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8959A - 인쇄판, 인쇄기 및 인쇄 방법 및 액정 기기의 제조 장치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인쇄판, 인쇄기 및 인쇄 방법 및 액정 기기의 제조 장치및 제조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8959A
KR20050018959A KR10-2005-7000281A KR20057000281A KR20050018959A KR 20050018959 A KR20050018959 A KR 20050018959A KR 20057000281 A KR20057000281 A KR 20057000281A KR 20050018959 A KR20050018959 A KR 20050018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printing plate
groove
plate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0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3911B1 (ko
Inventor
모리모또미쯔아끼
나까하라마꼬또
요꼬야마나오또
가와베신이찌로
미쯔모또마사루
고무라유우이찌
사이또요시미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고무라테크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인더스트리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고무라테크,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인더스트리즈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18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8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9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C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SURFACES
    • B41C1/00Forme preparation
    • B41C1/02Engraving; Hea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02Letterpress printing, e.g. book printing
    • B41M1/04Flexographic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1/00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therefor
    • B41N1/12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therefor non-metallic other than stone, e.g. printing plates or foils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s in an organic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inting Methods (AREA)
  • Printing Plates And Materials Therefor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인쇄판(1)은, 볼록부(2)의 인쇄면에 일측면으로부터 다른 측면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홈(3)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홈(3)은 서로 평행하게 등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볼록부(2)가 대략 직사각형의 프레임형인 경우에 홈(3)은 대략 직사각형의 1변과 홈(3)의 길이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45°가 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인쇄판, 인쇄기 및 인쇄 방법 및 액정 기기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PRINTING PLATE, PRINTING MACHINE, PRIN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쇄판과 인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인쇄물에 전사되는 인쇄 재료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는 플렉스 인쇄판 및 플렉스 인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액정 기기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판을 접합하는 밀봉재를 인쇄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렉스 인쇄는, 유연성이 있는 고무 또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플렉스 인쇄판과 액체 인쇄 재료를 이용한 볼록판 인쇄로, 현재는 피인쇄물로서 종이뿐만 아니라, 셀로판이나 은박지 등에도 인쇄를 행할 수 있는 인쇄 방법으로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도10에 플렉스 인쇄기에 있어서의 주요부인 인쇄부의 일예를 도시한다. 인쇄부는 피인쇄물(10)을 보유 지지하는 인쇄 테이블(11)과 볼록부(2)를 포함하는 인쇄판(1)과 판 본체(12)와 아니록스롤(16)과 디스펜서(18)와 닥터롤(15)을 구비한다. 잉크 등의 인쇄 재료(17)는 디스펜서(18)에 의해 아니록스롤(16)에 공급된다. 아니록스롤(16)과 판 본체(12)는 원기둥형의 롤 형상이며, 서로 접촉하여 화살표(48)와 화살표(46) 방향으로 각각 회전한다. 판 본체(12)의 외주면에는 인쇄판(1)을 구비하고 있고, 인쇄판(1)은 인쇄의 대상이 되는 형상을 이루는 볼록부(2)를 포함하고 있다. 볼록부(2)와 피인쇄물(10)은 서로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아니록스롤(16)로부터 볼록부(2)로 인쇄 재료(17)가 공급되어 피인쇄물(10)에 인쇄 재료(17)가 전사된다. 피인쇄물(10)은 인쇄 테이블(11)의 주표면에 배치되어, 인쇄와 동시에 화살표(47) 방향으로 이동한다. 전사되는 형상은 볼록부(2)의 정상부의 면으로 형성되는 형상이다. 이 볼록부(2)의 형상을 갖고 피인쇄물(10)에 인쇄된 인쇄 재료를「인쇄 결과물」이라 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의 인쇄 결과물(4)은 프레임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아니록스롤(16)의 원주형의 외주면에는 볼록부(2) 외에 닥터롤(15)이 접촉하고 있다. 닥터롤(15)은 디스펜서(18)에서 공급된 인쇄 재료(17)를 아니록스롤(16)의 외주면 상에 균일하게 전개하는 역할을 감당한다. 따라서, 닥터롤(15)은 인쇄 재료(17)가 공급되는 위치와 볼록부(2)에 접촉하는 위치의 구간 내에서 아니록스롤(16)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본 예 외에, 닥터롤(15) 대신에 판형이고 동등한 역할을 감당하는 닥터 블레이드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디스펜서(18) 대신에 인쇄 재료(17)를 아니록스롤(16)에 공급하는 동등한 역할을 담당하는 원기둥형의 팬텐롤을 구비하는 플렉스 인쇄기도 있다.
플렉스 인쇄는 종래, 포장지 등에 문자나 도형을 그리는 인쇄법으로서 이용되고 있었지만 박막의 형성에도 응용할 수 있으므로, 문자나 도형의 묘사 이외의 목적으로도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피인쇄물을 유리로서 표면에 폴리이미드 박막을 인쇄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배향막의 형성 등은 플렉스 인쇄로 행할 수 있다.
한편, 액정 패널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가 휴대 전화, 휴대 정보 단말기, 텔레비전 등 다종 다양한 기기에 있어서 채용되어 있다. 이들 액정 패널은 한 쌍의 기판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고 액정을 봉입하므로, 액정 패널의 외주 부분에는 열경화성이나 자외선 경화성을 갖는 밀봉재를 이용하여 접합을 행하여 액정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최근, 액정 패널의 제조 방법으로서 적하 접합법 혹은 적하 주입법이라 불리우는 제조 방법이 주목받고 있다. 이 제조 방법은 한 쌍의 기판 중 어느 한 쪽에 미리 프레임형의 밀봉재를 형성해 두고, 그 프레임형의 내측에 소정량의 액정을 적하한다. 이 기판을 감압한 분위기 하에 있어서 다른 1매의 기판과 접합하고, 그 후에 대기압의 분위기 중으로 복귀시킴으로써 액정 패널을 제조한다. 이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액정 패널 내에는 기포가 남지 않아, 액정의 주입과 2매의 기판의 접합을 동시에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액정 패널의 밀봉재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스크린 인쇄법 및 디스펜스법이 채용되어 왔다. 그러나, 스크린 인쇄법에서는 스크린 메쉬가 피인쇄물이 되는 기판의 표면과 접촉하므로,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배향막에 흡집이 생겨 표시 품위를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었다. 이를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일본 특허 공개 평9-258194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메쉬와 피인쇄물 사이에 스페이서를 끼워 간극을 마련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지만, 배향막 상에 배치되는 유제를 얇게 할 필요가 있으므로, 유제에 구멍이 개방되기 쉽게 배향막 상에 밀봉재가 인쇄되어 버리는 일이 종종 발생되고 있었다. 디스펜스법(일본 특허 공개 평5-15818호 공보 참조)에 있어서는, 디스펜스 노즐을 이용하여 일필서의 요령으로 하나 하나의 셀마다 프레임형의 밀봉재를 묘화해 가므로, 막대한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예를 들어, 1개의 기판에 수백개의 작은 프레임형의 밀봉재를 묘화하는 경우 등은 비효율적이다.
그래서, 피인쇄물의 표면에 흠집을 내지 않고 밀봉재를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생산성이 높은 플렉스 인쇄를 이용한 밀봉재의 형성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적하 접합법에 있어서 밀봉재의 막 두께가 얇으면, 2매의 기판을 대향하도록 접합할 때에, 밀봉재 전체 둘레가 기판에 접촉하여 액정을 봉입하기 전에 일부의 액정이 밀봉재와 기판과의 간극으로부터 누설되는 경우가 있었다. 혹은, 감압된 분위기 하로부터 대기압의 분위기 중으로 복귀시켰을 때에 밀봉재와 기판의 간극으로부터 액정 패널 내로 공기가 들어가는 경우가 있었다. 이로 인해, 미리 인쇄되는 밀봉재의 두께는 20 ㎛ 이상,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0 ㎛이다.
플렉스 인쇄는 본래, 0.01 ㎛ 내지 1 ㎛의 박막 인쇄에 적합한 인쇄 수단이다. 수 ㎛ 이상의 막 두께로 인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일본 특허 공개 평10-21741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쇄판의 볼록부에 그물점형의 오목부를 마련하고, 아니록스롤로부터 인쇄판의 볼록부로의 인쇄 재료 전사량을 많게 하는 고안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플렉스 인쇄에서는 안정적으로 인쇄할 수 있는 막 두께는 10 ㎛ 정도까지이다. 이하, 피인쇄물에 전사되는 인쇄 재료의 두께를「막 두께」라 한다. 그 이상으로 막 두께를 두껍게 하고자 하는 경우, 그 두께에 대응시켜 플렉스 인쇄판의 볼록부에 형성되는 그물점형의 오목부를 크게 할 필요가 있지만, 종종 아니록스롤로부터 그물점형의 오목부 부분에 인쇄 재료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아 기포가 되어 남고, 인쇄를 행한 인쇄 결과물에 기포가 발생되거나 인쇄된 선이 부분적으로 가늘어지는(이하, 인쇄된 선이 가늘어지는 부분을 「선 가늘어짐」이라 함)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기포나 선 가늘어짐 등의 발생을 수반하지 않고, 종래의 기술보다 막 두께가 두꺼운 인쇄를 행할 수 있는 볼록판 인쇄판과 그 인쇄 방법 및 액정 기기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a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쇄판의 평면도이다.
도1b는 도1a의 IB-IB선에 관한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2a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쇄판의 평면도이다.
도2b는 도2a의 IIB-IIB선에 관한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3은 제1 인쇄 시험에 이용하는 인쇄판의 평면도와 전사 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제1 인쇄 시험과 제2 인쇄 시험에 이용하는 플렉스 인쇄기의 인쇄부의 사시도이다.
도5는 제2 인쇄 시험에 이용하는 인쇄판의 평면도와 전사 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을 기초로 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인쇄 시험의 인쇄판과 전사 방향과의 상관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7a와 도7b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인쇄 시험의 인쇄판과 전사 방향과의 상관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8a와 도8b는 비교의 대상으로 하는 하나의 인쇄판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9a와 도9b는 비교의 대상으로 하는 다른 인쇄판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10은 종래 기술을 기초로 한 플렉스 인쇄기의 인쇄부 사시도이다.
도11은 인쇄 재료를 피인쇄물에 인쇄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설명한 피인쇄물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을 기초로 한 인쇄판은, 인쇄 재료를 피인쇄물에 전사하기 위한 볼록부를 포함하고, 볼록부의 인쇄면에 일측면으로부터 다른 측면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홈을 포함한다. 환언하면, 볼록판 인쇄판이며 대상이 되는 인쇄의 형상을 갖는 볼록부의 인쇄면에 일측면으로부터 다른 측면까지 관통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볼록부에 있어서 인쇄면에 홈을 형성하는 것만으로 인쇄판이 보유 지지하는 인쇄 재료를 피인쇄물에 대해, 종래의 기술보다 많게 전사할 수 있다. 그 결과, 종래의 기술보다 막 두께가 두꺼운 인쇄를 행할 수 있다. 여기서「인쇄면」이라 함은, 볼록부 중 인쇄 재료를 보유 지지하는 면이며, 피인쇄물에 접촉함으로써 전사를 행하는 면을 말한다.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홈의 단면은 대략 삼각형의 형상이다. 즉, 홈의 형상은 상자형 등이 아니며 볼록부의 인쇄면에 V자형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인쇄판의 재료를 광경화형 수지로 한 경우 등 쉽게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홈은 일방향으로 평행하며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피인쇄물에 인쇄되는 인쇄 재료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어, 인쇄 재료를 균일한 두께로 전사할 수 있다.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인쇄판은 플렉스 인쇄기를 위한 것이며, 홈은 볼록부의 인쇄면에 있어서의 폭이 20 ㎛ 이상 60 ㎛ 이하, 깊이가 25 ㎛ 이상 75 ㎛ 이하, 홈끼리의 간격이 20 ㎛ 이상 60 ㎛ 이하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쇄판은 대략 사각형의 프레임형 볼록부를 포함하는 인쇄판이며, 대략 사각형의 1변과 홈의 길이 방향이 평행하고, 볼록부는 인쇄판의 전사 방향에 대해 대략 사각형의 1변이 비스듬해지도록 형성된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인쇄 재료가 디스플레이 패널용 밀봉재인 경우에, 인쇄 결과물에 발생하는 기포나 선 가늘어짐 등을 억제하여 종래의 기술보다 막 두께가 두꺼운 인쇄를 행할 수 있다. 또는, 인쇄판은 대략 사각형의 프레임형 볼록부를 포함하는 인쇄판이며, 대략 사각형의 1변과 홈의 길이 방향이 약 45˚의 각도를 이룬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쇄판의 전사 방향과 홈의 길이 방향이 대략 수직이 되도록 형성된다. 혹은, 인쇄판의 전사 방향과 홈의 길이 방향이 대략 평행해지도록 형성된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인쇄 재료가 디스플레이 패널용 밀봉재인 경우에 상술한 인쇄 결과물에 발생하는 기포나 선 가늘어짐 등을 더욱 억제하여 인쇄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기초로 한 인쇄기는 상술한 인쇄판을 구비한다. 상술한 인쇄판을 구비한 인쇄기는, 기포나 선 가늘어짐 등의 발생을 억제하여 종래의 기술보다 막 두께가 두꺼운 인쇄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기초로 한 액정 기기의 제조 장치는, 상술한 인쇄판을 구비한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인쇄 결과물에 기포나 선 가늘어짐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2매의 기판을 접합하였을 때에도 액정이 누설되거나, 공기가 혼입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기초로 한 인쇄 방법은, 볼록부를 포함하는 인쇄판을 피인쇄물에 압박하여 인쇄를 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볼록판 인쇄 방법이며, 볼록부는 인쇄 재료를 전사하는 면에 일측면으로부터 다른 측면까지 관통하는 복수의 홈을 갖고, 인쇄판을 원통형의 판 본체의 외주면에 배치하여 판 본체를 구름 이동시킴으로써 피인쇄물에 대해 전사를 행하는 전사 공정을 포함한다. 또한, 전사 공정은 플렉스 인쇄기를 이용하여 행한다. 이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플렉스 인쇄에 의해 종래의 기술보다 막 두께가 두꺼운 인쇄 결과물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볼록부가 대략 사각형의 프레임형으로 형성되고, 홈은 서로 평행하게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직선형의 홈이며, 피인쇄물에 인쇄되어야 할 인쇄 재료에 밀봉재를 이용한다. 이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플렉스 인쇄에 의해 종래의 기술보다 막 두께가 두꺼운 밀봉재를 피인쇄물에 인쇄할 수 있다.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밀봉재는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밀봉재이고, 홈은 볼록부의 표면에 있어서의 폭이 20 ㎛ 이상 60 ㎛ 이하, 깊이가 25 ㎛ 이상 75 ㎛ 이하, 홈끼리의 간격이 20 ㎛ 이상 60 ㎛ 이하이다. 이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종래의 기술보다 막 두께가 두꺼운 인쇄 결과물에 발생되는 기포나 선 가늘어짐 등을 억제하여 인쇄할 수 있다.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전사 공정은 홈이 대략 사각형인 1변과 서로 평행해지도록 형성된 인쇄판을 이용하여 인쇄판의 전사 방향과 홈의 길이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약 45°가 되도록 판 본체를 구름 이동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또는, 전사 공정은 홈이 대략 사각형인 1변과 약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인쇄판을 이용하여, 인쇄판의 전사 방향과 홈의 길이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대략 수직이 되도록 판 본체를 구름 이동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또는, 전사 공정은 홈이 대략 사각형인 1변과 약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인쇄판을 이용하여 인쇄판의 전사 방향과 홈의 길이 방향이 평행해지도록 판 본체를 구름 이동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인쇄 결과물에 발생되는 기포나 선 가늘어짐 등의 발생을 더욱 억제하여 인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기초로 한 액정 기기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인쇄 방법을 포함한다. 상술한 인쇄 방법을 액정 기기의 제조 방법에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기술보다 막 두께가 두꺼운 인쇄를 제공할 수 있어, 2매의 기판을 접합할 때에 봉입하는 액정의 누설이나 공기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
도1a 및 도1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기초로 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쇄판에 대해 설명한다. 도1a는 인쇄판의 볼록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1b는 도1a의 IB-IB선에 관한 화살표 단면도이다.
인쇄판(1)의 주표면에 형성되는 볼록부(2)는 직사각형의 뿔이 원호인 대략 직사각형의 프레임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2)의 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이고, 짧은 변이 인쇄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2)의 정상부인 인쇄면에는 복수개의 직선형 홈(3)이 대략 직사각형의 1변과 평행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홈(3)과 평행한 대략 직사각형의 1변에 있어서 3개의 홈(3)이 형성되어 있다. 모든 홈(3)은 볼록부(2)의 일측면으로부터 다른 측면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홈은 서로 평행하며,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대략 직사각형의 1변은 인쇄판(1) 단부의 1변과 평행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하, 도1a에 도시된 홈의 종류를「평행형 홈」이라 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 평행형 홈이 인쇄 재료를 일시적으로 보유 지지하여 인쇄 결과물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볼록부(2)는 광경화형 수지를 재료로 하고 있다. 광경화형 수지에 마스크를 실시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면 조사된 영역은 경화하고, 마스크에 의해 그림자가 되는 부분은 경화하지 않고 이후에 제거되어 홈이 된다. 이 방법에 있어서, 마스크에 의해 그림자가 되는 영역은 삼각형이 된다. 이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단면이 삼각형인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홈의 단면도 삼각형이다. 단면의 형상은 삼각형 이외에도 사다리꼴 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며, 삼각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기초로 한 인쇄판의 작용 및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발명자들은 많은 인쇄 시험을 행해 왔다. 그 중, 제1 인쇄 시험과 제2 인쇄 시험의 2개의 인쇄 시험을 나타낸다. 제1 인쇄 시험은 발명자들이 창작한 몇 가지 다른 형상의 볼록부를 구비하는 인쇄판에 대해, 각각의 우열을 비교하기 위한 시험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한 인쇄판의 비교의 대상으로서, 격자형의 홈을 갖는 볼록부를 구비하는 인쇄판과 폭이 넓은 홈을 갖는 볼록부를 구비하는 인쇄판을 선정하고 있다. 선정한 2개의 인쇄판과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인쇄판을 이용한 제1 인쇄 시험의 결과를 설명한다.
(제1 인쇄 시험)
제1 인쇄 시험에 이용한 비교의 대상으로 하는 인쇄판의 볼록부(2)의 형상을 도8a, 도8b와 도9a, 도9b에 도시한다. 도8a 및 도8b는 홈(3)이 격자형으로 형성된 볼록부이다. 도8a는 인쇄판(1)의 평면도이고, 도8b는 도8a의 VIIIB-VIIIB선에 관한 화살표 단면도이다. 홈(3)의 단면은 삼각형의 형상을 갖고, 서로 평행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형상의 홈을「교차형 홈」이라 하는 것으로 한다. 교차형 홈은 볼록부(2)의 인쇄면 전체에 형성되어 있다. 도9a 및 도9b는 홈(3)이 폭이 넓은 「광폭형 홈」이다. 도9a는 볼록부(2)의 평면도이다. 이 광폭형 홈은 볼록부(2)의 윤곽과 평행해지도록 프레임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9b는 도9a의 IXB-IXB선에 관한 화살표 단면도이다. 볼록부(2)의 인쇄면에는 폭이 넓은 홈(3)이 1개 형성되어 있고, 홈(3)의 단면 형상은 사다리꼴이다. 사다리꼴의 짧은 변측이 홈(3)의 바닥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인쇄 시험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인쇄판(1)에 대략 직사각형의 볼록부의 각 변이 인쇄판(1)의 외측의 변과 평행해지도록 복수개의 볼록부를 규칙적으로 배치한다. 각각의 홈의 형상에 있어서, 볼록부와 홈의 치수가 각각 다른 4 종류의 볼록부를 준비하여 제1 인쇄 시험을 행하였다. 볼록부(13a 내지 13d)는 각각 홈의 치수와 외형 크기가 다른 볼록부이다. 볼록부와 홈의 형상에 있어서, 볼록부 인쇄면 폭(5), 홈 간격(6), 홈 폭(7), 홈 깊이(8)를 변화시킨 볼록부를 정하여, 시험 번호 <1> 내지 <4>로 하였다. 시험 번호 <1>로부터 <4>로 번호가 커짐에 따라서, 형성되는 인쇄 결과물의 막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볼록부에 형성되는 홈을 크게 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하여, 볼록부의 인쇄면의 폭인 볼록부 인쇄면 폭(5)은 300 내지 360 ㎛, 홈의 피치를 정하는 홈끼리의 간격(6)은 50 내지 20 ㎛, 홈 폭(7)은 20 내지 80 ㎛, 홈의 깊이인 홈 깊이(8)는 25 내지 100 ㎛로 하고 있다.
도3에 있어서, 볼록부(13a 내지 13d)는 각각 시험 번호 <1> 내지 <4>의 볼록부의 형상을 갖고 있다. 시험 결과에 인쇄판(1)의 볼록부의 장소에 의한 의존성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각의 열마다 시험 번호 <1> 내지 <4>의 배치를 변경하고 있다. 인쇄는 전사 방향(40)의 방향으로 행해진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판(1)은 판 본체(12)의 외주면에 부착된다. 제1 인쇄 시험에 있어서는, 판 본체(12)는 화살표(46)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피인쇄물(10)은 인쇄 테이블(11)과 함께 화살표(47)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종래 기술과 동일하다. 인쇄판(1)의 길이 방향과 인쇄 테이블(11)의 진행 방향이 평행해지도록 인쇄 테이블이 이동하여 피인쇄물(10)에 인쇄가 행해진다. 제1 인쇄 시험에는 인쇄면의 반경이 127 ㎜가 되는 판 본체(12)를 이용하여 인쇄 속도가 판 본체(12)의 주속으로 1.0 m/분이 되도록 동작시켜, 인쇄 재료로서 점도 350 Pa·s의 자외선 경화형 밀봉재를 이용하였다.
결과의 판정은 피인쇄물에 인쇄된 인쇄 재료인 인쇄 결과물의 두께와 외관을 관찰함으로써 양부를 판정한다. 외관의 관찰은 눈으로 확인하거나 혹은 현미경을 이용한 방법으로 행하였다. 그리고, 인쇄된 인쇄 재료에 기포나 선 가늘어짐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 기준으로 하였다. 도11에 기포(27)와 선 가늘어짐(25)의 예를 도시한다. 도11은 전사 방향(40)의 방향으로 인쇄를 행하였을 때에, 피인쇄물(10)에 전사된 인쇄 결과물(4)의 문제점을 설명한 도면이다.
제1 인쇄 시험의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표 1에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경사형 홈의 제1 인쇄 시험의 결과도 병기하고 있고, 경사형 홈에 대해서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다.
표 1 제1 인쇄 시험 결과 [㎛]
홈의종류 시험번호 치수 인쇄 시험 결과
볼록인쇄면폭 홈간격 홈 폭 홈깊이 막 두께 선 폭 기포나선 가늘어짐
평행형홈 <1> 300 50 20 25 14 내지 17 330 내지 350
<2> 300 45 40 50 26 내지 28 340 내지 365
<3> 300 20 60 75 30 내지 33 355 내지 370
<4> 360 20 80 100 33 내지 39 440 내지 460 ×
경사형홈 <1> 300 60 20 25 13 내지 16 325 내지 345
<2> 300 45 40 50 25 내지 27 330 내지 355
<3> 300 20 60 75 30 내지 34 340 내지 360
<4> 360 20 80 100 32 내지 37 425 내지 450 ×
교차형 홈 <1> 300 60 20 25 7 내지 10 315 내지 330
<2> 300 45 40 50 15 내지 17 320 내지 340 ×
<3> 300 20 60 75 17 내지 25 320 내지 350 ×
<4> 360 20 80 100 19 내지 30 405 내지 430 ×
광폭형 홈 <1> 300 60 180 20 12 내지 14 330 내지 360
<2> 300 60 180 30 15 내지 20 335 내지 365 ×
<3> 300 60 180 40 20 내지 26 345 내지 380 ×
<4> 360 60 240 40 21 내지 27 415 내지 450 ×
범례 ○ : 기포나 선 가늘어짐 없음 × : 기포나 선 가늘어짐 있음
제1 인쇄 시험의 결과, 비교의 대상으로 한 홈 형상인 교차형 홈을 갖는 인쇄판을 이용하면, 기포나 선 가늘어짐의 발생 없이 인쇄할 수 있는 막 두께는 시험 번호 <1>의 7 내지 10 ㎛까지이다. 마찬가지로, 광폭형 홈을 갖는 인쇄판을 이용하면 기포나 선 가늘어짐의 발생 없이 인쇄할 수 있는 막 두께는 시험 번호 <1>의 12 내지 14 ㎛였다. 그 이상의 막 두께를 형성하기 위해 홈의 단면적을 크게 한 시험 번호 <2> 내지 <4>에 있어서는, 양방의 홈에 있어서 막 두께는 두꺼워지지만 인쇄 결과물(4)에 기포(27)나 선 가늘어짐(25)이 관찰되었다.
한편 본 실시 형태를 기초로 한 인쇄판인 평행형 홈의 제1 인쇄 시험의 결과는, 시험 번호 <3>의 막 두께가 30 내지 33 ㎛까지 기포(27)나 선 가늘어짐(25)은 보이지 않아 양호한 인쇄 결과물(4)을 얻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볼록부에 형성되는 전사를 정착화시키는 기구는 볼록부의 일측면으로부터 다른 측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되는 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홈은 모든 홈에 대해 서로 평행하며,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제1 인쇄 시험의 결과는, 점도 350 Pa·s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자외선 경화형 밀봉재를 이용한 결과이지만, 점도 250 내지 500 Pa·s의 자외선 경화형 밀봉재를 이용해도 동일한 효과가 확인되었다.
제1 인쇄 시험에 대해서는, 전사 방향을 일정하게 한 후에 홈의 형상을 변경하여 행하였다. 즉, 볼록부가 피인쇄물에 접촉하는 방향은, 볼록부의 대략 직사각형에 있어서의 긴 변과 평행해지도록 인쇄를 행하고 있다. 제1 인쇄 시험의 결과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평행형 홈을 구비하는 볼록부를 갖는 인쇄판을 이용함으로써, 막 두께가 두껍고 정밀도가 높은 인쇄 결과물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생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인쇄 속도를 빠르게 하면, 평행형 홈의 인쇄판이라도 선 가늘어짐이나 기포가 발생하고, 그 외에 인쇄 결과물의 일부에 볼형의 형상이 나타나는(이하, 볼형의 형상이 되는 부분을「볼」이라 함) 경우가 있었다. 볼(26)의 발생예를 도11에 도시한다. 볼(26)은 인쇄판(1)과 인쇄 재료(17)와의 조화가 되지 않아 실 당김을 발생하였을 때에 발생한다. 볼(26)은 볼록부(2)의 변 중, 형성되는 홈(3)의 길이가 비교적 짧은 변에 있어서 현저히 발생하였다.
(제2 인쇄 시험)
홈(3)의 길이 방향과 전사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인쇄 결과물의 품질의 좋고 나쁨에 영향을 준다. 제2 인쇄 시험에 있어서는, 홈(3)의 길이 방향 및 전사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인쇄 결과물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의 검토를 행하였다. 검토는 홈(3)이 전사 방향에 대해 평행해지지 않도록 비스듬히 인쇄한 인쇄 결과물과 홈(3)이 전사 방향과 평행해지도록 인쇄한 인쇄 결과물을 비교함으로써 행하여, 각각 인쇄 속도를 변화시켜 전사 방향의 우열을 비교하였다. 여기서는, 홈(3)의 길이 방향과 전사 방향이 평행해지지 않도록 하는 각도를 45°로 하고 있다.
도5 및 도6에 제2 인쇄 시험의 방법을 설명하는 인쇄판(1)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판(1)의 주표면에 평행형 홈을 갖는 볼록부를 규칙적으로 배치하는 것이나, 볼록부(13a 내지 13d)의 배치 순서에 대해서는 제1 인쇄 시험과 동일하다. 이 중, 표 1의 인쇄 시험 번호 <2>에 대응하는 볼록부를 갖는 인쇄판에만 주목하여 비교를 행하였다. 제2 인쇄 시험에서는 제1 인쇄 시험의 방법에다가, 홈부를 형성한 인쇄판(1)을 45°반시계 방향으로 기울여 피인쇄물에 접촉시키는 방법으로 인쇄를 행하였다. 도5 및 도6에 있어서의 전사 방향(40)이 판 본체에 부착되어 회전하는 방향, 즉 인쇄되는 방향이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행형 홈의 길이 방향과 전사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45°가 된다. 이 상태에서 인쇄 속도를 변화시켜 인쇄 시험을 행하였다. 이 제2 인쇄 시험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에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경사형 홈의 인쇄 시험의 결과도 병기하고 있고, 경사형의 결과에 대해서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다.
표 2 제2 인쇄 시험 결과
홈의종류 회전 각도 인쇄 시험 결과
종류 인쇄 속도
0.7 m/분 1.0 m/분 1.4 m/분 2.0 m/분
평행형홈<2> × ×
기포나선 가늘어짐 × ×
45°반시계 방향 ×
기포나선 가늘어짐 ×
경사형홈<2> × ×
기포나선 가늘어짐 ×
45°반시계 방향
기포나선 가늘어짐 ×
45°시계 방향
기포나선 가늘어짐
범례 ○ : 볼의 발생 없음, 또는 기포나 선 가늘어짐 없음
× : 볼의 발생 있음, 또는 기포나 선 가늘어짐 있음
표 2에 있어서,「회전 각도」의 란에는 볼록부의 대략 직사각형의 긴 변과 전사 방향이 이루는 각도 및 회전하는 방향이 나타나 있다. 0°인 경우는, 대략 직사각형의 긴 변의 방향과 전사 방향이 동일한 방향인 것을 나타낸다. 결과의 판정은, 제1 인쇄 시험과 마찬가지로 기포나 선 가늘어짐의 발생에다가, 볼의 발생도 검토 항목에 넣고 판정을 행하였다. 0°인 경우와 45°반시계 회전과의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인쇄 속도를 변화시켜 시험을 행하였다. O°인 경우는 제1 인쇄 시험에서의 인쇄 방법과 동일하며, 인쇄 속도만을 변경하고 있다. 45°반시계 방향의 경우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사 방향(40)의 방향으로 인쇄된다. 인쇄 속도는 판 본체(12)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속도이다. 즉, 인쇄시에 피인쇄물이 이동하는 속도이다. 0°인 경우는 인쇄 속도가 1.0 m/분 이하의 조건에서는, 볼이나 기포나 선 가늘어짐이 발생하지 않아 인쇄 결과물을 인쇄할 수 있었다. 인쇄 속도가 1.4 m/분이 되면 볼과 기포나 선 가늘어짐의 양방이 발생하였다.
그에 대해 인쇄판(1)을 45°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인쇄한 결과는, 인쇄 속도가 1.4 m/분 이하의 조건에서는 볼이나 기포나 선 가늘어짐을 발생하는 일 없이 인쇄 결과물을 인쇄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또한, 속도를 올린 2.0 m/분에서는 볼이나 기포 등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 평행형 홈에 있어서 홈의 길이 방향에 대해 전사 방향이 비스듬해지도록 인쇄를 행하면, 인쇄 결과물의 고품질을 유지한 상태로 인쇄 속도를 올릴 수 있어 생산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평행형 홈의 방향과 전사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45°로 하여 인쇄를 행하고 있지만 이 각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실시 형태)
도2a 및 도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기초로 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쇄판에 대해 설명한다. 도2a는 인쇄판의 볼록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2b는 인쇄판의 도2a의 IIB-IIB선에 관한 화살표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인쇄판의 볼록부 형상은 대략 직사각형의 프레임형으로 하고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홈(3)이 대략 직사각형의 1변과 평행해지도록 형성하였다.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은 형성되는 홈(3)이 길이 방향에 관하여 대략 직사각형의 1변과 평행 혹은 수직이 되지 않도록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하, 이와 같이 형성되는 홈을「경사형 홈」이라 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1a에 도시된 홈을 반시계 방향으로 45°회전시켜 홈을 형성하고 있다.
홈(3)은 IIB-IIB선에 관한 단면에 있어서 3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홈(3)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일측면으로부터 다른 측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 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제1 인쇄 시험)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1 인쇄 시험을 행한 결과를 상기의 표 1에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하여, 볼록부의 인쇄면의 폭인 볼록부 인쇄면 폭(5)은 300 내지 360 ㎛, 홈의 피치를 정하는 홈끼리의 간격(6)은 60 내지 20 ㎛, 홈 폭(7)은 20 내지 80 ㎛, 홈의 깊이인 홈 깊이(8)는 25 내지 100 ㎛로 하고 있다.
시험 번호 <1> 내지 <4> 중, 홈부의 크기가 최대인 시험 번호 <4>의 홈에 있어서는, 막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의 인쇄 결과물에 기포나 선 가늘어짐이 관찰되었지만 막 두께가 30 내지 34 ㎛인 시험 번호 <3> 이하의 크기의 홈에 대해서는, 막 두께가 두꺼운 데다가 기포나 선 가늘어짐을 발생시키지 않는 양호한 인쇄 결과물을 얻을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교차형 홈과 광폭형 홈보다도 우수하다. 예를 들어, 시험 번호 <2>에 대해 4개의 홈 형상의 인쇄 시험 결과를 비교한다. 평행형 홈과 경사형 홈에 대해서는 기포나 선 가늘어짐을 발생하지 않아 인쇄를 행할 수 있는 데 반해, 교차형 홈과 광폭형 홈에 대해서는 기포나 선 가늘어짐이 발생되어 있다.
상기한 제1 인쇄 시험의 결과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점도 350 Pa·s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자외선 경화형 밀봉재를 이용한 결과이다. 그러나, 점도 250 내지 500 Pa·s의 자외선 경화형 밀봉재를 이용해도 동일한 효과가 확인되었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인쇄 시험에 대해서도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인쇄 시험에 대해서도 시험 번호가 <1> 내지 <3>인 홈의 형상에 대해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 결과로부터 홈의 형상에 대해서는 2개의 홈의 형상에 관하여, 시험 번호 <1> 내지 <3>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언하면, 볼록부에 형성되는 홈은 피인쇄부와의 접촉면인 볼록부의 인쇄면에 있어서의 폭이 20 ㎛ 이상 60 ㎛ 이하, 깊이가 25 ㎛ 이상 75 ㎛ 이하, 홈끼리의 간격이 20 ㎛ 이상 6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홈의 형상은 인쇄 재료에 액정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밀봉재를 피인쇄물에 액정 패널용의 기판을 선정한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제2 인쇄 시험)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2 인쇄 시험을 행하였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시계 방향으로 45°회전하거나 반시계 방향으로 45°회전해도 시험 결과는 동일해지는 것은 명확하다. 그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회전 방향에 의해 전사 방향과 홈의 길이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다르기 때문에, 시계 방향으로 45°회전과 반시계 방향으로 45°회전의 각각에 대해 제2 인쇄 시험을 행하였다.
도7a 및 도7b에 전사 방향(40)과 홈(3)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7a는 볼록부(2)를 전사 방향(40)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45°회전시킨 도면이다. 도7b는 볼록부(2)를 전사 방향(40)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45°회전시킨 도면이다. 도7a에 도시한 방법에서는 홈의 길이 방향과 전사 방향(40)이 이루는 각도가 수직이고, 도7b에 도시한 방법에서는 홈의 길이 방향과 전사 방향(40)이 평행하다.
선정한 홈은 제1 인쇄 시험의 시험 번호 <1> 내지 <4> 중, 시험 번호 <2>의 경사형 홈이다. 이 홈의 형상과 단면의 치수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인쇄 시험에서 이용한 평행형 홈 <2>와 동일하다. 제2 인쇄 시험의 결과를 상기한 표 2에 나타낸다.
회전 각도가 0°일 때에는 인쇄 속도가 1.4 m/분 이상인 조건에서 볼이 발생되었지만, 기포나 선 가늘어짐은 1.4 m/분 이하의 조건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회전각 0°의 결과에서는, 인쇄 속도가 1.4 m/분에서 기포나 선 가늘어짐이 발생되어 있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쇄판보다도 우수하다. 회전각을 45°반시계 방향으로 한 경우(도7a에 도시한 시험 방법의 경우), 인쇄 속도가 1.4 m/분 이하의 조건에서는 볼과 기포나 선 가늘어짐과는 함께 발생하지 않고, 2.0 m/분의 인쇄 속도에 있어서는 기포나 선 가늘어짐이 발생되었다. 회전각이 45°시계 방향(도7b에 도시한 시험 방법의 경우)에 있어서는, 인쇄 속도를 2.0 m/분까지 올려도 볼과 기포나 선 가늘어짐을 함께 발생시키지 않아 인쇄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험 결과와 맞추면, 전반적으로 평행형 홈보다도 경사형 홈 쪽이 인쇄 속도를 올려도 볼 등이 발생하기 어려워 우수하다. 또한, 경사형 홈에 있어서도 도7a 및 도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된 홈과 전사 방향(40)이 수직 또는 평행해지도록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밖의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과 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제2 인쇄 시험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볼록부의 1변과 전사 방향이 평행이나 수직이 되는 것을 피하여 행하는 경우에는, 판 본체에 인쇄판을 기울여 배치하는 것 외에, 미리 인쇄판의 주표면에 볼록부를 기울여 형성해도 좋다. 즉, 도3에 있어서는 볼록부(13a)로부터 볼록부(13d)의 대략 사각형의 각 변이 인쇄판(1)의 외변과 평행해지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볼록부(13a)로부터 볼록부(13d)의 1변과 인쇄판(1)의 외변이 예를 들어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인쇄판(1)에 볼록부를 형성하여, 전사 방향(40)의 방향으로 인쇄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2a 및 도2b에 도시된 경사형 홈에 있어서는, 대략 사각형의 1변과 전사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45°로 하면, 볼록부의 회전 방향에 의해 홈의 길이 방향과 전사 방향이 평행 혹은 수직이 되어 볼이나 선 가늘어짐 등을 수반하지 않고 막 두께가 두꺼운 인쇄를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 나타낸 인쇄판 및 인쇄 방법을 플렉스 인쇄에 응용함으로써, 플렉스 인쇄에 있어서도 종래의 기술보다 막 두께가 두꺼운 인쇄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발명을 액정 기기의 제조 장치와 제조 방법에 응용함으로써, 액정 패널용 기판의 접합 등에 이용하는 밀봉재를 기판의 표면에 막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인쇄할 수 있어, 종래의 기술보다 생산성이나 품질이 향상된다.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 나타낸 홈은 단면이 삼각형으로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형상은 사다리꼴이나 반원형 등의 다른 형상이라도 좋다. 볼록부 단면의 형상도 사다리꼴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직사각형의 형상이라도 좋다. 인쇄의 대상이 되는 볼록부의 형상에 대해서도, 프레임형에 한정되지 않고 선형의 것이라도 좋고, 프레임의 내측을 빈틈없이 모두 칠한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주로 액정 기판의 접합에 이용하는 인쇄 재료와 피인쇄물을 예로 들고 있지만, 본 발명은 볼록판 인쇄 전반에 응용할 수 있고, 액정 기기에 관한 인쇄 장치와 인쇄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볼록판 인쇄에 있어서 종래의 기술보다 막 두께를 두껍게 하도록 요구되는 인쇄라도, 볼록부의 인쇄면에 일측면으로부터 다른 측면으로 관통하도록 홈을 형성한 인쇄판을 이용함으로써, 임의의 형상으로 고정밀도의 인쇄를 행할 수 있다. 인쇄 결과물이 대략 직사각형인 프레임형의 경우, 형성해야 할 홈은 경사형으로 하고, 전사 방향과 홈의 길이 방향이 평행해지도록 하면 품질을 열화시키는 볼 등의 발생을 방지하여 인쇄 속도를 올릴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을 액정 기기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이용함으로써, 적하 접합법에 있어서 액정이 누설되거나 밀봉재 중으로 공기가 혼입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타, 금회 개시한 상기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에서는 없으며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개시되고,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쇄 재료를 두껍게 전사하는 것이 요구되는 플렉스 인쇄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액정 기기의 제조에 있어서 기판의 표면에 밀봉재를 배치하는 공정에 있어서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8)

  1. 인쇄 재료(17)를 피인쇄물(10)에 전사하기 위한 볼록부(2, 13a, 13b, 13c, 13d)를 포함하고, 상기 볼록부(2, 13a, 13b, 13c, 13d)의 인쇄면에 일측면으로부터 다른 측면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홈(3)을 포함하는 인쇄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3)의 단면은 대략 삼각형의 형상인 인쇄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3)은 일방향으로 평행하며, 등간격으로 형성된 인쇄판.
  4. 제3항에 있어서, 플렉스 인쇄기를 위한 것인 인쇄판(1)이며,
    상기 홈(3)은 상기 볼록부(2, 13a, 13b, 13c, 13d)의 인쇄면에 있어서의 폭(7)이 20 ㎛ 이상 60 ㎛ 이하, 깊이(8)가 25 ㎛ 이상 75 ㎛ 이하, 홈끼리의 간격(6)이 20 ㎛ 이상 60 ㎛ 이하인 인쇄판.
  5. 제4항에 있어서, 대략 사각형의 프레임형의 상기 볼록부(2, 13a, 13b, 13c, 13d)를 포함하는 상기 인쇄판(1)이며,
    상기 대략 사각형의 1변과 상기 홈(3)의 길이 방향이 평행하고,
    상기 볼록부(2, 13a, 13b, 13c, 13d)는 상기 인쇄판(1)의 전사 방향에 대해 상기 대략 사각형의 상기 1변이 비스듬해지도록 형성된 인쇄판.
  6. 제4항에 있어서, 대략 사각형의 프레임형의 상기 볼록부(2, 13a, 13b, 13c, 13d)를 포함하는 상기 인쇄판(1)이며,
    상기 대략 사각형의 1변과 상기 홈(3)의 길이 방향이 약 45°의 각도를 이루는 인쇄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판(1)의 전사 방향과 상기 홈(3)의 길이 방향이 대략 수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인쇄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판(1)의 전사 방향과 상기 홈(3)의 길이 방향이 대략 평행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인쇄판.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인쇄판(1)을 구비하는 인쇄기.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인쇄판(1)을 구비하는 액정 기기의 제조 장치.
  11. 볼록부(2, 13a, 13b, 13c, 13d)를 포함하는 인쇄판(1)을 피인쇄물(10)에 압박하여 인쇄를 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볼록판 인쇄 방법이며,
    상기 볼록부(2, 13a, 13b, 13c, 13d)는 인쇄 재료(17)를 전사하는 면에 일측면으로부터 다른 측면까지 관통하는 복수의 홈(3)을 갖고,
    상기 인쇄판(1)을 원통형의 판 본체(12)의 외주면에 배치하고, 상기 판 본체(12)를 구름 이동시킴으로써 피인쇄물(10)에 대해 전사를 행하는 전사 공정을 포함하는 인쇄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플렉스 인쇄기를 이용하여 행하는 인쇄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2, 13a, 13b, 13c, 13d)가 대략 사각형의 프레임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홈(3)은 서로 평행하게 등간격으로 형성된 직선형의 홈(3)이며, 상기 피인쇄물(10)에 인쇄되어야 할 인쇄 재료(17)로 밀봉재를 이용하는 인쇄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는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밀봉재이고, 상기 홈(3)은 상기 볼록부(2, 13a, 13b, 13c, 13d)의 표면에 있어서의 폭이 20 ㎛ 이상 60 ㎛ 이하, 깊이가 25 ㎛ 이상 75 ㎛ 이하, 홈(3)끼리의 간격(6)이 20 ㎛ 이상 60 ㎛ 이하인 인쇄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공정은 상기 홈(3)이 상기 대략 사각형인 1변과 서로 평행해지도록 형성된 상기 인쇄판(1)을 이용하고, 상기 인쇄판(1)의 전사 방향과 상기 홈(3)의 길이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약 45°가 되도록 상기 판 본체(12)를 구름 이동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인쇄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공정은 상기 홈(3)이 상기 대략 사각형인 1변과 약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상기 인쇄판(1)을 이용하고, 상기 인쇄판(1)의 전사 방향과 상기 홈(3)의 길이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대략 수직이 되도록 상기 판 본체(12)를 구름 이동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인쇄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공정은 상기 홈(3)이 상기 대략 사각형인 1변과 약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상기 인쇄판(1)을 이용하고, 상기 인쇄판(1)의 전사 방향과 상기 홈(3)의 길이 방향이 평행해지도록 상기 판 본체(12)를 구름 이동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인쇄 방법.
  18. 제1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인쇄 방법을 이용하는 액정 기기의 제조 방법.
KR1020057000281A 2002-07-10 2003-06-16 인쇄판, 인쇄기 및 인쇄 방법 및 액정 기기의 제조 장치및 제조 방법 KR1007039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01061 2002-07-10
JP2002201061A JP4181806B2 (ja) 2002-07-10 2002-07-10 印刷版、印刷機および印刷方法ならびに液晶機器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PCT/JP2003/007626 WO2004007209A1 (ja) 2002-07-10 2003-06-16 印刷版、印刷機および印刷方法ならびに液晶機器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8959A true KR20050018959A (ko) 2005-02-28
KR100703911B1 KR100703911B1 (ko) 2007-04-06

Family

ID=30112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0281A KR100703911B1 (ko) 2002-07-10 2003-06-16 인쇄판, 인쇄기 및 인쇄 방법 및 액정 기기의 제조 장치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43601B2 (ko)
JP (1) JP4181806B2 (ko)
KR (1) KR100703911B1 (ko)
CN (1) CN100398335C (ko)
TW (1) TWI236426B (ko)
WO (1) WO20040072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813B1 (ko) * 2006-12-14 2008-02-2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인쇄판 및 그의 제조 방법과 그를 이용한 박막 패터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76319B2 (ja) * 2004-07-13 2013-08-28 スティッチング ダッチ ポリマー インスティテュート 接触印刷を用いたメソゲンのマイクロ構造化
KR100628275B1 (ko) * 2004-11-04 2006-09-2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인쇄노즐
KR100962507B1 (ko) * 2008-08-25 2010-06-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쇄판과 이를 이용한 배향막 인쇄방법
JP2010234753A (ja) * 2009-03-31 2010-10-21 Fujifilm Corp 凸版印刷版並びに凸版印刷版の製版方法及び装置
JP2012011665A (ja) * 2010-06-30 2012-01-19 Sharp Corp フレキソ印刷装置、および当該フレキソ印刷装置に用いるフレキソ印刷版
PL2612904T3 (pl) 2010-08-31 2017-07-31 Centro Superior De Investigación En Salud Pública (Csisp) Kompozycje przeciwpróchnicze i probiotyki/prebiotyki
KR101093075B1 (ko) * 2011-04-04 2011-12-13 한국기계연구원 패턴 인쇄 장치
CN102707505B (zh) * 2012-05-25 2016-02-03 河北冀雅电子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器封边框丝网印刷版的制造方法
CN102774127B (zh) * 2012-07-20 2014-12-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印刷凸版结构
JP2015008039A (ja) * 2013-06-24 2015-01-15 Dowa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銀導電膜の製造方法
KR101924056B1 (ko) * 2014-09-29 2018-11-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오프셋 인쇄용 클리쉐 및 이의 제조방법
EP3263354B1 (en) * 2015-02-27 2020-03-25 FUJIFILM Corporation Flexographic printing plate, method for manufacturing flexographic printing plate, and original plate of flexographic printing plate
WO2017002648A1 (ja) * 2015-06-30 2017-01-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フレキソ印刷版、フレキソ印刷版原版、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JP6278942B2 (ja) * 2015-10-21 2018-02-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ソ印刷による絶縁膜の形成方法
CN108472975B (zh) 2016-01-04 2019-12-24 富士胶片株式会社 柔版印刷版、柔版印刷版原版、柔版印刷版的制造方法及柔版印刷版原版的制造方法
CN105739188A (zh) * 2016-04-14 2016-07-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制作方法、显示面板、封框胶涂覆方法及装置
JP6853007B2 (ja) * 2016-09-29 2021-03-31 大王製紙株式会社 印刷用凸版、印刷装置、及び薄葉紙の製造方法
JP6591508B2 (ja) * 2017-10-13 2019-10-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ソ印刷による絶縁膜の形成方法及びフレキソ印刷版
JP6764576B2 (ja) * 2018-08-21 2020-10-0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ソ印刷版と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CN112684623B (zh) * 2020-12-24 2023-08-04 友达光电(昆山)有限公司 显示面板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42338A (en) * 1922-03-18 1923-01-16 Acme Electrotype Company Method of rendering a printing plate flexible
US2087462A (en) * 1934-06-30 1937-07-20 Zimmer Peter Metal face printing block
US3216353A (en) * 1962-10-25 1965-11-09 Wallenius Johan Benjamin Bendable thermoplastic printing plates
JPS6259093A (ja) * 1985-09-09 1987-03-14 Dainippon Screen Mfg Co Ltd 印刷版、印刷方法および製版装置
JPH03251499A (ja) * 1990-02-28 1991-11-08 Mitsubishi Materials Corp 印刷用版および印刷方法
JP2519358B2 (ja) 1991-07-12 1996-07-31 日立テクノ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ペ−スト塗布機
JP3103501B2 (ja) 1996-03-19 2000-10-30 矢崎総業株式会社 液晶素子の製造方法
JPH10217418A (ja) 1997-01-31 1998-08-18 Sumitomo Rubber Ind Ltd フレキソ印刷用凸版
JPH11183918A (ja) * 1997-12-25 1999-07-09 Sharp Corp 液晶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206543A (ja) * 1999-01-12 2000-07-28 Ricoh Microelectronics Co Ltd 液晶表示装置製造方法
JP2001171066A (ja) * 1999-12-20 2001-06-26 Nippon Barcode Co Ltd 印刷用凸版、原版および記憶媒体ならびに印刷方法
US20020073856A1 (en) * 2000-12-15 2002-06-20 Davis Donald J. Offset printing of gasket seals for wafer scale processing of microdisplays
JP2002187338A (ja) * 2000-12-19 2002-07-02 Toppan Printing Co Ltd スクラッチ隠蔽層付情報媒体の製造方法
JP4009074B2 (ja) * 2001-07-13 2007-11-14 株式会社コムラテック 液晶基盤貼り合わせ用シール剤を転写するための印刷版
FR2834802B1 (fr) * 2002-01-11 2004-06-04 Macdermid Graphic Arts Sa Procede de fabrication d'une plaque de flexographie et plaque de flexographie obtenue par ce procede
US6984478B2 (en) * 2002-09-16 2006-01-10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int control for flexographic print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813B1 (ko) * 2006-12-14 2008-02-2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인쇄판 및 그의 제조 방법과 그를 이용한 박막 패터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418643A (en) 2004-10-01
CN1668477A (zh) 2005-09-14
US7243601B2 (en) 2007-07-17
WO2004007209A1 (ja) 2004-01-22
US20050199145A1 (en) 2005-09-15
TWI236426B (en) 2005-07-21
JP4181806B2 (ja) 2008-11-19
KR100703911B1 (ko) 2007-04-06
CN100398335C (zh) 2008-07-02
JP2004042349A (ja) 200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3911B1 (ko) 인쇄판, 인쇄기 및 인쇄 방법 및 액정 기기의 제조 장치및 제조 방법
US8141483B2 (en) Printing plate and method of printing an alignment film using the same
US7169456B2 (en) Transcription plate for forming orientation layer
EP1674920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50001955A (ko)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US20060016355A1 (en) Flexographic pringting plate, flexographic printing device, production method for flexographic printing plate and production method for printing matter
KR100630879B1 (ko) 액정표시장치의 씰 프린트 장치.
CN202306070U (zh) 一种转印版
US7342639B2 (en) Fabrication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seal pattern forming device using the same
JP3865063B2 (ja) 転写印刷装置、転写印刷方法、およびこの転写印刷装置を用いた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7034914B1 (en) Method of forming a seal pattern comprising bent portions circumventing a conductive contact do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662784B1 (ko) 액정표시소자의 블랙매트릭스 형성방법
JP3636234B2 (ja) 液晶表示素子における液晶注入孔の封止方法
KR20080037246A (ko) 인쇄 장치
KR100990312B1 (ko) 액정표시소자의 스페이서 형성방법
KR100945348B1 (ko) 액정 표시 소자의 액정층 형성 방법
KR20050123102A (ko) 편광 필름 제조 장치
KR20070038611A (ko) 배향막 인쇄 마스크와 이를 이용한 배향막 제조 방법 및액정 표시 장치
KR20030086727A (ko) Lcd기판의 절단을 위한 스크라이브/브레이크 장비
KR20110073873A (ko) 패턴롤 및 이를 이용한 패턴형성장치
JP2007248503A (ja) 液晶装置の製造方法
JP2003287761A (ja) セル封孔装置及びその封孔装置を用いた液晶セルの製造方法
JPH08262456A (ja) 液晶ガラス基板の組み合わせ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5177813A (ja) スクリーン印刷法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装置
KR20070068177A (ko)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