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1315A - 양두식 필기구 - Google Patents

양두식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1315A
KR20050061315A KR1020040104906A KR20040104906A KR20050061315A KR 20050061315 A KR20050061315 A KR 20050061315A KR 1020040104906 A KR1020040104906 A KR 1020040104906A KR 20040104906 A KR20040104906 A KR 20040104906A KR 20050061315 A KR20050061315 A KR 20050061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pen tip
holding member
reservoir
ink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4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8391B1 (ko
Inventor
오오이케시게루
Original Assignee
파일롯트 잉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41878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17805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418780A external-priority patent/JP397137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43245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18651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0902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02706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0024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199695A/ja
Application filed by 파일롯트 잉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일롯트 잉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61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1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3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7/00Multiple-point writing implements, e.g. multicolour; 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 B43K27/08Combinations of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005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02Ink reservoirs
    • B43K5/025Ink reservoirs with multiple col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05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03Pen barr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양단이 개구하는 축통을 투명성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축통의 내부에 격벽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격벽에 의해 상기 축통 내부에 상기 축통의 일단으로부터 개구하는 제 1잉크탱크와, 상기 축통의 타단으로부터 개구하는 제 2잉크탱크를 마련하고, 상기 제 1잉크탱크와 상기 제 2잉크탱크를 서로 연통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며, 상기 제 1잉크탱크의 개구부에 제 1펜끝과 접속되는 제 1잉크보류부재를 마련하고, 상기 제 1잉크보류부재 뒤쪽의 제 1잉크탱크내에 제 1잉크저류부를 마련하며, 상기 제 1잉크저류부내에 제 1잉크를 저류하고, 상기 제 1잉크보류부재는 상기 제 1잉크저류부내의 압력상승에 따른 넘쳐나는 잉크를 일시적으로 보지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2잉크탱크의 개구부에 제 2펜끝과 접속되는 제 2잉크보류부재를 마련하고, 상기 제 2잉크보류부재의 뒤쪽의 제 2잉크탱크내에 제 2잉크저류부를 마련하며, 상기 제 2잉크저류부내에 제 2잉크를 저류하고, 상기 제 2잉크보류부재가 상기 제 2잉크저류부내의 압력상승에 따른 넘쳐나는 잉크를 일시적으로 보지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격벽을 축방향으로 연설하고 상기 격벽을 통해 제 1잉크저류부와 제 2잉크저류부를 지름방향으로 서로 겹치는 중층상태로 구성하고, 상기 격벽의 두께를 C로 하며 상기 격벽과 접속하는 축통측벽의 두께를 D로 할 때,
0.2≤C/D≤2.5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식 필기구.

Description

양두식 필기구{WRITING IMPLEMENTS OF DOUBLE HEAD TYPE }
본 발명은 축통의 양단에 펜끝을 구비한 직액타입의 양두식 필기구에 관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앞」이라 함은 제 1잉크탱크에 있어서 제 1펜끝측을 가리키고, 제 2잉크탱크에 있어서 제 2펜끝측을 가리키며, 「뒤」라 함은 제 1잉크탱크에 있어서 제 1잉크탱크 저류부측을 가리키고, 제 2잉크탱크측에 있어서 제 2잉크저류부측을 가리킨다.
종래 이런 종류의 양두식 필기구에 관해 예를들어 일본국 특개 2002-36786호 공보에는 펜끝과 펜끝 홀더와 잉크탱크를 고정한 직액구조의 펜끝유닛을 축통 양단측에 착탈이 자유롭도록 부착한 필기구가 개시되고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 2002-36786호에는 펜끝, 커버시트, 클립, 색별밴드를 잉크탱크에 넣는 잉크와 동일색으로 착색시킴과 동시에 잉크탱크, 펜끝커버, 캡을 투명한 합성수지 형성품으로 형성하는 것이 개시되고 있다.
상기 일본국 특개 2002-36786호의 필기구는 2개의 잉크수납부내의 각각의 잉크가 전후로 떨어져 시인(視認)된다. 특히 일본국 특개 2002-36786호의 필기구는 잉크수납부내에 공기가 많이 존재하면 어느 한쪽의 펜끝을 아래를 향하도록 한 경우, 상기 각각의 잉크전후의 거리가 멀어져 외관적으로 좋지 않다. 게다가 일본국 특개 2002-36786호의 필기구는 필통등에 수용진열상태의 경우 필통 등의 외부로 돌출하는 상측의 펜끝의 잉크색은 볼 수 있다고 해도 필통 등의 내부에 수용된 하측의 펜끝의 잉크색을 볼 수 없어 사용자에게 불편을 줄 염려가 있다.
또 일본국 특개 2002-36786호의 필기구는 외부로부터 잉크를 식별하도록 하기 위해 잉크와 동일한 색으로 착색한 클립이나 색별밴드 등의 별도 부재(색표시부재)를 캡에 부착하는 구조이다. 그 때문에 부품점수가 증가하고 제조원가가 상승한다. 게다가 상기 일본국 특개 2002-36786호의 필기구는 각각의 캡이 잉크색을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캡은 그 잉크색과 동일한 펜끝측에만 장착해야 하므로 잘못하고 상기 캡을 그 잉크색과 다른 반대측의 펜끝측에 장착하면 오히려 사용자의 잉크색의 식별에 혼란이 일어나게 될 염려가 있다.
또한 상기 일본국 특개 2002-36786호의 필기구는 잉크탱크의 잉크수납부의 저면이 축선에 대해 수직면이 되고 있다. 그 때문에 잉크탱크의 잉크수납부에 잉크를 충전할 때 충전노즐로부터의 잉크가 잉크수납부의 저면에 충돌하고, 그 충돌에 의한 튄 잉크가 외부로 튈 염려가 있다. 특히 양두식 필기구의 경우 잉크탱크의 개구부로부터 저면까지의 축선방향의 길이가 비교적 짧게 설정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잉크의 비산(飛散)이 일어나기 쉽다.
또 상기 일본국 특개 2002-36786호의 양두식 필기구는 잉크보류부재의 후단으로부터 돌출하는 유도심의 후단부와, 잉크액면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되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펜끝이 위를 향한 상태에서 장기간 보관된 경우 펜끝내의 잉크가 드롭백하거나 유도심내의 모세틈이 잉크의 건조에 의해 막힘을 일으켜, 상기 위를 향한 상태로 한 측의 펜끝에 있어서 필기불능이나 필적비백(飛白) 등의 잉크유출불량이 발생할 염려가 있다. 상기 종래의 양두식 필기구에 있어서 양측의 펜끝이 잉크보류부재를 구비한 직액타입인 경우, 필기구를 입설상태에서 보관할 때 필연적으로 어느 한쪽의 펜끝이 위를 향한 상태가 되고 상기 펜끝이 위를 향한 상태의 장기간 보관에 의해 상기 위를 향하게 된 펜끝에 있어서 잉크유출불량이 일어나기 쉽다. 또 양두식 필기구에 있어서 한쪽만의 펜끝이 잉크보류부재를 구비한 직액타입인 경우라도 필기구를 입성상태에서 장기간 보관할 때 상기 잉크유출불량을 회피하기 위해 상기 직액타입의 펜끝측이 위를 향한 상태가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또 상기 일본국 특개 2002-36786호의 양두식 필기구는 잉크저류부 내의 잉크잔량이 적어진 경우 필기구를 수평상태나 펜끝이 기울여 위쪽을 향해 사용하면 유도심과 잉크저류부내의 잉크와의 접촉상태가 불충분하게 되어 필기불능이나 필적비백 등의 잉크유출 불량이 발생할 염려가 있다.
또 본 발명과 같은 격벽을 축방향으로 연설한 구성의 경우 축통의 성형시, 격벽을 성형하는 금형의 코어핀이 수지압력에 의해 지름방향 안쪽으로 휘어 격벽에 구성이 뚫리거나 내면이 격벽과 접속되는 축통측벽의 외면에 드롭이 발생할 염려가 있다. 특히 상기 축통측벽의 외면에 드롭이 존재하면 축통 외면에 가식인쇄를 실시할 경우 인쇄불량의 원인이 될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1)본원의 제 1발명의 양두식 필기구(1)는 양단이 개구하는 축통(2)을 투명성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축통(2)의 내부에 격벽(3)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격벽(3)에 의해 상기 축통(2) 내부에 상기 축통(2)의 일단으로부터 개구하는 제 1잉크탱크(5A)와, 상기 축통(2)의 타단으로부터 개구하는 제 2잉크탱크(5B)를 마련하고, 상기 제 1잉크탱크(5A)와 상기 제 2잉크탱크(5B)를 서로 연통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며, 상기 제 1잉크탱크(5A)의 개구부에 제 1펜끝(4A)과 접속되는 제 1잉크보류부재(6A)를 마련하고, 상기 제 1잉크보류부재(6A)의 뒤쪽의 제 1잉크탱크(5A)내에 제 1잉크저류부(7A)를 마련하며, 상기 제 1잉크저류부(7A)내에 제 1잉크(8A)를 저류하고, 상기 제 1잉크보류부재(6A)는 상기 제 1잉크저류부(7A)내의 압력상승에 따른 넘쳐나는 잉크를 일시적으로 보지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2잉크탱크(5B)의 개구부에 제 2펜끝(4B)과 접속되는 제 2잉크보류부재(6B)를 마련하고, 상기 제 2잉크보류부재(6B)의 뒤쪽의 제 2잉크탱크(5B)내에 제 2잉크저류부(7B)를 마련하며, 상기 제 2잉크저류부(7B)내에 제 2잉크(8B)를 저류하고, 상기 제 2잉크보류부재(6B)가 상기 제 2잉크저류부(7B)내의 압력상승에 따른 넘쳐나는 잉크를 일시적으로 보지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격벽(3)을 축방향으로 연설하여 상기 격벽(3)을 통해 제 1잉크저류부(7A)와 제 2잉크저류부(7B)를 지름방향으로 서로 겹치는 중층상태로 구성하고, 상기 격벽(3)의 두께를 C로 하며 상기 격벽(3)과 접속하는 축통(2)측벽의 두께를 D로 했을 때,
0.2≤C/D≤2.5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청구항 1)을 요건으로 한다.
상기 청구항 1의 양두식 필기구(1)는 격벽(3)을 축방향으로 연설하고, 상기 격벽(3)을 통해 제 1잉크저류부(7A)와 제 2잉크저류부(7B)를 지름방향으로 서로 겹치는 중층상태로 구성한 것에 의해 제 1잉크저류부(7A)내의 제 1잉크(8A)와 제 2잉크저류부(7B)내의 제 2잉크(8B)를 외부로부터 근접하여 볼 수 있어, 외관성이 좋아진다. 게다가 상기 청구항 1의 양두식 필기구(1)는 필통 등에 수용진열상태의 경우라도 상기 필통 등의 위쪽으로부터 노출하는 제 1잉크저류부(7A) 및 제 2잉크저류부(7B)를 동시에 알 수 있으며, 제 1잉크저류부(7A)내의 제 1잉크(8A)의 색 및 제 2잉크저류부(7B)내의 제 2잉크(8B)의 색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또 상기 청구항 1의 양두식 필기구(1)는 양단이 개구하는 축통(2)의 내부에 격벽(3)을 일체로 형성하고, 축통(2)에 직접, 제 1잉크탱크(5A)와 제 2잉크탱크(5B)를 형성함으로써 부품점수가 감소하여 제조원가를 저가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구항 1의 양두식 필기구(1)는 격벽(3)과 접속하는 축통(2) 측벽의 두께(D)에 대한 격벽(3)의 두께(C)의 비(C/D)는 0.2≤C/D≤2.5(바람직하게는 0.3≤C/D≤1.5)의 관계를 만족함으로써 축통(2)의 성형시, 격벽(3)을 성형하는 금형의 코어핀이 지름방향 안쪽으로 휘어 격벽(3)에 구멍이 뚫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음과 동시에 격벽(3)과 접속하는 축통(2)측벽의 외면에 드롭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3)과 접속하는 축통(2)측벽의 두께(D)라 함은 축방향으로 연설된 격벽(3)이 존재하는 영역내에서의 격벽(3)과의 연결부분 이외의 축통(2)측벽의 두께이다.
상기 C/D가 0.2보다 작은 경우(즉 C/D<0.2의 경우), 격벽(3)의 두께(C)가 격벽(3)과 접속하는 축통(2)측벽의 두께(D)에 비교하여 너무 작아져 성형시 수지의 미충전에 의해 격벽(3)에 구멍이 뚫릴 염려가 있다. 한편 상기 C/D가 2.5보다 큰 경우(즉 C/D > 2.5의 경우), 격벽(3)의 두께(C)는 격벽(3)과 접속하는 축통(2)측벽의 두께(D)에 비교하여 너무 커져 격벽(3)이 접속되는 축통(2)측벽의 외면에 드롭이 발생할 염려가 있다.
(2)상기 청구항 1의 양두식 필기구(1)에 있어서 격벽(3)과 접속하는 축통(2)측벽의 외면에 인쇄층(21)을 마련한 것(청구항 2)이 바람직하다.
상기 청구항 2의 양두식 필기구(1)는 격벽(3)과 접속하는 축통(2)측벽의 외면에 드롭의 발생이 억제되는 청구항 1의 구성과 더불어 격벽(3)과 접속하는 축통(2)측벽의 외면에 인쇄불량이 없는 적정한 인쇄층(21)을 확실하게 마련할 수 있다.
(3)상기 청구항 1의 양두식 필기구(1)에 있어서 상기 제 1잉크저류부(7A)와 제 2잉크저류부(7B)에 서로 다른 색의 잉크(8A)(8B)를 저류하여 이루어지는 것(청구항 3)이 바람직하다.
상기 청구항 3의 양두식 필기구(1)는 제 1잉크저류부(7A)와 제 2잉크저류부(7B)를 격벽(3)을 통해 지름방향으로 서로 겹치도록 마련함과 동시에 제 1잉크저류부(7A)와 제 2잉크저류부(7B)에 서로 다른 색의 잉크를 저류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에 의해 잉크저류부내의 2색의 잉크를 근접하여 시각할 수 있기 때문에 외관성이 좋아진다. 게다가 상기 청구항 3의 양두식 필기구(1)는 필통 등에 수용진열상태의 경우에서도 상기 필통 등의 위쪽으로부터 노출하는 제 1잉크저류부(7A)와 제 2잉크저류부(7B)를 동시에 시각할 수 있어 2색의 조합(즉 2색의 잉크가 어떤 색과 어떤색의 조합인가)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로 다른 색의 잉크조합은 양쪽이 서로 다른 유색잉크인 경우와, 한쪽이 유색잉크이고 또한 다른쪽이 무색잉크무색의 액체)인 경우를 들 수 있다.
(4)상기 청구항 3의 양두식 필기구(1)에 있어서 상기 제 1펜끝(4A)측의 축통(2)에 착탈이 자유로운 제 1캡(9A)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제 2펜끝(4B)측의 축통(2)에 착탈이 자유로운 제 2캡(9B)을 구비하고, 상기 제 1캡(9A) 및 제 2캡(9B)을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료에 의해 구성하며, 상기 제 1펜끝(4A)을 제 1잉크저류부(7A)내의 잉크와 동색으로 착색함과 동시에 상기 제 2펜끝(4B)을 제 2잉크저류부(7B)내의 잉크와 동 색으로 착색하며, 상기 제 1캡(9A) 및 제 2캡(9B)을 축통(2)의 양단에 장착할 때 상기 제 1펜끝(4A) 및 제 2펜끝(4B)을 외부로부터 시인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청구항 4)이 바람직하다.
상기 청구항 4의 양두식 필기구(1)는 제 1캡(9A) 및 제 2캡(9B)에 색표시부재를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게 되고 제조원가를 억제할 수 있어 저가로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청구항 1의 제 1잉크저류부(7A)와 제 2잉크저류부(7B)가 격벽(3)을 통해 지름방향으로 서로 겹치는 구조의 경우, 펜끝의 잉크색의 식별이 잉크저류부를 보는 것 만으로는 곤란하지만 청구항 4의 제 1캡(9A) 및 제 2캡(9B)을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료에 의해 구성했기 때문에 제 1캡(9A) 및 제 2캡(9B)을 장착한 상태에서 제 1펜끝(4A) 및 제 2펜끝(4B)의 잉크색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펜끝을 잉크와 동 색으로 착색한다는 것은 예를들어 외부로부터 잉크색이 식별가능하도록 펜끝에 잉크를 함침 또는 펜끝 외면에 잉크를 부착시켜 외부로부터 시인하도록 하는 구성, 펜끝 외면에 잉크와 대략 동 색으로 착색하는 구성 또는 펜끝 외면을 보지하는 펜끝 홀더를 잉크와 거의 동 색으로 착색하는 구성등을 들 수 있다.
(5) 상기 청구항 4의 양두식 필기구(1)에 있어서 상기 제 1캡(9A)이 제 1펜끝(4A)측 및 제 2펜끝(4B)측의 어디에도 장착가능하며 또한 상기 제 2캡(9B)은 제 1펜끝(4A)측 및 제 2펜끝(4B)측의 어디에도 장착가능한 것(청구항 5)이 바람직하다.
상기 청구항 5의 양두식 필기구(1)는 제 1캡(9A) 및 제 2캡(9B)은 제 1펜끝(4A)측 및 제 2펜끝(4B)측의 어느 한 펜끝측에도 장착가능한 구성(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1캡(9A)의 감합부의 형상과 제 2캡(9B)의 감합부의 형상이 동일하며 또한 제 1잉크탱크(5A)의 감합부의 형상과 제 2잉크탱크(5B)의 감합부의 형상이 동일한 것)에 의해 제 1캡(9A) 및 제 2캠(9B)을 어느 한 펜끝측에 장착해도 잉크색의 식별에 혼란이 일어나지 않고 잉크색의 식별이 용이하게 됨과 동시에 사용자가 제 1캡(9A)과 제 2캡(9B)을 구별하여 각각의 펜끝에 장착하는 수고를 줄일 수 있다.
(6) 상기 청구항 3, 4 또는 5의 양두식 필기구(1)에 있어서, 제 1펜끝(4A) 또는 제 2펜끝(4B)을 아래로 향하게 했을 때 제 1잉크저류부(7A)내의 잉크(8A)와 제 2잉크저류부(7B)내의 잉크(8B)를 좌우로 시인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청구항 6)이 바람직하다.
제 1펜끝(4A) 또는 제 2펜끝(4B)을 아래로 향하게 했을 때(즉 제 1펜끝(4A) 또는 제 2펜끝(4B)의 한쪽을 아래를 향하게 하고 다른쪽을 위를 향하게 한 경우), 상하로 2색의 잉크가 이간되기 쉽지만 상기 청구항 6의 양두식 필기구(1)는 충분한 양의 잉크가 충전되고 제 1펜끝(4A) 또는 제 2펜끝(4B)을 아래를 향하도록 한 경우에도 2색의 잉크를 격벽(3)을 통해 좌우로(즉 지름방향으로)시인할 수 있어 더욱 더 2색의 잉크가 지름방향으로 겹치는 근접한 상태에서의 시인이 확실하게 된다. 그 결과 사용자구입시, 필통등에 수용진열상태의 경우라도 제 1잉크저류부(7A)와 제 2잉크저류부(7B)를 동시에 시인할 수 있어 외관적이 양호함을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더욱 더 2색의 조합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7) 상기 청구항 1의 양두식 필기구(1)에 있어서 상기 격벽(3)의 제 1잉크저류부(7A)측의 내면 및 상기 격벽(3)의 제 2잉크저류부(7B)측의 내면에, 축선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면(321)(331)(341)을 마련한 것(청구항 7)이 바람직하다.
상기 청구항 7의 양두식 필기구(1)는 축선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면(321)(331)(341)(즉 축선에 대해 수직이 아닌 면)을 격벽(3)의 내면에 마련함으로써 잉크충전시, 잉크가 격벽(3)에 충돌해도 제 1잉크탱크(5A)의 개구부 및 제 2잉크탱크(5B)의 개구부로부터 잉크가 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8) 상기 청구항 7의 양두식 필기구(1)에 있어서 상기 격벽(3)의 일단이 제1 잉크보류부재(6A) 근방의 축통(2)측벽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격벽(3)의 타단이 제 2잉크보류부재(6B)근방의 축통(2)측벽에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청구항 8)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제 1잉크탱크(5A)의 축선방향의 길이 및 제 2잉크탱크(5B)의 축선방향의 길이를 비교적 길게 설정할 수 있어 잉크충전시의 잉크의 비산을 더욱 더 방지할 수 있다.
(9) 상기 청구항 7 또는 8의 양두식 필기구(1)에 있어서 상기 격벽(3)이 축선방향으로 뻗는 중앙벽부(31)와, 이 중앙벽부(31)의 양단에 접속되고 또한 축통(2)측벽에 접속되는 축선에 대해 경사진 저벽부(32)(33)로 이루어지는 것(청구항 9)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제 1잉크탱크(5A)의 축선방향의 길이 및 제 2잉크탱크(5B)의 축선방향의 길이를 비교적 길게 설정할 수 있으며, 잉크충전시의 잉크의 비산을 더욱 더 방지할 수 있다.
(10) 상기 청구항 7, 8 또는 9의 양두식 필기구(1)에 있어서 상기 제 1잉크탱크(5A)의 개구부측으로부터 격벽(3)을 본 경우 및 상기 제 2잉크탱크(5B)의 개구측으로부터 격벽(3)을 본 경우 중 어느 한 경우도 격벽(3)의 대략 전 영역에 경사면(321)(331)(341)이 시인되는 것(청구항10)이 바람직하다.
그것으로부터 격벽(3)에 축선에 대해 수직인 면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잉크충전시의 잉크의 비산을 더욱 더 방지할 수 있다.
(11) 상기 청구항 1의 양두식 필기구(1)에 있어서 상기 제 1펜끝측의 축통(2)의 외면에 장착가능한 제 1캡(9A)과, 상기 제 2펜끝측의 축통(2)의 외면에 장착가능한 제 2캡(9B)을 구비하고,
상기 제 1잉크탱크(5A)가 앞쪽으로 개구하는 제 1대경부(51A)와, 상기 격벽(3)에 의해 소경화되고, 상기 제 1대경부(51A)의 뒤쪽에 연설되는 제 1소경부(52A)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대경부(51A)내에 제 1펜끝(4A)과 접속되는 제 1잉크보류부재(6A)를 마련하고, 상기 제 1잉크보류부재(6A)의 뒤쪽의 제 1잉크탱크(5A)내에 제 1잉크(8A)를 직접 저류하는 제 1잉크저류부(7A)를 마련하며,
상기 제 2잉크탱크(5B)는 앞쪽으로 개구하는 제 2대경부(51B)와, 상기 격벽(3)에 의해 소경화되고, 상기 제 2대경부(51B)의 뒤쪽으로 연설되는 제 2소경부(52B)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대경부(51B)내에 제 2펜끝(4B)과 접속되는 제 2잉크보류부재(6B)를 마련하고, 상기 제 2잉크보류부재(6B)의 뒤쪽의 제 2잉크탱크(5B)내에 제 2잉크(7B)를 직접 저류하는 제 2잉크저류부(7B)를 마련하며,
제 1소경부(52A)내의 제 1잉크(7A) 및 제 2소경부(52B)내의 제 2잉크(7B)를 시인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제 1캡(9A)과의 감합부를 제 1소경부(52A)보다 앞쪽위치의 축통(2)에 마련하며, 상기 제 2캡(9B)과의 감합부를 제 2소경부(52B)보다 앞쪽위치의 축통(2)에 마련한 것(청구항 11)을 요건으로 한다.
상기 청구항11의 양두식 필기구(1)는 제 1소경부(52A)내의 제 1잉크(7A)와 제 2소경부(52B)내의 제 2잉크(7B)를 외부로부터 근접하여 시각할 수 있어 외관성이 양호하게 된다. 게다가 상기 청구항11의 양두식 필기구(10)는 필통등에 수용진열상태의 경우라도 상기 필통 등의 위쪽으로부터 노출하는 제 1소경부(52A)와 제 2소경부(52B)를 동시에 시각할 수 있으며 제 1잉크(7A)의 색과 잉크(7B)의 색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구항11의 양두식 필기구(1)는 길이방향으로 연설된 격벽(3)을 내부에 갖는 축통(2)의 외면에는 드롭이 발생하기 쉽다. 그 때문에 격벽(3)이 존재하는 축통(2)의 외면에 캡의 감합부를 마련하면 드롭에 의해 적정한 감합부를 형성할 수 없어 캡과의 감합불량을 일으키기 쉽다. 그러나 상기 청구항11의 양두식 필기구(1)는 캡과의 감합부를 제 1소경부(52A)보다도 앞쪽위치의 축통(2)에 마련함과 동시에 제 2소경부(52B)보다도 앞쪽위치의 축통(2)에 마련함으로써 내부에 격벽(3)이 존재하는 축통(2)의 외면에 드롭이 발생한다고 해도 캡과의 적정한 감합을 얻을 수 있다.
(12) 상기 청구항11의 양두식 필기구(1)에 있어서 제 1캡(9A)을 제 1펜끝(4A)측의 축통(2)의 외면에 장착했을 때 상기 제 1캡(9A)의 후단이 제 1소경부(52A)보다 앞쪽에 위치하고, 제 2캡(9B)을 제 2펜끝(4B)측의 축통(2)의 외면에 장착했을 때 상기 제 2캡(9B)의 후단이 제 2소경부(52B)보다 앞쪽에 위치하여 이루어지는(청구항12)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청구항 12의 양두식 필기구(1)는 상기 구성에 의해 제 1캡(9A)을 제 1펜끝(4A)측에 장착해도 상기 제 1캡(9A)이 제 1소경부(52A)를 피복하지 않고 제 2캡(9B)을 제 2펜끝(4B)측에 장착해도 제 2캡(9B)이 제 2소경부(52B)의 외면을 피복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제 1잉크(7A) 및 제 2잉크(7B)를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음과 동시에 더욱 더 뛰어난 외관성을 얻을 수 있다.
(13) 상기 청구항11 또는 12의 양두식 필기구(1)에 있어서 상기 감합부는 타넘는 결합부(511A)(511B)와 기밀씨일부(512A)(512B)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넘는 결합부(511A)(511B)를 제 1대경부(51A)의 외면 및 제 2대경부(51B)의 외면에 마련하며, 상기 기밀씨일부(512A)(512B)를 제 1대경부(51A)의 전단부 및 제 2대경부(51B)의 전단부에 마련한 것(청구항13)이 바람직하다.
상기 청구항13의 양두식 필기구(1)는 청구항11의 구성과 더불어 타넘는 결합부(511A)(511B) 및 기밀씨일부(512A)(512B)에 드롭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더욱 더 적정한 캡감합구조를 얻을 수 있다. 또 기밀씨일부(512A)(512B)를 제 1대경부(51A)의 전단부 및 제 2대경부(51B)의 전단부에 마련함으로써 캡장착시의 캡내의 공기의 압축을 될 수 있는 대로 적게할 수 있다.
(14) 청구항 1의 양두식 필기구(1)에 있어서 상기 제 1잉크보류부재(6A)의 축심에 제 1잉크저류부(7A)로부터 제 1펜끝(4A)으로 제 1잉크(8A)를 공급하는 제 1유도심(61A)을 삽입하여 장착하고, 상기 제 1유도심(61A)의 후단부를 제 1잉크보류부재(6A)의 후단으로부터 뒤쪽으로 돌출시키며, 상기 제 2잉크보류부재(6B)의 축심에 제 2잉크저류부(7B)로부터 제 2펜끝(4B)으로 제 2잉크(8B)를 공급하는 제 2유도심(61B)을 삽입하여 장착하고, 상기 제 2유도심(61B)의 후단부를 제 2잉크보류부재(6B)의 후단부로부터 뒤쪽으로 돌출시키며, 상기 제 1펜끝(4A)이 위를 향할 때에는 상기 제 1유도심(61A)의 후단부와 상기 제 1잉크(8A)가 접촉상태에 있고, 상기 제 2펜끝(4B)이 위를 향할 때에는 상기 제 2유도심(61B)의 후단부와 상기 제 2잉크(8B)가 접촉상태에 있는 것(청구항14)이 바람직하다.
상기 청구항14의 양두식 필기구(1)는 제 1펜끝(4A)을 위를 향한 상태에서 장기간 보관한 경우, 제 1유도심(61A)의 후단부와 제 1잉크(8A)가 접촉상태에 있으므로(즉 제 1유도심(61A)의 후단이 제 1잉크(8A)의 액면으로부터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제 1펜끝(4A)내의 드롭백이나 건조에 의해 막힘을 회피하고 제 1펜끝(4A)에 있어서 잉크유출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청구항14의 양두식 필기구(1)는 제 2펜끝(4B)을 위를 향한 상태에서 장기간 보관한 경우, 제 2유도심(61B)의 후단부와 제 2잉크(8B)가 접촉상태에 있기 때문에(즉 제 2유도심(61B)의 후단이 제 2잉크(8B)의 액면으로부터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제 2펜끝(4B)의 드롭백이나 건조에 의해 막힘을 회피하고, 제 2펜끝(4B)에 있어서 잉크유출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펜끝(4A) 및 제 2펜끝(4B)은 예를들어 섬유가공체, 다공질체, 모필체, 합성수지의 압출성형체, 볼펜칩, 만년필모양의 금속판제 펜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 1유도심(61A) 및 제 2유도심(61B)은 예를들어 합성수지의 압출성형체, 섬유의 수지가공체를 들 수 있다. 또 상기 제 1유도심(61A) 및 제 2유도심(61B)은 펜끝을 겸하는 구성이라도 된다.
(15) 상기 청구항14의 양두식 필기구(1)에 있어서 상기 격벽(3)의 일단을 제 1잉크보류부재(6A) 근방의 축통(2)측벽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격벽(3)의 타단을 제 2잉크보류부재(6B) 근방의 축통(2)측벽에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청구항15)이 바람직하다.
상기 청구항15의 양두식 필기구(1)는 제 1잉크저류부(7A)내의 제 1잉크(8A)의 잔량이 적어진 경우, 수평상태에서 제 1펜끝(4A)측을 필기사용해도 격벽(3)의 일단과 제 1잉크보류부재(6A)근방의 축통(2)측벽과의 접속부분을 하측으로 하면 제 1잉크저류부(7A)내의 나머지가 적은 제 1잉크가 제 1잉크보류부재(6A)의 후단근방으로 이동하고, 제 1유도심(61A)의 후단부와 제 1잉크(8A)와의 접촉상태가 유지되며, 잉크유출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도20참조). 마찬가지로 상기 청구항15의 양두식 필기구(1)는 제 2잉크저류부(7B)내의 제 2잉크(8B)의 잔량이 적어진 경우, 수평상태에서 제 2펜끝(4B)측을 필기사용해도 격벽(3)의 타단과 제 2잉크보류부재(6B)근방의 축통(2)측벽과의 접속부분을 하측으로 하면 제 2잉크저류부(7B)내의 잔량이 적은 제 2잉크가 제 2잉크보류부재(6B)의 후단근방으로 이동하고, 제 2유도심(61B)의 후단부와 제 2잉크(8B)와의 접촉상태가 유지되어 잉크유출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16) 상기 청구항15의 양두식 필기구(1)에 있어서 상기 격벽(3)이 축방향으로 뻗는 중앙벽부(31)와, 상기 중앙벽부(31)의 일단과 제 1잉크보류부재(6A) 근방의 축통(2)측벽을 접속하는 제 1저벽부(32)와, 상기 중앙벽부(31)의 타단과 제 2잉크보류부재(6B) 근방의 축통(2)측벽을 접속하는 제 2저벽부(3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저벽부(32)와 제 1잉크보류부재(6A)의 후단면에 의해 오목모양 공간(71A)을 형성하며, 상기 제 1오목모양 공간(71A)내에 상기 제 1유도심(61A)의 후단부를 위치시켜 상기 제 2저벽부(33)와 제 2잉크보류부재(6B)의 후단면에 의해 제 2오목모양 공간(71B)을 형성하고, 상기 제 2오목모양 공간(71B)내에 상기 제 2유도심(61B)의 후단부를 위치하도록 한 것(청구항16)이 바람직하다.
상기 청구항16의 양두식 필기구(1)는 제 1잉크저류부(7A)내의 제 1잉크(8A)의 잔량이 적어진 경우 펜끝이 경사져서 위쪽 방향으로 제 1펜끝(4A)측을 필기사용해도 제 1오목모양 공간(71A)을 하측으로 하면 제 1잉크저류부(7A)내의 잔량이 적은 제 1잉크가 제 1오목모양 공간(71A)에 보지되고 제 1유도심(61A)의 후단부와 제 1잉크(8A)와의 접촉상태가 유지되어 잉크유출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청구항16의 양두식 필기구(1)는 제 2잉크저류부(7B)내의 제 2잉크(8B)의 잔량이 적어진 경우, 펜끝이 기울어져 위쪽 방향으로 제 2펜끝(4B)측을 필기사용해도 제 2오목모양 공간(71B)을 하측으로 하면 제 2잉크저류부(7B)내의 잔량이 적은 제 2잉크가 제 2오목모양 공간(71B)에 유지되고, 제 2유도심(61B)의 후단부와 제 2잉크(8B)와의 접촉상태가 유지되며, 잉크유출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17)상기 청구항16의 양두식 필기구(1)에 있어서 상기 제 1오목모양 공간(71a)을 구성하는 축통(2)측벽 내면 또는 제 1저벽부(32)에, 축방향으로 뻗는 제 1리브(72A)를 형성하고, 상기 제 1리브(72A)와 상기 제 1유도심(61A)의 후단부 외주면과의 사이에 모세관력을 갖는 틈(73A)을 형성하며, 상기 제 2오목모양 공간(71B)을 구성하는 축통(2)측벽 내면 또는 제 2저벽부(33)에, 축방향으로 뻗는 제 2리브(72B)를 형성하고, 상기 제 2리브(72B)와 상기 제 2유도심(61B)의 후단부 외주면 사이에 모세관력을 갖는 틈(73B)을 형성하는 것(청구항17)이 바람직하다.
상기 청구항17의 양두식 필기구(1)는 제 1잉크저류부(7A)내의 제 1잉크(8A)의 잔량이 보다 더 작아진 경우라도 제 1리브(72A)와 상기 제 1유도심(61A)의 후단부 외주면 사이에 형성한 모세관력을 갖는 틈(73A)에 의해 제 1유도심(61A) 후단부에 제 1잉크(8A)를 공급할 수 있어 잉크유출불량을 발생시키지 않고 제 1잉크저류부(7A)내의 제 1잉크(8A)를 최후까지 다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청구항17의 양두식 필기구는 제 2잉크저류부(7B)내의 제 2잉크(8B)의 잔량이 보다 더 적어진 경우라도 제 2리브(72B)와 상기 제 2유도심(61B)의 후단부 외주면 사이에 형성한 모세관력을 갖는 틈(73B)에 의해 제 2유도심(61B) 후단부에 제 2잉크(8B)를 공급할 수 있으며 잉크유출불량을 발생시키지 않고 제 2잉크저류부(7B)내의 제 2잉크(8B)를 최후까지 다 사용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를 다음 도면을 따라 설명한다.
(제 1실시예)
도 1 내지 도 9에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양두식 필기구(1)는 주로 양단에 제 1펜끝(4A) 및 제 2펜끝(4B)을 구비한 축통(2)과, 상기 축통(2)의 제 1펜끝(4A)측에 장착가능한 제 1캡(9A)과, 상기 축통(2)의 제 2펜끝(4B)측에 장착가능한 제 2캡(9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축통(2)은 양단이 개구된 원통체로,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즉 무색투명 또는 비착색 투명성의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 얻어진다. 상기 축통(2)의 내면에는 격벽(3)이 형성된다. 상기 격벽(3)에 의해 상기 축통(2)의 내부에 축통(2)의 일단으로부터 개구하는 제 1잉크탱크(5A)와, 축통(2)의 타단으로부터 개구하는 제 2잉크탱크(5B)가 형성된다. 상기 격벽(3)에 의해 상기 제 1잉크탱크(5A)와 제 2잉크탱크(5B)사이는 연통하지 않고 서로 잉크가 유통하지 않도록 차단된다.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는 예를들어 폴리프로필렌을 들 수 있다.
상기 격벽(3)은 축방향으로 연설된 구성(즉 최소한 축선과 평행하게 뻗는 구성 또는 축선에 대해 경사진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격벽(3)의 일단이 제 1잉크보류부재(6A) 근방의 축통(2)측벽 내면에 접속되고 또한 격벽(3)의 타단이 제 2잉크보류부재(6B) 근방의 축통(2)측벽내면에 접속된다. 상기 격벽(3)은 본 실시예에서는 축선과 대략 평행하게 뻗는 중앙벽부(31)와, 이 중앙벽부(31)의 양단으로부터 연설되는 축선에 대해 경사진 제 1저벽부(32) 및 제 2저벽부(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저벽부(32)는 제 1잉크보류부재(6A) 근방의 축통(2)측벽 내면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 2저벽부(33)는 제 2잉크보류부재(6B)근방의 축통(2)측벽 내면에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격벽(3)에 의해 제 1잉크저류부(7A)와 제 2잉크저류부(7B)가 격벽(3)을 통해 지름방향으로 서로겹치는 2층의 중층상태로 마련된다.
상기 제 1저벽부(32) 및 제 2저벽부(33)는 축선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면(321)(331)을 양면(즉 제 1저벽부(32) 및 제 2저벽부(33)의 제 1잉크저류부(7A)측의 내면 및 제 1저벽부(32) 및 제 2저벽부(33)의 제 2잉크저류부(7B)측의 내면)에 구비한다. 상기 제 1저벽부(32) 및 제 2저벽부(33)는 격벽(3)의 양단에 형성하는 것이 경사면(321)(331)을 증가시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제 1잉크보류부재(6A)측의 제 1저벽부(32)와, 상기 제 2잉크보류부재측(6B)의 제 2저벽부(33)와는 동일한 경사방향을 갖도록(바람직하게는 축선에 대해 동일한 경사각도를 갖도록) 설정된다.
상기 제 1저벽부(32)의 경사면(321) 및 제 2저벽부(33)의 경사면(331)은 평면 또는 원추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벽부(31)는 축통(2)내부의 중앙에 형성되고 축통(2)내부를 2등분한다. 상기 축선방향으로 뻗는 중앙벽부(31)는 축선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되지만 축선에 대해 경사져 있어도 된다.
도 7(a)와 같이 제 1잉크탱크(5A)의 개구측으로부터 격벽(3)을 본 경우, 상기 제 1잉크보류부재(6A) 근방의 제 1저벽부(32)의 경사면(321)과 상기 제 2잉크보류부재(6B)근방의 제 2저벽부(33)의 경사면(331)이 동시에 시인되고, 격벽(3)의 내면의 대략 전 영역에 경사면(321)(331)이 시인된다. 마찬가지로 도 7(c)과 같이 제 2잉크탱크(5B)의 개구측으로부터 격벽(3)을 본 경우, 상기 제 1잉크보류부재(6A) 근방의 제 1저벽부(32)의 경사면(321)과 상기 제 2잉크보류부재(6B) 근방의 제 2저벽부(33)의 경사면(331)이 동시에 시인되고, 격벽(3)의 내면의 대략 전 영역에 경사면(321)(331)이 시인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5 및 도 6과 같이 격벽(3)의 두께(C)(즉 중앙벽부(31)의 두께, 제 1저벽부(32)의 두께, 제 2저벽부(33)의 두께)는 0.7mm~2.0mm 범위로 설정되고 격벽(3)과 접속하는 축통(2)측벽의 두께(D)는 1.5mm~2.0mm의 범위로 설정되고 있다. 즉 축통(2)측벽의 두께(D)에 대한 격벽(3)의 두께(C)의 비(C/D)는 0.35~1.33의 범위로 설정되고 있다. 그에 따라 축통(2)의 성형시, 격벽(3)을 성형하는 금형의 코어핀이 지름방향 안쪽으로 휘어 격벽(3)에 구멍이 뚫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음과 동시에 격벽(3)과 접속하는 축통(2) 측벽의 외면에 드롭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격벽(3)과 접속하는 축통(2)측벽의 외면에는 문자, 무늬, 바코드 등을 표시하는 인쇄층(21)이 마련된다. 상기 인쇄층(21)은 예를들어 스크린인쇄, 패드인쇄, 옵셋인쇄, 또는 전사인쇄 등에 의해 얻어진다. 상기 격벽(3)과 접속하는 축통(2)측벽의 외면은 성형시의 드롭의 발생이 억제되므로 인쇄불량의 염려가 없는 적정한 인쇄층(21)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인쇄층(21)은 중층상태의 제 1잉크탱크(5A)(즉 제 1잉크저류부(7A))와 제 2잉크탱크(5B)(즉 제 2잉크저류부(7B))를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쇄층(21)은 격벽(3)과 접속하는 축통(2)측벽의 외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격벽(3)과 접속되는 축통(2)측벽의 외면에 거의 드롭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드롭이 발생하기 쉬운 격벽(3)의 연결부분의 축통(2)측벽 외면에 인쇄층(21)이 형성되어도 인쇄불량이 일어날 염려가 없다.
상기 제 1잉크탱크(5A)는 앞쪽으로 개구하는 횡단면 원형상의 제 1대경부(51A)와, 이 제 1대경부(51A)로부터 뒤쪽으로 연설되는 횡단면 반원형상의 제 1소경부(52A)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잉크탱크(5A)의 대경부(51A)에는 제 1잉크보류부재(6A)가 감입된다. 상기 제 1잉크보류부재(6A)의 뒤쪽의 제 1잉크탱크(5A)내(즉 제 1잉크보류부재(6A)의 뒤쪽의 대경부(51A)와 소경부(52A)로 이루어지는 공간)에는 제 1잉크저류부(7A)가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잉크탱크(5B)도 앞쪽으로 개구하는 횡단면 원형상의 제 2대경부(51B)와, 이 제 2대경부(51B)로부터 뒤쪽으로 연설되는 횡단면 반원형상의 제 2소경부(52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잉크탱크(5B)의 대경부(51B)에는 제 2잉크보류부재(6B)가 감입된다. 상기 제 2잉크보류부재(6B)의 뒤쪽의 제 2잉크탱크(5B)내(즉 제 2잉크보류부재(6B)의 뒤쪽의 대경부(51B)와 소경부(52B)로 이루어지는 공간)에는 제 2잉크저류부(7B)가 형성된다.
상기 제 1잉크탱크(5A)의 소경부(52A)와 제 2잉크탱크(5B)의 소경부(52B)는 격벽(3)을 통해 지름방향으로 서로 겹치는 2층의 중층상태가 된다. 상기 제 1잉크탱크(5A)의 소경부(52A)와 제 2잉크탱크(5B)의 소경부(52B)와의 중층부분의 외경은 상기 제 1잉크탱크(5A)의 대경부(51A)의 외경 및 제 2잉크탱크(5B)의 대경부(51B)와, 대략 동일 외경으로 설정된다.
상기 제 1잉크보류부재(6A)는 제 1잉크저류부(7A)내의 압력상승에 따른 넘쳐나는 잉크를 일시적으로 보지하는 부재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원판상 빗살톱니를 구비한 합성수지(예를들어 ABS수지)의 사출성형체이다. 상기 제 1잉크보류부재(6A)의 전단에는 제 1펜끝(4A)이 부착된다. 상기 제 1잉크보류부재(6A)의 축심에는 축심공이 관설되고, 상기 축심공에 잉크유도심(61A)이 삽입 장착된다. 상기 잉크유도심(61A)의 전단은 제 1펜끝(4A)에 접속되고, 상기 잉크유도심(61A)의 후단은 제 1잉크저류부(7A)에 접속된다. 상기 잉크유도심(61A)은 축방향의 모세관 통로를 갖는, 섬유가공체, 다공질체, 합성수지 압출성형체 중 어느 것이라도 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섬유의 수지가공체(예를들어 폴리에스테르섬유의 수지가공체)가 채용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잉크보류부재(6B)도 제 2잉크저류부(7B)내의 압력상승에 따른 넘쳐나는 잉크를 일시적으로 보지하는 부재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원판상 빗살톱니를 구비한 합성수지(예를들어 ABS수지)의 사출성형체이다. 상기 제 2잉크보류부재(6A)의 전단에는 제 2펜끝(4B)이 부착된다. 상기 제 2잉크보류부재(6B)의 축심에는 축심공이 관설되고, 상기 축심공에 잉크유도심(61B)이 삽입 장착된다. 상기 잉크유도심(61B)의 전단은 제 2펜끝(4B)에 접속되며, 상기 잉크유도심(61B)의 후단은 제 2잉크저류부(7B)에 접속된다. 상기 잉크유도심(61B)은 축방향의 모세관 통로를 갖는, 섬유가공체, 다공질체, 합성수지 압출성형체 중 어느 하나라도 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섬유의 수지가공체(예를들어 폴리에스테르섬유의 수지가공체)가 채용되고 있다.
상기 제 1잉크보류부재(6A)는 제 1잉크저류부(7A)내의 제 1잉크(8A)와 대략 동 색으로 착색되고 있다. 즉 제 1잉크보류부재(6A)는 제 1잉크저류부(7A)내의 제 1잉크(8A)와 대략 동 색의 합성수지재료에 의해 성형된다. 제 2잉크보류부재(6B)는 제 2잉크저류부(7B)내의 제 2잉크(8B)와 대략 동 색으로 착색되고 있다. 즉 제 2잉크보류부재(6B)는 제 2잉크저류부(7B)내의 제 2잉크(8B)와 대략 동색의 합성수지재료에 의해 성형된다. 축통(2)이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으로부터 축통(2)의 외부로부터 제 1잉크보류부재(6A) 및 제 2잉크보류부재(6B)의 착색된 잉크색을 시인할 수 있다.
상기 제 1잉크저류부(7A)내에는 제 1잉크(8A)가 저류되고 제 2잉크저류부(7B)에는 제 2잉크(8B)가 저류된다. 상기 제 1잉크(8A)와 제 2잉크(8B)는 서로 색이 다른 조합이 채용된다. 상기 제 1잉크저류부(7A)내의 제 1잉크(8A) 및 제 2잉크저류부(7B)내의 제 2잉크(8B)는 축통(2)이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료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시인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잉크(8A) 및 제 2잉크(8B)는 형광안료 또는 형광염료를 포함하는 잉크가 채용된다. 그에 따라 발색이 뛰어난 외관이 양호한 양두식 필기구(1)가 얻어진다. 상기 제 1잉크(8A)와 제 2잉크(8B)의 색의 조합은 예를들어 형광이로에과 형광핑크의 조합, 형광이로에과 형광오렌지의 조합, 형광이로에과 형광그린의 조합, 형광핑크와 형광오렌지의 조합, 형광핑크와 형광그린의 조합, 형광이로에과 형광블루의 조합 또는 형광이로에과 형광바이올렛의 조합 등이 배색의 외관이 좋은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제 1잉크(8A) 및 제 2잉크(8B)는 격벽(3)을 통해 지름방향의 2층의 중층상태로 시인된다. 제 1잉크저류부(7A) 및 제 2잉크저류부(7B)에는 제 1펜끝(4A) 또는 제 2펜끝(4B)중 어느 한 펜끝을 아래로 향하도록 해도 제 1잉크탱크(5A)의 소경부(52A) 및 제 2잉크탱크(5B)의 소경부(52B)에 상시 잉크가 존재하도록 제 1잉크(8A) 및 제 2잉크(8B)의 충전량이 설정된다. 그에 따라 제 1펜끝(4A) 또는 제 2펜끝(4B)을 아래를 향하도록 했을 때 제 1잉크(8A)와 제 2잉크(8B)를 격벽(3)을 통해 좌우(즉 지름방향)로 2층의 중층상태로 확실하게 시인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중층부분을 구성하는 격벽(3)의 축방향의 길이(M)는 2색의 시인이 용이한 점에서, 제 1잉크보류부재(6A)의 후단과 제 2잉크보류부재(6B)의 후단과의 사이의 축방향의 길이(L)의 최소한 20%이상(바람직하게는 50%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어느 한 쪽의 펜끝이 아래를 향한 상태에서의 제 1잉크(8A)와 제 2잉크(8B)의 중층부분의 축방향의 길이도, 2색의 시인이 용이한 점에서, 제 1잉크보류부재(6A)의 후단과 제 2잉크보류부재(6B)의 후단 사이의 축방향의 길이의 최소한 20%이상으로 설정하도록 제 1잉크(8A) 및 제 2잉크(8B)의 충전량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펜끝(4A)은 섬유가공체, 모필체, 또는 다공질체로 이루어지고, 제 1잉크저류부(7A)내의 제 1잉크(8A)가 함침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제 1잉크(8A)의 색이 시인되며, 제 1펜끝(4A)이 제 1잉크(8A)의 색으로 착색된 상태가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펜끝(4B)도 섬유가공체, 모필체, 또는 다공질체이며, 제 2잉크저류부(7B)내의 제 2잉크(8B)가 함침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제 2잉크(8B)의 색이 시인되고, 제 2펜끝(4B)이 제 2잉크(8B)의 색으로 착색된 상태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펜끝(4A) 및 제 2펜끝(4B)은 동일 형상의 섬유의 수지가공체(예를들어 폴리에스테르섬유의 수지가공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외에도 상기 제 1펜끝(4A) 및 제 2펜끝(4B)은 예를들어 양자의 형상이 다른 섬유가공체의 조합, 양자가 볼펜칩의 조합, 양자가 모필체의 조합, 양자가 다공질체의 조합, 양자가 선단에 슬릿을 구비한 금속판제의 만년필모양 펜끝의 조합, 양자가 합성수지의 압출성형체로 이루어지는 펜체(플라스틱펜체)의 조합, 한쪽이 섬유가공체이고 다른쪽이 다공질체의 조합, 한쪽이 섬유가공체이고 다른쪽이 플라스틱펜체의 조합, 한쪽이 섬유가공체이고 다른쪽이 모필체의 조합, 한쪽이 섬유가공체이고 다른쪽이 만년필펜끝의 조합, 한쪽이 섬유가공체이고 다른쪽이 볼펜칩의 조합, 한쪽이 다공질체이고 다른쪽이 만년필모양 펜끝의 조합, 한쪽이 다공질체이고 다른쪽이 볼펜칩의 조합, 한쪽이 플라스틱체이고 다른쪽이 모필체의 조합, 한쪽이 플라스틱펜체이고 다른쪽이 모필체의 조합, 한쪽이 플라스틱펜체이고, 다른쪽이 만년필모양 펜끝의 조합, 한쪽이 플라스틱펜체이고 다른 쪽이 볼펜칩의 조합, 한쪽이 모필체이고 다른쪽이 만년필모양 펜끝의 조합, 한쪽의 모필체이고 다른쪽이 볼펜칩의 조합, 또는 한쪽이 만년필모양 펜끝이고 다른쪽이 볼펜칩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볼펜칩의 경우, 그 외면이 제 1잉크저류부(7A) 및 제 2잉크저류부(7B)내의 잉크와 동색으로 착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펜끝이라 함은 펜끝과 축통(2) 사이에 개재되는 펜끝홀더를 포함한다.
도 8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상기 제 1잉크탱크(5A)의 대경부(51A)의 전단부는 그 외주면에 외향돌기(511A)(타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또한 그 내주면에 환상기밀부(512A)(기밀씨일부)가 형성된다. 도 9와 같이 마찬가지로 상기 제 2잉크탱크(5B)의 대경부(51B)의 전단부는 그 외주면에 외향돌기(511B)(타넘는 감합부)가 형성되고 또한 그 내주면에 환상기밀부(512B)(기밀씨일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 1대경부(51A)의 내부 및 제 2대경부(51B)의 내부에는 격벽(3)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대경부(51A)(51B)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는 성형시의 드롭의 발생이 억제된다. 그 때문에 제 1대경부(51A)의 전단부 및 제 2대경부(51B)의 전단부에도 드롭이 발생하지 않으며 그 결과 제 1대경부(51A)의 전단부에 마련한 감합부(즉 타넘는 결합부(511A) 및 기밀씨일부(512A)) 및 제 2대경부(51B)의 전단부에 마련한 감합부(즉 타넘는 결합부(511B) 및 기밀씨일부(512B))가 드롭이 없는 적정한 형상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밀씨일부(512A)(512B)는 제 1대경부(51A)의 전단부 및 제 2대경부(51B)의 전단부에 직접 마련하는 구성(도 7 및 도 8의 구성) 외에, 제 1대경부(51A)의 전단부의 내주면 및 제 2대경부(51B)의 전단부의 내주면에 부착한 환상씨일부재로 이루어지는 구성도 포함된다. 상기 환상씨일부재로 이루어지는 기밀씨일부는 제 1대경부(51A) 및 제 2대경부(51B)의 전단부에 드롭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그 부착개소에 있어서 충분한 씨일성능을 얻을 수 있다.
제 1캡(9A)은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이 개구된 바닥이 있는 통모양체로,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즉 무색투명 또는 비착색 투명성의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 얻어진다. 상기 제 1캡(9A)의 내면에는 상기 제 1잉크탱크(5A)의 외향돌기(511A) 및 상기 제 2잉크탱크(5B)의 외향돌기(511B)와 타넘어 결합가능한 내향돌기(91A)와, 제 1잉크탱크(5A)의 환상기밀부(512A) 및 제 2잉크탱크(5B)의 환상기밀부(512B)와 밀접가능한 환상씨일부(92A)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는 예를들어 폴리프로필렌을 들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캡(9B)도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이 개구된 바닥이 있는 통모양체로,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즉 무색투명 또는 비착색 투명성의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 얻어진다. 상기 제 2캡(9B)의 내면에는 상기 제 1잉크탱크(5A)의 외향돌기(511A) 및 상기 제 2잉크탱크(5B)의 외향돌기(511B)와 타넘어 결합가능한 내향돌기(91B)와, 제 1잉크탱크(5A)의 환상기밀부(512A) 및 제 2잉크탱크(5B)의 환상기밀부(512B)와 밀접가능한 환상씨일부(92B)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는 예를들어 폴리프로필렌을 들 수 있다.
즉 상기 제 1캡(9A)의 감합부(즉 내향돌기(91A) 및 환상씨일부(92A))의 형상과 제 2캡(9B)의 감합부(즉 내향돌기(91B) 및 환상씨일부(92B))의 형상이 동일함과 동시에 제 1잉크탱크(5A)의 감합부(즉 외향돌기(511A) 및 환상기밀부(512A))의 형상과 제 2잉크탱크(5B)의 감합부(즉 외향돌기(511B) 및 환상기밀부(512B))의 형상이 동일하다. 그에 따라 제 1캡(9A)은 제 1펜끝(4A)을 구비한 제 1잉크탱크(5A) 및 제 2펜끝(4B)을 구비한 제 2잉크탱크(5B)중 어디에도 장착가능하고, 제 2캡(9B)은 제 1펜끝(4A)을 구비한 제 1잉크탱크(5A) 및 제 2펜끝(4B)을 구비한 제 2잉크탱크(5B)에 장착가능하다. 즉 상기 제 1캡(9A)은 제 1펜끝(4A)측 및 제 2펜끝(4B)측의 축통(2) 중 어디에도 장착가능하고 또한 상기 제 2캡(9B)은 제 1펜끝(4A)측 및 제 2펜끝(4B)측의 축통(2)중 어디에도 장착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제 1캡(9A) 및 제 2캡(9B)은 그 단체에서 투명성을 갖고, 잉크색 표시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구성이므로 제 1펜끝(4A) 및 제 2펜끝(4B)의 어느 한 펜끝측에 장착해도 잉크색의 식별의 혼란을 일으키지 않아 잉크색의 식별이 용이하게 됨과 동시에 사용자가 제 1캡(9A)과 제 2캡(9B)을 구별하여 각각의 펜끝에 장착하는 수고가 필요없게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캡(9A)의 외면에는 클립(93A)이 일체로 형성되며, 한편 제 2캡(9B)의 외면에는 클립(93A)이 형성되고 있지 않다. 상기 클립(93A)을 구비하는 제 1캡(9A)을 제 1펜끝(4A) 및 제 2펜끝(4B)중 어느 한 쪽의 펜끝에 장착해도 되며 그것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 축방향으로 연설된 격벽(3)(즉 중앙벽부(31)와 그 양측의 2개의 저벽부(32)(33)로 이루어지는 격벽)을, 제 1잉크보류부재(6A)의 후단과 제 2잉크보류부재(6B)의 후단 사이의 축방향의 중앙위치에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그에 따라 제 1잉크저류부(7A)의 용량과 제 2잉크저류부(7B)의 용량이 같게 설정된다. 본 발명은 이 이외에도 이하의 제 2실시예 및 제 3실시예와 같이 제 1잉크저류부(7A)와 제 2잉크저류(7B)의 용량을 다르게 하도록 해도 된다.
(제 2실시예)
도10에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는 제 1실시예와 격벽(3)의 위치가 다르다.
즉 본 실시예는 격벽(3)의 제 1펜끝(4A)측의 접속단부와 제 1잉크보류부재(6A)의 후단과의 거리(L1)가 격벽(3)의 제 2펜끝(4B)측의 접속단부와 제 2잉크보류부재(6B)의 후단과의 거리(L2)보다도 크게 설정된다. 그에 따라 제 1잉크저류부(7A)의 용량이 제 2잉크저류부(7B)의 용량보다도 크게 설정된다.
본 실시예는 제 1잉크저류부(7A)에 제 2잉크저류부(7B)내의 잉크보다도 사용자의 사용빈도가 높은 잉크(즉 소비속도가 빠른 잉크)를 충전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만일 잉크저류부에 잉크를 남긴 채로 다른쪽의 잉크저류부의 잉크가 다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 양두식 필기구를 얻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잉크(8A) 및 제 2잉크(8B)는 형광안료 또는 형광염료를 포함하는 잉크가 채용된다. 상기 형광안료 또는 형광안료를 포함하는 잉크중에서 일반적으로 형광이로에가 사용빈도가 높으며 잉크소비속도를 빠르게 한다고 생각된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는 제 1잉크(8A)로서 형광이로에가 채용되고 제 2잉크(8B)로서 형광핑크, 형광오렌지, 형광그린, 형광블루 또는 형광바이올렛 중 어느 하나가 채용된다.
제 2잉크저류부(7B)의 용량에 대한 제 1잉크저류부(7A)의 용량의 비(제 2잉크저류부(7B)의 용량 /제 1잉크저류부(7A)의 용량)는 0.3~0.8(바람직하게는 0.4~0.7)이 유효하다. 상기 비가 0.3보다 작은 경우, 격벽(3)의 축방향의 길이를 충분히 설정할 수 없어 제 1잉크저류부(7A)와 제 2잉크저류부(7B)는 격벽(3)을 통해 지름방향으로 서로 겹치는 2층의 중층상태를 충분히 설정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비가 0.8보다 큰 경우, 제 1잉크저류부(7A)와 제 2잉크저류부(7B)와의 용량의 차이가 거의 없어진다. 또한 다른 구성은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 3실시예)
도11 및 도12에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는 제 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1실시예와 격벽(3)의 위치가 다르다. 즉 제 1실시예에서는 중앙격벽(31)이 축통(2)의 축심에 위치하고 있는 데 대하여 본 실시예는 중앙격벽(31)이 축심에서 지름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있고 제 1잉크저류부(7A)의 저벽을 구성하는 제 2저벽부(33)는 제 2잉크저류부(7B)의 저벽을 구성하는 제 1저벽부(32)보다도 면적이 크게 설정된다. 그에 따라 제 1잉크저류부(7A)의 용량(즉 소경부(52A)의 용량)가 제 2잉크저류부(7B)의 용량(즉 소경부(52B)의 용량)보다도 크게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1잉크저류부(7A)에 제 2잉크저류부(7B)내의 잉크보다도 사용자의 사용빈도가 높은 잉크(즉 소비속도가 빠른 잉크)를 충전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한쪽의 잉크저류부에 잉크를 남긴채로 다른쪽의 잉크저류부의 잉크가 다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고,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 양두식 필기구를 얻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잉크(8A) 및 제 2잉크(8B)는 형광안료 또는 형광염료를 포함하는 잉크가 채용된다. 상기 형광안료 또는 형관염료를 포함하는 잉크안에서 일반적으로 형강이로에가 사용빈도가 높아 잉크소비속도를 빠르게 한다고 생각된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는 제 1잉크(8A)로서 형광이로에가 채용되고, 제 2잉크(8B)로서 형광핑크, 형광오렌지, 형광그린, 형광블루 또는 형광바이올렛 중 어느 하나가 채용된다.
제 2잉크저류부(7B)의 용량에 대한 제 1잉크저류부(7A)의 용량의 비(제 2잉크저류부(7B)의 용량/제 1잉크저류부(7A)의 용량)는 0.3~0.8(바람직하게는 0.4~0.7)이 유효하다. 상기 비가 0.3보다 작은 경우, 제 2잉크탱크(5B)의 소경부(52B)의 내면을 성형하는 금형의 코어핀이 가늘어져 소경부(52B)의 성형이 곤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비가 0.8보다 큰 경우, 제 1잉크저류부(7A)와 제 2잉크저류부(7B)와의 용량 차이가 거의 없어지게 된다. 또한 다른 구성은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 4실시예)
도13에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양두식 필기구(1)는 격벽(3)이 일단이 제 1잉크보류부재(6A) 근방의 축통(2)측벽에 접속되고 또한 타단이 제 2잉크보류부재(6B)근방의 축통(2)측벽에 접속되는 하나의 경사벽부(3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격벽(3)은 대략 균일 두께를 갖는 축선에 대해 경사진 일정한 경사각도를 갖는 하나의 경사벽부(34)로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벽부(34)의 양면(즉 제 1잉크저류부(7A)측의 내면 및 제 2잉크저류부(7B)측의 내면)에는 경사면(341)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벽부(34)의 경사면(341)은 평면 또는 원추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벽부(34)의 경사면(341)은 축선에 대해 일정한 경사각도를 갖는 구성이지만 축선에 대해 다수의 경사각도를 갖는 구성이라도 된다.
상기 제 1잉크탱크(5A)는 앞쪽으로 개구하는 횡단면원형상의 제 1대경부(51A)와, 이 제 1대경부(51A)로부터 뒤쪽으로 연설되는 횡단면 반원형상의 뒤쪽을 향하는 데 따라 소경화하는 제 1소경부(52A)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잉크탱크(5A)의 대경부(51A)내에는 제 1잉크보류부재(6A)가 감입된다. 상기 제 1잉크보류부재(6A) 뒤쪽의 제 1잉크탱크(5A)의 대경부(51A)의 후부와 제 1잉크탱크(5A)의 소경부(52A)로 이루어지는 공간에는 제 1잉크저류부(7A)가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잉크탱크(5B)는 앞쪽으로 개구하는 횡단면 원형상의 제 2대경부(51B)와, 이 제 2대경부(51B)로부터 뒤쪽으로 연설되는 횡단면 반원형상의 뒤쪽을 향함에 따라 소경화하는 제 2소경부(52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잉크탱크(5B)의 대경부(51B)내에는 제 2잉크보류부재(6B)가 감입된다. 상기 제 2잉크보류부재(6B) 뒤쪽의, 제 2잉크탱크(5B)의 대경부(51B)의 후부와 제 2잉크탱크(5B)의 소경부(52B)로 이루어지는 공간에는 제 2잉크저류부(7B)가 형성된다.
제 1잉크탱크(5A)의 개구측으로부터 격벽(3)을 본 경우, 격벽(3)의 내면의 대략 전 영역에 경사면(341)이 시인된다. 마찬가지로 제 2잉크탱크(5B)의 개구측으로부터 측벽(3)을 본 경우, 격벽(3)의 내면의 대략 전 영역에 경사면(341)이 시인된다.
또한 다른 구성은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 5실시예)
도14에 본 발명의 제 5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양두식 필기구(1)는 격벽(3)이 양단이 제 1잉크보류부재(6A) 근방의 축통(2)측벽에 접속되고 또한 중앙부가 제 2잉크보류부재(6B)측으로 돌출하는 경사벽부(3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격벽(3)은 대략 균일 두께를 갖고, 양단부가 축선에 대해 경사진 종단면 곡면상의 경사벽부(34)로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벽부(34)의 양면(즉 제 1잉크저류부(7A)측의 내면 및 제 2잉크저류부(7B)측의 내면)에는 경사면(341)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벽부(34)의 경사면(341)은 띠모양 곡면, 원추면 또는 구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잉크탱크(5A)는 앞쪽으로 개구하는 횡단면 원형상의 통체이며, 상기 격벽(3)에 의해 형성된 저면이 종단면이 오목한 곡면상으로 되고 있다. 상기 제 1잉크탱크(5A)의 개구부에는 제 1잉크보류부재(6A)가 감입된다. 상기 제 1잉크보류부재(6A)의 뒤쪽의 제 1잉크탱크(5A)내에는 제 1잉크저류부(7A)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2잉크탱크(5B)는 앞쪽으로 개구하는 횡단면 원형상의 통체이고, 상기 격벽(3)에 의해 형성된 저면이 종단면으로 볼록한 곡면상이 되고 있다. 상기 제 2잉크탱크(5B)의 개구부에는 제 2잉크보류부재(6B)가 감입된다. 상기 제 2잉크보류부재(6B) 뒤쪽의 제 2잉크탱크(5B)내에는 제 2잉크저류부(7B)가 형성된다.
제 1잉크탱크(5A)의 개구측으로부터 격벽(3)을 본 경우, 격벽(3) 내면의 대략 전 영역에 경사면(341)이 시인된다. 마찬가지로 제 2잉크탱크(5B)의 개구측으로부터 격벽(3)을 본 경우, 격벽(3)의 내면의 대략 전 영역에 경사면(341)이 시인된다.
(제 6실시예)
도15에 본 발명의 제 6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양두식 필기구(1)는 격벽(3)이 일단이 축통(2)측벽에 접속되는 지름방향(즉 축선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뻗는 수직벽부(35)와, 일단이 상기 수직벽부(35)의 타단과 접속되고 또한 타단이 축통(2)측벽에 접속되는 경사벽부(3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격벽(3)은 대략 균일한 두께를 갖는다. 상기 경사벽부(34)의 양면(즉 제 1잉크저류부(7A)측의 내면 및 제 2잉크저류부(7B)측의 내면)에는 경사면(341)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벽부(34)의 경사면(341)은 평면 또는 원추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잉크탱크(5A)는 앞쪽으로 개구하는 횡단면 원형상의 통체이며, 상기 격벽(3)에 의해 형성된 저면이 경사면(341)과 수직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잉크탱크(5A)의 개구부에는 제 1잉크보류부재(6A)가 감입된다. 상기 제 1잉크보류부재(6A)의 뒤쪽의 제 1잉크탱크(5A)내에는 제 1잉크저류부(7A)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2잉크탱크(5B)는 앞쪽으로 개구하는 횡단면 원형상의 통체이고, 상기 격벽(3)에 의해 형성된 저면이 경사면(341)과 수직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잉크탱크(5B)의 개구부에는 제 2잉크보류부재(6B)가 감입된다. 상기 제 2잉크보류부재(6B) 뒤쪽의 제 2잉크탱크(5B)내에는 제 2잉크저류부(7B)가 형성된다.
제 1잉크탱크(5A)의 개구측으로부터 격벽(3)을 본 경우, 격벽(3) 내면의 경사벽부(34)가 존재하는 부분에 경사면(341)이 시인된다. 마찬가지로 제 2잉크탱크(5B)의 개구측에서 격벽(3)을 본 경우, 격벽(3)의 내면의 경사벽부(34)가 존재하는 부분에 경사면(341)이 시인된다.
또한 다른 구성은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 7실시예)
도16 및 도19에 본 발명의 제 7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양두식 필기구(1)는 잉크유도심(61A)(61B)의 후단이 잉크보류부재(6A)(6B)의 후단으로부터 뒤쪽으로 돌출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잉크보류부재(6A)는 제 1잉크저류부(7A)내의 압력상승에 따른 넘쳐나는 잉크를 일시적으로 보지하는 부재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원판상 빗살톱니를 구비한 합성수지(예를들어 ABS수지)의 사출성형체이다. 상기 제 1잉크보류부재(6A)의 전단에는 제 1펜끝(4A)이 부착된다. 상기 제 1잉크보류부재(6A)의 축심에는 축심구멍이 관설되고, 상기 축심구멍에 제 1유도심(61A)이 삽입장착된다. 상기 제 1유도심(61A)의 전단은 제 1잉크보류부재(6A)의 전단으로부터 앞쪽으로 돌출되어 제 1펜끝(4A)이 되고, 상기 제 1유도심(61A)의 후단은 제 1잉크보류부재(6A)후단보다도 뒤쪽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유도심(61A)은 축방향의 모세관 통로를 갖는 섬유가공체, 다공질체, 합성수지 압출성형체 중 어느 하나라도 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마 등의 연질합성수지의 압출성형체로 이루어지는 심부(611A)와, 이 ㅅ미부(611A)의 외주를 피복하는 폴리아세탈수지 등의 경질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외피부(612A)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유도심(61A)의 전단부는 심부(611A) 및 외피부(612A)가 모필모양으로 연삭되고, 심부(611A)의 모세관 통로가 외부로 노출되며, 모필펜끝이 된다.
한편 상기 제 1유도심(61A)의 후단부는 심부(611A) 및 외피부(612A)가 연삭되고, 심부(611A)의 모세관 통로가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노출된다. 제 1펜끝(4A)이 위를 향한 상태인 경우(도16참조), 제 1유도심(61A)의 후단부가 제 1잉크(8A)의 액면보다 뒤쪽위치(아래쪽 위치)에 있고, 제 1유도심(61A)의 후단부와 제 1잉크(8A)가 접촉상태에 있다. 또한 상기 제 1유도심(61A)의 후단과 제 1잉크(8A) 액면의 축방향의 거리는 펜끝이 위를 향한 상태에서도 제 1유도심(61A)에 충분한 잉크공급이 가능한 점에서 0.5mm이상(바람직하게는 1mm이상)이 유효하다. 또한 제 1펜끝(4A)이 위를 향한 상태가 될 때(도17참조), 아래를 향한 상태가 되는 제 2펜끝(4B))측도, 제 2유도심(61B)의 후단부와 제 2잉크(8B)가 접촉상태가 된다.
상기 제 2잉크보류부재(6B)는 제 2잉크저류부(7B)내의 압력상승에 따른 넘쳐나는 잉크를 일시적으로 보지하는 부재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원판상 빗살톱니를 구비한 합성수지(예를들어 ABS수지)의 사출성형체이다. 상기 제 2잉크보류부재(6B)의 전단에는 제 2펜끝(4B)이 부착된다. 상기 제 2잉크보류부재(6B)의 축심에는 축심구멍이 관설되고, 상기 축심구멍에 제 2유도심(61B)이 삽입장착된다. 상기 제 2유도심(61B)의 전단은 제 2잉크보류부재(6B)의 전단으로부터 앞쪽으로 돌출되어 제 2펜끝(4B)이 되며, 상기 제 2유도심(61B)의 후단은, 제 2잉크보류부재(6B)의 후단으로부터 뒤쪽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2유도심(61B)은 축방향의 모세관 통로를 갖는, 섬유가공체, 다공질체, 합성수지 압출성형체 중 어느 하나라도 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마등의 연질합성수지의 압출성형체로 이루어지는 심부(611B)와, 이 심부(611B)의 외주를 피복하는 폴리아세탈수지 등의 경질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외피부(612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유도심(61B)의 전단부는 심부(611B) 및 외피부(612B)가 모필모양으로 연삭되고, 심부(611B)의 모세관통로가 외부로 노출되며, 모필펜끝이 된다.
한편 상기 제 2유도심(61B)의 후단부는 심부(611B) 및 외피부(612B)가 연삭되고, 심부(611B)의 모세관 통로가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노출된다. 제 2펜끝(4B)이 위를 향한 상태인 경우(도18참조), 제 2유도심(61B)의 후단부가 제 2잉크(8B)안에 몰입되고, 제 2유도심(61B)의 후단이 제 2잉크(8B)의 액면으로부터 뒤쪽위치(아래쪽 위치)에 있으며, 제 2유도심(61B)의 후단부와 제 2잉크(8B)가 접촉상태에 있다. 또한 상기 제 2유도심(61B)의 후단과 제 2잉크(8B) 액면의 축방향의 거리는 펜끝이 위쪽을 향한 상태에서도 제 2유도심(61B)에 충분한 잉크공급이 가능한 점에서 0.5mm이상(바람직하게는 1mm이상)이 유효하다. 또한 제 2펜끝(4B)이 위를 향한 상태가 될 때(도18참조), 아래를 향한 상태가 되는 제 2펜끝(4A)측도 제 1유도심(61A)의 후단부와 제 1잉크(8A)가 접촉상태가 된다.
상기 제 1저벽부(32)와, 상기 제 1잉크보류부재(6A)의 후단면과, 그 사이의 축통(2)측벽에 의해 종단면이 오목한 모양의 제 1오목모양 공간(71A)이 형성된다. 상기 제 1의 오목모양 공간(71A)내에는 제 1유도심(61A)의 후단부가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 1유도심(61A)의 후단은 경사모양의 제 1저벽부(32)의 전단으로부터 뒤쪽으로 또한 경사모양의 제 1저벽부(32)의 후단으로부터 앞쪽으로 위치된다. 그에 따라 제 1유도심(61A)의 후단과 제 1저벽부(32)를 접근시키고, 제 1잉크유도심(61A)의 후단부의 뒤쪽 돌출량을 될 수 있으면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제 1잉크저류부(7A)내의 제 1잉크(8A)의 잔량이 적어진 경우, 양두식 필기구(1)를 수평상태(도20참조)로 하거나, 제 1펜끝(4A)을 기울여 위쪽으로 해도, 제 1오목모양 공간(71A)을 하측으로 하면 상기 제 1오목모양 공간(71A)내에 제 1잉크(8A)를 보지할 수 있으며, 제 1잉크(8A)와 제 1유도심(61A)의 후단부와의 접촉상태가 유지되고, 제 1유도심(61A)의 모세관 통로에 제 1잉크(8A)를 공급가능하게 되어, 잉크유출불량이 없는 필기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저벽부(33)와, 상기 제 2잉크보류부재(6B)의 후단면과,그 사이의 축통(2)측벽에 의해 제 2오목모양 공간(71B)이 형성된다. 상기 제 2오목모양 공간(71B)내에는 제 2유도심(61B)의 후단부가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유도심(61B)의 후단은 경사모양의 제 2저벽부(33)의 전단으로부터 뒤쪽으로 또한 경사진 모양의 제 2저벽부(33)의 후단보다 앞쪽에 위치하게 된다. 그에 따라 제 2유도심(61B)의 후단과 제 2저벽부(33)를 접근시켜 제 2잉크유도심(61B)의 후단부의 뒤쪽 돌출량을 될 수 있으면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제 2잉크저류부(7B)내의 제 2잉크(8B)의 잔량이 적어진 경우, 양두식 필기구(1)를 수평상태로 하거나, 제 2펜끝(4B)을 기울여 위를 향하도록 해도 제 2오목모양 공간(71B)을 하측으로 하면 상기 제 2오목모양 공간(71B)내에 제 2잉크(8B)를 보지할 수 있으며, 제 2잉크(8B)와 제 2유도심(61B)의 후단부와의 접촉상태가 유지되어 제 2유도심(61B)의 모세관 통로에 제 2잉크(8B)를 공급할 수 있게 되고, 잉크유출불량이 없는 필기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잉크저류부(7A)내에는 흑색(묵색)의 제 1잉크(8A)가 충전되고, 제 2잉크저류부(7B)내에는 회색(옅은 묵색)의 제 2잉크(8B)가 충전되고 있다.
또한 다른 구성은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 8실시예)
도20 내지 도23에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의 형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양두식 필기구(1)는 오목모양 공간(71A)(71B)에 리브(72A)(72B)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오목모양 공간(71A)을 구성하는 축통(2)측벽 내면 및 제 2저벽부(32)에는 축방향으로 뻗는 제 1리브(72A)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 1리브(72A)와, 상기 제 1유도심(61A)의 후단부 외주면 사이에 모세관력을 갖는 틈(73A)이 형성된다. 상기 틈(73A)에 의해 제 1의 잉크저류부(7A)내의 제 1잉크(8A)의 잔량이 적어진 경우라도 제 1유도심(61A) 후단부에 잉크를 확실하게 공급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1잉크저류부(7A)내의 제 1잉크(8A)를 소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오목모양 공간(71B)을 구성하는 축통(2)측벽 내면 및 제 2저벽부(33)에는 축방향으로 뻗는 제 2리브(72B)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 2리브(72B)와, 제 2유도심(61B)의 후단부 외주면 사이에 모세관력을 갖는 틈(73B)이 형성된다. 상기 틈(73B)에 의해 상기 제 2저류부(7B)내의 제 2잉크(8B)의 잔량이 적어진 경우라도 제 2유도심(61B) 후단부에 잉크를 확실하게 공급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2잉크저류부(7B)내의 제 1잉크(8B)를 소진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구성은 제 7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청구항 1의 양두식 필기구는 외관적인 양호성이 증가함과 동시에 필통 등에 수용진열상태의 경우에서도 제 1잉크저류부내의 잉크색과 제 2잉크저류부내의 잉크색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으며 또한 부품점수를 감소시켜 제조원가를 억제하고 또한 격벽에 구멍이 뚫리거나 격벽과 접속하는 축통측벽의 외면에 드롭이 발생할 염려가 없다.
청구항 2의 양두식 필기구는 격벽이 접속되는 축통측벽 외면에 인쇄불량이 없는 적정한 인쇄층을 확실하게 마련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양두식 필기구는 잉크저류부내의 2색의 잉크를 근접하여 시각할 수 있어 외관적인 양호성이 증가함과 동시에 필통등에 수용진열상태의 경우에서도 제 1잉크저류부와 제 2잉크저류부를 동시에 시각할 수 있으며, 2색의 조합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양두식 필기구는 상기 청구항 3의 효과에 덧붙여 잉크색을 식별하기 위한 구조를 용이하게 하여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캡을 장착한 상태에서 펜끝의 잉크색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양두식 필기구는 상기 청구항 4의 효과에 덧붙여 제 1캡 및 제 2캡을 어느 펜끝측에 장착해도 잉크색의 식별이 용이하게 됨과 동시에 사용자가 제 1캡과 제 2캡을 구별하여 각각의 펜끝에 장착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진다.
청구항 6의 양두식 필기구는 필통 등에 수용진열 상태의 경우에서도 외관적인 양호함이 유지됨과 동시에 더욱 더 2색의 조합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양두식 필기구는 잉크충전시의 잉크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8의 양두식 필기구는 잉크충전시의 잉크의 비산을 더욱 더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9의 양두식 필기구는 잉크충전시의 잉크의 비산을 더욱 더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10의 양두식 필기구는 잉크충전시의 잉크의 비산을 더욱 더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11의 양두식 필기구는 외관적인 양호함이 증가함과 동시에 필통 등에 수용진열상태의 경우에서도 제 1잉크의 색과 제 2잉크의 색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으며 또한 내부에 격벽이 존재하는 축통의 외면에 드롭이 발생했다고 해도 적정한 캡감합구조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12의 양두식 필기구는 제1잉크 및 제 2잉크를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으며 더욱 더 뛰어난 외관성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13의 양두식 필기구는 더욱 더 적정한 캡감합구조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캡장착시의 캡내의 공기압축을 될 수 있는 한 적게할 수 있다.
청구항14의 양두식 필기구는 제 1 또는 제 2중 어느 한 펜끝을 위쪽을 향해 장기간 보관해도 잉크유출불량이 발생할 염려가 없다.
청구항15의 양두식 필기구는 제 1 또는 제 2중 어느 한 잉크저류부내의 잉크잔량이 적어졌을 때 수평상태에서 필기사용해도 제 1또는 제 2잉크저류부내의 잉크가 제 1 또는 제 2잉크보류부재의 후단근방에서 보지되고, 제 1 또는 제 2유도심의 후단부와 잉크와의 접촉상태가 유지되며, 잉크유출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16의 양두식 필기구는 제 1 또는 제 2중 어느 한 잉크저류부내의 잉크잔량이 적어졌을 때에 펜끝을 기울여 위를 향한 상태에서 필기사용해도 제 1 또는 제 2잉크저류부내의 잉크가 제 1 또는 제 2잉크보류부재의 후단근방의 오목모양 공간내에서 보지되고, 제 1 또는 제 2 유도심의 후단부와 잉크와의 접촉상태가 유지되어 잉크유출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17의 양두식 필기구는 제 1 또는 제 2중 어느 한 잉크저류부내의 잉크잔량이 더욱 더 적어진 경우에서도 유도심 후단부에 잉크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어, 제 1 또는 제 2잉크저류부내의 잉크잔량이 없어질 때 까지 필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두식 필기구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하는 외관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캡을 분리한 필기구 본체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5는 도 1의 축통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E-E선 확대단면도.
도 7(a)는 도 5의 F-F-선 단면도,
도 7(b)는 도 5의 E-E-선 단면도.
도 7(c)는 도 5의 G-G선 단면도.
도 8은 도 2의 제 1펜끝의 확대종단면도.
도 9는 도 2의 제 2펜끝의 확대종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양두식 필기구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양두식 필기구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12는 도11의 H-H선 확대단면도.
도13은 본 발명의 양두식 필기구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14는 본 발명의 양두식 필기구의 제 5실시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15는 본 발명의 양두식 필기구의 제 6실시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16은 본 발명의 양두식 필기구의 제 7실시예의 제 1펜끝이 위를 향한 상태임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17은 도16의 I-I선 확대단면도.
도18은 도16의 제 2펜끝이 위를 향한 상태임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19는 도16의 수평상태의 제 1펜끝측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20은 본 발명의 양두식 필기구의 제 8실시예의 제 1펜끝이 위를 향한 상태임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21은 도20의 J-J선 확대단면도.
도22는 도20의 K-K선 확대단면도.
도23은 도20의 수평상태의 제 1펜끝측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양두식 필기구 2: 축통
21: 인쇄층 3: 격벽
31: 중앙격벽 32: 제1저벽부
321: 경사면 33: 제2저벽부
331: 경사면 34: 경사벽부
341: 경사면 35: 수직벽부
4A: 제 1펜끝 5A: 제 1잉크탱크
51A: 제 1대경부 511A: 외향돌기(타넘는 결합부)
512A: 환상기밀부(기밀씨일부) 52A: 제 1소경부
6A: 제1잉크보류부재 61A: 잉크유도심
611A: 심부 612A: 외피부
7A: 제 1잉크저류부 71A: 제 1오목모양 공간
72A: 제 1리브 73A: 틈
8A: 제 1잉크 9A: 제 1캡
91A: 내향돌기 92A: 환상씨일부
93A: 클립 4B: 제 2펜끝끝
5B: 제 2잉크탱크 51B: 제2대경부
511B: 외향돌기(타넘는 결합부) 512B: 환상기밀부(기밀씨일부)
52B: 제 2소경부 6B: 제 2잉크보류부재
61B: 잉크유도심 611B: 심부
612B: 외피부 7B: 제 2잉크저류부
71B: 제 2오목모양 공간 72B: 제 2리브
73B: 틈 8B: 제 2잉크
9B: 내향돌기 92B: 환상씨일부
L1: 격벽의 제 1펜끝측의 접속단부와 제 1잉크보류부재 후단과의 거리
L2: 격벽의 제 2펜끝측의 접속단부와 제 2잉크보류부재 후단과의 거리
L: 제 1잉크보류부재의 후단과 제 2잉크보류부와의 후단 사이의 축방향의 길이
M: 격벽의 축방향의 길이

Claims (40)

  1. 양단이 개구하는 축통을 투명성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축통의 내부에 격벽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격벽에 의해 상기 축통내부에 상기 축통의 일단으로부터 개구하는 제 1잉크탱크와, 상기 축통의 타단으로부터 개구하는 제 2잉크탱크를 마련하고, 상기 제 1잉크탱크와 상기 제 2잉크탱크를 서로 연통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며, 상기 제 1잉크탱크의 개구부에 제 1펜끝과 접속되는 제 1잉크보류부재를 마련하고, 상기 제 1잉크보류부재의 뒤쪽의 제 1잉크탱크내에 제 1잉크저류부를 마련하며, 상기 제 1잉크저류부내에 제 1잉크를 저류하고, 상기 제 1잉크보류부재는 상기 제 1잉크저류부내의 압력상승에 따른 넘쳐나는 잉크를 일시적으로 보지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2잉크탱크의 개구부에 제 2펜끝과 접속되는 제 2잉크보류부재를 마련하고, 상기 제 2잉크보류부재의 뒤쪽의 제 2잉크탱크내에 제 2잉크저류부를 마련하며, 상기 제 2잉크저류부내에 제 2잉크를 저류하고, 상기 제 2잉크보류부재가 상기 제 2잉크저류부내의 압력상승에 따른 넘쳐나는 잉크를 일시적으로 보지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격벽을 축방향으로 연설하여 상기 격벽을 통해 제 1잉크저류부와 제 2잉크저류부를 지름방향으로 서로 겹치는 중층상태로 구성하고, 상기 격벽의 두께를 C로 하며 상기 격벽과 접속하는 축통측벽의 두께를 D로 했을 때,
    0.2≤C/D≤2.5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식 필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잉크저류부와 제 2잉크저류부에 서로 다른 색의 잉크를 저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식 필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잉크저류부와 제 2잉크저류부가 서로 다른 색의 잉크를 저류하여 이루어지는 청구항 1기재의 양두식 필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펜끝측의 축통에 착탈이 자유로운 제 1캡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제 2펜끝측의 축통에 착탈이 자유로운 제 2캡을 구비하고, 상기 제 1캡 및 제 2캡을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료에 의해 구성하며, 상기 제 1펜끝(4A)을 제 1잉크저류부내의 잉크와 동색으로 착색함과 동시에 상기 제 2펜끝을 제 2잉크저류부내의 잉크와 동 색으로 착색하며, 상기 제 1캡 및 제 2캡을 축통의 양단에 장착할 때 상기 제 1펜끝 및 제 2펜끝을 외부로부터 시인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식 필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캡이 제 1펜끝측 및 제 2펜끝측의 어디에도 장착가능하며 또한 상기 제 2캡은 제 1펜끝측 및 제 2펜끝측의 어디에도 장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식 필기구.
  6. 제 3항,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제 1펜끝 또는 제 2펜끝을 아래로 향하게 했을 때 제 1잉크저류부내의 잉크와 제 2잉크저류부내의 잉크를 좌우로 시인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식 필기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제 1잉크저류부측의 내면 및 상기 격벽의 제 2잉크저류부측의 내면에, 축선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면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식 필기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일단이 제 1잉크보류부재 근방의 축통측벽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격벽의 타단이 제 2잉크보류부재 근방의 축통측벽에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식 필기구.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이 축선방향으로 뻗는 중앙벽부와, 이 중앙벽부의 양단에 접속되고 또한 축통측벽에 접속되는 축선에 대해 경사진 저벽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식 필기구.
  10. 제 7항,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잉크탱크의 개구부측으로부터 격벽을 본 경우 및 상기 제 2잉크탱크의 개구측으로부터 격벽을 본 경우 중 어느 한 경우도 격벽의 대략 전 영역에 경사면이 시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식 필기구.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펜끝측의 축통의 외면에 장착가능한 제 1캡과, 상기 제 2펜끝측의 축통의 외면에 장착가능한 제 2캡을 구비하고,
    상기 제 1잉크탱크가 앞쪽으로 개구하는 제 1대경부(51A)와, 상기 격벽(3)에 의해 소경화되고, 상기 제 1대경부의 뒤쪽에 연설되는 제 1소경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대경부내에 제 1펜끝과 접속되는 제 1잉크보류부재를 마련하고, 상기 제 1잉크보류부재의 뒤쪽의 제 1잉크탱크내에 제 1잉크를 직접 저류하는 제 1잉크저류부를 마련하며,
    상기 제 2잉크탱크는 앞쪽으로 개구하는 제 2대경부와, 상기 격벽에 의해 소경화되고, 상기 제 2대경부의 뒤쪽으로 연설되는 제 2소경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대경부내에 제 2펜끝과 접속되는 제 2잉크보류부재를 마련하고, 상기 제 2잉크보류부재의 뒤쪽의 제 2잉크탱크내에 제 2잉크를 직접 저류하는 제 2잉크저류부를 마련하며,
    제 1소경부내의 제 1잉크 및 제 2소경부내의 제 2잉크를 시인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제 1캡과의 감합부를 제 1소경부보다 앞쪽위치의 축통에 마련하며, 상기 제 2캡과의 감합부를 제 2소경부보다 앞쪽위치의 축통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식 필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제 1캡을 제 1펜끝측의 축통에 장착했을 때 상기 제 1캡의 후단이 제 1소경부보다 앞쪽에 위치하고,
    제 2캡을 제 2펜끝측의 축통의 외면에 장착했을 때 상기 제 2캡의 후단이 제 2소경부보다 앞쪽에 위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식 필기구.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부는 타넘는 결합부와 기밀씨일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넘는 결합부를 제 1대경부의 외면 및 제 2대경부의 외면에 마련하며, 상기 기밀씨일부를 제 1대경부의 전단부 및 제 2대경부의 전단부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식 필기구.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잉크보류부재의 축심에 제 1잉크저류부로부터 제 1펜끝으로 제 1잉크를 공급하는 제 1유도심을 삽입하여 장착하고, 상기 제 1유도심의 후단부를 제 1잉크보류부재의 후단으로부터 뒤쪽으로 돌출시키며,
    상기 제 2잉크보류부재의 축심에 제 2잉크저류부로부터 제 2펜끝으로 제 2잉크를 공급하는 제 2유도심을 삽입하여 장착하고, 상기 제 2유도심의 후단부를 제 2잉크보류부재의 후단부로부터 뒤쪽으로 돌출시키며,
    상기 제 1펜끝이 위를 향할 때에는 상기 제 1유도심의 후단부와 상기 제 1잉크가 접촉상태에 있고, 상기 제 2펜끝이 위를 향할 때에는 상기 제 2유도심의 후단부와 상기 제 2잉크가 접촉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로 하는 양두식 필기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일단을 제 1잉크보류부재 근방의 축통측벽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격벽의 타단을 제 2잉크보류부재 근방의 축통측벽에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식 필기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이 축방향으로 뻗는 중앙벽부와, 상기 중앙벽부의 일단과 제 1잉크보류부재 근방의 축통측벽을 접속하는 제 1저벽부와, 상기 중앙벽부의 타단과 제 2잉크보류부재 근방의 축통측벽을 접속하는 제 2저벽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저벽부와 제 1잉크보류부재의 후단면에 의해 오목모양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 1오목모양 공간내에 상기 제 1유도심의 후단부를 위치시켜 상기 제 2저벽부와 제 2잉크보류부재의 후단면에 의해 제 2오목모양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 2오목모양 공간내에 상기 제 2유도심의 후단부를 위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식 필기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오목모양 공간을 구성하는 축통측벽 내면 또는 제 1저벽부에, 축방향으로 뻗는 제 1리브를 형성하고, 상기 제 1리브와 상기 제 1유도심의 후단부 외주면과의 사이에 모세관력을 갖는 틈을 형성하며,
    상기 제 2오목모양 공간을 구성하는 축통측벽 내면 또는 제 2저벽부에, 축방향으로 뻗는 제 2리브를 형성하고, 상기 제 2리브와 상기 제 2유도심의 후단부 외주면 사이에 모세관력을 갖는 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식 필기구.
  18. 제 1항에 있어서,
    제 1잉크저류부의 용량과 제 2잉크저류부의 용량이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식 필기구.
  19. 제 1항에 있어서,
    제 1잉크저류부의 용량과 제 2잉크저류부의 용량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식 필기구.
  20. 제19항에 있어서,
    격벽의 제 1펜끝측의 접속단부와 제 1잉크보류부재의 후단과의 거리와, 격벽의 제 2펜끝측의 접속단부와 제 2잉크보류부재의 후단과의 거리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식 필기구.
  21. 제19항에 있어서,
    제 1잉크저류부의 저벽부의 크기와 제 2잉크저벽부의 크기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식 필기구.
  22. 양단이 개구하는 축통을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축통의 내부에 격벽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격벽에 의해 상기 축통내부에 상기 축통의 일단으로부터 개구하는 제 1잉크탱크와, 상기 축통의 타단으로부터 개구하는 제 2잉크탱크를 마련하고, 상기 제 1잉크탱크와 상기 제 2잉크탱크를 서로 연통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며, 상기 격벽을 축방향으로 연설하여 상기 격벽을 통해 제 1잉크탱크와 제 2잉크탱크를 지름방향으로 서로 겹치는 중층상태로 구성하고, 상기 격벽의 두께를 C로 하며 상기 격벽과 접속하는 축통측벽의 두께를 D로 했을 때,
    0.2≤C/D≤2.5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식 필기구.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과 접속하는 축통측벽의 외면에 인쇄층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식 필기구의 축통.
  24.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축통의 양단을 개구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축통의 내부에, 격벽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축통 일단으로부터 외부로 개구하는 제 1잉크탱크와, 축통의 타단으로부터 외부로 개구하는 제 2잉크탱크를 마련하고, 상기 제 1잉크탱크와 제 2잉크탱크를 서로 연통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며,
    상기 제 1잉크탱크의 개구부에 제 1펜끝과 접속되는 제 1잉크보류부재를 마련하고, 상기 제 1잉크보류부재 뒤쪽의 제 1잉크탱크내에 제 1잉크저류부를 마련하며, 상기 제 1잉크보류부재가 상기 제 1잉크저류부내의 압력상승에 따른 넘쳐나는 잉크를 일시적으로 보지하고,
    상기 제 2잉크탱크의 개구부에 제 2펜끝과 접속되는 제 2잉크보류부재를 마련하고, 상기 제 2잉크보류부재의 뒤쪽의 제 2잉크탱크내에 제 2잉크저류부를 마련하며, 상기 제 2잉크보류부재가 상기 제 2잉크저류부내의 압력상승에 따른 넘쳐나는 잉크를 일시적으로 보지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잉크저류부와 제 2잉크저류부를 상기 격벽을 통해 지름방향으로 서로 겹치도록 마련하고, 상기 제 1잉크저류부와 제 2잉크저류부에 서로 다른 색의 잉크를 저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식 필기구.
  25. 제24항에 있어서,
    제 1펜끝측의 축통에 착탈이 자유로운 제 1캡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제 2펜끝측의 축통에 착탈이 자유로운 제 2캡을 구비하고, 상기 제 1캡 및 제 2캡을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료에 의해 구성하며, 상기 제 1펜끝을 제 1잉크저류부내의 잉크와 동색으로 착색함과 동시에 상기 제 2펜끝을 제 2잉크저류부내의 잉크와 동 색으로 착색하며,
    상기 제 1캡 및 제 2캡을 축통의 양단에 장착할 때 상기 제 1펜끝 및 제 2펜끝을 외부로부터 시인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식 필기구.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캡이 제 1펜끝측 및 제 2펜끝측의 어디에도 장착가능하며 또한 상기 제 2캡은 제 1펜끝측 및 제 2펜끝측의 어디에도 장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식 필기구.
  27. 제24,제25,제26항에 있어서,
    제 1펜끝 또는 제 2펜끝을 아래로 향하게 했을 때 제 1잉크저류부내의 잉크와 제 2잉크저류부내의 잉크를 좌우로 시인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식 필기구.
  28. 양단이 개구하는 축통의 내부에 격벽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축통내부에 상기 축통의 일단으로부터 개구하는 제 1잉크탱크와, 상기 축통의 타단으로부터 개구하는 제 2잉크탱크를 마련하고, 상기 제 1잉크탱크와 상기 제 2잉크탱크를 서로 연통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며, 상기 제 1잉크탱크의 개구부에 제 1펜끝과 접속되는 제 1잉크보류부재를 마련하고, 상기 제 1잉크보류부재의 뒤쪽의 제 1잉크탱크내에 제 1잉크저류부를 마련하며, 상기 제 1잉크보류부재는 상기 제 1잉크저류부내의 압력상승에 따른 넘쳐나는 잉크를 일시적으로 보지하고,
    상기 제 2잉크탱크의 개구부에 제 2펜끝과 접속되는 제 2잉크보류부재를 마련하고, 상기 제 2잉크보류부재의 뒤쪽의 제 2잉크탱크내에 제 2잉크저류부를 마련하며, 상기 제 2잉크보류부재는 상기 제 2잉크저류부내의 압력상승에 따른 넘쳐나는 잉크를 일시적으로 보지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격벽의 제 1잉크저류부측의 내면 및 상기 격벽의 제 2잉크저류부측의 내면에 축선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면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식 필기구.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일단이 제1 잉크보류부재 근방의 축통측벽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격벽의 타단이 제 2잉크보류부재 근방의 축통측벽에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식 필기구.
  30. 제 28항 또는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축선방향으로 뻗는 중앙벽부와, 이 중앙벽부의 양단에 접속되고 또한 축통측벽에 접속되는 축선에 대해 경사진 저벽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식 필기구.
  31. 제28항, 제29항,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잉크탱크의 개구측으로부터 격벽을 본 경우 및 상기 제 2잉크탱크의 개구측으로부터 격벽을 본 경우 및 상기 제 2잉크탱크의 개구측으로부터 격벽을 본 경우 및 상기 제 2잉크탱크의 개구측으로부터 격벽을 본 경우 중 어느 한 경우도 격벽의 대략 전 영역에 경사면이 시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식 필기구.
  32. 일단에 제 1펜끝을 구비하고 또한 제 2펜끝을 구비하는 축통으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제 1펜끝측의 본체 외면에 장착가능한 제 1캡과, 상기 제 2펜끝측의 본체의 외면에 장착가능한 제 2캡으로 이루어지는 양두식 필기구이며,
    상기 축통을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 성형체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축통의 내부에 격벽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축통의 일단으로부터 외부로 개구하고, 제 1펜끝을 구비하는 제 1잉크탱크와, 축통의 타단으로부터 외부로 개구하고, 제 2펜끝을 구비하는 제 2잉크탱크를 마련하며, 상기 제 1잉크탱크와 제 2잉크탱크를 서로 연통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격벽을 길이방향으로 연설하고, 상기 제 1잉크탱크는 앞쪽으로 개구하는 제 1대경부와, 상기 격벽에 의해 소경화되며, 상기 제 1대경부의 뒤쪽으로 연설되는 제 1소경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대경부내에 제 1펜끝과 접속되는 제 1잉크보류부재를 마련하며, 상기 제 1잉크보류부재의 뒤쪽의 제 1잉크탱크내에 제 1잉크를 직접 저류하는 제 1잉크저류부를 마련하고, 상기 제 1잉크보류부재는 제 1잉크저류부내의 압력상승에 따른 넘쳐나는 잉크를 일시적으로 보지하며,
    상기 제 2잉크탱크는 앞쪽으로 개구하는 제 2대경부와, 상기 격벽에 의해 소경화되며, 상기 제 2대경부의 뒤쪽으로 연설되는 제 2소경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대경부내에 제 2펜끝과 접속되는 제 2잉크보류부재를 마련하며, 상기 제 2잉크보류부재의 뒤쪽의 제 2잉크탱크내에 제 2잉크를 직접 저류하는 제 2잉크저류부를 마련하고, 상기 제 2잉크보류부재는 제 2잉크저류부내의 압력상승에 따른 넘쳐나는 잉크를 일시적으로 보지하며,
    제 1소경부내의 제 1잉크 및 제 2소경부내의 제 2잉크를 시인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 1캡과의 감합부를 제 소경부로부터 앞쪽위치의 본체에 마련하며, 상기 제 2캡과의 감합부를 제 2소경부로부터 앞쪽위치의 본체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식 필기구.
  33. 제32항에 있어서,
    제1캡을 제1펜끝측의 본체 외면에 장착했을 때 상기 제 1캡의 후단이 제1 소경부로부터 앞쪽에 위치하고,
    제2캡을 제2펜끝측의 본체 외면에 장착했을 때 상기 제 2캡의 후단이 제2 소경부로부터 앞쪽에 위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식 필기구.
  34.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부는 타넘는 결합부와 기밀씨일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넘는 결합부를 제 1대경부의 외면 및 제 2대경부의 외면에 마련하며, 상기 기밀씨일부를 제 1대경부의 전단부 및 제 2대경부의 전단부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식 필기구.
  35. 양단이 개구하는 축통의 내부에 격벽을 형성하고, 상기 격벽에 의해 축통내부에 상기 축통의 일단으로부터 개구하는 제 1잉크탱크와, 축통의 타단으로부터 개구하는 제 2잉크탱크를 마련하고, 상기 제 1잉크탱크와 상기 제 2잉크탱크를 서로 연통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며, 상기 제 1잉크탱크의 개구단 및 제 2잉크탱크의 개구단의 각각에 펜끝을 구비한 양두식 필기구로서,
    최소한 제 1잉크탱크 또는 제 2잉크탱크 중 어느 한쪽에 그 개구단의 펜끝과 접속되는 잉크보류부재를 펜끝의 뒤쪽에 마련하고, 상기 잉크보류부재의 뒤쪽에 잉크저류부를 마련하며, 상기 잉크저류부내에 잉크를 직접 저류하고, 상기 잉크보류부재는 상기 잉크저류부내에 압력상승에 따른 넘쳐나는 잉크를 일시적으로 보지하며, 상기 잉크보류부재의 축심에 상기 잉크저류부로부터 상기 잉크보류부재의 앞쪽의 펜끝으로 잉크를 공급하는 유도심을 삽입장착하고, 상기 유도심의 후단부를 상기 잉크보류부재의 후단으로부터 뒤쪽으로 돌출하도록 하며, 상기 잉크보륩재의 앞쪽의 펜끝이 위쪽을 향할 때 상기 유도심의 후단부와 상기 잉크저류부내의 잉크가 접촉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식 필기구.
  36. 양단이 개구하는 축통의 내부에 격벽을 형성하고, 상기 격벽에 의해 축통내부에 축통의 일단으로부터 개구하는 제 1잉크탱크와, 축통의 타단으로부터 개구하는 제 2잉크탱크를 마련하며, 상기 제 1잉크탱크와 상기 제 2잉크탱크를 서로 연통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제 1잉크탱크의 개구단에 제 1펜끝을 마련하고, 상기 제 1펜끝의 뒤쪽의 제 1잉크탱크의 개구부내에 상기 제 1펜끝과 접속되는 제 1잉크보류부재를 마련하며, 상기 제 1잉크보류부재의 뒤쪽의 제 1잉크탱크내에 제 1잉크저류부를 마련하고, 상기 제 1잉크저류부내에 제 1잉크를 직접 저류하며, 상기 제 1잉크보류부재는 상기 제 1잉크저류부내의 압력상승에 따른 넘쳐나는 잉크를 일시적으로 보지하고, 상기 제 1잉크보류부재의 축심에 제 1잉크저류부로부터 제 1펜끝으로 제 1잉크를 공급하는 제 1유도심을 삽입장착하며, 상기 제 1유도심의 후단부를 제 1잉크보류부재의 후단으로부터 뒤쪽으로 돌출시키고,
    상기 제 2잉크탱크의 개구단에 제 2펜끝을 마련하고, 상기 제 2펜끝의 뒤쪽의 제 2잉크탱크의 개구부내에 상기 제 2펜끝과 접속되는 제 2잉크보류부재를 마련하며, 상기 제 2잉크보류부재의 뒤쪽의 제 2잉크탱크내에 제 2잉크저류부를 마련하고, 상기 제 2잉크저류부내에 제 2잉크를 직접 저류하며, 상기 제 2잉크보류부재는 상기 제 2잉크저류부내의 압력상승에 따른 넘쳐나는 잉크를 일시적으로 보지하고, 상기 제 2잉크보류부재의 축심에 제 2잉크저류부로부터 제 2펜끝으로 제 2잉크를 공급하는 제 2유도심을 삽입장착하며, 상기 제 2유도심의 후단부를 제 2잉크보류부재의 후단으로부터 뒤쪽으로 돌출시키며,
    상기 제 1펜끝이 위를 향할 때에는 상기 제 1유도심의 후단부와 상기 제 1잉크가 접촉상태에 있고, 상기 제 2펜끝이 위를 향할 때에는 상기 제 2유도심의 후단부와 상기 제 2잉크가 접촉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식 필기구.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을 축방향으로 연설하고, 상기 격벽의 일단을 제 1잉크보류부재 근방의 축통측벽에 접속하며 또한 상기 격벽의 타단을 제 2잉크보류부재 근방의 축통측벽에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식 필기구.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이 축방향으로 뻗는 중앙벽부와, 상기 중앙벽부의 일단과 제 1잉크보류부재 근방의 축통측벽을 접속하는 제 1저벽부와, 상기 중앙벽부의 타단과 제 2잉크보류부재 근방의 축통측벽을 접속하는 제 2저벽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저벽부와 제 1잉크보류부재의 후단면에 의해 제 1오목모양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 1오목모양 공간내에 상기 제 1유도심의 후단부를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제 2저벽부와 제 2잉크보류부재의 후단면에 의해 제 2오목모양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 2오목모양 공간내에 상기 제 2유도심의 후단부를 위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식 필기구.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오목모양 공간을 구성하는 축통측벽 내면 또는 제 2저벽부에 축방향으로 뻗는 제 2리브를 형성하고, 상기 제 2리브와 상기 제 2유도심의 후단부 외주면과의 사이에 모세관력을 갖는 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식 필기구.
  40. 양단이 개구하는 축통을 투명성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축통의 내부에 격벽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격벽에 의해 상기 축통 내부에 상기 축통의 일단으로부터 개구하는 제 1잉크탱크와, 상기 축통의 타단으로부터 개구하는 제 2잉크탱크를 마련하고, 상기 제 1잉크탱크와 상기 제 2잉크탱크를 서로 연통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며, 상기 제 1잉크탱크의 개구부에 제 1펜끝과 접속되는 제 1잉크보류부재를 마련하고, 상기 제 1잉크보류부재 뒤쪽의 제 1잉크탱크내에 제 1잉크저류부를 마련하며, 상기 제 1잉크저류부내에 제 1잉크를 저류하고, 상기 제 1잉크보류부재는 상기 제 1잉크저류부내의 압력상승에 따른 넘쳐나는 잉크를 일시적으로 보지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2잉크탱크의 개구부에 제 2펜끝과 접속되는 제 2잉크보류부재를 마련하고, 상기 제 2잉크보류부재 뒤쪽의 제 2잉크탱크내에 제 2잉크저류부를 마련하며, 상기 제 2잉크저류부내에 제 2잉크를 저류하고, 상기 제 2잉크보류부재가 상기 제 2잉크저류부내의 압력상승에 따른 넘쳐나는 잉크를 일시적으로 보지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격벽을 축방향으로 연설하고 상기 간격을 통해 제 1잉크저류부와 제 2잉크저류부를 지름방향으로 서로 겹치는 중층상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식 필기구.
KR1020040104906A 2003-12-16 2004-12-13 양두식 필기구 KR1007583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18779 2003-12-16
JPJP-P-2003-00418782 2003-12-16
JPJP-P-2003-00418780 2003-12-16
JP2003418782A JP2005178051A (ja) 2003-12-16 2003-12-16 両頭式筆記具
JP2003418779 2003-12-16
JP2003418780A JP3971371B2 (ja) 2003-12-16 2003-12-16 両頭式筆記具
JP2003432454A JP2005186512A (ja) 2003-12-26 2003-12-26 両頭式筆記具及び両頭式筆記具の軸筒
JPJP-P-2003-00432454 2003-12-26
JPJP-P-2004-00209020 2004-07-15
JP2004209020A JP2006027063A (ja) 2004-07-15 2004-07-15 両頭式筆記具
JPJP-P-2004-00300245 2004-10-14
JP2004300245A JP2005199695A (ja) 2003-12-16 2004-10-14 両頭式筆記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315A true KR20050061315A (ko) 2005-06-22
KR100758391B1 KR100758391B1 (ko) 2007-09-14

Family

ID=34528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4906A KR100758391B1 (ko) 2003-12-16 2004-12-13 양두식 필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7374356B2 (ko)
EP (1) EP1543991B1 (ko)
KR (1) KR100758391B1 (ko)
CN (5) CN101254723B (ko)
TW (1) TWI29970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4465A1 (en) * 2020-05-07 2021-11-11 SOCIéTé BIC Printing method and printing apparatus for improving visibility and printed matter printed using the printing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53100B2 (en) * 2003-01-09 2009-06-30 Audrey Muhr-Sweeney Dual cleaning apparatus
GB2440731A (en) * 2006-08-10 2008-02-13 Letraset International Ltd Double ended felt-tip marking pens for disassembly and reassembly by the user
US8517728B2 (en) * 2007-01-24 2013-08-27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having fluid delivery system
US20080219750A1 (en) * 2007-03-05 2008-09-11 Marjorie Siegel Dual prep applicator
KR20100076983A (ko) * 2007-09-26 2010-07-06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시트 분배기를 구비한 기록 도구
US20110236121A1 (en) * 2008-12-24 2011-09-29 Mattson Barry W Locking module for sprayers
US8696228B1 (en) * 2010-04-23 2014-04-15 Hairmarker Llc Cosmetic marker
CN105109236B (zh) * 2010-06-14 2017-06-23 三菱铅笔株式会社 书写用具
WO2012020416A2 (en) * 2010-08-11 2012-02-16 Bioline Rx Ltd An active agent delivery device
US20130067672A1 (en) * 2011-09-16 2013-03-21 Joanna Paulina Kozlowski In shower make-up remover
CN102371815A (zh) * 2011-09-30 2012-03-14 常熟市磊燕办公用品有限公司 一种双头水笔
WO2013183633A1 (ja) 2012-06-04 2013-12-12 有限会社Vスパーク 筆記具
WO2015060078A1 (ja) * 2013-10-21 2015-04-30 有限会社Vスパーク 圧力変動緩衝機構及び塗布具
US9271557B2 (en) * 2014-03-13 2016-03-01 Elc Management, Llc Cosmetic applicator system with one functional and one non-functional applicator
US20160046142A1 (en) * 2014-08-14 2016-02-18 Artskills, Inc. Multifunctional marking instrument
CN104691161B (zh) * 2015-02-28 2017-01-25 李俊杰 一种便携可抽合式两用笔
CN105730065A (zh) * 2016-02-15 2016-07-06 胡晓婧 一种易于识别真实色彩的防丢笔帽马克笔
WO2017195830A1 (ja) * 2016-05-11 2017-11-16 ウイントレーディング株式会社 塗布具
EP3687829A4 (en) * 2017-09-26 2021-06-02 Sanford, L.P. WRITING INSTRUMENTS AND RELATED PROCEDURES
CN108828997B (zh) * 2018-06-07 2019-12-27 西南交通大学 一种具有字体调节功能的书写笔
CN109527771A (zh) * 2018-12-11 2019-03-29 上海洋明塑料科技有限公司 一种双头化妆笔
US11257018B2 (en) 2018-12-24 2022-02-22 Hartford Fire Insurance Company Interactive user interface for insurance claim handlers including identifying insurance claim risks and health scores
CN110154585A (zh) * 2019-05-24 2019-08-23 裴学华 毛笔夹
CN110481202A (zh) * 2019-07-29 2019-11-22 温州市新亚文具有限公司 直液式彩色笔芯
CA3153272A1 (en) * 2019-10-04 2021-04-08 Flocon, Inc. Coupling device
CN115230370B (zh) * 2022-08-04 2024-01-30 湖南创智慧教育有限公司 一种可储存水墨自适应自动出水墨的毛笔书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381267A (ko) *
DE2857370A1 (de) 1978-11-25 1980-06-12 Hagemann Schreibgeraet mit mehreren schreibeinheiten
JPS5642691A (en) 1979-09-13 1981-04-20 Yoshio Midorikawa Signature pen blank and its manufacture
JPS62180588U (ko) 1986-05-07 1987-11-16
IT1224690B (it) * 1987-07-29 1990-10-18 Pentel Kk Strumento di scrittura
CN2083111U (zh) * 1991-02-13 1991-08-21 周煜驹 双头自来水笔
US5203638A (en) * 1991-11-29 1993-04-20 Redmond Jr Robert F Writing instrument for alternately writing in fluorescent transparent and nontransparent ink
JPH05212997A (ja) 1991-12-10 1993-08-24 Sakura Color Prod Corp 塗布具
JPH0576794U (ja) * 1992-03-19 1993-10-19 パイロット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両頭式筆記具
DE4230432C1 (de) * 1992-09-11 1993-10-07 Pelikan Ag Handschreibgerät mit zwei Schreib- oder Auftragselementen
JP3796287B2 (ja) * 1996-02-15 2006-07-12 ゼブラ株式会社 筆記具
JPH11301172A (ja) 1998-04-15 1999-11-02 Mitsubishi Pencil Co Ltd ボールペン
DE29809659U1 (de) * 1998-05-30 1998-10-08 Limbeck, Achim, 53894 Mechernich Kugelschreiber mit Werbeaufdruck für Linkshänder
KR100417718B1 (ko) * 1998-11-19 2004-02-11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필기구의 콜렉터
US6428235B1 (en) 1999-03-26 2002-08-06 Mitsubishi Pencil Kabushiki Kaisha Liquid applicator having ink color identification
JP2001219693A (ja) * 2000-02-09 2001-08-14 Mitsubishi Pencil Co Ltd 両頭式直液筆記具
US6769827B2 (en) * 2000-05-18 2004-08-03 Mitsubishi Pencil Kabushiki Kaisha Collector type writing implement
JP4493157B2 (ja) 2000-05-25 2010-06-30 三菱鉛筆株式会社 筆記具等用キャップ
JP2002036786A (ja) 2000-07-21 2002-02-06 Liberty Japan Kk 筆記具
US6340260B1 (en) * 2000-09-29 2002-01-22 Kevin P. Dao Marker assembly having hinged cap
CN2666681Y (zh) 2003-11-25 2004-12-29 李源 注入式吸墨水双色钢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4465A1 (en) * 2020-05-07 2021-11-11 SOCIéTé BIC Printing method and printing apparatus for improving visibility and printed matter printed using the print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45134A1 (en) 2008-06-19
TWI299704B (en) 2008-08-11
US7575385B2 (en) 2009-08-18
CN101254725A (zh) 2008-09-03
CN101254725B (zh) 2011-11-09
US20050186013A1 (en) 2005-08-25
EP1543991A3 (en) 2007-08-01
US7611300B2 (en) 2009-11-03
CN100497002C (zh) 2009-06-10
TW200528308A (en) 2005-09-01
CN101254723B (zh) 2010-06-02
CN100589992C (zh) 2010-02-17
CN101254723A (zh) 2008-09-03
CN101301833B (zh) 2010-06-09
EP1543991B1 (en) 2013-02-27
US20080175647A1 (en) 2008-07-24
CN101301833A (zh) 2008-11-12
CN101254724A (zh) 2008-09-03
KR100758391B1 (ko) 2007-09-14
EP1543991A2 (en) 2005-06-22
CN1628994A (zh) 2005-06-22
US7374356B2 (en) 2008-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8391B1 (ko) 양두식 필기구
JP2019214216A (ja) 筆記具
WO2011158837A1 (ja) 筆記具
JP2018122566A (ja) 筆記具
JP6370024B2 (ja) 筆記具
JP6143429B2 (ja) 筆記具
JP6464231B2 (ja) 筆記具
JP2017124544A (ja) 筆記具
JP3971371B2 (ja) 両頭式筆記具
JP4750355B2 (ja) 両頭式筆記具
JP6807408B2 (ja) 筆記具
JP2007283778A (ja) 両頭式筆記具
KR200308247Y1 (ko) 일체형 다중 색상 볼펜심 및 이를 구비하는 볼펜
KR200252892Y1 (ko) 일체형 이중 색상 볼펜심 및 이를 구비하는 볼펜
JP2005186512A (ja) 両頭式筆記具及び両頭式筆記具の軸筒
JP2006027063A (ja) 両頭式筆記具
KR20020052663A (ko) 일체형 이중 색상 볼펜심 및 이를 구비하는 볼펜
JP2005199695A (ja) 両頭式筆記具
JP2019135093A (ja) ペン先及びこのペン先を備えた筆記具
JPH082170A (ja) 直液式筆記具
JPH0634985U (ja) ペ ン
JP2005178051A (ja) 両頭式筆記具
JP2005297450A (ja) マーキングペン
KR20030011003A (ko) 일체형 삼중 색상 볼펜심 및 이를 구비하는 볼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