 가까이 끌어당긴다.
세로 소용돌이(S)가 평판 핀(70)의 표면에 공기를 아래를 향해 불기 때문에, 온도 경계층을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말굽형태 소용돌이(H)가 세로 소용돌이(S)를 전열관(80)의 근원부에 가까이 끌어당기기 때문에, 송풍 방향 후방에서 사수역의 생성을 억제하고, 전열관(80)의 송풍 방향 후방의 열전도를 회복할 수 있다.
또한, 전열관(80)의 송풍 방향 경사 후방에 배치한 윙렛(72)을 흐르는 공기에 윙렛(72)의 선단측으로 편향된 강한 선회 성분이 생겨, 전열관(80)의 송풍 방향 후방의 사수역에 공기를 가까이 끌어당긴다. 이 때문에, 평판 핀(70)의 날개부(71)에 발생한 세로 소용돌이(S)와 함께 전열관(80)의 송풍 방향 후방의 사수역에서 발달하는 온도 경계층을 얇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열관(80)의 송풍 방향 후방의 사수역의 열전도를 회복할 수 있다.
또한, 날개부(71)에 발생한 세로 소용돌이(S)에 의해 전열관(80)의 송풍 방향 전방에 생긴 쌍곡점 부근을 흐르는 공기를 가속하여, 먼지의 퇴적, 착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평판 핀(70)의 표면에 친수성 처리를 실시했기 때문에, 수분을 포함한 공기가 날개부(71)에 충돌하더라도 착상하는 일이 없고, 세로 소용돌이(S)에 의한 열전도 촉진 효과가 열화하여 압력 손실을 증가시키는 일이 없다.
따라서, 실시예 4에 따른 열교환기에 의하면 날개부(71)와 윙렛(72)에 의해 전열관(80)의 송풍 방향 후방의 사수역의 열전도를 회복할 수 있어, 열교환기는 높은 열전달 성능을 발휘한다.
이 열교환기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열교환기와 달리, 루버에 의해 난류화하지 않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을 촌단하지 않고, 마찰에 의한 압력 손실도 작다.
실시예 4에 따른 열교환기는 전열관(80)을 2열 배치한 것이지만, 전열관(80)을 3열 이상의 복수 배치한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평판 핀(70)은 실시예 2에 따른 열교환기와 마찬가지로, 알루미늄 합금의 박판에 날개부(71)와 윙렛(72)을 소정의 피치로 연속하여 형성한 후에, 절단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날개부(71)와 윙렛(72)을 연속하여 형성한 후에, 절단하여 평판 핀(70)을 제조하면, 제조 효율이 상승하는 동시에, 단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열관(80)을 2열 배치하는 평판 핀과 전열관(80)을 3열 이상의 복수열 배치하는 평판 핀을 절단하는 방법을 바꾸는 것만으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개별적으로 금형 등의 치구를 준비할 필요가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는 송풍 속도가 저속인 열교환기에 유용하며, 특히, 자동 판매기, 쇼케이스 등에 적용하는 핀 앤드 튜브형의 열교환기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열교환기의 평판 핀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평판 핀을 적층한 열교환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평판 핀에 발생한 세로 소용돌이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평판 핀에 발생한 세로 소용돌이와 전열관 주위에 발생하는 말굽 소용돌이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윙렛의 작용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평판 핀에 발생한 세로 소용돌이, 전열관 주위에 발생하는 말굽 소용돌이와, 제1 윙렛의 작용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 윙렛의 작용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열교환기의 평판 핀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한 평판 핀을 적층한 열교환기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한 평판 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열교환기의 평판 핀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평판 핀을 적층한 열교환기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열교환기의 평판 핀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한 평판 핀을 적층한 열교환기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열교환기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열교환기의 평판 핀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평판 핀
11: 날개부
12: 제1 윙렛
13: 제2 윙렛
20: 전열관
30: 평판 핀
31: 날개부
32: 윙렛
40: 전열관
50: 평판 핀
51: 날개부
52: 윙렛
60: 전열관
70: 평판 핀
71: 날개부
72: 윙렛
80: 전열관
H: 말굽형태 소용돌이
S: 세로 소용돌이
α: 영각
β: 경사각
γ: 경사각

Claims (4)

  1.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평판 핀과, 상기 평판 핀을 관통하여 내부를 냉매가 통과하는 전열관을 구비하고, 상기 평판 핀의 전방 가장자리측에서 상호간을 통과하는 공기와의 사이에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전열관의 송풍 방향 전방에, 기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해서 점차 폭이 좁아지고, 통과하는 공기에 세로 소용돌이를 발생시키는 날개부를 평판 핀으로부터 잘라 일으켜 형성하는 한편,
    전열관의 송풍 방향 후방에, 평판 핀으로부터 잘라 일으킨 윙렛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전열관 후류의 축류 성분과 동조하는 선회 성분을 생성하는 형태로 상기 윙렛의 경사각을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3. 제1항에 있어서, 통과하는 공기의 편향 성분과 선회 성분이 동조하는 형태로 송풍 방향 최후열의 전열관의 송풍 방향 후방에 형성한 윙렛의 경사각을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 핀은 상기 날개부와 상기 윙렛을 소정의 피치로 연속하여 형성한 박판으로부터 절단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KR1020050004951A 2004-01-23 2005-01-19 열교환기 KR1006707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16271A JP4254556B2 (ja) 2004-01-23 2004-01-23 熱交換器
JPJP-P-2004-00016271 2004-0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6815A true KR20050076815A (ko) 2005-07-28
KR100670717B1 KR100670717B1 (ko) 2007-01-19

Family

ID=34879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4951A KR100670717B1 (ko) 2004-01-23 2005-01-19 열교환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254556B2 (ko)
KR (1) KR100670717B1 (ko)
CN (2) CN10133425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5429B2 (ja) * 2008-05-26 2011-09-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
JP2012007778A (ja) * 2010-06-23 2012-01-12 Komatsu Ltd 熱交換器
JP5111571B2 (ja) * 2010-08-09 2013-01-09 三菱電機株式会社 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及びこの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を用いた冷凍サイクル装置
CN102141353B (zh) * 2011-03-25 2012-08-15 兰州交通大学 组合式圆管管翅换热器
CN102109289B (zh) * 2011-03-25 2012-08-15 兰州交通大学 圆管管翅换热器
CN102109282A (zh) * 2011-03-25 2011-06-29 兰州交通大学 每扁管四个平面涡产生器式扁管管翅换热器
CN102200405B (zh) * 2011-03-25 2012-12-05 兰州交通大学 组合式三角形曲面涡产生器式圆管管翅换热器
JP5345189B2 (ja) * 2011-08-26 2013-11-20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及びこの熱交換器を備えた空気調和機
CN102878664B (zh) * 2012-10-26 2015-02-04 湖北靛蓝科技有限公司 机房精密空调及其一体式换热器
CN104265384A (zh) * 2014-08-12 2015-01-07 东南大学 用纵向涡克服非共沸工质传热恶化的有机朗肯循环装置
CN105600211B (zh) * 2016-01-15 2018-02-06 南京北大工道创新有限公司 一种适用于运动液体贮箱的肋板式防晃装置
US10378835B2 (en) * 2016-03-25 2019-08-13 Unison Industries, Llc Heat exchanger with non-orthogonal perforations
CN106595368A (zh) * 2016-11-29 2017-04-26 国电南京自动化股份有限公司 一种翅片管换热器
CN107702579A (zh) * 2017-08-14 2018-02-16 茂名重力石化装备股份公司 一种带匀流盖的钉头管及具有其的加热炉
CN107702583A (zh) * 2017-08-14 2018-02-16 茂名重力石化装备股份公司 一种带匀流盖的翅片管及具有其的加热炉
KR101912561B1 (ko) * 2018-03-29 2018-10-26 안희성 건조 효율이 우수한 에너지 절감형 건조 장치
CN110230942A (zh) * 2019-05-29 2019-09-13 浙江大学衢州研究院 一种新型三角开窗式换热器翅片
CN110230941A (zh) * 2019-05-29 2019-09-13 浙江大学衢州研究院 对称弧形开窗式换热器翅片
TWI801732B (zh) * 2020-04-13 2023-05-11 國立成功大學 換熱模組及換熱方法
KR102232484B1 (ko) * 2020-06-26 2021-03-26 신용준 세탁물 건조기의 열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폐열 회수방법
CN112066776A (zh) * 2020-08-04 2020-12-11 西安交通大学 一种用于空调换热器的仿生开缝波纹翅片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75190A (en) * 1978-12-04 1980-06-06 Matsushita Refrig Co Heat-exchanger
US4787442A (en) * 1987-12-04 1988-11-29 Carrier Corporation Delta wing and ramp wing enhanced plate fin
KR0136066Y1 (ko) * 1995-12-19 1999-03-20 김광호 핀형 열교환기의 열교환판구조
KR970044848A (ko) * 1995-12-20 1997-07-26 전성원 과속 주행 중 연료 차단후 재 분사시 쇼크 방지장치
JP3430921B2 (ja) * 1997-10-03 2003-07-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熱交換器
JPH11108575A (ja) * 1997-10-03 1999-04-23 Hitachi Ltd ウイングレット付き熱交換器
JPH11281279A (ja) * 1998-03-26 1999-10-15 Sharp Corp 熱交換器
CN2474980Y (zh) * 2001-02-28 2002-01-30 天津大学 强化传热或冷却的翼型纵向涡旋发生元
JP4115390B2 (ja) * 2001-08-10 2008-07-09 よこはまティーエルオー株式会社 伝熱装置
JP4196703B2 (ja) * 2003-03-13 2008-12-17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熱交換器
KR200346624Y1 (ko) * 2004-01-13 2004-04-01 주식회사 한국번디 응축기용 방열핀
JP4400244B2 (ja) * 2004-02-19 2010-01-20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熱交換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54556B2 (ja) 2009-04-15
CN1645028A (zh) 2005-07-27
JP2005207688A (ja) 2005-08-04
CN100458345C (zh) 2009-02-04
CN101334252A (zh) 2008-12-31
KR100670717B1 (ko) 2007-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0717B1 (ko) 열교환기
US4860822A (en) Lanced sine-wave heat exchanger
US20100243226A1 (en) Fin for heat exchanger and heat exchanger using the fin
JP4022250B2 (ja) 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
JPS616595A (ja) 伝熱管及びその製造方法
JP4775429B2 (ja) 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
WO2013157212A1 (ja) フィンチューブ熱交換器
JP4671404B2 (ja) フィンチューブ式熱交換器
JP2006078035A (ja) 熱交換装置
JP2012017875A (ja) コルゲートフィン型蒸発器
JP4876660B2 (ja) フィン付き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機
JP2006349208A (ja) 熱交換器
JP2004263881A (ja) 伝熱フィン、熱交換器、カーエアコン用エバポレータ及びコンデンサ
JP3938109B2 (ja) フィン付き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4196857B2 (ja) 熱交換器および伝熱部材
CN212620242U (zh) 一种带波浪状飞翼的散热管结构
JP4400244B2 (ja) 熱交換器
JP4196703B2 (ja) 熱交換器
JP4690605B2 (ja) コルゲートフィン型熱交換器
JPS6346357B2 (ko)
JP2008249298A (ja) 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
JPH02242092A (ja) 熱交換器
JPH0763490A (ja) プレートフィンアンドチューブ型熱交換器
JPS60194292A (ja) フイン付熱交換器
JPH01181093A (ja) フィン付熱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