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325B1 -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 및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 및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325B1
KR102076325B1 KR1020167003809A KR20167003809A KR102076325B1 KR 102076325 B1 KR102076325 B1 KR 102076325B1 KR 1020167003809 A KR1020167003809 A KR 1020167003809A KR 20167003809 A KR20167003809 A KR 20167003809A KR 102076325 B1 KR102076325 B1 KR 102076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direction
terminal
housing
lance
storag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3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3156A (ko
Inventor
마사아키 이시가미
히로노리 고노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33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3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H01R13/4226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comprising two or more integral flexible retaining fingers acting on a single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내부에, 높이 방향으로 연장함과 아울러 상기 높이 방향의 양단이 외부로 개방된 제1 수용실, 및 상기 제1 수용실의 높은 측의 단부에 연통하여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함과 아울러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이 외부로 개방된 제2 수용실이 형성되도록 마련된 하우징 본체와, 상기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제1 수용실에 면하여 배치되며, 상기 높이 방향의 낮은 측의 단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의 단부에 상기 제1 수용실측으로 돌출하는 걸림부가 마련되며, 탄성을 가지는 랜스(lance)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이다. 또한, 이러한 하우징을 구비한 전기 커넥터이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 및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HOUSING AND 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의 기술 분야에 속하며,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과, 이러한 하우징을 구비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본특허공개 평7-335305호 공보는, 2개 이상의 기형(旗型, 깃발형) 단자를 가지는 전기 커넥터 및 그 하우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전기 커넥터는, 일체화 하우징과 2개 이상의 리셉터클(receptacle) 콘택트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일체화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동일 형상의 하우징을 포함하며, 대향측 벽 사이에 슬롯을 형성하여 연결된다. 공통 커버가 힌지를 매개로 하여, 이들 하우징의 일단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다. 래치(latch) 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양 외측면과 슬롯 내에 형성되고, 이것에 대응하는 래치 부재가 상기 공통 커버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상기 기형 단자는 상기 각 하우징의 공동(空洞) 내에 삽입되어, 상기 공통 커버를 닫고, 래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에 유지된다. 상기 공통 커버가 폐쇄(래치) 위치일 때, 상기 일체화 하우징과 협동하여 상기 전기 커넥터의 기계적 강도를 보강한다(동일 문헌의 단락 0013을 참조).
일본특허공개 제2002-231328호 공보 및 일본특허공개 2002-231360호 공보는, 상기 기형 단자에 유사(類似)한 단자를 개시하고 있다.
일본실용신안공개 소60-115466호 공보 및 일본특허공개 평11-273768호 공보는, 상기 기형 단자에 유사한 단자의 머리부를 수용하는 통 모양부와, 상기 단자의 잔여부를 전선과 함께 감싸 지지하는 포합부(抱合部)를 구비한 단자용 절연 커버를 개시하고 있다.
일본특허공개 평11-74015호 공보는, 단자의 걸림 해제 부재가 하우징의 랜스(lance)와 걸려 작동하도록 한 소형의 전기 커넥터, 및 그것에 사용하는 하우징을 개시하고 있다. 이 전기 커넥터의 경우, 단자가, 하우징 내에 완전하게 삽입되면 랜스에 의해 걸려진다.
상기 일본실용신안공개 소60-115466호 공보 및 상기 일본특허공개 평11-273768호 공보가 개시하는 상기 단자용 절연 커버의 경우, 2개 이상의 단자를 수용하는 복극화(複極化)를 실현하는 것은 어렵지만, 상기 일본특허공개 평7-335305호 공보의 하우징을 이용하면, 복극화가 실현 가능해진다. 그러나, 예를 들면 상기 일본특허공개 평7-335305호 공보의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의 경우,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을 이용한 전기 커넥터를 상대측 전기 커넥터에 감합(嵌合, 끼워 맞춤)했을 때 등에 상기 기형 단자가 상기 상대측 단자로부터 힘을 받지만, 이러한 반(反)감합 방향을 향하는 외력은 상기 공통 커버에서 받게 된다. 이런 종류의 전기 커넥터의 유저에는, 이러한 외력에 대한 상기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의 강도를 높이고 싶은 요청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하우징에 상기 일본특허공개 평11-74015호 공보에 개시되는 랜스를 마련하고, 상기 감합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전선 등의 도체가 연장하는 단자에 상기 랜스를 걸리게 함으로써, 상기 일본특허공개 평7-335305호 공보의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과는 다른 해결 수단으로 상기 반감합 방향을 향하는 외력에 대한 강도를 갖춘 하우징을 제안하려고 했다. 그러나, 상기 단자로부터 상기 감합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도체가 연장하므로, 이 도체, 또는 상기 단자의 상기 도체와의 접속부와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랜스를 마련하면, 상기 랜스를 외측에 대고 배치해야 하는 경우가 생겨, 상기 하우징이 커져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 중 하나 이상을 적어도 경감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은,
내부에, 높이 방향으로 연장함과 아울러 상기 높이 방향의 양단이 외부로 개방된 제1 수용실, 및 상기 제1 수용실의 높은 측의 단부에 연통하여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함과 아울러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이 외부로 개방된 제2 수용실이 형성되도록 마련된 하우징 본체와,
상기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제1 수용실에 면(面)하여 배치되며, 상기 높이 방향의 낮은 측의 단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의 단부에 상기 제1 수용실측으로 돌출하는 걸림부가 마련되며, 탄성을 가지는 랜스(lance)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이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상대측 도전 부재와 접촉하게 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 보다도 높이 방향의 높은 측에 마련되며,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도입되는 도체의 종단(終端)을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지고,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으로 향하면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향해 움푹 들어가는 계단부가 마련된 단자와,
상기 단자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높이 방향으로 연장함과 아울러 상기 높이 방향의 양단이 외부로 개방된 제1 수용실, 및 상기 제1 수용실의 높은 측의 단부에 연통하여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함과 아울러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이 외부로 개방된 제2 수용실이 형성되도록 마련된 하우징 본체와,
상기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제1 수용실에 면하여 배치되며, 상기 높이 방향의 낮은 측의 단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의 단부에 상기 제1 수용실측으로 돌출하는 걸림부가 마련되며, 탄성을 가지는 랜스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의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제1 수용실에 수용되며, 상기 단자의 상기 접속부가 상기 제2 수용실에 수용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단자의 상기 계단부에 상기 랜스의 상기 걸림부가 걸려져 있는 전기 커넥터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기 전기 커넥터의 상기 하우징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하우징을 종단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하우징을 종단면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상기 전기 커넥터의 실시 형태에서의 도체 부착 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단자의 사시도이다. 와이어 배럴(barrel) 및 인슐레이션 배럴은, 코킹(caulking)하기 전의 상태이며, 개방되어 있다.
도 6은, 상기 단자의 저면도이다. 와이어 배럴 및 인슐레이션 배럴은, 코킹하기 전의 상태이며, 개방되어 있다.
도 7은, 상기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전기 커넥터를 종단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전기 커넥터를 종단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과 다른 각도로부터 보고 있다.
도 10은, 상기 전기 커넥터를 종단면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하우징에 상기 도체 부착 단자를 삽입하고 있는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2의 상당도이다.
도 12는, 상기 전기 커넥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상기 뚜껑을 상기 하우징 본체에 끼우도록 하고 있을 때의 도면이다.
도 13은, 상기 전기 커넥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상기 뚜껑을 상기 하우징 본체에 끼웠을 때의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 및 상기 전기 커넥터의 하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상기 전기 커넥터(C)는, 단자(100)와, 상기 단자(100)를 수용하는 하우징(20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기 커넥터(C)는, 상대측 부재(도시 생략)와 감합(嵌合, 끼워 맞춤)하고, 이탈한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상대측 부재는, 상대측 도전 부재로서의 단자와, 상기 상대측 도전 부재를 수용하는 상대측 지지 부재로서의 하우징을 구비한 전기 커넥터이다. 따라서, 상기 단자(100)는 상기 상대측 부재의 상기 상대측 도전 부재와 감합하고, 이탈하며,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상대측 부재의 상기 상대측 지지 부재와 감합하고, 이탈한다. 상기 상대측 부재에는, 상기 상대측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있지 않고 상대측 도전 부재만인 것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전기 커넥터가 감합하고, 이탈하는 상기 상대측 부재는 전기 커넥터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상대측 부재에는, 예를 들면, 단자 또는 그 외의 상기 상대측 도전 부재와 상기 상대측 도전 부재가 마련된 상기 상대측 지지 부재로서의 프린트 배선판을 구비한 도전 부재 프린트 배선판, 단자 또는 그 외의 상기 상대측 도전 부재와 상기 상대측 도전 부재가 마련된 상기 상대측 지지 부재로서의 전기 제품의 케이스를 구비한 전기 제품, 또는 그 외의 부재가 포함된다. 또, 본 발명의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상대측 지지 부재가 없어서 독립한 단자 또는 그 외의 상기 상대측 도전 부재와 감합하고, 이탈하는 상기 전기 커넥터의 실시 형태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 서로 직교하는 높이 방향, 깊이 방향, 및 폭 방향을 취하고, 이들 방향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 형태의 경우, 도 10에서 설명하면, 도 10을 부호를 바르게 읽을 수 있도록 보아, 상하 방향이 상기 높이 방향이며, 도 10의 상측이 높은 측이고 하측이 낮은 측이다. 다만, 상기 높이 방향은 연직 방향과는 관계없다. 또, 도 10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이 상기 깊이 방향이며, 도 10의 지면의 표측(表側)이 안측이며 상기 지면의 이측(裏側) 바로 전측(前側)이다. 게다가, 도 10의 좌우 방향이 상기 폭 방향이다. 상기 하우징(200)에는 복수의 상기 단자(100)가 상기 폭 방향으로 늘어놓아 수용되어 있고, 이들 복수의 단자(100)의 방향도 일치하고 있지만,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상기 단자의 수는 1개라도, 2개 이상이라도 좋다. 또, 상기 하우징에 상기 단자를 2개 이상 수용한 복극형(複極刑) 전기 커넥터의 경우, 상기 단자의 배열 형태도, 상기 깊이 방향으로부터 보아 일방향으로 늘어놓여 있어도 괜찮고, 종횡으로 늘어놓여져 있어도 괜찮으며, 그 외의 배열 방법이라도 좋다. 또, 상기 단자의 방향도 일치하지 않아도 좋다.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단자(100)는, 접촉부(110)와, 상기 접촉부(110)보다도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에 마련된 접속부(12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단자(100)는, 도전성 재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촉부(110)는, 상기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고, 상기 높이 방향의 하측으로부터 가까운 상기 상대측 도전 부재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접속부(120)에는,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도입되는 도체(300)의 종단(終端)이 접속된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도체(300)는, 상기 접속부(120)에 대해서 상기 깊이 방향의 상기 바로 전측(前側)으로부터 도입되고, 상기 도체(300)의 상기 깊이 방향 안측의 단부가 상기 종단으로 되어 있다. 상기 도체는, 예를 들면 상기 깊이 방향, 또는 상기 폭 방향 등과 같이, 상기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도입해도 괜찮지만, 예를 들면 상기 깊이 방향, 상기 폭 방향, 또는 상기 높이 방향 등과 각도를 이루는 방향인,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도입해도 괜찮다. 상기 도체(300)는, 도선(310)과, 상기 도선(310)을 피복하는 절연 피복(320)을 구비한 전선이다. 상기 도체(300)는, 도전성의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면 좋고, 상기 전선 외에도 예를 들면 쉴드 케이블 또는 그 요소를 포함하며, 또 예를 들면 FFC(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등의 평형(平刑) 유연 케이블 또는 그 요소를 포함하며, 또, 그 외의 도전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도체는 도전성 부재만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상기 단자(100)에는,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으로 향하면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향해 움푹 들어가는 계단부(130)가 마련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계단부(130)는 상기 폭 방향으로 향해 움푹 들어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계단부는, 상기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향해 움푹 들어가도 괜찮지만, 상기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보다도 경사진 각도인,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향해 움푹 들어가 있어도 괜찮다.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단자(100)의 상기 접촉부(110)는, 제1 베이스편(111)과, 상기 제1 베이스편(111)의 판폭(板幅)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세워지며, 서로 접근하는 측으로 구부러진 스프링편(片)(112)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접촉부(110)를 상기 높이 방향의 낮은 측으로부터 보면, 상기 판폭 방향의 양단이 C자 모양 및 좌우 반대로 된 C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베이스편(111)과 상기 스프링편(112)과의 사이에, 상기 상대측 도전 부재로서의 평판 모양의 플러그를 받아 들이고, 상기 스프링편(11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베이스편(111) 및 상기 스프링편(112)이 상기 상대측 도전 부재에 접촉 압력을 가지고 접촉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스프링편(112)의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의 단부 가장자리가 상기 계단부(130)로 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스프링편(112)의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의 단부 가장자리는, 상기 높이 방향에 직교하는 면을 형성하고 있지만, 상기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면 보다도 경사진 면인,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면을 형성해도 좋다. 또, 상기 단자(100)의 상기 접속부(120)는, 상기 제1 베이스편(111)의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에 마련된 제2 베이스편(121)과, 상기 제2 베이스편(121)의 상기 높이 방향 양측 중 적어도 일방측으로부터 세워지며, 상기 제2 베이스편(121)을 향해 구부러져 상기 도체(300)의 상기 종단을 코킹(caulking)하는 배럴(barrel)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배럴이 2종류 마련되어 있다. 즉, 상기 제2 베이스편(121)에는, 와이어 배럴(122)과, 인슐레이션 배럴(123)이, 상기 제1 베이스편(111)의 상기 판폭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늘어놓아 마련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와이어 배럴(122), 및 상기 인슐레이션 배럴(123)은, 모두 상기 제2 베이스편(121)의 상기 높이 방향 양측 중 일방측으로부터 세워지는 1매만을 마련하고 있지만, 모든 배럴도 상기 높이 방향 양측 중 타방측으로부터 세워지는 1매만을 마련해도 좋고, 상기 높이 방향 양측으로부터 세워지는 2매를 마련해도 괜찮고, 이들 형태를 조합시켜도 좋다. 상기 와이어 배럴(122)은, 상기 제2 베이스편(121)을 향하여 내측으로 구부러짐으로써 상기 도체(300)의 상기 종단에서의 상기 절연 피복(320)으로부터 노출한 상기 도선(310)에 압압력을 가지고 껴안아, 상기 도선(310)에 코킹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인슐레이션 배럴(123)은, 상기 제2 베이스편(121)을 향하여 내측으로 구부러짐으로써 상기 도체(300)의 상기 종단에서의 상기 절연 피복(320)에 압압력을 가지고 껴안아, 상기 절연 피복(320)에 코킹하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와이어 배럴(122), 및 상기 인슐레이션 배럴(123)이, 상기 접촉부(110)보다도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에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와이어 배럴, 및 상기 인슐레이션 배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접촉부 보다도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에 마련된 상기 단자도 본 발명의 대상이 된다. 또, 상기 와이어 배럴, 또는 상기 인슐레이션 배럴 등의 1종류의 배럴만을 구비하며, 상기 배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접촉부 보다도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에 마련된 상기 단자도 본 발명의 대상이 된다. 상기 접촉부는, 예를 들면 상기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포스트(post), 내부에 포스트 등을 받아 들이는 받아들임 공간이 마련된 박스형 구조체, 또는 그 외의 형태라도 좋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접속부를 압착형로 했지만, 상기 접속부를, 예를 들면 압접형, 피어싱형, 또는 그 외의 형태로 해도 괜찮다. 상기 접속부를 상기 압접형으로 했을 때에는, 상기 제2 베이스편으로부터 압접편을 세워 상기 압접편에 압접 칼날을 마련하고, 상기 압접 칼날이 상기 도체의 상기 절연 피복에 깊이 들어가 상기 도선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도체를 접속한다. 상기 접속부를 상기 피어싱형으로 했을 때에는, 상기 제2 베이스편으로부터 바늘을 세우고, 상기 바늘이 상기 도체를 푹 찌름으로써 상기 도체를 접속한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0)은, 하우징 본체(210)와, 상기 하우징 본체(210)에 마련된 랜스(22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 본체(210)는 합성 수지(樹脂)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지만, 다른 절연성 부재에 의해서 형성해도 좋고, 적어도 상기 단자에 접촉하는 부분이 절연성 부재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 형태의 전기 커넥터(C)는 복극형 전기 커넥터이므로, 상기 하우징(200)에는 극수(極數)에 따른 수(數)의 상기 하우징 본체(210)가 마련되며, 상기 각 하우징 본체(210)에 상기 단자(100)가 각각 수용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하우징 본체(210)는 접속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하우징 본체끼리가 일체 성형됨으로써 복수의 하우징 본체(210)가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지만, 상기 하우징 본체끼리를 예를 들면 접착 등의 다른 방법으로 접속하고, 또는 예를 들면 감합 등의 방법으로 연결해도 괜찮다. 상기 각 하우징 본체(210)는, 직방체 모양의 제1 부재(210a)와, 상기 제1 부재(210a)의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에 배치되어 접속된 직방체 모양의 제2 부재(210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복수의 상기 제2 부재(210b)가 연속하여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 본체의 형상이 한정 해석되지는 않고, 상기 하우징 본체가, 예를 들면 원기둥 모양, 또는 그 외의 형상의 구성물을 1개로 또는 2개 이상 조합시켜 이루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상기 각 하우징 본체(210)는, 그 내부에, 제1 수용실(211)과, 상기 제1 수용실(211)에 연통하는 제2 수용실(212)이 형성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 수용실(211)은, 상기 높이 방향으로 연장함과 아울러 상기 높이 방향의 양단이 외부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제1 수용실(211)의 상기 높이 방향의 낮은 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상대측 도전 부재를 받아 들이게 된다. 상기 단자의 상기 접촉부가 예를 들면 포스트일 때에는, 상기 접촉부를 상기 제1 수용실 보다도 상기 높이 방향의 낮은 측으로 내어 상기 상대측 도전 부재와 접촉시키는 것도 있다. 상기 제2 수용실(212)은, 상기 제1 수용실(211)의 높은 측의 단부에 연통하여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이 외부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은, 상기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포함한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제2 수용실(212)은, 상기 깊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고, 상기 제2 수용실(212)의 상기 깊이 방향의 상기 안측이 상기 하우징 본체(210)의 벽에 의해 폐색(閉塞)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2 수용실(212)의 상기 깊이 방향의 상기 바로 전측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도체(300)를 구부리지 않고 직선 모양으로 하여 도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제2 수용실은 예를 들면 상기 폭 방향 또는 그 외의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으면 좋고, 또 상기 제2 수용실의 양단은, 모두 폐색되어 있어도 개방되어 있어도 괜찮다. 상기 제2 수용실이 연장하는 방향은, 상기 단자로부터 상기 도체가 연장하는 방향으로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방향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우징 본체(210)는, 상기 제2 수용실(212)에서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으로 개방되어 있지만,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본체(210)의 상기 제2 수용실(212)의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에 뚜껑(214)을 마련하고, 이 뚜껑(214)에 의해서 상기 제2 수용실(212)을 폐색해도 괜찮다. 이 변형예에서는 상기 하우징(200)에 대해서 1개의 뚜껑(214)을 마련했지만,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 본체마다 뚜껑을 마련하는 것, 일부의 하우징 본체에만 뚜껑을 마련하는 것,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기 제2 수용실의 일부만을 덮는 뚜껑을 마련하는 것 등, 많은 다른 변형예가 있다.
상기 랜스(220)는 탄성을 가지고 있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랜스(220)는 상기 하우징 본체(210)와 동일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지만, 탄성을 가지고 있으면 다른 재료로 형성해도 좋다. 또, 상기 랜스(220)를 상기 하우징 본체(210)와 일체 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마련하고 있지만, 상기 랜스를 상기 하우징 본체와 따로 성형 등을 하고 나서, 이들을 조립해도 괜찮다. 상기 랜스(220)는, 상기 각 하우징 본체(210)마다 마련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랜스(220)는, 상기 각 하우징 본체(210)마다 2개 마련되어 있지만, 그것은 상기 단자(100)의 상기 접촉부(110)에 상기 스프링편(112)이 2개 마련되며, 상기 각 스프링편(112)에 상기 계단부(130)가 각각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각 하우징 본체(210)마다 이들 2개의 랜스를 일련으로 마련하고, 또는 일체화해도 괜찮고, 어느 하나의 상기 랜스만을 마련해도 좋다. 상기 랜스(220)는, 상기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제1 수용실(211)에 면(面)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 랜스(220)는, 상기 높이 방향을 향한 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형(斷面刑)이, 후술의 걸림부(221)의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높이 방향을 따라서 동일 형상이 되도록 마련하고 있지만, 상기 단면형을, 예를 들면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으로 향함에 따라 가늘게 하는 등으로 하여 변화시켜도 괜찮다. 상기 랜스(220)는, 상기 높이 방향으로 똑바로 연장하고 있지만, 상기 높이 방향에 대해서 약간 경사시켜 연장해도 괜찮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랜스(220)는, 상기 제1 수용실(211)에 대해서 상기 폭 방향의 일방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상기 랜스는, 상기 제1 수용실의 주위의 어느 부위에 마련해도 좋다. 상기 랜스(220)의 상기 높이 방향의 낮은 측의 단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210)에 마련되어 있고, 그것에 의해서 상기 랜스(220)는 편지지 빔(beam) 모양으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랜스(220)는, 내측에 상기 제1 수용실(211)을 형성하도록 마련된 상기 하우징 본체(210)의 벽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하우징(200)의 컴팩트화에 있어서 바람직하지만, 상기 벽의 내측에 상기 벽과는 별도로 상기 랜스를 마련해도 좋다. 상기 랜스(220)의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의 단부에는, 상기 제1 수용실측으로 돌출하는 걸림부(221)가 마련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걸림부(221)의 상기 높이 방향의 낮은 측의 단면(端面)(221a)은, 상기 높이 방향에 직교하고 있지만, 상기 단면은 상기 높이 방향과 각도를 이루고 있어도 좋고,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고 있으면 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100)의 상기 접촉부(110)가 상기 하우징 본체(210)의 상기 제1 수용실(211)에 수용되고, 상기 단자(100)의 상기 접속부(120)가 상기 제2 수용실(212)에 수용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단자(100)의 상기 계단부(130)에 상기 랜스(220)의 상기 걸림부(221)가 걸려져 있다.
상기 걸림부(221)의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의 단면(221b)은, 상기 높이 방향의 낮은 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제1 수용실(211)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상기 하우징 본체(210)에는 지지부(21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213)는, 상기 랜스(220)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실측과 반대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랜스(220)로부터 허용량만큼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 상기 허용량은, 상기 랜스(220)의 변형량으로서 허용되는 양이며, 예를 들면 상기 랜스(220)가 탄성 영역내에 들어가는 변형량이다. 상기 지지부(213)는, 상기 높이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랜스(220)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실(211)측과는 반대측에 마련되어 있다. 즉, 상기 지지부(213)는, 상기 랜스(220)의 배면과 대향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상기 지지부(213)는 벽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막대 모양, 또는 그 외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200)의 경우, 상기 감합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도체(300)가 연장하는 상기 단자(100)를 상기 높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하우징(200)으로 삽입하면, 상기 단자(100)가 상기 제1 수용실(211) 및 상기 제2 수용실(212)에 수용되고, 상기 도체(300)가 상기 제2 수용실(212)에 수용된다. 그 동안, 상기 랜스(220)가 탄성 변형하여 상기 접촉부(110)를 타고 넘고나서 복원되어, 상기 걸림부(221)가 상기 단자(100)를 걸리게 한다. 그 경우, 상기 단자(100)에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으로 향하는 외력 즉 상기 반감합 방향을 향하는 외력이 작용하면, 이 외력은 상기 랜스(220)에 받아들여지므로,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반감합 방향을 향하는 외력에 대한 강도를 갖춘다. 또, 상기 랜스(220)가 상기 높이 방향의 낮은 측으로부터 높은 측으로 연장하므로,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으로부터 낮은 측으로 연장하는 상기 종래의 랜스에 비교하면, 상기 도체(300), 또는 상기 단자(100)에서의 상기 도체(300)와의 접속부인 상기 접속부(120)와 간섭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상기 랜스(220)를 내측에 대고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상기 하우징(200)의 컴팩트화가 실현된다. 게다가, 종래의 상기 공통 커버와 같이 상기 단자(100)를 그 상기 반감합측에서 받아 들이는 보강 부재를 마련하지 않는 것도 가능해지며, 이러한 보강 부재를 마련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하우징(200)의 상기 감합 방향의 치수가 짧게 되어 컴팩트화가 실현되며, 또 상기 하우징(200)에 상기 보강 부재를 조립하는 수고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 형태의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200)은, 수용하는 상기 단자(100)의 감합 방향에 대해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랜스(220)를 구비하기 때문에, 상기 감합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도체(300)가 연장하는 상기 단자(100)를 수용함과 아울러, 상기 반감합 방향을 향하는 외력에 대한 강도를 갖출 수 있고, 또 컴팩트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은, 상기 랜스의 상기 걸림부의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의 단면(端面)의 형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그러한 여러 가지의 실시 형태 중에서, 상기 실시 형태, 및 상기 변형예의 상기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200)의 경우, 상기 걸림부(221)의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의 단면(端面)(221b)이, 상기 높이 방향의 낮은 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제1 수용실(211)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단자(100)를 상기 높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하우징(200)으로 삽입할 때에, 상기 단자(100)가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의 단면(221b)으로 안내되어 상기 제1 수용실(211)로 끌어들여짐과 아울러, 상기 걸림부(221)를 상기 제1 수용실(211)의 외측으로 밀어 내므로, 상기 단자(100)가 상기 랜스(220)와 간섭할 가능성이 저감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은, 상기 지지부를 마련하지 않은 실시 형태, 및 상기 랜스의 상기 제1 수용실측과 반대측이 개방되어 있는 실시 형태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한 여러 가지의 실시 형태 중에서, 상기 실시 형태, 및 상기 변형예의 상기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200)의 경우, 상기 하우징 본체(210)에는 지지부(213)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213)는, 상기 랜스(220)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실측과 반대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랜스(220)로부터 허용량만큼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상기 단자(100)를 상기 하우징 본체(210)의 상기 제1 수용실(211) 및 상기 제2 수용실(212)에 본래의 삽입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기운 방향으로 삽입하는 등에 의해 상기 랜스(220)를 상기 제1 수용실(211)의 외측으로 밀어 내려고 해도, 탄성 변형 한 상기 랜스(220)를 상기 지지부(213)가 지지하여 상기 랜스(220)의 과변형이 저지된다. 또, 상기 하우징 본체(210)의 외부로부터 상기 랜스(220)의 부근에 외력을 받는 경우, 상기 외력이 상기 지지부(213)에서 받아들여졌을 때에는, 상기 랜스(220)의 과변형이 저지된다. 상기 도 11은 하나의 상태를 예시하는 것에 지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상기 제1 수용실, 상기 제2 수용실, 상기 단자, 상기 랜스, 또는 상기 랜스의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의 단면(端面) 등의 형상 등에 따라서는, 그것에 따라서 상기 단자가 상기 랜스에 경사지게 맞닿는 것이 회피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은, 상기 뚜껑을 마련하지 않은 실시 형태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한 여러 가지의 실시 형태 중에서, 상기 실시 형태, 및 상기 변형예의 상기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200)의 경우, 상기 하우징 본체(210)의 상기 제2 수용실(212)의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에, 상기 뚜껑(214)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뚜껑(214)에 의해 상기 단자(100)가 외부로부터 차단되고, 상기 단자(100)의 예를 들면 절연성, 방진(防塵) 등의 성능이 향상된다. 또 상기 뚜껑(214)의 상기 하우징 본체(210)로의 장착 강도에 따라서는, 상기 하우징(200)의 상기 반감합 방향을 향하는 외력에 대한 강도가 향상된다.
또, 이상의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의 실시 형태도 충분히 개시되었다. 즉, 이 전기 커넥터(C)는, 상기 상대측 도전 부재와 접촉하게 되는 상기 접촉부(110), 및 상기 접촉부(110)보다도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에 마련되며,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도입되는 상기 도체(300)의 상기 종단을 접속하는 상기 접속부(120)를 가지며,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으로 향하면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향해 움푹 들어가는 상기 계단부(130)가 마련된 상기 단자(100)와, 상기 단자(100)를 수용하는 상기 하우징(200)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00)은, 내부에, 상기 높이 방향으로 연장함과 아울러 상기 높이 방향의 양단이 외부로 개방된 상기 제1 수용실(211), 및 상기 제1 수용실(211)의 높은 측의 단부에 연통하여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함과 아울러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이 외부로 개방된 상기 제2 수용실(212)이 형성되도록 마련된 상기 하우징 본체(210)와, 상기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제1 수용실(211)에 면하여 배치되며, 상기 높이 방향의 낮은 측의 단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210)에 마련되고,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의 단부에 상기 제1 수용실측으로 돌출하는 상기 걸림부(221)가 마련되며, 탄성을 가지는 상기 랜스(220)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100)의 상기 접촉부(110)가 상기 제1 수용실(211)에 수용되고, 상기 단자(100)의 상기 접속부(120)가 상기 제2 수용실(212)에 수용됨과 아울러, 상기 단자(100)의 상기 계단부(130)에 상기 랜스(220)의 상기 걸림부(221)가 걸려져 있다.
상기 단자(100)에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으로 향하는 외력 즉 상기 반감합 방향을 향하는 외력이 작용하면, 이 외력은 상기 랜스(220)에 받아 들여지므로,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반감합 방향을 향하는 외력에 대한 강도를 갖춘다. 또, 상기 랜스(220)가 상기 높이 방향의 낮은 측으로부터 높은 측으로 연장하므로,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으로부터 낮은 측으로 연장하는 상기 종래의 랜스에 비교하면, 상기 도체(300), 또는 상기 단자(100)에서의 상기 도체(300)와의 접속부인 상기 접속부(120)와 간섭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상기 랜스(220)를 내측에 대고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상기 하우징(200)의 컴팩트화가 실현된다. 게다가, 종래의 상기 공통 커버와 같이 상기 단자를 그 상기 반감합측에서 받아 들이는 보강 부재를 마련하지 않는 것도 가능해지며, 이러한 보강 부재를 마련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하우징(200)의 상기 감합 방향의 치수가 짧게 되어 컴팩트화가 실현되고, 또 상기 하우징(200)에 상기 보강 부재를 조립하는 수고도 줄일 수 있다. 또, 상기 단자(100)에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으로 향하는 외력 즉 상기 반감합 방향을 향하는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랜스(220)가 상기 높이 방향의 낮은 측으로부터 높은 측으로 연장하고 있으므로, 상기 랜스(220)는 상기 단자(100)로부터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으로 향하여 외력을 받고, 이것이 인장력으로서 작용한다. 이것에 대해, 상기 종래의 랜스는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으로부터 낮은 측으로 연장하므로, 동일 부하 상황에서 상기 종래의 랜스는 압축력을 받는다. 게다가, 상기 종래의 랜스는, 단자가 수용실에 삽입될 때에 상기 랜스를 비집어 열지 않도록 상기 삽입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연장하고 있으므로, 상기 압축력을 받는 상기 종래의 랜스는 좌굴(座屈)하는 경향이 있다. 그것에 대하여, 상기 랜스(220)는, 상기 높이 방향으로 똑바로 연장시킬 수 있고, 그렇게 했을 때에는 상기 인장력이 작용하여, 예를 들면 휨력 등이 작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재료에 따라서는 응력 상태가 복잡하게 되기 어려워,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 형태의 전기 커넥터(C)는, 상기 하우징(200)이, 수용하는 상기 단자(100)의 감합 방향에 대해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랜스(220)를 구비하므로, 상기 감합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도체(300)가 연장하는 상기 단자(100)를 수용함과 아울러, 상기 반감합 방향을 향하는 외력에 대한 강도를 갖출 수 있고, 또 컴팩트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단자가 접촉하는 상기 상대측 도전 부재를 상기 단자 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상기 계단부는,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으로 향하면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향해 움푹 들어가도록 마련되어 있으면 좋고, 상기 단자의 어느 부위에 마련되어 있어도 괜찮다. 게다가, 상기 단자의 상기 접속부는 상기 압착형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한 여러 가지의 실시 형태 중에서, 상기 실시 형태, 및 상기 변형예의 상기 전기 커넥터(C)의 경우, 상기 단자(100)의 상기 접촉부(110)가, 상기 제1 베이스편(111)과, 상기 제1 베이스편(111)의 판폭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세워지며, 서로 접근하는 측으로 구부러진 상기 스프링편(112)을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편(112)의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의 단부 가장자리가 상기 계단부(130)로 되어 있으며, 상기 단자(100)의 상기 접속부(120)가, 상기 제1 베이스편(111)의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에 마련된 상기 제2 베이스편(121)과, 상기 제2 베이스편(121)의 상기 높이 방향 양측 중 적어도 일방측으로부터 세워지며, 상기 제2 베이스편(121)을 향해 구부러져 상기 도체(300)의 상기 종단을 코킹(caulking)하는 상기 배럴(122, 123)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이런 종류의 상기 스프링편(112), 및 상기 배럴(122, 123)을 구비한 상기 단자(100)에 대해서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편(112)을 상기 계단부(130)로서 이용할 수 있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개요를 설명한다.
1)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 중 제1 형태에 관한 것은,
내부에, 높이 방향으로 연장함과 아울러 상기 높이 방향의 양단이 외부로 개방된 제1 수용실, 및 상기 제1 수용실의 높은 측의 단부에 연통하여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함과 아울러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이 외부로 개방된 제2 수용실이 형성되도록 마련된 하우징 본체와,
상기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제1 수용실에 면(面)하여 배치되며, 상기 높이 방향의 낮은 측의 단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의 단부에 상기 제1 수용실측으로 돌출하는 걸림부가 마련되며, 탄성을 가지는 랜스(lance)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이다.
상기 감합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도체가 연장하는 상기 단자를 상기 높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하우징으로 삽입하면, 상기 단자가 상기 제1 수용실 및 상기 제2 수용실에 수용되고, 상기 도체가 상기 제2 수용실에 수용된다. 그 사이, 상기 랜스가 탄성 변형하여 상기 걸림부가 상기 단자를 걸리게 한다. 그 경우, 상기 단자에 상기 반감합 방향을 향하는 외력이 작용하면, 이 외력은 상기 랜스에 받아들여지므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반감합 방향을 향하는 외력에 대한 강도를 갖춘다. 또, 상기 랜스가 상기 높이 방향의 낮은 측으로부터 높은 측으로 연장하므로,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으로부터 낮은 측으로 연장하는 상기 종래의 랜스에 비교하면, 상기 도체, 또는 상기 단자에서의 상기 도체와의 접속부와 간섭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상기 랜스를 내측에 대고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져, 상기 하우징의 컴팩트화가 실현된다. 게다가, 종래의 상기 공통 커버와 같이 상기 단자를 그 상기 반감합측에서 받아 들이는 보강 부재를 마련하지 않는 것도 가능해지며, 이러한 보강 부재를 마련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감합 방향의 치수가 짧게 되어 컴팩트화가 실현되고, 또 상기 하우징에 상기 보강 부재를 조립하는 수고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1 형태의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은, 수용하는 단자의 감합 방향에 대해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랜스를 구비하므로, 상기 감합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도체가 연장하는 상기 단자를 수용함과 아울러, 상기 반감합 방향을 향하는 외력에 대한 강도를 갖출 수 있고, 또 컴팩트화를 실현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 중 제2 형태에 관한 것은, 상기 제1 형태의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에서, 또,
상기 걸림부의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의 단면(端面)이, 상기 높이 방향의 낮은 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제1 수용실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는,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이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단자를 상기 높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하우징으로 삽입할 때에, 상기 단자가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의 단면으로 안내되어 상기 제1 수용실로 끌어들여짐과 아울러, 상기 걸림부를 상기 제1 수용실의 외측으로 밀어 내므로, 상기 단자가 상기 랜스와 간섭할 가능성이 저감된다.
상기 제2 형태의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은, 상기 제1 형태의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에 더하여, 또, 상기 단자를 상기 높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하우징으로 삽입할 때에, 상기 단자의 상기 제1 수용실로의 끌어들임을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단자가 상기 랜스와 간섭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3)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 중 제3 형태에 관한 것은,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형태의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에서, 또,
상기 하우징 본체에는 지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랜스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실측과 반대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랜스로부터 허용량만큼 떨어져 위치하고 있는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이다.
이와 같이 하면, 탄성 변형한 상기 랜스를 상기 지지부가 지지하여 상기 랜스의 과변형이 저지된다. 또,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부로부터 상기 랜스의 부근에 외력을 받는 경우, 상기 외력이 상기 지지부에서 받아들여졌을 때에는, 상기 랜스의 과변형이 저지된다.
상기 제3 형태의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은,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형태의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에 더하여, 또, 상기 랜스의 과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 중 제4 형태에 관한 것은,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에서, 또,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기 제2 수용실의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에, 뚜껑이 마련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이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뚜껑에 의해 상기 단자가 외부로부터 차단되고, 상기 단자의 예를 들면 절연성, 방진 등의 성능이 향상된다. 또 상기 뚜껑의 상기 하우징 본체로의 장착 강도에 따라서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반감합 방향을 향하는 외력에 대한 강도가 향상된다.
상기 제4 형태의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은,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에 더하여, 또한, 상기 단자의 예를 들면 절연성, 방진 등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상기 뚜껑의 상기 하우징 본체로의 장착 강도에 따라서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반감합 방향을 향하는 외력에 대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5)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중 제1 형태에 관한 것은,
상대측 도전 부재와 접촉하게 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 보다도 높이 방향의 높은 측에 마련되며,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도입되는 도체의 종단(終端)을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으로 향하면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향해 움푹 들어가는 계단부가 마련된 단자와,
상기 단자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높이 방향으로 연장함과 아울러 상기 높이 방향의 양단이 외부로 개방된 제1 수용실, 및 상기 제1 수용실의 높은 측의 단부에 연통하여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함과 아울러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이 외부로 개방된 제2 수용실이 형성되도록 마련된 하우징 본체와,
상기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제1 수용실에 면하여 배치되며, 상기 높이 방향의 낮은 측의 단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의 단부에 상기 제1 수용실측으로 돌출하는 걸림부가 마련되며, 탄성을 가지는 랜스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의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제1 수용실에 수용되며, 상기 단자의 상기 접속부가 상기 제2 수용실에 수용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단자의 상기 계단부에 상기 랜스의 상기 걸림부가 걸려져 있는 전기 커넥터이다.
상기 단자에 상기 반감합 방향을 향하는 외력이 작용하면, 이 외력은 상기 랜스에 받아들여지므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반감합 방향을 향하는 외력에 대한 강도를 갖춘다. 또, 상기 랜스가 상기 높이 방향의 낮은 측으로부터 높은 측으로 연장하므로,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으로부터 낮은 측으로 연장하는 상기 종래의 랜스에 비교하면, 상기 도체, 또는 상기 단자에서의 상기 도체와의 접속부와 간섭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상기 랜스를 내측에 대고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상기 하우징의 컴팩트화가 실현된다. 게다가, 종래의 상기 공통 커버와 같이 상기 단자를 그 상기 반감합측에서 받아 들이는 보강 부재를 마련하지 않는 것도 가능해지며, 이러한 보강 부재를 마련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감합 방향의 치수가 짧게 되어 컴팩트화가 실현되고, 또 상기 하우징에 상기 보강 부재를 조립하는 수고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1 형태의 전기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이, 수용하는 단자의 감합 방향에 대해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랜스를 구비하므로, 상기 감합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도체가 연장하는 상기 단자를 수용함과 아울러, 상기 반감합 방향을 향하는 외력에 대한 강도를 갖출 수 있고, 또 컴팩트화를 실현할 수 있다.
6)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중 제2 형태에 관한 것은, 상기 제1 형태의 전기 커넥터에서, 또,
상기 단자의 상기 접촉부가, 제1 베이스편과, 상기 제1 베이스편의 판폭(板幅)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세워지고, 서로 접근하는 측으로 구부러진 스프링편(片)을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편의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의 단부 가장자리가 상기 계단부로 되어 있고,
상기 단자의 상기 접속부가, 상기 제1 베이스편의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에 마련된 제2 베이스편과, 상기 제2 베이스편의 상기 높이 방향 양측 중 적어도 일방측으로부터 세워지고, 상기 제2 베이스편을 향해 구부러져 상기 도체의 상기 종단을 코킹(caulking)하는 배럴(barrel)을 구비하고 있는 전기 커넥터이다.
이와 같이 하면, 이런 종류의 스프링편, 및 배럴을 구비한 단자에 대해서 본 발명이 적용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이 상기 계단부로서 이용된다.
상기 제2 형태의 형태의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제1 형태의 전기 커넥터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에 더하여, 또한, 상기 스프링편, 및 상기 배럴을 구비한 상기 단자에 대해서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나타낼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상기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 및 상기 전기 커넥터는, 이상에서 설명한 상기 실시 형태 및 상기 변형예의 특징을 조합시킨 실시 형태를 포함하고 있다. 게다가, 이상에서 설명한 상기 실시 형태 및 상기 변형예는 본 발명의 상기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 및 상기 전기 커넥터의 몇 개의 예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이들 상기 실시 형태 및 상기 변형예의 기재에 의해서 본 발명의 상기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 및 상기 전기 커넥터가 한정 해석되지는 않는다.

Claims (7)

  1. 상대측 도전 부재와 접촉하게 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보다도 높이 방향의 높은 측에 마련되고,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도입되는 도체의 종단(終端)을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으로 향하면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향해 움푹 들어가는 계단부가 마련된 단자를 수용하는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으로서,
    내부에, 높이 방향으로 연장함과 아울러 상기 높이 방향의 양단이 외부로 개방된 제1 수용실, 및 상기 제1 수용실의 높은 측의 단부에 연통하여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함과 아울러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이 외부로 개방된 제2 수용실이 형성되도록 마련된 하우징 본체와,
    상기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제1 수용실에 면(面)하여 배치되며, 상기 높이 방향의 낮은 측의 단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의 단부에 상기 제1 수용실측으로 돌출하는 걸림부가 마련되며, 상기 높이 방향의 낮은 측의 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탄성 변형 가능한 랜스(lance)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의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제1 수용실에 수용되고, 상기 단자의 상기 접속부가 상기 제2 수용실에 수용됨과 아울러, 상기 단자의 상기 계단부에 상기 랜스의 상기 걸림부가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내측에 상기 제1 수용실을 형성하도록 마련된 상기 하우징 본체의 벽 중 상기 계단부가 움푹 들어가는 측과는 반대측의 벽이 평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랜스는 상기 평판 모양의 벽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걸림부의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의 단면(端面)이, 상기 높이 방향의 낮은 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제1 수용실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는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
  2. 상대측 도전 부재와 접촉하게 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보다도 높이 방향의 높은 측에 마련되고,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도입되는 도체의 종단(終端)을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으로 향하면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향해 움푹 들어가는 계단부가 마련된 단자를 수용하는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으로서,
    내부에, 높이 방향으로 연장함과 아울러 상기 높이 방향의 양단이 외부로 개방된 제1 수용실, 및 상기 제1 수용실의 높은 측의 단부에 연통하여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함과 아울러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이 외부로 개방된 제2 수용실이 형성되도록 마련된 하우징 본체와,
    상기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제1 수용실에 면(面)하여 배치되며, 상기 높이 방향의 낮은 측의 단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의 단부에 상기 제1 수용실측으로 돌출하는 걸림부가 마련되며, 상기 높이 방향의 낮은 측의 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탄성 변형 가능한 랜스(lance)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의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제1 수용실에 수용되고, 상기 단자의 상기 접속부가 상기 제2 수용실에 수용됨과 아울러, 상기 단자의 상기 계단부에 상기 랜스의 상기 걸림부가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내측에 상기 제1 수용실을 형성하도록 마련된 상기 하우징 본체의 벽 중 상기 계단부가 움푹 들어가는 측과는 반대측의 벽이 평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랜스는 상기 평판 모양의 벽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 본체에는 지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랜스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실측과 반대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랜스로부터 허용량만큼 떨어져 위치하고 있는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기 제2 수용실의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에, 뚜껑이 마련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
  4. 상대측 도전 부재와 접촉하게 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보다도 높이 방향의 높은 측에 마련되고,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도입되는 도체의 종단(終端)을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으로 향하면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향해 움푹 들어가는 계단부가 마련된 단자와,
    상기 단자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높이 방향으로 연장함과 아울러 상기 높이 방향의 양단이 외부로 개방된 제1 수용실, 및 상기 제1 수용실의 높은 측의 단부에 연통하여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함과 아울러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이 외부로 개방된 제2 수용실이 형성되도록 마련된 하우징 본체와,
    상기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제1 수용실에 면하여 배치되며, 상기 높이 방향의 낮은 측의 단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의 단부에 상기 제1 수용실측으로 돌출하는 걸림부가 마련되며, 상기 높이 방향의 낮은 측의 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탄성 변형 가능한 랜스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의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제1 수용실에 수용되며, 상기 단자의 상기 접속부가 상기 제2 수용실에 수용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단자의 상기 계단부에 상기 랜스의 상기 걸림부가 걸려져 있으며,
    내측에 상기 제1 수용실을 형성하도록 마련된 상기 하우징 본체의 벽 중 상기 계단부가 움푹 들어가는 측과는 반대측의 벽이 평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랜스는 상기 평판 모양의 벽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걸림부의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의 단면(端面)이, 상기 높이 방향의 낮은 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제1 수용실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는 전기 커넥터.
  5. 상대측 도전 부재와 접촉하게 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보다도 높이 방향의 높은 측에 마련되고,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도입되는 도체의 종단(終端)을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으로 향하면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향해 움푹 들어가는 계단부가 마련된 단자와,
    상기 단자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높이 방향으로 연장함과 아울러 상기 높이 방향의 양단이 외부로 개방된 제1 수용실, 및 상기 제1 수용실의 높은 측의 단부에 연통하여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함과 아울러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이 외부로 개방된 제2 수용실이 형성되도록 마련된 하우징 본체와,
    상기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제1 수용실에 면하여 배치되며, 상기 높이 방향의 낮은 측의 단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의 단부에 상기 제1 수용실측으로 돌출하는 걸림부가 마련되며, 상기 높이 방향의 낮은 측의 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탄성 변형 가능한 랜스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의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제1 수용실에 수용되며, 상기 단자의 상기 접속부가 상기 제2 수용실에 수용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단자의 상기 계단부에 상기 랜스의 상기 걸림부가 걸려져 있으며,
    내측에 상기 제1 수용실을 형성하도록 마련된 상기 하우징 본체의 벽 중 상기 계단부가 움푹 들어가는 측과는 반대측의 벽이 평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랜스는 상기 평판 모양의 벽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 본체에는 지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랜스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실측과 반대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랜스로부터 허용량만큼 떨어져 위치하고 있는 전기 커넥터.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상기 접촉부가, 제1 베이스편과, 상기 제1 베이스편의 판폭(板幅)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세워지고, 서로 접근하는 측으로 구부러진 스프링편(片)을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편의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의 단부 가장자리가 상기 계단부로 되어 있고,
    상기 단자의 상기 접속부가, 상기 제1 베이스편의 상기 높이 방향의 높은 측에 마련된 제2 베이스편과, 상기 제2 베이스편의 상기 높이 방향 양측 중 적어도 일방측으로부터 세워지며, 상기 제2 베이스편을 향해 구부러져 상기 도체의 상기 종단을 코킹(caulking)하는 배럴(barrel)을 구비하고 있는 전기 커넥터.
  7. 삭제
KR1020167003809A 2013-07-19 2014-07-18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 및 전기 커넥터 KR1020763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51145 2013-07-19
JP2013151145A JP6279852B2 (ja) 2013-07-19 2013-07-19 電気コネクタのハウジング、および電気コネクタ
PCT/JP2014/069235 WO2015008862A1 (ja) 2013-07-19 2014-07-18 電気コネクタのハウジング、および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156A KR20160033156A (ko) 2016-03-25
KR102076325B1 true KR102076325B1 (ko) 2020-02-11

Family

ID=52346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3809A KR102076325B1 (ko) 2013-07-19 2014-07-18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 및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79852B2 (ko)
KR (1) KR102076325B1 (ko)
CN (1) CN105379024B (ko)
WO (1) WO20150088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92163B1 (en) * 2016-08-30 2017-06-27 Te Connectivity Corporation Crush rib housing for postive lock receptacl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52621Y2 (ko) * 1973-09-25 1978-12-15
JPS59148081U (ja) * 1983-03-23 1984-10-0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ハウジングの雌端子係止機構
JPH01166973U (ko) * 1988-05-16 1989-11-22
JP2503071Y2 (ja) * 1991-02-21 1996-06-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構造
JPH07335305A (ja) * 1994-06-13 1995-12-22 Whitaker Corp:The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ハウジング
JPH1174015A (ja) * 1997-08-29 1999-03-16 Amp Japan Ltd 電気コネクタ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ハウジング
JP2001176594A (ja) * 1999-12-15 2001-06-29 Yazaki Corp コネクタ
JP5359321B2 (ja) * 2009-01-29 2013-12-0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アース接続用配線材、これに用いられるジョイントコネクタ、及びアース接続用配線材が組み込まれたワイヤハーネス
JP5192017B2 (ja) * 2010-07-13 2013-05-0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156A (ko) 2016-03-25
JP6279852B2 (ja) 2018-02-14
CN105379024A (zh) 2016-03-02
JP2015022946A (ja) 2015-02-02
WO2015008862A1 (ja) 2015-01-22
CN105379024B (zh) 201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6494B2 (en)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JP4722707B2 (ja) 垂直嵌合雌端子及びこれが装着されるハウジング
CN109119785B (zh) 电源连接器
US9252531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magnetic element
JP5522459B2 (ja) 雌端子およびコネクタ
US20120164866A1 (en) Connector Member
US9583873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detecting structure
US9876295B2 (en) Electric connector
KR101767683B1 (ko) 결합검지수단을 가지는 커넥터
KR102076325B1 (ko)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 및 전기 커넥터
KR101111595B1 (ko)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1175170B1 (ko) 소켓 콘택트
KR100780735B1 (ko) 저가형 커넥터
JP2018014300A (ja) コネクタ
KR100907541B1 (ko) 리셉터클 터미널
EP1530266B1 (en) Socket connector
CN211579066U (zh) 板对板插座
KR20090073779A (ko) 리셉터클 터미널
KR102264936B1 (ko) 전원접속용 터미널
KR20110084844A (ko) 헤더
KR200450639Y1 (ko) 터미널
JP2007280889A (ja) コネクタ
KR200464159Y1 (ko) 탭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미널 어셈블리
KR20220093826A (ko) 커넥터조립체
JP2018206512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