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4493A -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4493A
KR20190044493A KR1020180115735A KR20180115735A KR20190044493A KR 20190044493 A KR20190044493 A KR 20190044493A KR 1020180115735 A KR1020180115735 A KR 1020180115735A KR 20180115735 A KR20180115735 A KR 20180115735A KR 20190044493 A KR20190044493 A KR 20190044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connector
barrel
inner conductor
conducti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5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0876B1 (ko
Inventor
기요타카 오카베
나츠키 이쿠타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44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중심 도체의 내부 도체 접속부가 외측 도체에 의해 충분히 포위되어 있지 않은 구조여도, 임피던스의 정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커넥터 (1) 의 동축 단자 (11) 의 외측 도체 (16) 에 있어서, 외측 끼워 맞춤부 (17) 와 외부 도체 배럴부 (21) 사이에는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가 형성되고,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의 내측에는 중심 도체 (12) 의 내부 도체 배럴부 (14) 가 배치되어 있다.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에는, 내부 도체 배럴부 (14) 에 내부 도체 (6) 를 압착 접속하기 위한 공구를 차입할 수 있는 개구부 (25) 가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1) 는, 외부 도체 (7) 또는 외측 도체 (16)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개구부 (25) 로부터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내에 들어가, 내부 도체 배럴부 (14) 에 접근하는 도전 부재 (31) 와, 도전 부재 (31) 와 내부 도체 배럴부 (14) 사이에 형성된 유전체편 (34) 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CONNECTOR FOR COAXIAL CABLE}
본 발명은, 동축 케이블을 장치나 회로, 또는 다른 동축 케이블 등에 접속하는데 사용하여 바람직한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동축 케이블의 단부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로서, 중심 도체, 및 중심 도체의 외주측에 절연 부재를 개재하여 형성된 외측 도체를 갖는 동축 단자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중심 도체에는,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 (심선) 를 중심 도체에 압착 접속하기 위한 내부 도체 배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측 도체에는,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 (편조) 를 외측 도체에 압착 접속하기 위한 외부 도체 배럴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에 더하여, 동축 케이블의 절연 피복에 외측 도체를 압착 고정시키기 위한 피복 배럴이 외측 도체에 형성되어 있는 것도 있다.
일반적인 동축 단자에 있어서, 동축 케이블이 동축 단자에 접속 고정된 상태에서는, 내부 도체와 중심 도체가 내부 도체 배럴에 의해 압착 접속된 부분이, 외측 도체의 내측에 배치되어, 외측 도체에 포위되어 있다. 그 때문에, 말단 처리를 실시하여 내부 도체 및 외부 도체를 노출시킨 동축 케이블을 동축 단자에 접속 고정시키는 작업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공정을 거친다. (1) 먼저, 내부 도체와 중심 도체를 내부 도체 배럴에 의해 압착 접속한다. (2) 다음으로, 내부 도체가 접속된 중심 도체를 외측 도체의 내측에 삽입한다. (3) 다음으로, 외부 도체와 외측 도체를 외부 도체 배럴에 의해 압착 접속한다. 또한, 외측 도체에 피복 배럴이 형성되어 있는 동축 단자의 경우에는, 내부 도체와 중심 도체를 압착 접속한 후의 공정으로, 외측 도체를 절연 피복에 피복 배럴에 의해 압착 고정시킨다.
한편, 최근, 내부 도체와 중심 도체의 내부 도체 배럴에 의한 압착 접속과, 외부 도체와 외측 도체의 외부 도체 배럴에 의한 압착 접속과, 나아가서는 절연 피복과 외측 도체의 피복 배럴에 의한 압착 고정을 일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 을 참조) 이 보급되어 있다. 이하, 이 기술을 「일괄 압착 공법」 이라고 한다. 일괄 압착 공법에 의하면, 동축 케이블을 동축 단자에 접속 고정시키는 작업의 공정수를 줄일 수 있다.
일괄 압착 공법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동축 단자의 외측 도체의 구조를, 내부 도체와 중심 도체를 내부 도체 배럴에 의해 압착 접속해야 하는 부분에 압착 공구를 차입할 수 있는 개구부를 갖는 구조로 한다. 이에 의해, 동축 단자에 있어서의 내부 도체 배럴, 외부 도체 배럴 및 피복 배럴의 각각에 외부로부터 압착 공구를 직접 접촉시킬 수 있게 되어, 각 배럴을 각 압착 공구에 의해 압착 가공할 수 있게 된다.
일괄 압착 공법을 실시하기 위한 단자 압착 장치는, 내부 도체 배럴을 압압하여 내부 도체와 중심 도체를 압착 접속하는 제 1 압착 공구와, 외부 도체 배럴을 압압하여 외부 도체와 외측 도체를 압착 접속하는 제 2 압착 공구와, 피복 배럴을 압압하여 절연 피복과 외측 도체를 압착 고정시키는 제 3 압착 공구를 구비하고, 이들 3 개의 압착 공구를 동시에 동작시킴으로써, 내부 도체와 중심 도체의 압착 접속, 외부 도체와 외측 도체의 압착 접속, 및 절연 피복과 외측 도체의 압착 고정을 일괄하여 실시한다.
한편, 특허문헌 2 에는, 고주파 대응의 실드 커넥터가 기재되어 있다. 이 실드 커넥터는, 실드 케이블의 신호 도체가 접속되는 내도체 단자와, 실드 케이블의 실드 도체가 접속되는 대략 통상의 외도체 단자와, 유전체와, 도전성을 갖는 소직경체를 구비하고 있다. 내도체 단자는 외도체 단자에 수용되고, 내도체 단자와 외도체 단자 사이에는 유전체가 개재하고 있다. 소직경체는, 외도체 단자 내에 있어서 유전체에 장착되고, 또한, 외도체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내도체 단자의 압착부를 덮고 있다. 특허문헌 2 에는, 소직경체에 의해, 외도체 단자의 구경을, 내도체 단자의 압착부에 접근하도록 전기적으로 소직경화할 수 있고, 압착부 부근의 임피던스를 다른 부분과 정합시킬 수 있는 취지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336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63058호
그런데, 일괄 압착 공법을 실시하는 것을 전제로 한 동축 단자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내부 도체와 중심 도체를 압착 접속하는 압착 공구를 외측 도체의 내측에 차입할 수 있는 개구부가 외측 도체에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내부 도체와 중심 도체가 압착 접속된 내부 도체 배럴의 부분이 외측 도체에 의해 완전하게는 포위되어 있지 않고, 당해 내부 도체 배럴의 부분이 개구부를 통하여 노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의 특성 임피던스를 동축 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나 상대 커넥터의 특성 임피던스 등과 정합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이 점, 외측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도전 부재를 내부 도체 배럴에 접근시킴으로써, 커넥터의 특성 임피던스를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내부 도체 배럴은, 외측 도체의 내측의 좁은 공간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 도체 배럴에 도전 부재를 접근시키는 구조를 형성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2 에는, 내도체 단자의 압착 부분을 유전체와 소직경체로 덮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지만, 이 구성에서는, 외측 도체의 내측의 좁은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내부 도체 배럴에 도전 부재를 접근시키는 구조를 실현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과제는, 중심 도체의 내부 도체 접속부 (예를 들어 내부 도체 배럴부) 가 외측 도체에 의해 충분히 포위되어 있지 않은 구조여도, 임피던스의 정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는, 중심 도체, 중심 도체의 외주측에 형성된 외측 도체, 및 중심 도체와 외측 도체 사이에 형성된 절연 부재를 구비한 동축 단자와,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동축 단자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중심 도체는, 당해 중심 도체에 있어서의 전단측에 배치되고, 상대 커넥터의 상대 중심 도체와 접촉하는 중심 접촉부와, 중심 도체에 있어서의 후단측에 배치되고,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를 접속하는 내부 도체 접속부를 구비하고, 외측 도체는, 당해 외측 도체에 있어서의 전단측에 배치되고, 상대 커넥터의 상대 외측 도체와 끼워 맞춤되는 외측 끼워 맞춤부와, 외측 도체에 있어서의 후단측에 배치되고,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를 압착 접속하는 외부 도체 배럴부와, 외측 도체에 있어서의 외측 끼워 맞춤부와 외부 도체 배럴부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 내부 도체 접속부가 배치되어 있는 내부 도체 배치부를 구비하고, 내부 도체 배치부에 있어서 동축 단자의 직경 방향 일측 및 타측에는, 내부 도체 배치부의 내부를 그 외부로 개방하는 1 쌍의 개구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로서, 외부 도체 또는 외측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1 쌍의 개구부 중 일방의 개구부로부터 내부 도체 배치부의 내부에 들어가, 내부 도체 접속부에 접근하는 도전 부재와, 도전 부재와 내부 도체 접속부 사이에 형성된 유전체편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도전 부재는, 외부 도체 또는 외측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일방의 개구부로부터 내부 도체 배치부에 들어가, 내부 도체 접속부에 접근해 있다. 외부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도전 부재를 내부 도체 접속부에 접근시킴으로써, 내부 도체 접속부의 주변 부분의 임피던스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의 특성 임피던스를 동축 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 또는 상대 커넥터의 특성 임피던스 등과 용이하게 정합시킬 수 있다.
또한, 도전 부재가 내부 도체 접속부에 접근함으로써, 도전 부재와 내부 도체 접속부가 서로 접촉하는 것이 우려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는, 도전 부재와 내부 도체 접속부 사이에는 유전체편이 형성되어 있다. 이 유전체편에 의해, 도전 부재와 내부 도체 접속부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전체편에 의해, 내부 도체 접속부의 주변 부분의 임피던스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유전체편은 도전 부재에 성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내부 도체 배치부는, 내부 도체 접속부의 양측에 있어서 외측 끼워 맞춤부와 외부 도체 배럴부 사이를 접속하는 1 쌍의 중간벽부를 갖고, 도전 부재는 1 쌍의 중간벽부의 각각의 외면에 접촉하는 1 쌍의 접촉부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개구부는 내부 도체 배치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1 쌍의 중간벽부는 내부 도체 접속부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되고, 도전 부재는, 상기 일방의 개구부를 하방으로부터 덮는 도전판부와, 도전판부의 좌부로부터 솟아오르고, 좌측의 중간벽부와 하우징의 좌측의 벽부 사이에 배치되고, 좌측의 중간벽부의 외면에 접촉하는 접촉부가 형성된 좌판부와, 좌판부에 형성되고, 좌판부에 형성된 접촉부보다 전측 또는 후측의 위치에서 좌판부를 좌측의 중간벽부와 하우징의 좌측의 벽부 사이에 지지하는 좌측 지지부와, 도전판부의 우부로부터 솟아오르고, 우측의 중간벽부와 하우징의 우측의 벽부 사이에 배치되고, 우측의 중간벽부의 외면에 접촉하는 접촉부가 형성된 우판부와, 우판부에 형성되고, 우판부에 형성된 접촉부보다 전측 또는 후측의 위치에서 우판부를 우측의 중간벽부와 하우징의 우측의 벽부 사이에 지지하는 우측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도전판부에는, 상기 일방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내부 도체 배치부의 내부로 돌출되는 볼록부가 형성되고, 볼록부의 돌출 단부가 내부 도체 접속부에 접근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각 중간벽부는 당해 중간벽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걸림편을 갖고, 도전판부의 좌부 및 우부에는, 1 쌍의 걸림편을 걸림하는 절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도전 부재는, 상대 커넥터에 형성된 실드 쉘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외부 접속부를 갖고, 하우징에는, 외부 접속부를 하우징 외에 면하게 하는 접속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도전 부재는, 당해 도전 부재를 외부 도체 또는 외측 도체에 압착 접속하기 위한 접속 배럴부를 갖고, 접속 배럴부는, 내부 도체 배치부와 외부 도체 배럴부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심 도체의 내부 도체 접속부가 외측 도체에 의해 충분히 포위되어 있지 않은 구조의 커넥터에 있어서, 임피던스의 정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를 도 1 중의 화살표 III-III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의 동축 단자 및 도전 부재를 도 3 중의 화살표 IV-IV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의 동축 단자에 있어서의 중심 도체, 외측 도체 및 절연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의 도전 부재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의 동축 단자 및 도전 부재를 도 4 중의 화살표 VII-VII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도전 부재의 동축 단자에 대한 장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의 동축 단자 및 도전 부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의 외측 도체, 도전 부재,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 상대 커넥터의 외측 도체, 실드 쉘, 및 기판의 그라운드 회로의 전기 경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의 동축 단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실시형태의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에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 은 도 15 중의 상대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 은 도 15 중의 상대 커넥터에 있어서의 실드 쉘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1) 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는 커넥터 (1) 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하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넥터 (1) 를 상대 커넥터 (121) (도 15 참조) 의 삽입구 (129) 에 삽입하는 방향을 「커넥터 삽입 방향」 이라고 하고, 그 반대 방향을 「커넥터 발거 방향」 이라고 한다. 도 1 등에 있어서의 화살표 (In) 은 커넥터 삽입 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 (Out) 은 커넥터 발거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커넥터 (1) 에 있어서, 커넥터 삽입 방향의 앞쪽을 전(前)으로 하고, 뒤쪽을 후(後)로 하고, 상, 하, 좌, 우는 도 1 내지 도 9 의 오른쪽 아래에 나타낸 화살표를 따른다. 도 1 내지 도 9 에 있어서의 화살표 U, D, L, R 은 상방향, 하방향, 좌방향, 우방향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들 전, 후, 상, 하, 좌, 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정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도 1 에 있어서, 커넥터 (1) 는 동축 케이블 (5) 의 단부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플러그 커넥터이다. 커넥터 (1)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축 단자 (11), 도전 부재 (31), 하우징 (43) 및 리테이너 (61) 를 구비하고 있다.
도 3 은 도 1 중의 화살표 III-III 방향으로부터 본 커넥터 (1) 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4 는 도 3 중의 화살표 IV-IV 방향으로부터 본 동축 단자 (11) 및 도전 부재 (31) 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5 는 동축 단자 (11) 에 있어서의 중심 도체 (12), 외측 도체 (16) 및 절연 부재 (29) 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축 단자 (11) 는, 중심 도체 (12), 중심 도체 (12) 의 외주측에 형성된 외측 도체 (16), 및 중심 도체 (12) 와 외측 도체 (16) 사이에 형성된 절연 부재 (29) 를 구비하고 있다. 중심 도체 (12) 및 외측 도체 (16) 는 금속 등의 도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절연 부재 (29) 는 수지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중심 도체 (12)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 접촉부 (13), 및 내부 도체 접속부로서의 내부 도체 배럴부 (14) 를 가지고 있다. 중심 접촉부 (13) 는 그 선단부가 상대 커넥터 (121) 의 동축 단자 (122) 의 중심 도체 (123) 와 탄성 접촉 상태로 끼워 맞춤되는 부분이다. 중심 접촉부 (13) 는 중심 도체 (12) 에 있어서의 전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중심 접촉부 (13) 는 암형이고,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부 도체 배럴부 (14) 는 동축 케이블 (5) 의 내부 도체 (6) 를 압착 접속하는 부분이다. 내부 도체 배럴부 (14) 는 중심 도체 (12) 에 있어서의 후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내부 도체 배럴부 (14) 의 형상은, 내부 도체 (6) 를 압착하기 전에는 대략 U 자 형상으로 열려 있지만, 압착 후에는 압축되어 대략 판상이 된다.
외측 도체 (16) 는 외측 끼워 맞춤부 (17), 외부 도체 배럴부 (21), 피복 배럴부 (22), 및 내부 도체 배치부로서의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를 가지고 있다. 외측 끼워 맞춤부 (17) 는 상대 커넥터 (121) 의 동축 단자 (122) 의 외측 도체 (124) 와 끼워 맞춤되는 부분이다. 외측 끼워 맞춤부 (17) 는 외측 도체 (16) 에 있어서의 전단측에 배치되고, 중심 접촉부 (13) 의 외주측에 위치하고 있다. 외부 도체 배럴부 (21) 는 동축 케이블 (5) 의 외부 도체 (7) 를 압착 접속하는 부분이다. 외부 도체 배럴부 (21) 는 외측 도체 (16) 에 있어서의 후부에 배치되어 있다. 피복 배럴부 (22) 는 외측 도체 (16) 를 동축 케이블 (5) 의 절연 피복 (9) 에 압착 고정시키는 부분이다. 피복 배럴부 (22) 는 외측 도체 (16) 에 있어서 외부 도체 배럴부 (21) 보다 후방, 즉, 외측 도체 (16) 의 후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는 외측 끼워 맞춤부 (17) 와 외부 도체 배럴부 (2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의 내부에는 중심 도체 (12) 의 내부 도체 배럴부 (14) 가 배치되어 있다.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는, 외측 끼워 맞춤부 (17) 와 외부 도체 배럴부 (21) 사이를 접속하는 좌우 1 쌍의 중간벽부 (24) 를 갖고, 대략 사각형의 상자형으로 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중간벽부 (24) 는 내부 도체 배럴부 (14) 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에 있어서 동축 단자 (11) 의 직경 방향 일측 및 타측에는,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의 내부를 그 외부로 개방하는 1 쌍의 개구부 (25) 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개구부 (25) 는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1 쌍의 개구부 (25) 에 의해,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에는 당해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를 상하 방향 (대향 방향) 으로 관통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들 개구부 (25) 는, 내부 도체 (6) 를 압착 접속하기 위한 공구를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의 내부에 차입하기 위한 치공구 차입구이다. 내부 도체 배럴부 (14) 의 좌측 및 우측은 외측 도체 (16) 의 중간벽부 (24) 에 의해 각각 덮여 있지만,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개구부 (25) 가 각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 도체 배럴부 (14) 의 상측 및 하측은 외측 도체 (16) 로 덮여 있지 않다.
또한, 도 2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중간벽부 (24) 의 후부에는 당해 부분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걸림편 (26) 이 형성되어 있다. 좌우 1 쌍의 걸림편 (26) 은, 도전판부 (32) 의 후부에 형성된 1 쌍의 절결 (41) (도 6 참조) 에 각각 걸림된다.
또한,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도체 (16) 에 있어서,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와 외부 도체 배럴부 (21) 사이에는 오목부 (27) 가 형성되어 있다. 즉, 외측 도체 (16) 에 있어서,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와 외부 도체 배럴부 (21) 사이의 부분의 외면이 상방으로 마운팅되도록 만곡되어 있고, 그 결과, 당해 부분의 아래를 향한 내면이 패여 있다. 이 패인 부분이 오목부 (27) 이다. 커넥터 (1) 의 제조시에 있어서, 중심 도체 (12) 와 절연 부재 (29) 를 결합한 유닛을 외측 도체 (16) 에 삽입할 때, 오목부 (27) 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이용하여, 상기 유닛의 축선 위치와 외측 도체 (16) 의 축선 위치를 일치시킨 상태로 상기 유닛을 외측 도체 (16) 에 삽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유닛의 외측 도체 (16) 로의 삽입 작업이 용이해진다.
도 6 은 도전 부재 (31) 를 나타내고 있다. 도 7 은 도 4 중의 화살표 VII-VII 방향으로부터 본 도전 부재 (31) 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8 및 도 9 는 도전 부재 (31) 의 동축 단자 (11) 에 대한 장착을 나타내고 있다. 도전 부재 (31) 는, 주로, 내부 도체 배럴부 (14) 의 주변 부분의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기능과, 상대 커넥터 (121) 의 실드 쉘 (131) 과 협동하여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는 기능을 갖는 부재이다.
도전 부재 (31) 는, 도 3, 도 4, 도 8, 도 9 등을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외측 도체 (16) 의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에 장착되어 있다.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전 부재 (31) 는,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확대되는 도전판부 (32) 와, 도전판부 (32) 의 일부에 형성된 유전체편 (34) 과, 도전판부 (32) 의 좌부로부터 솟아오르는 좌판부 (35L) 와, 도전판부 (32) 의 우부로부터 솟아오르는 우판부 (35R) 와, 도전판부 (32) 의 후부에 접속된 접속 배럴부 (40) 를 가지고 있다. 도전 부재 (31) 에 있어서 유전체편 (34) 을 제외한 부분은, 도전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당해 부분은, 예를 들어 금속 판재에 대하여 프레스 가공 및 굽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도전판부 (32) 는 외측 도체 (16) 에 있어서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의 하방에 배치되고,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 (25) 를 하방으로부터 덮고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전판부 (32) 를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도전판부 (32) 의 중앙부에는 판면상으로 상방으로 돌출되는 볼록부 (33) 가 형성되어 있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 (33) 는,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 (25) 를 통과하여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내에 들어가 있고, 볼록부 (33) 의 상단부 (돌출 단부) 가 내부 도체 배럴부 (14) 에 접근해 있다.
유전체편 (34) 은, 수지 등의 유전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유전체편 (34) 은, 도전 부재 (31) 와 내부 도체 배럴부 (14)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전체편 (34) 은, 볼록부 (33) 의 상단부의 좌우 방향 중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유전체편 (34) 은 도전 부재 (31) 에 일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전체편 (34) 은, 도전판부 (32) 의 볼록부 (33) 의 상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으로 성형되어 있고, 내부 도체 배럴부 (14) 및 외부 도체 배럴부 (21) 와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 구조를 이룬다. 이에 의해, 임피던스 정합을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다.
좌판부 (35L) 는, 도전판부 (32) 의 좌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신장되고,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의 좌측의 중간벽부 (24) 와 하우징 (43) 의 좌벽 (48L)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우판부 (35R) 는, 도전판부 (32) 의 우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신장되고,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의 우측의 중간벽부 (24) 와 하우징 (43) 의 우벽 (48R)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좌판부 (35L) 및 우판부 (35R) 의 각각의 상단측에는, 도전 부재 (31) 를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 (36) 가 형성되어 있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판부 (35L) 의 고정부 (36) 를 우방으로 절곡함으로써, 좌측의 중간벽부 (24) 가 도전판부 (32) 의 좌부와 당해 고정부 (36) 사이에 끼워진다. 동일하게, 우판부 (35R) 의 고정부 (36) 를 좌방으로 절곡함으로써, 우측의 중간벽부 (24) 가 도전판부 (32) 의 우부와 당해 고정부 (36) 사이에 끼워진다. 이에 의해, 도전 부재 (31) 가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에 고정된다. 또한, 도 6 은 각 고정부 (36) 가 절곡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좌판부 (35L) 에는, 좌측의 중간벽부 (24) 의 외면에 접촉하는 접촉편 (37) 이 형성되고, 우판부 (35R) 에는, 우측의 중간벽부 (24) 의 외면에 접촉하는 접촉편 (37)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1 쌍의 접촉편 (37) 에 의해, 도전 부재 (31) 가 외측 도체 (16)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좌측의 접촉편 (37) 은 좌판부 (35L) 로부터 우방으로 돌출되고, 탄성 변형된 상태로 좌측의 중간벽부 (24) 의 외면에 접촉하여, 당해 외면을 압압하고 있다. 동일하게, 우측의 접촉편 (37) 은 우판부 (35R) 로부터 좌방으로 돌출되고, 탄성 변형된 상태로 우측의 중간벽부 (24) 의 외면에 접촉하여, 당해 외면을 압압하고 있다.
또한,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판부 (35L) 에는, 당해 좌판부 (35L) 를 좌측의 중간벽부 (24) 와 하우징 (43) 의 좌벽 (48L) 사이에 지지하는 1 쌍의 좌측 지지부 (38L) 가 형성되어 있다. 1 쌍의 좌측 지지부 (38L) 중, 일방의 좌측 지지부 (38L) 는 좌판부 (35L) 의 전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좌측 지지부 (38L) 는, 좌판부 (35L) 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편 (37) 보다 전측의 위치에서 좌판부 (35L) 를 좌측의 중간벽부 (24) 와 하우징 (43) 의 좌벽 (48L) 사이에 지지한다. 1 쌍의 좌측 지지부 (38L) 중, 타방의 좌측 지지부 (38L) 는 좌판부 (35L) 의 후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좌측 지지부 (38L) 는, 좌판부 (35L) 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편 (37) 보다 후측의 위치에서 좌판부 (35L) 를 좌측의 중간벽부 (24) 와 하우징 (43) 의 좌벽 (48L) 사이에 지지한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의 중간벽부 (24) 와 하우징 (43) 의 좌벽 (48L) 사이의 이간 거리는 좌판부 (35L) 의 두께보다 크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판부 (35L) 의 좌면이 하우징 (43) 의 좌벽 (48L) 의 우면에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각 좌측 지지부 (38L) 는 좌판부 (35L) 로부터 우방으로 돌출되고, 각 좌측 지지부 (38L) 의 돌출 단측이 좌측의 중간벽부 (24) 의 좌면에 접촉하고 있다.
동일하게, 우판부 (35R) 에도, 당해 우판부 (35R) 를 우측의 중간벽부 (24) 와 하우징 (43) 의 우벽 (48R) 사이에 지지하는 1 쌍의 우측 지지부 (38R) 가 형성되어 있다. 1 쌍의 우측 지지부 (38R) 중, 일방의 우측 지지부 (38R) 는 우판부 (35R) 의 전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우측 지지부 (38R) 는, 우판부 (35R) 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편 (37) 보다 전측의 위치에서 우판부 (35R) 를 우측의 중간벽부 (24) 와 하우징 (43) 의 우벽 (48R) 사이에 지지한다. 1 쌍의 우측 지지부 (38R) 중, 타방의 우측 지지부 (38R) 는 우판부 (35R) 의 후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우측 지지부 (38R) 는, 우판부 (35R) 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편 (37) 보다 후측의 위치에서 우판부 (35R) 를 우측의 중간벽부 (24) 와 하우징 (43) 의 우벽 (48R) 사이에 지지한다. 우측의 중간벽부 (24) 와 하우징 (43) 의 우벽 (48R) 사이의 이간 거리는 우판부 (35R) 의 두께보다 크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우판부 (35R) 의 우면이 하우징 (43) 의 우벽 (48R) 의 좌면에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각 우측 지지부 (38R) 는 우판부 (35R) 로부터 좌방으로 돌출되고, 각 우측 지지부 (38R) 의 돌출 단측이 우측의 중간벽부 (24) 의 우면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좌판부 (35L) 및 우판부 (35R) 에는, 상대 커넥터 (121) 에 형성된 실드 쉘 (131) (도 17 참조) 과 도전 부재 (31) 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1 쌍의 외부 접속부 (39)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판부 (35L) 는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신장되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좌판부 (35L) 의 좌면이 평면이 되어 있다. 이 좌판부 (35L) 의 좌면이 일방의 외부 접속부 (39) 이다. 동일하게, 우판부 (35R) 는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신장되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우판부 (35R) 의 우면이 평면이 되어 있다. 이 우판부 (35R) 의 우면이 타방의 외부 접속부 (39) 이다. 도 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43) 에 좌벽 (48L) 및 우벽 (48R) 에는 접속공 (49) 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좌우의 외부 접속부 (39) 는 이들 접속공 (49) 을 통하여 하우징 (43) 의 외부에 면하고 있다. 커넥터 (1) 를 상대 커넥터 (121) 의 삽입구 (129) 에 삽입했을 때, 상대 커넥터 (121) 의 실드 쉘 (131) 에 형성된 좌우 1 쌍의 쉘 접속편 (132) 이, 접속공 (49) 을 통하여 외부 접속부 (39) 에 각각 접촉한다.
접속 배럴부 (40) 는, 도 8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전 부재 (31) 를 외측 도체 (16) 에 압착 접속하는 부분이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전판부 (32) 의 일부가 후방으로 신장되고, 그 부분의 후단측에 접속 배럴부 (40) 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배럴부 (40) 는, 외측 도체 (16) 에 있어서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와 외부 도체 배럴부 (21) 사이에 압착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접속 배럴부 (40) 는, 외측 도체 (16) 의 오목부 (27) 에 대응하는 마운팅된 외면에 코킹 압착으로 강고하게 접속되어 있다. 접속 배럴부 (40) 에 의해, 도전 부재 (31) 가 외측 도체 (16) 에 고정되고, 또한 도전 부재 (31) 와 외측 도체 (16) 가 내부 도체 배럴부 (14) 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전판부 (32) 의 좌후부 및 우후부에는, 외측 도체 (16) 의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의 중간벽부 (24) 에 각각 형성된 1 쌍의 걸림편 (26) 을 걸림하는 1 쌍의 절결 (41)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8 및 도 9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걸림편 (26) 이 각 절결 (41) 내에 들어가, 걸림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하우징 (43) 은, 수지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횡단면이 대략 사각형의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43) 의 전부에는, 상대 커넥터 (121) 의 하우징 (128) 내에 끼워 맞춤되는 커넥터 끼워 맞춤부 (44) 가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끼워 맞춤부 (44) 의 외주부에는, 상대 커넥터 (121) 의 삽입구 (129) 에 형성된 오삽입 방지부 (130) 의 요철 형상과 합치하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43) 의 후부에는, 커넥터 (1) 를 상대 커넥터 (121) 에 대하여 꽂거나 뺄 때에 이용자가 커넥터 (1) 를 파지하는 파지부 (45) 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43) 내에는 동축 단자 (11) 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43) 의 전단부에는, 상대 커넥터 (121) 의 동축 단자 (122) (도 15 참조) 의 선단측이 삽입되는 단자 삽입구 (46) 가 형성되어 있다. 동축 단자 (11) 의 중심 도체 (12) 의 중심 접촉부 (13) 및 외측 도체 (16) 의 외측 끼워 맞춤부 (17) 는 하우징 (43) 내의 전단부에 배치되어 있고, 단자 삽입구 (46) 로부터 하우징 (43) 외에 면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 (43) 의 후단부에는, 동축 단자 (11) 를 하우징 (43) 내에 삽입하거나, 또는 하우징 (43) 내에 삽입된 동축 단자 (11) 에 장착된 동축 케이블 (5) 를 통과시키기 위한 삽입 통과구 (47)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43) 의 우벽 (48R) 에는, 도전 부재 (31) 의 우측의 외부 접속부 (39) 를 하우징 (43) 의 외부에 면하게 하기 위한 접속공 (49) 이 형성되어 있다. 동일하게, 하우징 (43) 의 좌벽 (48L) 에는, 도전 부재 (31) 의 좌측의 외부 접속부 (39) 를 하우징 (43) 의 외부에 면하게 하기 위한 접속공 (49)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43) 의 내부의 상부에는, 동축 단자 (11) 를 하우징 (43) 에 지지하기 위한 랜스 (50) 가 형성되어 있다. 랜스 (50) 는, 하우징 (43) 의 상부의 좌우 방향 중앙에 배치되고,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신장되고, 전단 하부에, 외측 끼워 맞춤부 (17) 의 상부 후단에 접촉하는 걸림 돌기부 (50A) 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커넥터 (1) 에서는, 랜스 (50) 의 걸림 돌기부 (50A) 의 위치를 고려하여, 동축 단자 (11) 의 외측 도체 (16) 의 외측 끼워 맞춤부 (17) 에 형성된 접촉 스프링부 (18) 의 위치가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 있다. 즉, 도 2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도체 (16) 의 외측 끼워 맞춤부 (17) 에는, 상대 커넥터 (121) 의 동축 단자 (122) 의 외측 도체 (124) 와의 접촉을 도모하기 위한 3 개의 접촉 스프링부 (18) 가 둘레 방향으로 120 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3 개의 접촉 스프링부 (18) 는, 외측 끼워 맞춤부 (17) 의 상부의 좌우 방향 중앙을 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3 개의 접촉 스프링부 (18) 가 외측 끼워 맞춤부 (17) 의 상부의 좌우 방향 중앙을 피하여 배치되도록, 외측 끼워 맞춤부 (17) 를 형성하는 금속 판재는, 원통상으로 절곡 가공하기 전의 길이가, 일방이 타방의 약 2 배이고, 이음면 (19) 의 위치가 상면 중앙으로부터 빗나가도록 설정되어 있다. 3 개의 접촉 스프링부 (18) 를 외측 끼워 맞춤부 (17) 의 상부의 좌우 방향 중앙을 피하도록 배치함으로써, 동축 단자 (11) 를 삽입 통과구 (47) 로부터 하우징 (43) 내에 삽입될 때에, 접촉 스프링부 (18) 가 랜스 (50) 의 걸림 돌기부 (50A) 에 닿아 접촉 스프링부 (18) 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43) 의 후부 하측에는, 리테이너 (61) 를 수용하기 위한 리테이너 수용부 (51), 및 리테이너 (61) 를 걸림하기 위한 리테이너 걸림공 (52) 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리테이너 (61)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 수용부 (51) 에 삽입되어 하우징 (43) 내에 장착되는 장착부 (62) 와, 장착부 (62) 가 리테이너 수용부 (51) 에 삽입된 상태로 동축 단자 (11) 의 걸림편 (26) 을 규제하여 동축 단자 (11) 를 빠짐 방지하는 1 쌍의 규제부 (63) 와, 장착부 (62) 가 리테이너 수용부 (51) 에 삽입된 상태로 하우징 (43) 의 후방에 있어서 동축 케이블 (5) 을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부 (64)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장착부 (62) 의 후부 하면에는, 리테이너 걸림공 (52) 에 걸림되는 돌출편 (65) (도 3 참조)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테이너 (61) 의 케이블 지지부 (64) 의 상면은, 동축 케이블 (5) 의 원형의 외형에 합치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케이블 지지부 (64) 의 만곡된 상면에 의해, 하우징 (43) 의 직후에 있어서 동축 케이블 (5) 이 좌방 또는 우방으로 갑자기 크게 구부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동축 케이블 (5) 의 이와 같은 굽힘에 의해, 외측 도체 (16) 에 큰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43) 의 상부에는, 커넥터 (1) 를 상대 커넥터 (121) 에 고정시키기 위한 로크 기구 (53) 가 형성되어 있다. 로크 기구 (53) 는, 전후 방향으로 신장되고, 양단부가 하우징 (43) 의 상부에 지지된 빔부 (54) 와, 빔부 (54) 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로크 돌기부 (55) 와, 빔부 (54) 의 상면에 있어서 로크 돌기부 (55) 의 후방에 형성된 로크 해제부 (56) 를 가지고 있다. 로크 돌기부 (55) 는 빔부 (54) 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다. 커넥터 (1) 를 상대 커넥터 (121) 에 삽입했을 때, 빔부 (54) 는 상대 커넥터 (121) 의 빔 수용부 (135) (도 16 참조) 에 삽입되고, 로크 돌기부 (55) 는 상대 커넥터 (121) 의 로크공 (136) 에 걸림된다. 로크 해제부 (56) 를 하방으로 누름으로써, 로크공 (136) 으로부터 로크 돌기부 (55) 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빔부 (54) 의 후부의 상면에는 리브 (57)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리브 (57) 에 의해 빔부 (54) 의 탄성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로크 기구 (53) 에 의한 커넥터 (1) 및 상대 커넥터 (121) 와의 끼워 맞춤 및 고정의 확실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 은 상대 커넥터 (121) 를 나타내고 있다. 상세하게는, 도 15 는 상대 커넥터 (121) 의 외관을 나타내고, 도 16 은 상대 커넥터 (121) 를 좌우 방향 중앙에서 절단하여 좌우로 분할된 좌측 부분의 단면을 나타내고, 도 17 은 상대 커넥터 (121) 의 실드 쉘 (131) 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대 커넥터 (121) 에 있어서는, 커넥터 삽입 방향의 뒤쪽을 전(前)으로 하고, 앞쪽을 후(後)로 하고, 상, 하, 좌, 우는 도 15 내지 도 17 의 오른쪽 아래에 나타낸 화살표를 따른다. 도 15 내지 도 17 에 있어서의 화살표 U, D, L, R 은 상방향, 하방향, 좌방향, 우방향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들 전, 후, 상, 하, 좌, 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정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도 15 및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 커넥터 (121) 는 기판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이고, 동축 단자 (122), 하우징 (128) 및 실드 쉘 (131) 을 구비하고 있다.
동축 단자 (122) 는, 상대 중심 도체로서의 중심 도체 (123), 중심 도체 (123) 의 외주측에 형성된 상대 외측 도체로서의 외측 도체 (124), 및 중심 도체 (123) 와 외측 도체 (124) 사이에 형성된 절연 부재 (125) 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중심 도체 (123) 는 수형이다. 또한, 중심 도체 (123) 는, 당해 중심 도체 (123) 를 예를 들어 기판의 신호 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회로 접속부 (126) 를 가지고 있다. 또한, 외측 도체 (124) 는, 당해 외측 도체 (124) 를 기판의 그라운드 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회로 접속부 (127) 를 가지고 있다.
하우징 (128) 은 수지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횡단면이 대략 사각형의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128) 의 후부에는 동축 단자 (122) 가 수용되어 있고, 하우징 (128) 의 전단에는 삽입구 (129)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삽입구 (129) 에는 소정의 요철 형상을 갖는 오삽입 방지부 (130) 가 형성되어 있다.
실드 쉘 (131) 은, 금속 등의 도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하우징 (128) 의 외주측에 형성되어 있다. 실드 쉘 (131) 의 전단부에는 좌우 1 쌍의 쉘 접속편 (132) 이 형성되어 있다. 쉘 접속편 (132) 은, 하우징 (128) 의 좌벽 및 우벽에 각각 형성된 삽입 통과공 (137) 을 통하여 하우징 (128) 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실드 쉘 (131) 에는, 당해 실드 쉘 (131) 을 기판의 그라운드 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회로 접속부 (133) 가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1) 및 상대 커넥터 (121) 의 사용시에 있어서, 커넥터 (1) 에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 (5) 이 장착된다. 또한, 상대 커넥터 (121) 는 기판에 장착되고, 상대 커넥터 (121) 의 중심 도체 (123) 가 기판의 신호 회로에 회로 접속부 (126) 를 통하여 접속된다. 또한, 상대 커넥터 (121) 의 외측 도체 (124) 가 기판의 그라운드 회로에 회로 접속부 (127) 를 통하여 접속된다. 추가로 또한, 상대 커넥터 (121) 의 실드 쉘 (131) 이 기판의 그라운드 회로에 회로 접속부 (133) 를 통하여 접속된다.
커넥터 (1) 의 커넥터 끼워 맞춤부 (44) 를 상대 커넥터 (121) 의 삽입구 (129) 에 삽입하고, 커넥터 끼워 맞춤부 (44) 를 상대 커넥터 (121) 의 하우징 (128) 의 안쪽까지 밀어 넣으면, 커넥터 (1) 의 로크 기구 (53) 의 로크 돌기부 (55) 가 상대 커넥터 (121) 의 로크공 (136) 에 들어가, 커넥터 (1) 가 상대 커넥터 (121) 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커넥터 (1) 의 동축 단자 (11) 의 중심 도체 (12) 와 상대 커넥터 (121) 의 동축 단자 (122) 의 중심 도체 (123) 가 서로 끼워 맞춤되어, 양중심 도체 (12, 123) 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의해, 동축 케이블 (5) 의 내부 도체 (6) 가 기판의 신호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커넥터 (1) 의 동축 단자 (11) 의 외측 도체 (16) 와 상대 커넥터 (121) 의 동축 단자 (122) 의 외측 도체 (124) 가 서로 끼워 맞춤되어, 양외측 도체 (16, 124) 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의해, 동축 케이블 (5) 의 외부 도체 (7) 가 기판의 그라운드 회로에 접속된다.
또한, 이와 같이 커넥터 (1) 가 상대 커넥터 (121) 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커넥터 (1) 의 1 쌍의 외부 접속부 (39) 에 상대 커넥터 (121) 의 1 쌍의 쉘 접속편 (132) 이 각각 접촉한다. 이에 의해, 커넥터 (1) 의 도전 부재 (31) 가 실드 쉘 (131) 을 통하여 기판의 그라운드 회로에 접속된다. 그리고, 커넥터 (1) 의 동축 단자 (11) 에 있어서 중심 도체 (12) 의 전체부가 실드 쉘 (131) 의 내측에 들어가, 커넥터 (1) 의 동축 단자 (11) 의 외측 도체 (16) 에 있어서 외측 끼워 맞춤부 (17) 의 전체 및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의 전체가 실드 쉘 (131) 의 내측에 들어간다. 커넥터 (1) 의 동축 단자 (11) 에 있어서 실드 쉘 (131) 의 내측에 들어간 부분은 실드 쉘 (131) 에 의해 실드된다. 이에 의해, 중심 도체 (12, 123) 등으로부터의 노이즈의 방사 또는 중심 도체 (12, 123) 등으로의 노이즈의 혼입이 억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커넥터 (1) 에 있어서는, 도전 부재 (31) 가 1 쌍의 접촉편 (37) 을 통하여 외측 도체 (16)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도전판부 (32) 에 형성된 볼록부 (33) 가, 개구부 (25) 로부터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내에 들어가, 내부 도체 배럴부 (14) 에 접근해 있다. 이에 의해, 내부 도체 배럴부 (14) 의 주변 부분의 임피던스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1) 의 특성 임피던스를 동축 케이블 (5) 의 특성 임피던스 또는 상대 커넥터 (121) 의 특성 임피던스 등과 용이하게 정합시킬 수 있다.
또한, 도전판부 (32) 에 볼록부 (33) 를 형성하고, 볼록부 (33) 의 돌출단측을 개구부 (25) 로부터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의 내부에 들어가게 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의해,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의 내측의 좁은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내부 도체 배럴부 (14) 에 도전 부재 (31) 의 볼록부 (33) 를 접근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커넥터 (1) 에 있어서는, 도전판부 (32) 의 볼록부 (33) 와 내부 도체 배럴부 (14) 사이에 유전체편 (34)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유전체편 (34) 에 의해, 내부 도체 배럴부 (14) 가 도전판부 (32) 의 볼록부 (33) 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전체편 (34) 에 의해, 내부 도체 배럴부 (14) 의 주변 부분의 임피던스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유전체편 (34) 은, 도전판부 (32) 의 볼록부 (33) 에 성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유전체편 (34) 과 도전 부재 (31) 를 일체 형성하여, 이들을 단일의 부품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 (1) 의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고, 또한 커넥터 (1) 의 조립 공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커넥터 (1) 에 있어서, 도전 부재 (31) 는,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의 1 쌍의 중간벽부 (24) 에 접촉하는 1 쌍의 접촉편 (37) 을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해, 도전 부재 (31) 와 외측 도체 (16) 의 전기적 접속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커넥터 (1) 에 있어서, 도전 부재 (31) 는, 좌판부 (35L) 에 형성된 접촉편 (37) 의 전측 및 후측의 위치에서 좌판부 (35L) 를 좌측의 중간벽부 (24) 와 하우징 (43) 의 좌벽 (48L) 사이에 지지하는 1 쌍의 좌측 지지부와, 우판부 (35R) 에 형성된 접촉편 (37) 보다 전측 및 후측의 위치에서 우판부 (35R) 를 우측의 중간벽부 (24) 와 하우징 (43) 의 우벽 (48R) 사이에 지지하는 1 쌍의 우측 지지부 (38R) 를 가지고 있다. 1 쌍의 좌측 지지부 (38L) 및 1 쌍의 우측 지지부 (38R) 에 의해, 도전 부재 (31) 및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가 하우징 (43) 의 좌벽 (48L) 과 우벽 (48R) 사이에 전후 좌우의 4 개 지점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전 부재 (31) 및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가 하우징 (43) 내에서 움직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커넥터 (1) 에 장착된 동축 케이블 (5) 이 커넥터 (1) 의 직후에서 좌방 또는 우방으로 크게 구부러지면, 외측 도체 (16) 의 후부를 좌방 또는 우방으로 굽히고자 하는 외력이 외측 도체 (16) 에 작용한다. 외측 도체 (16) 에 이와 같은 외력이 작용해도, 도전 부재 (31) 및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가 하우징 (43) 의 좌벽 (48L) 과 우벽 (48R) 사이에 전후 좌우의 4 개 지점에 의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도전 부재 (31) 및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가 하우징 (43) 의 좌벽 (48L) 과 우벽 (48R) 사이에서 움직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전 부재 (31) 및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가 하우징 (43) 의 좌벽 (48L) 과 우벽 (48R) 사이에서 움직이면, 도전 부재 (31) 의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에 대한 위치가 변화하여, 도전 부재 (31) 의 좌판부 (35L) 와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의 좌측의 중간벽부 (24) 의 거리, 또는 도전 부재 (31) 의 우판부 (35R) 와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의 우측의 중간벽부 (24) 의 거리가 변화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변화가 발생하면, 좌판부 (35L) 또는 우판부 (35R) 에 형성된 접촉편 (37) 이, 대향하는 중간벽부 (24) 로부터 멀어지거나, 또는 당해 중간벽부 (24) 에 가압될 우려가 있다. 이 결과, 접촉편 (37) 의 접촉 불량이나 접촉편 (37) 의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커넥터 (1) 에 있어서는, 1 쌍의 좌측 지지부 (38L) 및 1 쌍의 우측 지지부 (38R) 에 의해 도전 부재 (31) 및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의 움직임을 억제함으로써, 이와 같은 접촉편 (37) 의 접촉 불량이나 접촉편 (37) 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후의 좌측 지지부 (38L) 사이 및 전후의 우측 지지부 (38R) 사이에 접촉편 (37) 을 각각 배치함으로써, 도전 부재 (31) 및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의 움직임에 의해 각 접촉편 (37) 이 움직이는 양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접촉편 (37) 의 접촉 불량이나 접촉편 (37) 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커넥터 (1) 에 있어서는,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의 1 쌍의 중간벽부 (24) 에 각각 형성된 1 쌍의 걸림편 (26) 이, 도전 부재 (31) 의 도전판부 (32) 의 후부에 형성된 1 쌍의 절결 (41) 에 걸림되어 있다. 이에 의해,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에 대한 도전 부재 (31) 의 전후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커넥터 (1) 에 있어서는, 하우징 (43) 의 좌벽 (48L) 및 우벽 (48R) 의 각각에 접속공 (49) 이 형성되고, 도전 부재 (31) 에 형성된 1 쌍의 외부 접속부 (39) 가 접속공 (49) 을 통하여 하우징 (43) 의 외부에 면하고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 (1) 를 상대 커넥터 (121) 에 삽입했을 때에, 각 외부 접속부 (39) 와 상대 커넥터 (121) 의 실드 쉘 (131) 의 각 쉘 접속편 (132) 을 접촉시켜, 도전 부재 (31) 를 상대 커넥터 (121) 의 실드 쉘 (131) 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0 은, 동축 케이블 (5) 의 외부 도체 (7), 커넥터 (1) 의 외측 도체 (16), 도전 부재 (31), 상대 커넥터 (121) 의 외측 도체 (124), 실드 쉘 (131) 및 기판의 그라운드 회로로부터 형성되는 전기 회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외부 접속부 (39) 를 통하여 도전 부재 (31) 를 실드 쉘 (131) 에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커넥터 (1) 의 외측 도체 (16) 가 상대 커넥터 (121) 의 외측 도체 (124) 를 통하여 기판의 그라운드 회로에 접속되는 제 1 전기 경로 (a-b-c-d) 외에, 커넥터 (1) 의 외측 도체 (16) 가 도전 부재 (31) 의 각 접촉편 (37), 각 외부 접속부 (39) 및 실드 쉘 (131) 을 통하여 기판의 그라운드 회로에 접속되는 제 2 전기 경로 (a-b-c-e-f-g) 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제 2 전기 경로에 의해, 외측 도체 (16) 로부터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1) 에 있어서는, 도전 부재 (31) 에 형성된 접속 배럴부 (40) 가 외측 도체 (16) 의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와 외부 도체 배럴부 (21)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각 외부 접속부 (39) 를 통하여 도전 부재 (31) 를 실드 쉘 (131) 에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커넥터 (1) 의 외측 도체 (16) 가 접속 배럴부 (40), 각 외부 접속부 (39) 및 실드 쉘 (131) 을 통하여 기판의 그라운드 회로에 접속되는 제 3 전기 경로 (a-b-e-f-g) 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제 3 전기 경로에 의해서도, 외측 도체 (16) 로부터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제 3 전기 경로에 있어서의 외측 도체 (16) 로부터의 분기점 (b) 은, 제 2 전기 경로에 있어서의 외측 도체 (16) 로부터의 분기점 (c) 보다, 내부 도체 배럴부 (14) 로부터 떨어져 있다. 이에 의해, 제 3 전기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동축 케이블 (5) 로부터 외측 도체 (16) 를 통하여 전송되는 노이즈가 내부 도체 배럴부 (14) 로부터 중심 도체 (12) 에 혼입되기 전에 그 노이즈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져, 노이즈 제거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71) 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1 중의 커넥터 (71) 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71) 에 있어서, 도전 부재 (72) 는 내측 도전 부재 (73) 및 외측 도전 부재 (74) 를 구비하고 있다.
내측 도전 부재 (73) 는, 외측 도체 (16) 의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의 내측에 배치되고, 내측 도전 부재 (73) 의 일부가 내부 도체 배럴부 (14) 에 접근해 있다. 또한, 동축 케이블 (5) 의 절연 부재 (8) 및 외부 도체 (7) 는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의 후방으로부터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의 내측으로 약간 들어가고, 이들 절연 부재 (8) 및 외부 도체 (7) 의 단부는,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의 내측에 있어서 내부 도체 배럴부 (14) 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의 내측에 배치된 내측 도전 부재 (73) 는, 이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의 내측에 배치된 외부 도체 (7) 의 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외측 도전 부재 (74) 는,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의 외주측에 장착된다. 외부 도전 부재 (72) 의 좌판부 (75L) 및 우판부 (75R) 에는 1 쌍의 접촉부 (76) 가 형성되어 있다. 좌측의 접촉부 (76) 는 좌판부 (75L) 의 우면 (내면) 으로부터 우방 (내측) 으로 돌출되고, 우측의 접촉부 (76) 는 우판부 (75R) 의 좌면 (내면) 으로부터 좌방 (내측) 으로 돌출되어 있다. 외측 도전 부재 (74) 가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의 외주측에 장착되었을 때, 이들 접촉부 (75) 가 내부 도체 배럴부 (14) 의 좌우의 중간벽부 (24) 에 접촉한다. 또한, 외측 도전 부재 (74) 의 좌판부 (75L) 의 좌면 (외면) 및 우판부 (75R) 의 우면 (외면) 에는 외부 접속부 (77)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외부 접속부 (77) 는 상대 커넥터 (121) 의 쉘 접속편 (132) 에 접촉한다. 또한, 외측 도전 부재 (74) 의 후부에는 1 쌍의 접촉편 (78) 이 형성되어 있다. 외측 도전 부재 (74) 가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의 외주측에 장착되었을 때, 이들 접촉편 (78) 이, 외측 도체 (16) 에 있어서 외부 도체 배럴부 (21) 와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23) 사이의 부분에 접촉한다. 또한, 도 11 중의 79 는 리테이너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 (71) 에 의해서도,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12 내지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81) 를 나타내고 있다. 상세하게는, 도 12 는 커넥터 (81) 의 외관을 나타내고, 도 13 은 커넥터 (81) 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4 는 커넥터 (81) 의 동축 단자 (82) 를 그 축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2 내지 도 14 에 나타내는 커넥터 (81) 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 내지 도 14 에 나타내는 커넥터 (81) 는,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 (1) 에 대응하는 중계 커넥터이다. 도 12 및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87) 의 전부에는,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 (1) 의 커넥터 끼워 맞춤부 (44) 와 끼워 맞춤하는 커넥터 끼워 맞춤공 (88) 이 형성되고, 커넥터 끼워 맞춤공 (88) 의 전단부에는 삽입구 (89)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87) 에는 로크 기구 (90)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축 단자 (82) 에 있어서의 중심 도체 (83) 의 중심 접촉부 (84) 가 핀상의 수형 형상을 가지고 있고,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 (1) 의 암형의 중심 접촉부 (13) 내에 탄성 접촉 상태로 끼워 맞춤시킬 수 있다. 또한, 동축 단자 (82) 에 있어서의 외측 도체 (85) 의 외측 끼워 맞춤부 (86) 는,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 (1) 의 외측 끼워 맞춤부 (17)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있어,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 (1) 의 외측 끼워 맞춤부 (17) 내에 끼워 맞춤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커넥터 (81) 에 의해서도,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커넥터 (81) 의 도전 부재 (31) 에 의해, 커넥터 (81) 의 내부 도체 배럴부 (14) 의 주변 부분의 임피던스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유전체편 (34) 을 도전 부재 (31) 에 성형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유전체를 도전판부 (32) 의 볼록부 (33) 의 상면에 도포 또는 성막해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좌측의 접촉편 (37) 의 전측 및 후측에 1 쌍의 좌측 지지부 (38L) 를 형성하고, 우측의 접촉편 (37) 의 전측 및 후측에 1 쌍의 우측 지지부 (38R) 를 형성했지만, 좌측의 접촉편 (37) 의 전측 및 후측의 어느 일방에 1 개의 좌측 지지부 (38L) 를 형성하고, 우측의 접촉편 (37) 의 전측 및 후측의 어느 일방에 1 개의 우측 지지부 (38R) 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 (1) 의 중심 접촉부 (13) 와 상대 커넥터 (121) 의 중심 도체 (123) 가 서로 끼워 맞춤되는 구조를 예로 들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2 개의 커넥터의 중심 접촉부가 서로 맞닿음되거나, 또는 서로 압압하는 구조여도 된다. 또한, 커넥터 (1) 의 중심 도체 (12) 에 동축 케이블 (5) 의 내부 도체 (6) 를 압착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중심 도체와 내부 도체의 압접 또는 용접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는, 예를 들어 수백 Hz 내지 수 GHz 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전송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그 이외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전송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 및 명세서 전체로부터 판독할 수 있는 발명의 요지 또는 사상에 반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고, 그러한 변경을 수반하는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도 또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된다.
1, 71, 81 커넥터
11, 82 동축 단자
12, 83 중심 도체
13, 84 중심 접촉부
14 내부 도체 배럴부 (내부 도체 접속부)
16, 85 외측 도체
17, 86 외측 끼워 맞춤부
21 외부 도체 배럴부
22 피막 배럴부
23 내부 도체 배럴 배치부 (내부 도체 배치부)
24 중간벽부
25 개구부
26 걸림편
31, 72 도전 부재
32 도전판부
33 볼록부
34 유전체편
35L, 75L 좌판부
35R, 75R 우판부
37 접촉편 (접촉부)
38L 좌측 지지부
38R 우측 지지부
39, 77 외부 접속부
40 접속 배럴부
41 절결
43, 87 하우징

Claims (8)

  1. 중심 도체, 상기 중심 도체의 외주측에 형성된 외측 도체, 및 상기 중심 도체와 상기 외측 도체 사이에 형성된 절연 부재를 구비한 동축 단자와,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동축 단자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중심 도체는,
    당해 중심 도체에 있어서의 전단측에 배치되고, 상대 커넥터의 상대 중심 도체와 접촉하는 중심 접촉부와,
    상기 중심 도체에 있어서의 후단측에 배치되고,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를 접속하는 내부 도체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 도체는,
    당해 외측 도체에 있어서의 전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대 커넥터의 상대 외측 도체와 끼워 맞춤되는 외측 끼워 맞춤부와,
    상기 외측 도체에 있어서의 후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를 압착 접속하는 외부 도체 배럴부와,
    상기 외측 도체에 있어서의 상기 외측 끼워 맞춤부와 상기 외부 도체 배럴부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내부 도체 접속부가 배치되어 있는 내부 도체 배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도체 배치부에 있어서 상기 동축 단자의 직경 방향 일측 및 타측에는, 상기 내부 도체 배치부의 내부를 그 외부로 개방하는 1 쌍의 개구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로서,
    상기 외부 도체 또는 상기 외측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1 쌍의 개구부 중 일방의 개구부로부터 상기 내부 도체 배치부의 내부에 들어가, 상기 내부 도체 접속부에 접근하는 도전 부재와,
    상기 도전 부재와 상기 내부 도체 접속부 사이에 형성된 유전체편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편은 상기 도전 부재에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체 배치부는, 상기 내부 도체 접속부의 양측에 있어서 상기 외측 끼워 맞춤부와 상기 외부 도체 배럴부 사이를 접속하는 1 쌍의 중간벽부를 갖고,
    상기 도전 부재는 상기 1 쌍의 중간벽부의 각각의 외면에 접촉하는 1 쌍의 접촉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개구부는 상기 내부 도체 배치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1 쌍의 중간벽부는 상기 내부 도체 접속부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도전 부재는,
    상기 일방의 개구부를 하방으로부터 덮는 도전판부와,
    상기 도전판부의 좌부로부터 솟아오르고, 좌측의 상기 중간벽부와 상기 하우징의 좌측의 벽부 사이에 배치되고, 좌측의 상기 중간벽부의 외면에 접촉하는 상기 접촉부가 형성된 좌판부와,
    상기 좌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좌판부에 형성된 상기 접촉부보다 전측 또는 후측의 위치에서 상기 좌판부를 좌측의 상기 중간벽부와 상기 하우징의 좌측의 벽부 사이에 지지하는 좌측 지지부와,
    상기 도전판부의 우부로부터 솟아오르고, 우측의 상기 중간벽부와 상기 하우징의 우측의 벽부 사이에 배치되고, 우측의 상기 중간벽부의 외면에 접촉하는 상기 접촉부가 형성된 우판부와,
    상기 우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우판부에 형성된 상기 접촉부보다 전측 또는 후측의 위치에서 상기 우판부를 우측의 상기 중간벽부와 상기 하우징의 우측의 벽부 사이에 지지하는 우측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판부에는, 상기 일방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내부 도체 배치부의 내부로 돌출되는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의 돌출 단부가 상기 내부 도체 접속부에 접근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중간벽부는 당해 중간벽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걸림편을 갖고,
    상기 도전판부의 좌부 및 우부에는, 상기 1 쌍의 걸림편을 걸림하는 절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부재는, 상기 상대 커넥터에 형성된 실드 쉘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외부 접속부를 갖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외부 접속부를 상기 하우징 외에 면하게 하는 접속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부재는, 당해 도전 부재를 상기 외부 도체 또는 상기 외측 도체에 압착 접속하기 위한 접속 배럴부를 갖고,
    상기 접속 배럴부는, 상기 내부 도체 배치부와 상기 외부 도체 배럴부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KR1020180115735A 2017-10-20 2018-09-28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KR1025508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03595 2017-10-20
JP2017203595A JP6847016B2 (ja) 2017-10-20 2017-10-20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493A true KR20190044493A (ko) 2019-04-30
KR102550876B1 KR102550876B1 (ko) 2023-07-03

Family

ID=66229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5735A KR102550876B1 (ko) 2017-10-20 2018-09-28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847016B2 (ko)
KR (1) KR102550876B1 (ko)
CN (1) CN1096984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68750B2 (ja) * 2019-08-06 2022-05-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およびコネクタ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2778U (ja) * 1993-04-30 1994-11-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00208214A (ja) * 1999-01-11 2000-07-28 Harness Syst Tech Res Ltd シ―ルド電線のコネクタ構造
JP2003163058A (ja) 2001-09-11 2003-06-06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シールドコネクタ
KR20100135656A (ko) * 2009-06-17 2010-12-27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압착 단자 구조와 단자 압착 장치
JP2017174576A (ja) * 2016-03-23 2017-09-2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金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6461135U (zh) * 2016-11-07 2017-09-01 江苏华兴通讯科技有限公司 一种射频同轴电缆连接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2778U (ja) * 1993-04-30 1994-11-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00208214A (ja) * 1999-01-11 2000-07-28 Harness Syst Tech Res Ltd シ―ルド電線のコネクタ構造
JP2003163058A (ja) 2001-09-11 2003-06-06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シールドコネクタ
KR20100135656A (ko) * 2009-06-17 2010-12-27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압착 단자 구조와 단자 압착 장치
JP2011003363A (ja) 2009-06-17 2011-01-06 Hirose Electric Co Ltd 圧着端子構造と端子圧着装置
JP2017174576A (ja) * 2016-03-23 2017-09-2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金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079621A (ja) 2019-05-23
JP6847016B2 (ja) 2021-03-24
CN109698441B (zh) 2021-09-07
KR102550876B1 (ko) 2023-07-03
CN109698441A (zh) 201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3600B2 (en) Connector structure
CN109962358B (zh) 连接器
JP5563241B2 (ja) 電気コネクタ
WO2018070202A1 (ja) コネクタ構造
JP5523154B2 (ja) 同軸コネクタ及び基板用コネクタ
EP1003250A1 (en) A shield connector, a set of shielded connectors and method for connecting a shielded connector with a shielded cable
JP6708025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KR101592724B1 (ko) 동축형 전기 커넥터
WO2018070201A1 (ja) コネクタ構造
US20180076579A1 (en) Coaxial connector with electromagnetic shield
JP4514356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13229254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7232341B2 (en) Connector in which a shell can be readily assembled to a connector housing
JP2003092171A (ja) 伝送装置
JP2010157368A (ja) 電気コネクタ
CN113826283A (zh) 连接装置及连接器
KR101743390B1 (ko) 동축형 전기 커넥터
JP2006286223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6044609B2 (ja) コネクタの接続構造
JP5140837B2 (ja) 電気コネクタ
KR20190044493A (ko)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JP2010157367A (ja) 電気コネクタ
KR20040098568A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JP2018113224A (ja) 同軸コネクタ
JP6485582B1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