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0138A - 식품첨가제 조성물 및 이것을 함유하는 식품조성물 - Google Patents

식품첨가제 조성물 및 이것을 함유하는 식품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0138A
KR20050050138A KR1020057006422A KR20057006422A KR20050050138A KR 20050050138 A KR20050050138 A KR 20050050138A KR 1020057006422 A KR1020057006422 A KR 1020057006422A KR 20057006422 A KR20057006422 A KR 20057006422A KR 20050050138 A KR20050050138 A KR 20050050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cium
food additive
weight
food
i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6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키 구보타
히사카즈 호조
요시마사 모리사키
Original Assignee
마루오 칼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루오 칼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루오 칼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0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013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15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23L29/04Fatty acids o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1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emulsifi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12Starch; Modified starch; Starch derivatives, e.g. esters or ethers
    • A23L29/219Chemically modified starch; Reaction or complexation products of starch with other chemic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5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from seaweeds, e.g. alginates, agar or carrageen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75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Dairy Products (AREA)

Abstract

탄산칼슘, 인산칼슘, 피로인산제2철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A) 100중량부에 대하여,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 에스테르(B)를 0.1∼90중량부, 및,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가공 전분, 시트르산염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첨가제(C)를 0.1∼90중량부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식품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첨가제 조성물은, 액중에서의 재분산성, 장기 분산안정성, 및 풍미가 우수하고, 장기보관이 가능하고, 중성, 산성 어느 영역에서도 장기간의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식품첨가제 조성물 및 이것을 함유하는 식품조성물{FOOD ADDITIVE COMPOSITION AND FOO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식품첨가제 조성물 및 이것을 함유하는 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요구르트, 우유, 두유, 쥬스, 분유, 빵, 즉석국수 등의 식품에 첨가하여 칼슘 및/또는 철분을 강화하는데 유효하게 이용되고, 특히 액중에서 장기간 분산안정성이 양호한 식품첨가제 조성물 및 이 식품첨가제 조성물을 첨가 조제하여 이루어지는 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칼슘 섭취량의 부족이 지적되고 있고, 이 경향은 한창 자랄 아이 및 노인에게 있어서 현저하다. 이칼슘 섭취량의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서,칼슘강화 식품이 판매되고 있고, 일반적으로칼슘의 함유량이 많다고 하는 우유에 있어서도,칼슘을 더욱 첨가하여칼슘강화 우유로서 제공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고, 기타 쥬스, 분유류에도칼슘 강화한 상품도 다수 판매되기 시작하고 있다.
예를 들면 우유, 요구르트에서는,칼슘을 강화할 목적으로, 락트산칼슘, 염화칼슘 등의 수용성의 무기 또는 유기산 형태의 칼슘, 탄산칼슘 또는 인산칼슘 등의 수불용성의 무기형태의 칼슘이 첨가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수용성의 무기 또는 유기산 형태의 칼슘은, 우유, 요구르트중의 단백질의 안정성을 저해하기 쉬워, 일정량 이상의 배합이 곤란하기 때문에,칼슘 원료로서 다량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결점을 갖고 있었다.
한편, 수불용성의 무기형태의 칼슘은, 수불용성 때문에 우유, 요구르트중의 단백질의 안정성을 저해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첨가량의 관점에서는 다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 무기형태의 칼슘은 전반적으로 비중이 2.7 이상으로 높아, 우유중에 분산시킨 경우 단시간에 침전되기 때문에, 식품으로서의 미관상 바람직하지 않아, 결국 그 첨가량은 제한되어 다량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결점을 갖고 있었다.
또, 최근, 철분부족에 의한 빈혈 증상을 일으키는 여성이 다수 발견된다. 이 경향은, 여고생이나 젊은 성인 여성에 있어 특히 현저하다. 이 철분결핍성 빈혈의 원인으로서는, 식생활에 연유되는 점이 가장 크지만, 여성의 경우에는, 생리적인 출혈, 임신에 의한 철분 수요의 증가, 및 다이어트에 의한 섭취 부족 등, 철분부족에 의한 빈혈이 되기 쉬운 환경하에 있어, 일반적으로 대략 반수의 여성은 철이 부족하다고 말해지고 있다. 이 철분부족을 해소하기 위해서, 철분 강화식품이 판매되게 되고 있고, 우유, 청량음료수 등에 철분을 강화한 상품도 다수 판매되기 시작하고 있다.
예를 들면, 청량음료수 등에서, 철분을 강화할 목적으로, 락트산 철, 시트르산 철나트륨, 글루콘산 제1철 등의 수용성의 유기 또는 무기형태의 철이나 피로인산 제2철 등의 수불용성 또는 난용성의 무기형태의 철이 첨가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수용성의 유기 또는 무기형태의 철은 철맛이 강하여, 식감의 문제때문에, 한번에 그다지 많은 양을 사용할 수 없다는 결점을 갖고 있었다. 또, 피로인산 제2철 등의 수불용성 또는 난용성의 무기형태의 철의 분산체를 사용한 경우에는, 철냄새는 개선되지만 비중이 2.75 이상으로 높아, 청량음료수 등에 분산시킨 경우, 단시간에 침전되기 때문에, 식품으로서의 미관상 바람직하지 않고, 결국 그 첨가량은 제한되어 다량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결점을 갖고 있었다.
전술의 결점을 보충하여 식품용도에 다량의 칼슘을 첨가하는 것이 가능한 방법에 대해서는, 수많이 제안되어 있고,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6-127909호 공보에서는, HLB가 16인 수크로스스테아르산에스테르와 인산칼슘의 혼합물을 특정한 조건하에서 습식분쇄 하여 인산칼슘 분산체를 조제하는 제조방법이 제안되어 있고, 또, 일본 특개평 6-127939호 공보에서는, HLB가 16인 수크로스스테아르산에스테르와 탄산칼슘의 혼합물을 동일한 방법으로 습식분쇄 하여 탄산칼슘 분산체를 조제하는 제조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 방법으로 얻어지는 8중량% 정도의 저농도 탄산칼슘 고형분에서는, 종래의 개념을 타파한 양호한 분산성을 갖는칼슘제는 얻어지지만, 롱 라이프 우유 등의 장기간 보존가능 식품에의 첨가가 가능한 0.3㎛ 미만의 평균 입자직경을 갖는 지극히 분산 양호한칼슘제 슬러리를 조제하는 것이 곤란하여, 조제할 수 있었다고 해도, 분산에 요하는 에너지코스트는 방대하게 된다. 또한 이 에너지코스트의 증가 뿐만아니라,칼슘제 슬러리를 각 방면의 사용처로 반송할 때에 필요한,칼슘제 슬러리의 충전용기비, 냉장설비비, 냉장비, 수송비 등의 유통 코스트도 증대하게 되어 바람직한 방법이라고는 할 수 없었다.
또한, 일본 특개평 9-9911호 공보에서는, 인지질 및 단백 분해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를 탄산칼슘에 첨가하고, 습식분쇄를 행하여 분산성을 개량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기와 같이 인지질이나 단백 분해물을 첨가하는 방법에서는, 인지질에 특유한 악취와 쓴 맛이 있기 때문에, 풍미의 면에서 문제가 큰데다, 이 공보에 의하면 평균 입자직경으로 1∼3㎛의 칼슘 분산액이기 때문에, 이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탄산칼슘을 첨가한 우유는, 그 제조공정중에서의 클래리파이어 등의 원심분급기에 있어서의 탄산칼슘의 수율이 나쁘고, 또 우유 등의 식품속에서 침강하기 쉬워, 롱 라이프 우유 등의 장기간 보존가능 식품에의 첨가 용도에는 양호하다고는 할 수 없었다. 또, 이들 방법은 우유와 같은 중성 또는 약산성의 제품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유효한 효과를 나타내는데, 예를 들면 요구르트와 같은 산성영역을 나타내는 제품에는 수크로스스테아르산에스테르가 산에 대해 불안정한 상태로 되기 쉬워, 분산불량을 일으키는 경향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았다.
더욱이 또, WO96/13176호 공보에서는, PGA와 탄산칼슘, 인산칼슘 및 피로인산 제2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에 대하여,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 에스테르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식품첨가제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 이 공보에서 제조되는 식품첨가제 조성물을, 제조직후에 요구르트 등의 식품에 사용한 경우에는 특별히 문제는 없다. 그렇지만, 이 식품첨가제 조성물은, 제품의 경시안정성에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식품첨가제 조성물을 제조후 수개월 경과한 후에 예를 들면, 요구르트 등의 액체식품에 사용한 경우, 식품첨가제 조성물이 식품용기 바닥부에 침전되는 양이 서서히 증가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이 방법에 의한 식품첨가제 조성물은, 제품의 장기간의 보관이 곤란하여, 재고기간을 대폭 제한할 필요성이 있어, 해외 등 수송에 장기간을 갖기 위해서, 실질적인 유통기한이 극히 짧게 제한되는 결과가 되기 때문에, 그 개선이 열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상을 감안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한, 우유, 요구르트 등의 식품에의 첨가제로서 장기간 안정한 고분산성을 갖는 식품첨가제 조성물 및 이것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식품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은, 탄산칼슘, 인산칼슘, (이하칼슘제라고 기술함), 피로인산 제2철(이하 철분제라고 약칭함)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A) 100중량부에 대하여,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 에스테르(이하 PGA라고 기술함)(B)를 0.1∼90중량부, 및,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가공 전분, 시트르산염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첨가제(C)를 0.1∼90중량부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식품첨가제 조성물을 내용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는,칼슘제, 철분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A) 100중량부에 대하여, PGA(B)를 0.1∼90중량부,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가공 전분, 시트르산염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첨가제(C)를 0.1∼90중량부, 및, 유화제, 다당류, 소당, 아미노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첨가제(D)를 0.1∼90중량부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식품첨가제 조성물을 내용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은, 상기 식품첨가제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식품조성물을 내용으로 하는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기술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탄산칼슘은, 예를 들면 탄산칼슘을 50중량% 이상 함유하는 코럴 탄산칼슘, 중질 탄산칼슘, 합성 탄산칼슘을 들 수 있지만, 수산화칼슘의 수현탁액인 석회유와 탄산가스를 반응시키는 탄산가스법으로 대표되는 화학적 합성방법에 의해 조제되는 합성 탄산칼슘이, 미세한 분산체를 얻기 쉬운 점에서 바람직하다. 탄산가스법에서 합성 탄산칼슘을 조제할 때의 바람직한 방법으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석회유를 탄산가스를 사용하여 탄산화반응하고, 얻어지는 탄산칼슘의 수현탁액의 조제 공정에 있어서, 탄산화반응 종료하여 조제된 pH의 값이 Q의 탄산칼슘의 수현탁액을 교반, 및/또는 습식분쇄, 및/또는 정치하고, 이 탄산칼슘의 수현탁액의 pH를 이하에 나타내는 식 (α) 및 (β)를 충족시키는 pH값 R로 상승시킨 후, 수현탁액중에 존재하는 알칼리 물질을 제거 및/또는 알칼리 물질의 단위부피당의 농도를 저하시켜, 탄산칼슘의 수현탁액의 pH를, 이하에 나타내는 식 (γ)를 충족시키는 pH값 S로 조정하고, 탄산칼슘을 조제한다.
R≥8.6 ·········(α)
10(R+2)/10Q≥125 ···(β)
10(S+2)/10R≤80 ···(γ)
단, Q, R은 동일 온도조건하의 pH이다.
또, pH값 S는, S가 8.6 미만의 경우, S는 8.6으로 하여 계산한다.
본 발명의 원료로서 사용하는 탄산칼슘의 질소흡착법(BET법)에 의한 비표면적은, 6∼60m2/g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비표면적이, 6m2/g 미만의 경우, 우유 등의 액체식품중에서의 장기간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또, 60m2/g을 초과하는 경우, 탄산칼슘 분체의 응집력이 대단히 강해지기 때문에, 그 분산이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인산칼슘은, 인산의 칼슘염으로 이루어지는 무기물을 지칭하며, 인산칼슘으로서는, 인산칼슘을 50중량% 이상 함유하는 천연 인산칼슘, 우골, 밀크칼슘, 합성 인산칼슘 등을 들 수 있는데, 수산화칼슘, 탄산칼슘, 염화칼슘 등의 칼슘염과 인산, 인산 소다 등의 인산염을 반응시키는 화학적 합성방법에 의해 조제되는 합성 인산칼슘이 바람직하고, 그중에서도 피로인산 2수소칼슘, 인산1수소칼슘, 인산3칼슘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인산칼슘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원료로서 사용하는 인산칼슘의 질소흡착법(BET법)에 의한 비표면적은, 6∼90m2/g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비표면적이, 6m2/g 미만의 경우, 우유 등의 액체식품중에서의 장기간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또, 90m2/g을 초과하는 경우, 인산칼슘 분체의 응집력이 대단히 강해지기 때문에, 그 분산이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원료로서 사용하는 탄산칼슘 및/또는 인산칼슘(이하 칼슘제라고 함)의 형태에 관해서는, 통상의 방법으로 조제되는 칼슘제의 수현탁액이어도 좋고, 또 이 수현탁액을 상법에 따라 탈수, 건조, 분쇄를 거쳐서 조제되는 칼슘제의 분체에, 재차 물을 첨가하여 조제되는 수현탁액이어도 좋지만, 식품첨가물 규격 엄수, 및 위생관리면의 관점에서, 후자의 형태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자의 방법에 사용하는 경우, 사용하는 탄산칼슘의 분체의 pH에 관해서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친수성 유화제의 기능저하 방지, 및 분쇄 및 분급시의 효율의 상승의 관점으로부터, 탄산칼슘 분체의 고형분 농도 20중량%의 수현탁액 200cc를, 300W, 20kHz로 10분간 초음파처리한 후의 수현탁액의 25℃에서의 pH가, 11.7 이하의 탄산칼슘 분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5 이하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피로인산 제2철은 화학적으로 합성시켜서 얻어지는 합성 피로인산 제2철을 들 수 있다. 이하에 방법을 예시한다.
수중에 염화제2철을 용해시키고, 이 용액에 피로인산 나트륨을 온수에 녹인 액을 혼합하고, 교반을 행한다. 반응종료후, 이 용액을 필터프레스를 사용하여 탈수하고, 얻어진 탈수 케이크에 재차 물을 가하고, 교반을 행하여, 탈수전과 동일 농도의 피로인산 제2철 수용액을 얻는다. 이 조작을 2회 반복한 후, 이 피로인산 제2철 수용액을 필터프레스로 탈수하고, 그 프레스 케이크를 패들 드라이어로 건조하고, 건식분쇄기를 사용하여 피로인산 제2철 분체를 조제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하는 피로인산 제2철 슬러리는, 전술과 같이 건조, 분말화하지 않고, 슬러리 상태(피로인산 제2철 액)로 사용해도 지장이 없다.
또, 본 발명의 원료로서 사용하는 피로인산 제2철분체의 질소흡착법(BET법)에 의한 비표면적은, 3∼70m2/g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비표면적이, 3m2 미만의 경우, 우유 등의 액체식품중에서의 장기간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또, 70m2/g을 초과하는 경우, 피로인산 제2철분체의 응집력이 대단히 강해지기 때문에, 그 분산이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다음에 전술의 칼슘제, 철분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A)와, PGA(B)와,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가공 전분, 시트르산염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첨가제(C)와, 물로 이루어지는 식품첨가제 조성물, 또는 전술의 (A)와, (B)와, (C)와, 또한, 유화제, 다당류, 소당, 아미노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첨가제(D)와, 물로 이루어지는 식품첨가제 조성물을 조제한다.
이것들의 조제 방법은, 이하 (I), (II), (III)에 나타내는 3종류의 방법으로 대별되지만, 어떠한 방법을 채용해도, 또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I) 칼슘제, 철분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A)와 물로 이루어지는 식품첨가제의 수현탁액을, 화학적 분산방법, 분쇄기 및/또는 분산기를 사용하는 물리적 방법에 의해, 분쇄 및/또는 분산처리한 후, PGA(B)와 첨가제(C), 또는 PGA(B)와 첨가제(C) 및 첨가제(D)를 첨가처리한다.
(II) 칼슘제, 철분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A)와, PGA(B)와 첨가제(C), 또는 상기 (A)와 PGA(B)와 첨가제(C) 및 첨가제(D)와 물로 이루어지는 식품첨가제의 수현탁액을, 화학적 분산방법, 분쇄기 및/또는 분산기를 사용하는 물리적 방법에 의해, 분쇄 및/또는 분산처리한다.
(III) 칼슘제, 철분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A)와 물로 이루어지는 식품첨가제의 수현탁액을, 화학적 분산방법, 분쇄기 및/또는 분산기를 사용하는 물리적방법에 의해, 분쇄 및/또는 분산처리한 후, PGA(B)와 첨가제(C), 또는 PGA(B)와 첨가제(C) 및 첨가제(D)를 첨가처리하고, 또한 분쇄기 및/또는 분산기를 사용하는 물리적 방법에 의해, 분쇄 및/또는 분산처리한다.
상기 (I), (II), (III)에 있어서, 칼슘제, 철분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A)와 PGA(B)와 첨가제(C)와 물의 식품첨가제 조성물을 조제하는데 필요 불가결한 조건은, 이 식품첨가제 조성물중의 칼슘제, 철분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A) 100중량부에 대하여, PGA(B)가 0.1∼90중량부, 첨가제(C)가 0.1∼90중량부 함유되어 있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PGA(B)이 1∼60중량부, 첨가제(C)가 0.3∼6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PGA(B)가 1.5∼40중량부, 첨가제(C)가 0.3∼35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PGA(B)가 5∼30중량부, 첨가제(C)가 0.5∼25중량부 함유되어 있는 것이다.
PGA(B)의 첨가 중량부가 0.1중량부 미만의 경우, 가령 식품첨가제 조성물중의 칼슘제 및/또는 철분제의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중량평균직경을 매우 미세하게 조제했다고 해도, 이들 식품첨가제 조성물을 예를 들면, 우유, 쥬스, 드링크 타입의 요구르트 등의 식품에 첨가 사용한 경우, 식품중의 칼슘제 및/또는 철분제의 경시안정성이 나쁘고, 현저할 경우, 24시간 이내에 식품용기 바닥에 응집하여 침강한다. 한편, PGA(B)의 첨가 중량부가 9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제품의 분산성에는 문제는 없지만, 식품첨가제 조성물의 점성이 매우 높아, 이 제품을 우유, 쥬스, 드링크 타입의 요구르트 등의 식품에 첨가 사용한 경우, 제품의 점도가 상승하여 식감상 바람직하지 않다.
첨가제(C)의 첨가 중량부가 0.1중량부 미만의 경우, 식품첨가제 조성물을 제조직후에 우유 등의 음료에 사용한 경우는 큰 문제는 없다. 그렇지만, 경시안정성에 문제가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식품첨가제 조성물을 제조후 3개월 이상의 장기간 보관후에 우유 등의 식품에 사용한 경우, 이 식품첨가제 조성물이, 식품용기 바닥부에 대량으로 침전물이 발생이 쉬워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 원인은 확실하지는 않지만, 본 발명자들은, PGA는 에스테르 부분을 가지고 있고, 식품첨가제 조성물중에 소량 포함되어 있는 산·알칼리 등과 시간경과로 천천히 반응하기 때문일 것으로 추찰하고 있다. 한편, 첨가제(C)의 첨가 중량부가 9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식품첨가제 조성물중의 칼슘이나 철의 비율이 적어져, 목적으로 하는 미네랄 강화량을 얻기 위하여 최종제품중에 다량의 식품첨가제 조성물을 첨가하지 않으면 안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 원료 코스트, 수송 코스트 및 포장 코스트의 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풍미도 바람직하지 않은 경향이 있다.
따라서, 장기간 경시안정성이 양호한 식품첨가제 조성물을 조제하기 위해서 필요 불가결한 요건으로서는, 칼슘제 및 철분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A) 100중량부에 대하여, PGA(B)를 0.1∼90중량부 함유시키고, 더욱 첨가제(C)를 0.1∼90중량부 함유시키는 것이다.
또, 예를 들면 식품첨가제 조성물을 장기간 보관후에 롱 라이프 우유 등의 장기간 저장하는 제품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칼슘제, 철분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A) 100중량부에 대하여, PGA(B)를 0.1∼90중량부 함유시키고, 첨가제(C)를 0.1∼90중량부 함유시키고, 또한 첨가제(D)를 0.1∼90중량부 함유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바람직하게는, PGA(B)가 1∼60중량부, 첨가제(C)가 0.3∼60중량부, 첨가제(D)가 0.5∼6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PGA(B)가 1.5∼40중량부, 첨가제(C)가 0.3∼35중량부, 첨가제(D)가 1.0∼35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PGA(B)가 5∼30중량부, 첨가제(C)가 0.5∼25중량부, 첨가제(D)가 2∼25중량부 함유되어 있는 것이다.
칼슘제 및 철분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A)에 대한 첨가제(D)의 첨가 중량부가 0.1중량부 미만의 경우, 장기간 분산안정한 제품을 얻을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첨가제(D) 첨가 중량부가 9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제품의 분산성에는 문제는 없지만, 첨가제(D) 유래의 쓴 맛 등이 강하여 풍미의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 요구르트와 같은 산계에서 특히 분산 양호한 식품첨가제 조성물을 얻기 위해서는, 칼슘제, 철분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A) 100중량부에 대한 PGA(B)의 첨가 중량부(b)와 첨가제(C)의 첨가 중량부(c) 및 첨가제(D)의 첨가 중량부(d)가 이하의 식 b÷(b+c+d)≥0.2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b÷(b+c+d)≥0.45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것이다.
상기 b, c, d의 관계가 b÷(b+c+d)<0.2의 경우, 산계에서의 분산안정성이 나빠, 요구르트와 같은 산성식품에 사용한 경우 분산 불량을 일으키는 경향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 마시는 요구르트와 같은 산계의 액체식품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b÷(b+c+c1)≥0.4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캔 쥬스 등과 같이 제조후 매우 장기간의 보존안정성을 필요로 하는 용도의 것에 바람직한 요건으로서는, 식품첨가제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 5%의 전기전도도 N(mS/cm), 식품첨가제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 5%의 수소이온 농도(pH)S 및 칼슘제, 철분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A) 100중량부에 대한 PGA(B)의 첨가 중량부(b)(중량부)가 이하의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는 것이다.
0.0003≤L≤22
L이 0.0003 미만의 경우, 식품첨가제 조성물의 조대입자가 생성되기 쉽고, 예를 들면 쥬스 등의 음료에 사용한 경우, 장기간 칼슘제 및 철분제를 안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여 바람직하지 않을 뿐만아니라 이온 냄새가 강해지는 경향이 있어, 풍미의 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또, L이 22를 초과하는 경우는 겔화하는 경향이 있어, 식품첨가제 조성물의 점도도 높아지고, 예를 들면 요구르트에 사용한 경우, 식감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첨가제(B)로서 사용할 수 있는 PGA의 종류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화도가 77∼97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스테르화도가 77미만의 경우, PGA중에 소량 존재하는 알긴산이나 그 염이 칼슘이나 단백과 반응하여 겔화를 일으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 에스테르화도 97보다 높은 제품은 공업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에서 첨가제(C)로서 사용할 수 있는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로서는, 트리글리세린, 펜타글리세린, 헥사글리세린, 데카글리세린 등의 각종 지방산에스테르, 및 자기유화형의 모노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펜타글리세린, 데카글리세린의 지방산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또, 지방산의 탄소수도 6∼22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4∼18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첨가제(C)로서 사용할 수 있는 가공 전분의 종류에 관하여 특별히 제한은 없고, 전분을 화학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가공한 것이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산처리 전분, 알칼리처리 전분, 산화 전분, 시클로덱스트린, 덱스트린, 효소처리 전분, 인산 에스테르화 전분, 아세트산에스테르 전분, 옥테닐숙신산 전분, 에테르화 전분, 가교 전분 등을 예시할 수 있지만, 장기간 보존가능한 음료 등에서 매우 우수한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산처리 전분, 산화 전분, 효소변성 덱스트린, 에스테르화 전분, 에테르화 전분 및 가교화 전분을 1종 혹은 2종이상 조합한 전분이 바람직하고, 특히 옥테닐숙신산 에스테르 전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첨가제(C)로서 사용할 수 있는 시트르산염으로서는, 시트르산 나트륨이나 시트르산 칼륨 등의 알칼리금속염, 암모늄염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염은 1염, 2염, 3염 등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첨가제(D)로서 사용할 수 있는 유화제는, 수크로스 스테아르산에스테르, 수크로스 팔미트산에스테르, 수크로스 미리스트산에스테르, 수크로스 올레산에스테르, 수크로스 라우르산에스테르 등의 HLB가 8 이상의 수크로스 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 스테아르산에스테르, 소르비탄 팔미트산에스테르, 소르비탄 미리스트산에스테르, 소르비탄 올레산에스테르, 소르비탄 라우르산에스테르 등의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레시틴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첨가제(D)로서 사용할 수 있는 다당류로서는, 10개를 넘는 단당 잔기를 포함하는 중합체이고, 증점 다당류나 대두 다당류를 들 수 있다. 증점 다당류는 웰란검, 카라기난, 알긴산 소다, 구아검, 젤란검, 카라야검, CMC, 메틸셀룰로오스, 타마린드검, 가디검, 트라간트검, 잔탄검, 풀룰란, 카시아검, 로카스트빈검, 아라비노갈락탄, 스크레오검, 키토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대두 다당류는 대두로부터 추출한 수용성 다당류이며, 그중에서도 갈락토스, 갈락트론산, 람노스, 크실로스, 푸코스, 글루코스 등으로 구성된 평균분자량 수십만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첨가제(D)로서 사용할 수 있는 소당은 2∼10개의 단당 잔기를 포함하는 중합체나 그것들의 다가 알콜이고, 예를 들면 환원성이나 비환원성의 당류 및 당알코올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트레할로스, 말토스, 셀로비오스, 락토스, 크실로비오스, 이소말토스, 메리비오스, 파라티노스, 겐티비오스, 말토올리고당, 이소올리고당, 글루코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 대두올리고당, 크실로올리고당, 유과올리고당, 프락토올리고당, 커플링슈거, 파라티니트, 말티톨, 락티톨, 말토트리이톨, 이소말토트리이톨, 말토테트라오스 등의 올리고당 알콜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첨가제(D)로서 사용할 수 있는 아미노산은 특별히 제한은 없고, 중성 아미노산, 산성 아미노산, 염기성 아미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전기전도도 및 수소이온 농도는, 하기의 요령으로 측정 계산된 것이다.
측정기종 : 퍼스널 SC미터 Model SC82(전기전도도)
: 퍼스널 pH미터 Model PH81(수소이온 농도)
시료의 조제: 식품첨가제 조성물을, 용매에서 칼슘제 및/또는
철분제 고형분 농도 5%로 조제한 것을 측정시료로 한다.
용매 : 이온교환수 또는 증류수
측정온도 : 20.0±2.5℃.
식품첨가제 슬러리중의 칼슘제 및/또는 철분제의 입도 분포에서의 중량(체적) 평균직경 K(㎛)에 대해서는, 하기 (e)의 요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당히 장기간의 보존 분산안정성이 요구되는 식품용도에는 (f)의 요건을 구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g)의 요건을 구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e) 0.04≤K≤0.8
(f) 0.04≤K≤0.5
(g) 0.04≤K≤0.3
중량평균직경 K가, 0.8㎛보다 큰 경우에는 침강하기 쉽기 때문에, 이것들의 식품첨가제 조성물은 장기간 보존가능한 식품용도에는 적합하지 않다. 중량평균직경 K를 0.8㎛ 이하로 조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전술의(I), (II), (III)에 기재한 방법에 의하면 되지만, 물리적 방법에 의한 분쇄 및/또는 분산방법에 대해서는, 다이노밀, 샌드밀, 코볼밀 등의 습식분쇄기, 나노마이저, 마이크로플루이타이저, 호모지나이저 등의 유화·분산장치, 초음파분산기, 3롤 밀 등의 롤밀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중량평균직경 K는, 하기의 요령으로 측정 계산된다.
측정기종 : 시마즈세사쿠쇼제 SA-CP4L
시료의 조제: 식품첨가제 조성물을, 하기 20℃의 용매중에 첨가하고, 입도 분포 측정시료로 한다.
용매 : 이온교환수 또는 증류수
예비분산 : Ultrasonic Homogeniser(닛뽄세키세사쿠쇼제)를 사용하고, 초음파분산 60초
측정온도 : 20.0±2.5℃
이상과 같이 하여 조제되는 칼슘제 및 철분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A)와 PGA(B)와 첨가제(C), 또는 상기(A)와 PGA(B)와 첨가제(C) 및 첨가제(D)로 이루어지는 식품첨가제 조성물은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 또는 이 슬러리 조성물을 건조분말화한 식품첨가제 파우더 조성물 어느 형태라도 상관없다.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건조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각종 표면처리제의 변질 방지의 관점으로부터 극히 단시간에 건조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관점에서 건조기로서는, 스프레이 드라이어, 세라믹 매체를 가열유동상태에서 사용하는 슬러리 드라이어 등의 액적분무형 건조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조제되는 식품첨가제 조성물은, 수중에서의 재분산성이 대단히 양호하여, 특수한 분산기, 교반기 등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수중에 분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품첨가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식품, 예를 들면 칼슘 및/또는 철분제 강화우유를 조제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식품첨가제 조성물을 우유에 직접 첨가하여 강력하게 교반하고, 우유중에 식품첨가제 조성물을 분산시키는 것만으로 충분하지만, 이 식품첨가제 조성물을 미리 수중에 분산시킬 수 있는 칼슘제 및/또는 철분제의 수분산액을 우유에 첨가해도 지장이 없다. 또 환원유에서, 본 발명의 식품첨가제 조성물을, 60℃ 정도의 온도로 용해한 버터 또는 버터오일에 가하고 고속 교반하여 분산시키고, 이어서, 이것에 환원탈지유 또는 탈지유를 가하고, 균질화 하면 된다.
이들 방법으로 조제한 칼슘 및/또는 철분제 강화 우유 등은, 클래리파이어로 제거되는 칼슘제 및/또는 철분제의 양이, 종래의 방법으로 조제된 칼슘제 및/또는 철분제를 첨가한 경우에 비해, 대폭 감소된다. 즉, 본 발명의 식품첨가제 조성물을 첨가한 우유, 요구르트, 쥬스류 중에는, 칼슘제 및/또는 철분제가 극히 안정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식품첨가제 조성물은, 칼슘제 및/또는 철분제의 분산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우유 등에 첨가할 때의 교반시간이 적어도 되고, 따라서, 버터중에서 장시간 교반한 경우에 볼 수 있는 칼슘제 및/또는 철분제의 응집은 일어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식품첨가제 슬러리 및 파우더는, 상기 용도 이외에, 크림, 커피, 홍차, 우롱차 등의 액체 식품, 와인, 술 등의 알코올 음료 등에 칼슘 및 철분제의 강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첨가제 조성물의 첨가량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각종 식품에 바람직하게는 칼슘으로서 1∼1000mg, 철로서 0.1∼20mg 첨가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칼슘으로서 5∼500mg, 철로서 0.1∼10mg 첨가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칼슘으로서 10∼300mg, 철로서 0.1∼5mg 첨가된다.
또, 본 발명의 식품첨가제 조성물은, 락트산칼슘, 염화칼슘 등의 수가용성 칼슘염 및 시트르산철 나트륨, 글루콘산철 등의 수가용성 철염과 병용해도 아무 지장이 없다.
이하에 실시예, 비교예를 나타내고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기재에서, %는 특별히 예고하지 않는 한, 중량%를 의미한다.
우선 최초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하는 탄산칼슘, 인산칼슘, 피로인산제2철의 제조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인산칼슘:
강암모니아성 염화칼슘 용액에 제2인산암모늄을 첨가 교반한 후, 탈수를 행하고, 얻어지는 케이크를 수 차례 수세한 후, 건조, 건식분쇄를 행하여 백색 분체를 얻었다. X선회절 측정에 의해 이 백색 분체가 인산3칼슘인 것을 확인했다.
이 인산3칼슘 수현탁액을 필터프레스를 사용하여 탈수하고, 그 프레스 케이크를 패들 드라이어를 사용하여 건조하고, 건식분쇄기를 사용하여 인산3칼슘 분체를 얻었다. 이 분체의 질소흡착법에 의한 비표면적을, QUANTA, CHROME제 표면적 측정장치 NOVA2000을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53m2/g이었다.
피로인산제2철:
1m3의 물속에 염화제2철 307kg을 용해시키고, 이 용액에 피로인산나트륨 233kg을 2.5m3의 온수에 녹인 액을 혼합하고, 약 1시간 교반을 행한다. 반응 종료후, 이 용액을 필터프레스를 사용하여 탈수하고, 얻어진 탈수 케이크에 재차 물을 가하고, 교반을 행하여, 탈수전과 동일 농도의 피로인산제2철 수용액을 얻었다. 이 조작을 2회 반복한 후, 이 피로인산제2철 수용액을 필터프레스로 탈수하고, 그 프레스 케이크를 패들 드라이어로 건조하고, 건식분쇄기를 사용하여 피로인산제2철 분체를 조제했다. 이 피로인산제2철의 질소흡착법에 의한 비표면적을, QUANTA, CHROME제 표면적 측정장치 NOVA2000을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19m2/g이었다.
탄산칼슘 I:
비중 1.050이고 온도가 10℃인 석회유 10000리터에, 탄산가스 농도 27중량%의 노 가스(이하 탄산가스라고 약기함)를 25m3/min의 유속으로 도통하여 탄산화 반응을 행하고, 25℃에서의 pH가 pH9.0인 탄산칼슘의 수현탁액을 얻었다.
다음에 pH9.0의 탄산칼슘 수현탁액을, 50℃에서 12시간 교반하고, 탄산칼슘 수현탁액의 25℃에서의 pH가 11.8에 달한 시점에서 필터프레스를 사용하여 탈수하여, 탄산칼슘 고형분 농도가 48중량%인 탈수 케이크를 얻었다. 다음에 얻어진 탈수 케이크에 재차 물을 가하여 교반하고, 탈수전의 탄산칼슘 수현탁액과 동일 농도의 탄산칼슘 수현탁액을 얻었다. 이 탄산칼슘 수현탁액의 pH는 11.5이었다. 이 탄산칼슘 수현탁액에 재차 탄산가스를 도통하고, 탄산칼슘 수현탁액의 pH를 7.0으로 저하시킨 후, 이 탄산칼슘 수현탁액을 필터프레스를 사용하여 탈수하고, 그 프레스 케이크를 패들 드라이어를 사용하여 건조하고, 건식분쇄기를 사용하여 탄산칼슘 분체 I을 얻었다.
이 탄산칼슘의 질소흡착법에 의한 비표면적을, QUANTA, CHROME제 표면적 측정장치 NOVA2000을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30m2/g 이었다.
탄산칼슘 II:
비중 1.050이고 온도가 10℃인 석회유 10000리터에, 탄산가스 농도 27중량%의 탄산가스를 24m3/min의 유속으로 도통하여 탄산화 반응을 행하고, 25℃에서의 pH가 pH9.0의 탄산칼슘의 수현탁액을 얻었다. 다음에 pH9.0의 탄산칼슘 수현탁액을 교반하고, 탄산칼슘 수현탁액의 pH가 11.8에 도달한 시점에서 탄산가스를 도통하여, 탄산칼슘 수현탁액의 pH를 9.5로 저하시키고, 그 후 50℃에서 60시간 교반하고, 탄산가스를 더욱 도통하고, 탄산칼슘 수현탁액의 PH를 7로 저하시켜, 슬러리상 탄산칼슘을 얻었다. 이 슬러리상 탄산칼슘을 필터프레스를 사용하여 탈수하고, 그 프레스 케이크를 패들 드라이어를 사용하여 건조하고, 건식분쇄기를 사용하여 탄산칼슘 분체 II를 얻었다.
이 탄산칼슘의 질소흡착법에 의한 비표면적을, QUANTA, CHROME제 표면적 측정장치 NOVA2000을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19m2/g이었다.
실시예 1
전술의 방법에서 얻은 인산칼슘을 사용하고, 인산칼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PGA(기분푸드케미파제)를 10중량부, 펜타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에스테르 5중량부 및 물을 첨가하고 교반혼합을 행하여, 인산칼슘 고형분 농도가 25중량%인 식품첨가제 슬러리를 조제후, 습식분쇄기 다이노밀 KD 파일롯형(WAB사제)을 사용해서 습식분쇄를 행하여,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얻었다. 이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중의 인칼슘의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중량평균직경은 0.20㎛였다. 또, 이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습식분쇄후의 샘플을 탄산칼슘 고형분 농도 5%에 희석후의 전기전도도, 수소이온 농도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PGA는 미리 물로 용해시킨 후 첨가했다. 펜타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에스테르는 뜨거운 물에 녹인 후 첨가했다.
실시예 2
전술의 방법에서 얻은 인산칼슘을 사용하고, 고형분 40중량%가 되도록 조정한 인산칼슘수 슬러리를, 다이노밀 KD파일롯형을 사용하여 습식분쇄를 행했다. 이 분쇄후의 슬러리를 사용하고, 인산칼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PGA를 25중량부 및 덱스트린 20중량부를 첨가하여 교반혼합을 행하고, 인산칼슘 고형분 농도가 20중량%의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후, 다이노밀 KD파일롯형을 사용하여 습식분쇄를 행하고,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얻었다. 이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중의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중량평균직경 K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 이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습식분쇄후의 샘플을 인산칼슘 고형분 농도 5%로 희석후의 전기전도도, 수소이온 농도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PGA, 덱스트린은 미리 물로 용해시킨 후 첨가했다.
실시예 3
전술의 방법에서 얻은 인산칼슘을 사용하고, 인산칼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PGA를 85중량부 및 대두 다당(소야파이브) 15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 혼합을 행하고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후, 고압 호모지나이저(A.P.GAULIN사제)를 사용하여, 6860Pa의 압력에서 분산을 행하고, 인산칼슘 고형분 농도가 20%인 고농도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얻었다. 이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중의 입도 분포에서의 중량평균직경 K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 이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습식분쇄후의 샘플을 탄산칼슘 고형분 농도 5%로 희석후의 전기전도도, 수소이온 농도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PGA, 대두 다당은 미리 물로 용해시킨 후 첨가했다.
실시예 4∼14
첨가제의 사용조건을 표 1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바꾼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얻었다. 이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중의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중량평균직경 K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 이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습식분쇄후의 샘플을 칼슘제농도 5%로 희석후의 전기전도도, 수소이온 농도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PGA, 시클로덱스트린, 시트르산3칼륨, 옥테닐 전분, 대두 다당, 시클로덱스트린, CMC, 트레할로스, 아라비노갈락탄, 글리신은 미리 물로 용해시킨 후 첨가했다. 펜타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에스테르, 데카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에스테르, 수크로스 스테아르산에스테르는 뜨거운 물에 녹인 후 첨가했다.
실시예 15
전술의 방법에서 얻은 피로인산제2철을 사용하고, 피로인산제2철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PGA를 10중량부, 펜타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에스테르 5중량부 및 물을 첨가하여 교반혼합을 행하고, 피로인산제2철 고형분 농도가 20중량%인 식품첨가제 슬러리를 조제후, 습식분쇄기 다이노밀 KD파일롯형(WAB사제)을 사용하여 습식분쇄를 행하고,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얻었다. 이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중의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중량평균직경 K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 이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습식분쇄후의 샘플을 피로인 산제2철 고형분 농도 5%로 희석후의 전기전도도, 수소이온 농도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PGA, 풀룰란은 미리 물로 용해시킨 후 첨가했다. 펜타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에스테르는 뜨거운 물에 녹인 후 첨가했다.
실시예 16
표 1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바꾸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5와 동일한 조건으로,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얻었다. 이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중의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중량평균직경 K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 이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습식분쇄후의 샘플을 피로인산제2철 농도 5%로 희석후의 전기전도도, 수소이온 농도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PGA, 덱스트린은 미리 물로 용해시킨 후 첨가했다.
실시예 17
전술의 방법에서 얻은 탄산칼슘 I을 사용하고, 탄산칼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PGA를 8중량부, 펜타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에스테르 9중량부 및 물을 첨가하고 교반혼합을 행하여, 탄산칼슘 고형분 농도가 20중량%인 식품첨가제 슬러리를 조제후, 습식분쇄기 다이노밀 KD파일롯형(WAB사제)을 사용하여 습식분쇄를 행하고,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얻었다. 이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중의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중량평균직경 K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 이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습식분쇄후의 샘플을 탄산칼슘 고형분 농도 5%로 희석후의 전기전도도, 수소이온 농도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PGA는 미리 물로 용해시킨 후 첨가했다. 펜타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에스테르는 뜨거운 물에 녹인 후 첨가했다.
실시예 18
표 1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바꾼 것 이외는 실시예 17과 동일한 조건으로,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얻었다. 이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중의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중량평균직경 K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 이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습식분쇄후의 샘플을 탄산칼슘 농도 5%로 희석후의 전기전도도, 수소이온 농도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PGA, 대두다당류, 트레할로스는 미리 물로 용해시킨 후 첨가했다.
비교예 1∼6
표 2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바꾼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얻었다. 이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중의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중량평균직경 K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또, 이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습식분쇄후의 샘플을 탄산칼슘, 인산칼슘 고형분 농도 5%로 희석후의 전기전도도, 수소이온 농도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PGA,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은 미리 물로 용해시킨 후 첨가했다. 펜타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에스테르, 데카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에스테르, 수크로스 스테아르산에스테르는 뜨거운 물에 녹인 후 첨가했다.
비교예 7, 8
표 2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바꾼 것 이외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조건으로,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얻었다. 이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중의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중량평균직경 K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또, 이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습식분쇄후의 샘플을 인산칼슘 고형분 농도 5%로 희석후의 전기전도도, 수소이온 농도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PGA,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아라비노갈락탄은 미리 물로 용해시킨 후 첨가했다.
비교예 9, 10
표 2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바꾼 것 이외는 실시예 17과 동일한 조건으로,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얻었다. 이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중의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중량평균직경 K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또, 이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습식분쇄후의 샘플을 탄산칼슘 고형분 농도 5%로 희석후의 전기전도도, 수소이온 농도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PGA, 대두다당류, 트레할로스는 미리 물로 용해시킨 후 첨가했다.
실시예 19∼36 및 비교예 11∼20
실시예 1∼18 및 비교예 1∼10에서 얻어진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스프레이 드라이어를 사용하여 건조하고, 식품첨가제 파우더 조성물을 얻었다.
다음에 실시예 19∼36 및 비교예 11∼20에서 얻어진 식품첨가제 파우더 조성물을 물에 첨가하고, 호모 믹서에 의해 11O00rpm으로 15분간 교반하여, 칼슘제 및/또는 철분제 고형분이 각각 파우더화 전의 슬러리 농도의 재분산액을 조정했다. 얻어진 식품첨가제 파우더의 재분산액의 점도는, 건조전의 식품첨가제 슬러리와 비교하여 거의 동일한 정도이고 유동성에도 전혀 문제는 없었다. 재분산액중의 각각의 칼슘제 및/또는 철분제의 입도 분포에서의 중량평균직경을 표 4에 나타낸다. 또, 이 식품첨가제 파우더 조성물의 습식분쇄후의 샘플을 칼슘제 및/또는 철분제 고형분 농도 5%로 희석후의 전기전도도, 수소이온 농도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PGA: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 에스테르의 약어
글리세린 I: 펜타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에스테르의 약어
글리세린 II: 데카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에스테르의 약어
대두다당: 소야파이브
SE: 수크로스 스테아르산에스테르의 약어
PGA의 종류: (1) 에스테르화도 89.7% (2) 1에스테르화도 75.0%
Ca제/철분제의 종류:
인: 인산3칼슘의 약어
철: 피로인산제2철의 약어
탄 I: 탄산칼슘 I의 약어
탄 II: 탄산칼슘 II의 약어
K: 식품첨가제 슬러리중의 칼슘제 및/또는 철분제의 입도 분포계에 있어서의 중량평균 입자직경(㎛)
PGA: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 에스테르의 약어
글리세린 I: 펜타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에스테르의 약어
글리세린 II: 데카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에스테르의 약어
대두다당: 소야파이브
SE: 수크로스 스테아르산에스테르의 약어
PGA의 종류: (1) 에스테르화도 89.7% (2) 1에스테르화도 75.0%
Ca제/철분제의 종류:
인: 인산3칼슘의 약어
철: 피로인산제2철의 약어
탄 I: 탄산칼슘 I의 약어
탄 II: 탄산칼슘 II의 약어
K: 식품첨가제 슬러리중의 칼슘제 및/또는 철분제의 입도 분포계에 있어서의 중량평균 입자직경(㎛)
0.0003≤L≤22
N: 분쇄 및/또는 분산후의 식품첨가제 조성물을, 칼슘제, 철분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고형분 농도 5%의 전기전도도(mS/cm)
S: 분쇄 및/또는 분산후의 식품첨가제 조성물을, 칼슘제, 철분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고형분 농도 5%의 수소이온농도
K:칼슘제 및/또는 철분제 파우더 조성물의 재분산액의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중량평균직경(㎛)
다음에 실시예 1∼36 및 비교예 1∼20에서 조제한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 및 파우더 조성물을 사용하고, 각각의 칼슘제 고형분 농도가 0.75중량%, 각각의 철분제 고형분 농도가 0.08중량%가 되도록 희석후, 이 희석액을 100ml의 메스실린더에 취하고, 10℃에서 정치하여, 탄산칼슘, 인산칼슘 및 피로인산제2철의 침전에 의해 생기는 투명부분과 칼슘제 및/또는 철분제의 분산부분의 착색부분의 계면의 높이의 경시변화, 침강물의 양의 경시변화를 육안으로 판단하고, 각 수분산액의 수중에서의 안정성을 조사했다. 메스실린더에 새겨진 ml단위의 표시를 읽어내고, 그 결과를 하기의 5단계 표시에 의해 표 5와 표 6에 나타낸다.
(계면의 높이)
계면이 거의 98 이상 100ml임 ······5
계면이 95 이상 98 미만임 ······4
계면이 90 이상 95 미만임 ······3
계면이 50 이상 90 미만임 ······2
계면이 50 미만임 ······1
(침전물의 양)
거의 확인할 수 없슴 ······5
약간 침전을 확인할 수 있슴 ······4
0.5mm 미만 정도의 침전이 있슴 ······3
0.5mm 이상 2mm 미만의 침전이 있슴······2
2mm 이상의 침전이 있슴 ······1
실시예 37
탈지분유 0.88kg을 물 2.6kg에 첨가 교반하여 균질화하고, 상법에 따라, 살균 냉각한 후, 미리 조정한 스타터를 접종하여 산유를 얻었다. 이 산유에 실시예 1에서 조제한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Ca로서 25g, 및 시럽 5kg 첨가한 후, 호모지나이저를 사용하여 상법에 따라 균질화하여 칼슘강화 마시는 요구르트 10kg을 얻었다. 이 칼슘강화 마시는 요구르트를 100ml의 메스실린더 수개에 취하고, 5℃에서 보존하고, 정기적으로 메스실린더중의 요구르트를 천천히 폐기하고, 메스실린더 바닥부에 잔존하고 있는 침강물의 양의 경시변화를 육안으로 관찰했다. 그 결과를 하기의 5단계 표시에 의해 표 7, 표 8에 나타낸다. 또, 이 칼슘강화 마시는 요구르트의 남녀 각 10명으로 이루어지는 관능시험을 행하고, 각각에 풍미에 관해서 5단계의 판정을 하게 하여, 그 평균값도 표 7, 표 8에 나타낸다.
또한, 식품첨가제 조성물은 제조직후(표 7) 및 제조후 3개월(표 8)의 것을 사용했다.
(침전물의 양)
거의 확인할 수 없슴 ······5
약간 침전을 확인할 수 있슴 ······4
조금 침전을 확인할 수 있슴 ······3
대량의 침전을 확인할 수 있슴 ······2
상당히 대량의 침전을 확인할 수 있슴 ······1
(풍미)
풍미가 양호함 ······5
풍미가 조금 신경쓰임(약간 위화감이 있슴) ······4
풍미가 조금 나쁨(약간 불쾌감이 있슴) ······3
풍미가 상당히 나쁨(상당히 불쾌감이 있슴) ······2
풍미가 매우 나쁨(매우 불쾌감이 강함) ······1
실시예 38∼50, 52∼65, 비교예 21∼26, 28∼33
전술의 실시예 2∼14, 실시예 19∼32, 비교예 1∼6, 비교예 11∼16에서 조제한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 또는 파우더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 및 각각의 칼슘 농도를 실시예 37과 동일 농도로 조정하는 것을 제외하고, 그 밖은 실시예 37과 동일한 방법으로 칼슘강화 마시는 요구르트를 얻었다. 또, 이들 칼슘강화 마시는 요구르트의 침전량의 관찰 및 풍미에 관한 관능시험을, 실시예 37에 나타내는 동일한 방법으로 행했다. 그 결과를 표 7, 표 8에 나타낸다.
또한, 식품첨가제 조성물은 제조직후(표 7) 및 제조후 3개월(표 8)의 것을 사용했다.
실시예 51
탈지분유 0.88kg을 물 2.6kg에 첨가 교반하여 균질화하고, 상법에 따라, 살균 냉각한 후, 미리 조정한 스타터를 접종하여 산유를 얻었다. 이 산유에 실시예 16에서 조제한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철로서 1.5g, 및 시럽 5kg 첨가한 후, 호모지나이저를 사용하여 상법에 따라 균질화 하여 철분강화 마시는 요구르트 10kg을 얻었다. 또, 이들 철분강화 마시는 요구르트의 침전량의 관찰 및 풍미에 관한 관능시험을, 실시예 37에 나타내는 동일한 방법으로 행했다. 그 결과를 표 7, 표 8에 나타낸다.
또한, 식품첨가제 조성물은 제조직후(표 7) 및 제조후 3개월(표 8)의 것을 사용했다.
실시예 66, 비교예 27, 34
전술의 실시예 33, 비교예 8, 17에서 조제한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 또는 파우더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 및 각각의 철 농도를 실시예 51과 동일 농도로 조정하는 것을 제외하고, 그밖은 실시예 5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철분강화 마시는 요구르트를 얻었다. 또, 이들 철분강화 마시는 요구르트의 침전량의 관찰 및 풍미에 관한 관능시험을, 실시예 37에 나타내는 동일한 방법으로 행했다. 그 결과를 표 7, 표 8에 나타낸다.
또한, 식품첨가제 조성물은 제조직후 및 제조후 3개월의 것을 사용했다.
실시예 67
실시예 1에서 조제한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Ca로서 25g, 시판의 우유 2.4kg, 버터 150g, 탈지유 1.25kg을 물 5kg에 첨가 교반하여 균질화하고, 상법에 따라, 살균냉각한 후, 미리 조정한 스타터 200g을 접종하고, 180cc의 컵에 충전하고, 38℃에서 5시간 발효시켜, 칼슘강화 요구르트를 얻었다.
각 시료를 남녀 각 10명으로 이루어지는 관능시험을 행하고, 식감에 관해서는 하기의 4단계의 판정을, 풍미에 관해서는 하기의 5단계의 판정을 각각 하게 하여, 그 평균값을 표 8에 나타낸다.
(식감)
양호한 조직을 갖고, 맛이 양호함 ······4
점도가 약간 높거나, 또는, 약간 조직이 나빠,
조금 꺼끌거림이 있슴 ······3
점도가 상당히 높거나, 또는, 상당히 조직이 나빠,
상당히 꺼끌거림이 있슴 ······2
너무 농후하거나, 또는, 수분이탈이 발견되고,
매우 꺼끌거림이 있슴 ······1
(풍미)
풍미가 양호함 ······5
풍미가 조금 신경쓰임(약간 위화감이 있슴) ······4
풍미가 조금 나쁨(약간 불쾌감이 있슴) ······3
풍미가 상당히 나쁨(상당히 불쾌감이 있슴) ······2
풍미가 매우 나쁨(매우 불쾌감이 강함) ······1
실시예 68∼80, 82∼95, 비교예 35∼40, 42∼47
전술의 실시예 2∼14, 실시예 19∼32, 비교예 1∼6, 비교예 11∼l6에서 조제한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 또는 파우더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 및 각각의 칼슘 농도를 실시예 67과 동일 농도로 조정하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것은 실시예 67과 동일한 방법으로 칼슘 강화 요구르트를 얻었다. 또, 이들 칼슘 강화 요구르트의 식감 및 풍미에 관한 관능시험을, 실시예 67에 나타내는 동일한 방법으로 행했다.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낸다.
실시예 81
실시예 16에서 조제한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철로서 1.5g, 시판의 우유 2.4kg, 버터 150g, 탈지유 1.25kg을 물 5kg에 첨가 교반하여 균질화하고, 상법에 따라, 살균 냉각한 후, 미리 조정한 스타터 200g을 접종하여, 180cc의 컵에 충전하고, 38℃에서 5시간 발효시켜, 철분강화 요구르트를 얻었다. 또, 이 철분강화 요구르트의 식감 및 풍미에 관한 관능시험을, 실시예 67에 나타내는 동일한 방법으로 행했다.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낸다.
실시예 96, 비교예 41, 48
전술의 실시예 33, 비교예 8, 17에서 조제한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 또는 파우더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 및 각각의 철 농도를 실시예 81과 동일 농도로 조정하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것은 실시예 8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철분강화 요구르트를 얻었다. 또, 이들 철분강화 요구르트의 식감 및 풍미에 관한 관능시험을, 실시예 67에 나타내는 동일한 방법으로 행했다.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낸다.
실시예 97
실시예 1에서 조제한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Ca로서 25g을, 60℃에서 용해시킨 버터 500g 속에 분산시키고, 이것을 탈지유 9.30kg 속에 첨가 교반하고, 이어서 살균을 행하여 칼슘강화 우유를 얻었다. 이 칼슘강화 우유를 100ml의 메스실린더 수개에 취하고, 5℃에서 보존하고, 정기적으로 메스실린더중의 우유를 천천히 폐기하고, 메스실린더 바닥부에 잔존하고 있는 침전물의 양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육안 관찰했다. 그 결과를 하기의 5단계 표시에 의해 표 10에 나타낸다. 또, 이 칼슘강화 우유의 남녀 각 10명으로 이루어지는 관능시험을 행하고, 각각에 풍미에 관해서 5단계의 판정을 하게하고, 그 평균값도 표 10에 나타낸다.
(침전물의 양)
거의 확인할 수 없슴 ······5
약간 침전을 확인할 수 있슴 ······4
조금 침전을 확인할 수 있슴 ······3
대량의 침전을 확인할 수 있슴 ······2
상당히 대량의 침전을 확인할 수 있슴 ······1
(풍미)
풍미가 양호함 ······5
풍미가 조금 신경쓰임(약간 위화감이 있슴) ······4
풍미가 조금 나쁨(약간 불쾌감이 있슴) ······3
풍미가 상당히 나쁨(상당히 불쾌감이 있슴) ······2
풍미가 매우 나쁨(매우 불쾌감이 강함) ······1
실시예 98∼110, 실시예 113∼128, 실시예 131, 132, 비교예 49∼54, 57∼64, 비교예 67, 68
전술의 실시예 2∼14, 실시예 17∼32, 실시예 35, 36, 비교예 1∼6, 비교예 9∼16, 비교예 19, 20에서 조제한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 또는 파우더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 및 각각의 칼슘 농도를 실시예 97과 동일 농도로 조정하는 것을 제외하고, 그밖은 실시예 97과 동일한 방법으로 칼슘강화 우유를 얻었다. 또, 이들 칼슘강화 우유의 침전량의 관찰 및 풍미에 관한 관능시험을, 실시예 97에 나타내는 동일한 방법으로 행했다.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낸다.
실시예 111
실시예 15에서 조제한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철로서 1.5g을, 60℃에서 용해시킨 버터 500g 속에 분산시키고, 이것을 탈지유 9.45kg 속에 첨가 교반하고, 이어서 살균을 행하여, 철분강화 우유를 얻었다. 또, 이들 철분강화 우유의 침전량의 관찰 및 풍미에 관한 관능시험을, 실시예 97에 나타내는 동일한 방법으로 관찰했다.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낸다.
실시예 112, 129, 130, 비교예 55, 56, 65, 66
전술의 실시예 15, 16, 32, 33, 비교예 7, 8, 17, 18에서 조제한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 또는 파우더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 및 각각의 철 농도를 실시예 111과 동일 농도로 조정하는 것을 제외하고, 그 밖은 실시예 1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철분강화 우유를 얻었다. 또, 이들 철분강화 우유의 침전량의 관찰 및 풍미에 관한 관능시험을, 실시예 97에 나타내는 동일한 방법으로 관찰했다.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낸다.
실시예 133
실시예 1에서 조제한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Ca로서 25g을, 60℃에서 용해시킨 버터 300g 속에 분산시키고, 이것을 탈지유 9.50kg 속에 첨가 교반하고, 이어서 초고온 멸균을 행하여, 롱 라이프 칼슘·강화 우유를 얻었다. 또, 이들 칼슘강화 우유의 침전량의 관찰 및 풍미에 관한 관능시험을, 실시예 97에 나타내는 동일한 방법으로 행했다. 그 결과를 표 11, 표 12에 나타낸다.
또한, 식품첨가제 조성물은 제조직후(표 11) 및 제조후 3개월(표 12)의 것을 사용했다.
실시예 134∼146, 실시예 149∼164, 실시예 167, 168, 비교예 59∼64, 67∼74, 비교예 77, 78
전술의 실시예 2∼14, 실시예 17∼32, 실시예 35, 36, 비교예 1∼6, 비교예 9∼16, 비교예 19, 20에서 조제한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 또는 파우더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 및 각각의 칼슘 농도를 실시예 133과 동일 농도로 조정하는 것을 제외하고, 그 밖은 실시예 133과 동일한 방법으로 칼슘강화 롱 라이프 우유를 얻었다. 또, 이들 칼슘강화 롱 라이프 우유의 침전량의 관찰 및 풍미에 관한 관능시험을, 실시예 97에 나타내는 동일한 방법으로 행했다. 그 결과를 표 11, 표 12에 나타낸다.
또한, 식품첨가제 조성물은 제조직후(표 11) 및 제조후 3개월(표 12)의 것을 사용했다.
실시예 147
실시예 15에서 조제한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철로서 1.5g을, 60℃에서 용해시킨 버터 300g 속에 분산시키고, 이것을 탈지유 9.50kg 속에 첨가 교반하고, 이어서 초고온 멸균을 행하여, 롱 라이프 철분강화 우유를 얻었다. 또, 이들 철분강화 우유의 침전량의 관찰 및 풍미에 관한 관능시험을, 실시예 97에 나타내는 동일한 방법으로 행했다. 그 결과를 표 11, 표 12에 나타낸다.
또한, 식품첨가제 조성물은 제조직후(표 11) 및 제조후 3개월(표 12)의 것을 사용했다.
실시예 148, 165, 166, 비교예 65, 66, 75, 76
전술의 실시예 15, 16, 32, 33, 비교예 7, 8, 17, 18에서 조제한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 또는 파우더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 및 각각의 철 농도를 실시예 143과 동일 농도로 조정하는 것을 제외하고, 그 밖은 실시예 147과 동일한 방법으로 철분강화 우유를 얻었다. 또, 이들 철분강화 우유의 침전량의 관찰 및 풍미에 관한 관능시험을, 실시예 97에 나타내는 동일한 방법으로 관찰했다. 그 결과를 표 11, 표 12에 나타낸다.
또한, 식품첨가제 조성물은 제조직후(표 11) 및 제조후 3개월(표 12)의 것을 사용했다.
표 7, 표 8의 결과로부터, 본 실시예의 식품첨가제 조성물은 제조 3개월후에 마시는 요구르트에 첨가하여 칼슘 및 철강화 마시는 요구르트를 제조해도, 침전물이 매우 적고, 경시안정성이 우수하다. 한편, 비교예의 식품첨가제 조성물은 제조직후에 첨가하는 경우에는 침전의 문제는 없지만, 제조 3개월후에 마시는 요구르트에 첨가한 경우, 침전물의 양이 많아 식품첨가제 조성물의 경시안정성이 나쁘다.
표 10∼&표 12의 결과로부터, 본 실시예의 식품첨가제 조성물은 제조 3개월 후에 우유에 첨가하여 칼슘 및 철강화 우유를 제조해도, 침전물이 매우 적고, 경시안정성이 우수하다. 한편, 비교예의 식품첨가제 조성물은 제조직후에 첨가하는 경우에는 침전의 문제는 없지만, 제조 3개월후에 우유에 첨가한 경우, 침전물의 양이 많아 식품첨가제 조성물의 경시안정성이 나쁘다. 또, 첨가제(D)를 0.1∼90중량부 함유시킨 것은, 식품첨가제 조성물을 3개월 보관후에, 롱 라이프 우유에 첨가해도 양호한 분산성을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식품첨가제 조성물은, 특히, 액중에서의 재분산성, 액중에서의 장기 분산안정성, 및 풍미가 대단히 우수하고, 제품의 장기보관이 가능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도 상당히 우수하다. 또, 이 식품첨가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조제되는 식품조성물은, 중성, 산성의 어느 영역에서도, 장기간의 보존안정성이 대단히 우수하다.

Claims (6)

  1. 탄산칼슘, 인산칼슘, (이하 칼슘제라고 약기함), 피로인산제2철(이하 철분제라고 약기함)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A) 100중량부에 대하여,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 에스테르(이하 PGA라고 약기함)(B)를 0.1∼90중량부, 및,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가공 전분, 시트르산염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첨가제(C)를 0.1∼90중량부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첨가제 조성물.
  2. 칼슘제, 철분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A) 100중량부에 대하여, PGA(B) 를 0.1∼90중량부,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가공 전분, 시트르산염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첨가제(C)를 0.1∼90중량부, 및, 유화제, 다당류, 소당, 아미노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첨가제(D)를 0.1∼90중량부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첨가제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PGA(B)의 첨가 중량부 (b)와, 첨가제(C)의 첨가 중량부 (c)와, 첨가제(D)의 첨가 중량부 (d)가 하기의 식을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첨가제 조성물.
    b÷(b+c+d)≥0.2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칼슘제, 철분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A)의 고형분 농도 5%의, 전기전도도 N(mS/cm) 및 수소이온 농도(pH) S, 및 PGA의 첨가 중량부 (b)가 이하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첨가제 조성물.
    0.0003≤L≤22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GA(B)의 에스테르화도가 77∼9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첨가제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품첨가제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조성물.
KR1020057006422A 2002-10-16 2003-10-16 식품첨가제 조성물 및 이것을 함유하는 식품조성물 KR200500501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01669 2002-10-16
JP2002301669 2002-10-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0138A true KR20050050138A (ko) 2005-05-27

Family

ID=32211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6422A KR20050050138A (ko) 2002-10-16 2003-10-16 식품첨가제 조성물 및 이것을 함유하는 식품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04039178A1 (ko)
KR (1) KR20050050138A (ko)
AU (1) AU2003301754A1 (ko)
TW (1) TW200406158A (ko)
WO (1) WO20040391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211B1 (ko) * 2006-12-20 2008-06-17 주식회사 엠에스씨 고분산성 철분제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3235B2 (ja) * 2006-02-16 2011-04-20 太陽化学株式会社 鉄強化食品用組成物
JP5957678B2 (ja) 2012-02-07 2016-07-27 株式会社サンギ リン酸カルシウム分散組成物
CN104082754A (zh) * 2014-06-11 2014-10-08 南通昊友食品添加剂有限公司 一种焦磷酸铁的生产方法
JP6454487B2 (ja) * 2014-06-20 2019-01-16 太陽化学株式会社 鉄含有粉末組成物
WO2017171091A1 (ja) * 2016-04-01 2017-10-05 三栄源エフ・エフ・アイ株式会社 固体色素の安定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358C (zh) * 1994-11-01 2001-11-28 丸尾钙株式会社 食品添加剂和含有这种添加剂的食品组合物
JP3504217B2 (ja) * 2000-05-30 2004-03-08 丸尾カルシウム株式会社 食品添加剤スラリー組成物及びパウダー組成物、及びこれらを含有する食品組成物
JP3629589B2 (ja) * 2000-10-18 2005-03-16 株式会社白石中央研究所 再懸濁型粉末状カルシウム製剤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食品組成物
JP2002223737A (ja) * 2001-02-02 2002-08-13 Dai Ichi Kogyo Seiyaku Co Ltd カルシウム強化飲料用分散剤、及びカルシウム含有粉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211B1 (ko) * 2006-12-20 2008-06-17 주식회사 엠에스씨 고분산성 철분제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406158A (en) 2004-05-01
AU2003301754A1 (en) 2004-05-25
WO2004039178A1 (ja) 2004-05-13
JPWO2004039178A1 (ja) 200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12113B2 (ja) 食品添加剤スラリー組成物及びパウダー組成物、並びにこれらを含有する食品組成物
KR100492656B1 (ko)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 및 파우더 조성물,그리고이들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AU728978B2 (en) Method of suspending insoluble calcium salts in protein compositon
US7264834B2 (en) Food-additive slurry composition and powder composition, and food composition containing these
JP4107380B2 (ja) 食品添加剤組成物、及びこれを含有する食品組成物
KR100262379B1 (ko) 고분산성을 갖는 식품첨가제 및 이것을 함유하는 식품조성물
KR20050050138A (ko) 식품첨가제 조성물 및 이것을 함유하는 식품조성물
JP3504217B2 (ja) 食品添加剤スラリー組成物及びパウダー組成物、及びこれらを含有する食品組成物
JP2005073695A (ja) 高分散性乳清カルシウム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91425B1 (ko)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 및 파우더 조성물 및 이들을 함유하는 식품조성물, 그리고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040027988A (ko) 식품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이것을 함유하는 식품조성물
KR100974852B1 (ko) 무기 입자 함유 첨가제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그첨가제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진 식품 조성물
KR100698897B1 (ko) 식품첨가용 칼슘제 슬러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3235511A (ja) 食品添加用カルシウム剤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食品添加用カルシウム剤組成物
JP3454077B2 (ja) 水不溶性カルシウム塩用分散剤および該分散剤を含有する飲料
JP2001186863A (ja) 食品添加剤スラリー組成物及びパウダー組成物、及びこれを含有する食品組成物
JP4951052B2 (ja) 食品添加剤スラリー組成物及びパウダー組成物、並びにこれらを含有する食品組成物
JP2002223736A (ja) カルシウム強化飲料用分散剤、及びカルシウム含有粉末
JP2001252059A (ja) ドロマイト含有飲料
JPH09308460A (ja) 高分散性を有する食品添加用カルシウム剤、及び該カルシウム剤を含有する食品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