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5784B1 - 자동차대쉬패널재 - Google Patents

자동차대쉬패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5784B1
KR100345784B1 KR1019970081207A KR19970081207A KR100345784B1 KR 100345784 B1 KR100345784 B1 KR 100345784B1 KR 1019970081207 A KR1019970081207 A KR 1019970081207A KR 19970081207 A KR19970081207 A KR 19970081207A KR 100345784 B1 KR100345784 B1 KR 100345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sh panel
foam
fiber
panel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1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0960A (ko
Inventor
양경모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81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5784B1/ko
Publication of KR19990060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0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5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57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대쉬패널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패널, 고무발포체, 비닐시트, 보강패널 및 비발포 제진패드로 이루어진 대쉬패널에 있어서 고무발포체 대신에 발포 제진패드를 사용하고 비닐시트 대신에 섬유재를 열융착함으로써 투과손실계수 및 제진계수를 향상시켜 고유진동수를 개선할 수 있는 자동차 대쉬패널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대쉬패널재
본 발명은 자동차 대쉬패널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패널, 고무발포체, 비닐시트, 보강패널 및 비발포 제진패드로 이루어진 대쉬패널에 있어서 고무발포체 대신에 발포 제진패드를 사용하고 비닐시트 대신에 섬유재를 열융착함으로써 투과손실계수 및 제진계수를 향상시켜 고유진동수를 개선할 수 있는 자동차 대쉬패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대쉬패널은 주패널(main panel), 고무발포체(rubber foamed), 비닐시트(vinyl sheet), 보강패널(reinforced panel) 및 비발포 제진패드(antivibration pad)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패널에서 고무발포체는 공기발생소음 차단용으로서 대쉬패널을 타고오는 구조발생소음 차단 및 흡수재료로 부적합하다. 또한, 고무발포체의 경우 과발포 및 흐름성이 용이하여 보강패널로 통하는 홀(hole)로 흘러나와 품질을 떨어뜨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고무발포체를 사용한 대쉬패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무발포체 대신에 발포 제진패드를 사용하고 보강패널로 흘러나오는문제는 발포 제진패드 접촉부에 섬유재를 열융착하여 부착함으로써 투과손실계수 및 제진계수를 향상시켜 고유진동수를 개선한 자동차 대쉬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주패널, 고무발포체, 비닐시트, 보강패널 및 비발포 제진패드로 구성된 자동차 대쉬패널에 있어서, 주패널, 발포 제진패드, 섬유재, 보강패널 및 비발포 제진패드로 구성된 자동차 대쉬패널재를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종래 자동차 대쉬패널재의 구성성분중 고무발포체 대신에 발포 제진패드를 사용하고, 비닐시트 대신에 섬유재를 사용한 자동차 대쉬패널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고무발포체의 경우 아스팔트를 첨가하지 않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발포 제진패드는 아스팔트 30 ∼ 40 중량%, 합성고무 10 ∼ 25 중량%, 충전제 35 ∼ 50 중량%, 발포제 3 ∼ 7 중량% 및 첨가제 1 ∼ 5 중량%로 이 루어져 있다.
이때, 첨가되는 아스팔트는 발포 제진패드 전체 조성물 함량에 대하여 30 중량% 미만이면 발포율 및 밀착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4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과다 흐름과 과발포성의 문제가 있게 된다.
또한, 합성고무로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모노머,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사용하는데, 발포 제진패드 전체 함량중 10 ∼ 25 중량%를 함유시킨다. 만일 이들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 고충전에 의한 가공성 저하 및 제진계수 부여가 곤란한 문제가 있으며, 25 중량%를 초과하면 가공 후 열융착시 패드가 소프트하여 고온에서 제진계수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충전제로는 탄산칼슘, 마이카 및 크레이 중에서 1종이상 선택하여 발포 제진패드 전체 함량중 30 ∼ 50 중량%를 사용한다. 이들 충전제는 탄성 향상, 형상유지 및 원가상승의 억제목적을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만일 이들의 함량이 발포된 제진패드 전체 함량중 30 중량% 미만인 경우 탄성저하와 형상유지가 곤란한 문제가 있으며, 50 중량%를 초과하면 가공시 믹서의 과부하 문제가 있어 역시 바람직하지 않다.
발포제로는 아조디카본아마이드계의 셀콤(CELLCOM)과 우레아 중에서 1종이상 선택하여 발포 제진패드 전체 함량중 3 ∼ 7 중량%를 첨가한다. 만일, 이들의 함량이 발포 제진패드 전체 함량중 3 중량% 미만이거나 7 중량%를 초과하면 불균일 및 과발포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발포 제전패드에 첨가되는 기타 첨가제로는 수분방지제인 산화칼슘(CaO)을 발포 제진패드 전체 함량중 1 ∼ 5 중량%를 첨가사용한다.
그런 다음, 상기한 조성을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발포 제진패드를 제조한다.
이와 같은 발포 제진패드의 발포율은 일반 고무발포체에 비하여 절반수준이나 제진계수 또는 투과손실계수는 비교도 안될 만큼 향상된다. 따라서, 발포제진패드를 사용하여 제조된 대쉬패널은 소음차단 및 흡수능이 우수하다.
한편, 본 발명은 종래 발포고무의 흐름성으로 인해 보강패널로 통하는 홀(hole)로 흘러나오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포 제진패드에 폴리에틸렌계 섬유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섬유 등의 섬유재를 열융착시킨다. 이때, 사용되는 섬유재로는 40 메쉬 이하로서 150℃ 이상의 온도에서도 견딜 수 있는 섬유재이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만일, 섬유가 40 메쉬보다 큰 경우 발포된 제진패드와 보강판넬의 밀착율이 저조하게 되어 패드와 패널의 박리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 대쉬패널은 주패널, 보강패널, 발포 제진패드, 섬유재 및 비발포 제진패드로 구성되어 있는 바, 발포 제진패드의 사용량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고무발포체의 사용량과 동일하게 하고, 섬유재의 사용량 역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비닐 시트의 사용량과 동일하게하고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자동차 대쉬패널재를 제조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 2 및 비교제조예
다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 및 함량으로 제조예 1 ∼ 2에서는 발포 제진패드를 제조하고, 비교제조예에서는 고무발포체를 제조한 다음, 이에 대하여 발포율, 열유동성, 제진계수 및 투과손실계수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발포율은 가열후 패드의 두께를 가열전 패드의 두께로 백분율화하는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열유동성은 패드를 70°로 세운 패널위에 놓고 150 ∼ 200℃ 에서 20분 가열 후 흘러내린 거리를 측정하였으며, 제진계수는 반치폭에 의한 방식으로 비접촉 가진으로 20℃, 40℃ 에서의 제진계수를 측정하였으며, 투과손실계수는 동일 크기, 동일 중량의 패드를 주파수분석에 의하여 상대비교로 측정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1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실시예 1에서는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발포 제진패드를 사용하고, 실시예 2에서는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발포 제진패드를 사용하여 다음 표 2에 나타낸 적층구조로 통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자동차용 대쉬패널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비교제조예에서 제조한 고무발포체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자동차용 대쉬패널을 제조하였다. 충전율 및 외관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pat00002
상기한 바와 같이 아스팔트가 첨가된 발포된 제진패드를 사용하는 경우 제진계수 및 투과손실계수가 향상되어 결국 고유진동수가 향상된 대쉬패널을 제공할 수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주패널, 고무발포체, 비닐시트, 보강패널 및 비발포 제진패드로 구성된 자동차 대쉬패널에 있어서,
    주패널, 발포 제진패드, 섬유재, 보강패널 및 미발포 제진패드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대쉬패널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제진패드는 아스팔트 30 ∼ 40 중량%, 합성고무 10 ∼ 25 중량%, 충전제 35 ∼ 50 중량%, 발포제 3 ∼ 7 중량% 및 첨가제 1 ∼ 5 중량%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대쉬패널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고무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모노머,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또는 이의 혼합물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대쉬패널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는 탄산칼슘, 마이카, 크레이 또는 이의 혼합물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대쉬패널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아조디카본아마이드계의 셀콤(CELLCOM), 우레아 또는 이의 혼합물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대쉬패널재.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산화칼슘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대쉬패널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재는 40 메쉬 이하이고 150℃ 이상에서 내열가능한 폴리에틸렌계 섬유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섬유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대쉬패널재.
KR1019970081207A 1997-12-31 1997-12-31 자동차대쉬패널재 KR100345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1207A KR100345784B1 (ko) 1997-12-31 1997-12-31 자동차대쉬패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1207A KR100345784B1 (ko) 1997-12-31 1997-12-31 자동차대쉬패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0960A KR19990060960A (ko) 1999-07-26
KR100345784B1 true KR100345784B1 (ko) 2003-08-14

Family

ID=37488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1207A KR100345784B1 (ko) 1997-12-31 1997-12-31 자동차대쉬패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57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361A (ko) * 2000-11-06 2002-05-11 이계안 차량의 강성 증대를 위한 샌드위치 판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0960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86630B1 (en) Organohybrid-based damping material containing a damping improver and production method
JPH0665620B2 (ja) 車両用制振シート
CN109177397A (zh) 一种低气味隔音吸音汽车衬垫
US5093394A (en) Thermoformable acoustical mat composition and method
KR100345784B1 (ko) 자동차대쉬패널재
GB2070626A (en) Sound insulating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KR0156348B1 (ko) 건축용 다기능 적층재조성물 및 그에 의한 적층재
US5192420A (en) Vibration damper obtained by adjusting the resin and aromatic components of the asphalt base
KR0163208B1 (ko) 방음용 조성물 및 그 성형품
JP3440189B2 (ja) ダッシュパネル用防音材料
JPS6114256A (ja) シ−ト状制振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01401B1 (ko) 차음 조성물 및 그 차음재
JPH1149896A (ja) 制振材及びそのための発泡性ゴム組成物
JPH04247935A (ja) 制振シート
KR19990060961A (ko) 자동차용 제진패드 발포 조성물
JPH0986114A (ja) ホイール吸音材用ゴム組成物
KR100559577B1 (ko) 저비중 차음재 조성물
KR101512384B1 (ko) 소음 차단성이 개선된 고성능 차음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0239441A (ja) 高減衰ゴム組成物
JPS6176539A (ja) 歪吸収材
KR100241275B1 (ko) 자동차용 제진 패드 조성물
JPS604556A (ja) 振動吸収用組成物
KR100427245B1 (ko) 마찰소리 방지용 필름
KR970001044B1 (ko) 흡차음재의 매스층(Mass Layer) 성형용 조성물
KR100240292B1 (ko) 자동차용 카페트 이면재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