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3665A - 밀폐형 압축기 - Google Patents

밀폐형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3665A
KR20050053665A KR1020057004440A KR20057004440A KR20050053665A KR 20050053665 A KR20050053665 A KR 20050053665A KR 1020057004440 A KR1020057004440 A KR 1020057004440A KR 20057004440 A KR20057004440 A KR 20057004440A KR 20050053665 A KR20050053665 A KR 20050053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ortion
auxiliary shaft
hermetic compressor
auxiliary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4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5254B1 (ko
Inventor
다카시 가키우치
다케시 고지마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3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3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5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52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9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crank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4Measures to avoid lubricant contaminating the pumped flu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 Y10S417/902Hermetically sealed motor pump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제1 균형추가 보조 축부의 편심 축부의 측단부에 구비되고 제2 균형추가 메인 축부의 편심 축부의 측단부에 구비되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압축기의 소형 크기를 손상하지 않고 충분한 제1 균형추와 제2 균형추를 설치하여 소음과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밀폐형 압축기{HERMETIC COMPRESSOR}
본 발명은 냉동기, 공기 조화기, 냉동 시스템 등에 사용된 밀폐형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가정용 냉동-냉장고와 같은 냉동 시스템에 관해서 소비 전력의 감소와 조용한 작동에 대한 강한 요구가 있다. 그러한 상황에서, 저점도 윤활유의 사용과 인버터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기의 회전 속도 감소(예를들면, 가정용 냉장고의 경우 1200 r.p.m. 정도)가 점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오존 고갈 계수(ozone depleting coefficient)가 0인 R134a 및 R600a 로 대표되는 낮은 온실 계수의 자연 냉매인 탄화수소계 냉매를 채용하는 것이 필수 불가결하게 되었다. 또한, 두 개 이하의 지점에서 축을 지지하는 양 단부 베어링(two-end bearing)을 사용하는 종래 방법은 미끄럼 손실 감소와 소비 전력 감소를 위한 요소 기술로서 효과적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일본국 실용신안 등록출원 공개 제S52-139407호에 개시된 종래 밀폐형 압축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종래 압축기의 종단면도이고, 도9는 종래 압축기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서, 밀폐 용기(1) 내에는 냉매(2)로 충전되어 있다. 코일부(3a)를 갖는 고정자(3)와 회전자(4)로 구성된 전동요소(5)와, 전동요소(5)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요소(6)는 서스펜션 스프링(7)에 의해 밀폐 용기(1) 내에 탄성적으로 수용된다.
축(10)은, (i) 회전자(4)에 가압 고정되는 스핀들부(11)와, (ii) 스핀들부(11)에 대해 편심적으로 형성된 편심부(12)와, (iii) 스핀들부(11)와 동축으로 설치되는 보조 축부(13)와, (iv) 편심부(12)와 보조 축부(13) 사이의 축(10)과 일체로 형성된 균형추(10a)를 갖는다. 또한, 스핀들부(11)와 편심부(12) 사이에는 스핀들부(11)와 편심부(1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죠인트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16)은 대략 원통형 압축실(17)을 갖고, 스핀들부(11)를 지지하는 메인 베어링(18)을 구비한다. 실린더 블록(16) 위쪽에 보조 축부(13)를 지지하는 보조 베어링(19)이 고정되어 있다. 피스톤(20)은 실린더 블록(16)의 압축실(17) 내에 자유롭게 왕복 미끄럼가능한 방법으로 삽입되고, 연결수단(21)을 통하여 편심부(12)와 연결되어 있다. 연결수단의 작은 단부(21b)는 피스톤 핀(22)에 의해서 피스톤(20)과 연결되고, 큰 단부(21a)는 편심부(12)와 연결되어 있다.
이제 전술된 구성의 밀폐형 압축기의 작동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된다.
축(10)은 전동요소(5)의 회전자(4)와 함께 회전한다. 그리고, 편심부(12)의 회전 운동이 연결수단(21)을 통하여 피스톤(20)에 전달되고, 피스톤(20)은 압축실(17)에서 왕복 운동을 한다. 이 운동으로, 냉매 가스는 냉각 시스템(도시생략)으로부터 압축실(17)로 흡입되고, 그곳에서 압축된 후에 다시 냉각 시스템으로 방출된다.
이 압축 작용의 경우, 피스톤(20)의 왕복 운동은 불균형 힘인 왕복 관성력을 발생시킨다. 이 왕복 관성력은 피스톤(20)에 대해서 역위상(opposite phase)으로 작용하는 방법으로 편심부(12)와 보조 축부(13) 사이에 설치된 균형추(10a)에 의해 균형을 잡는다. 이것은 피스톤(20)의 왕복 관성력을 어느 정도까지 수평 방향으로 상쇄시킨다.
그러나, 균형 추(10a)가 단지 피스톤(20)의 상측에 설치되는 전술한 종래 구성에서는, 피스톤(20)의 왕복 관성력에 기인한 수평방향 불균형력은 상쇄될 수 있지만, 수직 방향인 축(10)의 축방향에서는 불균형력이 존재한다. 그 결과, 이 불균형력은 압축요소(6)와 전동요소(5)를 진동시키고, 이 진동은 밀폐 용기(1)를 서스펜션 스프링(7)을 통하여 진동시킨다. 즉, 압축기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1)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1)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1)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주요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1)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주요 부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1)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주요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2)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주요 부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2)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주요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종래 압축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 압축기의 평면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밀폐형 압축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 동안 저진동과, 조립시의 양호한 작업성과 높은 신뢰성을 갖는 밀폐형 압축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는, 전동요소, 이 전동요소에 의해서 구동되는 압축요소, 및 상기 전동요소와 압축요소를 수용하는 밀폐 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요소는, (i) 편심 축부 뿐만 아니라 편심 축부와 상하부에서 동축으로 구비된 보조 축부와 스핀들부를 갖는 축과, (ii) 압축실을 구비한 실린더 블록과, (iii) 실린더 블록에 구비되고 스핀들부를 지지하는 메인 베어링과, (iv) 실린더 블록 상에 구비되고 보조 축부를 지지하는 보조 베어링과, (v) 압축실에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과, (vi) 피스톤과 편심 축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한다. 보조 축부의 편심 축부의 측단부에는 제1 균형추가 설치되고, 스핀들부의 편심 축부의 측단부에는 제2 균형추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1 균형추는 보조 축부와 별도부재에 의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기술될 것이다.
(양호한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1)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동일한 실시예에 대한 평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동일한 실시예의 주요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동일한 실시예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동일한 실시예의 주요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밀폐 용기(101)는 냉매(102)로 충진되어 있다. 전동요소(105)는 코일부(103a)를 갖는 고정자(103)와 회전자(104)로 구성되어 있다. 전동요소(105)와, 전동요소(105)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요소(106)는 서스펜션 스프링(107)에 의해 밀폐 용기(101)에 탄성적으로 수용된다.
축(110)은, (i) 회전자(104)에 가압 고정되는 스핀들부(111)와, (ii) 스핀들부(111)에 대해 편심적으로 형성된 편심축부(112)와, (iii) 스핀들부(111)의 편심축부(112) 측에 축(110)과 일체로 형성된 제2 균형추(111a)와, (ⅳ) 스핀들부(111)와 동축으로 설치되는 보조 축부(113)와, (v) 보조 축부(113)와 편심축부(112) 사이를 연결하는 죠인트부(112a)를 갖는다. 보조 축부(113)상에는 축방향으로 통과하는 관통공(113a)과 오목부(113b)가 형성된다. 제1 균형추(130)상에는 관통공(113a)과 오목부(113b)에 대응하는 위치에 나사구멍(130a)과 볼록부(130b)가 설치된다. 오목부(113b)와 볼록부(130b)가 서로 끼워진 다음, 나사(131)가 관통공(113a)의 역편심 축측(counter-eccentric shaft side)으로부터 삽입되고, 나사구멍(130a)에 체결될 때 제1 균형 축(130)은 보조 축부(113)에 고정된다.
실린더 블록(116)은 대략 원통형 압축실(117)을 갖고, 위쪽에 보조 스핀들부(113)를 지지하는 보조 베어링(119)을 갖는다. 그리고, 실린더 블록(116)의 하부에 나사(123)에 의해 스핀들부(111)를 지지하는 메인 베어링(118)이 고정된다. 피스톤(120)은 압축실(117) 내에 자유롭게 왕복 미끄럼 가능한 방법으로 삽입된다. 피스톤(120)과 편심 축부(112)는, 연결수단의 큰 단부(121a)와 연결수단의 작은 단부(121b)와,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121c)가 일체로 형성된 연결 로드인 연결수단(112)에 의해서 피스톤(122)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연결수단(121)은 큰 단부(121a)와 작은 단부(121b)와 함께 높은 정밀도의 원통 정도(roundness)와 둥글기 정도(roundness)를 갖는 링 형상으로 혼닝(honing) 가공된다. 즉, 내경부를 가압하면서 면접촉 가공에 의해서 회전 및 왕복 운동을 제공하도록 각 구멍에서 굴대(mandrel)에 막대형 숫돌(bar-shaped grindstone)이 합체된다.
계속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럼부(140)의 두 단부(140a)와, 보조 베어링(119)과 보조 축부(113)의 두 단부(140b) 사이의 각각의 거리(140c)는 적어도 관통공(113a) 직경의 1/2 이상이다.
이하에서는, 전술된 구성의 밀폐형 압축기의 조립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피스톤(120)은 피스톤 핀(122)에 의해 연결수단(121)과 일체되고, 이어서 실린더 블록(116)의 압축실(117)에 삽입된다. 메인 베어링(118)이 축(110)의 스핀들(111)에 삽입된 후, 회전자(104)는 스핀들부(111)에 가압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축(110)은 먼저 보조 축부(113)에 삽입되고, 이어서 연결수단의 큰 단부(121a)와 보조 베어링(119)의 순서로 삽입된다. 보조 축부(113)가 보조 베어링(119)에 삽입됨과 동시에, 편심축부(112)는 연결수단의 큰 단부(121a)에 삽입된다. 그 후에, 메인 베어링(118)이 나사(123)에 의해 실린더 블록(116)에 고정된다.
그 후에, 제1 균형추(130)의 볼록부(130b)는 보조축부(113)의 오목부(113b)에 끼워진다. 그리고, 나사(131)가 보조 축부(113) 위로부터 관통공(113a)을 통해 삽입되고 나사구멍(130a)에 체결될 때 제1 균형추(130)는 보조 축부(113)에 나사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성의 밀폐형 압축기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축(110)은 전동요소(105)의 회전자(104)와 함께 회전한다. 편심축부(112)의 회전 운동이 연결수단(121)을 통하여 피스톤(120)에 전달됨에 따라서, 피스톤(120)은 압축실(117)에서 왕복 운동한다. 이 운동으로, 냉매 가스는 냉각시스템(도시생략)으로부터 압축실(117)로 흡입되고, 그곳에서 압축된 후에 다시 냉각 시스템으로 방출된다.
이 압축 작용의 경우에, 큰 왕복 관성력이 피스톤(120)상에 발생한다. 이 왕복 관성력은 진동의 가장 큰 원인이 되고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 진동은 압축요소(106)와 전동요소(105)로 구성된 기계부로 전달되고, 기계부로부터 서스펜션 스프링(107)을 통하여 밀폐 용기(101)로 전달된다. 그러나, 가능한 피스톤(120)의 이런 왕복 관성력을 감소하기 위해서, 피스톤(120)에 대해 역 위상(opposite phase)으로 작용하여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서 제1 균형추(130)와 제2 균형추(111a)가 구비된다. 즉, 피스톤(120)이 압축과정의 최종점인 상사점에 도달할 때에, 제1 균형추(130)와 제2 균형추(111a)의 중력 중심은 수평단면의 반 피스톤(counter-piston) 측면상의 피스톤 축 중앙에 위치된다. 또한, 피스톤(120)이 흡입 과정의 최종점인 하사점에 도달할 때에, 제1 균형추(130)와 제2 균형추(111a)의 중력 중심은 수평단면의 피스톤 측면상의 피스톤 축 중앙에 위치된다. 그 결과, 피스톤(120)의 왕복 관성력은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 모두에서 상쇄된다.
따라서, 이 양호한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간단한 조립 방법을 사용하여 제1 균형추(130)와 제2 균형추(111a)를 설치할 수 있고,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피스톤(120)의 왕복 관성력을 상쇄시킬 수 있어서 소음과 진동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제1 균형추(130)와 제2 균형추(111a)를 설치하기 위해서, 조립을 위한 연결수단의 큰 단부(121a)를 분할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해서, 연결수단의 큰 단부(121a)의 원통 정도와 둥글기 정도의 정밀도가 조립전에 개선될지라도, 연결수단의 큰 단부(121a)의 연결 작업이 조립 단계에서 필요하게 된다. 이 방법의 결점은 이 연결 작업시에 마이크로미터 수준으로 정밀도를 제어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양호한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연결수단(121)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과, 연결수단의 큰 단부(121a)에서의 구멍의 원통 정도와 둥글기 정도의 정밀도가 호닝(honing) 가공을 통하여 개선되고, 이에 따라서 압축기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상태에서 조립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들들면, 연결수단(121)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연결수단의 큰 단부(121a)의 원통 정도와 둥글기 정도 모두를 5μm 이하의 수준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높은 정밀도의 원통 정도와 둥글기 정도를 유지함으로써, 이 양호한 실시예의 구성은 압축 과정에서 큰 면압을 받는 경우에도 불균일한 접촉으로 인한 금속 접촉 없이 미끄럼부에서 높은 신뢰성을 제공한다.
또한, 냉매 형태와 냉동 용량에 따라 상이한 체적(cubic) 용량을 갖는 다수의 압축기가 존재하고, 피스톤(120)의 직경과 중량이 체적 용량에 따라서 변화한다. 그러한 경우에도, 제1 균형추(130)를 별도부재로 구성하기 때문에 두께와 모양은 소망하는데로 조정할 수 있다. 즉, 상이한 체적 용량을 갖는 압축기에서도 피스톤(120)의 왕복 관성력을 용이하게 상쇄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장시간 작업을 요구하는 (i) 피스톤(120)과, 피스톤 핀(122)과, 연결수단(121)의 일체 작업과, (ii) 회전자(104)와 축(110)을 가압 고정하는 작업이 압축기 조립전에 수행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조 과정을 매끄럽고 단시간에 라인 작업으로 수행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작업 효율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나사(131)가 보조축부(113)의 반 편심 축부로부터 체결될 수 있으므로 양호한 조립 작업성의 효과를 얻고 작업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와 볼록부를 끼워 맞추는 것에 의해 보조축부(113)와 제1 균형추(130b)를 위치시키는 구성을 통해서, 조립시 용이하게 위치시키고 작업 효율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제1 균형추(130)가 압축 작업동안 원심력에 의해 회전으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축부(113)와 보조 베어링(119)의 미끄럼부(140)의 두 단부(140a)에서 보조 축부의 두 단부(140b)까지의 거리(140c)는 관통공(113a) 직경에 적어도 1/2 이상이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예를들면, 일반적으로 M3로 불리는 직경 3mm의 나사(131)가 적절한 토크로 직경 16mm의 보조 축부에 체결되는 경우, 보조 축부(113)에 작용하는 압축력은 6kN이다. 이 압축력에 의해 발생한 내부 응력은 보조 축부의 두 단부(140b)로부터 1mm 정도의 영역, 즉 나사(131) 직경의 약 1/3 범위에 영향을 미친다. 이 영역에, 보조 축부(113)는 변형되고, 그것의 원통 정도가 악화된다. 이 압축력에 의해 발생한 내부 응력이 나사 직경에 비례하기 때문에, 또한 나사 직경에 따라 설치된 관통공(113a)의 직경에 대략 비례한다.
따라서, 관통공(113a) 직경의 적어도 1/2 이상으로 미끄럼부(140)를 보조 축부의 두 단부(140b)에서 분리시킴으로써, 보조 축부(113)가 나사(131)의 체결로 변형되는 경우에도 미끄럼부(140)까지의 아무런 변형 없이, 보조 축부(113)와 보조 베어링(119) 사이의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불균일한 접촉으로 인한 어떤 금속 접촉도 미끄럼부(140)에서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소음 또는 금속 접촉에서 유래하는 원하지 않은 마모를 방지하여 압축기의 신뢰성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양호한 실시예에서, 나사(131)는 제1 균형추(130)에 설치된 나사구멍(130a)에 체결되는 것으로 나타내지만, 유사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 나사(131)가 관통공(113a)의 편심축부(112)측으로부터 삽입되고 이어서 반 편심 축부 측으로부터 너트수단(도시생략)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 2)
도 6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주요 부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예 2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주요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 2에서 밀폐형 압축기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1 내지 도 5에 표시된 내용과 동일하다. 또한, 양호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 동일한 번호가 사용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및 도 7에서, 보조 축부(113)에 밀폐형 압축기의 제1 균형추(130)의 고정은 리벳(151)에 의한 코킹(caulking) 방법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이하에서 전술한 구성의 밀폐형 압축기의 조립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피스톤(120)이 피스톤 핀(122)에 의해서 연결수단(121)과 합체되고, 이어서 실린더 블록(116)의 압축실(117) 내에 삽입된다. 메인 베어링(118)이 축(110)의 스핀들부(111)에 삽입된 후에, 회전자(104)는 스핀들부(111)에 가압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축(110)은 먼저 보조 축부(113)에, 이어서 연결수단의 큰 단부(121a)와 보조 베어링(119)의 순서로 삽입된다. 보조 축부(113)가 보조 베어링(119)에 삽입됨과 동시에 편심축부(112)는 연결수단의 큰 단부(121a)에 삽입된다. 그 후에, 메인 베어링(118)은 나사(123)에 의해 실린더 블록(116)에 고정된다.
그 후에, 제1 균형추(130)의 볼록부(130b)가 오목부(113b)에 끼워진다. 그리고, 리벳(151)이 관통공(113a)과 관통공(113c)에 삽입되어 코킹될 때에, 제1 균형추(130)는 보조 축부(113)에 나사 결합된다. 그 때에, 리벳(151)은 보조 축부(113)위로부터 관통공(113a, 113c)에 삽입되고, 축 바아(shaft bar)가 인출된다. 그 결과, 제1 균형추(130) 아래로 돌출한 부분은 소성 변형되고, 보조 축부(113)와 제1 균형추(130)를 서로 고정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리벳(151)의 사용으로 보조 축부(113)와 제1 균형추(130)가 단순히 그들을 서로 코킹시키는 것에 의해 고정하기 때문에, 양호한 조립 작업성과 개선된 작업 효율을 얻을 수 있다.
이 양호한 실시예에서, 코킹이 리벳(151)을 제1 균형추(130) 위로부터 인출함으로써 이루어지지만, 보조 축부(113)와 제1 균형추(130)를 또한 고정하고 제1 균형추(130) 아래에 지그 삽입을 위한 충분한 공간이 있는 경우, 보조 축부(113) 위에 하중을 인가하고 제1 균형추(130) 아래로 돌출하는 부분을 소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비슷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거의 진동 없는 압축기는 피스톤의 왕복 운동으로 발생하는 불균형 힘을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균형을 잡음으로써 용이한 조립으로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균형추를 보조 축부에 고정시 보조 축부가 약간 변형되는 경우에도, 보조 축부와 보조 축부의 미끄럼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미끄럼부의 마찰 저항을 개선시킬 수 있다.

Claims (8)

  1. 전동요소, 이 전동요소에 의하여 구동되는 압축요소, 및 상기 전동요소와 압축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밀폐 용기를 포함하는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압축요소는, 편심 축부와, 상기 편심 축부와 상하부에서 동축으로 구비된 보조 축부와 스핀들부를 갖는 축과; 압축실을 구비한 실린더 블록과; 상기 실린더 블록에 구비되고 상기 스핀들부를 지지하는 메인 베어링과; 상기 실린더 블록상에 구비되고 상기 보조 축부를 지지하는 보조 베어링과; 상기 압축실에서 왕복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과 상기 편심 축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균형추가 상기 보조 축부의 상기 편심 축부의 측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 균형추가 상기 스핀들부의 편심 축부의 측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 균형추가 상기 보조 축부와 별도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축부와 상기 제1 균형추는 나사에 의해 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축부와 상기 제1 균형추는 리벳에 의해 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부의 편심축부의 측단부와 제1 균형추에는 오목부와 볼록부의 끼움에 의해 위치되는 끼움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축부와 상기 보조 축부의 미끄럼부가 상기 보조 축부의 두 단부로부터, 나사 또는 리벳이 통과하는 관통공 직경의 1/2 이상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축부와 상기 보조 축부의 미끄럼부는 상기 보조 축부의 두 단부로부터, 나사 또는 리벳이 통과하는 관통공 직경의 1/2 이상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베어링은 상기 실린더 블록과 별도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베어링은 상기 실린더 블록과 별도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
KR1020057004440A 2003-07-04 2004-05-18 밀폐형 압축기 KR1005752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91961A JP2005023877A (ja) 2003-07-04 2003-07-04 密閉型圧縮機
JPJP-P-2003-00191961 2003-07-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3665A true KR20050053665A (ko) 2005-06-08
KR100575254B1 KR100575254B1 (ko) 2006-04-28

Family

ID=33562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4440A KR100575254B1 (ko) 2003-07-04 2004-05-18 밀폐형 압축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97671B2 (ko)
EP (1) EP1518054A1 (ko)
JP (1) JP2005023877A (ko)
KR (1) KR100575254B1 (ko)
CN (1) CN100453806C (ko)
WO (1) WO20050035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9446A (ko) * 2006-09-13 2008-06-27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밀폐형 압축기
US20080219862A1 (en) * 2007-03-06 2008-09-11 Lg Electronics Inc. Compressor
DE102008001435A1 (de) 2008-04-28 2009-10-29 Basf Se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Wärme auf eine monomere Acrylsäure, Acrylsäure-Michael-Oligomere und Acrylsäurepolymerisat gelöst enthaltende Flüssigkeit
ATE547629T1 (de) * 2008-07-31 2012-03-15 Panasonic Corp Geschlossener verdichter
JP5347721B2 (ja) * 2009-06-01 2013-11-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密閉型圧縮機
JPWO2013099237A1 (ja) * 2011-12-26 2015-04-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密閉型圧縮機およびそれを備える冷蔵庫
JP6910759B2 (ja) * 2015-05-28 2021-07-28 パナソニック アプライアンシズ リフリジレーション デヴァイシズ シンガポール 密閉型圧縮機および冷凍装置
KR20210028977A (ko) * 2019-09-05 2021-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
CN217652875U (zh) * 2021-10-25 2022-10-25 思科普有限责任公司 封装式制冷剂压缩机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55386A (en) * 1962-05-21 1964-04-15 Hatz Motoren An improved assembly of a connecting rod upon a crankshaft
US3581599A (en) * 1969-07-14 1971-06-01 Skil Corp Canada Ltd Thread-on connecting rod and crank assemblies
JPS52139407U (ko) * 1976-04-16 1977-10-22
JPS52139407A (en) * 1976-05-17 1977-11-21 Fujitsu Ltd Medium mounting and automatic centering device
JPS5916855B2 (ja) 1979-03-22 1984-04-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全密閉形電動圧縮機用回転軸の製造方法
US4406590A (en) * 1980-06-11 1983-09-27 Tecumseh Products Company Hermetic compressor
US4406593A (en) * 1980-06-11 1983-09-27 Tecumseh Products Company Mounting spud arrangement for a hermetic compressor
US4834627A (en) * 1988-01-25 1989-05-30 Tecumseh Products Co. Compressor lubrication system including shaft seals
US5435702A (en) * 1993-01-28 1995-07-25 Matsushita Refrigeration Company Hermetic compressor
DE19509155A1 (de) * 1995-03-14 1996-09-19 Bayerische Motoren Werke Ag Hypozykloidisches Kurbelgetriebe für Hubkolbenmaschinen, insbesondere für Brennkraftmaschinen mit gegenüberliegenden Zylinderreihen
IT240351Y1 (it) * 1995-07-25 2001-03-26 Necchi Compressori Albero per motocompressore ermetico alternativo
US6287092B1 (en) * 1998-03-11 2001-09-11 Tecumseh Products Company Counterweight for hermetic compressors
US6684736B2 (en) * 1998-04-23 2004-02-03 Donald G. Leith Multi-piece crankshaft construction
US6135727A (en) * 1999-02-16 2000-10-24 Tecumseh Products Company Detachably affixed counterweight and method of assembly
CN1143959C (zh) * 1999-06-14 2004-03-31 松下冷机株式会社 密封式电机驱动压缩机
JP3562444B2 (ja) * 2000-06-15 2004-09-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密閉型圧縮機
JP3723430B2 (ja) 2000-08-30 2005-12-07 三洋電機株式会社 冷媒圧縮機
CN1236210C (zh) * 2001-12-17 2006-01-11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制冷压缩机的曲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5254B1 (ko) 2006-04-28
EP1518054A1 (en) 2005-03-30
US7497671B2 (en) 2009-03-03
WO2005003560A1 (en) 2005-01-13
CN100453806C (zh) 2009-01-21
CN1701181A (zh) 2005-11-23
JP2005023877A (ja) 2005-01-27
US20060153710A1 (en) 200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47890A1 (en) Recriprocating Compressor
KR20120066621A (ko) 리니어 압축기
KR100575254B1 (ko) 밀폐형 압축기
US6135727A (en) Detachably affixed counterweight and method of assembly
US2343211A (en) Reciprocating compressor
US8844317B2 (en) Compressor and refrigerating machine having the same
JP3193599B2 (ja) 往復動圧縮機
JP2016205134A (ja) 密閉型圧縮機
US20030002991A1 (en) Compressor
JP2005069123A (ja) 密閉型圧縮機
JP6909375B2 (ja) 圧縮機
JP2000213462A (ja) 密閉型電動圧縮機
JP2007040137A (ja) 往復動型圧縮機
JP2005264741A (ja) 圧縮機
JP2020148109A (ja) 圧縮機及び圧縮機を有する機器
JP2000297749A (ja) 振動式圧縮機
KR102319349B1 (ko) 모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왕복동식 압축기
KR101366563B1 (ko) 왕복동형 압축기
JPH10288156A (ja) 振動式圧縮機
KR101711540B1 (ko) 밀폐형 압축기
JP5338967B1 (ja) 密閉型圧縮機および冷凍装置
KR100447206B1 (ko) 아우터 로터형 전동기가 구비된 스크롤 압축기
KR20090103578A (ko) 왕복동식 압축기
JPH0219667A (ja) ロータリ圧縮機
JPH05312148A (ja) 密閉型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