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6652A -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6652A
KR20050076652A KR1020050004604A KR20050004604A KR20050076652A KR 20050076652 A KR20050076652 A KR 20050076652A KR 1020050004604 A KR1020050004604 A KR 1020050004604A KR 20050004604 A KR20050004604 A KR 20050004604A KR 20050076652 A KR20050076652 A KR 20050076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receptacle
cylindrical
coaxial cable
outer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4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8765B1 (ko
Inventor
타카유키나가타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6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6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8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87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대 커넥터인 리셉터클과의 끼워맞춤 시, 불안정한 상태에서의 끼워맞춤에 의해서 외부도체의 슬릿이 붙어 있는 원통부분이 변형되거나, 잘못 끼워맞춤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축(同軸)케이블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 것이며, 그 해결수단에 있어서, 동축케이블 커넥터는, 동축케이블(1)의 중심도체(1a)가 접속되는 콘택트(3), 상기 콘택트(3)를 내장하는 절연보디(4), 상기 절연보디(4)의 외부쪽에 고리형상 공간(12)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슬릿(6a)이 붙어 있는 통형상부(6)를 가지며 상기 동축케이블(1)의 바깥둘레 도체(1c)가 접속되는 외부도체(5)를 구비하고, 상기 슬릿(6a)이 붙어 있는 통형상부(6)의 선단부보다도 상기 절연보디(4)의 선단부 면(4e)을 꽂는 방향으로 돌출시킨다. 또 상기 통형상부(6)가 인접하는 2개의 슬릿(6a)에 리셉터클(13)의 원통형상의 외부도체(17)를 끼워 넣으려고 할 때의 최소의 끼워 넣는 범위에, 꽂는 방향에서 봐서 상기 절연보디(4)의 선단부 면(4e)을 존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동축케이블용 커넥터{COAXIAL CABLE CONNECTOR}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의 말단부에 장착하여, 각종 전자기기의 기판 위에 실장되는 상대 커넥터인 리셉터클과 끼워맞춤시키는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즉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기 등 통신기기의 박형ㆍ경량화 및 고밀도화에 대응해서, 리셉터클과의 끼워맞춤 높이를 낮게 억제하고, 그 실장면적도 작게 되는 높이가 낮고 소형인 동축케이블용 커넥터가 있다. 이 커넥터는, 예를 들면, 동축케이블의 인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리셉터클과 끼워맞춤하는 L형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로서 알려져 있고,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가 접속되는 콘택트, 상기 콘택트를 중심부분에 내장하는 대략 원통형상의 절연보디, 상기 절연보디의 외부쪽에 고리형상 공간을 사이에 두고 배치하는 대략 원통형상의 통형상부를 가지며 상기 동축케이블의 바깥둘레 도체가 접속되는 외부도체를 구비하고, 리셉터클에 꽂는 플러그를 구성한다. 커넥터의 원통부분(외부도체의)을 리셉터클의 원통형상의 외부도체의 외부쪽에 끼워맞춤함으로서, 커넥터의 고리형상 공간에 리셉터클의 원통형상의 외부도체를 끼워 넣고, 커넥터와 리셉터클의 외부도체끼리가 접촉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이것과 동시에 커넥터의 절연보디 중심부분에 리셉터클의 축형상의 콘택트가 꽂아지고, 커넥터와 리셉터클의 중심 콘택트끼리가 접촉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의 외부도체의 원통부분은 슬릿이 붙어 있고 복수로 분할되어 있으며, 분할부분이 직경방향으로 탄성변위 가능하게 되어서 스프링 편(片)으로 형성된다. 또 각 스프링 편의 자유단부에 리셉터클의 원통형상의 외부도체의 외경에서 내부쪽으로 내뻗는 접점부분이 형성되고, 리셉터클과의 끼워맞춤 시, 각 스프링 편의 탄성에 의해서 접점부분을 리셉터클의 원통형상의 외부도체 외부면에 가압 부착하고, 리셉터클에 대해서 커넥터를 끼워맞춤 유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중심부분에 콘택트를 내장한 대략 원통형상의 절연보디 외부쪽에 이것과 동심원(同芯円) 상에 복수의 스프링 편(상기 슬릿이 붙어 있는 원통부분)이 배치된 커넥터에서는, 각 스프링 편의 선단부보다도 절연보디의 선단부 면이 오목하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l-43939호 공보
높이가 낮고 소형인 커넥터의 경우, 외부도체의 슬릿이 붙어 있는 통형상부 직경이 수 밀리 정도로 극히 작아서, 리셉터클과의 끼워맞춤은 용이하지 않다. 그 때문에, 커넥터의 슬릿이 붙어 있는 통형상부의 축심과 리셉터클의 원통형상의 외부도체의 축심을 맞춰서 이들을 한 번에 정확하게 끼워맞춤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며, 축심이 어긋난 상태(불안정한 상태)에서 끼워맞춤되는 것은 드문 일은 아니다. 또 커넥터의 외부도체는, 두께 0.2mm 전후의 얇은 판금제이고, 통형상부의 슬릿에 의해 분할되어서 직경방향으로 탄성변위 자재로 형성된 부분, 즉 스프링 편은 특히 변형되기 쉬운 부분으로 된다.
종래의 커넥터는, 절연보디의 선단부 면보다도 각 스프링 편의 선단부가 꽂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를 리셉터클에 끼워맞춤시킬 때에, 불안정한 상태에서 무리하게 꽂으면, 각 스프링 편이 리셉터클의 원통형상의 외부도체와 간섭해서 변형된다. 각 스프링 편이 변형되면 커넥터의 끼워맞춤력이 약해져서 리셉터클로부터 용이하게 빠져 버릴 우려가 있다. 또 커넥터의 통형상부가 인접하는 2개의 슬릿에 리셉터클의 원통형상의 외부도체를 끼워 넣고, 잘못 끼워맞춤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커넥터가 리셉터클에 적정하게 끼워맞춤되어 있다고 잘못 인식한 채로 장착되어 세트가 조립되어서, 특성이 나오지 않게 되는 위험성도 있다.
그런데, 상대 커넥터인 리셉터클과의 끼워맞춤 시, 불안정한 상태에서의 끼워맞춤에 의해서 외부도체의 슬릿이 붙어 있는 원통부분이 변형되거나, 잘못 끼워맞춤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는,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가 접속되는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를 내장하는 절연보디와, 상기 절연보디의 외부쪽에 고리형상 공간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슬릿이 붙어 있는 통형상부를 가지고 상기 동축케이블의 바깥둘레 도체가 접속되는 외부도체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슬릿이 붙어 있는 통형상부의 선단부보다도 상기 절연보디의 선단부 면이 꽂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을 채용한 것에 의해서, 커넥터를 불안정한 상태에서 리셉터클에 끼워맞춤하려고 하면, 슬릿이 붙어 있는 통형상부의 선단부보다도 꽂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절연보디의 선단부 면이 리셉터클의 원통형상의 외부도체와 간섭해서, 그 이상 무리하게 꽂을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슬릿이 붙어 있는 통형상부를 변형시킬 위험이 없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통형상부가 인접하는 2개의 슬릿에 리셉터클의 원통형상의 외부도체를 끼워 넣으려고 할 때의 최소의 끼워 넣는 범위에, 꽂는 방향에서 봐서 상기 절연보디의 선단부 면이 존재한다. 이 구성에 의해서, 커넥터를 불안정한 상태에서 리셉터클에 끼워맞춤하려고 했을 경우에, 상기 통형상부가 인접하는 2개의 슬릿에 리셉터클의 원통형상의 외부도체를 끼워 넣으려고 해도, 그 끼워 넣는 범위에 상기 절연보디의 선단부 면이 존재하고, 끼워 넣기 전에 그 절연보디의 선단부 면이 리셉터클의 원통형상의 외부도체와 간섭해서, 그 이상 무리하게 커넥터를 리셉터클에 꽂을 수 없기 때문에, 커넥터를 불안정한 상태에서 리셉터클에 잘못 끼워맞춤시킬 위험이 없다.
또, 상기 통형상부가 인접하는 2개의 슬릿을 연결하는 직선 상에, 꽂는 방향에서 봐서 상기 절연보디의 선단부 면을 존재시켜도 되고, 이 경우의 절연보디는, 상기 통형상부가 인접하는 2개의 슬릿에 리셉터클의 외부도체의 통형상부를 끼워 넣으려고 할 때의 최소의 끼워 넣는 범위에, 꽂는 방향에서 봐서 선단부 면을 존재시키는 상기 절연보디보다도 직경이 커져서, 상기와 동일한 작용을 발휘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커넥터의 끼워맞춤하지 않은 상태의 측면도, 도 2는 동일 커넥터의 끼워맞춤하지 않은 상태의 단면 측면도, 도 3은 동일 커넥터의 끼워맞춤상태의 단면 측면도, 도 4는 동일 커넥터의 저면도, 도 5는 동일 커넥터의 평면도, 도 6은 동일 커넥터의 절연보디의 변형예를 표시하는 부분확대평면도, 도 7은 동일 커넥터의 외부도체의 단면 측면도이다.
도면 중 1은 동축케이블이며, 중심도체(1a)를 가지고, 그 바깥둘레에 내부 절연피복층(1b)을 형성하는 동시에, 내부 절연피복층(1b)의 바깥둘레에 속이 빈 원통도체, 즉 바깥둘레 도체(1c)를 가지며, 그 바깥둘레를 외부 절연피복층인 케이블 표면의 외피(1d)로 피복되어 있다. 후술하는 커넥터(2)를 장착하는 동축케이블(1)의 말단부는, 중심도체(1a), 이어서 바깥둘레 도체(1c)를 각각 소정길이 노출시키도록, 박피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커넥터(2)는, 동축케이블(1)의 중심도체(1a)와 땜납 접속하는 구리합금 등 금속제의 콘택트(3)와, 콘택트(3)를 포위하도록 이것을 중심부분에 내장하고, 또한 동축케이블(1)을 바깥둘레면으로부터 반지름방향으로 인출하는 단붙이기의 대략 원통형의 수지제 절연보디(4)와, 두께 0.2mm 전후의 구리합금 등 판금제의 외부도체(5)를 구비하고 있다·.
콘택트(3)는, 선단부에 동축케이블(1)의 중심도체(1a)를 땜납 접속하는 결선부(3a)와, 상기 결선부(3a)의 타단부 양쪽 가장자리로부터 대향형상으로 세워 올려서 후술하는 리셉터클(13)의 축형상의 중심 콘택트(15)를 사이에 끼어 들게 해서 접촉시키는 한 쌍의 접촉부(3b、3b)를 가지고 있다.
절연보디(4)는, 상기 콘택트(3)를 수용하는 대략 L형의 속이 빈 부분(4a)을 가지고, 절연보디(4)의 중심부분에 이 축심을 따라서 형성되는 세로방향의 속이 빈 부분(4a)의 단부를, 절연보디(4)의 단부(4b)에서 선단부쪽의 직경이 작은 부분(4c)의 선단부 면(4e) 중심부분에 개구하고, 리셉터클(13)의 축형상의 중심 콘택트(15)를 직경이 작은 부분(4c)의 선단부 면(4e) 중심부분으로부터 세로방향의 속이 빈 부분(4a)에 꽂음으로써, 이 세로방향의 속이 빈 부분(4a)의 양쪽에 배치된 콘택트(3)의 한 쌍의 접촉부분(3b、3b)과 접촉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절연보디(4)의 중심부분으로부터 반지름방향으로 형성되는 가로방향의 속이 빈 부분(4a)의 타단부를, 절연보디(4)의 단부(4b)에서 기단(基端)부쪽의 직경이 큰 부분(4d)의 바깥둘레면에 개구하고, 이 가로방향의 속이 빈 부분(4a)에 배치된 콘택트(3)의 결선부(3a) 선단부에 동축케이블(1)의 중심도체(1a)를 땜납 접속함으로써, 동축케이블(1)을 절연보디(4)의 바깥둘레면으로부터 반지름방향으로 인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외부도체(5)는, 얇은 금속판재를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하고, 그것을 휨가공한 것으로, 대략 원통형의 통형상부(6), 좌우 한 쌍의 케이블 가이드부(7、7), 덮개부(8), 압착 플랜지부(9)를 가지고 있다. 통형상부(6)와 케이블 가이드부(7、7)는, 띠형상 판조각의 중앙부분으로부터 한 쪽의 기초가 되는 부분과 다른 쪽의 기초가 되는 부분을 대략 반원형상으로 만곡시킨 상태에서 대향시키고, 나머지의 단부를 만곡부의 단부로부터 한 방향(반지름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뻗어 나오게 해서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여 대향시키고, 대향하는 대략 반원형상의 만곡부에 의해서 통형상부(6)의 일부가 중간에서 끊어진 원통벽을 형성하는 동시에, 대향하는 직선부분(평행부분)에 의해서 좌우 한 쌍의 케이블 가이드부(7、7)를 형성하고 있다. 이 통형상부(6)에 상기 절연보디(4)가 동심위치에 수용되고, 절연보디(4)의 바깥둘레면으로부터 반지름방향으로 인출하는 동축케이블(1)을 원통벽의 중간에서 끊어진 부분으로부터 좌우의 케이블 가이드부(7、7)의 사이를 통해서 반지름방향으로 인출하는 동시에, 좌우의 케이블 가이드부(7、7)에 의해서 동축케이블(1)의 외피(1a)를 박리한 부분을 좌우 외부쪽으로부터 끼워서 바깥둘레 도체(1c)와 접촉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덮개부(8)는, 통형상부(6)의 리셉터클 삽입구와 반대쪽의 바닥면 개구를 덮어서 막는 평판형상으로 형성되고, 한 쪽에 압착 플랜지부(9)와의 폭이 좁은 연설부(8a)를 가지고 있다. 압착 플랜지부(9)는, 덮개부(8)로부터 연설부(8a)를 거쳐서 연속하는 평탄부(9a)와, 그 평탄부(9a)의 기단부쪽 양쪽 가장자리로부터 선단부로 감에 따라서 맞서는 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형상으로 세워 올리는 좌우 한 쌍의 기초가 되는 부분 코킹 편(9b、9b)과, 상기 평탄부(9a)의 선단부쪽 양쪽 가장자리로부터 선단부로 감에 따라서 맞서는 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형상으로 세워 올리는 좌우 한 쌍의 단부 코킹 편(9c、9c)을 가지고, 덮개부(8)의 한 쪽에 일련으로 형성되어 있다. 압착 플랜지부(9)와 반대쪽의 덮개부(8)의 다른 쪽에는, 통형상부(6)와의 연설부분이며 나중에 굴곡되는 굴곡예정부(8b)를 가지고, 굴곡예정부(8b)를 개재하여 통형상부(6)의 원통벽 중간에서 끊어진 부분과 반대쪽(케이블 인출방향과 반대쪽)의 원통벽 바닥 가장자리에 일련의 덮개부(8)와 압착 플랜지부(9)가 굴곡 자재로 연설되어 있다. 이 일련의 덮개부(8)와 압착 플랜지부(9)는, 도 7의 가상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굴곡예정부(8b)가 신장되어서 통형상부(6)의 바닥면 및 좌우의 케이블 가이드부(7、7)의 바닥면과 수직인 조립 전의 반전개 자세로부터, 도 7의 실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굴곡예정부(8b)에서 굴곡되어서 통형상부(6)의 바닥면 및 좌우의 케이블 가이드부(7、7)의 바닥면을 따르는 조립 자세로 굴곡된다. 이 굴곡에 의해서, 덮개부(8)는 통형상부(6)의 바닥면 개구를 덮어서 막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압착 플랜지부(9)는 이 기초가 되는 부분의 평탄부(9a) 및 기초가 되는 부분 코킹 편(9b、9b)이, 동축케이블(1)을 사이에 통과하여 바깥둘레 도체(1c)와 접촉시키는 좌우의 케이블 가이드부(7、7)를 둘러싸고, 동축케이블(1)에 코킹함으로써 압착 가능하게 되고, 또 단부의 평탄부(9a) 및 좌우의 단부 코킹 편(9c、9c)이, 좌우의 케이블 가이드부(7、7)의 사이로부터 인출되는 동축케이블(1)의 박피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둘러싸고, 동축케이블(1)에 코킹함으로써 압착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외부도체(5)는, 굴곡예정부(8b)로부터 한 쪽의 외부도체(5)의 기초가 되는 부분에 통형상부(6)를, 그 단부에 좌우 한 쌍의 케이블 가이드부(7、7)를 형성하고, 굴곡예정부(8b)로부터 다른 쪽의 외부도체(5)의 기초가 되는 부분에 덮개부(8)를, 그 단부에 압착 플랜지부(9)를 형성하는 것이며, 압착 플랜지부(9)를 형성하는 쪽의 굴곡예정부(8b)로부터 한 쪽의 외부도체(5)에, 통형상부(6)를 형성하는 쪽의 굴곡예정부(8b)로부터 다른 쪽의 외부도체(5)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관통구멍(확인창)(10、10)을 구비하는 동시에, 통형상부(6)를 형성하는 쪽의 굴곡예정부(8b)로부터 한 쪽의 외부도체(5)에 돌기(11、11)를 구비하고, 외부도체(5)를 굴곡예정부(8b)로부터 코킹상태에서 굴곡했을 때, 돌기(11、11)가 끼워맞춤하는 위치에 관통구멍(10、10)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돌기(11、11)는, 압착 플랜지부(9)의 평탄부(9a)와 접합하는 좌우의 케이블 가이드부(7、7)의 선단부 바닥면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하는 동시에, 그 돌출길이를 압착 플랜지부(9)의 평탄부(9a)의 두께(관통구멍(10)의 깊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로 형성한다. 이것에 대응해서 관통구멍(10、10)은, 압착 플랜지부(9)의 평탄부(9a)의 기초가 되는 부분에 좌우로 2개 나열해서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외부도체(5)의 통형상부(6)에는, 이 원통벽을 복수로 분할하기 위해서 리셉터클 삽입구쪽 단부로부터 소정 깊이 베는 복수의 슬릿(6a)을 가지고, 각 슬릿(6a)에 의해서 분할된 원통벽의 분할부분을 직경방향으로 탄성변위 자재로 이루어져 스프링 편(6b)에 형성하는 동시에, 그 각 스프링 편(6b)의 자유단부에, 리셉터클(13)의 원통형상의 외부도체(17)의 외경에서 내부쪽으로 내뻗는 접점부(6c)를 형성하고, 상기 절연보디(4)의 직경이 작은 부분(4c)의 외부쪽에 동심원 상으로 복수의 스프링 편(6b)을 배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연보디(4)는, 단부(段部)(4b)로부터 기단부쪽의 직경이 큰 부분(4d)의 외경이, 리셉터클(13)의 원통형상의 외부도체(17)의 외경보다 큰 직경이고, 또한 통형상부(6)가 분할되어 있지 않은 바닥부쪽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고, 단부(4b)로부터 선단부쪽의 직경이 작은 부분(4c)의 외경이, 이 외부쪽에 배치되는 통형상부(6)의 분할된 부분, 즉 각 스프링 편(6b)의 접촉부(6c)의 내경보다 소정치수 작고, 또한 리셉터클(13)의 원통형상의 외부도체(17)의 내경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통형상부(6)에 절연보디(4)를 이 직경이 큰 부분(4d)의 외경을 이용해서 동심위치에 수용 지지하고, 절연보디(4)의 직경이 작은 부분(4c)과 이 외부쪽에 동심원 상에 배치되는 각 스프링 편(6b)과의 사이에, 리셉터클(13)의 원통형상의 외부도체(17)를 끼워 넣기 위한 고리형상 공간(12)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절연보디(4)의 높이는, 이 바닥면이 덮개부(8)에 접촉한 상태에서 통형상부(6)에 수용되었을 때, 각 스프링 편(6b)의 선단부(자유단부)보다도 리셉터클(13)의 축형상의 중심 콘택트(15)를 꽂는 상기 절연보디(4)의 직경이 작은 부분(4c)의 선단부 면(4e)이 꽂는 방향으로 소정 치수(L1)만큼 돌출하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요컨데, 외부도체(5)의 원통부(6)의 원통벽의 높이보다 소정 치수(L1)만큼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콘택트(2)의 조립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반전개 상태의 외부도체(5)를 통형상부(6)의 리셉터클 삽입구가 하향이 되는 자세로 배치하고, 그 통형상부(6)에 이 바닥쪽으로부터 절연보디(4)를 삽입하고, 동축케이블(1)의 중심도체(1a)가 땜납 접속된 콘택트(3)를 절연보디(4)의 속이 빈 부분(4a)에 수용하고, 절연보디(4)의 바깥둘레면으로부터 반지름방향으로 인출되는 동축케이블(1)을, 통형상부(6)의 원통벽이 중간에 끊어진 부분으로부터 좌우의 케이블 가이드부(7、7)의 사이를 통과해서 통형상부(6)의 반지름방향 외부쪽으로 인출하고, 좌우의 케이블 가이드부(7、7)에 의해서 동축케이블(1)의 외피(1a)를 박리한 부분을 좌우 외부쪽으로부터 끼워서 바깥둘레 도체(1c)와 접촉시킨다. 계속해서, 일련의 덮개부(8)와 압착 플랜지부(9)를 굴곡예정부(8b)에서, 도 7의 가상선으로 표시하는 수직 자세로부터 실선으로 표시하는 수평 자세로 굴곡하고, 덮개부(8)에 의해서 통형상부(6)의 바닥면 개구를 덮어서 막고, 압착 플랜지부(9)의 기초가 되는 부분의 평탄부(9a) 및 기초가 되는 부분 코킹 편(9b、9b)에 의해서, 동축케이블(1)을 사이에 통과해서 바깥둘레 도체(1c)와 접촉시킨 좌우의 케이블 가이드부(7、7)를 둘러싸고, 압착 플랜지부(9)의 단부의 평탄부(9a) 및 좌우의 단부 코킹 편(9c、9c)에 의해서, 좌우의 케이블 가이드부(7、7)의 사이로부터 인출되는 동축케이블(1)이 박피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둘러싼다. 그 경우, 좌우의 케이블 가이드부(7、7)의 선단부에 구비한 좌우의 돌기(11、11)를, 압착 플랜지부(9)의 평탄부(9a)의 기초가 되는 부분에 좌우로 2개 나열해서 구비한 관통구멍(10、10)에 각각 끼워맞춤시킨다.
종래에서는, 외부도체(5)의 굴곡에 의해서, 절연보디(4)가 수용된 통형상부(6) 및 좌우 한 쌍의 케이블 가이드부(7、7)를 형성하는 쪽의 굴곡부(8b)로부터 한 쪽의 외부도체(5)의 상부쪽에, 덮개부(8)과 압착 플랜지부(9)를 형성한 쪽의 굴곡부(8b)로부터 한 쪽의 외부도체(5)가 서로 중첩되고, 하부쪽의 외부도체(5)가 상부쪽의 외부도체(5)에 의해서 덮혀 감춰지고, 하부쪽 외부도체(5)의 상태, 즉 통형상부(6)의 상태(통형상부(6)가 소정의 위치에 머물러서, 뜸이나 편심, 변형 등 이상의 유무)를 확인할 수 없었던 것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관통구멍(10、10)에 의해서, 부가해서 관통구멍(10、10)과 돌기(11、11)의 끼워맞춤에 의해서 정확하게 정밀도 좋고, 또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 확인은, 좌우의 관통구멍(10、10)에 대한 돌기(11、11)의 각각의 끼워맞춤 위치나 끼워맞춤 깊이 등, 돌기(11、11)의 끼워맞춤 상태를 관찰하고, 또 좌우의 돌기(11、11)의 끼워맞춤 상태를 비교해서 그 차이를 관찰함으로써 가능하다.
상기의 확인을 실시하여, 통형상부(6)가 소정의 위치에 머물고, 뜸이나 편심, 변형 등 이상이 확인되었을 경우에는, 리셉터클(13)과의 정상적인 끼워맞춤을 실시할 수 없는 불량품으로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적당한 조치를 실행하여 정상적으로 하거나, 혹은, 철거한다. 그리고, 이상이 확인되지 않는 정상적인 것에 대해서, 압착 플랜지부(9)의 기초가 되는 부분과 단부를 동축케이블(1)에 코킹해서 소성 변형시키는 압착공정을 실행하여, 도 1 내지 도 5에 표시하는 조립상태로 커넥터(2)를 조립하는 것이다.
상기의 압착공정에서, 관통구멍(10、10)과 돌기(11、11)의 끼워맞춤에 의해서, 통형상부(6) 및 좌우 한 쌍의 케이블 가이드부(7、7)를 형성하는 쪽의 굴곡부(8b)로부터 한 쪽의 외부도체(5)를, 덮개부(8)와 압착 플랜지부(9)를 형성한 쪽의 굴곡부(8b)로부터 한 쪽의 외부도체(5)에 위치결정하는 기능을 발휘하고, 코킹 시에, 통형상부(6)가 케이블 인출방향이나 그 반대방향, 케이블 인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거나, 편심, 변형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조립 후의 커넥터(2)는, 동축케이블(1)의 중심도체(1a)가 접속되는 콘택트(3)와, 콘택트(3)를 내장하는 절연보디(4)와, 동축케이블(1)의 바깥둘레 도체(1c)가 접속되는 판금제의 외부도체(5)를 구비하고, 외부도체(5)는, 절연보디(4)를 수용하는 통형상부(6)와, 통형상부(6)로부터 뻗어 나와서 이 바닥면에서 굴곡되는 덮개부(8)와, 통형상부(6)로부터 덮개부(8)를 개재하여 케이블 인출방향으로 뻗어 나와서 동축케이블(1)에 코킹되는 압착 플랜지부(9)와, 통형상부(6)로부터 케이블 인출방향으로 직접 뻗어 나와서 동축케이블(1)의 바깥둘레 도체(1c)와 접촉한 상태에서 압착 플랜지부(9)의 내부쪽에 코킹되는 좌우 한 쌍의 케이블 가이드부(7、7)를 구비하고, 절연보디(4)를 개재하여 콘택트(4)가 중심(동심)위치에 장착되어서 리셉터클(13)과 끼워맞춤하는 통형상부(6)가 동축케이블(1)의 말단부에 코킹 고정된다.
부가해서, 압착 플랜지부(9)를 형성하는 쪽의 굴곡부(8b)로부터 한 쪽의 외부도체(5)에 다른 쪽의 외부도체(5)의 상태를 확인하는 관통구멍(확인창)(10、10)을 구비하고 있으며, 압착(코킹)공정을 실행할 때의 통형상부(6)를 형성하는 쪽의 굴곡부(8b)로부터 한 쪽의 외부도체(5)의 상태, 즉 통형상부(6)의 상태를 관통구멍(10、10)으로부터 확인하고, 이상이 없는 것을 확인한 후에 그 공정을 실행해서, 외부도체(5)의 굴곡불량 등에 의한 불량품의 발생을 거의 없애고 있다. 또한, 복수의 관통구멍(10、10)을 구비하고 있으며, 통형상부(6)의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해서 그 정밀도를 높이고 있다. 또, 통형상부(6)를 형성하는 쪽의 굴곡부(8b)로부터 한 쪽의 외부도체(5)에 돌기(11、11)를 구비하고, 외부도체(5)를 코킹상태에서 굴곡했을 때, 돌기(11、11)와 관통구멍(10、10)이 끼워맞춤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으며, 돌기(11、11)가 인디케이터의 역할을 다하고, 관통구멍(10、10)에 대한 돌기(11、11)의 끼워맞춤 위치나 끼워맞춤 깊이 등, 돌기(11、11)의 끼워맞춤 상태를 관찰함으로써, 통형상부(6)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정밀도 좋고, 또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돌기(1l、11)가 관통구멍(10、10)에 끼워맞춤한 상태, 즉 이들 돌기(11、11)와 관통구멍(10、10)에 의해서, 통형상부(6)를 형성하는 쪽의 굴곡부(8b)에서 한 쪽의 외부도체(5)를, 압착 플랜지부(9)를 형성하는 쪽의 굴곡부(8b)에서 다른 쪽의 외부도체(5)에 위치결정한 상태에서, 압착 플랜지부(9)를 동축케이블(1)에 코킹하고, 이 코킹 시에, 통형상부(6)가 케이블 인출방향이나 그 반대방향, 케이블 인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거나, 편심, 변형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 또, 관통구멍(10、10)을 압착 플랜지부(9)에 구비하고, 돌기(11、11)를 케이블 가이드부(7、7)에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으며, 외부도체(5)의 굴곡부(8b)로부터 떨어져서(멀리) 통형상부(6)의 상태가 현저하게 나타나는 위치에서, 그 통형상부(6)의 상태를 확인하고, 그 확인을 보다 정확하게 정밀도 좋고, 또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관통구멍(10、10)과 돌기(11、11)가 외부도체(5)의 굴곡부(8b)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끼워맞춤하고, 또 그 끼워맞춤에 의해서 압착 플랜지부(9)에 걸어 맞춰진 상태의 케이블 가이드부(7、7)를, 그 압착 플랜지부(9)의 내부쪽에 코킹하고, 통형상부(6)의 위치 어긋남이나 편심,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좌우 한 쌍의 케이블 가이드부(7、7)의 선단부쪽에 각각 돌기(11、11)를 구비하고, 관통구멍(10、10)은 각 돌기(11、11)에 대응해서 압착 플랜지부(9)에 좌우로 2개 나열해서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고, 상기의 구성에 의한 모든 작용효과를 얻고 있다. 또한, 왼쪽과 오른쪽의 돌기(11、11)의 끼워맞춤 상태를 비교해서 그 차이를 관찰함으로써, 통형상부(6)의 상태확인을 보다 정확하게 정밀도 좋고, 또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조립 시의 위치 어긋남이나 편심, 변형을 억제할 수 있었던 외부도체(5)의 통형상부(6)를 리셉터클(13)과 끼워맞춤시키는 것으로, 이 통형상부(6)는 중심부분에 콘택트(3)를 내장한 단붙이기의 대략 원통형상의 절연보디(4)를 동심위치에 수용하고 있고, 절연보디(4)의 외부쪽에 고리형상 공간(12)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 이 통형상부(6)는 슬릿(6a)이 붙어 있고, 절연보디(4)의 외부쪽에는, 슬릿(6a)에 의해서 복수로 분할되어서 직경방향으로 탄성변위 가능하게 이루어진 분할원통벽, 즉 복수의 스프링 편(6b)이 고리형상 공간(12)을 사이에 두고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되고, 각 스프링 편(6b)의 선단부보다도 상기 절연보디(4)의 선단부 면이 리셉터클(13)에 대한 꽂은 방향으로 소정치수(L1) 돌출하게 된다.
커넥터(2)의 상대 커넥터인 리셉터클(13)은, 직사각형 판형상의 수지제 절연보디(14)와, 절연보디(14)의 대략 중심부로부터 세워 올리는 축형상의 중심 콘택트(15)와, 고리형상 공간(16)을 사이에 두고 상기 콘택트(12)와 동축 심 위에서 절연보디(14)로부터 세워 올리는 원통형상의 외부도체(17)를 구비하고, 콘택트(15)의 기단부에는, 표면을 절연보디(14)의 이면에 면 일치로 노출시키고, 또한 선단부를 절연보디(14)의 한 쪽 가장자리 중앙부로부터 돌출시키는 접촉부(15a)를 가지고, 외부도체(17)의 기단부에는, 표면을 절연보디(14)의 이면에 면 일치로 노출시키고, 또한 선단부를 상기 콘택트(15)의 접촉부(15a)를 돌출시킨 절연보디(14)의 한 쪽 가장자리에 인접하는 양쪽 가장자리 중앙부분으로부터 돌출시키는 한 쌍의 접촉부(17a、17a)를 가지고,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 등의 통신기기의 기판(도시하지 않음) 위에 각 접촉부(15a、17a、17a)를 각각 땜납 고정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실장되고, 기판 위에 상기 커넥터(플러그)(2)의 꽂는 입구를 형성한다.
그리고, 도 1, 도 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2)의 통형상부(6)의 축심 Ⅹ1과 리셉터클(13)의 원통형상의 외부도체(17)의 축심 Ⅹ2를 맞춰서, 서로의 꽂는 입구를 대향시킨 상태에서, 커넥터(2)의 원통부(6)를 리셉터클(13)의 원통형상의 외부도체(17)의 외부쪽에 끼워맞춤함으로서, 도 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2)의 고리형상 공간(12)에 리셉터클(13)의 원통형상의 외부도체(17)를 끼워 넣고, 커넥터(2)와 리셉터클(13)의 외부도체(5、17)끼리가 접촉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이것과 동시에 커넥터(2)의 절연보디(4)의 직경이 작은 부분(4c)이 리셉터클(13)의 고리형상 공간(16)에 끼워 넣고, 또한 커넥터(2)의 절연보디(4)의 선단부 면(4e)으로부터 이 중심부분에 리셉터클(13)의 축형상의 콘택트(15)가 꽂아지고, 커넥터(2)와 리셉터클(13)의 중심 콘택트(3、15)끼리가 접촉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끼워맞춤 후는, 각 스프링 편(6b)의 탄성에 의해서 이 자유단부의 접점부(6c)가 리셉터클(13)의 원통형상의 외부도체(17)의 외부면에 가압 부착되어서, 끼워맞춤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커넥터(2)와 리셉터클(13)의 끼워맞춤이, 커넥터(2)의 통형상부(6)의 축심 X1과 리셉터클(13)의 원통형상의 외부도체(17)의 축심 X2가 조금 어긋난 불안정한 상태에서 실시되었을 경우, 커넥터(2)의 각 스프링 편(6b)의 선단부(슬릿이 붙어 있는 통형상부(6)의 선단부)보다도 상기 절연보디(4)의 선단부 면(4e)이 리셉터클(13)에 대한 꽂는 방향으로 소정치수(L1) 돌출되어 있으므로서, 커넥터(2)의 절연보디(4)의 선단부 면(4e)이 리셉터클(13)의 원통형상의 외부도체(17)와 간섭해서, 커넥터(2)는 그 이상 무리하게 리셉터클(13)에 꽂을 수 없게 되므로, 커넥터(2)와 리셉터클(13)의 끼워맞춤이 불안정한 상태에서 실시되어도, 커넥터(2)의 절연보디(4)의 선단부 면(4e)보다도 후퇴되어 있는 각 스프링 편(6b)은, 리셉터클(13)의 원통형상의 외부도체(17)와 간섭하지 않게 되어서, 이 각 스프링 편(6b)이 변형하는 일은 없고, 이 변형에 의한 커넥터(2)와 리셉터클(13)과의 끼워맞춤력 저하에 의해, 커넥터(2)가 리셉터클(13)로부터 부주의로 빠져 버린다고 하는 사태를 방지하고 있다.
또, 커넥터(2)의 통형상부(6)의 축심 X1과 리셉터클(13)의 원통형상의 외부도체(17)의 축심 X2와의 축 어긋남이 보다 더 커지게 되면, 도 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통형상부(6)가 인접하는 2개의 슬릿(6a、6a)에 리셉터클(13)의 원통형상의 외부도체(17)를 끼워 넣고, 커넥터(2)와 리셉터클(13)이 적정하게 끼워맞춤되어 있다고 잘못 인식한 채로 장착되어 세트가 조립되어서 특성이 나오지 않게 된다고 하는 사태가 발생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2)의 절연보디(4)의 직경이 작은 부분(4c)의 외경을,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 있다.
즉, 도 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2)의 통형상부(6)가 인접하는 2개의 슬릿(6a、6a)에 리셉터클(13)의 원통형상의 외부도체(17)를 끼워 넣으려고 할 때의 최소의 끼워 넣는 범위, 구체적으로는, 커넥터(2)의 통형상부(6)와 리셉터클(13)의 원통형상의 외부도체(17)와의 중심간 거리가 가장 길어지는 상태에서, 커넥터(2)의 통형상부(6)가 인접하는 2개의 슬릿(6a、6a)에 리셉터클(13)의 원통형상의 외부도체(17)를 끼워 넣을 때의 끼워 넣는 범위에, 꽂는 방향에서 봐서 상기 절연보디(4)의 선단부 면(4e)이 존재하도록, 커넥터(2)의 절연보디(4)의 직경이 작은 부분(4c)의 외경을 설정하고 있다. 도 5에 있어서의 사선부(A)가, 그 최소의 끼워 넣는 범위에 존재하는 상기 절연보디(4)의 선단부 면(4e)을 표시한다.
상기 이외에, 도 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2)의 통형상부(6)가 인접하는 2개의 슬릿(6a、6a)을 연결하는 직선(S) 상에, 꽂는 방향에서 봐서 상기 절연보디(4)의 선단부 면(4a)이 존재하도록, 커넥터(2)의 절연보디(4)의 직경이 작은 부분(4c)의 외경을 설정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한 장의 스프링 편(6b)의 가장 직경이 작은 내부면을 활, 그 활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직선, 즉 인접하는 2개의 슬릿(6a、6a)을 연결하는 상기 직선 S가 현으로 되는 활형상의 공간에, 꽂는 방향에서 봐서 상기 절연보디(4)의 선단부 면(4a)이 존재하도록, 커넥터(2)의 절연보디(4)의 직경이 작은 부분(4c)의 외경을 설정해도 된다. 도 6에 있어서의 사선부 B가, 그 한 장의 스프링 편(6b)의 내부쪽의 활형상 공간에 존재하는 상기 절연보디(4)의 선단부 면(4e)을 표시한다.
상기의 구성을 채용했던 것에 의해서, 커넥터(2)를 불안정한 상태에서 리셉터클(13)에 끼워맞춤하려고 했을 경우, 커넥터(2)의 통형상부(6)가 인접하는 2개의 슬릿(6a)에 리셉터클(13)의 원통형상의 외부도체(17)를 끼워 넣으려고 해도, 그 끼워 넣는 범위에 상기 절연보디(4)의 선단부 면(4e)이 존재하고, 끼워 넣기 전에 그 절연보디(4)의 선단부 면(4e)이 리셉터클(13)의 원통형상의 외부도체(17)와 간섭해서, 그 이상 무리하게 커넥터(2)를 리셉터클(13)에 꽂을 수 없기 때문에, 커넥터(2)의 통형상부(6)가 인접하는 2개의 슬릿(6a)에 리셉터클(13)의 원통형상의 외부도체(17)를 끼워 넣는다고 하는 잘못 끼워맞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보디(4)의 직경이 작은 부분(4c)의 외경은, 어쨌든 리셉터클(13)의 원통형상의 외부도체(17)의 내부쪽에 끼워맞춤할 수 있는 직경으로 설정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상과 같이, 동축케이블(1)의 중심도체(1a)가 접속되는 콘택트(3)와, 상기 콘택트(3)를 내장하는 절연보디(4)와, 상기 절연보디(4)의 외부쪽에 고리형상 공간(12)을 사이에 두고 배치하는 슬릿(6a)이 붙어 있는 통형상부(6)를 가지고 상기 동축케이블(1)의 바깥둘레 도체(1c)가 접속되는 외부도체(5)를 구비하고, 상기 슬릿(6a)이 붙어 있는 통형상부(6)의 선단부보다도 상기 절연보디(4)의 선단부 면(4e)이 꽂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2)에 대응하여, 이 상대 커넥터인 리셉터클(13)에 대해서도, 이 원통형상의 외부도체(17)의 선단부보다도 중심 콘택트(15)의 선단부를 상기 커넥터(2)에 대한 꽂는 방향으로 소정치수 L2만큼 돌출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커넥터(2)와 리셉터클(13)의 끼워맞춤 시, 커넥터(2)의 중심 콘택트(3)의 한 쌍의 접촉부(3b、3b)의 사이에 삽입하는 리셉터클(13)의 축형상의 중심 콘택트(15)의 삽입길이를 충분히 확보하여, 접속불량 등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에 의하면, 리셉터클과의 끼워맞춤 시에, 불안정한 상태에서의 끼워맞춤에 의해서 외부도체의 슬릿이 붙어 있는 원통부분이 변형되거나, 잘못 끼워맞춤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커넥터의 끼워맞춤력이 약해져서 리셉터클로부터 용이하게 빠져 버릴 우려가 없어서, 끼워맞춤 상태(전기접속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커넥터를 불안정한 상태에서의 잘못 끼워맞춤인 채로 장착되어 세트가 조립되어서, 특성이 나오지 않게 되는 위험성도 없어진다고 하는 현저한 효과를 이룬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커넥터의 끼워맞춤하지 않은 상태의 측면도
도 2는 동일 커넥터의 끼워맞춤하지 않은 상태의 단면 측면도
도 3은 동일 커넥터의 끼워맞춤상태의 단면 측면도
도 4는 동일 커넥터의 저면도
도 5는 동일 커넥터의 평면도
도 6은 동일 커넥터의 절연보디의 변형예를 표시하는 부분확대평면도
도 7은 동일 커넥터의 외부도체의 단면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동축케이블 1a: 중심도체
1c: 바깥둘레 도체 2: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3: 중심 콘택트(커넥터) 4: 절연보디(커넥터)
4e: 선단부 면 5: 외부도체(커넥터)
6: 통형상부 6a: 슬릿
6b: 스프링 편(片) 12: 고리형상 공간(커넥터)
13: 리셉터클(상대 커넥터) 15: 중심 콘택트(리셉터클)
16: 고리형상 공간(리셉터클) 17: 외부도체(리셉터클)

Claims (3)

  1.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가 접속되는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를 내장하는 절연보디와, 상기 절연보디의 외부쪽에 고리형상 공간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슬릿이 붙어 있는 통형상부를 가지고 상기 동축케이블의 바깥둘레 도체가 접속되는 외부도체를 구비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슬릿이 붙어 있는 통형상부의 선단부보다도 상기 절연보디의 선단부 면이 꽂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가 인접하는 2개의 슬릿에 리셉터클의 원통형상의 외부도체를 끼워 넣으려고 할 때의 최소의 끼워 넣는 범위에, 꽂는 방향에서 봐서 상기 절연보디의 선단부 면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가 인접하는 2개의 슬릿을 연결하는 직선 상에, 꽂는 방향에서 봐서 상기 절연보디의 선단부 면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KR1020050004604A 2004-01-20 2005-01-18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KR1006187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11635A JP4139782B2 (ja) 2004-01-20 2004-01-20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JP-P-2004-00011635 2004-0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6652A true KR20050076652A (ko) 2005-07-26
KR100618765B1 KR100618765B1 (ko) 2006-08-31

Family

ID=34631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4604A KR100618765B1 (ko) 2004-01-20 2005-01-18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67811B2 (ko)
EP (1) EP1557914B1 (ko)
JP (1) JP4139782B2 (ko)
KR (1) KR100618765B1 (ko)
CN (1) CN1645672A (ko)
TW (1) TWI24824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888B1 (ko) * 2006-01-13 2009-07-03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동축 커넥터 및 측정용 동축 프로브
KR101031118B1 (ko) * 2007-06-01 2011-04-27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동축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06484A1 (de) * 2006-02-10 2007-08-30 Ims Connector Systems Gmbh Steckerteil und Buchsenteil für eine elektrische Steckverbindung und elektrische Steckverbindungs-Anordnung mit einem solchen Steckerteil und Buchsenteil
JP4394708B2 (ja) * 2007-07-04 2010-01-06 Smk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WO2009061022A1 (en) * 2007-11-06 2009-05-14 Gigalane Co. Ltd. Connector capable of coupling to printed circuit board
JP5131455B2 (ja) * 2007-12-05 2013-01-30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装置
JP5209027B2 (ja) * 2010-11-01 2013-06-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JP5947885B2 (ja) * 2012-04-02 2016-07-06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およびこれらのコネクタで構成される同軸コネクタ
JP5763007B2 (ja) * 2012-04-19 2015-08-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615318B2 (ja) * 2012-04-19 2014-10-2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585608B2 (ja) * 2012-04-23 2014-09-10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型電気コネクタ
CN102683952A (zh) * 2012-05-08 2012-09-19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同轴连接器
CN202759104U (zh) * 2012-07-18 2013-02-27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US8911240B2 (en) * 2013-03-15 2014-12-16 Samtec, Inc. Right-angle board-mounted connectors
JP5768989B2 (ja) * 2013-09-06 2015-08-26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装置
JP5776752B2 (ja) 2013-11-11 2015-09-09 第一精工株式会社 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
US9799177B2 (en) 2014-09-23 2017-10-24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haptic covert communication
US9627804B2 (en) * 2014-12-19 2017-04-18 Intel Corporation Snap button fastener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US10418616B2 (en) 2015-02-26 2019-09-17 Levy Devay, LLC Battery terminal cover
US9559342B2 (en) 2015-02-26 2017-01-31 Ian J. Wright Battery terminal cover
JP6588403B2 (ja) * 2016-08-09 2019-10-0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FI3627635T3 (fi) 2018-09-19 2023-03-22 Liitoselementti, rakenneryhmän liitos, piirilevyjärjestely ja menetelmä liitoselementin valmistamiseksi
KR102352948B1 (ko) 2020-06-02 2022-01-19 (주)우주일렉트로닉스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4217A (en) * 1995-05-25 2000-06-13 Murata Manufacturing Co., Ltd. Coaxial connector receptacle
JPH0992408A (ja) * 1995-09-25 1997-04-04 Hosiden Corp 多極プラグ
US5772470A (en) * 1996-06-03 1998-06-30 Smk Corporation Coaxial connector
JP3783399B2 (ja) 1998-04-22 2006-06-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
JP3679651B2 (ja) 1999-07-30 2005-08-0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L型同軸コネクタ
JP3743559B2 (ja) 2001-12-11 2006-02-0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6837743B2 (en) * 2002-04-05 2005-01-04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end connector having good insulation function
US6607400B1 (en) * 2002-10-22 2003-08-19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Low profile RF connector assembly
TW562291U (en) * 2002-12-04 2003-11-11 Hon Hai Prec Ind Co Ltd Radio frequency connector assembl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888B1 (ko) * 2006-01-13 2009-07-03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동축 커넥터 및 측정용 동축 프로브
US7556529B2 (en) 2006-01-13 2009-07-07 Murata Manufacturing Co., Ltd. Coaxial connector and measuring coaxial probe
KR101031118B1 (ko) * 2007-06-01 2011-04-27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동축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59022A1 (en) 2005-07-21
JP2005209364A (ja) 2005-08-04
EP1557914B1 (en) 2014-11-12
US7367811B2 (en) 2008-05-06
KR100618765B1 (ko) 2006-08-31
TW200531387A (en) 2005-09-16
TWI248242B (en) 2006-01-21
EP1557914A1 (en) 2005-07-27
CN1645672A (zh) 2005-07-27
JP4139782B2 (ja) 2008-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8765B1 (ko)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CN100456571C (zh) 同轴缆线连接器
US6386913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micro co-axial conductors
JP4076157B2 (ja) 同軸電気コネクタ
JP5790245B2 (ja) 同軸型電気コネクタおよび同軸型電気コネクタ組立体
CN107645108B (zh) 具有视窗的同轴连接器以及使用该同轴连接器的同轴连接器装置
JP3337650B2 (ja)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CN103378436B (zh) 电连接器
JP2003068408A (ja) シールドケーブルの電気コネクタ、そのコネクタ本体及びこの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H06275326A (ja) ケーブル接続コンタクト及びその製造方法、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KR20080084638A (ko) 다극동축커넥터
TWI539699B (zh) Coaxial connector
CN105826709A (zh) 同轴型电连接器
KR100411540B1 (ko) 커넥터
JPH08153557A (ja) 雌端子及びこれを使用した同軸コネクタ
JP2000012162A (ja) コネクタのシールド構造
JP3846260B2 (ja) 雌側端子金具
CN110768051B (zh) 连接器
JP4083103B2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5300628B2 (ja) コネクタ、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コネクタ用共通化導体および半導体試験装置
JP2003331997A (ja) ミニ同軸コネクタ
JP2002208459A (ja) シールド端子用アッセンブリ及びシールド端子の組付方法
JPH10302860A (ja) 同軸ケーブル接続具
JP2020035541A (ja) 接続端子
JP2003068406A (ja) シールドケース付き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