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561B1 - 건조 효율이 우수한 에너지 절감형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건조 효율이 우수한 에너지 절감형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561B1
KR101912561B1 KR1020180036389A KR20180036389A KR101912561B1 KR 101912561 B1 KR101912561 B1 KR 101912561B1 KR 1020180036389 A KR1020180036389 A KR 1020180036389A KR 20180036389 A KR20180036389 A KR 20180036389A KR 101912561 B1 KR101912561 B1 KR 101912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pipe
drum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희성
Original Assignee
안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희성 filed Critical 안희성
Priority to KR1020180036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5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을 통과한 건조 열풍을 열교환에 이용하여 흡입된 공기를 예열하고, 배출되는 폐열을 재이용함으로써 공기 가열에 따른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으로, 건조하우징에 장착되고, 둘레면을 따라 다수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며, 내부에 건조대상물이 투입되어 건조가 이루어지는 원통형 드럼; 건조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되어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생성하는 히터부; 배출통로관이 직립되어 유출구와 연통 형성되고 배출통로관의 상부에 상부배출관이 연결되는 배출부; 배출부의 일측에 직립 형성되고 흡입팬이 설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부; 공기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가이드부; 및 배출통로관의 내부를 수평으로 가로질러 복수 개의 히트파이프가 다층으로 배치되고, 배출부를 통해 상향 이동하는 열풍에 의해 가열된 히트파이프가 공기흡입부에서 이동하는 공기를 예열시키는 예열부를 포함하는 건조 효율이 우수한 에너지 절감형 건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조 효율이 우수한 에너지 절감형 건조 장치{ENERGY SAVING DRYING APPARATUS HAVING EXCELLENT DRYING EFFICIENCY}
본 발명은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럼을 통과한 건조 열풍을 열교환에 이용하여 흡입된 공기를 예열하고, 배출되는 폐열을 재이용함으로써 공기 가열에 따른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건조 효율이 우수한 에너지 절감형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 장치의 시장은 크게 가정용 건조 장치와 산업용 건조 장치로 구분되고, 가정용 건조 장치는 세탁, 탈수 및 건조를 한번에 처리할 수 있는 드럼 세탁 장치와, 건조 기능만 갖는 건조 장치로 출시되며, 산업용 건조 장치는 대부분 건조 기능만을 갖는 제품으로 출시되고 있다.
산업용 건조 장치는 1회 최대 건조량 규모에 따라 소형 산업용과 대형 산업용으로 구분되고, 소형 산업용 건조 장치의 경우 처리량 기준으로 약 15~25kg 정도의 건조대상물을 처리하고, 대형 산업용 건조 장치의 경우 1회 50kg 이상을 처리할 수 있으며, 50kg, 100kg, 120kg형으로 출시되고 있다. 또한 소형 산업용 건조 장치는 주로 세탁소나 코인형 세탁점에서 사용되고, 대형 산업용 건조 장치는 대규모 세탁 공장이나 산업용 건조대상물의 건조에 사용된다. 이 중에 120kg형 이상의 특대형급 산업용 건조 장치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고, 국내 개발은 미흡한 상태이며, 수입품의 대부분은 건조 속도만을 강조하고 있어 에너지가 낭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 특허문헌 1에는 건조 행정시 순환되는 공기의 습도와 온도를 확인하여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세탁물의 건조 효과를 향상시키고, 드럼 내부의 건조용 공기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 순환덕트를 순환하는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센서, 공기유동경로 상으로 온도센서와 습도센서 사이에 설치되며 습도센서와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신호를 기초로 드럼 내부에서 순환되는 공기유동 및 드럼 내부로 외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유동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외기순환식 건조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은 드럼 내부에서 순환되는 공기유동 및 드럼 내부로 외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동시에 온도와 습도를 연동하여 측정함으로써 순환되는 건조공기의 습도와 온도를 최적화하여 세탁기의 건조 효과가 향상되도록 한 것이나, 공기를 재사용할 경우 습기가 다량 포함되어 있어 이를 건조히터로 증발시켜 공급하는 경우 에너지가 소비되고, 외부의 공기 유입시 예열되지 않아서 일정 온도까기 건조히터로 가열해야 하므로 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01995호(2005.07.25.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드럼을 통과한 건조 열풍을 열교환에 이용하여 흡입된 공기를 충분히 예열하고, 배출되는 폐열을 재이용하여 공기 가열에 따른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공기 중 수분을 제거하고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열풍을 고루 분사하여 건조 효율이 우수하며, 공기 중 먼지를 제거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건조 효율이 우수한 에너지 절감형 건조 장치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 유출구가 형성된 건조하우징에 장착되고, 둘레면을 따라 다수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며, 내부에 건조대상물이 투입되어 건조가 이루어지는 원통형 드럼; 상기 건조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되어 유입구와 연통 형성되고, 히터가 공기흡입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생성하며, 송풍팬이 설치되어 상기 드럼에 열풍을 가하는 히터부; 상기 건조하우징의 상부에 배출통로관이 직립되어 유출구와 연통 형성되고, 배출통로관의 상부에 일측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상부배출관이 연결되며, 상부배출관의 상단부에 배출팬이 설치되어 상기 드럼을 거쳐 유출구로 유출된 열풍이 상향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부; 상기 배출부의 일측에 직립 형성되고, 상단부에 흡입팬이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하향 이동하도록 하는 공기흡입부; 상기 공기흡입부의 하부에 상기 건조하우징과 이격 배치되어 상기 히터부와 하부에서 연결되고, 상기 공기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배출통로관의 내부를 수평으로 가로질러 복수 개의 히트파이프가 다층으로 배치되고, 상기 히트파이프의 일단부가 상기 배출부와 공기흡입부를 관통하여 공기흡입부에 위치하며, 상기 히트파이프는 "∧" 형상으로 구부러진 곡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부를 통해 상향 이동하는 열풍에 의해 가열된 히트파이프가 상기 공기흡입부에서 하향 이동하는 공기를 예열시키는 예열부를 포함하는 건조 효율이 우수한 에너지 절감형 건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드럼을 통과한 건조 열풍을 열교환에 이용하여 흡입된 공기를 충분히 예열하고, 배출되는 폐열을 재이용하여 공기 가열에 따른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공기 중 수분을 제거하고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열풍을 고루 분사하여 건조 효율이 우수하며, 공기 중 먼지를 제거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건조 효율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과 드럼회전부의 구성을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수평유도판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장치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수직유도판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회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분제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풍공급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제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조 효율이 우수한 에너지 절감형 건조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 효율이 우수한 에너지 절감형 건조 장치는 드럼을 통과한 건조 열풍을 열교환에 이용하여 흡입된 공기를 예열하고, 배출되는 폐열을 재이용함으로써 공기 가열에 따른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으로, 도 1을 참고하면 드럼(100), 히터부(200), 배출부(300), 공기흡입부(400), 가이드부(500), 예열부(600), 드럼회전부(700), 수분제거부(800), 및 회수부(90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드럼(100)은 하부에 유입구(111)가 형성되고 상부에 유출구(112)가 형성된 건조하우징(110)의 내부에 장착되고,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둘레면을 따라 다수의 통공(120)이 형성되고, 내부에 세탁물 등의 건조대상물이 투입되어 건조가 이루어진다. 상기 드럼(100)은 외주면 둘레를 따라 다수의 치가 형성된 링 형상의 구동링(130)이 결합되고, 상기 구동링(130)의 전·후방에는 각각 치가 형성되지 않은 종동링(140)이 결합된다. 상기 드럼(100)의 일측에는 작동모터(151)가 모터하우징에 내장되고, 작동모터(151)의 작동축(152)에 구동풀리(153)가 연결되어 회전 구동되며, 구동풀리(153)에는 벨트(154) 등의 연결수단이 체결된다.
상기 히터부(200)는 건조하우징(110)의 하부에 이격되어 히터(210)가 설치되고, 유입구(111)와 연통 형성되며, 히터(210)가 공기흡입부(400)에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생성하고, 히터(210)의 일측에는 송풍팬(220)이 설치되어 드럼(100)에 열풍을 가하게 되며, 히터(210)에 앞서 필터(225)가 설치되어 유입된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히터부(200)의 상측에 열풍공급부(230)가 히터부(200)와 연결 설치된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고하면 상기 열풍공급부(230)는, 복수 개의 중공관인 공급샤프트(231)가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히터부에 의해 가열된 열풍이 공급샤프트(231)의 하부 슬릿(231a)을 통해 내부로 공급되고, 공급샤프트(231)는 복수 개의 분지관(232)이 상측을 향해 연통 형성되어 열풍이 분지된다. 분지관(232)의 내부에는 이동관(233)의 일부가 삽입된 채 열풍의 압력에 의해 분지관(232)의 내외로 승강하여 인출입되고, 이동관(233)의 내부로 열풍이 유입되어 통과한다. 이를 위하여, 원판 형상의 이동판(234)이 이동관(233)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분지관(232)의 내주면에 밀착된 채 이동관(233)과 함께 이동하고 이동판(234)의 중앙에는 유입공이 관통 형성되어 열풍이 내부로 유입된다. 이동판(234) 상측의 이동관(233)의 외주면에는 스프링(235)이 개재되어 열풍의 압력에 의해 신축되어 이동관(233)의 승강에 조력하고, 드럼(100)의 회전속도에 따라 이동관(233)의 승강을 조절하여 드럼(100)과의 거리를 알맞게 유지함으로써 건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드럼(100)의 회전속도를 느리게 운용하는 경우 송풍팬(220)의 송풍력을 낮추어 이동관(233)이 드럼(100)과 먼 거리를 유지하게 한 상태에서 열풍이 통공(120)으로 고르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건조 대상물을 고르게 건조시킬 수 있고, 드럼(100)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운용하는 경우 송풍팬(220)의 송풍력을 증가시켜 이동관(233)이 드럼(100)에 근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열풍이 통공(120)으로 신속하게 유입되어 건조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동관(233)의 상단부에 분무노즐(236)이 형성되어 열풍을 여러 방향으로 고르게 분사하여 드럼(100)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120)들을 통해 열풍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유입시켜 건조 시간이 감소하고, 건조 효율이 증대된다.
더불어, 상기 분무노즐(236)은 중앙에 중앙노즐(236a)이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상측을 향해 직경이 점점 작아진 경사면을 따라 복수 개의 측면노즐(236b)이 형성되며, 열풍이 여러 방향으로 고루 분무되어 건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배출부(300)는 건조하우징(110)의 상측에 형성되어 드럼(100)을 통과하여 건조대상물을 건조한 열풍이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배출부(300)는 하부에는 배출통로관(310)이 직립된 상태로 유출구(112)와 연통 형성되어 드럼(100)을 거쳐 유출구(112)로 유출된 열풍이 상향 통과하고, 상부에는 상부배출관(320)이 배출통로관(310)과 연결된 채 일측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공기흡입부(400)와의 간섭이 배제되며, 상부배출관(320)의 상단부에는 배출팬(321)이 설치되어 배출통로관(310)을 통과한 열풍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때, 도 3a를 참고하면 상기 배출통로관(310)은 히트파이프(610)의 하측에 내주면을 따라 다수의 열을 이루도록 복수개의 수평유도판(311)이 내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결합되고, 수평유도판(311)은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승하는 열풍에 대한 선회류를 발생시켜 히트파이프(610)와의 접촉율이 증대되어 열풍의 히트파이프(610)에 대한 열전달률이 향상된다. 더불어, 도 3b를 참고하면 상기 배출통로관(310)은 히트파이프(610)의 상측에 내주면을 따라 다수의 열을 이루도록 복수 개의 수직유도판(312)이 내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결합되고, 수직유도판(312)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히트파이프(610)를 거친 후 상승하는 열풍의 선회류 흐름을 해소시켜서 외부로 배기된 공기가 하측으로 말려들어가 하강하는 다운드래프트 현상을 방지하여 부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배출관(320)의 끝단에는 배기관(330)이 연결되고, 배기관(330)에는 먼지제거장치(340)가 설치되어 외부로 배출될 공기에 건조 과정에서 포함된 먼지를 제거한다. 이를 위하여 도 8a 및 도 8b를 참고하면 먼지제거장치(340)는, "∧" 형상이 단수 또는 복수 회 반복하여 이루어진 복수 개의 절곡판(341)이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이격된 채 다층으로 배치되고, 복수 개의 절곡판(341)은 양측에 직립 방향으로 배치된 연결바(342)에 체결되며, 공기가 절곡판(341)을 통과하여 위 아래로 충돌하면서 공기 속에 포함된 먼지가 절곡판에 부착되어 필터링된다.
상기 공기흡입부(400)는 상기 배출부(300)의 일측에 직립 형성되고, 상부에 폭이 점점 작아지도록 경사벽(440)이 형성되며, 그 상단부에 흡입팬(410)이 설치되어 외부 공기가 흡입되어 하향 이동하여 통과한다. 상기 경사벽(440)의 하측에 수분제거부(800)가 형성되어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할 수 있으며, 수분제거부(800)의 상세 구성은 후술한다.
또한, 상기 공기흡입부(400)는 히트파이프(610)의 상측에 내주면을 따라 다수의 열을 이루도록 복수개의 수평유도판(420)이 내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결합되고, 수평유도판(420)은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하강하는 공기에 대한 선회류를 발생시켜 히트파이프(610)와의 접촉율이 증대되어 유입된 공기에 대한 예열율이 증가된다. 더불어, 상기 공기흡입부(400)는 히트파이프(610)의 하측에 내주면을 따라 다수의 열을 이루도록 복수 개의 수직유도판(430)이 내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결합되고, 수직유도판(430)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히트파이프(610)를 거친 후 하강하는 공기의 선회류 흐름을 해소시켜서 히터부(200)로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부(500)는 공기흡입부(400)의 하부에 연통 형성되고, 건조하우징(110)과 일측으로 이격 배치되며, 그 하부가 히터부(200)와 연결되어 공기흡입부(400)에서 예열된 공기를 히터부(200)로 가이드한다.
상기 예열부(600)는 배출통로관(310)의 내부를 수평으로 가로질러 복수 개의 히트파이프(610)가 다층으로 배치되고, 히트파이프(610)는 배출부(300)와 공기흡입부(400) 사이의 구획벽을 관통하여 그 일단부가 공기흡입부(400) 내부의 공간에 위치함으로써, 배출부(300)에서 상향 이동하는 열풍에 의해 가열된 히트파이프(610)가 공기흡입부(400)에서 하향 이동하는 공기를 예열시켜서 가이드부(500)를 거쳐 히터부(200)로 유입되므로 공기 가열에 따른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이때, 히트파이프(610)는 "∧" 형상으로 구부러진 곡관으로 이루어진다. 즉, 배출부(300)와 공기흡입부(400) 사이의 구획벽을 기준으로 "∧" 형상으로 구부러져 배출부(300)에서는 열풍과의 접촉률이 증가되고, 공기흡입부(400)에서는 내부로 유입된 공기와의 접촉율이 증가되어, 히트파이프에 대한 열전단률 및 공기의 예열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 상기 드럼회전부(700)는 드럼(100)의 하부 양측에 각각 회전봉(710)이 설치되어 드럼(100)을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작동부(150)를 통해 드럼(1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회전봉(710)의 양단에는 베어링(711)이 지지판(712)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드럼회전부(700)는 일측에 구비된 회전봉(710)에 종동풀리(720)가 결합되고, 종동풀리(720)는 구동풀리(153)와 벨트(154)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종동풀리(720)가 회전하면 종동풀리(720)가 결합된 일측의 회전봉(710)도 회전하고, 일측의 회전봉(710)에 결합된 구동기어(730)가 회전하며, 구동기어(730)는 구동링(130)과 치합되어 드럼(100)을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구동링(130)과 치합된 타측의 구동기어(730)도 회전하며, 곧 타측의 회전봉(710)도 회전하면서 양측에서 드럼(100)의 원활한 회전을 가이드한다. 더불어, 양측에 각각 설치된 회전봉(710)에 결합된 종동롤러(740)가 종동링(140)과 연결되어 드럼(100)의 안정적인 회전을 안내하게 된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수분제거부(800)는 히트파이프(610) 상측의 공기흡입부(400)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흡입부(400)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한다. 공기에 수분이 많이 포함된 경우 예열부(600)의 예열 효과가 떨어지고, 히터(210)의 에너지가 많이 소모되므로 수분제거부(800)를 통해 미리 제거시킨 예열된 건조 공기를 히터부(200)로 공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분제거부(800)는 여러번 절곡된 복수 개의 절곡판(810)들을 직립 상태로 이격시켜 상기 공기흡입부(400)의 내측면에 고정된 상·하부 고정바(820,830)에 연결하여 배치한다. 상기 절곡판(810)은, 일측으로 돌출된 직립판 형상의 돌부(811)와, 타측으로 돌출된 직립판 형상의 홈부(812)와, 돌부(811)와 홈부(812)를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하거나, 돌부(811)와 결합부(840), 홈부(812)와 결합부(840)를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하는 대각선판 형상의 접속부(813), 및 상·하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하부 고정바(820,830)에 체결되는 직립판 형상의 결합부(84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수분제거부(800)는 직립판과 대각선판의 형태가 교번 연결 형성됨으로써 공기는 하측으로 안내되어 통과되면서 충돌 또는 부착을 통해 수분을 차단시켜 제거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고하면 상기 회수부(900)는, 회수관(910)이 상부배출관(320)과 경사벽(440) 사이를 연결하여 상부배출관(320)을 통해 배기관(330)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회수할 수 있고, 회수관(910)의 내부에는 개폐밸브가 설치되어 공기의 회수를 조절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회수관(910)의 일단부에 연통되도록 송풍하우징(920)이 연결되고, 송풍하우징(920)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921)과, 유입된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홀이 형성되며, 송풍하우징(920)의 내부에는 전원을 공급받아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흡입부(400)를 향해 송풍시키는 송풍팬(930)이 내장되고, 유출홀에는 급기모듈(940)이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상기 급기모듈(940)은 유출홀에 삽입 결합되어 송풍된 공기가 수집관(942)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는 인입구(941)와, 인입구(941)로 유입된 공기가 모이는 수집관(942) 및 수집관(942)에 복수 개가 분기되도록 연결되어 송풍 공기가 여러 방향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분기관(9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회수된 공기에 포함된 수분은 상기 수분제거부(800)를 통과하면서 제거된다. 이로써 폐열을 함유하고 있는 배출 공기를 공기흡입부(400)로 회수하여 재이용함으로써 공기 가열에 따른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건조 효율이 우수한 에너지 절감형 건조 장치는, 드럼을 통과한 건조 열풍을 열교환에 이용하여 흡입된 공기를 충분히 예열하고, 배출되는 폐열을 재이용하여 공기 가열에 따른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공기 중 수분을 제거하고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열풍을 고루 분사하여 건조 효율이 우수하며, 공기 중 먼지를 제거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건조 효율이 우수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00. 드럼 110. 건조하우징
111. 유입구 112. 유출구
120. 통공 130. 구동링
140. 종동링 150. 작동부
151. 작동모터 152. 작동축
153. 구동풀리 154. 벨트
200. 히터부 210. 히터
220. 송풍팬 230. 열풍공급부
231. 공급샤프트 232. 분지관
233. 이동관 234. 이동판
235. 스프링 236. 분무노즐
300. 배출부 310. 배출통로관
311. 수평유도판 312. 수직유도판
320. 상부배출관 321. 배출팬
330. 배기관 340. 먼지제거장치
341. 절곡판 342. 연결바
400. 공기흡입부 410. 흡입팬
420. 수평유도판 430. 수직유도판
500. 가이드부 600. 예열부
610. 히트파이프 700. 드럼회전부
710. 회전봉 711. 베어링
712. 지지판 720. 종동풀리
730. 구동기어 740. 종동롤러
800. 수분제거부 810. 절곡판
811. 돌부 812. 홈부
813. 접속부 820. 상부 고정바
830. 하부 고정바 840. 결합부
900. 회수부 910. 회수관
920. 송풍하우징 921. 유입홀
930. 송풍팬 940. 급기모듈
941. 인입구 942. 수집관
943. 분기관

Claims (8)

  1. 하부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 유출구가 형성된 건조하우징에 장착되고, 둘레면을 따라 다수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며, 내부에 건조대상물이 투입되어 건조가 이루어지는 원통형 드럼; 상기 건조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되어 유입구와 연통 형성되고, 히터가 공기흡입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생성하며, 송풍팬이 설치되어 상기 드럼에 열풍을 가하는 히터부; 상기 건조하우징의 상부에 배출통로관이 직립되어 유출구와 연통 형성되고, 배출통로관의 상부에 일측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상부배출관이 연결되며, 상부배출관의 상단부에 배출팬이 설치되어 상기 드럼을 거쳐 유출구로 유출된 열풍이 상향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부; 상기 배출부의 일측에 직립 형성되고, 상단부에 흡입팬이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하향 이동하도록 하는 공기흡입부; 상기 공기흡입부의 하부에 상기 건조하우징과 이격 배치되어 상기 히터부와 하부에서 연결되고, 상기 공기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배출통로관의 내부를 수평으로 가로질러 복수 개의 히트파이프가 다층으로 배치되고, 상기 히트파이프의 일단부가 상기 배출부와 공기흡입부를 관통하여 공기흡입부에 위치하며, 상기 히트파이프는 "∧" 형상으로 구부러진 곡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부를 통해 상향 이동하는 열풍에 의해 가열된 히트파이프가 상기 공기흡입부에서 하향 이동하는 공기를 예열시키는 예열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통로관은 상기 히트파이프의 하측에 내주면을 따라 다수의 열을 이루도록 복수개의 수평유도판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수평유도판은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승하는 열풍에 대한 선회류를 발생시켜 히트파이프에 대한 열전달률을 증가시키고, 상기 배출통로관은 상기 히트파이프의 상측에 내주면을 따라 다수의 열을 이루도록 복수 개의 수직유도판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수직유도판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승하는 열풍의 선회류 흐름을 해소시키며,
    상기 공기흡입부는 상기 히트파이프의 상측에 내주면을 따라 다수의 열을 이루도록 복수개의 수평유도판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수평유도판은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하강하는 공기에 대한 선회류를 발생시켜 히트파이프에 의한 예열율을 증가시키고, 상기 공기흡입부는 상기 히트파이프의 하측에 내주면을 따라 다수의 열을 이루도록 복수 개의 수직유도판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수직유도판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하강하는 공기의 선회류 흐름을 해소시키며,
    상기 드럼의 외주면 둘레에는, 다수의 치가 형성된 구동링이 결합되고, 상기 구동링의 전·후방에 각각 치가 형성되지 않은 종동링이 결합되며, 상기 드럼의 일측에 배치된 작동모터와, 작동모터의 작동축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되는 구동풀리가 구비된 작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럼의 하부 양측에 각각 설치된 회전봉과, 일측에 구비된 상기 회전봉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풀리와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하는 종동풀리와, 양측에 각각 설치된 회전봉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링과 연결되어 상기 드럼에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와, 양측에 각각 설치된 회전봉에 결합되고 상기 종동링과 연결되어 상기 드럼의 회전을 안내하는 종동롤러를 포함하는 드럼회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히트파이프 상측의 공기흡입부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가 통과하면서 수분을 제거시키는 수분제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분제거부는 여러번 절곡된 복수 개의 절곡판들을 직립 상태로 이격시켜 상기 공기흡입부의 내측면에 고정된 상·하부 고정바에 연결하여 배치하되, 상기 절곡판은, 일측으로 돌출된 직립판 형상의 돌부와, 타측으로 돌출된 직립판 형상의 홈부와, 돌부와 홈부를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하거나, 돌부와 결합부, 홈부와 결합부를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하는 대각선판 형상의 접속부, 및 상·하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하부 고정바에 체결되는 직립판 형상의 결합부로 이루어지며, 직립판과 대각선판이 교번 연결 형성됨으로써 공기는 하측으로 안내되어 통과되고 수분은 충돌 또는 부착을 통해 차단시켜 제거하고,
    상기 상부배출관과 공기흡입부 상부의 경사벽 사이를 연결하여 배출되는 공기를 회수하는 회수관과, 상기 회수관의 일단부에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과 유입된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홀이 형성된 송풍하우징과, 송풍하우징에 내장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유출홀에 연통되도록 연결된 급기모듈로 이루어진 회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급기모듈은 상기 유출홀에 삽입 결합되어 송풍된 공기가 수집관 내부로 인입되는 인입구, 상기 인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모이는 수집관, 및 상기 수집관에 복수 개가 분기되도록 연결되어 송풍 공기가 여러 방향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분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히터부의 상측에 열풍공급부가 연결 설치되되, 상기 열풍공급부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히터부에 의해 가열된 열풍이 공급되는 공급샤프트와, 상기 공급샤프트에 상측을 향해 연통 형성되어 열풍이 통과하는 복수 개의 분지관과, 열풍의 압력에 의해 분지관의 내외로 승강하고 내부에 열풍이 통과되는 이동관과, 상기 이동관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분지관의 내주면에 밀착된 채 함께 이동하고 중앙에 유입공이 관통 형성된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 상측의 이동관의 외주면에 개재되어 열풍의 압력에 의해 신축되는 스프링과, 상기 이동관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열풍을 여러 방향으로 분사하는 분무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배출관에 배기관이 연결되고, 상기 배기관에는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제거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먼지제거장치는, "∧" 형상이 단수 또는 복수 회 이루어진 복수 개의 절곡판들이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이격된 채 다층으로 배치되어 양측에 직립 방향으로 배치된 연결바에 체결되어 먼지를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효율이 우수한 에너지 절감형 건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0036389A 2018-03-29 2018-03-29 건조 효율이 우수한 에너지 절감형 건조 장치 KR101912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389A KR101912561B1 (ko) 2018-03-29 2018-03-29 건조 효율이 우수한 에너지 절감형 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389A KR101912561B1 (ko) 2018-03-29 2018-03-29 건조 효율이 우수한 에너지 절감형 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2561B1 true KR101912561B1 (ko) 2018-10-26

Family

ID=64099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389A KR101912561B1 (ko) 2018-03-29 2018-03-29 건조 효율이 우수한 에너지 절감형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5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484B1 (ko) * 2020-06-26 2021-03-26 신용준 세탁물 건조기의 열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폐열 회수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288Y1 (ko) * 2004-08-04 2005-03-11 최규태 실내 공기 정화장치
KR100501995B1 (ko) 2003-12-23 2005-07-2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의 외기 순환식 건조 장치 및 그 방법
KR100603183B1 (ko) * 2004-11-16 2006-07-24 이시방 고추건조기 및 그를 이용한 건조방법
KR20060112749A (ko) * 2005-04-28 2006-11-02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공기 정화용 에어필터
KR100670717B1 (ko) * 2004-01-23 2007-01-19 후지 덴키 리테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열교환기
KR100768740B1 (ko) * 2006-12-28 2007-10-19 상미에어텍 주식회사 습기 제거장치
KR100997696B1 (ko) * 2009-12-22 2010-12-01 조덕규 열회수 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산업용 건조기 및 건조 방법
KR200481915Y1 (ko) * 2016-03-21 2016-11-25 주식회사 중화정밀 신발 건조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995B1 (ko) 2003-12-23 2005-07-2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의 외기 순환식 건조 장치 및 그 방법
KR100670717B1 (ko) * 2004-01-23 2007-01-19 후지 덴키 리테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열교환기
KR200377288Y1 (ko) * 2004-08-04 2005-03-11 최규태 실내 공기 정화장치
KR100603183B1 (ko) * 2004-11-16 2006-07-24 이시방 고추건조기 및 그를 이용한 건조방법
KR20060112749A (ko) * 2005-04-28 2006-11-02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공기 정화용 에어필터
KR100768740B1 (ko) * 2006-12-28 2007-10-19 상미에어텍 주식회사 습기 제거장치
KR100997696B1 (ko) * 2009-12-22 2010-12-01 조덕규 열회수 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산업용 건조기 및 건조 방법
KR200481915Y1 (ko) * 2016-03-21 2016-11-25 주식회사 중화정밀 신발 건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484B1 (ko) * 2020-06-26 2021-03-26 신용준 세탁물 건조기의 열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폐열 회수방법
WO2021261956A1 (ko) * 2020-06-26 2021-12-30 신용준 세탁물 건조기의 열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폐열 회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4067B2 (en) Dehumidifying apparatus for dryer
CN108560165B (zh) 一种纺织清洗烘干装置
CN208232591U (zh) 一种纺织印染用织布印花烘干装置
KR101912561B1 (ko) 건조 효율이 우수한 에너지 절감형 건조 장치
KR100902564B1 (ko) 건조기의 온습도 조절 장치
JP6721244B2 (ja) 乾燥機
CN108826912A (zh) 一种纺织物烘干箱
CN211451719U (zh) 一种面料烘干设备
KR101312399B1 (ko) 히터파이프를 이용한 산업용 건조기의 에너지 절감장치
CN210663609U (zh) 一种工件自动旋转脱水装置
CN208751212U (zh) 一种纺织物烘干箱
CN110067101A (zh) 一种蒸汽余热利用系统
KR101848429B1 (ko) 텐터기의 폐열회수장치
KR101312398B1 (ko) 에너지 절감형 대용량 산업용 건조기의 건조시스템
CN208949578U (zh) 天然气热风烘干式定型机
CN100398720C (zh) 具有烘干功能的家电产品
CN208333032U (zh) 热能烘干机
CN201162144Y (zh) 进风管以及使用该进风管的洗涤设备
CN114570703B (zh) 一种用于服装生产的纽扣自动整理定向送料装置
CN117188072B (zh) 水波绉烘干装置
CN212640892U (zh) 一种针织品加工用快速印染装置
JP2007061411A (ja) 入口温度制御型洗濯物乾燥方法
CN112797754B (zh) 一种回转干燥机及物料干燥方法
CN208853188U (zh) 一种木板表面油漆烘干装置
CN219621463U (zh) 一种自动熨烫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