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5888B1 - 동축 커넥터 및 측정용 동축 프로브 - Google Patents

동축 커넥터 및 측정용 동축 프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5888B1
KR100905888B1 KR1020077023717A KR20077023717A KR100905888B1 KR 100905888 B1 KR100905888 B1 KR 100905888B1 KR 1020077023717 A KR1020077023717 A KR 1020077023717A KR 20077023717 A KR20077023717 A KR 20077023717A KR 100905888 B1 KR100905888 B1 KR 100905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housing
coaxial
lock piec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3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4499A (ko
Inventor
히로키 와카마츠
유이치 마루야마
요시히로 오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80004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5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5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8Covers sliding or withdrawing in the direction of engag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72High frequency pro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88Hand-held or hand-manipulated probes, e.g. for oscilloscopes or for portable test instru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sting or measuring purpo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동축 케이블(40)의 선단에 접속되며, 리셉터클에 착탈(着脫) 자유로운 동축 커넥터. 리셉터클의 외부도체의 외주부에 형성된 홈부에 끼워맞춰지는 돌출부(26b)가 형성된 스프링부(26a)를 갖는 통(筒)형상 하우징(25)과, 하우징(25) 내에 수납되어 리셉터클의 내부단자와 접촉하는 중심 도체 프로브(10)와, 하우징(25)의 외주부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된 통형상 슬리브(31, 35)로 구성되어 있다. 슬리브(31)는 상부에 하우징(25)의 외주부에 형성한 제1걸어맞춤부(27a) 및 제2걸어맞춤부(27b)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로크편(lock piece; 32a)을 가지며, 하부에 하우징(25)의 스프링부(26a)의 확대를 규제하는 환상부(環狀部; 33)를 갖고 있다. 슬리브(31)의 환상부(33)는 이탈시(위치 A)에 있어서 스프링부(26a)에 대한 규제를 해제하고, 장착시(위치 B)에 있어서 스프링부(26a)의 확대를 규제한다.
Figure R1020077023717
동축 커넥터, 측정용 동축 프로브, 리셉터클, 하우징, 내부단자, 슬리브

Description

동축 커넥터 및 측정용 동축 프로브{COAXIAL CONNECTOR, AND COAXIAL PROBE FOR MEASUREMENT}
본 발명은 동축 커넥터, 특히, 동축 케이블의 선단에 접속되며, 상대방 리셉터클(receptacle)에 착탈 자유로운 동축 커넥터, 및, 측정용 동축 프로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동축 커넥터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동축 커넥터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도체부재(115)를 외측에서 유지하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리브(가동부재(116), 커플링 너트(117))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 동축 커넥터에서는, 외부도체부재(115)의 외측에 설치한 슬리브는, 각각이 독립해서 이동 가능한 가동부재(116)와 커플링 너트(117)로 이루어지며, 2개의 코일 스프링(120, 12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부재(116)는 스프링부(116a)를 가지며, 선단부에 돌출부(115b)의 릴리스부(release portion)가 되고 또한 돌출부(115b)를 규제하는 돌출부(116b)를 형성하는 등, 부품수가 많아서 구조적으로 복잡하며, 제조 비용도 비싸다고 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선단부(돌출부(115b, 116b))의 외형이 커져서 그 강도가 유지되지 않으며, 상대방 커넥터에의 탈착의 반복으로 변형, 열화(劣化)하기 쉬운 것이었다.
또한, 상대방 커넥터와의 장착/이탈시에 복잡한 조작이 필요하였다. 즉, 장착시에는, 슬리브(가동부재(116), 커플링 너트(117))를 외부도체부재(115)의 선단 돌출부(115b)보다도 상대방 커넥터측으로 이동시키고, 슬리브의 선단을 상대방 커넥터에 밀어붙여서 위치 결정한 후, 반대측으로 이동시켜서 슬리브로 외부도체부재(115)의 선단부를 꽉 눌러 로크(lock)시킬 필요가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평10-32042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대방 리셉터클에의 장착/이탈이 용이하며, 반복 사용에 견딜 수 있는 동축 커넥터 및 측정용 동축 프로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동축 케이블의 선단에 접속되며, 상대방 리셉터클에 착탈 자유로운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선단부에 상대방 리셉터클의 외부도체의 외주부에 형성된 홈부에 끼워맞춰지는 돌출부가 형성된 스프링부를 갖는 통(筒)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된 통형상의 부싱(bushing)과, 상기 부싱 내에 수납되어 상기 상대방 리셉터클의 내부단자와 접촉하는 중심 도체 프로브와, 상기 하우징의 외주부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된 통형상의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슬리브는, 상부에 상기 하우징의 외주부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로크편(lock piece)을 가지며, 또한, 하부에 상기 하우징의 스프링부의 확대를 규제하는 환상부(環狀部)를 갖고, 상기 하우징은 그 외주부에 상기 로크편이 걸리거나 벗겨지기 가능한 제1걸어맞춤부 및 제2걸어맞춤부가 축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스프링부가 상기 상대방 리셉터클의 홈부에 끼워맞춰지기 전에는, 상기 슬리브의 로크편이 상기 제1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춰짐과 아울러 슬리브의 환상부가 하우징의 스프링부에 대한 규제를 해제한 상태에 있고, 상기 하우징의 스프링부가 상기 상대방 리셉터클의 홈부에 끼워맞춰진 후는, 상기 슬리브의 로크편이 상기 제2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춰짐과 아울러 슬리브의 환상부가 하우징의 스프링부의 확대를 규제하는 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는, 하우징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접촉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리브를 설치한다고 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대방 리셉터클에 대한 장착시에는, 작업자가 슬리브를 손가락으로 잡아서 하우징의 선단부를 상대방 리셉터클의 외부도체에 밀어붙이는 것만으로, 하우징의 선단 스프링부를 외부도체의 홈부에 끼워맞추고, 또한, 슬리브가 이동해서 그 로크편이 제2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춰지며, 슬리브의 하부에 형성한 환상부가 하우징의 선단 스프링부의 확대를 규제하는 로크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상대방 리셉터클로부터의 이탈시에는, 작업자가 슬리브를 손가락으로 잡아서 뽑아내는 것만으로, 로크편이 제2걸어맞춤부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됨과 아울러, 슬리브의 환상부가 하우징의 선단 스프링부에 대한 규제를 해제하므로, 하우징의 선단 스프링부가 외부도체의 홈부와의 끼워맞춤이 해제되며, 하우징이 상대방 리셉터클로부터 이탈한다. 또한, 로크편은 탄성적으로 제1걸어맞춤부 및 제2걸어맞춤부에 걸리거나 벗겨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로크감(lock feeling)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로크편은 슬리브에 설치한 탄성편의 선단에 형성한 돌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걸어맞춤부 및 제2걸어맞춤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부에 형성한 환상의 홈부여도 좋다. 또한, 상기 탄성편은 슬리브의 통형상부에 축방향으로 형성한 복수의 슬릿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간이한 구조로 로크수단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과 슬리브 사이에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있으며, 이 탄성부재는 제1걸어맞춤부가 로크편과 걸어맞춰지는 방향으로 슬리브를 부세(付勢)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축 커넥터가 상대방 리셉터클로부터 이탈했을 때에, 슬리브가 확실하게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혹은, 슬리브가, 하우징의 상부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로크편과 하우징의 스프링부 외주면에 접촉해서 상기 스프링부의 확대를 규제하는 환상부로 이루어지는 제1슬리브와, 상기 제1슬리브의 상부 및 하우징의 상부를 덮는 제2슬리브를 접합 일체화해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리브를 2개의 부재로 구성함으로써, 각각의 부재를 적절한 형상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조립도 간단한 것이 된다. 또한, 제2슬리브는 외장 케이스로서도 기능하며, 로크편 등의 내부부품을 보호한다.
그리고, 제2슬리브의 외경에 대하여 제1슬리브의 외경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에 위치하는 제1슬리브가 좁으므로, 휴대전화기 등의 케이스에 큰 구멍을 뚫지 않고 삽입이 가능해진다. 상부에 위치하는 제2슬리브가 굵으므로,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으며, 장착/이탈의 작업이 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동축 커넥터는 측정용 동축 프로브로서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구성부품이 적고 조립이 용이하며, 가동부재는 슬리브뿐이므로, 상대방 리셉터클에의 장착/이탈이 용이하고, 반복 사용에 견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측정용 동축 프로브)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측정용 동축 프로브의 제1조립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측정용 동축 프로브의 제2조립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측정용 동축 프로브의 제3조립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측정용 동축 프로브의 제4조립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조립된 상기 측정용 동축 프로브와 상대방 리셉터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측정용 동축 프로브가 상대방 리셉터클에 끼워맞춰지는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측정용 동축 프로브)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8A는 상대방 리셉터클로부터 이탈시의 단면도, 도 8B는 장착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측정용 동축 프로브)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측정용 동축 프로브를 사용해서 측정되는 통신기기의 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동축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 및 측정용 동축 프로브의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도 7 참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측정용 동축 프로브(1A)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 도체 프로브(10)와, 부싱(20)과, 하우징(25)과, 슬리브(30)와, 디스크(21)와, 코일 스프링(22)과, 캡(23)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대방 리셉터클(2)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구멍(4)을 갖는 케이스(3)에 그라운드 단자(외부도체)(5), 제1내부단자(6), 제2내부단자(7)를 설치한 것으로, 제2내부단자(7)는 하방으로부터 제1내부단자(6)에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있다. 제2내부단자(7)는 자신의 스프링력으로 제1내부단자(6)에 접촉하며,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측정용 동축 프로브(1A)의 플런저(11)에 압압(押壓)되어 하방으로 휘며, 제1내부단자(6)로부터 이간한다.
중심 도체 프로브(10)는, 각각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플런저(11), 코일 스프링(12), 배럴(barrel; 13)로 구성되며, 배럴(13)에 대해서 그 하부로부터 코일 스프링(12)을 통하여 플런저(11)의 상부가 삽입되어 있다.
하우징(25)은,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통형상체이며, 직경이 큰 상 부(25a)와 직경이 작은 하부(25b)로 이루어지고, 하부(25b)의 선단부에는 상대방 리셉터클(2)의 그라운드 단자(5)의 외주부에 형성된 환상 홈부(5a)(도 7 참조)에 끼워맞춰지는 돌출부(26b)가 형성된 스프링부(26a)를 갖고 있다. 이 스프링부(26a)는 하우징(25)의 선단부에 축방향으로 형성한 복수의 슬릿에 의해 구성되며,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위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25)의 상부(25a)에는 그 외주부에 제1걸어맞춤부(27a) 및 제2걸어맞춤부(27b)가 축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환상의 홈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부싱(20)은,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통형상체이며, 그 중심구멍에는 상기 중심 도체 프로브(10)가 수납되어 있다. 또한, 부싱(20)은 상기 하우징(25)의 중심구멍에 수납되어 있다.
슬리브(30)는, 금속재료로부터 각각 통형상으로 형성된 제1슬리브(31)와 제2슬리브(35)로 구성되어 있다. 제1슬리브(31)는 플랜지형상부(flange portion; 31a)에 하우징(25)의 외주부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복수의 로크편(32a)을 기립한 상태로 설치하고, 이 로크편(32a)은 탄성편의 선단에 돌출부(32b)를 형성해서 이루어지며, 제1슬리브(31)에 축방향으로 형성한 복수의 슬릿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슬리브(31)의 소경(小徑; small-diameter)의 하부는, 상기 하우징(25)의 선단 스프링부(26a)의 외방으로의 확대를 규제하는 내경을 갖는 환상부(33)로 되어 있다.
제2슬리브(35)는, 제1슬리브(31)의 상부를 덮음과 아울러 상기 하우징(25)의 상부(25a)를 덮는 통형상체이며, 제1슬리브(31)의 플랜지형상부(31a)를 말려들게 하도록 코킹(caulking)함으로써 제1슬리브(31)와 접합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제1슬리브(31)와 제2슬리브(35)는 코킹 이외에 접착이나 용접 등으로 접합 일체화해도 좋다.
여기에서, 측정용 동축 프로브(1A)의 조립 순서에 대해서 도 2∼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럴(13)에 대하여 그 하부로부터 코일 스프링(12)을 통해서 플런저(11)의 상부를 삽입하고, 중심 도체 프로브(10)를 조립한다. 다음으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중심 도체 프로브(10)를 부싱(20)의 중심구멍에 삽입하고, 상기 부싱(20)을 하우징(25)의 중심구멍에 삽입한다. 또한, 하우징(25)을 제1슬리브(31)의 중심구멍에 삽입한다. 제1슬리브(31)에 형성한 로크편(32a)의 돌출부(32b)는 하우징(25)의 외주부에 형성한 제1걸어맞춤부(27a) 및 제2걸어맞춤부(27b)에 탄성적으로 끼워맞춤 가능하며, 하우징(25)은 제1슬리브(31)의 상단이 단차부(28)에 접촉할 때까지 삽입되고, 이때, 로크편(32a)의 돌출부(32b)가 제1걸어맞춤부(27a)에 끼워맞춰진 상태가 된다. 또한, 제2슬리브(35)의 내주면과 하우징(25)의 상부(25a)의 외주면 사이에는, 로크편(32a)이 약간 외방으로 휘는 만큼의 스페이스(38)(도 1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슬리브(35)를 하우징(25)의 상부(25a) 및 제1슬리브(31)의 로크편(32a)을 덮도록 씌우고, 제2슬리브(35)의 하부를 제1슬리브(31)의 플랜지형상부(31a)에 코킹해서 접합 일체화한다. 여기에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40)의 중심 도체(41)(도 1 참조)를 제2슬리브(35)의 개구부(36) 및 하우징(25)의 개구부(29)로부터 삽입해서 배럴(13)의 홈 부(13a)에 솔더링한다. 이것으로 중심 도체(41)가 배럴(13) 및 코일 스프링(12)을 통하여 플런저(11)와 전기적으로 도통(導通) 상태가 된다. 또한, 동축 케이블(40)의 실드도체(shield conductor; 42)(도 1 참조)와 접속되어 있는 어댑터(43)를 하우징(25)의 개구부(29)에 끼워맞추고, 링(44)을 어댑터(43)의 외주부에 코킹한다. 이것으로 실드도체(42)가 어댑터(43)를 통하여 하우징(25)과 전기적으로 도통 상태가 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부호 45는, 도시하지 않은 측정기에의 접속용 커넥터이며, 동축 케이블(40)의 일단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디스크(21)를 하우징(25)의 상면에 탑재하고, 코일 스프링(22)을 통하여 캡(23)을 제2슬리브(35)의 상부에 끼워맞춰서 일체화시킨다. 코일 스프링(22)은 하우징(25)을 하방으로 탄성적으로 압압하고, 로크편(32a)의 돌출부(32b)가 제1걸어맞춤부(27a)에 걸어맞춰진 위치를 유지시킨다. 이것으로, 제1슬리브(31)의 환상부(33)가 하우징(25)의 선단 스프링부(26a)에 대한 규제를 해제한 위치 A(도 1 참조)에 세트된 상태가 유지된다. 도 6은 동축 케이블(40)을 접속해서 최종적으로 조립된 측정용 동축 프로브(1A)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측정용 동축 프로브(1A)를 상대방 리셉터클(2)에 장착하는 동작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A는 장착 전의 상태를 나타내며, 전술과 같이, 제1슬리브(31)의 환상부(33)가 하우징(25)의 선단 스프링부(26a)에 대한 규제를 해제한 위치 A에 세트된다.
여기에서, 하우징(25)의 선단 스프링부(26a)를 상대방 리셉터클(2)의 그라운드 단자(5)의 외주부에 압입해 가면,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26b)가 그라운드 단자(5)의 외주부에 압접(壓接)해서 스프링부(26a)가 외방으로 약간 직경이 확대됨과 아울러, 플런저(11)의 선단이 상대방 리셉터클(2)의 케이스(3)의 중심구멍(4)에 돌입한다. 또한, 하우징(25)을 밀어넣으면,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26b)가 환상 홈부(5a)에 끼워맞춰지고, 플런저(11)의 선단이 제2내부단자(7)를 압압해서 하방으로 변위시키며, 제1내부단자(6)와의 접속을 해제한다. 이것으로, 제2내부단자(7)는 플런저(11), 코일 스프링(12), 배럴(13)을 통하여 동축 케이블(40)의 중심 도체(41)와 도통 상태가 되며, 이 경로로 신호가 전송되게 된다.
또한, 슬리브(30)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로크편(32a)의 돌출부(32b)가 제1걸어맞춤부(27a)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제2걸어맞춤부(27b)와 걸어맞춰진다. 이때, 제1슬리브(31)의 환상부(33)가 하우징(25)의 선단 스프링부(26a)의 외주부를 포위해서 상기 스프링부(26a)의 확대를 규제하는 위치 B(도 1 참조)에 세트된다. 이것으로, 선단 스프링부(26a)는 외방으로의 확대가 규제되며, 외경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해도 홈부(5a)와의 끼워맞춤이 해제되는 일은 없다. 또한, 스프링부(26a)의 변형이나 파손이 방지된다.
또한, 제2슬리브(35)의 개구부(36)의 치수(X)(도 4 참조)는, 제1슬리브(31) 및 제2슬리브(35)가 위치 A-B 사이를 이동할 때에 동축 케이블(40)과 간섭하지 않는 치수로 되어 있다.
측정용 동축 프로브(1A)를 상대방 리셉터클(2)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상기와는 반대의 순서에 의해, 즉, 제2슬리브(35)의 외주부를 손가락으로 잡아서 상방으로 뽑아내면 된다. 우선, 슬리브(30)가 상방으로 이동해서 로크편(32a)의 돌출부(32b)가 제2걸어맞춤부(27b)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제1슬리브(31)의 상단이 하우징(25)의 단차부(28)에 접촉함과 아울러 로크편(32a)의 돌출부(32b)가 제1걸어맞춤부(27a)와 걸어맞춰지고, 제1슬리브(31)의 환상부(33)가 하우징(25)의 선단 스프링부(26a)에 대한 규제를 해제한다. 이것으로, 하우징(25)의 선단 스프링부(26a)의 돌출부(26b)가 상대방 리셉터클(2)의 그라운드 단자(5)의 홈부(5a)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그리고, 상대방 리셉터클(2)에 있어서는, 제2내부단자(7)가 자신의 탄성으로 상방으로 변위하며, 제1내부단자(6)와의 접속 상태로 복귀한다.
그런데,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상부(33)의 내경과 선단 스프링부(26a)의 외경과의 틈새(H)는, 끼워맞춤시에 있어서의 선단 스프링부(26a)의 변위량(Y)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변위량(Y)이란, 선단 스프링부(26a)의 외경을 D로 하고, 최대 변위 외경을 Dmax로 하면, Y=(Dmax-D)/2로 산출되는 값이다.
제1슬리브(31)의 로크편(32a)이 하우징(25)의 외주부에 압접하는 힘과, 하우징(25)의 선단 스프링부(26a)가 상대방 리셉터클(2)의 그라운드 단자(5)의 외주부에 압접하는 힘의 관계는, 선단 스프링부(26a)를 홈부(5a)에 끼워맞추려고 하는 힘(Fhi)보다도, 로크편(32a)이 제1걸어맞춤부(27a)에 끼워맞춰지는 힘(Fsi) 쪽이 크며, 또한, 로크편(32a)을 제2걸어맞춤부(27b)로부터 뽑아내기 위한 힘(Fso)보다도, 선단 스프링부(26a)를 홈부(5a)로부터 뽑아내기 위한 힘(Fho) 쪽이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측정용 동축 프로브(1A)는, 하우징(25)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 동 가능하게 유지된 슬리브(30)를 설치한다고 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대방 리셉터클(2)에의 장착시에는, 제2슬리브(35)를 손가락으로 잡아서 하우징(25)의 선단 스프링부(26a)를 상대방 리셉터클(2)의 그라운드 단자(5)에 밀어붙이는 것만으로, 하우징(25)의 선단 스프링부(26a)를 그라운드 단자(5)의 홈부(5a)에 끼워맞출 수 있다. 게다가, 로크편(32a)이 제2걸어맞춤부(27b)와 걸어맞춰짐으로써, 제1슬리브(31)의 하부에 형성한 환상부(33)가 하우징(25)의 선단 스프링부(26a)의 확대를 규제하는 로크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이탈시킬 때에는, 제2슬리브(35)를 손가락으로 잡아서 뽑아내는 것만으로, 로크편(32a)이 제2걸어맞춤부(27b)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됨과 아울러 제1슬리브(31)의 환상부(33)가 하우징(25)의 선단 스프링부(26a)에 대한 규제를 해제하기 때문에, 하우징(25)의 선단 스프링부(26a)가 그라운드 단자(5)의 홈부(5a)와의 끼워맞춤이 용이하게 해제된다.
또한, 로크편(32a)은 탄성적으로 제1걸어맞춤부(27a) 및 제2걸어맞춤부(27b)에 걸리거나 벗겨지기 때문에, 작업자는 걸리거나 벗겨질 때의 로크감(lock feeling)에 의해 상대방 리셉터클(2)에의 장착 및 이탈의 감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스프링부(26a)나 로크편(32a)을 하우징(25)이나 제1슬리브(31)에 축방향으로 형성한 복수의 슬릿에 의해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간이한 구조로 스프링부(26a)나 로크편(32a)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5)과 제2슬리브(35) 사이에 코일 스프링(22)을 개재시키고 있기 때문에, 제1걸어맞춤부(27a)와 로크편(32a)이 서로 걸어맞춰지는 방향으로 슬리 브(30)를 부세하게 되어, 측정용 동축 프로브(1A)를 상대방 리셉터클(2)로부터 이탈시켰을 때에, 슬리브(30)가 확실하게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코일 스프링(22)의 스프링력은, 장착시에 있어서, 로크편(32a)의 제2걸어맞춤부(27b)에 대한 걸어맞춤을 해제시킬 만큼 강한 것이 아닌 것은 물론이다.
또한, 슬리브(30)를 제1슬리브(31)와 제2슬리브(35)라고 하는 2개의 부재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제1슬리브(31) 및 제2슬리브(35)를 각각 적절한 형상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동축 케이블(40)의 접속 등의 조립도 간단한 것이 된다. 또한, 제2슬리브(35)는 외장 케이스로서도 기능하며, 로크편(32a)이나 하우징(25) 등의 내부부품을 보호한다.
그리고, 제2슬리브(35)의 외경에 대하여 제1슬리브(31)의 외경이 작기 때문에, 휴대전화기 등의 케이스에 큰 구멍을 뚫지 않고 삽입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부에 위치하는 제2슬리브(35)가 굵으므로,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으며, 장착/이탈의 작업이 하기 쉬워진다.
(제2실시예, 도 8 참조)
도 8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측정용 동축 프로브(1B)를 나타낸다. 이 측정용 동축 프로브(1B)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 사용한 캡(23)을 생략하고, 제2슬리브(35)에 천장부(37)를 형성해서 이 천장부(37)와 하우징(25)의 상단에 탑재한 디스크(21) 사이에 코일 스프링(22)을 개재시킨 것이다. 다른 구성이나 동작 및 작용 효과는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도 8에서는 도 1과 동일한 부품, 부분에는 공통하는 부호를 붙이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 도 9 참조)
또한, 상기 제1 및 제2실시예에 나타낸 코일 스프링(22)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도 9에 코일 스프링(22)을 생략한 제3실시예인 측정용 동축 프로브(1C)를 나타낸다. 이 경우, 제2슬리브(35)의 상단은 단지 캡(24)으로 덮여 있다. 다른 구성이나 동작 및 작용 효과는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도 9에서는 도 1과 동일한 부품, 부분에는 공통하는 부호를 붙이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특성측정, 도 10 참조)
다음으로, 측정용 동축 프로브를 사용해서 휴대전화기의 전기특성을 측정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휴대전화기(120)의 고주파 회로부분을 나타내며, 122는 안테나 소자, 123은 듀플렉서, 131은 송신측 아이솔레이터, 132는 송신측 증폭기, 133은 송신측 단간용 밴드패스 필터, 134는 송신측 믹서이다. 또한, 135는 수신측 증폭기, 136은 수신측 단간용 밴드패스 필터, 137은 수신측 믹서, 138은 전압제어 발진기, 139는 로컬용 밴드패스 필터이다.
안테나 소자(122)와 듀플렉서(123) 사이에 상대방 리셉터클(2)이 삽입되어 있으며, 동축 케이블(40)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측정기에 접속된 측정용 동축 프로브(1A(1B, 1C))를 장착함으로써, 휴대전화기(120)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고주파 회로부분의 전기특성을 체크한다.
(다른 실시예)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 및 측정용 동축 프로브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특히, 상대방 리셉터클의 구성, 형상은 임의이며, 일본국 특허공개 2003-123910호 공보, 동 2002-100442호 공보, 동 2001-176612호 공보 등에 기재된 상대방 리셉터클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 부싱, 중심 도체 프로브, 슬리브의 세부의 형상 등도 임의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측정용 동축 프로브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었으나, 측정용 이외의 동축 커넥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동축 케이블의 선단에 접속되며, 상대방 리셉터클에 착탈 자유로운 동축 커넥터 및 측정용 프로브에 유용하고, 특히,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대방 리셉터클에의 장착/이탈이 용이하고, 반복 사용에 견딜 수 있는 점에서 우수하다.

Claims (8)

  1. 동축 케이블의 선단에 접속되며, 상대방 리셉터클(receptacle)에 착탈(着脫) 자유로운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선단부에 상대방 리셉터클의 외부도체의 외주부에 형성된 홈부에 끼워맞춰지는 돌출부가 형성된 스프링부를 갖는 통(筒)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된 통형상의 부싱(bushing)과, 상기 부싱 내에 수납되어 상기 상대방 리셉터클의 내부단자와 접촉하는 중심 도체 프로브와, 상기 하우징의 외주부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된 통형상의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슬리브는, 상부에 상기 하우징의 외주부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로크편(lock piece)을 가지며, 또한, 하부에 상기 하우징의 스프링부의 확대를 규제하는 환상부(環狀部)를 갖고,
    상기 하우징은 그 외주부에 상기 로크편이 걸리거나 벗겨지기 가능한 제1걸어맞춤부 및 제2걸어맞춤부가 축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스프링부가 상기 상대방 리셉터클의 홈부에 끼워맞춰지기 전에는, 상기 슬리브의 로크편이 상기 제1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춰짐과 아울러 슬리브의 환상부가 하우징의 스프링부에 대한 규제를 해제한 상태에 있고,
    상기 하우징의 스프링부가 상기 상대방 리셉터클의 홈부에 끼워맞춰진 후는, 상기 슬리브의 로크편이 상기 제2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춰짐과 아울러 슬리브의 환상부가 하우징의 스프링부의 확대를 규제하는 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편은 상기 슬리브에 설치한 탄성편의 선단에 형성한 돌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걸어맞춤부 및 제2걸어맞춤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부에 형성한 환상의 홈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상기 슬리브의 통형상부에 축방향으로 형성한 복수의 슬릿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슬리브 사이에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있으며, 이 탄성부재는 상기 제1걸어맞춤부가 상기 로크편과 걸어맞춰지는 방향으로 슬리브를 부세(付勢)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로크편과 하우징의 스프링부 외주면에 접촉해서 상기 스프링부의 확대를 규제하는 환상부로 이루어지는 제1슬리브와, 상기 제1슬리브의 상부 및 하우징의 상부를 덮는 제2슬리브를 접합 일체화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슬리브의 외경에 대하여 상기 제1슬리브의 외경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도체와 실드도체(shield conductor)를 갖는 동축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도체가 상기 중심 도체 프로브에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실드도체가 상기 하우징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동축 커넥터로 이루어지며, 상대방 리셉터클에 착탈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용 동축 프로브.
KR1020077023717A 2006-01-13 2007-10-16 동축 커넥터 및 측정용 동축 프로브 KR1009058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05530 2006-01-13
JPJP-P-2006-00005530 2006-0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499A KR20080004499A (ko) 2008-01-09
KR100905888B1 true KR100905888B1 (ko) 2009-07-03

Family

ID=38256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3717A KR100905888B1 (ko) 2006-01-13 2007-10-16 동축 커넥터 및 측정용 동축 프로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56529B2 (ko)
JP (1) JP4479794B2 (ko)
KR (1) KR100905888B1 (ko)
CN (1) CN101164205B (ko)
TW (1) TWI291269B (ko)
WO (1) WO20070806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252204Y (zh) * 2008-04-30 2009-06-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KR101106350B1 (ko) * 2008-07-16 2012-01-18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동축 커넥터
CN101644733B (zh) * 2008-08-06 2011-07-27 燿华电子股份有限公司 精密型印刷电路板测试治具
EP2180326B1 (en) * 2008-10-24 2017-05-03 Tyco Electronics Services GmbH Test probe
WO2010076793A1 (en) * 2009-01-02 2010-07-08 Xtend Networks Ltd. Dual-direction connector and method for cable systems
CN102341972B (zh) * 2009-03-04 2014-08-13 株式会社村田制作所 检查用同轴连接器
KR101183809B1 (ko) 2009-04-01 2012-09-17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검사용 동축 커넥터
JP5467850B2 (ja) * 2009-12-03 2014-04-09 矢崎総業株式会社 L字型コネクタ
GB201006061D0 (en) * 2010-04-12 2010-05-26 Technetix Group Ltd Cable connector
JP5126310B2 (ja) * 2010-07-22 2013-01-2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検査用同軸コネクタ及びレセプタクル
US8043118B1 (en) * 2010-10-05 2011-10-25 Microelectronics Technology Inc. Coaxial connector with a housing with a contact member and a conductor coaxial with the housing
CN102655290A (zh) * 2011-03-03 2012-09-05 张宁 伸缩式柔性接触圆形连接器及其插头、插座
CN102866345A (zh) * 2011-07-08 2013-01-0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路板输出信号侦测装置
US8888527B2 (en) * 2011-10-25 2014-11-18 Perfectvision Manufacturing, Inc. Coaxial barrel fittings and couplings with ground establishing traveling sleeves
CN102412804A (zh) * 2011-10-27 2012-04-11 成都宏明电子股份有限公司 压接式馈通滤波器
US20130330944A1 (en) * 2012-06-07 2013-12-12 Andrew Llc Spring-loaded blind-mate electrical interconnect
US8641446B1 (en) 2012-07-27 2014-02-04 Chin Nan Precision Electronics Co., Ltd. Coaxial probe
EP2711673B1 (de) 2012-09-25 2017-03-15 VEGA Grieshaber KG Koaxialsonde mit Abschlusswiderstand und Zeitbereichsreflektometrie-Füllstandmessgerät
TWM482874U (zh) * 2014-04-01 2014-07-21 Insert Entpr Co Ltd Rf射頻連接器
KR101448705B1 (ko) * 2014-08-07 2014-10-10 주식회사 기가레인 검사용 동축 커넥터
CN107148575B (zh) * 2014-11-07 2021-03-12 株式会社村田制作所 探针
CN105067849A (zh) * 2015-09-02 2015-11-18 昆山周晋电子科技有限公司 同轴探针
CN106680540B (zh) * 2015-11-05 2020-08-21 电连技术股份有限公司 探测用的同轴连接器
WO2017125314A1 (en) * 2016-01-18 2017-07-27 Huber+Suhner Ag Highspeed board connector
EP3410143B1 (de) * 2017-05-31 2019-07-10 Siemens Healthcare GmbH Steckverbindung zum einsatz in einem magnetresonanzgerät
CN107167622B (zh) * 2017-06-22 2023-08-08 中国工程物理研究院流体物理研究所 一种弯式同轴探针组件
JP6909672B2 (ja) * 2017-08-09 2021-07-2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プローブ
CN107706606B (zh) * 2017-08-23 2019-09-17 杭州航天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垂直锁紧分离回收机构
JP6912322B2 (ja) * 2017-08-24 2021-08-04 株式会社日本マイクロニクス プローブ及びその製造方法
JP6909148B2 (ja) * 2017-12-26 2021-07-2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l型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26504B1 (ko) * 2018-03-27 2018-12-07 주식회사 기가레인 테이퍼부가 형성된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KR101926503B1 (ko) * 2018-03-27 2018-12-07 주식회사 기가레인 신호 컨택부 및 그라운드 컨택부가 연동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KR101926502B1 (ko) * 2018-03-27 2018-12-07 주식회사 기가레인 Pimd 특성이 향상된 신호 컨택부를 포함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TWI704735B (zh) * 2019-03-19 2020-09-11 群田工業有限公司 機殼內的搭接耦合極座
DE202019106150U1 (de) * 2019-11-05 2020-07-09 Ingun Prüfmittelbau Gmbh Hochfrequenz-Steckervorrichtung und Steckverbindungs-System
CN114879012B (zh) * 2022-05-13 2023-12-19 昆山兢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平面型飞针测试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8505A (ko) * 2001-11-09 2003-05-16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동축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KR20050076652A (ko) * 2004-01-20 2005-07-26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4635B2 (ja) * 2000-05-26 2007-10-24 松下電工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用レセプタクル
JP2001283952A (ja) * 2000-03-31 2001-10-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同軸コネクタプラグ
JPH0541503Y2 (ko) * 1987-12-25 1993-10-20
JPH032577U (ko) * 1989-05-30 1991-01-11
JP3127287B2 (ja) 1996-07-12 2001-01-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装置
JP3027570B1 (ja) * 1998-12-10 2000-04-04 山一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構造
EP1094565A1 (de) * 1999-10-22 2001-04-25 Huber+Suhner Ag Koaxialer Steckverbinder
JP3346360B2 (ja) 1999-12-21 2002-11-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同軸コネクタ及び通信機装置
TW488116B (en) * 2000-03-31 2002-05-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Receptacle for coaxial plug connector
JP2001338721A (ja) * 2000-05-26 2001-12-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同軸コネクタプラグ
JP3994634B2 (ja) * 2000-05-26 2007-10-24 松下電工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プラグ
JP4457478B2 (ja) 2000-09-22 2010-04-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プローブの嵌合軸補正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装置
JP2003123910A (ja) 2001-10-12 2003-04-25 Murata Mfg Co Ltd コンタクトプローブ及びこれを用いた通信装置の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8505A (ko) * 2001-11-09 2003-05-16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동축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KR20050076652A (ko) * 2004-01-20 2005-07-26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79794B2 (ja) 2010-06-09
CN101164205A (zh) 2008-04-16
KR20080004499A (ko) 2008-01-09
TW200727539A (en) 2007-07-16
JPWO2007080663A1 (ja) 2009-06-11
US7556529B2 (en) 2009-07-07
US20080044251A1 (en) 2008-02-21
CN101164205B (zh) 2011-02-16
WO2007080663A1 (ja) 2007-07-19
TWI291269B (en) 2007-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5888B1 (ko) 동축 커넥터 및 측정용 동축 프로브
KR101106350B1 (ko) 동축 커넥터
US6695636B2 (en) Lockable electrical connector
JP3704648B2 (ja) コネクタ装置
US7695302B2 (en) Electrical connector
US20070207654A1 (en) Snap-on and self-lock RF coaxial connector
JP2012113983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ユニット
JP5071587B2 (ja) 検査用同軸コネクタ
KR101177668B1 (ko) 검사용 동축 커넥터
WO2003103095A1 (en) Electrical connector
JP4543410B2 (ja) 同軸コネクタ
EP3206266B1 (en) Push on connector
JP4543411B2 (ja) 同軸コネクタ
JP2984559B2 (ja) 同軸中継コネクタ
JP2006147272A (ja) 同軸コネクタの接続構造およびそれに用いるアタッチメントスリーブ
KR200237173Y1 (ko) 통신장비용 케이블 커넥터의 록킹장치
JP2508988Y2 (ja) アンテナ接続切換装置
JPS5818222Y2 (ja) 同軸ケ−ブル用プラグ
TWM294149U (en) Plug and plug terminal for testing-purpose coaxial connector
KR20010067803A (ko) 통신장비용 케이블 커넥터의 록킹장치
GB2154380A (en) Electrical pro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