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0643A - 저광택 외관을 갖는 열가소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저광택 외관을 갖는 열가소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0643A
KR20050030643A KR1020057001774A KR20057001774A KR20050030643A KR 20050030643 A KR20050030643 A KR 20050030643A KR 1020057001774 A KR1020057001774 A KR 1020057001774A KR 20057001774 A KR20057001774 A KR 20057001774A KR 20050030643 A KR20050030643 A KR 20050030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composition
thermoplastic molding
graft
rubber
gl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1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칭 올리버 창
알렌 알. 패드워
노르마 아이. 샌티아고
Original Assignee
란세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란세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란세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50030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064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4Polyadducts obtained by the diene synthe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Epoxy Res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라프트화 아크릴레이트 고무 (ASA) 및 광택 감소제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택 감소제는 (i) 그의 그라프트 상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에폭시드화 그라프트 고무 및 (ii) 분자당 2개 이상의 말단 일차 아민기를 갖는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이다. 광택 감소제는 (i) 및 (ii)의 반응 생성물로서 ASA에 혼입되거나, 별법으로 ASA, (i) 및 (ii)를 함유하는 블렌드의 열 가공 과정에서 (i)과 (ii)의 반응시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저광택 외관을 갖는 열가소성 조성물 {THERMOPLASTIC COMPOSITION HAVING LOW GLOSS APPEARANCE}
본 발명은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보다 특히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ASA 수지) 및 광택 감소제를 함유하는 블렌드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개요
그라프트화 아크릴레이트 고무 (ASA) 및 광택 감소제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광택 감소제는 (i) 그라프트 상에서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에폭시드화 그라프트 고무 및 (ii) 분자당 2개 이상의 말단 일차 아민기를 갖는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이다. 광택 감소제는 (i) 및 (ii)의 반응 생성물로서 ASA에 혼입되거나, 별법으로 ASA, (i) 및 (ii)를 함유하는 블렌드의 열 가공 과정에서 (i)과 (ii)의 반응시 형성될 수 있다.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로 제조된 생성물은 대개 광택이 있으나, 일부 용도에서 이는 바람직한 특성이 아니다. 특히, 컴퓨터 하우징, 키보드, 전기기구 및 자동차 부품과 같은 용도에서 저-광택 조성물이 상당히 요구되고 있다.
표면 엠보싱에 의한 광택의 제거가 실시되었지만, 이는 별개의 단계를 요구하며 비용이 든다. 더욱이, 후속 연마는 엠보싱된 무광택 표면을 제거하고 광택이 다시 나타나게 할 수 있다. 실리카, 실리케이트 또는 알루미네이트 또는 다른 유사하게 불활성인 광물과 같은 미분된 필터의 첨가는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의 광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입증되었으나, 이는 대개 성형품의 적어도 일부 물리적 및(또는) 기계적 특성, 가장 현저하게는 충격 강도의 수준의 바람직하지 않은 감소를 수반한다. 충격 강도에 대한 역효과 이외에, 대개 열 변성 온도의 상응하는 감소, 용접선 강도의 감소, 불충분한 기후 및 광 안정성, 및 다른 중요한 특성이 있다.
미국 특허 제4,460,742호에는 아크릴계 수지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 및 C1-4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와 방향족 비닐 및 C1-13-알킬 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의 가교 중합 생성물을 함유하는 성분을 함유하는 무광택 열가소성 수지가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4,894,416호에는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의 중합체와 블렌딩된 코어-쉘 ASA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수지를 함유하는 우수한 물성을 갖는 저광택 열가소성 블렌드가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5,580,924호에는 친전자 시약 및 산의 존재하에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SAN)를 배합하여 겔을 형성한 후, 생성된 겔을 폴리카르보네이트, SAN 및 ABS 그라프트 중합체와 혼합하여 감소된 광택을 갖는 PC/ABS/SAN 조성물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광택이 감소된 열가소성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이하, ASA 수지로 지칭됨)는 당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우수한 강도 및 뛰어난 내후성과 같은 많은 바람직한 특성을 갖는다. 이들 수지의 고광택을 감소시키려는 시도는 상기 논의된 단점을 가졌다. 따라서, 동시에 그의 기계적 특성의 수준을 유지하면서 ASA 수지의 광택을 감소시키는 것이 요망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a) ASA 수지 35 내지 99%,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97%, 가장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95%; 및
(b) 광택-감소제 1 내지 65%,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5%,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5% (%는 블렌드의 중량 기준임)의 블렌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조성물은 충격 강도, 인장 강도 및 우수한 열적 특성과 같은 바람직한 물성을 유지하면서 광택의 실질적 감소를 제공함이 밝혀졌다.
성분 (a)인 ASA 수지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는 충격 개질제로서 그라프트화 아크릴레이트 엘라스토머가 분산된 SAN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충격-개질된 실질적-열가소성 수지로서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ASA 성분은 그의 그라프트화 상에 에폭시기를 함유하지 않는다. 시판되는 유리한 ASA 수지는 가교된 (메트)아크릴레이트 엘라스토머, 가교된 SAN 공중합체 및 실질적 선형 SAN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α-메틸 스티렌 또는 비닐톨루엔과 같은 메틸화 스티렌은 스티렌의 전부 또는 일부 대신 사용될 수 있다.
ASA 수지는 유화 또는 벌크 중합을 비롯한 다양한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ASA 유형의 바람직한 수지는 코어-쉘 구조의 것이며, 이 구조는 당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고,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3,944,631호에 보다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이 수지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엘라스토머 코어 부분은 알킬, 아릴, 또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아릴알킬 에스테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지의 코어-쉘 부분은 (메트)아크릴레이트 엘라스토머 코어 (대개 다관능성 비닐 화합물과 약간 가교됨)를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또는 유사한 비닐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열가소성 쉘과 그라프트화시키는 2-단계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그 후, 코어-쉘 구조를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또는 유사한 비닐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와 같은 비가교된 중합체와 블렌딩하여 ASA 수지를 형성한다.
가장 바람직한 ASA 수지는 코어-쉘 충격 개질제와 중합되고 블렌딩된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의 비가교된 매트릭스 약 15 내지 약 85%, 전형적으로 가교된 (메트)아크릴레이트 엘라스토머 코어 약 10 내지 50% 및 가교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쉘 약 5 내지 약 35%를 함유한다.
적합한 가교제의 예로는 디알릴 푸마레이트 및 디알릴 말레에이트와 같은 다관능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를 들 수 있다. 쉘 및 코어는 상호침투성 분자 망상를 가짐으로써 연결된다고 믿어지며, 공중합체라는 용어는 이러한 망상체를 갖는 생성물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다른 ASA 수지는 미국 특허 제3,655,824호; 동 제3,830,878호; 동 제3,991,009호; 동 제4,433,102호; 동 제4,442,263호 및 동 제4,409,363호에 개시된 유형이며, 상기 특허 모두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된다. 이 ASA 수지는 우수한 충격, 열 변성 및 내후성을 갖는 열가소물을 생성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3개의 단량체, 즉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스티렌 (또는 α-메틸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을 사용한다. 이들은 주로 제조 방법에서, 그리고 필수적인 고무 상 및 존재할 경우 중간상의 상세한 구조에서 다르다. 한 부류로서, ASA 수지는 그의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의 외부 연속상의 관점에서 비교적 유사한 블렌딩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광택 감소제는
(i) 그 구조가 그라프트 베이스 및 그라프트 상을 포함하며, 그라프트 베이스는 바람직하게는 디엔, 아크릴레이트 및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고무를 함유하고; 다수의 에폭시 관능기를 갖는 그라프트 상은 (a) 에폭시 관능기를 함유하지 않는 1종 이상의 비닐 단량체 및 (b) 1종 이상의 에폭시 관능성 비닐 단량체의 중합 생성물인 에폭시드화 그라프트 고무와
(ii) 분자당 2개 이상의 말단 일차 아민기를 갖는 화합물과의 반응 생성물이다. 광택 감소제는 별법으로 조성물의 열 가공 과정에서 예비-반응된 형태로 반응물로서 조성물에 혼입되어 광택 감소제를 형성할 수 있다.
에폭시 관능기가 없는 적합한 비닐 단량체 중에서 언급될 수 있는 것은 에틸렌, 프로필렌,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비닐 아세테이트이다. 적합한 에폭시 관능성 비닐 단량체의 예로는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알킬 글리시딜 에테르를 들 수 있다.
그라프트화 고무 반응물의 입도는 0.05 내지 20 ㎛,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 ㎛, 가장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 ㎛이다. 그라프트 베이스 (이하에서 때때로 고무 기재로 지칭됨)는 고무 기재 및 그라프트 상의 중량비가 100:10 내지 100:200, 바람직하게는 100:20 내지 100:150,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30 내지 100:100인 중합체 그라프트 상과 그라프트화된다.
바람직한 에폭시드화 그라프트 고무는 그라프트 기재로서 폴리(부틸 아크릴레이트) 고무 및 그라프트 상으로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그라프트화 고무이다.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는 그라프트 상의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5%의 수준으로 그라프트화 상에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 반응물로서 적합한 바람직한 아민 화합물은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에테르로부터 유도된 구조 요소, 및 분자당 2개 이상의 말단 일차 아민 관능기를 함유한다. 바람직한 구조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부터 유도된 구조 단위를 함유하며,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아민 화합물은 폴리프로필렌 옥시드로부터 유도된 구조 단위를 함유한다. 적합한 아민 화합물의 수 평균 분자량은 500 내지 10000,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8000, 가장 바람직하게는 4000 내지 6000 g/mol이며, 상기 화합물은 분자당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개, 가장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개의 말단 일차 아민 관능기를 함유한다. 가장 바람직한 아민 화합물은 4000 내지 6000의 분자량을 갖고 분자당 3개의 말단 일차 아민 관능기를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옥시드이다.
광택 감소제를 생성하는 (i) 및 (ii)의 반응은 통상적이다.
광택 감소제는 또한 예비-반응된 반응물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혼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충분한 양의 그라프트화 고무 및 아민 화합물을 열가소성 가공 조건하에서 ASA 수지와 함께 블렌딩시켜 본 발명의 광택 감소제를 형성한다.
유효량의 광택 감소제는 일반적으로 ASA 및 광택 감소제의 블렌드의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65%,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5%,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5%이다. 이보다 적은 양은 불충분한 광택 감소를 유발하고, 이보다 많은 양은 과도하게 비용이 들며 블렌드 또는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의 물성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의 당업계에 알려진 기능에 대한 첨가제를 포함시킴으로써 개질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예로는 필터 (예를 들어 점토 또는 활석), 강화제 (예를 들어 유리 섬유), 충격 개질제, 다른 열가소성 수지, 가소제, 유동 촉진제 및 다른 가공 보조제, 안정화제, 착색제, 이형제, 난연제, 자외선 선스크리닝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는 ASA 수지를 예비-제조된 반응 생성물과, 또는 별법으로 조성물의 열가소성 가공 과정에서 반응하는 예비-반응된 반응물과 블렌딩하여 광택 감소제를 형성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느 실시양태에서도, 블렌딩은 통상의 수단 및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하기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블렌딩 또는 혼련은 밴버리 (Banbury) 혼합기 또는 압출기와 같은 기계에 의해, 또는 별법으로 용매 블렌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첨가 순서는 중요하지 않지만, 성분은 완료될 반응에 기여하는 시간 및 온도 조건하에서 함께 철저하게 블렌딩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잘 이해될 것이며, 이는 제한적이라기보다 예시의 목적으로 제시되고,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 고려되는 최선의 형태를 설명한다.
예시된 조성물의 특성을 하기 설명된 바와 같이 측정하였다:
MFI - 용융 유동 지수를 지칭하며 (단위 g/10분), 220℃에서 10 kg의 하중하에서 ASTM D1238에 따라 측정한다.
MMP - 성형 공동 99%를 충전하는데 필요한 성형 압력을 지칭하며, psi로 표시고, 490℉에서 측정한다.
충격 강도 - 이조드 (Izod) 충격 강도 (시편 두께 1/8" 및 1/2")를 지칭하며, ft-lbs./in.로 표시되고, 실온 (RT) 및 -30℃에서 ASTM D256에 따라 측정하였다. 측정된 샘플은 6.35 cm x 1.27 cm x 지시된 두께이다.
인장 특성: 실온에서 크로스-헤드 속도가 5 mm/분인 인스트론 (Instron) 유니버셜 기계를 사용하여 ASTM D-638에 따라 측정한다. 제I형 인장 바를 사용하였다.
광택도 (20°및 60°에서)는 실온에서 ASTM D523에 설명된 방법에 따라 가드너 (Gardner) 광택계를 사용하여 성형된 플라크 ((10.2 x 7.6 x 0.32 cm) 상에서 측정하였다.
휨 특성: 실온에서 크로스-헤드 속도가 0.05 in/분인 인스트론 (Instron) 유니버셜 기계를 사용하여 ASTM D-790에 따라 측정한다. 측정된 샘플은 6.35 x 1.27 x 3.18 cm이다.
하기 실시예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조성물은 ASA 고무, SAN, 광택 감소제, 및 통상의 첨가제를 기초로 하였다. 통상의 첨가제는 발견과 무관하며, 본 발명에 중요하지 않다.
조성물의 혼합 및 시험 시편의 성형을 하기 요약된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배합
압출기 아메리칸 라이스트리츠 (American Leistritz) 30-mm 이중-스크류 압출기
용융 온도 설정: 대역-1 내지 10 (다이)에 대해 200℃에서 240℃로 증가
스크류 속도 250 rpm
주입 성형
성형기 엥겔 80-톤 (Engel 80-Ton)
용융 온도 설정: 대역-1 내지 4 및 노즐에 대해 485℉
성형 온도 설정: 150℉
주입 시간 1.8초*
* 실시예 5 내지 8은 또한 표에서 "저속"으로 지칭된, 주입 시간이 8초인 가동을 포함한다.
예시된 조성물에 사용된 ASA 고무는 0.4 마이크론 및 0.15 마이크론의 바이모달 (bimodal) 입도 분포를 초래하는 부틸 아크릴레이트 고무의 블렌드였다. 블렌드의 성분 둘 다는 코어-쉘 구조화된 고무 기재 상에 그라프트화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를 포함하였다. 코어는 스티렌을 함유하며, 쉘은 가교된 폴리(부틸 아크릴레이트)이다. 코어/쉘 구조는 본 발명을 이루는 발견에 대한 물질인 것으로 믿어진다. 고무 대 그라프트화 SAN의 중량비는 약 100:80이고, 그라프트 상에서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의 중량비는 약 70/30이었다.
SAN은 스티렌 68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32 중량%를 함유하였으며,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8 kg/몰이었다.
예시된 조성물에서 광택 감소제는 조성물의 중량 (ASA 수지 및 광택 감소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지시된 %의 반응물의 반응 생성물이었다. 에폭시드화 그라프트 고무는 그라프트 베이스로서 폴리(부틸 아크릴레이트) 고무 및 그라프트 상으로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가졌다.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는 그라프트 상의 중량을 기준으로 1%의 수준이었다. 에폭시드화 그라프트 고무의 평균 입도는 0.5 ㎛였다. 에폭시드화 그라프트 고무에서 폴리(부틸 아크릴레이트)의 중량%는 약 75%였다. 에폭시드화 그라프트 고무는 롬 앤 하스 (Rohm and Haas)에서 파라로이드 (Paraloid) EXL 2314로서 공급되었다.
예시된 트리아민 화합물은 약 5000 g/몰 분자량의 일차 폴리(프로필렌 옥시드) 트리아민이었다.
예시된 디아민 화합물은 약 2000 g/몰 분자량의 일차 폴리(프로필렌 옥시드) 디아민이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ASA 성분 및 에폭시드화 그라프트 고무에서 고무의 총량은 실시예 1 내지 4 및 5 내지 8에서 각각 40% 및 39%이며, 여기서 %는 조성물의 중량 (ASA 수지 및 광택 감소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4에서 각각의 조성물은 옥타데실-3,5-디-ter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 항산화제 - 0.3 pph; 에틸렌 비스 스테아르아미드 - 유동 보조제 - 3.0 pph; 및 실리콘 오일 - 윤활제 - 0.1 pph를 함유하였다. 또한, 각각에는 카본 블랙을 함유하는 색 농축물 4.3 pph (농축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25%) 및 SAN 공중합체 75 중량% (아크릴로니트릴 31 중량%)가 포함되었으며, 여기서 pph는 조성물의 중량 (ASA 수지 및 광택 감소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실시예 5 내지 8에서 각각의 조성물은 옥타데실-3,5-디-ter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 0.1 pph; 에틸렌 비스 스테아르아미드 - 1.0 pph; 및 실리콘 오일 - 0.1 pph를 함유하였으며, 여기서 pph는 조성물의 중량 (ASA 수지 및 광택 감소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첨가된 성분 중 어느 것도 본 내용에서 중요성을 갖는 것으로 생각되지 않는다.
평가 결과를 요약한 하기 표에서, ASA 고무, SAN, 에폭시드화 그라프트 고무 및 아민 화합물의 지시된 양은 중량%이다.
실시예 1
명백히, A-1으로 나타내어지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광택도 값 (20°)은 본 발명의 광택 감소제를 혼입할 때 훨씬 감소된다. 제제를 함유하지 않지만 반응물 중 하나를 함유하는 상응하는 조성물 (A-0-1; A-0-2 및 A-0-3)은 보다 높은 광택도 값을 나타낸다.
실시예 2
명백히, B-1으로 나타내어지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광택도 값 (20°)은 본 발명의 광택 감소제를 혼입할 때 훨씬 감소된다. 제제를 함유하지 않지만 반응물 중 하나를 함유하는 상응하는 조성물 (B-0-1; 및 B-0-2)은 보다 높은 광택도 값을 나타낸다.
실시예 3
C-1 및 C-2로 나타내어지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광택도 값 (20°)은 본 발명의 광택 감소제를 혼입할 때 훨씬 감소된다. 제제를 함유하지 않지만 반응물 중 하나를 함유하는 상응하는 조성물 (C-0-1 및 C-0-2)은 보다 높은 광택도 값을 나타낸다.
실시예 4
D-1으로 나타내어지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광택도 값 (20°)은 본 발명의 광택 감소제를 혼입할 때 훨씬 감소된다. 제제를 함유하지 않지만 반응물 중 하나를 함유하는 상응하는 조성물 (D-0-1 및 D-0-2)은 보다 높은 광택도 값을 나타낸다.
실시예 5
명백히, E-1으로 나타내어지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광택도 값 (20°)은 본 발명의 광택 감소제를 혼입할 때 훨씬 감소된다. 제제를 함유하지 않지만 반응물 중 하나를 함유하는 상응하는 조성물 (E-0-1 및 E-0-2)은 보다 높은 광택도 값을 나타낸다. 광택성 및 비-광택성 외관 사이의 보다 쉬운 구별은 보다 저속의 주입 속도에 의해 가능하며, 또한 낮은 주입 속도에서 광택도 값은 보다 낮다.
실시예 6
F-1, F-2 및 F-3으로 나타내어지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광택도 값 (20°)은 본 발명의 광택 감소제를 혼입할 때 훨씬 감소된다. 제제를 함유하지 않지만 반응물 중 하나를 함유하는 상응하는 조성물 (F-0-1 및 F-0-2)은 보다 높은 광택도 값을 나타낸다.
실시예-7
G-1, G-2 및 G-3으로 나타내어지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광택도 값 (20°)은 본 발명의 광택 감소제를 혼입할 때 훨씬 감소된다. 제제를 함유하지 않지만 반응물 중 하나를 함유하는 상응하는 조성물 (G-0-1 및 G-0-2)은 보다 높은 광택도 값을 나타낸다.
실시예 8
H-1, H-2 및 H-3으로 나타내어지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광택도 값 (20°)은 본 발명의 광택 감소제를 혼입할 때 훨씬 감소된다. 제제를 함유하지 않지만 반응물 중 하나를 함유하는 상응하는 조성물 (H-0-1 및 H-0-2)은 보다 높은 광택도 값을 나타낸다.
본 발명을 예시의 목적으로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상세한 설명은 단지 상기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청구항에 의해 제한될 수 있는 바와 같은 것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개념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그에 대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4)

  1. (a) ASA 수지 35 내지 99%; 및 (b) 광택-감소제 1 내지 65% (%는 블렌드의 중량 기준임)의 블렌드를 포함하며,
    여기서, 광택 감소제는
    (i) 그 구조가 그라프트 베이스 및 그라프트 상을 포함하며, 그라프트 베이스는 다수의 에폭시 관능기를 함유하고, 그라프트 상은 다수의 에폭시 관능기를 함유하며 (a) 에폭시 관능기를 함유하지 않는 1종 이상의 비닐 단량체 및 (b) 1종 이상의 에폭시 관능성 비닐 단량체의 중합 생성물인 에폭시드화 그라프트 고무와
    (ii) 분자당 2개 이상의 말단 일차 아민기를 갖는 아민 화합물과의 반응 생성물인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a)가 45 내지 97%의 양으로 존재하고, (b)가 3 내지 55%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a)가 55 내지 95%의 양으로 존재하고, (b)가 5 내지 45%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고무가 디엔, 아크릴레이트 및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에폭시 관능기를 함유하지 않는 비닐 단량체가 에틸렌, 프로필렌,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비닐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에폭시 관능성 비닐 단량체가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알킬 글리시딜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에폭시드화 그라프트 고무의 평균 입도가 0.05 내지 20 ㎛인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에폭시드화 그라프트 고무의 평균 입도가 0.05 내지 10 ㎛인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에폭시드화 그라프트 고무의 평균 입도가 0.05 내지 5 ㎛인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그라프트 베이스 대 그라프트 상의 중량비가 100:10 내지 100:200인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그라프트 베이스 대 그라프트 상의 중량비가 100:20 내지 100:150인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그라프트 베이스 대 그라프트 상의 중량비가 100:30 내지 100:100인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에폭시드화 그라프트 고무가 그라프트 베이스로서 폴리(부틸 아크릴레이트) 고무 및 그라프트 상으로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그라프트화 고무인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가 그라프트 상의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5%의 수준으로 그라프트화 상에 존재하는 것인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아민 화합물이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에테르로부터 유도된 구조 요소를 함유하는 것인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16. 제1항에 있어서, 아민 화합물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부터 유도된 구조 요소를 함유하는 것인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17. 제1항에 있어서, 아민 화합물이 폴리프로필렌 옥시드로부터 유도된 구조 단위를 함유하는 것인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18. 제1항에 있어서, 아민 화합물의 수 평균 분자량이 500 내지 10000 g/mol인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19. 제1항에 있어서, 아민 화합물의 수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8000 g/mol인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20. 제1항에 있어서, 아민 화합물의 수 평균 분자량이 4000 내지 6000 g/mol인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21. 제1항에 있어서, 아민 화합물이 분자당 2 내지 5개의 말단 일차 아민 관능기를 함유하는 것인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22. 제1항에 있어서, 아민 화합물이 4000 내지 6000의 분자량을 갖고 분자당 3개의 말단 일차 아민 관능기를 함유하는 프로필렌 옥시드인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23. 그라프트화 아크릴레이트 고무 및
    (i) (i) 그 구조가 그라프트 베이스 및 그라프트 상을 포함하며, 그라프트 베이스는 고무를 함유하고, 그라프트 상은 2개 이상의 에폭시 관능기를 함유하며 그의 분자 구조에 (a) 에폭시 관능기를 함유하지 않는 1종 이상의 비닐 단량체 및 (b) 1종 이상의 에폭시 관능성 비닐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구조 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에폭시드화 그라프트 고무 및
    (ii) 분자당 2개 이상의 말단 일차 아민기를 갖는 아민 화합물
    을 용융 블렌딩하는 것을 포함하는, 저-광택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의 제조 방법.
  24. 제23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성물.
KR1020057001774A 2002-08-01 2003-07-24 저광택 외관을 갖는 열가소성 조성물 KR200500306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209,778 2002-08-01
US10/209,778 US6849687B2 (en) 2002-08-01 2002-08-01 Thermoplastic composition having low gloss appear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0643A true KR20050030643A (ko) 2005-03-30

Family

ID=31187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1774A KR20050030643A (ko) 2002-08-01 2003-07-24 저광택 외관을 갖는 열가소성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849687B2 (ko)
EP (1) EP1527134A1 (ko)
JP (1) JP2005534775A (ko)
KR (1) KR20050030643A (ko)
CN (1) CN100354363C (ko)
AU (1) AU2003256735A1 (ko)
CA (1) CA2494081A1 (ko)
WO (1) WO200401322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4517A1 (ko) * 2017-01-02 2018-07-05 (주)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성형품
WO2021045429A1 (ko) * 2019-09-06 2021-03-11 (주)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US11884810B2 (en) 2019-09-06 2024-01-30 Lg Chem,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36095B2 (en) * 2005-06-23 2013-05-07 Ppg Industries Ohio, Inc. Powder coating compositions, mid-gloss range coatings, related methods and substrates
KR100853432B1 (ko) 2006-03-24 2008-08-21 주식회사 엘지화학 기계적 물성 및 저광택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US8399101B2 (en) * 2006-09-19 2013-03-1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oughened poly(hydroxyalkanoic acid) compositions
KR100998875B1 (ko) * 2008-10-29 2010-12-08 제일모직주식회사 저광 특성이 우수한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 및 그 제조 방법
CN101407617B (zh) * 2008-11-21 2010-09-08 上海锦湖日丽塑料有限公司 一种高性能的挤出级asa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
EP2341090B1 (en) * 2009-12-31 2012-09-12 Cheil Industries Inc. Weatherable thermoplastic resin having excellent low gloss characteristic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1286503B1 (ko) * 2009-12-31 2013-07-16 제일모직주식회사 저광 특성이 우수한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01857701A (zh) * 2010-03-10 2010-10-13 上海锦湖日丽塑料有限公司 一种丙烯腈-丙烯酸酯-苯乙烯类树脂组合物及制备方法
CN101880490B (zh) * 2010-07-07 2012-02-15 宁波南海化学有限公司 一种消光固化剂、含消光固化剂的粉末涂料及其用途
KR20120076301A (ko) 2010-12-29 2012-07-09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열성과 내후성이 우수한 저광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469263B1 (ko) 2011-12-22 2014-12-05 제일모직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CN102786768A (zh) * 2012-08-09 2012-11-21 南京金杉汽车工程塑料有限责任公司 一种低光泽度abs树脂及其制备方法
CN102875948A (zh) * 2012-09-28 2013-01-16 新昌县绿泰塑胶有限公司 一种亚光型热塑性弹性体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4592666A (zh) * 2014-12-22 2015-05-06 上海普利特复合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低光泽、低气味asa材料及其制备方法
CN104558810A (zh) * 2014-12-30 2015-04-29 南京金杉汽车工程塑料有限责任公司 一种低光泽度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945593B1 (ko) 2016-08-26 2019-02-07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8460A (en) 1979-11-26 1981-07-17 Mitsubishi Rayon Co Ltd Matt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US4870131A (en) 1988-02-22 1989-09-26 Monsanto Company Low gloss molding composition
US4894416A (en) 1988-12-27 1990-01-16 General Electric Company Low gloss thermoplastic blends
TW222660B (ko) 1992-02-25 1994-04-21 Gen Electric
DE59310074D1 (de) * 1992-07-09 2000-08-17 Ciba Sc Holding Ag Härtbare Suspensionen auf Basis von Epoxidharzen
EP0693095A1 (en) 1993-04-08 1996-01-24 The Dow Chemical Company Low gloss polymer blend compositions
US6395828B1 (en) * 2001-09-26 2002-05-28 Bayer Corporation Low gloss ASA resi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4517A1 (ko) * 2017-01-02 2018-07-05 (주)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성형품
KR20180080382A (ko) * 2017-01-02 2018-07-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성형품
US10647847B2 (en) 2017-01-02 2020-05-12 Lg Chem,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molded part manufactured using the same
WO2021045429A1 (ko) * 2019-09-06 2021-03-11 (주)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US11884810B2 (en) 2019-09-06 2024-01-30 Lg Chem,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27134A1 (en) 2005-05-04
WO2004013224A1 (en) 2004-02-12
US6849687B2 (en) 2005-02-01
CN100354363C (zh) 2007-12-12
CN1678682A (zh) 2005-10-05
JP2005534775A (ja) 2005-11-17
US20040024122A1 (en) 2004-02-05
AU2003256735A1 (en) 2004-02-23
CA2494081A1 (en) 200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30643A (ko) 저광택 외관을 갖는 열가소성 조성물
US4885209A (en) Thermoplastic silicon rubber graft polymers (II)
KR20050085454A (ko) 고 유동성 엔지니어링 열가소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제품
KR20020038554A (ko) 중합체용 내충격성 개선제 배합물
KR910008775B1 (ko) 열가소성 폴리메타크릴이미드 수지 조성물
EP0332454A2 (en) A resin composition
EP1444296B1 (en) Low gloss asa resin
KR101409660B1 (ko) 내충격성과 색상이 우수한 내열 abs 수지 조성물
JPH08508783A (ja) 低光沢ポリマーブレンド組成物
JP2004189805A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CA2438015C (en) Weatherable resin compositions having low gloss appearances
US5516842A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thereof
KR20100076663A (ko) 폴리카보네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H02135255A (ja) 低光沢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S63221155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4502646A (ja) ポリカーボネート、スチレンターポリマー及びガラス繊維のポリマーブレンド
JPH0347858A (ja) 低光沢成形品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3500391B2 (ja) 難燃性樹脂組成物
JPH02129266A (ja) コアシェルポリマー及びこれを含む組成物
JPH0269547A (ja) ポリアミド及び(メタ)アクリルアミド樹脂共重合体から成る熱可塑性成形用配合物、並びにその製造法及び使用法
JPH09302194A (ja) ゴム変性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JPH03177453A (ja) ポリアミドおよびtert.―アルキルエステルの特殊なグラフトポリマーの成型材料
JPH0384054A (ja) 改良された降伏応力を有するabs成形材料
JPH02263852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4304256A (ja) 低光沢熱可塑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