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4200A - 마이크로 렌즈의 제조 방법, 마이크로 렌즈, 광학막,프로젝션용 스크린 및 프로젝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렌즈의 제조 방법, 마이크로 렌즈, 광학막,프로젝션용 스크린 및 프로젝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4200A
KR20050024200A KR1020040068996A KR20040068996A KR20050024200A KR 20050024200 A KR20050024200 A KR 20050024200A KR 1020040068996 A KR1020040068996 A KR 1020040068996A KR 20040068996 A KR20040068996 A KR 20040068996A KR 20050024200 A KR20050024200 A KR 20050024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ens
substrate
microlens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8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3370B1 (ko
Inventor
하세이히로노리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4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4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3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02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1/2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moulding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3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1/36Feeding the material on to the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29C67/02Moulding by agglome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365Production of micro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12Array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43Inhomogeneous or irregular arrays, e.g. varying shape, size, heigh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G03B21/625Lenticular translucent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을 확산시키는 마이크로 렌즈의 최적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광투과성을 갖는 기판(4) 위에 광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대략 볼록한 형상의 렌즈부(2)를 형성하는 공정과, 렌즈부(2)를 경화시키는 공정을 구비한 마이크로 렌즈의 제조 방법으로서, 렌즈부(2)를 형성하는 공정은, 복수의 렌즈부(2)가 기판(4) 위에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공정이다.

Description

마이크로 렌즈의 제조 방법, 마이크로 렌즈, 광학막, 프로젝션용 스크린 및 프로젝터 시스템{METHOD OF MANUFACTURING MICROLENS, MICROLENS, OPTICAL FILM, SCREEN FOR PROJECTION, AND PROJECTOR SYSTEM}
본 발명은 마이크로 렌즈의 제조 방법, 마이크로 렌즈, 광학막, 프로젝션용 스크린 및 프로젝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프로젝션용 스크린에 포함되는 렌티큘러 시트의 렌즈부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명 기판(4) 위에 반(半)원기둥 형상의 원주 렌즈(cylindrical lens)를 길이 방향이 평행으로 되도록 복수 나열한 형상의 것이며, 광을 길이 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작용이 있다. 이 때문에, 렌티큘러 시트의 렌즈부는 프로젝션용 스크린에 전사되는 화상 등의 시인(視認)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효과를 갖고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프로젝션용 스크린 정면 이외의 방향으로부터의 시인성(視認性)이 개선된 것이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2-31842호 공보(도 44)에 그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이 렌티큘러 시트의 렌즈부는 통상 금형(金型)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기에 의해 수지를 성형하여 제조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금형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렌티큘러 시트의 렌즈부(원주 렌즈(80))의 제조 방법에서는, 예를 들어, 50인치 등의 대형 프로젝션용 스크린에 대응한 것을 만드는 것은 기계설비의 대형화 및 비용 상승의 면에서 곤란했다. 또한, 다양한 크기의 렌티큘러 시트의 렌즈부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많은 금형을 보유해야만 하기 때문에, 보관 공간면 및 자금면 등에서도 부담이 크다. 또한, 렌티큘러 시트의 렌즈부의 원주 렌즈(80)는 광을 그 길이 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는 확산시키지만, 다른 방향으로의 확산이 작아, 전(全)방향의 시인성이 확보되지는 않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렌티큘러 시트의 렌즈부에, 복수의 미소(微小) 렌즈부를 연결하도록 하여 기판 위에 형성한 넓은 확산성을 갖는 마이크로 렌즈를 사용하고, 또한 각 미소 렌즈부를 액체방울 토출 장치에 의해 형성하는 마이크로 렌즈의 제조 방법, 마이크로 렌즈, 광학막, 프로젝션용 스크린 및 프로젝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 렌즈의 제조 방법은, 광투과성(光透過性)을 갖는 기판 위에 광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대략 볼록한 형상의 렌즈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렌즈부를 경화(硬化)시키는 공정을 구비한 마이크로 렌즈의 제조 방법으로서, 렌즈부를 형성하는 공정은, 복수의 렌즈부가 기판 위에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조 방법에 의하면, 기판의 전면(全面)에 걸쳐 렌즈부가 연결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렌즈부가 광확산성을 갖고, 기판 전체적으로 광확산성을 갖는 마이크로 렌즈를 제조할 수 있다. 이 마이크로 렌즈에 입사한 광은 렌즈부를 통과하여 균일하게 확산되고, 예를 들어, 프로젝션용 스크린에 적용하면, 프로젝션용 스크린의 정면으로부터뿐만 아니라 상하좌우 방향으로부터도 화상을 인식할 수 있는 프로젝션용 스크린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렌즈부를 형성하는 공정은, 액체방울 토출 장치로부터 광투과성 수지의 액체방울을 토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렌즈부는 액체방울 토출 장치로부터 액체방울을 토출하여 1개씩 소정수 형성하는 제조 방법이며, 액체방울 토출 장치의 제어에 의해 다양한 크기의 기판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렌즈부의 배열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액체방울 토출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배열로 렌즈부를 형성할 수 있다. 종래와 같이, 금형을 사용한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하는 것보다도 기판의 크기, 렌즈부 배열이 유연하며, 비용을 억제한 마이크로 렌즈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렌즈부를 형성하는 공정은, 렌즈부가 연결되어 연장되는 열(列)을 소정의 간격을 두어 복수열 형성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제 1 공정에서 형성한 렌즈부를 경화시키는 제 2 공정과, 제 1 공정에서 형성한 상기 복수열의 사이에 렌즈부가 연결되어 연장되는 열을 더 형성하는 제 3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 1 공정과 제 3 공정으로 나누어 렌즈부를 형성함으로써, 각 열 사이의 렌즈부가 필요 이상으로 서로 연결되어 렌즈부의 형상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공정과 제 3 공정에서 형성되는 렌즈부는, 각각 다른 광투과성 수지의 액체방울을 토출하는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렌즈부 형성을 2회로 나눌 뿐만 아니라, 토출하는 액체방울의 재종(材種)도 바꾸어, 각 렌즈부가 필요 이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정확한 형상을 갖는 렌즈부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액체방울을 토출하는 공정은, 광투과성 수지에 광확산성(光擴散性) 미립자를 혼합 분산시킨 액체방울을 토출하는 공정이며, 기판의 렌즈부를 형성하는 면에 발액(撥液) 처리를 실시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광투과성 수지에 광확산성 미립자를 혼합 분산시킴으로써, 렌즈부의 광확산성을 보다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기판면을 발액 처리함으로써, 기판 위에 토출된 액체방울이 보다 둥그스름한 형상으로 되어, 렌즈로서의 기능이 양호해진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 렌즈는, 광투과성을 갖는 기판과,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고 경화성의 광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대략 볼록한 형상의 렌즈부를 구비한 마이크로 렌즈로서, 복수의 렌즈부가 기판의 전면(全面)을 덮어 기판 위에서 각각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렌즈부는 다른 광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렌즈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광투과성 수지는 광확산성 미립자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판의 렌즈부를 형성하는 면은 발액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렌즈부가 기판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포인트이며, 렌즈부의 집합체가 면으로서 넓은 방향으로 균일하게 광을 확산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 렌즈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렌즈의 성능 향상을 위해, 렌즈부의 형성에 광확산성 미립자를 혼합시킨 광투과성 수지를 사용하여 보다 광확산성을 높이고, 기판면을 발액 처리하여 렌즈부의 양호한 볼록 형상을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광학막은, 광투과성을 갖는 기판이 광투과성을 갖는 시트(sheet) 또는 필름으로 이루어져 있고, 광투과성을 갖는 시트 또는 필름 위에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필름 위에 마이크로 렌즈를 형성함으로써, 넓은 광확산성을 갖고, 또한 불균일이 없는 균일한 광확산성을 갖는 광학막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젝션용 스크린은, 프레넬(fresnel) 렌즈와 렌티큘러(lenticular) 시트를 구비한 프로젝션용 스크린으로서, 렌티큘러 시트로서 상기 광학막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렌티큘러 시트에 마이크로 렌즈를 갖는 광학막을 사용함으로써, 투사되는 화상을 불균일이 없게 균일하게 표시하는 프로젝션용 스크린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젝터 시스템은, 광원(光源)과, 광원으로부터 사출(射出)되는 광의 광축(光軸) 위에 배치되어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변조(變調)하는 광변조 수단과, 광변조 수단에 의해 변조된 광을 결상(結像)하는 결상 광학계와, 결상 광학계에 의해 결상된 화상을 전사(轉寫)하여 투사상(投射像)을 형성하는 스크린을 구비한 프로젝터 시스템으로서, 스크린으로서, 상기 프로젝션용 스크린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프로젝션용 스크린에 표시된 화상을 넓은 방향으로부터 볼 수 있는, 시인성이 양호한 프로젝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마이크로 렌즈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마이크로 렌즈가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일례로서, 프로젝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프로젝션용 스크린에 대한 개략 설명을 행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젝터 시스템(70)은 프로젝터(71)와 프로젝션용 스크린(이하, 스크린이라고 기술함)(30)으로 이루어지고, 프로젝터(71)는 수은 램프 등의 광원(72)과, 광원(72)으로부터의 광을 액정 패널을 포함하는 액정 라이트 벌브(liquid crystal light bulb)로 유도하는 렌즈 그룹(75)과, 액정 패널을 투과하는 광을 변조하여 투사해야 할 화상으로서 송출하는 액정 라이트 벌브(광변조 수단)(73)와, 액정 라이트 벌브(73)를 투과한 광의 화상을 스크린(30)에 결상하는 결상 렌즈(결상 광학계)(74)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프로젝터 시스템(70)에 있어서, 스크린(30)에 투사된 화상을 보는 방식으로서, 프로젝터(71)와 동일한 측으로부터 스크린(30)에 투사된 상을 보는 프런트(front) 프로젝션 방식과, 프로젝터(71)의 반대측으로부터 스크린(30)을 투과한 상을 보는 리어(rear) 프로젝션 방식이 있으며,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리어 프로젝션 방식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프로젝터 시스템(70)은, 기본적으로 렌즈 그룹(75)에 의해 집광된 광원(72)의 광이 액정 라이트 벌브(73)의 액정 패널을 투과하여 액정 패널에 표시된 화상을 결상 렌즈(74)를 통과시켜 스크린(30)에 투사하는 시스템이다. 최근, 시스템을 소형화하기 위해 광의 통로에 미러나 프리즘을 설치하여 공간 절약을 도모한 타입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상이 투사되는 스크린(30)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 기재(基材)(31)와, 필름 기재(31) 위에 점착층(粘着層)(32)을 통하여 배치된 렌티큘러 시트(40)와, 또한 렌티큘러 시트(40) 위에 차례로 배치된 프레넬 렌즈(50)와, 산란막(60)을 갖는다. 렌티큘러 시트(40)는 투명 기판(4)과 투명 기판(4) 위에 형성된 마이크로 렌즈(1)로 이루어지고, 본 발명에서의 광학막(45)이다.
광학막은, 종래, 도 11과 같은 투명 기판(4)과 원주 렌즈(80)로 이루어지고, 광을 확산시켜 화상의 시인 범위를 넓히는 작용을 갖는다. 원주 렌즈(80) 대신에 본 발명의 마이크로 렌즈(1)를 구비한 광학막(45)은 제조 비용을 대폭으로 저감시킬 수 있고, 또한 광의 확산을 보다 넓힐 수 있는 것이다. 이후, 마이크로 렌즈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 렌즈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마이크로 렌즈(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명 기판(4)의 한쪽 표면에 복수의 렌즈부(2a)가 직선적으로 배치되고, 인접하는 렌즈부(2a)의 각각이 네킹부(3)에 의해 연결되어 형성되는 열(20a)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렌즈부(2b)가 렌즈부(2a)의 열(20a)과 접하도록 직선적으로 배치되고, 인접하는 렌즈부(2b)의 각각이 네킹부(3)에 의해 연결되어 형성되는 열(20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열(20a)과 열(20b)은 차례로 번갈아 배치되어 투명 기판(4)의 전면을 덮도록 하여 마이크로 렌즈(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마이크로 렌즈(1)의 제조 방법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액성을 갖는 투명 기판(4)의 표면에 후술하는 액체방울 토출 장치(100)의 토출 헤드(116)로부터 광투과성 수지의 대략 구형(球形)의 액체방울(10)이 토출되어, 투명 기판(4) 위에서 대략 반구(半球) 형상의 덩어리(11a)로 된다. 다음으로, 토출 헤드(116)가 투명 기판(4)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여, 덩어리(11a)와의 사이에 덩어리(11a)에 상당하는 간격을 두어 덩어리(11b)로 되는 액체방울(10)을 토출한다. 이하 동일하게, 차례로 직선상으로 덩어리(11)를 형성하여 간다. 다음으로, 각 덩어리를 경화 처리한 후,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덩어리(11a)와 덩어리(11b) 사이에 액체방울(10)을 토출하여 덩어리(11c)를 형성한다. 각 덩어리(11)는 렌즈부(2)로서 각각이 접하도록 토출 배치되어 있고, 인접하는 렌즈부(2)는 서로 연결되어 대략 반구 형상의 구형 두부(頭部)가 연결되어 단면(斷面)으로 보면 평평한 형상으로 된다. 이 상태를 평면적으로 나타낸 것이 도 3이며, 접하도록 배치된 각 렌즈부(2)의 접하고 있는 부분이 연결되어 네킹부(3)가 형성되어 있다. 각 렌즈부(2)가 네킹부(3)에 의해 연결되어 직선상으로 된 것이 열(20)이다. 열(20)은 직선상의 길이 방향 단면이 상술한 바와 같이 렌즈부(2)의 두부가 평평하게 연결된 형상이며, 길이 방향과 직각인 단면이 구면(球面)이다.
다음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명 기판(4) 위에 도 2의 (a)에서 설명한 공정에 따라, 렌즈부(2a)와 네킹부(3)에 의해 형성된 열(20a)을 일정한 간격을 두어 평행하게 복수열 배치한다. 이것이 렌즈부(2)를 형성하는 제 1 공정이다. 그리고, 복수 배치한 열(20a) 전체를 경화시키는 제 2 공정을 거쳐, 이미 투명 기판(4) 위에 복수 배치되어 있는 열(20a)의 사이에 렌즈부(2a)와 동일한 크기의 렌즈부(2b)의 열(20b)을 도 2의 (a)에서 설명한 공정에 따라 형성하는 제 3 공정을 행하여, 열(20a) 및 열(20b)이 투명 기판(4) 위의 전면에 형성된다. 그 후, 다시 경화 처리를 행한다. 도 4는 제 3 공정에서의 최초의 렌즈부(2b)를 형성하는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며, 열(20a)의 렌즈부(2a)에 대하여 렌즈부(2a)의 반경(半徑)(반피치) 치수만큼 열방향으로 어긋나 열(20a)의 네킹부(3)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상의 각 공정에 의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부(2a)에 의한 열(20a)과 렌즈부(2b)에 의한 열(20b)이 투명 기판(4) 위에 번갈아 형성된 마이크로 렌즈(1)가 완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액체방울(10)의 크기가 4pl(피코리터), 투명 기판(4) 위에 착탄되어 반구 형상으로 된 덩어리(11)의 직경이 30㎛인 설정에 의해, 투명 기판(4)의 크기에 맞춘 길이 및 열 수의 열(20)을 형성한다. 이들 설정은 후술하는 액체방울 토출 장치(100)를 제어함으로써 변경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마이크로 렌즈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렌즈부(2a)와 렌즈부(2b)는, 동일한 광투과성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하여도, 렌즈부(2a)를 경화 처리하고 나서 렌즈부(2b)를 형성하기 때문에, 함께 경화 처리하지 않은 렌즈부(2a)와 렌즈부(2b)가 네킹부(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혼합되는 상태로 되지는 않지만, 층 경계를 보다 명료하게 하기 위해 서로 다른 광투과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마이크로 렌즈(1)에 있어서, 열(20a, 20b)의 각 열이 도 11의 원주 렌즈(80)와 동일한 배열을 이루고 있으며, 또한 네킹부(3)가 형성되어 있는 것과 측면이 구면인 것에 의해, 광의 확산 방향이 원주 렌즈(80)보다도 다방향에 걸쳐 있다. 즉, 프로젝터 시스템(70)의 스크린(30)에 마이크로 렌즈(1)를 사용하면, 보다 넓은 시인성을 가진 스크린(30)으로 된다.
또한, 투명 기판(4)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스크린(30)용의 광학막(45)에 마이크로 렌즈(1)를 적용할 경우, 아세트산셀룰로오스나 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등의 광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투명 시트 또는 투명 필름이 사용된다. 또한, 투명 기판(4)으로서, 유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테르설폰, 비정질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광투과성 재료도 사용할 수 있다.
이 투명 기판(4)에 발액성을 부여하기 위해, 일례로서, 플라즈마 중합법에 의해 발액 처리를 행한다. 이 플라즈마 중합법은, 우선, 발액 처리를 위한 원료액을 준비하고, 원료액으로서는, C4F10이나 C8F18 등의 직쇄상 PFC로 이루어지는 액체 유기물이 적합하다. 이러한 원료액의 증기를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 의해 플라즈마화하면, 이 직쇄상 PFC의 증기는 플라즈마화됨으로써, 직쇄 PFC의 결합이 일부 절단되어 활성화된다. 이러한 결합의 일부가 절단되어 활성화된 PFC가 투명 기판(4)의 표면에 도달하면, 이들 PFC는 투명 기판(4) 위에서 서로 중합되어, 발액성을 갖는 불소 수지 중합막으로 된다. 또한, 발액 처리의 원료액으로서는, 예를 들어, 데카트리엔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 경우,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활성화시킨 CF4 또는 산소를 첨가함으로써, 얻어지는 중합막에 발액성을 부여할 수 있어, 발액성의 중합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발액 처리의 원료액으로서는, 플루오로카본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 경우, 플라즈마화에 의해 활성화된 CF4를 첨가함으로써, 플라즈마화에 의해 원료액인 플루오로카본 중의 불소의 일부가 이탈(離脫)되었다고 하여도, 상기 활성 불소가 얻어지는 중합막 중에 수용되기 때문에, 형성하는 불소 수지 중합막의 발액성을 높일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발액성을 갖는 투명 기판(4)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렌즈부(2a, 2b)를 형성하는 광투과성 수지로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디에틸렌글리콜비스아릴카보네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아릴계 수지, 메타크릴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불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등의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수지가 사용되고, 이들 중의 일종(一種) 또는 복수 종류가 혼합되어 사용된다. 또한, 상기 광투과성 수지에 비이미다졸계 화합물 등의 광중합 개시제를 배합함으로써, 이 광투과성 수지에 방사선 조사 경화성을 부여하여, 방사선 조사 경화형의 것으로 할 수 있다. 방사선은 가시광선, 자외선, 원자외선, X선, 전자선 등의 총칭이며, 특히 자외선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방사선 조사 경화성의 수지는, 토출되면 경화가 개시되기 시작하는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수지와 달리, 방사선 조사까지 경화되지 않기 때문에, 렌즈부(2)가 네킹부(3)에 의해 연결되어 각 렌즈부(2)의 두부를 평탄하게 연결시켜 열(20)로 하는 본 발명의 렌즈부(2) 형성에 보다 적합하다.
또한, 광투과성 수지로 형성된 렌즈부(2)의 광확산성을 높이기 위해, 광확산성 미립자를 혼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확산성 미립자로서는, 실리카, 알루미나, 티타니아, 탄산칼슘, 수산화알루미늄, 아크릴 수지, 유기 실리콘 수지, 폴리스티렌, 요소 수지, 포름알데히드 축합물 등의 미립자를 들 수 있고, 이들 중의 일종 또는 복수 종류가 혼합되어 사용된다. 그리고, 광확산성 미립자가 충분한 광확산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광투과성인 미립자의 굴절률이 광투과성 수지의 굴절률과 충분히 차가 있어야 한다. 이러한 광확산성 미립자는 광확산성 미립자 표면을 실리콘계, 불소 수지계 등의 계면활성제로 피복 처리하거나, 또는 용융 수지로 덮는 처리를 행함으로써, 광확산성 미립자의 광투과성 수지로의 분산성을 높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광확산성 미립자를 분산시킨 광투과성 수지의 유동성을 유지할 수 있어, 토출 헤드(116)로부터 양호하게 토출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마이크로 렌즈(1)의 형성에 사용하는 액체방울 토출 장치(10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액체방울 토출 장치(100)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체방울(10)을 토출하는 헤드부(110)를 갖는 헤드 기구부(102)와, 헤드부(110)로부터 토출된 액체방울(10)의 토출 대상인 워크(120)를 구비한 워크 기구부(103)와, 헤드부(110)에 액체방울(10)로 되는 광투과성 수지의 액체(133)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부(104)와, 이들 각 기구부 및 공급부를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05)로 되어 있다.
액체방울 토출 장치(100)는 플로어(floor) 위에 설치된 복수의 지지각(支持脚)(106)과, 지지각(106)의 상측에 설치된 정반(定盤)(107)을 구비하고 있다. 정반(107)의 상측에는 워크 기구부(103)가 정반(107)의 길이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워크 기구부(103)의 위쪽에는 정반(107)에 고정된 2개의 기둥에 의해 양쪽에서 지지되고 있는 헤드 기구부(102)가 워크 기구부(103)와 직교하는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정반(107)의 한쪽 단부 위에는 헤드 기구부(102)의 헤드부(110)로부터 연통(連通)하여 액체(133)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부(10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정반(107)의 하측에는 제어부(105)가 수용되어 있다.
헤드 기구부(102)는 액체(133)를 토출하는 헤드부(110)와, 헤드부(110)를 탑재한 캐리지(111)와, 캐리지(111)의 Y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Y축 가이드(113)와, Y축 가이드(113)의 하측에 Y축 방향으로 설치된 Y축 볼나사(115)와, Y축 볼나사(115)를 정역(正逆) 회전시키는 Y축 모터(114)와, 캐리지(111)의 하부에 있어, Y축 볼나사(115)와 나사 결합하여 캐리지(111)를 이동시키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캐리지 나사 결합부(112)를 구비하고 있다.
워크 기구부(103)는 헤드 기구부(102)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헤드 기구부(102)와 대략 동일한 구성에 의해 X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워크(120)와, 워크(120)를 탑재하고 있는 탑재대(121)와, 탑재대(12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X축 가이드(123)와, X축 가이드(123)의 하측에 설치된 X축 볼나사(125)와, X축 볼나사(125)를 정역 회전시키는 X축 모터(124)와, 탑재대(121)의 하부에 있어, X축 볼나사(125)와 나사 결합하여 탑재대(121)를 이동시키는 탑재대 나사 결합부(122)로 되어 있다.
또한, 헤드 기구부(102) 및 워크 기구부(103)에는, 헤드부(110)와 탑재대(121)가 이동한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도시 생략)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또한, 캐리지(111)와 탑재대(121)에는 회전 방향(소위 Θ축)을 조정하는 기구가 일체로 구성되어, 헤드부(110)의 중심을 회전 중심으로 한 회전 방향 조정 및 탑재대(121)의 회전 방향 조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헤드부(110)와 워크(120)는 각각 Y축 방향 및 X축 방향으로 왕복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다. 우선, 헤드부(110)의 이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Y축 모터(114)의 정역 회전에 의해 Y축 볼나사(115)가 정역 회전하고, Y축 볼나사(115)에 나사 결합하고 있는 캐리지 나사 결합부(112)가 Y축 가이드(113)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캐리지 나사 결합부(112)와 일체인 캐리지(111)가 임의의 위치로 이동한다. 즉, Y축 모터(114)의 구동에 의해, 캐리지(111)에 탑재한 헤드부(110)가 Y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탑재대(121)에 탑재된 워크(120)도 X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한다.
이와 같이, 헤드부(110)는 Y축 방향의 토출 위치까지 이동하여 정지하고, 아래쪽에 있는 워크(120)의 X축 방향 이동에 동조(同調)하여 액체방울(10)을 토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X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워크(120)와 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헤드부(110)를 상대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워크(120) 위에 소정의 묘화(描畵) 등을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헤드부(110)에 액체(133)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부(104)는, 헤드부(110)에 연통하는 유로(流路)를 형성하는 튜브(131a)와, 튜브(131a)로 액체를 보내는 펌프(132)와, 펌프(132)로 액체(133)를 공급하는 튜브(131b)(유로)와, 튜브(131b)에 연통하여 액체(133)를 저장하는 탱크(130)로 되어 있고, 정반(107) 위의 한쪽 끝에 배치되어 있다. 액체(133)의 보충 및 교환을 고려하면, 탱크(130)는 정반(107)의 상측 또는 아래쪽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배치상 헤드부(110)의 위쪽에 설치할 수 있으면, 펌프(132) 없이 1개의 플렉시블 튜브에 의해 탱크(130)와 헤드부(110)를 연결하여, 중력에 의해 액체의 자연 공급이 가능해진다.
헤드부(110)는 도 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토출 헤드(116)를 보유하고 있다. 여기서, 도 9의 (a)는 헤드부(110)를 탑재대(121) 측으로부터 관찰한 도면이다. 헤드부(110)에는 6개의 토출 헤드(116)로 이루어지는 열이 각각의 토출 헤드(116)의 길이 방향이 X축 방향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도록 2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액체(133)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 헤드(116)는 각각이 토출 헤드(116)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노즐 열(118, 119)을 갖고 있다. 1개의 노즐 열은 각각 180개의 노즐(117)이 일렬로 나열된 열을 의미하며, 이 노즐 열(118, 119)의 방향에 따른 노즐(117)의 간격은 약 140㎛이다. 2개의 노즐 열(118, 119) 사이의 노즐(117)은 각각 반피치(약 70㎛)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도 9의 (b)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토출 헤드(116)는 진동판(143)과 노즐 플레이트(144)를 구비하고 있다. 진동판(143)과 노즐 플레이트(144) 사이에는, 탱크(130)로부터 구멍(147)을 통하여 공급되는 액체(133)가 항상 충전되는 액체 저장소(145)가 위치하고 있다. 또한, 진동판(143)과 노즐 플레이트(144) 사이에는 복수의 격벽(141)이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진동판(143)과 노즐 플레이트(144)와 한 쌍의 격벽(141)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이 캐비티(140)이다. 캐비티(140)는 노즐(117)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캐비티(140)의 수와 노즐(117)의 수는 동일하다. 캐비티(140)에는 한 쌍의 격벽(141) 사이에 위치하는 공급구(146)를 통하여 액체 저장소(145)로부터 액체(133)가 공급된다.
진동판(143) 위에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캐비티(140)에 대응하여 진동자(142)가 위치한다. 진동자(142)는 피에조 소자(142c)와 피에조 소자(142c)를 사이에 끼운 한 쌍의 전극(142a, 142b)으로 이루어진다. 이 한 쌍의 전극(142a, 142b)에 구동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대응하는 노즐(117)로부터 액체(133)가 액체방울(10)로 되어 토출된다. 또한, 노즐(117)의 각각으로부터 토출되는 액체방울(10)의 부피는 0pl∼42pl(피코리터)의 사이에서 가변한다. 또한, 액체(133)를 토출시키기 위해, 진동자(142) 대신에 전기열 변환 소자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것은 전기열 변환 소자에 의한 액체(133)의 열팽창을 이용하여 액체(133)를 토출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액체방울(10)을 액체방울 토출 장치(100)에 의해 토출하여 마이크로 렌즈(1)를 형성하는 공정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우선, 발액 처리를 실시한 투명 기판(4)을 워크(120)로서 탑재대(121)에 탑재하고, 탑재하는 방향은,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낸 열(20a)의 방향을 X축 방향으로 한다. 토출 헤드(116)는 X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면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117)로부터 광투과성 수지의 액체방울(10)을 토출하여 투명 기판(4) 위에 덩어리(11)를 차례로 배치하여 가고, 도 4와 같이 X축 방향으로 렌즈부(2a)의 열(20a)을 형성한다. 복수 형성되어 있는 열(20a)의 중심 간격은, 이 경우 70㎛로서, 이 간격과 합치되는 복수의 노즐(117)로부터 액체방울(10)을 토출하여 열(20a)을 복수열 형성하고, 또한 Y축 방향으로 노즐(117)을 상대 이동시켜 필요한 열 수를 형성하는 X축 방향의 주사를 반복하여 열(20a)의 전열(全列)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형성한 열(20a)을 경화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열(20a)을 형성하는 광투과성 수지가 자외선 조사 경화형이면, 자외선을 조사한다. 열(20a)의 경화 후, 렌즈부(2b)용의 광투과성 수지의 액체방울(10)을 토출하는 노즐(117)을 열(20b)의 위치로 이동시키고, 열(20a)과 마찬가지로 열(20b)을 형성하여 마이크로 렌즈(1)가 완성된다. 이 액체방울 토출 장치(100)를 사용하면, 대량생산뿐만 아니라 단품(單品) 제작의 시작(試作)에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 신제품 시작의 일정 단축 등에도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액체방울 토출 장치(100)를 사용하여 마이크로 렌즈(1)를 제조하면, 액체방울 토출 장치(100)의 노즐(117) 및 탑재대(121)의 상대 이동, 노즐(117)로부터 토출하는 액체방울(10)의 크기 및 토출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투명 기판(4)의 크기, 렌즈부(2)의 크기 및 배치 등이 다른 다양한 명세(specification)에 대응한 마이크로 렌즈(1)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렌즈(1)의 명세에 따른 금형 등을 다수 보유할 필요가 없어, 광투과성 수지 등의 사용 재료 손실도 없고, 제조 비용의 저감이 도모되는 마이크로 렌즈(1)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 렌즈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고가(高價)의 금형 등을 사용하지 않고, 액체방울 토출 장치에 의해 다양한 크기의 마이크로 렌즈를 유연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금형 사용 시의 게이트부 등과 같은 재료 손실이 없어져, 아울러 비용 저감도 도모된다. 또한, 기판의 전면에 렌즈부를 복수 형성함으로써, 기판 전체가 면으로서 균일한 광확산성을 갖는 마이크로 렌즈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 렌즈를 나타내는 외관사시도.
도 2는 액체방울을 토출하여 렌즈부를 형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3은 액체방울의 착탄(着彈)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렌즈부가 형성하는 열(列)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 렌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마이크로 렌즈를 형성한 렌티큘러 시트(광학막)를 탑재한 프로젝션용 스크린의 단면도.
도 7은 프로젝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8은 액체방울 토출 장치를 나타내는 외관사시도.
도 9는 액체방울 토출 장치의 토출 헤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10은 액체방울의 토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종래의 렌티큘러 시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외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이크로 렌즈
2 : 렌즈부
3 : 네킹부(necking portion)
4 : 투명 기판
10 : 액체방울
20 : 열(列)
30 : 프로젝션용 스크린
40 : 렌티큘러 시트(lenticular sheet)
45 : 광학막(光學膜)
70 : 프로젝터 시스템
100 : 액체방울 토출 장치

Claims (13)

  1. 광투과성(光透過性)을 갖는 기판 위에 광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대략 볼록한 형상의 렌즈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렌즈부를 경화(硬化)시키는 공정을 구비한 마이크로 렌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렌즈부를 형성하는 공정은, 복수의 상기 렌즈부가 상기 기판 위에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렌즈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를 형성하는 공정은, 액체방울 토출 장치로부터 상기 광투과성 수지의 액체방울을 토출하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렌즈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를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렌즈부가 연결되어 연장되는 열(列)을 소정의 간격을 두어 복수열 형성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제 1 공정에서 형성한 상기 렌즈부를 경화시키는 제 2 공정과, 상기 제 1 공정에서 형성한 상기 복수열의 사이에 상기 렌즈부가 연결되어 연장되는 열을 더 형성하는 제 3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렌즈의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정과 상기 제 3 공정에서 형성되는 상기 렌즈부는, 각각 다른 광투과성 수지의 액체방울을 토출하는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렌즈의 제조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방울을 토출하는 공정은, 상기 광투과성 수지에 광확산성(光擴散性) 미립자를 혼합 분산시킨 액체방울을 토출하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렌즈의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상기 렌즈부를 형성하는 면에 발액(撥液) 처리를 실시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렌즈의 제조 방법.
  7. 광투과성을 갖는 기판과,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고 경화성의 광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대략 볼록한 형상의 렌즈부를 구비한 마이크로 렌즈로서,
    복수의 상기 렌즈부가 상기 기판의 전면(全面)을 덮어 상기 기판 위에서 각각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렌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다른 광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상기 렌즈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렌즈.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성 수지는 광확산성 미립자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렌즈.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상기 렌즈부를 형성하는 면은 발액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렌즈.
  11. 광투과성을 갖는 기판이 광투과성을 갖는 시트(sheet) 또는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광투과성을 갖는 시트 또는 필름 위에 제 7 항에 기재된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막.
  12. 프레넬(fresnel) 렌즈와 렌티큘러(lenticular) 시트를 구비한 프로젝션용 스크린으로서,
    상기 렌티큘러 시트로서 제 11 항에 기재된 광학막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용 스크린.
  13. 광원(光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사출(射出)되는 광의 광축(光軸) 위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변조(變調)하는 광변조 수단과, 상기 광변조 수단에 의해 변조된 광을 결상(結像)하는 결상 광학계와, 상기 결상 광학계에 의해 결상된 화상을 전사(轉寫)하여 투사상(投射像)을 형성하는 스크린을 구비한 프로젝터 시스템으로서,
    상기 스크린으로서, 제 12 항에 기재된 프로젝션용 스크린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시스템.
KR1020040068996A 2003-09-03 2004-08-31 마이크로 렌즈의 제조 방법, 마이크로 렌즈, 광학막,프로젝션용 스크린 및 프로젝터 시스템 KR1006333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11406 2003-09-03
JP2003311406A JP4228845B2 (ja) 2003-09-03 2003-09-03 マイクロレンズの製造方法、マイクロレンズ、光学膜、プロジェクション用スクリーンおよびプロジェクタ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200A true KR20050024200A (ko) 2005-03-10
KR100633370B1 KR100633370B1 (ko) 2006-10-13

Family

ID=34412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8996A KR100633370B1 (ko) 2003-09-03 2004-08-31 마이크로 렌즈의 제조 방법, 마이크로 렌즈, 광학막,프로젝션용 스크린 및 프로젝터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65907B2 (ko)
JP (1) JP4228845B2 (ko)
KR (1) KR100633370B1 (ko)
CN (1) CN1291246C (ko)
TW (1) TWI28764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3192A (ko) * 2015-07-24 2018-04-02 토카이 옵티칼 주식회사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
CN114660882A (zh) * 2020-12-22 2022-06-24 宁波激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解散斑激光电视屏幕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405B1 (ko) * 2005-06-07 2007-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및 그 제조 방법
TWI351550B (en) 2005-06-09 2011-11-01 Ubright Optronics Corp Optical substrate
JP2007025150A (ja) * 2005-07-14 2007-02-01 Seiko Epson Corp 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および光学シートの製造方法
TW200720772A (en) * 2005-11-18 2007-06-01 Hon Hai Prec Ind Co Ltd Method of producing light guide plate, method for making mold of light guide plate and exploitation process of light guide plate
KR20070083018A (ko) * 2006-02-20 2007-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CN101382606B (zh) * 2007-09-07 2010-06-09 迎辉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学膜、成型光学膜的模具及模具的制造方法
WO2009075194A1 (ja) * 2007-12-11 2009-06-18 Hitachi Maxell, Ltd. レンズシート、レンズシート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9157029A (ja) * 2007-12-26 2009-07-16 Hitachi Maxell Ltd レンズシート、レンズシート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及び液晶表示装置
US20090186304A1 (en) * 2008-01-22 2009-07-23 Micron Technology, Inc. Gravity and pressure enhanced reflow process to form lens structures
US9810817B2 (en) 2008-04-02 2017-11-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ght directing film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CN101556345A (zh) * 2008-04-09 2009-10-1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微透镜的制作方法
EP3663811A1 (fr) * 2008-05-13 2020-06-10 Franck Guigan Elements optiques imprimes
FR2934902A1 (fr) * 2008-08-05 2010-02-12 Franck Andre Marie Guigan Circuit optique imprime et procede de fabrication.
TWI382239B (zh) 2008-09-12 2013-01-11 Eternal Chemical Co Ltd 光學膜
DE102009008997B4 (de) 2009-02-14 2011-04-07 Ursula Blessing Vorrichtung zur Lenkung von Lichtstrahlen
JP5402278B2 (ja) * 2009-06-16 2014-01-29 株式会社リコー 立体画像形成方法及び立体画像形成装置
JP2011090150A (ja) * 2009-10-22 2011-05-06 Grapac Japan Kk マイクロ突起集合体及びマイクロ突起集合体の製造方法
ES2544128T3 (es) 2010-06-07 2015-08-27 Luxexcel Holding B.V. Método para imprimir estructuras ópticas
JPWO2011155445A1 (ja) * 2010-06-07 2013-08-01 新日鉄住金化学株式会社 レンチキュラレンズの製造方法、レンチキュラレンズ、光学素子、及び立体表示ディスプレイ
CN102958684B (zh) * 2010-07-05 2016-04-06 埃西勒国际通用光学公司 用于提供光学显示器的眼镜片的制造方法
JP6275129B2 (ja) * 2012-07-20 2018-02-07 フィリップス ライティング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 ターゲットエリアでの所定の配光を得るための照明装置
KR102119026B1 (ko) 2013-07-31 2020-06-04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투명 안과 렌즈를 위한 적층 가공
CN104401002A (zh) * 2014-05-31 2015-03-11 福州大学 一种基于3d打印的曲面微透镜阵列制作方法
JP6826803B2 (ja) * 2014-08-26 2021-02-10 中国塗料株式会社 光硬化性樹脂組成物、該組成物から形成される硬化被膜および防眩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並びに硬化被膜および防眩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2524455B1 (ko) 2015-06-22 2023-04-24 토카이 옵티칼 주식회사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
CN109991713A (zh) * 2019-04-05 2019-07-09 马浩鑫 分体式三自由度微透镜阵列支架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723A (ja) * 1983-06-28 1985-01-1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プラズマx線露光装置
JP2002031842A (ja) 1991-03-15 2002-01-31 Seiko Epson Corp 投射型表示装置
US5536455A (en) * 1994-01-03 1996-07-16 Omron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lens array
US5498444A (en) * 1994-02-28 1996-03-12 Microfab Technologies, Inc. Method for producing micro-optical components
JP2001083304A (ja) 1999-09-14 2001-03-30 Nec Corp マイクロレンズ基板の製造方法とマイクロレンズ基板及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と液晶表示装置
JP2002196106A (ja) * 2000-12-27 2002-07-10 Seiko Epson Corp 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光学装置
US6814901B2 (en) * 2001-04-20 2004-11-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microlens array and microlens array
JP2003279709A (ja) 2002-03-26 2003-10-02 Seiko Epson Corp マイクロレンズとその製造方法、光学膜、プロジェクション用スクリーン、及びプロジェクターシステム
JP2003332547A (ja) * 2002-05-16 2003-11-21 Fuji Film Microdevices Co Ltd 固体撮像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4244382B2 (ja) * 2003-02-26 2009-03-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機能性材料定着方法及びデバイス製造方法
JP2005175417A (ja) * 2003-07-28 2005-06-30 Ricoh Co Ltd 発光素子アレイ、光書込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3192A (ko) * 2015-07-24 2018-04-02 토카이 옵티칼 주식회사 안경 렌즈 제조 시스템
CN114660882A (zh) * 2020-12-22 2022-06-24 宁波激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解散斑激光电视屏幕及其制备方法
CN114660882B (zh) * 2020-12-22 2024-03-19 宁波激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解散斑激光电视屏幕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91044A (zh) 2005-03-09
JP2005078005A (ja) 2005-03-24
US7265907B2 (en) 2007-09-04
TW200528760A (en) 2005-09-01
JP4228845B2 (ja) 2009-02-25
US20050088750A1 (en) 2005-04-28
KR100633370B1 (ko) 2006-10-13
CN1291246C (zh) 2006-12-20
TWI287644B (en) 2007-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3370B1 (ko) 마이크로 렌즈의 제조 방법, 마이크로 렌즈, 광학막,프로젝션용 스크린 및 프로젝터 시스템
KR100819411B1 (ko) 광학 시트의 제조 방법, 광학 시트, 백라이트 유닛, 표시장치, 전자 기기
KR100828538B1 (ko) 마이크로 렌즈, 광학판, 확산판, 도광판, 백라이트,프로젝션용 스크린, 프로젝션 시스템, 전기 광학 장치 및전자 기기, 및 마이크로 렌즈의 제조 방법
JP4593120B2 (ja) 導光板、その製造方法、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KR100639575B1 (ko) 광 추출 도트를 가진 광학소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US20070002205A1 (en) Optical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lanar lighting device and electrooptical device
JP5436655B2 (ja) 導光板及び導光板の製造方法
JP2007025150A (ja) 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および光学シートの製造方法
CN101169496A (zh) 制作复合光学膜的方法
JP2006350177A (ja) 光学シートの製造方法、光学シート、面状照明装置、電気光学装置
JP2010146772A (ja) 導光板及び導光板の製造方法
KR100692203B1 (ko) 도광판, 이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JP2007003983A (ja) 光学シートの製造方法、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表示装置、電子機器
JP2003279709A (ja) マイクロレンズとその製造方法、光学膜、プロジェクション用スクリーン、及びプロジェクターシステム
JP2003240913A (ja) マイクロレンズの製造方法、マイクロレンズ、光学膜、プロジェクション用スクリーン、及びプロジェクターシステム
TWI247920B (en) Color filter substrat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6323149A (ja) マイクロレンズの製造方法、マイクロレンズ、光学板、拡散板、導光板、バックライト、プロジェクション用スクリーン、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090186152A1 (en) Light Guide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722055B2 (ja) 導光板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導光板、これを備えた面光源装置および透過型画像表示装置
US11442219B2 (en) Frustrum reflector plate
JP2006323146A (ja) マイクロレンズの製造方法、マイクロレンズ、光学板、拡散板、導光板、バックライト、プロジェクション用スクリーン、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346648A (ja) 液滴吐出方法、液滴吐出装置、面状照明装置及び電気光学装置
CN105247270A (zh) 配置图案的设计方法、导光板的制造方法、面光源装置的制造方法以及透射式图像显示装置的制造方法
JP2009157016A (ja) 防眩性反射防止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022314A (ja) 光反射シート及び光源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