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6456A - 자동차용 제진재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제진재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6456A
KR20050006456A KR1020030046270A KR20030046270A KR20050006456A KR 20050006456 A KR20050006456 A KR 20050006456A KR 1020030046270 A KR1020030046270 A KR 1020030046270A KR 20030046270 A KR20030046270 A KR 20030046270A KR 20050006456 A KR20050006456 A KR 20050006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damping
asphalt
weight
synthetic rubber
materi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6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9412B1 (ko
Inventor
양경모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6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9412B1/ko
Publication of KR20050006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6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9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94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5/00Compositions of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08J9/1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developing nitrogen, the blowing agent being a compound containing a nitrogen-to-nitrogen bond
    • C08J9/102Azo-compounds
    • C08J9/103Azodicarbon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4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no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in side chain, and having one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in a carbocyclic or in a heterocyclic ring system;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phase)이 다른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브라운 아스팔트 개질과 합성고무(PNR) 등을 적절한 혼합비로 교반하여 아스팔트 원액을 만들고, 여기에 충진제 및 발포제를 혼입함으로써, 저온(-30℃)영역에서 고온(40℃)영역까지의 환경조건에서 우수한 제진 성능을 발휘할 수 있고, 또한 제진 성능의 내구성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내구수명을 결정하는 접착강도를 우수하게 개선시킨 자동차용 제진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브라운 아스팔트를 1:1∼1.5로 혼합한 아스팔트 원액에 합성고무 2∼7중량%의 교반으로 이루어진 아스팔트 원액 35중량%, 합성고무 3∼7중량%, 충진제 40∼60중량%, 발포제 3∼7중량%, 발포조제 1∼3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제진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제진재료 조성물{Anti vibration material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제진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온(-30℃)영역에서 고온(40℃)영역까지 우수한 제진 성능을 발휘할 수 있고, 또한 내구 수명을 결정하는 접착강도를 개선하여 제진 성능의 내구성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제진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의 바디 플로어(Body floor)와 대쉬패널(Dash panel) 등에 장착되는 제진재료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는데, 그 중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제진재료는 아스팔트 시트(Asphalt Sheet)이다.
상기 아스팔트 시트는 댐핑 시트(Damping Sheet)라고도 불리우며 일반적으로 자동차 바디 플로어 및 대쉬패널 등에 장착되어 차체 도장시 함께 융착되어진다.
이러한 아스팔트 시트와 같은 제진 패드는 엔진 및 타이어 등에서 발생되는 소음, 진동을 차단하여 쾌적한 승차감을 향상시켜 주는 중요한 부품중 하나이다.
차량에 적용되는 제진재료는 아스팔트를 주원료로 충진제를 사용하여 탄성을 부여하는 일반 아스팔트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발포 및 합성고무의 도입으로 차량의 지속적인 경량화를 실현하는 단계에 있으며, 더욱이 상기 제진재료는 차량의 성능 및 경량화 그리고 향후 차량의 내구품질의 강화 및 차량의 수명 연장을 위하여 고품질이 요구되는 시점에 있다.
종래의 제진재료는 아스팔트, 충진제, 합성고무, 발포제 등을 원료로 제조하여, 주로 상온 이상의 제진성능 향상 및 경량화를 달성하는데 주안점을 두었으나, 근본적인 개선방안이 미흡하여 차량의 환경조건인 저온(-30℃)영역과 고온(40℃ 이상)영역에서 제진성능을 동시에 만족하는 기술이 부족하였다.
또한, 차량의 내구수명을 결정하는 접착강도의 지속적인 유지가 필요하지만, 장기 사용에 따른 접착력 결여로 제진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새롭게 개발한 것으로서, 상(phase)이 다른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브라운 아스팔트 개질과 합성고무(PNR) 등을 적절한 혼합비로 교반하여 아스팔트 원액을 만들고, 여기에 충진제 및 발포제를 혼입함으로써, 저온(-30℃)영역에서 고온(40℃)영역까지의 환경조건에서 우수한 제진 성능을 발휘할 수 있고, 또한 제진 성능의 내구성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내구수명을 결정하는 접착강도를 우수하게 개선시킨 자동차용 제진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브라운 아스팔트를 1:1∼1.5로 혼합한 아스팔트 원액에 합성고무 2∼7중량%의 교반으로 이루어진 아스팔트 원액 35중량%, 합성고무 3∼7중량%, 충진제 40∼60중량%, 발포제 3∼7중량%, 발포조제 1∼3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제진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아스팔트 원액의 합성고무는 PNR(Polynorbonen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합성고무는 스티렌 부타디엔(SBR:Styrene Butadiene Rubber)고무, 스티렌 부타디엔 스테렌 블록 코폴리머 고무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진제는 탄산칼슘(CaCO3), 운모(MICA), 클레이(Clay) 또는 이들의 혼합물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포제는 아조디카본아마이드계의 셀콤(CELCO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포조제는 우레아(UREA)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아스팔트, 충진제, 합성고무, 발포제 등을 원료로 제조하여, 주로 상온 이상의 제진성능 향상 및 경량화를 달성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던 기존의 제진재료 조성물에 비하여 차량의 환경조건인 저온(-30℃)영역과 고온(40℃ 이상)영역에서 우수한 제진 성능을 발휘할 수 있고, 또한 제진 성능의 내구성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내구수명을 결정하는 접착강도를 우수하게 개선시킨 점에 그 주안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자동차용 제진재료 조성물은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브라운 아스팔트를 1:1∼1.5로 혼합한 아스팔트 원액에 합성고무(PNR:Polynorbonene) 2∼7중량%의 교반으로 이루어진 아스팔트 원액 35중량%; 스티렌 부타디엔(SBR:Styrene Butadiene Rubber)고무와 스티렌 부타디엔 스테렌 블록 코폴리머 고무중 선택된 합성고무 3∼7중량%; 탄산칼슘(CaCO3), 운모(MICA), 클레이(Clay) 또는 이들의 혼합물중 선택된 충진제 40∼60중량%, 발포제로서 아조디카본아마이드계의 셀콤 3∼7중량%, 발포조제로서 우레아 1∼3중량%를 포함한다.
여기서, 위의 각 조성에 대한 첨가이유와 함량 한정 이유를 설명한다.
1) 아스팔트 원액
아스팔트 원액은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브라운 아스팔트를 1:1∼1.5로 혼합한 아스팔트 원액에 분자량이 2,000,000 이상의 합성고무(PNR:Polynorbonene) 2∼7중량%의 교반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브라운 아스팔트의 중량비가 1:1 미만이면 제진성능이 저하되고, 1:1.5를 초과하면 과발포 및 분산성 저항의 우려가 있다.
특히, 상기 합성고무 다시말해서 폴리노보넨(Polynorbonene)은 2중량% 미만이면 저온에서의 제진성능과 접착강도가 낮아지며, 7중량% 초과하면 과발포 및 고온영역에서의 접착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2) 합성고무 3∼7중량%
합성고무 다시말해서, 스티렌 부타디엔(SBR:Styrene Butadiene Rubber)은 3중량% 이하이면 불균일한 발포 및 제진성능이 저하되고, 7중량%를 초과하면 발포비율은 충분하나 상대적으로 탄성이 저하되어 제진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3) 충진제 40∼60중량%
충진제는 탄산칼슘(CaCO3), 운모(MICA), 클레이(Clay), 이들의 혼합물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되, 40중량% 미만이면 가공성 및 물성은 우수하나 저온에서의 제진성과 접착강도가 현저히 떨어지게 되고, 60중량%를 초과하면 고온영역에서의 제진성능은 우수하게 되나 저온영역의 제진성능과 고온영역에서의 접착강도가 현저하게 떨어지게 된다.
4) 발포제(아조디카본아마이드계의 셀콤 3∼7중량%)
발포제는 항상 발포조제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원칙으로서, 발포조제는 부품의 사용환경에 맞게 발포온도를 조정하는 기능과 발포시간을 결정하는 촉진조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제가 3% 미만이면 원하는 발포배율을 얻을 수 없으며 제진계수의 온도영역도 상온으로 이동하여 저온에서의 제진성능이 급격하게 저하되고, 또한 7% 이상이면 과발포 현상으로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있다.
5) 발포조제(우레아 1∼3중량%)
발포조제(우레아) 1% 미만이면 발포온도 및 발포시간이 길어져서 생산성 문제가 발생하며, 3% 이상이면 이상 발포현상이 일어나 불균일 발포 및 흐름성의 문제가 발생하여 제품으로서의 기능을 살실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2 및 비교예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제진재료 조성물의 각 조성을 다음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성하여, 발포배율과 접착성능 그리고 제진성능을 평가하였다.
표 1에서 합성고무(PNR:Polynorbonene)는 일본 Zeon사의 Norsorex(상품명)를 사용하였고, 발포제인 셀콤은 분해온도 130∼159℃와 200∼210℃를 갖는 것을 사용하였다.
평가방법으로서, 상기 발포배율은 150℃ 오븐에서 30분 동안 열융착한 후, 상온에서 30분간 방치한 다음, 열융착 전후의 평균 두께로 백분율 환산하였다.
또한, 상기 접착성능은 표 1에 나타낸 실시예1,2 및 비교예의 조성으로 150℃ 오븐내의 판넬(재질 SPCC: 25mm(너비)×150mm(길이)×0.8mm(두께))위에 열융착하여 제진패드를 만들고, 각 온도별(-30℃,0℃,20℃,40℃)로 설정된 환경오븐에서 습도 90%하에서 1,000시간동안 방치한 후, 2.5톤의 인장시험기에서 인장시험하였다.
또한, 상기 제진성능은 JASO M 306-88의 5.22항에 의한 비접촉 가진방법에 의하여 평가하고, 각 온도별로 측정된 제진계수를 측정 비교하였다. 여기서 제진계수가 클수록 제진성능이 우수하다.
한편, 상기 JASO M 306-88의 5.22항은 제진성능에 대한 평가를 일반적이고 객관적으로 공인된 규격에 근거한 것으로, 평가항목이 샘플(sample)에 직접 가진하는 접촉가진방식과 마그네틱의 바이브레이션(vaibration)을 이용한 비접촉 가진방식이 있으며, 본 발명의 제진재료는 비접촉방식의 제진계수를 평가하는 것이 국제적인 시험 항목으로 제진계수를 평가하는 규격을 말한다.
이와 같이, 실시예 1,2와 비교예에 따른 제진재료 조성물에 대하여 발포배율, 접착성능, 제진성능을 평가하였는 바,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2가 고온 및 저온 영역에 걸쳐 균일하고 우수한 제진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접착성능면에서도 고온 및 저온 영역에 걸쳐서 비교예에 비하여 크게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제진재료 조성물에 의하면, 저온(-30℃)영역에서 고온(40℃)영역까지 우수한 제진 성능을 보유하는 동시에 제진 성능의 내구성을 만족시킬 수 있을 정도로 접착강도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브라운 아스팔트를 1:1∼1.5로 혼합한 아스팔트 원액에 합성고무 2∼7중량%의 교반으로 이루어진 아스팔트 원액 35중량%, 합성고무 3∼7중량%, 충진제 40∼60중량%, 발포제 3∼7중량%, 발포조제 1∼3중량%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제진재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원액의 합성고무는 PNR(Polynorbone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제진재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성고무는 스티렌 부타디엔(SBR:Styrene Butadiene Rubber)고무, 스티렌 부타디엔 스테렌 블록 코폴리머 고무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제진재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진제는 탄산칼슘(CaCO3), 운모(MICA), 클레이(Clay), 이들의 혼합물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제진재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아조디카본아마이드계의 셀콤(CELCO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제진재료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포조제는 우레아(URE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제진재료 조성물.
KR1020030046270A 2003-07-09 2003-07-09 자동차용 제진재료 조성물 KR100569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6270A KR100569412B1 (ko) 2003-07-09 2003-07-09 자동차용 제진재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6270A KR100569412B1 (ko) 2003-07-09 2003-07-09 자동차용 제진재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6456A true KR20050006456A (ko) 2005-01-17
KR100569412B1 KR100569412B1 (ko) 2006-04-07

Family

ID=37220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6270A KR100569412B1 (ko) 2003-07-09 2003-07-09 자동차용 제진재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94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105B1 (ko) * 2005-03-25 2007-02-22 헨켈코리아 주식회사 차량용 경량성 방진겸 제진 시트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105B1 (ko) * 2005-03-25 2007-02-22 헨켈코리아 주식회사 차량용 경량성 방진겸 제진 시트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9412B1 (ko) 200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48712A1 (en) Viscoelastic composition and damper, and related methods
JP2001261922A (ja) 高減衰エラストマー組成物
JP2006193621A (ja) 防振ゴム組成物及び防振ゴム
JP2796044B2 (ja) 免震用または制震用シリカ配合高減衰ゴム組成物
JP5143605B2 (ja) 高減衰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制震ダンパー
JP3411557B2 (ja) 高減衰ゴム組成物
KR100569412B1 (ko) 자동차용 제진재료 조성물
JP3716713B2 (ja) 防振ゴム及びその製造法
JP3584687B2 (ja) 制振構造体及びそのための発泡性ゴム組成物
JP3440189B2 (ja) ダッシュパネル用防音材料
JP2004269839A (ja) 支承用高減衰性ゴム組成物
KR100241275B1 (ko) 자동차용 제진 패드 조성물
KR100254817B1 (ko) 상온용 고제진 아스팔트 시트 재료
JPH04247935A (ja) 制振シート
JPH0544776A (ja) 防振ゴム用組成物
JP2979700B2 (ja) 防振ゴム用ゴム組成物
JPH08269238A (ja) 防振ゴム組成物及びその組成物を用いたポリフェニレンエーテル樹脂・防振ゴム複合体
KR101280838B1 (ko) 이피디엠에 실리카를 첨가하여 동특성을 향상시킨 자동차 엔진마운트용 고무 조성물
JP2726947B2 (ja) 防制振ゴム組成物
KR100506755B1 (ko) 복합 제진 시트 조성물
KR20050035327A (ko) 혼성 가교 시스템을 적용한 차량용 고내구성 방진 고무조성물
JP2006052328A (ja) 高減衰ゴム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免震構造体
JP2004307622A (ja) 防振ゴム用ゴム組成物
JP2726944B2 (ja) 防制振ゴム組成物
JP2005113094A (ja) 防振ゴ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