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4835B1 - 암형 콘택트 및 그것을 사용한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암형 콘택트 및 그것을 사용한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4835B1
KR100524835B1 KR10-2000-0082622A KR20000082622A KR100524835B1 KR 100524835 B1 KR100524835 B1 KR 100524835B1 KR 20000082622 A KR20000082622 A KR 20000082622A KR 100524835 B1 KR100524835 B1 KR 100524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ance
female
hous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2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2742A (ko
Inventor
미트수루 수주키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010062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4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48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tamped-out resilient tongue snapping behind shoulder in base or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형 콘택트 및 그것을 사용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암형 콘택트의 길이 방향 칫수를 작게 하고, 그것을 사용한 전기 커넥터의 사이즈를 작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암형 콘택트(2)의 암형 접촉부(6)에 스프링 접촉편(32)과, 이 스프링 접촉편(32)에 마주보도록 엠보싱부(36)가 형성된다. 상대측 수형 콘택트(40)는 이들 스프링 접촉편(32)과 엠보싱부(36) 사이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엠보싱부(36)로부터는 콘택트(2)의 본체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어나오도록, 엠보싱부(36)와 일체로 콘택트 랜스(50)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암형 콘택트 및 그것을 사용한 전기 커넥터{female contact and electrical connector using smae}
본 발명은 암형 콘택트 및 그것을 이용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 암형 콘택트가 장착되는 하우징과 결합하는 랜스를 갖는 암형 콘택트 및 그것을 이용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콘택트 하우징의 캐비티내에 장착되는 암형 콘택트는, 캐비티의 내벽과 결합(걸어맞춤)하는 랜스를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 일예로서, 실용신안등록 공보 제2542184호, 특허 공개공보 평11-16629호 등을 들 수 있다. 실용신안등록 공보 제 2542184호에 개시된 커넥터를 일예로서 도 6에 나타낸다. 이 커넥터(200)는 캐비티(204)를 갖는 하우징(202)과, 캐비티(204)내에 배치되는 소켓 콘택트 즉 암형 콘택트(210)를 갖는다. 소켓 콘택트(210)는 전단부에, 상대편 핀 콘택트(도시하지 않음)를 수용하여 이 핀 콘택트와 전기적 접촉을 하는 접촉부(206)를 가지며, 후단부에 케이블(208)에 접속되는 전선 접속부(212)를 갖는다. 접촉부(206)와 전선 접속부(212) 사이에는 접촉부(206)와 소켓 콘택트(210)의 축선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콘택트 랜스(214)가 형성되며, 이 콘택트 랜스(214)가 하우징(202)의 요홈(216)과 결합하여, 하우징내에 소켓 콘택트(210)가 계지(係止)된다.
후자의 특허 공개공보 평11-16629호에 개시된 중계 커넥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콘택트 접촉부와 랜스가 콘택트의 축선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실용신안등록 공보 제2542184호에 개시된 커넥터(200)는 접촉부(206)와 콘택트 랜스(214)의 위치가 축선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소켓 콘택트(210)의 칫수가 길어지며, 필연적으로 이 소켓 콘택트(210)를 수용하는 커넥터(200)의 하우징(202)이 대형화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후자의 특허 공개공보 평11-16629호에 개시된 중계 커넥터에 대해서도 동일한 것을 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의 암형 콘택트 및 그것을 사용한 소형의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암형 콘택트는 상대측의 수형 콘택트를 수용하여 상기 수형 콘택트와 전기적 접촉을 하는 암형 접촉부와, 콘택트 랜스를 콘택트 본체에 구비한 암형 콘택트에 있어서, 상기 암형 접촉부가 상기 콘택트 본체에 형성된 스프링 접촉편과, 상기 수형 콘택트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스프링 접촉편과의 사이에 상기 스프링 접촉편과 마주보게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스프링 접촉편을 향해 형성된 엠보싱부를 구비하며, 상기 콘택트 랜스가 상기 엠보싱부로부터 상기 콘택트 본체의 바깥쪽으로 뻗어나와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암형 콘택트를 사용한 전기 커넥터는 콘택트 랜스를 가지며 상대측 수형 콘택트를 수용하는 암형 콘택트와, 이 암형 콘택트를 수용하는 캐비티를 갖는 절연성의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콘택트 랜스는 상기 캐비티에 계지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암형 콘택트가, 상기 수형 콘택트와 전기적 접촉을 하는 암형 접촉부를 콘택트 본체에 가지며, 상기 암형 접촉부가 상기 콘택트 본체에 형성된 스프링 접촉편과, 이 스프링 접촉편과 마주보게 상기 콘택트 본체로부터 상기 스프링 접촉편을 향해 형성된 엠보싱부를 구비하고, 상기 콘택트 랜스가 상기 엠보싱부로부터 상기 콘택트 본체의 바깥쪽으로 뻗어나와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콘택트 랜스의 선단과 이 선단을 블랭킹한, 콘택트 본체의 대응하는 끝 가장자리 중 적어도 한쪽에 압인(스웨이지(swaging) 또는 코이닝(coining)) 가공을 실시하여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압인 가공이 마주보도록 양쪽에 실시된다.
콘택트 랜스의 선단부에, 접촉편을 형성하고, 이 접촉편에는 콘택트 랜스의 선단보다 더 길게 뻗어, 콘택트 랜스가 하우징과 결합했을 때, 하우징의 벽에 접촉하여, 콘택트 랜스의 과도한 벌어짐을 저지하는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암형 콘택트 및 그것을 사용한 전기 커넥터(이하, 단순히 커넥터라 한다)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암형 콘택트(이하, 단순히 콘택트라 한다)를 나타내며,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정면도, (D)는 (A)의 암형 콘택트의 A-A 단면도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콘택트(2)를 전개하여 캐리어(46)와 함께 나타낸 전개도이다. 이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콘택트(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개의 금속판을 블랭킹, 절곡하여 형성된다. 콘택트 본체(이하, 단순히 본체라 한다)(4)는 거의 상자형(박스형)으로 되어 있으며, 전부에는 암형 접촉부(이하, 단순히 접촉부라 한다)(6), 후부에는 도체 압착부(8) 및 최후부에는 절연체 압착부(10)를 갖는다. 본체(4)는 접촉부(6) 쪽을 향해 평행하게 뻗는 한 세트의 측벽(12a),(12b)(이들을 측벽(12)라 칭한다)을 갖는다. 측벽(12)의 전단부에는 일측 측벽(12a)의 상부 가장자리(14)로부터 타측 측벽(12b)의 상부 가장자리(14)로 뻗는 가교부(16; 상벽)가 형성되며, 이 가교부(16)에 의해 측벽(12a),(12b)은 가교된다. 가교부(16)와 측벽(12b)은 초음파, 레이저 등에 의해 융착하여 결합할 수 있다. 가교부(16)의 선단(16a), 즉 콘택트의 상측 선단에는 직사각형의 절개부(18)가 형성되며, 후술하는 스프링 접촉편(32)의 선단(32b)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선단(16a)에 대응하는 하측 선단, 즉 저벽(34)의 선단을 도면부호 17로 나타낸다.
본체(4)의 후부에서는 측벽(12b)의 상부 가장자리(14)로부터 연결편(20; 상벽)이 뻗어나와 타측 측벽(12a)의 상부 가장자리(14)에 가교된다. 연결편(20)의 끝 가장자리(20a)에는 안 깊숙하게 직경이 큰 만곡부(22)를 갖는 절개부(2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측벽(12a)의 상부 가장자리(14)의 절개부(24)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절개부(24)와 상보형의 설편(舌片; tongue piece)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설편(26)이 절개부(24)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측벽(12a),(12b)이 연결된다. 연결편(20)과 설편(26)은 직경이 큰 만곡부(22)에 의해, 횡방향으로 떼어놓으려고 하는 힘에 대항하여 견고하게 연결된다.
삭제
본체(4)의 후방에 일체로 형성된 도체 압착부(8)는 양측에 세워 설치된 도체 배럴(8a),(8a)을 가지며, 장착된 전선(30)(도 5 참조)의 도체(도시하지 않음)를 압착 고정한다. 도체 압착부(8)의 더 후방에, 도체 압착부(8)에 연속하여 형성된 절연체 압착부(10)는 콘택트(2)의 축선 방향으로 오정렬된 절연체 배럴(10a),(10a)를 갖는다. 이 절연체 배럴(10a)는 장착된 전선(30)의 외피, 즉 절연체를 압착 고정한다.
연결편(20)의 측 가장자리(20b)로부터는 도 1(A),(D)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콘택트(2)의 길이 방향 축선을 따라, 또한 접촉부(6)의 내측을 향해 스프링 접촉편(32)이 뻗어나와 있다. 이 스프링 접촉편(32)은 양측벽(12a), (12b)의 중간에 위치하며, 전단부(32a)가 위를 향해 경사져서, 선단(32b)이 가교부(16)의 절개부(18)에 위치한다. 한편, 스프링 접촉편(32)과 마주보게 접촉부(6)의 저벽(34)에는 형(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밀려난 엠보싱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엠보싱부(36)에 연속하여 콘택트 랜스(이하, 단순히 랜스라 한다)(5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랜스(50)의 블랭킹시, 랜스(50)의 양측에는 저벽(34)으로부터 측벽(12)에 걸쳐 콘택트(2)의 길이방향으로 뻗는 슬롯(11),(13)이 형성된다(도 2). 이로 인해 랜스(50)는 측벽(12), 혹은 저벽(34)과 간섭하지 않고 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접촉부(6)의 저벽(34)에는 이 랜스(50)의 블랭킹에 의해, 슬롯(11),(13)을 포함하는 개구(42)가 형성되며, 랜스(50)는 이 개구(42)로부터 본체(4)의 외측 후방을 향해 비스듬하게 뻗어나와 있다. 이로 인해 엠보싱부(36)와 랜스(50)와의, 콘택트(2)의 축선방향에 따른 거리가 짧아져서, 접촉부(6)를 짧게 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커넥터(2)를 소형화할 수 있다. 상대측 수형 콘택트(40)(도 5)는 이들 스프링 접촉편(32)과 엠보싱부(36) 사이에 진입하여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다. 본체(4)의 바닥부에는 보강용의 비드(15)가 콘택트(2)의 축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랜스(50)의 선단(50a)은 도 1(B),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인 가공, 즉 스웨이지 가공 또는 코이닝 가공이 이루어지며, 랜스(50)의 전체 길이는 블랭킹시보다도 약간 길게 되어 있다. 한편, 선단(50a)에 대응하는 개구(42)의 끝 가장자리(42a) 외측, 즉 본체(4)의 바깥면에도, 선단(50a)과 같은 방향으로 동일한 압인 가공이 이루어져, 개구(42)내로 약간 뻗어나와 있다. 이로 인해, 랜스(50)가 외력에 의해, 개구(42)내로 밀어넣어지도록 할 때, 랜스(50)의 선단(50a)이 끝 가장자리(42a)에 접촉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랜스(50)가 개구(42)를 통과하여 내측으로 밀어넣어지는 것이 저지된다. 따라서, 콘택트(2)가 불량품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압입 가공은 선단(50a)과 끝 가장자리(42a) 중 어느 한 곳에 실시하여도 좋지만, 양쪽에 실시한 편이 훨씬 효과적이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압인 방향을 랜스(50)와 본체(4)의 양쪽에,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형성한 경우에는 랜스(50)는 본체(4)에 훨씬 밀접하게 휠 수 있다. 즉, 랜스(50)의 선단(50a)이, 본체(4)의 끝 가장자리(42a)에 닿았을 때, 랜스(50)의 선단(50a)이 본체(4)로부터 돌출되는 칫수를 최소로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콘택트(2)를 후술하는 하우징(100)의 캐비티(130)(도 3)에 장착할 때, 랜스(50)의 선단(50a)이 캐비티(130)의 내벽과 간섭하여 내벽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캐비티(130)의 내측 칫수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후술하는 하우징(100)(도 3)을 소형화할 수 있다.
랜스(50)의 선단부 일측 가장자리에는 접촉편(44)이 거의 직각으로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이 접촉편(44)은 랜스(50)의 선단부로부터 비스듬한 상방으로 뻗어 나와 랜스(50)의 선단(50a)보다 길게 뻗은, 아래쪽을 향하는 끝 가장자리(44b)를 구비한 돌출부(44a)를 갖는다. 이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할 것이다. 절곡된 접촉편(44)은 끝 가장자리(42a) 부근에, 콘택트(2)의 형(型) 뽑기시에, 선단(50a) 및 접촉편(44) 부근에 형성된 개구(47)(도 2에 나타냄)를 통과하여, 도 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택트(20) 본체(4)의 바깥쪽으로 약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랜스(50)가 바깥쪽으로 용이하게 휠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도면 중 45는 접촉편(44)을 블랭킹한 후에 본체(4)로부터 측벽(12b)에 걸쳐 형성된, 개구(47)와 연속하는 홀을 나타낸다. 연결편(20)의 후부 측 가장자리(20c)에는 위쪽을 향해 뻗어 콘택트(2)의 축선과 직교하는 앞쪽을 향하는 면(46a)을 스톱퍼(46)가 돌출 형성된다. 이 기능에 대해서도 후술할 것이다.
이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커넥터(1)에 사용되는 하우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A)는 하우징(100)의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배면도를 각 각 나타낸다. 도 4(A)는 측면도,(B)는 도 3(B)의 하우징(100)을 B-B선을 따라 단면한 B-B 단면도, (C)는 도 3(B)의 하우징(100)을 C-C선을 따라 단면한 C-C 단면도를 각 각 나타낸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3극의 하우징(100)은 절연성 수지로부터 일체로 성형되며, 거의 직육면체 형상을 띤다. 하우징(100) 본체(120)의 후부 양측에는 플랜지(102)가 형성되며, 하우징(100)의 측면(104)에서부터 단부(106)를 거쳐 약간 폭이 좁게 형성된 전부는 감합부(110)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측면(104)에는 단부(段部)(106)로부터 앞쪽을 향해 측면(104)과 면일치하는 가늘고 긴 가이드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부(112)는 하우징(100)의 상면(108)근처 부분으로부터 뻗어, 후술하는 상대측 커넥터(170)(도 5)와 끼워맞출 때, 커넥터(170)의 오목부(도시하지 않음)와 협동하여 원활하게 끼워맞추기 위한 안내를 한다.
감합부(끼워맞춤부)(110)에는 도 3(B)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감합부(110)의 하면(下面)(114)에 감합면(116)으로부터, 본체(120)에 이르는 커넥터의 삽탈 방향(끼웠다 뺐다하는 방향)으로 뻗는 요홈(118)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0)에는 이 감합면(116)으로부터 하우징(100)의 후단(122)에 이르는 3개의 캐비티(130)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콘택트(2)는 이들 캐비티(130)에 삽입 및 고정되는데, 그 형태에 대해서는 더 상세하게 후술할 것이다.
캐비티(130)를 하우징(100)의 전면에서 보면, 도 3(B)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캐비티(130) 전단의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124)에는 주위에 테이퍼(124a)
,(124b),(124c),(124d)가 형성되며, 후술하는 상대측 수형 콘택트(40)를 감합시에 안내(가이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콘택트(2)는 캐비티(130)의 개구(133)로부터 하우징(100)에 삽입 관통된다. 캐비티(130)의 중간 주위에는 도 3(C)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테이퍼(132a),(132b),(132c),(132d)가 형성되어 있으며, 콘택트(2)를 하우징(100)의 캐비티(130)내에 장착할 때의 가이드로서 작용한다. 도 4(B)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퍼(132d)의 중간 위치로부터 캐비티(130)의 안쪽으로, 삽탈 방향을 따라 뻗는 홈(134)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134)에는 상술한 콘택트(2)의 스톱퍼(46)가 진입하게 되는데, 그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도 4(B)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캐비티(130)는 본체(120)측, 즉 후방을 향해, 내측 칫수가 테이퍼(132c)를 지나 커지고 있는데, 이것은 콘택트(2)의 절연체 압착부(10)를 수용하기 위함이다. 감합부(110)의 하면(114) 거의 중간에는 계지 구멍(138)이 형성되어 있다. 계지 구멍(138)에는 상술한 랜스(50)가 배치되는데, 나중에 더 상세히 후술한다. 또한, 도면중 109로 나타낸 부분은 상대측 커넥터(170)와 끼워맞출 때, 서로 요철(디텐트) 결합하여 커넥터 끼리가 계지되는 돌기이다.
이어, 도 5에 커넥터(1)가 상대측의 헤더 커넥트 즉 암형 커넥터(170)와 끼워맞췄을 때의 상태에 대한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더 커넥터(170)는 감합 오목부(172)를 가지며, 이 감합 오목부(172)의 저벽(174)에는 수형 콘택트(40)가 콘택트(2)와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1)의 조립시에, 콘택트(2)를 하우징(100)의 캐비티(130)에 삽입하면, 엠보싱부(36)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랜스(50)는 하우징(100)의 상기 계지 구멍(138)내에 위치한다. 이로 인해, 콘택트(2)를 하우징(100)으로부터 뽑아 낼려고 하여도, 랜스(50)가 계지 구멍(138)의 내벽(142)과 걸어맞춰져 뽑아 낼수가 없다. 랜스(50)가 하우징(100)에 장착된 후, 콘택트(2)가 하우징(100)으로부터 빠져나오게끔 잡아당겨진 경우, 랜스(50)가 계지 구멍(138)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려고 할 때, 상기 랜스(50)의 돌출부(44a)가 하우징(100)의 계지 구멍(138) 부근에 접촉하여, 그 이상, 랜스(50)가 바깥쪽으로 변위되는 것이 저지된다. 따라서, 랜스(50)는 콘택트(2)가 빠지려고 하는 힘에 대해 커다란 항력을 갖는다.
또한, 콘택트(2)의 스톱퍼(46)는 도시한 바와 같이 홈(134)의 끝벽(134a)에 접촉한다. 이로 인해, 콘택트(2)가 필요 이상으로 캐비티(130)내로 밀어넣어져 콘택트(2)의 선단(16a),(17) 및 하우징(100)의 선단(146)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톱퍼(46)는 본체(4)의 상벽(16),(2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므로, 하우징(100)의 캐비티(130)내로 콘택트(2)가 상하 역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콘택트(2)의 하측 선단(17)은 횡방향 즉 도 5에서 지면(紙面)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속된 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비해, 상측의 선단(16a)은 도 1(A)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부가 절개된 양측만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측 선단(16a)은 강도적으로 약하므로, 커넥터 끼리 끼워맞출 때, 상기 스톱퍼(46)가 콘택트(2)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음으로 인해, 상측 선단(16a)과 하우징(100)의 선단(146)이 직접 과도하게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헤더 커넥터(170)의 감합 오목부(172)에, 콘택트(2)와 하우징(100)을 조립한 커넥터(1)를 끼워맞추면, 커넥터(1)의 감합부(110)는 감합 오목부(172)내에 삽입된다. 이 때, 스프링 접촉편(32)은 수형 콘택트(40)와 접촉하여, 실선으로 표시한 통상의 위치로부터 일점 쇄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탄성적으로 변위된다. 이 때, 스프링 접촉편(32)의 선단(32b)은 절개부(18)내에 위치하므로, 스프링 접촉편(32)의 거동이 제약을 받는 일은 없다. 엠보싱부(36)는 그 도중에서 랜스(50)가 뻗어나와 있으므로, 약간의 탄성을 갖는다. 이 때문에, 수형 콘택트(40)와 결합하면, 약간 바깥쪽으로 변위하여 랜스(50)가 약간 외측으로 이동한다. 이 랜스(50)의 이동은 하우징(100)과의 결합(걸어맞춤)을 훨씬 강하게 하는 것이 되므로, 콘택트(2)의 하우징(100)내에서의 고정은 더욱 견고한 것이 된다. 랜스(50) 부분은 헤더 커넥터(170)의 벽(176)에 의해 덮이므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인접하는 다른 콘택트(2) 또는 외부에 이르는 연장면 거리가 길어진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실시 형태는 어디까지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일은 없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고 커넥터의 형상에 따라 스프링 접촉편, 및 엠보싱부의 형상을 바꿀 수 있는 것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콘택트는 한 개의 금속판 뿐만아니라, 추가로 다른 부품을 사용하여 스프링 접촉편 등을 구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암형 콘택트는 암형 접촉부가 콘택트 본체에 형성된 스프링 접촉편과, 이 스프링 접촉편에 마주보게 콘택트 본체로부터 스프링 접촉편을 향해 형성된 엠보싱부를 구비하며, 스프링 접촉편과 엠보싱부 사이에 상대측 수형 콘택트를 수용하고, 콘택트 랜스가 엠보싱부로부터 콘택트 본체의 바깥쪽으로 뻗어나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접촉부와 콘택트 랜스 간의 축선 방향 칫수가 작아져서 암형 콘택트의 길이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암형 콘택트를 사용한 전기 커넥터는 암형 콘택트의 암형 접촉부가 콘택트 본체에 형성된 스프링 접촉편과, 이 스프링 접촉편과 마주보게 콘택트 본체로부터 스프링 접촉편을 향해 형성된 엠보싱부를 구비하고, 하우징에 계지되는 콘택트 랜스가 엠보싱부로부터 뻗어나오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길이 방향의 칫수가 작은 암형 콘택트를 수용하는 콘택트의 칫수도 작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암형 콘택트를 나타내며,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정면도, (D)는 (A)의 암형 콘택트의 A-A 단면에 따른 부분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암형 콘택트를 전개하여 캐리어와 함께 나타낸 전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에 사용되는 하우징을 나타내며, (A)는 하우징의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에 사용되는 하우징을 나타내며, (A)는 측면도, (B)는 도 3(B)의 하우징을 B-B선을 따라 단면한 B-B 단면도, (C)는 도 3(B)의 하우징을 C-C선에 따라 단면한 C-C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가, 상대측 헤더 커넥터와 감합했을 때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전기 커넥턱의 일예를 나타낸 기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전기 커넥터 2 : 암형(female) 콘택트
4 : 콘택트 본체 6 : 암형 접촉부
32 : 스프링 접촉편 36 : 엠보싱부
40 : 수형(male) 콘택트 50 : 콘택트 랜스
100 : 하우징 130 : 캐비티

Claims (2)

  1. 엠보싱부의 맞은 편에 배치되어 수형 콘택트가 상기 엠보싱부와의 사이에서 수용가능하도록 하는 스프링 접촉편, 상기 엠보싱부로부터 상기 스프링 접촉편의 맞은편 방향으로 외향연장하는 콘택트 랜스 및 상기 콘택트 랜스에 인접하며 그 자체에 형성된 개구를 가지는 콘택트 본체로 이루어진 암형 콘택트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끝 가장자리는 상기 개구 크기를 감소시키도록 압인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콘택트.
  2. 상대측 수형 콘택트를 수용하기 위한 콘택트 랜스를 갖는 암형 콘택트와, 상기 암형 콘택트를 그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캐비티를 가지는 절연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암형 콘택트는 엠보싱부의 맞은 편에 배치되어 수형 콘택트가 상기 엠보싱부와의 사이에서 수용가능하도록 하는 스프링 접촉편, 상기 엠보싱부로부터 상기 스프링 접촉편의 맞은편 방향으로 외향연장하는 콘택트 랜스 및 상기 콘택트 랜스에 인접하며 그 자체에 형성된 개구를 가지는 콘택트 본체로 이루어지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끝 가장자리는 상기 개구 크기를 감소시키도록 압인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00-0082622A 1999-12-28 2000-12-27 암형 콘택트 및 그것을 사용한 전기 커넥터 KR1005248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7488899A JP3361308B2 (ja) 1999-12-28 1999-12-28 雌型コンタクト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
JP11-374888 1999-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742A KR20010062742A (ko) 2001-07-07
KR100524835B1 true KR100524835B1 (ko) 2005-10-28

Family

ID=18504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2622A KR100524835B1 (ko) 1999-12-28 2000-12-27 암형 콘택트 및 그것을 사용한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325680B1 (ko)
EP (1) EP1113532B1 (ko)
JP (1) JP3361308B2 (ko)
KR (1) KR100524835B1 (ko)
CN (1) CN1316684C (ko)
DE (1) DE60012126T2 (ko)
TW (1) TW4740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TO20010247A1 (it) * 2001-03-16 2002-09-16 Tyco Electronics Amp Italia Sp Connettore eletttrico, in particolare per veicoli.
JP4278129B2 (ja) * 2002-06-20 2009-06-1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ソケットコネクタ
JP2004362973A (ja) * 2003-06-05 2004-12-24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US6945830B2 (en) * 2003-10-20 2005-09-2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system having opposing biasing beam and lance
JP4066978B2 (ja) * 2004-05-24 2008-03-26 住友電装株式会社 ファストン端子
JP4456494B2 (ja) * 2005-02-02 2010-04-28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US7249983B2 (en) * 2005-05-19 2007-07-31 Deutsch Engineered Connecting Devices Sleeveless stamped and formed socket contact
JP4743109B2 (ja) * 2006-12-18 2011-08-10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JP2010067432A (ja) * 2008-09-10 2010-03-25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4674874B2 (ja) * 2008-10-27 2011-04-2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01972916B (zh) * 2010-09-29 2012-09-05 江苏华坤电气有限公司 一种还原炉电极接头的加工方法
WO2012069499A1 (en) * 2010-11-23 2012-05-31 Fci Automotive Holding Electrical terminal
CN102790308B (zh) * 2011-05-20 2015-08-12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电连接器端子
JP5739743B2 (ja) * 2011-06-17 2015-06-24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金具
JP5682519B2 (ja) * 2011-09-14 2015-03-11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DE102011089315A1 (de) * 2011-12-20 2013-06-20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s Kontaktelement mit Rastlanze für ein Steckergehäuse
CN102588840A (zh) * 2012-02-16 2012-07-1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模组及液晶显示装置
JP2013243011A (ja) * 2012-05-18 2013-12-05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DE102014002669B4 (de) * 2014-02-28 2019-02-21 Erni Production Gmbh & Co. Kg Steckverbinder
CN203942061U (zh) * 2014-06-30 2014-11-12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端子和电连接器
DE102014213965A1 (de) * 2014-07-17 2016-01-21 Robert Bosch Gmbh Steckverbinderelement mit Rastlanze und Hakenelement sowie Steckergehäuse
CN108054545B (zh) * 2017-11-08 2019-09-20 武汉航空仪表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电热除冰组件的即插式电气接口
FR3101732B1 (fr) * 2019-10-04 2022-06-10 Aptiv Tech Ltd Contact électriqu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2017A (en) * 1983-04-01 1984-09-18 Essex Group, Inc. Tab receptacle terminal
JPH03147282A (ja) * 1989-10-31 1991-06-24 Amp Japan Ltd コンタクト
JPH0481470U (ko) * 1990-11-28 1992-07-15
JPH0652921A (ja) * 1992-06-09 1994-02-25 Molex Inc ロック自在の電気コネクタ組立体
KR100198410B1 (ko) * 1994-10-17 1999-06-15 루이스 에이. 헥트 단자 로킹 장치를 갖는 전기 커넥터
JP2002525928A (ja) * 1998-09-17 2002-08-13 ジェネラル・インスツルメント・コーポレイション デジタル・ビデオに対して単純形状コード化を行うための修正彩度キー技術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6987A (en) * 1972-06-09 1974-03-12 Amp Inc Electrical receptacle and connector
US3836947A (en) * 1973-02-23 1974-09-17 Amp Inc Electrical contact receptacle with helper spring
JPH01116629A (ja) 1987-10-30 1989-05-09 Ricoh Co Ltd 変倍光学系
EP0727843B1 (en) * 1995-02-17 2002-04-03 The Whitaker Corporation Asymmetric electrical receptacle terminal
JP3221557B2 (ja) * 1996-11-12 2001-10-2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電気コンタクト
DE19734524C2 (de) * 1997-08-08 1999-07-29 Framatome Connectors Int Zylinderförmiger Buchsenkontak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2017A (en) * 1983-04-01 1984-09-18 Essex Group, Inc. Tab receptacle terminal
JPH03147282A (ja) * 1989-10-31 1991-06-24 Amp Japan Ltd コンタクト
JPH0481470U (ko) * 1990-11-28 1992-07-15
JPH0652921A (ja) * 1992-06-09 1994-02-25 Molex Inc ロック自在の電気コネクタ組立体
KR100198410B1 (ko) * 1994-10-17 1999-06-15 루이스 에이. 헥트 단자 로킹 장치를 갖는 전기 커넥터
JP2002525928A (ja) * 1998-09-17 2002-08-13 ジェネラル・インスツルメント・コーポレイション デジタル・ビデオに対して単純形状コード化を行うための修正彩度キー技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74045B (en) 2002-01-21
CN1302099A (zh) 2001-07-04
US6325680B1 (en) 2001-12-04
EP1113532A2 (en) 2001-07-04
CN1316684C (zh) 2007-05-16
KR20010062742A (ko) 2001-07-07
DE60012126D1 (de) 2004-08-19
EP1113532A3 (en) 2001-12-19
JP2001185273A (ja) 2001-07-06
JP3361308B2 (ja) 2003-01-07
EP1113532B1 (en) 2004-07-14
DE60012126T2 (de) 2005-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4835B1 (ko) 암형 콘택트 및 그것을 사용한 전기 커넥터
JP3311997B2 (ja) コネクタ
EP1313176B1 (en) Electric connector and socket connector
JPH0722064Y2 (ja) コネクタ
US7645165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shielding shell
KR100264848B1 (ko) 소켓형 콘택트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커넥터
US7942708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for electrical connector
US6439935B2 (en) Female terminal fitting
EP1271701B1 (en) Female terminal fitting
EP0877390A2 (en) Female electrical terminal
JP3826799B2 (ja) コネクタ
KR100248968B1 (ko) 암형 전기 단자
JP3745734B2 (ja) コネクタ
US6231396B1 (en) Jack connector
JPH0613119A (ja) ソケット型電気端子
KR20050044303A (ko) 암형 단자 피팅
US6918799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tact with pre-pressing structure
US20010023150A1 (en) Connector
KR101111595B1 (ko)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1175170B1 (ko) 소켓 콘택트
JP3246894B2 (ja) コネクタ
JP2018014300A (ja) コネクタ
JP3204887B2 (ja) 電気接続用コネクタの雌端子
CN111509448B (zh) 接头连接器
JP2023175512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