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4675A - 디스크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구동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4675A
KR20050014675A KR1020040057324A KR20040057324A KR20050014675A KR 20050014675 A KR20050014675 A KR 20050014675A KR 1020040057324 A KR1020040057324 A KR 1020040057324A KR 20040057324 A KR20040057324 A KR 20040057324A KR 20050014675 A KR20050014675 A KR 20050014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pacer member
turntable
optical
spindl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7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7360B1 (ko
Inventor
오모리기요시
세토히데카즈
아오야마다카시
다니구치히토시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14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4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3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28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means provided on the turntabl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Landscapes

  • Rotational Drive Of Disk (AREA)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 Moving Of Heads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핀들 모터가 베이스에 부착되어 있을 때에 경사(skew) 또는 워블(wobble)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크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디스크 구동장치는, 광디스크(2)를 지지하는 턴테이블(22), 턴테이블(22)을 회전가능하게 구동하는 스핀들 모터, 광디스크(2)에 대해서 신호를 기록/판독하는 광픽업(20), 광디스크(2)의 방사 방향에서 광픽업을 미끄러지도록 지지하는 가이드 축(42a, 42b)과 가이드 축(42a, 42b)의 각각의 양 단부들과 스핀들 모터가 부착되어 있는 베이스(15)를 포함하며, 상기 스핀들 모터(23)는 베이스(15)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에서 턴테이블(22)의 위치결정을 수행하는 스페이서 부재(28)를 통해 베이스(15)에 부착되어 있다.

Description

디스크 구동장치{Disk drive apparatus}
본 발명은, 광자기 디스크 또는 광디스크와 같은 광디스크에 대해서 정보신호를 기록/재생하는 디스크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디스크로는, CD와 DVD와 같은 광디스크, MD와 같은 광자기 디스크등이 널리 알려져 있으며, 여러가지 디스크 구동장치가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광디스크에 대해서 정보신호를 기록/재생하는 디스크 구동장치내에 포함되어 있는 디스크 구동부(200)는, 광디스크를 회전가능하게 구동하는 디스크 회전구동기구(201)와, 상기 디스크 회전구동기구(20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동되는 광디스크에 대해서 신호의 기록/판독 동작을 수행하는 광픽업(202)과, 광디스크의 방사 방향에서 광픽업(202)을 공급하는 픽업공급기구(203)를 포함한다. 상기 각 요소는 디스크 구동부(200)를 구성하기 위해서 베이스(204)에 부착되어 있다.
디스크 회전구동기구(201)는 광디스크를 지지하기 위한 턴테이블(205)이 제공되어 있는 편평한 스핀들 모터(206)를 가지고 있다. 스핀들 모터(206)는광디스크와 턴테이블(205)을 일체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동한다.
광픽업(202)에 의해 대물렌즈(207)는 반도체 레이져에서 나오는 광빔을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포커스시킨다. 그리고 광검출기(photodetector)에 의해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 광빔을 검출한다. 그로 인해 광디스크에 대해서 기록/판독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픽업공급기구(203)는, 광디스크의 방사 방향에서 광픽업(202)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한 쌍의 가이드 축(208a, 208b)과, 광픽업(202)에 부착되어 있는 랙 부재(rack member : 209)와, 랙 부재(209)와 접촉되어 있는 리드 나사(lead screw : 210)와, 리드 나사(210)를 회전가능하게 구동하는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 : 211)를 구비하고 있다. 스테핑 모터(211)는 리드 나사(210)를 회전가능하게 구동시켜, 광픽업(202)과 리드 나사(210)와 접촉하고 있는 랙 부재(209)를 일체적으로 구동/변위시키게 한다.
턴테이블(212a)용 개구부와 광픽업(212b)용 개구부는 베이스(204)의 내부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턴테이블(205)과 광픽업(202)이 각각 상부를 향하도록 된다. 스핀들 모터(206), 한 쌍의 가이드 축(208a, 208b)의 각각의 양 단부, 리드 나사(210), 스테핑 모터(211)등은 개구부(212a, 212b)가 형성되어 있는 다른 주요부와 대향하고 있는 면의 주요부에 부착되어 있다. 그러므로, 턴테이블(205)과 광픽업(206)은 각각 상부를 향하게 된다.
상기 구조를 가지는 디스크 구동부(200)에서는, 디스크 회전구동기구(201)가 광디스크를 회전가능하게 구동시키며, 픽업공급기구(203)는 광디스크의 방사 방향에서 광픽업(202)을 공급한다. 상기 동작과 병행하여, 광픽업(202)은 디스크에 대해서 신호의 기록/판독작업을 수행함으로써, 광디스크의 희망하는 기록트랙에 대해서 정보신호를 기록/재생하게 된다.
상기 디스크 구동부(200)에서는, 광디스크의 기록밀도의 증가를 실현시키기 위한 몇 가지 방법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광픽업(202)에서 방출되어 광디스크상에 조사되는 광빔의 파장이 짧아지거나 또는 대물렌즈(207)의 수치 개구(numerical aperture)가 증가된다. 그러나, 이것은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대해서 광픽업(202)으로부터 나오는 광빔의 광축의 틸트(tilt)(이후로는 경사라고 함)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수차(aberration) 발생빈도를 증가시켜, 기록/재생 특성면에서 현저한 특성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즉, 디스크 구동부(200)에서는, 기록밀도의 증가에 대한 더 많은 대책들이 이루어지면, 이에 대응하여 경사 허용치는 더욱 작게 된다. 그러므로, 광디스크에 대한 만족할 만한 기록/재생특성을 얻기 위해서, 광픽업(202)에서 나오는 광빔은 직각 상태로 턴테이블(205)에 의해 지지되는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을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광디스크에 대해서 광픽업(202)의 경사를 조정하기 위해서, 두 개의 방법이 이용된다. 하나는 베이스(204)에 대해서 스핀들 모터(206)의 부착각도를 조절하는 것이며, 다른 방법은 광픽업(202)을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 축(208a, 208b)의 경사를 조절하는 것이다(예를 들어, 일본특허출원 공개번호 2002-171709 참조).
디스크 구동장치가 노트북 PC와 같은 휴대용 전자장치에 울트라 슬림(ultra slim) 디스크 구동장치로서 장착될 때에, 광디스크에 대해서 광픽업(202)의 상술한경사조정의 여러가지 제한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예를 들어, 울트라 슬림 디스크 구동장치에서는, 턴테이블(205)에 의해 지지되는 광디스크의 수직방향내의 클리어런스(clearance)가 매우 작다.
그러므로, 베이스(204)에 대한 스핀들 모터(206)의 부착각도를 조정하는 상술의 방법에서는, 턴테이블(205)에 의해 지지되는 광디스크의 외부 주변측이 현저하게 기울어진다. 이러한 현상때문에, 외부충격이 디스크 구동부(200)에 가해질 때에, 광디스크의 외부 주변측에서 광디스크와 광픽업(202) 사이에서 고장의 위험성이 증가된다. 특히, 전체 장치의 두께를, 하드 디스크 구동(HDD)부의 두께와 대응하는 9.5mm로 감소시키면, 광디스크와 광픽업(202)사이에서 고장의 위험성이 증가하며, 게다가 경사조정의 범위를 현저하게 좁아지게 한다. 게다가, 스핀들 모터(206)와 한 쌍의 가이드 축(208a, 208b) 두 개의 경사를 조정하는 방법에서는, 증가된 조정 위치들은 조정작업 또는 위치결정 계산을 복잡하게 만들게 되며, 이로 인해 정확도를 얻기 어렵게 된다.
그러므로, 크기, 무게와 두께의 감소를 요구하는 형태 예를 들어, 디스크 구동부(200)가 디스크 트레이(tray)에 직접 부착되어 있는 형태에서는, 다음의 방법이 바람직하다. 즉, 스핀들 모터(206)가 베이스(204)에 고정되어 있고 베이스(204)와 광디스크를 지지하는 턴테이블(205) 사이의 평행이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광픽업(202)에서 방출되는 광빔이 직각방향으로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조사되어, 광픽업(202)과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 사이의 거리와,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대해서 광픽업(202)의 경사를 조정하기 위해서, 한 쌍의 가이드 축(208a,208b)의 각 단부를 지지하는 위치들이 조정된다.
상기 경우의 관점에서 보면, 스핀들 모터(206)가 베이스(204)에 부착되어 있을 때에, 광디스크를 지지하는 턴테이블(205)과 베이스(204) 사이의 평행은 높은 정확도에 의해 유지되어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디스크 구동부(200)에서는, 스핀들 모터(206)를 지지하는 지지판(213)이 위치결정부재(214a, 214b, 214c)를 통해 베이스(204)의 배면측에 부착되어 있다.
베이스(204)와 턴테이블(204) 사이에서 평행을 유지하기 위해서, 3개의 위치결정부재(214a, 214b, 214c)는 지지판(213)과 접촉하는 접촉면(215a, 215b, 215c)이 동일한 높이(D')를 가지도록 설계된다. 지지판(213)을 내평면(in-plane)에서 위치결정하는 보스(boss : 216)는 접촉면(215a, 215b, 215c)의 각각의 중앙부에 형성되므로 접촉면으로부터 돌출하게 된다. 보스(216)의 각각은 지지판(213)위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중앙부에 형성된 나사 구멍(217)을 가지고 있다. 한편, 위치결정부재(214a, 214b, 214c)에 대응하는 3개의 보스 구멍(218)은 지지판(213)위에 형성되어 있다. 즉, 위치결정부재(214a, 214b, 214c)가 지지판(213)의 보스 구멍(218)과 각각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핀들 모터(206)를 지지하는 지지판(213)은, 보스 구멍(218)과 대향하는 보스(216)의 나사 구멍(218)안으로 나사(219)들을 각각 삽입시킴으로써, 위치결정부재(214a, 214b, 214c)를 통해 베이스(204)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판(213)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스핀들 모터(206)가 위치결정부재(214a,214b, 214c)를 통해 베이스(204)에 고정되어 있는 종래의 구조에서는, 지지판(213)과 접촉하는 접촉면(215a, 215b, 215c)이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동일한 높이(D')를 가지도록, 3개의 위치결정부재(214a, 214b, 214c)가 설계되어 있더라도, 2d'까지 이르는 치수 편차는 위치결정부재(214a, 214b, 214c)의 각각의 치수 허용치±d 간의 차이에 따라 발생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종래의 스핀들 모터(206)의 부착구조에서는, 위치결정부재(214a, 214b, 214c)의 각각의 치수 허용치±d간의 차이에 의해, 경사, 워블등이 턴테이블(205)과 베이스(204) 사이에서 발생된다. 이에 의해 턴테이블(205)에 의해 지지되는 광디스크와 베이스(204) 간의 평행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게다가, 스핀들 모터(206)가 베이스(204)에 고정되어 있을 때에 경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위치결정부재(214a, 214b, 214c)의 각각의 수직방향내에서 치수 정확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의해, 요구되는 부품의 수가 증가되며, 제조비용의 증가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관점에 따라 제안된 것이며, 그 목적은 게다가, 스핀들 모터가 베이스에 고정되어 있을 때에 경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크 구동장치를 제공하고, 제조비용을 증가시키지 않고 광디스크를 지지하는 턴테이블과 베이스 간의 평행상태를 높은 정확도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디스크 구동장치와, 상기 디스크 구동장치내에 장착된 디스크 구동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케이스와, 상기케이스내에 포함된 디스크 구동부로서, 광디스크를 지지하기 위한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가능하게 구동하며, 상기 광디스크와 상기 턴테이블을 일체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동하는 스핀들 모터를 가지는 회전구동기구를 가지는 디스크 구동부와, 상기 광디스크에 대해서 신호들을 기록/판독하기 위해서, 상기 회전구동기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동되는 상기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광빔을 조사하는 광픽업과, 상기 광픽업을 미끄러지도록 지지하여 상기 광디스크의 방사 방향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축을 가지며, 상기 광디스크의 내부 주변과 외부 주변 사이에서 상기 광픽업을 안내하는 가이드 기구와, 상기 턴테이블이 상부를 향하게 되는 개구와 상기 광픽업이 하부를 향하게 되는 다른 개구, 그리고, 상기 턴테이블과 광픽업이 상기 개구들을 통해서 상부를 향하게 되는 측의 주요면과, 상기 스핀들 모터와 상기 가이드 축의 양 단부들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주요면과 대향하는 측의 다른 주요면을 가지는 베이스로 구성되며, 상기 스핀들 모터는 상기 베이스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에서 상기 턴테이블의 위치결정을 수행하는 스페이서 부재(spacer member)를 통해 상기 베이스에 부착되어 있는 디스크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광디스크를 지지하기 위한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가능하게 구동하며, 상기 광디스크와 상기 턴테이블을 일체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동하는 스핀들 모터를 가지는 회전구동기구와, 상기 광디스크에 대해서 신호들을 기록/판독하기 위해서, 상기 회전구동기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동되는 상기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광빔을 조사하는 광픽업과, 상기 광픽업을미끄러지도록 지지하여 상기 광디스크의 방사 방향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축을 가지며, 상기 광디스크의 내부 주변과 외부 주변 사이에서 상기 광픽업을 안내하는 가이드 기구와, 상기 턴테이블이 상부를 향하게 되는 개구와 상기 광픽업이 하부를 향하게 되는 다른 개구, 그리고, 상기 턴테이블과 광픽업이 상기 개구들을 통해서 상부를 향하게 되는 측의 주요면과, 상기 스핀들 모터와 상기 가이드 축의 양 단부들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주요면과 대향하는 측의 다른 주요면을 가지는 베이스로 구성되며, 상기 스핀들 모터는 상기 베이스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에서 상기 턴테이블의 위치결정을 수행하는 스페이서 부재를 통해 상기 베이스에 부착되어 있는 디스크 구동부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핀들 모터는, 베이스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에서 턴테이블의 위치결정을 수행하는 스페이서 부재를 통해 베이스에 부착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스핀들 모터는, 스페이서 부재의 치수 허용치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높은 정확도로 베이스에 부착되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르면, 스핀들 모터의 베이스에 대한 부착 정확도는 증가하며, 이에 따라 턴테이블과 베이스 간의 평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광디스크의 기록밀도의 증가, 그리고 전체 장치의 크기, 무게와 두께의 감소를 실현할 수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크 구동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디스크 구동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확대개략도이다.
도 3은, 스핀들 모터의 부착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디스크 구동장치가 장착된 노트북 PC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디스크 구동장치의 디스크 트레이(tray)가 수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디스크 구동장치의 디스크 트레이가 인출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디스크 구동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확대개략도이다.
도 8은, 상부면으로부터 바라본 디스크 구동부의 개략도이다.
도 9는, 하부면으로부터 바라본 디스크 구동부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하부면으로부터 바라본 디스크 구동부의 확대개략도이다.
도 11은, 스페이서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2는, 스페이서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지지판, 스페이서 부재와 서브-샤시의 부착구조의 주요부를 도시한단면도이다.
도 14는, 경사조정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픽업공급기구(pick-up feeding mechanism)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스크 구동장치와 디스크 구동부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스크 구동장치(1)는 예를 들어 노트북 PC(100)의 장치 본체(101)내에 장착된 울트라 슬림 디스크 구동장치이다. 디스크 구동장치(1)는 전체 장치의 두께가 예를 들어 9.5mm로 감소되며, CD 또는 DVD와 같은 광디스크(2)에 대해서 정보신호를 기록/재생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두께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의 두께에 대응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5, 6 과 7에 도시된 바와같이, 디스크 구동장치(1)는 구동 본체의 외부 케이스가 되는 케이스(3)와, 상기 케이스(3)의 전면에 배치된 트레이 개구(3a)로부터 수평으로 들어가거나 나오는 디스크 트레이(4)와, 상기 디스크 트레이(4)에 고정된 디스크 구동부(5)를 구비한다.
그 케이스(3)는 금속판으로 만들어진 덮개(7)를 편평한 상자 형태로 된 금속판으로 만들어진 하부 샤시(6)에 나사로 고정함으로써, 덮개(7)가 하부 샤시(6)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3)는 전면에서 트레이 개구(3a)로 작용하는 개구와, 내부에 디스크 트레이(4)를 내장하기 위한 하우징 공간을 가지고 있다. 하부 샤시(6)에는, 회로판(도시 안됨)등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로판은 디스크 구동부(5)의 각 요소들을 구동하고 제어하는 구동제어회로, 노트북 PC(100)의 장치 본체(101)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커넥터 또는 그것에 부착된 것등을 가지고 있다.
디스크 트레이(4)는 편평한 직사각형으로 된 레진 몰딩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면에 광디스크(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지는 오목부(8)를 가지고있다. 오목부(8)의 하부면에는, 개구부(9)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디스크 트레이(4)의 하부면에 부착된 디스크 구동부(5)가 상부를 향하게 된다. 개구부(9)를 통해 상부를 향하고 있는 디스크 구동부(5)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개구부(9)를 덮기 위해서 드레싱 보드(dressing board : 10)가 부착되어 있다. 드레싱 보드(10)에는, 스핀들 모터(23)와 디스크 구동부(5)(후술됨)의 광픽업(20)이 상부를 향하도록 하는 개구부(18a, 18b)에 대응하는, 개구부(10a)가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 트레이(4)는, 하부 샤시(6)의 내부면과 양측면 사이에 배치된 가이드 레일기구(1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그러므로, 디스크 트레이(4)가, "인출 위치" 즉, 트레이 개구(3a)를 통해 케이스(3)로부터 완전히 인출되어지는, 도 6에 도시된 상태와, "하우징 위치(housing position)" 즉, 트레이(4)가 트레이 개구(3a)를 통해 케이스(3)의 내부로 수납되는, 도 5에 도시된 상태 사이를 미끄러지도록 이동하게 된다. 디스크 트레이(4)의 전면에는, 실제적으로 직사각형의 편평한 형태를 가지며 케이스(3)의 트레이 개구(3a)를 개폐하기 위한 덮개로서 작용하는 전면 패널(12)이 부착되어 있다. 전면 패널(12)의 표면상에는, 광디스크(2)가 억세스되는 상태를 라이트 플래싱(light flashing)에 의해 표시하는 표시부(13)와, 디스크 트레이(4)가 배출될 필요가 있을 때에 불려지는 배출버튼(14)이 형성되어 있다.
전면측 방향에서 디스크 트레이(4)의 슬라이드 이동은 하우징 위치내에서 로크기구(도시 안됨)에 의해 로크된다. 이 상태에서 배출버튼(14)이 눌려지면, 로크기구에 의해 로크된 상태가 해제되어, 디스크 트레이(4)는 트레이 개구(3a)를 통해 전면측으로 나오게 된다. 결과적으로, 트레이 개구(3a)를 통해 "인출위치"로 디스크 트레이(4)를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디스크 트레이(4)가 케이스(3)의 "하우징 위치"로 들어가게 되면, 전면측 방향에서 슬라이드 이동은 로크기구에 의해 다시 로크된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디스크 구동부(5)는, 베이스 부재(base member)로서 작용하는 서브 샤시(15)를 포함한다. 서브 샤시(15)는 소정의 형태로 금속판을 찍어 내고, 최종 금속판의 주변부를 하부를 향하도록 약간 굽혀줌으로써 형성된다. 3개의 절연체 부착부(16)는 서브 샤시(15)의 굽혀진 하부 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도록 굽혀지게 형성된다. 절연체 부착부(16)의 각각에는, 진동등을 흡수하기 위해 고무와 같은 탄성부재로 구성된 절연체(17)가 부착되어 있다. 서브 샤시(15)는 절연체(17)를 통해 디스크 트레이(4)의 하부면상에 형성된 스핀들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서브 샤시(15)의 주요면상에는, 턴테이블(22)(후술됨)이 상부를 향할 수 있게 해주는 턴테이블용의 거의 반원형태의 개구(18a)와, 광픽업(20)(후술됨)이 상부를 향할 수 있게 해주는 광픽업용의 거의 직사각형 개구(18b)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 구동부(5)는 울트라 슬림구조와, 광디스크(2)를 회전가능하게 구동하는 디스크 회전구동기구(19), 디스크회전 구동기구(19)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동되는 광디스크(2)에 대해서 신호를 기록/판독하는 광픽업(20)과, 광디스크(2)의 방사 방향(radial direction)내에서 광픽업(20)을 공급하는 픽업공급기구(21)를 포함한다. 이러한 요소들은 서브 샤시(15)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있다.
디스크 회전구동기구(19)는 광디스크(2)를 지지하기 위한 턴테이블(22)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면에 편평한 형태의 스핀들 모터(23)를 가지고 있다.
스핀들 모터(23)는 지지판(2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스핀들 모터(23)는, 박막 코일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판(24)에 부착된 인쇄회로기판을 가지는 고정자(stator)와, 상기 고정자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자석이 내부에 부착되어 있고, 상부면에 턴테이블(22)이 배치되어 있는 회전자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박막 코일과 자석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생성되는 자계(magnetic field)사이의 전자기력은 회전자를 회전가능하도록 구동시킨다. 스핀들 모터(23)를 회전가능하게 구동하기 위한 구동제어회로는 하부 샤시(6)의 회로판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도 2에 도시된 상술한 지지판(213)의 경우와 비교하면, 지지판(24)의 크기가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턴테이블(22)의 중앙부에는 광디스크(2)를 지지하는 쳐킹기구(25 : chucking mechanism)가 제공되어 있다. 쳐킹기구(25)는 광디스크(2)의 중앙구멍(2a)과 접촉되어 있는 중앙부(26)와, 상기 중앙부(26)와 접촉되어 있는 광디스크(2)의 중앙구멍(2a)의 주위를 로크하는 복수의 접촉 폴(engagement pawl : 27)을 가지고 있다. 쳐킹기구(25)는, 턴테이블(22)에 부착된 광디스크(2)의 중앙배치를 수행하면서, 턴테이블(22)상에 광디스크(2)를 지지하고 있다. 상기 구조에서, 스핀들 모터(23)는, 디스크 회전구동기구(19)내에서, 일정한 선형속도 또는 일정한 각속도로, 광디스크(2)와 턴테이블(22)을 일체적으로 회전구동시킨다.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디스크 회전구동기구(19)내에서, 스핀들 모터(23)를 지지하는 지지판(23)은 스페이서 부재(28)를 통해 서브 샤시(15)의 하부면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턴테이블(22)은 서브 샤시(15)의 상부면으로부터, 서브 샤시(15)의 턴테이블용 개구(18a)를 통해, 약간 돌출되게 된다.
도 10, 11과 12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페이서 부재(28)로서, 몰드(mold)를 이용하여 레진몰딩재료를 주입 몰딩( injection molding)함으로써 얻어지며, 소정이 두께(D)와 높은 정확도를 가지고 형성되는 부재가 채용된다. 그 결과, 상기 서브 샤시(15)에 대한 수직방향내에서 턴테이블(22)의 높은 정확도로 위치결정을 수행하고, 서브 샤시(15)와 턴테이블(22)간의 평행상태를 높은 정확도로 유지할 수 있다. 레진몰딩재료로서 낮은 열수축과 높은 강도를 가지는 액정 폴리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주목하자.
서브 샤시(15)와 지지판(24)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 부재(28)는 턴테이블용 개구(18a)의 주변형태와 픽업용 개구(18b)의 내부 주변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서브 샤시(15)와 대향하는 스페이서 부재(28)의 주요면 상에는, 스페이서 부재(28)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서브 샤시(15)와 접촉되어 있는 4개의 제 1의 기준 돌출부(29a, 29b, 29c, 29d)가 돌출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지지판(24)과 대향하는 스페이서 부재(28)의 주요면 상에는, 4개의 제 2의 기준 돌출부(30a, 30b, 30c, 30d)가 돌출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의 기준 돌출부(30a, 30b, 30c, 30d)는 제 1의 기준 돌출부(29a, 29b, 29c, 29d)의 위치와 각각대응하는 위치들내에 배치되어 있다. 스페이서 부재(28)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제 2의 기준 돌출부(30a- 30d)를 통해 지지판(24)과 접촉되어 있다.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제 2의 기준 돌출부(30a, 30b, 30c, 30d)는 연속적인 접촉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주목하자.
주입몰딩이 스페이서 부재(28)를 얻기 위해서 몰드를 이용하여 수행될 때에, 서브 샤시(15)와 대향하는 한 개의 주요면은 한 개의 몰드에 의해 형성되며, 지지판(24)과 대향하는 다른 주요면은 다른 몰드에 의해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스페이서 부재(28)내에서는, 한 개의 주요면상에서 동일한 크기를 가지고 돌출형태로 형성된 4개의 제 1의 기준 돌출부(29a, 29b, 29c, 29d)의 각각과, 다른 주요면상에서 동일한 크기를 가지고 돌출형태로 형성된 4개의 제 2의 기준 돌출부(30a, 30b, 30c, 30d)의 각각의 수직방향내에서 수치 정확도를 크게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4개의 관통구멍(31a, 31b, 31c, 31d)은 스페이서 부재(28)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4개의 관통구멍(31a, 31b, 31c, 31d)의 각각은 제 1의 기준 돌출부(29a-29d)의 대응하는 돌출부와, 제 2의 기준 돌출부(30a-30d)의 대응하는 돌출부의 각각을 스페이서 부재(28)의 두께방향내에서 뚫게 된다. 실린더형 스텝부(cylindrical step portions : 32a, 32b, 32c, 32d)는 제 1의 기준 돌출부(29a-29d)의 각각의 접촉면상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관통구멍(31a-31d)의 각각을 둘러싸도록, 실린더형 스텝부의 각각의 수직위치는 접촉면보다 한 단계 낮게 되어 있다.
스페이서 부재(28)의 양 주요면상에는, 나사로 고정시킬 때에 내평면(in-plane) 방향내에서 위치결정과 회전로크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보스(boss : 33)가 형성되어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보스들이 스페이서 부재(28)의 양 주요면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는, 두 개의 보스들이 스페이서 부재(28)의 양 주요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스페이서 부재(28)의 관통구멍(31a-31d)과 각각 대응하는 4개의 나사구멍(34a, 34b, 34c, 34d)은, 서브 샤시(15)에 형성되어 있다. 4개의 나사구멍(34a-34d)은 서브 샤시(15)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해 있는 실린더형 부분(35a, 35b, 35c, 35d)의 내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스페이서 부재(28)의 관통구멍(31a-31d)에 각각 대응하는 4개의 구멍부(36a, 36b, 36c, 36d)는 지지판(24)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서브 샤시(15)와 지지판(24)에는 스페이서 부재(28)의 양면에 형성된 보스(33)에 대응하는 보스 구멍(37)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판(24)에 의해 지지되는 스핀들 모터(23)가 스페이서 부재(28)를 통해 서브 샤시(15)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있을 때에, 먼저 스페이서 부재(28)의 각 보스(33)는 지지판(24)과 서브 샤시(15)의 각 보스 구멍(37)과 접촉되며, 서브 샤시(15)의 각 실린더형 부분(35)은 스페이서 부재(28)의 각 스텝부(32)와 접촉되어 있다. 그러므로, 스페이서 부재(28)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지판(24)과 서브 샤시(15)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적층상태에서는, 지지판(24)의 각 구멍부(36), 스페이서 부재(28)의 각 관통구멍(31)과 서브 샤시(15)의 각 나사구멍(34)은 서로 일치되게 된다. 다음에는, 이러한 상태에서, 부착나사(38)가 지지판(24)의 각 구멍부(36)와 스페이서 부재(28)의 각 관통구멍(31)을 통해, 서브 샤시(15)의 각 나사구멍(34)으로 삽입된다. 이와같이, 턴테이블(22)이 서브 샤시(15)의 턴테이블용 개구(18a)로부터 상부를 향해 돌출해 있는 상태에서, 스핀들 모터(23)는 스페이서 부재(28)를 통해 서브 샤시(15)의 하부면에 고정되어, 서브 샤시(15)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광픽업(20)은, 광원으로 작용하는 반도체 레이져로부터 방출되는 광빔이 대물렌즈(20a)에 의해 집광되며, 광디스크(2)의 신호기록면이 최종적인 광빔에 의해 조사되며, 광디스크(2)의 신호기록면으로부터 반사되는 회귀 광빔은 감광소자등을 포함하는 광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광블록(optical block)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광디스크(2)에 대해서 신호의 기록/판독을 수행할 수 있다. 광픽업(20)은, 또한 대물렌즈(20a)의 광축과 평행한 포커싱방향 또는, 대물렌즈(20a)의 광축에 수직인 트래킹방향에서, 대물렌즈(20a)를 구동/변위시키는 이중축 구동기를 가지고 있다. 이중축 구동기에 의해, 광픽업(20)은 광검출기를 통해 광디스크(2)에서 검출된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광디스크(2)에 대해서 대물렌즈(20a)의 포커싱제어 및 트래킹제어를 수행한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픽업공급기구(21)는, 광디스크(2)의 방사 방향내에서 광픽업(20)을 미끄러지도록 지지하는 가이드 기구(guide mechanism : 39)와, 광디스크(2)의 방사 방향내에서 가이드 기구(39)에 의해 지지되는 광픽업(20)을 구동/변위시키는 변위구동기구(displacement drive mechanism) (40)를 가지고 있다.
가이드 기구(39)는, 광픽업(20)을 포함하는 픽업 베이스(pick-up base : 41)와, 광디스크(2)의 방사 방향내에서 픽업 베이스(41)를 미끄러지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 축(42a, 42b)을 가지고 있다.
픽업 베이스(41)는, 가이드 축(42a)의 삽입을 위한 가이드 구멍(43a)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가이드 돌출부(43)와, 가이드 축(42b)의 삽입을 위한 가이드 홈(443a)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돌출부(44)를 가지고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돌출부(43)와 가이드 돌출부(44)는 서로에 대해서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러므로, 픽업 베이스(41)는 한 쌍의 가이드 축(42a, 42b)을 따라 미끄러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축(42a, 42b)은 서브 샤시(15)의 하부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광디스크(2)의 방사 방향과 평행하게 되며, 대물렌즈(20a)가 서브 샤시(15)의 픽업용 개구(18b)를 통해 광디스크(2)의 내부로부터 외부주변으로 상부를 향해 있는 픽업 베이스(41)를 가이드(guide)한다. 한 쌍의 가이드 축(42a, 42b)의 각각의 양단부는 경사조정기구(skew adjustment mechanism : 45)를 통해 서브 샤시(15)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있다.
경사조정기구(45)는 서브 샤시(15)의 주요면에 수직인 방향내에서 한 쌍의 가이드 축(42a, 42b)의 각각의 양단부를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있으며, 한 쌍의 가이드 축(42a, 42b)의 각각의 양단부가 지지되는 위치들을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10과 14에 도시된 바와같이, 경사조정기구(45)의 각각은 한 쌍의 가이드 축(42a, 42b)의 각각의 외부 주변측 단부를 지지하는 축 지지부재(46)를 포함한다. 게다가, 한 쌍의 가이드 축(42a, 42b)의 각각의 내부 주변측 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두 개의 축 지지부재(46)는, 스페이서 부재(28)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한 쌍의 가이드 축(42a, 42b)의 각각의 내부 주변측 단부들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축 지지부(46)는 스페이서 부재(28)상에 형성되어 있다.
축 지지부재(46)와 축 지지부(46)는 실제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스페이서 부재(28)내에 포함되어 있는 축 지지부(46)가 여기에서 대표적인 예로 기술될 것이다.
축 지지부(46)는 가이드 축(46a, 또는 46b)의 단부(42c)의 삽입을 위한 가이드 슬릿(47)과 거의 실린더형 헬리컬(helical) 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멍(49)을 가지고 있다. 가이드 슬릿(47)은 축 지지부(46)의 두께 방향내에 있는 가이드 축(42a 또는 42b)의 단부와 대향하는 축 지지부(46)의 단부를 절단함으로써 형성된다. 가이드 축(42a 또는 42b)의 단부는 가이드 슬릿(47)에 삽입되기 위해서 실제적으로 얇은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절단된다. 관통구멍이 되는 지지구멍(49)은 가이드 슬릿(47)의 중간부에서 두께방향내의 축 지지부(46)를 관통하게 된다. 헬리컬 스프링(48)은 서브 샤시(15)와 가이드 축(42a 또는 42b)의 단부(42c) 사이에 압축되어 있는 상태에서 지지구멍(49)내에 지지되어 있다. 축지지부(46)가 서브 샤시(15)와 지지판과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허용하는 지지판(24)에는, 조정나사(50) 삽입용 나사구멍(51)이 지지구멍(49)과 대향하도록구멍이 뚫려져 있다. 조정나사(50)는, 상부에 나선형으로 된 형태를 가지기 위해서 마이너스 형태의 홈(minus-shaped groove)을 가지고 있다. 조정나사(50)의 선두는 나사구멍(51)내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이드 축(42a 또는 42b)과 접촉되어 있다.
그러므로, 경사조정기구(45)에서는, 지지구멍(49)내에 지지되어 있는 헬리컬 스프링(48)의 압축상태가 조정나사(50)의 나선형 깊이를 조정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가이드 축(42a 또는 42b)의 단부(42c)는 서브 샤시(15)와 수직인 방향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러므로, 가이드 축(42a 또는 42b)의 단부(42c)가 지지되어 있는 위치들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서브 샤시(15)는 접착제를 지지구멍(49)내에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멍(52)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주목하자. 그러므로, 조정 작업후에, 가이드 축(42a 또는 42b)의 지지위치들은 주입구멍(52)으로부터 주입된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8, 9와 15에 도시된 바와같이, 변위구동기구(40)는 픽업 베이스(41)에 부착된 랙 부재(53), 랙 부재(53)와 맞물려 있는(meshed) 리드 나사(lead screw : 54), 리드 나사(54)를 회전가능하게 구동하는 구동모터(55)를 가지고 있다.
랙 부재(53)는 픽업 베이스(41)의 한 쌍의 가이드 돌출부(43)사이에 배치된 나사로 고정된 베이스 단부와 와, 리드 나사(54)와 맞물려 있는 랙부(rack portion : 53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한 개의 가이드 축(42a)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선두부를 가지고 있다. 리드 나사(54)는 구동모터(55)의 구동축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 주변에는, 랙 부재(53)의 랙부(53a)와 맞물려 있는 헬리컬 리드 나사(54a)를 가지고 있다. 구동모터(55)는 소위 스테핑 모터라고 불리우며, 구동펄스에 응답하여 리드 나사(54)를 회전가능하게 구동한다. 리드 나사(54)와 구동모터(55)는 서브 샤시(15)의 하부면에 나사로 고정된 브래킷(bracket : 56)에 의해 지지된다. 브래킷(56)은 동일 방향내에서 직각으로 굽혀져 있는 두 개의 단부를 가지는 기다란 금속판이다. 브래킷(56)의 한 굽혀진 단부에, 구동모터(55)가 리드 나사(54)에 의해 관통되어 있는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다. 리드 나사(54)의 선두부는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브래킷(56)의 다른 굽혀진 단부에 걸쳐 뚫려져 있는 축 구멍내에 삽입된다.
픽업공급기구(21)에서는, 구동모터(55)가 리드 나사(54)를 회전가능하게 구동할 때에, 리드 나사(54a)와 랙부(53a)사이의 맞물림은 리드 나사(54)의 축 방향내에서 랙부재(53)를 변위시킨다. 결과적으로, 광픽업(20)과 픽업 베이스(41)는 한 쌍의 가이드 축(42a, 42b)의 방향, 즉 광디스크(2)의 방사 방향내에서 일체적으로 이동된다.
상기 구조를 가지는 디스크 구동장치(1)에서는, 디스크회전 구동기구(19)가, 광디스크(21)를 지지하고 있는 디스크 트레이(4)가 케이스(3)내에 수납되어진 상태에서 광디스크(2)를 회전가능하게 구동하며, 그 후에 픽업공급기구(21)는 광디스크(2)의 내부 주변과 외부 주변 사이에 광픽업(21)을 공급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광픽업(20)은 광디스크(2)에 대해서 신호의 기록/판독작업을 수행하므로, 광디스크(2)의 희망하는 기록트랙에 대해서 정보신호를 기록/판독하게 된다.
상기 디스크 구동장치(1)에서는, 스핀들 모터(23)를 지지하는 지지판(24)이 서브 샤시(15)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내에서 턴테이블(22)의 위치결정을 수행하는 스페이서 부재(28)를 통해 서브 샤시(15)에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같이, 서브 샤시(15)와 대향하는 스페이서 부재(28) 주요면상에 형성되어 있는 4개의 제 1의 기준 돌출부(29a-29d)는, 스페이서 부재(28)의 치수 허용치 ±d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서브 샤시(15)와 접촉되어 있는 표면의 높이내에서 균일성이 얻어진다. 이와같이, 지지판(24)과 대향하는 스페이서 부재(28) 주요면상에 형성되어 있는 4개의 제 2의 기준 돌출부(30a-30d)는 스페이서 부재(28)의 치수 허용치 ±d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지지판(24)과 접촉되어 있는 표면의 높이내에서 균일성이 얻어진다.
그러므로, 디스크 구동장치(1)내에서는, 스핀들 모터(23)가, 스페이서 부재(28)의 치수 허용치±d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서브 샤시(15)에 높은 정확도로 부착될 수 있다. 즉, 디스크 구동장치(1)내에서는, 서브 샤시(15)에 대해서 스핀들 모터(23)의 부착 정확도를 증가시키게 되면, 높은 수준에서, 턴테이블(22)에 의해 지지되는 광디스크(2)의 신호기록면과 서브 샤시(15)의 주요면과의 평행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스핀들 모터(23)가 서브 샤시(15)에 고정될 때에 경사 또는 워블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광픽업(20)으로부터 방출돠는 광빔이 턴테이블(22)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광디스크(2)의 신호기록면을 직각으로 조사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디스크 구동장치(1)내에서는, 서브 샤시(15)와 턴테이블(22)간의 평행상태를 유지하고자 할 때에는, 스페이서 부재(28)의 수직 치수가 상술한 몰드를 제조할 때에 관리되는 것만 요구된다. 게다가, 스핀들 모터(23)내에서 요구되는 부품의 수는 도 3에 도시된 스핀들 모터(206)의 종래의 부착구조의 경우에 비해 더욱 적으며, 제조도 더욱 쉽다. 그러므로, 제조비용을 증가시키지 않고 서브 샤시(15)와 턴테이블(22)간의 평행상태를 높은 레벨의 정확도를 가지고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스핀들 모터(206)의 상술한 종래의 부착구조에서는, 위치결정부재(214a, 214b, 124c)가 독립적으로 제조되므로, 베이스(204)에 대한 턴테이블(205)의 경사 또는 워블은 위치결정부재(214a, 214b, 124c)의 각각의 치수 허용치 ±d사이의 차이에 의해 발생된다. 그러므로, 서브 샤시(15)와 턴테이블(22)간의 평행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스핀들 모터(23)의 부착구조에서는, 일체적으로 형성된 위치결정부재(locating members)를 가지는 스페이서 부재(28)가 사용되며, 단지 스페이서 부재(28)의 수직 치수(vertical dimension)만이 관리된다. 결과적으로, 서브 샤시(15)와 지지판(24)과 대향하는 스페이서 부재(28)의 양면의 수직치수의 균일성은, 스페이서 부재(28)의 치수 허용치±d에 의해 얻어진다. 그러므로, 서브 샤시(15)와 턴테이블(22)간의 평행상태는 높은 정밀도로 유지될 수 있다.
게다가, 디스크 구동장치(1)내에서는, 상술한 경사조정기구(45)가 가이드 축(42a, 42b)의 각 단부가 지지되어 있는 위치들을 조정한다. 결과적으로, 턴테이블(22)에 의해 지지되는 광디스크(2)의 신호기록면과, 한 쌍의 가이드 축(42a, 42b)에 의해 미끄러지도록 지지되는 광픽업(20) 사이의 거리와, 광디스크(2)의 신호기록면에 대해서 광픽업(20)의 경사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디스크 구동장치(1)내에서는, 광픽업(2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빔이, 턴테이블에 의해 지지되는 광디스크(2)의 신호기록면을 직각으로 조사하는데 필요한 경사조정등은 높은 정밀도로 쉽게 수행될 수 있다.
게다가, 상술한 노트북 PC(100)내에서, 울트라 슬림 디스크 구동장치로서, 디스크 구동장치(1)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라도, 서브 샤시(15)와 턴테이블(22)간의 평행상태는 높은 정밀도로 유지되며, 경사조정기구(45)에 의해 조정되는 영역은 작게 된다. 그러므로, 광디스크(2)의 기록밀도의 증가에 대응하고, 전체 장치의 크기, 무게 또는 두께의 감소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디스크 구동장치(1)내에서는, 한 쌍의 가이드 축(42a, 42b)의 내부 주변측 단부들을 지지하는 축 지지부재(46)는 스페이서 부재(28)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한 쌍의 가이드 축(42a, 42b)의 내부 주변측 단부들을 지지하는 축 지지부재(46)는 스페이서 부재(28)상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경우와 비교해 볼 때에 요구되는 부품의 수를 감소시키고 제조가 쉽게 된다. 그러므로, 제조비용이 감소된다.
디스크 구동장치(1)내에서는, 스페이서 부재(28)를 통해 서브 샤시(15)의 하부면에, 스핀들 모터(230를 지지하는 지지판(24)을 고정시키기 위해 4개의 포인트들이 설정된다. 그러나, 최소한 3개의 고정용 포인트를 설정함으로써, 스핀들 모터(23)는 서브 샤시(15)에 적절하게 부착된다. 고정 포인트들의 수가 증가되더라도, 스페이서 부재(28)의 두께 방향내에서 치수 허용치(d)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스핀들 모터(23)가 서브 샤시(15)에 부착되어 있을 때에 경사 또는 워블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정 포인트들의 배열은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자.
게다가, 디스크 구동장치(1)내에서는, 고정 포인트들과 대응하여, 나사 구멍(34)이 서브 샤시(15)내에 형성되며, 구멍부(36)는 지지판(24)내에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사실과는 반대로, 구멍부(36)가 서브 샤시(15)내에 형성되고, 나사 구멍(34)이 지지판(24)내에 형성되며, 부착나사(38)가 서브 샤시(15)로부터 삽입되는 구조가 채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광디스크(2)에 대해서 정보신호를 기록/판독하는 디스크 구동장치(1)에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광자기 디스크와 같은 광디스크에 대해서 정보신호를 기록/판독하는 디스크 구동장치에도 널리 적용가능하며, 또는 디스크 카트리지내에 광디스크가 수납되어 있는 케이스에도 적용가능하다.

Claims (14)

  1. 디스크 구동장치에 있어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에 포함되며, 광디스크를 지지하기 위한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가능하게 구동하며, 상기 광디스크와 상기 턴테이블을 일체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동하는 스핀들 모터를 가지는 회전구동기구를 가지는 디스크 구동부와,
    상기 광디스크에 대해서 신호들을 기록/판독하기 위해서, 상기 회전구동기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동되는 상기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광빔을 조사하는 광픽업과,
    상기 광픽업을 미끄러지도록 지지하여 상기 광디스크의 방사 방향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축을 가지며, 상기 광디스크의 내부 주변과 외부 주변 사이에서 상기 광픽업을 안내하는 가이드 기구와,
    상기 턴테이블이 상부를 향하게 되는 개구와 상기 광픽업이 하부를 향하게 되는 다른 개구, 그리고, 상기 턴테이블과 광픽업이 상기 개구들을 통해서 상부를 향하게 되는 측의 주요면과, 상기 스핀들 모터와 상기 가이드 축의 양 단부들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주요면과 대향하는 측의 다른 주요면을 가지는 베이스로 구성되며,
    상기 스핀들 모터는 상기 베이스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에서 상기 턴테이블의위치결정을 수행하는 스페이서 부재(spacer member)를 통해 상기 베이스에 부착되어 있는 디스크 구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부재는, 레진 몰딩재료로 제작되는 디스크 구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부재는, 상기 가이드 축의 내부 주변측 단부들을 지지하는 축 지지부를 가지는 디스크 구동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부재는, 상기 베이스와 대향하는 주요면위에, 상기 베이스와 접촉되는 면의 높이에서 균일성을 달성하기 위해서 최소한 세 개의 기준 돌출부를 가지는 디스크 구동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부재는, 상기 스핀들 모터를 지지하는 지지판과 대향하는 주요면 위에, 상기 지지판과 접촉되는 면의 높이에서 균일성을 달성하기 위해서 최소한 세 개의 기준 돌출부를 가지는 디스크 구동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부재는, 상기 베이스와 대향하는 주요면위에, 상기 베이스와 접촉되는 면의 높이에서 균일성을 달성하기 위해서 최소한 세 개의 제 1의 기준 돌출부와,
    상기 스핀들 모터를 지지하는 지지판과 대향하는 주요면 위에, 상기 지지판과 접촉되는 면의 높이에서 균일성을 달성하기 위해서 상기 제 1의 기준 돌출부와 대응하는 최소한 세 개의 제 2의 기준 돌출부와,
    상기 제 1과 제 2의 기준 돌출부들의 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걸쳐서 형성된 최소한 세 개의 관통 구멍과, 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와 상기 지지판중 한 개는 상기 스페이서 부재의 상기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걸쳐 형성된 최소한 세 개의 나사구멍을 가지며, 다른 하나는 상기 스페이서 부재의 상기 관통구멍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걸쳐 형성된 최소한 세 개의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스핀들 모터는 상기 스크류 구멍, 관통구멍 및, 상기 스페이서 부재가 상기 지지판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서로 정렬되어 있는 나사구멍, 관통구멍 및 개구부내에 나사를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스페이서 부재를 통해 상기 베이스에 부착되어 있는 디스크 구동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기구는, 상기 광디스크의 방사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한 쌍의 가이드 축을 가지며,
    상기 디스크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의 주요면과 수직인 방향에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축의 각각의 양 단부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축의 각각의 단부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축에 의해 미끄러지도록 지지되어 있는 상기 광픽업과 상기 턴테이블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해서 지지되어 있는 위치들과 상기 광디스크의 상기 신호기록면에 대한 광픽업의 경사(skew)를 조정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디스크 구동장치.
  8. 디스크 구동부에 있어서,
    광디스크를 지지하기 위한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가능하게 구동하며, 상기 광디스크와 상기 턴테이블을 일체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동하는 스핀들 모터를 가지는 회전구동기구와,
    상기 광디스크에 대해서 신호들을 기록/판독하기 위해서, 상기 회전구동기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동되는 상기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광빔을 조사하는 광픽업과,
    상기 광픽업을 미끄러지도록 지지하여 상기 광디스크의 방사 방향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축을 가지며, 상기 광디스크의 내부 주변과 외부 주변 사이에서 상기 광픽업을 안내하는 가이드 기구와,
    상기 턴테이블이 상부를 향하게 되는 개구와 상기 광픽업이 하부를 향하게되는 다른 개구, 그리고, 상기 턴테이블과 광픽업이 상기 개구들을 통해서 상부를 향하게 되는 측의 주요면과, 상기 스핀들 모터와 상기 가이드 축의 양 단부들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주요면과 대향하는 측의 다른 주요면을 가지는 베이스로 구성되며,
    상기 스핀들 모터는 상기 베이스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에서 상기 턴테이블의 위치결정을 수행하는 스페이서 부재를 통해 상기 베이스에 부착되어 있는 디스크 구동부.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부재는, 레진 몰딩재료로 제작되는 디스크 구동부.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부재는, 상기 가이드 축의 내부 주변측 단부들을 지지하는 축 지지부를 가지는 디스크 구동부.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부재는, 상기 베이스와 대향하는 주요면위에, 상기 베이스와 접촉되는 면의 높이에서 균일성을 달성하기 위해서 최소한 세 개의 기준 돌출부를 가지는 디스크 구동부.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부재는, 상기 스핀들 모터를 지지하는 지지판과 대향하는 주요면 위에, 상기 지지판과 접촉되는 면의 높이에서 균일성을 달성하기 위해서 최소한 세 개의 기준 돌출부를 가지는 디스크 구동부.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부재는, 상기 베이스와 대향하는 주요면위에, 상기 베이스와 접촉되는 면의 높이에서 균일성을 달성하기 위해서 최소한 세 개의 제 1의 기준 돌출부와,
    상기 스핀들 모터를 지지하는 지지판과 대향하는 주요면 위에, 상기 지지판과 접촉되는 면의 높이에서 균일성을 달성하기 위해서 상기 제 1의 기준 돌출부와 대응하는 최소한 세 개의 제 2의 기준 돌출부와,
    상기 제 1과 제 2의 기준 돌출부들의 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걸쳐서 형성된 최소한 세 개의 관통 구멍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와 상기 지지판중 한 개는 상기 스페이서 부재의 상기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걸쳐 형성된 최소한 세 개의 나사구멍을 가지며, 다른 하나는 상기 스페이서 부재의 상기 관통구멍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걸쳐 형성된 최소한 세 개의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스핀들 모터는 상기 스크류 구멍, 관통구멍 및, 상기 스페이서 부재가 상기 지지판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서로 정렬되어 있는 나사구멍, 관통구멍 및 개구부내에 나사를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스페이서 부재를 통해 상기 베이스에 부착되어 있는 디스크 구동부.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기구는, 상기 광디스크의 방사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가이드 축을 가지며,
    상기 디스크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의 주요면과 수직인 방향에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축의 각각의 양 단부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축의 각각의 단부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축에 의해 미끄러지도록 지지되어 있는 상기 광픽업과 상기 턴테이블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해서 지지되어 있는 위치들과, 상기 광디스크의 상기 신호기록면에 대한 광픽업의 경사(skew)를 조정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디스크 구동부.
KR1020040057324A 2003-07-31 2004-07-22 디스크 구동장치 KR1010473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284228 2003-07-31
JP2003284228A JP4315763B2 (ja) 2003-07-31 2003-07-31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4675A true KR20050014675A (ko) 2005-02-07
KR101047360B1 KR101047360B1 (ko) 2011-07-07

Family

ID=34225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7324A KR101047360B1 (ko) 2003-07-31 2004-07-22 디스크 구동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93631B2 (ko)
JP (1) JP4315763B2 (ko)
KR (1) KR101047360B1 (ko)
CN (1) CN100350465C (ko)
MY (1) MY138439A (ko)
TW (1) TWI2788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0514A (ja) * 2006-04-06 2007-10-25 Teac Corp 光ディスク装置
TW200828293A (en) * 2006-12-29 2008-07-01 Lite On It Corp DVD mechanism with tilt adjustment
KR101312439B1 (ko) * 2007-03-12 2013-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디스크 드라이브
US20090044214A1 (en) * 2007-08-09 2009-02-12 Hung-Chi Teng Optical Disk Drive
JP4375470B2 (ja) * 2007-09-28 2009-12-02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駆動装置、カメラ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のスキューに追従した光ビームの傾き制御方法
CN101740080B (zh) * 2008-11-25 2014-07-30 三洋电机株式会社 光盘装置
KR101101682B1 (ko) * 2010-07-26 2011-12-30 삼성전기주식회사 모터 및 이를 이용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
KR20120078348A (ko) * 2010-12-31 2012-07-10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광기기 장치 및 조정 방법
CN102655007A (zh) * 2011-03-01 2012-09-05 飞利浦建兴数位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学头模块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924A (ja) 1985-06-28 1987-01-08 坂田 徳明 ロ−ラ−式集じん具
JPS626852A (ja) 1985-07-02 1987-01-13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オ−トワイパの制御方法
JPH0515142A (ja) 1991-06-28 1993-01-22 Motoo Kuninaka 永久磁石による連続運転機構
JPH0817135A (ja) 1994-06-28 1996-0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ンドルモータ固定機構
KR100213040B1 (ko) * 1996-04-23 1999-08-02 윤종용 광 기록 재생 장치
KR100195104B1 (ko) * 1996-06-17 1999-06-15 윤종용 위상차 및 틸트 조정이 가능한 디스크플레이어
JP3347601B2 (ja) 1996-09-27 2002-11-20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ディスクドライブ用スピンドルモータの製造方法
JPH11935A (ja) 1997-06-11 1999-01-06 Fuji Photo Film Co Ltd 射出成形用金型
JP2000149278A (ja) * 1998-11-09 2000-05-30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ィスク装置
JP2000187907A (ja) 1998-12-22 2000-07-04 Mitsumi Electric Co Ltd 磁気テープ記録再生装置
JP2001052345A (ja) 1999-05-31 2001-02-23 Sanyo Electric Co Ltd ピックアップ傾き調整機構を有するディスク記録又は再生装置
JP3626644B2 (ja) 1999-09-29 2005-03-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そのスピンドルモータ取付方法
JP2001101777A (ja) 1999-09-29 2001-04-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そのスピンドルモータ取付方法
JP2001245451A (ja) 2000-02-28 2001-09-07 Pioneer Electronic Corp モータ装置
JP2001307340A (ja) 2000-04-21 2001-11-02 Sony Corp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2109819A (ja) 2000-07-28 2002-04-12 Sony Corp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4780362B2 (ja) * 2000-12-01 2011-09-28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3233944A (ja) 2002-02-08 2003-08-22 Sony Corp 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ディスク装置の調整方法
TW572308U (en) * 2003-06-11 2004-01-11 Behavior Tech Computer Corp Transversal adjustment device of spindle mo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050485A (ja) 2005-02-24
US7493631B2 (en) 2009-02-17
CN100350465C (zh) 2007-11-21
TWI278831B (en) 2007-04-11
MY138439A (en) 2009-06-30
KR101047360B1 (ko) 2011-07-07
TW200509069A (en) 2005-03-01
CN1581308A (zh) 2005-02-16
JP4315763B2 (ja) 2009-08-19
US20050055706A1 (en) 200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0591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조정 장치
KR20010098660A (ko) 디스크드라이브장치
KR101050832B1 (ko) 디스크 구동 장치, 디스크 구동 유니트, 광학 픽업장치
JP2000057715A (ja) ディスクプレーヤ
KR101047360B1 (ko) 디스크 구동장치
KR100776341B1 (ko) 광디스크구동장치
US7213251B2 (en) Guide shaft tilt adjusting apparatus for optical disc player
US7522483B2 (en) Disc drive unit and dis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6813773B2 (en) Pickup guide rail tilt adjust mechanism with screw disposed through a pre-compressed spring for an optical disc drive
EP1422699B1 (en) Method of adjusting inclination of guide shaft in recording medium drive device
US7461389B2 (en) Adaptor member for a disc drive
US20050289581A1 (en) Height-variable type turntable assembly and optical disk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10258646A1 (en) Optical pickup supporting device and optical dis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01229548A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5203045A (ja) スキュー調整機構及び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KR100264454B1 (ko) 디브디 연주부 조정장치
JPH11224482A (ja) 記録再生装置
US8370866B2 (en) Optical pickup supporting device with position adjustment mechanism and optical dis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04355711A (ja) ピックアップ傾き調整機構を具えたディスク記録又は再生装置
JPH08147867A (ja)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モーター軸調整装置
JP2004234802A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3288728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のスキュー調整装置、及び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WO2012063807A1 (ja) モータユニット、光ピックアップ支持装置、光ディスク装置、モータユニットの調整方法および光ピックアップ支持装置の製造方法。
JPH09306090A (ja) スピンドルモータの位置調整機構
KR20060088362A (ko)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틸트보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