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1363A -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및 마그네트론 - Google Patents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및 마그네트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1363A
KR20050031363A KR1020040062154A KR20040062154A KR20050031363A KR 20050031363 A KR20050031363 A KR 20050031363A KR 1020040062154 A KR1020040062154 A KR 1020040062154A KR 20040062154 A KR20040062154 A KR 20040062154A KR 20050031363 A KR20050031363 A KR 20050031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or
ground metal
insulating
high voltage
metal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2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5836B1 (ko
Inventor
사토쓰카사
후지와라이사오
모리타마코토
호리카와겐이치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1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1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5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58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5Feed-through capacitors or anti-noise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Microwave Tubes (AREA)

Abstract

절연수지의 계면에 있어서의 접착력을 증대시켜, 계면박리를 저지하고, 특성열화 및 전기적 단락을 피할 수 있도록 한 고신뢰도의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를 제공한다.
콘덴서(2)는, 양면에 전극(213, 214, 215)을 구비하고, 전극의 한쪽 (215)이 접지금속부(1)의 한면상에 고착되어 있다. 관통도체(4, 5)는, 콘덴서(2) 및 접지금속부(1)를 관통하고 전극의 다른쪽(213, 214)에 도통접속되어 있다. 절연케이스(6)는, 접지금속부(1)의 한쪽면에 구비되고, 일끝단이 접지금속부(1)의 돌출부(111)의 바깥둘레에 끼워 넣어지고 있다. 절연수지(7, 8)는, 절연 케이스(6)의 내부 및 접지금속부(1)의 내부공간에 충전됨과 동시에, 콘덴서(2)의 둘레에 충전되어 있다. 절연케이스(6)쪽의 절연수지는, 브롬계의 난연제를 포함하는 에폭시수지로 이루어지며, 브롬계 난연제는, 브롬화방향족글리시딜 에테르이다.

Description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및 마그네트론{HIGH VOLTAGE CAPACITOR AND MAGNETRON}
본 발명은,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및 이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로 이루어지는 필터를 가진 마그네트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8-316099호 공보나 일본 실공평4-40524호 공보 등에 잘 알려져 있다. 그 일반적인 구조는 다음과 같다. 콘덴서를 구성하는 유전체자기(誘電體磁器)에, 2개의 관통구멍을 간격을 두고 형성한다. 유전체자기의 관통구멍을 개구시킨 양면에, 서로 독립한 개별전극 및 개별전극에 대하여 공통이 되는 공통전극을 설치한다. 공통전극은, 접지금속부의 돌출부 위에 납땜 등의 수단에 의해서 고착된다. 콘덴서의 관통구멍 및 접지금속부의 관통구멍을 통하여, 관통도체를 관통시킨다. 이 관통도체는, 콘덴서의 개별전극에, 전극접속체 등을 사용하여 납땜된다. 접지금속부의 돌출부의 바깥둘레에, 콘덴서를 포위하도록, 절연케이스가 삽입장착된다. 접지금속부의 다른쪽면에, 관통도체를 포위하도록, 절연 커버가 삽입장착된다. 절연 커버는 접지금속부의 돌출부의 안둘레면에 밀착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절연케이스 및 절연케이스로 포위된 콘덴서의 내외에, 에폭시수지 등의 열경화성 절연수지가 충전되고, 그에 따라 내습성 및 절연성이 확보된다.
그런데, 절연수지는, 접지금속부의 돌출부의 내외둘레면, 절연케이스의 안둘레면 및 콘덴서의 내외면에 밀착하도록 충전되어 있을 뿐으로서, 양자는 비접착상태에 있다. 이 때문에, 절연수지의 경화수축시에 발생하는 스트레스 및 사용시에 있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스트레스에 의해, 유전체자기와 절연수지와의 사이에 빈틈이 발생하고, 더욱이, 절연수지와 절연케이스의 안둘레면 및 접지금속부와의 경계에도 빈틈을 유발한다.
상술한 빈틈을 발생시키는 주된 원인으로서는, 에폭시수지 등의 열경화성 절연수지가 경화수축할 때의 스트레스 및 콘덴서를 구성하는 유전체자기의 전왜(電歪)현상에 기인하는 스트레스를 들 수 있다.
콘덴서를 구성하는 유전체자기는, 티탄산바륨을 주성분으로 한 유전체자기에 의해서 구성된다. 이러한 유전체자기는 압전성결정족에 속하는 강유전체이다. 압전성결정족에 속하는 강유전체는 역압전효과(逆壓電效果)를 나타낸다. 이 때문에, 교류고전압이 인가된 경우, 콘덴서를 구성하는 유전체자기의 내부에 기계적 에너지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종류의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가, 전자렌지의 마그네트론에 있어서 필터로서 사용된 경우, 마그네트론을 발진시키는 교류고전압이 콘덴서에 인가된다. 교류고전압이 인가되면, 유전체자기의 내부에서, 상술한 역압전효과에 의해, 전기적 에너지가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된다. 이 때문에, 유전체자기는 전압인가시에 신장하고, 무인가시에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려고 축소된다.
전자렌지의 마그네트론을 발진시키기 위해서, 상용주파수 또는 20kHz∼40kHz의 주파수를 가지는 4kV0-p 정도의 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마그네트론이 발진을 시작하기 직전에, 0∼40kVp -p의 과도전압이 인가된다. 콘덴서를 구성하는 유전체자기는, 이들 교류전압을 받아 신축을 반복한다. 이러한 현상은, 유전체자기의 전왜현상이라고 불려진다.
이 전왜현상이, 유전체자기와 절연수지와의 사이, 더욱이, 절연수지와 절연케이스의 안둘레면 및 접지금속부와의 경계에 빈틈을 유발하는 큰 원인이 된다. 이 때문에,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는, 단시간에 특성열화 및 전극사이 단락에 의한 불량의 문제가 발생할 위험성을 안고 있었다.
또한, 특성열화의 다른 원인으로서, 유전체자기의 세라믹 바탕(素地) 홈부에 대한 난연제(難燃劑)의 침강(沈降)도 들 수 있다.
종래로부터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절연수지는, 첨가형의 난연제 헥사브로모 벤젠을 포함한 에폭시수지이다. 이 경우, 난연제는 큰 막대 형상입자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난연제의 비중이 베이스수지보다도 커지고, 침강하여 절연계면에 편재하는 경향이 있다. 난연제는 그 자체가 베이스수지보다도 절연성이 떨어짐과 동시에, 베이스수지와 바탕(素地)과의 밀착강도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난연제의 침강은 초기 파괴전압값이 불균일하거나, 고온부하특성이 비교적 단시간밖에 갖지 않는 문제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절연케이스 및 접지금속부와, 케이스쪽의 내부에 충전된 절연수지와의 사이의 계면에 있어서의 접착력 및 콘덴서와 그 주위에 충전된 절연수지와의 사이의 계면에 있어서의 접착력을 증대시켜, 양자간의 계면박리를 저지하여, 특성열화 및 전기적 단락을 피할 수 있도록 한 고신뢰도의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및 그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를 필터로서 조립한 마그네트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는, 적어도 1개의 접지금속부와, 적어도 1개의 콘덴서와, 적어도 1개의 관통도체와, 적어도 1개의 절연튜브와, 적어도 1개의 절연케이스와 절연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접지금속부는, 한쪽면에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한쪽면에서 다른 쪽면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 및 상기 관통구멍에 연속하는 내부공간을 가진다.
상기 콘덴서는, 관통구멍을 가진 유전체자기를 포함하고, 상기 유전체자기의 상기 관통구멍의 개구하는 양면에 전극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극의 한쪽이 상기 접지금속부의 상기 한면상에 고착되어 있다.
상기 관통도체는, 상기 콘덴서 및 상기 접지금속부를 관통하고, 상기 전극의 다른쪽에 도통접속되어 있다. 상기 절연튜브는, 상기 관통도체에 씌워 설치된다.
상기 절연케이스는, 상기 접지금속부의 한쪽면에 구비되고, 일끝단이 상기 돌출부의 상기 바깥둘레에 끼워 넣어져 있다. 상기 절연수지는, 상기 절연 케이스의 내부 및 상기 접지금속부의 상기 내부공간에 충전됨과 동시에, 상기 콘덴서의 주위에 충전되어 있으며, 상기 절연 커버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의 주위에 충전되어 있다.
상기 절연케이스쪽의 절연수지는, 브롬계(臭素系)의 난연제를 포함하는 에폭시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브롬계 난연제는, 브롬화 방향족 글리시딜 에테르이다.
상기 구조의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에 의하면, 전자렌지의 마그네트론에 사용한 경우, 관통도체를 급전단자로 하고, 이 관통단자와, 어스전위가 되는 접지금속부와의 사이에 콘덴서를 접속하고, 관통도체를 지나는 노이즈를 콘덴서의 필터작용에 의해서 흡수할 수가 있다.
또한, 접지금속부는, 관통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콘덴서도 유전체자기를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어스에 대하여 고전위가 되는 관통단자를, 어스전위가 되는 접지금속부 및 콘덴서의 전극의 한쪽과의 사이에, 관통구멍에 의한 충분한 전기절연을 확보하여,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절연수지가, 절연케이스의 내부 및 접지금속부의 내부공간에 충전됨과 동시에, 절연수지가 콘덴서의 주위에 충전되어 있기 때문에, 고온부하시험이나 내습부하시험 등의 신뢰성시험 또는 고온다습의 환경에서 사용된 경우 등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술한 일반적 구조에 있어서, 절연케이스쪽의 절연수지로서, 브롬계의 난연제를 포함하는 에폭시수지를 사용하고, 브롬계의 난연제는, 브롬화 방향족 글리시딜에테르를 사용한 점에 있다.
브롬화 방향족 글리시딜에테르는 액상(液狀)이지만, 함유하는 입자는 촘촘하기 때문에 입자의 침강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며, 절연수지계면의 밀착성이 유지된다. 이 때문에, 절연케이스 및 접지금속부와, 케이스쪽의 내부에 충전된 절연수지와의 사이의 계면에 있어서의 접착력 및 콘덴서와 그 둘레에 충전된 절연수지와의 사이의 계면에 있어서의 접착력이 증대하기 때문에, 절연수지의 경화수축, 또는, 사용시에 유전체자기의 전왜현상이 생기더라도, 그 기계적 스트레스에 충분히 견딜 수 있다. 따라서, 절연케이스 및 접지금속부와 케이스쪽의 내부에 충전된 절연수지와의 사이의 계면 및 콘덴서와 그 주위에 충전된 절연수지와의 사이의 계면박리를 저지하여, 특성열화 및 전기적 단락을 피할 수 있도록 한 고신뢰도의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를 제공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를 필터로서 조립한 마그네트론에 대해서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구성 및 이점에 대해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단, 첨부도면은,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는, 접지금속부(1), 콘덴서(2), 관통도체(4, 5), 절연케이스(6), 바깥쪽 절연수지(7), 안쪽절연수지(8), 절연 커버(9) 및 실리콘 등으로 구성된 절연튜브(10, 11) 등을 포함하고 있다.
접지금속부(1)는, 한쪽면에 돌출부(111)를 가지며, 돌출부(111)는 관통구멍(112)을 가지고 있다. 콘덴서(2)는, 돌출부(111)상에 배치되고, 전극(215)이 돌출부(111)에 납땜 등의 수단에 의해서 고착되어 있다. 관통도체(4, 5)는, 콘덴서(2)에 형성된 관통구멍(211, 212) 및 접지금속부(1)에 형성된 관통구멍(112)의 내부를 관통하고 전극(213, 214)에 전극접속체(12, 13)를 통해 도통접속되어 있다.
바깥쪽 절연수지(7)는, 접지금속부(1)의 한쪽면에서 콘덴서(2)의 둘레에 충전되어, 유전체자기(210)의 표면에 밀착하고 있다. 안쪽 절연수지(8)는, 접지금속부(1)의 다른 면에 있어서 콘덴서(2)의 관통구멍(211, 212)내에 충전되어, 유전체자기(210)의 표면에 밀착하고 있다. 바깥쪽 절연수지(7)는, 브롬계의 난연제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에폭시수지로 구성되고, 상기 브롬계 난연제는, 브롬화 방향족 글리시딜에테르이다.
절연튜브(10, 11)는, 관통도체(4, 5)의 관통구멍(211, 212)내에 위치하는 부분에 씌워 설치된다.
절연케이스(6) 및 절연 커버(9)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혹은 변성멜라민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절연케이스(6)는 접지금속부(1)의 돌출부(111)의 바깥둘레에 끼워 넣어지고 있다. 절연 커버(9)는 접지금속부(1)의 돌출부(111)의 안둘레에 끼워 넣어지고 있다. 바깥쪽 절연수지(7)는 절연케이스(6)의 내부에 충전되고, 안쪽절연수지(8)는 절연 커버(9)의 안쪽, 접지금속부(1)에 구비된 돌출부(111)의 안쪽 및 콘덴서(2)의 관통구멍(211, 212)내에 충전되어 있다.
콘덴서(2)를 구성하는 유전체자기(210)의 조성은 잘 알려져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BaTiO3-BaZrO3-CaTiO3-MgTiO3를 주성분으로 하고, 일종 또는 복수종의 첨가물을 포함하는 조성을 들 수 있다.
콘덴서(2)는, 전극(215)이 접지금속부(1)의 한면상에 고착되고, 접지금속부(1) 상(上)에 구비되어 있다. 관통도체(4, 5)는, 콘덴서(2) 및 접지금속부(1)를 관통하고 전극(213, 214)에 도통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전자렌지의 마그네트론에 사용한 경우, 관통도체(4, 5)를 급전단자로 하여 이 관통도체(4, 5)와, 어스전위가 되는 접지금속부(1)와의 사이에 콘덴서(2)를 접속하여, 관통도체(4, 5)를 지나는 노이즈를 콘덴서(2)의 필터작용에 의해서 흡수하는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를 얻을 수 있다.
접지금속부(1)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멍(112)을 가지며, 콘덴서(2)는 유전체자기(210)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멍(211, 212)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어스에 대하여 고전위가 되는 관통도체(4, 5)를, 어스전위가 되는 접지금속부(1) 및 콘덴서(2)의 전극(215)과의 사이에서, 관통구멍(211, 212)에 의한 충분한 전기절연을 확보할 수가 있다.
절연수지(7, 8)가 콘덴서(2)의 주위에 충전되어 있기 때문에, 고온부하시험이나 내습부하시험 등의 신뢰성시험 또는 고온다습의 환경에서 사용된 경우 등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술한 일반적 구조에 있어서, 절연케이스쪽의 절연수지로서, 브롬계의 난연제를 포함하는 에폭시수지를 사용하며, 브롬계의 난연제는, 브롬화 방향족 글리시딜에테르를 사용한 점에 있다. 브롬화 방향족 글리시딜에테르는 액상(液狀)이지만, 함유하는 입자가 촘촘하기 때문에, 입자의 침강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절연수지계면의 밀착성이 유지된다.
이 때문에, 절연케이스(6) 및 접지금속부(1)와, 케이스쪽의 내부에 충전된 절연수지와의 사이의 계면에 있어서의 접착력 및 콘덴서(2)와 그 주위에 충전된 절연수지와의 사이의 계면에 있어서의 접착력이 증대하기 때문에, 절연수지의 경화수축, 또는, 사용시에 유전체자기(210)의 전왜현상이 생기더라도, 그 기계적 스트레스에 충분히 견딜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절연케이스 및 접지금속부와, 케이스쪽의 내부에 충전된 절연수지와의 사이의 계면 및 콘덴서와 그 주위에 충전된 절연수지와의 사이의 계면박리를 저지하고, 특성열화 및 전기적 단락을 피할 수 있도록 한 고신뢰도의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시험데이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는, 브롬계의 난연제로서 브롬화 방향족 글리시딜에테르를 포함하는 에폭시수지를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브롬함유량은, 브롬화 방향족 글리시딜에테르에 대하여 40∼60wt%, 에폭시수지전체(충전제도 포함한다)에 대하여 2∼6wt%이 되도록 조제하였다. 브롬화 방향족 글리시딜에테르의 분자량은 200∼400이다.
다른 한편, 비교예의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는, 첨가형 난연제 헥사브로모벤젠을 포함하는 에폭시수지를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1. 고온부하시험
상술의 절연수지를 사용하여, 도 1, 도 2에 도시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의 샘플을 각각 10개 제작하여 고온부하시험을 하였다. 고온부하시험은, 항온조내에 샘플을 수용하여 온도를 120℃로 유지하고, DC15kV의 전압을 연속 인가하여, 고장이 발생하기까지의 시간을 계측하였다. 표 1은, 고온부하시험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표 1 고온부하시험결과
시험조건 120℃-DC15kV(n=각 10) 단위 : 시간(hour)
샘플 No 1 2 3 4 5 6 7 8 9 10
비교예 37 50 56 68 98 156 244 278 334 454
실시예 1165 1190 1190 1190 1190 1192 1192 1282 1282 1501
표 1에 의해, 실시예의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는, 비교예에 대하여, 고장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이 2.6∼40배 늘어나고 있으며, 신뢰성이 향상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2. 교류파괴전압시험
상술의 절연수지를 사용하여, 도 1, 도 2에 도시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의 샘플을 각각 20개 제작하여 교류파괴전압시험을 하였다. 교류파괴전압시험은, 상온에서 샘플에 주파수 50Hz의 정현파교류전압을 인가하여, 0 V에서부터 서서히 상승시켜, 파괴에 이르렀을 때의 전압을 측정하였다. 표 2는, 교류파괴전압시험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표 2에 나타낸 교류파괴전압시험결과의 분포도이다.
표 2 교류파괴전압시험결과
시험항목 단위 : kV
실시예 비교예
샘플 No. AC파괴전압 AC파괴전압
1 29.6 19.6
2 31.0 24.5
3 31.8 25.7
4 32.2 28.9
5 33.1 29.0
6 33.3 29.2
7 33.3 30.1
8 34.3 30.1
9 34.3 30.4
10 35.1 31.5
11 36.6 32.3
13 37.8 33.4
13 38.1 33.8
14 38.2 33.9
15 38.9 33.9
16 38.9 34.0
17 39.4 34.4
18 39.7 35.8
19 41.3 36.1
20 42.3 39.3
min 29.6 19.6
max 42.3 39.3
ave 36.0 31.3
σ 3.6 4.5
ave + 3σ 46.8 44.8
ave - 3σ 25.1 17.8
표 2에 의하면, 실시예의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는, 평균파괴전압(ave)이, 36.0kV이고, 비교예의 평균파괴전압(ave)이 31.3kV보다 약 5kV 높다. 또한, 파괴전압의 표준편차σ는, 실시예에서는 3.6kV이며, 비교예의 4.5kV보다도 낮고, 격차가 작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신뢰성의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파괴모드에 대하여 검토하면, 실시예의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는, 세라믹바탕(素地) 홈부에서의 파괴수가 저하하고 있다. 이것은, 유전체자기소체와 절연수지와의 밀착성의 향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1, 도 2에 도시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의 단면·수지단면의 확대사진, 및, 상기 절연수지의 시험편의 단면·수지단면의 확대사진을 검토한 바, 실시예의 난연제의 입자(응집도 포함한다)는, 비교예의 입자보다도 촘촘하고, 유전체자기소체와 절연수지와의 밀착성이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해, 절연 케이스 및 접지금속부와, 각각의 내부에 충전된 절연수지와의 사이의 계면에 있어서의 접착력 및 콘덴서와 그 주위에 충전된 절연수지와의 사이의 계면에 있어서의 접착력을 증대시켜, 양자사이의 계면박리를 저지하여 특성열화 및 전기적 단락을 피할 수가 있다.
실시예에 사용한 절연수지에 있어서, 브롬화 방향족 글리시딜에테르의 분자량은 200∼400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를 필터로서 조립한 마그네트론의 부분파단면도로, 15는 음극스템, 16은 필터 박스, 17, 18은 인덕터, 19는 인덕터(17, 18)와 함께 필터로서 사용된 본 발명에 관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이다. 필터 박스(16)는 음극스템(15)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19)는, 필터박스(16)의 측면판(161)에 형성한 관통구멍을 통해서, 바깥쪽 절연수지(7)가 외부로 나오도록 관통하여 설치되고, 접지금속부(1)의 부분에서, 필터 박스(16)의 측면판(161)에 형성하여 고정되어 있다. 인덕터(17, 18)는 필터 박스(16)의 내부에 있어서, 음극스템(15)의 음극단자와,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19)의 관통도체(4, 5)와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21은 냉각핀, 22는 가스켓, 23은 RF출력단, 24는 자석이다.
전자렌지의 마그네트론을 발진시키기 위해서, 상용주파수 또는 20kHz∼40kHz의 주파수를 가지는 4kV0-p 정도의 전압이,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19)의 관통도체(4, 5)에 공급된다. 공급된 고전압은, 관통도체(4, 5)로부터 인덕터(17, 18)를 통해서 마그네트론에 공급된다. 관통도체(4, 5)를 지나는 노이즈는 콘덴서(2) 및 인덕터(17, 18)의 필터작용에 의해서 흡수된다.
또한, 절연수지(7, 8)가 콘덴서(2)의 주위에 충전되어 있기 때문에 고온다습의 환경인 전자렌지에 사용된 경우에도, 충분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19)는, 도 1, 도 2를 사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절연수지로서, 브롬계의 난연제를 포함하는 에폭시수지를 사용하고, 브롬계의 난연제는, 브롬화 방향족 글리시딜에테르를 사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절연수지의 계면에 있어서의 접착력을 증대시켜, 계면박리를 저지하여, 특성열화 및 전기적 단락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내습성능이 높고, 고온다습의 환경인 전자렌지에 사용된 경우, 더욱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당업자라면, 그 기본적 기술사상 및 교시에 기초하여, 여러가지 변형예를 도출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절연케이스 및 접지금속부와, 케이스쪽의 내부에 충전된 절연수지와의 사이의 계면에 있어서의 접착력 및 콘덴서와 그 둘레에 충전된 절연수지와의 사이의 계면에 있어서의 접착력을 증대시켜, 양자사이의 계면박리를 저지하여, 특성열화 및 전기적 단락을 피할 수 있도록 한 고신뢰도의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를 제공할 수가 있다.
(b)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를 필터로서 조립한 고신뢰도의 마그네트론을 제공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표 2에 나타낸 교류파괴전압시험결과의 분포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를 조립한 마그네트론의 부분파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접지금속부 2 : 콘덴서
4, 5 : 관통도체 6 : 절연케이스
7 : 바깥쪽 절연수지 8 : 안쪽 절연수지
9 : 절연커버 10, 11 : 절연튜브

Claims (4)

  1. 적어도 1개의 접지금속구와, 적어도 1개의 콘덴서와, 적어도 1개의 관통도체와, 적어도 1개의 절연튜브와, 적어도 1개의 절연케이스와, 절연수지를 포함하는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로서,
    상기 접지금속부는, 한쪽면에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한쪽면에서 다른쪽면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 및 상기 관통구멍에 연속하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콘덴서는, 관통구멍을 가진 유전체자기를 포함하고, 상기 유전체자기의 상기 관통구멍의 개구하는 양면에 전극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극의 한쪽이 상기 접지금속부의 상기 한면상에 고착되어 있고,
    상기 관통도체는, 콘덴서 및 상기 접지금속부를 관통하고, 상기 전극의 다른쪽에 도통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절연튜브는, 상기 관통도체에 씌워져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절연케이스는, 상기 접지금속부의 한쪽면에 구비되고, 일끝단이 상기 돌출부의 상기 바깥둘레에 끼워 넣어져 있고,
    상기 절연수지는, 상기 절연케이스의 내부 및 상기 접지금속부의 상기 내부공간에 충전됨과 동시에, 상기 콘덴서의 주위에 충전되어 있으며,
    상기 절연케이스쪽의 절연수지는, 브롬계의 난연제를 포함하는 에폭시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브롬계 난연제는, 브롬화 방향족 글리시딜에테르인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수지의 브롬함유량은, 에폭시수지전체(충전제도 포함한다)에 대하여 2∼6wt%이고, 브롬화 방향족 글리시딜에테르에 대하여 40∼60wt%이며, 상기 브롬화 방향족 글리시딜에테르의 분자량은 200∼400인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3.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를 필터로서 조립한 마그네트론으로서,
    상기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는 제 1 항에 기재된 것으로 이루어지는 마그네트론.
  4.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를 필터로서 조립한 마그네트론으로서, 상기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는 제 2 항에 기재된 것으로 이루어지는 마그네트론.
KR1020040062154A 2003-09-29 2004-08-06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및 마그네트론 KR1008558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37947A JP2005109006A (ja) 2003-09-29 2003-09-29 高電圧貫通型コンデンサ及びマグネトロン
JPJP-P-2003-00337947 2003-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363A true KR20050031363A (ko) 2005-04-06
KR100855836B1 KR100855836B1 (ko) 2008-09-01

Family

ID=34386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2154A KR100855836B1 (ko) 2003-09-29 2004-08-06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및 마그네트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09590B2 (ko)
JP (1) JP2005109006A (ko)
KR (1) KR100855836B1 (ko)
CN (1) CN100472678C (ko)
TW (1) TWI3260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39146B2 (en) * 2001-02-15 2008-03-04 Integral Technologies, Inc. Low cost microwave over components manufactured from conductively doped resin-based materials
JP2006102624A (ja) * 2004-10-05 2006-04-20 Nitto Denko Corp 逆浸透膜及びその製造方法
JP4433198B2 (ja) * 2005-08-29 2010-03-17 Tdk株式会社 高電圧貫通型コンデンサ、及び、マグネトロン
CN112018390B (zh) * 2020-07-17 2021-09-14 清华大学 夹心电极及电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0524A (ja) 1990-06-07 1992-02-10 Fujitsu Ltd 演算装置
AU664383B2 (en) * 1991-08-27 1995-11-16 Tdk Corporation High-voltage capacitor and magnetron
KR960012310B1 (ko) * 1994-11-30 1996-09-18 대우통신 주식회사 자동차의 변속 장치
JP3473795B2 (ja) 1995-05-22 2003-12-08 Tdk株式会社 高電圧コンデンサ及びマグネトロン
GB9609641D0 (en) * 1996-05-09 1996-07-10 Pfizer Ltd Compounds useful in therapy
JP3248619B2 (ja) * 1999-03-05 2002-01-21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高電圧貫通型コンデンサ及びマグネトロン
JP3803258B2 (ja) * 2000-04-03 2006-08-02 Tdk株式会社 高電圧貫通型コンデンサ及びマグネトロ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04248A (zh) 2005-04-06
CN100472678C (zh) 2009-03-25
JP2005109006A (ja) 2005-04-21
TW200512777A (en) 2005-04-01
KR100855836B1 (ko) 2008-09-01
US20050073799A1 (en) 2005-04-07
TWI326096B (en) 2010-06-11
US6909590B2 (en) 2005-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2655B2 (en) Filter component for filtering an interference signal
JP3248619B2 (ja) 高電圧貫通型コンデンサ及びマグネトロン
KR100422714B1 (ko) 고전압콘덴서및마그네트론
CN101111994B (zh) 压电振荡元件及使用该压电振荡元件的压电振荡部件
US3243738A (en) Feed-through capacitor
JPH031517A (ja) 貫通コンデンサ
KR100855836B1 (ko)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및 마그네트론
US3443251A (en) Discoidal feed-through capacitors
JP2001351830A (ja) 高電圧貫通型コンデンサ及びマグネトロン
JP4297284B2 (ja) 高電圧貫通型コンデンサ、高電圧貫通型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及び、マグネトロン
JP4771103B2 (ja) 高電圧貫通型コンデンサ、高電圧貫通型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及び、マグネトロン
KR102468486B1 (ko) 진공 커패시터
US2545985A (en) High-frequency oscillator
JP2005217296A (ja) 高電圧貫通型コンデンサ、高電圧貫通型コンデンサ装置、及び、マグネトロン
US3404356A (en) Housing for a semiconductor diode
US3249834A (en) Capacitive component
JP4338040B2 (ja) 高電圧コンデンサ、高電圧コンデンサ装置、及び、マグネトロン
JPS5930522Y2 (ja) 高電圧貫通形コンデンサ
Blowers et al. Ceramic capacitors. Some recent developments
JP3690662B2 (ja) 高電圧貫通型コンデンサ及びマグネトロン
US3188442A (en) High frequency heating system
JPS5943717Y2 (ja) 貫通形コンデンサ
JP2698132B2 (ja) マグネトロン
JPH02220332A (ja) マグネトロン
JPS5815932B2 (ja) ジキコンデ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