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1275B1 - 자동차용 제진 패드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제진 패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1275B1
KR100241275B1 KR1019970041438A KR19970041438A KR100241275B1 KR 100241275 B1 KR100241275 B1 KR 100241275B1 KR 1019970041438 A KR1019970041438 A KR 1019970041438A KR 19970041438 A KR19970041438 A KR 19970041438A KR 100241275 B1 KR100241275 B1 KR 100241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phalt
vibration damping
composition
weight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1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8288A (ko
Inventor
양경모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41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1275B1/ko
Publication of KR19990018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2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5/00Compositions of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08J9/1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developing nitrogen, the blowing agent being a compound containing a nitrogen-to-nitrogen bond
    • C08J9/102Azo-compounds
    • C08J9/103Azodicarbon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7/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L57/02Copolymers of mineral oil hydrocarb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2Selection of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0~60℃의 고온 영역에서 제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제진 패드(pad)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아스팔트와 석유계수지를 직접 혼합하여 제조되는 아스팔트 원액, 합성수지, 충진제, 발포제 및 발포조제로 이루어져 하절기 및 고속 주행시 차체 바닥의 온도상승에 따른 제진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자동차용 제진 패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제진 패드 조성물
본 발명은 아스팔트 원액, 합성수지, 충진제, 발포제 및 발포조제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제진 패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아스팔트인 스트레이트 아스팔트(straight asphalt), 산화된 중공 아스팔트[이하 “블로운 아스팔트(blown asphalt)”라 약칭함] 및 석유계 수지를 가공처리하여 새로운 아스팔트 원액을 조성하고; 아스팔트 원액에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이하 “EVA”라고 약칭함) 또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이하 “SBS”라고 약칭함) 중에서 선택될 수 있는 합성수지; 운모 및 보강성 비석면(non-asbestos) 등으로 구성되는 충진제; 등을 첨가한 발포 혼합물로서 고온(40~60℃) 영역에서 제진 성능을 향상시키는 자동차용 제진 패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제진 패드(pad)는 차체 바닥에 적용되어 차체의 진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데, 일반적으로 제진 패드는 아스팔트와 합성수지, 충진제, 발포제 및 발포조제로 이루어져 있으며, 아스팔트로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블로운 아스팔트를 가공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아스팔트계의 제진 패드는 주로 상온(20℃)용으로 온도에 대한 의존성이 커서 고온(40~60℃)에서 제진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고온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아스팔트 패드를 단독으로 사용하지 않고 석유계 경화수지와 아스팔트를 샌드위치 형태(sandwich type)로 구속층을 형성하여 제진패드의 온도 의존성을 극복하였다.
본 발명자는 기존의 자동차용 제진 패드 조성물이 고온에서 제진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를 계속하여 오던 중, 아스팔트에 석유계 수지를 직접 혼합(blending)하여 제조된 아스팔트 원액을 사용하고, 분해온도가 130~150℃인 발포제 및 발포조제를 사용하면 고온에서의 댐핑율(high damping)이 극대화되어 고온에서의 제진성능이 향상된 자동차용 제진 패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40~60℃의 고온 영역에서 댐핑율(high damping)을 극대화하여 제진 성능을 향상시키는 자동차용 제진 패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블로운 아스팔트 및 석유계 수지로 가공처리한 아스팔트 원액, 합성수지, 충진제, 발포제 및 발포조제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제진 패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아스팔트 원액 40~50 중량%, 합성수지 1~5 중량%, 충진제 45~55 중량%, 발포제 3~7 중량%, 발포조제 0~5 중량%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아스팔트 원액은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블로운 아스팔트 조성물이 1:1의 비율로 혼합되어 있고, 블로운 아스팔트 조성물에는 블로운 아스팔트와 석유계 수지가 8:2의 비율로 혼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아스팔트 원액은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블로운 아스팔트 및 석유계 수지로 이루어져 있는데, 우선 블로운 아스팔트와 석유계 수지를 8:2로 혼합하고, 블로운 아스팔트와 석유계 수지의 혼합물에 대하여 1:1의 비율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 (블로운 아스팔트 : 석유계 수지 = 8 : 2) = 1 : 1]. 블로운 아스팔트에 석유계 수지를 혼합하는 이유는 발포율을 조정할 수 있게 하고, 경도(shore C : 60 이상) 유지가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연화점이 90℃ 이상인 석유계 수지를 혼합함으로써 고온(40~60℃)에서 제진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게 하여 하절기 및 고속주행시 차체 플로어(floor)의 온도 상승(30~40℃)에 따른 패드의 제진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합성수지로는 EVA 또는 SBS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한다.
강성충진제로는 패드에 탄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제조원가를 고려하여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충진제를 사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점토(clay), CaCO3, 보강성 비석면(non-asbestos)과 운모의 조합을 충진제로 사용함으로써 고온(40~60℃)에서 탄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발포제 및 발포조제는 분해온도가 130~150℃가 될 수 있도록 단독 또는 혼용하여 제조한다. 발포제로는 변형아조디카본아미드[상품명 : 셀컴f, (주)금양]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발포조제로는 요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블로운 아스팔트 및 석유계 수지를 직접 혼합하여 아스팔트 원액을 만들고, 가열한 니더(kneader)에 이 아스팔트 원액과 소정량의 합성수지를 넣고 혼연한 다음 이 합성수지가 완전히 용융할 시점에서 충진제, 발포제 및 발포조제를 투입함과 동시에 발포제 및 발포조제의 냉각을 막기 위해 니더를 냉각하고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혼연하여 배합함으로써 제조된다. 이렇게 배합된 본 발명의 조성물을 냉각하면서 칼렌다 롤(calendar roll)에 공급하여 원하는 두께의 패드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일반 아스팔트인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에 블로운 아스팔트와 연화점이 90℃ 이상인 석유계 수지를 교반하여[스트레이트 아스팔트 : (블로운 아스팔트 : 석유계 수지 = 8 : 2) = 1 : 1]의 비율이 되도록 아스팔트 원액(40 중량%)을 생산하고, 180~200℃로 가열한 2롤 니더(kneader)에 합성수지(2 중량%)와 함께 혼연하였다. 다음 합성수지가 완전히 용융할 시점에 충진제(53.5 중량%), 발포제(4.5 중량%)를 투입함과 동시에 발포제의 분해를 막기 위하여 니더의 온도를 120~130℃로 냉각하고 약 15~20분 동안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혼연하여 배합을 완료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충진제로는 점토(clay), CaCO3, 보강성 비석면(수지)과 운모가 조합된 것이 사용되었으며, 발포제로는 분해온도가 130~150℃인 셀컴 f[celcom f, (주) 금양]를 사용하였다.
다음에 상기 혼연물을 냉각하면서 칼렌다 롤(calendar roll)에 공급하여 3.0mm 두께의 제진 패드를 제작하였다. 제작한 패드를 20×200mm로 제단하여 제진계수 측정 및 기타 물성시험에 제공하였다.
시험편 제작 및 물성 데이터는 150~180℃/20분의 조건에서 이루어진 것이고, 기타 시험방법은 하기와 같았다.
1) 제진계수 측정 : 제진계수는 공진법(일본 음향재료협회 출판 “소음대책 핸드북”438편 참조)에 의하여 손실계수(damping loss factor)를 측정하였다. 일반적으로 손실계수의 값이 클수록 제진성능이 우수하다.
2) 발표배율(배) : 발포전의 시료[100×100×3.0 (두께)mm]의 두께를 A로 하고, 발포후의 두께를 B로 하여 B/A를 구하여 발표배율로 하였다.
3) 낙입성 : 중앙에 φ60mm의 구멍이 뚫린 강판[150×150×1.0(두께)mm]위에 아스팔트 패드[100×100×3.0(두께)mm]를 올려놓은 시험편을 150~180℃의 열풍건조기 내에 바닥면 보다 50mm 이상 높은 위치에 수평으로 놓아 20분 가열하고, 상온에서 1시간 이상 방지한 다음 낙입된 길이를 측정한다.
상기와 같은 실험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일반 아스팔트인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에 블로운 아스팔트와 연화점이 90℃ 이상인 석유계 수지를 교반하여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 (블로운 아스팔트 : 석유계 수지 = 8 : 2) = 1 : 1]이 되도록 아스팔트 원액(45 중량%)을 생산하고, 180~200℃로 가열한 2롤 니더에 합성수지(2 중량%)와 함께 혼연하였다. 다음 합성수지가 완전히 용융할 시점에 충진제(48.5 중량%), 발포제(4.5 중량%)를 투입함과 동시에 발포제의 분해를 막기 위하여 니더의 온도를 120~130℃로 냉각하여 약 15~20분 동안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혼연하여 배합을 완료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충진제로는 점토(clay), CaCO3, 보강성 비석면(수지)과 운모가 조합된 것이 사용되었으며, 발포제로는 분해온도가 130~150℃인 셀컴 f[celcom f, (주) 금양]를 사용하였다.
다음에 혼연물을 냉각하면서 칼렌다 롤에 공급하여 3.0mm 두께의 제진 패드를 제작하였다. 제작한 패드를 20×200mm로 제단하여 제진계수 측정 및 기타 물성시험에 제공하였다. 시험조건 및 시험 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하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일반 아스팔트인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에 블로운 아스팔트와 연화점이 90℃ 이상인 석유계 수지를 교반하여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 (블로운 아스팔트 : 석유계 수지 = 8 : 2) = 1 : 1]이 되도록 아스팔트 원액(50 중량%)을 생산하고, 180~200℃로 가열한 2롤 니더에 넣은 다음, 충진제(45.5 중량%), 발포제(2.5 중량%) 및 발포조제(2.0 중량%)를 투입함과 동시에 발포제 및 발포조제의 분해를 막기 위하여 니더의 온도를 120~130℃로 냉각하여 약 15~20분 동안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혼연하여 배합을 완료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충진제로는 점토(clay), CaCO3, 보강성 비석면(수지)과 운모가 조합된 것이 사용되었으며, 발포제로는 분해온도가 130~150℃인 셀컴 f[celcom f, (주) 금양]를 사용하였으며, 발포조제로는 요소를 사용하였다.
다음에 혼연물을 냉각하면서 칼렌다 롤에 공급하여 3.0mm 두께의 제진 패드를 제작하였다. 제작한 패드를 20×200mm로 제단하여 제진계수 측정 및 기타 물성시험에 제공하였다. 시험조건 및 시험 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하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180~200℃로 가열한 2롤 니더에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만으로 구성된 아스팔트 원액(38 중량%)과 소정량의 합성수지 (10 중량%)를 투입하여 혼연하였다. 비교예에서는 합성수지로 EVA 또는 SBS 대신에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tyrene butadiene rubber, SBR)를 사용하였다. 다음 합성수지가 완전히 용융할 시점에 충진제(47 중량%), 발포제(3.0 중량%) 및 발포조제(2.0 중량%)를 투입함과 동시에 발포제 및 발포조제의 분해를 막기 위하여 니더의 온도를 150~180℃로 냉각하여 약 15~20분 동안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혼연하여 배합을 완료하였다.
본 비교예에서 충진제로는 점토(clay), CaCO3, 비석면[펠트(felt)]과 운모가 조합된 것이 사용되었으며, 발포제로는 분해온도가 200~210℃인 것을 사용하였고, 발포조제로는 요소를 사용하였다.
다음에 혼연물을 냉각하면서 칼렌다(calendar)롤에 공급하여 3.0mm 두께의 제진 패드를 제작하였다. 제작한 패드를 20×200mm로 제단하여 제진계수 측정 및 기타 물성시험에 제공하였다. 시험조건 및 시험 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하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에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의 조성을 정리하여 나타내었으며, 하기 표 2에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험결과를 나타내었다.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상기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자동차용 제진 패드 조성물은 발포후 경도, 외관, 낙입성 및 제진계수 등의 시험에서 비교예에 비하여 우수한 물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아스팔트와 석유계 수지를 직접 혼합한 아스팔트 원액을 사용하고, 분해온도가 낮은(130~150℃) 발포제 및 발포조제를 사용함으로써 40~60℃의 고온 영역에서 제진 성능이 우수하여 자동차용 제진 패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2)

  1. 블로운 아스팔트와 석유계 수지가 8:2의 비율로 혼합된 블로운 아스팔트-석유계 수지 조성물을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1:1의 비율이 되도록 가공처리한 아스팔트 원액 40~50 중량%;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 또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SBS)인 합성수지 1~5 중량%; 점토(clay), CaCO3, 보강성 비석면[non-asbestos(수지)] 및 운모가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제 45~55 중량%; 발포제 3~7 중량%; 및 발포조제 0~5 중량%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제진 패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발포제로는 분해온도가 130℃ 내지 150℃인 변형아조디카본아미드, 발포조제로는 요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제진 패드 조성물.
KR1019970041438A 1997-08-27 1997-08-27 자동차용 제진 패드 조성물 KR100241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1438A KR100241275B1 (ko) 1997-08-27 1997-08-27 자동차용 제진 패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1438A KR100241275B1 (ko) 1997-08-27 1997-08-27 자동차용 제진 패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288A KR19990018288A (ko) 1999-03-15
KR100241275B1 true KR100241275B1 (ko) 2000-03-02

Family

ID=19518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1438A KR100241275B1 (ko) 1997-08-27 1997-08-27 자동차용 제진 패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12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73003A (zh) * 2014-06-21 2014-10-01 太原科技大学 道路沥青改性剂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092A (ko) * 2002-04-19 2003-10-30 덕양산업주식회사 고강성 아스팔트 시트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95436A (en) * 1980-12-04 1982-06-14 Furukawa Electric Co Ltd:The Manufacture of foamed body suitable for seal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95436A (en) * 1980-12-04 1982-06-14 Furukawa Electric Co Ltd:The Manufacture of foamed body suitable for seal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73003A (zh) * 2014-06-21 2014-10-01 太原科技大学 道路沥青改性剂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288A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40119B (zh) 预制备温拌改性沥青及其制备方法
JP2012229416A (ja) 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得られた発泡成形体、ならびに発泡用樹脂組成物
KR100241275B1 (ko) 자동차용 제진 패드 조성물
JP2001261922A (ja) 高減衰エラストマー組成物
JP3184783B2 (ja) 制振材料
US4866101A (en) Rubber composition for producing sponge rubber product
KR100261894B1 (ko) 자동차용 제진패드 발포 조성물
KR20160083324A (ko) 글라스 런용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69412B1 (ko) 자동차용 제진재료 조성물
US2240014A (en) Sound deadener
JP3517776B2 (ja) 高減衰ゴム組成物
KR100506755B1 (ko) 복합 제진 시트 조성물
KR100274230B1 (ko) 충격 흡수용 고무 겔
JPH0459345B2 (ko)
JP3355242B2 (ja) タイヤ用発泡ゴム組成物
JPH0655859B2 (ja) 制振材組成物
JP2000239441A (ja) 高減衰ゴム組成物
JP2004307665A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及びその発泡成形体
KR100255608B1 (ko) 자동차용 진동·소음 방지패드
JPH06128492A (ja) 制振材組成物
KR100254817B1 (ko) 상온용 고제진 아스팔트 시트 재료
KR100228870B1 (ko) 트레드 고무조성물
JPH0525359A (ja) 制振シート
JP2812550B2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KR100345784B1 (ko) 자동차대쉬패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