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9059A - 섬유-반응성 아조 염료의 염료 혼합물, 이의 제법 및 이의용도 - Google Patents

섬유-반응성 아조 염료의 염료 혼합물, 이의 제법 및 이의용도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9059A
KR20050019059A KR1020040064331A KR20040064331A KR20050019059A KR 20050019059 A KR20050019059 A KR 20050019059A KR 1020040064331 A KR1020040064331 A KR 1020040064331A KR 20040064331 A KR20040064331 A KR 20040064331A KR 20050019059 A KR20050019059 A KR 20050019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dye
hydrogen
alkyl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4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이흐호른요아킴
루스베르너
마이어슈테판
Original Assignee
다이스타 텍스틸파르벤 게엠베하 운트 컴파니 도이칠란트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스타 텍스틸파르벤 게엠베하 운트 컴파니 도이칠란트 카게 filed Critical 다이스타 텍스틸파르벤 게엠베하 운트 컴파니 도이칠란트 카게
Publication of KR20050019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905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33Blends of pigments; Mixtured crystals; Solid solutions
    • C09B67/0046Mixtures of two or more azo dyes
    • C09B67/0047Mixtures of two or more reactive azo dyes
    • C09B67/005Mixtures of two or more reactive azo dyes all the reactive groups being not directly attached to a heterocyclic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2/00Reactive dyes, i.e. dyes which form covalent bonds with the substrates or which polymerise with themselves
    • C09B62/002Reactive dyes, i.e. dyes which form covalent bonds with the substrates or which polymerise with themselves with the linkage of the reactive group being alternatively specified
    • C09B62/006Azodyes
    • C09B62/008Monoazo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2/00Reactive dyes, i.e. dyes which form covalent bonds with the substrates or which polymerise with themselves
    • C09B62/002Reactive dyes, i.e. dyes which form covalent bonds with the substrates or which polymerise with themselves with the linkage of the reactive group being alternatively specified
    • C09B62/006Azodyes
    • C09B62/01Disazo or polyazo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2/00Reactive dyes, i.e. dyes which form covalent bonds with the substrates or which polymerise with themselves
    • C09B62/02Reactive dyes, i.e. dyes which form covalent bonds with the substrates or which polymerise with themselves with the reactive group directly attached to a heterocyclic ring
    • C09B62/343Reactive dyes, i.e. dyes which form covalent bonds with the substrates or which polymerise with themselves with the reactive group directly attached to a heterocyclic ring to a five membered ring
    • C09B62/347Azo dyes
    • C09B62/35Monoazo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2/00Reactive dyes, i.e. dyes which form covalent bonds with the substrates or which polymerise with themselves
    • C09B62/02Reactive dyes, i.e. dyes which form covalent bonds with the substrates or which polymerise with themselves with the reactive group directly attached to a heterocyclic ring
    • C09B62/343Reactive dyes, i.e. dyes which form covalent bonds with the substrates or which polymerise with themselves with the reactive group directly attached to a heterocyclic ring to a five membered ring
    • C09B62/347Azo dyes
    • C09B62/353Disazo or polyazo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33Blends of pigments; Mixtured crystals; Solid solutions
    • C09B67/0046Mixtures of two or more azo dyes
    • C09B67/0047Mixtures of two or more reactive azo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33Blends of pigments; Mixtured crystals; Solid solutions
    • C09B67/0046Mixtures of two or more azo dyes
    • C09B67/0055Mixtures of two or more disazo dyes
    • C09B67/0057Mixtures of two or more reactive disazo dyes
    • C09B67/0059Mixtures of two or more reactive disazo dyes all the reactive groups are not directly attached to a heterocyclic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2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colouring agents
    • C09D11/328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colouring agents characterised by dy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38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reactive dyes
    • D06P1/38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reactive dyes reactive group not directly attached to heterocyclic group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30Ink jet prin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개 이상의 하기 표기되고 정의된 화학식 101의 염료, 1개 이상의 하기 화학식 15 및 16의 모노아조 염료(각각 0 내지 10중량%의 양), 및 1개 이상의 하기 표기되고 정의된 하기 화학식 103a 내지 103f의 염료로 이루어지되, 상기 화학식 101 및 103a 내지 103f의 염료가 식 -SO2-Z 또는 -Z2의 섬유-반응성 기를 1개 이상 함유하는 반응성 염료 혼합물, 이의 제법, 및 하이드록실- 및/또는 카복스아미도-함유 섬유 물질을 염색하기 위한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I)
(Ga)
(Gb)
(Gc)
(Gd)
(Ge)
(Gf)
상기 식에서,
D1, D2, D3, D4, D5, D6, D7, R*, R**, R31, R32, R33, R34, R35 , R36, R37, R38, R39, Z, Z3, m, n 및 M은 각각 제 1 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Description

섬유-반응성 아조 염료의 염료 혼합물, 이의 제법 및 이의 용도{DYE MIXTURES OF FIBER-REACTIVE AZO DYES,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본 발명은 섬유-반응성 아조 염료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섬유-반응성 아조 염료 혼합물 및 하이드록실- 및/또는 카복스아미도-함유 물질을 오렌지에서 적색 색상으로 염색하기 위한 이의 용도는, 예를 들어 EP 1090962 및 EP 0979848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은 특정 성능 결함, 예를 들어 염색 공정시 염색 파라미터 변화의 컬러 일드(color yield)의 과도한 의존성, 또는 면직물상에서의 불충분한 또는 고르지못한 컬러 빌드업(buildup)(우수한 컬러 빌드업은 염색욕 중의 염료의 증가된 농도에 상응하여 보다 강력한 염색을 제공하는 염료 능력이 뒤따른다)을 갖는다. 이러한 결함으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결과는, 예를 들어 수득되는 염색의 불량한 재현성으로서, 염색 공정의 경제 상태를 궁극적으로 손상시킨다.
그 결과, 고착되지 않은 부분에 대해 우수한 워시오프성(washoff)이 결합된 높은 직접성과 같은 특성이 개선된 신규한 반응성 염료 또는 반응성 염료 혼합물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또한, 이들은 게다가 우수한 염색 일드를 제공할 것이고, 높은 반응성을 가지며, 더욱 특별히 높은 정도의 고착력을 갖는 염색을 제공할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은 전술한 특성을 높은 수준으로 갖는 염료 혼합물을 제공한다. 신규한 염료 혼합물은 특히 섬유에 고착되지 않은 부분에 대한 높은 고착 일드 및 용이한 워시오프성이 뛰어나다. 이외에, 상기 염색은 예를 들어 높은 내광성 및 매우 우수한 습윤견뢰도와 같은 전반적으로 우수한 견뢰도를 나타내고, 또한 면-폴리아미드 블렌드 직물의 경우에는 폴리아미드를 변색시키는 경향도 낮다.
따라서, 본 발명은 1개 이상, 예를 들어 2 또는 3개,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개의 하기 표기되고 정의된 화학식 101의 염료, 1개 이상의 하기 화학식 15 또는 16의 모노아조 염료(각각 0 내지 10중량%의 양), 및 1개 이상, 예를 들어 2 또는 3개,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개의 하기 표기되고 정의된 화학식 103a 내지 103f의 염료로 이루어지되, 상기 화학식 101 및 103a 내지 103f의 염료가 식 -SO2-Z 또는 -Z2의 섬유-반응성 기를 1개 이상 함유하는 염료 혼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01
(I)
화학식 15
화학식 16
화학식 103a
(Ga)
화학식 103b
(Gb)
화학식 103c
(Gc)
화학식 103d
(Gd)
화학식 103e
(Ge)
화학식 103f
(Gf)
상기 식에서,
D1 내지 D7은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 1의 기이거나: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4)알킬, (C1-C 4)알콕시, 하이드록실, 설포, 카복실, 사이아노, 나이트로, 아미도, 유레이도 또는 할로겐이고;
X1은 수소 또는 식 -SO2-Z의 기이고, 여기서 Z는 -CH=CH2, -CH2CH 2Z1(여기서, Z1은 하이드록실 또는 알칼리-분리가능한 기임) 또는 하이드록실이다];
D1 내지 D7은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 2의 나프틸 기이거나:
[상기 식에서,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4)알킬, (C1-C 4)알콕시, 하이드록실, 설포, 카복실, 사이아노, 나이트로, 아미도, 유레이도 또는 할로겐이고; X2는 X1의 의미 중 하나를 갖는다];
D1 내지 D7은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 3의 기이거나:
[상기 식에서,
R5 및 R6은 독립적으로 R1 및 R2의 의미 중 하나를 갖고;
R7은 수소, (C1-C4)알킬, 비치환되거나 (C1-C4)-알킬-, (C1-C4)-알콕시-, 설포-, 할로겐- 또는 카복실-치환된 페닐이고;
Z2는 하기 화학식 4, 5 또는 6의 기이고:
상기 식에서,
V는 불소 또는 염소이고;
U1, U2는 독립적으로 불소, 염소 또는 수소이고;
Q1, Q2는 독립적으로 염소, 불소, 사이안아미도, 하이드록실, (C1-C6 )-알콕시, 페녹시, 설포페녹시, 머캡토, (C1-C6)-알킬머캡토, 피리디노, 카복시피리디노, 카바모일피리디노 또는 하기 화학식 7 또는 8의 기이고:
상기 식에서,
R8은 수소 또는 (C1-C6)-알킬이거나, (C1-C4)-알킬, (C1-C4)-알콕시, 설포, 할로겐, 카복실, 아세트아미도, 유레이도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페닐 또는 설포-(C1-C6)-알킬이고;
R9 및 R10은 독립적으로 R8의 의미 중 하나를 갖거나, 결합하여 식 -(CH 2)j-(여기서, j는 4 또는 5임), 또다르게는 -(CH2)2-E-(CH2)2-(여기서, E는 산소, 황, 설포닐, -NR11(여기서, R11은 (C1-C6)-알킬임)임)의 사이클릭 고리계를 형성하고;
W는 (C1-C4)-알킬, (C1-C4)-알콕시, 카복실, 설포, 염소, 브롬과 같은 치환기 1 또는 2개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페닐렌이거나, 산소, 황, 설포닐, 아미노, 카보닐, 카복스아미도가 개입될 수도 있는 (C1-C4)-알킬렌아릴렌 또는 (C2-C6 )-알킬렌이거나, (C1-C4)-알킬, (C1-C4)-알콕시, 하이드록실, 설포, 카복실, 아미도, 유레이도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페닐렌-CONH-페닐렌이거나, 1 또는 2개의 설포 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나프틸렌이고;
Z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D1 내지 D7은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 9의 기이거나:
[상기 식에서,
R12는 수소, (C1-C4)-알킬, 아릴 또는 치환된 아릴 라디칼이고;
R13 및 R14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4)-알킬, (C1-C 4)-알콕시, 하이드록실, 설포, 카복실, 사이아노, 나이트로, 아미도, 유레이도 또는 할로겐이고;
A는 하기 화학식 10의 페닐렌 기이거나:
(상기 식에서,
R15 및 R16은 독립적으로 수소, (C1-C4)-알킬, (C1-C 4)-알콕시, 하이드록실, 설포, 카복실, 사이아노, 나이트로, 아미도, 유레이도 또는 할로겐이다);
A는 하기 화학식 11의 나프틸렌 기이거나:
(상기 식에서,
R17 및 R18은 독립적으로 수소, (C1-C4)-알킬, (C1-C 4)-알콕시, 하이드록실, 설포, 카복실, 사이아노, 나이트로, 아미도, 유레이도 또는 할로겐이다);
A는 하기 화학식 12의 폴리메틸렌 기이고:
-(CR19R20)k-
(상기 식에서,
k는 1보다 큰 정수이고,
R19 및 R20은 독립적으로 수소, (C1-C4)-알킬, (C1-C 4)-알콕시, 하이드록실, 사이아노, 아미도, 할로겐 또는 아릴이다); 및
X3은 X1의 의미 중 하나를 갖는다]; 및
R*, R**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4)-알킬 또는 하기 화학식 14의 기이고:
-CH2-SO3M
R31은 수소, 아세틸, 카바모일 또는 화학식 4, 5 또는 14의 기이고;
R32는 수소 또는 화학식 14의 기이고;
R33은 메틸, 카복실 또는 C1 내지 C4 알킬을 포함한 카복시알킬이고;
R34는 수소 또는 메틸이고;
R35는 수소, 사이아노, 카바모일, 카복실 또는 화학식 14의 기이고;
R36은 메틸, 에틸 또는 β-설포에틸이고;
R37은 메틸, 카복실 또는 C1 내지 C4 알킬을 포함한 카복시알킬이고;
R38은 아세트아미도, 유레이도, 메틸 또는 메톡시이고;
R39는 수소, 메틸 또는 메톡시이고;
m은 0 또는 1이고;
n은 1, 2 또는 3이고;
Z3은 Z2의 의미 중 하나를 갖고; 및
M은 수소,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중 하나의 등가물이다.
상기 및 하기 화학식에서 개별적인 기호는, 그 기호가 동일하거나 상이한 의미를 갖는지에 무관하게 그들의 정의하에 동일하거나 상이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C1-C4)-알킬 R은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아이소프로필, n-뷰틸, 아이소뷰틸, s-뷰틸 또는 t-뷰틸이다. 메틸 및 에틸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논리가 (C1-C4)-알콕시 기에도 적용된다.
아릴 R은 구체적으로는 페닐이다. 치환된 아릴 R8 내지 R10, R12 또는 R21은 구체적으로는 (C1-C4)-알킬, (C1-C4)-알콕시, 하이드록실, 설포, 카복실, 아미도 및 할로겐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1, 2 또는 3개의 독립적인 기로 치환된 페닐이다.
할로겐 R은 구체적으로는 불소, 염소 또는 브롬이고, 불소 및 염소가 바람직하다.
Z의 에틸 기의 β-위치에서 알칼리-제거가능한 Z1로는 할로겐 원자, 예를 들어 염소 및 브롬, 유기 카복실산 및 설폰산의 에스터 기, 예를 들어 알킬카복실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벤젠카복실산 및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벤젠설폰산, 예를 들어 탄소수 2 내지 5의 알칸오일옥시, 특히 아세틸옥시, 벤조일옥시, 설포벤조일옥시, 페닐설포닐옥시 및 톨루일설포닐옥시, 무기 산, 예를 들어 인산, 황산 및 티오황산의 산 에스터 기(포스파토, 설파토 및 티오설파토 기), 유사하게는 각각의 경우에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 기를 갖는 다이알킬아미노 기, 예를 들어 다이메틸아미노 및 다이에틸아미노를 들 수 있다.
Z는 바람직하게는 비닐, β-클로로에틸, 특히 바람직하게는 β-설파토에틸이 있다.
"설포", "카복실", "티오설파토", "포스파토" 및 "설파토" 기는 이들의 산 형태 뿐만 아니라 염 형태도 포함한다. 따라서, 설포 기는 화학식 -SO3M에 해당하는 기이고, 티오설파토 기는 화학식 -S-SO3M에 해당하는 기이고, 카복실 기는 화학식 -COOM에 해당하는 기이고, 포스파토 기는 화학식 -OPO3M2에 해당하는 기이고, 설파토 기는 화학식 -OSO3M에 해당하는 기이다(상기 화학식에서 각각의 M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화학식 101 및 103a 내지 103f의 염료는 Z의 의미내에서 상이한 섬유-반응성 기 -SO2Z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섬유 반응성 기 -SO2Z는 한편은 비닐설포닐 기이고, 다른 한편은 -CH2CH2Z1 기, 바람직하게는 β-설파토에틸설포닐 기일 수 있다. 화학식 101 및 103a 내지 103f의 염료가 몇몇의 경우에 비닐설포닐 기를 함유한다면, 비닐설포닐 기를 갖는 각각의 염료의 분율은 총 염료의 각각의 양을 기준으로 약 30몰% 이하이다.
알칼리 M은 구체적으로는 리튬, 나트륨 또는 칼륨이다. M은 바람직하게는 수소 또는 나트륨이다.
화학식 101에서 라디칼 R* 및 R**은 독립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수소, 메틸 또는 화학식 14의 기이고, 수소 또는 화학식 14의 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R1 및 R2는 바람직하게는 수소, (C1-C4)-알킬 기, (C1 -C4)-알콕시 기, 설포 또는 카복실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소, 메틸, 메톡시 또는 설포이다. R3 내지 R6 및 R12 내지 R20은 바람직하게는 수소이고, R3 내지 R6, R17 및 R18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설포이다.
R7 내지 R10은 바람직하게는 수소 또는 메틸이고, R7 및 R8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페닐이고, R9 및 R10은 바람직하게는 2-설포에틸, 2-, 3- 또는 4-설포페닐이거나, R9 및 R10은 결합하여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CH2)2-O-(CH 2)2-에 해당하는 사이클릭 고리계를 형성한다.
화학식 1 및 2의 D1 내지 D9 기의 예로는 2-(β-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 3-(β-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 4-(β-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 2-카복시-5-(β-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 2-클로로-4-(β-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 2-클로로-5-(β-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 2-브로모-4-(β-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 2-설포-4-(β-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 2-설포-5-(β-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 2-메톡시-5-(β-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 2-에톡시-5-(β-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 2,5-다이메톡시-4-(β-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 2-메톡시-5-메틸-4-(β-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 2-메틸-4-(β-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 2-, 3- 또는 4-(β-티오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 2-메톡시-5-(β-티오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 2-설포-4-(β-포스파토에틸설포닐)-페닐, 2-, 3- 또는 4-비닐설포닐-페닐, 2-설포-4-비닐설포닐-페닐, 2-클로로-4-(β-클로로에틸설포닐)-페닐, 2-클로로-5-(β-클로로에틸설포닐)-페닐, 3- 또는 4-(β-아세톡시에틸설포닐)-페닐, 6- 또는 8-(β-설파토에틸설포닐)-나프트-2-일, 6-(β-설파토에틸설포닐)-1-설포-나프트-2-일 및 8-(β-설파토에틸설포닐)-6-설포-나프트-2-일, 바람직하게는 3-(β-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 4-(β-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 2-설포-4-(β-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 2-메톡시-5-(β-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 2,5-다이메톡시-4-(β-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 2-메톡시-5-메틸-4-(β-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 및 3- 또는 4-비닐설포닐페닐이 있거나, D1 내지 D7은 R5 내지 R7 및 R12 내지 R14가 전술한 바람직한 의미를 갖는 화학식 3 또는 9의 기에 해당한다.
D1 내지 D7이 화학식 1의 기이고, X1이 -SO2Z인 경우, SO2 Z 기는 바람직하게는 다이아조 기에 대해 메타 또는 파라로 위치하고, D1 내지 D7이 화학식 2의 기인 경우, 다이아조 기에 이르게 하는 결합은 바람직하게는 나프탈렌 핵에 β-위치로 부착된다.
A가 페닐렌이고, X3이 -SO2Z인 경우, SO2Z 기는 바람직하게는 질소 원자에 대해 메타 또는 파라로 위치한다. 화학식 9의 기 중에서 카복스아미드 기는 바람직하게는 다이아조 기에 대해 파라 또는 메타로 위치한다. A가 나프틸렌인 경우, 질소 원자에 이르게 하는 결합은 바람직하게는 나프탈렌 핵에 β-위치로 부착된다.
치환기 A의 예로는 구체적으로는 1,2-페닐렌, 1,3-페닐렌, 1,4-페닐렌, 2-클로로-1,4-페닐렌, 2-클로로-1,5-페닐렌, 2-브로모-1,4-페닐렌, 2-설포-1,4-페닐렌, 2-설포-1,5-페닐렌, 2-메톡시-1,5-페닐렌, 2-에톡시-1,5-페닐렌, 2,5-다이메톡시-1,4-페닐렌, 2-메톡시-5-메틸-1,4-페닐렌, 2-메틸-1,4-페닐렌, 2,6-나프틸렌, 2,8-나프틸렌, 1-설포-2,6-나프틸렌, 6-설포-2,8-나프틸렌 또는 1,2-에틸렌 및 1,3-프로필렌이 있다.
A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1,3-페닐렌, 1,4-페닐렌, 2-설포-1,4-페닐렌, 2-메톡시-1,5-페닐렌, 2,5-다이메톡시-1,4-페닐렌, 2-메톡시-5-메틸-1,4-페닐렌 또는 2-에틸렌 및 1,3-프로필렌이고, 마지막으로 언급한 2개의 알킬렌 기의 경우에 R12는 바람직하게는 페닐 또는 2-설포페닐이다.
k는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이다.
W는 바람직하게는 1,3-페닐렌, 1,4-페닐렌, 2-설포-1,4-페닐렌, 2-메톡시-1,5-페닐렌, 2,5-다이메톡시-1,4-페닐렌, 2-메톡시-5-메틸-1,4-페닐렌, 1,2-에틸렌, 1,3-프로필렌이다.
화학식 5의 Q1 및 Q2 기의 예로는 독립적으로 불소, 염소, 하이드록실, 메톡시, 에톡시, 페녹시, 3-설포페녹시, 4-설포페녹시, 메틸머캡토, 사이안아미도, 아미노, 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모폴리노, 피페리디노, 페닐아미노, 메틸페닐아미노, 2-설포페닐아미노, 3-설포페닐아미노, 4-설포페닐아미노, 2,4-다이설포페닐아미노, 2,5-다이설포페닐아미노, 2-설포에틸아미노, N-메틸-2-설포에틸아미노, 피리디노, 3-카복시피리디노, 4-카복시피리디노, 3-카바모일피리디노, 4-카바모일피리디노, 2-(2-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아미노, 3-(2-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아미노, 4-(2-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아미노, N-에틸-3-(2-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아미노, N-에틸-4-(2-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아미노, 2-카복시-5-(2-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아미노, 2-클로로-4-(2-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아미노, 2-클로로-5-(2-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아미노, 2-브로모-4-(2-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아미노, 2-설포-4-(2-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아미노, 2-설포-5-(2-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아미노, 2-메톡시-5-(2-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아미노, 2,5-다이메톡시-4-(2-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아미노, 2-메톡시-5-메틸-4-(2-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아미노, 2-메틸-4-(2-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아미노, 2-(비닐설포닐)-페닐아미노, 3-(비닐설포닐)-페닐아미노, 4-(비닐설포닐)-페닐아미노, N-에틸-3-(비닐설포닐)-페닐아미노, N-에틸-4-(비닐설포닐)-페닐아미노, 6-(2-설파토에틸설포닐)-나프트-2-일아미노, 8-(2-설파토에틸설포닐)-나프트-2-일아미노, 8-(2-설파토에틸설포닐)-6-설포-나프트-2-일아미노, 3-(2-(2-설파토에틸설포닐)-에틸카바모일)-페닐아미노, 4-(2-(2-설파토에틸설포닐)-에틸카바모일)-페닐아미노, 3-(2-(2-(비닐설포닐)-에틸카바모일)-페닐아미노, 4-(2-(2-(비닐설포닐)-에틸카바모일)-페닐아미노, 4-(N-메틸-2-(2-설파토에틸설포닐)-에틸카바모일)-페닐아미노, 4-(N-페닐-2-(2-설파토에틸설포닐)-에틸카바모일)-페닐아미노, 4-(3-(2-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카바모일)-페닐아미노, 4-(4-(2-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카바모일)-페닐아미노, 3-(3-(2-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카바모일)-페닐아미노, 3-(4-(2-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카바모일)-페닐아미노, 3-(2-설파토에틸설포닐)-프로필아미노, N-메틸-N-(2-(2-설파토에틸설포닐)-에틸)-아미노, N-페닐-N-(2-(2-설파토에틸설포닐)-에틸)-아미노, N-페닐-N-(2-(2-설파토에틸설포닐)-프로필)-아미노가 있다.
바람직하게, 화학식 5의 Q1 및 Q2 기는 독립적으로 불소, 염소, 사이안아미도, 모폴리노, 2-설포페닐아미노, 3-설포페닐아미노, 4-설포페닐아미노, N-메틸-2-설포에틸아미노, 3-카복시피리디노, 4-카복시피리디노, 3-카바모일피리디노, 4-카바모일피리디노, 3-(2-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아미노, 4-(2-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아미노, 3-(비닐설포닐)-페닐아미노, 4-(비닐설포닐)-페닐아미노, 4-(3-(2-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카바모일)-페닐아미노, 4-(4-(2-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카바모일)-페닐아미노, 3-(3-(2-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카바모일)-페닐아미노, 3-(4-(2-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카바모일)-페닐아미노, N-메틸-N-(2-(2-설파토에틸설포닐)-에틸)-아미노, N-페닐-N-(2-(2-설파토에틸설포닐)-에틸)-아미노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화학식 5의 Q1 및 Q2 기는 독립적으로 불소, 염소, 사이안아미도, 모폴리노, 2-설포페닐아미노, 3-설포페닐아미노, 4-설포페닐아미노, 3-(2-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아미노, 4-(2-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아미노, 3-(비닐설포닐)-페닐아미노, 4-(비닐설포닐)-페닐아미노, N-메틸-N-(2-(2-설파토에틸설포닐)-에틸)-아미노, N-페닐-N-(2-(2-설파토에틸설포닐)-에틸)-아미노이다.
Z2 및 Z3 기의 예로는 2,4-다이플루오로-피리미딘-6-일, 4,6-다이플루오로-피리미딘-2-일, 5-클로로-2,4-다이플루오로-피리미딘-6-일, 5-클로로-4,6-다이플루오로-피리미딘-2-일, 4,5-다이플루오로-피리미딘-6-일, 5-클로로-4-플루오로-피리미딘-6-일, 2,4,5-트라이클로로-피리미딘-6-일, 4,5-다이클로로-피리미딘-6-일, 2,4-다이클로로-피리미딘-6-일, 4-플루오로-피리미딘-6-일, 4-클로로-피리미딘-6-일, 또는 상기 표기한 Q1 및 Q2의 예를 갖는 화학식 5의 기 또는 화학식 6의 기가 있다.
바람직하게, Z2 및 Z3은 2,4-다이플루오로피리미딘-6-일, 4,6-다이플루오로피리미딘-2-일, 5-클로로-2,4-다이플루오로피리미딘-6-일, 5-클로로-4,6-다이플루오로피리미딘-2-일 또는 상기 표기된 바람직한 Q1 및 Q2 기를 갖는 화학식 5의 기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Z2 및 Z3은 2,4-다이플루오로피리미딘-6-일, 5-클로로-2,4-다이플루오로피리미딘-6-일 또는 상기 표기된 특히 바람직한 Q1 및 Q2 기를 갖는 화학식 5의 기이다.
화학식 103a의 R31은 바람직하게는 수소, 아세틸, 2,4-다이플루오로피리미딘-6-일, 5-클로로-2,4-다이플루오로피리미딘-6-일 또는 상기 표기된 특히 바람직한 Q1 및 Q2 기를 갖는 화학식 5의 기이고; 화학식 103b의 R32는 바람직하게는 수소이고; 화학식 103c 및 103e의 R33 및 R37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카복실 또는 메틸이고; 화학식 103d에서 바람직한 의미는 R34가 메틸이고, R35가 사이아노, 카바모일 또는 화학식 14의 기이고, R36이 메틸 또는 에틸이고; 화학식 103f의 바람직한 의미는 m이 1이고 n이 1 또는 2이다.
본 발명의 염료 혼합물은 화학식 101의 비스아조 염료를 1 내지 99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0중량%의 양으로 포함하고, 화학식 103a 내지 103f의 염료를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99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0중량%의 양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염료 혼합물은 1개 이상, 예를 들어 2 또는 3개,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개의 하기 표기되고 정의된 화학식 101a의 염료, 및 1개 이상의 하기 화학식 103a, 103b, 103e 및 103f의 염료를 포함한다:
(I-a)
화학식 103a
(Ga)
화학식 103b
(Gb)
화학식 103e
(Ge)
화학식 103f
(Gf)
상기 식에서,
D1 내지 D5, R*, R31, R32, R37, R38 , R39, Z, Z3, m, n 및 M은 각각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추가로 바람직한 염료 혼합물은 1개 이상의 하기 화학식 101b의 염료 및 1개 이상의 화학식 103a, 103b, 103e 및 103f의 염료를 포함한다:
(I-b)
상기 화학식 101b, 및 화학식 103a, 103b, 103e 및 103f에서
D3 내지 D5, R31, R32, R37, R38, R 39, Z, Z3, m, n 및 M은 각각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R201 내지 R204는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메톡시 또는 설포이다.
특히 바람직한 염료 혼합물은 1개 이상, 예를 들어 2 또는 3개,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개의 하기 표기되고 정의된 화학식 101c의 염료, 및 1개 이상의 하기 화학식 103aa 및 103ba의 염료를 포함한다:
(I-c)
(Ga-a)
(Gb-a)
상기 식에서,
D2, D4, D5, R31, Z 및 M은 각각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화학식 101c 및 103aa의 바람직한 의미는 R101 내지 R104가 독립적으로 수소, C1-C4 알킬, C1-C4 알콕시, 설포, 카복실 또는 할로겐이고, Z가 비닐 또는 β-설파토에틸이고, 화학식 101c 및 103aa의 매우 특히 바람직한 의미는 R101 내지 R104가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메톡시 또는 설포이고, Z가 비닐 또는 β-설파토에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 혼합물은 고체 또는 액체(용해된) 형태의 조제품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 고체 형태인 경우, 이들은 수용성인 경우에 통상적인 전해질 염과, 특히 섬유-반응성 염료, 예를 들어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및 황산나트륨을 필요한 만큼 함유하고, 상업용 염료에 통상적인 보조제, 예를 들어 수용액 중에서 pH를 3 내지 7 사이로 설정할 수 있는 완충 물질, 예를 들어 나트륨 아세테이트, 나트륨 시트레이트, 나트륨 보레이트,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나트륨 다이하이드로젼포스페이트 및 다이나트륨 하이드로젼포스페이트, 염색 보조제, 방진제 및 소량의 건조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도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염료 혼합물이 액체, 수용액(날염 페이스트에 통상적인 유형의 증점제 일정량을 포함함)으로 존재하는 경우, 이들은 이들 조제품의 장기 보존을 지속시키는 물질, 예를 들어 몰드 보존제를 또한 함유할 수도 있다.
고체 형태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염료 혼합물은 일반적으로 전해질 염을 함유하고, 하기에서 전술한 1개 이상의 보조제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은 조제품으로서 일반적으로 지칭될 분말 또는 과립으로서 존재한다. 조제품의 경우, 염료 혼합물은 이를 함유한 조제품을 기준으로 20 내지 90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완충 물질은 일반적으로 조제품을 기준으로 5중량% 이하의 총량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 혼합물이 수용액으로 존재하는 경우, 수용액 중의 총 염료 함량은 수용액을 기준으로 약 50중량% 이하, 예를 들어 5 내지 50중량%이고, 수용액 중의 전해질 염 함량은 10중량% 미만이고; 수용액(액체 조제품)은 전술한 완충 물질을 일반적으로는 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중량% 이하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화학식 101의 염료는 DE 196 00 765 A1에 기재되어 있고, 화학식 103a 내지 103f의 염료는 문헌에 광범위하게 기재되어 있고, 표준 합성 방법을 통해 얻을 수 있다. 화학식 15 및 16의 염료는 몇몇의 경우 화학식 101의 염료의 합성 동안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 혼합물은 통상적인 보조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도 있는 개별적인 염료들을, 이들이 염료 분말 또는 과립 또는 합성된 것과 같은 용액 형태, 또는 일반적으로는 개별적인 염료들의 수용액 형태이건 간에, 기계적으로 혼합하거나, 통상적으로 다이아조화하고, 적합한 다이아조 혼합물 및 커플링 성분들을 목적하는 양의 비율로 커플링하는 것과 같은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가능하다.
예를 들어, 화학식 101, 및 화학식 103a, 103b, 103c 및/또는 103d에 따른 D2 및 D3, D5, D6 및/또는 D7 기를 갖는 다이아조 성분이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경우, 하기 화학식 17의 아민을 종래의 방법으로 다이아조화하고, 수득된 다이아조늄 화합물을 계속해서 화학식 15에 따른 모노아조 염료 및 화학식 13, 18 및/또는 19에 따른 1개 이상의 커플링제 및/또는 하기 화학식 20에 따른 모노아조 염료를 고착 비로 갖는 혼합물의 수용액 또는 현탁액과 반응시킬 수 있다:
D2-NH2
상기 식에서,
D2, D4, R*, R**, R31, R32, R33 , R34, R35, R36, Z 및 M은 각각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또다르게는, 본 발명에 따른 염료 혼합물은, 화학식 101 및 103b에 따른 D1, D2, D4 및 D5 기가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경우에 제조될 수 있는데, 이는 하기 화학식 21의 아민을 종래의 방법으로 다이아조화하고, 제 1 단계에서는 먼저 pH 3 미만에서 하기 화학식 22 및 23의 커플링 성분의 혼합물로 커플링하고, 계속해서 pH를 증가시켜 추가 커플링하여 화학식 101 및 103b의 염료 혼합물을 형성한다:
D1-NH2
상기 식에서,
D1, R*, R**, R32 및 M은 각각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 혼합물을, 예를 들어 염화나트륨 또는 염화칼륨을 사용하여 염석하거나, 분무 건조시키거나, 증발시켜 종래의 방식으로 분리한다.
유사하게, 화학식 101 및 화학식 103a 내지 103f의 염료의 합성 과정 동안에 생성된 용액을, 적합하다면 완충 물질의 첨가 후에, 그리고 적합하다면 농축시킨 후에 염색하는데 액체 제품으로서 직접 사용할 수 있다.
반응성 라디칼로서 β-클로로에틸설포닐 또는 β-티오설파토에틸설포닐 또는 β-설파토에틸설포닐 기 뿐만 아니라 비닐설포닐 기도 함유한 염료 혼합물은, 적합하게 치환된 비닐설포닐-아닐린 또는 나프틸아민을 출발물질로 하여, Z가 β-클로로에틸, β-티오설파토에틸 또는 β-설파토에틸인 염료 혼합물을 목적하는 분율을 위해 요구되는 알칼리의 양과 반응시키고 언급했던 β-치환된 에틸설포닐 기를 비닐설포닐 기로 전환시킴으로써 합성될 수 있다. 이 전환은 종래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친숙한 방법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 혼합물은 유용한 도포 특성을 갖는다. 이들은 하이드록실- 및/또는 카복스아미도-함유 물질을,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로 구성된 페이퍼 및 가죽과 같은 시트형 구조 또는 필름의 형태, 또는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및 폴리유레테인과 같은 벌크 형태로 염색 또는 날염하는데 뿐만 아니라 특히 이들 물질을 섬유 형태로 염색 및 날염하는데 사용된다. 유사하게, 본 발명에 따른 염료 혼합물의 유사-합성된 용액은 적합하다면 완충 물질의 첨가 후에, 그리고 적합하다면 농축 또는 희석 후에, 염색하는데 액체 조제품으로서 직접 사용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또한 물질을 염색 또는 날염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염료 혼합물의 용도, 또는 착색제로서 본 발명의 염료 혼합물 또는 이의 성분들(염료들)을 개별적으로 함께 사용함으로써 물질을 종래의 방식으로 염색 또는 날염하는 방법도 제공한다. 상기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행크 또는 감긴 팩키지의 형태와 같이 섬유 물질의 형태, 특히 직포 또는 사와 같은 직물 섬유의 형태로 이용된다.
하이드록실-함유 물질은 천연물 또는 합성물, 예를 들어 셀룰로스 섬유 물질 또는 이들의 재생 제품 및 폴리비닐 알콜이다. 셀룰로스 섬유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면직물 뿐만 아니라 리넨, 대마, 황마 및 라미 섬유와 같은 그밖의 식물성 섬유이고; 재생 셀룰로스 섬유는 예를 들어 스테이플 비스코스 및 필라멘트 비스코스, 및 아민화 셀룰로스 섬유 또는 예를 들어 WO 96/37641, WO 96/37642, EP-A-0 538 785 및 EP-A-0 692 559에 기재된 바와 같은 섬유와 같은 화학적으로 개질된 셀룰로스 섬유이다.
카복스아미도-함유 물질은 예를 들어 특히 섬유 형태의 합성 및 천연 폴리아미드 및 폴리유레테인, 예를 들어 울 및 그밖의 동물 털, 실크, 가죽, 나일론-6,6, 나일론-6, 나일론-11 및 나일론-4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 혼합물은 수용성 염료 및 특히 섬유-반응성 염료에 대해 공지된 도포 기법에 의해 언급했던 기재, 특히 언급했던 섬유 물질에 도포시켜 고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셀룰로스 섬유상에서, 예를 들어 5:1 내지 100:1, 바람직하게는 6:1 내지 30:1의 액 대 제품 비로 장기(long) 액 및 단기(short) 액으로부터의 배출 방법에 의해 나타나게 되는데, 다양한 산-결합제 및 선택적으로 필요한 만큼의 중성 염(예: 염화나트륨 또는 황산나트륨)을 사용하고, 매우 우수한 컬러 일드를 갖도록 염색한다. 통상의 염색 보조제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바람직하게는 수성 욕으로부터, 상압하에서는 40 내지 105℃의 온도, 선택적으로 130℃ 이하의 온도,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5℃, 특히 45 내지 65℃의 온도에서 도포한다. 여기서 한가지 가능한 처리는 물질을 따뜻한 욕으로 도입하고, 상기 욕을 목적하는 염색 온도로 점차 가열하여 상기 온도에서 염색 공정을 완성시키는 것이다. 또한, 염료의 배출을 촉진하는 중성 염은, 바람직한 경우에만 실제 염색 온도에 도달한 후에 상기 욕에 첨가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패딩 공정은 셀룰로스 섬유상에 뛰어난 컬러 일드 및 매우 우수한 컬러 빌드업을 제공하며, 염료는 실온 또는 승온(예: 60℃ 이하)에서 배칭에 의한 종래의 방식으로, 또는 예를 들어 패드-건조-패드 증기 공정 방식, 증기 처리 또는 건조 열을 사용하는 연속 방식에 의해 고착된다.
유사하게, 일단계로는, 예를 들어 중탄산나트륨 또는 몇몇 다른 산-결합제를 함유한 날염 페이스트로 날염하고, 계속해서 100 내지 103℃에서 증기처리하고, 제 2 단계로는, 예를 들어 중성 내지 약산성 날염 컬러로 날염한 후 날염된 물질을 고온 전해질을 함유한 알칼리성 욕을 통과시키거나 알칼리성 전해질-함유 패딩 액으로 오버패딩하고, 계속해서 알칼리-오버패딩된 물질을 배칭 또는 스팀 처리 또는 건조 열 처리하여 수행될 수 있는 셀룰로스 섬유에 대한 통상적인 날염 공정에 의해 매우 명확한 윤곽 및 밝은 백색 바탕을 가진 강렬한 색상의 날염을 생성한다. 날염의 결과는, 고착 조건의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해도 거의 받지 않는다.
통상적인 열고착 공정에 따라 건조 열에 의해 고착시키는 경우, 120 내지 200℃의 열기를 사용한다. 101 내지 103℃의 통상의 증기 이외에, 160℃ 이하의 온도로 과열된 증기 및 고압 증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셀룰로스 섬유상에 본 발명에 따른 염료 혼합물의 염료를 고착시키는 산-결합제로는, 예를 들어 무기산 또는 유기산, 및 열로 알칼리 금속을 유리시키는 화합물의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의 수용성 염기성 염, 및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가 있다. 특히 적합한 것은 약한 정도 내지 중간 정도의 무기산 또는 유기산의 알칼리 금속 염 및 알칼리 금속 하이드록사이드이고, 바람직한 알칼리 금속 화합물은 나트륨 및 칼륨 화합물이다. 이러한 산 결합제로는 예를 들어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칼륨 하이드록사이드, 나트륨 카보네이트,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칼륨 카보네이트, 나트륨 포름에이트, 나트륨 다이하이드로젼포스페이트, 다이나트륨 하이드로젼포스페이트, 나트륨 트라이클로로아세테이트, 트라이나트륨 포스페이트 또는 규산소다 또는 이들의 혼합물, 예를 들어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수용액 및 규산소다의 혼합물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잉크젯 방법에 의한 디지탈 직물 날염용 날염 잉크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염료 혼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날염 잉크는 본 발명의 반응성 염료 혼합물을, 상기 잉크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예를 들어 0.1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중량%의 양으로 포함한다. 이들은 또한 직물 날염에 사용되는 다른 반응성 염료와 전술한 반응성 염료 혼합물의 배합물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잉크를 연속 흐름 공정에 사용하기 위해서, 전해질을 첨가하여 0.5 내지 25mS/m의 전도율로 설정할 수 있다.
유용한 전해질로는 예를 들어 리튬 나이트레이트 및 칼륨 나이트레이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염료 잉크는 유기 용매를 1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중량%의 총 수준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유기 용매로는 예를 들어 알콜,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아이소프로판올, 1-뷰탄올, t-뷰탄올, 펜틸 알콜, 다가 알콜, 예를 들어 1,2-에테인다이올, 1,2,3-프로페인트라이올, 뷰테인다이올, 1,3-뷰테인다이올, 1,4-뷰테인다이올, 1,2-프로페인다이올, 2,3-프로페인다이올, 펜테인다이올, 1,4-펜테인다이올, 1,5-펜테인다이올, 헥세인다이올, D,L-1,2-헥세인다이올, 1,6-헥세인다이올, 1,2,6-헥세인트라이올, 1,2-옥테인다이올, 폴리알킬렌 글리콜,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2 내지 8개의 알킬렌 기를 갖는 알킬렌 글리콜, 예를 들어 모노에틸렌 글리콜, 다이에틸렌 글리콜, 트라이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티오글리콜, 티오다이글리콜, 뷰틸트라이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트라이프로필렌 글리콜, 다가 알콜의 저급 알킬 에테르,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뷰틸 에테르, 다이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다이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다이에틸렌 글리콜 모노뷰틸 에테르, 다이에틸렌 글리콜 모노헥실 에테르, 트라이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트라이에틸렌 글리콜 모노뷰틸 에테르, 트라이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모노뷰틸 에테르,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다이메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뷰틸 에테르, 트라이프로필렌 글리콜 아이소프로필 에테르, 폴리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트라이데실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노닐페닐 에테르, 아민, 예를 들어 메틸아민, 에틸아민, 트라이에틸아민, 다이에틸아민, 다이메틸아민, 트라이메틸아민, 다이뷰틸아민, 다이에탄올아민, 트라이에탄올아민, N-아세틸에탄올아민, N-포밀에탄올아민, 에틸렌다이아민, 유레아 유도체, 예를 들어 유레아, 티오유레아, N-메틸유레아, N,N'-다이메틸유레아, 에틸렌유레아, 1,1,3,3-테트라메틸유레아, 아미드, 예를 들어 다이메틸포름아미드, 다이메틸아세트아미드, 아세트아미드, 케톤 또는 케토 알콜, 예를 들어 아세톤, 다이아세톤 알콜, 사이클릭 에테르, 예를 들어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트라이메틸올에테인,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2-뷰톡시에탄올, 벤질 알콜, 2-뷰톡시에탄올, γ-뷰티로락톤, ε-캐프로락탐, 추가로 설포레인, 다이메틸설포레인, 메틸설포레인, 2,4-다이메틸설포레인, 다이메틸 설폰, 뷰타다이엔 설폰, 다이메틸 설폭사이드, 다이뷰틸 설폭사이드, N-사이클로헥실피롤리돈, N-메틸-2-피롤리돈, N-에틸피롤리돈, 2-피롤리돈, 1-(2-하이드록시에틸)-2-피롤리돈, 1-(3-하이드록시프로필)-2-피롤리돈, 1,3-다이메틸-2-이미다졸리딘온, 1,3-다이메틸-2-이미다졸린온, 1,3-비스메톡시메틸이미다졸리딘, 2-(2-메톡시에톡시)에탄올, 2-(2-에톡시에톡시)에탄올, 2-(2-뷰톡시에톡시)에탄올, 2-(2-프로폭시에톡시)에탄올, 피리딘, 피페리딘, 뷰티로락톤, 트라이메틸프로페인, 1,2-다이메톡시프로페인, 다이옥세인, 에틸 아세테이트,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에틸 펜틸 에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날염 잉크는 통상의 첨가제, 예를 들어 20 내지 50℃의 온도 범위에서 점도를 1.5 내지 40.0mPas의 범위로 설정하는 점도 조절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잉크는 1.5 내지 20mPas의 점도를 갖고, 특히 바람직한 잉크는 1.5 내지 15mPas의 점도를 갖는다. 유용한 점도 조절제로는 레올로지 첨가제, 예를 들어 폴리비닐캐프로락탐,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이들의 공중합체 폴리에테르폴리올, 연관된 증점제, 폴리유레아, 폴리유레테인, 나트륨 알기네이트, 개질된 갈락토만난, 폴리에테르유레아, 폴리유레테인, 비이온성 셀룰로스 에테르를 들 수 있다.
추가의 첨가제로서 본 발명의 잉크는, 20 내지 65 mN/m의 표면 장력을 설정하는 표면-활성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는 필요하다면 사용된 공정의 기능(열 또는 피에조기술)으로서 개작된다.
유용한 표면-활성 물질로는, 예를 들어 모든 계면활성제, 바람직하게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뷰틸다이글리콜, 1,2-헥세인다이올을 들 수 있다.
상기 잉크는 통상의 첨가제, 예를 들어 병원균 및 세균 성장을 억제하는 물질을 잉크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중량%의 양으로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잉크는 물 중에서 성분들을 혼합함으로써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염료 잉크는 잉크젯 날염 공정에서 매우 다양한 전처리된 물질, 예를 들어 실크, 가죽, 울, 폴리아미드 섬유 및 폴리유레테인, 및 특히 임의의 종류의 셀룰로스성 섬유 물질을 날염하는데 유용하다. 이러한 섬유 물질로는, 예를 들어 천연 셀룰로스 섬유(예: 면직물, 린넨 및 헴프), 및 펄프 및 재생 셀룰로스가 있다. 본 발명의 날염 잉크는 또한 블렌드 직물, 예를 들어 폴리에스터 섬유 또는 폴리아미드 섬유와 면직물, 실크, 울의 블렌드 중에 존재하는 전처리된 하이드록실- 또는 아미노-함유 섬유를 날염하는데 유용하다.
날염 잉크가 이미 반응성 염료용 고착 화학 약품 및 증점제를 전부 함유한 종래의 직물 날염과는 반대로, 잉크젯 날염시 보조제는 개별적인 전처리 단계에서 직물 기재에 도포되어야 한다. 직물 기재, 예를 들어 셀룰로스 및 재생 셀룰로스 섬유 및 실크 및 울의 예비 처리는 날염 전에 수성 알킬리성 액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반응성 염료를 고착시키기 위해 알칼리, 예를 들어 나트륨 카보네이트,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나트륨 아세테이트, 트라이나트륨 포스페이트, 나트륨 실리케이트,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알칼리 도너, 예를 들어 나트륨 클로로아세테이트, 나트륨 포름에이트, 수향성 물질, 예를 들어 유레아, 환원 억제제, 예를 들어 나트륨 나이트로벤젠설포네이트, 및 날염 잉크를 도포할 때 모티브의 흐름을 억제하는 증점제, 예를 들어 나트륨 알기네이트, 개질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고 에테르화 갈락토만난이 필요하다.
이러한 전처리 시약을 일정한 양으로 적합한 도포기, 예를 들어 2-롤 또는 3-롤 패드 비접촉 분무 기술을 이용하여, 발포 도포에 의해 또는 적절하게 개작된 잉크젯 기술을 이용하여 직물 기재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계속해서 건조시킨다.
날염 후, 직물 섬유 물질을 120 내지 150℃에서 건조시키고, 계속해서 고착시킨다.
반응성 염료로 제조된 잉크젯 날염의 고착은 실온에서 수행할 수도 있고, 또는 포화된 증기, 과열된 증기, 열기, 마이크로파, 적외선 방사, 레이저 또는 전자 빔, 또는 그밖의 적절한 에너지 전달 기법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단상 및 이상 고착 공정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 단상 고착시에는 필요한 고착 화학 약품이 이미 직물 기재상에 존재한다. 이상 고착시에는 이러한 전처리가 불필요하다. 고착시에만, 잉크젯 날염 수행 후 중간 건조없이 고착 과정 이전에 도포되는 알칼리를 필요로 한다. 유레아와 같은 추가 첨가제 또는 증점제가 전혀 필요없다. 우수한 견뢰도, 높은 선명도 및 결점없는 백색 바탕을 위한 예비조건인 고착은 날염 후처리 이후에 실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 혼합물은, 매우 소량의 알칼리 또는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염색 또는 날염하여 셀룰로스 섬유 물질에 도포하는 경우 뛰어난 컬러 강도가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특별한 경우, 예를 들어 약간 짙은 쉐이드를 위해서는 전해질 염이 전혀 필요 없고, 중간 정도로 짙은 쉐이드를 위해서는 5g/ℓ보다 많지 않은 전해질 염이 필요하고, 짙은 쉐이드를 위해서는 10g/ℓ보다 많지 않은 전해질 염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약간 짙은 쉐이드는 염색되는 기재를 기준으로 2중량%의 염료를 사용하고, 증간 정도로 짙은 쉐이드는 염색되는 기재를 기준으로 2 내지 4중량%의 염료를 사용하고, 짙은 쉐이드는 염색되는 기재를 기준으로 4 내지 10중량%의 염료를 사용할 것이 언급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 혼합물로 얻을 수 있는 염색 및 날염은 밝은 쉐이드를 갖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셀룰로스 섬유 물질상의 염색 및 날염은 우수한 내광성 및 특별히 우수한 습윤견뢰도, 예를 들어 세탁, 밀링, 물, 해수, 크로스염색 및 산성 및 알칼리성 땀에 대한 견뢰도, 주름 잡기 가공, 가열압착 및 러빙에 대한 우수한 견뢰도를 갖는다. 또한, 고착되지 않은 염료 부분을 제거하기 위해 통상의 헹굼 후처리를 실시한 후에 얻어지는 셀룰로스 염색은, 고착되지 않은 염료 부분이 냉수 중의 우수한 가용성으로 인해 용이하게 세척 제거되기 때문에 뛰어난 습윤견뢰도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염료 혼합물은 또한 울의 섬유-반응성 염색시 사용할 수도 있다. 더욱이, 펠팅처리하지 않거나 낮은 펠팅 마무리처리한 울(비교 문헌[H. Rath, Lehrbuch der Textilchemie, Springer-Verlag, 3rd edition (1972), pages 295-299, 특히 헤르코세트 공정(Hercosett process)으로 마무리처리됨(page 298); J. Soc. Dyers and Colorists 1972, 93-99 and 1975, 33-44])은 매우 우수한 견뢰성을 갖게 염색될 수 있다. 울을 염색하는 공정은 여기서는 산성 매질로부터 종래의 방식으로 수행된다. 예를 들어, 아세트산 및/또는 암모늄 설페이트 또는 아세트산 및 암모늄 아세테이트 또는 나트륨 아세테이트를 염료욕에 첨가하여 목적하는 pH를 얻을 수 있다. 허용가능한 균염성을 갖는 염색을 얻기 위해, 통상의 균염제, 예를 들어 사이아뉴릭 클로라이드와 3배 몰량의 아미노벤젠설폰산 및/또는 아미노나프탈렌설폰산의 반응 생성물을 기준으로, 또는 예를 들어 스테아릴아민과 에틸렌 옥사이드의 반응 생성물을 기준으로 균염제를 첨가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염료 혼합물에, pH 조절하에 약 3.5 내지 5.5의 pH를 갖는 산성 염료욕으로부터 초기에 배출시키는 공정을 실시하고, 그 다음 염색 기간을 마칠 무렵 pH를 중성 및 선택적으로 pH 8.5 이하의 약 알칼리성 범위로 바꾸어, 특히 매우 짙은 염색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염료 혼합물의 염료 및 섬유 사이의 완전한 반응성 결합을 일으키게 한다. 동시에, 반응성으로 결합되지 않은 염료 부분을 제거한다.
본원에 기재된 방법을 또한 그밖의 천연 폴리아미드 또는 합성 폴리아미드 및 폴리유레테인으로 이루어진 섬유 물질상에서 염색할 제품에 적용한다. 일반적으로, 염색되는 물질을 약 40℃의 온도에서 욕으로 도입하고, 그 안에서 몇시간 교반한 후, 염료욕을 목적하는 약산성, 바람직하게는 약한 아세트산의 pH로 조절하고, 실제 염색을 60 내지 98℃의 온도에서 수행한다. 그러나, 앰색을 보일 또는 밀봉된 염색 장치에서 106℃ 이하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 혼합물의 수 용해성이 매우 우수하므로, 이들은 또한 통상의 연속 염색 공정에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 혼합물의 컬러 강도는 매우 높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 혼합물은 언급했던 물질, 바람직하게는 섬유 물질을 오렌지색 내지 적색 쉐이드로 매우 우수한 견뢰성을 갖게 염색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것을 돕는다. 부 및 퍼센트는 달리 언급하지 않으면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중량부는 리터에 비례하는 킬로그램으로서 체적부와 관련되어 있다. 화학식이란 용어로 실시예에 기재된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이들의 염,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또는 칼륨 염의 형태로 제조되고 분리되어, 염색시 이들의 염의 형태로 사용되기 때문에 나트륨 염의 형태로 표기된다. 하기 실시예, 특히 표의 실시예에 기재된 출발 화합물은 유리 산의 형태 또는 이들의 염,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 염(예: 나트륨 또는 칼륨 염)의 형태로 합성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1
하기 화학식 I-1의 진홍색 다이아조 염료를 70% 분율로 함유한 전해질-함유 염료 분말 50부 및 하기 화학식 Ge-1의 황색 아조 염료를 75% 분율로 함유한 전해질-함유 염료 분말 50부를 물 500부에 용해시키고, 생성된 염료 용액의 pH를 5.5 내지 6.5로 조절한다. 이 염료 용액을 증발시켜, 반응성 염료에 있어서 통상적인 염색 조건하에 면직물상에 금빛 오렌지색 내지 바랜 오렌지색 염색 및 날염을 제공하는 염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또다르게는, 수득된 염료 용액을 또한 포스페이트 완충액을 첨가하여 pH 5.5 내지 6에서 완충시키고, 추가로 희석 또는 농축시켜 일정한 강도를 갖는 액체 브랜드를 제공한다.
실시예 2
하기 화학식 I-2의 적색 다이아조 염료를 70% 분율로 함유한 전해질-함유 염료 분말 20부 및 하기 화학식 Ga-1의 금빛 황색 아조 염료를 70% 분율로 함유한 전해질-함유 염료 분말 80부를 서로 기계적으로 혼합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염료 혼합물은 예를 들어 반응성 염료에 있어서 통상적인 염색 조건하에서 면직물상에 바랜 오렌지색 내지 붉은빛을 띤 오렌지색 염색 및 날염을 제공한다.
실시예 3
하기 화학식 I-3의 진홍색 다이아조 염료를 75% 분율로 함유한 전해질-함유 염료 분말 20부 및 하기 화학식 Gf-1의 황색 아조 염료를 65% 분율로 함유한 전해질-함유 염료 분말 80부를 물 500부에 용해시키고, 생성된 염료 용액의 pH를 5.5 내지 6.5로 조절한다. 이 염료 용액을 증발시켜, 반응성 염료에 있어서 통상적인 염색 조건하에 면직물상에 오렌지색 염색 및 날염을 제공하는 염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또다르게는, 수득된 염료 용액을 또한 포스페이트 완충액을 첨가하여 pH 5.5 내지 6에서 완충시키고, 추가로 희석 또는 농축시켜 일정한 강도를 갖는 액체 브랜드를 제공한다.
실시예 4
180부의 4-(β-설파토에틸설포닐)아닐린을 440부의 얼음물 및 116부의 30% 염산에 현탁시키고, 112부의 40% 아질산나트륨 용액을 적가하여 다이아조화한다. 과량의 아질산염을 설팜산 용액으로 제거한 후, 67부의 4-하이드록시-7-(설포메틸아미노)나프탈렌-2-설폰산(48부의 7-아미노-4-하이드록시나프탈렌-2-설폰산을 32부의 포름알데하이드 나트륨 바이설파이트와 수성 매질 중에서 pH 5.5 내지 6, 및 45℃에서 반응시켜 제조됨), 및 23부의 2,4-다이아미노벤젠설폰산을 첨가하고, 제 1 커플링 반응을 pH 1 내지 2에서 20℃ 미만 수행하여 화학식 15-4 및 Ga-2에 따른 두가지 모노아조 염료의 혼합물을 형성한다. 고체 중탄산나트륨을 첨가하여 일정한 pH 범위를 설정하고, 커플링 반응 동안 이를 유지시킨다.
제 1 커플링 반응을 마친 후, 25℃ 미만에서 탄산나트륨을 사용하여 pH를 5.5 내지 6.5로 설정한다. 제 2 커플링 반응을 마친 후에 형성된 화학식 I-4 및 Gb-1의 2가지 아조 염료의 2:1 혼합물을 분무 건조에 의해 분리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염료 혼합물은 면직물을 오렌지색 쉐이드로 염색시킨다.
실시예 5
141부의 4-(β-설파토에틸설포닐)아닐린을 360부의 얼음물 및 91부의 30% 염산 중에서 현탁시키고, 87부의 40% 아질산나트륨 용액을 적가하여 다이아조화한다. 과량의 아질산염을 설팜산 용액으로 제거한 후, 수득된 다이아조 현탁액을 하기 화학식 15-5의 진홍색 모노아조 염료 138부 및 하기 화학식 Ga-4의 오렌지색 모노아조 염료 188부의 혼합물(180.5부의 2-아미노-5-(β-설파토에틸설포닐)벤젠설폰산을 87부의 40% 아질산나트륨 용액과 황산 매질 중에서 다이아조화하고, 계속해서 pH 1.5 내지 2에서 50.5부의 4-하이드록시-7-메틸아미노나프탈렌-2-설폰산 및 56.5부의 2,4-다이아미노벤젠설폰산의 혼합물로 커플링하여 수득됨)의 수용액으로 펌펑한다. 그 다음, pH를 5 내지 6으로 설정하고 탄산나트륨을 사용하여 이를 유지시킨다. 커플링 반응을 마친 후에 형성된 화학식 I-7 및 Gb-2의 2가지 염료의 42:58 혼합물을 감압하에 증발 또는 분무 건조에 의해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염료 혼합물은 면직물을 붉은빛을 띤 갈색 쉐이드로 염색시킨다.
실시예 6
156부의 2-메톡시-5-(β-설파토에틸설포닐)아닐린을 450부의 얼음물 및 91부의 30% 염산 중에서 현탁시키고, 88부의 40% 아질산나트륨 용액을 적가하여 다이아조화한다. 과량의 아질산염을 설팜산 용액으로 제거한 후, 수득된 다이아조 현탁액을 169부의 하기 화학식 15-3의 진홍색 모노아조 염료(91부의 2-아미노-5-(β-설파토에틸설포닐)벤젠설폰산을 44부의 40% 아질산나트륨 용액과 황산 매질 중에서 다이아조화하고, 계속해서 pH 1.5 내지 2에서 60부의 7-아미노-4-하이드록시-나프탈렌-2-설폰산으로 커플링하여 수득됨)의 수용액으로 펌펑한다. 이후에, 71부의 5-하이드록시-1-(4-설포페닐)-1H-피라졸-3-카복실산을 첨가하고, pH를 5 내지 6으로 설정하고, 25℃ 미만에서 탄산나트륨을 사용하여 이를 유지시킨다. 커플링 반응을 마친 후에 형성된 화학식 I-5 및 Gc-5의 2가지 염료의 60:40 혼합물을 감압하에 증발 또는 분무 건조에 의해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염료 혼합물은 면직물을 붉은빛을 띤 쉐이드로 염색시킨다.
실시예 7 내지 137
하기 표의 실시예는, 각각 나트륨 염의 형태로 목록으로 기재한, 화학식 I 및 화학식 Ga 내지 Gf의 염료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염료 혼합물을 추가로 기재하고 있다. 혼합비는 중량%로 기록한다. 염료 혼합물은, 예를 들어 반응성 염료에 있어서 통상적인 염색 방법에 의해 면직물상에 오렌지색/진홍색 내지 갈색을 띤 적색 염색을 제공한다.
실시예 1 내지 3에 따른 염료 혼합물
실시예 4 또는 5에 따른 염료 혼합물
실시예 6에 따른 염료 혼합물
용도 실시예 1
실시예 1 내지 6에 따라 수득된 염료 혼합물 2부 및 염화나트륨 50부를 물 999부 및 탄산나트륨 5부에 용해시키고, 수산화나트륨(32.5% 수용액 형태) 0.7부, 및 적합하다면 습윤제 1부를 첨가한다. 100g의 면직물을 상기 염료욕에 넣는다. 염료욕의 온도를 처음 10분간은 25℃로 유지하고, 30분에 걸쳐 최종 온도(40 내지 80℃)로 올려 상기 최종 온도를 추가 60 내지 90분간 유지한다. 그 후, 염색된 직물을 처음에는 수돗물로 2분간 헹군 후 탈이온수로 5분간 헹군다. 염색된 직물을 40℃에서 1부의 50% 아세트산을 함유한 수용액 1000부에서 10분간 중성화한다. 70℃에서 탈이온수로 다시 헹군 후, 세탁 세제를 포함한 보일에 15분간 담그고, 다시 한번 헹구고 건조시켜 매우 우수한 견뢰도 특성을 갖는 오렌지색 내지 적색 염색을 제공한다.
용도 실시예 2
실시예 1 내지 6에 따라 수득된 염료 혼합물 4부 및 염화나트륨 50부를 물 998부 및 탄산나트륨 5부에 용해시키고, 수산화나트륨(32.5% 수용액 형태) 2부, 및 적합하다면 습윤제 1부를 첨가한다. 100g의 면직물을 상기 염료욕에 넣는다. 나머지 가공처리를 상기 용도 실시예 1에 기록된 바와 같이 수행하여 높은 컬러 강도와 매우 우수한 견뢰도 특성을 갖는 오렌지색 내지 적색 염색을 제공한다.
용도 실시예 3
머어서리화 무명으로 이루어진 직물을, 35g/ℓ의 무수 탄산나트륨, 100g/ℓ의 유레아 및 150g/ℓ의 저 점도 나트륨 알기네이트 용액(6%)을 함유한 액으로 패딩한 후 건조시킨다. 습윤 픽업율(pickup)은 70%였다. 이렇게 전처리된 직물을, 드롭 온 디맨드형 (버블-젯) 잉크젯 날염 헤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에 따른 염료 혼합물 2%, 설포란 20%, 머갈(Mergal) K9N 0.01% 및 물 77.99%를 함유한 수성 잉크로 날염한다. 날염을 완전히 건조시킨다. 102℃에서 8분간 포화된 증기에 의해 고착시킨다. 그 다음, 날염을 따뜻하게 헹구고, 95℃에서 고온수를 사용하여 세탁 견뢰도 시험을 실시하고, 따뜻하게 헹군 후 건조시킨다. 그 결과 뛰어난 서비스 견뢰도를 갖는 오렌지색 내지 적색 날염이 얻어진다.
용도 실시예 4
머어서리화 무명으로 이루어진 직물을, 35g/ℓ의 무수 탄산나트륨, 50g/ℓ의 유레아 및 150g/ℓ의 저 점도 나트륨 알기네이트 용액(6%)을 함유한 액으로 패딩한 후 건조시킨다. 습윤 픽업율(pickup)은 70%였다. 이렇게 전처리된 직물을, 드롭 온 디맨드형 (버블-젯) 잉크젯 날염 헤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2에 따른 염료 혼합물 8%, 1,2-프로페인다이올 20%, 머갈 K9N 0.01% 및 물 71.99%를 함유한 수성 잉크로 날염한다. 날염을 완전히 건조시킨다. 102℃에서 8분간 포화 증기에 의해 고착시킨다. 그 다음, 날염을 따뜻하게 헹구고, 95℃에서 고온수를 사용하여 세탁 견뢰도 시험을 실시하고, 따뜻하게 헹군 후 건조시킨다. 그 결과 뛰어난 서비스 견뢰도를 갖는 붉은빛을 띤 오렌지색 날염이 얻어진다.
용도 실시예 5
머어서리화 무명으로 이루어진 직물을, 35g/ℓ의 무수 탄산나트륨, 100g/ℓ의 유레아 및 150g/ℓ의 저 점도 나트륨 알기네이트 용액(6%)을 함유한 액으로 패딩한 후 건조시킨다. 습윤 픽업율(pickup)은 70%였다. 이렇게 전처리된 직물을, 드롭 온 디맨드형 (버블-젯) 잉크젯 날염 헤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5에 따른 염료 혼합물 8%, N-메틸피롤리돈 15%, 머갈 K9N 0.01% 및 물 76.99%를 함유한 수성 잉크로 날염한다. 날염을 완전히 건조시킨다. 102℃에서 8분간 포화 증기에 의해 고착시킨다. 그 다음, 날염을 따뜻하게 헹구고, 95℃에서 고온수를 사용하여 세탁 견뢰도 시험을 실시하고, 따뜻하게 헹군 후 건조시킨다. 그 결과 뛰어난 서비스 견뢰도를 갖는 붉은빛을 띤 오렌지색 날염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염료 혼합물은 섬유에 고착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워시오프성 및 직접성이 뛰어나고, 내광성 및 습윤견뢰도와 같은 전반적인 견뢰도가 우수하며, 면-폴리아미드 블렌드 직물의 경우에는 폴리아미드를 변색시키는 경향도 낮아 우수한 염색 일드 및 높은 고착력을 갖는 염색을 제공할 것이다.

Claims (13)

1개 이상의 하기 표기되고 정의된 화학식 101의 염료, 1개 이상의 하기 화학식 15 또는 16의 모노아조 염료(각각 0 내지 10중량%의 양), 및 1개 이상의 하기 표기되고 정의된 화학식 103a 내지 103f의 염료로 이루어지되, 상기 화학식 101 및 103a 내지 103f의 염료가 식 -SO2-Z 또는 -Z2의 섬유-반응성 기를 1개 이상 함유하는 반응성 염료 혼합물:
화학식 101
(I)
화학식 15
화학식 16
화학식 103a
(Ga)
화학식 103b
(Gb)
화학식 103c
(Gc)
화학식 103d
(Gd)
화학식 103e
(Ge)
화학식 103f
(Gf)
상기 식에서,
D1 내지 D7은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 1의 기이거나: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4)알킬, (C1-C 4)알콕시, 하이드록실, 설포, 카복실, 사이아노, 나이트로, 아미도, 유레이도 또는 할로겐이고;
X1은 수소 또는 식 -SO2-Z의 기이고, 여기서 Z는 -CH=CH2, -CH2CH 2Z1(여기서, Z1은 하이드록실 또는 알칼리-분리가능한 기임) 또는 하이드록실이다];
D1 내지 D7은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 2의 나프틸 기이거나:
화학식 2
[상기 식에서,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4)알킬, (C1-C 4)알콕시, 하이드록실, 설포, 카복실, 사이아노, 나이트로, 아미도, 유레이도 또는 할로겐이고; X2는 X1의 의미 중 하나를 갖는다];
D1 내지 D7은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 3의 기이거나:
화학식 3
[상기 식에서,
R5 및 R6은 독립적으로 R1 및 R2의 의미 중 하나를 갖고;
R7은 수소, (C1-C4)알킬, 비치환되거나 (C1-C4)-알킬-, (C1-C4)-알콕시-, 설포-, 할로겐- 또는 카복실-치환된 페닐이고;
Z2는 하기 화학식 4, 5 또는 6의 기이고:
화학식 4
화학식 5
화학식 6
상기 식에서,
V는 불소 또는 염소이고;
U1, U2는 독립적으로 불소, 염소 또는 수소이고;
Q1, Q2는 독립적으로 염소, 불소, 사이안아미도, 하이드록실, (C1-C6 )-알콕시, 페녹시, 설포페녹시, 머캡토, (C1-C6)-알킬머캡토, 피리디노, 카복시피리디노, 카바모일피리디노 또는 하기 화학식 7 또는 8의 기이고:
화학식 7
화학식 8
상기 식에서,
R8은 수소 또는 (C1-C6)-알킬이거나, (C1-C4)-알킬, (C1-C4)-알콕시, 설포, 할로겐, 카복실, 아세트아미도, 유레이도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페닐 또는 설포-(C1-C6)-알킬이고;
R9 및 R10은 독립적으로 R8의 의미 중 하나를 갖거나, 결합하여 식 -(CH 2)j-(여기서, j는 4 또는 5임), 또다르게는 -(CH2)2-E-(CH2)2-(여기서, E는 산소, 황, 설포닐, -NR11(여기서, R11은 (C1-C6)-알킬임)임)의 사이클릭 고리계를 형성하고;
W는 (C1-C4)-알킬, (C1-C4)-알콕시, 카복실, 설포, 염소, 브롬과 같은 치환기 1 또는 2개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페닐렌이거나, 산소, 황, 설포닐, 아미노, 카보닐, 카복스아미도가 개입될 수도 있는 (C1-C4)-알킬렌아릴렌 또는 (C2-C6 )-알킬렌이거나, (C1-C4)-알킬, (C1-C4)-알콕시, 하이드록실, 설포, 카복실, 아미도, 유레이도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페닐렌-CONH-페닐렌이거나, 1 또는 2개의 설포 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나프틸렌이고;
Z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D1 내지 D7은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 9의 기이거나:
화학식 9
[상기 식에서,
R12는 수소, (C1-C4)-알킬, 아릴 또는 치환된 아릴 라디칼이고;
R13 및 R14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4)-알킬, (C1-C 4)-알콕시, 하이드록실, 설포, 카복실, 사이아노, 나이트로, 아미도, 유레이도 또는 할로겐이고;
A는 하기 화학식 10의 페닐렌 기이거나:
화학식 10
(상기 식에서,
R15 및 R16은 독립적으로 수소, (C1-C4)-알킬, (C1-C 4)-알콕시, 하이드록실, 설포, 카복실, 사이아노, 나이트로, 아미도, 유레이도 또는 할로겐이다);
A는 하기 화학식 11의 나프틸렌 기이거나:
화학식 11
(상기 식에서,
R17 및 R18은 독립적으로 수소, (C1-C4)-알킬, (C1-C 4)-알콕시, 하이드록실, 설포, 카복실, 사이아노, 나이트로, 아미도, 유레이도 또는 할로겐이다);
A는 하기 화학식 12의 폴리메틸렌 기이고:
화학식 12
-(CR19R20)k-
(상기 식에서,
k는 1보다 큰 정수이고,
R19 및 R20은 독립적으로 수소, (C1-C4)-알킬, (C1-C 4)-알콕시, 하이드록실, 사이아노, 아미도, 할로겐 또는 아릴이다); 및
X3은 X1의 의미 중 하나를 갖는다]; 및
R*, R**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4)-알킬 또는 하기 화학식 14의 기이고:
화학식 14
-CH2-SO3M
R31은 수소, 아세틸, 카바모일 또는 화학식 4, 5 또는 14의 기이고;
R32는 수소 또는 화학식 14의 기이고;
R33은 메틸, 카복실 또는 C1 내지 C4 알킬을 포함한 카복시알킬이고;
R34는 수소 또는 메틸이고;
R35는 수소, 사이아노, 카바모일, 카복실 또는 화학식 14의 기이고;
R36은 메틸, 에틸 또는 β-설포에틸이고;
R37은 메틸, 카복실 또는 C1 내지 C4 알킬을 포함한 카복시알킬이고;
R38은 아세트아미도, 유레이도, 메틸 또는 메톡시이고;
R39는 수소, 메틸 또는 메톡시이고;
m은 0 또는 1이고;
n은 1, 2 또는 3이고;
Z3은 Z2의 의미 중 하나를 갖고; 및
M은 수소,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중 하나의 등가물이다.
제 1 항에 있어서,
R**가 수소인 반응성 염료 혼합물.
제 2 항에 있어서,
R*가 화학식 14의 기인 반응성 염료 혼합물.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Z가 비닐, β-클로로에틸 또는 β-설파토에틸인 반응성 염료 혼합물.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5의 Q1 및 Q2가 독립적으로 불소, 염소, 사이안아미도, 모폴리노, 2-설포페닐아미노, 3-설포페닐아미노, 4-설포페닐아미노, 3-(2-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아미노, 4-(2-설파토에틸설포닐)-페닐아미노, 3-(비닐설포닐)-페닐아미노, 4-(비닐설포닐)-페닐아미노, N-메틸-N-(2-(2-설파토에틸설포닐)-에틸)-아미노 또는 N-페닐-N-(2-(2-설파토에틸설포닐)-에틸)-아미노인 반응성 염료 혼합물.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101의 염료를 1개 이상 1 내지 99중량%의 분율로 포함하고, 화학식 103a 내지 103f의 염료를 1개 이상 1 내지 99중량%의 분율로 포함하는 반응성 염료 혼합물.
화학식 101, 15, 16 및 103a 내지 103f의 개별적인 염료를 고체 형태 또는 수용액 형태로 지정된 비율로 기계적으로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염료 혼합물의 제조 방법.
화학식 101, 및 화학식 103a, 103b, 103c 및/또는 103d에 따른 D2 및 D3, 및/또는 D5, D6 및/또는 D7 기가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경우, 하기 화학식 17의 아민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다이아조화하고, 수득된 다이아조늄 화합물을 계속해서 화학식 15에 따른 모노아조 염료 및 1개 이상의 하기 화학식 13, 18 및/또는 19에 따른 커플링제 및/또는 하기 화학식 20에 따른 모노아조 염료를 고착 비로 갖는 혼합물의 수용액 또는 현탁액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염료 혼합물의 제조 방법:
화학식 17
D2-NH2
화학식 13
화학식 18
화학식 19
화학식 20
상기 식에서,
D2, D4, R*, R**, R31, R32, R33 , R34, R35, R36, Z 및 M은 각각 제 1 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화학식 101 및 103b에 따른 D1, D2 및 D4, D5 기가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경우, 하기 화학식 21의 아민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다이아조화하고, 제 1 단계에서는 하기 화학식 22 및 23의 커플링 성분의 혼합물로 커플링하고, 계속해서 추가 전환시켜 화학식 101 및 103b의 염료 혼합물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염료 혼합물의 제조 방법:
화학식 21
D1-NH2
화학식 22
화학식 23
상기 식에서,
D1, R*, R**, R32 및 M은 각각 제 1 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5 내지 50중량%의 총 염료 함량을 갖는,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염료 혼합물을 포함하는 수성 액체 제품.
하이드록실- 및/또는 카복스아미도-함유 섬유 물질을 염색 또는 날염하기 위한 제 1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반응성 염료 혼합물의 용도.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염료 혼합물을 수성 날염 잉크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40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잉크젯 방법에 의해 직물을 날염하기 위한 수성 날염 잉크.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염료 혼합물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직물 섬유 물질을 염색하고, 통상적으로 날염하고, 또한 잉크젯 날염하는 방법.
KR1020040064331A 2003-08-16 2004-08-16 섬유-반응성 아조 염료의 염료 혼합물, 이의 제법 및 이의용도 KR200500190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37637.2 2003-08-16
DE10337637A DE10337637A1 (de) 2003-08-16 2003-08-16 Farbstoffmischungen von faserreaktiven Azofarbstoffen, ihre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9059A true KR20050019059A (ko) 2005-02-28

Family

ID=34042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4331A KR20050019059A (ko) 2003-08-16 2004-08-16 섬유-반응성 아조 염료의 염료 혼합물, 이의 제법 및 이의용도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050034252A1 (ko)
EP (2) EP1508598B1 (ko)
JP (1) JP2005060707A (ko)
KR (1) KR20050019059A (ko)
CN (1) CN1590469A (ko)
AT (1) ATE389697T1 (ko)
BR (1) BRPI0403270A (ko)
CA (1) CA2477407A1 (ko)
DE (2) DE10337637A1 (ko)
ES (1) ES2303008T3 (ko)
MX (1) MXPA04007774A (ko)
PL (1) PL1508598T3 (ko)
PT (1) PT1508598E (ko)
TW (1) TW200513501A (ko)
ZA (1) ZA2004063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79142B2 (en) * 2003-08-20 2005-04-12 Broadcom Corporation Power management unit for use in portable applications
KR101161891B1 (ko) * 2003-10-29 2012-07-03 바스프 에스이 가죽의 반응성 염색 방법
JP2007046191A (ja) * 2005-08-10 2007-02-22 Howa Kk レーザー光照射による布帛の染色方法
DE102005047391A1 (de) * 2005-10-05 2007-04-12 Dystar Textilfarben Gmbh & Co. Deutschland Kg Farbstoffe und Farbstoffmischungen von faserreaktiven Azofarbstoffen, ihre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CN101195715A (zh) * 2006-12-05 2008-06-11 明德国际仓储贸易(上海)有限公司 反应性红色染料组成物及其应用
CN101307190B (zh) * 2007-05-18 2011-05-25 明德国际仓储贸易(上海)有限公司 黄色反应性染料组成物
CN102344693B (zh) * 2011-08-17 2013-07-24 无锡润新染料有限公司 一种新型复合活性深红染料及其制造方法
CN102321390B (zh) * 2011-09-07 2013-11-06 上海雅运纺织化工股份有限公司 三原色活性染料组合物及其在纤维上的染色应用
CN103554984A (zh) * 2013-10-31 2014-02-05 天津德凯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紫色活性染料
CN104479403A (zh) * 2014-12-11 2015-04-01 吴江桃源染料有限公司 一种环保型活性红色双偶氮染料及其制备方法
CN106433216B (zh) * 2016-10-12 2018-04-20 上海雅运纺织化工股份有限公司 黄色活性染料组合物及其在纤维上的染色应用和方法
CN107266936A (zh) * 2017-07-03 2017-10-20 上海安诺其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染料、染料原料组合物和染料原料组合物及应用
CN112574591B (zh) * 2020-12-14 2022-07-26 湖北华丽染料工业有限公司 一种大红活性染料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618604A (ko) * 1960-06-24
US4217272A (en) * 1975-02-07 1980-08-12 Sterling Drug Inc. Novel monoazo and disazo colorants from aminoalkylanilines and bis(aminoalkyl)anilines
CA1064914A (en) * 1975-02-07 1979-10-23 Sterling Drug Inc. Monoazo and disazo colorants
JPH0662874B2 (ja) 1988-05-17 1994-08-17 紀和化学工業株式会社 ジスアゾ染料とその製法及び黒色反応染料混合物
TW222298B (en) 1991-10-23 1994-04-11 Hoechst Ag Fiber reactive dyes which contain a sulfonamido-triazinyl group and one or two groups or the vinyl sulfone series
DE4422864A1 (de) 1994-06-30 1996-01-04 Hoechst Ag Mit polymeren Aminverbindungen modifizierte synthetische cellulosische Fasern
DE19549409A1 (de) * 1995-05-24 1997-01-02 Hoechst Ag Sulfonierte Regeneratcellulosefasern
DE19549408A1 (de) * 1995-05-24 1997-01-09 Hoechst Ag Mit hochsubstituierter Stärke aminierte Celluloseregeneratfasern
DE19600765A1 (de) * 1996-01-11 1997-07-17 Basf Ag Reaktive Azofarbstoffe mit einer Kupplungskomponente aus der Reihe der Aminonaphthalinsulfonsäuren sowie deren Zwischenprodukte
WO2000006652A2 (de) 1998-07-27 2000-02-10 Ciba Specialty Chemicals Holding Inc. Reaktivfarbstoffe, mischungen von reaktivfarbstoffen,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US5931976A (en) 1998-08-11 1999-08-03 Dystar Textilfarben Gmbh & Co. Deutschland Kg Orange dye mixtures of fiber-reactive azo dyes and use thereof for dyeing material containing hydroxy-and/or carboxamido groups
DE19851389A1 (de) * 1998-11-07 2000-05-11 Dystar Textilfarben Gmbh & Co Gelbe Farbstoffmischungen von wasserlöslichen faserreaktiven Azofarbstoffen und ihre Verwendung
US6464734B1 (en) 2000-03-13 2002-10-15 Dystar Textilfarben Gmbh & Co. Deutschland Kg Deep black dye mixtures of fiber-reactive azo dy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PA04007774A (es) 2005-03-23
TW200513501A (en) 2005-04-16
PT1508598E (pt) 2008-05-30
CA2477407A1 (en) 2005-02-16
ZA200406381B (en) 2005-06-13
EP1669417A1 (de) 2006-06-14
BRPI0403270A (pt) 2005-05-24
ATE389697T1 (de) 2008-04-15
ES2303008T3 (es) 2008-08-01
US20050034252A1 (en) 2005-02-17
CN1590469A (zh) 2005-03-09
EP1508598B1 (de) 2008-03-19
PL1508598T3 (pl) 2008-08-29
DE502004006548D1 (de) 2008-04-30
EP1508598A1 (de) 2005-02-23
JP2005060707A (ja) 2005-03-10
DE10337637A1 (de) 2005-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8813B1 (ko) 섬유-반응성 아조 염료의 염료 혼합물, 이의 제법 및 이의용도
KR101353658B1 (ko) 아조 반응성 염료 및 섬유-반응성 아조 염료의 혼합물,이들의 제조 및 이들의 용도
EP2376578B1 (en) Fiber-reactive azo dyes and dye mixtures, preparation thereof and use thereof
KR20090018615A (ko) 섬유-반응성 아조 염료의 염료 혼합물, 이의 제조 및 용도
US20090320217A1 (en) Mixtures of fibre-reactive azo dyes
EP2912119B1 (en) Mixtures of fiber-reactive azo dyes,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US7381256B2 (en) Mixtures of fiber-reactive azo dyes, their production and their use
KR20070043874A (ko) 섬유-반응성 아조 염료의 염료 혼합물 제조 및 그의 용도
KR20050019059A (ko) 섬유-반응성 아조 염료의 염료 혼합물, 이의 제법 및 이의용도
US20120216356A1 (en) Fiber-reactive azo dyes and dye mixtures, preparation thereof and use thereof
EP2391682B1 (en) Fiber-reactive azo dyes, preparation thereof and use thereof
US8038736B2 (en) Mixtures of fiber-reactive azo dyes
JP5781945B2 (ja) 繊維反応性銅錯体ジスアゾ染料
US20110173764A1 (en) Multiple step dyeing textile with concentrated dye systems
EP3622021B1 (en) Mixtures of fibre-reactive dy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