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4271A -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4271A
KR20050044271A KR1020040089594A KR20040089594A KR20050044271A KR 20050044271 A KR20050044271 A KR 20050044271A KR 1020040089594 A KR1020040089594 A KR 1020040089594A KR 20040089594 A KR20040089594 A KR 20040089594A KR 20050044271 A KR20050044271 A KR 20050044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main body
housing main
cove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9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1595B1 (ko
Inventor
쿠로다케이지
모리와케료
호리우치히데아키
Original Assignee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44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4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5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2Resilient sockets forked sockets having two le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 H01R4/2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additional means having two or more slotted flat portions
    • H01R4/245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additional means having two or more slotted flat portions forming a U-shape with slotted branch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는, 덮개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끼워맞추는 작업을 간단화하고, 전자 커넥터의 생산성의 향상, 생산비용의 저감을 달성하는 것에 있다. 외부로 개방된 수용실(111)이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와,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에, 상대측 콘택트에 접촉할 수 있도록 수용된 콘택트(120)와,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에 끼워맞춰 수용실(111)을 덮는 덮개(130)를 구비하고, 콘택트(120)에 접속된 전선(W)이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와 덮개(130) 사이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성한 전기 커넥터(100)를 조립하기 위한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이다. 이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는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와, 덮개(130)에, 절단가능한 연결부(150)를 통해 보조부재(140)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덮개 조립부재(A)가 조합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HOUSING ASSEMBLY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의 분야에 속하는 것으로서, 전선에 접속되는 전기 커넥터를 조립하기 위한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공개 2002-164092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1-43926호 공보 및 일본 특허공개 평11-185868호 공보는, 외부로 개방된 수용실이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 본체와, 이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상대측 콘택트에 접촉할 수 있도록 수용된 콘택트와,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끼워맞춰 수용실을 덮는 덮개를 구비하고, 콘택트에 접속된 전선이 커넥터 하우징 본체와 덮개 사이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성한 전기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예컨대, 휴대전화와 같은 소형 전자기기의 내부에 설치되어지는 전기 커넥터는 콤팩트화가 매우 요망되고 있고, 이와 같은 소형의 전기 커넥터로서 이전과 같은 커넥터 하우징 본체와 덮개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를 채용한 경우, 덮개를 따서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끼워맞추는 작업이 곤란하게 되고, 작업자에게 숙련과 수고를 필요로 하고, 덮개의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의 끼워맞춤을 기계에 의해 행하게 하여도, 작은 덮개를 확실히 파지하기 위한 특별한 기구를 추가하여 설치할 필요가 있어, 어떻게 하여도 생산성의 저하, 생산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 또한, 전기 커넥터의 크기에 상관없이, 좁은 공간에 있어서 덮개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끼워맞추는 경우, 덮개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끼워맞추는 작업이 곤란하게 되고, 작업자에게 숙련과 수고를 필요로 하고, 덮개의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의 끼워맞춤을 기계에 의해 행하게 하여도, 기계에 통상보다 복잡한 움직임이 요구되고, 어떻게 하여도 생산성의 저하, 생산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덮개에 연결부를 통해 보조부재를 연결하고, 이 보조부재를 사람 또는 기계에 의해 조작하여 덮개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끼워맞추도록 하여, 덮개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끼워맞추는 작업을 간단화하고, 전기 커넥터의 생산성의 향상, 생산비용의 저감을 달성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로 개방된 수용실이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 본체와, 이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상대측 콘택트에 접촉할 수 있도록 수용된 콘택트와,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끼워맞춰 수용실을 덮는 덮개를 구비하고, 콘택트에 접속된 전선이 커넥터 하우징 본체와 덮개 사이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성한 전기 커넥터를 조립하기 위한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이다. 이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는 커넥터 하우징 본체와, 덮개에, 절단가능한 연결부를 통해 보조부재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덮개 조립부재를 조합시키고 있다.
커넥터 하우징 본체의 수용실에 콘택트를, 콘택트가 상대측 콘택트에 접촉할 수 있도록 수용하고, 콘택트에 전선을, 전선이 수용실의 둘레 가장자리를 타고 넘도록 접속한다. 혹은, 콘택트에 전선을 접속하고, 커넥터 하우징 본체의 수용실에 전선이 부착된 콘택트를, 콘택트가 상대측 콘택트에 접촉할 수 있도록 또한 전선이 수용실의 둘레 가장자리를 타고 넘도록 수용한다. 또한 덮개 조립부재의 보조부재를 사람 또는 기계가 조작함으로써, 덮개 조립부재의 덮개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끼워맞춘다. 다음에, 연결부를 절단하면, 전기 커넥터가 완성된다. 그 경우, 보조부재를 사람 또는 기계가 조작하여 덮개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끼워맞추므로, 덮개가 작더라도 끼워맞춤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좁은 공간에서도 끼워맞춤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작업자의 부담을 줄여 생산성의 향상 및 생산비용의 저감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를 이용하면, 소형의 전기 커넥터나 좁은 공간에 배치되는 전기 커넥터이여도, 덮개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끼워맞추는 작업이 간단화되어, 생산성의 향상 및 생산비용의 저감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는, 덮개가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슬라이딩된 후에 끼워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슬라이딩시의 가이드 기능에 의해 덮개의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의 끼워맞춤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된다.
본 발명의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는, 커넥터 하우징 본체 및 덮개 중 한쪽에 안내홈이 형성되고, 다른쪽에 이 안내홈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끼워넣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이들에 의해 덮개가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덮개가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대해서 슬라이딩하는 구조가 예시되었다.
본 발명의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는, 커넥터 하우징 본체 또는 덮개에는 안내홈의 도중에서부터 분기되어 다른 끝면에까지 이르게 하는 도입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도입 홈으로부터 돌출부를 받아들이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도입 홈에 돌출부를 삽입함으로써 덮개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임시 고정할 수 있고, 안내홈에의 돌출부의 끼워맞춤작업이 용이하게 행해진다. 또한, 안내홈이 전선의 연장 방향과 거의 평행할 때에는, 도입 홈을 전선의 연장 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하면, 돌출부를 도입 홈에 삽입하고나서 안내홈에 삽입함으로서, 전선에 방해되는 일없이 돌출부를 안내홈에 끼워넣을 수 있다.
따라서, 도입 홈에 돌출부를 삽입함으로써 덮개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임시 고정할 수 있고, 안내홈에의 돌출부의 끼워맞춤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전선에 방해되는 일없이 돌출부를 안내홈에 끼워넣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는, 커넥터 하우징 본체 및 덮개에, 덮개의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의 끼워맞춤 완료시에 가요성에 의해 요철 끼워맞춤하여 덮개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잠그는 록 기구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끼워맞춤 완료를 확인하기 쉽다. 또한, 덮개가 커넥터 하우징 본체로부터 빠지기 어려우므로, 연결부의 절단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는, 연결부가, 연결부 또는 보조부재에 인력이 부하되었을 때에 파단될 정도의 강도를 갖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인력에 의해 연결부가 파단되므로, 연결부의 절단작업이 절단용 공구 등을 이용하는 일없이 간단히 행해진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본 발명의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와, 그 커넥터 하우징 본체의 수용실에 수용된 콘택트를 구비하고 있다.
콘택트에 전선을, 전선이 수용실의 둘레 가장자리를 타고 넘도록 접속한다. 또한 덮개 조립부재의 보조부재를 사람 또는 기계가 조작함으로써, 덮개 조립부재의 덮개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끼워맞춘다. 다음에, 연결부를 절단하면, 전기 커넥터가 완성된다. 그 경우, 보조부재를 사람 또는 기계가 조작하여 덮개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끼워맞추기 때문에, 덮개가 작더라도 끼워맞춤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좁은 공간에서도 끼워맞춤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작업자의 부담을 줄여 생산성의 향상 및 생산비용의 저감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이용하면, 소형의 전기 커넥터나 좁은 공간에 배치되는 전기 커넥터이여도, 덮개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끼워맞추는 작업이 간단화되어, 생산성의 향상 및 생산비용의 저감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가 얻을 수 있는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를 나타낸다. 이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는, 도 13 내지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전기 커넥터(100)를 조립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 전기 커넥터(100)는 소켓 커넥터이며,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전기 커넥터(100)는 프린트 배선판 등에 실장된 헤더 커넥터(200)에 끼워맞추지만,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의 형식, 사용형태 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전기 커넥터(100)는, 절연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와, 도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에 수용된 콘택트(120)와, 절연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에 끼워맞춘 덮개(130)를 구비하고 있다. 서로 직교하는 안길이 방향, 폭방향, 및 높이방향을 상정하여, 이들의 방향 정하기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경우, 도 15로 설명하면, 도면의 좌우방향이 안길이 방향이며, 도면의 왼쪽이 안길이 방향의 안쪽, 오른쪽이 안길이 방향의 바로앞이다. 또한, 도면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이 폭방향이며, 도면의 상하방향이 높이 방향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에는 외부로 개방된 수용실(1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은 거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안에 수용실(111)이 형성되고, 수용실(111)이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의 높이방향의 한쪽의 끝면 및 안길이 방향 바로앞의 끝면에서 외부로 개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대상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 본체 및 수용실의 형태가 이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용실(111)의 개방부는, 수용실(111)로의 콘택트(120), 전선(W)의 출입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120)는, 상대측 콘택트(도시를 생략)와 접촉하는 접촉부(121)와, 전선(W)이 접속되는 접속부(12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콘택트(120)는 암형(雌刑)의 압접 콘택트이므로, 접촉부(121)는 상대측의 수(雄)콘택트의 블레이드, 포스트, 핀 등을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도면에서는 포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대상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의 콘택트의 형태는 이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수형이여도 좋고, 예컨대 압착형이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콘택트에는, 일반적인 압접형 콘택트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수용되고나서 전선이 접속되는 콘택트와, 압착형의 콘택트와 같이 전선이 접속되고나서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수용되는 콘택트 양쪽이 포함되는 것이다. 콘택트의 수는 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120)는,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에, 상대측 콘택트에 접촉할 수 있도록 수용되어 있다. 즉,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에는 수용실(111)을 외부에 연통하는 연통실(112)이 형성되고, 콘택트(120)의 접촉부(121)가 연통실(112)에 배치되고, 이 접촉부(121)가 연통실(112)에 받아 들인 상대측 콘택트에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접촉부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로부터 외부로 내보내도 좋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120)는,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에, 콘택트(120)에 접속된 전선(W)이 수용실(111)의 둘레 가장자리(113)를 타고 넘도록 수용되어 있고, 전선(W)은 둘레 가장자리(113)로부터 외부에 인출되어 있다. 콘택트(120)는,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에 대해서, 끼워넣기, 압입, 일체 성형 그 외의 방법에 의해 설치되거나, 또는 고정된다.
도 13 내지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130)는,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에 끼워맞춰서 수용실(111)을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13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덮개(130)는, 콘택트(120) 및 전선(W)의 콘택트(120)와의 접속부에 손가락이나 이물 등이 접촉하는 것, 진애가 수용실(111)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전기 커넥터(100)는, 콘택트(120)에 접속된 전선(W)이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와 덮개(130) 사이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와 덮개(130)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의 수용실(111)로부터 콘택트(120) 및 전선(W)이 외부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 경우, 덮개(130)가 콘택트(120), 전선(W)에 접촉하고 있어도 접촉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일반적으로, 전선이 만곡 변형되도록 휘둘리는 것에 대한 강도를 높이기 위해,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만곡 변형하고자 하는 전선을 걸어서 유지하는 스트레인 릴리프(strain relief)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스트레인 릴리프는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있어서의 콘택트의 사이에 설치되어지는 격벽으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수직상승하므로, 커넥터 하우징 본체가 두껍게 되어, 박형화를 실현할 수 없고, 콘택트가 압접형일 때는 압접 펀치를 피해 스트레인 릴리프를 설치하는 관계상, 커넥터 하우징 본체가 수용실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길게 된다. 그러나, 이 실시예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와 덮개(130)에 의해, 콘택트(120) 및 전선(W)의 탈락을 방지하고 있을 때는, 스트레인 릴리프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고,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의 박형화 및 단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탄성편을 형성하여 콘택트에 거는 하우징 랜스(lance)구조를 채용하거나, 반대로 콘택트에 탄성편을 형성하여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거는 콘택트 랜스구조를 채용하는 경우가 있지만, 어떻게 하여도 커넥터 하우징 본체가 두껍게 되어, 박형화를 실현할 수 없다. 그러나, 이 실시예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와 덮개(130)에 의해, 콘택트(120) 및 전선(W)의 탈락을 방지하고 있을 때는, 랜스구조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고, 커넥터 하우징의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가 단축화되면, 실장 면적이 더욱 작게 되고, 또한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가 박형화되면, 접속구조의 저높이화가 더욱 진행한다.
덮개(130)는,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에 슬라이딩한 후에 끼워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에 안내홈(114)이 형성되고, 덮개(130)에는 이 안내홈(114)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끼워넣는 돌출부(131)가 형성되고, 이들에 의해 덮개(130)가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에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안내홈(114)은,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의 폭방향의 양 끝면을 구성하는 벽의 내측에, 안길이 방향의 바로앞으로부터 안쪽을 향해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131)는 덮개(130)의 폭방향의 양 끝면에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게 형성되어 있다. 반대로, 덮개에 안내홈을 형성하고,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이 안내홈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끼워넣는 돌출부를 형성해도 좋다.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 또는 덮개(130)에는 안내홈(114)의 도중에서부터 분기되어 다른 끝면에까지 이르게 하는 도입 홈(115)이 형성되어 있고, 이 도입 홈(115)으로부터 돌출부(131)를 받아들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에 안내홈(11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입 홈(115)은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에 형성되어 있고, 도입 홈(115)은 안내홈(114)으로부터 분기되어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의 높이방향의 한쪽의 끝면까지 이르고 있다. 돌출부(131)는 안길이 방향의 안쪽측의 부분(131a)과 바로앞측의 부분(131b)으로 분할되어 있고, 안쪽측 부분(131a)을 도입 홈(115)에 삽입하고, 덮개(130)를 안길이 방향의 안쪽측으로 밀면, 안쪽측 부분(131a)에 추가로 바로앞측 부분(131b)이 안내홈(114)에 끼워맞춰지고, 덮개(130)가 안쪽으로 슬라이딩한다. 이 실시예에 의해서 안내홈, 돌출부 및 도입 홈을 형성하는 위치, 안내홈, 돌출부 및 도입 홈의 수, 방향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 및 덮개(130)에는, 덮개(130)의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에의 끼워맞춤 완료시에 가요성에 의해 요철 끼워맞춤하여 덮개(130)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에 잠그는 록 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덮개(130)의 폭방향의 양 끝면에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기(132)가 형성되고,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의 도입 홈(115)이 이 돌기(132)를 받아 들이는 기능을 발휘하고 있고, 이 돌기(132)와 도입 홈(115)에 의해 록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도입 홈(115)에 록 기구의 오목부로서의 기능을 발휘시키지 않고, 도입 홈과는 별도로 록 기구의 오목부를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덮개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오목부를 형성하여 록 기구를 구성하여도 좋고,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덮개에 오목부를 형성하여 록 기구를 구성하여도 좋다.
덮개(130)에는, 덮개(130)와 전선(W)의 간극을 채우도록 전선용 돌출부(133)가 형성되어 있다. 전선용 돌출부(133)는 덮개(130)의 내면으로부터 높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전선용 돌출부는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커넥터 하우징 본체와 전선의 간극을 채우도록 형성해도 좋다. 또한, 덮개 및 커넥터 하우징 본체의 양쪽에 전선용 돌출부를 형성해도 좋다. 전선용 돌출부(133)는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와 덮개(130) 사이로부터 외부로 인출된 전선(W)이 높이방향, 폭방향 그 외 안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흔들리도록 휘둘려졌을 때에도,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 안의 전선(W)의 진동량을 억제하여, 콘택트(120)와 전선(W)의 접촉이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와, 덮개 조립부재(A)를 조합시킴으로써,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를 구성하고 있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 조립부재(A)는, 덮개(130)에, 절단가능한 연결부(150)를 통해 보조부재(140)가 연결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덮개(130)가 작을 때에는, 보조부재(140)는 덮개(130)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보조부재(140)를 봉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연결부(150)는 절단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절단의 형태로서는, 펜치로 예시되는 바와 같은 공구로 연결부(150)를 끼워 자르거나 커터로 예시되는 바와 같은 공구로 연결부(150)에 깊게 베서 연결부(150)를 파단시키는 형태, 연결부(150) 또는 보조부재(140)에 인장력, 압축력, 비틀림력, 굽힘력 등을 부하하거나 또는 진동을 가해서 연결부(150)를 파단시키는 형태, 레이저 광선이나 가열수단을 이용하여 연결부(150)를 녹이는 형태 등이 있다. 연결부(150)를 절단하는 것에 요하는 힘, 에너지는 연결부(150)의 단면적, 두께를 바꿈으로써 조정된다. 또한 연결부(150)에 노치부를 형성하여 단면적을 급격에 변화시켜도 좋다. 이 실시예의 경우, 보조부재(140)는 덮개(130)에 대해서 안길이 방향의 바로앞측에 배치되고, 연결부(150)는 덮개(130)의 안길이 방향의 바로앞의 단부와 보조부재(140)의 안길이 방향의 안쪽측의 단부를 연결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보조부재(140)를 가지고서 덮개(130)를 안길이 방향의 안쪽으로 밀어 넣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안길이 방향을 향한 면에 의한 단면적에 있어서, 연결부(150)의 단면적이 덮개(130)의 단면적보다 작고 또한 보조부재(140)의 단면적보다 작게 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연결부(150)는 폭방향으로 떨어져서 2개 형성되어 있다. 보조부재(140), 덮개(130) 및 연결부(150)는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보조부재는 덮개에 대해서 어느 방향에 배치해도 좋고, 연결부의 수, 배치도 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조부재, 덮개 및 연결부는 일체로 성형하지 않아도 좋고, 예컨대 결합하도록 하여도 좋다.
연결부(150)는, 연결부(150) 또는 보조부재(140)에 인력이 부하되었을 때에 파단될 정도의 강도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연결부의 단면형상, 재질 등을 조정함으로써 행해진다. 연결부(150) 또는 보조부재(140)에 인력을 부하하는 형태로서는, 연결부(150) 또는 보조부재(140)를 직접 손가락 등으로 미는 형태, 당기는 형태, 비트는 형태, 구부리는 형태, 이들을 조합시킨 형태, 이들을 반복해서 행하는 형태가 있다. 또한, 나사 돌리개, 피크 등의 가느다란 막대 등으로 연결부(150) 또는 보조부재(140)를 미는 형태, 두드리는 형태, 비트는 형태 등이 있다. 또한, 훅 형상의 도구를 연결부(150) 또는 보조부재(140)에 걸어 당기는 형태도 있다.
이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의 수용실(111)에 콘택트(120)를, 콘택트(120)가 상대측 콘택트에 접촉할 수 있도록 수용하고, 콘택트(120)에 전선(W)을, 전선(W)이 수용실(111)의 둘레 가장자리(113)를 타고 넘도록 접속한다. 혹은, 콘택트(120)에 전선(W)을 접속하고,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의 수용실(111)에 전선이 부착된 콘택트(120)를, 콘택트(120)가 상대측 콘택트에 접촉할 수 있도록 또한 전선(W)이 수용실(111)의 둘레 가장자리(113)를 타고 넘도록 수용한다. 또한 덮개 조립부재(A)의 보조부재(140)를 사람 또는 기계가 조작함으로써, 덮개 조립부재(A)의 덮개(130)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에 끼워맞춘다. 다음에, 연결부(150)를 절단하면, 전기 커넥터(100)가 완성된다. 그 경우, 보조부재(140)를 사람 또는 기계가 조작하여 덮개(130)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에 끼워맞춤으로써, 덮개(130)가 작아도 끼워맞춤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좁은 공간에서도 끼워맞춤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작업자의 부담을 줄여 생산성의 향상 및 생산비용의 저감이 달성된다.
본 발명은, 덮개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덮도록 위치시켜 덮개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밀어 넣음으로써 덮개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끼워맞추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그러나, 이 실시예의 경우, 덮개(130)가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에 슬라이딩한 후에 끼워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슬라이딩시의 가이드 기능에 의해 덮개(130)의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에의 끼워맞춤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된다.
덮개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슬라이딩한 후에 끼워맞추도록 한 구성은 다른 것에도 있지만, 이 실시예의 경우,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 및 덮개(130) 중 한쪽에 안내홈(114)이 형성되고, 다른쪽에 이 안내홈(114)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끼워넣는 돌출부(131)가 형성되고, 이들에 의해 덮개(130)가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에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덮개(130)가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에 대해서 슬라이딩하는 구조를 예시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안내홈에 분기부를 설치하지 않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 실시예의 경우,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 또는 덮개(130)에는 안내홈(114)의 도중에서부터 분기되어 다른 끝면에까지 이르게 하는 도입 홈(115)이 형성되어 있고, 이 도입 홈(115)으로부터 돌출부(131)를 받아들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도입 홈(115)에 돌출부(131)를 삽입함으로써 덮개(130)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에 임시 고정할 수 있고, 안내홈(114)에의 돌출부(131)의 끼워맞춤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와 같이, 안내홈(114)이 전선(W)의 연장 방향과 거의 평행할 때는, 도입 홈(115)을 전선(W)의 연장 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하면, 돌출부(131)를 도입 홈(115)에 삽입하고나서 안내홈(114)에 삽입함으로써, 전선(W)에 방해되는 일없이 돌출부(131)를 안내홈(114)에 끼워넣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록 기구를 형성하지 않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 실시예의 경우,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 및 덮개(130)에, 덮개(130)의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에의 끼워맞춤 완료시에 가요성에 의해 요철 끼워맞춤하여 덮개(130)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에 잠그는 록 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끼워맞춤 완료를 확인하기 쉽다. 또한, 덮개(130)가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로부터 빠지기 어려우므로, 연결부(150)의 절단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은, 덮개에도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도 전선용 돌출부를 형성하지 않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 실시예의 경우,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 및 덮개(130) 중 적어도 한쪽에 전선(W)의 간극을 채우는 전선용 돌출부(133)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전선(W)이 안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흔들리도록 휘둘려졌을 때에도,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 안의 전선(W)의 진동량을 억제하여, 콘택트(120)와 전선(W)의 접촉이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결부를 절단용의 공구 등을 이용하여 절단하도록 한 실시예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 실시예의 경우, 연결부(150)가, 연결부(150) 또는 보조부재(140)에 인력이 부하되었을 때에 파단될 정도의 강도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인력에 의해 연결부(150)가 파단되므로, 연결부의 절단작업이 절단용 공구 등을 이용하는 일없이 간단하게 행해진다.
도 17은,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의 경우, 콘택트(120)의 접속부(122)가, 전선(W)의 절연 피복을 찢어 도체와의 접속을 행하는 압접용 슬롯이다. 또한, 덮개(130)에는, 덮개(130)와 접속부(122)인 슬롯과의 간극을 채우도록 슬롯용 돌출부(134)가 형성되어 있다. 슬롯용 돌출부(134)는 덮개(130)의 내면으로부터 높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슬롯용 돌출부(134)는 슬롯에까지 이르러서 슬롯에 접촉해도 좋고, 슬롯을 압압해도 좋다. 슬롯용 돌출부(134)는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와 덮개(130) 사이로부터 외부로 인출된 전선(W)이 높이방향, 폭방향 그 외 안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흔들리도록 휘둘려졌을 때에도,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 안의 전선(W)의 진동량을 억제하여, 슬롯과 전선(W)의 접촉이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 외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하면, 제 1 실시예로 마찬가지의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짐과 아울러, 슬롯과 전선(W)의 접촉을 안정에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 2 실시예와 같이 전선용 돌출부(133) 및 슬롯용 돌출부(134)를 형성한 실시예, 전선용 돌출부를 형성하지 않고 제 2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슬롯용 돌출부만을 형성한 실시예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와, 그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의 수용실(111)에 수용된 콘택트(120)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도 충분히 개시되었다. 이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경우, 콘택트(120)에 전선(W)을, 전선(W)이 수용실(111)의 둘레 가장자리(113)를 타고 넘도록 접속한다. 또한 덮개 조립부재(A)의 보조부재(140)를 사람의 손으로 잡고, 덮개 조립부재(A)의 덮개(130)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에 끼워맞춘다. 다음에, 연결부(150)를 절단하면, 전기 커넥터(100)로의 전선(W)의 접속이 완료된다. 얻어지는 작용 및 효과는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의 특징을 조합시킨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의하면, 덮개에 연결부를 통해 보조부재를 연결하고, 이 보조부재를 사람 또는 기계에 의해 조작하여 덮개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끼워맞추도록 하여, 덮개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끼워맞추는 작업을 간단화하고, 전기 커넥터의 생산성의 향상, 생산비용의 저감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제 1 실시예의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의 전기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콘택트를 수용하여 높이방향으로부터 바라본 확대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IV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예의 덮개를 높이방향의 한쪽으로부터 바라본 확대 평면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예의 덮개를 안길이 방향의 안쪽으로부터 바라본 확대 정면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예의 덮개를 높이방향의 다른쪽으로부터 바라본 확대 저면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예의 덮개 조립부재를 폭방향을 향한 면으로 단면하여, 폭방향으로부터 바라본 단면도이고, 단면선은 연결부를 통과하고 있다.
도 9는 제 1 실시예의 덮개 조립부재를 폭방향을 향한 면으로 단면하여, 폭방향으로부터 바라본 단면도이고, 단면선은 연결부를 벗어나 있다.
도 10은 제 1 실시예의 덮개 조립부재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끼워맞추고 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 1 실시예의 덮개 조립부재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끼워맞추고 있을 때의 사시도이며, 도 10과는 다른 각도로부터 보고 있다.
도 12는 제 1 실시예의 덮개 조립부재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끼워맞췄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 1 실시예의 전기 커넥터에 전선을 접속했을 때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 1 실시예의 전기 커넥터에 전선을 접속하여 안길이 방향의 바로앞으로부터 바라본 확대 배면도이다.
도 15는 제 1 실시예의 전기 커넥터에 전선을 접속하고, 폭방향을 향한 면으로 단면하여 폭방향으로부터 바라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 1 실시예의 전기 커넥터에 전선을 접속하고, 상대측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췄을 때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7은 제 2 실시예의 전기 커넥터에 전선을 접속하고, 폭방향을 향한 면으로 단면하여 폭방향으로부터 바라본 확대 단면도이다.

Claims (11)

  1. 외부로 개방된 수용실(111)이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와, 이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에, 상대측 콘택트에 접촉할 수 있도록 수용된 콘택트(120)와,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에 끼워맞춰 수용실(111)을 덮는 덮개(130)를 구비하고, 콘택트(120)에 접속된 전선(W)이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와 덮개(130) 사이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성한 전기 커넥터(100)를 조립하기 위한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로서,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와, 덮개(130)에, 절단가능한 연결부(150)를 통해 보조부재(140)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덮개 조립부재(A)를 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덮개(130)가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에 슬라이딩한 후에 끼워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 및 덮개(130) 중 한쪽에 안내홈(114)이 형성되고, 다른쪽에 이 안내홈(114)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끼워넣는 돌출부(131)가 형성되고, 이들에 의해 덮개(130)가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에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 또는 덮개(130)에는 안내홈(114)의 도중에서부터 분기되어 다른 끝면에까지 이르게 하는 도입 홈(115)이 형성되어 있고, 이 도입 홈(115)으로부터 돌출부(131)를 받아들이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 및 덮개(130)에, 덮개(130)의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에의 끼워맞춤 완료시에 가요성에 의해 요철 끼워맞춤하여 덮개(130)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에 잠그는 록 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부(150)가, 연결부(150) 또는 보조부재(140)에 인력이 부하되었을 때에 파단될 정도의 강도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
  7. 제5항에 있어서, 연결부(150)가, 연결부(150) 또는 보조부재(140)에 인력이 부하되었을 때에 파단될 정도의 강도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와, 그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의 수용실(111)에 수용된 콘택트(12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9. 제5항에 기재된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와, 그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의 수용실(111)에 수용된 콘택트(12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10. 제6항에 기재된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와, 그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의 수용실(111)에 수용된 콘택트(12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11. 제7항에 기재된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와, 그 커넥터 하우징 본체(110)의 수용실(111)에 수용된 콘택트(12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20040089594A 2003-11-07 2004-11-05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11115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79200A JP3817241B2 (ja) 2003-11-07 2003-11-07 コネクタハウジング組立体、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電線付き電気コネクタ
JPJP-P-2003-00379200 2003-1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4271A true KR20050044271A (ko) 2005-05-12
KR101111595B1 KR101111595B1 (ko) 2012-02-24

Family

ID=34431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9594A KR101111595B1 (ko) 2003-11-07 2004-11-05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530265B1 (ko)
JP (1) JP3817241B2 (ko)
KR (1) KR101111595B1 (ko)
CN (1) CN100456568C (ko)
TW (1) TW2005277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656B1 (ko) * 2005-01-21 2012-05-15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커넥터용 전선 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57467B3 (de) 2008-11-14 2010-04-08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Vormontierbares Steckverbindersystem
JP5343902B2 (ja) * 2010-03-17 2013-11-1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407959B2 (ja) * 2010-03-17 2014-02-0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3855501A (zh) * 2012-12-08 2014-06-11 临沂市海纳电子有限公司 一种快速装卸接触件的电连接器
DE102014200176A1 (de) * 2014-01-09 2015-07-0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Laststecker zur elektrischen Stromübertragung, insbesondere zur Verwendung in einem Kraftfahrzeug
DE102019129823A1 (de) * 2019-11-05 2021-05-06 Festool Gmbh Verbindungsanordnung für eine handgeführte Werkzeugmaschine und handgeführte Werkzeug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343Y2 (ja) * 1990-04-10 1995-03-06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係止具付コネクタ
JPH08227732A (ja) * 1995-02-20 1996-09-03 Sanyo Electric Co Ltd 電源装置
JPH09320347A (ja) * 1996-05-29 1997-12-12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自動車用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
JPH10143622A (ja) 1996-11-11 1998-05-29 Casio Comput Co Ltd 保持部付き媒体及び媒体収納器具
JPH11162596A (ja) * 1997-09-30 1999-06-18 Whitaker Corp:The 小形短絡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体
JP2001043926A (ja) * 1999-07-30 2001-02-16 Yazaki Corp 圧接コネクタ
CN1129205C (zh) * 2000-03-16 2003-11-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3813838B2 (ja) * 2001-05-25 2006-08-23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用電線カバー取付構造
JP4074776B2 (ja) * 2002-05-07 2008-04-0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ジャッ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656B1 (ko) * 2005-01-21 2012-05-15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커넥터용 전선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17241B2 (ja) 2006-09-06
CN100456568C (zh) 2009-01-28
JP2005142094A (ja) 2005-06-02
TW200527763A (en) 2005-08-16
KR101111595B1 (ko) 2012-02-24
EP1530265A2 (en) 2005-05-11
EP1530265A3 (en) 2006-03-08
CN1614826A (zh) 2005-05-11
EP1530265B1 (en) 200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36749B1 (en) A terminal fitting, a connector and a forming method
JP4427564B2 (ja) コネクタプラグ
EP2472678B1 (en) Connector member comprising a retainer
KR100524835B1 (ko) 암형 콘택트 및 그것을 사용한 전기 커넥터
JP5682997B2 (ja) 電気コネクタ
EP3588689A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0851709B1 (ko) 전기 커넥터
JP2009016178A (ja) 同軸コネクタ
JP2019204678A (ja) コネクタ
KR101111595B1 (ko)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2019029055A (ja) 端子、及び電気コネクタ
JP5598849B2 (ja) コネクタ、コネクタハウジング、およ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CN113661611B (zh) 连接器
CN110870143B (zh) 端子零件
JP3606436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7353922B2 (ja) 接続構造体、ハウジング付接続構造体、及び、端子
KR101175170B1 (ko) 소켓 콘택트
WO2021261210A1 (ja) コネクタ
KR20190044493A (ko)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JP2000299167A (ja) 電気コネクタ
JP2020047453A (ja) 圧接端子の電線接続構造及び電線接続方法
KR102076325B1 (ko)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 및 전기 커넥터
JP3637845B2 (ja) 配線器具
CN212062743U (zh) 连接器端子
JP2019145463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