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5104B1 - 위상차 및 틸트 조정이 가능한 디스크플레이어 - Google Patents

위상차 및 틸트 조정이 가능한 디스크플레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5104B1
KR100195104B1 KR1019960021839A KR19960021839A KR100195104B1 KR 100195104 B1 KR100195104 B1 KR 100195104B1 KR 1019960021839 A KR1019960021839 A KR 1019960021839A KR 19960021839 A KR19960021839 A KR 19960021839A KR 100195104 B1 KR100195104 B1 KR 100195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motor plate
motor
tilt
phase dif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1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4672A (ko
Inventor
박희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21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5104B1/ko
Priority to CN97112920A priority patent/CN1087090C/zh
Priority to US08/873,595 priority patent/US6014362A/en
Priority to JP9159060A priority patent/JP2962696B2/ja
Publication of KR980004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4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5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51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009Turntables, hubs and motors for disk drives; Mounting of motors in the driv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16Supporting the heads; Supporting the sockets for plug-in heads
    • G11B21/24Head support adjustments

Landscapes

  • Rotational Drive Of Disk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 Moving Of Heads (AREA)

Abstract

위상차 및 틸트(tilt) 조정이 가능한 디스크 플레이어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이 디스크 플레이어는 데크에 설치되는 스핀들모터와, 스핀들모터와 데크 사이에 설치되어 스핀들모터의 틸트를 조정하는 조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모터의 설치 상태를 조정하여 광픽업의 위상차 및 틸트를 효과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상차 및 틸트 조정이 가능한 디스크플레이어
제1도는 일반적인 디스크 플레이어의 데크에 설치된 광픽업 및 스핀들모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다른 위상차 및 틸트 조정이 가능한 디스크 플레이어의 분리 사시도이다.
제3도는 제2도의 모터베이스의 이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4도는 제2도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5도는 제2도의 B-B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광픽업 200 : 턴테이블
310,320 : 샤프트 400 : 데크
500 : 스핀들모터 600 : 틸트조정수단
610 : 모터플레이트 630, 640 : 탄성밀착부재
650 : 탄젠샬스크류 660 : 레이디얼스크류
본 발명은 디스크를 기록 매체로 사용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위상차 및 틸트(tilt) 조정이 가능한 디스크 플레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크에는 CD(Compact disk), VIDEO-CD, LD(laser disk), DVD(digital video disk), CD-ROM, DVD-ROM 등이 있으며, 이들 디스크를 기록매체로 사용하는 디스크 플레이어가 있다.
디스크를 기록 매체로 사용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발전방향은 같은 면적의 디스크에 보다 많은 정보를 저장하려는 방향이다. 보다 많은 정보를 같은 면적의 디스크에 저장하려면, 디스크에 고밀도로 기록해야 한다. 즉, 디스크에 기록되는 트랙의 폭이 좁아져야 하며, 트랙과 트랙사이의 거리 또한 좁아져야 한다.
이와 같이, 디스크에 정보를 고밀도로 저장하거나, 고밀도로 저장된 정보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고정도의 광학픽업이 필요하며, 고정도의 데크메커니즘(deck mechanism) 또한 필요하다.
상기 고정도의 데크메커니즘이라 함은 제1도에 도시된 광픽업(1)에서 턴테이블(2)에 안착되는 디스크(미도시)로 조사되는 광축이 디스크에 수직으로 입사되도록 샤프트(3) 및 턴테이블(2)이 적절히 조립되어 광픽업의 틸트가 없는 데크메커니즘이라 정의할 수 있다.
제1도를 참조하면, 종래의 디스크 플레이어에는 샤프트(3)가 부시(4)에 의하여 데크(5)에 고정되어 있으며, 스핀들모터(6)가 스크류(7)에 의하여 데크(5)에 고정되어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부시(4)는 데크(5)에 고정되어 샤프트(3)의 양단을 고정 및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스핀들모터(6)는 턴테이블(2)을 회전시켜 턴테이블(2)에 안착되는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며, 샤프트(3)는 광픽업(1)을 턴테이블(2)의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샤프트(3)가 부시(4)에 의하여 데크(5)에 고정되고, 스핀들모터(6)가 스크류(7)에 의하여 데크(5)에 고정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부시(4) 자체의 가공오차 및 부시(4)의 조립공차에 의하여 샤프트(3)가 데크(5)에 적절하게 조립되지 않거나, 스핀들모터(6)가 데크(5)에 수직으로 설치되지 않으면, 광픽업(1)에서 디스크로 조사되는 광축이 디스크에 수직으로 입사되지 않거나, 반경방향 경로에서 벗어나 광픽업(1)은 디스크의 정보를 재생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픽업(1)에서 발사된 레이저 광이 디스크에 수직으로 반경방향 경로에 조사될 수 있도록 위상차 및 틸트 조정이 가능한 디스크 플레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상차 및 틸트 조정이 가능한 디스크 플레이어는:
데크에 설치되는 스핀들모터와,
상기 스핀들모터와 상기 데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스핀들모터의 위상차 및 틸트를 조정하는 조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스핀들모터에 고정된 모터플레이트와,
상기 데크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플레이트를 상기 데크에 탄성 밀착시키는 탄성밀착부재와,
상기 데크 또는 상기 모터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플레이트와 상기 데크 사이의 간격을 벌리는 확장부재와,
상기 데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모터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캠 형상의 위상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모터플레이트에 형성된 힌지엠보싱과, 상기 힌지엠보싱에 대응된 데크에 형성된 힌지돌기를 더 구비하여,
상기 확장부재에 의하여 상기 모터플레이트와 상기 데크의 간격이 벌어질 때 상기 힌지엠보싱과 상기 힌지돌기의 접촉부가 회전중심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상차 및 틸트 조정이 가능한 디스크 플레이어는 광픽업의 위상차 및 틸트를 효과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위상차 및 틸트 조정이 가능한 디스크 플레이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위상차는 광픽업(100)에서 조사되는 광축이 턴테이블(200)에 안착된 디스크(미도시)의 반경방향 경로에서 이탈되어 조사됨을 의미하여, 틸트는 상기 광축이 디스크에 기울어져 조사됨을 의미한다. 틸트에는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기울어진 레이디얼(radial) 틸트와, 디스크의 접선방향으로 기울어진 탄젠셜(tangential) 틸트로 나뉜다. 이러한 틸트 및 위상차는 다음의 경우에 발생된다.
제2도를 참조하면, 첫째, 턴테이블(200)의 반경방향으로 광픽업(100)을 안내하는 제1,2샤프트(310,320)의 조립상태에 기인된다. 즉, 제1샤프트(310)와 제2샤프트(320)가 데크(400)에 적절하게 조립되지 않았거나, 양단의 높이가 서로 맞지 않을 때 발생된다.
둘째, 데크(400)에 설치되는 스핀들모터(500)의 조립상태에 기인된다. 즉, 스핀들모터(500)가 데크(400)에 적절하게 조립되지 않아 스핀들모터(500)의 회전축이 데크(400)와 수직을 이루지 못하거나 턴테이블의 반경방향 경로에서 벗어날 때 발생된다.
이러한 틸트 및 위상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핀들모터(500)와 데크(400) 사이에 설치된 조정수단(600)을 이용하여 스핀들모터(500)의 조립상태를 효과적으로 조정하여 광픽업(100)에서 턴테이블(200)에 안착된 디스크(미도시)로 조사되는 광픽업(100)의 광축이 경사지지 않도록 하고 반경방향 경호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한 것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제1샤프트(310)와 제2샤프트(320)가 데크(400)에 수평으로 조립되지 않았거나 양단의 높이가 서로 맞지 않을 때 스핀들모터(500)의 조립상태를 조정하면 광픽업(100)에서 디스크로 조사되는 광축을 수직으로 할 수 있으며, 반경방향 경로 상에 광축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2도를 참조하면, 데크(400) 위에는 제1,2샤프트(310,320)가 부시(311,321)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제1,2샤프트(310,320)에는 광픽업(10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핀들모터(500)는 조정수단(600)에 의하여 데크(400)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정수단(600)은 스핀들모터(500)가 고정되는 모터플레이트(610)와 데크(400)에 설치되어 모터플레이트(610)의 양측을 데크(400)에 탄성 밀착시키는 제1,2탄성밀착부재(630,640)와, 데크(400) 설치되어 모터플레이트(610)와 데크(400) 사이의 간격을 확장시키는 제1,2확장부재(650,660)와, 모터플레이트(610)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위상부재(4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터플레이트(610)에는 모터고정구멍(611), 플레이트구멍(612), 위상구멍(613)이 형성되어 있으며, 힌지엠보싱(614), 탄젤샬엠보싱(615), 레이디얼엠보싱(6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모터고정구멍(611)은 스크류(650)를 이용하여 스핀들모터(500)를 모터플레이트(610)에 고정하는데 이용되며, 상기 플레이트구멍(612)은 제1탄성밀착부재(630)를 스크류(651)을 이용하여 데크(400)에 고정하는데 이용되며, 상기 위상구멍(613)은 후술하는 위상부재(440)가 삽입되어 광픽업(100)의 위상 변화를 조정하는데 이용되며, 상기 힌지엠보싱(614)은 탄젠샬 또는 레이디얼 방향 틸트가 조정될 때 모터플레이트(610)의 회전중심으로 이용된다.
제1탄성밀착부재(630)와 제2탄성밀착부재(640)는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되거나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모터플레이트(610)를 데크(400)에 소정의 탄성력으로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탄성부재(630)에는 제1고정구멍(6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탄성리브(632)와 제2탄성리브(633)가 형성되어 있다. 제1탄성부재(630)는 제1고정구멍(631)을 통하여 플레이트구멍(612)에 나사결합하는 스크류(651)에 의하여 데크(400)에 고정되면서 제1탄성리브(632)와 제2탄성리브(633)가 모터플레이트(610)를 데크(400)에 탄성 밀착시키도록 한다.
상기 제2탄성밀착부재(640)에는 제1고정구멍(641) 및 제2고정구멍(6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탄성리브(633)와 제2탄성리브(644)가 형성되어 있다. 제2탄성부재(640)는 구멍(641)을 통하여 나사구멍(410)에 나사결합하는 스크류(645)에 의하여 데크(400)에 고정되면서, 데크(400)에 형성된 고정돌기(411)가 제2고정구멍(642)에 삽입됨에 따라 데크(400)에 고정된다. 데크(400)에 고정되는 제2탄성부재(640)의 제1탄성리브(643)와 제2탄성리브(644)는 모터플레이트(610)를 데크(400)에 탄성 밀착시킨다.
상기 확장부재(650,660)는 데크(400)에 나사 결합되는 통상의 스크류(650,660)를 사용할 수 있다. 데크(400)에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650,660)를 회전시키면 전진되는 스크류(650,660)는 모터플레이트(610)를 밀어 데크(400)와 모터플레이트(610) 사이를 벌린다. 확장부재로 이용되는 스크류(650,660)는 탄젠샬스크류(650)와 레이디얼스크류(660)가 있다. 상기 탄젠샬스크류(650)는 데크(400)에 마련된 탄젠샬나사구멍(420)에 나사 결합되어 탄젤샬방향 틸트를 조정하는데 이용되며, 상기 레이디얼스크류(660)는 데크(400)에 마련된 레이디얼구멍(421)에 나사 결합되어 레이디얼방향 틸트를 조정하는데 이용된다.
데크(400)에는 회전 방지용 회전방지가이드(4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엠보싱(614)과 접촉하는 힌지돌기(45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위상을 조정하는 위상부재(44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위상부재의 회전축은 편심되어 있어, 캠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방지가이드(430)는 모터플레이트(610)가 고정될 때 회전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위상부재(440)는 모터플레이트(610)에 형성된 위상구멍(613)에 삽입되어 상기 모터플레이트(610)를 탄젠셜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회전축이 편심되어 데크(400)에 설치된 위상부재(440)가 적절히 회전되면 모터플레이트(610)가 탄젠셜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상차가 조정된다.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면, 모터플레이트(610)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한 힌지엠보싱(614), 탄젤샬엠보싱(615), 레이디얼엠보싱(616)은 모터플레이트(610)의 하면에서 살펴보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상기 볼록한 형상의 레이디얼엠보싱(616) 및 탄젤샬엠보싱(615)은 데크(400)에 나사 결합된 레이디얼스크류(660)와, 탄젤셜스크류(650)의 단부와 접촉된다. 그리고 힌지엠보싱(614)은 데크(400)의 상면에 돌출된 힌지돌기(450)와 접촉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조정수단(600)을 이용하여 위상차, 탄젠샬 틸트, 레이디얼 틸트를 조정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 및 제4도를 참조하면, 디스크에 대한 광축의 탄젠샬 틸트를 조정할 때에는 탄젤샬스크류(650)를 회전시켜 조정한다. 탄젤셜스크류(650)를 회전시키면 모터플레이트(610)는 힌지돌기(450)와 힌지엠보싱(614)의 접촉면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즉, 모터플레이트(610)가 제1,2탄성밀착부재(630,640)에 의하여 데크(400)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탄젠셜스크류(650)에 의하여 승강되는 모터플레이트(610)는 힌지돌기(450)와 힌지엠보싱(614)의 접촉면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모터플레이트(610)가 탄젤셜스크류(650)에 의하여 회전될 때에 모터플레이트(610)은 회전되지 않는다. 즉, 모터플레이트(610)가 회전방지가이드(430)와 위상부재(440)에 의하여 규제되어 있기 때문이다.
제2도 및 제5도를 참조하면, 디스크에 대한 광축의 레이디얼 틸트를 조정할 때에는 레이디얼스크류(660)를 회전시켜 조정한다. 레이디얼스크류(660)를 회전시키면 모터플레이트(610)는 힌지돌기(450)와 힌지엠보싱(614)의 접촉면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즉, 모터플레이트(610)가 제1탄성밀착부재(630) 및 제2탄성밀착부재(640)에 의하여 데크(400)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레이디얼스크류(660)에 의하여 승강되는 모터플레이트(610)는 상기 접촉면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모터플레이트(610)가 레이디얼스크류(660)에 의하여 회전될 때에 모터플레이트(610)은 회전되지 않는다. 즉 모터플레이트(610)가 위상가이드(430)와 위상돌기(440)에 의하여 규제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틸트 조정이 끝나면, 위상부재(440)을 회전시켜 모터플레이트(610)을 탄젠셜방향으로 적절히 이동시켜 광픽업의 위상차를 조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위상차 및 틸트를 조정하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상차 및 틸트가 가능한 디스크 플레이어는 모터의 설치 상태를 조정하여 광픽업의 위상차 및 틸트를 효과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첨부된 참조 도면에 의해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단지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즉, 당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충분히 이해하여 유사한 형태의 위상차 및 틸트조정이 가능한 디스크 플레이어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데크에 설치된 스핀들모터와, 상기 스핀들모터의 위상차 및 틸트를 조정하는 조정수단을 구비하여 된 위상차 및 틸트 조정이 가능한 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스핀들모터에 고정된 모터플레이트와, 상기 데크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플레이트를 상기 데크에 탄성 밀착시키는 탄성밀착부재와, 상기 데크 또는 상기 모터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플레이트와 상기 데크 사이의 간격을 벌리는 확장부재와, 상기 데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모터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캠 형상의 위상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및 틸트 조정이 가능한 디스크 플레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플레이트에 형성된 힌지엠보싱과, 상기 힌지엠보싱에 대응되도록 상기 데크에 형성된 힌지돌기를 더 구비하여, 상기 확장부재에 의하여 상기 모터플레이트와 상기 데크의 간격이 벌어질 때 상기 힌지엠보싱과 상기 힌지돌기의 접촉부가 회전중심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및 틸트 조정이 가능한 디스크 플레이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밀착부재는 상기 데크에 고정되어 상기 모터플레이트가 데크에 밀착되도록 상기 모터플레이트의 양단을 각각 누르는 적어도 2개의 판스프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및 틸트 조정이 가능한 디스크 플레이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재에 의하여 상기 모터플레이트가 움직일 때 모터플레이트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가이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및 틸트 조정이 가능한 디스크플레이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부재는 상기 모터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장공에 삽입되어, 상기 위상부재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모터플레이트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및 틸트 조정이 가능한 디스크 플레이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가이드는 상기 데크에 형성되어 상기 모터플레이트의 측면을 가이드하는 위상가이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및 틸트 조정이 가능한 디스크플레이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재는 상기 데크에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로 되어, 상기 스크류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모터플레이트와 상기 데크 사이의 간격을 벌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및 틸트 조정이 가능한 디스크플레이어.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재는 상기 모터플레이트에 나사 결합된 스크류로 되어, 상기 스크류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모터플레이트와 상기 데크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하는 위상차 및 틸트 조정이 가능한 디스크 플레이어.
KR1019960021839A 1996-06-17 1996-06-17 위상차 및 틸트 조정이 가능한 디스크플레이어 KR100195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1839A KR100195104B1 (ko) 1996-06-17 1996-06-17 위상차 및 틸트 조정이 가능한 디스크플레이어
CN97112920A CN1087090C (zh) 1996-06-17 1997-06-09 能调节相移和倾斜的光盘播放机
US08/873,595 US6014362A (en) 1996-06-17 1997-06-12 Phase-shift and tilt adjustable disk player
JP9159060A JP2962696B2 (ja) 1996-06-17 1997-06-16 位相差及びチルト調整が可能なディスクプレイ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1839A KR100195104B1 (ko) 1996-06-17 1996-06-17 위상차 및 틸트 조정이 가능한 디스크플레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4672A KR980004672A (ko) 1998-03-30
KR100195104B1 true KR100195104B1 (ko) 1999-06-15

Family

ID=19462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1839A KR100195104B1 (ko) 1996-06-17 1996-06-17 위상차 및 틸트 조정이 가능한 디스크플레이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014362A (ko)
JP (1) JP2962696B2 (ko)
KR (1) KR100195104B1 (ko)
CN (1) CN1087090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255B1 (ko) * 2001-12-28 2004-09-10 삼성전기주식회사 광픽업 플레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1420B2 (ja) 1997-11-28 2006-12-20 ヤマハ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におけるスピンドルモータの傾角調整機構
JP3626644B2 (ja) 1999-09-29 2005-03-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そのスピンドルモータ取付方法
JP3731716B2 (ja) 1999-12-03 2006-01-05 株式会社リコー 情報記録/再生装置
JP3668097B2 (ja) * 2000-03-17 2005-07-06 三洋電機株式会社 ピックアップ傾き調整機構を有するディスク記録又は再生装置
JP3753593B2 (ja) * 2000-05-31 2006-03-08 富士通株式会社 記憶装置
JP3480426B2 (ja) * 2000-06-13 2003-12-22 船井電機株式会社 光ピックアップの傾角調整装置
DE60320386T2 (de) * 2002-02-26 2009-05-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Vorrichtung zur wiedergabe von informationen, halterung für anwendung in einer vorrichtung und verfahren für drehung eines aufzeichnungsmediums
KR100494464B1 (ko) * 2002-03-05 2005-06-13 삼성전기주식회사 광 기록재생장치
JP3878066B2 (ja) * 2002-06-21 2007-02-07 三菱電機株式会社 傾角調整機構
TW540795U (en) * 2002-06-25 2003-07-01 Lite On It Corp CD drive adjustment device with two guiding rods and three points of positioning
TWI220987B (en) * 2002-09-19 2004-09-11 Asustek Comp Inc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optical axis of optical disc drive
EP1426948A1 (en) * 2002-12-03 2004-06-09 Sunonwealth Electric Machine Industry Co., Ltd. Adjusting device for a disk turntable for an optical disk drive
EP1426949A1 (en) * 2002-12-03 2004-06-09 Sunonwealth Electric Machine Industry Co., Ltd. Adjusting device for a stator for an optical disk drive motor
TW572308U (en) * 2003-06-11 2004-01-11 Behavior Tech Computer Corp Transversal adjustment device of spindle motor
TW592373U (en) * 2003-06-30 2004-06-11 Micro Star Int Co Ltd Shift adjustment mechanism for spindle motor and read/write head of compact disk drive
JP4315763B2 (ja) * 2003-07-31 2009-08-19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22718B1 (ko) * 1973-03-19 1977-02-11 Thomson Brandt
NL8500592A (nl) * 1985-03-04 1986-10-01 Philips Nv Electro-optische inrichting.
US5056078A (en) * 1988-12-20 1991-10-08 Literal Corporation Load mechanism for a beam addressable information storage disk drive system
JPH03203029A (ja) * 1989-12-28 1991-09-04 Pioneer Electron Corp 情報読取装置
KR100213040B1 (ko) * 1996-04-23 1999-08-02 윤종용 광 기록 재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255B1 (ko) * 2001-12-28 2004-09-10 삼성전기주식회사 광픽업 플레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7090C (zh) 2002-07-03
JP2962696B2 (ja) 1999-10-12
JPH1069650A (ja) 1998-03-10
CN1177174A (zh) 1998-03-25
US6014362A (en) 2000-01-11
KR980004672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3889B1 (ko) 틸트 조정이 가능한 디스크플레이어
KR100195104B1 (ko) 위상차 및 틸트 조정이 가능한 디스크플레이어
JP2793175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ピックアップ位置及び傾斜調整装置
KR100243191B1 (ko) 광 기록 재생 장치
KR100200591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조정 장치
KR100213726B1 (ko) 수평 조정기능을 갖는 디스크 회전장치
JP3035223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ピックアップ位置調整装置
JP2846862B2 (ja) スピンドルモータの設置角調整手段を備えた光記録再生装置
US6369963B1 (en) Optical pickup apparatus
JP2793176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ピックアップの傾斜調整装置
KR100189914B1 (ko) 디스크플레이어의 픽업기울기 조정장치
KR100269158B1 (ko) 광픽업의 대물렌즈 기울기 조정장치
JP2001101673A (ja) 光ヘッド支持機構
JP3691354B2 (ja) ピックアップ傾き調整機構を有するディスク記録又は再生装置及びその調整機構を位置決めする方法
KR100266200B1 (ko) 스핀들 모터의 자세 조정장치
KR0176594B1 (ko) 샤프트 분리형 위상조정기구를 갖는 디스크플레이어
KR100467597B1 (ko) 틸트조정장치를 갖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KR100246476B1 (ko) 광축 경사 보정장치
KR100252322B1 (ko) 광 디스크의 틸트 조정장치
KR200351543Y1 (ko) 광디스크구동장치의스큐조정장치
KR200280138Y1 (ko) 광 디스크 드라이브
KR20030034445A (ko)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틸트 조정장치
JP3442756B2 (ja) 光ディスク装置
KR19990002305U (ko) 광픽업 가이드샤프트의 높이 조정장치
KR20010024092A (ko) 디스크 재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