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7988A - 식품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이것을 함유하는 식품조성물 - Google Patents

식품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이것을 함유하는 식품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7988A
KR20040027988A KR10-2004-7002612A KR20047002612A KR20040027988A KR 20040027988 A KR20040027988 A KR 20040027988A KR 20047002612 A KR20047002612 A KR 20047002612A KR 20040027988 A KR20040027988 A KR 20040027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additive
alkali metal
slurry composition
additive slurry
phosphor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2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호조히사카즈
구보타나오키
모리사키요시마사
Original Assignee
마루오 칼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루오 칼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루오 칼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7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798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52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containing additives
    • A23C9/1522Inorganic additives, e.g. minerals, trace elements; Chlorination or fluoridation of milk; Organic salts or complexes of metals other than natrium or kalium; Calcium enrichment of mil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15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23L29/04Fatty acids o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Dairy Product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액체중에서의 재분산성, 장기 분산 안정성이 극히 우수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 및 그들의 파우더 조성물을 제공한다. 물과, 다가 금속 화합물과,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을 혼합한 전구 물질을 조제하고, 뒤이어, 인산 공급원 및 알칼리 금속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가 금속, 인산 이온,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 및 알칼리 금속을 함유하는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다.

Description

식품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이것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PROCESS FOR PRODUCING FOOD ADDITIVE COMPOSITION AND FOOD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최근, 칼슘, 마그네슘 및 철 등의 섭취량의 부족이 지적되고 있고, 이 경향은 성장이 가장 활발한 시기의 아이 및 노인에 있어서 현저하다.
칼슘은 뼈의 형성에 중요한 것은 물론이고, 또한 근육의 수축, 생체내의 항상성의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 마그네슘에는, 근육, 혈관을 이완, 확장하는 작용 등이 있고, 인간에게 있어서 필요불가결한 미네랄이다. 마그네슘이 결핍된 경우, 고혈압, 협심증, 고지혈증 등이 되기 쉽다고 생각되고 있다. 또, 마그네슘은, 칼슘의 대사에 크게 관계하고 있고, 부족하면 칼슘의 대사 이상에 수반하는 여러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마그네슘은 많은 효소 반응에 관계하여, 생체내의 항상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말해지고 있다. 그렇지만, 최근, 식생활의 유럽풍화나 정백도가 높은 곡물을 취급하게 되어, 마그네슘은 식품의 정제 가공의 단계에서 대폭적으로 감소하기 때문에, 현대인의 식생활에서는 부족하기 쉬운 상황에 있어, 마그네슘을 강화한 상품에 주목하고 있다.
게다가, 최근 철분 부족에 의한 빈혈 증상을 일으키는 여성을 많이 볼 수 있다. 이 경향은, 여고생이나 젊은 성인 여성에 있어서 특히 현저하다. 이 철 결핍성 빈혈의 원인으로서는, 식생활에서 유래하는 점이 가장 크지만, 여성의 경우는, 생리적인 출혈, 임신에 의한 철 수요의 증가, 및 다이어트에 의한 섭취 부족 등, 철 부족에 의한 빈혈이 되기 쉬운 환경하에 있어, 일반적으로 약 절반의 여성은 철이 부족하다고 말해지고 있다. 이 철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철분 강화 식품이 판매되고 있고, 우유, 청량 음료수 등에 철분을 강화한 상품도 다수 판매되기 시작하고 있다.
이들 각종 미네랄 섭취량의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미네랄 강화 식품이 판매되고 있고, 일반적으로 미네랄의 함유량이 많다고 되어 있는 우유에 있어서도, 미네랄을 더 첨가하여 미네랄 강화 우유로서 제공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고, 그 밖에, 쥬스, 밀크 분말류에도 미네랄을 강화한 상품이 많이 판매되기 시작하고 있다.
예를 들면 우유, 요구르트에 있어서는, 미네랄을 강화할 목적으로, 유산 칼슘, 염화 칼슘, 염화 마그네슘, 시트르산 철 암모늄 등의 수용성의 무기 또는 유기산 형태의 미네랄, 탄산 칼슘, 인산 칼슘, 돌로마이트, 피로인산 제2철 등의 수불용성의 무기 형태의 미네랄이 첨가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수용성의 무기 또는 유기산 형태의 미네랄은, 우유, 요구르트중의 단백질의 안정성을 저해하기 쉽고, 일정량 이상의 배합이 곤란하기 때문에, 미네랄 원료로서 다량으로 사용할 수 없다고 하는 결점을 갖고 있다. 또, 독특한 쓴맛을 갖기 때문에 맛에도 문제가 있다.
한편, 수불용성의 무기 형태의 미네랄은, 수불용성이기 때문에, 우유, 요구르트중의 단백질의 안정성을 저해하는 일 없이, 첨가량의 관점에서는 다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 무기 형태의 미네랄은 전반적으로 비중이 2.1 이상으로 높고, 우유중에 분산시켰을 경우 단시간에 침전하기 때문에, 식품으로서 미관상 좋지 않아, 결국, 그 첨가량은 제한되어 다량으로 사용할 수 없다고 하는 결점을 갖고 있다.
이 결점을 보완하는 식품용도로 다량의 칼슘을 첨가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는, 수없이 많이 제안되고 있고,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9-9911호 공보에는, 인지질 및 단백 분해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 종류를 탄산 칼슘에 첨가하고, 습식 분쇄를 행하여 분산성을 개량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기처럼 인지질이나 단백 분해물을 첨가하는 방법으로는, 인지질에 특유의 냄새와 쓴맛이 있기 때문에, 풍미의 면에서 문제가 큰데다, 이 공보에 의하면 평균 입자 직경적으로 1∼3㎛의 칼슘 분산액이기 때문에, 이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탄산 칼슘을 첨가한 우유는, 그 제조 공정중에서의 클러리피야 등의 원심 분급기에서의 탄산 칼슘의 수율이 나쁘고, 또 우유 등의 식품중에서 침강하기 쉽고, 롱 라이프 우유 등의 장기간 보존 가능 식품에의 첨가 용도로 양호하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또, 일본 특개소 55-84327호 공보에는, (1) 칼슘, 마그네슘, 철, 구리, 붕소, 아연, 망간, 몰리브덴, 비소, 은, 알루미늄, 바륨, 비스무트, 수은, 니켈, 납, 백금, 안티몬 및 주석으로부터 선택되는 양이온 공급원, (2) 인산 칼륨, 인산 수소 2칼륨, 수산화 알칼리 금속과 인산과의 혼합물, 및 인산 수소 알칼리 금속으로부터 선택되는 인산 알칼리 공급원 및 (3) 적어도 3개 이상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을 양이온 공급원, 인산 알칼리 공급원의 순서로 혼합하고, 마지막으로 유기산 공급원을 첨가하여 미네랄 강화 물질을 얻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첨가 순서로 작성한 식품 첨가제 조성물의 분산 상태는, 이 공보에 의하면 각종 미네랄의 이론 유효 이용률이 반드시 충분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으며, 이 방법으로 얻어진 식품 첨가제 조성물을 첨가한 우유에서는 일본 특개평 9-9911호 공보와 마찬가지로, 그 제조 공정중에서의 클러리피야 등의 원심 분급기에서의 칼슘제 등의 수율이 나쁘고, 또 우유 등의 식품중에서 침강하기 쉽고, 장기간 보존 가능 식품에의 첨가가 가능한 물성을 갖고 있다고는 말하기 어려워, 그다지 바람직한 방법이라고는 할 수 없다.
최근, 우유, 요구르트, 쥬스류 등 액체 식품의 장기간 보존 가능한 용기, 보존 방법의 진보에 수반하여, 그 식품을 판매점, 자동 판매기, 가정내의 대형 냉장고 등에서 장기간 보존하는 케이스가 증가하고 있고, 동종의 식품에 칼슘 강화를 목적으로 첨가되고 있는 탄산 칼슘 입자는, 그 식품중에서의 분산 상태가 양호하지 않을 경우, 장기간의 액체 식품의 보존중에 식품 용기 바닥부에 침전되어 버려, 우유, 쥬스류 액체 식품을 음용할 때, 그 침전물이 음용자에게 불쾌감, 불청결감을주는 일이 많아지고 있다.
따라서, 현재 칼슘 강화의 목적으로 종래 기술로 조제된 탄산 칼슘 등의 무기 입자를 첨가하여 시판되고 있는 액체 식품류는, 그 무기 입자의 식품중에서의 분산 안정 기간이 짧기 때문에, 그 무기 입자의 첨가량은 극소량으로 제한될 필요가 있고, 또 일반 소비자가 구입 후 1∼2일의 사이에 반드시 식용으로 사용하는 액체 식품으로 제한될 필요가 있다고 하는 문제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이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한, 요구르트, 우유, 쥬스, 커피 프레시, 밀크 분말, 과자 등의 식품에의 첨가제로서 매우 적합한 분산성이 극히 양호한 식품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얻어진 식품 첨가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진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식품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이것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히, 요구르트, 우유, 쥬스, 커피 프레시, 밀크 분말, 과자 등의 식품에 첨가하여 미네랄을 강화하는데 유효하게 이용되는, 분산 안정성이 극히 양호한 식품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얻어진 식품 첨가제 조성물을 첨가하여 이루어진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은, 물과, 다가 금속 화합물과,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을 혼합한 전구 물질을 조제하고, 뒤이어, 하기 (a), (b), (c), (d) 및 (e)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인산 공급원 및 알칼리 금속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가 금속, 인산 이온,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 및 알칼리 금속을 함유하는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내용으로 하는 것이다.
(a) 인산 알칼리 금속 및/또는 축합 인산의 알칼리 금속을 첨가한다.
(b) 인산 알칼리 금속 및/또는 축합 인산의 알칼리 금속과, 알칼리 금속염을 동시에 첨가한다.
(c) 인산 및/또는 축합 인산과, 알칼리 금속염을 동시에 첨가한다.
(d) 인산 알칼리 금속 및/또는 축합 인산의 알칼리 금속을 첨가한 후, 알칼리 금속염을 첨가한다.
(e) 인산 및/또는 축합 인산을 첨가한 후, 알칼리 금속염을 첨가한다.
본 발명의 제 2는, 물과, 다가 금속 화합물과,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을 혼합한 전구 물질을 조제하고, 뒤이어, 하기 (a), (b), (c), (d) 및 (e)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인산 공급원 및 알칼리 금속을 첨가하고 얻어지는, 다가 금속, 인산 이온,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 및 알칼리 금속을 함유하는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화 안정제를 2∼80 중량부 함유시켜, 얻어진 혼합 슬러리를 분쇄기 및/또는 분산기를 사용하여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내용으로 하는 것이다.
(a) 인산 알칼리 금속 및/또는 축합 인산의 알칼리 금속을 첨가한다.
(b) 인산 알칼리 금속 및/또는 축합 인산의 알칼리 금속과, 알칼리 금속염을 동시에 첨가한다.
(c) 인산 및/또는 축합 인산과, 알칼리 금속염을 동시에 첨가한다.
(d) 인산 알칼리 금속 및/또는 축합 인산의 알칼리 금속을 첨가한 후, 알칼리 금속염을 첨가한다.
(e) 인산 및/또는 축합 인산을 첨가한 후, 알칼리 금속염을 첨가한다.
본 발명의 제 3은, 상술한 제조 방법으로 얻어진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분말 건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첨가제 파우더 조성물을 내용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는, 상술한 제조 방법으로 얻어진 식품 첨가제 조성물을 첨가하여 이루어진 식품 조성물을 내용으로 하는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상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다가 금속 화합물로서는,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철, 산화 칼슘, 산화 마그네슘, 산화철, 염화 칼슘, 염화 마그네슘, 염화 철, 탄산 칼슘, 탄산 마그네슘, 탄산 철, 질산 칼슘, 질산 마그네슘, 질산 철, 황산 칼슘, 황산 마그네슘, 황산 철, 인산 칼슘, 인산 마그네슘, 인산 철, 피로인산 제 2철, 돌로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2종 이상 조합시켜 사용된다. 보다 분산성이 양호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얻기 위해서는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철, 산화 칼슘, 산화 마그네슘, 산화철, 탄산 마그네슘, 탄산 칼슘, 탄산 철, 돌로마이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으로서는, 말산, 숙신산, 시트르산, 아디프산, 푸마르산, 글루타민산 및 그들의 알칼리 금속염, 다가의 금속염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2종 이상 조합시켜 사용된다. 보다 분산성이 양호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얻기 위해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 칼륨, 시트르산 나트륨, 시트르산 칼슘, 시트르산 마그네슘, 시트르산 철 암모늄, 시트르산 철 및 시트르산 제 1철 나트륨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인산 공급원 및 알칼리 금속으로서는, 인산 알칼리 금속 및/또는 축합 인산의 알칼리 금속을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인산의 나트륨염 및 칼륨염, 축합 인산의 나트륨염 및 칼륨염, 인산과 나트륨염 및 칼륨염의 혼합물, 축합 인산과 나트륨염 및 칼륨염의 혼합물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서 2종 이상 조합시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인산 공급원 및 알칼리 금속으로서는, 인산 및/또는 축합 인산과 알칼리 금속염을 사용해도 좋고, 알칼리 금속염으로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산화 나트륨, 산화 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 나트륨, 탄산 칼륨 및 탄산수소 칼륨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2종 이상 조합시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축합 인산이란, 피로인산, 트리폴리인산, 테트라폴리 인산, 펜타폴리인산, 헥사메타인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2종 이상 조합시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제 1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물과 다가 금속 화합물과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을 혼합한 전구 물질을 조제하고, 하기 (a), (b), (c), (d) 및 (e)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인산 공급원 및 알칼리 금속을 첨가하여 얻어지는, 다가 금속, 인산 이온,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 및 알칼리 금속을 함유하는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한다.
(a) 인산 알칼리 금속 및/또는 축합 인산의 알칼리 금속을 첨가한다.
(b) 인산 알칼리 금속 및/또는 축합 인산의 알칼리 금속과, 알칼리 금속염을 동시에 첨가한다.
(c) 인산 및/또는 축합 인산과, 알칼리 금속염을 동시에 첨가한다.
(d) 인산 알칼리 금속 및/또는 축합 인산의 알칼리 금속을 첨가한 후, 알칼리 금속염을 첨가한다.
(e) 인산 및/또는 축합 인산을 첨가한 후, 알칼리 금속염을 첨가한다.
본 발명의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얻기 위해서는, 조제시의 각각의 성분의 몰비가 특정한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가 금속 이온: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 이온=0.8:1∼20:1의 범위이고, 보다 분산성이 양호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얻기 위해서는, 1.8:1∼4:1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8:1∼2.7:1의 범위이다.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 이온:인산 이온=1:0.6∼1:13.2의 범위이고, 보다 분산성이 양호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얻기 위해서는, 1:1∼1:2.4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1.3∼1:1.85의 범위이다.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 이온:알칼리 금속 이온=1:O.5∼1:8의 범위이고, 보다 분산성 양호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얻기 위해서는, 1:1.5∼1: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1:4의 범위이다.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 이온에 대한 다가 금속 이온의 몰비가 0.8미만일 경우, 분산 상태가 불안정하게 되기 쉬운 경향에 있어 바람직하지 않고, 몰비가 20을 넘은 경우, 다가 금속 이온이 이온 상태로 잔존하기 쉽게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우유 등에 사용한 경우, 단백질의 안정성을 저해하기 쉽기 때문에 증점하는 경향이 있고, 극단적인 경우에는, 겔화하거나, 풍미의 저하를 초래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에 대한 인산 이온의 몰비가 0.6미만인 경우, 분산 상태가 불안정하게 되는 경향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고, 몰비가 13.2를 넘는 경우, 무기 형태의 다가 금속의 응집체가 되기 쉬운 경향이 있어, 예를 들면 우유등에 사용한 경우, 용기 바닥부에 무기 형태의 다가 금속의 응집체가 대량으로 침전되어 버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에 대한 알칼리 금속 이온의 몰비가 0.5미만인 경우, 분산 상태가 불안정하게 되기 쉬운 경향에 있어 바람직하지 않고, 몰비가 8을 넘은 경우, 알칼리성이 지나치게 강하게 되는 경향이 있어, 강 알칼리인 것은 각종 식품에 첨가한 경우, 그 풍미를 해치는 경향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전구체의 조제에 관해서는, 물과, 다가 금속 화합물과,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을 혼합하는 순서에 특별한 제약 없이, 그 전구체를 조제한 후, 전술한 (a), (b), (c), (d) 및 (e)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방법으로 인산 공급원 및 알칼리 금속을 첨가하면 좋다.
전술한 인산 공급원 및 알칼리 금속의 첨가 방법중, 보다 분산성이 양호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얻기 위해서는, 전술한 (d), (e)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필요불가결한 조건으로서는, 물과, 다가 금속 화합물과,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을 혼합한 전구 물질을 조제한 후에, 전술한 (a), (b), (c), (d) 및 (e)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인산 공급원 및 알칼리 금속을 첨가하여, 교반·혼합하는 것이다. 전술한 성분의 첨가 순서를 바꾼 경우, 예를 들면, 물과 다가 금속 화합물에 인산 및 알칼리 금속을 첨가·혼합한 후,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을 첨가·혼합한 경우, 양호한 분산 상태를 갖는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할 수는 없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얻기 위한 각 성분 혼합시의 온도에 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1∼7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40℃의 범위에서 혼합하는 것이, 보다 분산성이 양호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얻는데 바람직하다. 또, 모든 성분을 혼합한 후, 80∼230℃의 범위까지 가열함으로써, 장기간의 분산 안정성을 더 발현하기 쉬운 경향이 있어, 더욱 바람직하다.
혼합시의 액체의 온도가 70℃를 넘은 경우, 액체중에 조대 입자가 형성되기 쉬운 경향이 있어, 장기간 안정한 분산성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으며, 액체의 온도가 1℃미만인 경우는 용매인 물이 동결하기 쉽게 되기 때문에, 양호한 분산성을 갖는 조성물을 얻는 것이 곤란한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pH는, 통상, 5.5∼12의 범위이지만, 첨가하는 식품중에서의 분산 안정성이나 pH 변화가 제공하는 풍미에의 영향을 고려했을 경우, 바람직하게는 5.5∼8.0의 범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7.2의 범위이다. pH가 5.5 미만 및 12를 넘은 경우, 분산 안정성에 문제가 있는 것이 얻어지기 쉽게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은, 중성~알칼리성 영역의 식품에의 분산 안정성이 우수하지만, 요구르트 등의 산성 영역의 식품에의 분산 안정성에는, 약간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산성 영역에서의 분산 안정성이나 캔 음료 등, 보다 장기간의 분산레 안정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제 2의 제조 방법에 따라서, 즉, 전술한 방법으로 얻어진 다가 금속, 인산 이온,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 및 알칼리 금속을 함유하는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이하, α라고 기재한다)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화 안정제를 2∼80 중량부 함유시킨 혼합 슬러리를 분쇄기 및/또는 분산기를 사용하여 분산시킴으로써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이하, β라고 기재한다)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α)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한 유화 안정제가 2 중량부 미만에서는,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β)을 예를 들면, 캔쥬스, 드링크 타입의 요구르트 등의 식품에 첨가 사용한 경우, 장기간의 유화 안정성의 유지나 산성 영역에서의 식품의 분산 안정 효과가 발휘되기 어려운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으며, 한편, 80중량부를 넘으면, 제품의 점도가 상승하여 식감상 바람직하지 않은 경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점도 상승에 따르는 고농도로의 제조가 취급상 곤란하게 되어, 고형분 농도를 낮추어서 제조하지 않을 수 없고, 경제적인 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화 안정제란, 젤란검, 카라기난, 알긴산 탄산나트륨, 구아검, 카라야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이하, CMC라고 기재한다), 알긴산 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이하, PGA라고 기재한다), 아라비아검, 타마린드검, 가디검, 트라간트검, 키산탄검, 풀루런, 카시아검, 로카스트빈검, 아라비노갈락탄, 스크렐로검, 축합 인산염, HLB가 8이상인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레시틴, 가공 전분, 대두 다당류를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2종이상 조합시켜 사용되지만, 보다 장기간의 분산 안정성을 얻기 위해서는, 바람직하게는, HLB가 8이상인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PGA, CMC, 아라비아검, 아라비노갈락탄, 축합 인산염,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레시틴, 가공 전분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분쇄기 및/또는 분산기에 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다이노 밀, 샌드 밀, 코볼 밀 등의 습식 분쇄기, 초음파 분산기, 나노마이 저, 마이크로플루이타이저, 알티마이저, 호모디나이저 등의 유화·분산기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조제되는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α), (β)를 분말 건조화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 3의 식품 첨가제 파우더 조성물(α), (β)를 조제할 수 있다.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α), (β)가 건조할 즈음에, 건조기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각종 표면 처리제의 변질 방지의 관점에서 극히 단시간에 건조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관점에서 건조기로서는, 스프레이 드라이어, 세라믹 매체를 가열 유동 상태에서 사용하는 슬러리 드라이어 등의 액적 분무형 건조기 혹은 감압식 건조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식품 첨가제 조성물(α), (β)의 입자 직경 분포에서의 중량 평균 직경 K(㎛)에 대해서는, 하기 (χ)의 요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당한 장기간의 보존 분산 안정성이 요구되는 식품용도에는 (ψ)의 요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ω)의 요건을 구비하는 것이다.
(χ) O.01≤K≤0.8
(ψ) 0.01≤K≤O.3
(ω) 0.01≤K≤0.1
식품 첨가제 조성물(α), (β)의 입자 직경 분포에서의 중량 평균 직경이, O.8㎛ 보다 큰 경우는 침강하기 쉽기 때문에, 이들 식품 첨가제 조성물(α), (β)는, 장기간 보존 가능한 식품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다. 한편, 평균 직경이 너무 작게되면 각종 미네랄의 용해성이 증대하는 경향이 있어, 예를 들면 우유에 첨가한 경우, 우유중의 단백질 등이 쉽게 응집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0.01㎛ 이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식품 첨가제 조성물(α), (β)의 입자 직경 분포에서의 중량 평균 직경은, 하기의 요령으로 측정 계산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식품 첨가제 조성물 (α), (β)중의 각종 미네랄의 입자 직경 분포에서의 중량 평균 직경은, 하기의 요령으로 측정 계산된 것이다.
측정 기종: 시마즈 세사쿠쇼제 SA-CP4
시료의 조제: 식품 첨가제 조성물 (α), (β)를, 하기 20℃의 용매중에 적하하여, 입자 직경 분포 측정 시료로 한다.
용매: 이온 교환수
예비 분산: Ultrasonic Homogenizer((주)니혼 세이키제)을 사용하여, 초음파 분산 60초
측정 온도: 20.0℃±2.5℃
또, 수용성의 무기 또는 유기산 형태의 칼슘을, 예를 들면, 우유 등의 식품에 첨가한 경우, 가용성의 칼슘 이온이, 우유중의 단백질의 안정성을 저해하기 쉬워, 일정량 이상 배합할 수 없는 결점을 갖고 있는데 반해, 본 발명의 식품 첨가제 조성물 (α), (β)는, 유기산 형태와 무기 형태를 함께 갖는 조성물이지만, 식품 첨가제 조성물 (α), (β)중의 칼슘 이온 농도는 극히 낮기 때문에, 예를 들면, 우유 등의 식품에 첨가한 경우에도, 가용성의 무기 또는 유기산 형태의 칼슘을 첨가한 경우에 발생하는 전술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칼슘 이온 농도는, 하기의 요령으로 측정 계산된 것이다.
측정 기종: 도아덴파고교제 ION METER IM-40S
시료의 조제: 식품 첨가제 조성물(α), (β)를 7중량%로 조제하고, 10,000rpm로 1시간 원심 분리를 행하여, 얻은 상청액을 측정 시료로 한다.
용매: 이온 교환수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조제되는 식품 첨가제 조성물(α), (β)는, 물중에서의 재분산성이 극히 양호하고, 특수한 분산기, 교반기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물중에 분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품 첨가제 조성물(α), (β)을 사용하여, 식품, 예를 들면 미네랄 강화 우유를 조제하는데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조제되는 식품 첨가제 조성물(α), (β)를 우유에 직접 첨가하여 강력하게 교반하고, 우유중에 식품 첨가제 조성물(α), (β)를 분산시키는 것만으로 충분하지만, 그 식품 첨가제 조성물(α), (β)를 사전에 물중에 분산시켜 얻어지는 미네랄의 물 분산액을 우유에 첨가해도 무방하다. 또 환원 우유에서는, 본 발명의 식품 첨가제 조성물(α), (β)를, 60℃정도의 온도에서 용해한 버터 또는 버터 오일에 가하여 고속 교반하여 분산시키고, 뒤이어 이것에 환원 탈지유 또는 탈지유를 가하여, 균질화하면 좋다.
이들 방법으로 조제한 미네랄 강화 우유 등은, 클라리피야로 제거되는 미네랄의 양이, 종래의 방법으로 조제된 미네랄을 첨가한 경우에 비해, 대폭적으로 감소된다. 즉, 본 발명의 식품 첨가제 조성물(α), (β)을 첨가한 우유, 요구르트, 쥬스류중에는, 미네랄이 극히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식품 첨가제 조성물(α), (β)는, 미네랄의 분산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우유 등에 첨가할 때의 교반 시간이 짧게 끝나고, 따라서, 버터중에서 장시간 교반한 경우에 보여지는 것과 같은 미네랄의 응집은 일어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의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α), (β) 및 파우더 조성물은, 우유, 커피 프레시 등에 다량으로 첨가해도, 수용성 칼슘제에서 일어나는 것같은 독특한 맛·냄새의 발생 및 제품의 겔화 등이 일어나지 않고 제품의 풍미 및 식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식품 첨가제 조성물(α), (β)는, 상기 용도 이외에, 크림, 수프, 커피, 홍차, 우롱차, 두유, 스포츠 드링크, 니어 워터 등의 액체 식품, 와인, 술등의 알콜 음료 및 치즈, 껌, 빵, 과자류, 면류 등의 식품이나 태블릿 등에 미네랄의 강화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식품 첨가제 조성물(α), (β)는, 유산 칼슘, 염화 칼슘, 염화 마그네슘, 시트르산 철 암모늄 등의 수용성의 무기 또는 유기산 형태의 미네랄, 탄산 칼슘, 인산 칼슘, 돌로마이트, 인산 3마그네슘 및 피로인산 제 2철 등의 수불용성의 무기형체의 미네랄제 등과 병용해도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하에 실시예,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 % 및 부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중량%, 중량부를 의미한다.
실시예 1
물 1142.9g과 수산화칼슘 155.4g 및 시트르산(무수) 192g을 혼합교반하여 전구물질을 제작했다. 다음에, 그 전구 물질에 40% 인산 343g를 가하여 교반한 후, 마지막으로 50% 수산화칼륨 224g을 가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했다. 또, 그 슬러리의 혼합시의 온도는, 50℃이었다. 다음에 오토클레이브를 사용하여, 전술의 슬러리를 120℃에서 30분간 가열하고,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했다. 각 성분의 몰비는, 수산화칼슘:시트르산:인산 이온:알칼리 금속=2.1:1.0:1.4:2.0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중의 식품 첨가제의 입자 직경 분포에서의 중량 평균 직경은, 0.11㎛이었다. 또,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25.1%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칼슘 이온 농도는 Omg/l 이었다.
또한, 얻어진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점도는 충분히 낮고, 유동성에도 전혀 문제가 없었다.
실시예 2
물 1142.9g과 수산화칼슘 155.4g 및 시트르산(무수) 192g을 혼합교반하여 전구 물질을 제작했다. 그 전구 물질에 40% 인산 수소 2 칼륨 609.6g를 가하여 교반한 후, 마지막으로 5O% 수산화칼륨 112g를 가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했다. 또한, 그 슬러리의 혼합시의 온도는, 50℃이었다. 다음에, 오토클레이브를 사용하여, 전술의 슬러리를 12O℃에서 30분간 가열하여,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했다. 각 성분의 몰비는, 수산화칼슘:시트르산:인산 이온:알칼리 금속=2.1:1.0:1.4:3.8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중의 식품 첨가제의 입자 직경 분포에서의 중량 평균 직경은, 0.14㎛이었다. 또,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24.3%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칼슘 이온 농도는, Omg/l이었다.
또한, 얻어진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점도는 충분히 낮고, 유동성에도 전혀 문제가 없었다.
실시예 3
물 1142.9g과 수산화칼슘 155.4g 및 시트르산(무수) 1.92g를 혼합교반하여 전구 물질을 제작했다. 다음에 그 전구 물질과 40% 인산 3 칼륨 742.9g를 혼합하여충분히 교반하고,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했다. 또한, 그 슬러리의 혼합시의 온도는, 50℃에서 행했다. 다음에 오토클레이브를 사용하여, 전술의 슬러리를 120℃에서 3O분간 가열하여,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했다. 각 성분의 몰비는, 수산화칼슘:시트르산:인산 이온:알칼리 금속=2.1:1.0:1.4:4.2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중의 식품 첨가제의 입자 직경 분포에서의 중량 평균 직경은, 0.17㎛이었다. 또,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23.9%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칼슘 이온 농도는, Omg/l이었다.
또한, 얻어진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점도는 충분히 낮고, 유동성에도 전혀 문제가 없었다.
실시예 4
물과 수산화칼슘 및 시트르산(무수)을 혼합 교반한 전구 물질에 인산과 수산화칼륨을 동시에 첨가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했다. 각 성분의 몰비는, 수산화칼슘:시트르산:인산 이온:알칼리 금속=2.1:1.0:1.4:2.0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중의 식품 첨가제의 입자 직경 분포에서의 중량 평균 직경은, 0.15㎛이었다. 또,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25.0%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칼슘 이온 농도는, Omg/l이었다.
또한, 얻어진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점도는 충분히 낮고, 유동성에도전혀 문제가 없었다.
실시예 5
물과 수산화칼슘 및 시트르산(무수)을 혼합 교반한 전구 물질에 인산 2 칼륨과 수산화칼륨을 동시에 첨가하는 이외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했다. 각 성분의 몰비는, 수산화칼슘:시트르산:인산 이온: 알칼리 금속=2.1:1.0:1.4:3.8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중의 식품 첨가제의 입자 직경 분포에서의 중량 평균 직경은, 0.18㎛이었다. 또,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24.3%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칼슘 이온 농도는, Omg/l이었다.
또한, 얻어진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점도는 충분히 낮고, 유동성에도 전혀 문제가 없었다.
실시예 6
각 성분의 몰비를 하기와 같이 변경하는 것을 제외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했다. 각 성분의 몰비는, 수산화칼슘:시트르산:인산 이온:알칼리 금속=2.8:1.0:2.1:2.8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중의 식품 첨가제의 입자 직경 분포에서의 중량 평균 직경은, 0.25㎛이었다. 또,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28.6%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칼슘 이온 농도는, 0.2mg/l이었다.
또한, 얻어진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점도는 충분히 낮고, 유동성에도 전혀 문제가 없었다.
실시예 7
각 성분의 몰비를 하기와 같이 변경하는 것을 제외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했다. 각 성분의 몰비는, 수산화칼슘:시트르산:인산 이온:알칼리 금속=3.3:1.0:2.7:4.2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중의 식품 첨가제의 입자 직경 분포에서의 중량 평균 직경은, 0.32㎛이었다. 또,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30.2%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칼슘 이온 농도는, 0.2mg/l이었다.
또한, 얻어진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점도는 충분히 낮고, 유동성에도 전혀 문제가 없었다.
실시예 8
각 성분의 몰비를 하기와 같이 변경하는 것을 제외하는 이외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했다. 각 성분의 몰비는, 수산화칼슘:시트르산:인산 이온:알칼리 금속=2.5:1.0:2.1:5.0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중의 식품 첨가제의 입자 직경 분포에서의 중량 평균 직경은, 0.24㎛이었다. 또,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26.2%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칼슘 이온 농도는, 0.2mg/l이었다.
또한, 얻어진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점도는 충분히 낮고, 유동성에도 전혀 문제가 없었다.
실시예 9
수산화칼슘 대신에 산화 칼슘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했다. 각 성분의 몰비는, 산화 칼슘:시트르산:인산 이온:알칼리 금속=2.1:1.0:1.4:2.0이었다.
다음에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농축기를 사용하여 농축을 행하고, 고형분 농도가, 35.5%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중의 식품 첨가제의 입자 직경 분포에서의 중량 평균 직경은, 0.59㎛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칼슘 이온 농도는, 0.8mg/l이었다.
또한, 얻어진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점도는 충분히 낮고, 유동성에도 전혀 문제가 없었다.
실시예 10
수산화칼슘대신에 탄산 칼슘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했다. 각 성분의 몰비는, 탄산 칼슘:시트르산:인산 이온:알칼리 금속=2.1:1.0:1.4:2.0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중의 식품 첨가제의 입자 직경 분포에서의 중량 평균 직경은, 0.16㎛이었다. 또,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25.3%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칼슘 이온 농도는, 0.1mg/l이었다.
또한, 얻어진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점도는 충분히 낮고, 유동성에도 전혀 문제가 없었다.
실시예 11
식품 첨가제 수 현탁액의 조제시의 혼합시의 온도를, 20℃로 변경하는 것을 제외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했다. 각 성분의 몰비는, 수산화칼슘:시트르산:인산 이온:알칼리 금속=2.1:1.0:1.4:2.0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중의 식품 첨가제의 입자 직경 분포에서의 중량 평균 직경은, 0.08㎛이었다. 또,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24.8%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칼슘 이온 농도는, Omg/l이었다.
또한, 얻어진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점도는 충분히 낮고, 유동성에도 전혀 문제가 없었다.
실시예 12
혼합 슬러리를 오토클레이브로 120℃에서 30분간 가열하는 조작을 행하지 않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했다. 각 성분의 몰비는, 수산화칼슘:시트르산:인산 이온:알칼리 금속=2.1:1.0:1.4:2.0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중의 식품 첨가제의 입자 직경 분포에서의 중량 평균 직경은, 0.38㎛이었다. 또,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25.2%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칼슘 이온 농도는, 0.3mg/l이었다.
또한, 얻어진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점도는 충분히 낮고, 유동성에도 전혀 문제가 없었다.
실시예 13
수산화칼슘 155.4g대신에 수산화칼슘 81.4g 및 수산화마그네슘 58.3g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했다. 각 성분의 몰비는, 수산화칼슘:수산화마그네슘:시트르산:인산 이온:알칼리 금속=1.1:1.0:1.0:1.4:2.0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중의 식품 첨가제의 입자 직경 분포에서의 중량 평균 직경은, 0.28㎛이었다. 또,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24.4%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칼슘 이온 농도는, 0.5mg/l이었다.
또한, 얻어진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점도는 충분히 낮고, 유동성에도 전혀 문제가 없었다.
실시예 14
수산화칼슘 155.4g 대신에 수산화칼슘 151.7g 및 수산화 제 1철 4.5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했다. 각 성분의 몰비는, 수산화칼슘:수산화 제 1철:시트르산:인산:수산화칼륨=2.05:0.05:1.0:1.4:2.0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중의 식품 첨가제의 입자 직경 분포에서의 중량 평균 직경은, 0.26㎛이었다. 또,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25.0%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칼슘 이온 농도는, 0.3mg/l이었다.
또한, 얻어진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점도는 충분히 낮고, 유동성에도 전혀 문제가 없었다.
실시예 15
50% 수산화칼륨 224g 대신에 50% 수산화 칼륨 112g 및 50% 수산화나트륨 80g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했다. 각 성분의 몰비는, 수산화칼슘:시트르산:인산:수산화칼륨:수산화나트륨=2.1:1.0:1.4:1.0:1.0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중의 식품 첨가제의 입자 직경 분포에서의 중량 평균 직경은, 0.17㎛이었다. 또,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24.7%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칼슘 이온 농도는, 0.2mg/l이었다.
또한, 얻어진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점도는 충분히 낮고, 유동성에도 전혀 문제가 없었다.
실시예 16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스프레이 드라이어로 건조시켜, 식품 첨가제 조성물 분체를 얻었다. 그 식품 첨가제 분체 100부에 대하여,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20부 및 물을 첨가하여 교반 혼합을 행하고, 식품 첨가제 조성물 고형분 농도가 35%인 혼합 슬러리를 조제 후, 습식 분쇄기 다이노밀 KD 파일럿형(WAB사제)을 사용하여 습식 분쇄를 행하고,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얻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중의 식품 첨가제 조성물의 입자 직경 분포에서의 중량 평균 직경은, 0.03㎛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칼슘 이온 농도는, 0.2mg/l이었다.
또한, 얻어진 고농도 식품 첨가제 슬러리의 점도는 충분히 낮고, 유동성에도 전혀 문제가 없었다.
실시예 17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스프레이 드라이어로 건조시켜, 식품 첨가제 조성물 분체를 얻었다. 그 식품 첨가제 조성물 분체 100부에 대하여, 알긴산 프로필렌 글리콜 에스테르를 10부 및 물을 첨가하여 교반 혼합을 행하고, 식품 첨가제 조성물 고형분 농도가 30%인 혼합 슬러리을 조제 후, 150kg/cm2의 압력으로 호모지나이저를 사용하여 분산시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얻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중의 식품 첨가제의 입자 직경 분포에서의 중량 평균 직경은, 0.05㎛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칼슘 이온 농도는, 0.3mg/l이었다.
또한, 얻어진 고농도 식품 첨가제 슬러리의 점도는 충분히 낮고, 유동성에도전혀 문제가 없었다.
실시예 18
각 성분의 몰비를 하기와 같이 변경하는 것을 제외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했다. 각 성분의 몰비는, 수산화칼슘:시트르산:인산 이온:알칼리 금속=19.1:1.0:12.6:0.8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중의 식품 첨가제의 입자 직경 분포에서의 중량 평균 직경은, 0.28㎛이었다. 또,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22.6%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칼슘 이온 농도는, 0.2mg/l이었다.
또한, 얻어진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점도는 충분히 낮고, 유동성에도 전혀 문제가 없었다.
비교예 1
일본 특개소 제55-84327호 공보의 실시예 71의 방법에 따라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했다.
즉, 물 3866g과 수산화칼슘 296.Og를 혼합교반한 후, 수산화칼륨 224g를 혼합교반하고, 다음에 85.3% 인산 229.8g를 가하여 교반한 후, 마지막으로 시트르산(무수) 384g을 가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했다.또한, 그 슬러리의 혼합시의 온도는, 30℃이었다. 다음에 오토클레이브를 사용하여, 전술의 슬러리를 200F(약 93℃)에서 30분간 가열하고,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했다. 각 성분의 몰비는, 수산화칼슘:시트르산:인산 이온:알칼리금속=2.0:1.O:1.0:2.0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중의 식품 첨가제의 입자 직경 분포에서의 중량 평균 직경은, 1.45㎛이었다. 또,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11.0%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칼슘 이온 농도는, 1.Omg/l이었다.
또한, 얻어진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점도는 충분히 낮고, 유동성에도 전혀 문제가 없었다.
비교예 2
일본 특개소 제55-84327호 공보의 실시예 84의 방법에 따라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했다.
즉, 물 8700g과 수산화칼슘 192.4g를 혼합 교반한 후, 인산 3 칼륨 551.9g를 가하여 교반한 후, 마지막으로 시트르산(무수) 499.2g을 가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했다. 또한, 그 슬러리의 혼합시의 온도는, 30℃에서 행했다. 다음에 오토클레이브를 사용하여, 전술의 슬러리를 200F(약 93℃)에서 30분간 가열하고,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했다. 각 성분의 몰비는, 수산화칼슘:시트르산:인산 이온:알칼리 금속=1.O:1.0:1.0:3.0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중의 식품 첨가제의 입자 직경 분포에서의 중량 평균 직경은, 1.05㎛이었다. 또,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12.5%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칼슘 이온 농도는, 1.2mg/l이었다.
또한, 얻어진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점도는 충분히 낮고, 유동성에도 전혀 문제가 없었다.
비교예 3
비교예 1에서 조제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20℃에서 24시간 가만히 놓아두었다. 그 결과,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은, 백탁액 층과 침전물 층의 2층으로 분리했다. 그 백탁액 층을 채취하고, 24시간 더 가만히 놓아두어 재차 백탁액 층과 침전물층의 2층으로 분리했다. 그 백탁액 층을 농축기를 사용하여 농축을 행하고, 고형분 농도가 36%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중의 식품 첨가제의 입자 직경 분포에서의 중량 평균 직경은, 0.12㎛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칼슘 이온 농도는, 0.3mg/l이었다.
상기와 같이, 비교예 3은 비교예 1의 상청 부분을 채취하여 농축하여 조제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이지만, 얻어진 것의 분산 상태는 크게 달라, 극히 분산 상태가 좋은 것이 얻어졌다. 그러나, 얻어진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칼슘 함량을 측정한 결과, 투입량의 15%로, 수율이 상당히 나쁜 것이었다.
비교예 4
비교예 2에서 조제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사용한 이외는 비교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중의 식품 첨가제의 입자 직경 분포에서의 중량 평균 직경은, O.09㎛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칼슘 이온 농도는, 0.2mg/l이었다.
또한, 얻어진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칼슘 함량을 측정한 결과, 투입양의 17%로, 수율이 상당히 나쁜 것이었다.
비교예 5
물 1142.9g과 수산화칼슘 155.4g를 혼합 교반한 후, 50% 수산화칼륨 224g을 혼합 교반하고, 다음에 40% 인산 343g를 가하여 교반하고, 마지막으로 시트르산(무수) 192g를 가하여 충분히 교반한다고 하는 첨가 순서로 변경하는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했다.
또한, 이 때의 각 성분의 몰비는, 수산화칼슘:시트르산:인산 이온:알칼리 금속=2.1:1.0:1.4:2.0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중의 식품 첨가제의 입자 직경 분포에서의 중량 평균 직경은, 1.71㎛이었다. 또,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25.0%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칼슘 이온 농도는, 1.3mg/l이었다.
상기와 같이, 비교예 5는 실시예 1과 동일 원료를 동일 비율로 사용하여, 첨가 순서를 바꾸어 조제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이지만, 얻어진 것의 분산 상태는 크게 달라, 극히 분산 상태가 나쁜 것이었다.
비교예 6
물 1142.9g과 수산화칼슘 155.4g을 혼합 교반한 후, 40% 인산 수소 2칼륨 609.6g을 혼합 교반하고, 마지막으로 시트르산(무수) 192g를 가하여 충분히 교반한다고 하는 첨가 순서로 변경하는 외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했다. 각 성분의 몰비는, 수산화칼슘:시트르산:인산 이온:알칼리 금속=2.1:1.0:1.4:3.8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중의 식품 첨가제의 입자 직경 분포에서의 중량 평균 직경은, 1.63㎛이었다. 또,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24.3%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칼슘 이온 농도는, 1.5mg/l이었다.
비교예 7
각 성분의 몰비를 하기와 같이 변경하는 것을 제외하는 이외는 비교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했다. 각 성분의 몰비는, 수산화칼슘:시트르산:인산 이온:알칼리 금속=3.3:1.0:2.7:4.2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중의 식품 첨가제의 입자 직경 분포에서의 중량 평균 직경은, 2.82㎛이었다. 또,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30.3%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칼슘 이온 농도는, 2.2mg/l이었다.
비교예 8
수산화칼슘 대신에 산화 칼슘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는 이외는 비교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했다. 각 성분의 몰비는, 산화 칼슘:시트르산:인산 이온:알칼리 금속=2.1:1.0:1.4:2.0이었다.
다음에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농축기를 사용하여 농축을 행하고, 고형분 농도가, 23.6%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중의 식품 첨가제의 입자 직경 분포에서의 중량 평균 직경은, 2.62㎛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칼슘 이온 농도는, 1.8mg/l이었다.
비교예 9
수산화칼슘 대신에 탄산 칼슘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는 이외는 비교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했다. 각 성분의 몰비는, 탄산 칼슘:시트르산:인산 이온:알칼리 금속=2.1:1.0:1.4:2.0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중의 식품 첨가제의 입자 직경 분포에서의 중량 평균 직경은, 1.99㎛이었다. 또,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26.9%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칼슘 이온 농도는, 1.1mg/l이었다.
비교예 10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조제시의 혼합시의 온도를 20℃로 변경하는 것을 제외하는 이외는 비교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했다. 각 성분의 몰비는, 수산화칼슘:시트르산:인산 이온:알칼리 금속=2.1:1.0:1.4:2.0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중의 식품 첨가제의 입자 직경 분포에서의 중량 평균 직경은, 1.53㎛이었다. 또,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24.0%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칼슘 이온 농도는, 1.3mg/l이었다.
비교예 11
수산화칼슘 155.4g 대신에 수산화칼슘 81.4g 및 수산화 마그네슘 58.3g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는 이외는 비교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했다. 각 성분의 몰비는, 수산화칼슘:수산화마그네슘:시트르산:인산 이온:알칼리 금속=1.1:1.0:1.0:1.4:2.0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중의 식품 첨가제의 입자 직경 분포에서의 중량 평균 직경은, 2.78㎛이었다. 또,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24.4%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칼슘 이온 농도는, 1.6mg/l이었다.
비교예 12
수산화칼슘 155.4g 대신에 수산화칼슘 151.7g 및 수산화 제 1철 4.5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는 이외는 비교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했다. 각 성분의 몰비는, 수산화칼슘:수산화제 1철:시트르산:인산:수산화칼륨=2.05:0.05:1.0:1.4:2.0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중의 식품 첨가제의 입자 직경 분포에서의 중량 평균 직경은, 2.38㎛이었다. 또,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24.3%이었다. 그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칼슘 이온 농도는, 2.1mg/l이었다.
실시예 19∼36 및 비교예 13∼24
실시예 1∼18 및 비교예 1∼12에서 얻어진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스프레이 드라이어를 사용하여 건조하여, 식품 첨가제 파우더 조성물을 얻었다.
다음에, 실시예 19∼36에서 얻어진 식품 첨가제 파우더 조성물에 고형분 농도가 각각 파우더화 전의 슬러리의 고형분 농도와 동일 농도가 되도록 물을 첨가하고, 진탕기에서 10분간 흔들어, 재분산액을 조제했다. 얻어진 식품 첨가제 파우더 조성물의 재분산액의 점도는, 건조전의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과 비교하여 거의 동일한 정도로 유동성에도 전혀 문제가 없었다. 재분산액중의 미네랄의 입자 직경 분포에서의 중량 평균 직경을 표 3에 나타낸다.
다음에, 비교예 13∼24에서 얻어진 식품 첨가제 파우더 조성물에 고형분 농도가 각각 파우더화 전의 슬러리의 고형분 농도와 동일 농도가 되도록 물을 첨가하고, 진탕기에서 10분간 흔들어, 재분산액을 조정했다. 얻어진 식품 첨가제 파우더조성물의 재분산액의 점도는, 건조전의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과 비교해 거의 동일한 정도로 유동성에도 전혀 문제가 없었다. 재분산액중의 미네랄의 입자 직경 분포에서의 중량 평균 직경을 표 4에 나타낸다.
다음에, 실시예 1∼18 및 비교예 1∼12에서 조제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 또는 실시예 19∼36 및 비교예 13∼24에서 조제한 식품 첨가제 파우더 조성물을 사용하여, 각각의 미네랄 함유량 합계가 0.3%가 되도록 희석 후, 그 희석액을 100ml의 메스실린더에 넣고, 10℃에서 가만히 놓아두어, 각종 미네랄의 침전에 의해 생기는 투명 부분과 각종 미네랄의 분산 부분의 착색 부분의 계면의 높이의 경시 변화, 침강물의 양의 경시 변화를 육안 판단하고, 각 물 분산액의 물중에서의 안정성을 조사했다. 메스실린더에 새겨진 ml 단위의 표시를 읽어내고, 그 결과를 하기의 5단계 표시에 의해 표 5, 표 6에 나타낸다.
(계면의 높이)
계면이 거의 98ml 이상 100ml이다 5
계면이 95ml 이상 98ml 미만이다 4
계면이 90ml 이상 95ml 미만이다 3
계면이 50ml 이상 90ml 미만이다2
계면이 50ml 미만이다 1
(침전물의 양)
거의 확인할 수 없다 5
약간의 침전을 확인할 수 있다 4
0.5mm 미만 정도의 침전이 있다 3
0.5mm 이상 2mm 미만의 침전이 있다 2
2mm 이상의 침전이 있다 1
실시예 37
실시예 1에서 조제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칼슘량으로서 30g이 되는 양을 취하여, 60℃에서 용해시킨 버터 300g중에 분산시키고, 이것을 탈지유 9.45kg중에 첨가 교반하고, 뒤이어 살균을 행하여 칼슘 강화 우유를 얻었다. 그 미네랄 강화 우유를 100ml의 메스실린더 몇 개에 넣어, 5℃에서 보존하고, 정기적으로 메스실린더중의 우유를 조용히 폐기하고, 메스실린더 바닥부에 잔존하고 있는 침전물의 양의 경시 변화를 육안 관찰했다. 그 결과를 하기의 5단계 표시에 의해 표 7에 나타낸다. 또, 그 칼슘 강화 우유의 남녀 각 10명으로 이루어진 관능 시험을 행하고, 각각에 풍미에 대하여 5단계의 판정을 시키고, 그 평균값도 표 7에 나타낸다.
(침전물의 양)
거의 확인할 수 없다 5
약간의 침전을 확인할 수 있다 4
조금 침전을 확인할 수 있다 3
상당한 침전을 확인할 수 있다 2
다량의 침전을 확인할 수 있다 1
(풍미)
풍미가 양호하다 5
풍미가 거의 거슬리지 않는다 4
풍미가 조금 거슬린다(약간 위화감이 있다)3
풍미가 조금 나쁘다(약간 불쾌감이 있다)2
풍미가 상당히 나쁘다(상당히 불쾌감이 강하다)1
실시예 38∼72, 비교예 25∼48
전술의 실시예 2∼36, 비교예 1∼24에서 조제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 또는 이들의 파우더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 및 미네랄 함유량의 합계 중량을 실시예 37과 동일 농도로 조정하는 것을 제외하는 이외는 실시예 37과 동일한 방법으로 미네랄 강화 우유를 얻었다. 또, 이들의 미네랄 강화 우유의 침전물의 관찰 및 풍미에 대한 관능 시험을, 실시예 37에 나타내는 동일한 방법으로 행했다. 그 결과를 표 7, 표 8에 나타낸다.
실시예 73
실시예 2에서 조제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칼슘량으로서 30g이 되는 양을 취하고, 시판의 우유 2.5kg, 버터 120g, 탈지유 1.45kg을 물 5kg에 첨가 교반하여 균질화하고, 일정한 규칙에 따라, 살균 냉각한 후, 미리 조정한 스타터 200g 접종하고, 38℃에서 5시간 발효시킨 후, 교반·균질화를 행하고, 드링크 타입의 칼슘 강화 요구르트를 얻었다. 얻어진 요구르트의 관능 시험을 실시예 37에 나타내는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행했다.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낸다.
실시예 74∼78, 비교예 49∼54
전술의 실시예 10, 16, 29, 31, 35, 비교예 1, 9, 10, 14, 15, 23에서 조제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 또는 이들의 파우더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 및 미네랄 함유량의 합계 중량을 실시예 73과 동일 농도로 조정하는 것을 제외하는 이외는 실시예 73과 동일한 방법으로 미네랄 강화 요구르트를 얻었다. 또, 이들의 미네랄 강화 요구르트의 침전물의 관찰 및 풍미에 관한 관능 시험을, 실시예 37에 나타내는 동일한 방법으로 행했다.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낸다.
실시예 79
불에 볶아, 분쇄한 커피 원두를 추출하고, 커피액을 추출하여, 커피 추출액을 얻었다. 그 커피 추출액 8kg에 설탕 220g, 우유 2kg 및 실시예 2에서 조제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칼슘량으로서 60g가 되는 양을 취하여, 혼합 교반하고, 물을 더 가하여, 전체량을 20kg로 하고 교반을 더 행했다. 그 후, 탄산수소 나트륨을 가하여 pH를 6.7로 조제 후, 균질화하고, 조합액을 얻었다. 그 조합액을 캔에 충전한 후, 123℃에서 20분간 레토르트 살균을 행하여, 칼슘 강화 커피 캔 음료를얻었다.
그 커피 캔 음료의 관능 시험을 실시예 37에 나타내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행했다.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낸다.
실시예 80∼84, 비교예 55∼60
실시예 10, 16, 29, 31, 35, 비교예 1, 9, 10, 14, 15, 23에서 조제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 또는 이들의 파우더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 및 미네랄 함유량의 합계 중량을 실시예 79와 동일 농도로 조정하는 것을 제외하는 이외는 실시예 79와 동일한 방법으로 미네랄 강화 커피 캔 음료를 얻었다. 또, 이들의 미네랄 강화 커피 캔 음료의 침전양의 관찰 및 풍미에 관한 관능 시험을, 실시예 37에 나타내는 동일한 방법으로 행했다.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방법으로 조제된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 및 그들의 파우더 조성물은, 특히, 액체중에서의 재분산성, 액체중에서의 장기 분산 안정성이 극히 우수한데다, 슬러리 점도도 충분히 낮고 취급도 양호하다. 또, 특별한 분쇄기나 분산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분산 상태가 극히 양호한 것을 조제 가능하고, 경제적으로도 상당히 우수하다.

Claims (7)

  1. 물과, 다가 금속 화합물과,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을 혼합한 전구 물질을 조제하고, 뒤이어, 하기 (a), (b), (c), (d) 및 (e)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인산 공급원 및 알칼리 금속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가 금속, 인산 이온,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 및 알칼리 금속을 함유하는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제조 방법.
    (a) 인산 알칼리 금속 및/또는 축합 인산의 알칼리 금속을 첨가한다.
    (b) 인산 알칼리 금속 및/또는 축합 인산의 알칼리 금속과, 알칼리 금속염을 동시에 첨가한다.
    (c) 인산 및/또는 축합 인산과, 알칼리 금속염을 동시에 첨가한다.
    (d) 인산 알칼리 금속 및/또는 축합 인산의 알칼리 금속을 첨가한 후, 알칼리 금속염을 첨가한다.
    (e) 인산 및/또는 축합 인산을 첨가한 후, 알칼리 금속염을 첨가한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인산 공급원 및 알칼리 금속의 첨가 방법이, (d) 및 (e)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다가 금속 화합물과,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과, 인산공급원과, 알칼리 금속과의 몰비가, 다가 금속 이온: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 이온=0.8:1∼20:1,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 이온:인산 이온=1:0.6∼1:13.2,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 이온:알칼리 금속 이온=1:0.5∼1:8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제조 방법.
  4. 물과, 다가 금속 화합물과,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을 혼합한 전구 물질을 조제하고, 뒤이어, 하기 (a), (b), (c), (d) 및 (e)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인산 공급원 및 알칼리 금속을 첨가하여 얻어지는, 다가 금속, 인산 이온,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 및 알칼리 금속을 함유하는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화 안정제를 2∼80중량부 함유시켜, 얻어진 혼합 슬러리를 분쇄기 및/또는 분산기를 사용하여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제조 방법.
    (a) 인산 알칼리 금속 및/또는 축합 인산의 알칼리 금속을 첨가한다.
    (b) 인산 알칼리 금속 및/또는 축합 인산의 알칼리 금속과, 알칼리 금속염을 동시에 첨가한다.
    (c) 인산 및/또는 축합 인산과, 알칼리 금속염을 동시에 첨가한다.
    (d) 인산 알칼리 금속 및/또는 축합 인산의 알칼리 금속을 첨가한 후, 알칼리 금속염을 첨가한다.
    (e) 인산 및/또는 축합 인산을 첨가한 후, 알칼리 금속염을 첨가한다.
  5. 제 4 항에 있어서, 분쇄기 및/또는 분산기가, 습식 분쇄기, 초음파 분산기 또는 유화 분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으로 얻어진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을 분말 건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첨가제 파우더 조성물의 제조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으로 얻어진 식품 첨가제 조성물을 첨가하여 이루어진 식품 조성물.
KR10-2004-7002612A 2001-08-24 2002-08-23 식품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이것을 함유하는 식품조성물 KR200400279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53957 2001-08-24
JP2001253957 2001-08-24
PCT/JP2002/008492 WO2003017786A1 (fr) 2001-08-24 2002-08-23 Procede de production d'une composition d'additifs alimentaires et compositions alimentaires contenant cette composi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988A true KR20040027988A (ko) 2004-04-01

Family

ID=19082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2612A KR20040027988A (ko) 2001-08-24 2002-08-23 식품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이것을 함유하는 식품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08726B2 (ko)
EP (1) EP1491100A4 (ko)
JP (1) JP4042977B2 (ko)
KR (1) KR20040027988A (ko)
CN (1) CN1264429C (ko)
HK (1) HK1071677A1 (ko)
WO (1) WO200301778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607B1 (ko) 2015-12-30 2016-11-16 세원셀론텍(주) 자외선 보호, 항염 및 항산화 효능을 가지는 산삼 캘러스 추출물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63910B2 (en) * 2001-10-16 2005-03-08 Maruo Calcium Company Limited Inorganic particles-containing additive composition,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food composition containing the additive composition
JP2005325024A (ja) * 2002-08-02 2005-11-24 Maruo Calcium Co Ltd 摘花剤
CN100521976C (zh) * 2003-07-10 2009-08-05 太阳化学株式会社 矿物组合物
US20070224335A1 (en) * 2006-03-22 2007-09-27 Shaowen Wu Stable soy protein beverage composition
EP1879699A2 (en) 2005-05-11 2008-01-23 Pulsewave LLC. Processing of grains and the like
US10251909B2 (en) * 2007-02-09 2019-04-09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Potassium-magnesium citrate as a surrogate of the DASH diet in managing hypertension
JP4907439B2 (ja) * 2007-06-05 2012-03-28 日油株式会社 乳化状総合栄養食
JP5651241B2 (ja) 2010-07-08 2015-01-07 トロピカーナ 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直ぐに飲める穀物飲料のための安定剤系
EP3989728A1 (en) * 2019-06-28 2022-05-04 Arla Foods amba Salty yoghurt or yoghurt-like product and proces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4996A (en) * 1978-12-19 1980-07-29 R.G.B. Laboratories, Inc. Mineral enrichment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US4351735A (en) * 1978-12-19 1982-09-28 R.G.B. Laboratories Inc. Mineral enrichment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DE3726487A1 (de) * 1987-08-08 1987-12-03 Buchheim Wolfgang Verfahren zur stabilisierung von fluessigen dauermilcherzeugnissen
US5643622A (en) * 1993-05-10 1997-07-01 Pacific Kenyon Corporation Methods for producing a solid feed supplement
DE69727208T2 (de) * 1996-10-03 2004-11-25 Taiyo Kagaku Co., Ltd., Yokkaichi Mineral zusammensetzung
US6248376B1 (en) * 2000-01-26 2001-06-19 American Micronutrients, Inc. Calcium enrichment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6599544B2 (en) * 2000-01-26 2003-07-29 American Micronutrients, Inc. Calcium enrichment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607B1 (ko) 2015-12-30 2016-11-16 세원셀론텍(주) 자외선 보호, 항염 및 항산화 효능을 가지는 산삼 캘러스 추출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71677A1 (en) 2005-07-29
WO2003017786A1 (fr) 2003-03-06
US20030091695A1 (en) 2003-05-15
US6808726B2 (en) 2004-10-26
EP1491100A1 (en) 2004-12-29
EP1491100A4 (en) 2006-03-15
JPWO2003017786A1 (ja) 2005-08-11
CN1264429C (zh) 2006-07-19
JP4042977B2 (ja) 2008-02-06
CN1571636A (zh) 2005-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12113B2 (ja) 食品添加剤スラリー組成物及びパウダー組成物、並びにこれらを含有する食品組成物
KR100492656B1 (ko) 식품 첨가제 슬러리 조성물 및 파우더 조성물,그리고이들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US7264834B2 (en) Food-additive slurry composition and powder composition, and food composition containing these
KR20040027988A (ko) 식품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이것을 함유하는 식품조성물
WO2004010795A1 (ja) 食品添加剤組成物、及びこれを含有する食品組成物
JP3189901B2 (ja) 高分散性を有する食品添加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食品組成物
KR100974852B1 (ko) 무기 입자 함유 첨가제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그첨가제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진 식품 조성물
JP3504217B2 (ja) 食品添加剤スラリー組成物及びパウダー組成物、及びこれらを含有する食品組成物
EP1493454A1 (en) Biomaterials for nerve reconstruc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0698897B1 (ko) 식품첨가용 칼슘제 슬러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91425B1 (ko)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 및 파우더 조성물 및 이들을 함유하는 식품조성물, 그리고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의 제조방법
JP2003235511A (ja) 食品添加用カルシウム剤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食品添加用カルシウム剤組成物
JP2001186863A (ja) 食品添加剤スラリー組成物及びパウダー組成物、及びこれを含有する食品組成物
JP4951052B2 (ja) 食品添加剤スラリー組成物及びパウダー組成物、並びにこれらを含有する食品組成物
KR20050111471A (ko) 식품첨가용 미네랄제제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