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2579A - 자동차용 스티어링컬럼의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스티어링컬럼의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2579A
KR20050042579A KR1020030077293A KR20030077293A KR20050042579A KR 20050042579 A KR20050042579 A KR 20050042579A KR 1020030077293 A KR1020030077293 A KR 1020030077293A KR 20030077293 A KR20030077293 A KR 20030077293A KR 20050042579 A KR20050042579 A KR 20050042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column mounting
mounting bracket
flange
moun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7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7758B1 (ko
Inventor
이종범
김기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7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7758B1/ko
Priority to JP2004220842A priority patent/JP4690674B2/ja
Priority to US10/941,269 priority patent/US7344158B2/en
Priority to DE102004051182A priority patent/DE102004051182B4/de
Priority to CNB2004100866246A priority patent/CN100368233C/zh
Publication of KR20050042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2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7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9Control elements or operating handles movable from an operative to an out-of-the way position, e.g. pedals, switch knobs, window cr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B60T7/065Disposition of pedal with means to prevent injuries in case of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62D1/195Yieldable supports for the steering colum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스티어링컬럼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충돌 및 추돌사고 발생시 페달마운팅브라켓트(5)와 접촉되는 컬럼마운팅플레이트(10)의 일측부는 페달마운팅브라켓트(5)와 접촉되지 않는 타측부보다 카울크로스멤버(3)까지의 길이(L1)가 짧게 형성되면서 컬럼로어마운팅브라켓트(7)의 제3플랜지(7e)와 중첩되어 공용볼트(18a)를 매개로 컬럼마운팅익스텐션(2)과 일체로 결합되어져, 브레이크페달(6)로 인한 운전자는 발목꺽임 현상 및 정강이부위의 부상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스티어링컬럼의 장착구조{mounting structure of streeing column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스티어링컬럼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돌 및 추돌사고 발생시 브레이크페달에 의해 운전자의 발목이 꺽이거나 또는 다리가 부상당하는 것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컬럼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스티어링컬럼은 상단에 스티어링휠이 장착되고 하단은 유니버설조인트를 매개로 기어박스에 연결되어 있어서 운전자의 조향 조작력을 양측 차륜에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사고시 일정 강도 이상의 큰 충격이 전달되면 축방향 하측으로 수축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운전자의 상해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스티어링컬럼(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럼마운팅어퍼플레이트(11) 및 컬럼마운팅로어플레이트(12)로 구성된 컬럼마운팅플레이트(10)와 결합되고, 상기 컬럼마운팅플레이트(10)는 차체측에 구비된 컬럼마운팅익스텐션(2)과 결합됨으로써 장착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컬럼마운팅어퍼플레이트(11)와 컬럼마운팅로어플레이트(12)사이에는 차체의 폭방향으로 카울크로스멤버(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티어링컬럼(1)의 하단이 관통하는 대시패널(4)에는 페달마운팅브라켓트(5)가 결합되고, 상기 페달마운팅브라켓트(5)에는 브레이크페달(6)이 힌지(6a)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실내측으로 돌출된 상기 페달마운팅브라켓트(5)의 선단은 차체의 전방쪽을 향하는 상기 컬럼마운팅플레이트(10)의 선단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설치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한편, 상기 스티어링컬럼(1)과 컬럼마운팅플레이트(10) 및 컬럼마운팅익스텐션(2)의 결합구조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컬럼마운팅플레이트(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울크로스멤버(3)를 기준으로 볼 때에는 상단부와 하단부로 나뉘어지고, 스티어링컬럼(1)을 기준으로 볼 때에는 좌측부와 우측부로 나뉘어진다.
따라서, 상기 컬럼마운팅플레이트(10)는 스티어링컬럼(1)상에 중첩된 상태에서 두 개의 상단볼트(15a,15b)를 매개로 스티어링컬럼(1)과 결합되고, 두 개의 하단볼트(16a,16b)를 매개로 스티어링컬럼(1)과 일체로 결합된 컬럼로어마운팅브라켓트(7)와 결합됨으로써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카울크로스멤버(3)를 기준으로 하단부에 위치한 컬럼마운팅플레이트(10)의 중간부위는 컬럼마운팅익스텐션(2)과 중첩을 이룬 상태에서 두 개의 중간볼트(17a,17b)를 통해 상기 컬럼마운팅익스텐션(2)과 결합됨으로써 장착이 완료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여기서, 상기 컬럼로어마운팅브라켓트(7)에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컬럼마운팅로어플레이트(12)의 하단부 저면과 중첩되는 제1플랜지(7a)와, 상기 제1플랜지(7a)를 지나 차체의 전방쪽으로 돌출되는 제2플랜지(7b)가 구비되며, 상기 제1플랜지(7a)에는 컬럼마운팅로어플레이트(12)에 형성된 볼트구멍(10c,10d)과 연통되는 두 개의 볼트구멍(7c,7d)이 양측부에 각각 형성된다.
한편,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미설명부호 10a,10b는 상단볼트(15a,15b)가 관통하는 볼트구멍이고, 미설명부호 10c,10d는 하단볼트(16a,16b)가 관통하는 볼트구멍이며, 미설명부호 10e,10f는 중단볼트(17a,17b)가 관통하는 볼트구멍인데, 상단과 중간의 볼트구멍(10a,10b,10e,10f)들은 컬럼마운팅어퍼플레이트(11)와 컬럼마운팅로어플레이트(12)를 일체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하단의 볼트구멍(10c,10d)은 컬럼마운팅로어플레이트(12)만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중 충돌 및 추돌사고가 발생되면 그 충격력에 의해 대시패널(4) 및 브레이크부스터(도시않됨)를 포함한 페달마운팅브라켓트(5)가 실내측으로 밀려들어오게 되는데, 이때 실내측으로 돌출된 페달마운팅브라켓트(5)의 선단이 충격력에 의해 밀려들어오다가 차체의 전방측으로 위치한 컬럼마운팅플레이트(10)의 하단부와 접촉을 하는 순간 상기 컬럼마운팅플레이트(10)의 지지력에 의해 실내측으로의 밀림이 중단되게 된다.
이와 같이, 충돌 및 추돌사고가 발생될 때 실내측으로 밀려들어 오던 페달마운팅브라켓트(5)가 컬럼마운팅플레이트(10)에 의해 더 이상의 이동이 차단되면, 이때 브레이크페달(6)은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힌지(6a)를 중심으로 급격하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브레이크페달(6)을 밟고 있던 운전자는 발목이 뒤로 꺽이는 부상을 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만약,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6)을 밟고 있지 않는 상황이라면 급격하게 회전하는 브레이크페달(6)이 운전자의 정강이 부분을 강하게 타격하여 운전자는 다리에 심한 부상을 입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주행중 충돌 및 추돌사고가 발생될 때 페달마운팅브라켓트가 실내측으로 충분히 밀려들어오면서 컬럼마운팅플레이트와는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컬럼마운팅플레이트와 컬럼로어마운팅브라켓트와의 결합구조를 변경하여, 브레이크페달에 의해 운전자의 발목이 꺽이거나 또는 정강이 부위가 부상당하게 되는 것을 미리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컬럼의 장착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충돌 및 추돌사고 발생시 페달마운팅브라켓트와 접촉되는 컬럼마운팅플레이트의 일측부는 페달마운팅브라켓트와 접촉되지 않는 타측부보다 카울크로스멤버까지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면서 컬럼로어마운팅브라켓트의 제3플랜지와 중첩되어 공용볼트를 매개로 컬럼마운팅익스텐션과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컬럼과 브레이크페달어셈블리의 장착구조가 도시되어 있는 측면도로서, 종래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중 충돌 및 추돌사고가 발생될 때 실내측으로 밀려들어오는 페달마운팅브라켓트(5)가 컬럼마운팅플레이트(10)와는 접촉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컬럼(1)은 컬럼마운팅어퍼플레이트(11) 및 컬럼마운팅로어플레이트(12)로 구성된 컬럼마운팅플레이트(10)와 결합되고, 상기 컬럼마운팅플레이트(10)는 차체측에 구비된 컬럼마운팅익스텐션(2)과 결합됨으로써 장착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컬럼마운팅어퍼플레이트(11)와 컬럼마운팅로어플레이트(12)사이에는 차체의 폭방향으로 카울크로스멤버(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티어링컬럼(1)의 하단이 관통하는 대시패널(4)에는 페달마운팅브라켓트(5)가 결합되고, 상기 페달마운팅브라켓트(5)에는 브레이크페달(6)이 힌지(6a)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실내측으로 돌출된 상기 페달마운팅브라켓트(5)의 선단은 차체의 전방쪽을 향하는 상기 컬럼마운팅플레이트(10)의 선단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설치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한편, 상기 스티어링컬럼(1)과 컬럼마운팅플레이트(10) 및 컬럼마운팅익스텐션(2)의 결합구조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컬럼마운팅플레이트(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울크로스멤버(3)를 기준으로 볼 때에는 상단부와 하단부로 나뉘어지고, 스티어링컬럼(1)을 기준으로 볼 때에는 좌측부와 우측부로 나뉘어진다.
그리고, 상기 컬럼마운팅플레이트(10)의 우하단부는 카울크로스멤버(3)까지의 길이(L1)가 좌하단부의 길이(L2)에 비해 비교적 짧게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컬럼마운팅플레이트(10)에는 다수개의 볼트구멍이 형성되는 바, 상단부에 형성되는 두 개의 볼트구멍(10a,10b)은 후술하는 상단볼트(15a,15b)가 관통하는 구멍이고, 좌하단에 형성된 한 개의 볼트구멍(10c)은 후술하는 하단볼트(16a)가 관통하는 구멍이며, 좌중간의 한 개의 볼트구멍(10e)은 후술하는 중간볼트(17a)가 관통하는 구멍이고, 우중간의 한 개의 볼트구멍(10f)은 후술하는 공용볼트(18a)가 관통하는 구멍이다.
여기서, 상단과 중간의 볼트구멍(10a,10b,10e,10f)들은 컬럼마운팅어퍼플레이트(11)와 컬럼마운팅로어플레이트(12)를 일체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하단의 볼트구멍(10c)은 컬럼마운팅로어플레이트(12)만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컬럼마운팅플레이트(10)에는 컬럼로어마운팅브라켓트(7)가 일체로 구비되는 바, 상기 컬럼로어마운팅브라켓트(7)에는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컬럼마운팅로어플레이트(12)의 하단부 저면과 중첩되는 제1플랜지(7a)와, 상기 제1플랜지(7a)를 지나 차체의 전방쪽으로 돌출되는 제2플랜지(7b) 및, 상기 제1플랜지(7a)에서 실내쪽으로 연장형성된 제3플랜지(7e)가 구비되며, 상기 제1플랜지(7a)에는 컬럼마운팅로어플레이트(12)에 형성된 볼트구멍(10c)과 연통되는 한 개의 볼트구멍(7c)이 형성되고, 상기 제3플랜지(7e)에는 컬럼마운팅플레이트(10)의 우측 중간부에 형성된 볼트구멍(10f)와 연통되는 한 개의 볼트구멍(7f)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컬럼마운팅플레이트(10)의 좌하단부는 컬럼로어마운팅브라켓트(7)의 제1플랜지(7a)상에 중첩되어 하단볼트(16a)를 매개로 결합되고, 상기 컬럼마운팅플레이트(10)의 좌측 중간부위는 컬럼마운팅익스텐션(2)과 중첩되어 중간볼트(17a)를 매개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컬럼마운팅플레이트(10)의 우하단부는 상기 하단볼트(16a)의 체결시 제1플랜지(7a)와 중첩되지 않고 상기 컬럼로어마운팅브라켓트(7)의 제3플랜지(7e)와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제3플랜지(7e) 및 컬럼마운팅플레이트(10)를 관통하여 컬럼마운팅익스텐션(2)에 체결되는 공용볼트(18a)를 통해 결합됨으로써 장착이 완료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중 충돌 및 추돌사고가 발생되면 그 충격력에 의해 대시패널(4) 및 브레이크부스터(도시않됨)를 포함한 페달마운팅브라켓트(5)가 실내측으로 밀려들어오게 되는데, 이때 실내측으로 돌출된 페달마운팅브라켓트(5)의 선단은 컬럼마운팅플레이트(10)의 우하단부쪽으로 삽입되는 형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페달마운팅브라켓트(5)와 컬럼마운팅플레이트(10)와의 접촉은 예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충돌 및 추돌사고가 발생되어 페달마운팅브라켓트(5)가 실내측으로 밀려들어 오게 되더라도 컬럼마운팅플레이트(10)와의 접촉이 예방되면, 브레이크페달(6)의 회전(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예방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브레이크페달(6)로 인한 운전자는 발목꺽임 현상 및 정강이부위의 부상등을 미리 예방할 수 있는 잇점이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구조와 비교하여 볼 때 컬럼마운팅플레이트(10)에 대한 설치강성의 저감없이 운전자의 부상을 예방할 수 있는 구조이며, 아울러 원가절감 및 작업공정의 단축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충돌 및 추돌사고 발생시 실내측으로 밀려들어 오는 페달마운팅브라켓트가 컬럼마운팅플레이트와 접촉되는 것이 예방됨으로써, 브레이크페달로 인한 운전자는 발목꺽임 현상 및 정강이부위의 부상등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가절감 및 작업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구조에 따라 스티어링컬럼과 브레이크페달어셈블리의 장착구조가 도시되어 있는 측면도,
도 2는 컬럼마운팅플레이트를 위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개념도,
도 3은 컬럼로어마운팅브라켓트와 컬럼마운팅플레이트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1의 A부에 대한 요부확대도,
도 5는 도 1의 대응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컬럼과 브레이크페달어셈블리의 장착구조가 도시되어 있는 측면도,
도 6은 도 2에 대응되는 컬럼마운팅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7은 도 2에서 컬럼마운팅플레이트와 컬럼로어마운팅브라켓트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8은 도 2의 B부에 대한 요부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스티어링컬럼 2 - 컬럼마운팅익스텐션
3 - 카울크로스멤버 7 - 컬럼로어마운팅브라켓트
7a - 제1플랜지 7e - 제3플랜지
10 - 컬럼마운팅플레이트 16a - 하단볼트
17a - 중간볼트 18a - 공용볼트

Claims (2)

  1. 충돌 및 추돌사고 발생시 페달마운팅브라켓트(5)와 접촉되는 컬럼마운팅플레이트(10)의 일측부는 페달마운팅브라켓트(5)와 접촉되지 않는 타측부보다 카울크로스멤버(3)까지의 길이(L1)가 짧게 형성되면서 컬럼로어마운팅브라켓트(7)의 제3플랜지(7e)와 중첩되어 공용볼트(18a)를 매개로 컬럼마운팅익스텐션(2)과 일체로 결합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컬럼의 장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마운팅플레이트(10)의 좌하단부는 컬럼로어마운팅브라켓트(7)의 제1플랜지(7a)상에 중첩되어 하단볼트(16a)를 매개로 결합되고;
    상기 컬럼마운팅플레이트(10)의 좌측 중간부위는 컬럼마운팅익스텐션(2)과 중첩되어 중간볼트(17a)를 매개로 결합되며;
    상기 컬럼마운팅플레이트(10)의 우하단부는 카울크로스멤버(3)까지의 길이(L1)가 카울크로스멤버(3)에서부터 좌하단에 이르는 길이(L2)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하단볼트(16a)의 체결시 제1플랜지(7a)와 중첩되지 않으면서, 상기 제1플랜지(7a)에서 실내쪽으로 연장형성된 컬럼로어마운팅브라켓트(7)의 제3플랜지(7e)와 중첩되어 이 제3플랜지(7e) 및 컬럼마운팅플레이트(10)를 관통하여 상기 컬럼마운팅익스텐션(2)에 체결되는 공용볼트(18a)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컬럼의 장착구조.
KR10-2003-0077293A 2003-11-03 2003-11-03 자동차용 스티어링컬럼의 장착구조 KR100527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7293A KR100527758B1 (ko) 2003-11-03 2003-11-03 자동차용 스티어링컬럼의 장착구조
JP2004220842A JP4690674B2 (ja) 2003-11-03 2004-07-28 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装着構造
US10/941,269 US7344158B2 (en) 2003-11-03 2004-09-15 Mounting structure of steering column for vehicles
DE102004051182A DE102004051182B4 (de) 2003-11-03 2004-10-20 Lenksäulenhalterungsstruktur für Fahrzeuge
CNB2004100866246A CN100368233C (zh) 2003-11-03 2004-10-29 汽车转向柱安装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7293A KR100527758B1 (ko) 2003-11-03 2003-11-03 자동차용 스티어링컬럼의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2579A true KR20050042579A (ko) 2005-05-10
KR100527758B1 KR100527758B1 (ko) 2005-11-10

Family

ID=34545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7293A KR100527758B1 (ko) 2003-11-03 2003-11-03 자동차용 스티어링컬럼의 장착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44158B2 (ko)
JP (1) JP4690674B2 (ko)
KR (1) KR100527758B1 (ko)
CN (1) CN100368233C (ko)
DE (1) DE102004051182B4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944B1 (ko) * 2010-04-27 2011-09-26 덕양산업 주식회사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조립모듈
CN103253294A (zh) * 2012-07-20 2013-08-21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杭州分公司 转向管柱总成连接结构
CN113247110A (zh) * 2020-01-28 2021-08-13 双叶产业株式会社 转向支承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204A (ko) * 2003-08-11 2005-02-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 고정용 지지브라켓 구조
KR100602666B1 (ko) * 2004-06-11 2006-07-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카울 크로스멤버의 스티어링 컬럼 고정판넬
JP4119919B2 (ja) * 2006-01-27 2008-07-16 株式会社アステア ステアリングコラムブラケット
US20070245845A1 (en) * 2006-04-20 2007-10-25 Ridgway Jason R Steering column assembly for a vehicle
FR2942445A1 (fr) * 2009-02-26 2010-08-27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ysteme de direction pour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e colonne de direction entrainee par un volant de direction
JP6048276B2 (ja) * 2013-03-28 2016-12-21 スズキ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サポートメンバーの構造
DE102013106384B4 (de) * 2013-06-19 2016-09-15 Kirchhoff Automotive Deutschland Gmbh Vorrichtung zur Anbindung einer Lenksäule
US9073572B2 (en) * 2013-11-21 2015-07-07 Van-Rob Inc. Retention bracket for steering column member
CN103950466B (zh) * 2014-05-13 2016-04-13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转向管柱安装辅助结构
US9156488B1 (en) * 2014-06-19 2015-10-13 Van-Rob Inc. Mounting brace assembly for steering column member
DE102016214463A1 (de) 2016-08-04 2018-02-0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Lagerungsanordnung für eine Lenksäule eines Fahrzeugs und Fahrzeug mit einer derartigen Lagerungsanordnung
JP2018062235A (ja) * 2016-10-12 2018-04-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支持構造及びステアリング支持方法
JP6519567B2 (ja) * 2016-10-12 2019-05-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支持構造
US10471981B2 (en) * 2017-09-29 2019-11-12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Buckling control assembly for a steering column energy absorption strap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6522A (en) * 1985-03-08 1986-10-14 Chrysler Corporation Steering column energy absorbing release bushing and deforming bracket
US4738469A (en) * 1985-12-23 1988-04-19 Mazda Motor Corporation Structural arrangements for supporting steering devices
JPH0239966U (ko) * 1988-09-09 1990-03-19
JPH07215223A (ja) * 1994-02-01 1995-08-15 Mazda Motor Corp 車両のステアリング支持構造
DE19522398C1 (de) * 1995-06-23 1996-12-19 Daimler Benz Ag Sicherheitsanordnung im Fußraum eines Kraftwagens
EP0757946A3 (de) * 1995-08-05 1998-03-0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icherheits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den Fahrer eines Kraftfahrzeuges
JP3116268B2 (ja) * 1996-02-16 2000-12-11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ロアコラム支持構造
JPH1086829A (ja) * 1996-09-13 1998-04-07 Suzuki Motor Corp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衝撃吸収装置
JP3454041B2 (ja) * 1996-10-08 2003-10-06 スズキ株式会社 ブレーキペダルの支持構造
JP3856272B2 (ja) * 1998-11-25 2006-12-13 スズキ株式会社 ペダルブラケットの構造
KR100316950B1 (ko) * 1999-08-10 2001-12-22 이계안 자동차의 브레이크페달 지지구조
JP2002053017A (ja) * 2000-08-11 2002-02-19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ペダル支持構造
JP2002362339A (ja) * 2001-06-08 2002-12-18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操作ペダルの後退変位抑制機構
KR20050017204A (ko) * 2003-08-11 2005-02-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 고정용 지지브라켓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944B1 (ko) * 2010-04-27 2011-09-26 덕양산업 주식회사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조립모듈
CN103253294A (zh) * 2012-07-20 2013-08-21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杭州分公司 转向管柱总成连接结构
CN113247110A (zh) * 2020-01-28 2021-08-13 双叶产业株式会社 转向支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13692A (zh) 2005-05-11
DE102004051182B4 (de) 2009-08-13
US20050093285A1 (en) 2005-05-05
JP4690674B2 (ja) 2011-06-01
JP2005138819A (ja) 2005-06-02
DE102004051182A1 (de) 2005-06-09
US7344158B2 (en) 2008-03-18
CN100368233C (zh) 2008-02-13
KR100527758B1 (ko) 2005-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7758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컬럼의 장착구조
KR200143798Y1 (ko) 자동차 스티어링 기어 마운팅 브래킷
KR0162556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기어 장착구조
KR0129054Y1 (ko) 자동변속기 차량의 스티어링 꺽임방지대
KR100412351B1 (ko) 프론트 필러부의 결합구조
KR0176054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에너지 흡수장치
KR0176055B1 (ko) 에너지 흡수 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KR200320560Y1 (ko) 상해 방지 풋 브레이크 페달 조립체
KR100369544B1 (ko) 자동차조향장치의충격흡수용인터매드샤프트
JPH045381Y2 (ko)
KR20010048737A (ko) 자동차용 스티어링휠
KR100380613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페달의 설치구조
KR200272510Y1 (ko) 브레이크페달 장착용 마운팅브라켓과 카울판넬의 결합구조
KR19980056488A (ko)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 샤프트 구조
KR100362119B1 (ko) 자동차용 카울 크로스멤버의 전후강성 보강용 레그브라켓
KR19990005339U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구조
KR100380443B1 (ko) 자동차의 조향칼럼
KR100350268B1 (ko) 자동차용 범퍼의 사이드부 보강구조
KR19980052992U (ko) 자동차의 카울 크로스 멤버 결합구조
KR19980022298U (ko) 와이어형 인텀샤프트
KR20020033964A (ko) 자동차의 가속페달조립체
KR19990019892A (ko)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구조
KR20020096492A (ko) 차량의 프론트 플로어 하부 보강 구조
KR19980018716U (ko) 스티어링컬럼 조립체와 페달 마운트 브래킷의 결합구조
KR19990032165U (ko) 자동차의 엔진룸 골격강성 증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