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1361A - 시트류 처리 장치와 시트류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시트류 처리 장치와 시트류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1361A
KR20050061361A KR1020040106879A KR20040106879A KR20050061361A KR 20050061361 A KR20050061361 A KR 20050061361A KR 1020040106879 A KR1020040106879 A KR 1020040106879A KR 20040106879 A KR20040106879 A KR 20040106879A KR 20050061361 A KR20050061361 A KR 20050061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s
postal matter
switchback
conveyance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6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4975B1 (ko
Inventor
히라미츠나루아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50061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1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9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65H7/06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or incorrect separation or feed
    • B65H7/1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or incorrect separation or feed responsive to double feed or separation
    • B65H7/125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or incorrect separation or feed responsive to double feed or separation sensing the double feed or separation without contacting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02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chanical grippers engaging the leading edge only of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3/00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 B65H43/04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detecting, or responding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3Modifying, selecting, changing orientation
    • B65H2301/333Inverting
    • B65H2301/3331Involving forward reverse transporting means
    • B65H2301/33312Involving forward reverse transporting means forward reverse rollers p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1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1/00Sheet feeding or delivering
    • Y10S271/902Reverse direction of sheet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시트류 방향 반전 장치는 우편물의 반송 방향을 반전시키는 스위치백부(switchback portion)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백부는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를 구비한다. 2개의 롤러의 닙(nip)으로 보내진 우편물의 반송 방향에 따른 길이를 센서에서 검출하고, 스위치백 후, 센서에서 스위치백부로부터 송출된 우편물의 반송 방향에 따른 길이를 검출하고, 중첩 이송 검출부에서 검출 결과를 비교한다. 검출 결과가 다른 경우, 중첩 이송 검출부가 우편물의 중첩 이송을 검출한다.

Description

시트류 처리 장치와 시트류 처리 방법{SHEETS PROCESSING APPARATUS AND SHEETS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취출한 시트류의 중첩 이송을 검지하는 검지부를 갖는 시트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5,505,440호(1996.4.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류를 처리하는 장치로서 우편물(postal matter)을 한 통씩 취출하여 정보를 판독하고, 우표의 위치에 날인을 압인(押印) 후, 판독 결과에 따라 스택(stack)에 각각 집적하는 우편물 처리 장치가 알려져 있다. 상기 장치는 겹친 상태에서 취출된 우편물을 적극적으로 시프트시켜서 중첩 이송을 검지하는 물림 반송부(shingler conveyor)를 갖는다. 상기 물림 반송부에서 중첩 이송을 검지한 우편물은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배제한다.
물림 반송부는 우편물을 사이에 두고 같은 방향으로 속도를 달리하여 주행하는 벨트쌍을 갖고, 상기 물림 반송부로 보내진 우편물의 반송 방향에 따른 길이를 검출하기 위한 상류측 센서 및 물림 반송부로부터 보내진 우편물의 반송 방향에 따른 길이를 검출하기 위한 하류측 센서를 갖는다.
그리고, 물림 반송부는 2개의 센서에 의해 측정한 우편물의 길이를 비교하여 길이가 다른 경우에 겹쳐진 시트류가 서로 시프트된 것을 판단하고 중첩 이송을 검지한다.
그러나, 상기 물림 반송부에서 예를 들면, 겹쳐진 상태의 2 매의 우편물을 시프트시키지만, 우편물의 반송 방향 길이가 변하는 정도로 시프트하지 못하고, 물림 반송부에서 시트류의 중첩 이송을 검지할 수 없는 경우, 반송 방향 하류측에 배치된 압인부에 우편물이 겹쳐진 상태 그대로 보내진다.
이 경우, 압인(押印)부에서 날인을 압인할 때 압인 허브측의 우편물에만 압인하거나 압인위치에 어긋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류의 중첩 이송을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는 시트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트류 처리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장치는 반송되어 온 시트류를 수용하여 역방향으로 송출함으로써 시트류의 반송 방향을 반전시키는 스위치백부, 상기 스위치백부에 수용되기 전의 상기 시트류의 반송 방향에 따른 길이를 검출하는 제 1 검출부, 상기 스위치백부로부터 송출된 후의 상기 시트류의 반송 방향에 따른 길이를 검출하는 제 2 검출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검출부에서의 검출결과가 다른 경우, 상기 시트류가 중첩 이송인 것을 검출하는 제 1 중첩 이송 검출부로 구성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시트류 처리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장치는 제 1 방향으로 반송되어 온 시트류를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의 제 2 방향으로 반송하도록 상기 시트류의 반송 방향을 반전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방향으로 반송되는 상기 시트류의 반송 방향에 따른 길이를 검출하는 단계, 반송 방향이 반전되어 상기 제 2 방향으로 반송되는 상기 시트류의 반송 방향에 따른 길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으로 반송되는 상기 시트류의 반송 방향에 따른 길이가 다른 경우, 상기 시트류가 중첩 이송인 것을 검출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류 처리 장치로서 우편물 처리 장치(100)(이하 간단하게 "처리 장치(100)"라 함)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처리 장치(100)는 우편물(M)(시트류)의 반송 방향에 따라 공급부(101), 검지부(102)(제 2 중첩 이송 검출부), OCR 스캐너부(103), 반전부(104), 스위치백부(105), 압인부(106) 및 구분 집적부(107)를 구비하고, 각 부를 통해서 우편물(M)을 반송하는 반송부(108)를 구비한다. 또, 처리 장치(100)는 장치에 여러가지 조작을 지시하고, 또 동작 모드의 전환입력이나 이상표시 등을 하는 도시하지 않은 조작패널을 구비한다. 또, 검지부(102)에서 우편물(M)의 중첩 이송이 검지된 경우, 상기 우편물(M)을 배제하는 제 1 배제부(102')를 검지부(102)의 근방에 설치하고 있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중첩 이송검지부(110)에서 우편물(M)의 중첩 이송이 검지된 경우, 상기 우편물(M)을 배제하는 제 2 배제부(107')를 구분 집적부(107)의 일부로서 설치하고 있다.
공급부(101)는 소정범위 내의 두께를 갖고, 또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일정한 폭을 갖는 대량의 정형 우편물(M)(반송 방향에 따른 길이는 다를 경우가 있다)을 수용하고, 1 통씩 취출하여 다음 단계의 처리부로 공급한다. 반송부(108)는 공급된 우편물(M)을 다음단계의 처리부(102~107)를 통해서 반송한다.
검지부(102)는 반송부(108)에 의해 반송된 우편물(M)에 포함되는 금속, 이물(異物) 및 경물(硬物)을 검지하고, 또 우편물(M)의 2 매 취득(즉 중첩 이송)이나 숏 갭(short gab)(선행하여 반송되는 제 1 우편물(M)의 후단과 상기 우편물(M)에 이어서 반송되는 후행의 제 2 우편물(M)의 선단과의 거리가 소정 거리보다도 짧다)을 검지한다. 금속, 이물 또는 경물이 검지된 우편물(M), 2 매 취득 즉 중첩 이송이 검지된 우편물(M) 및 숏 갭이 검지된 우편물(M)은 각각 제 1 배제부(102')로 배제된다. 특히, 검지부(102)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5,505,440호(1996.4.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편물(M)을 사이에 끼워서 같은 방향으로 서로 다른 속도로 주행하는 벨트쌍에 의해 중첩 이송된 우편물(M)을 시프트하기 위한 물림 반송부(shingler conveyor)를 구비하고, 상기 물림 반송부로 들여 보내는 우편물(M)의 반송 방향에 따른 길이와 물림 반송부로부터 송출되는 우편물(M)의 길이를 비교하여 중첩 이송을 검출한다.
OCR 스캐너부(103)는 우편물(M)의 표면을 광학적으로 판독하여 광전(光電)변환하고, 우편물(M)에 기재되어 있는 우편번호나 수취인 주소 등의 구분 정보를 화상으로 취득한다. 또, OCR 스캐너부(103)는 우편물(M)에 붙어있는 우표(postage stamp) 또는 요금인면(postal indicia)의 유무 및 위치를 검출한다. 공급부(101)를 통해 공급되는 우편물(M)의 방향(앞뒤상하)이 가지런하지 않으므로 OCR 스캐너부(103)는 우편물(M)의 양면을 판독하기 위해 적어도 2개의 스캐너부를 구비한다.
반전부(104)는 우편물(M)의 반송 방향을 따라 연장된 중심축을 중심으로 우편물(M)을 180˚비틀며 반송하는 반전 패스(reversion path)(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즉, 반전부(104)에서는 우편물(M)의 반송 방향을 바꾸지않고 앞뒤만을 반전시킨다. 또, 반전부(104)는 들여 보낸 우편물(M)을 반전 패스로 보내지 않고, 우회시키기 위한 우회 반송로(straight path)(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스위치백부(105)는 반송되는 우편물(M)을 수용하여 역방향으로 송출함으로써 우편물(M)의 반송 방향을 반전시키는 스위치백 기구(후에 상술함)를 구비한다. 스위치백부(105)도 상술한 반전부(104)와 동일하게 스위치백 기구를 우회하는 우회 반송로(후에 상술함)를 구비한다.
압인부(106)는 반송되는 우편물(M)의 한쪽 표면에 전접하여 회전하는 도시하지 않은 압인 허브(hub)를 구비한다. 압인부(106)에서는 상기 압인 허브를 우표의 부위에 전접시켜 날인을 압인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인부(106)로 반송되는 모든 우편물(M)이 반전부(104) 및 스위치백부(105)를 통과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앞뒤 및 상하가 정리되어 있으므로 압인 허브를 반송로의 한 측에만 설치했다.
구분 집적부(107)는 OCR 스캐너부(103)에서 검출한 구분 정보에 따라 각 우편물(M)을 소정의 구분 위치로 구분 집적한다. 또, 구분 집적부(107)는 상술한 스위치백부(105)에서 중첩 이송이 검출된 우편물(M)을 압인부(106)에 의한 압인을 금지하여 배제하는 제 2 배제부(107')를 구비한다.
그런데, 상술한 반전부(104) 및 스위치백부(105)는 앞뒤 및 상하가 가지런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급된 모든 우편물(M)을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뒤 및 상하를 정리하여 압인부(106)로 들여 보내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면, 도 2에서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OCR 스캐너부(103)에서 검출된 우편물(Ma)은 반전부(104)의 스트레이트 패스를 통과한 후, 스위치백부(105)의 스트레이트 패스를 통과하여, 그대로의 상태로 압인부(106)로 보내진다. 또, 도 2에서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검출된 우편물(Mb)은 반전부(104)의 반전 패스를 통과한 후, 스위치백부(105)의 스위치백 패스를 통과하여, 우편물(Ma)과 같은 상태가 되어 압인부(106)로 보내진다. 또, 도 2에서 C로 나타낸 바와 같이 검출된 우편물(Mc)은 반전부(104)의 반전 패스를 통과한 후, 스위치백부(105)의 스트레이트 패스를 통과하여, 우편물(Ma)과 같은 상태가 되어 압인부(106)로 보내진다. 또, 도 2에서 D로 나타낸 바와 같이 검출된 우편물(Mb)은 반전부(104)의 스트레이트 패스를 통과한 후, 스위치백부(105)의 스위치백 패스를 통과하여, 우편물(Ma)과 같은 상태가 되어 압인부(106)로 보내진다. 즉, 반전부(104) 및 스위치백부(105)를 통과한 모든 우편물(M)은 동일한 상태가 되어 압인부(106)로 공급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스위치백부(105)의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스위치백부(105)는 우편물(M)을 도면 중 화살표(T) 방향으로 반송하는 주반송로(1)를 구비한다. 주반송로(1)를 통해서 스위치백부(105)로 보내지는 모든 우편물(M)은 상술한 OCR 스캐너부(103)에서 우표의 위치가 검출된다. 또 스위치백부(105)에 보내지는 우편물(M)은 반전부(104)에서 필요에 따라 앞뒤반전된다.
주반송로(1)의 한 측(도 3 중 하측)에는 제 1 처리부(2) 및 제 2 처리부(4)가 반송 방향(T)을 따라서 병설되어 있다. 또, 주반송로(1)에는 주반송로(1)를 통해 반송되는 우편물(M)을 각각 제 1 처리부(2) 및 제 2 처리부(4)로 분기 반송하기 위한 전환 게이트(G1 및 G2)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처리부(2)는 게이트(G1)를 통해 주반송로(1)에서 분기 반송된 우편물(M)을 수용하여 역방향으로 송출함으로써 우편물(M)의 반송 방향을 반전시키는 제 1 스위치백 기구(2a) 및 상기 제 1 스위치백 기구(2a)에 의해 스위치백된 우편물(M)을 통과시키는 제 1 U턴 패스(2b)를 구비한다. 즉, 제 1 처리부(2)로 분기 반송된 우편물(M)은 먼저 스위치백되고, 그 후 U턴 반송된다. 그리고 제 1 처리부(2)를 통과하여 반송 방향이 반전된 우편물(M)은 제 1 및 제 2 처리부(2 및 4)의 도면 중 아래부분에서 주반송로(1)와 대략 평행하게 연장된 배출 반송로(6)를 통해 도면 중 화살표(T') 방향으로 반송되어 압인부(106)로 보내진다.
제 2 처리부(4)는 게이트(G2)를 통해 주반송로(1)에서 분기 반송된 우편물(M)을 통과시키는 제 2 U턴 패스(4a) 및 상기 제 2 U턴 패스(4a)를 통과한 우편물(M)을 수용하여 역방향으로 송출함으로써 상기 반송 방향을 반전시키는 제 2 스위치백 기구(4b)를 구비한다. 즉 제 2 처리부(4)에 분기 반송된 우편물(M)은 먼저 U턴 반송되고, 그 후 스위치백된다. 그리고, 제 2 처리부(4)를 통과하여 반송 방향이 반전된 우편물(M)은 합류부(7)를 통해서 배출 반송로(6)에 안내되어 압인부(106)으로 보내진다.
또, 주반송로(1)는 2개의 게이트(G1 및 G2)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의 합류부(8)를 통해 상술한 합류부(7)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배출 반송로(6)에 접속되어 있다. 합류부(8)의 상류측의 주반송로(1)는 드럼 롤러(1a) 및 U턴 패스(1b)(우회 반송로, 스트레이트 패스)를 통해서 만곡되어 있다. 그리하여 게이트(G1 및 G2)를 통과하여 제 1 및 제 2 처리부(2 및 4)를 거치지 않은 우편물(M)은 앞뒤 및 위아래가 반전됨 없이 주반송로(1) 및 배출 반송로(6)를 통해서 압인부(106)로 보내진다. 또, 상술한 각 반송로의 길이 및 제 1 및 제 2 스위치백 기구(2a 및 4b)에서의 처리 시간은, 주반송로(1)를 통해 스위치백부(105)로 보내진 모든 우편물(M)이 배출 반송로(6)의 합류부(8)까지 같은 시간으로 반송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스위치백부(105)에서는 제 1 처리부(2)의 제 1 스위치백 기구(2a)가 제 2 처리부(4)의 제 2 U턴 패스(4a)의 내측에 네스트(nest)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제 2 처리부(4)의 제 2 스위치백 기구(4b)가 제 1 처리부(2)의 제 1 U턴 패스(2b)의 내측에 네스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바꿔서 말하면, 제 1 스위치백 기구(2a)와 제 2 스위치백 기구(4b)가 오버랩(overlap)되도록 배치되고, 제 1 U턴 패스(2b)와 제 2 U턴 패스(4a)가 오버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한쪽의 처리부에서 우편물(M)을 스위치백시킨 후 앞뒤반전시키고, 다른쪽의 처리부에서 우편물(M)을 앞뒤반전시킨 후 스위치백시키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처리부(2, 4)의 늘어선 방향에 따른 장치의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고, 장치 구성을 소형화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스위치백부(105)와 같이, 한쪽 처리부의 U턴 패스 내측에 다른쪽 처리부의 스위치백 기구를 네스트 형상으로 배치하는 구조를 채용한 경우, 장치 사이즈를 효과적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합류부(8)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서 배출 반송로(6)를 드럼 롤러(9)에 돌려감아서 U턴시키고, 스위치백부(105)에 대한 우편물(M)의 공급위치(10a)와 배출위치(10b)가 스위치백부(105)의 도면 중 좌측에 오도록 한다.
또, 상기 스위치백부(105)는 각 반송로상에 우편물(M)의 통과를 검지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를 갖는다. 즉, 게이트(G1)의 반송 방향 상류측의 주반송로(1)상에는 센서(S1)가 배치되고, 게이트(G1)와 게이트(G2) 사이의 주반송로(1)상에는 센서(S2)가 배치되며, 게이트(G1)에서 제 1 처리부(2)를 향해 분기된 반송로상에는 센서(S3)(제 1 검출부)가 배치되고, 게이트(G2)에서 제 2 처리부(4)를 향해 분기된 반송로상에는 센서(S4)(제 1 검출부)가 배치되고, 배출 반송로(6)상에 센서(S5)(제 2 검출부)가 배치되며, 우편물(M)의 배출위치(10b) 근처에 센서(S6)가 배치되어 있다.
이하, 상술한 스위치백 기구(2a)에 대해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는 상술한 제 1 스위치백 기구(2a)의 상세한 구조를 평면도에 도시하고 있다. 또, 도 5에는 제 1 스위치백 기구(2a)를 우편물(M)을 보내는 방향(도면 4 중 화살표(A) 방향)에서 본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또, 제 2 스위치백 기구(4b)는 제 1 스위치백 기구(2a)를 좌우로 반전한 구조를 하고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제 1 스위치백 기구(2a)를 대표하여 설명하고, 제 2 스위치백 기구(4b)의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스위치백 기구(2a)(이하, 간단히 "스위치백 기구(2a)"라 함)는 모터(12)(도면 5)에 의해 정역(正逆) 양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 롤러(14) 및 종동 롤러(16)를 구비한다. 각 롤러(14, 16)는 반송로(13)를 통해서 서로 압접하고 있다. 또, 스위치백 기구(2a)는 2개의 롤러(14 및 16) 사이의 닙(N)을 통해 반송로(13)의 하면측을 따라서 연장된 가이드판(21)을 구비한다.
구동 롤러(14)는 대략 연직(鉛直)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회전축(14a) 및 2개의 롤러부(14b 및 14c)를 구비한다. 2개의 롤러부(14b 및 14c)는 회전축(14a)을 따라서 상하로 이간되어 회전축(14a)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14a)의 기단부(基端部)는 스위치백부(105)의 본체(11)에 회전가능 또는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즉, 본체(11)에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베어링을 조립한 하우징(15)이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을 통해서 회전축(14a)이 연장 설치되어 있다. 또, 하우징(15)을 통해서 연장된 회전축(14a)의 기단부는 모터(12)의 회전축에 직결되어 있다.
한편, 종동 롤러(16)는 본체(11)에 고정 설치된 회전축(16a)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축(16a)은 본체(11)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는다. 회전축(16a)에는 탄성변형가능한 재료에 의해 형성된 2개의 롤러부(16b 및 16c)(후술함)가 축방향으로 이간되어 설치되고, 각각 회전축(16a)에 대하여 독립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즉, 2개의 롤러부(16b, 16c)는 각각 2개의 베어링(17)을 통해 회전축(16a)에 장착되어 있다. 또, 2개의 롤러부(16b 및 16c)는 대향하는 구동 롤러(14)의 상술한 2개의 롤러부(14b 및 14c)에 각각 전접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구동 롤러(14)와 종동 롤러(16)의 축간거리는 반송로(13)를 통해 각 롤러부(14b, 16b 및 14c, 16c)가 압접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2개의 롤러(14 및 16)의 회전축(14a 및 16a)을 각각 고정적인 위치관계로 본체(11)에 장착했으므로 종동 롤러(16)의 롤러부(16b 및 16c)를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변형시킴으로써 양자간에 억압력을 발생시키게 한다. 또, 종동 롤러(16)의 롤러부(16b 및 16c)를 탄성변형시킴으로써 우편물(M)의 통과를 허용하고 있다.
또, 스위치백 기구(2a)는 닙(N)을 향해 우편물(M)을 도면 중 화살표(A) 방향으로 들여보내는 반입 반송로(22) 및 닙(N)으로부터 역방향, 즉 도면 중 화살표(B) 방향으로 우편물(M)을 내보내는 반출 반송로(23)를 구비한다. 즉, 스위치백 기구(2a)는 반입 반송로(22)를 통해서 우편물(M)을 화살표(A) 방향으로 반송하고, 또 반출 반송로(23)를 통해서 우편물(M)을 화살표(B) 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 기구(25)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 기구(25)는 복수의 반송 롤러(26) 및 이들 반송 롤러(26)에 돌려 감겨서 확장 설치된 복수의 무단 형상의 반송 벨트(27)를 구비한다.
또, 반입 반송로(22)상에는 우편물(M)의 통과를 검지하는 상술한 센서(S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센서(S3)는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통과한 후 반송 방향 후단이 통과할 때까지의 시간에 기초하여 우편물(M)의 반송 방향에 따른 길이를 검출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센서(S3)는 구동 롤러(14)의 감속, 정지 및 가속 타이밍을 취득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고, 또 우편물(M)의 중첩 이송을 검출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또, 상술한 센서(S5)도 센서(S3)와 동일하게 기능하며, 우편물(M)의 반송 방향에 따른 길이를 검출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또, 닙(N)의 전후에는 센서(32 및 3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2개의 센서(32 및 33)는 닙(N)에서의 우편물(M) 유무를 검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조의 스위치백 기구(2a)는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반송 기구(25)에 의해 반입 반송로(22)를 통해 우편물(M)이 화살표(A) 방향으로 보내지면, 센서(S3)에 의해 우편물(M)의 통과가 검지되어 반송 방향에 따른 길이가 검출되고, 구동 롤러(14)와 종동 롤러(16)간의 닙(N)에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이 돌입한다. 이 때, 구동 롤러(14)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종동 롤러(16)는 구동 롤러(14)와 같은 방향으로 종동 회전한다. 우편물(M)이 닙(N)을 통과할 때에는 종동 롤러(16)의 롤러부(16b 및 16c)는 우편물(M)을 따라 탄성변형한다.
그리고, 우편물(M)이 닙(N)에 돌입한 후, 소정의 타이밍에서 구동 롤러(14)가 감속되어 우편물(M)이 정지된다. 상기 상태를 도 4에 도시하고 있다. 이 때, 종동 롤러(16)는 관성력에 의해 계속하여 회전하려 한다.
우편물(M)이 정지된 후, 레버(28)가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구에 의해 도 4에 도시한 상태로 회동되고, 정지하고 있는 우편물(M)의 도면 중 좌단부를 두드린다. 레버(28)는 그 후 센서(29)에 의해 상기 레버의 홈포지션(도시하지 않음)으로 복귀된다. 이로 인해, 상기 단부가 아래 방향으로 지향되어, 반전 동작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구동 롤러(14)가 역방향으로 가속회전하여, 닙(N)에서 협지 구속되어 정지되어 있는 상태의 우편물(M)이 화살표(B) 방향으로 가속되고, 반송 기구(25)에 인도되어 반출 반송로(23)를 통해 반출된다. 이에 의해, 우편물(M)의 반송 방향이 역전된다. 또, 구동 롤러(14)에 의해 우편물(M)을 역방향으로 가속할 때, 종동 롤러(16)는 그 관성력에 의해 계속해서 정지하려 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종동 롤러(16)의 롤러부(16b)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롤러부(16c)는 롤러부(16b)와 똑같은 구조를 갖으므로 여기에서는 롤러부(16b)에 대해서 대표하여 설명한다.
롤러부(16b)는 구동 롤러(14)의 롤러부(14b)에 접촉하는 외측의 제 1 층을 고무(41)(중실탄성체(solid elastic body))로 형성하고, 내측의 제 2 층을 스폰지(42)(발포탄성체)로 형성한 탄성변형이 가능한 2 층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전축(16a)의 외측에, 여기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을 통해서 알루미늄 금속 코어(43)를 설치하고, 금속 코어(43)의 외측에 스폰지(42)를 설치하고, 스폰지(42)의 외측에 고무(41)를 설치했다. 또, 고무(41)의 두께(t1)를 2[mm]로 하고, 스폰지(42)의 두께(t2)를 13[mm]로 하고, 금속 코어(43)의 직경을 20[mm]로 하고, 롤러부(16b)의 직경을 50[mm]로 했다. 또, 롤러부(16b)의 폭은 15[mm]로 했다. 또, 구동 롤러(14)의 롤러부(14b 및 14c)도 종동 롤러(16)의 롤러부(16b 및 16c)의 고무(41)와 같은 고무재료로 형성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동 롤러(16)를 구동 롤러(14)에 대해 압접한 상태로 고정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우편물(M)이 닙(N)에 돌입했을 때, 종동 롤러(16)가 반송로(13)로부터 뛰어오르지 않는다. 즉, 이 때 종동 롤러(16)가 우편물(M)의 두께에 따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하고, 닙(N)을 통과하는 우편물(M)에 대해 항상 억압력을 제공하며 협지 반송한다. 이로 인하여 구동 롤러(14)에 의한 반송력이 우편물(M)에 대해 효과적으로 전달되고, 우편물(M)의 반송 속도의 변동이 억제된다.
여기에서, 도 7을 참조하여, 우편물(M)이 닙(N)에 돌입할 때의 종동 롤러(16)(롤러부(16b)) 및 우편물(M)의 거동에 대해서 고찰한다. 또, 종동 롤러(16)는 우편물(M)이 닙(N)에 도달하기 전의 상태에서는 구동 롤러(14)에 전접하여 구동력이 전달되므로 도면 중 화살표 방향으로 종동 회전하고 있다.
우편물(M)이 닙(N)에 돌입하면 롤러부(16b)가 눌려져 우편물(M)이 구동 롤러(14)의 롤러부(14b)와의 사이에 서서히 끼워진다. 이 때, 롤러부(16b)는 우편물(M)에 대해서 롤러 표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의 힘(R)을 부여한다. 이로 인하여, 우편물(M)에는 우편물(M)을 반송 방향(도면 중 화살표(T)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되밀려고 하는 반력(R cosθ)이 작용한다. 상기 반력(R cosθ)은 우편물(M)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커진다.
그런데, 우편물(M)은 롤러부(14b)의 회전에 기초하는 반송력(F)과 롤러부(16b)의 회전(종동 회전)에 기초하는 반송력(F')에 의해 화살표(T) 방향으로 반송된다. 이로 인하여, 우편물(M)에 작용하는 반송력(F 및 F')의 합력이 반력(R cosθ)보다 충분히 크다면 우편물(M)은 정상적으로 반송되지만, 반송력(F 및 F')이 작아지면 반송 불량을 일으킨다.
즉, 롤러부(14b 및 16b)의 우편물(M)에 대한 동마찰계수(dynamic friction coefficient)가 낮으면 반송력(F 및 F')이 작아지고, 상술한 반력(R cosθ)의 영향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우편물(M)을 정상적으로 반송하기 위해서는 반송력(F 및 F'), 즉 각 롤러부(14b 및 16b)의 우편물(M)에 대한 동마찰계수를 가능한한 크게 할 필요가 있다.
또, 정상적인 반송 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동마찰계수를 크게 하는 것 이외에 반력(R cosθ)이 작아지도록 롤러부(16b)의 탄력성을 약하게 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본 실시형태에서 롤러부(16b)는 스폰지(42)를 내측에 갖는 2 층 구조를 갖는다. 또, 스폰지(42)의 경도(硬度) 및 두께는 쌍방 상호작용에 의해 우편물(M)로의 추종 변형 성능과 적절한 억압을 얻기 위한 필요조건이 된다. 경도가 너무 딱딱하거나 또는 두께가 너무 얇은 경우는 추종 변형이 곤란해지고, 반송 불량을 일으키거나 우편물(M)이나 구동 롤러(14)(주변부재를 포함)에 피해를 주게 된다. 즉, 상술한 스위치백부(105)에 의해 우편물(M)을 정상적으로 반전시키기 위해서는 롤러부(16b)의 동마찰계수, 경도, 두께 등을 적절한 값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조의 스위치백부(105)에 의해 두께가 불균일한 우편물(M)을 반전시키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 특히 2개의 롤러(14 및 16)의 거동에 주목하여 설명한다. 또, 여기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방향을 따라서 상방에 있는 2개의 롤러부(14b 및 16b)에 의해 협지반송되는 측(도면 중 상측)의 두께가 하방에 있는 2개의 롤러부(14c 및 16c)에 의해 협지 반송되는 측(도면 중 하측)보다 두꺼운 불균일한 두께의 우편물(M)을 반송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동 롤러(16)의 롤러부(16b 및 16c)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구동 롤러(14)의 롤러부(14b 및 14c) 간의 닙(N)을 통과하는 우편물(M)의 두께에 따라서 그 변형량이 변화한다. 본 동작예의 경우, 우편물(M)의 두꺼운 측을 협지 반송하는 롤러부(16b) 쪽이 얇은 측을 협지반송하는 롤러부(16c)보다 변형량이 크다. 다시 말하면, 이 경우 롤러부(16b)의 외관상의 반경이 롤러부(16c)의 외관상의 반경보다 작아진다.
이로 인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두께가 불균일한 우편물(M)이 반송로(13)를 통해 보내져 닙(N)을 통과할 때, 반경이 작은 롤러부(16b)의 각속도(角速度)가 반경이 큰 롤러부(16c)의 각속도보다 커진다. 즉, 각 롤러부(16b 및 16c)가 우편물(M)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외주면의 주행 속도가 같으므로 반경이 작은 롤러부(16b) 쪽이 각속도가 커진다. 각속도가 다른 반면, 각 롤러부(16b 및 16c)의 외주 주행속도, 즉 주속도(周速度)는 같아진다.
반대로, 각 롤러부(16b 및 16c)가 회전축(16a)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경우, 각 롤러부(16b 및 16c)의 각속도가 물리적으로 같아지므로 반경이 다른 2개의 롤러부(16b 및 16c)의 주속도에 차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2개의 롤러부(16b 및 16c)의 주속도에 차를 발생시키면 우편물(M)을 반송하는 반송속도에 차를 발생시키게 되며, 우편물(M)에 주름이나 스큐(skew)를 발생시키고, 최악의 경우에는 우편물(M)에 손상을 입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롤러부(16b 및 16c)를 회전축(16a)에 대해 독립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했다. 따라서, 각 롤러부(16b 및 16c)의 각속도를 다르게 할 수 있고, 두께가 불균일한 우편물(M)에 대응할 수 있게 되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종동 롤러(16)의 동축(同軸)에 설치된 2개의 롤러부(16b 및 16c)를 회전축(16a)에 대해 독립하여 회전가능하게 했으므로, 두께가 불균일한 우편물(M)을 협지 반송하는 경우라도 우편물(M)에 주름이나 스큐를 일으키지 않으며, 파손 등의 나쁜 상태를 일으키지 않고 우편물(M)을 확실히 반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중첩 이송된 우편물(M)을 상술한 스위치백부(105)에서의 물림 동작(shingler operation)에 대해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도 8 내지 도 11에서 도시 간략화를 위해 센서(S3)와 센서(S5)를 같은 위치에 나타내고 있다.
스위치백부(105)에서의 우편물(M)의 물림 동작은 스위치백부(105)가 상술한 바와 같이 반전 동작을 하고 있는 동안에 함께 이루어진다. 여기에서는 상술한 제 1 스위치백 기구(2a)에서의 우편물(M) 물림 동작에 대해 대표하여 설명하지만, 제 2 스위치백 기구(4b)에서도 동일하게 우편물(M)을 시프트시킬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의 선단이 거리(ℓ1)로 시프트된 상태로 겹쳐진 2 매의 우편물(M1 및 M2)이 센서(S3)를 통과하여 제 1 스위치백 기구(2a)로 보내지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의 선단이 거리(ℓ1)로 시프트된 상태 그대로 2 매의 우편물(M1 및 M2)이 겹쳐져 구동 롤러(14)와 종동 롤러(16) 간의 닙(N)에 돌입한다. 우편물(M1 및 M2)이 닙(N)에 돌입할 때, 종동 롤러(16)는 구동 롤러(14)를 따라 회전하며, 구동 롤러(14)와 같은 주속으로 회전한다.
다음으로, 구동 롤러(14)가 우편물(M1 및 M2)을 반전하기 위해 소정의 타이밍에서 감속을 개시하면, 구동 롤러(14)에 접속하고 있는 우편물(M1)도 동시에 감속을 개시한다. 한편, 종동 롤러(16)에 접촉하고 있는 우편물(M2)은 관성력에 의해 계속해서 등속 회전하려 하는 종동 롤러(16)에 지배되어 등속 상태로 계속해서 이동하려 한다. 이 때, 각 롤러(14 및 16)와 우편물(M1 및 M2) 간의 마찰 계수가 우편물(M1 및 M2) 간의 마찰 계수보다 크므로 감속되는 우편물(M1)에 대해 등속을 유지하려 하는 우편물(M2)이 시프트된다.
또, 구동 롤러(14)가 정지했을 때도 종동 롤러(16)의 관성력에 의해 우편물(M2)은 계속해서 이동하려고 하므로 2 매의 우편물(M1 및 M2)은 더 시프트되고, 그 결과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프트된 상태의 우편물(M1 및 M2) 선단 간의 거리는 거리 (ℓ2)가 된다. 거리(ℓ2)는 거리(ℓ1)보다 짧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지한 구동 롤러(14)가 역회전을 시작하면 이번에는 종동 롤러(16)가 그 관성력에 의해 계속해서 정지하려 하므로 종동 롤러(16)에 지배되어 있는 우편물(M2)은 계속해서 정지하려고 한다. 이 때, 2 매의 우편물(M1 및 M2)은 더 시프트된다. 그 결과, 시프트된 상태의 우편물(M1 및 M2) 선단(이동방향의 후단)간의 거리는 거리(ℓ3)가 된다.
또,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롤러(14) 측의 우편물(M1)의 이동 방향 후단이 닙(N)을 통과하면, 지금까지 종동 롤러(16)에 의해 지배되던 우편물(M2)이 구동 롤러(14)에 접촉한다. 그 후, 시프트된 우편물(M2)이 구동 롤러(14)와 종동 롤러(16)에 의해 협지구속되어 반송력을 얻어 역방향으로 송출되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프트된 상태의 우편물(M1 및 M2) 후단 간의 거리는 거리가 (ℓ4)가 되어 이동된다. 거리(ℓ4)는 거리(ℓ3)보다 길다.
상기와 같이, 겹쳐진 상태에서 스위치백 기구(2a)로 보내진 우편물(M1 및 M2)은 통상의 반전 동작 동안에 자동적으로 확실히 시프트된다. 이와 같이, 스위치백 기구(2a)에서 2 매의 우편물(M1 및 M2)이 시프트되면 겹쳐진 상태의 우편물(M1 및 M2)의 반송 방향에 따른 길이가 변화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우편물(M1 및 M2)의 길이를 스위치백 기구(2a)의 전후에 설치한 센서(S3(제 2 스위치백 기구(4b)의 경우에는 센서(S4)) 및 S5)에서 검출하고, 그 길이변화를 중첩 이송 검출부(110)(제 1 중첩 이송 검출부)에서 검출함으로써 우편물(M)의 중첩 이송을 검출하도록 했다. 그리고 중첩 이송 검출부(110)에서 중첩 이송이 검출된 우편물(M1 및 M2)은 압인부(106)에 의한 압인이 금지되고, 구분 집적부(107)에 있는 제 2 배제부(107')로 배제된다.
그런데, 상술한 검지부(102)에서도 우편물(M)의 중첩 이송을 검출하여 제 1 배제부(102')로 배제하도록 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상술한 2 매의 우편물(M1 및 M2)이 물림 반송부에서 시프트된 후,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의 우편물(M1)에 다른쪽의 우편물(M2)이 완전히 겹쳐진 상태 그대로 송출된 경우, 검지부(102)에서는 우편물(M1 및 M2)의 반송 방향에 따른 길이의 변화를 검출하지 않으므로 중첩 이송을 검출할 수 없다. 즉, 검지부(102)의 물림 반송부에서의 시프트(shift) 방향 및 시프트 양에 따라서 도 8에 나타낸 상태가 될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지부(102)에서 중첩 이송이 검출되지 않은 우편물(M1 및 M2)이 그대로 압인부(106)에 보내지면 압인 허브 측의 우편물에만 압인되거나 정규 위치에 압인이 되지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와 같이 스위치백부(105)에서 우편물(M)의 중첩 이송을 검출함으로써 검지부(102)에서 중첩 이송을 검출할 수 없었던 우편물(M)도 확실히 물려서 검출할 수 있다. 특히, 검지부(102)에서의 우편물(M)의 시프트 방향과 스위치백 기구(2a, 4b)에서의 우편물(M)의 시프트 방향을 같은 방향으로 함으로써 검지부(102)에서 시프트된 우편물(M)을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보다 확실하게 우편물을 시프트할 수 있다.
이하, 도 14에 나타낸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스위치백부(105)의 중첩 이송 검출 기능을 이용하여 중첩 이송한 우편물(M)을 처리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공급부(101)에서 우편물(M)이 취출되면(단계 S1), OCR 스캐너부(103)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우편물(M)을 스위치백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단계 S2).
"단계 S2"의 판단 결과, 상기 우편물(M)을 스위치백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단계 S2:예), 상기 우편물(M)이 스위치백부(105)의 스위치백 패스를 통과하여, 그 반송 방향이 반전된다(단계 S4).
이 때, 센서(S3 또는 S4)에 의해 스위치백 패스로 보내진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 선단 및 후단의 통과가 검지되고(단계 S3), 반송속도 및 통과시간으로부터 중첩 이송 검출부(110)에 의해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에 따른 길이가 검출된다. 또, 이 때, 센서(S5)에 의해 스위치백 패스를 통과하여, 스위치백부(105)로부터 송출된 상기 우편물(M)의 선단 및 후단 통과가 검지되고(단계 S5), 중첩 이송 검출부(110)에 의해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에 따른 길이가 검출된다.
그리고, 중첩 이송 검출부(110)에서는 "단계 S3"에서 검출한 길이와 "단계 S5"에서 검출한 길이를 비교하여 검출한 길이가 같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6:예), 1 매의 우편물(M)이 정상적으로 반송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상기 우편물(M)이 그 상태 그대로 압인부(106)로 보내져 날인이 압인되고(단계 S7), OCR 스캐너부(103)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서 소정의 구분 집적부에 집적한다(단계 S8).
한편, "단계 S2"의 판단 결과, 상기 우편물(M)을 스위치백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되면(단계 S2:아니오), 상기 우편물(M)이 스위치백부(105)의 스트레이트 패스를 통과하여 압인부(106)로 보내지고, "단계 S7"의 압인 처리 및 "단계 S8"의 구분 집적 처리가 이루어진다.
또, "단계 S6"의 판단 결과, 중첩 이송 검출부(110)에서 스위치백 전후의 상기 우편물(M)의 반송 방향에 따른 길이가 다르다고 판단된 경우(단계 S6:아니오), 상기 우편물(M)이 중첩 이송되어 있다고 판단하여, 압인부(106)를 통과시켜서 압인을 금지할 뿐 아니라(단계 S9), 상기 우편물(M)을 구분 집적부(107)의 제 2 배제부(107')로 배제한다(단계 S10).
다음으로, 제 2 배제부(107')로 배제된 우편물(M)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단계 S11), 배제된 우편물이 있다고 판단되면(단계 S11:예), 소정의 타이밍에서 동작이 정지되어 오퍼레이터에 의해 제 2 배제부(107')로부터 우편물(M)이 취출되고, 수작업에 의해 재공급된다(단계 S12). 한편, "단계 S11"의 판단 결과, 배제집적부에 우편물(M)이 없다는 것이 판단되면(단계 S11:아니오) 동작이 종료된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단계에서는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요소를 변형하여 구체화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 개시되어 있는 복수의 구성요소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여러가지 발명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에 나타난 전체 구성요소에서 몇가지의 구성요소를 삭제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스위치백부로서 구동 롤러에 종동 롤러를 압접한 구성을 예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한쪽의 벨트가 다른쪽 벨트에 대해 종동하는 벨트 쌍을 구비한 스위치백부이어도 좋다.
또, 중첩 이송된 우편물(M)을 시프트하는 방향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시트류는 우편물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시트류인 지폐, 유가증권 등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시트류 처리 장치는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갖고있으므로 중첩 이송된 시트류를 스위치백부에서 시프트할 수 있어, 시트류의 중첩 이송을 쉽고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으며, 또 압인부에서의 압인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시트류 처리 방법에 의하면, 시트류의 중첩 이송을 쉽고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으며, 또 압인 불량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류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우편물의 앞뒤 및 위아래를 가지런히 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시트류 처리 장치에 조립되는 스위치백부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위치백부의 한쪽 스위치백 기구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위치백 기구의 측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스위치백 기구의 종동 롤러의 롤러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의 사이에 우편물이 돌입할 때의 거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은 스위치백부에 겹쳐진 우편물이 들여 보내지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스위치백부에서 회전하고 있는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의 닙에 겹쳐진 우편물이 협지되어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10은 구동 롤러의 회전이 정지하고, 종동 롤러가 관성으로 계속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11은 종동 롤러의 회전이 정지하고, 구동 롤러가 역회전하기 시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12는 구동 롤러의 역회전에 따라서 종동 롤러도 종동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13은 2 통의 우편물이 시프트된 상태로 스위치백부로부터 떨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및
도 14는 스위치백부의 중첩 이송검출기능을 이용하여 우편물을 처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공급부 102 : 검지부
103 : OCR 스캐너부 104 : 반전부
105 : 스위치백부 106 : 압인부
107 : 구분 집적부 108 : 반송부
102': 제 1 배제부 107': 제 2 배제부

Claims (10)

  1. 반송되어 온 시트류를 수용하여 역방향으로 송출함으로써 시트류의 반송 방향을 반전시키는 스위치백부,
    상기 스위치백부에 수용되기 전의 상기 시트류의 반송 방향에 따른 길이를 검출하는 제 1 검출부,
    상기 스위치백부로부터 송출된 후의 상기 시트류의 반송 방향에 따른 길이를 검출하는 제 2 검출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검출부에서의 검출 결과가 다른 경우, 상기 시트류가 중첩 이송인 것을 검출하는 제 1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류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백부는 상기 시트류의 한 측에서 정역 양방향으로 회전구동되는 구동 롤러 및
    상기 구동 롤러와의 사이에 상기 시트류를 끼운 상태로 상기 시트류에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류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류를 공급하는 공급부,
    공급된 상기 시트류를 반송하는 반송부,
    상기 스위치백부로부터 송출된 상기 시트류에 압인하는 압인부 및
    상기 제 1 중첩 이송 검출부에서 중첩 이송인 것이 검출된 상기 시트류를 상기 압인부에 의한 압인을 금지하여 배제하는 제 1 배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류 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공급된 상기 시트류의 중첩 이송을 검출하는 제 2 중첩 이송 검출부 및
    상기 제 2 중첩 이송 검출부에서 중첩 이송인 것이 검출된 상기 시트류를 배제하는 제 2 배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류 처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백부는 상기 시트류의 한 측에서 정역 양방향으로 회전구동되는 구동 롤러 및
    상기 구동 롤러와의 사이에 상기 시트류를 끼운 상태로 상기 시트류에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류 처리 장치.
  6. 제 1 방향으로 반송되어 온 시트류를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의 제 2 방향으로 반송하도록 상기 시트류의 반송 방향을 반전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방향으로 반송되는 상기 시트류의 반송 방향에 따른 길이를 검출하는 단계,
    반송 방향이 반전되어 상기 제 2 방향으로 반송되는 상기 시트류의 반송 방향에 따른 길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으로 반송되는 상기 시트류의 반송 방향의 길이가 다른 경우, 상기 시트류가 중첩 이송인 것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류 처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류의 반송 방향을 반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시트류의 한 측에서 정역 양방향으로 회전구동되는 구동 롤러 및
    상기 구동 롤러와의 사이에 상기 시트류를 끼운 상태로 상기 시트류에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 롤러를 포함하는 스위치백부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류 처리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류를 공급하는 단계,
    공급된 상기 시트류를 상기 제 1 방향으로 반송하는 단계,
    반전되어 상기 제 2 방향으로 반송되는 상기 시트류에 압인하는 단계 및
    중첩 이송인 것이 검출된 상기 시트류에의 압인을 금지하여 배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류 처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공급되어 상기 제 1 방향으로 반송되는 상기 시트류의 중첩 이송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방향으로 반송되는 시트류가 중첩 이송으로 검출된 경우, 상기 제 1 방향으로 반송되는 상기 시트류를 배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류 처리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류의 반송 방향을 반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시트류의 한 측에서 정역 양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구동 롤러 및
    상기 구동 롤러와의 사이에 상기 시트류를 끼운 상태로 상기 시트류에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 롤러를 포함하는 스위치백부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류 처리 방법.
KR1020040106879A 2003-12-17 2004-12-16 시트류 처리 장치와 시트류 처리 방법 KR1005649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19463A JP4256251B2 (ja) 2003-12-17 2003-12-17 紙葉類方向反転装置、および紙葉類押印装置
JPJP-P-2003-00419463 2003-1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361A true KR20050061361A (ko) 2005-06-22
KR100564975B1 KR100564975B1 (ko) 2006-03-28

Family

ID=34510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6879A KR100564975B1 (ko) 2003-12-17 2004-12-16 시트류 처리 장치와 시트류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201370B2 (ko)
EP (1) EP1544145B1 (ko)
JP (1) JP4256251B2 (ko)
KR (1) KR100564975B1 (ko)
CA (1) CA2490457C (ko)
DE (1) DE602004013908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2394A (ja) * 2003-09-11 2005-03-31 Toshiba Corp 紙葉類の反転制御装置
JP4230887B2 (ja) * 2003-11-06 2009-02-25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処理装置
JP4256251B2 (ja) * 2003-12-17 2009-04-22 株式会社東芝 紙葉類方向反転装置、および紙葉類押印装置
JP2007246261A (ja) 2006-03-17 2007-09-27 Toshiba Corp スイッチバック機構、スイッチバック装置、およびスイッチバック方法
JP5540884B2 (ja) * 2010-05-19 2014-07-0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
JP5772513B2 (ja) * 2011-10-31 2015-09-0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338131B2 (ja) * 2018-04-03 2023-09-05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媒体搬送装置、画像読取り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7338A (ja) * 1982-03-24 1983-10-03 Nec Corp 紙葉類の2通送り検知装置
JPH0710322A (ja) * 1993-06-25 1995-01-13 Toshiba Corp 紙葉類搬送装置
US6419222B1 (en) * 2000-12-12 2002-07-16 Xerox Corporation Sheet inverting apparatus and method
DE10142331C1 (de) * 2001-08-30 2003-03-27 Siemens Dematic Ag Verfahren und Anordnung zum Erkennen von Überlappungen
JP2003095505A (ja) * 2001-09-21 2003-04-03 Toshiba Corp スイッチバック装置
FR2842127A1 (fr) * 2002-07-11 2004-01-16 Solystic Procede de detection de prises multiples dans une installation de tri postal
JP4145638B2 (ja) * 2002-11-27 2008-09-03 株式会社東芝 紙葉類の反転制御装置及び紙葉類の反転制御方法
EP1452471B1 (en) 2003-02-25 2006-05-17 Kabushiki Kaisha Toshiba Paper-like material conveying apparatus
JP4230887B2 (ja) * 2003-11-06 2009-02-25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処理装置
JP4256251B2 (ja) * 2003-12-17 2009-04-22 株式会社東芝 紙葉類方向反転装置、および紙葉類押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178945A (ja) 2005-07-07
CA2490457C (en) 2007-04-17
KR100564975B1 (ko) 2006-03-28
EP1544145B1 (en) 2008-05-21
DE602004013908D1 (de) 2008-07-03
US20050133985A1 (en) 2005-06-23
EP1544145A1 (en) 2005-06-22
JP4256251B2 (ja) 2009-04-22
US20070267807A1 (en) 2007-11-22
US7201370B2 (en) 2007-04-10
CA2490457A1 (en) 200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3769B1 (ko) 지엽류 취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지엽류 처리 장치
JPH0270639A (ja) 紙葉類の斜行修正方法
JP2006193286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該装置のジャム検出方法
US20070267807A1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sheet processing method
US4420151A (en) Overlapping feed detection device in sheet-processing machine
JP4342249B2 (ja) 紙葉類分離搬送装置
GB2279634A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card-like articles
US4993700A (en) Facing mechanism for sheet feeder
US5692743A (en) Paper transport apparatus
JP6764367B2 (ja) 紙葉類斜行補正装置
KR20070028242A (ko) 종이 시트 취출 장치
US7694953B2 (en) Sheets processing apparatus
JP2007246261A (ja) スイッチバック機構、スイッチバック装置、およびスイッチバック方法
JPH0753079A (ja) 紙葉類搬送装置
JP4226751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4630532B2 (ja) 紙葉類方向変換機構
JPH05266316A (ja) カード類の重送検知装置
JPH07232847A (ja) 紙葉類の方向転換装置
JPS62218355A (ja) 紙葉類集積装置
JP3661042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2806762B2 (ja) 紙葉類搬送装置
JPH09221249A (ja) 紙葉類の搬送装置
JPH0236033B2 (ko)
JPH06321384A (ja) ローラによるシート材搬送装置
JPH01127555A (ja) 紙葉類反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