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4303A - 암형 단자 피팅 - Google Patents

암형 단자 피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4303A
KR20050044303A KR1020040090104A KR20040090104A KR20050044303A KR 20050044303 A KR20050044303 A KR 20050044303A KR 1020040090104 A KR1020040090104 A KR 1020040090104A KR 20040090104 A KR20040090104 A KR 20040090104A KR 20050044303 A KR20050044303 A KR 20050044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emale terminal
terminal fitting
main body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0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에다다이사쿠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44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430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의 개구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체(11)는 전기 전도성 금속판을 폭 방향으로 구부림으로써 전후방을 따라 뻗는 박스형으로 형성되고, 결합 수형 탭(30)과 접촉하면 저벽(11C)을 향해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접속 부재(17)가 저벽(11C)에 제공된다. 저벽(11C)으로부터 연속하는 보호벽(22)이 탄성 접속 부재(17) 앞에 제공되고, 수형 탭(30)의 진입을 허용하는 간극을 남겨둔다. 보호벽(22)의 직립 방향을 따른 보호벽(22)의 대향하는 엣지에는 캐치부(23)가 제공되고, 이 캐치부는 보호벽(22)의 사이드 엣지와 면하는 본체(11)의 전방 단부에 있는 사이드 엣지에 마련된 걸림부(24)와 체결한다.

Description

암형 단자 피팅{FEMALE TERMINAL FITTING}
본 발명은 탄성 접속 부재가 제공되는 암형 단자 피팅에 관한 것이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유형의 암형 단자 피팅에는, 예컨대 폭 방향으로 특정 형상을 지니도록 스탬핑한 금속 판재를 구부림으로써, 전후방으로 뻗는 거의 직사각형의 관으로 형성된 본체(1)가 마련된다(예컨대, 일본 특허 제2000-133355호 공보 참조). 결합 수형 탭(3)과 전기 접속하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접속 부재(4)가 본체(1)의 저벽(2)에 제공된다. 탄성 접속 부재(4)는 저벽(2)의 후방 단부에 형성된 기부(5)로부터 전방으로 경사져서 뻗고, 탄성 접속 부재의 중간부는 저벽(2)을 향해 선회되어 절첩부(4A)를 형성하며, 이 절첩부(4A)로부터 재선회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뻗는 레그부(4B)가 저벽(2)과 접촉한 상태로 유지된다. 수형 탭(3)과 접촉할 수 있는 돌기부(4E)가 절첩부(4A) 근방에 제공된다. 또한, 저벽(2)의 전방 단부로부터 연속하는 보호벽(6)이 본체(1)의 전면에 있는 탄성 접속 부재(4)의 절첩부(4A)를 덮도록 직립하고, 이 보호벽(6)은 수형 탭(3)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간극을 남기면서 본체(1)의 전방 단부에 있는 개구를 폐쇄한다.
수형 탭(3)이 암형 단자 피팅의 본체(1)에 삽입되어 탄성 접속 부재(4)의 돌기부(4E)와 접속하면, 탄성 접속 부재(4)가 하방으로 눌려져 저벽(2)을 향해 탄성 변형된다. 그 후, 과량의 힘이 저벽(2)에 인가되어, 본체(1)를 박스형으로 유지하는 힘의 균형을 잃게 된다. 그 결과, 굴곡 엣지(7)에서 본체(1)의 개구가 변형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본체(1)의 개구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중벽 구조를 지니도록 본체(1)의 저벽(2)을 접어서, 본체(1)가 박스형으로 유지되도록 이 절첩부의 강도를 증대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저벽(2)을 이중벽 구조로 제조하기 위해서 과량의 금속 판재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블량한 블랭크 절결은 높은 제조비를 초래한다. 따라서, 전술한 대책은 훌륭한 계획이라고 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고려하여 개발되었고,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의 개구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른 암형 단자 피팅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이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암형 단자 피팅은 (바람직하게는 전기 전도성의 금속판을 거의 폭 방향으로 구부림으로써) 거의 전후방으로 뻗는 거의 박스형으로 형성된 본체와;
본체의 벽, 바람직하게는 저벽에 형성되고, 결합 수형 탭과 탄성적으로 거의 접촉하게 되면, 벽, 바람직하게는 저벽을 향해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접속 부재와;
탄성 접속 부재 앞에서 벽, 바람직하게는 저벽으로부터 거의 연속하고, 수형 탭의 삽입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허용하는 간극을 남기면서 본체의 전방 단부에 있는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보호벽과;
거의 보호벽의 직립 방향을 따라 보호벽의 사이드 엣지 또는 엣지부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캐치부와;
보호벽의 사이드 엣지 또는 엣지부에 거의 면하는 본체의 전방 단부에 있는 사이드 엣지 또는 엣지부에 제공되고, 캐치부와 체결 가능한 하나 이상의 걸림부
를 포함한다.
수형 탭이 본체 내로 삽입되면, 탄성 접속 부재가 수형 탭에 의해 가압되어 저벽을 향해 탄성 변형된다. 이 때, 보호벽의 캐치부가 본체의 걸림부와 체결하기 때문에 본체는 거의 박스형으로 유지되며, 굴곡 엣지 또는 엣지부에서의 본체의 개구 변형을 방지하거나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캐치부는 보호벽의 선단의 직립 방향으로 거의 대향하는 사이드 엣지 또는 엣지부 각각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제공되며, 걸림부는 전방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캐치부를 수용함으로써 대응하는 캐치부와 체결 가능하도록 본체의 전방 단부의 거의 대향하는 사이드 엣지 또는 엣지부 각각을 절단하거나 또는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마련된다.
캐치부는 보호벽의 선단의 직립 방향으로 거의 대향하는 사이드 엣지 또는 엣지부 각각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제공되기 때문에, 캐치부는 본체의 개방 운동의 지점인 굴곡 엣지에 가능한 한 가장 근접한 위치에서 걸림부와 체결하거나 또는 체결할 수 있고, 따라서 보다 확실하게 굴곡 엣지로부터의 본체의 개구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는 전방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캐치부를 수용함으로써 대응하는 캐치부와 체결 가능하도록 본체의 전방 단부의 거의 대향하는 사이드 엣지 또는 엣지부 각각을 절단하거나 또는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마련된다. 따라서, 캐치부와 걸림부에 의해 구현되는 잠금 구조는 보호벽을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고, 용이한 조립으로 인해 작동성이 양호하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접속 부재는 본체에서 벽, 바람직하게는 저벽의 기단으로부터 전방으로 거의 경사지게 뻗어서 형성되고, 벽, 바람직하게는 저벽을 향해 절첩되어 접속부가 수형 탭과 접촉하여 유지되도록 형성된 후에 벽, 바람직하게는 저벽과 거의 접촉하여 유지되는 레그부가 형성된다.
수형 탭이 접속부와 접하여 벽, 바람직하게는 저벽을 향해 탄성 접속 부재를 가압하면, 캐치부(들)는 수형 탭을 삽입시키는 힘의 작용점 근방의 위치에서 걸림부와 체결한다. 따라서, 박스형의 본체를 유지하는 보다 양호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직립 방향에 대한 보호벽의 기단은 바람직하게는 보호벽의 두께에 상응하는 거리만큼 본체의 전방 엣지로부터 약간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탄성 접속 부재에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대응하는 체결 부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느슨하게 장착될 수 있고, 탄성 접속 부재가 과도하게 변형될 때 체결 부재와 체결함으로써 탄성 접속 부재의 과잉 변형을 방지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체결 구멍이 본체의 측벽(들)에 체결 부재(들)에 대응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위치에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보호벽은 탄성 접속 부재의 절첩부에 적어도 거의 상응하는 높이로 직립 방향으로 서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거의 대향하는 측벽 및/또는 천장벽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방 엣지는 내측면과 외측면 양자 또는 이 중 하나에서 경사지거나 또는 둥글려져서 수형 탭을 암형 단자 피팅으로 삽입하도록 안내하는 및/또는 암형 단자 피팅을 커넥터 하우징으로 삽입하도록 안내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안내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들을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들의 단일 특성은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암형 단자 피팅(10)은 전기 전도성 (바람직하게는 금속)판인 블랭크 또는 원료를 도 5에 도시된 전개도와 같은 형상으로 스탬핑하거나 또는 절단하고, 그 후 특정 (예정된 또는 예정 가능한) 형상을 지니도록 상기 스탬핑되거나 절단된 판재를 굴곡시키거나, 접거나 및/또는 엠보싱 등의 처리를 함으로써 전후방(FBD)으로 좁고 긴 형상으로 제조된다. 여기서 전후방(FBD)은 암형 단자 피팅(10)의 삽입, 인출 방향을 의미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암형 단자 피팅(10)의 전방측에는 결합 수형 단자 피팅의 수형 탭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 가능한 본체(11)가 제공되고, 바람직하게는 도시되지 않은 절연 도선의 코어 단부와 접속하도록 연결, 바람직하게는 클림핑(crimping)되거나 또는 절첩되거나 또는 굴곡된 도선 배럴부(12)로 구성된 도선 코어 접속부가 본체(11) 뒤에 일체적으로 또는 단일형으로 제공되고, 바람직하게는 절연 코팅에 접속하도록 연결, 바람직하게는 클림핑되거나 또는 절첩되거나 또는 굴곡된 절연 배럴부(13)로 구성된 도선 절연 접속부가 도선 배럴부(12) 뒤에 일체적으로 또는 단일형으로 제공된다. 도선 배럴부(12)는 거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암형 단자 피팅(10)의 종방향 중심부에서 서로 거의 대향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클림핑 부재(12A)를 포함하고, 절연 배럴부(13)도 또한 거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암형 단자 피팅(10)의 종방향 중심부에서 서로 거의 대향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클림핑 부재(13A)를 포함한다(도 5 참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는 측방향 (좌우) 측벽(11B)을 천장벽(11A)에 대하여 거의 직각으로 구부리고 일측벽의 자유단(11B)[도 3에 도시된 우측벽(11B)]을 타측벽(11B)의 자유단을 향해 거의 직각으로 구부림으로써 구성되고, 이에 따라 저벽(11C)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체(11)는 전체가 개구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를 지닌 거의 박스형을 갖추도록 형성된다.
안정판(14)이 타측벽(11B)의 자유단으로부터 저벽(11C)보다 하방 또는 외측으로 돌출한다. 암형 단자 피팅(1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도시되지 않은 커넥터 하우징의 공동에는 안내 홈이 형성되고, 이 안내 홈이 안정판(14)에 거의 대응하여, 암형 단자 피팅(10)을 반대 방향으로 잘못 삽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암형 단자 피팅(10)을 상기 공동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하면 안정판(14)이 안내 홈과 체결함으로써 암형 단자 피팅(10)의 배치를 안정시킬 수 있다. 천장벽(11A)의 중간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거의 중간 부분)에서 전후방(FBW)을 따라 절결하고, 이 절결부를 상방 또는 외측으로 굴곡시켜서 바람직하게는 거의 사다리꼴 형상을 지닌 돌출부(15)를 형성한다. 이 돌출부도 또한 암형 단자 피팅(10)의 배치를 안정시키고, 안정판(14)과 유사하게 암형 단자 피팅(10)이 오장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잠금 구멍(16)이 본체(11)의 저벽(11C)에 형성되고(도 6 참조), 안정판(14)이 잠금 구멍(16)의 타측부에 있는 엣지 또는 엣지부로부터 돌출한다. 암형 커넥터 하우징은 잠금 구멍(16)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체결 가능하여, 암형 단자 피팅(10)을 상기 공동 내에 고정시킨다.
본체(11)에는 저벽(11C) 또는 저벽 근방으로부터 뻗고 본체(11)의 후방으로 구부러지거나 절첩되며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접속 부재(17)가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탄성 접속 부재(17)는 저벽(11C)을 본체(11)의 내측을 향해 돌출시킴으로써 형성된 기부(11G)로부터 전방으로 경사져서 뻗는 설형부와, 결합 수형 단자 피팅의 수형 탭(30)에 접촉하여 유지되고 상기 설형부의 선단 근방에 형성된 접속부(17A)와, 상기 절첩부(17B)로부터 거의 재선회 방향으로 뻗는 레그부(17C)로 구성된다. 레그부(17C)의 선단은 저벽(11C)과 거의 접촉하여 경사져서 유지되는 접촉부(17G)로서의 역할을 하며, 여기에서 탄성 접속 부재(17)의 스프링 힘을 수용한다.
탄성 접속 부재의 접속부(17A)는 엠보싱 처리 또는 굴곡에 의해 천장벽(11A)를 향해 돌출된 만곡면을 지니며, 천장벽(11A)으로부터 본체의 내측부를 향해 볼록한 접촉 융기부(11S)와 함께 수형 탭(30)을 위한 삽입 경로를 형성한다. 자연 상태에서 탄성 접속 부재(17)의 접속부(17A)와 천장벽(11A)의 접촉 융기부(11S) 사이의 공간은 수형 탭(30)의 두께보다 약간 더 작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수형 탭(30)이 접속부(17A)와 접촉 융기부(11S) 사이에 삽입되면, 이들 사이에서 타이트하게 고정되고, 탄성 접속 부재가 저벽(11C)을 향해 탄성 변형하여, 수형 및 암형 단자 피팅이 전기 접속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 방향(WD)[바람직하게는 전후방(FBD)에 거의 수직임]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체결 부재(18)가 바람직하게는 탄성 접속 부재(17)의 거의 대향하는 사이드 엣지에 접속부(17A)와 거의 동일한 높이로 제공된다. 대응하는 체결 부재(18)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느슨하게 장착되고, 탄성 접속 부재(17)가 과도하게 변형될 때 체결 부재(18)과 체결함으로써 탄성 접속 부재(17)의 과다 변형을 방지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체결 구멍(19)은 본체의 대향 측벽(11B)의 체결 부재(18)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폭 방향(WD)을 따라 측방향으로 돌출하는 잠금 부재(2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부(11G) 근방의 탄성 접속 부재(17)의 다른 사이드 엣지 또는 엣지부에 제공된다. 탄성 접속 부재(17)가 기부(11G)로부터 들어올려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잠금 부재(2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삽입 가능한 잠금 구멍(21)이 본체(11)에 있는 타측벽(11B)의 잠금 부재(20)에 거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본체(11)에 있는 전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보호벽(22)이 탄성 접속 부재(17) 앞에 제공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벽(22)은 저벽(11C)의 전방 엣지 또는 엣지부에서 0°내지 180°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거의 직각으로 굴곡되어 천장벽(11A)을 향해 직립하고, 본체의 전면에 있는 개구의 하부, 바람직하게는 하부의 거의 절반을 폐쇄하며, 보호벽(22)의 선단 엣지와 천장벽(11A) 사이에 직립 방향(SD)[바람직하게는 폭 방향(WD) 및/또는 전후방(FBD)에 거의 수직임]으로 수형 탭(30)을 삽입하는 데 사용되는 간극을 남겨둔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체(11)의 전방 개구를 통해 진입하려는 외부 요소가 보호벽(22)에 의해 차단되고, 이에 따라 본체(11)로 진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체(11) 내에 배치된 탄성 접속 부재(17)을 보호하여, 특정 스프링 성능을 유지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거의 폭 방향(WD)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거의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 캐치부(23)가 바람직하게는 보호벽(22)에 있는 선단 또는 단부의 직립 방향(SD)으로 거의 대향하는 측부에 제공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걸림부(24)가 바람직하게는 캐치부(23)에 거의 면하거나 또는 대응하는 본체(11)의 전방 단부에 있는 거의 대향하는 사이드 엣지 또는 엣지부에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걸림부(24)는 보호벽(22)을 굴곡시키면 캐치부를 수용하여 캐치부(23)와 체결하도록, 바람직하게는 거의 U자형인 캐치부(23)에 대응하는 본체(11)의 전방 단부에 있는 거의 대응하는 사이드 엣지 또는 엣지부의 일부를 절결함으로써 형성된다.
직립 방향(SD)에 있어서 보호벽(22)의 기부, 즉 보호벽(22)의 굴곡 엣지(22A)는 보호벽(22)의 두께에 상응하는 거리만큼 본체(11)의 전방 엣지로부터 약간 떨어진 위치에 위치하고, 마주보는 측벽(11B)의 하단은 굴곡 동작이 용이하도록 절결된다. 따라서, 보호벽(22)은 앞에서 봤을 때 전체적인 형상이 바람직하게는 거의 L 또는 T자형이고(도 3 참조), 거의 수직 또는 직립 방향(SD)으로 직립하며, 바람직하게는 측방향에서 봤을 때 본체(11)의 전방 엣지와 거의 정렬된 전방 단부를 갖추고 있다(도2 참조). 거의 대향하는 측벽(11B)과 천장벽(11A)의 전방 엣지는 바람직하게는 경사지거나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 및 외측면 중 하나 또는 이들 모두가 둥글려져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안내면(11T)를 형성한다. 내측 안내면(11T)은 수형 탭(30)의 삽입을 안내하고, 외측 안내면(11T)은 암형 단자 피팅(10)이 공동 내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기능을 설명한다. 우선, 도시되지 않은 암형 커넥터 하우징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수형 커넥터 하우징의 리셉터클(receptacle) 내로 장착될 때, 수형 커넥터 하우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수형 단자 피팅의 수형 탭(3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방으로부터 암형 커넥터 하우징 내에 수용된 암형 단자 피팅(10)의 본체(11)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 탭(30)을 접속부(17A)와 접촉 융기부(11S) 사이로 밀면, 탄성 접속 부재(17)이 저벽(11)을 향해 하방 또는 외측으로 가압되어 바람직하게는 두 지점, 즉 지지점인 기부(11G)와 접촉부(17G)에서 탄성 변형된다. 이 때, 탄성 접속 부재(17)의 절첩부(17B)가 탄성 변형하여 곡률 반경이 감소하고, 이 절첩부의 탄성 복귀력이 레그부(17C)를 절첩부(17B)로부터 하방 또는 외측으로 변위시키도록 작용하는 힘으로 전환된다. 접촉부(17G)가 저벽(11C)과 거의 접하기 때문에, 전후방(FBD)을 따른 접촉부의 변위가 방지되여, 레그부(17C)는 저벽(11C)이 과량의 힘을 수용하도록 지지된다. 한편, 절첩부(17B)가 탄성 변형될 때, 탄성 접속 부재(17)를 들어올리는 힘은 기부(17C)에 작용한다. 그 후, 본체(11) 전체를 박스형으로 유지하는 힘의 균형을 잃을 가능성이 있기 대문에, 본체(11)의 대향하는 측벽(11B)에 있는 자유단이 천장벽(11A)의 굴곡 엣지(11R)(도 4 참조)를 기단으로 하는 개방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본체(11)의 걸림부(24)는 바람직하게는 보호벽(22)의 캐치부(23)와 거의 체결하기 때문에, 본체(11)의 굴곡 엣지(11R)로부터 이들 자유단의 개방 이동이 상기 체결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방식으로 수형 탭(3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때 본체(11)를 박스형으로 유지하기 힘들게 되는 경우에도, 보호벽(22)의 캐치부(23)가 본체(11)의 걸림부(24)와 체결하여 본체(11)를 박스형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굴곡 엣지(11R)에서의 본체의 개구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캐치부(23)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걸림부(24)와 체결함으로써 보호벽(22) 자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탄성 접속 부재(17)를 보호하는 기능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더욱이, 캐치부(23)가 직립 방향(SD)에 대하여 보호벽(22)의 선단에 있는 거의 대향하는 사이드 엣지 또는 엣지부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하기 때문에, 이 캐치부(23)는 본체(11)의 개방 이동의 지지점이 되는 굴곡 엣지(11R)에 가능한 한 가장 근접한 높이에서 걸림부(24)와 체결하여 개방 이동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그 결과, 굴곡 엣지(11R)로부터의 본체(11)의 개구 변형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는, 걸림부(24)는 본체(11)의 전방 단부의 사이드 엣지를 절결함으로써 형성되고, 캐치부(23)와 체결함으로써 이를 수용하며, 캐치부(23)와 걸림부(24)에 의해서 구현되는 잠금 구조는 보호벽을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용이한 조립으로 인해 작동성이 양호하다.
또한, 수형 탭(30)이 접촉부(17A)와 거의 접촉하여, 탄성 접속 부재(17)를 저벽(11C)을 향해 하방 또는 외측으로 가압하면, 캐치부(23)는 수형 탭(30)을 삽입하는 힘의 작용점에 근접한 위치에서 걸림부(24)와 체결하거나 또는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1)를 박스형으로 유지하는 양호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의 개구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체(11)는 전기 전도성 (바람직하게는 금속)판을 거의 폭 방향(WD)으로 구부리고, 접고 및/또는 엠보싱 처리함으로써 거의 전후방(FBD)을 따라 뻗는 거의 박스형으로 형성되고, 결합 수형 탭(30)과 거의 탄성적으로 접하면 저벽(11C)을 향해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접속 부재(17)는 저벽(11C) 또는 이 근방에 제공된다. 저벽(11C)에서 거의 연속하는 보호벽(22)이 탄성 접속 부재(17) 앞에 제공되고, 수형 탭(30)의 진입을 허용하는 간극을 남겨둔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엣지, 바람직하게는 보호벽(22)의 직립 방향(SD)을 따른 보호벽(22)의 거의 대향하는 사이드 엣지 또는 엣지부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캐치부(23)가 제공되고, 이 캐치부는 보호벽(22)의 사이드 엣지 또는 엣지부와 면하는 본체(11)의 전방 단부에 있는 사이드 엣지 또는 엣지부에 마련된 걸림부(24)와 체결한다.
본 발명은 전술하고 도시한 실시예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후술하는 실시예도 또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채택된다. 후술하는 실시예 이외에도,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1) 비록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보호벽(22)의 거의 대향하는 사이드 엣지로부터 폭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캐치부가 제공되지만, 보호벽의 거의 대향하는 사이드 엣지로부터 거의 폭 방향(WD)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볼록부를 제공하고, 볼록부의 선단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본체의 거의 대향하는 측벽을 따르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가압부를 제공하고 및/또는 볼록부에 의해서 평면도에서 거의 L자형을 지닌 캐치부와 본 발명에 따른 가압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 후에 본체의 대향 측벽의 개방 이동이 가압부에 의해 보다 더 억제되기 때문에, 본체의 개방 변형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2) 비록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캐치부가 보호벽의 대향하는 사이드 엣지에 제공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이들 대향하는 사이드 엣지 중 하나에 하나의 캐치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캐치부와 걸림부의 체결 작용이 효과적으로 발휘되면 본체의 개방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3) 전술한 실시예에서, 캐치부는 보호벽의 사이드 엣지 또는 엣지부로부터 걸림부를 향해 돌출하도록 제공되고, 걸림부는 본체의 전방 단부의 사이드 엣지 또는 엣지부를 절결함으로써 형성된다. 역으로, 캐치부가 보호벽의 사이드 엣지 또는 엣지부를 절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고, 걸림부가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전방 단부에 있는 사이드 엣지 또는 엣지부로부터 캐치부를 향해 돌출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4) 비록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캐치부가 보호벽의 직립 방향(SD)에 대하여 선단에 제공되지만, 본 발명의 보호벽의 직립 방향(SD)에 대하여 중간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암형 단자 피팅을 사용하면, 수형 탭이 본체 내로 삽입될 때, 탄성 접속 부재가 수형 탭에 의해 가압되어 저벽을 향해 탄성 변형되고, 보호벽의 캐치부가 본체의 걸림부와 체결함으로써 본체가 거의 박스형으로 유지되며, 굴곡 엣지 또는 엣지부에서의 본체의 개구 변형을 방지하거나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형 단자 피팅의 우측면도.
도 2는 암형 단자 피팅의 좌측면도.
도 3은 암형 단자 피팅의 정면도.
도 4는 암형 단자 피팅의 주요 부분을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
도 5는 암형 단자 피팅의 전개도.
도 6은 수형 탭을 삽입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수형 탭을 삽입하고 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종래 기술의 암형 단자 피팅의 정면도.
도 9는 종래 기술의 암형 단자 피팅의 도 6에 대응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암형 단자 피팅
11 : 본체
11A : 천장벽
11B : 측벽
11C : 저벽
17 : 탄성 접속 부재
17A : 접촉부
22 : 보호벽
23 : 캐치부
24 : 걸림부

Claims (7)

  1. 암형 단자 피팅(10)으로서,
    거의 전후방으로 뻗는 거의 박스형으로 형성된 본체(11)와;
    본체의 벽(11C)에 형성되고, 결합 수형 탭(30)과 탄성적으로 거의 접촉하게 되면 상기 벽(11C)을 향해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접속 부재(17)와;
    상기 탄성 접속 부재(17) 앞에서 직립하고, 상기 벽(11C)으로부터 거의 연속하며, 수형 탭의 삽입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허용하는 간극을 남기면서 본체(11)의 전방 단부에 있는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보호벽(22)과;
    상기 보호벽(22)의 거의 직립 방향(SD)을 따라 보호벽의 사이드 엣지 또는 엣지부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캐치부(23)와;
    상기 보호벽(22)의 사이드 엣지 또는 엣지부에 거의 면하는 본체의 전방 단부에 있는 사이드 엣지 또는 엣지부에 제공되고, 상기 캐치부(23)와 체결 가능한 하나 이상의 걸림부(24)
    를 포함하는 암형 단자 피팅.
  2. 상기 캐치부(23)는 바람직하게는 보호벽(22)의 선단의 직립 방향(SD)으로 거의 대향하는 사이드 엣지 또는 엣지부 각각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제공되고 및/또는 상기 걸림부(24)는 전방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캐치부(23)를 수용함으로써 대응하는 캐치부(23)와 체결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11)의 전방 단부의 거의 대향하는 사이드 엣지 또는 엣지부 각각을 절단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인 암형 단자 피팅.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속 부재(17)는 본체(11)에서 벽(11C)의 기단으로부터 전방으로 거의 경사지게 뻗어서 형성되고, 접속부(17A)를 상기 수형 탭(30)과 거의 접촉시켜 유지한 후에, 상기 벽(11C)과 거의 접촉하여 유지되는 레그부(17C)를 형성하도록 벽(11C)을 향해 절첩되는 것인 암형 단자 피팅.
  4. 선행항들 중 적어도 하나의 항에 있어서, 직립 방향(SD)에 대한 상기 보호벽(22)의 기단(22A)은 바람직하게는 보호벽(22)의 두께에 상응하는 거리만큼 본체(11)의 전방 엣지로부터 약간 떨어져서 위치하는 것인 암형 단자 피팅.
  5. 선행항들 중 적어도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속 부재(17)에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대응하는 체결 부재(18)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느슨하게 장착될 수 있고, 상기 탄성 접속 부재(17)가 과도하게 변형될 때 체결 부재(18)와 체결함으로써 탄성 접속 부재(17)의 과잉 변형을 방지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체결 구멍(19)이 본체(11)의 측벽(들)(11B)에 체결 부재(들)(18)에 대응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인 암형 단자 피팅.
  6. 선행항들 중 적어도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벽(22)은 탄성 접속 부재(17)의 절첩부(17B)에 적어도 거의 상응하는 높이로 직립 방향(SD)으로 직립하는 것인 암형 단자 피팅.
  7. 선행항들 중 적어도 하나의 항에 있어서, 거의 대향하는 상기 측벽(11B)이나 천장벽(11C)이나 또는 이들 측벽과 천장벽 양자에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방 엣지는 내측면과 외측면 양자 또는 이 중 하나에서 경사지거나 또는 둥글려져서 수형 탭(30)을 암형 단자 피팅(10)으로 삽입하도록 안내하는 및/또는 암형 단자 피팅(10)을 커넥터 하우징으로 삽입하도록 안내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안내면을 형성하는 것인 암형 단자 피팅.
KR1020040090104A 2003-11-07 2004-11-06 암형 단자 피팅 KR200500443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78424A JP2005142066A (ja) 2003-11-07 2003-11-07 雌端子金具
JPJP-P-2003-00378424 2003-11-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4303A true KR20050044303A (ko) 2005-05-12

Family

ID=34544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0104A KR20050044303A (ko) 2003-11-07 2004-11-06 암형 단자 피팅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01233B2 (ko)
JP (1) JP2005142066A (ko)
KR (1) KR20050044303A (ko)
CN (1) CN1614825A (ko)
DE (1) DE10200405378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788B1 (ko) * 2008-03-27 2010-06-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에 사용되는 리어 홀더
KR101032255B1 (ko) * 2005-05-30 2011-05-02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암형단자 및 암형단자를 사용하는 전기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5825B2 (ja) * 2004-02-26 2008-04-16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金具
JP4552781B2 (ja) * 2005-07-05 2010-09-29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4482823B2 (ja) 2005-12-26 2010-06-16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DE102007040937B3 (de) * 2007-08-30 2009-01-15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ktrischer Kontakt
DE102008017043B3 (de) 2008-04-03 2009-09-03 Lear Corp., Southfiel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uchsenanschlussstückes
US8104173B2 (en) * 2008-04-08 2012-01-31 Delphi Technologies,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ries of electric terminals
DE102009057819A1 (de) * 2009-01-08 2010-09-23 Sumitomo Wiring Systems, Ltd., Yokkaichi Anschlußpaßstück und Verfahren zum Bilden desselben
JP2011159607A (ja) * 2010-02-04 2011-08-18 Yazaki Corp コネクタ用のメス端子
JP5396310B2 (ja) * 2010-03-01 2014-01-2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085527B2 (ja) * 2013-06-12 2017-02-22 矢崎総業株式会社 雌端子
CN203456624U (zh) * 2013-09-27 2014-02-26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端子
DE102015115791B4 (de) * 2015-09-18 2017-05-04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ontaktelement
FR3048133B1 (fr) * 2016-02-19 2019-06-07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tact electrique femelle avec lame de contact elargie
JP6883261B2 (ja) * 2017-07-05 2021-06-09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7054452B2 (ja) * 2018-11-02 2022-04-1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7165306B2 (ja) * 2019-06-11 2022-11-0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及び、端子付き電線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0336A (en) * 1995-06-09 1999-11-09 Lear Automotive Dearborn, Inc. Electrical terminal
FR2749442B1 (fr) * 1996-06-03 1998-07-10 Framatome Connectors Int Borne de contact electrique femelle a structure reforcee
FR2749441B1 (fr) * 1996-06-03 1998-07-10 Framatome Connectors Int Borne de contact electrique femelle a pression de contact controlee
US6024612A (en) * 1997-09-23 2000-02-15 The Whitaker Corporation Receptacle contact
JP2000133355A (ja) 1998-10-30 2000-05-12 Sumitomo Wiring Syst Ltd 雌端子金具
JP2003331964A (ja) * 2002-05-15 2003-11-21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JP3770205B2 (ja) * 2002-05-24 2006-04-26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3763574B2 (ja) * 2003-03-14 2006-04-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255B1 (ko) * 2005-05-30 2011-05-02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암형단자 및 암형단자를 사용하는 전기 커넥터
KR100966788B1 (ko) * 2008-03-27 2010-06-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에 사용되는 리어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14825A (zh) 2005-05-11
US7101233B2 (en) 2006-09-05
DE102004053788A1 (de) 2005-06-30
US20050101198A1 (en) 2005-05-12
JP2005142066A (ja) 2005-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4281B2 (en) Female terminal fitting and a blank for a plurality of terminal fittings
US7048582B2 (en) Female terminal fitting and connector provided therewith
KR101568886B1 (ko) 단자 피팅 및 그 제조 방법
US7458863B2 (en) Terminal fitting and a connector
US7938695B2 (en) Terminal fitting
US6042433A (en) Electrical contact
US7156704B2 (en) Terminal fitting and a connector using such a terminal fitting
KR20050044303A (ko) 암형 단자 피팅
US7204728B2 (en) Terminal fitting and a connector provided therewith
US6244910B1 (en) Electrical box contact with stress limitation
US7147522B2 (en) Terminal fitting and a connector provided therewith
US6733346B2 (en) Terminal fitting, a connector provided therewith and a method for forming a terminal fitting
US6325680B1 (en) Female contac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8523619B2 (en) Terminal fitting
JP3601772B2 (ja) コネクタ
US6679739B2 (en) Terminal fitting, a connector provided therewith and use thereof
US6290554B1 (en) Female terminal fitting and a female connector
EP2056408B1 (en) An electrical terminal fitting and forming method therefor
US6994596B2 (en) Terminal fitting, a connector provided therewith and method of forming a terminal fitting
CN112909608B (zh) 端子零件
JP4385923B2 (ja) 端子金具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CN110649410B (zh) 端子金属配件
JP2019212549A (ja) 端子、およびコネクタ
JP2002134206A (ja) 端子金具
JP2002093508A (ja) 端子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