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6105B1 - 차량용 경량성 방진겸 제진 시트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차량용 경량성 방진겸 제진 시트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6105B1
KR100686105B1 KR1020050024790A KR20050024790A KR100686105B1 KR 100686105 B1 KR100686105 B1 KR 100686105B1 KR 1020050024790 A KR1020050024790 A KR 1020050024790A KR 20050024790 A KR20050024790 A KR 20050024790A KR 100686105 B1 KR100686105 B1 KR 100686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vehicle
composition
vibration damping
dust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4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5844A (ko
Inventor
주후령
김선유
Original Assignee
헨켈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헨켈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헨켈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4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6105B1/ko
Publication of KR20050035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5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6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61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26Carbonates
    • C04B14/28Carbonates of calc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02Seat suspension devices attached to the base of the sea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22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20Mica; Vermicul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22Glass ; Devitrified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38Fibrous materials; Whis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5/00Compositions of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자동차 및 철도 차량등의 경량성 방진겸 제진 시트용 조성물로서, 아스팔트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거기에 열가소성고무(SBS), EVA, SIS공중합체중에서 선택된 1종이나 동량으로 혼합된 2종과 관용되는 충전제로서 중질탄산칼슘, 운모분, 그라스버블, 카본블랙, 셀룰로스화이버 및 점착부여제로 구성되는 차량의 방진겸 제진 시트용 조성물이다.
이와같이 얻어진 조성물을 혼합하여 컴파운드상으로 한 후 일정두께의 시트상으로 성형하여 방진겸 제진시트를 얻고, 상기 얻어진 시트를 필요한 규격으로 절단하여 자동차의 필요한 부위에 적용하게 되면 우수한 접착력 및 진동감쇄효과로 차량의 진동이 제어됨으로서 차량의 실내소음의 저감은 물론 차량 중량이 경량화되어, 원가절감 및 연비가 향상되게되며, 이로인해 매연 발생도 감소되어 환경오염을 예방하게 되며, 또한 시트의 중량이 가벼워서 이동 및 탈착이 용이하므로 그 시트의 이동에 따른 반복 작업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작업자의 근골계질환 방지효과가 있고 따라서 작업성이 우수하게 되며, 차량의 대당 시트의 사용량이 감소되므로 폐기물 발생 감소효과도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경량성 방진겸 제진 시트용 조성물{Composition for sheets protecting and controlling vibration of vehicles}
본 발명은 스티렌 부타디엔 스티렌고무(SBS고무)와 브로운 아스팔트를 주재로 한 경량성의 방진겸 제진 시트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성물로 성형된 시트가 경량이어서 그 시트를 자동차의 플로어 패널(floor panel), 대쉬패널(dash panel), 휠 하우스 및 트렁트등 차량의 실내와 제진특성이 요구되는 장소에 적용하게되면 부착이 용이한 차량의 경량성 제진 및 방진 시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방진겸 제진 시트용 조성물은 아스팔트계 방진제나 부타디엔계고무가 주성분으로서, 그와같은 조성물로 성형된 시트는 단층 또는 복층형의 시트로 성형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진겸 제진 시트는 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고저온의 모든 열에 약하여 방진겸 제진성이 낮아지게되고, 부풀음 현상, 유동현상 및 크랙(crack)현상등이 나타나는 단점을 갖고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결점으로 인하여 주행중 진동이 차량 내부로 전달되어 방진겸 제진 효과가 저하되는 문 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방진겸 제진 시트가 지니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경량성이어서 운반 및 작업이 편리하고 적용량 감소에 따라 차량의 경량화 및 연비향상이 우수하며, 접착력이 우수하여 금속피착면에 부착력이 뛰어나고 우수한 융착성 및 제진성능을 가지면서 차량의 주행중에 발생되는 고저온의 모든 열에 의해서도 높은 제진성을 부여하는 차량의 경량성 제진 시트용 조성물을 제공코저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경량성 제진 시트용 조성물은,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나 브로운 아스팔트(Blown Asphalt)중에서 선택된 1종이나 2종을 동량으로 혼합한 아스팔트 30~50중량%와; 충전제로서의 중질탄산칼슘(CaCO3)이나 탈크 6~15중량%와; 제진성 충전제로서의 운모분(Mica powder) 18~33중량%와; 저비중 충전제로서의 글라스버블(Glass Bubble) 15~25중량%와; 보강성 충전제로서의 카본블랙(SRF) 2~5중량%와; 섬유소 충전제로서의 셀룰로스화이바(cellulose fiber) 2~4중량%와; 점착제로서의 하이드로카본(Hydrocarbon) 1~3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차량 제진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온에서 고체상태인 열가소성고무인 스티렌 부타디엔 스틸렌 블럭공중합체(SBS공중합체)와 스타이렌 이소프렌 스타이렌(SIS)공중합체중에서 선택된 1종이나 2종을 동량으로 혼합한 것을 상기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5~10중량%를 첨가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경량성 제진 시트용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경량성 제진 시트용 조성물은,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나 브로운 아스팔트(Blown Asphalt)중에서 선택된 1종이나 2종을 동량으로 혼합한 아스팔트 30~50중량%와; 충전제로서의 중질탄산칼슘(CaCO3)이나 탈크 6~15중량%와; 제진성 충전제로서의 운모분(Mica powder) 18~33중량%와; 저비중 충전제로서의 글라스버블(Glass Bubble) 15~25중량%와; 보강성 충전제로서의 카본블랙(SRF) 2~5중량%와; 섬유소 충전제로서의 셀룰로스화이바(cellulose fiber) 2~4중량%와; 점착제로서의 하이드로카본(Hydrocarbon) 1~3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차량 제진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온에서 고체상태인 열가소성고무인 스티렌 부타디엔 스틸렌 블럭공중합체(SBS공중합체)와 스타이렌 이소프렌 스타이렌(SIS)공중합체중에서 선택된 1종이나 2종을 동량으로 혼합한 것을 상기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5~10중량%를 첨가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량의 제진시트용 조성물에 발포제로서 통상의 캡슐형 코폴리머 발포제를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2~1.8중량%를 첨가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경량성 제진 시트용 조성물에 따르면, 아스팔트보다 경량인 열가소성인 SBS블럭공중합체(이하 SBS고무) 와 스타이렌 이소프렌 스타이렌(SIS)공중합체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둘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사용함으로써, 가공성 및 배합효과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제진효과를 증대시킴은 물론 경량성과 유연성의 향상됨에 따라 운반 및 시공작업 등 취급이 용이한 특성이 부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가소성고무인 SBS공중합체 및/또는 스타이렌 이소프렌 스타이렌(SIS)공중합체의 첨가량을 5~10중량%로 한정하는 이유와 그 기능 및 역할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열가소성고무인 SBS공중합체 및/또는 스타이렌 이소프렌 스타이렌(SIS)공중합체를 5중량% 미만으로 첨가하는 경우에는 유연성이 저하되어 균열 및 깨짐 현상이 발생되며, 제진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열가소성고무인 SBS공중합체 및/또는 스타이렌 이소프렌 스타이렌(SIS)공중합체를 10중량% 이상으로 첨가하는 경우에는 내열 유동성 및 제진성능이 오히려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 성분들은 주지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이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나 브로운아스팔트는 주된 바와 같이 통상 상온에서는 고형상태로서, 방진 및 제진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주지관용되고 있는 충전제인 중질탄산칼슘과 운모분(mica powder 40~60 mesh)은 고온인 20~60℃영역에서의 열유동성을 억제하고 제진기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으로 기능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이며, 저비중소재인 글라스버블(glass bubble)은 저비중 충전제로서 최종조성물의 비중을 저하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보강제이면서 착색제인 카본블랙은 조성물의 강인도를 높여서 조성물의 강성을 부여하며, 선형으로 가공된 셀룰로스화이버는 인장력의 강화와 충격에 의한 크랙을 방지할 수 있고, 점착수지인 하이드로 카본수지는 20~60℃영역에서 강한 접착 및 제진성능을 발휘하도록 기능하게 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경량성 제진 시트용 조성물은, 제진시트로 성형하여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 경량성이어서 작업이 용이한 동시에 차량 중량감소에 따른 연비 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그리고, 자동차 전착도장오븐에서의 열에 의한 접착 및 융착이 양호한 특성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내한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특성을 얻을 수가 있으므로, 다양한 온도범위(-20~60℃)에서도 제진성이 저하되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차체의 진동을 제어하는 효과가 탁월한 특징을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나 브로운 아스팔트(Blown Asphalt)중에서 선택된 1종이나 2종을 동량으로 혼합한 아스팔트 30~50중량%와; 충전제로서의 중질탄산칼슘(CaCO3)이나 탈크 6~15중량%와; 제진성 충전제로서의 운모분(Mica powder) 18~33중량%와; 저비중 충전제로서의 글라스버블(Glass Bubble) 15~25중량%와; 보강성 충전제로서의 카본블랙(SRF) 2~5중량%와; 섬유소 충전제로서의 셀룰로스화이바(cellulose fiber) 2~4중량%와; 점착제로서의 하이드로카본(Hydrocarbon) 1~3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차량 제진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온에서 고체상태인 열가소성고무인 스티렌 부타디엔 스틸렌 블럭공중합체(SBS공중합체)와 스타이렌 이소프렌 스타이렌(SIS)공중합체중에서 선택된 1종이나 2종을 동량으로 혼합한 것을 상기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5~10중량%를 첨가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량성 방진겸 제진 시트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제진시트용 조성물에 발포제로서 통상의 캡슐형 코폴리머 발포제를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2~1.8중량%를 첨가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량성 방진겸 제진 시트용 조성물.
KR1020050024790A 2005-03-25 2005-03-25 차량용 경량성 방진겸 제진 시트용 조성물 KR100686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790A KR100686105B1 (ko) 2005-03-25 2005-03-25 차량용 경량성 방진겸 제진 시트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790A KR100686105B1 (ko) 2005-03-25 2005-03-25 차량용 경량성 방진겸 제진 시트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844A KR20050035844A (ko) 2005-04-19
KR100686105B1 true KR100686105B1 (ko) 2007-02-22

Family

ID=37239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790A KR100686105B1 (ko) 2005-03-25 2005-03-25 차량용 경량성 방진겸 제진 시트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61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088B1 (ko) 2012-03-13 2014-01-09 김명순 자동차용 언더코팅 조성물
KR101679908B1 (ko) 2014-06-20 2016-11-28 차재국 자동차용 언더 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783B1 (ko) * 2005-10-18 2007-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금속 및 비금속 재질에 적용이 가능한 경량성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1544A (ko) * 1995-02-21 1996-09-17 전성원 자동차용 제진시이트
US6110985A (en) 1998-10-30 2000-08-29 Soundwich, Inc. Constrained layer damping compositions
KR20030040282A (ko) * 2003-04-11 2003-05-22 헨켈홍성주식회사 차량의 방진겸 제진시트 제조용 조성물
KR20040107654A (ko) * 2003-06-09 2004-12-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한성이 우수한 자동차용 저비중 제진 패드
KR20050006456A (ko) * 2003-07-09 2005-0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제진재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1544A (ko) * 1995-02-21 1996-09-17 전성원 자동차용 제진시이트
US6110985A (en) 1998-10-30 2000-08-29 Soundwich, Inc. Constrained layer damping compositions
KR20030040282A (ko) * 2003-04-11 2003-05-22 헨켈홍성주식회사 차량의 방진겸 제진시트 제조용 조성물
KR20040107654A (ko) * 2003-06-09 2004-12-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한성이 우수한 자동차용 저비중 제진 패드
KR20050006456A (ko) * 2003-07-09 2005-0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제진재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088B1 (ko) 2012-03-13 2014-01-09 김명순 자동차용 언더코팅 조성물
KR101679908B1 (ko) 2014-06-20 2016-11-28 차재국 자동차용 언더 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844A (ko) 2005-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5144B2 (en) Polypropylene composite composition
US20090318597A1 (en) Polymer compositions comprising cyclic olefin polymers, polyolefin modifiers, and fillers
WO2016093339A1 (ja) 低温にて衝撃耐久性を有する制振性付与組成物
KR100686105B1 (ko) 차량용 경량성 방진겸 제진 시트용 조성물
US20190016866A1 (en) Thermally curable composition
KR100683229B1 (ko) 폴리프로필렌 복합소재 조성물
KR101307231B1 (ko) 자동차 내, 외장재용 재활용 복합 폴리프로필렌
KR101147386B1 (ko) 폴리올레핀 복합소재 조성물
RU2538270C1 (ru) Вибродемпфирующий блок
US6576699B2 (en) Damping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KR100288762B1 (ko) 발포형 금속판 보강재 조성물
KR100648648B1 (ko) 차체에 강도 및 제진성을 동시에 부여하는 시트 조성물 및그 시트
JP4334630B2 (ja) 制振性樹脂組成物
KR100199282B1 (ko) 재활용이 가능한 자동차용 내외장부품
KR100622736B1 (ko) 스트레이트 아스팔트계 제진 시트 조성물
KR20010008487A (ko) 자동차 타이밍 벨트 커버용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KR100516129B1 (ko) 진동감쇄용 조성물
JPH04247935A (ja) 制振シート
KR102145732B1 (ko) 자동차용 차음재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자동차용 차음재
KR100510577B1 (ko) 차량의 방진겸 제진시트 제조용 조성물
JPS604556A (ja) 振動吸収用組成物
KR100187111B1 (ko) 자동차용 복합 제진재료
KR100252296B1 (ko) 열가소성수지조성물
KR100521598B1 (ko) 차체 플로어 제진재용 고무시트
JPH08319451A (ja) 表皮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