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7231B1 - 자동차 내, 외장재용 재활용 복합 폴리프로필렌 - Google Patents

자동차 내, 외장재용 재활용 복합 폴리프로필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7231B1
KR101307231B1 KR1020110095804A KR20110095804A KR101307231B1 KR 101307231 B1 KR101307231 B1 KR 101307231B1 KR 1020110095804 A KR1020110095804 A KR 1020110095804A KR 20110095804 A KR20110095804 A KR 20110095804A KR 101307231 B1 KR101307231 B1 KR 101307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propylene
recycled
weight
glass bubble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2101A (ko
Inventor
박종순
옥성현
Original Assignee
박종순
(주)대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순, (주)대웅 filed Critical 박종순
Priority to KR1020110095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7231B1/ko
Publication of KR20130032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2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10/06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08K7/24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inorganic
    • C08K7/28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2Melt flow index or melt flow ratio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20Recycled plastic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용 폴리프로필렌, 충전재, 및 평균입경 5㎛ 이하인 글라스버블 반제품을 함유하는 재활용 복합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 조성물에 사용되는 평균입경 5㎛ 이하인 글라스버블 반제품은 통상의 글라스버블을 사용한 경우 보다 1/2 이상 저렴하며, 분산성이 우수하여 제품의 균일성이 유지되고, 특히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같이 큰 부품의 경우에도 수축의 발생이 적어 치수 안정성 및 성형 후 변형 개선, 가공성 개선, 성형성 개선 및 강도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오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복합 폴리프로필렌은 자동차 내, 외장재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내, 외장재용 재활용 복합 폴리프로필렌{REUSED POLYPROPYLENE COMPOSITE FOR CAR INTERIOR OR EXTERIOR PARTS}
본 발명은 자동차의 내 외장재로 사용하기 위한 복합 폴리프로필렌 소재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량화를 꾀하면서도 요구되는 강성 특징을 구비한 재활용 복합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자동차 산업도 다른 산업과 마찬가지로 친환경적인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에 수반하여 연비향상과 제조 공정에서의 에너지소모율 감축에 대한 이슈는 자재의 경량화로 집중되고 있으며, 특히 중공유리(Glass bubble), 유리섬유(Glass fiber), 탄소 섬유(Carbon Fiber)를 이용한 경량, 고강성 소재를 사용한 자동차 트렁크(TRUNK)나 후드(HOOD)와 같은 차체의 일부분까지 경량화가 확산 되고 있다. 또한 유럽을 중심으로 카드뮴(Cd), 납(Pb), 수은(Hg), 육가크롬(Cr+6) 등과 같은 중금속에 대한 환경 유해 물질의 함량 규제 및 재활용 법규 강화로 플라스틱 소재의 증가와 품질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 자동차에 많이 사용되던 철,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은 많은 부분이 합성수지들로 대체되어 가고 있으며, 또한 기존의 열경화성 합성수지들도 올레핀 계열의 저비중 플라스틱 소재로 대체한 경량화 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있다. 특히 폴리올레핀은 경량화 및 재활용의 용이성,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 등으로 인해 다른 플라스틱 소재에 비해 수요가 급격히 늘고 있으나 엔진룸 부품은 고열에 직접 노출되거나 간접적으로 노출되어 작동되는 부품이므로 강성 및 작동 내구성 이외에 내열성을 필요로 하고 있다. 종래 자동차의 공조 및 엔진룸 부품은 내열성이 우수한 나일론 강화 수지 조성물이 사용되었으나 경량화 및 원가절감을 이루고자,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강화 수지 조성물이 사용되고 있으며, 여러 가지 제안이 제시되고 있다. 폴리프로필렌 자체의 열변형온도는 110∼120℃ 정도여서 폴리프로필렌 단독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여 탈크, 유리섬유, 마이카 등과 같은 무기 충전재와 함께 컴파운드 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무기 충전재와 컴파운드 된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는 충전재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내열성, 강성은 향상되지만, 무기 충전재의 비중이 높아 무게가 증가되고 경도 및 충격강도가 감소 되는 단점이 있다.
또 자동차 내장재의 대표 부품인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중 하드 타입 인스트루먼트 패널은 PPF(PP에 고무와 탈크(Talc)라는 무기충전재(filler)를 컴파운드한 소재)라 불리는 소재를 사출 성형한 후 도장 처리하여 사용하고, 발포 타입 인스트루먼트 패널은 구조물인 코어(CORE) 재질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인 PC+ABS 블렌드 소재를 사출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발포용 코어 소재의 경우 소재 통합화 및 원가절감, 경량화 측면에서 최근 PPF소재를 적용한 제품이 증가하고 있지만, 탈크 사용으로 인한 중량 감소 효과는 미미하며 오히려 수지 흐름성 저하 및 치수안정성 저하 및 발포 성형 불량 증가 등의 문제가 발생 되고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일본 공개특허 평9-165477호) 및 특허문헌 2(일본 공개특허 평9-165478호)에는 50∼95 중량%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5∼60 중량%의 무기 충전재(탈크) 및 30 중량% 이하의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기타 첨가제를 컴파운딩하여 자동차 기능부품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를 가공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내열성, 강성, 및 충격강도가 떨어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이용함으로 인해 탈크의 함량이 높아 무게가 증대되는 한편 탈크 및 고무의 사용으로 인해 가격이 높고 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하기 특허문헌 3(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83229)에 따르면 폴리프로필렌과 글라스버블 간의 상용성(Compatibility) 개선을 통해 인장강도, 굴곡탄성율 등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킨 폴리프로필렌 복합소재 조성물로 폴리프로필렌 50-80중량%, 탈크(talc) 6-30중량%, 고무 10-30중량%, 글라스버블(Glass Bubble) 3-15중량%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결합제 0.5-7중량%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복합소재 조성물로 사용되는 글라스버블의 평균 입자크기는 14~18㎛인 것이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평균분자량이 100-5,000인 것으로 하고 있으나 입자 크기가 14~18㎛인 글라스버블은 입자 크기가 크고 비중이 작아 분산성이 떨어지며 가격 또한 역시 합성수지의 3~4배라는 점을 고려하면 현실성이 없다.
Figure 112011073974826-pat00001
또 하기 특허문헌 4(대한민국 등록특허 10-0399834)에 따르면 C-NMR법에 의한 아이소탁틱 펩타드 는 아이소탁틱 폴리프로필렌, 또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프로필렌-1-헥센 공중합체, 프로필렌-4-메틸-1-펜텐 공중합체와 같은 다른 알파 올레핀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그 용융지수는 10∼50g/10분(ASTM D1238, 230℃)인 것의 함량이 69~90 중량% 이고, 내열성 향상을 위해 메틸, 페닐, 펜에틸, 아이소옥틸,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페닐, 아이소부틸 유닛을 가지는 나노구조 화합물은 백색의 분말 타입 또는 황색의 액체 형태이며, 평균 입자 크기는 10∼20Å이며, 평균분자량(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이 800∼1200인을 1∼15 중량% 포함하며 또 1∼5㎛인 탈크를 5∼20 중량% 포함한다. 또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또는 변성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고무는 1∼10 중량% 넣은 것으로 무기 충전재의 함량을 줄이면서 내열성을 높이고 강성 및 충격 강도는 높였다고 하지만 1~15%에 해당하는 나노 구조화합물과 그래프트 변성 올레핀공중합 고무의 가격도 매우 높으며 내열 온도도 기대치 만큼 높지 못하다.
Figure 112011073974826-pat00002
JP 09-165477 A (1997-06-24) JP 09-165478 A (1997-06-24) KR 10-0683229 B1 (2007-02-08) KR 10-0399834 B1 (2003-09-18)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까지 상용화되지 않은 재활용 폴리프로필렌과 상용성이 있는 글라스버블 반제품을 비중이 낮은 무기물과 혼합하고, 계면 특성을 부여하여 예컨대 자동차의 내,외장재로 사용될 수 있는 경량 고강성의 재활용 복합 폴리프로필렌 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복합 폴리프로필렌은 재활용 폴리프로필렌, 충전재, 글라스버블 반제품의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재활용 폴리프로필렌:충전재:글라스버블 반제품의 비율을 15~25:3~5:1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복합 폴리프로필렌은 재활용 폴리프로필렌에 저렴한 글라스버블 반제품을 이용하므로 글라스버블을 사용한 경우 보다 1/2 이상 저렴하며, 분산성이 우수하여 제품의 균일성이 유지되고, 특히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같이 큰 부품의 경우에도 수축의 발생이나 적어 치수안정성 및 성형 후 변형 개선과 가공성 및 성형성 개선 강도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글라스버블을 사용하는 것과는 근본적으로 현격한 차이를 갖게 된다. 부언하면 기존의 글라스버블은 반제품에 비하여 3배 이상 가격이 비싸고, 입자 크기가 크고 수지에 비하여 비중이 낮아 분산성이 떨어지며 글라스버블이 밀집된 경우 압축강도의 저하가 현격하게 나타나므로 열압 사출 성형시 형상이 복잡한 경우 글라스버블의 파괴로 인한 수축 현상 등이 나타난다. 이에 반하여 글라스버블 반제품을 이용할 경우 비중은 그라스버블에 비하여 크지만 겉보기 비중은 1 이하이며, 크기는 5㎛ 이하로 매우 작기 때문에 그라스버블과는 달리 폴리프로필렌에 분산이 잘 이루어지며, 열압 사출 성형시 그라스버블을 사용한 경우처럼 수축의 발생이 일어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재활용 폴리프로필렌, 충전재, 및 평균입경 5㎛ 이하인 글라스버블 반제품을 함유하는 재활용 복합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재활용 폴리프로필렌은 폐범퍼를 분쇄하여 도막을 분리 세척 건조 과정을 거친 조쇄품을 유동화제, 고무 등을 부가하여 압출 가공한 것으로서, 용융지수 18g/10분 이상, 인장강도 180kgf/㎠ 이상, 신율 110% 이상, 굴곡강도 240kgf/㎠ 이상, 굴곡탄성율 12,000kgf/㎠ 이상 비중 0.99이하인 품질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고무는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며 비 할로겐계 열안정제와 산화방지제 들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재는 글라스화이버, 탈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일군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평균입경 5㎛ 이하인 글라스버블 반제품은 평균입경이 14~135㎛인 기존의 글라스버블에 비하여 매우 작은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글라스버블 반제품은 기존의 글라스버블에 비하여 가격이 1/3 수준에 불과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재활용 폴리프로필렌에 글라스화이버(G/F), 글라스버블 반제품을 배합한 복합 폴리프로필렌과 그 물성은 아래 표 1과 같다.

No
배합비 물 성
재활용
PP

G/F
Glass
Bubble
반제품
비중 충격강도 인장강도 신율 굴곡강도 굴곡탄성율
g/㎤ kgf/㎝ kgf/㎠ % kgf/㎠ kgf/㎠
1 80 17 3 1.018 10.0 237 30 324 20,666
2 78 17 5 1.016 10.7 250 36 310 20,440
이 제조 방법은 대형 리본 믹서에 재활용 폴리프로필렌과 글라스버블 반제품을 넣고 30~2시간 혼합한 후 메인 호퍼에 투입하고, 사이드피딩 호퍼에는 글라스화이버를 투입하여 상기의 표 1에 제시한 비율로 이축압출기에 투입하여 압출하여 펠렛화 한다.
상기 1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방법에 따라 얻어진 2종의 펠렛 시료들은 각각 비중 1.02 이하이면서 충격강도 10kgf/㎝, 굴곡탄성율 20,000kgf/㎠를 만족하였다.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펠렛을 제조하되, 글라스화이버 대신에 탈크를 배합하였으며, 그 물성치는 다음 표 2와 같았다.

No
배합비 물 성
재활용
PP

탈크
Glass
Bubble
반제품

비중

충격강도

인장강도

신율

굴곡강도

굴곡탄성율
3 80 17 3 1.012 6.9 252 68 352 17,965
4 78 17 5 1.019 8.9 237 81 321 17,095
5 66 17 7 1.023 8.8 232 101 299 15,195
탈크를 배합한 경우, 글라스화이버를 이용한 경우보다 굴곡탄성율 등 강도가 다소 떨어졌으며 재활용 폴리프로필렌의 양을 66중량%로 줄인 경우 비중이 1.02를 초과하여 경량도가 다소 낮았다.

Claims (5)

  1. 재활용 폴리프로필렌, 충전재, 및 평균입경 5㎛ 이하인 글라스버블 반제품을 함유하되, 상기 재활용 폴리프로필렌은 폐범퍼 조쇄품에 유동화제 및 고무를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복합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는 글라스화이버, 탈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일군 중 하나인 재활용 복합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 폴리프로필렌 50~84중량%, 상기 충전재 15~35중량%, 및 상기 글라스버블 반제품 1~20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복합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4. 삭제
  5.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 폴리프로필렌은 용융지수 18g/10분 이상, 인장강도 180kgf/㎠ 이상, 신율 110% 이상, 비중 0.99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복합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KR1020110095804A 2011-09-22 2011-09-22 자동차 내, 외장재용 재활용 복합 폴리프로필렌 KR101307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804A KR101307231B1 (ko) 2011-09-22 2011-09-22 자동차 내, 외장재용 재활용 복합 폴리프로필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804A KR101307231B1 (ko) 2011-09-22 2011-09-22 자동차 내, 외장재용 재활용 복합 폴리프로필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101A KR20130032101A (ko) 2013-04-01
KR101307231B1 true KR101307231B1 (ko) 2013-10-02

Family

ID=48435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804A KR101307231B1 (ko) 2011-09-22 2011-09-22 자동차 내, 외장재용 재활용 복합 폴리프로필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72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90269B2 (en) 2018-04-20 2020-03-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Ultra-low density polypropylene plastic compound
KR102139653B1 (ko) 2020-05-15 2020-07-30 강영순 자동차의 엔진룸에 사용 가능한 복합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펠릿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182B1 (ko) * 2013-10-28 2015-06-09 (주)대웅 장섬유계 필러를 함유하는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방법
KR101627308B1 (ko) 2014-07-07 2016-06-03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KR102390520B1 (ko) * 2021-12-31 2022-04-27 이금영 열경화성 수지 냉각탑 외장 재활용 복합소재, 이로써 제조된 냉각탑 외장 제품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7198B1 (ko) * 1992-10-30 1998-04-24 전성원 경량성기재를 사용한 자동차 내장재 라미나
KR100683230B1 (ko) * 2006-02-16 2007-03-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 복합소재 조성물
KR100714193B1 (ko) 2006-02-09 2007-05-02 삼성토탈 주식회사 강성 및 내충격특성이 우수한 자동차 내장재용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JP2007517128A (ja) 2003-12-30 2007-06-28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充填複合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7198B1 (ko) * 1992-10-30 1998-04-24 전성원 경량성기재를 사용한 자동차 내장재 라미나
JP2007517128A (ja) 2003-12-30 2007-06-28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充填複合材
KR100714193B1 (ko) 2006-02-09 2007-05-02 삼성토탈 주식회사 강성 및 내충격특성이 우수한 자동차 내장재용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KR100683230B1 (ko) * 2006-02-16 2007-03-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 복합소재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90269B2 (en) 2018-04-20 2020-03-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Ultra-low density polypropylene plastic compound
KR102139653B1 (ko) 2020-05-15 2020-07-30 강영순 자동차의 엔진룸에 사용 가능한 복합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펠릿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101A (ko) 2013-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3230B1 (ko) 폴리프로필렌 복합소재 조성물
US9758654B2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for vehicles using the same
KR101307231B1 (ko) 자동차 내, 외장재용 재활용 복합 폴리프로필렌
KR101714074B1 (ko) 자동차 도어 트림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US20120010340A1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with black high gloss finish
CN1467247A (zh) 具有抗冲击和抗擦伤性能的汽车车门装饰用聚丙烯树脂组合物
KR101483914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020055282A (ko) 고강성/저선팽창의 폴리올레핀계 복합수지 조성물
JP2020514434A (ja) ポリマー組成物
KR100683229B1 (ko) 폴리프로필렌 복합소재 조성물
KR101144046B1 (ko) 자동차 카울탑커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60064389A (ko) 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사출성형품
US10550250B2 (en) Compositions of polypropylene having excellent tactile sensation and dimensional stability
KR101349164B1 (ko) 폴리아미드/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
KR101543124B1 (ko) 충격강도가 우수한 재활용 열가소성 소재
KR100666794B1 (ko) 폐 나일론 수지를 이용한 수지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1357911B1 (ko) 저 선팽창, 저 비중 특성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204658B1 (ko) 자동차 외장재용 복합 탄성수지 조성물
US20140206806A1 (en) Polyolefin-based resin composition
KR101371876B1 (ko) 탈크를 휘스커 또는 글래스 버블로 대체한 무기물 강화된 재활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재
KR20110116293A (ko) 재활용 가능한 충격 및 유동성이 우수한 자동차 폐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품
KR101344726B1 (ko) 에폭시계 발포수지를 이용한 고강도 경량화 폴리머 알로이 제조방법
US9944782B2 (en) Composition of polypropylene having high impact strength and high adhesion
CN112745567B (zh) 尾门内板用聚丙烯树脂组合物及其成型品
KR100578167B1 (ko) 폴리올레핀계 복합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5